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656Y1 -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 Google Patents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656Y1
KR910007656Y1 KR2019880018732U KR880018732U KR910007656Y1 KR 910007656 Y1 KR910007656 Y1 KR 910007656Y1 KR 2019880018732 U KR2019880018732 U KR 2019880018732U KR 880018732 U KR880018732 U KR 880018732U KR 910007656 Y1 KR910007656 Y1 KR 910007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beam
electron gun
ho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821U (ko
Inventor
이성우
이명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8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656Y1/ko
Publication of KR900010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8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6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제1도는 종래의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전극과 전위의 인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전위와 전극에 의하여 형성된 렌즈를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G6전극의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다단집속형 전자총에 의하여 형성된 전자빔이 형광면 상에 랜딩될때의 빔 스포트 형상을 나타낸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개략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G6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지름이 축간거리에 근접하거나 또는 그 이상이 되게 천공하며 또한 전자빔 통과공의 내벽을 제거하여 단일의 통과공을 형성한 전극의 정면도이며, (b)는 (a)의 전극과 제3도에 도시된 전극을 조합하여 형성한 전극 정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다단 접속형 전자총에 의하여 형성된 전자빔이 형광면상에 랜딩될때의 빔 스포트형상을 나타낸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 : 축간 거리 R, G, B : 전자빔 통과공
LM : 주 렌즈계 L1: 제1보조렌즈
L2: 제2보조렌즈 M : 메인렌즈
본 고안은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전극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칼라브라운관의 전자빔을 다단집속할 수 있는 인라인형 3전자총방식의 주렌즈계를 이루는 전극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용 다단집속형 전자총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치 3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G1전극, G2전극과 보조렌즈 및 주렌즈를 이루는 G3전극, G4전극, G5전극, G6전극, G7전극, G8전극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G6전극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통과공(R)(G)(B)이 원형인 전극(A)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G3, G5, G7전극은 등전위로 인가되는 한편 형광면 전위와 동일한 전압(V4)으로 20∼30KV의 전압이 인가되는 G8전극의 20∼30%정도의 포커스전압(V3)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G2, G4, G6전극에는 등전위로 인가되되 포커스전압(V3)보다 낮은 등전위로 인가되는데 이는 보통 400∼1000V의 전압(V2)이 인가된다. 따라서 G2전극과 G3전극 사이에 프리포커스렌즈(LP)가 형성되고 G3전극, G4전극, G5전극과 G5전극, G5전극, G7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유니포텐셜형 전자총렌즈인 제1보조렌즈(L1)와 제2보조렌즈(L2)가 형성되게 되며 상기 G7전극과 G8전극에 의하여 바이포텐셜(Bi0potential)형 전자총 렌즈인 메인렌즈(M)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단집속형 전자총은 캐소오드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프리포커스텐즈(LP) 및 주렌즈계(LM)를 통하여 형광면상에 랜딩될 때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원형의 빔스포트(O)가 형성되나, 전자빔이 편향 요오크에 의하여 형광면 주변부로 편향될때에는 편향요오크에 의한 편향수차 및 스크린 곡률에 따른 기하학적 현상에 따라 타원형으로 길게 찌그러지며 이 빔스포트(B)의 형상과는 반대방향으로 상퍼짐(Halo)(H)이 발생하여 칼라 브라운관의 주변해상도를 저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와같은 칼라브라운관의 포커스특성 및 주변해상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메인렌즈에서 빔경을 적게하여 편향요오크에 의한 전자빔의 왜곡을 어렵게 하거나, 전치3극부를 이루는 G1전극 및 G2전극에 비대칭 렌즈를 형성하여 편향 요오크에 의한 전자빔의 왜곡을 보상하여 왔다.
즉, G1전극과 전자빔 통과공을 종장형으로 형성하고 G2전극을 횡장형으로 설치하여 이를 결합함으로써 편향에 의한 왜곡을 보상 하였으나, 제작상의 문제로 인하여 충분한 효과를 얻을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보조렌즈를 형성하는 G6전극의 전극구조체에 의하여 비대칭렌즈를 형성함으로써 포커스특성 및 주변해상도를 개선한 음극선관용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전극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치 3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G1전극, G2전극과 보조렌즈 및 주렌즈를 이루는 G3전극, G4전극, G5전극, G6전극, G7전극, G8전극이 순서대로 배열되며, 상기 G3, G5, G7전극에는 등전위로 인가되고 상기 G2, G4, G6전극에는 상기 G3, G5, G7보다 낮은 전압의 등전위로 인가되는 한편, G8전극에는 타전위보다 높은 전위로 인가되는 음극선관용 다단집속형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G8전극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을 각 전자빔 통과공의 축간거리가 지름보다 작게하여 단일의 전자빔 통과공으로 한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전극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주렌즈계를 이루는 G3전극, G4전극, G5전극에 의하여 제1보조렌즈가 형성되고 G5전극, G6전극, G7전극에 의하여 제2보조렌즈가 형성된다. 상기 제2보조렌즈를 형성하는 G5전극, G6전극, G7전극 중 G6전극을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자빔통과공(R')(G')(B')의 종축(Y)의 지름(D)을 중심축간거리(E)에 근접하게 하거나 그 이상이 되도록 하며, 또한 횡측(X)으로 전자빔 통과공 사이의 내벽을 제거하여 단일의 전자빔 통과공을 형성하여, 이들에 의하여 한쌍의 비대칭렌즈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때에 돌출부(F)와 횡축(X)과의 간격(J)에 의하여 횡축으로 형성되는 렌즈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종축의 지름(D)을 조정함으로써 종축으로 형성되는 렌즈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원형의 전자빔통과공(R)(G)(B)이 형성된 전극과 본 고안에 따른 전극을 제6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하여 G6전극을 구성하여도 그 작용은 동일하다. 즉, 두개의 전극을 조합함으로써 전자빔통과공(R')(G')(B')에 비대칭 렌즈를 형성할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도에 도시된 전자총의 제2보조렌즈(L2)를 형성하는 전극중 G6전극에 단일의 전자빔통과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보조 렌즈(L2)를 한쌍의 비대칭 렌즈로 형성하여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면 중앙에 랜딩되는 빔스포트의 형상을 종장형의 타원형으로 형성할수 있다. 즉, 상기 G6전극에는 각 전자빔통과공 중심축 사이의 간격이 전자빔통과공의 지름보다 작게 유지되어 각 전자빔통과공 사이의 내벽이 제거됨으로써 단일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횡축(X)방향으로는 각 전자빔 통과공(R')(G')(B') 사이에 간격이 좁아진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강한 집속렌즈가 형성되게 되고 전자빔통과공의 종축(Y)방향으로 각 전자빔통과공(R')(G')(B')사이의 간격에 근접하거나 이보다 큰 직경(D)을 갖게 되므로 횡축(X)방향에 비하여 강한 발산렌즈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전자총의 캐소오드로부터 방출되어 제2보조렌즈(L2)를 통과한 전자빔은 횡축(X)방향으로 집속력을 받게되고 종축(Y)방향으로 발산력을 받게되어 그 단면이 종장형화 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렌즈(L2)을 통과한 후 메인렌즈에서 최종 가속된 종장형의 단면을 갖는 전자빔은 형광면에 주사되게 되는데 상기 전자빔이 형광면 중앙부로 주사될 때에는 편향요오크에 의해 편향되지 않게 되므로 형광면 중앙부에서 제7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종장형의 빔스포트(O')을 얻을 수 있으며, 형광면 주변부로 편향될때에는 편향요오크의 불균일 자계와 형광면의 기하학적 곡률에 의해 종장형의 전자빔이 왜곡되어 형광면 주변부에서 상퍼짐(Halo)이 발생하지 않으며 원형에 가까운 빔스포트(B")형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빔스포트에 의해 발광시키고자 하는 형광체의 주변 형광체를 발광시키지 않게 되어 브라운관의 해상도를 향상시킬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전극구조체는 비대칭정전렌즈를 형성할 수 있어 이를 채용한 전자총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수 있으며, 선명한 화상을 가진 칼라브라운관을 제작할 수 있다.

