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90B1 - 진동감쇠장치 및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진동감쇠장치 및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90B1
KR900006590B1 KR1019870011098A KR870011098A KR900006590B1 KR 900006590 B1 KR900006590 B1 KR 900006590B1 KR 1019870011098 A KR1019870011098 A KR 1019870011098A KR 870011098 A KR870011098 A KR 870011098A KR 900006590 B1 KR900006590 B1 KR 900006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relative
valve
brake assembly
brak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791A (ko
Inventor
알 밀 러 란
Original Assignee
로드 코포레이숀
제임스 떠블유 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4329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659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드 코포레이숀, 제임스 떠블유 라이트 filed Critical 로드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8000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16F15/02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comprising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20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the piston-rod extending through both ends of the cylinder, e.g. constant-volume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6Fluid actuator using a pump, e.g. in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of the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동감쇠장치 및 작동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어 작동될 수 있는 반능동형 제동기를 갓는 진동 감쇠현가 또는 취부장치의 부분 개략도.
제2도는 상이한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하나의 수동형 제동기와 두개의 반능동형 제동기의 작동의 컴퓨터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작성된 전달가능성 곡선의 그래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되어 작동될 수 있는 반능동형 제동기를 갖는 진동감쇠장치의다른 실시예의 부분. 개략도.
본 발명은 반능동형의 제동기를 최소한 하나 결합한 진동감쇠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그와같은 제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량된 방법 밋 수단에 관한 것이다.
오랫동안 제동기가 자동차의 현가장치 같은 진동 및/또는 충격감쇠장치에 사용되어 왔다.
제동기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지만 통상 오리피스 또는 통로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가변용적 체임버를 갗는 피스톤과 실린더 조립체로 구셩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하여 작동유체가 이동되며, 오리피스에 의하여 그와 같은 작동유체가 오리피스의 크기의 함수인 정도로 조절된다. 대부분의 그와같은 제동기는 제동기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일정간격 이격된 부재(예컨대 자동차의 본체 및 프레임)의 상대 운동에 응답하여서만 제동력을 발생하면서 신창 및 압축을 받는 완전히 수동형의 것이다. 수동형 제동기의 제동력은 항상상대운동에 대항하며 어떤 작동 조건하에서는 제동기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부재 사이로 진동이나 힘의 전달을 감쇠시키기 보다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게 중폭시킨다.
수동형 제동기의 상술한 제한은 완전 능동형 제동기에는 없다. 피스톤이나 실린더 조립체 이의에 능동형유체 제동기는 펌프 또는 이와 유사한 가압 유체 공급원을, 이와 같은 유체 공급원과 조립체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조질하는 속도제어수단과 함께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동기에 의하여 발생된 제동력의 크기 및 방향을 입력 또는 여진 속도에 사실상 무관계로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진동감쇠가 우수하게 얻어진다. 그러나 수동형 제동기에 비하여 능동형 제동기의 상술한 이점은 이들이 통상펌프 또는 이와 유사한 고압유체 공급원을 포함하고 있어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고 부피가 크고 무거우므로 상당한 정도로 상쇄된다. 상술한 요인 중의 어느 하나라도 많은 용도에 대하여 능동형 제동기를 부적당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른 바 반능동형의 제동기도 있다. 반능동형 제동기는 펌프 또는 기타 가압유체의 공급원을 포함하지 않으며, 또 단지 제동기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부재 사이의 상대운동에 응답하거나 상대운동에 반항하여서만 제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동형 제동기와 유사하다. 반능동형 제동기는 단지 제한된 범위이긴 하지만 제동기에 의하여 발생된 제동력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능동형 제동기와 유사하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반능동형 제동기는 작동중에 제동기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부재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발생원 제동력의 크기를 소망하는 때에 감소시킬 수 있다. 그와 같은 제어는 제동기의 가변용적 체임버를 상호 연결하는 오리피스 또는 통로와 관련된 조절 가능한 밸브수단을 제동기의 작동 중 밸브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제어수단과 함께 설비함으로써 실현된다. 간단한 반능동형 제동기는 오랫동안 극도의신장 또는 압축 중에 제동기가 바닥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등등의 특수한 목적에 사용되어 왔다.이들 제동기는 특정의 한정된 목적에는 만족할 수 있지만 이들이 달성하는 진동감쇠의 정도는 수동형 제동기에 의하여 실현된 것과는 현저히 다르지 않으며, 능동형 제동기에 의하여 실현된 것에 접근하지 못한다.
통상적인 형태의 반능동형 제동기와는 달리 미국특허 제3,807,678호에 기술된 제동기는 필적하는 능동형제동기에 의하여 실현된 것에 접근하는 진동감쇠 또는 절연의 정도를 달성하도록 구성되어 이를 달성하고있다. 이와 같은 특허에 발표된 형태의 반능동형 제동기는 이상적으로는 그 효과가 절연하고자 하는 부재에 진동력이나 충격력의 전달을 감쇠시킬 수 있을때만 상당한 크기의 제동력을 발생하여야 한다. 다른 때에는 제동기는 이상적으로 어떠한 제동력도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이상적인 결과는 실제로 완전히 실현될 수 없지만 그에 접근될 수는 있고 그 결과 얻어지는 높은 정도의 진동감쇠 또는 절연을 제동기가 적당한 제어방식에 따라 작동될 때 달성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3,807,678호에 밭표된 그와 같은 한가지 방식은 제동기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피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순시 상대속도의 결정 및 피지지부재의 순시 절대속도의 결정에 기초하고 있다. 상술한 절대속도와 상대속도의 적(積)이 제로(0)보다 큰 경우 그 제어수단은 피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그 때 발생하는 상대운동으로부터 실현할 수 있는 완전한 크기의 제동력, 또는 피지지부재를 바람직하지 않게 변위시키는 경향을 그 때 갖고 있는 힘을 상쇄시키기에 적합하게 감쇠되었으나 여전히 상당한 크기의 제동력을 제동기가 발생하도록 한다. 상술한 적이 제로 이하인 경우 제동력은 최소(이상적으로 제로)크기를 갖도록 된다. 상술한 제어방식은 우수한 결과를 발생한다. 그러나 이는 피지지부재의 절대속도가 용이하게 직접 확인될 수 없고 때때로 피지지부재와 관련된 가속도계로부터 수신한 출력자료의 적분에 의하는 등의 간접 방식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현하기가 약간 곤란하고 비용도 많이 든다. 이와 같이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드는 실시 방법은 이 제어방식의 가치를 감손시키며 몇몇 반능동형 제동기의 용도에 대하여 부적당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완전히 능동적인 제동기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는 것에 접근하는 상당한 진동감쇠 또는 절연을 달성하는 상술한 형태의 반능동형 제동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개량퇸 방법 및 수단을 제공하여 준다.
