KR930012028B1 - 압축여과기 - Google Patents

압축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028B1
KR930012028B1 KR1019870700379A KR870700379A KR930012028B1 KR 930012028 B1 KR930012028 B1 KR 930012028B1 KR 1019870700379 A KR1019870700379 A KR 1019870700379A KR 870700379 A KR870700379 A KR 870700379A KR 930012028 B1 KR930012028 B1 KR 930012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me
discharge guide
plate
filter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386A (ko
Inventor
테츠야 쿠리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쿠리다 기카이 세이사쿠쇼
테츠야 쿠리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9824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576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9824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5761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7296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325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0839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251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쿠리다 기카이 세이사쿠쇼, 테츠야 쿠리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쿠리다 기카이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87070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27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with one or more movable filter bands arranged to be clamped between the press plates or between a plate and a frame during filtration, e.g. zigzag endless filte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9Clamping means for closing the filter press, e.g. hydraul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21Plate and frame presses
    • B01D25/215Construction of the filter plates,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4Removal of the filter cakes by moving, e.g. rotating, the filt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압축여과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제2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여과판과 여과포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에 다개수의 여과판이 배치된 상태의 일부절개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여과포의 개략단면도.
제5도는 2개의 우측 여과판은 닫혀지고 1개의 좌측 여과판이 열려진 상태로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3개의 여과판의 측면도.
제6, 7도는 각각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포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제8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여과포의 측면도.
제9도는 제2변형예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포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0도는 제2변형예에 따른 여과판과 프레임이 닫힌 상태의 측면도.
제11도는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측면도.
제12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요부개략 단면도.
제13도는 여과포를 일부 제거시킨 상태에서 제12도의 XIII-XIII선 방향으로 바라본 정면도.
제14a도는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부재의 정면도.
제14b도는 제14a도의 A-A선 단면도.
제14c도는 제14a도의 B-B선 단면도.
제15도는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다른 압착격판이 갖추어진 여과판에 여과포가 덮혀진 상태의 정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제1변형예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포의 단면도.
제17a도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재의 정면도.
제17b도는 제17a도에 도시된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진동 부재의 단면도.
제18, 19도는 각각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재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정면도.
제20도는 제2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요부 개략 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에 도시된 프레임과,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재, 및 원액공급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된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부재의 단면도.
제23도는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4도는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변형예의 XXV-XXV선 단면도.
제26도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여과포로 덮혀진 여과판의 일부 절개정면도.
제27, 28도는 제26도에 도시된 2개의 여과판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
제29도는 제26도에 도시된 간격유지 부재와 함께 제공되어진 여과액 수집부재의 정면도.
제30도는 제29도에 도시된 여과액 수집부재의 측단면도.
제31도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여과액 수집부재가 장착되어진 여과포의 정면도.
제32도는 제31도에 도시된 여과액 수집부재와 여과포가 장착되도록 된 여과판의 측면도.
제33도는 제3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재가 여과액 수집부재에 장착되어진 상태의 정면도.
제34도는 제33도는 XXXIV-XXXIV선 단면도.
제35도는 종래의 여과판의 측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발명은 압축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판의 구조를 개선한 압축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압축여과기에 사용하는 여과판으로는 여러가지 구조가 사용되어지고 있는바, 예컨대 제3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여과판(60)은 직사각형의 프레임(60a)에 여과포를 통과한 여과액을 받아들여 아래로 안내해 주도록된 여과액 배출 안내부재(60b)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부재(60b)의 양쪽측면에는 많은 요홈(60c)이 형성되어 여과포를 통과한 여과액이 아래로 부드럽게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여과액 배출안내부재(60b)가 프레임(60a)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여과도중 각 여과판의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가 클 경우 여과액 배출안내부재(60b)가 프레임(60a)에 대해 변경되게 되거나 파손되기가 쉽다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시켜 여과판의 1쪽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다른쪽면에 가해지는 압력과 차이가 클때에도 여과액 배출안내부재가 파손되지 않도록 된 압축여과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여과기는, 프레임이 여과액 배출안내부재와 별도로 형성되어져 있는 즉 여과판이 폐루우프형으로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속에 배열되는 여과액 배출안내부재 및, 상기 부재를 프레임속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게 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어져 있는바,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여과액 배출안내부재의 1쪽면에 가해지는 압력과 다른쪽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가 클때는 여과액 배출 안내부재가 여과포와는 별도로 또는 함께 이동되도록 하여, 여과액 배출안내부재가 파손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프레임에 대해 여과액 배출장치를 교체해 주기가 쉬워지게 될뿐만 아니라, 여과시켜야 할 원액의 특성에 따라 여과액 배출안내부재의 두께를 달리해 줌으로써 한 여과판의 여과액 배출안내부재와 이웃한 여과판의 여과액 배출안내부재사이에 형성되는 여과실의 크기를 변경시켜 줄 수가 있게 되므로, 여과 지꺼기에 함유되는 수분의 함량비를 용이하게 조절해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과시켜야 할 원액의 특성에 따라 여과액 배출안내부재를 그 형성과 폭이 다른 것으로 교체시켜 줄수도 있고 프레임과 여과액 배출안내부재의 재질을 각각 달리하여 프레임으로는 보다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고, 여과액 배출안내부재로는 여과시켜야 할 원액에 따라 가장 적합한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여과판을 가볍게 할수가 있으며, 여과판 구동유니트에서 소요되는 구동에너지를 절감시켜 줄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여과판은 여과액 배출안내장치와 프레임이 일체로 되어 있어서, 그중 하나가 파손될 경우 전체 여과판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나, 본발명에 따른 여과판은 프레임과 여과액 배출안내부재가 서로 분리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여과판을 쉽게 운반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여과기에 결합되어 원액을 여과시켜 주고 있는 동안에 여과액 배출안내부재가 파손되어질 경우에도 여과액 배출안내부재만 교체해주기만 하면 압축여과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더우기, 본발명의 장치는 여과액 배출안내부재가 따로 분리되어져 있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진동되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여과액 배출안내부재의 진동이 여과포를 진동시켜 여과포에 여과찌꺼기가 들어 붙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이하 본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 제1도 내지 제3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11도는 제1실시예를, 제12-25도는 제2실시예를 제26-34도는 제3실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본발명에 따른 압축여과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스탠드(30)와 후방스탠드(31) 사이에 설치된 사이드빔(12)과, 상기 전방 및 후방스탠드(30,31) 사이에서 사이드빔(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걸쳐져 있는 여러개의 여과판(2)으로 구성되어져 있고, 상기 각 여과판(2)은 폐루우프형으로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속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 및, 상기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프레임(1)속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한쌍의 여과포(5)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여과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후방스탠드(31)와 여과판(2)사이의 상기 후방스탠드(31)에 가까운 쪽에 이동판(36)이 설치되어, 후방스탠드(31)위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유니트(29)에 의해 상기 이동판(36)을 전방스탠드(30)쪽으로 전진시켜 줌으로써 여과판(2)들이 서로 근접 밀착되게 하여, 그다음 여과시켜야 할 원액을 여과실(13)속으로 압입시켜 주면 여과되게 되는데, 이렇게 여과된 여과액은 여과포를 통과하여 여과판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고 여과찌꺼기는 여과포 사이에 남게되며, 여과가 완전히 끝나고나면 상기 이동판(36)이 다시 뒤로 물러나 여과판(2)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여과포(5)로 이루어지는바, 이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여과포(5)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여과판(2) 사이에 위치하고, 각 여과판(2)은 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가장자리에는 직사각형의 프레임(1)이 갖추어져 있는바,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여과액 배출장치로서 여과액 배수안내부재(3)가 별개로 형성되어져 있어서, 여과포(5)가 그 지지수단으로 이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판(2)의 프레임(1)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목재등으로 만들어져 폐직사각형 루우프모양을 하면서 그 상·하단의 양측에 돌출부(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b)에는 연결통로(1c)를 매개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면에 연결되어져 있는 여과액 수집홀(1a)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에는 상부중간에 돌출부(1d)가 형성되어져 있는 한편 양측의 수직방향 중간쯤에는 손잡이(4)가 형성되어져 있어, 이 손잡이(4)를 가지고 여과판(2)을 사이드빔(12)을 따라 이동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데, 이 손잡이(4)의 끝에는 한쌍의 아암(7)이 힌지(11)에 의해 축선회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지고, 상기 아암(7)의 윗쪽끝에는 이웃한 여과판(2)의 손잡이(4)와 힌지(8)로 피봇연결되어짐으로써, 여과판(2) 사이에 끼워져 있는 1쌍의 여과포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여과판(2)이 서로 떨어질때 여과포(5) 사이에 끼여있던 여과찌꺼기(14)가 떨어져 내지도록 한다.
