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268Y1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268Y1
KR940005268Y1 KR2019910017965U KR910017965U KR940005268Y1 KR 940005268 Y1 KR940005268 Y1 KR 940005268Y1 KR 2019910017965 U KR2019910017965 U KR 2019910017965U KR 910017965 U KR910017965 U KR 910017965U KR 940005268 Y1 KR940005268 Y1 KR 940005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ocus
electron gun
electron beam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675U (ko
Inventor
송용석
배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7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268Y1/ko
Publication of KR930009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2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제1도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입단면도로서, 각 전극에 전위의 인가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a)도는 입단면도이고, 제2(b)도는 제2(a)도에 도시된 제2포커스전극의 출사측면과 제3포커스 전극의 입사측면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캐소오드 12 : 제어전극
13 : 스크린전극 14 : 제1포커스전극
15 : 보조전극 15H : 종장형의 전자빔통과공
16 : 제2포커스전극 16H : 횡장형의 전자빔통과공
17 : 최종가속전극 VF : 포커스전압
Vd : 다이나믹포커스전압 Ve : 애노우드전압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의 불균일 자계로 인한 비점수차와 포커스 특성을 보정할 수 있도록 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인라인형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제1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전치삼극관부를 이루는 캐소오드(2), 제어전극(3) 및 스크린전극(4)과 주렌즈계를 이루는 제1포커스전극(5), 제2포커스전극(6) 및 최종가속전극(7)을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포커스전극(5)의 출사측면(5a)과 제2포커스전극(6)의 입사측면(6a)에는 각각 종장형의 전자빔통과공(5H)과 횡장형의 전자빔통과공(6H)이 형성된다. 상기 제1포커스전극(5)에는 소정의 포커스전압(Vf)이 인가되고 상기 최종가속 전극(7)에는 상기 포커스전압(Vf)보다 매우 높은 애노우드전압(Ve)이 인가되며 상기 제2포커스전극(6)에는 편향요크의 편향 동기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전압(Vd)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1)은 상기 스크린전극(4)과 제1포커스전극(5) 사이에 프리포커스렌즈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포커스전극(5)과 제2포커스전극(6) 사이에는 상기 다이나믹 포커스전압(Vd)의 인가여부에 따라 4중극렌즈가 형성되며 상기 제2포커스전극(6)과 최종가속전극(7)사이에는 주렌즈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빔이 스크린면의 중앙부로 주사될 때에는 상기 제2포커스전극(6)에 다이나믹 포커스전압(Vd)이 인가되지 않아 상기 제1포커스전극(5)과 제2포커스전극(6) 사이에 사중극렌즈가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캐소오드(2)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상기 프리포커스렌즈 및 주렌즈를 통과한 후 스크린의 중앙부에 랜딩되게 되고, 상기 캐소오드(2)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스크린면의 주변부로 편향될 때에는 상기 제2포커스전극(6)에 다이나믹 포커스전압(Vd)이 인가되어 이들 사이에 4중극렌즈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소오드(2)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프리포커스렌즈를 통과한 후 4중극렌즈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를 통과한 전자빔은 4중극렌즈 효과에 의해 종장형의 빔단면을 갖게되고 종장형의 단면을 갖는 전자빔은 주렌즈를 통과한 후 편향요오크에 의해 편향되어 스크린면의 주변부에 랜딩되게 되는데, 상기 스크린면의 주변부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단면은 종장형 단면을 갖는 전자빔이 편향요오크의 불균일 자계에 의해 보정됨으로써 원형을 이루게 된다. 그러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총(1)은 상기 제1포커스전극(5)과 상기 다이나믹 포커스전압(Vd)이 인가되는 제2포커스전극(6)과의 전위차(약 1400V)가 작아 충분한 4중극렌즈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나아가서는 스크린면 주변부에서 발생하는 비점수차 즉 전자빔스포트주변부에 발생하는 할로현상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없어 이를 채용한 음극선관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4중극렌즈의 효과를 극대화시켜 스크린면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비점수차 및 포커스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이를 채용한 음극선관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치삼극관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과 주렌즈계를 이루는 것으로 포커스전압이 인가되는 제1포커스전극과 편향동기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전압이 인가되는 제2포커스전극과 상기 포커스전압보다 높은 애노우드전압이 인가되는 최종가속전극을 구비하여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제1포커스전극과 제2포커스전극 사이에 상기 스크린 전극과 동전위로 인가되는 보조전극이 설치되고, 보조전극의 출사측면과 제2포커스전극의 입사측면에는 4중렌즈를 형성하는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과 횡장형의 전자빔통과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내 보인 본 고안에 따른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10)은 전치삼극관부를 이루는 캐소오드(11), 제어전극(12) 및 스크린전극(13)과 주렌즈계를 이루는 것으로 포커스전압(Vf)이 인가되는 제1포커스전극(14)과 편향요크의 수직 수평동기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전압(Vd)이 인가되는 제2포커스전극(16)과, 상기 포커스전압(Vd)보다 높은 애노우드전압(Ve)이 인가되는 최종가속전극(17)을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포커스전극(14)과 제2포커스전극(16) 사이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포커스전압(Vf)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며 상기 관부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동전위로 인가되는 보조전극(15)이 설치된다.
