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072B1 - 캔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박판소재의 만곡작업을 하기 위한 그리고 계속운반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캔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박판소재의 만곡작업을 하기 위한 그리고 계속운반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072B1
KR930007072B1 KR1019900012866A KR900012866A KR930007072B1 KR 930007072 B1 KR930007072 B1 KR 930007072B1 KR 1019900012866 A KR1019900012866 A KR 1019900012866A KR 900012866 A KR900012866 A KR 900012866A KR 930007072 B1 KR930007072 B1 KR 930007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erial
bending
guide rail
rolls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267A (ko
Inventor
슈티거 오트마르
Original Assignee
엘파트로닉 아게
크라우스 훗츠 및 레날드 화브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파트로닉 아게, 크라우스 훗츠 및 레날드 화브레 filed Critical 엘파트로닉 아게
Publication of KR91000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76Cans or tins having longitudinal or helical seam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캔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박판소재의 만곡작업을 하기 위한 그리고 계속운반을 위한 장치.
제1도는 캔몸체(can bodies)의 종방향 연부의 전기저항-스쿼즈 씨임 웰딩(electrical resistance mash-seam welding)을 위한 기계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구역에 있는 소조립부품들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수직평면 Ⅲ-Ⅲ에서의 동일한 소조립 부품들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Ⅳ구역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수평부분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화살표 Ⅳ의 방향에서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의 Ⅶ-Ⅶ 수직부분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에서의 Ⅶ-Ⅶ 수평부분 단면도.
제9도는 제1작업 위치에 있는, 제4도에서 화살표 Ⅸ의 방향에서의 사시도 그리고,
제10도는 제2작업 위치에서 제9도에 상응하는 사시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박판소재 13 : 만곡장소
15 : 용접장소 16, 17 : 운반롤
24, 25 : 굴곡롤 30 : 안내레일
42 : 록커 67 : 연접봉
이 발명은 제1 및 제2굴곡롤 사이에 박판소재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및 제2굴곡롤들과, 편향부재가 굴곡롤들의 뒤에 박판소재의 운동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편향부재에서는 박판소재가 제1굴곡롤로부터는 떨어져서 그리고 제2굴곡롤 주위 둘레에서 그의 최초의 운동방향으로부터 편향되어질수 있는 그러한 하나의 편향부재와, 최초의 운동방향에서 전방의 박판소재의 단부를 포박하기 위한 하나의 포막테두리(catch ledge)와, 만곡된 박판소재의 축방향의 계속운동을 위한 적어도 한쌍의 운반부재와, 그리고 안내 레일을 따라서 만곡된 박판소재가 그의 축방향에서의 계속운동의 동안에 서로의 곁에 밀접하게 놓여 있는 그의 종방향의 단부들을 가지고 안내되어지는 그러한 하나의 안내레일을 가지며, 캔몸체들을 위한 박판소재들을 만족시키며 그리고 계속 운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333071 A1로부터 공지된 이런 종류의 장치에서는 만족하고자 하는 각각의 반판소재는 차례로 운반장소, 예비굴곡장소 및 굴곡장소를 통과한다. 이 장소들의 각각은 서로 포개어져 배열된 한쌍의 수평한 롤을 포함한다. 예비굴곡장소에서 예비굴곡부재들은 롤간극(roll gap)의 뒤에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것은 박판이 가능한한 응력이 없어 굴곡장소를 들어가기 위하여 후방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굴곡되어지는 것을 보증한다. 굴곡장소의 롤간극의 전방에는 상부 및 하부 안내 부재들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상부 및 하부 안내 부재들 사이에 박판소재가 안내된다. 굴곡장소의 간극뒤에는 하부굴곡롤의 둘레에서 박판소재를 굴곡하는 편향부재가 배열되어 있어, 굴곡장소의 롤간극의 전방에 배열된 하부 안내 부재의 하측에는 훅크 형상으로 된 단면의 포박테두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포박테두리는 이제까지의 운동 방향에서 전방의 만곡된 박판소재의 단부를 포박한다. 박판소재를 후단부가 굴곡장소가 롤간극을 떠나자마자 박판소재는 한쌍의 동반 부재들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결과로 그의 이제까지의 전방의 그리고 후방의, 이제는 새로운 축방향의 운동 방향으로 종방향으로 향하여진 가장자리들 Z자 형상 단면의 안내레일의 각 하나의 홈에 밀어 넣어진다. 안내레일은 굴곡롤들의 뒤의 축방향의 간격에서 시작하여며 그리고 응접장소의 한쌍의 전극롤러들의 직접 전방에서 끝나며 융점 장소에서는 박판소재의 종방향의 단부들이 함께 용접된다. 굴곡장소로부터 떨어져서 Z자 형상의 단면의 안내 레일에로 박판소재를 미는 동안 부재들은 짝을 이루어 무한 콘베이어 체인상에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짝을 이루어 배열된 동반부재는 박판소재가 전극 롤러들에 의하여 물려질때까지 박판소재를 계속해서 전방으로 민다.
기술된 공지의 장치보다도 더 많은 장소를 절약하는 방법으로 캔몸체들은 위한 박판소재를 만족하고 그리고 계속해서 운반하는 장치를 고안하는 것이 발명의 목적이다.