또한 여과판(2)의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는 알루미늄이나 철등과 같은 금속이나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스틸렌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등으로서 사각형으로 형성되면서 그 두께가 프레임의 1-1/5배정도가 되고 그 외주연형상이 프레임(1)내주연과 거의 같도록 하여 이들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그 표면에는 여과액 관통공(3b)이 형성되고, 상부의 돌출부(1b)에는 원액공급구(3a)가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포(5)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즉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각상단부에는 원액공급구(5a)가 형성되어져 있고, 원액공급구(5a)의 외주연에는 여과포(5)와 동일재질로된 원통형으로된 원액공급용 관통부(5b)가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포(5)의 상부에는 포켓(5c)이 각각 부착되어져 있는바, 이 포켓(5c)은 상부를 접어 꿰매어 형성되어진 것으로 여기에 여과포 걸이막대(6)가 삽입되어지게 된다. 또 상기 각 여과포 걸이막대(6)는 여과포(5)를 진동시켜 주기 위한 스프링(10)을 통해 핀(9)을 중심으로 회동될수 있도록 매달려지고, 그 양단은 각쌍의 아암(7)상부에 끼워져 있다.
또한 여과포(5)의 원통형 관통부(5b)는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의 원액공급구(3a)에 끼워져 연결부재로 작용되어짐으로써,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여과포(5)에 매달려 지지되면서 여과포(5)와 나란해 놓여지도록 해준다. 이때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는 그 하부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15)에 의해 프레임(1)의 하부에 분리될 수 있도록 끼워짐으로서 프레임(1)의 면에 대해 수직으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압축여과기의 필터판(2)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되게 된다. 우선 여과포(5)중의 한쪽을 둥글게 하여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의 원액공급홀(3a)에 끼워 통과시켜 준다음 그것을 펼쳐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의 양쪽면이 여과포(5)로 덮혀지도록 하고, 여과포(5)의 원통형 관통부(5b)가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해준다.
이어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여과포(5)가 의해 매달려지게 하고, 프레임(1)이 각각의 손잡이(4)에 의해 사이드빔(12)에 매달려 지지되게 한다음, 여과포(5)중의 1쪽을 프레임(1)을 통해 끼워준다. 그다음 여과포(5)에 매달려 지지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을 프레임(1)속에 꼭맞게 끼워주고,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의 하부를 핀(15)으로 프레임(1)에 고정시켜 주게되면 안내부재(3)가 프레임(1)에 대해 유동하기 않게 된다. 이때 각 여과포(5)의 각 포켓(5c)에 여과포 걸이막대(6)를 삽입시켜 주고, 그 여과포 걸이막대(6)의 양쪽끝을 스프링(10)을 통해 아암(7)에 걸어주게되면, 여과판(2)이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와 프레임(1)이 일체로된 것처럼 결합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여러개의 여과판(2)을 압축여과기속에 설치하고, 구동유니트(29)를 구동시켜 이동판(36)이 전진되도록함으로써 제5도의 우측에 있는 한쌍의 여과판(2)이 서로 근접밀착되게 한다음, 각 원액공급구(3a)를 통해 한쌍의 여과판(5) 사이에 형성되어져 있는 여과실(13)속으로 여과시킬 원액을 주입시켜 주게되면 이는 여과실속에서 여과되어지게 된다.
이때 여과포(5)의 외주연이 서로 인접한 프레임(1) 사이에 끼워지게되고,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원통형교통편(5b)을 통해 프레임(1)의 전후면에 놓여진 여과포(5)에 연결지지되어지게 됨으로써,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원액의 압력에 의해 1쪽 방향으로 힘을 받아 밀려지게 되는 경우에도 그 밀려지는 범위가 여과포(5)에 의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의 이동량이 극히 적어지게 되므로, 어떠한 경우에라도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 사이에 위치 되어져 있는 여과포(5) 사이에서 원액이 확실히 여과되어지게 된다. 한편 구동장치로 이동판(36)을 후진시켜 제5도의 2개의 우측 여과판(2)과 같이 밀착된 상태를 풀어 주려면 프레임(1)양측에 배치된 아암(7)쌍을 열어 주게 되면 되고, 그에따라 여과포(5)가 일정간격 떨어지게 되면 여과포(5) 사이에서 여과되고 남은 찌꺼기(14)가 떨어지게 된다.
