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173B1 - 음극선관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173B1
KR900006173B1 KR1019870003185A KR870003185A KR900006173B1 KR 900006173 B1 KR900006173 B1 KR 900006173B1 KR 1019870003185 A KR1019870003185 A KR 1019870003185A KR 870003185 A KR870003185 A KR 870003185A KR 900006173 B1 KR900006173 B1 KR 90000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thode ray
ray tube
voltage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602A (ko
Inventor
히사가즈 야마네
리쓰오 이시다
하사오 나까니시
게이지 야나이
마사유끼 도시야스
겡지 기무라
고지 이시바다
요시노리 이시이
소이찌로 오꾸다
가즈노리 이께가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7057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348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7705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348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77058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3484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8262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376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82624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05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8262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376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82627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21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2626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05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262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05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0624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563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02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593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4240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9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4894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45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0840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424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185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762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8731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25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3627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03063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7001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34Electrical arrangements coupled to electrodes, e.g. potentials
    • H01J2229/4837Electrical arrangements coupled to electrodes, e.g. potentials characterised by the potentials applied
    • H01J2229/4841Dynamic potent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01J2229/485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parallelogram
    • H01J2229/4862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parallelogram squa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01J2229/4872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circ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01J2229/4875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ov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01J2229/4879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non-symmetric about field scanning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01J2229/4896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complex and not provided for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인라인형 전자총의 일예를 표시하는 수평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인라인형 전자총을 장착한 음극선관의 전자비임편향시스템의 전자비임스폿의 형상도.
제3도는 종래의 4극렌즈를 형상시키는 4극전극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분해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4극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4도(a)는 측면도, 제4도(b)는 정면도.
제5도는 이 발명의 한실시예의 일부파단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인라인형 전자총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제7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인라인형 전자총의 한실시예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제9도는 드리프트공간내에 배치되어있는 4극전극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0도는 전극편(18a), (18b), (18c), (18d)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전계를 구성하는 도면.
제11도는 4극전극의 일부 파단분해사시도.
제12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태는 일부파단분해사시도.
제13도는 제1도의 수평단면도.
제14a도는 (b),(c)는 전자비임의 스폿형상도.
제15a도는 (b),(c)는 전자비임의 스폿트형상과 해일로(Halo)의 도면.
제16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평단면도.
제17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수평단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제17도에 4극렌즈전극을 어느 한쪽에만 배설한 예시도.
제20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수평단면도.
제21도 및 제22도는 제20도에 4극렌즈전극을 어느한쪽에만 배설한 예시도.
제23도는 제20도의 CRT 응 4극전극에 사용되는 전원회로의 한실시예시도.
제24a도, (b)는 포물선전원의 파형도.
제25도는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의 사이에 직류 전위차를 필요로하는 경우의 포물선전원의 회로도.
제26도는 상기 전원회로의 다른 실시예시도.
제27도 내지 제30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요부인 4극전극단면도.
제31도는 제20도의 실시예를 제20도의 실시예에 적용시킨 동작설명도.
제32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요부인 4극전극단면도.
제33도는 4극전극과 접속전극의 조합에 관한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34도는 이 발명의 후단접속전극(42)의 확대정면도.
제35도는 제33도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36도는 제35도의 일부 확대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극 2 : 제어전극
3 : 가속전극 4 : 접속적극
15 및 16 : 제1 및 제2의 기본체 5 : 양극
17,18,19 : 4극전극
17c,17d,18c,18d,19c,19d : 한쌍의 수직전극편
17c,17b,18a,18b,19a,19b : 한쌍의 수평전극편
이발명은 음극선관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인라인형 전자총을 장착한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인라인형(inline)전자총의 일예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인데, 도면에 있어서 1은 수평일직선(이하, X축이라 하다)위에 배열된 3개의 음극이며, 이 음극(1)에 공통의 제어전극(2) 및 가속전극(3)과 함께 전치(前置)3극부를 구성시킨다. 4는 집속전극이며, 5는 양적전극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라인형 전자총을 장착한 음극선과의 전자비임편향시스템은 다이나믹 컨버젠스(dynamic convergence) 회로를 불용(不用)으로하기위해 수평편향자계를 핀쿠션(pin cushion)형으로, 그리고 수직편향 자계를 바렐(barrel)형으로 비균일하게 변형시키는 셀프컨버젠스(self-convergence)형의 편향요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전자비임스폿의 화면주변에서의 형상은 제2도에 표시한것과 같은 타원형상이 있다. 이 스폿형상의 변형을 화면주변부의 해상도(海象度)를 현저하게 열화시키기 때문에 집속전극(4)에 인가하는 포커스(Focus)전압 Vf에 수평편향주파수에 동기하여 화면주변부에서 높아지는 변조전압 Fm를 중첨함으로써 타원의 스폿형상을 제2도의 화면 중앙부에 표시한 바와같은 원형으로 성형한다는 다이나믹포커스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타이나믹포커스방식을 채용하면 화면주변의 해상도는 향상되지만 포커스전압 Vf의 변조에 따라 양극전극(5)과 집속전극(4)사이에 형성되는 주렌즈의 집중(convergence)작용이 변화하여 포커스전압 Vf를 변조시킨분만만큼 3개의 전자비임중 양측의 전자비임(R)(B) 스폿가 중앙의 전자비임(G) 스폿에서 외측으로 벗어나는 컨버젠스 불량상태로 된다.
다른한편, 화면주변에 있어서 전자비임스폿형상을 원형으로 보정하기위하여 전자총냉 4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 배치하고 정전적(靜電的)으로 전자비임의 변형을 보정하도록 한 전자총이 제안되어 있다.
제3도는 일본국 특개소 53-9464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4극렌즈를 형성시키는 4극전극을 나타내는 일부파단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한선에 나란한 3개의 원통전극(6)(7)(8)의 상하면에 대향하는 통과공 (6a)(6b)(7a)(7b)(8a)(8b)를 설치하여 이들의 통과공(6a)~(8b)의 외측에 대향하여 설치된 두장의 평행판전극 (9)(10)과, 3개의 원통전극(6)~(8)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가 6개의 통과공(6a)~(8b)을 통과하여 4극렌즈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이들의 전극구조는 일체화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 구조상 조립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3개의 전자비임에 대하여 평행판전극(9)(10)이 공통이므로 평행판전극(9)(10)과 원통전극(6)(8)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컨버젠스불량이 생겨 컨버젠스특성이 손상된다.
또 제4도는 일본국 특개소 61-39347호 공보에 기재된 4극전극을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4도(a)는 측면도, 제4도(b)는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각 전자비임의 좌우에 배치된 한쌍의 수직전극편(11)(12)(13)과 이 전자비임의 상하에 공통으로 배치된 한쌍의 수평전극편(14)으로 4극전극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4극전극도 제3도의 것과 동일하게 3개의 전자비임에 대하여 한쌍의 수평전극편(14)이 공통이므로 컨버젠스특성이 손상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제5도는 이 발명의 한실시예를 표시한 일부파단분해사시도이다. 이 구조는 제1의 기본체(15)를 일부 따내고 일부를 일으켜세워 원호형으로 형성한 한쌍의 수평전극 (17a)(17b)(18a)(18b)(19a)(19b)와, 이에 대향하는 제2의 기본체(16)를 일부 따내고 일부를 일으켜세워 원호형으로 형성한 한쌍의 수직전극편 (17c),(17d),(18c),(18d),(19c),(19d)을 조합시켜 3개의 4극전극(17)(18)(19)를 구성한 것이다.
