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72B1 - 영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72B1
KR930005972B1 KR1019890015871A KR890015871A KR930005972B1 KR 930005972 B1 KR930005972 B1 KR 930005972B1 KR 1019890015871 A KR1019890015871 A KR 1019890015871A KR 890015871 A KR890015871 A KR 890015871A KR 930005972 B1 KR930005972 B1 KR 93000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mage
voltage
image form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346A (ko
Inventor
유끼히로 오오제끼
고이찌 히로시마
쥰지 아라야
야스시 사또오
도시오 미야모또
기미오 나까하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6106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42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761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4278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7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bias applied in the transfer ni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 형성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형성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 작동의 작동시기를 설명하는 시간도.
제3도는 상온 및 정상적인 습도조건(N/N)하에서 전사로울러의 (Ⅴ-Ⅰ)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제4도는 저온 및 저습도 조건(L/L), 삼온 및 정상적인 습도조건, 고온 및 고습도 조건(H/H)하에서 전사로울러의 Ⅴ-Ⅰ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발명의 영상형성장치에 응용가능한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 시간도.
제8도는 일정한 순환조건하에서 영상영역과 비영상영역에서의 Ⅴ-Ⅰ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제9도는 종래의 영상형성장치의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시간도.
제11도는 저온 및 저습도 조건, 상온 및 정상적인 습도조건 및 고온 및 고습도 조건하에서 Ⅴ-Ⅰ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제12도 내지 제14도는 본발명의 영상형성장치의 작동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시간도.
제15도는 본발명의 더 실시예에 따른 영상형성장치의 단면도.
제16도는 광감지부에 관계있는 로울러 전극의 상온과 정상적인 습도 조건하에서의 Ⅴ-Ⅰ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제17a, b 및 c도는 인접한 전사시트(sheet)의 간격 사이에 제어하에 있는 영상 베어링 부재의 표면 전위레벨 변화도.
제18도는 일정한 전류감지 및 전압 저항회로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전압변환회로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20도는 제19도의 전압 변환회로의 출력전압 특성도.
제21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샘플 유지회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본발명은 정전복사기 또는 정전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베어린 부재에 접촉된 전사로울러 또는 전사벨트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는 영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베어링 부재와 여기에 압착된 전사부재가 제공되어 이들 사이에 전사부재에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는 동안 전사물질이 통과되고 영상 베어링 부재상에 토너영상이 전사물질로 전달되는 닙을 형성하는 영상형성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제9도는 그러한 영상형성장치의 예를 보여준다. 광감지부는 도면의 시트에 수직인 축에 대하여 화살표(X)에 의해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실린더의 형태이다. 광감지부(1)의 표면이 전원(4)으로 에너지를 받은 충전로울러(3)에 의해 균일하게 충전되고, 슬릿 노출을 통하여 또는 정부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비임에 의하여 영상 정보광에 노출된다. 이에 위하여 정전잠복영상이 형성된다.
현상장치(9)는 토너를 잠복영상에 공급하여 이를 토너영상으로 현상한다.
광감지부(1)에 연속된 회전으로, 토너영상은 전사 스테이션에 이르고, 여기에서 전사로울러(2)(전사부재)는 광감지부(1)에 접촉되어 닙을 형성한다. 토너영상과 조절된 관계로, 전사물질(P)은 전사 스테이션에 오게 된다. 전사로울러(2)에 전사 바이어스가 공급되어 토너의 것과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전하를 전사물질의 뒷쪽에 인가하여, 광감지부(1) 상의 토너영상이 전사물질상에 전달된다.
도시된 장치에서, 광감지부는 OPC(유기광도체)로 만들어진다. 처리속도는 23㎜/sec이다. 충전로울러(3)가 광감지부(1)에 압착되어 광감지부(1)를 다라 회전하고, DC로 바이어스된 AC 전압이 공급되어 이를 부로 충전시킨다. 전사로울러(2)는 낮은 체적저항을 갖고 있어 정전하를 전사물질의 뒤쪽에 인가한다.
영상노출은 소위 영상영역 노출의 형태이며, 여기에서 토너를 받는 부위는 빛에 노출된다. 현상장치(9)는 부로 충전된 토너로 영상을 역현상시킨다.
제10도는 상기 장치작동의 순서단계를 보여준다.
널리 사용되는 코로나 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접촉형 영상전사 시스템은 고전압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원가가 낮고 ; 전극선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그로부터 오염에서 생기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으며 ; 고전압 방전에 의하여 생검 오존 또는 질화물이 만들어지지 않고 ; 광감지부 또는 영상의 질이 악화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사로울러(2)에 가해진 전압과 그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사이의 관계(Ⅴ-Ⅰ특성)은 순환조건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한다.
15℃가 10%와 같은 저온과 저습도 조건하에서(이후로는"L/L조건"이라고 부른다), 전사로울러의 저항은 23℃와 60%와 같은 상온 및 정상적인 습도조건(이후로는 "N/N 조건"이라고 부른다)하에서 보다 여러 차수까지 더 크다. 반대로, 32℃와 80%와 같은 고온 및 높은 습도 조건(이후로는 "H/H조건"이라고 부른다)하에서는 저항이 N/N 조건하에서보다 1-2차수까지 더 낮다.
제11도는 순환조건 차이에 의한 Ⅴ-Ⅰ특성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 도면에서, 실선은 비통과 상태에서 L/L, N/N 및 H/H 조건하에서의 특성을 보여주는데, 여기에서 어떤 전사물질도 영상형성작동 이전에 영상 베어링부재가 회전되는 사전회전 주기동안, 영상형성 작동후에 영상 베어링부재가 회전되는 사후회전동안, 또는 시트간격, 즉 전사 스테이션을 통하는 전사물질 통과시기와 다음 시트가 전사 스테이션에 도달하는 시기사이의 간격동안과 같은 전사 스테이션에 존재하지 않는다. 도시된 특성은 AC 성분과 DC 성분이 충전로울러(3)에 인가될 때이다. 점선은 똑같은 조건하에서의 Ⅴ-Ⅰ특성을 나타내지만, A4 크기의 전사물질이 전사 스테이션을 통과하는 상태에서이다. 그러한 특성은 전사로울러(2)의 Ⅴ-Ⅰ 특성이다.
실험적으로, 좋은 전사작동이 실행되려면, 시트통과동안 전사전류는 0.5∼4㎂인 것이 요구되고 ; 5㎂보다 더 높으면, 양 전위의 전사 메모리가 흐린 배경제조의 결과로 OPC 광감지부에 남는다.