시초에 기술된 타입의 장치로부터 출방하여 이 발명에 따라서는 이 문제는 포박 테두리가 제 1 굴곡롤부터 떨어져 있는 제 2 굴곡롤의 측방에 적어도 근사적 으로 2개의 굴곡롤들의 축들의 공통 평면에서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적어도 대체적으로 2개의 굴곡롤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뻗쳐 있고 박판소재를 굴곡하는 동안에 이 소재에 의하여 안내레일이 둘러 쌓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배열되어 있는 안내 레일의 하나의 부품인 것에 의하여 해결된다.
그리고 이미 굴곡 작업의 끝에 박판소재는 그 종방향의 단부들(edges)의 다음의 결합을 위하여 필요한것에 상응하거나 적어도 대단히 근접하게 되는 하나의 위치를 갖는다. 여기서는 종방향의 단부들은 예를들면 납땜질, 에너지 비임을 사용하는 맞대기용접(butt-weiding) 또는 특히 스퀴즈 계목이 형성되는 전기 저항용접 프로세스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서로가 결합되어지는 것이 가정된다.
이 발명에 따라서 굴곡롤들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열된 안내 레일은 포막테두리로서 작용하는 그의 구간을 가지고 정확하게 처음으로부터 만곡된 박판소재의 종방향의 양 단부들을 그의 축방향의 이동의 동안에 안내하며, 이 정확도는 상기한 타입의 공지된 장치에서는 박판소재의 종방향의 단부들의 다만 굴곡장소의 뒤에서 시작하는 예를들면 Z자 형상으로된 단면의 안내 레일에 있는 홈들속에서 완전히 안내될때 축방향으로 굴곡롤들이 뒤의 약간의 거리에서 점차적으로 이루어질뿐이다. 이 발명에 따라서 굴곡장소에서 이미 이루어진 안내 정확도 때문에 예를들면 박판소재가 굴곡롤들의 작용의 범위를 떠나자마자 전극롤러들에 의하여 박판소재가 그의 종방향 단부들에서 파지되는 그러한 한쌍의 전극롤러를 가지는 장치와 같은 박판 소재의 종방향의 단부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종래의 장치가 굴곡롤들로부터 다만 짧은 축방향의 거리에서 배열되어질수 있다.
이 발명의 우선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만내 레일은 전지 저항 용접기의 전극 지지아암에 부분적으로 매설되어 있으며 이 용접기의 아암은 박판소재를 굴곡하는 동안에 이 박판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둘러 싸여진다.
안내레일은 목적에 맞게 Z-레일과 일직선 상에 있을 수 있으며 이 Z-레일에는 박판소재의 종방향의 단부들이 그의 축방향의 계속운동의 동안에 안내되어진다.
박판소재의 만곡 작업을 위하여 형성된 공간의 쉘(shells)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조정 가능한 그러한 셀들에 의하여 둘러쌓여 진다면 더 유익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곡롤들 사이의 롤간극은 박판소재가 쉘들에 의하여 안내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체가 축방향으로 뻗쳐 있는 만곡된 박판소재의 가장자리들이 포막 테두리의 각각 하나의 측방에 접하여 놓이도록 그렇게 굴곡롤들 사이의 롤간극의 치수가 정하여질수 있으며 그리고 편향부재가 그렇게 배열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변하지 않는 박판품질을 항상 기대할수는 없으며 박판 두께와 박판 소재의 경도는 일정한 한계들 이내에서 변동할수 있기 때문에 이 발명에 따라서 쉘 들의 배열에 의하여 변동하는 품질의 박판들도 역시 만곡작업의 끝에는 안내 레일과 관련하여 미리 규정된 위치를 차지하게 할것을 권할수 있다.
만곡된 박판소재의 또 다른 축방향의 운동을 위하여 마련된 운반 부재들은 공지된 방법으로 무한궤도식의 콘베이어 체인 또는 그러한 체인들의 한쌍위에 배열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는 추가적인 건조공간이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그러한 체인 콘베이어들은 바람직하게는 테두리를 따라서 만곡된 박판소재의 종방향의 단부들이 그의 축방향의 운동을 계속하는 동안에 미끄러지는 그러한 이 발명에 따라서 배열된 포박 테두리의 가까이에서 사용되어질수가 없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의 따라서 2개의 운반 부재들은 봉들이며 이 봉들은 안내 레일을 따라서 포박테두리의 각각 하나의 측방에허 굴곡롤들 사이를 통하여 이동하는 박판소재에 의하여 이 안내레일돠 공동으로 둘러쌓여지도록 뻗쳐 있으며 그리고 박판소재의 더 계속하는 운동의 방향에 반대가 되게 박판소재로부터 끌어내어질 수가 있으며 그리고 다음의 전진운동의 동안에 이 박판소재를 동반하기 위하여 이것의 뒤에서 서로 벌린다면 유리할 것이다.
그래서 구조의 장소를 절약하는 형태와 시간을 절약하는 장치의 작업 방식 이외에도 운반부재들에 의하여 박판 소재에 행사된 이송력(feed forces)들의 작용선들은 박판소재의 종방향 단부들에 인접해 있으며 그리고 그래서 마철력들의 작용선들로부터 다만 짧은 거리를 가지며 이 마찰력들은 포박테두리 및/혹은 안내 레일로부터 박판 소재에 제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박판소재는 그의 축방향의 운동을 계속하는 동안에 다만 약간의 경동모멘트(tilting moments)를 받게된다 : 즉, 이것은 목표하여진 높은 안내 정확도에 기여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특징들은 박판소재들이 만곡되어진 방법에 무관하게까지도 유익한 것이다.