제6도는 이 4극전극(17)(18)(19)를 구비한 인라인형 전자총의 한실시예를 표시한 수평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전극, 2는 제어전극, 3은 가속전극, 4는 집속전극인데, 전단전극(41)과 후단전극(42)으로 분할되어 있다. 15,16은 4극전극(17)(18)(19)를 구성하는 제1, 제2의 기본체, 5는 양(陽)극전극인데 이들의 전극에 구성되어있는 전자비임이 통과하는 원형통과공(2a)(3a)(41a)(15a)(16a)(5a)이 동축이 되도록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도시하지않은 비드글래스(Bead glass)로 일체로 고착되어 인라인형 전자총을 구성하고 있다.
이 전자총조립에는 각 통과공 (2a)(3a)(41a)(15a)(16a)(42a)(5a)에 삽통시켜 각 통과공을 동축으로위치결정하는 맨드릴(Mandrel)이 사용되며 각 전극의 간격은 도시하지 않은 판상의 스페이서에 의하여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된후 비드글래스에 의해 고정지지되어 있다.
제7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파단분해사시도이다. 제5도의 실시예에 비하여 제1 및 제2의 기본체(15)(16)의 통과공이 4각형으로 형성되어, 수평전극편 및 수직전극편이 평편상으로 형상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의 기본체(15)(16)에 형성되어있는 각 통과공(15a)~(16a)의 세로, 가로의 치수는 제6도에 표시한 집속전극(42)의 각 통과공(42a)(42c)의 직경과 동일치수의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4극전극은 제1, 제2의 기본체(15)(16)에 통과공 (15a)~(16c)이 되는 부분을 잘라 일으켜세워 수평수직전극편(17a)(19d)을 형성할 때 각 전극편이 평판상이고 또 각 통과공(15a)(16c)이 4각형이기 때문에 프레스성형가공에 의하여 용이하게 고정밀도의 가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8도는 제7도에 표시한 4극전극을 구비한 인라인형 전자총의 한실시예를 표시한 수평단면도이다. 이때 각 통과공 (15a)~(16c)의 크기는 전자총조립시에 접속전극(42)의 통과공(42a)~(42c)에 삽통되어 위치결정되는 맨드릴에 외접(外接)되는 크기의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사용되고 있는 맨드릴을 사용하여 그대로 4극전극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6도 및 제8도와 같이 구성된 전자총은 하나의 음극(1)에서 방출된 전자류는 제어전극(2)의 통과공(2a)과 가속전극(3)의 통과공(3a)을 통하는 사이에 유량이 조절된 전자비임(20)이 되어 접속전극(4)의 전단전극(41)의 통과공(41a)에서 들어오고 4극전극(17), 후단전극(42)을 지나서 양극(5)의 경계영역에서 집속작용을 받아 형광면(도시없음)에 스폿상(像)을 영사한다.
접속전극(4)의 전후단의 전극(41)(42)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동일전위로 유지되므로 전자비임은 드리프트(DRIFT, 표류)하고 있다. 제9도는 이 드리프트공간내에 배치되어있는 4극전극(18)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수평전극(18a)과 (18b)에 수직전극(18c)와(18d)에서 정의 전위를 부여한 경우 입사시에 원형단면이었던 전자비임(20)은 4극전극(18)내를 지나는 사이에 정(靜)전계에 의하여 수직방향의 흡인력을 받아 세로가긴 타원형단면으로 변형하고 편향자계에 의하여 형광면상에서의 스폿형상이 가로가긴 타원형이 되는 편향수차를 편향전에 미리 보정한다. 스폿상을 화면중앙에 영사할때는 4극전극(18)에 의한 전자비임(20)의 단면형상의 보정을 하지 않고 전자비임(20)의 편향량에 대응하여 형광면상에서 원형의 스폿현상을 얻게되는 파형을 가진 보정용의 집속전압을 인가시켜 전자비임(20)의 단면형상을 점차 변화시킨다.
이 작용은 드리프트공간에서 행해지므로 본질적으로 전자비임을 가속 혹은 감속시키는 일은 없으며 전자총의 집속기능을 손상시키는일도 없다. 그런데 4극전극(18)을 구성하는 4매의 전극편은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서로 대향하는 전극편(18a)와 (18b), (18c)와 (18d)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전계를 구성하고 이들 4매의 전극편의 각 주연부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간극의 중간점을 연결하는 2개의 대각면 1, m가 교차하는 각 θ가 90°±5°의 범위내에 있으며 또 대각면 l, m이 교차하는 선 P가 4매의 전극편으로 포위된 공간내의 대략 중심선상에 있으며 이선 P상을 전자비임(20)이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4극전극(18)의 공간내의 중심부분의 전계분포의 대칭성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전자비임(20) 단면형상은 원형단면에서 세로로긴 타원형단면으로 변화하는것뿐이고, 다른 쓸데없는 변형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형광면에 영사된 전자비임(20)의 스폿상은 원형에 가까운것이되어 편향수차만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축선상에 전후로 나누어져있는 접속전극(4) 사이에 4극전극을 배치한 예를 표시하였지만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4극전극은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사이에 전자비임(20)의 편향수차(收差)를 보정하는데 필요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4극전극의 공간내를 지나는 전자비임(20)의 단면현상을 보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보정량은 제11도에 표시한 수평전극편 및 수직전극편의 길이 11, 12와,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게 된다. 그런데 제12도에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제12도에 있어서 통과공(15c)을 형성하는 부분을 잘라 상하로 일으켜세워 형성한 한쌍의 수평전극편(19a)(19b)을 가진 제1의 기본체(15)와, 여기에 대향한 통과공(16c)을 형성하는 부분을 잘라 양측으로 일으켜세워 형성한 한쌍의 수직전극편(19c)(19d)을 가진 제2의 기본체(16)를 대향시켜 구성한 한조의 4극전극(100)과, 이 4극전극(100)을 180° 회전시킨 구성의 4극전극(200)을 동축으로 중첩시켜 4극전극을 구성한 것이므로 2개의 제2의 기본체(16)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보정용 집속전원에서 보정용 집속전압이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사이에 인가된다.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사이에 보정용집속전압을 인가하면 통과공 (15a)~(16c)을 지나는 전자비임(20)은 2조의 4극전극(200)(100)으로 형성되는 2개의 4극렌즈에서 2회보정을 받는다.
따라서 2개의 4개렌즈에서 받는 보정량으로 편향수차를 보정하면 되므로 낮은 인가전압으로서 필요한 보정량을 전자비임(20)에 부여할 수가 있어 보정용 집속전원을 염가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4극전극(100)을 구성하는 제1, 제2의 기본체(15)(16)의 통과공 (15a)~(16c)의 형상을 4각형으로한 예를 표시하였지만 원형으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1초의 4극전극(100)을 2단으로 중첩시킨 에를 표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단으로 중첩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음극측에서 수직전극편, 수평전극편, 수직전극편의 순으로 배치하였지만 수직전극편과 수평전극편의 배치를 반대로 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에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3도는 제12도에 표시한 4극전극을 구비한 인라인형 전자총의 한실시예를 표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수직전극편(17c)~(19d) 및 집속전극(4)은 동일전위로 유지하고 있으며 수평전극편(17a)~(19b)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수평편향자계에 동기한 포물선(parabola) 파형의 변조전압 Em을 포커스전압, 즉 수직전극편(17c)~(19d) 및 집속전원(4)에 가하는 전압 Vf에 중찹시켜 인가함으로써 2단으로 중첩된 4극렌즈전극(17)~(19)내에 작각 4극렌즈를 형성한다. 지금, 집속전원(4)의 전위를 Vf(Vf≥O)로 하고 수평전극편(17a)~(19b)의 전위를 Vm라 하면, Vm>Vf일 때 4극렌즈통과후의 전자비임은 수직방향에는 발산작용, 수평방향에는 수렴작용을 받아 전자비임의 스폿현상은 제14도(a)에 표시한 바와같이 세로로긴 타원형이 된다.
