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828B1 -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828B1
KR930000828B1 KR1019870000381A KR870000381A KR930000828B1 KR 930000828 B1 KR930000828 B1 KR 930000828B1 KR 1019870000381 A KR1019870000381 A KR 1019870000381A KR 870000381 A KR870000381 A KR 870000381A KR 930000828 B1 KR930000828 B1 KR 93000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oyster
oyster extract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853A (ko
Inventor
코오이찌 우수이
마사히데 오가와
키요시 타까이
테이지 사토오
마사노리 다나까
이즈미 세리자와
Original Assignee
미즈자와카가꾸 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타께다 오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0637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668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6482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24255A/ja
Application filed by 미즈자와카가꾸 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타께다 오사무 filed Critical 미즈자와카가꾸 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6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04Animal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23L27/21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containing amino ac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굴엑시스 탈색 농축물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의 제조에 있어서 흡착제로서 가장 바람빅하게 사용되는 합성 층상 피로규산마그네슘의 X-선 회절도이며,
제2도의 곡선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한 원료 굴엑스스액의 가시부 흡수 스펙트럼, 및 곡선 B는 비교예 1에 있어서 제조된 굴엑기스 농축물의 가시부 흡수 스펙트럼이며,
제3도의 곡선 C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흡착 정제 처리 공정(제1공정)으로 얻은 정제 굴엑기스의 가시부 흡수 스펙트럼이며, 곡선은 그 정제 굴엑시스를 다시 농축처리(제2공정)하여 얻은 굴엑기스 농축물의 가시부 흡수 스펙트럼이며,
제4도는 비교예3의 제1공정에서 얻은 정제 굴엑기스의 물을 전개액으로 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크로마토그램이다.
제5도는 실시예3의 제1공정에서 얻은 정제 굴엑기스의 물을 전개액으로 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본 발명은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시 상세히 말하면 색조와 맛이 우수하고 천연 조미료 기재 내지 보조제 또는 식품으로서 유용한 엑시스 탈색 농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다.
굴엑기스 속에는 글루타민산 등의 맛의 성분이나 맛을 내는 역할을 하는 글리코오겐 등의 각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고, 굴의 통조림을 제조할때 부산물로 생산되는 국물을 농축해서 얻어지는 굴엑기스는 이른바 오이스터 소오스등의 명칭으로 천연조미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 굴엑기스는 인체의 기능회복 및 유지에 유효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그 농축 건조품은 건강식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굴엑기스의 농축물은 흑색 내지 흑갈색의 성분을 비교적 다량 함유하고 있고, 간장이나 우스터소오스와 같은 외관을 하고 있고. 착색하지 않는 식품류에 대한 조미에는 부적당한 문제점이 있다. 또 이러한 측색 내지 흑갈색 성분을 함유하고 농축물은 쓰고, 떫고, 탄냄새등으로 인해 조미료로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이미이취(異味異臭)를 가지고 있고, 전체적으로는 맛이 담백하지 못하다. 그 때문에 종래의 굴엑기스 농축 물은 이른바 볶거나 굽은 조리식품의 용도에는 사용되고 있지만 수수프나 국, 조림, 사라다 등의 맛이 담백한 조리식품의 분야에서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굴에기스 농축물에서 상기한 흑색 내지 흑갈색의 착색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검토되었으나 이들의 착색성분은 액속에 안정된 상태로 분산되고 있어 흡착등의 수단으로 분리가 어렵다.
상기 착색성분을 분리제거할 때 생기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굴엑기스 중에 포함되는 맛의 성분 도는 영향 성분을 감소기켜서는 안되는 것이며, 도한 이 요구를 충족하는 흡착제등의 정제제(精製劑)도 아직 제조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굴엑기스 속에 함유괴는 맛의 성분 또는 영향성분의 감소없이 흑색 내지 흑갈색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한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은 필수성분으로 아미노산, 단백질 및 당류를 함유하고 있는 동시에 5중량% 이상의 고형분을 함유하고, 또 하기식
Figure kpo00001
으로 정의되는 흡광도 적분치 S가 200 이하에의 범위에 있다.
식중 ε(x)는 고형분 농도 5중량%의 수용액에 대하여 두께 10mm의 셀을 사용하여 측정했을때의 파장×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표시한다. 또 이와같은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은 고형분 농도가 30중량% 이하의 굴엑기스에 비(比)표면적이 50m2/g이상의 물불용성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흡착제를 작용시켜서 흡착제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정제액을 실질상 비산화 분위기 속에서 고형분 농도가 5중량%이상이 되도록 농축하므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자등은 본 발명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다음 설명하는 흥미있는 사실을 발견했다. 굴엑기스를 농축해가면 고형분 농도가 낮은 초기의 단계에서 흑색 내지 흑갈색의 착색성분은 거의 없거나 또는 있어도 극소하고 산화성 분위기하에서는 농축이 진행하여 고형분 농도가 10중량% 이상으로 높아질수록 그 함유량이 현저히 증대하고, 또 비산화성 분위기 속에서도 고형분 농도가 30중량% 이상이 되면 심하게 착색된다. 이와 같이 착색성분의 함유량이 증대하면 흡착처리등의 보통의 정제수단으로는 이것을 제거하기가 곤란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한 사실은 굴엑기스 속에 함유되는 복수의 성분이 농축 과정 중에 상호 반응 내지 축합되어 비교적 고분자량의 착색성분이 발생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즉 이러한 흑색 내지 흑갈색 성분의 형성은 일반적으로 많은 식품의 가공이나 보존에 있어서 메이라드(maillard)반응으로 불리우고, 아미노산, 아민, 단백질등의 아미노기를 가지는 아미노화합물과 당 및 카르보닐화합물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갈변(褐變) 내지 흑변(黑變) 반응으로 생각된다.
식품류의 가열 가공에 있어서 환원다의 반응이 높아지고 이 환원당에 기인되는 메이라드 반응은 식품의 영양가나, 맛 및 맛의 저하나 변질을 초래하므로 식품의 가공이나 보존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문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 착색성분이 다량으로 발생하기 이전의 단계에서 굴엑기스액에 비표면적이 50m2/g 이상의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 예를들면 층상 피로규산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흡착제를 작용시키면, 흑색 내지 흑갈색의 착색물질의 전구(前驅)물질의 제거가 맛의 성분이나 영양물질의 함유량을 크게 저감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견지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착색물질의 원인이 되는 전구물질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이 정제액을 고농도로 농축할 경우에도 착색물질이 생성되는 일이 없고, 색조와 맛 및 충미가 조합된 우수한 농축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이 특이적으로 착색물질의 전구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이유는 아직 해명되고 있지는 않지만 물리흡착 이외에 화학흡착(이온흡착도 포함)도 관계되고, 나아가서는 상기한 갈변반응 그 자체를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3자가 관련되고 있음은 농축중에 생성된 착색성분 그 자체에 대해서는 물불용성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이 상당히 낮은 흡착성을 나타내는 사실과도 잘 부합된다.
(A)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의 제조
(a) 원료 굴엑기스
처리에 사용하는 굴엑기스로는 굴을 삶은 국물 또는 부분 농축물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이 원료 굴엑기스액은 일반적으로 2 내지 30중량%, 특히 3 내지 15중량%의 고형분 농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농도가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면 원료 엑기스중에 흑색 내지 흑갈색의 착색성분의 함유량의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다량의 액을 취급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굴엑기스 원료로는 상기한것 이외에 굴의 살게 잘게 부순것을 열과 물의 작용하에 처리하여 얻어지는 엑기스로 물론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원액 엑기스를 이온 교환막(膜)을 사용하여 탈염 조작에 붙여서 얻어지는 탈염원액 엑기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예로서 건조 굴엑기스 100g의 성분표를 제1표에 표시한다.