이어 다음번 여과를 위한 준비작업으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교환해주어야할 경우에는, 우선 프레임(1)과 여과포(5)로 부터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만을 빼낸다음 원하는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로 교체해 주게되게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한 여과판(2)의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와 이웃한 여과판(2)의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 사이에 형성된 여과실(13)의 크기를 여과시킬액체의 특성에 따라 변경시켜 주어야할 경우에는, 프레임(1)의 고정나사(15)를 풀고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프레임(1)으로 부터 분리한 다음, 그 두께가 다른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프레임(1)에 꼭맞게 끼워 고정나사(15)로 프레임(1)에 고정시켜 줌으로써, 여과실(13)이 크기를 쉽게 변경시켜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여과시킬 액체의 특성에 따라 여과액 관통공(3b)의 형상이나 폭을 변경시켜 줄 경우에는, 그 형상이나 폭이 다르게 형성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프레임(1)내에 끼워준 다음 고정나사(15)로 프레임(1)에 부착시켜 주면 되고, 프레임(1)과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의 재질을 다르게 해줄 경우에는, 일례로, 프레임(1)으로 보다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면 되는데, 이경우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로는 여과시킬 액체의 특성에 따라 가장 적합한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프레임(1)보다 가벼운 재질로 형성시켜 주게되는 경우에는 여과판(2)의 구동력을 경감시켜 줄 수가 있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프레임(1)과 분리시켜 줄수가 있게 되므로 여과판(2)을 운반하기가 쉬워지고, 또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도 파손된 여과액 배출 안내부재만 교체해 줌으로써 간단히 보수작업을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는 그 앞뒤쪽의 여과포(5)에 의해 지지되어져 있으므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어느 한쪽면으로 부터 강한 힘을 받게 될 경우에도 프레임(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 일이 거의 없어지게되며, 그에따라 원액이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 사이에 배치된 여과포(5)에 의해 확실히 여과되어지게 된다.
또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프레임(1)에 직접 지지되지 않게되므로 프레임(1)상에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지지해주기 위한 가공공정이 불필요하게 될 뿐만아니라, 여러가지 프레임(1)에 대해 동일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맞춰 사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다양한 프레임(1)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본발명에 다른 압축여과기장치의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경시켜 줄 수도 있는바, 그예로서는 제6,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포 걸이막대(6)를 손잡이(4)상에 장착하는 대신 여과판(2)의 프레임(1)상부 양단에 돌출시켜 주고, 여과포 걸이막대 고정부재(20)를 통해 상기 여과포 걸이막대(6)를 위치조절막대(22)에다 장착시켜 줌으로써 여과포 걸이막대(6)를 프레임(1)의 상부 양단에 장착시켜 줄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재(20)와 프레임(1) 상단사이에는 진동장치로서 스프링(21)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8-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포(27)의 대향하는 위치에 천(5e)을 꿰매붙여 상기 천(5e)에다 끈이나 가는선 등과 같은 연결부재(5d)를 장착시켜 주고, 프레임(1)의 모서리에 원액공급구(3a)를 형성시켜 주면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에는 직사각형의 연결부재 삽입홈(3c)을 형성시켜 그 안에 연결부재(5d)를 끼워 장착하며, 상기 연결부재(5d)를 서로 묶어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여과포(27)에 매달아주도록 변경시켜 줄수도 있다. 또한 복합여과판(2)과 종래의 여과판(25)을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복합형압축여과기를 구성시켜도 좋으며, 제9도와 같이 스프링(21)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스토퍼(23)를 설치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와 프레임(1)은 각각 원형등의 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도 관통공(3b)을 가진 것외에 요철홈을 가진것이나 벌집모양으로 형성된 것도 좋으며,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프레임(1)에 대해 흔들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레임(1)에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결합시킬 때 핀을 사용하지 않고 꼭맞게 끼워맞춰 줄수도 있다. 또, 여과압력이 2-15kg/㎠정도로 매우 높을 경우에는 인접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 사이에 돌출구를 삽입해 놓음으로써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본체(1)로 부터 쉽게 튀어나가지 않도록 해줄수도 있고, 원통형안내부재(5b)나 연결부재(5d)를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의 관통공(3b)에 관통시켜 줌으로써,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본체(1)로 부터 쉽게 튀어나가지 않도록 해줄수도 있으며, 원통형관통부(5b)나 연결부재(5d)를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의 관통공(3b)에 관통시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여과포(5)에 매달리도록 해주거나,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에 돌기를 형성시켜 상기 연결부재(5d)와 연결시켜 줌으로써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가 여과포(5)에 매달리도록 해줄수도 있다.
또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3)를 여과포(5)나 여과포 걸이막대(6)를 사용하여 프레임(1)과 결합시켜 주지 않고 제11도와 같이 여과포(5)나 여과포 걸이막대(6)를 사용하여, 전후방스탠드(30,31) 사이의 상부에 가설된 레일(32)에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된 여과포 걸이막대 지지부재(33)에다 결합시켜 주어도 좋다. 즉, 지지부재(33)의 아래에 스프링(35)을 통해 여과포 걸이막대(6)를 진동될 수 있도록 설치해 줌으로써, 프레임(1)이 사이드빔(12)을 따라 이동할때 상기 지지부재(33)도 로울러(34)에 의해 레일(32)상으로 이동하면서 여과판(2)을 열어주거나 닫아줄 수 있도록 해줄수도 있다.
