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537B1 - 페닐지방성 카복실린산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닐지방성 카복실린산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537B1
KR870001537B1 KR8201678A KR820001678A KR870001537B1 KR 870001537 B1 KR870001537 B1 KR 870001537B1 KR 8201678 A KR8201678 A KR 8201678A KR 820001678 A KR820001678 A KR 820001678A KR 870001537 B1 KR870001537 B1 KR 870001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roduct
acid
products
ox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10039A (ko
Inventor
크리스티디스 야니
프르넥스 로베르뜨
Original Assignee
허버트 후리렐
로우셀 우크라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버트 후리렐, 로우셀 우크라프 filed Critical 허버트 후리렐
Publication of KR83001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1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hetero elements
    • C07D295/02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hetero elements containing only one hetero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40Unsaturated compounds
    • C07C59/76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 C07C59/90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containing singly bound oxy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닐지방성 카복실린산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Ⅰ)의 화합물들뿐만 아니라 R이 수소 그것의 알칼리, 알칼리-로 또는 아민염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구조식에서 세개의 메톡시기들은 3, 4, 5 또는 2, 4, 6 또는 2, 4, 5 또는 2, 3, 5 또는 2, 3, 6 위치에 있고 A와 B가 다같이 이중결합을 나타내거나 A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B가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다른 입체 이성질체 형성이 가능하게 R이 수소 원자 또는 1 내지 5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1내지 5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란 용어는 예를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또는 펜틸기를 나타낼 수 있다.
가능한 다른 입체이성질체 형태는 A 및 B가 모두 이중결합을 나타내는 경우의 구조식(5)의 생성물을 위해서는 기하이성체 E와 Z(트랜스 및 시스)를 그리고 A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B가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들 생성물의 여러가지 라세미체와 광학-활성형태를 나타낸다.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생성물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로 염들은 예를들어 나트륨, 칼륨, 리튬 또는 칼슘염일 수 있다.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생성물의 아민염들은 통상적인 아민염들이다. 통상적인 아민염들 가운데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및 프로필아민과 같은 모노알킬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및 디-n-프로필아민과같은 디알킬아민과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트리알킬아민이 언급된다. 피페리딘, 몰포린, 피페라진과 피롤리딘 역시 언급된다.
더욱 자세하게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의 생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다 :
-이성체 E 또는 Z의 형태로 A와 B 모두가 이중결합을 나타내는 상기 구조식(Ⅰ)에 의해 정의된 생성물들 뿐만 아니라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생성물들의 알칼리, 알칼리-토 또는 아민염들 ;
-이성체 E의 형태로 A와 B 모두가 이중결합을 나타내는 구조식(Ⅰ)에 의해 정의된 생성물들 뿐만 아니라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상기 생성물들의 알칼리, 알칼리-토 또는 아민염들 ;
-이성체 E의 형태로 세개의 메톡시기들이 3, 4, 5 또는 2, 4, 5 위에 위치하는 상기 구조식(Ⅰ)에 의해 정의된 생성물들 뿐만 아니라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상기 생성물들의 알칼리, 알칼리-토 또는 아민염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생성물들 가운데 특히 언급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E)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과 -(E)4-(2,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
발명에 따라 가능한 다른 입체 이성질체 형태로 구조식(Ⅰ)의 생성물들 뿐만 아니라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상기 생성물의 알칼리, 알칼리-토 또는 아민염들은 다음 구조식(Ⅱ)의 글리옥실린산 또는 하나의 그 알킬에스테르를 다음 구조식(Ⅲ)의 아세톤페논과 반응시켜 A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B가 히드록시그룹을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생성물에 상응하는 구조식(ⅠA)의 생성물을 얻고, 또는 A 및 B가 다같이(E) 배위에 이중결합을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생성물에 상응하는 구조식(ⅠB)의 생성물을 얻고, 필요하다면 구조식(ⅠA)의 생성물을 탈수제에 주입시켜(E) 배위의 구조식(ⅠB)의의 상응하는 생성물을 얻고, 그리고 필요하다면 구조식(ⅠA)의 얻어진 생성물을 그것의 광학활성 이성체로 회절시키고 그리고 필요하다면 (E) 배위의 구조식(ⅠB)의 화합물을 이성화시켜(Z) 배위의 구조식(ⅠB)의 화합물을 형성시키고 그리고 필요하다면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얻어진 생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염기화 또는 에스테르화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
Figure kpo00002
상기 구조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1내지 5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메톡시기들은 상기한 위치에 자리한다.