본 발명의 제동기는 순시 상대변위와 제동기에 의하여 상호 연결돤 지지부재와 피지지부재 사이의 순시상대속도의 적을 기초로 한 방식에 따라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적이 제로 이하인 경우 이 제어수단은 제동기를 가로지르는 상대운동에 의하여 발생된 제동력이 상당한 크기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적이 제로보다 큰 경우 제어수만은 제동력이 최소(이상적으로는 제로)크기를 갖도록 한다. 상술한 제어방식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센서는 속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적분되며, 또 변위를 부여하기 위하여 이중 적분되는 출력을 갖는 가속도계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고가이며 복잡한 구성요소나 절차의 이용은 요구되지 않으며 센서는 피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상대변위와 속도를 직접 검출하는 보다 간단한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 제어방식은 비교적 간단한 전기적 수단에 의하여 실현되는 반면에 다른 실시예에서 제동기의 제어수단은 순전히 기계적인 형태의 것이다.
미국 특허 제4,491,207호는 미국 특허 제3,807,678흐와 관련하여 이미 기술하였고 또 피지지부재의 절대속도 및 피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상대속도의 적의 부호(즉 + 또는 -)에 기초한 제어방식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된 반능동형 재동기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수직으로 간격을 두고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지지부재(12)와 지지부재(14)를 상호 연결하는 단일 자유도의 현가장치 또는 취부장치(10)의 부분 개략도를 보인 것이다.
예컨대, 상기 부재(12)(14)는 자동차 또는 기타 차량(도시하지 않았음)의 본체 및 프레임의 구성 부품일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장치(10)의 기능중의 하나는 통상 피지지부재(12)를 노면의 불규칙 또는 엔진의 점화 장애 등등에 의하여 지지부재(14)에 전달되는 진동력 및/또는 충격력으로부터 가능한한 절연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기호(X,X')는 각각 피지지부재(12)의 수직변위와 절대속도를 나타내며, 이들은 상향 방향일 때 정(正)이고 따라서 하향 방향일 때 부(負)임을 나타낸다. 이와 유사하게 동일한 부호의 약정과 문사(Y,Y')는 지지부재(14)의 수직변위와 절대속도를 나타낸다. 장치(10)가 정지하고 있을 매 X,X',Y 및 Y'는 모두 제로이다.
장치(10)는 예시적으로 부재(12)(14) 사이에 상호 평행관계로 신장되어 이를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압측스프링수단(16) 및 반능동형 제동기수단(18)올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수만(16)은 이것과 지지부재(14) 사이에 수직운동을 허용하면서 피지지부재(12)에 대한 수직 지지를 부여한다.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기수단(18)은 수압 피스톤과 실린더형의 제동기 조림체(20), 전기적으로 조절 가능한 밸브 수단(22) 및 이후 기술외는 제어방식과 센서(26)(28)로부터 수신된신호자료에 따라 밸브수만(22)의 작동상태를 변경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컴퓨터형의 제어장치(24)를구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장치(24) 밋 센서(26)(28)는 부재(12)(14)의 상대변위 및 속도를 감시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제동기조립체(20)의 실린더 구성부품은 지지부재(14)에 고정되는 반면에 제동기 조립체의 피스톤 봉의 상측단부는 피지지부재(l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부재(12)(14) 사이의 상대 수직운동은 밸브 수단(22) 밋 제동기 조립체(20)의 실린더 구성부품내의 피스톤에 의하여 분리된 체임버(19)(21)를 상호 연결하는 도관(30)을 통하여 작동유체를 번위시킨다. 제동기 조립체(20)의 피스톤 봉은 두개의 체임버 사이에서 변위되는 유체의 양이 그 변위가 제동기 조립체의 압축 또는 신장에 의하여 발생되는가에 관계없이 동일하도록 실린더의 양쪽체임버(l9)(21)를 통하여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동 유체회로에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도시하지 않았음)의 필요를 배제한다. 밸브 수단(22)은 최소한 두개의 상이한 작동위치 또는 상태 사이를 신속히 조절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다.
그의 제1작동 상태에서 밸브수단(22)은 도관(30)을 통하여 유체의 흐름을 현저하게 억제 또는 제한한다. 그 결과 제동기 조립체(20)의 피스톤 구성부품과 실린더 구성부품 사이의 흐름을 발생하는 상대운동을 발생시킨 부재(12)(14)의 그때 발생하고 있는 상대운동에 임의의 수동형 또는 반능동형 제동기에 의하여 발생한힘과 일치하여 대항하는 상당한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밸브 수단(22)의 제2작동 상대에서 밸브수단(22)은 완전히 개방되어 최소한의 제동력만을 발생한다.