또 Vm=Vf일 때 4극렌즈는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14도(b)에 표시한 바와같이 원이되며 또는 Vm>Vf일때는 반대로 수직방향에는 수렴작용, 수평방향에는 발산작용을 받아 제14도(c)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로로긴 타원형이 된다.
위와같이 주렌즈부에 들어가기전의 전자비임의 스폿형상을 변조조압 Em, 즉 4극전극의 전위 Vm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성질을 이용하면 편향에 의한 화면주변부의 전자비임의 변형 즉, 편향수차를 보정할 수 있어 화면전체의 포커스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변조전압 Em를 예컨대 편향요크에 흐르는 편향전류를 변조시킨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실제에 있어서 전자총을 시작(詩作)시켜 측정한 바, 전자비임스폿의 새로, 가로의 길이의 비를 1.2 이하로 억제할 수가 있으며 이때의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의 인가전압의 전압차의 최대치는 470V였다. 집속전극(4)의 최적전압치는 6600볼트 정도이므로 7%정도의 변동폭인 것이다.
이와같이 변동폭이 작기 때문에 음극선과의 포커스 전압이나 컨버젠스등의 특성은 영향을 받지않았다. 변동폭은 적용기종(適用機種)에 의하여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최대 20%정도 견적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이 4전극(17)~(19)에 인가하는 전압의 최대치는 집속전극(4)에 인가하는 전압의 1.2배 또 최소치는 0.8배로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4극전극(17)~(19)를 전후로 분할된 집속전극(4)의 중간에 배치하였지만 다른 장소에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보다 많은 전극배열, 예컨데 다단렌즈구성의 전자총에 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2단으로 중첩된 4극전극을 사용하였지만 제5도 및 제7도의 경우 3단 이상 중첩된 4극전극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4극렌즈전극은 수직방향의 제어작용과, 수평방향의 제어작용의 제어작용이 반대방향으로 되는 작용을 동시에 발생한다. 그런데 현재의 인라인형 전자총을 장치한 음곡선관에서는 수평편향자계를 핀쿠션형으로한 셀프 커버젠스형 편향요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비임의 수평방향의 편향수차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를 제15도에서 설명한다.
제15도(a)에 있어서, 21은 화면중앙에서 져스트포커스된 전자비임의 스폿형상, 22은 수평방향으로 편향된 경우의 전자비임의 스폿현상으로서, 22a는 코어, 22b는 편향수차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헤일로(halo)이다.
그런데 이헤일로(22b)를 경감하기 위하여 수평전극편(17a)~(19b)에 Vm>Vf인 포물선파형의 변조전압 Em을 가하여 주연으로 갈수록 적당한 값만큼 전위가 높아지는 전압파향으로 하면 수직방향의 포커스특성은 오버포커스상태에서 언더 포커스상태로 이행하므로 헤일로(22b)는 작아진다. 그러나, 반대로 수평방향의 포커스특성은 져스트포커스상태에서 오버포커스상태로 이행하므로 수평방향의 헤일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제15도(b)는 이 상태를 나타내며 수직방향의 에일로(22b)는 경감되었지만 새로이 수평방향의 헤일로(22c)가 발생한 경우를 표시한다. 따라서 셀프컨버젠스형의 CRT에 4극전극을 설치한 경우의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6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평단면도로서 제13도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이도면에 있어서, Ef는 포커스전압 Vf에 중찹하여 인가되는 변조전압인데, 수평편향자계에 동기하고 있는 포물선 파형전압이며 4극렌즈전극(17)~(19)에 이가되는 변조전압 Em와 협동하여 수직방향의 헤일로(22b) 및 수평방향의 헤일로(23c)의 발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변조전압 Ef가 높은 화면은 양측에서는 집속전극(4)의 포커스전위가 높아져서 주렌즈의 강도가 약해지며, Ef가 낮은 화면의 중앙에서는 포커스 전압이 낮아져서 주렌즈의 강도가 강해진다.
이 작용은 수평, 수직방향에 모두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그분만큼 4극렌즈전극(17)~(19)의 수평전극편(17a)~(19b)에 인가되는 변조전압 Em의 파형 및 파고치를 조정하면 화면의 전면에 걸쳐서 전자비임의 스폿현상에 헤일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5도(c)는 이 상태에 있어서, 전자비임의 스폿현상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수평방향에 헤일로(22c)는 발생하지 않으며 또 수직방향의 헤일로(22b)가 경감되어 있다. 따라서, 화면의 전면에 걸쳐서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7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평단면도로서 제13도와 동일부분을 표시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23은 유니포텐셜 포커스렌즈(이하 UPF라 한다)를 형성하는 전극편이며, 4극전극(100)(200)을 구성하는 2매의 수평전극편(17a)~(19b)사이에 배치되고 전자비임통과공(15a)~(15c)와 동형으로 전자비임의 진행방향에 길이 l의 통과공(23a)~(23c)가 동축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수평전극편(17a)~(19b)에 인가되는 변조전압 Em에 포커스전압 Vf가 중첩된 변조전압 Vm이 인가된다. 이 UPF 전극편(23)은 4극렌즈의 작용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통과공(23a)~(23c)의 부분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공히 집속작용을 가진 UPF 렌즈가 형성되어 길이 l가 길수록 그 작용이 강해진다.
따라서, 수평방향의 발산작용을 없애는 집속작용을 생기게 하는 길이 l를 가진 전극편(23)을 4극렌즈전극(100)(200)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서 집속작용만을 갖는 전자총을 얻을 수 있다.
이결과 화면중심에서 져스트포커스하고 있는 전자비임을 이 실시예의 전자총을 사용하여 적당한 변조전압 Vm를 가하면 수평방향 핀쿠션형 편향자계를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킨 경우에서도 제15도(b)의 스폿형상(22)과 같이 수평방향의 헤일로(22c)는 발생하지 않으며 제15도(c)에 표시한 바와같이 스폿현상(22)으로 된다.
여기에서, 22a는 코어이고, 22b는 경감된 헤일로이다. 이와같이 이 실시예의 전자총은 스폿현상의 수평방향의 제어작용은 거의 없으며 수직방향의 제어작용만을 갖는 것이므로 화면주변부의 전자비임의 스폿형상의 성형이 용이하고, 화면전체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4극렌즈전극(100)(200)사이에 UPF 전극편(23)을 배치한 것을 표시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제18도 또는 제1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4극렌즈전극은 어느 한쪽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제20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로서 제13도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표시한다. 이 제20도의 실시예는 제13도의 실시예의 비하여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의 배치가 반대로 되어 있다. 즉, 음극(1)측에서 수평전극편, 수직전극편, 수평전극편의 순으로 배열된 것이다.
수직전극편(17c)~(19d)에 우선 일정전압 Vg를 인가한다. 다음에 집속전압(4) 및 수평전극편(17a)~(19b)에 포커스전압 Vf를 인가하고 변조시켜 변조조압 Vm를 인가한다. Vb=Vm의 경우 4극렌즈는 발생하지 않고 주렌즈의 집속렌즈만이 존재한다. Vb=Vm가 되도록 포커스 전압 Vf를 변조시키면 4극렌즈가 발생하고 또 주렌즈의 집속작용은 감소한다.
전자비임의 수직방향은 4극렌즈에 의하여 발산작용을 받으며 주렌즈에 있어서는 Vg=Vm의 경우보다 약한 집속작용을 받으므로 결국 수직방향으로 큰 발산작용을 받는다.
