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971B1 -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971B1
KR100267971B1 KR1019960052228A KR19960052228A KR100267971B1 KR 100267971 B1 KR100267971 B1 KR 100267971B1 KR 1019960052228 A KR1019960052228 A KR 1019960052228A KR 19960052228 A KR19960052228 A KR 19960052228A KR 100267971 B1 KR100267971 B1 KR 10026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ing electrode
electron beam
burring
burring por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240A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5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971B1/ko
Priority to IDP973611A priority patent/ID17832A/id
Priority to CN97125274A priority patent/CN1097289C/zh
Priority to US08/965,667 priority patent/US5994851A/en
Publication of KR1998003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2집속전극과 양극전극에 정전차폐전극을 적용하였을 경우 또는 적용을 하지 않더라도 외측 주렌즈의 수평경과 수직경이 다를 경우에 발생되는 수평방향의 할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집속전극이 제1, 2집속전극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과 양극전극에 정전차폐전극이 설치되며, 제2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공 상하에 수평부가 절취된 한쌍의 버링부가 제1집속전극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자총에, 제2집속전극의 외측의 전자빔 통과공에 있는 버링부의 폭과 길이를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에 있는 버링부의 폭과 길이보다 작게함으로서 외측 전자빔의 발산력을 약화시켜 수직경과 수평경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본 발명은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2집속전극에 제공되는 다이내믹 4극자 렌즈부중 외측 전자빔에 작용하는 다이내믹 4극자 렌즈부의 수직방향 발산력을 약화시켜 외측 주렌즈의 수평방향 축소에 의해 외측전자빔에 발생하였던 수평방향의 할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총은 컬러 음극선관을 이루는 구성장치의 하나로서 음극에서 방출된 3개의 전자빔을 컬러 음극선관의 전방 내측에 도포된 적.녹.청의 형광면에 집속시켜 화소를 형성하고, 이 화소의 조합으로서 컬러 음극선관의 전면에 화면을 구성하는 전자빔 방출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컬러 음극선관의 횡단면도이다.
컬러 음극선관은 그 몸체를 형성하는 브라운관(1)과 전자빔(2)을 생성하는 전자총(3)과 이 전자빔을 화면의 각영역으로 주사하는 편향요크(4)로 크게 대별된다.
브라운관(1)은 브라운관의 전방을 형성하는 판넬(5)과 이 판넬의 외주면에 연하여 후방으로 수렴하는 펀넬(6)로 구성된다.
상기 판넬(5)의 내측면은 적.녹.청의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면(7)으로 이루어지며, 이 형광면에 전자빔이 선택적으로 투사되도록 하는 즉, 전자빔의 색선별 기능을 갖는 새도우 마스크(8)가 형광면 내측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상기 전자총(3)은 상기 펀넬(6)의 수렴부인 네크부(9)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한 편향요크(4)가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10)은 컬러 음극선관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스템핀이다.
도 2a는 컬러 음극선관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라인형 전자총(3)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총(3)은 전자빔을 생성하는 삼극부(11)와 삼극부에서 생성된 전자빔을 집속하여 화면에 촛점을 형성하여 주는 주렌즈(12)부로 대별되며 이들은 네크부(9)에서 판넬(5)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다.
상기 삼극부(11)는 히터(13)가 내장된 음극(14)과, 음극에서 방출된 열전자를 제어 및 가속하는 제어전극(15)과 가속전극(1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렌즈부(12)는 삼극부(11)에서 형성된 전자빔을 최종적으로 집속 및 가속하는 집속전극(17)과 양극전극(18)으로 구성된다.
각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그 인가 방식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각각의 음극(14)은 제조시 제어전극(15) 및 가속전극(16)과의 미세한 거리차이에 의해 각각의 음극(14)에서 방출되는 열전자빔의 양이 서로 다른것을 보상하기 위해 약간씩 각각 다른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제어전극(15)은 접지되며, 가속전극(16)에는 500-1000V, 양극전극(18)에는 25-35KV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집속전극(17)에는 양극전극(18) 전압의 20-30%에 해당하는 중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총에 스템핀(10)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히터(13)의 발열에 의해 음극에서는 열전자 즉, 전자빔(2)이 방출되고 가속전극(16)의 전위가 제어전극(15)으로 침투하여 음극(14)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는 판넬(5)방향으로 가속된다.