밸브수단(22)이 그의 제2상태에 있을 때 전혀 제동력이 발생되지 않는것이 이상적이지만 이는 실제로 불가능하며, 최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결과는 제로에 가까운 최소의 제동력이다. 밸브수단(22)의 작동상태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의 매우 신속한 조절 가능한 변화는 제어장치(24)로부터 전력중폭기(32)를 경유하여 밸브에 전달되는 제어 신흐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다.
제어장치(24)에 따라 미리 프로그램된 제어방식은 부재(12)(14) 사이의 상대변위(X-Y) 및 상대속도(X'-Y')의 적에 기초하고 있다. 상술한 적이 제로보다 적거나 부인 경우, 즉(X-Y)(X'-Y')<0인 경우제어장치(24)는 밸브수단(22)이 그의 제1상태를 점유하도록 하며, 샹당한 제동력은 부재(12)(14)가 서로에대하여 이동될 때 발생된다. 한편 항술한 적이 정 또는 제로보다 큰 경우 즉 (X-Y)(X'-Y')>0인 경우제어장치(24)는 밸브수단(22)이 단지 최소(이상적으로는 제로)의 제동력만이 일어나는 그의 제2상태를 점유하도록 한다. 상대변위(X-Y) 및 상대속도(X'-Y')는 장치(10)가 정지하고 있을 때 각각 제로이다.
제1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장치(24)에 입력자료를 제공하는 센서는 부재(12)(14)의 가속도를 각각 검출하여 신호자료를 전달하는 가속도계(34)(36)일 수 있으며, 상기 신호자료로부터 비교적 고성능의 제어장치(24)가 적분 및 이중 적분 절차에 의하여 상기 두부재의 절대 변위와 속도를 계산하고 그다음더욱이 이들의 상대변위와 속도 및 이들의 적을 계산한다. 그러나 상술한 장치는 약간 고가이며 실시하는데 곤란한 점이 있다. 또한 이는 장치의 조절 가능한 밸브수단이 제어방식에 의하여 감쇠가 요구되는 그러한때에 발생되는 제동력의 크기를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가 가능한 한 제어하도록 적응된 형태의 것이 아닐 때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자료를 제공한다. 밸브수단(22)이 상술한 것보다 간단한 2상태형(TWO-CONDITION TYPE)의 것일 때 가속도계는 필요없으며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대신 제어장치(24)는 상대변위 센서(26) 및 상대속도 센서(28)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 예시적으로 수신하고있으머, 상기 각 센서는 부재(12)(14)의 하나에 연결된 일측단부와 부재(12)(14)의 다른 하나에 연결된 타측단부를 갖고 있다. 센서(26)는 선형 가변 차동번압기(LVDT)인 것이 바람직하고 센서(28)는 선형 속도변환기(LVT)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두 형태의 장치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고 있으며, 다른 가능한 공급원 중에서 미국 뉴저지 펜사우켄의 쉬애비츠 엔지니어령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장치(10)가 정지하고 있을 때 센서(26)(28)의 신호는 제로이다. 센서(26)(28)에 의하여 다른 때에 발생되는 신호의 부호는 부재(12)(14) 사이의 상대변위와 속도의 "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부재(12)(14) 사이의 변위가 이들을 "압축"하는(즉 이들 부재를 이들 부재가 정상시에 있는 것보다 더 근접되게 한다)때에는 센서(26)에 의하여 발생되는 신호는 부이다. 두개의 부재가 신장된 상태 즉 분리된 변위상태에 있을 때 센서(26)에 의하여 발생되는 신호의 부호는 정이다.
이와 유사하게 센서(28)에 의하여 발생되는 신호는 부재(14)의 속도에 대한 부재(12)의 속도가 이들 부재의 "압축"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압축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때 부이며, 이들 부재 사이의 상대속도가이들 부재의 분리를 중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때 정이다. 제어장치(24)의 미리 프로그램원 제어방식을 실시함에 있어 제어장치(24)가 행할 필요가 있는 유일의 "계산"은 센서(26)(26')로부터 수신원 신호가 동일한부호의 것인 상태를 이들의 신호가 반대의 부호의 것인 상태와 구별하는 계산이다. 이는 간단하고 경제척인형태의 제어장치(24)에 의하여 행하여 질 수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전달 가능성 곡선(42)은 본 발명의 제어방식에 마라 작동되는 반능동형 제동기를 갖는 진동감쇠장치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은 것이다. 곡선(44)은 반능동형 제동기가 피지지부재의 절대속도 및 피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상대속도의 적에 기초하여 종래의 제어방식에 따라 작동되는 유사한 진동감쇠장치의 컴퓨터 시뮬레이신으로부터 얻은 것이다 상술한 두개의 경우의 각각에 있어서 반능동형 제동기의 밸브는 단지 두개의 위치 사이로만 이동되며 밸브의 위치가 상당한 크기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되어 있는 동안 그와 같은 제동력의 크기를 조정하고저 하는 시도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2도의 나머지 곡선(46)은 반능동형 제동기 대신에 수동형 제동기를 사용하는 진동감소장치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은 것이다.
세개의 장치의 각각의 감쇠되지 않은 고유 주파수는 1.0 헤르츠였다. 반능동형 제동기를 사용하는 두개의장치에서 제동기는 제동기 제어밸브상태가 상당한 감쇠를 발생하도록 된 것일 때 0.707의 감쇠계수(즉 실제의 감쇠에 대한 임계감쇠의 비) 및 밸브상태가 단지 최소의 감쇠만을 발생히도록 된 것일 때 0.l의 감쇠계수를 갖고 있었다.