그러므로, 이 장치에서 적당한 전사 바이어스는 순환조건에 따라 다르고 ; H/H 조건하에서 약 300-500이고 ; N/N 조건하에서 약400-750 이고 ; L/L 조건하에서 약 1250-2000 이다.
정전압 제어가 이 장치에서 전사로울러(2)에 실행된다면, 다음의 문제가 일어난다.
전사로울러가 N/N 조건하에서 적당한 영상전사의 목적으로 500 에서 정전압 제어된다면, 거의 똑같은 영상전사 특성이 H/H 조건하에서 제공된다. 그러나, L/L 조건하에서, 전사전류가 부적당한 영상전사의 결과로 제로이다.
전압이 선택되어 전사특성이 L/L 조건하에서 개선된다며 정전사 메모리는 흐린 배경의 결과가 만들어져 N/N 및 H/H 조건하에서 비통과 상태동안 OPC 광감지부에서 만들어진다. 특히 H/H 조건에서, 전사전류가 또한 시트통과 기간동안 증가되어 전하는 전사물질을 통과하여 광감지부상에 부로 충전된 토너를 부적당한 영상전사의 결과로 반대극성으로 충전시킨다.
정전류 제어가 상기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시도된다면, 다음의 문제가 일어난다. 이런 형의 장치에서, 최대로 사용가능한 크기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 전사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은 크기의 전사물질이 사용된다면, 광감지부와 전사로울러는 큰 크기의 전사물질이 사용될때보다 더 큰 영역에서 직접 접촉된다. 상기 기술된 장치가 1㎂에서 정전류 제어된다면, 전사물질없이 광감지부에 직접 접촉된 부위를 통한 단위영역당 전류는 1㎂의 전류가 사전회전기간, 사후회전기간 또는 시트간격에서와 같은 비통과 기간을 지날때 단위영역당 전류와 같고, 그러므로 전사로울러의 전압은 부적당한 영상전사의 결과로 전사물질이 존재하는 부위를 통하여 어느전류가 흐르지 않는 결과로 해서 감소된다.
A4 크기의 시트보다 훨씬 작은 규정 봉투(약 9㎝×21㎝)가 사용될때, 전사전압은 H/H 조건하에서 200 약간이상, N/N 조건하에서는 200 보다 약간 이하, 및 L/L 조건하에서는 약 400 까지 감소한다. 그러므로 전사전류는 부적당한 영상전사의 결과로 거의 제로이다.
전사전류가 작은 크기의 시트가 사용될때 충분한 영상전사 성질을 위하여 증가된다면 비교적 좁은 비통과부위를 지나는 전류밀도는 편지크기의 시트의 폭과 A4 크기 시트사이의 차이만큼 증가한다. 이것은 다음의 편지크기 시트의 뒤쪽에 오염의 결과를 주어 광감지부상에 전사 메모리에 의해 흐린 배경을 만든다.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에 기술된 형태의 장치에서 정전압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에 의해서 넓은 조건하에서 넓은 범위의 시트크기를 위해 좋은 영상전사 성질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여러 순환 조건하에서 좋은 영상을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는 영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발명의 주요목적이다. 전사물질의 여러크기에 대해 여러 순환 조건하에서 안정된 좋은 전사성질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다.
본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 더 명백하게 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형성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부로 충전가능한 성질을 갖고, 30㎜의 직경을 갖는 OPC(유기광전도체) 광감지부(이는 23㎜/sec의 처리속도로 화살표(X)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의 표면이 충전로울러(3)에 의해 균일하게 부로 충전된다. 그후에, 충전된 표면이 레이저 주사기(7)에 의해서 전기신호 표시정보에 따라서 변조된 레이저 비임에 노출된다. 노출된 부위의 전위는 감쇠되어 정전 잠복영상이 형성된다. 광감지부(1)의 계속된 회전으로, 잠복영상이 현상장치(9)에 반대된 위치에 이르고, 잠복영상에 부로 충전된 토너입자가 공급된다. 이에 의하여, 레이저 비임이 투사되고 역현상을 통하여 전위가 감쇠되는 부위로 토너의 부착에 의해 토너영상이 형성된다.
광감지부(1)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현상장치의 아래에, 광감지부에 압착된 전도성 전사로울러(2)가 영상전사 위치 또는 지대를 구성하는 닙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토너영상이 전사위치 또는 지대에 이를때, 종이시트와 같은 전사물질(P)가 그와 정해진 관계로 전사위치에 공급되고, 광감지부의 표면상의 토너영상이 전사로울러(2)에 인가된 전사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전사물질사에 전달된다. 전사물질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부재로서 작용하는 전사로울러(2)는 전사위치에서 광감지부(1)에 접촉된 쪽과 마주보는 전사물질(P)의 측을 정의극성으로 전기적으로 충전하고, 이에 의해서 부로 충전된 토너가 광감지부의 표면에서 전사물질(P)로 전달된다.
소정의 전압이 정전압 제어와 정전류 제어(활성전사 전압제어(ATVC))를 할 수 있는 전압원에 의하여 충전로울러(3)와 전사로울러(2)에 인가된다.
CPU(6)가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인쇄신호를 수신할 때, CPU(6)는 주모터를 위한 구동신호를 광감지부(1)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회로(도시되지 않음)에 공급하고, 동시에 신호를 가동시키는 1차 고전압을 전압원(5)에 공급하여 충전 바이어스를 충전로울러(3)에 인가한다. 이리하여, 광감지부(1)의 표면이 흑전위(dark potential)인 d=-700 로 충전된다.
그리고나서, CPU(6)는 신호를 레이저 주사기(7)(영상정보기입수단)에 공급하여 레이저 비임을 광감지부에 투사하여 그위에 정전 잠복영상을 형성시킨다.
그후에, CPU(6)는 영상전사 실행신호를 전압원(5)에 전달하고, 이에따라 전압원(5)는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정전압 및 정전류제어를 실행한다.
전압원(5)은 광감지부의 비영상 부위가 전사위치에 있을시에 전사 실행신호를 수신할때, 정전류 제어가 전사로울러에 대하여 실행된다. 도시된 장치에서 5㎂의 정전류가 전사로울러를 통하여 흐른다.