조작조건 특히 pH, 온도, 가열시간에 따라 구조식(Ⅱ) 및 (Ⅲ)의 생성물의 축합에 의해 구조식(ⅠA) 또는 (ⅠB)의 생성물 또는 이들 생성물들의 혼합물을 얻는다.
알돌 또는 세톨축합의 화합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pH, 온도 및 가열시간의 가능한 여러가지 조합에 따라 꽤 나은 많은 비율의 생성물(ⅠA) 또는 (ⅠB)를 얻는다.
구조식(ⅠA)의 생성물들은 항상 처음에 형성되며 구조식(ⅠB)의 생성물들은 탈수에 의해 그것들로부터 유도된다.
일반적으로 말하여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구조식(ⅠB)의 생성물의 비율은 매질이 더욱 강한 산성인 것과 같은 조작조건일 때 증가한다(참고, 예를들어 Mathieu 및 Allais, Cahiers de Synthese Organique, vol. 3, page 102, 압돌축합의 화학에 관한 부분.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하에서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된다 :
a) 구조식(ⅠB)의 생성물을 직접적으로 얻기 위한 시도에 있어 구조식(Ⅱ) 및 (Ⅲ)의 생성물들의 반응은 강한 산성매질중에서 수행된다. 산성매질은 예를들어 과량의 글리옥실린산에 의해 또는 염산, 황산 또는 인산과 같은 산의 존재에 의해 또는 히드로설포네이트나트륨의 반응매질에 첨가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생성물(ⅠB)의 직접조제를 위해서 조건은 예를들어 1977.10.3. 발행 일본특허출원 7739020호(C-A 88,37442P) 또는 J. Med. Chem. 1972, vol. 15, no. 9, 918-2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공정에 따라 약 130℃에서 무수초산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구조식(ⅠB)의 생성물들을 얻기 위한 시도에 있어 구조식(Ⅱ) 및 (Ⅲ)의 생성물들의 축합은 바람직하게 120 및 150℃ 사이의 온도에서 수행되며 그리고 가열은 바람직하게 3시간 이상 진행된다.
"알돌"은 가열 또는 산성 매질중에서 처리에 의해 매우 쉽게 탈수하여 상응하는 불포화유도체들을 형성하고 이 탈수는 예를들어 U.S.P. 3953 463에 기술된 것처럼 고온에서 몇분(155℃에서 1내지 2분) 또는 더 긴 시간 저온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b) 구조식(ⅠA)의 생성물들을 얻기 위한 시도에 있어 구조식(Ⅱ)의 생성물을 구조식(Ⅲ)의 생성물과 축합시키는 것은 바람직하게 pH>6에서 수행된다. 이 축합은 바람직하게 100℃ 이하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 3시간 이하의 가열로 수행된다.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Ⅱ)의 생성물이 사용될 때 조작은 예를들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성 시약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주위온도에서 유리하게 똑같이 수행할 수 있다.
c) 구조식(Ⅱ) 및 (Ⅲ)의 생성물의 축합은 용매의 부재 또는, 예를들어 벤젠, 톨루엔 또는 헵탄과 같은 방향성 또는 지방성 탄화수소와 같은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d) 구조식(ⅠA)의 생성물이 구조식(ⅠB)의 생성물로 형성되는 가능한 탈수는 예를들어 산성 매질중에서 가열처리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적당한 탈수제들은 예를들어 염산, 황산, 인산 또는 히드로설포네이트나트륨 또는 칼륨과 같은 알칼리성 히드로설포네이트일 수 있다.