곡선(42)을 곡선(44)(46)과 비교함에 의하여 지적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방식에 따라 제어되는 반능동형 제동기를 갖는 장치의 성능(곡선 42)은 반능동형 제동기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의 것(곡선 44)에 접근하지만 그와 아주 동일하지는 않으며, 낮은 여진 주파수에서의 경우를 제외하고 수동형 제동기를 갓는 장치의 성능(곡선 46)보다 명백히 우수하다, 많은 이용면에 있어서 절대속도와 상대속도의 적에 기초한제어방식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어방식을 실현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센서(26)(28) 및 전력증폭기(32)의 보다 저렴한 가격과 보다 큰 신뢰성은 반능동형 제동기를 사용하는 두개의 장치의 성능에 있어서 비교적 적은차이를 보상하는 이상의 것이다.
제3도는 전기적 구성부품의 사용없이 본 발명의 제어방식을 실시하는 진동감쇠장치(48)의 부분 개략도를보인 것이다.
전술한 장치(10)와 마찬가지로 진동감쇠장치(48)는 스프링수단(50)과 반능동형 제동기수단(52)을 갓고 있고, 제동기수단은 피지지부재(56)와 지지부재(58) 사이로 상호 평행한 관계로 신장되는 제동기 조립체(54)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기 조립체(54)는 그 피스톤(59)이 피스톤을 관통하여 신장하고 있는 작은 통로(60)를 갗고 있는 점에서 장치(10)의 전술한 제동기 조립체(20)(제1도)와 상이하다. 제동기수단(52)은 지지부재(58) 및 제동기 조립체(54)의 실린더 구성부품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고착된 본체부품(64)을 갖는 스풀상 밸브수단(62)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밸브수단(62)의 밸브부품(66)은 스프링수단(68)에 의하여 피지지부재(56)에 연결된 상측단부를 수직으로 신장하는 스템부분에 한쌍의 확대부분을 갖고 있다. 스프링수단(50)의 강성에 대하여 매우 낮은 강성을 갖는 스프링수단(68)은 밸브부품(66)을 부재(56)(58)가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또는 "신장"상태에 있을 때 도시된 상향 즉 제1위치로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부재(56)(58)가 "압축"상태에 있을 때 하향 즉 제2위치로 밸브부품(66)이 수직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동기 조립체(54)의 실린더 구성부품내의 유체함유 체임버(69)(70)는 공통단부 부분과 피스톤 통로(60)의 단면적보다 현저히 큰 단면적을 갖는 두개의 통로(72)(74)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통로(72)(74)를 통한 유체의 유동은 이들에 관련된 각각의 체크밸브(76)(78)에 의하여 ,제어됨과 동시에 뱉브수단(62)에의하여 제어된다.
체크밸브(76)는 통로(72)를 통하여 실린더 체임버(70)로부터 실린더 체임버(69)로 유체가 유동하게 하지만 그 반대 방향으로는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체크밸브(78)는 제동기 조립체(54)의 실린더 구성부품의 체임버(69)로부터 체임버(70)로 통로(74)를 통하여 유체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지만 그 반대 방향으로는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밸브부품(66)은 그의 도시된 상향 위치에 있을 때 통로(74)를 통하여 사실상 무제한 유동을 허용하지만통로(72)를 통한 유동을 저지한다. 밸브부품이 그의 제2위치 즉 하측 위치를 점유할 때 밸브수단(62)은 통로(72)를 통한 유체 유동을 자유로이 허용하지만 통로(74)를 통한 유동을 저지한다.
하기 실시예는 제3도의 순수한 기계적 장치인 진동감쇠장치(48)가 본 발명의 전술한 제어방식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부재(56)(58)의 상대변위(X-Y)와 상대속도(X'-Y')의 양방이 정이며, 따라서 이들의 적은 제로보다 크다. 부재(56)(58)의 정의 상대속도는 제동기 조립체(54)를 신장시키는 경향이 있어 유체를 제동기 조립체의 실린더 구성부품의 상측 체임버(69)로부터 하측 체임버(70)까지 이동되게 한다. 정의 상대변위[부재(56)(58) 사이의 분리되어 있는 상태]는 밸브부품(66)이 그의 상측 제1위치를 점유하도록 하여 유체가 체임버(69)로부터 체임버(70)까지 통로(74)를 통하여 사실상 자유로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발생된 제동력은 소망하는 최소 크기의 것이다.
[실시예 2]
상대 동적변위(X-Y)는 역시 정이지만 상대속도(X'-Y')는 부이기 때문에 이들의 적은 부, 즉 제로 이하이다. 이 상대속도의 상태는 제동기 조립체(54)의 압축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유체를 하측체임버(70)로부터 배제하는 경향이 있다. 상대 변위상태는 밸브부품(66)이 그의 상측 제1위치를 점유하게 하며, 그 위치에서 밸브부품(66)은 체임버(70)로부터 통로(72)를 통한 유체 유동을 저지한다. 통로(74)를 통한 유동은 체크밸브(78)에 의하여 저지된다. 체임버(70)내의 유체는 그로부터 제동기 조립체(54)의 피스톤내의 제한통로(60)만을 경유하여 지나갈 수 있으며, 이는 상당한 제동력을 발생한다.