이와 동시에 집속전극(17)과 가속전극(18)의 전압차에 의해 집속전극(17)과 양극전극(18)간에는 정전렌즈가 형성되고 이 렌즈의 작용에 의해 전자빔(2)은 집속된 후 새도우 마스크(8)의 전자빔 통과공(도시되지 않음)을 선택적으로 통과하고 판넬 내측에 도포된 형광면(7)에 충돌한다.
이에 따라 형광면(8)이 발광되어 화소가 형성된다.
그러나 판넬(5)의 중앙부 및 주변부의 곡률 차이와 전자총(3)의 인라인 구조로 인해서 형광면(7)에 집속되는 전자빔(2)의 컨버젼스는 어긋나게 된다.
이러한 컨버젼스의 어긋남은 편향요크(4)에서 발생된 비균일 자계에 의해 셀프 컨버젼스를 이룰수 있게된다.
상기 비균일 자계란 편향요크(4)를 이루는 코일중 수평 코일은 새들형 감기를 하여 핀쿠핀 자계를 발생시키고 수직 코일은 트로이달 감기를 하여 배럴형 자계를 발생시켜 형성되는 자계를 말한다.
상기 비균일 자계는 2극 성분과 4극 성분으로 분리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2극 성분은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역할을 하고, 2극 성분의 조합인 4극 성분은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집속하고 수평방향으로 발산시켜 전자빔 스폿을 왜곡 즉, 비점수차를 발생시킨다.
비록 균일에 가까운 자계라 하더라도 미세한 핀쿠션의 자계와 배럴형의 자계 성분 때문에 화면 주변부에서 전자빔은 현저한 비점수차를 받게된다.
화면 중앙에서 편향요크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전자빔은 비균일 자계의 영향을 받지 않아 화면에서의 스폿은 정확한 형상을 갖지만, 화면 주변부에서는 비균일자계 즉 상기한 비점수차의 영향을 받게되어 스폿은 수평방향으로는 발산되고 수직방향으로는 과집속되어 왜곡된 고밀도의 횡장형 코어와 그 상하로 저밀도의 상퍼짐 현상인 헤이즈가 발생하여 화면 주변부에서 해상도 열화를 초래한다.
대형 수상관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경향과 수상관의 크기에 따라 증가하는 편향각을 고려할 때 이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의 하나이다.
이와 같이 전자빔이 수평방향으로 과확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과집속되는 현상은 집속전극에 제공된 종래의 다이나믹 4극자 렌즈부에 의해 보정된다.
이 다이나믹 4극자 렌즈부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속전극(17)을 2분할한 것으로서 분할된 전극의 하나인 음극(13)에 인접한 통형의 제1집속전극(171)에는 7000V정도의 정전압이 인가되고, 화면에 인접한 통형의 제2집속전극(172)에는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동전압이 인가되는데 보통 제1집속전극(171)의 전압보다 300V - 1000V정도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특히, 제1집속전극(171)에 대향하는 제2집속전극(172)의 일단면에 형성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192) 상하에 수평부가 절취된 한쌍의 버링부(20)가 형성되고 이는 제2집속전극(172)을 바라보는 제1집속전극(171)의 대향단에 형성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191)에 삽입 또는 대향되도록 제공된다.
제1, 2집속전극의 구조는 도 2b의 사시도에 보다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4극자 전극에 의해서, 전자빔 편향시 제2집속전극(172)에 동전압이 인가되면 제1, 2집속전극(171, 172)간의 전압차와 버링부(20)에 의해서 전자빔은 수직방향으로 발산되어 즉, 종장형으로 변화하여 비균일 자계에 의해 왜곡되었던 전자빔을 보정한다.