e) 구조식(Ⅰ)의 라세믹체 생성물들을 회절시켜 광학활성 이성체를 형성시키는 것은 통상적인 방법들에 따라 수행된다.
f) 구조식(Ⅰ)의 알칼리, 알칼리-토 또는 아민염들은 예를들어 구조식(Ⅰ)의 상기 생성물에 상응하는 염기들을 작용시킴에 의하여 또는 이중분해 반응에 의하여 또는 이 형태로 알려진 αβ 에틸렌닌 통상카복실린산의 어떤 통상방법에 의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염기화반응은 바람직하게 물, 에틸, 에테르,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옥산과 같은 용매 또는 용매들의 혼합물중에 수행된다.
g) R이 1내지 5 탄소원자들을 함유하는 알킬을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생성물들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생성물을 출발로 하여 바람직하게 산성매질 중에서 ROH식의 알콜의 작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산은 예를들어 염산, 인산 또는 파라톨루엔설포닌산일 수 있다.
h) 이성체 Z의 형태로 A 및 B가 다같이 이중결합을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생성물들은 J. Org. Chem. 13, 1948, p. 284-286에 기술한 방법에 따라 이성체 E의 형태로 구조식(Ⅰ)의 상응하는 생성물을 조사시킴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가능한 다른 입체이성질체로 구조식(Ⅰ)의 생성물들 뿐만 아니라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상기 생성물들의 알칼리, 알칼리-토 또는 아민염들은 중요한 약물학적 성질들을 가진다. 그것들은 특히 중요한 항-궤양활성을 나타낸다. 덧붙여 위 점막으로 접촉하여 그것들은 위산분비억제 및 항암활성을 나타낸다.
이들 성질들은 치료에 사용함이 정당하며 또한 본 발명의 복적은 의약제로서 상기한 바와같이 가능한 여러가지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구조식(Ⅰ)의 생성물 뿐만 아니라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Ⅰ)의 상기 생성물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알칼리, 알칼리-토 또는 아민염들은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에 따른 약제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다 :
-(E)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과 -(E)4-(2,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
발명에 따라 상기 정의한 모든 생성물들은 위산과다증, 위 및 십이지장궤양, 위염, 결퇴탈장 및 위산과다에 동반하는 위 및 십이지장질병에 특히 유용한 인체치료에 매우 유용한 약제들로 구성된다.
사용되는 생성물 및 관련된 질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용량은 예를들어 경구경로로 성인에게 1일 0.05 및 2g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한 구조식(Ⅰ)의 생성물 뿐만 아니라 R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상기 구조식(Ⅰ)의 생성물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알칼리, 알칼리-토 또는 아민염들은 활성성분으로 그것들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들은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들은 소화 또는 비경구경로에 의해 투여할 수 있게 제조된다.
그것들은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고 예를들어 플레인 또는 당의 압착정, 젤라틴캡슐, 입제, 좌제 및 주사제재와 같이 인체 의약으로 통상 사용되는 약제형태로 공급될 수 있고 ; 그것들은 통상적인 방법들에 따라 제조된다.
활성성분 또는 성분들은 장석, 아라비아 껌, 락토스, 전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염, 코코아버터, 수성 또는 비-수성운반체, 동물 또는 식물의 유지물질, 파라핀유도체, 글리콜, 여러가지 수화, 분산 또는 유화제 및 보존제와 같은 이들 약제조성물에 보통 사용되는 부형제에 혼입할 수 있다.
구조식(Ⅱ) 및 (Ⅲ)의 생성물은 공지된 생성물들이다. 이하 주어진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을 설명해 준다.
[실시예 1]
4-(2,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2-히드록시부타노인산.