그리고나서, 전압원(5)은 전사로울러(2)상에 만들어진 전압을 유지하거나 저장하고 정전류 제어를 정지시킨다. 토너영상이 형성되는 광감지부의 영상영역이 전사위치에 가져와질때, 정전압 제어(ATVC)는 저장된 전압을 사용하여 전사로울러에 대하여 실행된다. 이리하여, 정전압 제어가 실행되는 전압레벨은 정전류 제어가 전에 실행될때 결정된다.
제3도를 참조하여, 순환조건에 따라 변하는 전기저항을 갖는 전사로울러(2)의 전사로울러의 V/I 특성이 N/N 조건하에서 도시된다. 이 도면에서 이해되는 것처럼, 전사로울러를 통하여 5㎂의 영상전사 전류를 인가시키기 위하여 요구된 전압은 전사물질이 전사위치에 있지 않을때와 광감지부의 전위 Vd일때 약 750이다. 이 750 의 전압이 전사로울러에 인가될때, 전사전류는 약 2.25㎂이고, 이때 전사물질은 전사위치에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방법으로 전사로울러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전사로울러는 N/N 조건하에서 750에서 정전압 제어되고, 이때에 2.25㎂의 전류가 전사로울러를 통하여 흐르고, 이에 의하여 좋은 영상전사 작동이 실행된다.
제2도의 시간도로부터 이해되는 것처럼, 소정수의 영상형성 작동이 계속적으로 실행되는 연속적인 영상형성 작동동안에, 정전류 제어는 전사시트가 전사위치를 지나는 시기로부터 다음의 전사시트가 전사위치에 이르는 시기, 즉 영상베어링부재상에 인접한 전사물질 사이의 비영상 부위가 전사위치를 지나는 시간간격인 시트간격동안 전사로울러에 실행된다. 전사위치를 지나는 시트통과동안, 정전압 제어가 전사로울러에 대하어 실행된다. 이리하여, 정전류 제어는 영상부위의 위 및 아래의 비영상부위가 전사 스테이션을 지나는 동안 실행된다.
전사로울러(2)는 탄소가 흩어져 전기도전율을 제공하여 약105∼106옴.㎝의 체적 저항률을 제공하도록 25℃의 Askder C경도를 갖는 EPDM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EPDM 물질이 순환조건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220㎜의 길이를 갖는 EPDM층으로 도금된 알루미늄 실린더를 갖는 로울러가 광감지부(1)에 압착되어 4㎜의 폭을 갖는 닙을 형성할때, 저항이 측정된다. 그 결과 L/L조건하에서 105∼106옴.㎝였고, N/N 조건하에서 104∼105옴.㎝였고, H/H 조건하에서는 103∼104옴.㎝였다.
제4도를 참고하면, 여러 조건하에서의 기능은 상기에서 기술된 제어시스템이 상기 장치에서 통합될때 기술된다.
H/H 조건하에서, 전압원(5)은 전사물질 비통과 기간동안 5㎂에서 전사로울러(2)를 정전류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500 의 전압이 H/H조건하에서 전사로울러의 저항에 대응하여 전사로울러 양단에 만들어진다. 이 전압은 저장되고, 전사로울러(2)는 전사물질 통과 기간동안 500 에서 정전압 제어된다. 이리하여, 정전압 제어동안 전사로울러에 가해진 전압이 정전류 제어동안 전사로울러 양단에 만들어진 전압의 근거로 결정된다.
그러한 전압에 의하여, 1.5㎂의 전사전류가 제공되는데, 이때 A4 크기의 전사시트가 전사위치를 통하여 지나고 좋은 영상전사작용을 수행하는데 충분하다.
A4 크기보다 작은 전사물질이 지나게 될때도, 500 의 전압이 전사물질이 존재하는 부위에서 전사로울러(2)에 유지된다. 그러므로, 1.5㎂의 전사전류가 제공될 수 있어 좋은 영상전사작동이 수행된다.
비통과 동안에, 5㎂만이 흘러 흐린 배경이 만들어지거나 이전의 영상부위의 부위상에 토너부착을 만드는 전사 메모리는 광감지부의 표면상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큰 크기의 시트와 작은 크기의 시트 사이에 전사물질 비통과 영역에서, 정전압 제어는 영역에서, 정전압 제어는 통과 기간동안 실행되고, 그러므로 전류밀도는 약 5㎂의 레벨을 초과하지않게 되어 전사 메모리는 광감지부에 남지 않는다.
이것은 N/N 및 L/L 조건에 적용된다. N/N 조건하에서 상기에 기술된 것과 비슷하게 전사로울러는 비통과 기간동안 5㎂의 정전류 제어되기 쉼다.
이때에, N/N 조건하에서 전사로울러(2)의 저항에 대응하는 750 의 전압이 전사로울러(2)에 가해진다. 전압이 저장되고, 750 의 정전압 제어가 차후의 전사물질 통과 기간동안 실행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사전류는 2.25㎂이고, 이때 A4 크기의 시트가 통과되고, 좋은으 영상전사작용을 제공하는데 충분한다.
L/L 조건하에서, 시트가 전사위치를 지나게 되지 않을때, 정전류 제어가 실행되고, 이로써 전사로울러(2)의 전압은 L/L 조건하에서 전사로울러(2)의 저항에 대응하는 2KV이다. 그리하여, 전사물질 통과 기간동안에 2KV의 정전압 제어가 전사로울러(2)에 대하여 실행된다. 이때에, 전사로울러(2)를 지나는 전사전류가 2㎂이고, 이로써 좋은 영상전사 성질이 얻어질 수 있다.
전에 기술된 대로, 정전류 제어가 전사물질 비통과 기간동안 실행되는데 비하여 정전압 제어는 전사물질 통과기간 동안에 실행되어 이로써 전사물질의 크기에 관계없이 좋은 영상전사 성질이 항상 제공될 수 있어, 전사 메모리에 기인할 수 있는 흐린 배경이 만들어지지 않고 좋은 영상의 질이 제공될 수 있다.