한편, 전자비임의 수평방향은 4극렌즈보다 집속작용을 받으며 또 주렌즈에 있어서 Vg=Vm의 경우보다 강한 발산작용을 받으므로 결국 4극렌즈작용과 주렌즈의 변조작용이 상쇄되어 4극렌즈에 의한 집속발산작용은 없어진다. Vg > Vm가 되도록 포커스전압 Vf를 변조시킨경우는 4극렌즈작용이 발생하지만 이번에는 주렌즈의 집속작용은 증대한다. 전자비임의 수직방향은 4극렌즈이 집속작용을 받아서 또 Vg=Vm의 경우보다 강한 집속작용을 주렌즈로부터 받으므로 결국 수직방향으로 크게 집속작용을 받는다.
한편, 전자비임의 수평방향은 4극렌즈에서 발산작용을 받으며, 주렌즈에 있어서 Vg=Vm의 경우보다 강한 집속작용을 받으므로 결국 Vg<Vm의 경우와 동일하게 4극렌즈작용과 주렌즈작용이 상쇄되어 4극렌즈에 의한 발산작용이 없어진다.
이상과 같이 포커스전압 Vf를 변조시킴으로써 전자비임의 수직방향만이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2단중첩의 4극전극을 사용하였지만 제21도 또는 제2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4극전극을 어느 한쪽에만 설치하여도 감도가 저하하는 효과는 동일하다.
다음에 4극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회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3도는 제20도의 CRT용 4극전극에 사용되는 전원회로의 한 실시예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24는 고압발생회로, 25는 집속전압을 꺼내는 저항분압회로이며, 포커스볼륨(Volume)(26)을 통하여 소정의 직류전압을 얻을 수 있다.
27은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에 접속된 고저항, 31은 포물선전압전원, 28,29는 포물선전압 Em을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에 직접 인가하는 콘덴서이며, 저항분압회로(25), 저항(27), 콘덴서(28)(29)는 절연체로서 일체로 몰드된 블록(30)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총의 4극전극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은 사용되는 컬러음극선관의 패널면의 곡율, 편향각 또 편향요크의 비점수차특성등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제20도의 전자총을 예로들면 제24도(a)와 같이 전압 Vg는 직류파형으로서 전압 Vm는 수평편향주기 및 수직편향주기에 각각 동기하고 또 그 평균치가 Vg와 같은 포물선전압파형으로 된다.
한편, 화면상하단(Y축)의 보정필요량이 적은 경우에는 제24도(b)와 같이 수평편향주기에만 동기한 포물선파형으로 하여도 된다. 제23도에 표시한 전원회로는 이와같은 포물선파형전압을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의 사이에 인가한다.
고압발생회로(24)에서 얻은 음극선관의 양극전압을 저항분압회로(25)에서 분압시켜 4극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의 직류전압은 포커스볼륨(26)을 경유하여 4극전극의 한쪽의 전극편에 인가되고 다른쪽의 전극편에는 수 MΩ~수 10MΩ의 고저항(27)을 경유하여 인가된다.
이 전원회로에서 4극전극을 본 임피던스는 거의 무한대에 가까우며 따라서 저항(27)이 개재되어 있어도 동일전위의 직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한편,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에 인가된 편향주기에 동기한 포물선전압은 포물선전압전원(31)에서 생성되어 콘덴서(28)(29)를 통하여 저항(27)의 양단, 즉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에 직접 인가된다.
이와같이 콘덴서(28)(29)를 통하여 직접 인가함으로써 포물선전압전원(31)의 전압 Em가 효율적으로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에 인가할 수 있다.
4극전극에 인가될 직류의 집속전압은 통상적으로 양극 전압의 20%~35% 내외로서 상당한 고전압으로 된다. 이 때문에 제2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분압저항회로(25)와 함께 저항(27), 콘덴서(28),(29)등은 한블럭으로하여 절연체로서 일체로 몰드성형시킨 일체화 구조로 하는 것이 신뢰성면에 있어서 또 회로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효한 것이다.
포물선전압전원(31)은 종래의 다이나믹포커스회로를 사용할 수 있어 트랜스구성으로 하거나 혹은 포물선을 사인파에 근사한 공진회로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공지의 기술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에 직류전위차를 필요로 하지 않은 전자총구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전자총구조의 제약상에서 양전극편각에 직류전위차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제2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구성할 수 있다.
VR는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에 가하는 직류전압을 결정하는 가변저항이며, 고정저항이어도 되지만 포커스볼륨(26)보다 낮은 저항치로 선택된다.
또한 양극편간의 직류전압은 다이오드와 콘덴서를 사용한 크램프(Clamp)회로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전원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제26도에 표시한다. 제23도 및 제25도의 것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부호로하여 나타낸다.
제26도의 것도 제20도의 4극전극에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저항분압회로(25)는 고압측저항 R1, 병렬저항회로(VR-3,R3,R4, VR-2) 및 정방측저항회로(R2,VR-3,R5)의 직렬회로로 구성된다. 병렬저항회로는 Vm 전압조정용 가변저항기 VR-1과 Vg전압조정용 가변저항기 VR-2를 대향배치하여 구성하고, 각 VR에는 R3,R4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예컨대 Vm 전압을 약 500V 정도 Vg전압보다 높게 할 경우로서 VR-1의 콜드(Cold)측에는 R3를, VR-2의 홋(hotl)측에는 R4를 직렬로 설치하여 가변저항기의 한족으로의 치우침을 보정하고 있다.
VR-1의 접동자에서는 직접 수평전극편에 접속됨과 동시에 콘덴서(28)를 통하여 포물선전압전원(31)이 접속된다. 한편 VR-2의 접동자에서는 비교적 고저항의 값을 가진 저항(27)을 통하여 수직전극편에 접속된다.
도시에는 없지만, 수평전극편과 VR-1의 접동자 사이에는 저항(27)에 비하여 충분히 작은 저항이 접속되어도 무방한다. 저항(27)과 Vg전압인출구간에 콘덴서(29)가 접속되어 저항회로망의 콜드단자를 통해 접지된다.
병렬저항회로는 콜드축에는 저압측저항회로로서 저항 R2,VR-3,R5기 직렬접속되고 VR-3의 접동자에서 가속전극(3)의 인가전압이 인출되어 가속전극(3)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 됨으로써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의 직류전압은 독립해서 VR-1,VR-2를 조정하여서 최적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수평전극편에 인가되는 교류전압은 콘덴서(28)(29)을 통하여 병렬저항회로 및 저항(27)의 양단, 즉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에 효율적으로 인가되며 콘덴서(29)의 존재 때문에 수직전극편에는 교류성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교류전압에 수직성분(50~70Hz)를 포함하는 경우 저항(27)을 예컨대 수 10M정도 크게 선택하는 것이 콘덴서(28)(29)의 값의 용량부족분을 보충하는데 효과적이다.
말할것도 없이 이와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저항회로망 전체의 직렬저항은 변화하지 않기대문에 가속전극(3)의 인가전압을 상호간섭함이 인출가능하게 된다.
또 저항(27)은 수평전극편에서는 없고 수직전극편측에 삽입되어 있다.