물의 중량으로 50%인 19.3g의 글리옥실린산을 존재하는 물의 약 80%가 제거될 때까지 감압하 가열하고 냉각하 54.6g의 2, 4, 5-트리메톡시 아세토페논을 반응매질중에 도입시킨다. 전체를 감압하(
Figure kpo00003
50㎎/Hg), 90℃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고 동시에 존재하는 잔존의 물을 증발시킨다. 매질을 냉각시킨 후 다음을 도입시킨다 :
-200㎤의 톨루엔 및 -7.5g의 탄산나트륨염을 함유하는 400㎤의 물.
전체를 경사지워 분리하고 수성층을 톨루엔으로 세척하고
Figure kpo00004
5N 염산을 사용하여 pH=1로 산성화시킨다. 얻어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용매를 제거하고 200㎤의디클로로 1, 2-에탄으로부터 재결정한 후 24.6g의 4-(2,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히드록시부타노인산을 얻는다.
융점=146℃±1℃
분석 :
계산치 : C% 54.93 H% 5.67
실측치 : 54.9 5.7
NMR스펙트럼 : 구조에 따름
산정량 : (이론치의 백분율로 표시) : 100.5±0.5%
[실시예 2]
(E)4-(2,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
실시예 1에서 얻은 11g의 4-(2,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히드록시부타노인산, 30㎤의 아세트산 및 2㎤의 농염산(d=1.18)을 환류 조건에서 2시간 30분간 가열한다.
얻어진 용액을 주위온도로 냉각시키고 100㎤의 물을 가한후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키면 7g의 기대된 조생성물을 수득한다.
융점=207-208℃
20㎤의 아세트산으로부터 재결정한 후 6.3g의 순수하고, 기대한 생성물을 얻는다.
융점=210℃.
분 석 :
계산치 : C% 58.64 H% 5.30
실측치 : 58.6 5.3
NMR스펙트럼 : 트랜스 이성체를 나타내는 비닐양성자의 결합상수는 16㎐이다.
[실시예 3]
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2-히드록시부타노인산
물중에서 50중량%인 29.6g의 글리옥실린산을 존재하는 물의 80%가 제거될 때까지 감압하 가열하고 냉각후 84.1g의 3, 4, 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을 반응매질중에 도입시킨다. 전체를 감압하(
Figure kpo00005
50mm/Hg) 95-10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하고 존재하는 잔존의 물을 동시에 증발시킨다.
매질을 냉각시킨 후 11.6g의 탄산나트륨염 및 약간의 에테르가 함유하는 120㎤의 물을 도입시키고 전체를 경사지워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Figure kpo00006
5N염산을 사용하여 pH=1로 산성화시킨다.
얻어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추출용매의 제게 및 디클로로 1, 2-에탄으로부터 재결정한후 31.5g의 기대된 생성물을 얻는다.
융점=119-120℃
분 석 :
계산치 : C% 54.93 H% 5.67
실측치 : 54.3 5.7
산정량 : (이론치의 백분율로 표시) : 98.3%
[실시예 4]
(E)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
실시에 3에서 얻은 15.8g의 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히드록시부타노인산, 20㎤의 아세트산 및 20㎤의 농염산(d=1.18)을 환류조건하에서 2시간 30분간 가열한다.
반응매질을 냉각시키고 물로 침전시킨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킨다. 12g의 기대된 조생성물을 얻는다.
융점=140℃
40㎤의 물 및 에테르(1 : 1)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후 10.5g의 순수하고 기대된 생성물을 얻는다.
융점=144℃
분 석 :
계산치 : C% 58.64 H% 5.30
실측치 : 58.4 5.3
산정량 : (이론치의 백분율로 표시 : 98.7±0.5%
NMR스펙트럼 : 트랜스시이성체를 나타내는 비닐양성자의 결합상수는 16㎐이다.
[실시예 5]
(E)4-(2, 4, 6-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
3.3g의 펠렛형 수산화칼륨은 100㎤의 무수메탄올로 혼합시키고 그 다음 31.5g의 2, 4, 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을 도입시키고 그 다음 20℃에서 30분에 걸쳐 물중의 4.6g의 80% 글리옥시린산의 용액을 50㎤의 무수에탄올중에 적가한다.