제5도는 본발명에 따른 영상형성장치에서 ATVC 제어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이예에서, 영상형성장치가 단일모드에서 작동할때(이 모드에서 영상형성 처리가 하나씩 수행된다), ATVC 제어는 각각의 영상형성에 대하여 실행되는데 비해, 다수의 영상이 계속적으로 형성되는 연속 모드에서 영상형성장치가 작동할 때, 제5도에 도시된 대로 ATVC 제어가 매 3개의 영상형성에 대하여 실행된다. 특히, 정전류 제어는 충전작동 또는 영상노출 작동이 영상형성 목적으로 광감지부로 수행되지 않는 사전회전 기간동안에 전사로울러에 대하여 실행되고, 그후에 똑같은 정전압 제어가 소정수의 영상형성 영역이 전사위치를 지날때까지 전사로울러에 실행된다. 정전류 제어는 영상영역 외부와 같은 광감지부의 영역이 전사위치를 지나는 기간의 최소한 일부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똑같은 결과는 이러한 구조로 여러 조건하에서 얻어질 수 있다. 즉, 영상의 좋은 질이 제공된다. 이예에서, ATVC 제어는 매 3개 영상형성(전사물질)에 대하여 수행되나 그 수는 3개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6도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또는 LCS 프린터 또는 이를 사용하는 디지탈 복사기와 같은 프린터에 인가된 ATVC의 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CPU(중앙처리장치)(6)이 CPU(6)에 의해서 인쇄신호의 사전수신으로부터 소정의 기간(제6도에서 X)내에 인쇄신호를 수신할때, 이전의 인쇄신호에 응답하여 인쇄작동 동안에 ATVC 제어에 의해 저장된 전압이 유지되고 인쇄작동이 저장된 전압이 유지될때 수행된다. 이리하여, 인쇄신호가 이미 입력됐을때, ATVC 제어가 다음의 인쇄신호에 응답하여 수행되지 않고, 이전의 인쇄신호의 기초로 정전압 제어가 계속된다.
그러나, 인쇄신호가 기간(X)내에 CPU에 공급되지 않으며, ATVC 제어는 다음의 인쇄신호가 공급될때 실행된다.
이런 방법으로 이전에 기술될 것과 같은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시스템의 이런 예는 전사로울러의 Ⅴ-Ⅰ특성이 하나의 작업동안 변하지 않을때, 즉 ATVC 제어가 사전회전 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어 영상제어 작동은 다음의 인쇄신호의 입력후에 곧바로 시작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순환조건이 변하지 않을때 특히 유리GK다.
제7도는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데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ATVC 제어가 복사기에 인가된다. 이예에서, ATVC 제어는 복사버튼이 눌러진 후 사전회전 기간동안 실행되고, 그후에 복사작동 동안에 정전압 제어가 실행된다. 제7도는 3개의 복사가 만들어질때 제어작동을 보여준다.
제8도는 본발명에 따른 ATVC 제어가 다르게 작동되는 예를 보여준다. 전사물질이 전사위치에 있는 기간은 영상을 갖는 영역과 광감지부가 영상을 갖지 않는 비영상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이전 기간동안, 정전류 제어는 전사로울러(2)에 실행되고 그 기간동안 전압이 저장되고, 그리고나서 영상기간동안, 저장된 전압의 정전압 제어가 전사로울러(2)에 실행된다.
같은 도면을 참조하면, 일정한 조건하에서 전사로울러(2)의 Ⅴ-Ⅰ특성이 상기 구조를 갖는 영상형성장치에 도시된다. 여기에서, 실선의 흑색원은 전사물질 비통과 기간을 나타내고 ; 사각형은 전사물질 통과기간에서 비영상 영역기간을 나타내고 ; 실선의 검은 사각형은 전사물질 통과기간에서 영상영역기간을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 이해되는 것처럼, 전사물질 통과기간내에서 조차, 특성은 광감지부의 표면전위에서의 차이때문에 영상영역과 비영상 영역사이에서 다르다. 그러므로, 전사물질 통과기간동안 비영상 영역기간에서 정전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비슷한 기능이 제어에서와 같이 전사위치에서 전사물질의 있고 없음을 근거로하여 전사물질 통과기간 및 전사물질 비통과 기간에 제공된다.
제8도의 각각에서, 정전류 제어는 전사물질 통과기간에의 비영상영역 통과기간에서 3㎂로 전사로울러(3)에 대하여 실행되고, 5㎂ 제어가 비통과 기간동안 실행된 제어에서와 똑같은 결과가 나온다. 그러므로 정전류 제어의 전류는 이전의 실시예에서 보다 더 낮다.
레이저 비임을 사용하는 영상형성장치에서, 광강도 교정작동(APC)는 인접한 전사물질 사이에 비통과 주기에 대응하는 광감지부의 영역에 대하여 실행된다. 상기에 기술된 ATVC가 APC작동에 관계없이 실행된다면, 다음 문제가 일어난다. 제17a, b 및 c도는 그 문제를 설명한다. APC 작동과 ATVC 제어가 동시에 광감지부의 일정한 영역에 대하여 실행된다면, 그리고 일정한 정잔류가 전사로울러에 인가된다면, 전류는 APC작동에 의해서 광에 노출되는 광부위를 통하여 흐른다. 특히 정전류의 레벨이 높다면, 전기적으로 충전되나 APC작동에 의해서 빛에 노출되는 광전위 부위(Al)과 APC에 의해서 광에 노출되지 않는 어두운 전위부분(Vd)에 관계없이 정의 메모리는 광감지부에 마들어진다.
정의 전류가 정전류 제어작동동안 작다면, 메모리는 제17b도에 도시된 대로 부로 충전된 Vd부위에 만들어지지 않으나 메모리는 Vl 영역에 만들어진다.
전류레벨이 더 작을때, 메모리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ATVC제어에 충분한 전류가 불충분한 영상전사의 결과로 정전류 제어동안 얻어질 수 없다. 정의 메모리가 만들어지는 부위의 전위가 다음의 영상형성작동동안 제1 충전에 의해 약간 증가되고, 광감지부 표면상의 메모리 부위가 제17c도에 도시된 대로 현상 스테이션에서 부의 토너로 현상되고, 이는 다음의 전사물질에서 흐린 배경으로서 나타난다. 이리하여 양상의 질을 악화시킨다. 이는 전에 기술된 대로 그 경우가 있을 수 있는 것처럼 부적당한 영상전사를 가져온다. 실제로, 이러한 불편함을 막기 위하여 ATVC 작동을 위한 정전류의 레벨의 허용 법위는 없다.
상기를 고려하면, ATVC 적동에서 정전류 제어는 제12도에 도시된대로 APC에 기인하는 전위(Vl)를 갖는 광감지부의 그 영역이 전사위치를 지난 직후에 실행된다. 정전류 제어는 영상영역이외의 광감지부의 영역이 전사위치를 지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분동안 실행된다.