Claims (2)

  1. 유니포텐셜형 보조렌즈를 이루는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전극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G6전극에 형성되는 (R')(G')(B')의 전자빔 통과공 중심축간의 간격(E)이 각 통과공 지름(D)보다 좁게 유지됨으로써 상기 (R')(G')(B') 전자빔 통과공이 하나로 연속된 형태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구조체.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전자빔통과공(R')(G')(B')의 중심축간 간격(E)이 각 통과공 지름보다 짧게 유지됨으로써 상기(R')(G')(B') 전자빔통과공이 하나로 연속된 형태를 갖춘 전극과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R)(G)(B)이 형성된 종래의 전극(A)을 조합하여 G6전극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KR2019880018732U 1988-11-17 1988-11-17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KR910007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732U KR910007656Y1 (ko) 1988-11-17 1988-11-17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732U KR910007656Y1 (ko) 1988-11-17 1988-11-17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821U KR900010821U (ko) 1990-06-04
KR910007656Y1 true KR910007656Y1 (ko) 1991-09-30

Family

ID=1928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732U KR910007656Y1 (ko) 1988-11-17 1988-11-17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6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821U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1741A (en)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
KR940000601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1098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10007654Y1 (ko) 다단집속형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15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10007656Y1 (ko)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KR10071952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084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19086B1 (ko)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KR20010107098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0149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더블 다이나믹 포커싱 전자총
KR014285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20001982Y1 (ko) 음극선관용 다단집속형 전자총
KR014285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5130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022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098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920009144B1 (ko) 다단집속형 전자총
KR10054657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_
KR100236105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910002974B1 (ko) 제6전극에 비대칭렌즈를 이용한 다단집속전자총
KR200147964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30004792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5268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