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11359A -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11359A
KR870011359A KR870005274A KR870005274A KR870011359A KR 870011359 A KR870011359 A KR 870011359A KR 870005274 A KR870005274 A KR 870005274A KR 870005274 A KR870005274 A KR 870005274A KR 870011359 A KR870011359 A KR 870011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detecting
value
ignition
detec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7000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789B1 (ko
Inventor
데루지 세코자와
마코토 시오야
모토히사 후나바시
미키히코 오나리
Original Assignee
미타 가츠시게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 가츠시게,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미타 가츠시게
Publication of KR87001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0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0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combined with electronic control of other engine functions, e.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45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by using a second control of the closed loop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14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means for optimising the use of registers or of memories, e.g. interpo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및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엔진의 전자제어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제어회로의 상세도.
제3도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6도는 제1실시예의 동장을 나타낸 플로챠트.
제7도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11도는 본원 발명의 제3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챠트.

Claims (32)

  1. 액셀폐달의 밟는 양을 검출하는 제1의 검출수단(23)과,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2의 검출수단(25)과, 스로틀밸브의 개폐도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21)와,
    상기 제1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액셀폐달의 밟는 양에 따라서 차량의 목표가속도를 설정하는 목표가속도 설정수단(211)과,
    상기 제2의 검출수단에 위해서 검출된 차량의 가속도와 상기 목표가속도와의 편차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편차에 따라서 스로틀밸브의 개폐도의 목표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로틀밸브개폐도의 목표치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부여하는 산출수단(212),(2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가속도 설정수단은 엔진의 부하를 추정하고, 이 추정된 엔진부하를 상기 검출된 액셀폐달 밟는 양에 소정의 계수를 곱해서 얻어진 운전자가 요구하는 엔진의 구동으로부터 감산해서 상기 목표가속도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가속도편차에 대해서 위상진행요소와 위상지연요소에 의한 위상진행, 위상지연의 직렬보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진행요소는 0<<1인 경우 전달함수가이며, 입력신호의 위상에 대해서 출력신호의 위상을 주파수가근처에서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지연요소는 전달함수가이며, β는 차량가속도편차의 요구정밀도가이 되도록 결정하고, TD는 차량의 서지주파수와의 적(積)이 1이 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다시 게인조정요소를 직렬보상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7. 액셀폐달을 밟는 양을 검출하는 제1의 검출수단(23)과,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제2의 검출수단(25)과, 스로틀밸브의 개폐도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21)를 가진 내연기관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검출수단에의해서 검출된 액셀폐달의 밟는 양에 따라서 차량의 목표가속도를 설정하는 제1의 스텝과,
    상기 제2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차량의 가속도와 상기 목표가속도와의 편차를 구하는 제2의 스텝과,
    상기 편차에 따라서 스로틀밸브 개폐도의 목표치를 산출하는 제3의 스텝과,
    산출된 스로틀밸브 개폐도의 목표치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부여하는 제4의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스텝은 엔진의 부하를 추정하고, 이 추정된 엔진 부하를 상기 검출된 액셀폐달 밟는 양에 소정의 계수를 곱해서 얻어진 운전자가 요구하는 엔진의 구동으로부터 감산해서 상기 목표가속도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스텝은 상기 가속도의 편차에 대해서 위상진행요소와 위상지연요소에 의한 위상진행, 위상지연의 직렬보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진행요소는 0<<1인 경우 전달함수가이며, 입력신호의 위상에 대해서 출력신호의 위상을 주파수가근처에서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지연요소는 전달함수가이며, β는 차량가속도편차의 요구정밀도가이 되도록 결정하고, TD는 차량의 서지주파수와의 적이 1이 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스텝은 다시 게인조정요소를 직렬보상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13. 엔진의 부하를 검출하는 제1의 검출수단(14),(98)과, 액셀페달을 밟는 양에 상당하는 값을 검출하는 제2의 검출수단(14),(24)과,
    상기 제2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액셀폐달의 밟는 양에 상당하는 값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수단과,
    엔진의 점화신호를 부여하는 점화시스템(430)과,
    상기 제1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엔진부하에 따라서 점화진각의 기본치를 산출하는 수단(415)와,
