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015B1 -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015B1
KR930010015B1 KR1019900013454A KR900013454A KR930010015B1 KR 930010015 B1 KR930010015 B1 KR 930010015B1 KR 1019900013454 A KR1019900013454 A KR 1019900013454A KR 900013454 A KR900013454 A KR 900013454A KR 930010015 B1 KR930010015 B1 KR 93001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film
silicon oxide
semiconductor substrate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465A (ko
Inventor
히로아키 츠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PCT/KR1990/000013 priority Critical patent/WO1992003960A1/en
Publication of KR91000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01L29/7881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 H01L29/7883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charging by tunnelling of carriers, e.g. Fowler-Nordheim tunn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별 소자단면도.
제 2 도는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별 소자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종단면도.
제 5 도는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제 6 도는 종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별 소자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6 : 불순물층 3 : 다결정실리콘막
4 : 제어게이트전극 5 : 선택게이트전극
7 : 실리콘산화막 8, 18 : 터널산화막
9, 19 : 질화실리콘막 10 : 반도체기판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기록 및 소거할 수 있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이하, E2PROM이라 칭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E2PROM은 일반적으로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자구조를 갖추고 있다. p형 반도체기판(10)의 표면에 n형 불순물층으로 구성된 드레인(1)과 소오스(2)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 n형 불순물층(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불순물층(6)의 위쪽에 실리콘산화막(7)을 매개로 제어게이트전극(4)이 설치되어 있고, 또 이 실리콘산화막(7)의 내부에는 부유게이트 전극으로 되는 다결정실리콘막(3)이 매설되어 있다. 실리콘산화막(7)에는 막두께가 얇은 터널산화막(8)이 있고, 이것은 다결정실리콘막(3)으로의 전자의 주입 및 인출을 전자의 터널효과를 이용해서 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불순물층(6)과 드레인(1)사이의 위쪽에 선택게이트전극(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단면도에 있어서, 터널산화막(8)과 다결정실리콘막(3)을 포함한 장소(a)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을 제 5 도에 도시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얻기 위해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제 6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n형 불순물층(6)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기판(10)의 표면상에 실리콘산화막(27)을 형성한 후, 사진식각법에 의해 터널산화막(8)을 형성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이 부분의 반도체기판(10)을 노출시킨다[제 6b 도]. 그리고 노출된 부분에 터널산화막(8)을 형성하고[제 6c 도], CVD법을 이용해서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한 후, 옥시염화인(pocℓ3) 분위기중에서 인확산을 행한다[제 6d 도].
그러나, 이 종래의 제조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 6b 도와 같이, 실리콘산화막(27)을 형성한후, 터널부분을 제거해서 반도체기판(10)을 노출시키지만, 이 기판(10)이 노출된 상태에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공정이 시작되므로 기판의 표면이 오염되기 쉽다. 따라서 터널부분의 기판(10)이 오염되면, 터널산화막(8)의 내압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기판(10)의 오염이 초래되어 내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터널산화막(8)을 형성하기 전에 희석불산(HF)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 처리에 의해 터널산화막의 내압성은 향상되지만, 실리콘산화막(7) 자체가 불산에 반응해서, 제 4 도에 있어서의 선택게이트전극(5)과 기판(10)사이에 있는 이 실리콘산화막(7)의 내압성이 저하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제 6d 도의 공정에 있어서 다결정실리콘막(3)에 인을 확신시키지만, 이 막(3)의 내부에 확산된 인이 터널산화막(8)중에까지 확산된다. 이에 따라, 역시 터널산화막(8)의 내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터널산화막(8)의 내압성을 조사하는 시험으로는 소정의 전류를 터널부분에 인가하고, 소정시간경과후에 발생하는 불량의 비율을 측정하는 정전류 TDDB(Time Dependent Dielectric Breakdown)시험등이 있다. 또 실리콘산화막(7)의 내압성을 조사하는 시험으로서, 선택게이트전극(5)과 반도체기판(10)사이에 파괴에 도달하기 까지의 전압을 인가하고 이 파괴전압이 예컨대 20V 이하인 것이 차지하는 비율을 측정하는 시험등이 있다. 