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259B1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259B1
KR960016259B1 KR1019930015064A KR930015064A KR960016259B1 KR 960016259 B1 KR960016259 B1 KR 960016259B1 KR 1019930015064 A KR1019930015064 A KR 1019930015064A KR 930015064 A KR930015064 A KR 930015064A KR 960016259 B1 KR960016259 B1 KR 96001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gun
cathode ray
color cathode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455A (ko
Inventor
고남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5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259B1/ko
Publication of KR94002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제1도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수평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집속렌즈 구성전극의 일부 파쇄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집속렌즈의 일부 파쇄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나타낸 일부 파쇄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총의 제1, 제2전극중 제2전극편의 제1변형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총의 제1, 제2전극중 제2전극편의 제2변형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총의 제1, 제2전극중 제2전극편의 제3변형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총의 제1, 제2전극중 제2전극편의 제4변형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나타낸 일부 파쇄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나타낸 일부 파쇄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나타낸 일부 파쇄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나타낸 일부 파쇄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나타낸 일부 파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16a : 제1가속/집속전극17,17a : 제2가속/집속전극
23,25 : 외위통벽24,26,40 : 림
27,28 : 공통개공29,29a,30,30a : 제1전극편
31,32 : 제2전극편31a,32a : 테두리
35,36 : 단일개구37,38 : 장방형 개공
46 : 정전장 제어전극편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총의 주정전 집속렌즈를 구성하는 전자총의 전극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라인형 칼라 음극선관의 구조는 첨부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서, 진공관(glass evelope)(1)은 크게 전방의 패널(panel)(2)과 후방의 펀넬(Funnel)(3)로 구성된다.
패널(2)의 내벽에는 3색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고, 그 후방의 관내부로는 색선택을 위한 새도우 마스크(4)가 패널(2)에 지지되어 있다.
펀넬(3)측 내부에는 전자총(5)이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전자총의 음극(6)(7)(8)으로부터 방사된 열전자가 제1그리드전극(9) 및 제2그리드전극(10)에 형성된 개공들을 통과하면서 전자빔(각각은 3원색을 각각 나타냄)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전자빔 통과로(제1도의 실선으로 도시됨)(11)(12)(13)를 따라 패널측으로 출사된다.
이때, 음극(6)(7)(8)의 중심축과, 제1그리드전극(9) 및 제2그리드전극(10)에 형성된 개공들의 중심축은, 상기 전자빔 통과로들(11)(12)(13)과 일치하며, 이들은 공통평면상에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도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빔 통과로중 중앙전자빔 통과로(12)를 패널까지 연장한 선 Z-Z를 관축방향이라 부르고, 3전자빔 통과로(11)(12)(13)가 이루는 공통평면을 따르는 방향을 수평방향 X-X이라 부르고, 관축방향 Z-Z와 수평방향 X-X가 서로 연직인 방향을 수직방향 Y-Y(도면상에 도시는 생략함)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어서, 3개의 전자빔 각각은 동일 평면내에 평행하게 배치된 전자빔 통과로(11)(12)(13)를 따라 제2그리드전극(10)을 통하여 진행한 다음 보조집속렌즈를 구성하는 제3그리드전극(14)과 제4그리드전극(15)을 통과하면서 집속이 이루어지고, 계속하여 주집속렌즈를 구성하는 제1가속/집속전극(16) 및 제2가속/집속전극(17)으로 진행된다.
이때, 주집속렌즈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2가속/집속전극(17)측으로 25kv∼35kv의 정전위가 인가되고, 제1가속/집속전극(16)에는 제2가속/집속전극(17)에 인가되는 전위의 약 20%∼30%의 정전위가 인가된다.
이와 같이 인가되어 형성되는 주집속렌즈는 중앙전자빔에 대해서는 축대칭을 이룸에 따라 중앙전자빔은 가늘게 집속되어 축을 따라 형광체까지 직진으로 가속된다.
한편, 상기 제1가속/집속전극(16) 및 제2가속/집속전극(17)의 양 외측부분에는 비대칭의 주집속렌즈가 형성되어, 이 부분을 통과하는 양 외측 전자빔은 주집속렌즈에 의하여 가늘게 집속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중앙전자빔 방향으로 각각 집중 작용을 받게 된다.
따라서, 3전자빔은 상기 새도우 마스크(4)의 한점에 서로 포개지도록 집중하면서 형광체까지 가속되어, 색상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전자빔이 주집속렌즈에 의하여 가늘게 되는 현상을 집속(focusin-g)이라 하고, 각 전자빔이 중앙부는 축대칭하고 양 외측은 비축대칭인 주집속렌즈에 의하여 집중되는 현상을 정수렴(static convergence)이라고 부른다.
제2도는 제1도의 종래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형성해주는 제1가속/집속전극(16) 및 제2가속/집속전극(17)의 일부 파쇄 사시도로서, 제1가속/집속전극(16)은 일측 선단이 개방단을 이루고 다른 측 선단이 폐쇄된 비원통형 전극통으로 구성된다.