그 이유는 접속전극누설전류는 양전극간에서 발생하기 쉬우며 양전극에서 수평전극편으로 향하는 누설이 제일많은 경우가 된다. 즉, 양전극과 대향하지 않는 수직전극편누설전류는 대단히 적으며 또 드물기 때문에 저항(27)을 수직전극편측에 삽입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누설전류에 의한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의 직류전압의 변동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저항, 콘덴서회로망은 최급전압이 고압양극전압의 20-35%로 대단히 높기 때문에 한블럭(30)에 합쳐 절연체로서 몰드성형해서 일체화 구조로하는 것이 신뢰성, 안정성, 작업성의 면에서, 또 회로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효한 것이다. 또는 상술한 저항, 콘덴서회로망은 플라이백트랜스등 고압발생회로와 일체화구조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26도에 있어서 병렬저항회로는VR-1,VR-2와 직렬로 저항 R3,R4를 접속시키고 있지만, 생략하여도 무방한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 제26도의 예에서는 고압측저항 R1의 홋측은 플라이백트랜스의 고압출력과 접속되고 있지만, 플라이백트랜스의 고압권선의 중단에 접속시킬 수도 있다.
더구나, 고압측저항 R1은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런대. 4극전극은 제27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각각 한쌍의 수평전극편(17a)(17b)(18a)(18b)(19a)(19b) 및 각 한쌍의 수직전극편 (17c)(17d)(18c)(18d)(19c)(19d)에서 3개의 전자비임 (20B)(20G)(20R)를 양측 및 상하에서 각각 별개로 끼우는 4극전극(17)(18)(19)를 구성하고 있고 4매의 전극편의 각조는 전자비임(20B)(20G)(20R)이 지나는 중심에 대하여 각각 축(軸)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4극전극의 각수직전극편 (17c)~(19d)의 전위를 수평전극편(17a)~(19b)의 전위보다 낮은 전위로하면 각전자 비임(20)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흡인되는 전기력이 작용하여 원형이었던 각 전자비임(20)의 단면형상을 세로로긴 원형으로 변형한다.
반대로 수평전극편(17a)
Figure kpo00001
(19b)의 전위를 수직전극편(17c)
Figure kpo00002
(19d)의 전위보다 낮게하면 각 전자비임(20)의 단면형상은 세로로긴 원형으로 변형하고, 수평, 수직 양전극편의 전위가 동일할 때는 각전자비임(20)의 단면형상은 변형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직전극편(17c)
Figure kpo00003
(19d)과 수평전극편(17a)~(19b)의 사이에 편향자계에 동기하고 또 이 편향자계에 의하여 각 전자비임(20)이 받는 편향수차를 보정하는 전압파형을 가진 보정용전압을 인가하면, 편향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하여 형광면의 전면에 걸쳐서 원형에 가까운 스폿형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4극전극 (17)~(19)에서는 양측의 4극전극(17)(19)의 내측의 간극(17e)(19e)에서 중앙의 4극전극(18)의 전하 영향을 받아 제27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전자비임 (20B)(20R)이 지나는 중심선부근의 전계가 중심선을 지나는 수직면에 대하여 비대칭 분포되어 전자비임(20B)(20R)의 컨버젠스가 변하며 다시 4극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화시키면 이에 수반하여 전자비임(20B)(20R)의 컨버젠스도 변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처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제28도에 있어서 수평전극편(17a)(17b)(19a)(19b)는 (18a)(18b)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하여 배치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수직전극편(17c)(19d)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계가 강해져 전자비임(20B)(20R)이 지나는 중심선부근의 전계분포가 제28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이 중심선을 지나는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형이되므로, 4극전극에 편향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전압을 인가하여도 컨버젠스의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또 수평전극편 (17a)(17b)(19a)(19b)의 폭을 좁게 하는 대신 각각 외측으로 변형시켜 유효폭을 좁게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9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인 4극전극을 표시한 단면도인데, 이 실시예는 수직전극편(17c)(19d)의 폭을 좁게하여 중심선을 지나는 축상에 배설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수직전극편(17c)(19d)이 만드는 전계가 약해져 제29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전자비임(20B)(20R)이 지나는 중심부근의 전계분포가 이 중심선을 지나는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형이 되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4극전극(17)~(19)를 구성하는 수직, 수평전극편을 어느것이나 평판상으로 형성시킨예를 표시하였으나, 원호, 타원, 쌍곡선, 포물선등의 일부를 취한 곡면판이어도 무방하다.
또 다른 실시예를 제30도에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극편 (17c)(18a)(18b)(18c)(18d)(19d)의 폭은 각각 l1, 전극편 (17a)(17b)(19a)(19b)의 폭은 각각 l1, 전극편(17d)(19c)의 폭은 l3인데, l1> l2> l3또는 l1> l2> l3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의 4극전극(18)은 X·Y2축 대칭형으로, 양측의 4극전극(17)(19)의 수직전극편(17c)와 (17d),(19d)와 (19c)는 (17c)(19d)를 외측으로 X·Y1축, X·Y3축 대칭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수평전극편 (17a)와 (17b),(19a)와 (19b)는 X축 대칭으로 Y1축, Y3축보다 내측으로 변위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를 제20도의 실시예에 적용시켜 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 제20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Vg=vf라 한다.
양측의 4극전극(17)(19), X, Y축 비대칭으로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조전압 Em에 의하여 4극전극(17)(19)내에 형성되는 렌즈는 비대칭형이 되며, 변조전압 Em가 높을때는 제31도(b)의 상단에 표시한 것과 같이 화면주변에 있어서의 전자비임스폭의 코어부분(사선을 친부분)(22a)에는 실선 화살방향의 힘이, 그리고 헤이로부분(22b)에는 반대방향의 파선의 화살표방향의 힘이 각각 작용하며 제31도(a)의 상단에 표시한 세로로긴 원형을 작은 원형으로 보정하고, 동시에 제31도(b)의 하단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전자비임(20R)(20B)에 화살표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도시에 컨버젠스.드리프트를 생기게 한다. 그런데 변조전압 Em가 높을때는 Vm, 즉, VF+Em도 높아지므로 주렌즈에 의한 수렴작용은 제31(c)도의 상단에 표시한 것과 같이 작은 원형이 되도록 작용하므로 제31(d)도의 상단에 표시한 것과 같이 4극전극의 작용과 중첩되어 헤이로가 없는 작은 원형의 스폿형상으로 된다.
다른한편, 주렌즈에 의한 컨버젠스작용이 감소하여 제31도(C)의 하단에 표시한 것과같이 전자비임(20B)(20R)은 화살표 방향으로 드리프트한다.
그러나, 이 발산작용은 4극전극(17)(19)에 의한 드리프트는 반대방향이므로 상쇄되어 제31도(d)의 하단에 표시한 것과같이 컨버젠스불량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전자총을 사용하면 수렴전압 Vf에 변조전압 Vm를 중첩하는 다이나믹포커스방식을 적용시켜도 화면주변부에서의 전자비임스폿형상은 작은 원형으로서, 컴버젠스불량이 생기지 않으므로 행상도가 높은 컬러음극선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평전극편이(+)가 되는 극성에서 번조전압 Em를 인가하였지만, 반대로 수평전극편이 수직전극편보다 (-)가 되는 극성에서 변조전압 Em를 수렴전압 Vf에 중첩시켜도 되며, 이 경우는 주 렌즈의 집중작용이 강해지지만, 4극전극내에 형성되는 렌즈는 발산작용을 나타내어 상쇄되므로 컴버젠스불량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4극전극을 2분할한 접속전극(4)간에 배치하였으나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는 4극전극의 수평.수직전극편을 평판상의 전극편으로 구성하였지만, 이 형상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원호형, 타원호형등의 단면형상으로 형상하여도 무방하다.