APC작동에 의해 제공된 전위(Vl)를 갖는 부위가 전사로울러(2)에 접촉될때, 전사로울러(2)에 대한 정전류 적용이 정지되고, 전사로울러는 접지된다. 그러므로, 전류는 Vl 부위를 통하여 흐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정의 메모리는 광감지부에서 만들어지지 않는다. 영상형성 작동이 제12도에 도시된 시기에서 APC 작동과 ATVC작동과 실제로 수행될때, 정의 메모리가 Vl 부위에서 만들어지지 않는 것이 확실시 되었다. 그러므로, 다음의 전사물질상에 APC작동의 자취로서 나타나지 않았다.
제13도는 본발명의 따른 제어의 또다른 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ATVC작동의 정전류 제어가 APC 작동의 실행전의 시기에서와 사전회전동안 및 인접한 전사물질 사이에 전사물질 비통과 기간동안 수행된다.
이후에 APC영역에서, ATVC작동에 의해서 저장된 전압이 인가되고 전사작동의 완료까지 유지된다. 영상전사의 완료 직후에, ATVC작동에 의한 정전류는 다음의 APC 작동의 직전까지 광감지부의 Vd 전위 부위로 흐른다.
제14도는 제어의 또다른 예를 보여준다. 제12도의 경우와 비교하여, 이 예는 APC작동영역을 포함하여, 이전 영상영역의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후와 다음의 ATVC 작동의 정전류 제어영역 직전에, 정전류제어가 이전의 영상형성 작동동안에 저장된 전압을 가지고 수행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제12도에 도시된 작동에서, 전사로울러는 인접한 전사물질 사이에 전사물질 비통과 기간에서 이전의 영상의 트레일링에지의 통과로부터 APC 영역의 완료까지 접지된다. 그러므로, 영상전사 작동을 위한 전압원이 정전류, 정전압 및 접지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제14도에 도시된 제어는 전사로울러를 위한 접지레벨 제어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그러므로 제어회로는 대응하여 단순화된다.
이 제어 시스템으로, 정전압이 APC에 의해 제공된 광감지부의 V1 전위 부위에 인가되지만, 메모리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제16도는 ATVC 작동이 실행될때 정전류 제어동안 제공된 전압 레벨의 예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ATVC 작동이 실행될때의 전류가 0.2μ-coulomb/㎠이다. 전류는 메모리 제조에 대하여 전류제한인 0.06μ-coulomb/㎠ 보다 충분히 더 낮다. 그러므로, APC 작동과 ATVC 작동이 제14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동시에 수행된다면, 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제15도는 영상형성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여기에서 전사수단이 전사벨트의 형태로 되어 있다.
광감지부(1)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된 구동로울러(56)와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진 방향으로 회전을 위한 지지로울러(55)사이에 뻗어진 영상전사벨트(52)에 접촉되어 있다. 전사물질(P)이 광감지부의 표면상의 토너영상과 정해진 관계로 광감지부(1)와 전사벨트(52) 사이에 접촉에 의해서 형성되는 영상전사 스테이션을 통하여 지난다.
전사물(P)로 토너영상이 ATVC 작동을 실행하는 전압원(54)으로부터 광감지부(1)와 대향하여 배설된 로울러 전극으로 공급되는 전압에 의하여 전사위치로 광감지부(1)로부터 전사된다.
전사벨트는 영산전사 작동후에 클리닝 블레이드(57)에 의해 청결된다.
전사벨트(52)는 불화 폴리비닐리덴,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에티렌 탄성중합체, 열가소성의 폴리에틸렌 탄성중합체 열가소성의 폴리이미드 탄성중합체, 열가소서의 플루오르화 탄성중합체, 열가소성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탄성중합체 또는 열가소성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단층 반도체에 의해서 구성된다. 그의 체적저항률은 폴리머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1011~1015옴.cm사이에 있도록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사벨트는 불화 폴리비닐리덴으로 제조되며, 체적저항률은 1014옴.cm이며, 두께는 100미크론이다.
로울러 전극(53)은 EPDM으로 제조되며, 체적저항률은 105~106옴.cm 및 아스커 C강도는 25。C이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여 제12, 13 또는 14도에 도시된 타이밍에서 ATVC 제어가 된다. 정전류 제어중의 전류는 벨트와 그의 체적 저항률에 따른다. 본 실시예에서 전사로울러(53)의 길이가 220㎜이고 닙폭이 3㎜인때 전류는 대략 0.15μA/㎠이다.
영상전사 작동이 상기 전류도 얻어진 레벨의 정전합 제어로서 실행된다. 다음에 양호한 영상이 메모리로 인한 흐린한 배경없이 그리고 주변조건의 변동영향없이 얻어진다.
상기 실시에서 정전류 제어가 전사로울러 또는 전사벨트(충전부)에서 실행되며, 충전부 전압을 기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충전부의 저항이 주변조건의 변화로 인하여 변할지라도 이 시점에서 충전부의 저항에 대응하는 전압이 유지 또는 기억될 수 있다.
충전부 전압을 기억하는 것은 필수적이 아니다. 예컨대 충전부 저항에 대응하는 전압은 충전부에 공급되는 출력전압의 일부로서 기억된다.
기억된 전압에 응하여 정전압 작동중에 전사로울러(2)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이 결정된다.
제18도는 이런 방식으로 전사로울러의 ATVC 제어용 회로를 도시한다. 제18도는 정전류 검출 및 전압유지회로의 블록도이다. 이 회로는 단자(P1)에 공급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단자(P2,P3) 사이에서 증폭된 고전압 출력을 발생하는 전압 변환회로(21)을 포함한다. 참조번호(2)에 의하여 표시되는 블록은 전사로울러등의 부하이며, 광감지부상에 전기 부착된 토너와 반대극성을 갖는 전계를 단자(P2)에서 제공되는 고전압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 회로는 더욱이 기준전류원(22)과 단자(P4)를 흐르는 전류와 단자(P5)를 흐르는 전류간의 차를 증폭하는 차동전류 증폭기(23)을 더욱 포함한다. 증폭된 전류는 전압으로 변화되며, 차동전압은 샘플유지회로(24)의 단자(P7)에 공급된다. 샘플유지회로(24)는 차동전류 증폭회로(23)의 단자(P6)에서 단자의 차동전압을 수신하여, 차동전압을 유지하여, 단자(P8,P1)를 통하여 전압변환회로(21)로 공급한다. 샘플유지호로(24)는 단자(P6)에서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유지하며, 단자(P9)에 공급되는 외부신호(도시되지 않은 제어기에서 발생됨)의 온상태 및 오프상태에 기하여 교대로 유지된 전압을 전송한다.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전압변환회로(21)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며, 제18도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동일기능을 갖는 소자에 부여되었다.