외위통벽(19)에서 연장된 폐쇄단면(20)에는 3개의 전자빔 통과 개공(111)(112)(113)이 나란히 형성되고, 각각의 전자빔 통과 개공(111)(112)(113)에는 폐쇄단면(20)으로부터 연장된 원통립(lip)(121)(122)(123)이 외위통벽(19) 내부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가속/집속전극(17)도 상기 제1가속/집속전극(16)과 대향하는 형태로, 각각 3개의 전자빔 통과 개공(131)(132)(133)이 외위통벽(21)으로부터 연장된 폐쇄단면(22)에 형성되고, 각 전자빔 통과 개공(131)(132)(133)에는 폐쇄단면(22)으로 연장된 원통립(141)(142)(143)이 외위통벽(21) 내부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가속/집속전극(16)의 각 전자빔 통과 개공들(111)(112)(113) 사이의 거리는 제1도에 도시된 전자빔 통과로(11)(12)(13)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제2가속/집속전극(17)의 각 전자빔 통과 개공들(131)(132)(13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전자빔 통과로(11)(12)(13)들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더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가속/집속전극(16)과 제2가속/집속전극(17)은 폐쇄단면(20)(22)이 서로 대향하면서, 각 폐쇄단면(20)(22) 사이로 일정 간격(g)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 형태에 따라, 3개의 전자빔에 대하여 각각 독립된 3개의 주집속렌즈를 형성하게 된다.
즉, 이를 다시 설명하면, 제1가속/집속전극(16) 및 제2가속/집속전극(17)에 형성되어 각각의 대향하는 3쌍의 원통립(121,141)(122,142)(123,143)으로 둘러싸인 각각의 3쌍의 전자빔 통과 개공(111,131)(112,132)(113,133)들이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전자빔을 집속시키는 독립된 3개의 원통형 주집속렌즈를 이루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가속/집속전극(16)의 각 전자빔 통과 개공들(111)(112)(113) 사이의 간격보다 제2가속/집속전극(17)의 각 전자빔 통과 개공들(131)(132)(133) 사이의 거리가 더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전자빔 개공들(112,132) 사이로 형성되는 주집속렌즈는 축대칭을 형성하지만, 양 외측 전자빔 통과 개공들(111,131)(113,133) 사이로 형성되는 주집속렌즈는 비축대칭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전자빔은 주집속렌즈를 통과하면서 가늘게 접속된 후 축을 따라 형광체까지 직진으로 가속되고, 양 외측 전자빔은 각각의 주집속렌즈에 의하여 가늘게 집속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중앙전자빔 방향으로 집중 작용을 일으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총의 집속 특성에 의하여 칼라 음극선관의 해상도가 영향을 받게 된다.
음극선관의 특성이 전자총의 주집속렌즈의 구경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다고 하겠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칼라 음극선관의 집속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는 주집속렌즈의 렌즈 배율과 구면 수차가 있다.
그리고, 이들 요인은 주집속렌즈의 집속작용의 강도에 엄격하게 의존한다. 즉, 정전렌즈의 크기 또는 직경이 비율 R만큼 커진다면, 정전렌즈의 내부에서 전위의 제2계측상 도함수는 1/R2만큼 감소하며, 이에 따라 정전렌즈의 강도는 A∼1/R, 정전렌즈의 구면수차는 C∼1/R3로 감소하기 때문에, 주집속렌즈의 구경확대에 의하여 구면수차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한 렌즈 작용에 의해서 렌즈 비율도 감소하며, 다음식으로 작은 전자빔 스포트가 얻어져서 렌즈의 집속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주렌즈의 배율에 의한 전자빔 스포트의 직경 Dx=M·dx
구면수차에 의한 전자빔 스포트의 직경 Dc=1/2M·C·θ3
여기서 M : 주집속렌즈의 배율
C : 주집속렌즈의 구면수차 계수
dx=물점의 크기
θ : 주집속렌즈에 입사하는 전자빔의 각도
그러나, 인라인형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전자빔에 각각 대응하는 주집속렌즈를 동일 수평면내에 배치하기 때문에, 주집속렌즈의 형성전극인 제1가속/집속전극(16)과 제2가속/집속전극(17)에 형성되는 각각의 개공들(111)(112)(113),(131)(132)(133)의 직경은 전자총을 수용하는 유리튜브 내경의 1/3 이하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전극의 두께를 고려하고, 가공상의 문제점까지 고려하면 전자빔 통과 개공들의 크기 한계값은 더욱 작은 값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 한계값을 올려주기 위하여, 전자총을 수용하고 있는 유리튜브의 내경을 확대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것은 편향 전력이 증대하고, 각각 전자빔 통과 개공의 직경 확대에 따라 전자빔 통과 개공의 중심사이의 거리가 커지게 되며, 결국 집중 특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전자빔 통과 개공의 직경을 가능한한 크게 설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가속/집속전극 및 제2가속/집속전극의 개공들을 폐쇄단면에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개공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599,534호(1986년 7월 8일)와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626,738호(1986년 12월 2일)에 제안되어 있다.
이것들은 주집속렌즈의 구경을 실효적으로 확대시키고 수평, 수직방향의 렌즈집속력을 균형있게 하고 비점수차를 제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 외위통 내부로 타원형 개공 또는 다각형 개공을 갖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여 정전장 제어전극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들은 단수개의 부재로 정전장 제어전극을 구성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대향전극에서 깊이 침입한 전위를 수평, 수직방향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타원형의 개공이 다항식 및 복잡한 함수로서 계산되어야만 하고, 이를 성형하는 작업이 복잡하며, 칼라 음극선관의 화면크기와 편향요크의 종류가 바뀌어 전자총의 설계가 달라질때마다 이에 따른 대응설계를 각각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과 같이 주집속렌즈의 크기가 전자총을 수용하는 유리튜브의 내경에 의하여 제약을 받는 경우, 주집속렌즈 형성용 전극의 외형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주집속렌즈의 구경을 효과적으로 증대시켜 집속 특성을 향상시켜 주는데 하나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 및 편향요크에 대응하여 전자총의 설계가 달라질 경우에는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하나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총은 각각이 칼라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칼라 성분을 나타내는 다수의 전자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다수의 전자빔을 형광면상에 집속 및 집중시키기 위한 전단집속렌즈 및 비점수차 보정을 위하여 내부에 제1전극 및 제2전극편을 구비한 다수의 주집속전극수단으로 구성된다.