또다시 다른 실시예를 제32도에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4극전극(17)~(19)를 구성하는 각 전극편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4극전극(17)(18)(19)이 배열되어 있는 X축과, 이 X축에 수직인 중앙의 4극전극(18)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 Y2에 관하여 (17c)와 (19d),(17d)와 (19c),(18c)와 (18d),(17a)와 (19a) 및 (17b)와 (19b)는 각각 대칭형이며, 또 수평축 X에 관하여, (17a)와 (17b), (18a)와 (18b) 그리고 (19a) 및 (19b)는 각각 대칭이지만 (17c)와 (19d)의 크기 폭은 V1, (18c)와 (18d)의 폭은 V2, (17d)와 (19c)의 폭은 V3로서 V1> V2> V3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17a)(17b)(19a)(19b)의 폭은 h1, (18a)(18b)의 폭은 h2로서, h1> h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의 4극전극(18)의 4매의 전극편이 수직수평축 Y2, X에 관하여 축대칭형으로 형성되어있는데 대하여 양측의 4극전극(17)(19)은 수평축 X에 관하여는 대칭형이지만 Y1축, Y3축에 대하여는 비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V1, V2, V3, h1, h2는 모두 상이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중앙의 4극전극(2)과, 양측의 4극전극(17)(19)의 형상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중앙의 전자비임(20C)가, 양측전자비임(20G)과, 양측전자비임(20B)(20R)에 부여하는 4극렌즈의 작용이 다른 것이다. 특히 양측의 전자비임(20B)(20R)의 X축에 있어서의 작용이 변화한다.
이러한 것을 이용하면 축대칭으로 형성된 4극전극을 사용한 경우에 컨버젠스, 드리프트 즉, 양측의 전자비임 (20B)(20R)에 생기는 X축 방향의 변위를 상쇄시켜 드리프트를 해소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앙의 4극전극(18)과, 양측의 4극전극(17)(19)의 대응하는 4매의 전극편의 모든 폭치수가 상이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조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컨버젠스 트리프트를 없애는 전계분포를 발생시키는 전극장치로 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4극전극의 형상을 원호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타원, 쌍곡선, 포물선등의 곡면 또는 평판중 어느것이어도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 1개의 4극전극을 평판전극과 원호형전극편을 조합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4극전극과 접속전극의 조합에 관하여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3도의 실시예는 제6도 및 제8도의 실시예와 같은 전자총의 배치인데, 제6도 및 제8도의 실시예에 비하여 집속전극(4), 양극전극(5)을 통과시키는 전자비임의 통과공형상이 다른 것이다.
제34도에 명시한 바와같이 후단집속전극(42)의 중앙의 전자비임통과공(42b)은 2개의 타원호(42b1)(42b1)를 연접시킨 타원형상으로서 인라인배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긴축을 가진 것이다.
양측의 2개의 전자비임통과공(42a)(44c)은 직선부(42a1)(42c1)을 갖고 있으며 그 직선부(42a1)(42c1)를 사이에 두고 각 2개의 원호(42a2)(42c2)를 연접시키고 있으며, 상기 직선부(42a1)(42c1)와 반대측에서 상기 2개의 원호(42a2)(42c2)에 타원호 (42a3)(42c3)를 연접시킨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양측의 전자비임통과공(42a)(42c)의 타원호(42a3)(42c3)는 상기 중앙의 전자비임통과공(42b)의 2개의 타원호(42b1)(42b1)측에 각각 면하고 또한 이들 타원호(42b1)(42b1)보다도 큰 곡률반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의 전자비임통과공(42b)의 2개의 타원호(42b1)(42b1)의 대량 중앙부 및 상기2개의 양측의 전자비임통과공(42a)(42c)에서의 직선부(42a1)(42c1)와 타원호(42a3)(42c3)의 대량중앙부를 인라인 배열의 중심선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 양극(5)의 3개의 전자비임통과공도 상기한 것과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집속렌즈를 구성하는 집속전극(4)의 후단전극(42)과 양극(5)간의 전자비임이 통과하는 개구부, 즉 3개의 전자비임통과공(42a)~(42c) 및 (5a)~(5c)는 모두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방향의 실효구경(口徑)이 크고 렌즈수차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전자비임을 세로로 긴 단면으로 하여도 구면(球面)수차에 의한 포커스성능의 열화(劣化 )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 상기 3개의 전자비임통과공(42a)~(42c) 및 (5a)~(5c)의 형상이 상기한 것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양측의 전자비임통과공(42a)(42c)(5a)(5c)를 NC가 달린 연삭기로 가공 형성할 때 한쪽의 직선부(42a1)를 기점으로하여 원호(42a2)에서 타원호(42a3)으로 이행하며 재차원호(42a2)를 경유하며 직선부(42a1)로 되돌아오는 가공을 행한다.
다음에 직선부(42a1)를 기준점으로 하여 또 한쪽의 직선부(42a1)를 수치제어방식에 의하여 가공하고 이 (42a1)를 기점으로 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원호(44c2), 타원호(42c3), 원호(44c2)의 가공을 한다.
또 중앙의 전자비임통과공(42b)(5b)은 상기 2개의 직선부(42a1)(42c1)를 기점점으로 하여 2개의 타원호(42b1)(42b1)를 가공함으로서 형성한다.
이상은 NC가 달린 연삭기로서 가공 형성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통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박판프레스가공법을 채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프레스금형의 제작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42a1)(42c1)를 가공기준으로 하여 정밀도가 좋은 프레스금형의 제작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전자비임통과공을 가공한후 검사에 있어서도 상술한 것과 같은 수순에 의하여 명확한 기준점을 바탕으로 하여 고정밀도의 검사가 행해진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를 제35도에 표시하고 그 일부의 확대도를 제36도에 표시한다.
제26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중앙의 전자비임통과공(42b)은 2개의 타원호(42b1)(42b1)를 연접시킨 타원형상으로서 인타인배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장축을 가진 것이다.
양측 2개의 전자비임통과공(42a)(42c)은 원호(42a1)(42c1)와 타원호(42a2)(42c2)를 연접시킨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양측의 전자비임통광공(42a)(42c)의 타원호(42a2)(42c2)는 상기 중앙의 전자비임통과공(42b)의 2개의 타원호(42b1)(42b1)측으로 각각 면하여 있으며, 또 이들 타원호(42b1)(42b1)보다도 큰 곡률반경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의 전자비임통과공(42b)의 2개의 타원호(42b1)(42b1)의 대략 중앙부 및 상기 2개의 양축 전자비임통과공(42a)(42c)에 있어서의 원호(42a1)(42c1)와 타원호(42a2)(42c2)의 대략 중심부를 인라인배열의 중심선이 지나도록 되어 있다.
또 양극(5)의 3개의 전자비임통과공도 상기의 것과 완전히 같은 것이다.