[제1표]
일반 성분
칼로리‥‥‥‥‥‥‥‥‥‥‥‥‥‥‥‥‥‥‥‥‥‥354Cal
수분‥‥‥‥‥‥‥‥‥‥‥‥‥‥‥‥‥‥‥‥‥‥‥2.6g
단백질‥‥‥‥‥‥‥‥‥‥‥‥‥‥‥‥‥‥‥‥‥‥38.1g
지질‥‥‥‥‥‥‥‥‥‥‥‥‥‥‥‥‥‥‥‥‥‥‥0.2g
회분‥‥‥‥‥‥‥‥‥‥‥‥‥‥‥‥‥‥‥‥‥‥‥9.2g
섬유‥‥‥‥‥‥‥‥‥‥‥‥‥‥‥‥‥‥‥‥‥‥‥0g
탄수화물(당질)‥‥‥‥‥‥‥‥‥‥‥‥‥‥‥‥‥‥49.9g
아미노산 조성
필수 아미노산류
이소로이신‥‥‥‥‥‥‥‥‥‥‥‥‥‥‥‥‥‥‥‥0.96g
로이신‥‥‥‥‥‥‥‥‥‥‥‥‥‥‥‥‥‥‥‥‥‥1.56g
리딘‥‥‥‥‥‥‥‥‥‥‥‥‥‥‥‥‥‥‥‥‥‥‥1.98g
메티오닌‥‥‥‥‥‥‥‥‥‥‥‥‥‥‥‥‥‥‥‥‥0.63g
페닐아라닌‥‥‥‥‥‥‥‥‥‥‥‥‥‥‥‥‥‥‥‥0.86g
프레오닌‥‥‥‥‥‥‥‥‥‥‥‥‥‥‥‥‥‥‥‥‥1.30g
트리프토판‥‥‥‥‥‥‥‥‥‥‥‥‥‥‥‥‥‥‥‥0.22g
발린‥‥‥‥‥‥‥‥‥‥‥‥‥‥‥‥‥‥‥‥‥‥‥1.24g
시스티인‥‥‥‥‥‥‥‥‥‥‥‥‥‥‥‥‥‥‥‥‥0.36g
티로신‥‥‥‥‥‥‥‥‥‥‥‥‥‥‥‥‥‥‥‥‥‥0.74g
알르기닌‥‥‥‥‥‥‥‥‥‥‥‥‥‥‥‥‥‥‥‥‥1.82g
히스티딘‥‥‥‥‥‥‥‥‥‥‥‥‥‥‥‥‥‥‥‥‥0.63g
알라닌‥‥‥‥‥‥‥‥‥‥‥‥‥‥‥‥‥‥‥‥‥‥1.85g
아스파라긴산‥‥‥‥‥‥‥‥‥‥‥‥‥‥‥‥‥‥‥2.98g
글루타민산‥‥‥‥‥‥‥‥‥‥‥‥‥‥‥‥‥‥‥‥4.25g
글리신‥‥‥‥‥‥‥‥‥‥‥‥‥‥‥‥‥‥‥‥‥‥1.95g
프로린‥‥‥‥‥‥‥‥‥‥‥‥‥‥‥‥‥‥‥‥‥‥2.53g
세린‥‥‥‥‥‥‥‥‥‥‥‥‥‥‥‥‥‥‥‥‥‥‥1.15g
무기질
칼슘‥‥‥‥‥‥‥‥‥‥‥‥‥‥‥‥‥‥‥‥‥‥‥115mg
인‥‥‥‥‥‥‥‥‥‥‥‥‥‥‥‥‥‥‥‥‥‥‥‥552mg
망간‥‥‥‥‥‥‥‥‥‥‥‥‥‥‥‥‥‥‥‥‥‥‥2.28mg
마그네슘‥‥‥‥‥‥‥‥‥‥‥‥‥‥‥‥‥‥‥‥‥241mg
나트륨‥‥‥‥‥‥‥‥‥‥‥‥‥‥‥‥‥‥‥‥‥‥1.860mg
칼륨‥‥‥‥‥‥‥‥‥‥‥‥‥‥‥‥‥‥‥‥‥‥‥1.410mg
코발트‥‥‥‥‥‥‥‥‥‥‥‥‥‥‥‥‥‥‥‥‥‥14μg
철‥‥‥‥‥‥‥‥‥‥‥‥‥‥‥‥‥‥‥‥‥‥‥‥5.30mg
동‥‥‥‥‥‥‥‥‥‥‥‥‥‥‥‥‥‥‥‥‥‥‥‥11.9mg
아연‥‥‥‥‥‥‥‥‥‥‥‥‥‥‥‥‥‥‥‥‥‥‥40.2mg
옥소‥‥‥‥‥‥‥‥‥‥‥‥‥‥‥‥‥‥‥‥‥‥‥0.6mg
비타민류
비타민B2‥‥‥‥‥‥‥‥‥‥‥‥‥‥‥‥‥‥‥‥‥1.67mg
비타민B6‥‥‥‥‥‥‥‥‥‥‥‥‥‥‥‥‥‥‥‥‥0.43mg
비타민B12‥‥‥‥‥‥‥‥‥‥‥‥‥‥‥‥‥‥‥‥‥34μg
비타민 H(비오틴)‥‥‥‥‥‥‥‥‥‥‥‥‥‥‥‥‥27μg
이노시톨‥‥‥‥‥‥‥‥‥‥‥‥‥‥‥‥‥‥‥‥‥93mg
코린‥‥‥‥‥‥‥‥‥‥‥‥‥‥‥‥‥‥‥‥‥‥‥280mg
유용성분
타우린‥‥‥‥‥‥‥‥‥‥‥‥‥‥‥‥‥‥‥‥‥‥4.2g
글리코겐‥‥‥‥‥‥‥‥‥‥‥‥‥‥‥‥‥‥‥‥‥27g
인지질‥‥‥‥‥‥‥‥‥‥‥‥‥‥‥‥‥‥‥‥‥‥10mg
(b)흡착 정제 처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원료 굴엑기스의 흡착정제 처리에 있어서 비(비)표면적이 50m2/g이상, 특히 100 내지 800m2/g의 범위에 있는 불불용성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흡착제를 사용한다. 비표면적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화합물에서는 착색성분의 전구 물질에 대한 흡착능이 본 발명의 것에 비해서 뒤떨어진다. 이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은 실질상 물에 불용이라는 조건이 중요하고, 수용성의 것에 있어서는 농축물의 풍미라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물불용성이고 또 흡착성능이 큰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로서는 마그네슘의 규산염, 탄산염, 부분산 부가물, 물불용성이고 또 흡착성능이 큰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로서는 마그네슘의 규산염, 탄산염, 부분산 부가물, 부분수산화물등중, 저결정질이고 비표면적이 높은 것이 좋다. 특히 규산분과 마그네슘의 산화물 및 또는 수산화물을 수열(水熱)처리하므로써 얻어지고, 하기식
MgO·mSiO2·nH2O
단,0.5
Figure kpo00002
m
Figure kpo00003
2, n
Figure kpo00004
2
의 조성을 가지고, 또 100m2/g 이상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규산마그네슘이 보다 적절히 사용되고, 그중에서도 상기 조성식으로 m=4/3의 규산마그네슘이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에 가장 적절히 사용되는 상기 조성(m=4/3)의 규산마그네슘은 하기 구조식
[Mg3](Si2O5)2(OH)2·xH2O(x
Figure kpo00005
5)
에 의하여 표시되고, 면간격 4.5-4.6Å, 2.5-2.6Å 및 1.5-1.6Å에 x선 회절피크를 가지고, 또 300m2/g이상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층상의 피로규산마그네슘으로 구성되는 물불용성의 광물성 물질이다. 이 층상 피로규산염 광물의 합성은 규산분 원료로서 ① 합성 규산, 천연 규조로, 페로실리콘더스트등의 비정질 실리카, ② 규조토소성물, 규석등의 결정질 실리카, ③ 점토 광물등의 산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활성규산 내지 활성아루미노규산, 또는 ④반응조건하에 실리카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마그네슘 원료로서는 마그네슘의 산화물, 수산화물 또는 반응조건하에 상기 산화물 내지 수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양자를 수성매체 중에서 혼합하고, 슬러리상으로 하여 상압하 도는 가압하에서 수열처리하므로써 달성된다. 반응조건으로는 80 내지 200℃의 온도가 사용되고, 이 경우 반응계의 압력은 0.5 내지 16kg/cm2으로 유지되고, 반응 시간은 온도 및 압력에 의해서도 상이하나 0.5 내지 10시간의 범위가 적당하다. 생성물은 필요에 따라 수세하고, 건조, 분쇄, 분급(분급)등의 후처리를 하여 물불용성의 백색 분말상 흡착제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합성층상 피로규산마그네슘은 하기의 구조식
[Mg3](Si2O5)2(OH)2·xH2O(x
Figure kpo00006
5)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천연의 점토광물인 탈크(활석)에 유사한 구조, 즉 MgO6의 8면체층(블루사이트층)을 사이에 두고 2개의 SiO4의 4면체층(피로규산층)이 사이에 있는 3층 구조의 것을 주체로 하고 있고, 이 층상구조에 특유한 x선 회절 스펙트럼을 가진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가장 적절하게 사용되는 합성층상 피로규산마그네슘의 x선 회절도이고, 면간격 4.5-4.6Å[020]면, [110]면에 대응), 2.5-2.6Å ([200]면에 대응), 및 1.5-1.6Å([060]면에 대응)에 각각 회절 피크를 가지는 것이 명백하고, 이것은 천연의 트리옥터헤드럴형 층상 점도 광물에 x선 회절 피크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합성층상 피로규산마그네슘은 탈크등 천연의 피로규산염에는 전혀 보이지 않았던 극히 큰 비표면적과 흡착력을 가진다. 