마지막에서 언급한 실시 형태는 2개의 운반부재가 안내레일의 종방향에서 왕복되어질수 있는 하나의 스키드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나의 록커(roker)가 이 스키드의 왕복 운동이 록커의 선회로 전환되는 그러한 방법으로 스키드상에 역시 장착되어 있고 그리고 이 록커에는 캠들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에 의하여 서로에 향한 그리고 서로 떨러지는 운반 부재들의 선회 운동들이 조절되어 지는 것에 의하여 유리하게 더 발전되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양 운반부재들로부터 간격을 띠고 그리고 거기에 대체로 평행한 스키드상에, 굴곡된 박판소재에 의하여 둘러쌓여진 공간의 외측에 하나의 압봉(push rod)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압봉은 양 운반부재에 추가적으로 이압봉에 장착된 걸쇠(catch)를 가지고 그리고 이들 운반부재에 대하여 어떤 각도에서 이동되어져서 만곡된 박판소재의 후단부에서 파지한다면 더 유리하게 될 것이다. 이 방법으로 만곡된 박판소재의 축방향의 계속운동에 필요한 이송력들은 더 균일하게 분포되어질수 있다.
이송력들이 완전히 모멘트(moments)가 없게 만곡된 박판소재에 전달된다 할찌라도 예를들면 뒤따르는 용접 장치에서의 고장으로 인하여 차례로 운반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박판소재들이 쌓을수 있는 위험을 완전하는 배제할수가 없다. 그러므로 불가피하게 가늘고 긴 이 발명에 따르는 운반부재들의 과부하의 위험을 제거하며 그러므로 구동축에 고정된 하나의 크랭크와 그리고 망원경 모양으로 서로에 대하여 이동을 위해 안내되고 있으며 과부하의 경우에 풀어지는 방출장치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연결봉 부품들을 가지는 하나의 연접봉을 포함하는 크랭크 기구에 의하여 스키드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불가피하게 가늘고 긴 이 발명에 따르는 운반 부재들의 과부하의 위험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에 부합된다. 이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계속 움직여진 박판소재를 예를들면 한쌍의 전극롤러와 같은 뒤따르는 장치에 인도하는 것은 인도지점과 공지된 장치들의 움직이는 구성 부품들의 속도들의 정확한 적중을 필요로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특징들에 역시 무관하게 종동축이 구동축에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장착되고 그리고 관절 연결 기구에 의하여 이것에 연결되어 있다면 유리할 것이다.
관절연결기구는 바람직하게는 구동축에 그리고 종동축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조정할수 있는 길이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연결된 2개의 크랭크를 포함한다. 관절연결기구의 조정을 위하여 예를들면 연결부재의 길이는 변동 되어질수 있다.
이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계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또 다른 상세들을 가지고 설명되어진다.
도해된 기계로는 평탄한 박판소재(10)가 실린더 형상으로 만곡되며 그리고 이들의 연부들이 실린더축에 평행하게 용접된다. 상기의 작업들을 위하여 필요한 장치들이 공동의 기계 후레임(11)에 배열되어 있다. 제2도에 따르면 박판소재(10)는 표시되지 않는 하적장치로부터 오면서 운동의 수평방향(12)으로 만곡장소(13)에 공급되며 그리고 만곡된채로 마찬가지로 수평의 운동방향(14)으로 최초의 운동방향(12)과는 직각을 이루면서 만곡 장소를 떠나며 그리고 용접장소(15)에 공급된다.
만곡장소(13)는 한쌍의 운반롤(16) 및 (17)을 포함하며 이 운반롤들은 수평으로 뻗쳐 있으며 서로 포개어서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들은 이들 사이에 형성된 조정 가능한 롤 간극을 통하여 운동의 방향(12)으로 일시에 하나의 박판소재를 운반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구동되어 질수있다. 하부의 운반롤(17)로부터는 수평으로 하나의 테이블(20)이 접속한다. 운반롤들(16) 및 (17)의 앞에는 예비굴곡부재(21)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 예비굴곡부재는 제2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수직 단면도에서는 운반롤들(16) 및 (17)사이의 롤간극을 향하는 방향에서 쐐기의 형상으로 점점 좁아지고 있는 단면을 갖는다. 이 예비굴곡부재(21)는 운반롤들(16) 및 (17)에 평행한 축주위에서 선회 가능하며 그리고 무단(steplessly)으로 조정 가능하다 : 그밖에도 운반롤들(16) 및 (17)의 서이의 간극으로부터의 예비굴곡부재(21)의 수평 방향의 간격이 조정 가능하다.
운반롤들(16) 및 (17)에게는 테이블(20)의 상부에 장소가 고정되게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마찬가지로 수평인 카버판(22)이 접속한다. 수평으로 놓여 있는 굴곡롤들(24) 및 (25)이 카버판(22)의 그리고 테이블(20)의 단부에 수직으로 서로 겹쳐서 배열되어 있다. 굴곡롤들(24) 및 (25)사이의 롤간극은 조정 가능하다.