집속렌즈를 구성하는 집속전극(4)의 후단전극(42)과, 양극(5)의 전자비임이 통과하는 개구부, 즉 3개의 전자비임통과공(42a)~(42c), (5a)~(5b)는 다같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방향의 실효구경이 크며 렌즈수차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전자비임을 세로로 긴 단면으로 하여도 구면수차에 의한 포커스성능의 열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Claims (43)

  1. 일렬로 배치된 3개이 음극, 이 음극에서 방출되는 각 전자비임의 통과공이 형성된 집속전극, 상기 각 전자비임의 상하에 개별로 배치된 한쌍의 수평전극편과 각 전자비임의 좌우에 개별로 배치된 한쌍의 수직전극편으로 구성된 3개의 4극전극, 이 4극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4극전극은 각 전자비임의 통과공이 형성된 제1의 기본체의 통과공의 외부주위에서 상기 전자비임을 따라 연재하는 수평전극편과, 각 전자비임의 통과공이 형성된 제2의 기본체의 통과공의 외부주위에서 상기 전자비임을 따라 연재하는 수직전극편을 대향시켜서 평판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회로는 전자비임의 편향수차를 보정하도록 설정된 포물선 파형전압을 발생하는 변조전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기본체 및 제2의 기본체는 그의 전자비임통과공이 집속전극의 전자비임통과공과 동축으로 위치결정되며, 또 집속전극의 전자비임통과공과 외접하는 경을 가진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수평전극편과 한쌍의 수직전극편 사이에 생기는 4구석의 대각면의 교차각을 90°±5°로 설정하고 또 교차선을 전자비임에 일치시킨 음극선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4극전극을 전자비임의 진행방향을 복수단 중첩시킨 음극선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4극전극의 한쪽의 전극편이 집속전극의 한쪽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4극전극의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에 변조전원으로부터 변조전압이 인가되는 음극선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4극전극의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중 어느 한쪽의 전극편이 집속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다른쪽의 전극편에 변조전압이 인가되는 음극선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변조전압 및 집속전극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이 중첩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변조전압을 직류전압의 0.8-1.2배로 한 음극선관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4극전극의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중 어느 한쪽의 전극편이 집속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회로에서 제1의 변조전압이 인가되고, 다른쪽의 전극편에 전원회로에서 제2의 변조전압이 인가되는 음극선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의 변조전압 및 제2의 변조전압에 집속전극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이 중첩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4극전극의 수직전극편이 집속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수평전극편에 변조전압이 인가되어 유니포텐셜포커스렌즈가 형성되는 음극선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변조전압이, 집속전극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이 중첩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수평전극편의 일단에서 유니포텐셜포커스렌즈를 형성하는 전극편이 전자비임의 좌우에 연재하고 있는 음극선관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4극전극의 수평전극편이 집속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변조전압이 인가되며, 수직전극편에 소정의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음극선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변조저압에, 집속전극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이 중첩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4극전극의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은 저항을 통하여 접속되어 어느 한쪽의 전극편에 제1의 직류전압이 인가되고, 다른쪽의 전극편에 상기 저항을 통해 제2의 직류전압이 인가되며 또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 사이에 콘덴서를 통하여 변조전압이 인가되는 음극선관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의 직류전압과 제2의 직류전압에는 소정의 전위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저항, 콘덴서 및 제1의 직류전압과 제2의 직류전압을 설정하는 저항회로는 절연체로 몰드되어 일체화 형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중앙의 전자비임에 대한 4극전극과 양측의 전자비임에 대한 4극전극의 형상을 상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양측의 전자비임에 대한 4극전극은 전자비임을 포함한 수직면에 대하여 비대칭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양측의 4극전극은 그 수평전극편이 양측의 전자비임에 대하여 각각 외측에 편재시켜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양측의 4극전극은 그 수평전극편쪽이 중앙의 4극전극의 수평전극편쪽보다 좁게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양측의 4극전극은 그 외측의 수직전극편쪽이 내측의 수직전극편쪽보다 좁게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양측의 4극전극은 그 수평전극편이 양측의 전자비임에 대하여 각각 내측에 편재되어 구성된 음극전관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양측의 4극전극은 그 외측이 수직전극편폭이 내측의 수직전극편폭보다 넓으며 또 수평전극편폭이 내측의 수직전극편폭 보다 넓고 외측의 수직전극편폭보다 좁게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중앙의 4극전극은 그 수평전극편폭 및 수직전극편폭이 양측의 4극전극의 외측의 수직전극편폭과 동일하게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양측의 4극전극은 그 외측의 수직전극편폭이 내측의 수직전그편폭보다 넓게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양측의 4극전극은 그 수평전극편폭이 중앙의 4극전극의 수평전극편폭보다 넓게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중앙의 4극전극은 그 수직전극편폭이 양측의 4극전극의 내측의 수직전극편폭보다 넓고 외측이 수직전극편폭보다 좁게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집속전극은 그 각 전자비임통과공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집속전극은 그 각 전자비임통과공이 수직방향으로 장축을 가진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의 전자비임통과공의 곡률반경이 중앙의 전자비임통과공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집속전극은 양측의 전자비임통과공이 전자비임을 포함한 수직평면에서 2분할된 외측형상에 직선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집속전극은 양측의 전자비임통과공이 전자비임을 포함한 수직평면에서 2분할된 외측형상에 원호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35. 음극에서 순차적으로 제1의 집속전극, 4극전극, 제2의 집속전극이 동축에 배치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집속전극에 소정의 접속전압을 인가하고 또 상기 4극전극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평전극편과 한쌍의 수직전극편 사이에 편향주기에 동기한 변조전압을 인가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한 음극선관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전원회로는 양극전압을 발생하는 고압발생회로와, 상기 양극전압을 분압시키는 저항분압회로와, 상기 저항분압회로에서 제1의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제1의 출력단자와, 상기 저항분압회로에서 고저항을 통하여 제2의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제2의 출력단자와, 편형주기에 동기한 변조전압을 발생시키는 변조전원과, 상기 변조전원과 상기 고저항간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저항분압회로는 제1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의 가변저항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저항분압회로는 고저항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의 가변저항을 구비한 음극선관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제1의 가변저항과 제2의 가변저항은 병렬접속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40. 제35항에 있어서, 변조전압은 포물선파형전압인 음극선관장치.
  41. 제35항에 있어서, 4극전극의 수평전극편과 수직전극편중 한쪽의 전극편은 제1 및 제2의 집속전극중 한쪽의 집속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집속전극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43. 제35항에 있어서, 4극전극은 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비임의 상하에 개별로 배치된 한쌍의 수평전극편과, 상기 전자비임의 좌우에 개별로 배치된 한쌍의 수직전극편을 구비하여서된 음극선관장치.