이때에 상기 보조전극을 스크린전극(13)에 동전위로 인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전극(15)의 출사측면(15a)과 제2포커스전극(16)의 입사측면(16a)에는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종장형의 전자빔통과공(15H)과 횡장형의 전자빔통과공(16H)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10)은 상기 각 전극에 소정의 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스크린전극(13)과 제1포커스전극(14) 사이에 프리포커스렌즈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포커스 전극, 보조전극(15) 및 제2포커스전극(16) 사이에는 유니포텐셜정전렌즈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 유니포텐셜정전렌즈는 상기 보조전극(15)과 제2포커스전극(16) 사이에 형성되는 4중극렌즈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포커스전극(16)과 최종가속전극(17) 사이에는 주렌즈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소오드(11)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스크린면의 중앙부로 주사될 때에는 상기 제2포커스전극(16)에 다이나믹 포커스전압(Vd)이 인가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프리포커스렌즈에서 예비집속 및 가속되고 주렌즈에서 최종집속 및 가속되어 음극선관의 스크린면 중앙부에 최상의 상태로 랜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소오드(11)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스크린면 주변부로 편향될 때에는 상기 제2포커스전극(16)에 편향동기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d)이 인가되게되고 상기 보조전극(15)에는 상기 스크린전극(13)과 동전위로 낮은 전압이 인가되게 되므로 상기 보조전극(15)과 제2포커스 전극(16) 사이에는 강력한 4중극렌즈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소오드(11)로 부터 방출되어 프리포커스렌즈에서 예비접속 및 가속된 전자빔은 상기 유니포텐셜형 정전렌즈의 4중극렌즈에서 전자빔이 종장형화된 후 주렌즈에서 최종집족 및 가속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렌즈에서 최종집속 및 가속된 전자빔은 편향요오크의 불균일 편향자계에 의해 스크린면 주변부로 편향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종장형의 전자빔은 불균일한 편향자계에 의해 왜곡되어 상기 스크린면의 주변부에서 원형의 빔단면상태로 랜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렌즈를 이루는 제2포커스전극(16)에 편향동기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게 되므로 주렌즈의 강도를 변화시켜 스크린면의 중앙과 주변부에서의 포커스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스크린면의 중앙과 주변부에서 상퍼짐이 발생하지 않은 최상의 전자빔스포트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를 채용한 음극선관을 휘도 및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전치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과, 주렌즈계를 이루는 것으로,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는 제1포커스 전극과,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는 제2포커스 전극과, 상기 포커스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최종가속 전극을 구비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제1포커스 전극(14)과 제2포커스 전극(16) 사이에 보조전극(15)이 설치되고, 보조전극(15)의 출사측면과 제2포커스전극(16)의 입사측면에는 4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15H)과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16H)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15)에 인가되는 전위가 삼극부를 이루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과 등전위로 인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15)이 스크린 전극(13)과 등전위로 인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19910017965U 1991-10-25 1991-10-2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5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965U KR940005268Y1 (ko) 1991-10-25 1991-10-2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965U KR940005268Y1 (ko) 1991-10-25 1991-10-2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675U KR930009675U (ko) 1993-05-26
KR940005268Y1 true KR940005268Y1 (ko) 1994-08-06

Family

ID=1932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965U KR940005268Y1 (ko) 1991-10-25 1991-10-2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2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675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601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1098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70008564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930007583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15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043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77399B1 (ko)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KR940005268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444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76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713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1098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1098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3244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5890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5270Y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75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0065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19086B1 (ko)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KR94000724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76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4108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76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1098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6600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