상기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는 여과액 배출안내장치를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부재로 사용하면서, 그 지지수단으로 여과포(40,49)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제12, 13도와 같이 여과판(2)은 여과포(40A,40B)에 매달려 지지된 4각형 프레임(1)과 여과포(40A,40B)와 프레임(1) 사이에 설치되어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재(41)로 구성되면서, 그 진동부재(41)를 프레임(1)내에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과포(40) 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여과포(40)는 프레임(1)의 전면 또는 후면 중 그 어느 한 면을 다 덮어줄 수 있는 크기로 중심에 원액공급구(4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액공급구(40a)는 프레임(1) 주변 공간(1e)의 거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에 끼워져 그 앞뒤에 매달린 여과포(40A,40B)는 대응하는 원액공급구(40a)의 내주연을 서로 봉화하여 연결되면서, 봉합형성된 원액공급구연결부(40b)에다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재(41)를 끼워 장착시켜 주게 된다. 이 여과포(40)는 여과판(2)과의 결합시에, 인접한 프레임(1)의 대응면에 매달린 여과포(40)의 외주연이 프레임(1)에 끼워져 밀착폐쇄되어 짐으로써 양 여과포(40) 사이에 여과실(B)을 형성시켜 준다.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여과판(2)의 프레임(1)은 상기 제1실시예의 프레임(1)과 동일 구조이므로 동일부위에 동일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구조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1)의 각 아암(7) 상단부의 힌지(8)에는 압축여과기의 폭방향으로 스프링지지구(8a)가 돌출 성형되어 스프링(10) 상단부가 걸려지고, 스프링지지구(8a)의 하단부에는 여과포 걸이판(42)이 걸려지며, 상기 여과포 걸이판(42)에는 1쌍의 구멍(42a)이 형성되어 각 여과포(40)의 여과포 걸이막대(6) 양단이 끼워져 고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1)에 끼워져 앞뒤로 매달린 여과포(40A,40B)는 각각 여과포 걸이막대(6)를 통해 인접한 걸이판(42)에 매달리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판(2)의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재(41)는, 제14a~c도에 각각 도시된 것처럼 원형박판으로 되어 있고, 내측환형부(41a)와 외측환형부(41b) 사이에는 90°간격으로 연결부(41c)를 형성시켜 인체로 연결되어져 있으며, 진동부재(41)의 표면에는 여과액 통로용리브(41d)가 다수개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환형부(41a) 중앙에는 여과포(40)의 원액공급구(40a) 부분이 끼워지게 되는바, 즉 한쪽 여과포(40)를 둥글게 해서 환형부(41a)의 구멍(41e)으로 통과시켜주면, 상기 진동부재(41)가 여과포(40A,40B)의 연결부(40b)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여과포(40A,40B)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매달려 지면서 진동부재(41)를 프레임(1) 공간(1e)의 거의 중심에서 여과포(40)로 지지해 주게 되면, 프레임(1)내에는 프레임(1)의 내측면과 외측환형부(41b)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S1)이 형성됨과 동시에 내·외측환형부(41a,41b)사이에도 간격(S2)이 형성되며, 이들 간격(S1,S2)은 여과액이 흐르는 통로가 되기 때문에,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진동부재(41)가 프레임(1)내에 지지되어 있을지라도 여과액의 배출작용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과 진동부재(41)로 구성된 각 여과판(2) 및 여과포(40)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스탠드(30)와 구동판(36)사이에 프레임(1)을 이동될 수 있도록 나란히 설치되고, 이웃한 프레임(1) 사이의 양측아암(7)으로 스프링(10)과 여과포걸이판(42) 및 여과걸이막대(6)를 통해 1쌍의 여과포(40)를 매달아 지지해 주며, 프레임(1)의 양측여과포(40)의 원액공급구연결부(40b)에다 여과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재(41)를 설치해 줄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때 압축여과기에는 제12도와 같이 원액주입관(30a)이 형성되어져 있어 원액공급구(40a)를 통해 여과실(13)로 원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동판(36)을 전방스탠드(30)쪽으로 이동시켜 여과판(2)을 전방스탠드(30)쪽으로 밀착시켜준 다음(제1도 참조) 원액공급펌프(도시되지 않음)등을 원액주입관(30a)에 연결하여 원액을 원액공급구(40a)를 통해 각 여과실(13)에 고압으로 채워주게 되면, 프레임(1)에 끼워진 양측 여과포(40)가 상호 인접해지게 되고, 이때 중앙에 설치된 진동부재(41)에 의해 여과포(40)간에는 일정간격이 유지되어지게 되며, 그에따라 여과실(13)내의 원액은 여과포(40)를 통해 여과되고, 이렇게 여과된 여과액은 프레임(1)내의 간격(S1,S2)을 통해 프레임(1)하부로 흘러내려가면서 교통로(1c)로부터 여과액 수집홀(1a)를 통해 수집되어지며, 여과된 찌꺼기(14)는 한쌍의 여과포(40)사이에 남아있게 된다.
이렇게 여과작업이 끝나고 난뒤 이동판(36)을 후진시켜 여과판(2)을 풀어주게되면 이웃한 프레임(1)간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여과실(13)의 열려진 하단으로 찌꺼기가 떨어져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여과포(40)는 스프링(8)으로 지지되어져 있기 때뭉에 여과판(2)의 후진시에 진동되게 되고, 이 진동은 여과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주는 진동부재(41)에 전달되어 여과포(40)의 그물눈에 부착되어져 있던 찌꺼기(14)를 떼어주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1)을 직사각형으로된 단순형상으로 형성시켜줌으로써, 여과판(2)을 가볍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또 여과포(40)사이에 진동부재(41)를 끼워 줌으로써 여과포(40)가 상호 접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진동부재(41)로 말미암아 여과포(40)의 그물눈에 끼워져 있던 찌꺼기(14)를 데어 떨어뜨림으로써 그물눈이 막히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41)는 프레임(1)과 관계없이 원액공급구 연결부(40b)에 간단하게 장착되어 질 수 있게되므로 조립성이 양호해지고 부품수도 감소되게 되며, 진동부재(41)를 설치함에 따라 여과포(40)의 여과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오히려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한 경우에 비해 여과특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이 제2실시예의 경우도 상기의 기재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압착형 필터판을 적당히 적용시켜줄수도 있는 바, 제15, 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에 끼워진 여과포(40)의 내측에다 고무등의 탄성재로써 그 표면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압착격판(43)을 중첩시켜 주면서, 프레임(1)의 앞뒤에 있는 1쌍의 압착격판(43)을 그 상단과 하단에서 볼트(44)로 상호 고정시켜 줌으로써 간단하게 장착시켜 줄 수도 있게 되는데, 이때 이 한쌍의 압착격판(43)의 원액공급구(43a)는 상호 연결되어지면서 그 연결부에 진동부재(41)를 설치해 줄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5도에서, 프레임(1)의 귀(1b)에는 유통공(1f)이 형성되어짐으로써 압착격판(43)을 팽창시키는 유체를 연통공(1g)을 통해 반대측 격판(43)으로 주입할 수 있게 되고, 격판(43)에는 여과액 추출공(43b)이 형성되어짐으로써 격판(43)표면과 프레임(1)의 연통공(1c)을 서로 연결시켜주게 되며, 프레임(1)의 귀(1b)에는 또한 세정액유통공(1h)이 형성되어 프레임(1)의 연통공(1i)과 격판(43)의 연통공(43c)에 연결되어짐으로써, 여과후에 세정액을 유통공(1h)과 연통공(1i,43c)을 통해 격판(43)표면과 여과포(40)이면에 분사시켜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대향하는 압착격판(43) 사이에는 여과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진동부재(41)를 설치해놓음으로써 격판(43)이 상호밀착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압축유체를 쉽게 공급해줄 수 있게 되고, 또 압착격판(43)에 의해 여과포(40)를 매개로 찌꺼기(14)를 압착시켜줄 수 있게 될 뿐만아니라 필터판(2)의 해제시 여과포(40)의 진동을 도와줄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여과포(40)의 각 압착격판(43)외면에다 진동부재(41)를 장착시켜줌으로써 여과포(40)에 의해 상기 진동부재(41)가 직접 구동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17a, b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주는 진동부재(41)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41f)를 형성시켜주게되면, 이돌기(41f)에 의해 여과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게 될 뿐만아니라 상기 돌기(41f)가 리브로 작용하여 진동부재(41)를 보강시켜줄 수가 있게 되며, 또한 진동시에 상기 돌기(41f)가 여과포(40)와 접촉하면서 여과포(40)의 그물눈이 찌꺼기로 막혀지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는 효과를 더욱 높혀줄 수가 있게 된다.