KR1019870003185A 1986-04-03 1987-04-03 음극선관장치 KR900006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7058 1986-04-03
JP7705786A JPS62234851A (ja) 1986-04-03 1986-04-03 電子銃
JP77056 1986-04-03
JP7705886A JPS62234849A (ja) 1986-04-03 1986-04-03 電子銃
JP77057 1986-04-03
JP61077056A JPS62234848A (ja) 1986-04-03 1986-04-03 電子銃
JP8262686A JPH0680581B2 (ja) 1986-04-08 1986-04-08 電子銃
JP82623 1986-04-08
JP8262586A JPH0680580B2 (ja) 1986-04-08 1986-04-08 インライン形電子銃
JP82627 1986-04-08
JP8262786A JPH0622101B2 (ja) 1986-04-08 1986-04-08 インライン形電子銃
JP61082623A JPS62237641A (ja) 1986-04-08 1986-04-08 インライン形電子銃
JP82625 1986-04-08
JP82624 1986-04-08
JP82629 1986-04-08
JP61082629A JPS62237645A (ja) 1986-04-08 1986-04-08 電子銃
JP8262486A JPH0680579B2 (ja) 1986-04-08 1986-04-08 電子銃
JP82626 1986-04-08
JP100624 1986-04-28
JP500624 1986-04-28
JP10062486A JPS62256348A (ja) 1986-04-28 1986-04-28 インライン形電子銃
JP102793 1986-04-30
JP61102793A JPS62259335A (ja) 1986-04-30 1986-04-30 陰極線管装置
JP142401 1986-06-18
JP61142401A JPS63943A (ja) 1986-06-18 1986-06-18 陰極線管装置
JP148941 1986-06-24
JP61148941A JPS634538A (ja) 1986-06-24 1986-06-24 陰極線管装置
JP61208408A JPS6364249A (ja) 1986-09-03 1986-09-03 受像管
JP208408 1986-09-03
JP61218582A JPS6376240A (ja) 1986-09-16 1986-09-16 受像管
JP218582 1986-09-16
JP228731 1986-09-25
JP22873186A JPH0682541B2 (ja) 1986-09-25 1986-09-25 インライン形電子銃
JP36271 1987-02-08
JP62036271A JPS63203063A (ja) 1987-02-18 1987-02-18 陰極線管用ダイナミツクフオ−カス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602A KR870010602A (ko) 1987-11-30
KR900006173B1 true KR900006173B1 (ko) 1990-08-24

Family

ID=2758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185A KR900006173B1 (ko) 1986-04-03 1987-04-03 음극선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86999A (ko)
EP (1) EP0241218B1 (ko)
KR (1) KR900006173B1 (ko)
DE (1) DE377525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5061B2 (ja) * 1988-03-11 1997-08-25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装置
KR920006233B1 (ko) * 1988-12-30 1992-08-01 주식회사 금성사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910009635B1 (ko) * 1989-03-09 1991-11-23 삼성전관 주식회사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KR910005220Y1 (ko) * 1989-06-10 1991-07-22 삼성전관 주식회사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US5055749A (en) * 1989-08-11 1991-10-0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Self-convergent electron gun system
US5027043A (en) * 1989-08-11 1991-06-2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n gun system with dynamic convergence control
US5036258A (en) * 1989-08-11 1991-07-3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olor CRT system and process with dynamic quadrupole lens structure
US5164640A (en) * 1990-12-29 1992-11-17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US5532547A (en) * 1991-12-30 1996-07-02 Goldstar Co., Ltd. Electron gun for a color cathode-ray tube
JP2809923B2 (ja) * 1992-02-17 1998-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US5399946A (en) * 1992-12-17 1995-03-21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Dynamic focusing electron gun
KR950003539Y1 (ko) * 1992-12-31 1995-05-03 석진철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EP0628983A4 (en) * 1992-12-31 1995-06-07 Orion Electric Co Ltd ELECTRON CANON FOR COLOR IMAGE RECEIVER TUBE.
KR950004627B1 (ko) * 1992-12-31 1995-05-03 삼성전관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3116671B2 (ja) * 1993-08-03 2000-12-1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銃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
KR960016431B1 (ko) * 1993-09-04 1996-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7161308A (ja) * 1993-12-07 1995-06-23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US5864203A (en) * 1994-03-25 1999-01-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ynamic focusing electron gun
US5763993A (en) * 1994-04-01 1998-06-09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Focusing electrode structur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JPH0831332A (ja) * 1994-07-13 1996-02-02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EP0698906B1 (en) * 1994-08-23 1999-04-14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JPH08162040A (ja) * 1994-09-14 1996-06-21 Lg Electron Inc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JP3402536B2 (ja) * 1995-02-14 2003-05-06 エヌイーシー三菱電機ビジュア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ラーディスプレイモニタの集束電極用電源回路及び表示装置
TW306009B (ko) * 1995-09-05 1997-05-21 Matsushita Electron Co Ltd
TW319880B (ko) * 1995-12-27 1997-11-11 Matsushita Electron Co Ltd
JPH09190773A (ja) * 1996-01-08 1997-07-22 Hitachi Ltd 陰極線管用電子銃および陰極線管
KR100186540B1 (ko) 1996-04-25 1999-03-20 구자홍 피디피의 전극 및 그 형성방법
US6133685A (en) * 1996-07-05 2000-10-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ray tube
EP0837487B1 (en) * 1996-10-21 2002-11-13 Lg Electronics Inc. Focusing electrode i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00223823B1 (ko) * 1996-10-21 1999-10-15 구자홍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KR100277970B1 (ko) * 1996-12-31 2001-02-01 구자홍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EP0959489B1 (en) 1997-02-07 2005-06-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picture tube
JP3528526B2 (ja) 1997-08-04 2004-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装置
JPH1167120A (ja) 1997-08-25 1999-03-09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JPH1167121A (ja) 1997-08-27 1999-03-09 Matsushita Electron Corp 陰極線管
US6400105B2 (en) 1997-09-05 2002-06-04 Hitachi, Ltd.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electrostatic quadrupole lens exhibiting different intensities for electron beams
US6369512B1 (en) 1998-10-05 2002-04-09 Sarnoff Corporation Dual beam projection tube and electron lens therefor
JP2001006571A (ja) * 1999-06-22 2001-01-12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及びカラー陰極線管
KR20030029795A (ko) * 2001-06-01 2003-04-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표시관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45208A (de) * 1942-04-16 1946-10-31 Fides Gmbh Elektronenoptisches Gerät.
JPS5520329B2 (ko) * 1974-05-23 1980-06-02
US3961223A (en) * 1975-03-04 1976-06-0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stigmatic focus correction circuit
NL7607722A (nl) * 1976-07-13 1978-01-17 Philips Nv Astigmatische elektronenlens, kathodestraal- buis met een dergelijke lens en inrichting met een dergelijke kathodestraalbuis.
JPS54114175A (en) * 1978-02-27 1979-09-06 Hitachi Ltd Deflecting defocus corection electronic gun
JPS56128551A (en) * 1980-03-12 1981-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n gun
US4388619A (en) * 1981-06-30 1983-06-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rrector for bundle deflection distortion in multibeam cathode ray tubes
NL8302773A (nl) * 1983-08-05 1985-03-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JPS6147040A (ja) * 1984-08-10 1986-03-0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カラ−受像管装置
JPS6139347A (ja) * 1984-07-30 1986-02-25 Matsushita Electronics Corp 電磁偏向型陰極線管装置
US4701677A (en) * 1984-07-30 1987-10-20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S6199249A (ja) * 1984-10-18 1986-05-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受像管装置
JPH0719541B2 (ja) * 1985-04-30 1995-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
US4887009A (en) * 1986-02-12 1989-12-12 Rca Licensing Corporation Color display system
JPH06139347A (ja) * 1992-10-26 1994-05-20 Fuji Facom Corp 画像演算処理装置
JPH06147040A (ja) * 1992-11-09 1994-05-27 Daihatsu Motor Co Ltd 多気筒内燃機関における吸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86999A (en) 1989-12-12
EP0241218A2 (en) 1987-10-14
EP0241218A3 (en) 1988-11-02
KR870010602A (ko) 1987-11-30
EP0241218B1 (en) 1991-12-18
DE3775253D1 (de) 199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173B1 (ko) 음극선관장치
JP3053845B2 (ja) 陰極線管
KR0173722B1 (ko) 컬러음극선관
US5036258A (en) Color CRT system and process with dynamic quadrupole lens structure
EP073902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ynamic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electron beams of a color cathode ray tube
JP2539598B2 (ja) カラ−映像管
KR910007800B1 (ko)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JPH0429178B2 (ko)
KR20010012260A (ko) 음극선관
KR100242924B1 (ko) 음극선관의 편향수차보정방법 및 이것을 적용한 음극선관 및 화상표시장치
JPH05251014A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JPH0272546A (ja) カラー受像管
KR100244672B1 (ko) 코마수차가 경감된 컬러음극선관
CA1273986A (en) In-line electron gun system for a colour picture tube compensated for beam-spot distortion
EP0778605B1 (en) An electron gun assembly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329080B1 (ko) 음극선관
US6646370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JP2690913B2 (ja) カラー受像管
JPH0129016B2 (ko)
KR96001625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682541B2 (ja) インライン形電子銃
US5763991A (en) Electron gun for a color picture tube
JPH0680580B2 (ja) インライン形電子銃
JP3588248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H07169410A (ja) カラー受像管用インライン型電子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