이와 같은 4극자 전극에 부가하여, 화면의 포커스 특성 향상을 위해 제2집속전극(172)과 양극전극(18)에 형성되는 주렌즈를 대구경으로 형성할 경우 구면수차가 감소되므로 화면에 형성되는 전자빔 스폿의 크기를 보다 작게 할수 있어 화면의 해상도는 향상되므로 근래에는 대구경의 주렌즈를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주렌즈의 구경을 대구경으로 하는 수단은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공지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집속전극(172)과 양극전극(18)의 내부에 정전차폐전극(201, 202)(일명, L-B 렌즈 : large Aperture with blade)을 설치하고 제2집속전극(172)과 양극전극(18)의 대향단에는 3개의 전자빔이 공통으로 통과할 수 있는 트랙형의 전자빔 통과공(211, 212)을 각각 형성한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정전차폐전극(201, 202)은 판상의 도전체를 전자빔의 진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한 것이다.
그 중심부에는 중앙 전자빔이 통과하는 단 하나의 사각형 전자빔 통과공(221, 222)이 형성되고 외측 전자빔은 상기 전자빔 통과공(221,222)의 외측부를 지나게된다.
전자빔 통과공의 양측 수직방향으로는 블레이드(231, 232)가 형성되고 제2집속전극(172)과 양극전극(18)내에 설치된 정전차폐전극(201, 202)의 블레이드(231, 232)는 서로 대향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에 의해 제2집속전극(172)과 양극전극(18)에 형성되는 주렌즈는 제2집속전극(172)과 양극전극(18)의 대향단에 각각 형성된 트랙형의 전자빔 통과공(211, 212)과 상기 정전차폐전극(201, 202)에 의해 종래에 3개의 전자빔 통과공에 의해 형성되었던 주렌즈보다 구면수차가 적은 대구경의 주렌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중앙의 주렌즈 구경과 외측의 주렌즈 구경을 측정해 볼 경우 도 3의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과 양측의 주렌즈 가상 실효구경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 가상의 렌즈는 주렌즈 출구 즉, 쉴드컵 끝단에서의 전자빔 발산각과 전자빔의 반경을 계산한 것으로서 무수차선(도3에서의 직선부분)에 가까울수록 렌즈의 구경이 큰 것을 나타낸다.
이 그래프를 살펴보면, 중앙의 주렌즈 수직 직경(CV)은 8mm, 외측의 주렌즈 수직 직경(SV)은 8mm로 동일하고, 중앙의 주렌즈 수평 직경(CH)은 7.5mm, 외측의 주렌즈 수평 직경(SH)은 7mm로서 외측경의 수평경이 중앙의 수평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외측의 수평경(SH)이 중앙의 수평경(CH)에 비해 구면수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중앙의 전자빔은 편향시에도 왜곡되지 않음을 의미하지만 외측의 전자빔이 주변부로 변향될때 편향수차의 영향을 많이 받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화면의 3시 방향 또는 9시 방향으로 전자빔이 화면의 주변부로 편향될때 화면에서의 전압을 측정하면 이를 보다 명확히 알 수가 있게 된다.
전자빔 편향시 화면에서의 전압을 측정하게 되면, 주렌즈의 수평경(CH, SH)과 수직경(CV, SV)이 동일할 경우 도 4a에서와 같이 화면에서 측정한 전자빔의 전압은 수평방향의 전자빔이 일정하고 수직방향의 전압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된다.
이는 수평방향의 전자빔 집속에 관여하는 제1집속전극에 정전압이 인가되고 전자빔의 편향량에 따라 수직방향의 전자빔 발산에 관여하는 제2집속전극에 동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화면에서 측정된 수평 수직 방향의 전자빔 전압변화는 제1, 2집속전극의 전압변화와 비례 관계가 있으므로 도 4a 및 도 4b는 전자빔의 편향량에 따르는 제1, 2집속전극의 전자빔 전압변화로서 표시하였다.
화면의 주변부 특히 3, 9시 방향에서의 전자빔 전압 변화를 살펴보면 결국 중앙 주렌즈 구경의 수평경(CH)과 수직경(CV)이 동일하므로 중앙의 전자빔이 편향되더라도 화면에서의 측정된 전자빔의 전압은 수평방향의 전자빔이 일정하고 수직방향의 전압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된다.