얻어진 용액을 환류조건에서 6시간동안 가열하고 건조가 되게 감압하 증발시킨다. 잔사를 300㎤의 물로 취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수집하고 농염산으로 pH=1로 산성화시킨다. 생성물이 결정화되며 그것을 분리하여 감압하 60℃에서 정량건조시킨다. 메틸에틸케톤으로부터 재결정하여 0.7g의 기대된 생성물을 얻는다.
융점=152℃±1°
분 석 : C13H14O6(266.30)
계산치 : C% 58.64 H% 5.30
실측치 : 58.7 5.5
NMR스펙트럼 : 트랜스이성체를 나타내는 비닐양성자의 결합상수는 16㎐이다.
[실시예 6]
(E)4-(3, 4, 5- 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텐노인산의 메틸에스테르.
20g의 (E)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 150㎤의 메탄올 및 0.15g의 파라톨루엔술폰산의 혼합물을 환류조건에서 5시간 가열한다. 얻어진 용액을 주위온도로 냉각시키고 0.2g의 아세트산나트륨을 가하고 전체를 감압하여 증발시킨다. 200㎤의 톨루엔을 잔사에 가하고 전체를 중탄산나트륨의 수성용액으로 그 다음 물로 세척한다.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고 잔사를 메탄올 및 물(1 : 1)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하고 94℃에서 용해하는 10.7g의 생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7]
(E)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의 몰포린염
1.758g의 몰포린을 함유하는 50㎤의 에틸에테르를 5.375g의(E)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을 함유하는 용액에 가한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틸에테르로 세척하고 감압하 건조시킨다. 140℃에서 용해하는 6.5g의 생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8]
(E)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부테노인산의 나트륨염
28㎤의 1N-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10℃에서 7.7g 의 (E)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 및 30㎤의 물의 혼합물에 도입시킨다. 전체를 여과하고 감압하 증발시킨다. 얻어진 고체를 아세톤으로 취하고 여과하고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20℃에서 감압하 건조시킨다. 250℃에서 용해하는 7g의 생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9]
(E)4-(3, 4, 5-트리메톡시페닐)4-옥소 2-부테노인산의 페피리딘염
1.988g의 피페리딘을 함유하는 50㎝의 에틸에테르를 1,200㎤의 에틸에테르중의 6.215g의 (E)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의 용액에 가한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틸에테르로 세척하고 감압하 건조시킨다. 124℃에서 용해하는 7.3g의 생성물을 얻는다.
약제형태들
[실시예 10]
압착정제, 압착정제들은 다음식에 상응하여 제조된다 :
-(E)4-(3,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100㎎·하나의 압착정제가 300㎎까지 되도록 약간의 부형제(부형제의 설명 : 랍토스, 밀전분, 리처전분, 쌀전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염, 장석).
[실시예 11]
젤라틴캡슐, 젤라틴캡슐은 다음식에 상응하게 제조된다 :
-(E)4-(2, 4, 5-트리메톡시페닐) 4-옥소 2-부테노인산……100㎎·하나의 젤라틴캡슐이 300㎎까지 되도록 약간의부형제(부형제의 설명 : 장석, 스테아린산마그네슘염, 에어로실).
약물학적 조사
1) 실시예 1내지 4의 생성물의 항궤양활성의 결정 : 사용된 기술은 다음 문한에 기술된 것이다.
(Shay 등 Gastroenterology, 5,43, (1945)) shay 기술은 위문의 결찰에 의해 위 수준에서 쥐의 궤양을 유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물들은 에테르로 마취시킨다. 세로 절개는 흉골의 약 1㎝ 아래에서 행하고 위의 내장부위 및 십이지장을 광선하에 옮기고 결찰을 위문의 몇 mm 아래에 둔다. 근육평면을 그것과 같이 남기고 피부는 두개의 클립으로 봉합한다.
그 다음 즉시 0.5㎤/100g의 용적에서 입으로 분산제 또는 조사대상물질을 주입하고 처리후 약 16시간에 목동맥 출혈에 의해 그것들이 배출될 때까지 식음을 전폐하도록 한다.