이것은 합성층상 피로규산마그네슘에서는 x선 회절 피크의 브로드한 형상에서 알 수 있듯이 저결정질에 유대하여 결정자가 미세한것과 층의 적중이 불규칙하고 이 층간에 다른 물질이 침입하기 쉬운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흡착제는 분말상으로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흡착처리후의 고액 분리를 쉽게할 목적으로 미리 흡착제 분말을 물 및 필요에 따라 물불용성의 점결성(점결성)광물 즉 산성백토, 백도토 (카올린) 또는 벤토나이트등과 함께 형성하고, 건조 또는 애벌구이로 고결하여 입상등의 성형체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은 굴엑기스당 0.5 내지 20중량% 특히 1내지 1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착색 물질의 전구물질의 제거가 불충분하고,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맛의 성분이나 영양성분의 실질적인 양이 흡착제거되어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으로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이외에, 활성백토, 산성백토,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 아루미나, 제올라이트, 활성탄 등의 다른 흡착제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의 조합중에서도 특히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과 활성탄과의 조합이 맛의 성분등의 함유량을 그다지 저감시키지 않고, 착색성분의 전구물질을 가장 효과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착색성분의 전구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기에는 상당히 많은 양을 사용해야 하고, 그것에 따라 맛의 성분등의 흡착도 상당히 생기게 된다. 활성탄은 착색성분의 전구물질의 제거에 상당히 유효한 것이나 맛성분등을 동시에 흡착새서 그 함유량을 현저히 저감시키는 일이 치명적인 결점이다. 이 양자를 조합해서 사용하며, 맛성분등을 그다지 저감시키지 않고 착색성분의 전구불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은 0.5 내지 20중량% 특히 1 내지 15중량%, 활성탄은 0.1 내지 5중량% 특히 0.2 내지 3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양자의 중량비는 2 : 1 내지 10 : 1로 하는 것이 좋다.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과 활성탄과는 동시에 원료 굴엑기스에 접촉시키는 것이 가장 좋으나 처음에 활성탄과 접촉시키고 그 다음에 마그네슘 화합물과 접촉시키거나 또는 반대의 순서로 접촉시킬 수도 있다. 원료 굴엑기스와 흡착제와의 접촉조건은 상기 성분이 흡착제거되는 것이면 되고,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0 내지 100℃의 온도로 1분간 이상 접촉시키는 것이 좋고, 실온에서의 처리가 특히 유리하다. 흡착처리는 굴엑기스중에 흡착제의 분말을 투입하고 소정시간 교반한 후 여과분리하는 방법이나, 흡착제를 충전한 탑에 굴엑기스를 통과해서 흡착처리를 하는 방법 등 각각 자체공지의 임의의 흡착 정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c) 농축처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흡착처리를 끝낸 정제액을 실질상 비산화성의 분위기 속에서 고형 분리농도가 5중량% 이상이 되도록 농축한다. 농축에 있어서는 가급적으로 저온으로 수분의 증발이 효과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감압 내지 진공 농축이 바람직하다. 용제를 사용하는 공비(공비)증류도 물론 가능하다. 또 질소등의 불활성 가스를 캐리어가스로 하는 증발농축도 가능하다. 농축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다단 농축솥을 사용할 수도 있다. 농축물로서는 점조(점조)한 액체 내지 페이스트상의 제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 동결건조, 분부건조등의 건조수단을 적용하여 분말 입상물 등의 제품으로 할 수도 있다. 또 그 자체의 점결성(점결성)을 이용하고, 또는 다른 식품질 바인더, 예를 들면 다당류를 사용해서 판상이나 플레이크상 또는 케이크상의 성형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B) 굴엑시스 탈색 농축물
이와같이 하여 얻은 본 발명의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은 필수성분으로 아미노산, 단백질 및 당류를 함유하는 동시에 5중량%이상의 고형분을 함유하고 또 하기식
Figure kpo00007
으로 정의되는 흡광도 적분치 S가 200이하의 범위에 있다.
상기식중 ε(x)는 고형분 농도 5중량%의 용액에 대하여 두께 10m/m의 셀을 사용하여 측정했을때의 파장×나노미터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표시한다.
상기한 흡광도 적분치 S는 가시파장역 400 내지 800나노미터의 범위에 흡수를 가지는 전 물질의 광학적 적산량을 뜻하고, 액의 투명성과는 반대의 관계에 있는 수치이다. 종래의 굴엑기스 농축물은 일반적으로 400이상의 흡광도 적분치 S를 가지고, 또 부분농축물도 일반적으로 250이상의 흡광도 적분치를 나타내는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제액은 200이하의 흡광도 적분치를 나타내고, 고형분 농도가 40중량%이상이 되도록 농축했을 경우에도 150이하의 흡광도 적분치를 나타내는 데에 불과하다.
제2도는 원료액기스 및 종래법에 의한 농축물의 가시부 흡수스켁트럼을 나타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의 흡착제를 사용한 흡착정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정제 굴엑기스 및 그 농축물의 가시부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이들의 비교에서 본 발명에 의한 그 증대도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농축물에 있어서는 이와같이 착색성분이 제거되고, 또 그것에 따르는 이미이취(이미이취)성분이 제거되고 있는 것이 현저한 특징이기는 하나, 굴엑시스중의 맛의 성분이나 풍미성분이 고도로 농축된형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도 현저한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굴엑기스 농축물이 품위가 있고 무난하고 섬세한 맛과 풍미를 가지는 사실은 결국은 후기하는 예와 같이 관능 시럼에 따를 수 밖에 없으나, 본 말명에 의한 굴엑기스 농축물이 상기한 바람직스럽지 못한 성분이외의 유효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사실은 그 크로마토그램을 참조하므로써 명백하다. 첨부도면 제4도 및 제5도는 굴엑기스 원액에 대하여 활성 탄 단독을 사용해서 흡광도 적분치가 거의 70이 되도록 처리한 정제액(제4도), 및 층상 피로규산마그네슘과 활성탄과의조합을 사용하여 흡광도 적분치가 상기와 동일한 치가 되도록 처리한 정제액(제5도)에 대하여 고형분 농도가 5중량%가 되도록 조제한 물을 전개액 및 도오요도소다 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사(동양공업공업주식회사)제 겔 G2500 PWXL을 칼럼으로 하여 사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의 크로마토그램을 표시한다.
이들의 비교에서 본 발명에 의한 농축물에서는 굴엑기스중의 유효성분이 보다 고농도로 보유되고 있는 사실이 명백하다. 제5도의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피크E는 로이신 및/또는 이소로이신에 고유의 피크이고 피크F는 글루타민산 및/또는 호박산에 있어서 특유의 피크이고, 피크 G 및 H는 그밖의 밧성분(다른 아미노산 및/또는 수용성 저분자량 단백질 성문으로 생각된다)에 따른 피크이나 이들의 피크는 제4도의 경우에 비교해서 현저히 높은 것을 주목해야 한다.