운반롤들(16) 및 (17)사이의 롤간극에 도달한 박판소재(10)는 예비굴곡부재(21)에 의하여 하방을 향하여 눌려지며 그 결과로 이 박판소재는 그의 전연(leading edge)부를가지고 하부운반롤(17)에 대하여 부딛친다. 운반롤들(16) 및 (17)에 의하여 형성된 방향(12)에서의 계속 운동의 동안에 박판소재(10)는 그의 전연구역을 제외하고는 테이블(20)의 작용의 결과로서 예비굴곡부재(21)에 의하여 소재박판에 부과된 굴곡을 다시 소실한다. 그래서 소재박판(10)의 더 큰 부분이 각각의 경우에 한번씩 하방으로 그리고 상방으로 굴곡되며 이것으로 인하여 내부응력들이 감소된다. 운반롤들(16) 및 (17)로부터 굴곡롤들(24) 및 (25)까지의 도중에 박판소재(10)는 테이블(20)과 카버판(22)사이에 안내된다. 운반롤(16) 및 (17)이 박판소재(10)의 후연부 구역을 놓아주기 전에 하방으로 굴곡된 채로 남아 있는 그의 전연부구역은 굴곡롤(24) 및 (25)에 의하여 파지된다.
굴곡룰(24) 및 (25)의 뒤에는 하나의 가이드(27)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는 굴곡롤(24) 및 (25)사이의 간극은 가장 좁은 부분을 빙돌아서 활모양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응하게 활모양으로 조정 가능한 전향부재(28)에 갖는다. 전향부재(28)는 박판소재가 굴곡롤들(24) 및 (25)사이를 통하여 움직이고 있으며 그리고 박판소재의 전연부구역이 상기한 이유들 때문에 이미 하방으로 전체적으로 전연부 구역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해된 예에서는 하방으로 즉 굴곡롤(24)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굽으려지는 그러한 박판소재(10)를 전향소재가 굴곡하도록 그렇게 배열되어 있다.
하부 굴곡롤을 거의 접촉하면서 하부굴곡롤(25)의 바로 아래에는 하나의 포박 테두리(29)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 포박 테두리는 2개의 굴곡롤(24), (25)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뻗쳐 있으며 그리고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안내 레일(30)의 부품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레일(30)은 소위 Z자형 레일(31)과 일직선상에 있으며 이 Z자형 레일은 용접 스퀴즈 씨임에 대한 전기 저항용접에 통상적으로 나타나며 이 레일(31)은 Z형상으로 된 횡단면을 가지며 그리고 용접장소(15)에 까지 뻗쳐 있다.
굴곡롤(24) 및 (25)에 의하여 굴곡된 박판소재(10)는 이것이 이제까지의 운동방향(12)에서 그의 전연부와 이였던것을 가지고 제2도 및 제3도에서 좌측에 있는 포박 테두리(29)의 측면에 대하여치며 이 결과로 이 전연부는 하부굴곡롤(25)과 안내레일(30)사이에 잡혀질때까지 안내레일(30)둘레에서 만곡한다. 이제까지의 운동방향(12)에서 굴곡된 박판소재(10)의 후방연부가 굴곡롤(24) 및 (25)에 의하여 해방되자마자 이것은 하부의 굴곡롤(25)과 안내레일(30)사이의 간극속으로 뛰어들며 그리고 제2도 및 제3도에서 우측에 있는 포박테두리(29)의 측방에 접촉한다.
박판소재(10)의 막곡을 위하여 요구되어지는 공간은 2개의 쉘(shells) (32) 및 (33)에 의하여 둘러쌓여 있다. 쉘(32)은 제2도 및 제3도에서 좌측의 운반롤(16) 및 (17)을 향한 포박테두리(29)의 그리고 안내레일(30)의 측방에 장소가 고정되게 배열되어 있으며 C자 형상으로된 횡단면을 가졌다 : 쉘(33)은 운반롤(16) 및 (17)로부터 먼먼 포박테두리(29)의 그리고 안내레일(30)의 측방에 배열되어 있으며 조정 가능한 지지판(34)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34)은 롤러형태로된 탄성 중합체부재(35)상에 힌지와 같은 방법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피스톤-및 실린더 유니트(36)를 사용하여 상기의 탄성중합체의 주위에서 선회할 수 있다.
안내레일(30)은 그의 횡단면의 하부부분을 가지고 전극지지아암(37)속으로 들어가 있으며 이 전극지지아암은 기계가대(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용접장소(15)에 향하여 운동의 방향(14)으로 뻗쳐 있으며 그리고 역시 C자형-레일(31)을 지닌다. 만곡된 박판소재(10)는 이것이 제1도에서는 우측상에 있는 전극지지 아암(37)의 자유단까지 안내레일(30)을 따라서 이동되어질수 있고 거기서 그것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여질수 있도록 반경 방향의 간격을 가지고 전극지지아암(37)을 둘러싼다.
전극지지아암(37)에 평행하게, 하나의 수직평면에는, 판과같은 운반레일(38)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운반레일상에는 볼가이드들(39)을 사용하여 스키드(40)가 운동 방향(14)으로 그리고 이와는 반대 방향으로 왕복되어질수 있다. 운반레일(38)에 직각으로 스키드(40)에는 수평의 중심핀(41)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중심핀상에는 록커(rocker)(42)가 스톱퍼(43) 및 (44)가 상하로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록커(42)에는 2개의 캠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캔들은 각각 하나의 레버(46)을 제어한다. 양 레버들(46)은 2개의 축(47)의 하나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이 축들은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운반레일(38)에 대하여 평행하게 스키드(40)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각각 하나의 가늘고 긴, 봉형상으로된 운반부재(48)을 가진다.