위를 제거하기 전에 결찰을 본문 위에 둔다. 위 맥을 수집하여 그것의 pH0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내장곡선을 따라 계복하고 생리적 혈청중에 헹구고 쌍안현미경하에 시험하고자 하는 밀리미터 종 이상에 분리해 둔다.
각각의 위에 0내지 4로 기록되는 부위의 공극을 현미경으로 평가해 둔다.
궤양화의 평균 강도는 쥐들의 각각의 회분(batch)에 대해 결정하고 그 방제율이 계산되는데 그 그룹의 평균지수는 대조군의 평균지수에 대한 비교치이다.
위액의 pH치는 처리동물과 대조동물에 똑같이 결정한다. 다음 결과과 얻어졌다 :
Figure kpo00007
2) 실시예 6 및 7의 생성물들의 항궤양활성의 결정 : 사용된 기술은 다음 문헌에 기술된 것이다.
(P.H. Guth, Gastroenterology, 76,88, (1976))에 의해 조절된 shay등 Gastroenterology, 5, 43(1945) 방법 참조).
48시간 금식후 쥐들은 1㎤/100g의 용적에서 입으로 분산제 또는 시험대상 물쥐를 주입한다.
1시간후 동물들은 에테르로 마취시킨다. 세로 절개가 흉공아래 약 1㎝에 행해지고 위의 내장부분 및 십이지장을 광선하에 옮기고 결찰은 유문아래 몇 밀리미터에 둔다. 근육평면을 봉합하고 피부는 클립으로 이어둔다.
1시간후 수중의 1%의 메틸셀루로스를 함유하는 현탁액에 분산된 200㎎/㎏의아스피린을 150밀리몰의 염산과 혼합한 것을 0.5㎤/100g의 용적에서 경구투여한다.
이 마지막 투여 2시간 후 동물을 무수탄산을 이용하여 배출시킨다. 위를 제거하기 전 결찰을 본문 위에 둔다. 위액을 수집하여 처리동물 및 대조동물에 대한 그것의 pH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결과가 얻어졌다 :
Figure kpo00008
3) 급성독성의 결정
실시예 1내지 8의 유도체의 치사량 LD50이 마우스에 경구투여후 평가된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9

Claims (4)

  1. 다음 구조식(Ⅱ)의 글리옥실산 또는 그의 알칼에스테르중의 어느 하나를 다음 구조식(Ⅲ)의 아세토페논과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ⅠA)의 생성물을 얻고, 이때 얻어진 식(ⅠA)의 생성물을 탈수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ⅠB)의 생성물 및 이들을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또는 아민염들의 제조방법 :
    Figure kpo00010
    상기식에서, 세개의 메톡시기들은 3, 4, 5 또는 2, 4, 6 또는 2, 4, 5 또는 2, 3, 5 또는 2, 3, 6 위에 위치하고, R은 수소원자 또는 C1내지 C5알칼리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세개의 메톡시기들이 3, 4, 5 또는 2, 4, 6 위에 위치하는 구조식(Ⅲ)의 아세토페논을 출발물질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E)4-(3, 4, 5-트리메톡시페닐)-4-옥소-2-부테노인산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E)4-(2, 4, 5-트리메톡시페닐)-4-옥소-2-부테노인산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8201678A 1981-04-17 1982-04-16 페닐지방성 카복실린산유도체의 제조방법 KR870001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107801A FR2504127B1 (fr) 1981-04-17 1981-04-17 Nouveaux derives d'acides phenyl aliphatique carboxyliqu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FR81-07801 1981-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10039A KR830010039A (ko) 1983-12-24
KR870001537B1 true KR870001537B1 (ko) 1987-09-02

Family

ID=925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678A KR870001537B1 (ko) 1981-04-17 1982-04-16 페닐지방성 카복실린산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4450292A (ko)
JP (2) JPS57183736A (ko)
KR (1) KR870001537B1 (ko)
AT (1) AT390054B (ko)
AU (1) AU550822B2 (ko)
BE (1) BE892886A (ko)
CA (1) CA1168255A (ko)
CH (1) CH652387A5 (ko)
DE (1) DE3214082A1 (ko)
DK (1) DK157673C (ko)
ES (1) ES8303279A1 (ko)
FI (1) FI73965C (ko)
FR (1) FR2504127B1 (ko)
GB (1) GB2096999B (ko)
GR (1) GR75457B (ko)
HU (1) HU186857B (ko)
IE (1) IE52444B1 (ko)
IL (1) IL65445A (ko)
IT (1) IT1147846B (ko)
LU (1) LU84090A1 (ko)
MA (1) MA19444A1 (ko)
NL (1) NL8201579A (ko)
OA (1) OA07539A (ko)
PT (1) PT74767B (ko)
SE (1) SE453493B (ko)
SU (1) SU1264836A3 (ko)
ZA (1) ZA8225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5037A1 (fr) * 1981-10-22 1983-04-29 Roussel Uclaf A titre de medicaments, certains derives mono-substitues de l'acide 4-phenyl 4-oxo buten-2-oique, ainsi que les compositions les renfermant