(C) 복합 조미료 조성물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원료 굴엑시스 조재(조재) 엑시스를 첨가한 혼합엑시스를 동일한 흡착정제처리 및 농축처리하므로써 복합 조미료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이 복합 조미료 조성물은 (i) 천연산 또는 양식산의 굴을 재료로 한 주재(主材) 굴엑시스, 및, (ii) 어패류, 해초류, 야채류, 닭뼈다귀 및 곡물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의 조재액기스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조성물은 아미노산, 단백질 및 당류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동시에 고형분이 5중량%이상이고 또한 하기식,
Figure kpo00008
로 정의되는 흡광도 적분치 S가 200이하의 범위에 있다. 식중ε(x)는 고형분 농도 5중량%의 용액에 대하여 두께 10m/m의 셀을 사용하여 측정했을때의 파장 나노미터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표시한다. 이와같은 복합조미료 조성물도 상기와 같이 흡광도 적분치가 200이하를 취하므로써 조미료로서의 좋지못한 착색성분 및 그 전구 물질이 제거되고, 또 그것에 기인하는 이미이취 성분이 제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주재 굴엑기스(i)와 조재엑기스(ii)와의 조합 및 배합량은 조미료로서의 용도에 따라서도 다르나, 보통 주재굴엑스(i)가 고형분 농도 기준으로 50 내지 9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조재엑기스(ii)는 가다랭이, 고등어, 전갱이, 모시조개 홍합, 가리비 등의 어패류 다시마등의 해초류, 닭뼈다귀 등의 뼈다귀 스프류, 배추등의 야채류 및 쌀로 만든 식초등 곡류를 소재로 하는 것으로, 그것을 삶은 국물이나 끓여 우린 국물에서 선택된 엑기스를 원료 굴엑기스에 배합하여 소정의 흡착 정제 및 농축 처리하는 것이다.
이들의 조재 엑기스는 특히 어패류의 엑기스이외는 그 고형분 농도에 특별히 유의할 필요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1 내지 40중량%, 특히 2 내지 20중량%의 고형분 농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농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주재 굴엑시스와 같이 메라이드 반응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착색성분이 발생되므로 좋지 않다. 상기 범위보다 낮으며 다량의 액을 취급해야하므로 경제적을 불리하다. 물론 조재엑기슬를 혼합엑기스로 하기전에 미리 흡착 정제처리한 엑기스로 사용된다. 또, 각각의 조재 엑기스의 조달은 가다랭이, 고등어, 가리비, 모시조개, 홍합등의 어패류는 다량으로 통조림등의 진미의 식품으로 가공되고 있으므로 가공시의 끊인 국물이나 냉동품을 증기로 해동할때 생기는 국물 등으로 얻어지고, 다시마, 닭뼈다귀등의 엑기스는 옛부터 조미국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양적인 입수도 용이하다. 또 배추 엑기스도 배추가 대량생산되는 야채이므로 배추를 삶아서 얻을 수 있고, 배추 엑기스 대신에 그래뉼당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의 조재 엑기스는 모두 주재 굴엑기스와의 상성(相性)에서 선택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주재 굴엑시스의 맛이나 풍미와의 상성 및 조재의 조합은 조재 그 자체가 가지는 맛을 서로 발휘하는 동시에 주재 굴엑기스의 본래의 맛을 돕고 또 그것의 조합하므로써 주재를 양식이나 일식, 중화용의 조미료로서의 용도로 쓰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굴엑기스 농축물은 흑색 내지 흑갈생의 착색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담황색 내지는 호박색의 외관을 하고있고, 임의의 식품류에 대한 조미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쓴맛, 떫은 맛, 단내 등의 이미이취가 제거되고 굴 본래의 우아하고 부드러운 섬세한 맛이나 풍미가 강조되고 있으므로 스프, 국물, 조림, 사라다, 진미류, 과장, 음료 등을 포함해서 그밖에 모든 조리식품이나 가공식품등에 대한 천연조미료 또느 ㄴ조미료 기재 내지 조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 풍미가 좋고 끼음성(끽음성)이 우수하므로 그 자체로 건강식품, 영양보급식품등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또 본 발명 방법은 굴엑시스 농축 과정의 중간 단계에서 굴엑기스와 상기한 흡착제를 접촉시키면 되고, 특별한 번잡한 정체처리가 필요없으므로 조작이 간단하고처리원가도 비교적 낮은 방법상의 이점이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다음의 예로써 설명한다.
본 실시예중에 있어서의 각 특성의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흡착제의 비표면적 측정 방법
자동 BET(비표면적) 측정장치(Carlo Erba사제 Sorptomatic Series 1800)에 의하여 측정한다.
2) 굴엑기스 고형분 농도 측정방법
시료 굴엑기스중의 불용분, 협잡물을 No,5C 정량여지(여지)로 여과분리하여여액을 시험액으로 사용했다. 시험액 약 1g을 중량을 미리 아는 직경 약 4cm의 유리 평량병(ag)에 채취하여 그 중량(bg)을 정평(정평)한다. 그것을 105℃로 조정한 항온(항온) 건조기에 넣어 5시간 건조하여 항량(항량)으로 한다. 데시테이터에서 방냉한 후 중량(cg)을 정평한다.
고형분농도(중량5%)를 다음의 식으로 산출한다.
Figure kpo00009
3) 굴엑시스 흡광도 적분치(S)측정방법
미리 불용분, 협잡물을 분리하고, 고형분 농도 기지(기지)의 시료 굴엑기스를 증류수도 고형분 농도 5중량%로 희석하여 시험액으로 했다. 시험액의 파장 400나노미터에서 800나노미터간의 흡광 스펙트럼을 자동 기록식 분광광도계(日本分光工業製) 더블비임. 더블모노크로미터 분광광도계 UVIDEC 650를 사용하여 다음의 조건으로 얻는다.
표준(대조광로) : 증류수
스펙트럼폭 : 2.00nm
시정수 : 0.4초
파장주사범위 : 800-400nm
파장스케일 : 40nm/cm
측정스케일 : 0.000-5.000 흡광도
사용셀 : 10m/m 석영셀
흡광도 적분치(S)는 하기식으로 표시되나
Figure kpo00010
시중ε(x)는 고형분 농도 5중량%의 용액에대하여 두께 10m/m의 셀을 사용하여 측정했을때의 파장×나노미터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표시하고, 흡광도 적분치(S)의 산출은 흡수 스펙트럼도(도)의 적분역 면적 측저에 의하여 구한다.
4)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의한 크로마토그램 측정방법
사전에 불용분, 협잡물을 분리하고, 고형분농도 5중량%로 희석하여 시험액으로 한다. 시험액의 크로마토그램을 고속 액제 크로마토그래피장치(일본 워터즈 리미테드사제)를 사용하여 다음이 조건으로 측정한다.
컬럼 : 東洋漕達工業製 STK G 2500 PWXL(친수성 폴리마)
전개액 : 물
유속 : 0.8ml/분
주입량 : 10μl
압력 : 300-350PSI
온도: 20℃
검출기 : UV(254nm 1.0AUFS)
기록계 : 10mV
플스케일
5) 굴엑기스 풍미 시험방법
시료 굴엑시스 농축물 및 고형분 5중량%로 희석한 굴엑시스를 시험액을 했다. 시험액이 풍미를 잘 훈련된 10명의 조리관계자에게 10점 만점법으로 평가했다. 평균점으로 표시했다.
[실시예 1]
굴을 삶은 국물(고형분 6.2중량%) 1200g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넣어 639m2/g을 비표면적을 가지는 합성층상 필로규산 마그네슘(水澤化學工業製商品名 미즈카나이트
Figure kpo00011
) 60g을 첨가하여 30℃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 5C 정량 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담황색의 투명한 굴엑스액을 얻었다(제1공정). 이 굴엑기스액에 대하여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하여 크로마토그램을 측정했다.
다음에 제1공정에서 얻은 굴엑기스액 1000을 2l의 가지 모양의 프라스크에 넣어서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야미또 RE46A)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140g의 점조한 호박색의 굴엑시스 농축물을 얻었다(제2고정).