[실시예 3]
상대동적변위(X-Y)는 부이고 상대속도(X'-Y')도 부이기 때문에 이들의 적은 정이다. 상대속도 상태는 제동기 조립체(54)의 압축을 중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유체를 하측의 체임버(70)로부터 배제하는 경향이 있다. 부의 상대변위 상태는 밸브부품(66)이 그의 하측 제2위치를 경유하게 하며, 그 위치에서 밸브부품(66)은 유체가 제동기 조럽체(54)의 실린더 구성부품의 하측 체임버(70)로부터 상측 체임버(69)로 통로(72)를 통하여 사실상 자유로이 유동 가능하게 한다. 제동력은 최소 크기의 것이다
[실시예 4]
상대동적변위(X-Y)는 부이고 상대속도(X'-Y')는 정이기 때문에 이들의 적은 부이다. 이 상대속도 상태는 제동기 조립체(54)의 신장을 증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측 체임버(69)로부터 유체를 배제하는경향이 있다 상대변위 상태는 밸브부품(66)이 그의 하측 제2위치를 점유하게 하며, 그 위치에서 밸브부품(66)은 상측 체임버(69)로부터 통로(74)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저지한다. 체크밸브(76)는 체임버(69)로부터통로(72)를 통하는 유체의 유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유체는 제동기 즈럽체(54)의 제한된 피스톤 통로(60)를통하여 강제 압송되어 상당한 제동력을 발생한다.
다른 하나의 완전히 기계적인 장치(80)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피지지부재(86)와 지지부재(88)를 상호 연결시키는 스프링 수단(82)과 수동형 제동기 수단(84)을 포함하고 있다. 수동형 제동기 수단(84)은 제동기 조립체(90) 빛 본체부품(94)과 밸브부품(96)(98)을 갖는 밸브수단(92)을 포함하고 있다. 본체부품(94)은 제동기 조립체(90)의 실린더 구셩부품에 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되어 있으며(드시된 바와같이) 밸브공동(108) 및 다수의 통로(99)(100)(102)(103)(104)(106)를 가지고 있다. 밸브공동(108)내에 선회가능하게 설치원 레버(110)는 밸브공동으로부터 가요성 시일(112)을 통하여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레버(110)의 외측 단부부분은 피지지부재(86)로부터 하향하여 설치된 작동레버(11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레버(110)의 내측 단부부분은 코일 스프링(l16)(118)에 의하여 밸브부품(96)(98)에 연결되어있다. 코일 스프링(116)은 밸브부품(96)을 그의 도시된 위치에 탄력적으로. 유지하고 그 위치에서 밸브부품은 통로(100)와 밸브공동(108)의 접속정에 위치된 부층 시이트에 근접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118)이 이와유사하게 밸브부품(98)을 그의 도시된 위치에 탄력적으로 유지하고 그 위치에서 밸브부품은 밸브공동(108)과 통로(102) 사이의 접속점에 위치된 보충 시이트에 근접하고 있다. 각 밸브부품을 이를 각각의 시이트를 향하여 편중시키는 힘은 레버(1l0)가 그의 도시된 중앙 위치를 점유할 때 매우 적은 크기의 것이다. 그와같은 힘은 레버(110)가 부재(86)(88)의 상대변위에 응답하여 선회할 때 변한다. 따라서 부재(86)(88)의 상대변위가 이들 부재를 압축상태로 놓을 때 레버(110)의 계속적인 시계방향(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선회운동은 코일 스프링(116)에 의하여 밸브부품(96)에 가해지는 편중력을 증가시키며, 동시에 밸브부등(98)에 가해지는 편중력을 감소시킨다. 부재(86)(88)의 신장시의 변위에 응답하는 레버(110)의 반시계 방향선회운동은 반대의 효과를 가지는 바, 밸브부품(96)에 가해지는 편중력을 감소시키고 밸브부품(98)에 가해지는 편중력을 증가시킨다. 밸브부품(96)(98)의 어느 것이 상술한 증가된 편중력을 받을 때에는 언제나 그의 관련 통로(100) 또는 (102)로부터 밸브공동(108)으로 압력에 의하여 유도된 유체의 유동을 억제한다.
그외의 모든 때에는 밸브부품은 통로(100)(l02)로부터 밸브공동(108)으로 유체의 사실상의 자유로운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부품(86)(88)(116)(118)의 구성과 기능은 편중 스프링의 길이를 변화시키므로써 선택된크기의 압력을 받고 있을 때 개방되도록 조절묄 수 있는 종래의 직동형 압력밸브의 구성 빛 기능과 유사하다.
하기 실시예는 장치(80)가 본 발명의 제어방식을 어떻게 자동적으로 실시하는가를 예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부재(86)(88)의 상대변위(X-Y)와 상대속도(X'-Y')가 모두 정이기 때문에 이들의 적은 제로보다 크다. 부재(86)(88)의 상대속도 상태는 제동기 조립체(90)의 실린더 구성부품의 상측 체임버(120)로부터 하측 체임버(122)까지 유체를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부재(86)(88)의 변위의 분리 상태는 레버(110)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희시켜 밸브부품(98)에 가해지는 편중력을 중가시키는 반면에 밸브부품(96)에 가해지는 편중력을 더욱 감소시킨다.
유체가 실린더의 상측 체임버(120)로부터 실린더의 하측 체임버(122)까지 통로(99)(100), 밸브공동(108),통로(106), 통로(104) 및 그의 체크밸브(124) 및 통로(l03)를 경유하여 사실상 자유로이(최소의 감쇠만으로)유동된다.
[실시예 2]
부재(86)(88)의 상대변위(X-Y)는 정이고 이들의 상대속도(X'-Y')는 부이므로,(X-Y)와 (X'-Y')외적은 부이다. 이 상대속도 상태는 제동기 조립체(90)를 압축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유체를 실린더의 하측 체임버(122)로부터 실린더의 상측 체임버(120)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유체는 그와 같은 체임버사이를 통로(103)(102), 밸브공동(108), 통로(106), 통로(104) 및 그의 체크밸브(126) 및 통로(99)를 경유하여 유동한다. 그러나 그 유동은 레버(1l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의 결과 스프링(118)에 의하여 가해지는 증가된 편중력으로 인하여 스프링(118)에 의하여 제한된다. 발생된 제동력은 상당한 크기의 것이다.