제18, 19도는 각각 상기 진동부재(41)의 변형예로서, 그중 제18도는 말굽형 지지판(41g)의 외주연에다 외판(41h)을 탄성 핀(41i)으로 연결시켜준 것이고, 제19도는 환형판(41i)의 외주연에 외판(41k)을 핀(41i)으로 연결시켜준 것인바, 그 각각은 여과포(40)의 이면을 진동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여과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여과포를 진동시켜주는 상기 진동부재(41)를 여과포(40)에 직접 매달아 주지 않고 원액 공급판을 통해 부착시켜 줄 수도 있는 바, 제20, 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장의 큰 여과포체(48)를 프레임(1)에 씌워 프레임(1)의 양측에 여과포(48a)를 매달아 주고, 상기 여과포(48a)의 원액공급구(48b)에다 원액공급판(49)을 장착해 주면서 상기 원액공급판(49)에는 진동부재(41)를 설치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의 상하측 귀(1b)에는 관통공(1k,1m)이 형성되어져 있는지, 그중 하측 관통공(1m)은 연통공(1n)을 통해 프레임(1) 주변의 공간(1e) 하부와 연결되어짐으로써 세척액을 분출하고 유액을 추출하는 구멍으로 이용되는 한편, 상측의 각 관통공(1k)은 상측연통공(1L)을 통해 프레임(1)의 상부와 연결되어짐으로써 여과액을 추출하고 세척액을 분출하는 구멍으로 이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포체(48)는 전후방향으로 긴 형상으로서 양측 여과포(48a)의 거의 중심에 원액공급부(48b)를 갖고 있으며, 상기 여과포(48a)는 그 상단면(48c)을 프레임(1)의 상부(10)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프레임(1)의 외주연을 감싸주면서 매달려지게 되고, 원액공급구(48b)는 프레임(1)내의 공간(1e)중심에 형성되게 된다.
한편 진동부재(41)는 제21, 22도와 같이 직사각형 두꺼운판으로된 여과포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 유지부(41L)와, 상기 간격유지부(41L)가 둘러싸고 있는 공간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상하부의 중심에 연결한 탄성박판으로 된 1쌍의 진동판부(41m)를 일체로 형성시켜 준 것으로서, 이 진동부재(41)를 프레임(1)에 걸려지지된 여과포(48a)내에 삽입하여 상기 여과포(48a)와 나란히 배치되도록 하고, 그 진동판부(41m)를 여과포(48a)의 원액공급구(48b)내측에 배치하면서 상기 원액공급구(48b)외측에 환형의 원액공급판(49)을 대응접속시켜주며, 원액공급판(49)과 여과포(48a), 진동판부(41m), 여과부(48a) 및 원액공급판(49)을 고정부(50)로 밀착 고정시켜줌으로써, 상기 진동부재(41)는 원액공급판(49)을 통해 여과포(48a)와 일체로 고정되면서 프레임(1)과 결합되어지게 된다.
상기 구성에서 여과판(2)을 다수 배치한 압축여과기는 여과시에 원액주입관(30a)에 연결된 원액공급펌프(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원액공급판(49)의 구멍(49a)을 통해 여과실(13)에다 원액을 고압으로 채워주게 되고, 이때 프레임(1)에 끼워진 여과포(48a)가 프레임(1)내에서 상호인접하게 되지만, 여과포사이에는 프레임(1)의 공간(1e) 중심에 배치된 진동부재(41)의 두꺼운 간격유지부(41L)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게 되며, 그에따라 여과액이 여과실(13)에서 양측 여과포(48a)를 통해 프레임(1) 내주연과 진동부재(41)외주면 사이의 간격(S3) 및 진동부재(41)의 간격유지부(41L)와 원액공급판(49) 사이의 간격(S4)으로 유출되면서 프레임(1)의 내주연 하부에 열려있는 여과액추출용 연통공(1n)을 통해 하측 관통공(1n)으로 수집되어지게 된다.
이어 여과후에는 프레임(1)을 이동시켜 이웃한 프레임(1)사이를 넓혀준다음 찌꺼기(14)를 배출해 주게되는데, 이때 진동부재(41)의 진동판부(41m)가 탄성을 갖는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의 이동이나 찌꺼기(14)의 배출에 따라 쉽게 진동하게 되며, 그에따라 여과포(48a)와 접촉하면서 여과포(48a)의 그물눈에 끼인 찌꺼기(14)를 떼어내주게 된다. 한편 여과포의 세척은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귀의 관통공을 통해 프레임내로 세척액을 공급하거나 혹은 여과포(48a)사이로 세척액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프레임(1)의 직사각형의 단순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판(2)을 가볍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여과포(48a) 사이를 진동부재(41)로 유지시켜줌으로써 여과포(48a)가 상호 접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해줄 수가 있고, 또 진동부재(41)에 진동판부(41n)를 설치하여 용이하게 진동시켜줄 수가 있기 때문에, 여과포(48a)를 진동시켜줌으로써 진동부재(41)와 여과포(48a)를 접촉시켜 여과포(48a)의 그물눈에 끼인 찌꺼기(14)를 제거시켜주고, 그에따라, 여과포(48a)의 눈이 막히는 것을 방지해 줄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진동부재(41)는 여과포(48a)에 대해 원액공급판(49)과 일체로 부착될 수 있으므로 조립공정이 극히 단순해지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 다른 병형예로는 제23도와 같이 진동부재(41)의 테두리 단면을 내주연으로 향할수록 얇아지도록 형성시켜주어도 좋고, 또 진동부재(41)를 제24, 25도와 같이 합성수지로 만들어 주면서 원액공급판연결부(41n)를 역 U자형으로 형성시켜주면서 상기 연결부(41n)에다 격판(41p)을 통해 자형의 진동판부(41o)를 일체로 형성시켜줌으로써, 원액공급구 연결부(41n)의 아래로 열려진 개방부(41q)에 의해 원액의 유통을 양호하게 해주는 한편 연결부(41n)의 아래쪽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부분에서 대향하는 여과포(48a)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시켜줄 수 있으며, 진동판부(41c)의 진동에 의해 여과포(48a)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시켜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여과포(40,48a)의 원액공급구(40a,48a)가 프레임(1)중앙부에 위치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이었으나, 제2도와 같이 프레임(1)의 상부로 원액을 공급하도록 된 상부공급형이나 프레임(1)의 하부로 원액을 공급하도록 된 하부 공급형으로 적용시켜줄 수도 있으며, 여과포(40,40a)를 걸쳐 지지하는 방법도 상기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제11도와 같이 프레임(1)이외의 다른 부재로 지지해 줄 수도 있으며, 프레임(1)의 형성도 원형이나 기타 다각형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시켜줄 수도 있다.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 필터프레스는 여과액 배출안내부재를 여과액 수집부재로 하면서 여과포(53)로 지지해 주도록 한 것으로, 이때의 여과판(2)은 제26-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내에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된 여과액 수집부재(52)로 구성되면서 지지장치로서는 여과포(53)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여과포(53)를 필터판(2) 양측으로 프레임(1) 내부공간(1e)을 감싸듯이 배치하여 여과시에 이웃한 프레임(1)사이에 1쌍의 여과포(53)를 끼워 넣은 다음 상기 여과포(53)사이에 형성된 여과실(13)에 운액을 주입해주므로서 여과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찌꺼기를 여과실(13)내에 남게되고, 여과액은 여과포(53)를 통과하여 프레임(1) 내부공간(1e)에 모여진 다음 여과액수집부재(52)를 통해 프레임(1)하부로 흘러내려 수집되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은 테두리의 수직단면이 5각형이 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그 내면에는 양측으로 테이퍼진 경사면(1p)이 형성되고, 프레임(1)의 측면하부에는 귀(1b)가 형성되어 이 귀(1b)에다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여과액수집공(1a)을 형성시켜줌과 아울러 프레임(1)의 하부에는 프레임(1) 내부공간(1e)과 상기 여과액수집공(1a)을 연통시켜주는 연통공(1c)을 형성시켜 놓고 있다.