본 품의 고형분농도를 측정한 결과 43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 품을 증류수를 사용하여 5중량%의 농도로 희석한 것으로부터 흡광 스펙트라에서 산출한 흡광도 적분치 S, 풍미 시험결과 및 제1공정에서 얻은 언제 굴엑기스액이크로마토그램과 제5도에 도시한 크로마토 그램과의 비교결과는 제2표와 같고, 굴엑기스액 농축물로서 극히 우수한 상품 가치를 가진 것이었다.
[실시예 2]
굴을 삶은 국물(고형분 6.2중량%) 1300g을 스테인레스용기에 넣어서 184m2/ 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시약 규산마그네슘(和光純方製) 195g을 첨가하여 30℃의 온도로 30분가 교반한 것을 No. 5C 정량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담황색의 투명한 굴엑기스액을 얻었다(제1공정). 실시예1과 동일하게 굴엑기스액의 크로마토그램을 측정했다.
다음에 제1공정으로 얻은 굴엑기스액 1000g을 2l의 가지모양의 프라스크에 넣어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158g의 점조한 호박색의 굴엑기스의 농축물을 얻었다(제2공정).
본 품의 굴엑기스액을 측정한 결과 38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S, 제5도의 크로마타그램 비교결과, 풍미시험결과는 제2표의 표시한 바와 같고, 굴엑기스 농축물로서 극히 우수한 상품을 지니고 있었다.
[실시예 3]
합성층상 필로규산 마그네슘과 활성탄을 중량비 3 : 1의 비율로 혼합하고, 물의 존재하에서 복합화 반응을 실시하고, 여과, 건조, 분쇄 후 처리를 하여 비표면적 540 m2/g을 가지는 복합 흡착제 분말을 얻었다. 다음에 굴을 삶은 국물(고형분 6.2 중량%) 1200g을 스테인레스용기에 넣어서, 얻은 복합 흡착제 분말 25g을 첨가하고 30℃의 온도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 5C 정량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담황색의 투명한 굴엑기스액을 얻었다(제1공정). 이 굴엑기스액을 상기한 측정법에 따라 측정한 크로마토그램을 제5도에 도시한다. 다음에 제2공정으로 얻은 굴엑기스액 1000g을 2l의 가지모양의 프라스크에 담아서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133g의 점조한 호박색의 굴엑기스액 농축물을 얻었다(제2공정).
본품의 고형분농도를 측정한 결과 45중량%의 농도를 보였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S, 풍미시약결과는 제2표에 표시한 바와같고, 굴엑기스액 농축물로서 극히 우수한 상품가치를 지니는것이었다.
[실시예 4]
국을 삶은 국물(고형분 6.2 중량%) 1200g을 스테인레스용기 담아, 639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합성층상 피로규산마그네슘(水澤化學工業製商品名 미즈카나이트 R) 18g과 활성탄(武田藥品工業製强力白鷺) 6g을 첨가하여 30℃의 온도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 5C 정량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한 담황색의 투명한 굴엑기스액을 얻었다(제1고정). 이 굴엑기스액을 실시예1과 같이 크로마토그램을 측정했다.
다음에 제1공정에서 얻은 굴엑기스액 1000g을 2l의 가지 모양의 프라스크에 담아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154g의 점조한 호박색의 굴엑기스의 농축물을 얻었다(제2공정).
본품의 고형분농도를 측정한 결과 39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S 및 제5도의 크로마타그램 비교결과, 풍미시험결과는 제2표의 표시와 같고, 굴엑기스액 농축물로서 극히 우수한 상품가치를 지니는 것이었다.
[실시예 5]
굴을 삶은 국물(고형분 6.2 중량%) 1200g을 스테인레스용기 담아, 168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합성하이드로탤사이트 60g와 활성탄(武田藥品工業製 카르보라핀) 7.2g을 첨가하여 30℃의 온도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 5C 정량여지를 사용하여 여과시키면 담황색의 투명한 굴엑기스액을 얻었다(제1고정). 이 굴엑기스액을 실시예1과 같이 크로마토그램을 측정했다.
다음에 제1공정에서 얻은 굴엑기스액 1000g을 2l의 가지 모양의 프라스크에 담아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143g의 점조한 호박색의 굴엑기스의 농축물을 얻었다(제2공정).
본품의 고형분농도를 측정한 결과 42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S 및 제5도의 크로마타그램 비교결과, 풍미시험결과는 제2표의 표시와 같고, 굴엑기스액 농축물로서 극히 우수한 상품가치를 지니는 것이 었다.
[실시예 6]
실시예3의 제2공정에서 얻은 굴엑스 농축물 100g을 직경 30cm의 유리접시에 담아 1056℃로 조정한 온 건조시에 넣어 8시간 건조하여 굴엑기스 고형품을 얻었다. 그 고형품을 탁상형 샘플밑에서 분쇄하여 호박색의 굴엑기스 분말을 얻었다.
본 굴엑기스 분말을 증류수를 사용하여 5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것의 흡광스펙트럼에서 산출한 흡광도 적분치S 및 크로마토그램 비교결과, 풍미시험 결과는 제2표의 표시와 같고 굴엑기스 분말로서 극히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7]
굴을 삶은 국물(고형분 6.2중량%) 1200g을 2l의 가지모양의 프라스크에 담아 639m2/g 비표면적을 가지는 합성층상 피로규산 마그네슘(水澤化學工業製 미즈카나이트 R) 18g과 활성탄(武田藥品工業製强力白鷺) 6g을 첨가하여 로우타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흡착제를 함유하는 211g의 점조한 굴엑기스 농축물을 얻었다(제1공정).
이 농축물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크로마토그랩을 측정했다.
다음에 제1공정에서 얻은 굴엑기스 농축물을 소형 원심분리기(5,000g)를 사용하여 흡착제를 분리제거하여 165g의 점조한 호박색의 굴엑기스 농축물을 얻었다(제2공정).
본 품의 고형분농도를 측정한 결과 41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S 및 제5도의 크로마토그램 비교결과와 풍미시험결과는 제2표와 같고, 굴엑기스 농축물로서 극히 우수한 상품가치을 지니고 있었다.
[실시예 8]
굴을 삶은 국물(고형분 6.2 중량%) 1200g을 가지모양으로 프라스크에 담아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80℃의 온도로 농축하여 300g의 불투명한 갈색의 굴엑기스부분 농축물을 얻었다 (제1공정).
다음에 제1공정에서 얻은 부분농축물 300g을 639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합성층상 피로규산마그네슘(水澤化學工業製 미즈카나이트 R) 18g과 활성탄(武田藥品工業製强力白鷺) 6g을 이버포레이터의 진공압을 상압으로 환원시킨 즉시 첨가하여 30℃의 온도로 60분간 교반한 것을 소형 원심분리기(5,000G)를 사용하여 흡착제를 분리제거하면 호박색의 고형분농도 25중량%의 굴엑기스 부분농축물 260g을 얻어졌다(제2공정).
이 농축물을 실시예1과 같이 크로마토그램을 측정했다.
다음에 제2공정에서 얻은 정제부분 농축 굴엑기스액 250g을 1l의 가지모양 프라스크에 담아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152g의 점조한 호박색의 굴엑기스 농축물을 얻었다.(제3공정).
본 품의 고형분농도를 측정한 결과 41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S 및 제5도의 크로마토그램 비교결과와 풍미시험결과는 제2표에 표시한 바와 같고와, 굴엑기스 농축물로서 극히 우수한 상품가치을 지니고 있었다.
[비교예 1]
국을 삶은 국물(고형분 6.2 중량%)을 흡착제를 첨가하지 않고 No.5C 정량여기를 사요하여 여과하고, 불용분과 협잡물을 제거한 굴엑기스 원액을 얻었다(제1공정).
이 굴엑기스원액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크로마토그램을 측정했다. 다음에 제1공정에서 얻은 굴엑기스액 1000g을 2l의 가지 모양의 플라스크에 담아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서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144g의 점조한 흑갈색의 굴엑기스 농축물을 얻었다.(제2공정).
본품의 고형분농도를 측정한 결과 43중량%의 농도를 나타냇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 S 및 제5도의 크로마토그램 비교결과와 풍미시험결과는 제2표에 표시한 바와 같고 흑색이 강한 착색이 심하고 이미이취도 있고 풍미가 없는 것이었다.