특히 한쌍으로 구성되는 상기 각각의 주집속전극수단은 서로 대향되고 소정거리로 이격된 확장된 공통개공을 갖는다.
주집속전극수단 내측의 제1전극은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전극수단의 공통개공으로부터 이격된다.
제1전극편은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개공과 하나 이상의 중첩되는 영역으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어, 단일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통한다.
다수개의 개공 각각은 다수의 전자빔 각각에 대응한다.
제2전극편은 제1전극편보다 전극수단의 공통개공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전극편과 이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형태에 따르면, 각 전극수단은 그 내측의 공통개공의 외주로부터 일정 거리로 연장되는 트랙부재와 단일 개구를 구성하는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쇠사슬 고리상 전극편을 구비하고 전극수단의 공통개공에 인접한 림과, 림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되며 전극수단의 내측에 배치된 제어전극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요부를 나타낸 일부 파쇄 사시도이다.
제1가속/집속전극(16a) 및 제2가속/집속전극(17a)은 서로 대향 배치되어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구성한다.
제1, 제2전극(16a,17a)은 각각 외위통벽(23,25)을 갖는 비원통형 전극통으로 구성된다.
외위통벽(23)(또는 25)은 일단(개방단)과 대향 배치되는 대향단에 공통개공(27)(또는 28)을 갖는다.
이들 개공은 수직방향의 치수보다 더 큰 수평방향의 치수를 갖는 타원형상(또는 이하 "트랙"형상이라 함)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공통개공(27)(또는 28)은 전자빔 통로를 제공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외주변에 인접하는 림(24)(또는 26)을 구비한다.
제1전극(16a)의 공통개공(27)과 제2전극(17a)의 공통개공(28)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림(24)(또는 26)은 대향 공통개공에 마주보는 공통개공의 외주면상의 림면(24a)(또는 26a)과 좁은 트랙(24b)(또는 26b)으로 구성된다.
공통개공(27)(또는 28)의 외주부는 공통개공(27)(또는 28)의 내벽에 인접하는 좁은 트랙(24b)을 형성하도록 그 개방단을 향하여 외위통벽(23)(또는 25)의 내향으로 절곡(또는 중첩)되고, 이 좁은 트랙은 림(24)(또는 26)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전극(16a)은 외위통벽(23) 내측에 제1전극편(29)을 구비하고 제1전극편(29)은 림면(또는 공통개공(27)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또는 이하에 "후퇴되게 배치됨"이라 함)된다.
마찬가지로, 제2전극(17a)은 제1전극편(30)을 포함하고, 제1전극편(30)은 림면(또는 공통개공(28)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후퇴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제1전극편(29)은 쇠사슬 고리상으로 3개의 부분적으로 중첩된 개공을 구비한다.
이들 3개의 개공은 서로 연통하여 단일개구(35)(또는 36)를 구성한다.
3개의 개공 각각은 각각의 전자빔로로 제공되고 원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전극(16a)은 제1전극편(29)에 인접한 제2전극편(31)을 구비하며, 제2전극편(31)은 일정거리(h)로 제1전극편(29)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전극편(29)에 대하여 림면(24a)으로부터 더 떨어져 후퇴되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전극(17a)은 제1전극편(30)에 인접한 제2전극편(32)를 구비하여 제1전극편(30)으로부터 일정거리(h)로 이격되어 제1전극편(30)에 대하여 림면(26a)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후퇴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제2전극편(31)(또는 32)은 수직방향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고 수평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실제로 수직인 한쌍의 테두리가 형성된다.
각각의 수직 테두리는 일정폭("W")을 가지며, 제1전극편(29)(또는 30)의 단일개구(35)의 3개의 구멍중 2개의 중첩부의 각각에 인접 배치된다.
각각의 수직 테두리는 일정거리(h)로 각각 중첩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전극편(29)(또는 30)에 대하여 림(24)(또는 26)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후퇴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극(16a)(또는 제2전극(17a))은 서로 일정거리(h)로 이격된 제1전극편(29)(또는 30)과 제2전극편(31)(또는 32)을 구비한다.
또한, 제2전극편(31)(또는 32)에서 한쌍의 수직테두리는 수평테두리로써 그 일단에 서로 연결되어, 레일 형태로 장방형 개공(37)(또는 38)을 갖는 장방형 테두리(31a)(또는 3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장방형 테두리(31a)(또는 32a)의 수평테두리는 제1전극편(29)(또는 30)을 향하여 굽혀지고 제1전극편(29)(또는 30)과 제2전극편(31)(또는 32) 사이의 거리(h)를 확보하도록 그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극편(29)(또는 30)과 제2전극편(31)(또는 32)은 함께 정전장 제어전극편을 구성한다.
이 정전장 제어전극편은 각각의 림(24,26)으로부터 일정거리에서 후퇴되게 배치된다.
각 림면(24a,26a)은 제1, 제2가속/집속전극(16a,17a)의 각각의 공통개공의 끝단면에 대응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일정거리("g")로 이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전자총의 이러한 전극형상에서 전극이 서로 마주보는 공통개공의 끝단면을 갖는 제1, 제2전극(16a,17a) 사이에 전기장은 정전장 제어전극편 내부로 깊이 침투되므로서, 주집속렌즈의 유효경의 증가효과를 본질적으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전자총 형상으로, 주집속렌즈의 개구경을 물리적으로 확대시켜 얻어질 수 있는 효과는 이러한 물리적인 확장없이 얻어진다.