상기 여과포(53)는 상기 프레임(1) 양측(필터 프레스의 전후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프레임(1) 내부의 공간(1e)에 끼워짐과 동시에 프레임(1)에 끼워진 한쌍의 여과포(53), 상, 하부를 각각 볼트(54)로 조여서 프레임(1)에 지지되도록 하며, 프레임(1) 중앙부위에는 원형의 원액공급구(53a)를 형성시켜 그 내주연을 서로 봉합시켜 준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여과액수집부재(52)는 제29도와 같이 천으로 만들어져, 프레임(1) 내부공간(1e)내에 배치되어 그 양면이 여과포(53)로 덮혀지며, 그 중앙부에는 여과포(53)의 원액공급구(53a)에 연통된 관통구멍(52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관통구멍(52a)의 내주연부가 원액공급구(53a)의 내주연부와 봉착되어 여과액수집부재(52)를 여과포(53)에 매달아 지지하면서 여과포(53)와 함께 여과액수집부재(52)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여과액수집부재(52)를 여과포(53)와 직접 봉합시켜주게되면 그 부분의 그물눈 크기가 다른 부분에 비해 불균일해지게 되어 여과특성이 저하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여과포(53)의 원액공급구(53a) 내주연과 여과액수집부재(52)의 관통구멍(52a)내주연을 봉합시켜주게 되면 여과포(53)의 그물눈 크기에 영향을 주지않게 되므로 여과특성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여과액수집부재(52)는 어느정도 질긴것이 바람직하다. 질긴 재질로 해줄 경우에는 관통구멍(52a)의 내주연을 지지하는 것 만으로도 그 상부를 지지할 필요없이 프레임(1)내의 상하면을 따라 위치하도록 해줄수가 있게되고, 그러한 재질로서는 천연재질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등과 같은 것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으나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합성수지나 금속재일 경우에는 그물형상으로 형성시켜주는 것이 좋고, 정면형 상은 4각형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삼각형등 임의대로 형성시켜 줄수가 있으며, 여과액수집부재(52)의 외주면과 프레임(1)의 내면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시켜주면 된다.
한편 상기 여과액수집부재(52)의 관통구멍(52a)상부에는 제29, 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재(55)를 설치하여 프레임(1)내에서 여과포(53)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여과액이 여과포(53)로부터 프레임(1)내로 유입되기에 용이하도록 해 주는데, 이 간격유지부재(55)는 한쪽 분할체(55a)의 돌기부(55b)를 여과액 수집부재(52)의 관통구멍(52b)에 관통시켜 다른 분할체(55c)의 구멍(55d)내에 끼워줌으로써 여과액수집부재(52)에 장착되어 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여과판(2)을 전후방스탠드(30,31)사이에 가설된 사이드빔(12)에다 전후진될수 있도록 걸어 이동판(36)의 전진에 따라 다수의 여과판(2)을 전방 스탠드(30)방향으로 조여주고, 원액을 여과포(53)의 원액공급구(53a)를 통해 각 여과판(2)의 여과포(53)사이에 형성된 여과실내로 압입시켜주며, 여과포(53)로 원액을 여과시켜준 다음 찌꺼기(14)를 분리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찌꺼기(14)는 1쌍의 여과포(53)사이에 형성된 여과실(13)내에 남아 있게 되고, 원액은 각 여과포(53)를 통하여 프레임(1)내부로 들어간 다음 여과액수집부재(52)의 안내에 따라 아래로 흘러내려 연통공(1c)을 통해 여과액수집공(1a)내로 유입됨으로써 수집되어지게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하면, 여과판(2)의 프레임(1)내에 여과액배출안내부를 형성시켜주지 않고 단순히 여과액수집부재(52)를 여과포(53)로 지지해주었을 뿐이므로 프레임(1)내에 여과액 배출안내부재를 형성시켜준 종래의 것보다 극히 가볍게 될 뿐만 아니라, 여과포(53)사이의 프레임(1)내에다 여과액 수집부재(52)를 지지해놓아주었으므로 여과포(53)로부터 프레임(1)내부로 여과되어 들어온 여과액을 프레임(1)하부의 여과액수집부재(52)로 안내하여 확실하게 흘러내려줄수가 있으며, 그에따라 여과액을 원활하게 수집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액수집부재(52)를 여과포(53)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었으므로, 여과시에 여과액수집부재(52)의 양면간에 큰압력차가 발생할지라도 여과액수집부재(52)가 이동함에 따라 큰압력차를 흡수해 주게 되어 손상되어짐을 방지해줄 수가 있는바, 이에대해 종래의 여과액배출안내부가 설치된 여과판(2)은 큰 압력차가 발생할 경우 여과액배출안내부가 강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액수집부재(52)를 천으로 형성시켜 주었기 때문에 탄성변형이 용이하고, 압력차에 대해서도 자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압력차를 흡수해줄 수가 있다.
이 제3실시예는 앞서 언급된 예로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밖에 여러가지로 변경실시할 수도 있는바, 상기 여과액수집부재(52)의 두께를 임의로 결정해 줄수도 있고, 그 크기를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내면 (1p)과 여과액수집부재(52)의 외주연사이가 벌어지도록 해주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31도처럼 프레임(1)의 내면(1p)까지 넓어지도록된 것이나 프레임(1)의 내면(1p) 이상으로 프레임(1)보다 더 크게하여도 좋다.