[실시예 3]
상대동적변위(X-Y)가 부이고 상대속도(X'-Y')도 부이다. 따라서 (X--Y)와 (X'_Y')의 적은 정이다. 이 상대속도 상태는 제동기 조립체(90)를 압축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유체를 실린더의 하측 체임버(122)로부터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부의 상대변위 상태는 레버(110)가 밸브부품(98)에 가해지는 편중력을 감소시키는 시계 방향 선회운동을 행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유체가 실린더의 하측 체임버(l22)로부터 실린더의 상측 체임버(120)까지 통로(103)(102), 밸브공동(108), 통로(106), 통로(104)와 체크밸브(126)및 통로(99)를 경유하여 자유로이 유동할 수 있도록 된다. 최소의 제동력만이 발생된다.
[실시예 4]
상대동적변위(X-Y) 및 상대속도(X'-Y')가 각각 부 및 정이다. 따라서 이들의 적은 부이다. 이 상대속도 상태는 제동기 조립체(90)를 압축하는 경향이 있으머 따라서 유체를 실린더의 상측 체임버(120)로부터 이동시는 경향이 있다. 부의 변위상태는 레버(110)의 시계 방향 선회운동과 밸브부품(96)에 가해지는 편중력의 중가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밸브부품은 상측 체임버(120)로부터 하측 체임비(122)까지 통로(99)(100), 밸브공동(108), 통로(106), 통로(104)와 체크밸브(124) 및 통로(103)를 경유하여 유동하는 유체를 저지한다. 상당한 크기의 제동력이 발생된다.

Claims (16)

  1.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제1 및 제2부재 사이에 진동력 등의 전달을 감쇠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두개의 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통상 이들 두개의 부재 사이의 상대운동에응답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반능동형 제동기 조립체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부재의 상대변위와 상기 두개의 부재의 상대속도와의 적(積)이 제로보다 클 때는 언제나 상기 제동력의 크기를 비교적 적은것으로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개의 부재의 상대변위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수단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은 선형가변차동 변압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개의 부재의 상기 상대속도를 감시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속도 감시수단은 선형속도 변환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 조립체는 작동유체를 항유하는 가변용적 체임버를 확정하는 피스톤 구성부품과 실린더 구성부품 및 상기 두개의 체임버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구성부품 중의 하나는 상기 두개의 부재중의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구성부품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두개의 부재 중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있으머,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통로수단을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의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수단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밸브부품 및 상기 밸브부품 중의 하나를 상기 두개의 부재중의 하나와 상호 연결시키고 또 상기 밸브부품 중의 다른 하나를 상기 두개의 부재중의 다른 하나와 상호 연결시켜 상기 두개의 부재의 상대변위에 응답하여 상기 밸브부품에 상대 운동을 부여하는 기계적 수단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체크밸브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9.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제1 및 제2부재 사이에 힘의 전달을 감쇠시키기 위한 겻으로 상기 두개의 부재를 상호 연결하머 통상 이들 두개의 부재 사이의 상대운동에 응답하여제동력을 발생하는 반능동형 제동기 조립체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X 및 Y를 상기 두개의 부재의 각각의순시 동척변의로 하고 X' 및 Y'를 상기 두개의 부재의 각각의 순시 절대속도로 하는 경우,(X-Y) × (X'-Y')가 제로보다 클 때는 언제나 상기 제동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진동감쇠장치.
  10.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상대운동할 수 있는 제1 및 제2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통상 상기 상대운동에 응답하여 상당한 크기의 제동력을 발생하는 반능동형 제동기 조립체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부재 사이의 상대변위와 상기 두개의 부재 사이의 상대속도의 적이 제로보다 클 때에는 언제나 제동기 조립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동력의 크기를 감소되게 하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부재의 상대 동적변위를 감시하고 상기 두개의 부재의 상대 동적속도를 감시하는 것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방법.
  12.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제1 및 제2부재 사이에 진동 등의 전달을 감쇠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동 스프링수단과 반눙동형 제동기수단이 서로 평행하게 신장되어 상기 두개의 부재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동기수단은 작동 유체를 함유하며 상기 두개의 부재 사이의 상대운동에 응답하여 통상 상당한 크기의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기 조립체와 싱기 제동기 조럼체와 관련하여 작동하며 상기 두개의 부재의 상대변위와 상기 두개의 부재의 상대속도의 적이 제로보다 클 때 상기 제동기 조립체에 의하여 발생된 제동력을 최소 크기를 갖게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서로 상대운동할 수 있는 밸브부품과 본체부품을 갖는 작동유체 제어밸브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밸브부재의 상태를 상이하게 하는 제1 및 제2밸브를 휙정하며, 상기 두개의 부품 중의 하나가 상기 두개의 부재 중의 하나에 그부재와 함께 이동되도륵 고정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두개의 밸브부품 중의 다른 하나를 상기 두 개의 부재 중의 다른 하나에 탄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진동감쇠장치.