공통개공(27)(또는 28)은 림(24)(또는 26)으로 둘러싸여지고, 수직방향의 치수보다 더 큰 수평방향의 치수를 갖는 비원형(바람직하게는 타원형)을 갖는다.
그러므로 전기장의 침투는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에서 더 크고, 수직방향에서 보다 수평방향에서 더 큰 주집속렌즈의 유효경이 되게 하여, 주집속렌즈의 수평방향 집속효과가 수직집속효과보다 더 작게 된다.
그 결과, 전자빔이 집속될 경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초점거리 사이의 차이때문에 비점수차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전자총은 이러한 비점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제2가속/집속전극(16a,17a)의 각각에 대하여 정전장 제어전극편은 외위통벽(23)(또는 25) 내측의 제1전극편(29)(또는 30)과 제2전극편(31)(또는 32)으로 구성되어 전기장의 침투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제어될 뿐만 아니라 관축방향으로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전 제어전극편은, 제1, 제2전극편을 구비한다.
제1전극편(29)(또는 30)은 단일개구를 구성하는 쇠사슬 고리상으로 3개의 중첩되는 개공을 구비하며, 제2전극편(31)(또는 32)은 바람직하게는 그 사이에 장방형 개공(37)(또는 38)을 한정하는 한쌍의 평행 수직 테두리를 구비한다.
제2전극편(31)(또는 32)은 제1전극편(29)(또는 30)으로부터 일정거리(h)로 이격되고, 제1전극에 대하여 외위통벽의 개방단을 향하여 림(24)(또는 26)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후퇴되게 배치된다.
제1전극편(29)(또는 30)은 제2전극편(31)(또는 32)과 동축이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전극에서 전기장의 침투는 제1전극편(29)(또는 30)과 제2전극편(31)(또는 32)으로서 제어되므로서, 비점수차 보정의 제어효과가 배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전극편(31)(또는 32)의 장방형 개공(37)(또는 38)은 수직치수(수직방향)보다 더 작은 수평치수(수평방향)를 가지므로, 수평치수의 전기장 침투는 비교적 억제되고, 3개의 주집속렌즈 각각의 수평, 수직 집속효과는 비점수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실제로 거의 같게 된다.
그러나, 제2전극부재의 장방형 개공(37)(또는 38)이 수직, 수평방향에서 집속효과가 실제로 균일화되지만, 장방형 개공의 모서리부의 전위가 효과적으로 제어되지 않고, 이에 따라 원형 빔 지점이 형광 스크린상에 얻어질 수 없게 된다.
제2전극편의 장방형 개공의 모서리부에 전위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단일개구(35)(또는 36)를 구성하는 쇠사슬 고리상의 3개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원형 개공(바람직하게는 각각이 원형으로 된 개공)을 구비하는 제1전극편(29)(또는 30)이 장방형 개공을 구비하는 제2전극편(31)(또는 32)에 인접 배치되어 제2전극편(31)(또는 32)의 장방형 개공(37)(또는 38)의 모서리부가 제1전극편(29)(또는 30)의 중심개구의 원형 아크부로서 효과적으로 덮여진다.
그러므로, 제2전극편의 장방형 개공의 모서리부의 전위가 제어되어 형광 스크린상의 원형 빔 지점의 형성이 효과적으로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전자총의 부품의 치수는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내진다.
표 1)
제1가속/집속전극(16a)
림(24)으로 둘러싸인 전자빔 공통개공(27)의 수평방향 직경 : 19.0mm
림(24)으로 둘러싸인 전자빔 공통개공(27)의 수직방향 직경 : 8.0mm
림(24)으로부터 쇠사슬 고리상의 제1전극편(29)까지의 거리 : 3.0mm
림(24)으로부터 레일상의 제2전극편(31)까지의 거리 : 4.0mm
쇠사슬 고리상 제1전극편(29)의 중앙 원형 개구 직경 : 8.0mm
쇠사슬 고리상 제1전극편(29)의 양 외측 원형 개구 직경 : 8.0∼10.0mm
레이상 제2전극편(31)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개공(37)의 수평방향 직경 : 4.4mm
레일상 제2전극편(31)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개공(37)의 수직방향 직경 : 10.0mm
레일상 제2전극편(31)의 수직테두리(37a) 폭(W) : 1.0mm
제2가속/집속전극(17a)
림(26)으로 둘러싸인 전자빔 공통개공(26)의 수평방향 직경 : 19.0mm
림(26)으로 둘러싸인 전자빔 공통개공(28)의 수직방향 직경 : 8.0mm
림(26)으로부터 쇠사슬 고리상의 제1전극편(30)까지의 거리 : 2.05mm
림(26)으로부터 레일상의 제2전극편(32)까지의 거리 : 3.05mm
쇠사슬 고리상 제1전극편(30)의 중앙 원형 개구 직경 : 8.0mm
쇠사슬 고리상 제1전극편(30)의 양 외측 원형 개구 직경 : 8.0∼10.0mm
레일상 제2전극편(32)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개공(38)의 수평방향 직경 : 5.2mm
레일상 제2전극편(32)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개공(38)의 수직방향 직경 : 10.0mm
레일상 제2전극편(32)의 수직테두리(38a) 폭(W) : 0.6mm
제1가속/집속전극(16a)의 림(24)과 제2가속/집속전극(17a)의 림(26)사이의 간격(g) : 1.0mm
또한, 정전장 제어전극판 각각이 외위통벽(23)(또는 25)의 림(24)(또는 26)으로부터 후퇴되게 배치되므로, 집속력이 중심빔을 향하여 외부 전자빔상에 작용하여 집속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전극편(29)(또는 30)의 3개의 중첩되는 원형 개공중 2개의 외부 원형 개공은 외부 전자빔에 대한 주집속렌즈의 개구 유효경을 제공한다.