회로는 저항기(46), 연산증폭기(49)에 접속된 베이스와 콘덴서(48)에 접속 에미터를 갖는 트렌지스터(47)로 구성된다. 소자(46,47,48)에 의하여 전압버퍼가 구성되며, 단자(P1)에 공급되는 전압(Va)과 동일 전압이 변압기(32)의 1차측의 중간탭(32-2)에 공급된다. 이 회로는 저항기(36-39,42-45), 트랜지스터(35), 다이오드(40) 및 연산증폭기(41)를 더욱 포함한다. 저항기(36-39,42-45), 트랜지스터(35), 다이오드(40) 및 연산증폭기(41)에 의하여 발진회로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35)의 콜렉터는 변압기(32)의 1차 전선의 단자에 접속되며, 다이오드(33)의 캐소드측은 단자(32-3)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35)는 2차 전선에서 구동전류를 발생하는 변압기(32)의 1차 전선을 스위치한다. 1차 전선수와 2차 전선수의 비가 1:n인때 단자(32-1)와 단자(32-3)에서의 전압펄스 진폭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Va이며, 2nVa의 전압펄스가 단자(32-4,32-5) 사이에서 발생한다.
이 회로는 저항기(27), 콘덴서(28,31) 및 다이오드(29,30)를 포함하며, 콘텐서(31)는 변압기(32)의 2차 전선단에 접속되여, 다이오드(30)의 애노드측은 단자(32-5)에 접속된다.
상기 소자에 의하여 전압 채배기 정류회로가 구성되며, 이로써 변압기(32)의 2차 전선의 단자(32-4,32-5)간에서 발생되는 전압 펄스는 DC 전압 2nVa로 변환된다. 따라서 단자(P1)에 공급되는 전압은 2n배 증폭되며, 증폭된 전압은 단자(P2)와 단자(P3) 사이에서 발생된다.
제20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차동전류 증폭회로(23)와 기준 전류원(22)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며 제18도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소자에 부여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회로는 저항기(60), 및 연산증폭기(61)와 기준전압원의 전압(Vref)이 연산증폭기(61)의 +상측 입력에 입력되는 기준 전류원으로 구성된다. 연산증푹기(61)는 차동전류를 증폭하여 차동전압인 전압(Vcl)을 발생한다. 단자(P6)는 다음과 같이 얻어지는 전압(Vcl)을 발생한다.
Vcl=Rref+Ra(I1-Iref)…………………………………………(1)
여기서 Iref는 기준전류원(62)으로부터 역상입력으로 공급되는 기준전류이며, Ra는 저항기(60) 저항이며, I1은 P4를 흐르는 전류이다. 기준전류(Iref)와 전류(I1)의 방향은 20。C에 표시된 바와 같다.
제21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샘플유지회로(24)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8도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대응기능을 갖는 소자에 부여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회로는 예컨대 닛뽄 일렉트릭사에서 제조하였으며, 단자(P9)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 또는 비작동되는 마이크로 PC4066인 아날로그 스위치이며, 차동전압 즉 상기 전압(Vc1)의 단자(P7)로의 공급 또는 중단을 제어한다.
이 회로는 저항기(64), 콘덴서(65) 및 연산증폭기(66)로 구성된다. 저항기(64), 콘덴서(65) 및 연산증폭기(66)에 의하여 샘플유지회로(24)를 구성한다. 단자(P6)에서의 신호가 고레벨에 있을때, 아날로그 스위치(63)는 작동되며, 이에 의햐여 샘플유지회로(24)는 집적회로로서 동작한다. 저레벨이 단자에서 발생되면, 아날로그 스위치(63)가 열리며, 이렇게되어 단자(P7)에 공급되는 전압은 단자(P8)에 송전되지 않아서 콘덴서에 저장된 전압이 출력된다.
제18도의 회로동작을 상세히 기술하계다. 차동전압 증폭기회로는 부하(2)를 흐르는 전류와 기준전류원(22)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전류간의 차동전률를 증폭하여, 그 출력을 샘플유지회로(24)에 공급한다.
샘플유지회로(24)의 단자(P6)에서의 신호레벨이 하이인때 차동전류 증폭기회로(23)의 출력은 전압변환회로(21)에 의해 고전압으로 변환되며 이 전압이 부하(2)로 공급된다. 따라서 신호출력단자(P9) 레벨이 하이인때 피드백 두프가 형성된다.
부하(2)를 흐르는 전류가 기준전류보다 더 크면 전압 변환회로(21)의 입력이 작으며, 그 결과로서 부하전류는 감소한다. 반대로 부하(2)를 흐르는 전류가 기준전류보다 더 작으면 전압변환회로(21)의 입력은 크게되어 부하전류가 증가한다. 차동전류 증폭회로(23)의 이득이 충분히 큰경우(실제로는 상기 식(1)의 저항(Ra)가 충분히 큰 경우), 부하전류는 기준전류와 동일하게 된다.
이 방식에서 단자(.P9)에서의 신호가 하이인때 정전류 제어가 된다.
정전류 제어가 고레벨의 단자(P9) 신호에 의하여 실행될때 단자(P9)에서의 신호는 저레벨로 변환되며, 이것에 의해 차동전류 증폭회로(23)의 출력은 전압변환회로(21)로 전송된지 않는다. 이 시점에서 제20도에 도시된 콘덴서(65)에 저장된 전압은 단자(P7)에서 발생되며, 및 전압에 대응하는 고전압은 부하(2)로 공급된다. 즉, 정전류가 검출될때 전압을 저장한다.
단자(P9)에서의 신호레벨이 로우인때 약간의 누설전류가 연산증폭기(66)의 입력단자 또는 아날로그 스위치(63)의 출력단자로 흐른다. 이것에 의하여 저장된 전압의 레벨은 시간에 따라 변동한다. 누설 전류로 인한 저항전압의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콘텐서(65)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사로울러 또는 벨트(충전부)는 ATVC 제어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ATVC 제어는 양호한 충전동작이 제1도에 도시된 주변의 변동으로 인한 충전 로울러(33)의 저항변동에 의하여 혼란될때 충전부 로울러(3)에서 실행된다.