IT1190340B (it) * 1986-06-06 1988-02-16 Roussel Maestretti Spa Derivati dell'acido 4-fenil 4-osso 2-butenoico,loro procedimento di preparazione e loro impiego come prodotti medicinali
DK49688A (da) * 1987-03-20 1988-09-21 Hoffmann La Roche Propiolophenonderivater
HU198294B (en) * 1987-06-10 1989-09-28 Richter Gedeon Vegyeszet Process for producing butenoic acid amid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active ingredient
US4777288A (en) * 1987-06-11 1988-10-11 Pfizer Inc. Process for preparing a 4,4-diphenylbutanoic acid derivative
DE3881770T2 (de) * 1987-07-20 1993-10-07 Cometec Srl Zusammensetzungen zum Fördern der Tierwachstums.
HU198446B (en) * 1987-09-25 1989-10-30 Richter Gedeon Vegyeszet Process for production of new amids of buten acid and med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active substances
US5837227A (en) * 1995-12-26 1998-11-17 Hershey Foods Corporation Use of cocoa butter or partially hydrolyzed cocoa butter for the treatment of burns and wounds
US5849729A (en) * 1995-12-26 1998-12-15 Hershey Foods Corporation Use of hydrolyzed cocoa butter for percutaneous absorption
DE69925918T2 (de) 1998-07-27 2006-05-11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Diketosäure-derivate als hemmstoffe von polymerasen
GB9816358D0 (en) 1998-07-27 1998-09-23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Enzyme inhibitors
RU2771565C1 (ru) * 2021-05-28 2022-05-0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алента-Интеллект" Новые соединения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08617A (ko) * 1966-12-30 1968-06-28
NL6717403A (ko) * 1966-12-30 1968-07-01
US3857949A (en) * 1970-06-26 1974-12-31 Inst Chemioterapico Italiano S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cardiac disorders
US3803222A (en) * 1970-06-26 1974-04-09 Istituto Chem It Spa Oxo-trialkoxyphenyl-alkanoic acids and salts thereof
DE2116293A1 (de) * 1971-04-02 1972-10-19 Cassella Farbwerke Mainkur Ag, 6000 Frankfurt Keton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017517A (en) * 1971-09-13 1977-04-1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2-(Trisubstituted benzoyl)-propionic acid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BE788749A (fr) * 1971-09-13 1973-03-1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Acide 3-(benzoyl trisubstitue)-propioniqu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AT319215B (de) * 1972-09-13 1974-12-10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3-(2',4',5'-trisubst. Benzoyl)-propionsäuren
FR2481118A1 (fr) * 1980-04-24 1981-10-30 Roussel Uclaf Application a titre de medicaments de derives substitues de l'acide phenyl-4-oxo-2-buteno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70382A (da) 1982-10-18
ES511489A0 (es) 1983-02-01
JPS57183736A (en) 1982-11-12
CH652387A5 (fr) 1985-11-15
GB2096999B (en) 1984-08-15
JPS6237027B2 (ko) 1987-08-10
SE453493B (sv) 1988-02-08
PT74767A (fr) 1982-05-01
FI73965B (fi) 1987-08-31
AT390054B (de) 1990-03-12
FI73965C (fi) 1987-12-10