이때, 제1전극편의 3개의 개공은 함께 정전장 제어전극편의 단일개구(35)(또는 36)를 구성한다.
제1전극편(29)(또는 30)의 단일개구(35)(또는 36)의 이들 외부 원형 개공의 직경은 단일개구(35)(또는 36)의 3개의 중첩되는 원형 개공의 중심 원형 개공의 직경보다 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전극편(29)(또는 30)의 단일개구(35)(또는 36)의 외부 원형 개공의 직경은 여기에 사용된 편향 요크의 타입 및/또는 칼라 음극선관의 스크린 크기로서 설정된 구속 조건내에서 가능한 크게 하여 중심 빔을 향하는 외부 빔의 집속효과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서, 전자총의 형상은 정전장 제어전극편의 제1전극편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제3도에 도시됨)의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전극편의 단일 개구의 외부 개공은 주어진 구속조건내에서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의도되었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동일 부품에는 동일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제2실시예로 도시한 제4도를 참조하면, 제1전극편(29a)(또는 30a)은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 같이 단일 개구를 구성하는 쇠사슬 고리상의 3개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원형 개공을 구비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외부 원형 개공 각각의 외부 반형형부레 인접한 제1전극편(29a)(또는 30a)의 외부가 수직방향을 따라 절취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외부 원형 개공의 약 절반이 절취되므로서, 외부 원형 개공의 나머지 부분이 중심개공에 인접한 반원형 또는 아크형상을 형성한다.
즉, 제1전극편(29a)(또는 30a)의 외부 원형 개공의 외측 단부가 개방된다.
따라서, 정전장 제어전극판의 외위통벽(23)(또는 25) 내측에 배치될 경우, 제1전극편(29a)(또는 30a)의 단일개구의 외부 개공(외부 전자빔로를 제공하고 아크형상으로 됨)은 외부 원형 개공의 나머지 아크부와 외위통벽(23)(또는 25)의 내벽으로 효과적으로 한정되어, 제1전극편(29a)(또는 30)의 외부 전자빔용 개구의 유효경을 확장시킨다.
제5,6,7 및 8도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전극편(31)(또는 32)의 평행 수직테두리쌍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5도를 참조하면, 수직테두리는 수평테두리쌍으로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형태의 장방형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테두리의 수평방향 폭치수(W)는 그 축방향의 길이치수(t)보다 크다.
각각의 수직테두리는 제1전극편(29)(또는 30)의 3개의 중첩되는 개공의 중첩영역 각각에 인접 배치된다.
제6도를 참고하면, 수직테두리는 서로 연결되고, 각 수직테두리의 폭(W)의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깊이(t)보다 더 큰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6도에서 각 수직테두리는 몇도로 굽혀진다.
이들 굽혀진(혹은 각진) 수직테두리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실제로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수평테두리쌍으로 연결되어 실제로 장방형의 개공 또는 개구를 형성한다.
장방형 개구는 수평치수보다 더 큰 수직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각진 수직테두리는 한쌍의 베이스부재(a), 지지부재(c) 그리고 한쌍의 연결부재(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베이스부재(a)는 지지부재(c)로부터 일정거리(l)로 이격되고 수직방향에서 지지부재(c)를 거의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베이스부재(a)는 각각의 연결부재(b)로서 일정각(θ)으로 지지부재(c)를 지지하도록 연결된다.
각도(θ)는 전자빔과 관련된 비점수차의 제어범위에 영향을 준다.
각각의 수직테두리는 제1제어전극편(29)(또는 30)의 3개의 중첩되는 개공의 중첩영역의 각각에 인접 배치된다.
제7도를 참고하면, 제2전극편(31)(또는 32)은 일정거리로 서로 이격되고 수직방향으로 서로 거의 평행한 한쌍의 수직테두리를 구비한다.
각 수직테두리는 수평방향으로 폭(W)과 축방향으로 깊이(t)로 한정된다.
각 수직테두리의 깊이(t)는 폭(W)보다 큰것이 바람직하다.
제8도를 참고하면, 각 수직테두리는 수직테두리의 중심에서 림(40)에 마주보는 캐비티를 갖는다.
각 수직테두리의 캐비티는 바람직하게는 반타원형을 갖는다.
다르게는, 각 수직테두리의 캐비티는 소정 반경(R)을 갖는 반원형을 가진다.
각 수직테두리는 R, G, B를 나타내는 전자빔 사이의 공간 각각에 인접되게 배치되거나, 제1전극(29)(또는 30)의 3개의 중첩되는 개공의 중첩되는 영역의 각각에 인접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2전극의 공통 개공은 서로 대향되고, 이들 공통 개공의 각각에 대응하는 각 정전장 제어전극편은 각각의 공통 개공의 림으로부터 후퇴되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주집속렌즈의 개구 유효경은 전기장의 깊은 침투로 증가되어 전자빔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고 정전장 제어전극편 내부로 들어가고, 이에 따라 개구경의 물리적인 확장으로 얻어질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정전장 제어전극편이 림으로부터 후퇴되게 배치되므로, 외부 전자빔은 중심 전자빔을 향하여 역효과를 가져오고, 주집속렌즈의 큰 개구 유효경이 전자빔 경로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게 되므로서, 편향력을 감소시키고 렌즈의 집속 및 수렴 특성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구성하는 전극은 수평 및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 전기장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므로서, 비점수차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전자총은 주집속렌즈를 구성하는 전극의 치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주집속렌즈의 유효경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총은 주집속렌즈의 집속 특성을 개선하고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정전장 제어전극판 내부로 전기장이 깊이 침투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이것은 복잡한 형상의 개구를 요구하지 않으며, 여기에 사용된 편향요크의 타입 및/또는 음극선관의 스크린 크기에 따라서 전자총의 설계변경을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집속렌즈의 부분 파쇄 사시도로서, 동일 부품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사용된 동일 참조번호가 붙여진다.