종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 때문에, 어느 시험에 있어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 수 없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해서 발명된 것으로, 선택게이트아래에 있어서의 실리콘산화막과 터널산화막 쌍방의 내압성을 모두 높이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반도체기판(10)상에 전자가 통과하도록 부분적으로 막두께가 얇은 터널부분을 포함한 층간절연막으로서의 실리콘산화막(7)과, 이 실리콘산화막(7)의 표면상에 부유게이트전극으로서의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10)상에 상기 터널 부분과 같은 막두께의 제 1 실리콘산화막(18)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상에 내산화막(19)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 1 실리콘산화막(18)과 상기 내산화막(19)중, 사진식각법을 이용해서 상기 터널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을 남겨두면서 그외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반도체기판(10)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공정, 노출된 상기 반도체기판(10)의 표면상에 상기 터널부분보다도 막두께가 두꺼운 제 2 실리콘산화막(7)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내산화막(19)과 상기 제 2 실리콘산화막(7)의 표면상에 상기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도체기판(10)상에 전자가 통과하도록 부분적으로 막두께가 얇은 터널부분을 포함한 층간절연막으로서의 실리콘산화막(7)과, 이 실리콘산화막(7)의 표면상에 부유게이트전극으로서의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10)상에 상기 터널부분과 같은 막두께의 제 1 실리콘산화막(18)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상에 내산화막(19)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내산화막(19)중, 사진식각법을 이용해서 상기 터널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을 남겨두면서 그외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제 1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공정, 노출된 상기 제 1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상에, 상기 터널부분보다도 막두께가 두꺼운 제 2 실리콘산화막(7)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내산화막(19)과 상기 제 2 실리콘산화막(7)의 표면상에 상기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 1 실리콘산화막과 내산화막을 형성한 후, 내산화막중 터널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이 남도록 하고 다른 영역을 제거하고, 제 1 실리콘산화막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이 노출된 제 1 실리콘산화막의 표면상에 제 2 실리콘산화막을 형성해도 좋다.
또 다결정실리콘막에 인을 확산시키는 공정을 다시 구비해도 좋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반도체기판의 표면에 실리콘산화막을 형성하고 터널부분을 제거한 후, 막두께가 얇은 제 1 실리콘산화막을 형성한 것은 터널부분의 반도체기판이 노출되어 사진식각법을 행하는 단계에서 오염되기 쉽고 이부분의 내압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지만, 우선 터널부분의 제 1 실리콘산화막을 형성하고, 그 후 제 2 실리콘산화막을 형성함에 따라 터널부분의 반도체기판이 노출되지 않고 오염되지 않으므로, 제 1 실리콘산화막의 내압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 반도체기판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도체기판에 불산처리를 할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은 처리를 하면 불산에 의해 제 2 실리콘산화막의 내압성이 저하된다. 그러나 반도체기판이 오염될 우려가 없게 되므로 이와 같은 불산처리는 불필요하고, 제 2 실리콘산화막의 내압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이것은 제 1 실리콘산화막과 내산화막을 형성한 후, 내산화막중의 터널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이 남도록 하고 다른 영역을 제거해서 제 1 실리콘산화막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제 1 실리콘산화막의 표면상에 제 2 실리콘산화막을 형성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 다결정실리콘막에 인을 확산시킨 경우, 인이 제 1 실리콘산화막까지 확산되면 이 부분의 내압성이 저하되지만, 이 제 1 실리콘산화막의 표면상에 내산화막을 형성하므로 인의 확산이 방지되고, 내압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별 소자단면도이다.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실리콘산화중 막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먼저 형성한 후 터널산화막을 형성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 형성의 순서가 다르다.
우선 제 1a 도와 같이 n형 불순물층이 형성된 반도체기판(10)의 표면에 약 800℃에서 염산(HCℓ)산화에 의해 터널산화막과 같은 막두께 90Å의 실리콘산화막(18 ; 제 1 실리콘산화막에 상당함)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상에 내산화막으로서의 질화실리콘막(19)을 CVD법으로 8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 실리콘산화막(18) 및 질화실리콘산화막(19)에 대해 사진식각법을 사용해서 터널산화막에 상당하는 영역(8 및 9)만이 남도록 하고 다른 부분을 제거하고, 반도체기판(10)의 표면을 노출시킨다[제 1a 도].
다음으로 이 표면에 약 900℃로 염산(HCℓ) 산화를 행하면, 질화실리콘막(9)이외의 영역에 실리콘산화막(7 ; 제 2 실리콘산화막에 상당한다)이 형성되고, 이 막두께가 약 430Å으로 되도록 한다[제 1c 도].
그리고 이 실리콘산화막(7) 및 질화실리콘막(9)의 표면상에 CVD법에 의해 400Å의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한다. 또 이 다결정실리콘막(3)에 900℃의 옥시염화인(POCL4)분위기중에서 인(P)을 확산시킨다[제 1d 도].