[비교예 2]
굴을 삶은 국물(고형분 6.2 중량%) 1200g을 스테인레스용기 담아 활성탄(武田藥品工業製强力白鷺) 6g을 첨가하여 30℃의 온도로 30분가 교반한 것을 No. 5C 정량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다시 원심분리기(5,000 G)로 여과가 덜된 활성탄을 분리하고, 약간점은 색을 지닌 담황색의 투명한 굴엑기스액을 얻었다(제1고정).
이 굴엑기스액을 실시예1과 같이 크로마토그램을 측정했다.
다음에 제1공정에서 얻은 굴엑기스액 1000g울 2l의 가지몽양의 프라스크에 담아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150℃의 점조한 측갈색의 굴엑기스의 농축물을 얻었다(제2공정).
본품의 고형분농도를 측정한 결과 40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S 및 제5도의 크로마타그램 비교결과와 풍미시험결과는 제2표의 표시와 같고, 착색이 강하고, 약간 충미에도 결함에 있고 삼춤가치도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3]
굴을 삶은 국물(고형분 6.2 중량%) 1200g을 스테인레스용기 담아 활성탄(武田藥品工業製强力白鷺) 15g을 첨가하여 30℃의 온도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 5C 정량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다시 원심분리기(5,000 G)로 여과가 덜된 활성탄을 분리하여 약간 황색을 띤 투명한 굴엑기스액을 얻었다(제1공정).
이 굴엑기스액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크로마토그램을 측정했다.
다음에 제1공정에서 얻은 굴엑기스액 1000g울 2l의 가지모양의 플라스크에 담아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150℃의 점조한 호박색의 굴엑기스 농축물을 얻었다(제2공정).
본 품의 고형분농도를 측정한 결과 38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S 및 제5도의 크로마토그램 비교결과, 풍미시험 결과는 제2표의 표시와 같고, 착색은 적으나 맛과 풍미에 결합이 있었다.
[비교예 4]
굴을 삶은 국물(고형분 6.2 중량%) 1200g을 1의 가지 모양 플라스크에 담아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서 90℃의 온도에서 농축하여 230g의 점조한 흑갈색 띠는 고형분 농도 35중량%의 굴엑기스 농축물을 얻었다.(제1공정)
다음에 제1공정에서 얻은 굴엑시스 농축물 200g울 스테인레스용기에 담아 639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합성층상 피로규산 마그테슘(水澤化學工業製 미즈카나이트
Figure kpo00012
)19g와 활성탄(武田藥品工業製强力白鷺) 19g을 첨가하여 20℃의 온도로 30분간 교반한 것을 소형 원심분리(5,000 G)를 사용해서 흡착제를 분리제거하여 흑갈색 굴엑기스 농축물을 얻었다(제1공정).
이 농축물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크로마토그램을 측정했다.
본 품의 고형분농도를 측정한 결과 31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S 및 제5도의 크로마토그램 비교결과, 풍미시험 결과는 제2표의 표시와 같고, 강한 흑색의 착색이 심하고, 이미이취도 있고 풍미가 없는 것이었다.
[비교예 5]
시판의 농축 굴엑기스(홍콩산 오이스터소오스) 100g을 증류수 100g을 사용하여 희석하고, 고형분 농도 21중량%의 희석액을 얻었다. 이 희석액을 원심분리 (5,000G)을 사용하여 불용분, 협잡물을 분리하여 고형분 16중량%의 갈색의 투명한 굴소오스액을 얻었다. 또 원심분리기지의 찌꺼기는 다량의 페이스트상의 전분이었다. 희석, 원심분리한 본 굴엑기스액을 증류수를 사용해서 5중량%의 농도로 희석한 경우 흡광스펙트럼에서 산출한 흡광적분치 S 및 실시예1과 동일하게 측정한 크로마토그램의 제5도와의 비교결과, 풍미시험결과는 제2표와 같고, 굴엑기스액으로는 착색이 강하고, 풍미도 약간 부족한 것이었다.
[표 2]
Figure kpo00013
표(1)은 고형분 5중량%로 희석한 굴엑기스의 풍미결과이고, 표(2)는 농축엑기의 풍미결과이다.
[실시예 9]
굴을 삶은 즙(고형분 6.2 중량%) 1200g, 가다랭이 엑기스(고형분 농도 1.17중량%) 350g, 닭뼈다귀엑기스(고형분 농도 1.06중량%) 220g 및 다시마엑기스(고형분 농도 0.82중랑%) 200g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담아. 다음에 합성층상 피로규산마그테슘과 활성탄을 중량비 3:1의 비율로 혼합하여 물 존재하에 복합 반응을 실시하여 여과, 건조, 분쇄의 후처리를 하여 비표면적 540m2/g을 가지는 복합 흡착제 분말 25g을 첨가하여 30℃의 온도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5C 정량 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며, 담황색의 투명한 복합 조미료 조성물액이 얻어졌다(제1공정)
이어서 이 조성물액 1000g을 2의 가지 모양 프라스크에 담아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서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158g의 점조한 호박색의 복합 조미료 농축물을 얻었다(제2공정).
본품의 고형분을 측정한 결과 41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흡광도 적분치 S는 96이고, 풍미시험의 평가치(5중량% 희석물)는 9.8이었다. 이러한 농축물은 복합 조미료 조성물로서 극히 우수한 상품 가치가 있음을 알수 있다.
[실시예 10]
굴을 삶은 즙(고형분 6.2 중량%) 1200g, 가다랭이 엑기스(고형분 농도 1.45중량%) 400g, 닭뼈다귀엑기스(고형분 농도 1.06중량%) 300g 및 다시마엑기스(고형분 농도 0.82중량%) 250g, 및 배추 엑기스(고형분 농도 0.95중량%) 200g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담아 이어서 실시예9에서 사용한 복합 흡착제 분말 25g을 첨가하고, 30℃의 온도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5C 정량 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담황색의 투명한 복합조미료 조성물액이 얻어졌다.
이어서 이 조성물액 1000g을 2l의 가지모양 프라스크에 담아 실시예9와 동일하게 농축하여 160g의 점조한 호박색의 복합조미료 농축물을 얻었다.
본품의 고형분을 측정한 결과 39중량의 농도를 나타냇다.
본품 흡강도 적분치 S는 92이고, 풍미시험의 평가치(5wt% 희석물)는 9.7이었다.
[실시예 11]
굴 삶은 즙(고형분 6.2 중량%) 1200g, 가다랭이 엑기스(고형분 농도 1.45중량 %) 500g, 닭뼈다귀엑기스(고형분 농도 1.06중량%) 400g 및 다시마엑기스(고형분 농도 0.82중량%) 300g, 그래뉼당 1.5g 및 쌀식초 4.5g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담아, 이어서 실시예1에서 사용한 복합 흡착제 분말 25g을 첨가하고 30℃의 온도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5C 정량 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담황색의 투명한 복합조미료 조성물액이 얻어졌다. 이어서 이 조성물액 1000g을 2l의 가지모양 프라스크에 담아 실시예9와 동일하게 농축하여 165g의 점조한 호박색의 복합 조미료 농축물을 얻었다.
본품의 고형분을 측정한 결과 38.5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는 90이고, 풍미시험의 평가치(5wt% 희석물)는 9.8이었다.
[실시예 12]
굴 삶은 즙(고형분 6.2 중량%) 1200g, 가다랭이 엑기스(고형분 농도 2.565중량%) 1450g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담아, 이어서 비표면적 640m2/g의 합성층상 피로규산 마그네슘 60g을 첨가하여 30℃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5C 정량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며, 담황색의 투명한 복합 조미료 조성물액이 얻어졌다. 다음에 이 조성물액 1000g을 실시예9와 동일하게 농축하여 200g의 점조한 호박색의 복함조미료 농축물을 얻었다.
본품의 고형분을 측정한 결과 42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 S는 98이고, 풍미시험의 평가치(5wt% 희석물)는 9.9이었다.