    상기 산출된 변화량과 검출된 엔진부하에 따라서 점화진각의 제1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수단(416)과,
    상기 점화진각의 기본치와 보정치를 가산하는수단(419)와,
    상기 가산수단에 의한 가산치를 상기 점화시스템에 부여해서 이 가산치의 진각으로 엔진의 점화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진자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폐달의 밟는 양에 상당하는 값은 스로틀밸브의 개페도이며, 상기 엔진의 부하는 엔진회전수와 엔진 1회전량 흡입공기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스로틀밸브가 전폐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3의 검출수단(174)와,
    상기 제3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스로틀밸브가 전폐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된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1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엔진부하에 따라서 점화진각의 제2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수단(417)을 구비하고,
    상기 가산수단(419)은 상기 기본치와 제1 및 제2의 보정치를 가산해서 상기 점화시스템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16. 엔진의 부하를 검출하는 제1의 검출수단(14)(98)과, 액셀폐달의 밟는 양에 상당하는 값을 검출하는 제2의 검출수단(14)(24)과,
    엔진의 점화신호를 부여하는 점화시스템(430)을 구비한 내연기관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액셀폐달의 밟는 양에 상당하는 값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제1의 스텝과,
    상기 제1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엔진부하에 따라서 점화진각의 기본치를 산출하는 제2의 스텝과,
    상기 산출된 변화량과 검출된 엔진부하에 따라서 점화진각의 제1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제3의 스텝과,
    상기 점화진각의 기본치와 보정치를 가산하는 제4의 스텝과, 이 가산치를 상기 점화시스템에 부여해서 이 가산치의 진각으로 엔진의 점화제어를 행하는 제5의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폐달의 밟는 양에 상당하는 값은 스로틀밸브의 개폐도이며, 상기 엔진의 부하는엔진회전수와 엔진 1회전당 흡입공기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은 다시 스로틀밸브가 전폐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3의 검출수단(174)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방법은 다시 상기 제3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스로틀 밸브가 전폐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된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1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엔진부하에 따라서 점화진각의 제2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제6의 스텝을 구비하며,
    상기 제4의 스텝은 상기 기본치와 제1 및 제2의 보정치를 가산해서 상기 점화시스템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방법.
  19.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제1의 검출수단과, 엔진의 부하를 검출하는 제2의 검출수단(98),(176),(177)과, 엔진의 아이들링상태를 검지하는 제3의 검출수단(174)과, 엔진에 점화신호를 부여하는 점화수단(430)과,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제어수단(66)과, 엔진의 흡입공기량을 제어하는 밸브 수단(20),(48)과,
    상기 제1 내지 제3의 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해서 상기 점화수단, 연료공급수단, 밸브수단에 점화진각, 연료공급량, 밸브개폐도를 산출해서 각각에 출력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제3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아이들링 상태라고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점화진각, 연료공급량, 밸브개페도의 각 기본치를 산출해서 출력하고, 상기 제2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부하의 변동이 검출되면 상기 각 기본치를 보정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검출수단은 엔진의 회전수를 검지하고, 엔진 회전수의 변동에 의해서 부하의 변동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검출수단은 에어콘디쇼너가 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아이들링상태에 있어서 부하가 증가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점화진각, 연료공급량, 바이패스밸브개페도의 각 기본치에 각각 보정치를 가산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연료공급량의 기본치에 보정치를 가산해서 출력하기 전에 점화진각, 바이패스밸브 개폐도의 기본치에 보정치를 가산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각 보정치는 일정치이며, 각각 일정시간 경과 후에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스로틀밸브를 가진 흡입공기로에 병렬로 설치된 바이패스로에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의 공기유량을 제어하는 바이패스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26.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제1의 검출수단과, 엔진의 부하를 검출하는 제2의 검출수단(98),(176),(177)과, 엔진의 아이들링상태를 검지하는 제3의 검출수단(174)과, 엔진에 점화신호를 부여하는 점화수단(430)과,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제어수단(66)과, 엔진의 흡입공기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수단(20)(48)과,
    상기 제1 내지 제3의 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해서 상기 점화수단, 연료공급수단, 밸브수단에 점화진각, 연료공급량, 밸브 개폐도를 산출해서 각각에 출력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한 내연기관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아이들링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의 스텝과, 엔진부하가 변동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2의 스텝과,
    상기 제1의 스텝에 있어서 아이들링상태라고 검출되면 점화진각, 연료공급량, 밸브개폐도의 기본치를 산출하는 제3의 스텝과.