이와 같이 형성된 소자의 단면구조는 제 2 도와 같고, 종래의 경우(제 5 도)와 비교해서 터널산화막(8)의 표면에 내산화막으로서의 질화실리콘막(9)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대해서 제 3 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우선 제 3a 도와 같이 반도체 기판(10)의 표면에 염산(HCℓ) 산화에 의해 막두께 90Å의 실리콘산화막(18)을 형성하고, 이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상에 질화실리콘막(19)을 CVD법으로 8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후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리콘산화막(18) 및 질화실리콘산화막(19)의 양쪽에 대해, 터널산화막에 상당하는 영역(8 및 9)만을 남기고 다른 부분은 제거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질화실리콘층(19)에 대해서만 사진식각법을 행하고, 실리콘산화막(18)은 제거하지 않는 점이 다르다. 질화실리콘막(19)중 터널부분에 상당하는 막(9)만 남기고 다른 부분은 제거하고,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을 노출시킨다[제 3b 도].
이후는 마찬가지로, 약 900℃에서 표면에 염산산화를 행하면(내산화성이 있는)질화실리콘막(9) 이외의 영역에 약 430Å의 두께의 실리콘 산화막(7)이 형성된다[제 3c 도].
그리고 실리콘산화막(7) 및 질화실리콘막(9)의 표면상에 4000Å의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하고, 옥시염화인(POCl3) 분위기중에서 인을 확산시킨다[제 3d 도].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종래의 경우는 제 6b 도의 단계에 있어서 반도체기판(10)중 노출된 터널부분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희석불산(HF)처리를 행했지만, 이에 따라 실리콘산화막(7)이 불산에 반응하고, 선택게이트전극(5)과 기판(10)간에 있어서의 실리콘산화막(7)의 내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터널산화막(8) 부분을 우선 형성하고, 이 부분의 반도체기판(10)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오염될 우려가 없고, 당연히 희석불산처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실리콘산화막(7)의 내압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다결정실리콘막(3)의 내부에 확산된 인이 터널산화막(8)에 까지 확산됨에 따라, 터널산화막(8)의 내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터널산화막(8)의 표면상에 내산성(耐酸性)을 갖춘 질화실리콘막(9)을 형성하므로 인이 확산되지 않고, 터널산화막(8)의 내압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E2RPOM은 터널산화막(8)과 실리콘산화막(7)의 내압성이 모두 향상된다. 우선 터널산화막(8)에 110㎂/0.1㎡의 전류를 6초간 인가하고, 불량이 발생한 비율을 조사하는 TDDB 시험에 있어서,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한 E2RPOM의 경우는 불량율 10%였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E2RPOM에서는 1%이하로 저하되었다. 또 실리콘산화막(7)의 내압성을 선택게이트전극(5)과 반도체기판(10)간에 파괴에 도달하기까지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조사하는 시험에서는 파괴전압이 20V이하인 것의 비율이 종래는 20% 존재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것에서는 1%이하로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널산화막(8) 및 실리콘산화막(7) 양쪽의 내압성이 향상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 상기한 본 실시예는 1일례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내산화막으로서 질화실리콘막을 형성하고 있지만, 내산성을 갖춘 것이면 다른 재료에 의한 것을 형성하여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기판표면의 터널부분에 우선 실리콘산화막을 형성하고, 그후 터널부분이외의 영역에 실리콘산화막을 형성하므로, 터널부분의 반도체기판표면이 노출되어 오염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의 내압성의 저하가 방지됨과 동시에 기판이 오염된 경우의 불산처리가 초래하는 터널부분이외의 실리콘산화막의 내압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 다결정실리콘막에 인을 확산시킨 경우에도 터널부분의 실리콘산화막의 표면상에 내산화막을 형성하므로, 확산된 인이 다결정실리콘막을 통해서 이 실리콘 산화막에 까지 확산되지 않고, 역시 내압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4)

  1. 반도체기판(10)상에 전자가 통과하도록 부분적으로 막두께가 얇은 터널부분을 포함한 층간절연막으로서 실리콘산화막(7)과, 이 실리콘산화막(7)의 표면상에 부유게이트전극으로서의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10)상에 상기 터널부분과 같은 막두께의 제 1 실리콘산화막(18)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상에 내산화막(19)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 1 실리콘산화막(18)과 상기 내산화막(19)중, 사진식각법을 이용해서 상기 터널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을 남겨두면서 그의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반도체기판(10)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공정, 노출된 상기 반도체기판(10)의 표면상에 상기 터널부분보다도 막두께가 두꺼운 제 2 실리콘산화막(7)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내산화막(19)과 상기 제 2 실리콘산화막(7)의 표면상에 상기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2. 반도체기판(10)상에 전자가 통과하도록 부분적으로 막두께가 얇은 터널부분을 포함한 층간절연막으로서 실리콘산화막(7)과, 이 실리콘산화막(7)의 표면상에 부유게이트전극으로서의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10)상에 상기 터널부분과 같은 막두께의 제 1 실리콘산화막(18)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상에 내산화막(19)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내산화막(19)중, 사진식각법을 이용해서 상기 터널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을 남겨두면서 그의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제 1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공정, 노출된 상기 제 1 실리콘산화막(18)의 표면상에, 상기 터널부분보다도 막두께가 두꺼운 제 2 실리콘산화막(7)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내산화막(19)과 상기 제 2 실리콘산화막(7)의 표면상에 상기 다결정실리콘막(3)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산화막(19)과 상기 제 2 실리콘막(7)의 표면상에 형성된 상기 다결정실리콘막(3)에 인을 확산시키는 공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산화막(19)과 상기 제 2 실리콘막(7)의 표면상에 형성된 상기 다결정실리콘막(3)에 인을 확신시키는 공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00013454A 1989-08-31 1990-08-30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KR930010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1990/000013 WO1992003960A1 (en) 1990-08-30 1990-11-08 Towel hanger for use in bath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225303 1989-08-31