[실시예 13]
굴을 삶은 즙(고형분 6.2 중량%) 1200g, 가다랭이 엑기스(고형분 농도 1.45중량%) 500g, 닭뼈다귀엑기스(고형분 농도 1.06중량%) 300g, 다시마엑기스(고형분 농도 0.82중량%) 300g, 및 배추엑기스(고형분 농도 0.95중량%) 300g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담아 이어서 639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합성층상 피로규산 마그네슘(水澤化學工業製 미즈카나이트
Figure kpo00014
) 18g와 활성탄(武田藥品工業製强力白鷺) 6g을 첨가하여 30℃의 온도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5C 정량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담황색의 투명한 복합 조미료 조성물액을 얻어졌다. 이어서 이 조성물액 1000g을 2l의 가지모양 프라스크에 담아 실시예9와 동일하게 농축하여 165g의 점조한 호박색의 복합조미료 농축물을 얻었다. 본품의 고형분을 측정한 결과 38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적분치 S는 78이고, 풍미시험 결과는 9.3이었다.
[실시예 14]
굴 삶은 즙(고형분 농도 6.2 중량%) 1200g을 가다랭이 엑시스(고형분 농도 1.45중량%) 400g, 닭뼈다귀엑기스(고형분 농도 1.06중량%) 300g 및 다시마엑기스(고형분 농도 0.82중량%) 250g, 및 배추 엑기스(고형분 농도 0.95중량%) 200g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담아 이어서 636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합성층상 피로규산 마그네슘 18g을 활성탄 6g을 첨가하여 로우터리이버포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90℃의 온도로 농축하여 흡착제를 함유하는 210g의 점조한 복합 조리료 농축물을 얻었다.
이어서 이 농축물을 소형 원심분리기(5.000 G)을 사용해서 츱착제를 분리제거하여 170의 점조한 호박색의 복합 조미료 농축물을 얻었다. 본 품의 고형분 농도를 측정한 결과 41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 품의 흡광적분치 S는 69, 풍미시험 결과는 9.6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9에서 얻은 시료 번호 PC-1의 복합 조미료 농축물 200g을 직경 30cm의 유리 접시에 담아. 105℃로 조정한 항온 건조기에 넣어 8시간 건조하여 굴엑기스 고형분을 얻었다. 이 고형품을 탁상형 샘플미일을 분쇄하여 호박색의 복합 조미료 조성물인 비교적 담백한 분말을 얻었다.
본 조성물 분말을 증류수를 사용하여 5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것의흡광 스펙트라에서 산출한 츱광도적분치 S는 78, 풍미시험 결과는 9.6이었다.
[실시예 16]
실시예9에서 얻은 시료 번호 PC-1의 복합 조미료 농축물 1580g에 유당 240g을 첨가하고, 잘 용해한 후 프로이트산업(주)제의 스프레이드라이어 L형을 사용하여 복합 조미료 조성물의 건조분말 800g을 회수했다. 이어서 이 분말을 프로인트산업(주)제의 TF-MINI형 로러콤팩터 소형 조립기를 사용해서 과립상 복합 조미료 750G을 회수했다.
이어서 본품을 수중에 분사시켰으나 극히 용해성이 우수한 보슬보슬한 과류품이었다. 본 과립품을 증류수를 사요해서 5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것의 흡광 스펙트라에서 산출한 흡광도적분치 S는 76, 풍미시험 결과는 9.8이었다.
[실시예 17]
실시예11에서 얻은 시료번호 PC-2의 복합 조미료 농축물액 1200g을 실시예11과 동일한 스프레이드라이어로 건조하여 분말 500g을 회수했다. 이어서 이 분말을 프로인트산업(주)제의 FL-ML-MINI형 플로코더 유동층 조립기에 넣어 유동시킨 후, 이어서 500g의 덱스트린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스프레이하여 과립상의 복합 조미료 1100g을 얻었다.
이어서 본품을 수중에 분사시켰으나 실시예16과 동일하게 극히 용해성이 우수하고 보슬보슬한 과립품이었다.
본 과립품을 흡광도적분치 S는 77, 풍미시험결과는 9.7이었다.
[실시예 18]
굴의 착즙(捉汁)(고형분농도 8.5중량%) 1200g, 가다랭이 엑기스(고형분 농도 2.565중량%) 400g, 닭뼈다귀엑기스(고형분 농도 1.06중량%) 400g 및 다시마엑기스 (고형분 농도 0.82중량%) 300g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담아, 이어서 합성층상 피로규산 마그네슘과 활성탄을 중량비 2 : 1의 비유로 혼합하여 물의 존재하에서 복합화 반응을 실시하여 여과, 건조, 분쇄의 후처리를 하고, 비표면적 580m2/g을 가지는 복합 흡착제분말 30g을 첨가하고 30℃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5C 정량 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담황색의 투명한 복합 조미료 조성물액을 얻었다. 이어서 이 조성물액 1000g을 2l의 가지 모양 프라스크에 담아 실시예9와 동일하게 농축해서 185g의 점조한 호박색의 복합 조미료 농축물을 얻었다.
본품의 고형분을 측정한 결과 48중량%의 농도르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 S는 68, 풍미시험 결과느 9.5이었다.
[실시예 19]
굴의 착즙(고형분농도 16중량%) 1200g, 가다랭이 엑기스(고형분 농도 0.825중량%) 1500g 스테인레스 용기에 담아, 이어서 합성층상 피로규산 마그네슘과 활성탄을 중량비 8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물의 존재하에서 복합화 반응을 실시하여 여과, 건조, 분쇄의 후처리를 하고, 비표면적 600m2/g을 가지는 복합 흡착제분말 20g을 첨가하고 30℃의 온도에서 40분간 교반한 것을 No.5C 정량 여지를 사용해서 여과하여 담황색의 투명한 복합 조미료 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이 조성물액 1000g을 2l의 가지 모양 프라스크에 담아 실시예9와 동일하게 농축하여 210g이 점조한 호박색의 복합 조미료 농축물을 얻었다.
본품의 고형분을 측정한 결과 49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적분치 S는 64, 및 풍미시험 결과는 9.8이었다.
[실시예 20]
굴 삶은 즙(고형분농도 6.2중량%) 1200g, 고등어 엑기스(고형분 농도 1.85중량%) 250g, 모시조개엑기스(고형분 농도 1.95중량%) 300g 및 다시마엑기스(고형분 농도 0.82중량%) 300g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담아, 이어서 8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합성층상 피로규산 마그네슘 (水澤化學工業製 미즈카나이트
Figure kpo00015
)18g과 활성탄(武田藥品工業製强力白鷺)6g을 첨가하여 30℃의 온도로 30분간 교반한 것을 No.5C 정량 여지를 사용해서 여과하여 담황색의 투명한 복합 조미료 조성물액을 얻었다. 이어서 이 조성물액 1000g을 2l의 가지모양 프라스크에 담아, 실시예1와 동일하게 농축해서 160g의 점조한 호박색의 복합 조미료 농축물을 얻었다.
본품의 고형분을 측정한 결과 39중량%의 농도를 나타냈다. 또 본품의 흡광도 적분치 S는 75, 풍미시험 결과는 9.6이었다.

Claims (10)

  1. 고형분 농도가 30중량%이하의 굴에기스액에 비표적이 50m2/g이상의 물불용성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을 주성분으오 하는 흡착제를 작용시켜서 흡착정제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정제액을 실질상 비산화 분위기 중에서 고형분 농도가 5중량%이상이 되도록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필수성분으로 아미노산, 단백질 및 당류를 함유하는 동시에 5중량%이상의 고형분을 함유하고, 또, 하기식으로 정의되는 흡광도적분치S가 200이하의 범위에 있는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6
    상기식에서ε(x)는 고형분 농도 5중량%의 용액에 대하여 두께 10m/m의 셀을 사용해서 측정했을 때의 파장×나노미터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표시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을 굴엑기스당 0.5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엑기스 농축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이 층상 피로규산 마그네슘염인 것을 특징으로 굴엑기스 농축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흡착제가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과 활성탄과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굴엑기스 농축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을 0.5내지 20중량% 및 활성탄을 0.1내지 5중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엑기스 농축물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 및 활성탄을 통시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엑기스 농축물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 및 활성탄을 이 순서 또는 반대의 순서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엑기스 농축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흡착 정제 처리를 0내지 100℃의 온도에서 1분 이상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엑기스 농축물의 제조방법.