운반부래(48)은 운반레일(38)에 평행하게 뻗쳐 있으며 그리고 각각 소속하는 축(47)에 편심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결과로 서로 사이의 간격은 축들(47)이 그들에게 고정된 레버들(46)은 하나의 휴지 위치에서 표현되어 있으며 이 휴지 위치에서 이 운반부재들은 만곡된 박판소재(10)내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운동방향(14)에 반대로, 스키드(40) 후진운동에 의하여 만곡된 박판소재(10)로 부터 후방을 향하여 인출되어질 수 있다. 제10도에서 운반부재들(48)은 작업위치에 표현되어 있으며 이 작업위치에서는 운동방향(14)에서 스키드(40)의 다음의 전방 행정의 동안에 상기의 방향에 관하여 만곡된 박막소재(10)의 후방의 원형의 단부에 대하여 운반부재들이 부딛치며 그리고 박판소재를 전방으로 민다. 스키드(40)에는 수직의 지지부(49)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수직 지지부에는 밸브봉(50)이 운반부재들(48)에 평행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법으로 조여져 고정되어 있다.
만곡된 박판소재(10)의 주어진 직경의 경우에 밸브봉(50)은 이것이 만곡된 박판소재를 접촉하는 일이 없어 만곡된 박판소재의 외측을 지나서 움직여질수 있도록 조정되어진다. 하나의 걸쇠(51)가 밸브봉(50)의 전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 캣치(catch)는 제6도에서는 그의 휴지위치에서 실선으로 그리고 그의 작업위치에서는 쇄선들로 표현되어 있다. 휴지위치에서 이 걸쇠(51)는 밸브봉(50)자체가 하는 것과 같이 스키드(40)의 후진 행정 동안에 만곡된 박판소재(10)를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스키드(40)의 전진행정동안에는 걸쇠(51)는 2개의 운반부재(48)와 공동으로 만곡된 박판소재(10)를 만곡장소(13)로부터 용접장소(15)에로 밀기위하여 만곡된 박판소재(10)의 후연부를 타격한다.
휴지위치에 있는 운반부재들(48)과 걸쇠(51)를 가지는 밸브봉(50)과 마찬가지로 스키드(40)과 함께 왕복운동될수 있는 모든 다른 부품들은 이들이 후진 행정(40)동안에 작업순서에서 다음의 박판소재(10)의 만곡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렇게 배열되어 있다. 그래서 이 다음의 박판소재(10)는 이미 스키드(40)의 후진 운동동안까지도 2개의 운반부재(48)의 주위에서 만곡되어질수 있으며 한편 밸브봉(50)은 형성되어지고 있는 만곡몸체의 밖에 머무른다. 이것이 완전히 만곡되어지자마자 제4도 및 제6도에서는 우측이 되는 운반부재(48)의 그리고 걸쇠(51)의 전단부가 이 새로히 만곡된 박판소재의 후단부 뒤의 위치에 도달하며 그 결과로 스키드(40)의 운동 방향으로 역전되어질수 있으며 그리고 새로운 박판소재는 시간의 손실 없이 선행한 박판소재를 따르면서 용접장소(15)에로 이동되어질수 있다.
걸쇠(15)는 2개의 운반부재(48)와 마찬가지로 록커(41)의 선회운동에 의하여 제어되어진다. 이 목적을 위하여 걸쇠(51)는 외피(53)와 함께 보오덴케이블(Bowden cable)을 형성하는 하나의 케이블(52)에 의하여 록커(42)에 연결되어 있다. 외피(53)는 일단에서는 스키드(40)에 공정된 접합부(54)에 그리고 타단에서는 압봉(50)의 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운반부재(48)와 걸쇠(51)를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한 스키드(40)에 관련하는 록커(42)의 선회운동은 스키드의 왕복운동으로부터 도출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브레이크몸체(55)가 운반레일(38)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스키드(40)에 안내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것이 항상 제동하면서 스키드(40)에 작용하는 방법으로 스프링(56)에 의하여 부하되어 있다. 스키드(40)를 움직이기 위하여 필요한 구동벽들은 모우터(57)로 부터 얻어지며 그리고 관절연결기구(58)와 크랭크기구(59)를 통하여 이들이 중심편(41)주위에서 톨크를 가지는 그러한 방법으로 록커(42)에 전달되어 진다.
관절연결기구(58)에는 모우터(57)에 의하여 끊임없이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 하여지는 구동축(60)이 속하며 이 구동축은 이것에 고정된 제 1 크랭크(61)에 의하여 연결부재(62)를 거쳐서 제 2 크랭크(63)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 2 크랭크는 구동축(60)에 대하여 간격을 떼어서 평행한 종동축(64)에 고정되어 있다. 도해된 예에서 관절연결기구(58)는 연결부재(62)의 길이가 변동될수 있는 것에 의하여 조정될수 있다. 이것 대신에 또는 이것에 추가하여 크랭크(61)의 그리고/또는 크랭크(63)의 유효길이는 구동축(60)으로부터 또는 종동축(64)으로부터의 다소 큰 반경 방향의 거리에서 크랭크(61) 또는 (63) 상의 연결부재(62)의 관절연결에 의하여 변동할 수 있다.