그러나, 외측의 전자빔은 제2집속전극과 양극전극의 사이에서 생성되는 외측 주렌즈 구경의 수평경(SH)이 수직경(SV)에 비해 작으므로 수평방향으로 전자빔이 편향될때 전자빔은 수평방향으로 과집속되고 이는 전자빔의 집속에 관여하는 제1집속전극의 전압이 상승한 것과 같은 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즉, 전자빔이 화면의 주변부로 편향될 때의 전압을 살펴보면 수평방향의 전자빔 전압은 주변부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고 수직방향의 전압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된다.
이와 같은 특성은 도 4c에서와 같이 전자빔은 수평방향으로 과집속되어 화면의 주변부에서 할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할로 현상은 화면 주변부의 해상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은 전자총에 정전차폐전극을 적용하여 주렌즈의 실효 렌즈구경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이루었으나, 정전차폐전극의 적용에 따라 외측의 주렌즈가 비대칭으로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전차폐전극을 가공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가공상 어려움이 많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2집속전극과 양극전극에 정전차폐전극을 적용하였을 경우 또는 적용을 하지 않더라도 외측 주렌즈의 수평경과 수직경이 다를 경우에 발생되는 수평방향의 할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집속전극이 제1, 2집속전극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과 양극전극에 정전차폐전극이 설치되며, 제2집속전극 각각의 전자빔 통과공 상하에 형성되는 수평부가 절취된 한쌍의 버링부를 갖는 전자총에 있어서, 외측의 전자빔 통과공에 있는 버링부의 폭과 길이를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에 있는 버링부의 폭과 길이보다 작게함으로서 외측 전자빔의 수직경과 수평경의 동일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컬러 음극선관내에서 전자총이 개략적으로 설치되어 있는것을 나타내는 음극선관의 횡단면도이다.
제2a도는 일반적인 컬러 음극선관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라인형 전자총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제2b도는 제2a도의 제1, 2집속전극의 구조를 명확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c도는 제2a도의 제2집속전극과 양극전극의 사이에서 음극방향 또는 화면방향으로 바라보았을 경우, 제2집속전극 또는 양극전극내에 설치된 정전차폐전극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제2d도는 제2a도 또는 제2c도에서의 정전차폐전극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주렌즈 출구에서의 전자빔 발산각과 전자빔 반경과의 관계에 의해 계산된 그래프로서 주렌즈의 가상의 실효 구경을 나타낸다.
제4a 및 4b도는 화면의 3시방향 또는 9시방향에서 전자빔의 제1, 2집속전압 변화를 중앙의 전자빔과 외측의 전자빔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4c도는 제4b도와 같이 집속전압의 상승에 의하여 화면의 주변부에서 나타나는 수평방향의 할로 현상을 나타내는 화면상의 예시도이다.
제5a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제5b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제6도는 화면의 중앙에서 화면의 3시 방향으로 전자빔이 편향되었을때의 제1집속전극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제2집속전극에 형성된 버링부의 크기만을 조절하고 다른 부가적인 구조의 변경이 없으므로 도 5a 및 5b에 사용되는 도면 부호는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17) 구조는 통상적으로 정전압이 인가되는 제1집속전극(171)보다 높는 동전압이 인가되는 제2집속전극(172)에 의해 전자빔의 발산이 이루어지므로 제2집속전극(172)에서 전자빔의 발산력에 크게 관계하는 버링부(20)의 크기를 중앙(20C)과 외측(20S)을 달리하여 외측 전자빔의 수평방향 주렌즈 구경(SH)과 수직방향 주렌즈 구경(SV)이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 것에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이 있다.
외측 버링부(20S)의 크기는 중앙의 버링부(20C) 크기보다 작게하여 제2집속전극(172)에 의해 발산되는 전자빔의 발산력이 약화되도록 할 수가 있다.
제2집속전극(172)의 외측 전자빔 통과공(192S)을 통과하는 전자빔의 발산력이 약화되게 되면 제2집속전극(172)과 양극전극(18)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전차폐전극(201, 202)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의 주렌즈 가상 실효 구경이 수직경(SV)은 크고 수평경(SH)이 작더라도 수직방향 발산력 약화에 의해 주렌즈 가상 실효 구경은 동일해 진다.