본발명은 영상측 노출의 경우 또는 역현상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는다. 현상에 의하여 토너를 수신하지 못하는 광감지부 부분이 광에 노출되는 배경 또는 잠복영상이 잠복영상의 충전특성과 반대인 극성으로 충전된 토너에 의하여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현상되는 정현사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정전류 제어가 전사물 비통과 기간동안 또는 비영상부 통과기간중에 실행된다. 그러나 영상노출 및/또는 영상현사 동작이 광감지부의 클리닝 개선 또는 현상특성 개선을 위하여 사전회전기간 또는 시이트 간격기간등 영상베어링부에 토너를 부착하기 위하여 실행될때 ATVC 제어가 토너영상에 실행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영상형성장치에 따라 양호한 영상을 각종 주변 여건하에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영상형성장치에 따라 양호한 전사특성을 각종 전사물 크기에 대하여 그리고 각종 주변 여건하에서도 제공할 수 있다.
본발명은 특정실시예에 기하여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않으며,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4)

  1. 가동영상 베어링부(1)를 포함허며 기록물질사에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형성수단, 상기 영상 베어링부에 대향하여 배성된 충전부(2,3,53) 및 상기 충전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 구성되는 영상 형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충전부로부터 상기 영상베어링부로의 전류흐름의 일정레벨을 유지하는 제1 제어수단(5,6,54,21,22,23,24,25) 및 상기 제1 제어수단데 의해 상기 충전부로 전류가 공급될때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형성수단의 영상형성상태를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5,6,54,21,24,25)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충전영역에서 상기 영상베어링부로 부터 기록물질사에 영상을 전사하는 영상전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3. 제2항헤 있어서, 충전부는 기록물질의 후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형성수단은 상기 영상베어링부상에 형성된 잠복 영상을 토너영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수단은 토너영상이 충전 영역에 존재하지 않을때충전부로 상기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수단은 기록물질이 충전영역에 존재하지않을때 충전부로 상기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수단은 상기 충전부에 일정레벨의 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충전부에 전류가 공급될때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정전압제어수단에 의해 공급된 전압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수단은 상기 전사부에 소정의 일정 레벨의 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수단은 "토너영상이 충전영역에 있을때" 상기 제1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충전부에 전류가 공급될때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정전압제어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수단은 상기 전사부에 소정의 일정레벨의 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수단은 "기록물질이 충전영역에 있을때" 상기 제1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충전부에 전류가 공급될때의 전압에 다라 상기 정전압제어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충전영역에서 상기 영상베어링부와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은 회전가능한 부재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은 회전가능한 부재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수단은 토너영상이 충전영역에 도달하기전에 상기 전류를 충전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수단은 "상기 영상베어링부에 영상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동작내에서" 토너영상이 충전영역을 통과한 후 및 토너영상이 충전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충전부로 상기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4.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제어수단에 의해 공급된 전압레벨은 소정수의 토너영상이 충전영역을 통과할때까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수단은 상기 충전부로 전류가 공급된후 소정수의 토너영상이 충전영역을 통과한후 상기 충전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형성수단은 잠복영상이 형성되기 전에 상기 영상베어링부를 충전하는 충전수단으로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영상베어리부의 영역은 상기 제1 제어수단이 상기 충전부로 전류를 공급할때 충전영역이 되는 것과 같이 미리 상기 충전수단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의 충전극성은 전류의 극성과는 반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베어링부는 광감지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영상형성수단은 영상 광에 상기 영상형성부를 노출시키는 노출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출수단은 상기 충전수단에 의해 충전된 상기 영상베어링부의 영역을 영상형성동작에 참여하지 않도록 광에 노출하고, 상기 제1 제어수단은 상기 노출영역이 충전영역에 있는 동안 상기 충전부로의 전류의 공급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9. 제1, 4, 5, 6, 7, 8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충전부로 전류가 공급될때의 상기 전압은 상기 충전부에 나타나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105~106의 체적저항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21. 가동영상베어링부(1) ; 상기 영상베어링부상에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형성수단 ; 상기 영상베어링부에 대향하여 배설된 충전부(2,3,53)로 구성되는 영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 공급수단(5,6,54,21,22,23,24,25)이 제공되고, 상기 바이어스 공급수단은 상기 영상 베어링부의 영상영역이 상기 충전부의 충전영역에 있을때 상기 충전부에 일정 레벨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충전부에 정전압제어를 실행하고, 영상영역이외의 상기 영상베어링부의 영역이 충전영역에 있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동안 상기 충전부로부터 상기 영상어링부로의 전류흐름의 일정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충전부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정전류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를 충전영역에서 상기 영상베어링부로부터 기록물질상에 영상을 전사하는 영상전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는 기록물질이 충전영역에 있지 않을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24. 제21, 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레벨의 전압은 상기 정전류 제어중에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KR1019890015871A 1988-11-02 1989-11-02 영상 형성장치 KR930005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76106 1988-11-02
JP?63-276107 1988-11-02
JP27610688A JP2704277B2 (ja) 1988-11-02 1988-11-02 画像形成装置
JP63-276107 1988-11-02
JP?63-276106 1988-11-02
JP63276107A JP2704278B2 (ja) 1988-11-02 1988-11-02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346A KR900008346A (ko) 1990-06-04
KR930005972B1 true KR930005972B1 (ko) 1993-06-30

Family

ID=2655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871A KR930005972B1 (ko) 1988-11-02 1989-11-02 영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50180A (ko)
EP (1) EP0367245B1 (ko)
KR (1) KR930005972B1 (ko)
CN (1) CN1030671C (ko)
DE (1) DE6892534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397A (en) * 1989-04-03 1993-01-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stant voltage and constant current control
JP2614317B2 (ja) * 1989-06-20 1997-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3156476A (ja) * 1989-11-15 1991-07-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帯電装置
DE69026199T2 (de) * 1989-11-16 1996-09-05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EP0442527B1 (en) * 1990-02-16 1998-11-25 Canon Kabushiki Kaisha An image forming apparatus
DE69226682T2 (de) * 1991-06-28 1999-02-04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mit Auflade-Element
DE69216923T2 (de) * 1991-07-06 1997-05-15 Fujitsu Ltd Bildübertragungsvorrichtung
DE69224714T2 (de) * 1991-12-18 1998-10-15 Minolta Camera Kk Elektrische Aufladungsversorgungsvorrichtung und System mit einer derartiges Vorrichtung
US5287152A (en) * 1991-12-18 1994-02-15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Electric charge supplying device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JP3197732B2 (ja) * 1994-01-11 2001-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7248669A (ja) * 1994-01-23 1995-09-26 Ricoh Co Ltd 電荷付与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3082566B2 (ja) * 1994-03-26 2000-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69612892T2 (de) * 1995-02-10 2001-10-25 Canon Kk Bildherstellungsverfahren, Bildherstellungsgerät und Tonerelemente