  13. 제5항애 있어서 상기 제동기 조립체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제1 및 제2부재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변의되는 두개의 가변용적 체임버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두개의 체임버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통로를 구비하고 있으머,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통로를 통한 유체 유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두개의 통로 중의 하나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고 상기두개의 통로 중의 다른 하나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통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방향을 제한하기 위한 체크밸브수단과 상기 제동기 조립체의 상기 가변용적 체임버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통로를 통한 유동이 저지될 때 상기 가변용적 체임버 사이로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제3통로를 또한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 조립체는 상기 가변용적 체임버의 중간에 위치되어 이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피스톤 구성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3통로는 상기 피스톤 구성부품을 통하여 신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
KR1019870011098A 1986-09-29 1987-09-29 진동감쇠장치 및 작동방법 KR900006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913,067 US4821849A (en) 1986-09-29 1986-09-29 Control method and means for vibration attenuating damper
US913067 1986-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791A KR880003791A (ko) 1988-05-30
KR900006590B1 true KR900006590B1 (ko) 1990-09-13

Family

ID=2543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098A KR900006590B1 (ko) 1986-09-29 1987-09-29 진동감쇠장치 및 작동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21849A (ko)
EP (1) EP0262886B1 (ko)
JP (2) JPS63167139A (ko)
KR (1) KR900006590B1 (ko)
CA (1) CA1282801C (ko)
DE (1) DE377605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8560B2 (ja) * 1987-07-02 1997-0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制御型防振装置
ES2011326A6 (es) * 1988-03-28 1990-01-01 Castillo Castillo Jose Luis Sistema de amortiguacion de modos de oscilacion de vehiculos con suspension que aprovecha el movimiento relativo entre la parte suspendida y las no suspendidas pra producir fuerzas exclusivamente en el sentido opuesto al movimiento de los modos de oscilacion excitados.
US4953089A (en) * 1988-05-09 1990-08-28 Lord Corporation Hybrid analog digita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on of absolute velocity in active suspension systems
DE3818179A1 (de) * 1988-05-28 1989-12-07 Messerschmitt Boelkow Blohm Aufhaengung fuer fahrzeuge
DE3837863C2 (de) * 1988-11-08 1995-02-09 Daimler Benz Ag Federungssystem für Fahrzeuge
US5067684A (en) * 1988-12-22 1991-11-26 Moog Inc. Vibration-isolating machine mount
DE3843137B4 (de) * 1988-12-22 2004-04-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Dämpfers
US5004079A (en) * 1989-02-10 1991-04-02 Lord Corporation Semi-active damper valve means and method
US4898264A (en) * 1989-04-03 1990-02-06 Lord Corporation Semiactive damper with motion responsive valve means
EP0394079A1 (en) * 1989-04-21 1990-10-24 Chien-Hung Lin Automobile suspension system
US5255764A (en) * 1989-06-06 1993-10-26 Takafumi Fujita Active/passive damping apparatus
SE464929B (sv) * 1989-11-13 1991-07-01 Saab Scania Ab Arrangemang foer semiaktiv eller aktiv styrning av daemporgan i en fordonsfjaedring
FR2660386B1 (fr) * 1990-03-30 1993-06-04 Oustaloup Alain Nouveau systeme de suspension.
US5188248A (en) * 1990-04-27 1993-02-23 Gehl Company Stabilizing cylinder for a rough terrain forklift
DE4015416A1 (de) * 1990-05-14 1991-11-21 Bosch Gmbh Robert Zwischen zwei massen angeordneter aktuator
DE4112005A1 (de) * 1991-04-12 1992-10-15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bildung eines signals bei einem fahrzeug
US5396973A (en) * 1991-11-15 1995-03-14 Lord Corporation Variable shock absorber with integrated controller, actuator and sensors
US5276623A (en) * 1991-11-27 1994-01-04 Lord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suspension deflection
DE4345233C2 (de) * 1992-02-03 1997-09-18 Tokico Ltd Aufhängungssteuervorrichtung
GB2263959B (en) * 1992-02-03 1996-01-31 Tokico Ltd Suspension control device
US5392882A (en) * 1993-02-03 1995-0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Dynamic absorber suspension strut
US5595372A (en) * 1993-03-11 1997-01-21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Semi-active vibration mitigation assembly
SE511320C2 (sv) * 1993-04-23 1999-09-13 Oehlins Racing Ab Anordning vid stötdämpare som använder hysteresisfunktion för bestämning av dämpkraftsvariationen
US5390121A (en) * 1993-08-19 1995-02-14 Lord Corporation Banded on-off control method for semi-active dampers
US5588510A (en) * 1995-09-25 1996-12-31 Husco International, Inc.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US6070681A (en) * 1997-06-13 2000-06-06 Lord Corporation Controllable cab suspension
US6049746A (en) * 1998-04-01 2000-04-11 Lord Corporation End stop control method
NO310228B1 (no) * 1998-08-10 2001-06-11 Kongsberg Automotive Asa Anordning til fastslåelse av beliggenheten av en bestanddel av et kjöretöy i forhold til et chassis av kjöretöyet
US6053269A (en) * 1998-08-13 2000-04-25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Vehicle/bridge vibration mitigation assembly
US6115658A (en) * 1999-01-04 2000-09-05 Lord Corporation No-jerk semi-active skyhoo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6311110B1 (en) * 1999-06-17 2001-10-30 Lord Corporation Adaptive off-state control method
US6513799B2 (en) 2000-04-20 2003-02-04 Lord Corporation Automatic calibration method for a suspended seat system
EP1278654B1 (en) 2000-05-02 2005-10-12 Lord Corporation Method for limiting endstop collisions in semi-active seat suspension systems
DE10062999C5 (de) * 2000-12-16 2009-05-28 Thyssenkrupp Bilstein Suspension Gmbh Regelbarer Schwingungsdämpfer mit einer Dämpfungskraftsteuerung