외측 버링부(20C, 20S)의 크기를 작게하는 방법은 하기하는 바와 같이 버링부의 폭 또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버링부의 폭은 버링부의 원호 길이를 의미하고, 버링부의 길이는 제1집속전극(171)을 바라보는 제2집속전극(172)의 일단면에 형성된 버링부(20C, 20S)가 시작하는 지점에서 버링부의 자유단까지 거리를 의미한다.
도 5a는 제1집속전극(171)의 내부에서 그 전자빔 통과공(191)을 통해 제2집속전극(172)을 바라보았을 때, 제2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공(192)의 상하에 형성된 수평부가 절취된 한쌍의 버링부(20)의 중앙부(20C) 폭이 외측부(20S)의 폭보다 작은 것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의 제1실시예도이다.
버링부(20C, 20S)의 최적 폭을 찾아내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화면중앙에서의 중앙 전자빔은 왜곡되지 않았으므로 중앙 버링부(20C)의 폭을 고정하고 외측의 버링부(20S)의 폭을 점차 줄여 나가면서 외측의 전자빔이 왜곡되지 않는 폭을 찾아낼 수가 있다.
이 폭은 중앙 버링부(20C)를 중앙 전자빔 통과공(192C)의 중심축과 그 버링부의 폭 양측단이 이루는 각(α)을 70°로 하였을 경우 외측 버링부(20S)의 폭은 외측 전자빔 통과공(192S)의 중심축과 그 버링부(20S)의 폭 양측단이 이루는 각(β)을 60 - 65° 로 한 경우였었다.
도 6의 그래프는 화면의 중앙에서 화면의 3시 방향으로 전자빔이 편향되었을 때의 제1집속전극(171)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외측 버링부(20S)의 폭에 따라서 제1집속전극(171)의 전압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조립오차를 감안할 경우 ±50V 정도의 변화는 화면의 주변부 해상도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도 5b는 제2집속전극의 외측부에 형성된 버링부의 길이가 중앙에 형성된 버링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의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버링부의 최적 길이는 제1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찾아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중앙의 버링 각도(α)와 외측의 버링 각도(β)을 동일하게 70° 로 고정하고, 중앙의 버링(20C)의 길이를 0.7mm로 고정한 상태에서 외측 버링부(20S)의 길이를 변화함으로서 외측의 전자빔이 왜곡되지 않는 치수를 찾아낼 수가 있다.
이 길이는 0.6 - 0.65mm 수준이었다.
화면에서의 3시방향으로 제1집속전극(171)의 전압의 변화를 측정할 경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버링각의 각도의 변화에 따라 전자빔이 변화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경향임을 알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집속전극의 버링부(20 ; 20C, 20S) 크기에 대한 주요 설계 치수를 폭과 길이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 제2집속전극의 버링 각도 가변시
·절취된 버링의 각도 : 중앙 버링부(20C) 70°, 외측 버링부(20S) 60 - 65
·절취된 버링의 길이 : 중앙 버링부(20C) 및 외측 버링부(20S) 0.7mm
- 제2집속전극의 버링 길이 가변시
·절취된 버링의 각도 : 중앙 버링부(20C) 및 외측 버링부(20S) 70°
·절취된 버링의 길이 : 중앙 버링부(20C) 0.7mm, 외측 버링부(20S) 0.6 - 0.65m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는 외측 전자빔의 버링부 폭이나 버링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만을 각각 설명하였지만 버링부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전자빔의 외측 버링부의 폭과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는 것도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를 통해서 충분히 예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정전차폐전극(201, 202)을 제2집속전극과 양극전극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발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하기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에서와 같이 제2집속전극의 외측 전자빔 통과공에 형성되는 수평부가 절취되는 버링부의 크기 즉, 폭 또는 길이외에 그 유사한 방법으로 그 크기를 조절하여 외측 전자빔의 수직 발산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하기의 청구범위를 통해 어떠한 수정 및 변형을 가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2집속전극으로 분할 형성되는 집속전극중 제2집속전극 각각의 전자빔 통과공 상하에 형성되어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발산하는데 관여하는 수평부가 절취된 한쌍의 버링부중 외측의 버링부 크기를 축소하여 외측 전자빔의 수직방향 발산력이 약화되도록 함으로서 제2집속전극과 양극전극의 사이에서 형성되었던 수평경보다 수직경이 컸던 외측의 주렌즈를 수평경과 수평경이 동일하게 보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 4c에서와 수평방향으로 나타나던 할로 형상은 보정되어 화면의 해상도를 향상할 수가 있게된다.