종동축(64)은 이것에 고정된 또 다른 크랭크(65)와 연접봉 가이드(66)와 그리고 이 연접봉 가이드안에서 망원경 모양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연접봉(67)과 함께 크랭크기구(59)를 형성한다. 연접봉 가이드(66)는 크랭크(65)에 관절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스프링이 연접봉(67)내에 있는 요홈(71)으로 미리 정해진 힘을 가지고 멈춤핀(70)을 누르도록 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조정나사(69)에 의하여 부하되어진 하나의 스프링(68)을 포함한다. 과부하의 경우에는 연접봉(67)에 있는 종방향홈(73)에 물려 있는 핀(72)이 연접봉 가이드(66)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결정되는 한계내에서 연접봉 가이드(66)에 관련하여 연접봉(67)이 이동되이질수 있도록 멈춤핀(70)이 요홈(71)으로부터 밖으로 눌려진다.
연접봉가이드(66)로부터 먼쪽의 연접봉(67)의 단부는 계수(74)에 의하여 록커(42)에 연결되어 있다. 연접봉 (67)로부터 록커(42)에 전달되고 그리고 운동방향(14)으로 향하여진 힘이 제10도에 보여진 바와같이 록커(42)의 상향의 선회를 야기시키며 이것으로 인하여 운반부재(48)와 걸쇠(51)는 그들의 작업위치에 오게되는 그러한 방법으로 계수(74)는 중심핀(41)에 평행하게 간격을 떼어서 배열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연접봉(67)이 운동방향(14)에 반대로 향하여진 힘을 록커(42)에 전달한다면 이것은 하방으로 선회되며, 그 결과로 운반부재들(48)과 걸쇠(51)는 제6도와 제9도에서 보여진 바와같은 그들의 휴지위치를 취한다.
용접장소(15)는 통상적인 구조의 것이다. 이것의 주요부품들은 하방으로 치우쳐진 수직으로 움직일수 있는 전극헤드(76)에 장착된 상부전극롤러(75)와 그리고 제1도의 우측에 전극지지아암(37)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하부전극롤러(77)이다. 전극롤러(75) 및 (77)을 거쳐서는 전극와이어(78)가 진행하며 이 전극와이어는 (표시되지 않은 저장용기)로부터 둥근와이어의 형태를 가지며 그리고 가이드롤러들(79) 및 (80)을 거쳐서 이들 사이에 배열된 외이어 브레이크를 가지고 그리고 롤링장치(81)를 통하여 진행한다. 장치안에서 평탄한 단면을 얻게 되는 그러한 롤링 장치(81)로 부터 전극와이어(78)는 또 다른 안내롤러들(82) 및 (83)을 거쳐서 진행하며 하부전극롤러(76)의 둘레를 둘러싸며 그리고 거기서부터 안내롤러들(88) 내지 (93)을 거쳐서 배출장치(94)와 그리고 전극와이어(78)가 작은 조각들로 잘려지고 홈(96)을 통하여 반출되어 지는 하나의 절단기(95)에로 진행한다.
만곡장소(13)와 용접장소(15)사이의 짧은 거리에서 각각의 박판소재(10)는 2개의 운반부재(48)과 걸쇠(51)에 의하여 롤러 담체(97)와 교정롤러들의 링(98)을 통하여 밀려진다.

Claims (10)

  1. 제1 및 제2 굴곡롤 사이에 박판소재(10)가 통과하여 움직여질수 있는 제1 및 제2 굴곡롤(24, 25)들과, 편향부재가 굴곡롤들(24, 25)의 뒤에 박판소재(10)의 운동방향(12)에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편향부재에서는 박판소재(10)가 제1 굴곡롤(24)로부터는 떨어져서 그리고 제2 굴곡롤(25)주위 둘레에서 그의 최초의 운동방향(12)으로 부터 편향되어질수 있는 하나의 편향부재(28)와, 최초의 운동방향(12)에서 전방이 되는 박판소재(10)의 단부를 포박하기 위한 하나의 포박테두리(29)와, 만곡된 박판소재(10)의 축방향의 계속운동을 위한 적어도 한쌍의 운반부재(48)와 그리고 안내레일을 따라서 만곡된 박판소재가 그의 축방향의 계속운동의 동안에 서로의 곁에 밀접하게 놓여있는 2개의 종방향의 단부들을 가지고 안내되어지는 하나의 안내레일(30)을 가지는, 캔몸체들을 위한 박판소재들(10)의 만곡과 계속운반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포박테두리(29)가 제1 굴곡롤(24)로부터 먼쪽의 제2 굴곡롤(25)의 측방에 그리고 양굴곡롤(24, 25)의 축들의 공통평면에 적어도 근사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안내레일(30)의 하나의 구성부품이며 이 안내레일은 적어도 대체로 2개의 굴곡롤(24, 25)의 전체의 길이에 걸쳐서 뻗쳐 있으며 그리고 이 안내레일은 이것이 소재의 굴곡 도중에 박판소재(10)에 의하여 둘러 쌓여지는 방법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레일(30)은 용접기의 아암이 박판소재의 굴곡도중에 박판소재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둘러 쌓여지는 전지저항 용접기의 전기지지아암(37)에 부분적으로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안내레일(30)은 Z자형-레일(31)과 일렬로 되어 있으며 이 Z자형-레일에는 박판-금속소재의 종방향 단부들이 그의 계속되는 축방향 운동의 동안에 안내되어 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박판-금속소재(10)의 만곡을 위하여 마련된 공간은 쉘들((32, 33)에 의하여 한계가 정하여져 있으며 쉘들중에 적어도 하나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2개의 운반부재들(48)은 봉들이며, 이 봉들은 가이드레일(31)을 따라서 포박 테두리(30)의 각각 하나의 측방에서 뻗쳐 있으며 그리고 굴곡롤들(24, 25)사이를 통과하여 지나는 박판소재(10)에 의하여 안내레일과 공동으로 둘러쌓여질수 