    상기 제2의 스텝에서 부하변동이 검출되면, 제3의 스텝에서 산출된 기본치를 보정해서 상기 점화수단, 연료공급수단, 밸브수단, 출력하는 제4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제2의 스텝은 엔진의 회전수를 검지하고, 엔진회전수의 변동에 의해서 부하의 변동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제2의 스텝은 에어콘디쇼너가 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제4의 스텝은 아이들링상태에 있어서 부하가 증가된 것이 겸출된 경우에는 상기 점화진각, 연료공급량, 바이패스밸브개폐도의 각 기본치에 각각 보정치를 가산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제4의 스텝은 연료공급량의 기본치에 보정치를 가산해서 출력하기 전에 점화진각, 바이패스밸브 개폐도의 기본치에 각각 보정치를 가산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정치는 일정치이며, 제4의 스텝은 상기 각 보정치를 일정시간 경과 후에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스로틀밸브를 가진 흡입공기로에 병렬로 설치된 바이패스로에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의 공기유량을 제어하는 바이패스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전자제어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70005274A 1986-05-29 1987-05-27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및 방법 KR960002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124471 1986-05-29
JP61124471A JP2517909B2 (ja) 1986-05-29 1986-05-29 内燃機関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124471 1986-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359A true KR870011359A (ko) 1987-12-22
KR960002789B1 KR960002789B1 (ko) 1996-02-26

Family

ID=1488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274A KR960002789B1 (ko) 1986-05-29 1987-05-27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64051A (ko)
EP (1) EP0247626B1 (ko)
JP (1) JP2517909B2 (ko)
KR (1) KR960002789B1 (ko)
DE (1) DE3767217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02B1 (ko) * 2006-08-22 2009-05-21 웬 치아-첸 상압 액상 연료 기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3648B2 (ja) * 1986-07-08 1997-12-03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823330B2 (ja) * 1986-10-31 1996-03-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910033B2 (ja) * 1987-03-10 1999-06-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加速時の車速制御方法
US5127383A (en) * 1988-12-10 1992-07-07 Robert Bosch Gmbh Adaptive acceleration enrichment for petrol injection systems
GB8908661D0 (en) * 1989-04-17 1989-06-01 Lucas Ind Plc Engine throttle control system
DE3919108C2 (de) * 1989-06-10 2000-01-2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Betriebsparameters eines Kraftfahrzeugs bei dynamischen Betriebszuständen
DE4103267C2 (de) * 1991-02-04 1997-06-05 Hofmann Wilhelm Heinrich Anordnung zur Kennzeichnung von Kraftfahrzeugen
US5178675A (en) * 1991-03-22 1993-01-12 Lord Corporation Alkoxy silane adhesive compositions
JP2841921B2 (ja) * 1991-05-30 1998-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H0585229A (ja) * 1991-09-30 1993-04-06 Nissan Motor Co Ltd パワートレーンの総合制御装置
US5506777A (en) * 1994-12-23 1996-04-09 Ford Motor Company Electronic engine controller with automatic hardware initiated A/D conversion of critical engine control parameters
DE19918565A1 (de) * 1999-04-23 2000-10-2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JP3607979B2 (ja) * 1999-11-19 2005-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減速力制御装置
US7063066B2 (en) * 2003-05-22 2006-06-20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controlling a device to a position
WO2005049996A1 (en) * 2003-11-18 2005-06-02 Mack Trucks, In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fuel economy
JP3991983B2 (ja) * 2003-12-19 2007-10-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駆動制御装置
JP4200952B2 (ja) * 2004-08-09 2008-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を備えた車両の制御装置
US8240230B2 (en) 2005-01-18 2012-08-14 Kongsberg Automotive Holding Asa, Inc. Pedal sensor and method
DE102005036924A1 (de) * 2005-08-05 2007-02-0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erassisten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7771312B2 (en) * 2007-03-14 2010-08-10 Honda Motor Co., Ltd. Selectable drivetrain control for a vehicle
US7779812B2 (en) * 2008-07-15 2010-08-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ability and surge control
ITBO20090367A1 (it) * 2009-06-05 2010-12-06 Magneti Marelli Spa Metodo di controllo della dinamica di un veicolo in funzione della posizione di un pedale acceleratore