Claims (6)

  1. 전자빔을 방사하는 방사수단과 이 전자빔을 제어 및 가속하는 제어전극 및 가속전극으로 구성되는 삼극부와, 상기 삼극부 다음에 순차 배치되는 집속전극이 고정전압을 인가받는 제1집속전극과 전자빔의 편향량에 따라 가변전압을 인가받는 제2집속전극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집속전극에 대향하는 2집속전극단에 형성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에 수평부가 절취된 버링부가 상기 제1집속전극의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과 양극전극의 내부에 정전차폐전극이 형성되는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통과공에 형성된 중앙 버링부와 그 외측 버링부는 서로 비동형(非同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버링부의 크기를 중앙 버링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전자빔 통과공의 중심축과 그 버링부의 폭 양측단이 이루는 각을 중앙 전자빔 통과공의 중심축과 그 버링부의 폭 양측단이 이루는 각보다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버링부의 각은 60 - 65° 범위이고, 상기 중앙 버링부의 각은 70°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버링부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그 자유단까지의 길이를 중앙의 버링부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그 자유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버링부의 길이는 0.6 - 0.65mm 범위이고, 상기 중앙 버링부의 길이는 0.7m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KR1019960052228A 1996-11-06 1996-11-06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KR10026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228A KR100267971B1 (ko) 1996-11-06 1996-11-06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IDP973611A ID17832A (id) 1996-11-06 1997-11-06 Sistem elektroda pemfokus dalam senapan elektron untuk tabung sinar katoda berwarna
CN97125274A CN1097289C (zh) 1996-11-06 1997-11-06 用于彩色阴极射线管电子枪中的聚焦电极系统
US08/965,667 US5994851A (en) 1996-11-06 1997-11-06 Focusing electrode system having burring parts of differing siz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228A KR100267971B1 (ko) 1996-11-06 1996-11-06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240A KR19980034240A (ko) 1998-08-05
KR100267971B1 true KR100267971B1 (ko) 2000-10-16

Family

ID=1948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228A KR100267971B1 (ko) 1996-11-06 1996-11-06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94851A (ko)
KR (1) KR100267971B1 (ko)
CN (1) CN1097289C (ko)
ID (1) ID178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30B1 (ko) * 1998-10-22 200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칼라브라운관용 전자총
KR100300413B1 (ko) * 1998-12-02 2001-09-06 김순택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의전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542A (ko) * 1988-09-16 1990-04-14 미따 가쯔시게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7009A (en) * 1986-02-12 1989-12-12 Rca Licensing Corporation Color display system
US4772826A (en) * 1986-06-26 1988-09-20 Rca Licensing Corporation Color display system
KR950004345A (ko) * 1993-07-24 1995-02-17 이헌조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US5763993A (en) * 1994-04-01 1998-06-09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Focusing electrode structur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JPH08162040A (ja) * 1994-09-14 1996-06-21 Lg Electron Inc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EP0837487B1 (en) * 1996-10-21 2002-11-13 Lg Electronics Inc. Focusing electrode i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542A (ko) * 1988-09-16 1990-04-14 미따 가쯔시게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240A (ko) 1998-08-05
US5994851A (en) 1999-11-30
ID17832A (id) 1998-01-29
CN1185018A (zh) 1998-06-17
CN1097289C (zh) 2002-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3775A (en) Cathode-ray tube device
JP2605202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KR94001098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74880B1 (ko) 칼라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KR100267971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KR100192348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97000856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2그리드
US4399388A (en) Picture tube with an electron gun having non-circular aperture
KR100198559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US5486735A (en) Electron gun with improved withstand voltage for color-picture tube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3823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KR960012415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10044723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554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1581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5992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KR10054657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_
KR910007656Y1 (ko)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KR890000832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렌즈계
KR20016878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
KR20020015440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19087B1 (ko)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KR95000273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51306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630

Effective date: 200004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