또한 여과액수집부재(52)를 탄성체로 형성시켜주게되면 여과시에 여과액수집부재(52)의 양면간에 큰 압력차가 생기더라도 자체의 변형으로 이를 흡수할 수가 있게 되고, 여과액수집부재(52)를 강체로 형성시켜줄 경우 여과포(53)나 프레임(1)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해 주게 되면 양면간에 큰 압력차가 발생할 지라도 여과액수집부재(52)가 이동하면서 압력차를 흡수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과액수집부재(52)는 천자체에 여과액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진 것 뿐만아니라 전혀 구멍이 없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간격유지부재(55)는 여과포(53)의 재질 및 원액의 특성에 따라 별도로 장착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그 형상도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 형상으로, 또한 임의의 수로, 임의의 위치에 배치해줄 수가 있는바, 예를 들면 제33, 34도와 같이 1쌍의 환형판(56e)을 여과액수집부재(52)의 관통구멍(52a)에다 장착하여 구성시켜줄 수 있다. 이때 각 환형판(56e)은 C자형의 판체(56c,56d)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각 판체(56c,56d)의 표면에는 원액공급용 함몰부(56b)와 접합용 돌출부(56a)를 번갈아 형성시켜 줌으로써, 다수의 프레임(1)을 필터프레스의 일측스탠드쪽으로 조여줄 때 간격유지부재(56)의 돌출부(56a)의 상호 대응됨과 동시에 1쌍의 함몰부(56b)가 대응하면서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 공간부로부터 원액을 여과실(13)로 공급해 줄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여과포(53)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장의 큰 여과포를 프레임(1)에 덮어 씌워 프레임(1) 양면을 감싸도록 해도 좋고, 프레임(1)이 아닌 다른 부재(제11도 참조)로 매달아 지지해도 좋으며, 또한 그 원액공급구(53a)를 프레임(1)내의 여과면이 아닌 여과면의 외부에 배치하는 상부공급형이나 하부공급형으로 형성시켜줄 수 있다. 또한 여과판(2)의 형상도 4각형외에 원형이나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시켜 주어도 좋다.
그밖에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지지수단으로서 여과포를 사용했으나, 탄성을 갖는 끈과 같은 지지구를 사용하여 여과액배출안내장치를 프레임(1)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해 주어도 좋은데,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 및 변형예는 본 발명의 모든 목적을 충분히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7)

  1. 나란히 배열된 다수개의 여과판(2)과, 서로 이웃하는 여과판(2) 사에에 배치된 다수개의 쌍으로된 여과포(5,27,40,48a,53) 및, 상기 여과판(2)을 여과판이 배열되어져 있는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기 위한 구동유니트(29)와 구동판(36)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니트(29)와 구동판(36)을 이용하여 여과판(2)을 밀착시켜준 다음, 쌍으로된 각각의 여과포(5,27,40,48a,53)사이에 원액을 압입하여 여과시켜줌에 따라 여과액이 여과포(5,27,40,48a,53)을 통화해서 여과판(2)을 따라 흘러내리게됨과 더불어, 여과찌꺼기(14)가 각각의 쌍으로된 여과포(5,27,40,48a,53)사이에 남아 있도록된 압축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2)이 페루우프형의 프레임(1)과 이 프레임(1)속에 배치된 평평한 여과액 배출안내수단(3,41,52) 및, 이들 여과액배출안내부단(3,41,52)을 프레임(1)속에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지지수단(5,5d,40,48,5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 배출안내수단(3,41,52)는 여과판(2)의 양측면에 배치되어져 있는 1쌍의 여과포(5,27,40,48a,53)에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에 끼워져 있는 1쌍의 여과포(5)는 프레임(1)내에서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원액공급홀(5a)과 이 원액공급홀(5a)를 연결시켜주는 원통형 원액공급구관통부(5b)를 구비하여, 상기 관통부(56)에 여과액배출안내부재(3)가 매달려지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4.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1)에 끼워진 1쌍의 여과포는 그 프레임내에서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원액공급홀(40a,53a)을 가지면서 상기 대향하는 원액 공급홀(40a,53a)의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어 짐으로써, 이들 각 연결부분에서 여과액배출안내수단(41,53)이 매달려지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48a)는 프레임(1)내에서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원액 공급홀(48b)과 이 원액공급홀(48b)의 가장자리에 환형의 원액공급판(49)이 구비되어, 상기 원액공급판(49)를 통해 여과액배출안내수단(41)이 상기의 여과포(48a)에 매달려 지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 배출안내수단(3,41)은 여과포진동용 스프링(10)을 통해 프레임(1)내에 매달려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배출안내수단(3,41,52)은 판형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 배출안내수단(3)은 상기 프레임(1)속의 공간(1e)에 결합된 여과액 배출안내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배출안내수단(41)은 2개의 환형부(41a,41b)가 연결부(41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면서 상기 외측 환형부(41a)와 내측환형부(41b) 사이에 간격(S2)을 형성시켜주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0.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1)에 끼워진 1쌍의 여과포는 프레임(1)속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원액공급구(48)가 각각 형성되어 이 원액공급구(48b)에 환형 원액공급판(49)을 부착되는 한편, 상기 원액배출안내수단((41)은 간격유지부(41)와 상기 간격유지부(41)를 원액공급판(49)에 연결시켜주는 스프링으로된 진동판부(41m)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간격유지부(41)의 외면과 프레임(1)내면 사이의 간격(S3)을 형성시켜줌과 동시에 상기 간격유지부(41)와 원액공급판(49)사이에 간격(S4)를 형성시켜 주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배출안내수단(52)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배출안내수단(52)는 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배출안내수단(52)는 망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여과액배출안내수단(52)에는 여과포(53)와의 대향면 사이에 간격이 유지형성되도록 간격유지부재(55)가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2)은 여과포(40)에 대향하는 프레임(1)의 양면에 압착격판(43)이 덮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배출안내수단((41)은 여과판(2)에 덮혀진 압착격판(43)의 여과포대향면에 매달려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2)의 압착격판(43)에는 각가 원액공급구(43a)가 형성되어지면서, 원액공급구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어짐과 더불어, 이 연결부에 여과액배출안내수단(41)이 매달려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KR1019870700379A 1985-09-06 1986-09-05 압축여과기 KR930012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98248 1985-09-06
JP60-198247 1985-09-06
JP60198248A JPS6257619A (ja) 1985-09-06 1985-09-06 フレ−ムタイプのフイルタプレス
JP60198247A JPS6257618A (ja) 1985-09-06 1985-09-06 フレ−ムタイプのフイルタプレス
JP60-272967 1985-12-03
JP60272967A JPS62132512A (ja) 1985-12-03 1985-12-03 フイルタプレス
JP61208390A JPS6362511A (ja) 1986-09-03 1986-09-03 濾過ユニット
JP61-208390 1986-09-03
PCT/JP1986/000452 WO1987001300A1 (en) 1985-09-06 1986-09-05 Filter pr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386A KR870700386A (ko) 1987-12-28
KR930012028B1 true KR930012028B1 (ko) 1993-12-23

Family

ID=2747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379A KR930012028B1 (ko) 1985-09-06 1986-09-05 압축여과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42733A (ko)
EP (1) EP0238668B1 (ko)
KR (1) KR930012028B1 (ko)
DE (1) DE3689418T2 (ko)
WO (1) WO1987001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3592A (en) * 1986-09-03 1989-11-28 Kurita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Filter Press
GB8720722D0 (en) * 1987-09-03 1987-10-07 Coal Industry Patents Ltd Filter press cloth hanger
DE3906537A1 (de) * 1989-03-02 1990-09-06 Passavant Werke Filterplatten fuer plattenfilterpressen
ES2079932T3 (es) * 1992-08-27 1996-01-16 Trum Clar Tech Fritz Trummel Dispositivo para soltar la torta de un filtro-prensa de varias camaras y procedimiento para su funcionamiento.