DE3214082A1 (de) 1982-11-04
KR830010039A (ko) 1983-12-24
PT74767B (fr) 1985-01-07
AU550822B2 (en) 1986-04-10
IL65445A (en) 1986-09-30
US4450292A (en) 1984-05-22
IE820896L (en) 1982-10-17
ATA144682A (de) 1989-08-15
LU84090A1 (fr) 1983-04-13
CA1168255A (fr) 1984-05-29
IE52444B1 (en) 1987-10-28
GB2096999A (en) 1982-10-27
SE8201840L (sv) 1982-10-18
FI821305A0 (fi) 1982-04-14
MA19444A1 (fr) 1982-12-31
OA07539A (fr) 1985-03-31
ES8303279A1 (es) 1983-02-01
IL65445A0 (en) 1982-07-30
JPS62174012A (ja) 1987-07-30
IT1147846B (it) 1986-11-26
AU8269082A (en) 1982-10-21
JPH0120127B2 (ko) 1989-04-14
ZA822571B (en) 1983-02-23
DK157673B (da) 1990-02-05
BE892886A (fr) 1982-10-18
GR75457B (ko) 1984-07-19
HU186857B (en) 1985-10-28
IT8248240A0 (it) 1982-04-16
FR2504127B1 (fr) 1985-07-19
NL8201579A (nl) 1982-11-16
FI821305L (fi) 1982-10-18
FR2504127A1 (fr) 1982-10-22
DK157673C (da) 1990-07-16
SU1264836A3 (ru) 1986-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537B1 (ko) 페닐지방성 카복실린산유도체의 제조방법
US4483868A (en) Gastro-protecting activity
RU2175966C2 (ru) 4-оксобутановые кислоты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SU1311618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азулена
US4500731A (en) Derivatives of 4-phenyl-4-oxobuten-2-oic ac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rapeutic uses for them
US4473583A (en) Compositions containing certain derivatives of 4-phenyl-4-oxobuten-2-oic acid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them
BE779775A (fr) Derives de l'uree, procede pour les preparer et leurs applications
FR2551063A1 (fr) Nouveaux dimethyl-2,5 pyrrol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US4436752A (en) Treatment of gastric and gastro-duodenal disorders with derivatives of phenyl aliphatic carboxylic acids
US3723514A (en) (-)threo-3-(4-hydroxy-3-methoxyphenyl)-serine
DK142315B (da) Analogi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N-(p-benzamido)-2-pyrrolidon-4-carboxylsyreforbindelser eller basesalte deraf.
EP0057337B1 (fr) Dérivés du 4H-benzo(4,5)cyclohepta(1,2-b)furanne,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ant que médicaments
US4515970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alkanoic acids
SU451696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триптаминов
US4694019A (en) Therap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derivatives of, acrylic acid having an oxygen-containing heterocycle, therapeutic treatment therewith and new compounds
RU2072987C1 (ru) Производные 3-циклоалкилпропен-2-амида или их аддитивные соли с минеральными или органическими основаниям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JPS6241689B2 (ko)
CH630611A5 (fr) Amino-4 chloro-5 methoxy-2 n-(n-ethyl methyl-2 pyrrolidino)benzenesulfonamide, procede de preparation et medicaments le contenant.
Hegedus et al. THREO-3-(4-HYDROXY-3-METHOXYPHENYL)-SERINE
GB2162519A (en) New 4-oxo-2-butenoic acid derivatives
FR2526789A2 (fr) Nouveaux derives d'acides phenyl aliphatique carboxyliqu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JPH0128734B2 (ko)
JPH0522707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