제1, 제2전극(16a,17a)은 수평축을 따라 대칭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9도를 참고하면, 제1전극(16a)은 림(40)과 제1전극(16a)의 외위통벽 내측의 정전장 제어전극편(42)을 구비한다.
림(40)은 제1전극(16a)과 대향 제2전극(17a)의 공통 개구 외주상에 림면(40a)과 외위통벽(23)의 내측벽을 따라 림면(40a)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연장되는 림트랙(40b) 및 쇠사슬 고리형상의 림부재(40c)를 구비한다.
여기에 구체화된 림면(40a)과 림트랙(40b)은 제3도에 각각 도시된 림면(24a)과 림트랙(24b)과 거의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쇠사슬 고리상의 림부재(40c)는 개공이 단일 개구를 구성하는 실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3개의 원형 개공을 구비하는 제3도에 도시된 제1전극편(29) 또는 제4도에 도시된 제1전극편(20a)과 거의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쇠사슬 고리 림부재(40c)는 림트랙(40b)의 내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쇠사를 고리 림부재(40c)는 림트랙(40b)의 내측에 배치되고 그 안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림(40)은 그 개방단에 대향하는 비원통형의 제1전극(16a)의 공통 개공을 구성한다.
림(40)은 3개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원형을 갖는 쇠사슬 고리형상의 림부재(40c)와 결합된 좁은 림트랙(40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합 림형상때문에 제1전극(16a)의 외위통벽(23)의 내측에 정전장 제어전극편(42)이 단순한 단일 구조가 될 수 있게 된다.
제어전극편(42)은 림(40)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후퇴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전자빔용 공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극의 개공을 형성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즉, 그 하나의 방법은 트랙(예를 들어 제3도에 도시됨)의 공통 개공의 림을 형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쇠사슬 고리형상(예를 들어, 제9도에 도시됨)으로 그것을 형성하는 것이다.
트랙형상의 림은 렌즈의 최대 유효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트랙형상의 림은 R, G, B를 나타내는 각 전자빔이 다른 전자빔에 완전히 개방(또는 노출)된다는 결점을 갖는다.
즉, 전자빔 사이의 공간이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각 전자빔과 관련된 비점수차를 제어하기가 곤란하다.
이에 따라 이러한 비점수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이 타입의 림형상을 갖는 전극의 외위통벽 내측에 배치된 정전장 제어전극은 복잡하게 되거나 이상의 부품을 갖게 된다.
쇠사슬 고리형상의 림은 3개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원형 개구를 갖는 쇠사슬 고리부재를 구비한다.
이들 원형 개공사이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영역은 어느 정도로 전자빔 사이의 공간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타입의 림형상을 갖는 전극은 R, G, B를 나타내는 전자빔과 관련된 비점수차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그러나, 쇠사슬 고리형상의 림은 완전한 개공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렌즈 유효경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한을 극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도시한 제9도에 따르면, 림(40)은 쇠사슬 고리부재(40c)와 결합하여 좁은 림트랙(40b)을 구비한다.
림트랙(40b)은 외위통벽의 외주로부터 일정 거리로 전극의 외위통벽의 내측벽을 따라 내향으로 연장하여 렌즈 유효경을 최대화시킨다.
또한, 그 외주로부터 일정 거리로 후퇴되게 배치된 림(40)의 쇠사슬, 고리부재(40c)는 어느 정도로 전자빔 사이의 공간을 원형으로 제한하여 그를 통과하는 전자빔의 모서리부를 원형으로 제어한다.
그러므로, 여기에 구체화된 림형상으로 비원통형 전극의 외위통벽 내측에 배치된 정전장 제어전극은 복잡해질 필요가 없고,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비점수차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예를 들어 제9도를 참고하면, 정전장 제어전극편(42)은 제1전극(16a)의 공통개공(또는 림면(40a))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후퇴하게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거의 평행한 동일 길이를 갖는 한쌍의 수직테두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들 수직테두리는 직사각형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거리로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개구의 수직치수는 수평치수보다 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쌍의 수직테두리는 림(40)의 쇠사슬 고리 림부재(40c)의 3개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원형 개공의 중첩영역 각각에 인접 배치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직테두리는 폭치수(W)보다 큰 축방향의 깊이치수(t)와 수평방향의 폭치수(W)로 한정된다.
제9도에서 제1전극(16a)만에 대한 구조가 간단하게 기재된다.
제1전극(16a)에 적용된 원리는 제2전극(17a)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총의 예시적인 부품 치수는 아래 표 2에 도시된다.