JPWO2011155273A1 (ja) * 2010-06-10 2013-08-01 株式会社石垣 フィルタープレスにおけるろ布への原液供給板の取付装置および当該取付装置を備えたフィルタープレス
CN102416704A (zh) * 2011-07-26 2012-04-18 宜兴能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含水物料的压榨脱水方法及装置
CN107096264A (zh) * 2017-05-23 2017-08-29 苏子战 压滤机机架
DE102017215925A1 (de) * 2017-09-08 2019-03-14 Krones Aktiengesellschaft Filtrationsverfahren und Plattenfilter
JP7033248B2 (ja) * 2018-11-05 2022-03-10 株式会社石垣 フィルタープレスのろ布洗浄方法
WO2022000231A1 (en) * 2020-06-30 2022-01-06 Metso Outotec Finland Oy Pressure filter
CN112717498A (zh) * 2021-02-03 2021-04-30 河南久鼎过滤设备有限公司 一种超高压滤板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8140A (en) * 1961-08-29 Resin impregnated wood
FR481687A (fr) * 1916-05-06 1917-01-05 Wladimir Guerrero Éléments-filtrants pour filtres-presses
FR850008A (fr) * 1939-02-08 1939-12-06 Fermeture nouvelle pour emballage
US2845181A (en) * 1954-11-26 1958-07-29 Kaiser Aluminium Chem Corp Filter element
FR85008E (fr) * 1958-10-13 1965-05-28 élément filtrant pour filtres-presses
FR1322618A (fr) * 1962-05-16 1963-03-29 Reymersholms Gamla Ind Ab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filtres-presses
CH399422A (de) * 1962-05-28 1965-09-30 Ciba Geigy Filterpresse
FR1351473A (fr) * 1962-11-27 1964-02-07 Choquenet Fond Atel Dispositif de débâtissage des gâteaux de filtres-presses
FR1401265A (fr) * 1964-04-01 1965-06-04 Tissmetal Lionel Dupont élément filtrant notamment pour filtres-presses
AT256886B (de) * 1964-06-19 1967-09-11 Chemokomplex Vegyipari Gep Es Selbsttätige Hochleistungsfilterpresse
US3347383A (en) * 1965-11-19 1967-10-17 Shriver & Company Inc T Filter press
CH468203A (de) * 1966-01-08 1969-02-15 Chemokomplex Vegyipari Gep Es Filterpresse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FR2116786A5 (en) * 1970-12-08 1972-07-21 Choquenet Fonderies Atel Chambered plate - for filter press
DE2238323A1 (de) * 1972-08-04 1974-02-21 Degussa Filterpresse
DE2358578C3 (de) * 1973-11-24 1980-01-24 Lenser Kunststoff-Presswerk Gmbh + Co Kg, 7913 Senden Filterplatte für eine Filterpresse
US3937645A (en) * 1974-01-11 1976-02-10 Standard Container Company Heat sealing apparatus
DE2621245A1 (de) * 1976-05-13 1977-11-24 Bayer Ag Filterplatte
JPS52139579A (en) * 1976-05-17 1977-11-21 Kutsuwa Kk Producing method of case and the like
DE2712753A1 (de) * 1977-03-23 1978-09-28 Lenser Kunststoff Press Filterplatte fuer eine filterpresse
DE2720904A1 (de) * 1977-05-10 1978-11-23 Hoesch & Soehne Eberhard Mehrteilige filterplatte
JPS54149977A (en) * 1978-05-17 1979-11-24 Kurita Mach Mfg Co Ltd Pressing plate in filter press
JPS603298B2 (ja) * 1978-09-06 1985-01-26 正豊化学股ふん有限公司 1,1’−ジアルキル−4,4’−ビピリジリウムジハライド塩の製造方法
JPS5946646B2 (ja) * 1980-09-19 1984-11-14 株式会社栗田機械製作所 フイルタプレスの「ろ」材吊持装置
JPS5758969A (en) * 1980-09-24 1982-04-09 Mitsubishi Heavy Ind Ltd Manufacture of abrasion resistant double rolls
JPS582409A (ja) * 1981-06-29 1983-01-08 Suzuki Motor Co Ltd ブロ−バイガス還流装置
US4491519A (en) * 1982-11-19 1985-01-01 Kurita Machinery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Filter cloth arrangement for use in fixed filter cloth type filter press
DE3380201D1 (en) * 1982-12-22 1989-08-24 Steetley Refractories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 slurry
JPS59166807A (ja) * 1983-03-14 1984-09-20 Yamatake Honeywell Co Ltd 形状確認装置
JPS59166807U (ja) * 1983-04-20 1984-11-08 伊藤 恭司 濾過機の濾板
EP0155458B1 (de) * 1984-01-31 1990-04-11 JVK Filtration Systems GmbH Membranfilterplatte
JPS6015364B2 (ja) * 1984-02-27 1985-04-19 株式会社栗田機械製作所 フイルタプレスの濾布洗浄装置
JPH0615286B2 (ja) * 1985-01-14 1994-03-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38668A4 (en) 1988-11-24
DE3689418D1 (de) 1994-01-27
EP0238668A1 (en) 1987-09-30
WO1987001300A1 (en) 1987-03-12
KR870700386A (ko) 1987-12-28
EP0238668B1 (en) 1993-12-15
DE3689418T2 (de) 1994-03-31
US4842733A (en) 198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2028B1 (ko) 압축여과기
US7344638B2 (en) Filter grid assembly
NO327472B1 (no) Sikt for vibrasjonssikteapparat
JP2019533573A (ja) 振動ふるいの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6351118A (zh) 一种具有自洁功能的板框式压滤机及使用方法
KR100824593B1 (ko) 여과기 어셈블리
CN216677127U (zh) 一种框板压滤机用自动振料装置
CA1295263C (en) Filter press
CN211069163U (zh) 一种香精生产用板框压滤机
KR950002787B1 (ko) 압축 여과기
JPH1099607A (ja) フィルタプレスのろ過装置ユニット
CN216094721U (zh) 一种滑动式尺寸可调的芡实用大小分级筛
CN217312280U (zh) 用于煤泥水处理的网筛结构
CN217830658U (zh) 一种水钻筛分装置
CN217141063U (zh) 一种高效型振筛机
CN221244035U (zh) 一种超临界萃取用预处理装置
JPH0286805A (ja) 濾過装置
JPH03224604A (ja) 圧搾式フィルタプレスにおける圧搾濾板
JP2002336606A (ja) 濾材及び濾過装置
RU39506U1 (ru) Мембранный аппарат
JP4192764B2 (ja) フイルタープレスの原液供給板並びに原液供給方法
SU941420A1 (ru) Фильтрпресс дл разделени пивных заторов
JPH0558762B2 (ko)
TWI278337B (en) Filter press
JPH052012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