있으며 상기의 봉들은 계속하는 운동의 소재의 방향과 반대로 박판소재(10)로 부터 끌어내어지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다음의 전진운동 동안에 이것을 동반하기 위하여 이 소재의 뒤에서 서로가 벌려질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안내레일(31)의 종방향에서 왕복하여질수 있는 스키드(40)상에 2개의 운반부재들(48)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나의 록커(42)가 스키드(40)의 왕복운동들이 록커(42)의 선회 운동으로 전환 되어지는 그러한 방법으로 스키드(40)상에 역시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캠들이 록커(42)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운반부재들(40)의 서로를 향한 그리고 서로로부터 떨어지는 선회운동이 조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2개의 운반부재들(48)로부터 간격을 떼어진 그리고 이들에 대체로 평행한 스키드(40)에 만곡된 박판소재(10)에 의하여 둘러쌓여진 공간의 외측에 하나의 압봉(50)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압봉은 양운반부재들(40)에 추가적으로 그리고 만곡된 박판소재(10)의 뒤의 가장자리에 각도에서 이 운반부재들에 대하여 이동되어서 압봉에 장착된 걸쇠(51)를 가지고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종동축(64)에 고정된 하나의 크랭크(65)와 그리고 서로에 관하여 망원경 방식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안내되어 있으며 과부하의 경우에 풀려지는 방출장치(68-71)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연접봉부품들(66, 67)을 가지는 하나의 연접동을 포함하는 크링크기구에 의하여 스키드(40)가 구동되어질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종동축(64)는 구동축(60)에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관절연결기구(58)에 의하여 구동축에 연결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관절연결기구(58)는 구동축(60)에 그리고 종동축(64)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2개의 크랭크들(62, 63)을 포함하며 그리고 조정가능한 길이의 연결부재(6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KR1019900012866A 1989-08-22 1990-08-21 캔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박판소재의 만곡작업을 하기 위한 그리고 계속운반을 위한 장치 KR930007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3044/89-4 1989-08-22
CH3044/89A CH680714A5 (ko) 1989-08-22 1989-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267A KR910004267A (ko) 1991-03-28
KR930007072B1 true KR930007072B1 (ko) 1993-07-29

Family

ID=424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866A KR930007072B1 (ko) 1989-08-22 1990-08-21 캔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박판소재의 만곡작업을 하기 위한 그리고 계속운반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120177A (ko)
EP (1) EP0413955B1 (ko)
JP (1) JPH0734938B2 (ko)
KR (1) KR930007072B1 (ko)
CN (1) CN1020684C (ko)
AT (1) ATE88388T1 (ko)
BR (1) BR9004127A (ko)
CH (1) CH680714A5 (ko)
CZ (1) CZ282348B6 (ko)
DE (4) DE3928940A1 (ko)
DK (1) DK169658B1 (ko)
ES (1) ES2041084T3 (ko)
FI (1) FI904097A0 (ko)
SU (1) SU1831397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0714A5 (ko) * 1989-08-22 1992-10-30 Elpatronic Ag
CH686665A5 (de) * 1992-08-26 1996-05-31 Maegerle Karl Lizenz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ohrkoerper fuer Verpackungstuben.
DE59510211D1 (de) * 1994-08-10 2002-06-27 Elpatronic Ag Bergdietik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unden von Blechstücken
US8561445B2 (en) * 2008-10-21 2013-10-22 Smi & Hydraulics, Inc. Rounding system and method used in the manufacture of wind towers
CH700092A2 (de) * 2008-12-09 2010-06-15 Soudronic Ag Vorrund-Element an einem Rundapparat.