JPH08328401A (ja) * 1995-05-26 1996-12-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057073A (en) * 1995-06-27 2000-05-0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image forming method, developing apparatus unit, and process cartridge
JP3510008B2 (ja) * 1995-07-07 2004-03-22 株式会社沖データ 印刷装置
KR0174600B1 (ko) * 1995-09-19 1999-04-01 김광호 폐토너 절감을 위한 감광드럼 전위 조절장치 및 방법
DE69721607T2 (de) * 1996-02-20 2004-03-18 Canon K.K. Bildherstellungsverfahren
KR0174700B1 (ko) * 1996-03-28 1999-04-01 김광호 전사전압 조정장치
US5915145A (en) * 1996-07-19 1999-06-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6075965A (en) * 1996-07-29 2000-06-1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endless web for facilitating transfer of a marking particle image from an intermediate image transfer member to a receiver member
JP3587002B2 (ja) * 1996-12-09 2004-11-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5873015A (en) * 1997-02-18 1999-02-16 Moore U.S.A. Inc. Like polarity biasing to control toner dusting
KR100191203B1 (ko) * 1997-03-14 1999-06-15 윤종용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 바이어스 제어방법
JP3839933B2 (ja) * 1997-09-22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268751B2 (ja) * 1998-03-13 2002-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0952497B1 (en) * 1998-04-20 2004-01-28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KR100285748B1 (ko) * 1998-04-28 2001-04-02 윤종용 전사전압제어장치및방법
JP3784197B2 (ja) * 1998-07-06 2006-06-07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2000131958A (ja) * 1998-10-28 2000-05-12 Sharp Corp 転写装置
JP3554217B2 (ja) * 1999-03-17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447969B1 (en) 1999-06-02 2002-09-10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and image forming method
JP4343370B2 (ja) 2000-01-05 2009-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1128225B1 (en) 2000-02-21 2005-12-14 Canon Kabushiki Kaisha Magnetic toner and image-forming method making use of the same
CA2337087C (en) 2000-03-08 2006-06-06 Canon Kabushiki Kaisha Magnetic toner,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image forming method,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ing the toner
JP4272808B2 (ja) * 2000-12-19 2009-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202671A (ja) * 2000-12-28 2002-07-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029362A (ja) * 2002-06-25 2004-01-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500511B2 (ja) * 2002-07-03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898385B2 (en) * 2002-07-05 2005-05-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varied charge voltages
JP4393212B2 (ja) * 2003-02-26 2010-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990298B2 (en) * 2003-02-28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6985680B2 (en) * 2003-04-10 2006-01-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4692042B2 (ja) * 2005-03-30 2011-06-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705329B1 (ko) * 2005-09-30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대전전압 결정방법
JP2008058585A (ja) * 2006-08-31 2008-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127205B2 (ja) * 2006-11-22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42697B2 (ja) * 2007-12-20 2013-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22461B2 (ja) * 2008-03-06 2013-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53240B2 (ja) * 2008-03-14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この像加熱装置に用いられるヒータ
JP5839839B2 (ja) 2011-05-19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2015022214A (ja) * 2013-07-22 2015-0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6173520A (ja) * 2015-03-18 2016-09-2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9891559B2 (en) 2015-12-29 2018-02-13 Kabushiki Kaisha Toshiba Transfer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765863B2 (ja) 2016-06-06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22225515A1 (en) * 2021-04-21 2022-10-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ducing voltage bias in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1105A (en) * 1972-11-24 1973-12-25 Xerox Corp Constant current biasing transfer system
US3837741A (en) * 1973-12-28 1974-09-24 Xerox Corp Control arrangement for transfer roll power supply
US4563081A (en) * 1982-01-12 1986-01-07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condition
JPS60256173A (ja) * 1984-06-01 1985-12-17 Canon Inc 画像形成方法
JPS6114671A (ja) * 1984-06-29 1986-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複写装置
JPS6153668A (ja) * 1984-08-24 1986-03-17 Canon Inc 電子写真装置
US4949125A (en) * 1987-10-27 1990-08-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electrophotography
US4977430A (en) * 1988-06-24 1990-12-11 Eastman Kodak Company Transfer roller power supply
JP2733609B2 (ja) * 1988-10-29 1998-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転写装置
JP2614317B2 (ja) * 1989-06-20 1997-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67245A2 (en) 1990-05-09
CN1042615A (zh) 1990-05-30
EP0367245B1 (en) 1996-01-03
CN1030671C (zh) 1996-01-10
DE68925344D1 (de) 1996-02-15
DE68925344T2 (de) 1996-06-27
KR900008346A (ko) 1990-06-04
EP0367245A3 (en) 1992-03-11
US5450180A (en) 1995-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972B1 (ko) 영상 형성장치
KR930010873B1 (ko) 이미지 형성장치
EP0442527B1 (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617314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transfer member having an inherent volume resistance less than that of an inner layer of a transport support element
US640499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determining transfer voltage based on transferring member resistance value and transferring material resistance value
KR0168868B1 (ko) 화상형성장치용 화상전사기구
JP3192440B2 (ja) 画像形成装置
JPH02300774A (ja) 画像形成装置
US620529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whether transfer member should be constant-current-controlled or constant-voltage-controlled is selected depending on thickness of transfer material
JP3131286B2 (ja) 電子写真プリンタ
KR19980064686A (ko) 화상기록장치
JPH05297740A (ja) 画像形成装置
JP2780043B2 (ja) 画像形成装置
US5313359A (en) Excessive current preventing device for the contact charging of a photosensitive layer
JPH0540418A (ja) 画像形成装置
JP4194130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457100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98159A (ja) 画像形成装置
JP2979746B2 (ja) 電荷注入制御装置及び転写・搬送装置
JP3532341B2 (ja) 画像形成装置
JP2770187B2 (ja) 画像形成装置
JPS5848900B2 (ja) 画像品質制御装置
JP2880856B2 (ja) 像担持体に対する帯電電圧印加方法
JPH09236992A (ja) ベルト転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51164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