표 2
제1가속/집속전극(16a)
림(40)의 림트랙부재(40b)로 둘러싸인 전자빔 공통개공의 수평방향 직경 : 19.0mm
림(40)의 림트랙부재(40b)로 둘러싸인 전자빔 공통개공의 수직방향 직경 : 8.0mm
축방향으로 림(40)의 림트랙부재(40b)의 깊이 : 0.5∼1.2mm
림(40)의 쇠사슬 고리상 림부재(40c)로 둘러싸인 공통개공의 수평방향 직경 : 8.0∼20.0mm
쇠사슬 고리상 림부재(40c)의 원형 개공 직경 : 8.0mm
축방향으로 쇠사슬 고리상 림부재(40c)의 양 외측 원형 개구 직경 : 0.5∼1.0mm
정전장 제어전극편(42)과 림(40)사이의 거리 : 3.0∼4.2mm
제어전극편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개공의 수평방향 치수 : 5.1mm
제어전극편(42)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개공의 수직방향 치수 : 10.0mm
제어전극편(42)의 수직테두리의 깊이 : 2.0mm
제어전극편(42)의 수직테두리의 폭 : 0.5mm
제2가속/집속전극(17a)
림(40)의 림트랙부재(40b)로 둘러싸인 전자빔 공통개공의 수평방향 직경 : 19.0mm
림(40)의 림트랙부재(40b)로 둘러싸인 전자빔 공통개공의 수직방향 직경 : 8.0mm
축방향으로 림(40)의 림트랙부재(40b)의 깊이 : 0.5∼1.2mm
림(40)의 쇠사슬 고리상 림부재(40c)로 둘러싸인 공통개공의 수평방향 직경 : 18.0∼20.0mm
쇠사슬 고리상 림부재(40c)의 중앙 원형 개공 직경 : 7.4mm
쇠사슬 고리상 림부재(40c)의 양 외측 원형 개공 직경 : 8.0mm
축방향으로 쇠사슬 고리상 림부재(40c)의 깊이 : 0.5∼3.0mm
정전장 제어전극편(42)과 림(40)사이의 거리 : 2.1∼3.3mm
제어전극편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개공의 수평방향 직경 : 5.1mm
제어전극편(42)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개공의 수직방향 직경 : 10.0mm
제어전극편(42)의 수직테두리의 깊이(t) : 2.0mm
제어전극편(42)의 수직테두리의 폭(W) : 0.5mm
제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나타낸 부분 파쇄 사시도로서, 림형상은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하다.
제4실시예에 따른 제10도를 참고하면, 정전장 제어전극편(44)은 제1전극(16a)의 공통개공(또는 림(40))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후퇴되게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거의 평행한 한쌍의 수직테두리를 구비한다.
제3실시예와 같이 각 수직테두리의 폭(W)과 폭(W)보다 큰 깊이(t)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 수직테두리는 수직테두리의 중심부에서 림(40)에 마주보는 캐비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수직테두리의 캐비티는 반타원형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각 수직테두리의 캐비티는 일정 반경(R)을 갖는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각 수직테두리는 R, G, B를 나타내는 전자빔 사이의 공간 각각에 인접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어전극편 현상으로 전자빔에 관련된 비점수차는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를 나타낸 부분 절단 파쇄 사시도로서, 림형상은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하다.
제11도를 참고하면, 정전장 제어전극편(46)은 제1전극(16a)의 공통개공(또는 림면(40a))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후퇴되게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거의 평행한 동일 거리를 갖는 한쌍의 수직테두리를 구비한다.
이들 수직테두리는 장방형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한쌍의 수평테두리로써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구의 수직치수는 수평치수보다 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쌍의 수직테두리는 림(40)의 쇠사슬 고리 림부재(40c)의 3개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원형 개공의 중첩되는 영역 각각에 인접 배치된다.
각 수직테두리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 폭치수(W)와 폭치수(W)보다 더 작은 축방형 깊이치수(t)로서 한정된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집속렌즈의 부분 파쇄 사시도로서, 림형상은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하다.
제12도를 참고하면, 정전장 제어전극편(48)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된 각진 한쌍의 수직테두리를 구비한다.
이들 각진 수직테두리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수평테두리로써 연결되어 실제로 장방형의 개공 또는 개구를 형성한다.
장방형 개구는 수평방향의 폭보다 더 큰 수직방향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각진 수직테두리는 한쌍의 베이스부재(48a), 지지부재(48b), 그리고 한쌍의 연결부재(48c)를 구비한다.
각각의 베이스부재(48a)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부재(48b)에 거의 평행하고, 거리 1로 그로부터 이격된다.
각각의 베이스부재(48a)는 각각의 연결부재(48)로서 일정각(θ)으로 지지부재(48b)에 연결된다.
이때, 각도(θ)는 전자빔과 관련된 비점수차 제어범위에 영향을 미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집속렌즈의 부분 파쇄 사시도로서, 림형상은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 도시한 제13도를 참조하면, 정전장 제어전극편(46)은 림(40)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후퇴되게 배치되고 비점수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다수의 개공을 갖는 수평정전 제어전극편을 구비한다.