CN102259140B (zh) * 2011-07-05 2013-04-17 日照光慧机械设备有限公司 全自动太阳能外桶加工机
CN102626819A (zh) * 2012-04-05 2012-08-08 汕头市新青罐机有限公司 电阻焊罐身焊接机的成圆装置
JP7027122B2 (ja) * 2017-10-27 2022-03-0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サッシュのシーム溶接方法
CN107914415B (zh) * 2017-12-08 2023-08-04 汕头市虹桥包装实业有限公司 可稳定传送的片状传送物存放装置
CN108555078A (zh) * 2018-04-09 2018-09-21 汕头市信力制罐设备有限公司 一种马口铁成圆方法及装置
CN108746264B (zh) * 2018-05-18 2019-07-23 张玉芙 全自动包装钢带穿扣折弯切断一体机及穿扣折弯方法
GB201815121D0 (en) 2018-09-17 2018-10-31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Welding of can bodies
CN109127925A (zh) * 2018-10-26 2019-01-04 河北科技大学 输送辊轴头自动冲压设备
CN113843628B (zh) * 2021-10-28 2023-03-28 武昌工学院 基于机器人的过滤筒制造的完整工艺系统与工艺
CN117380855B (zh) * 2023-12-11 2024-02-20 常州菲莫斯桶业有限公司 一种金属桶生产装置以及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6638C (de) * 1925-10-21 1927-07-06 Wotan Werke Akt Ges Selbstausloesendes Getriebe fuer Werkzeugmaschinen
US3001637A (en) * 1958-12-17 1961-09-26 American Can Co Conveyor mechanisms
CH519371A (de) * 1970-02-10 1972-02-29 Opprecht Paul Verfahren zum automatischen Herstellen von Dosenblechkörpern und Schweissmaschine zum Ausführen des Verfahrens
JPS4817235U (ko) * 1971-07-02 1973-02-27
CH553012A (de) * 1972-06-05 1974-08-30 Opprecht Paul Vorrichtung zum runden von zargen.
US3934324A (en) * 1975-02-14 1976-01-27 Grotnes Machine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utomotive wheel rim blanks
DE2559671C2 (de) * 1975-03-19 1982-08-12 Opprecht, Paul, 8962 Bergdietikon, Aargau Vorrichtung zum halb- oder vollautomatischen elektrischen Widerstands- Längsnaht-Quetschnahtschweißen von Dosenkörpern
CH621499A5 (ko) * 1977-06-10 1981-02-13 Paul Opprecht
IT8249012A0 (it) * 1982-08-20 1982-08-20 Fmi Mecfond Aziende Mecc Saldatrice elettrica a resistenza per corpi scatolari con mezzi perfezionati per la calandratura della fascetta metallica, e il trasporto dei corpi calandrati fino alla stazione di saldatura
CH682906A5 (de) * 1984-09-25 1993-12-15 Elpatronic Ag Aufreissbares Dosenteil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ssen Herstellung.
CH669130A5 (de) * 1985-06-11 1989-02-28 Elpatronic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unden von blechen, insbesondere fuer dosenkoerper.
CH667831A5 (de) * 1985-08-21 1988-11-15 Elpatronic Ag Maschine zum verschweissen von laengsraendern gerundeter dosenzargen.
CH670212A5 (ko) * 1986-05-28 1989-05-31 Elpatronic Ag
CH671893A5 (ko) * 1987-05-05 1989-10-13 Elpatronic Ag
CH671945A5 (ko) * 1987-05-07 1989-10-13 Elpatronic Ag
CH680714A5 (ko) * 1989-08-22 1992-10-30 Elpatronic 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3955A3 (en) 1991-04-10
BR9004127A (pt) 1991-09-03
FI904097A0 (fi) 1990-08-20
DE59001240D1 (de) 1993-05-27
EP0413955A2 (de) 1991-02-27
DK192190D0 (da) 1990-08-13
ES2041084T3 (es) 1993-11-01
DK192190A (da) 1991-02-23
DE3928940C2 (ko) 1992-07-16
DE3928940A1 (de) 1991-02-28
US5120177A (en) 1992-06-09
CH680714A5 (ko) 1992-10-30
CZ282348B6 (cs) 1997-07-16
CS9003865A2 (en) 1991-10-15
JPH0734938B2 (ja) 1995-04-19
SU1831397A3 (en) 1993-07-30
DE4023157A1 (de) 1991-02-28
JPH0394919A (ja) 1991-04-19
CN1051875A (zh) 1991-06-05
KR910004267A (ko) 1991-03-28
DE4023157C2 (ko) 1992-07-16
EP0413955B1 (de) 1993-04-21
DE3928959C1 (ko) 1990-08-09
ATE88388T1 (de) 1993-05-15
DK169658B1 (da) 1995-01-09
CN1020684C (zh) 199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072B1 (ko) 캔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박판소재의 만곡작업을 하기 위한 그리고 계속운반을 위한 장치
CA1256314A (en) Hot press for treating a web of material
JPH01110469A (ja) 連続周回する物品搬送装置
US5694801A (en) Bending press system
ITMI952177A1 (it) Dispositivo di trasporto
US4552006A (en) Bending apparatus
US4838408A (en) Veneer straightener
WO1995014627A1 (en) A device for stabilizing the conveyor belt in a self-adjusting belt steering assembly
JPS58188596A (ja) 加工部材を連続的に送りかつレーザー溶接するための装置
JPH034283B2 (ko)
EP0963332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lumpy material
US20050077673A1 (en) Working station of a machine processing plate elements
JP2000226221A (ja) 主としてガラスよりなる管からシリンダ管切断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US4977940A (en) Device for straightening boards
US5117670A (en) Press brake system with a worksheet straightening device
US3452570A (en) Cold tube bending with outer bend wall thickness control
JP4451543B2 (ja) ロールフォーマ装置及び製缶溶接機
US3844465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SE517363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hantering av stockar som ska barkas
EP0539680A1 (en) Driving device for a plate-shaped body feeding kicker
EP1574277A2 (en) A welding wire conveyor
JPH04258313A (ja) 押出プレスの製品矯正ガイド装置
SU136807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зону обработки
SU1066698A1 (ru) Правильно-раст жна машина дл правки фасонного проката
SU94673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ета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