JP1225303A JPH0388370A (ja) 1989-08-31 1989-08-31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465A KR910005465A (ko) 1991-03-30
KR930010015B1 true KR930010015B1 (ko) 1993-10-14

Family

ID=1682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454A KR930010015B1 (ko) 1989-08-31 1990-08-30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41129A (ko)
EP (1) EP0415775B1 (ko)
JP (1) JPH0388370A (ko)
KR (1) KR930010015B1 (ko)
AU (1) AU6630890A (ko)
DE (1) DE6901780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4341B2 (ja) * 1996-03-06 1999-06-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60613A (ja) * 1996-03-19 1997-10-03 Oki Electric Ind Co Ltd トンネル絶縁膜の膜質評価方法
US5960302A (en) * 1996-12-31 1999-09-2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a dielectric for an integrated circuit
US6143608A (en) * 1999-03-31 2000-11-07 Advanced Micro Devices, Inc. Barrier layer decreases nitrogen contamination of peripheral gate regions during tunnel oxide nitridation
JP3613072B2 (ja) * 1999-06-02 2005-01-26 株式会社デンソー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の電荷保持寿命評価方法
KR100546407B1 (ko) * 2004-04-3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Eeprom 셀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5914A (en) * 1976-03-26 1978-09-26 Hughes Aircraft Company Electrically erasabl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JPS55156371A (en) * 1979-05-24 1980-12-05 Toshiba Corp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S5955071A (ja) * 1982-09-24 1984-03-29 Hitachi Micro Comput Eng Ltd 不揮発性半導体装置
JPS5966171A (ja) * 1982-10-08 1984-04-14 Hitachi Ltd 半導体装置
JPS6184868A (ja) * 1984-10-02 1986-04-30 Nec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H0669099B2 (ja) * 1984-12-21 1994-08-31 株式会社東芝 Mis型半導体装置
US4789883A (en) * 1985-12-17 1988-12-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having gate electrode and underlying oxid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325955A (ja) * 1986-07-18 1988-02-03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008721A (en) * 1988-07-15 1991-04-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lectrically-erasable, electrically-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ell with self-aligned tunnel
US5017979A (en) * 1989-04-28 1991-05-21 Nippondenso Co., Ltd. EEPROM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063423A (en) * 1989-04-28 1991-11-05 Nippondenso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a floating gate tunnel oxide type
JPH081933B2 (ja) * 1989-12-11 1996-01-10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41129A (en) 1996-07-30
DE69017803T2 (de) 1995-09-28
KR910005465A (ko) 1991-03-30
JPH0388370A (ja) 1991-04-12
EP0415775A2 (en) 1991-03-06
DE69017803D1 (de) 1995-04-20
AU6630890A (en) 1992-03-30
EP0415775B1 (en) 1995-03-15
EP0415775A3 (en) 1991-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537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ore than two conductive layers
US20060160289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7775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2256265A (ja) 半導体装置
KR930010015B1 (ko)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
US6265267B1 (en) Fabricating method for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gate oxide layers of various thicknesses
JPH039614B2 (ko)
US5753943A (en) Insulated gate type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RU205358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оп-транзисторов с окисной изоляцией
JPH076306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74464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950011021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US5221634A (en) Method of making semiconductor device employing self diffusion of dopant from contact member for augmen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doped region in substrate
JPS581634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586672B2 (ko)
EP0380964B1 (en)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ntact member
KR940008727B1 (ko) 반도체장치
JP3336772B2 (ja) 多結晶半導体パターン上の絶縁膜の形成方法と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法
JP281221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22824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139346B2 (ja) 2層電極構造を有す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59114869A (ja) 多結晶シリコンの浮遊ゲ−トを有する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H0353785B2 (ko)
JPS6312389B2 (ko)
JPH074560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