JP2011148342A (ja) * 2010-01-19 2011-08-04 Toyota Motor Corp 車両制御装置
JP5362660B2 (ja) * 2010-07-14 2013-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噴射制御装置
US10570839B2 (en) * 2012-11-29 2020-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vehicle performance
KR101841802B1 (ko) 2014-09-15 2018-03-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철도 차량에서의 자동 열차 운행장치
JP2017115590A (ja) * 2015-12-21 2017-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US10344695B1 (en) * 2018-03-12 2019-07-09 Cummins Inc. Engine controls including dynamic load correction
CN112924710A (zh) * 2019-12-06 2021-06-08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转速相位分析仪及其控制方法、转速相位分析系统、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6915A (en) * 1973-09-28 1975-06-03 Bendix Corp Passive adaptive engine control system for improved vehicle driveability
JPS5840027B2 (ja) * 1977-12-09 1983-09-0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内燃機関用点火装置
DE2829894A1 (de) * 1978-07-07 1980-01-24 Volkswagenwerk Ag Vorrichtung zur selbsttaetigen regelung der fahrgeschwindigkeit eines kraftfahrzeuges mit verbrennungsmotor
JPS57200626A (en) * 1981-06-02 1982-12-08 Toyota Motor Corp Method for controlling idling revolving number of internal-combustion engine
JPS5841244A (ja) * 1981-09-03 1983-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用電子式空燃比制御装置
JPS5993945A (ja) * 1982-11-19 1984-05-30 Nippon Denso Co Ltd 内燃機関のアイドル運転制御方法
FR2538855B1 (fr) * 1982-12-30 1987-05-15 Renault Procede de stabilisation de la vitesse de rotation a vide d'un moteur a allumage commande
JPS59168247A (ja) * 1983-03-15 1984-09-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空燃比および点火時期制御装置
KR890000500B1 (ko) * 1983-11-21 1989-03-20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JPS60135667A (ja) * 1983-12-22 1985-07-19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DE3347070A1 (de) * 1983-12-24 1985-07-04 Westfälische Metall Industrie KG Hueck & Co, 4780 Lippstadt Vorrichtung zum regeln der geschwindigkeit eines kraftfahrzeuges
JPS60164629A (ja) * 1984-02-07 1985-08-27 Nissan Motor Co Ltd スロツトル制御装置
JPH076472B2 (ja) * 1984-10-08 1995-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点火時期制御方法
JPH063151B2 (ja) * 1985-08-09 1994-01-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JPS62261634A (ja) * 1986-05-09 1987-11-13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02B1 (ko) * 2006-08-22 2009-05-21 웬 치아-첸 상압 액상 연료 기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47626A2 (en) 1987-12-02
EP0247626A3 (en) 1988-10-12
JPS62282148A (ja) 1987-12-08
KR960002789B1 (ko) 1996-02-26
DE3767217D1 (de) 1991-02-14
JP2517909B2 (ja) 1996-07-24
US4964051A (en) 1990-10-16
EP0247626B1 (en) 1991-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11359A (ko) 엔진의 전자제어장치 및 방법
US20130213353A1 (en) Transient air flow control
EP14137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intake air flow amoun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90000500B1 (ko)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JPS6153544B2 (ko)
US8032290B2 (en) Control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30700314A (ko) 내연기관과 연속가변 변속기의 제어장치
JPH0733781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H0240044A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開度制御装置
JP3543337B2 (ja) 信号処理装置
KR890012075A (ko) 자동차용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H07247884A (ja) アイドリング制御方法
JP2006274993A (ja) 内燃機関の出力制御装置
JPS6088831A (ja) 内燃エンジンの作動制御手段の動作特性量制御方法
JPS6218737B2 (ko)
JP2002180877A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H0765527B2 (ja) 燃料制御方法
JPH0621590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KR0174231B1 (ko) 에어컨 컴프레서 작동시 공기량 보정 방법
KR930001769B1 (ko) 내연기관의 아이들 회전수 제어장치
JP2002021617A (ja) 電子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H0634596Y2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JP2847851B2 (ja) 車両用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672087B2 (ja) デイーゼル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3196294B2 (ja) エンジン用補助空気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