JP2002222914A (ja) * 2001-01-26 2002-08-09 Sony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586307B2 (ja) * 2001-06-27 2010-11-24 株式会社Ihi ペイロードセミアクティブ制振装置及びその制御装置
US7942248B2 (en) 2002-12-31 2011-05-17 Lord Corporation Adjustable damping control with end stop
US6695102B1 (en) 2002-12-31 2004-02-24 Lord Corporation Magnetorheological twin-tube damping device
GB2406369B (en) * 2003-09-24 2007-05-09 Ultra Electronics Ltd Active vibration absorber and method
DE102004011947B4 (de) * 2004-03-11 2020-0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edereinrichtung zur Schwingungsentkopplung
US7726452B2 (en) * 2005-06-02 2010-06-01 Technical Manufactur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e vibration damping
US7822522B2 (en) * 2006-05-31 2010-10-26 Techno-Sciences, Inc. (corporation) Adaptive energy absorpt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US7878312B2 (en) * 2006-05-31 2011-02-01 University Of Maryland Adaptive energy absorpt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US7921973B2 (en) * 2006-05-31 2011-04-12 Techno-Sciences, Inc. Adaptive energy absorpt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DE112007002284T5 (de) * 2006-09-26 2009-08-13 The Yokohama Rubber Co., Ltd. Schwingungsübertragungsdämpfungsvorrichtung
JP5014944B2 (ja) * 2007-10-16 2012-08-29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バルブ装置
JP4858990B2 (ja) * 2007-10-16 2012-01-1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バルブ装置
JP4921315B2 (ja) * 2007-10-16 2012-04-2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バルブ装置
DE102008003920A1 (de) 2008-01-10 2009-07-16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Fahrwerks
JP5294687B2 (ja) * 2008-05-02 2013-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超音波測定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ITSA20080021A1 (it) * 2008-08-06 2010-02-06 Gerardo Acocella Metodo ed apparato per controllare un sistema di sospensione semi-attivo per motociclo
EP2156970A1 (en) 2008-08-12 2010-02-24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ulti-point hydraulic suspension system for a land vehicle
US9464684B2 (en) * 2008-12-23 2016-10-11 Caterpillar Inc. Vibration control system with virtual end stops
US8733519B2 (en) * 2009-01-23 2014-05-27 Jri Development Group, Llc Linear impelled module damper
JP5110008B2 (ja) * 2009-03-06 2012-1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減衰力制御装置
US7753349B1 (en) 2009-04-14 2010-07-13 Miner Elastomer Products Corporation Radial cushioning apparatus
EP2858840A4 (en) * 2012-06-08 2016-01-13 Msi Defense Solutions Llc ELECTRONICALLY ADJUSTABLE SHOCK ABSORBER AND SYSTEM
WO2016097898A1 (en) * 2014-12-19 2016-06-23 Sistemi Sospensioni S.P.A. Regenerative hydraulic shock-absorber for vehicle suspension
US10160303B2 (en) 2016-07-07 2018-12-2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Control system for an active powertrain mount
CN108999919B (zh) * 2018-08-27 2023-08-29 爱柯迪股份有限公司 倒车系统ecu防震壳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4175A (en) * 1956-05-15 1960-04-26 Schnitzer Emanuel Band pass shock strut
FR1394180A (fr) * 1964-02-18 1965-04-02 Renault Amortisseur pour suspension de véhicule
US3255850A (en) * 1964-03-23 1966-06-14 Bell Aerospace Corp Shock damping as for vehicular suspension systems
US3701499A (en) * 1968-04-08 1972-10-31 Wright Barry Corp Active fluid isolation system
FR2079874A5 (ko) * 1970-02-16 1971-11-12 Federspiel Jean
US3807678A (en) * 1972-09-19 1974-04-30 Lord Corp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energy between spaced members
FR2335747A2 (fr) * 1975-12-16 1977-07-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mortisseur sequentiel pour suspensions elastiques
US4491207A (en) * 1983-07-15 1985-01-01 Lord Corporation Fluid control means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JPS61163011A (ja) * 1985-01-14 1986-07-23 Nissan Motor Co Ltd 電子制御ショックアブソ−バ装置
US4742998A (en) * 1985-03-26 1988-05-10 Barry Wright Corporation Active vibration isolation system employing an electro-rheological fl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62886B1 (en) 1992-01-15
US4821849A (en) 1989-04-18
EP0262886A3 (en) 1989-01-11
JPS63167139A (ja) 1988-07-11
CA1282801C (en) 1991-04-09
KR880003791A (ko) 1988-05-30
DE3776056D1 (de) 1992-02-27
JPH02500412A (ja) 1990-02-15
EP0262886A2 (en) 198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590B1 (ko) 진동감쇠장치 및 작동방법
JP3524040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CA1256131A (en) 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US4887699A (en) Vibration attenuating method utilizing continuously variable semiactive damper
JP4143782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4986393A (en) Adjustable vibration dampers for motor vehicles
JP3516889B2 (ja) 二段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H02138531A (ja) 流体緩衝装置
US4898264A (en) Semiactive damper with motion responsive valve means
JPH023720A (ja) ダンピング調節可能な流体圧衝撃・振動ダンパー
JP4403475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S5833123B2 (ja) カンカクオ モウケタ ブザイカンデ エネルギ−ノ デンタツオ セイギヨスルシステム
JPH0333528A (ja) 半能動ダンパ手段を有する振動減衰装置を作動させる方法
JPH06147252A (ja) 油圧緩衝器
JPH1025984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WO1997011855A3 (en)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JPH10259841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およびその減衰率を調整する方法
JP2663292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減衰力制御装置
EP1664585B1 (en) Shock absorber
US20060175166A1 (en) Controllable piston valve and /or flat valve for a vibration damper
JP3430321B2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01320342A (ja) 可変な減衰特性を有する緩衝器
JPH04160242A (ja) 油圧緩衝器
JP4318071B2 (ja) 油圧緩衝器
JP2986867B2 (ja) 減衰力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