각각의 원형 개공은 각각의 전자빔에 대응하고 별개의 개구를 구성하는 것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개공의 직경은 제어전극편의 중심개공의 것과 다르게 되어 중심빔과 관련된 것과 같은 정도로 외부빔과 관련된 비점수차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5)

  1. 칼라 영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칼라성분을 나타내는 다수의 전자빔(11,12,13)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6,9,10)과 상기 전자빔을 형광면상에 집속 및 집중시키기 위한 전단집속전극(14,15) 및 주집속전극(16,17)을 구비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주집속전극이 상기 다수의 전자빔(11,12,13) 통로를 둘러싸서 전자빔 공통개공(27,28)을 만드는 림면(24a,26a)을 갖는 비원통 전극통의 외위통벽(23,25)과, 상기 외위통벽(23,25) 내부에 림면(24a,26a)으로부터 후퇴 배치되어 3개의 원형 개공들이 중첩되어 단일 개공(35,36)을 이루는 제1전극편(29,30)과, 상기 제1전극편(29,30) 후방으로 동축상에 배치되는 정전장 제어를 위한 제2전극편(31,32)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가속/집속전극(16a) 및 제2가속/집속전극(17a)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공 각각이 실제로 원형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편의 다수 개공은 중심개공과 수평방향으로 중심개공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중심개공보다 더 큰 각각의 외부 개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편의 다수 개공이 중심개공과 각각이 수평방향으로 중심개공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한쌍의 외부 개공을 구비하고, 각 외부 개공의 외부와 인접하는 제1전극편의 외부 단부가 수직방향을 따라 절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편의 각각이 제1전극부재의 다수 개공의 하나 이상 중첩영역중 각각에 인접하고 장방형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로 서로 이격되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된 다수의 수직테두리를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수단의 공통개공은 각각이 상기 전자빔의 각각에 대응하고 단일 개구를 구성하는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쇠사슬 고리상 부재와 상기 전극수단 내측에 형성된 공통개구의 외주로부터 일정 거리로 연장하는 트랙부재를 갖는 림을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개공이 실제로 원형이고 각각의 외부 개공이 아크형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테두리의 각각이 수평방향의 폭치수와 폭치수보다 작은 관축방향의 깊이치수로서 한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테두리가 수평방향의 폭치수와 폭방향보다 더 큰 축방향의 깊이 치수로서 한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테두리가 상기 공통개공과 마주보는 캐비티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재의 상기 다수 수직테두리가 레일형상으로 사각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평테두리로 서로 커플되고 수평방향의 치수보다 큰 수직방향의 치수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가 실제로 반타원형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가 실제로 반원형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4. 칼라영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이 칼라 성분을 나타내는 다수의 전자빔(11,12,13)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6,9,10)과 상기 전자빔을 형광면상에 집속 및 집중시키기 위한 전단집속전극(14,15) 및 주정전집속전극(16,17)을 구비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주집속전극이 상기 다수의 전자빔 공통개공(27,28)을 만드는 림(40)을 포함하는 비원통 전극통의 외위통벽(23,25)과, 상기 외위통벽(23,25)과 연장된 공통개공의 외주면을 이루는 림의 림면(40a)과, 상기 림의 림면(40a)으로부터 연장된 외위통벽 내측으로 연장되고 림트랙(40b)에 연하여 단일 개구를 형성하며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다수 개공의 일부인 쇠사슬 고리상의 부재(40c)와, 상기 림(40)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전극수단 내측에 배치된 제어전극(42)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가속/집속전극(16a) 및 제2가속/집속전극(17a)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극편이 장방형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로 서로 이격되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고 각각이 상기 부분적으로 중첩된 개공의 각 중첩영역에 인접 배치된 한쌍의 수직테두리를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극편은 각각이 상기 전자빔의 각각에 대응하고, 서로 분리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판을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중첩된 다수의 개공의 각각이 실제로 원형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8. 제14항에 있어서, 제1전극편의 부분적으로 중첩된 다수의 개공이 중심개공과, 중심개공보다 더 크며, 각각이 수평방향으로 중심개공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한쌍의 외부 개공을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테두리의 각각이 상기 림에 마주보는 캐비티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테두리의 각각이 제로값이 아닌 최소한 하나 이상의 각도로 굽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극편이 상기 수직테두리쌍을 커플링하는 수평테두리를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이 중심개공의 직경보다 더 큰 외부 개공을 갖는 원형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개공이 원형이고 각 외부 개공이 아크형상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가 반타원형상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가 원형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930015064A 1993-02-04 1993-08-03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60016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064A KR960016259B1 (ko) 1993-02-04 1993-08-03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5,384 1992-08-04
US93-1494 1993-02-04
KR93-1494 1993-02-04
KR930001494 1993-02-04
KR1019930015064A KR960016259B1 (ko) 1993-02-04 1993-08-03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455A KR940020455A (ko) 1994-09-16
KR960016259B1 true KR960016259B1 (ko) 1996-12-07

Family

ID=1935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064A KR960016259B1 (ko) 1993-02-04 1993-08-03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243797A (ko)
KR (1) KR960016259B1 (ko)
CN (1) CN104136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327A (ko) * 1996-01-30 1997-08-12 윤종용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89028A (ko) * 2002-05-15 2003-11-21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5640A (ja) * 1983-05-23 1984-12-05 Hitachi Ltd カラ−受像管用電子銃
JPH0675378B2 (ja) * 1989-11-08 1994-09-21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679A (zh) 1994-08-10
CN1041362C (zh) 1998-12-23
KR940020455A (ko) 1994-09-16
JPH06243797A (ja) 199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825B1 (ko)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KR890001605B1 (ko) 확산 집속렌즈를 구비한 인라인 전자총을 갖춘 칼라 수상관
KR900008200B1 (ko) 개선된 확대 초점 렌즈형 직렬식 전자총을 갖는 컬러수상관
JP2539598B2 (ja) カラ−映像管
KR920005903B1 (ko) 음극선관
JPH0218540B2 (ko)
US5512797A (en) Electron guns for color picture tube
KR96001625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5506468A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ray tube
KR19990029566A (ko) 컬러음극선관
KR100192348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100201762B1 (ko) 향상된 포커스를 지닌 컬러음극선관
KR100242924B1 (ko) 음극선관의 편향수차보정방법 및 이것을 적용한 음극선관 및 화상표시장치
US4584500A (en) Electron gun integral beam correctors in a color cathode ray tube
JPH05251014A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KR100334073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0009075A (ko) 전극과 이 전극을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2054B1 (ko) 인라인형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음극선관
US5543681A (en) In-line type electron guns for color picture tube
KR100267971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GB2144903A (en) Cathode-ray tube with electron gun having an astigmatic beam forming region
EP1361596B1 (en) In-line type electron gun an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using the same
US4898556A (en) Electron gun integral beam correctors and method
KR10044723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