  9. (i)천연산 또는 양식산의 굴을 소재로한 고형분 농도가 30중량% 이하인 주재굴엑기스액과 (ii)어패류, 해초류, 닭뼈다귀, 야채류 및 곡류에서 선택되고 고형분 농도가 1내지 40중량%인 적어도 1종류의 소재 엑기스액을 혼합하여 제조된 복합조미료 조성물에 비표면적이 50m2/g이상인 물불용성 무기 마그네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흡착제를 작용시켜서 흡착정제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정제액을 실질상을 비산화 분위기중에서 고형분 농도가 5중량%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아미노산, 단백질 및 당류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하고, 고형분이 5중량%이상인 동시에 하기식으로 정의되는 흡광도 적분치 S가 200이하의 범위에 있는 복합 조미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7
    식중ε(X)는 고형분 농도 5중량%의 용액에 대하여 두께 10m/m의 셀을 사용하여 측정했을 때의 파장×나노미터에 있어어의 흡과도를 표시한다.
  10. 제9항에 있어서, 주재 굴엑기스액(i)이 고형분 농도 기준으로 50 내지 90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미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870000381A 1986-01-17 1987-01-17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의 제조방법 KR930000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6371 1986-01-17
JP61006371A JPS62166866A (ja) 1986-01-17 1986-01-17 カキエキス濃縮物の製法及び濃縮物
JP6371 1986-01-17
JP61064820A JPS62224255A (ja) 1986-03-25 1986-03-25 新規な複合調味料組成物
JP64820 1986-03-25
JP61-64820 1986-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853A KR870006853A (ko) 1987-08-13
KR930000828B1 true KR930000828B1 (ko) 1993-02-06

Family

ID=2634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381A KR930000828B1 (ko) 1986-01-17 1987-01-17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70894A (ko)
EP (1) EP0232035B1 (ko)
KR (1) KR930000828B1 (ko)
ES (1) ES2015571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3257B1 (en) * 1987-03-20 1993-01-13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Edible composition
JPS6427454A (en) * 1987-07-22 1989-01-30 Mizusawa Industrial Chem Concentrated shellfishes and production thereof
JPH0642821B2 (ja) * 1990-11-21 1994-06-08 義美 安藤 粉末オイスタージユー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粉末オイスタージユース組成物による生鮮食品の鮮度保持法
JP3429726B2 (ja) * 2000-04-12 2003-07-22 日本クリニック株式会社 牡蠣肉エキスの製造方法
US7438976B2 (en) * 2002-06-20 2008-10-21 Ngx, Inc. Nano-talc powders of high specific surface area obtained by hybrid milling
US20070065562A1 (en) * 2005-09-16 2007-03-22 Motts Llp Tomato-based alcoh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8202561B2 (en) * 2005-09-16 2012-06-19 Mott's Llp Tomato-based alcoh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8101218B2 (en) * 2007-04-02 2012-01-24 Minus Leslie J Nutritional beverage formulation
KR101027309B1 (ko) * 2008-08-21 2011-04-06 신용운 굴 추출물이 첨가된 야채드레싱
US20100119667A1 (en) * 2008-11-12 2010-05-13 Anthony Livaich Ready-to-drink alcoholic beverage
CA2778602C (en) 2009-10-28 2016-11-29 Clearwater Seafoods Limited Partnership Mollusc process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11414584B2 (en) 2018-09-04 2022-08-16 Saudi Arabian Oil Company Viscosity supporting additive for water-based drilling and completions fluids
CN112639048A (zh) 2018-09-04 2021-04-09 沙特阿拉伯石油公司 合成官能化添加剂、合成的方法和使用的方法
US11898084B2 (en) 2018-09-04 2024-02-13 Saudi Arabian Oil Company Suspension supporting additive for water-based drilling and completions fluids
EP4007495A4 (en) 2019-08-01 2023-08-16 Clearwater Seafoods Limited Partnership SHELLFISH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WO2021174258A1 (en) * 2020-02-26 2021-09-02 Saudi Arabian Oil Company Viscosity supporting additive for water-based drilling and completions fluid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1541A (en) * 1921-03-15 Process eor th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oyster liquor
US66732A (en) * 1867-07-16 noble
US1155743A (en) * 1913-10-13 1915-10-05 George P Lehritter Condensed molluscous food preparation and process of making same.
GB225949A (en) * 1923-09-14 1924-12-15 Heinrich Kraemer Process for the industrial utilisation of fish and fish waste
FR901975A (fr) * 1943-02-17 1945-08-14 Philips Nv Procédé de préparation d'aromes alimentaires
US3734734A (en) * 1964-01-22 1973-05-22 Synergistics Deproteinizing protein-containing solutions
FR1401655A (fr) * 1964-06-23 1965-06-04 Produits alimentaires dérivés des huîtres et leur procédé de fabrication
US3940498A (en) * 1974-09-03 1976-02-24 Johns-Manville Corporation Chill-proofing with synthetic magnesium silicates
JPS51136865A (en) * 1975-05-20 1976-11-26 Shinji Kurihara Production of animal edible seasonings
CH641646A5 (fr) * 1979-12-07 1984-03-15 Maggi Ag Procede de fabrication d'un agent aromatisant.
JPS6018381A (ja) * 1983-07-12 1985-01-30 Fuji Xerox Co Ltd インクドナ−フイルムカセツト
JPS6087769A (ja) * 1983-10-19 1985-05-17 Sanei Suisan Kk かき濃縮エキスの製造方法
JPS60160858A (ja) * 1984-01-31 1985-08-22 Shokuhin Sangyo Maku Riyou Gijutsu Kenkyu Kumiai 減塩カキ風味調味液
JPS6181763A (ja) * 1984-09-28 1986-04-25 T Hasegawa Co Ltd 貝類エキスの製造方法
JPS61119165A (ja) * 1984-11-16 1986-06-06 Shokuhin Sangyo Makuriyou Gijutsu Kenkyu Kumiai 減塩カキ風味調味液
US4684530A (en) * 1985-10-04 1987-08-04 W. R. Grace & Co. Adsorption of proteins from fl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853A (ko) 1987-08-13
EP0232035B1 (en) 1990-05-02
EP0232035A1 (en) 1987-08-12
US4770894A (en) 1988-09-13
ES2015571B3 (es) 199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828B1 (ko) 굴엑기스 탈색 농축물의 제조방법
CN101522058B (zh) 甜化组合物和制备它们的方法
JP6494509B2 (ja) スウィートジュース組成物の製造方法
TWI388286B (zh) 純化茶萃取物之製造方法
EP2592064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purified chlorogenic acid-containing pharmaceutical preparation
JP5079373B2 (ja) 精製クロロゲン酸類の製造方法
JP2008094758A (ja) クロロゲン酸類組成物の製造方法
US11072709B2 (en) Method for removing geniposide or genipin or both
US20090053384A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Plant Extract
US4968523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shellfish extract concentrate, and shellfish extract concentrate
CN100523164C (zh) 抗光诱导的味道变化的饮料和食品、其制备方法以及赋予这种抗性的组合物
JP3790648B2 (ja) ダシ類の製造方法
EA011073B1 (ru) Напитки и пищевые продукты, устойчивые к изменению вкуса под действием света,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и, обеспечивающие такую устойчивость
JPS6357026B2 (ko)
JPS58209954A (ja) カキエキス粉末とその製造方法
KR101975296B1 (ko)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퉁퉁마디 유래의 5-deoxy-irilin B를 함유하는 염미소스
JP4306987B2 (ja) 表面硬質の固形物からの有効成分の抽出法および該有効成分を含有する食用組成物
JPH0461630B2 (ko)
JPS6040822B2 (ja) 甘味物の製造方法
JP4677393B2 (ja) 精製クチナシ抽出物
JP2003144102A (ja) 海藻エキスの精製法および該精製海藻エキス含有茶飲料
JP6029390B2 (ja) キサントフモール/シクロデキストリン包接複合体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利用
KR102234150B1 (ko) 해삼 유래 소금, 이를 이용한 비누 및 이의 제조 방법
JP3649310B2 (ja) 動物性調味料
US20220287339A1 (en) Raw-material concentrate with enhanced flav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