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110B1 - 환편기(丸編機)용의 슬라이더침 - Google Patents

환편기(丸編機)용의 슬라이더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110B1
KR870001110B1 KR1019840000343A KR840000343A KR870001110B1 KR 870001110 B1 KR870001110 B1 KR 870001110B1 KR 1019840000343 A KR1019840000343 A KR 1019840000343A KR 840000343 A KR840000343 A KR 840000343A KR 870001110 B1 KR870001110 B1 KR 87000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lit
hook
needle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441A (ko
Inventor
마사도시 사와자끼
쇼오조오 요티스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후꾸하라 쇼오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후꾸하라 쇼오조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50003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편기(丸編機)용의 슬라이더침
제1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슬라이더침(針)의 전체의 측면도이며, 제1도는 슬라이더부분이 훅을 덮는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2도는 슬라이더부분이 훅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낸다.
제3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슬라이더침의 선단부의 확대도이며, 제4도는 훅부분 선단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슬라이더부분 선단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Ⅵ-Ⅵ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Ⅶ-Ⅶ 단면도.
제8a도는 제 1 실시예의 슬라이더침의 전체도.
제8b도는 -제 8d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침의 제 2 실시예, 제3실시예, 제4 실시예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침의 제5실시예이다
제10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침의 제6실시예이며, 제 11도는 이 슬라이더침 선단부분의 확대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침의 제7실시예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침의 제8실시예이다.
제 14도는 제 12도의 XIV 부분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훅부분 : (10)(10A,10B, 10C, 10D, 10E, 10F)
슬라이더부분 : (20)(20A,20B, 20C, 20D, 20E, 20F)
슬릿 : (111)
제2의 슬릿 : (111E),(111F)
슬릿지지면 : (112)
제2의 슬릿지지면 : (112E),(112F)
요소(凹所): (115)(115E,115F)
슬라이더자유단부 : (202)
본 발명은 환편기용의 슬라이더침으로서 훅부분과 슬라이더부분을 지니고, 훅부분의 슬릿내에 수용된 슬라이더부분이 슬라이더 자유단부에 의하여 훅부분의 훅을 덮는 폐쇄위치에서 훅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또, 반대로 전기한 개방위치에서 펴쇄위치에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형식의 것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와서 생산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편물기의 운전속도를 높이는 경향에 있으며, 그 때문에 메리야스침의 사용조건이 점차 가혹하여져 가는 경향에 있다. 그런데 종래의 랫치바늘로서는 운전속도를 지나치게 높여주면 랫치(latch)의 스푼이나 랫치홈이 파손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서 운전속도에 한계가 있었다.
이 문제를 타개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바로 슬라이더침이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6-118934호의 발명에 관한 슬라이더침에 있어서는, 슬라이더부분을 안내하는 훅부분은 안내홈안의 양측벽의 평탄한 상호 평행한 연장부분을 지니고 있다. 그 평행한 연장부분은 슬라이더부분을 유도하기 위하여 장방형의 구멍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 구멍을 막는다거나 또한 슬라이더부분의 안내로 되는 서로 상대하도록 형성된 전단(前端)이 있다. 따라서 훅부분은 가늘고 긴 장방형단면 플레이트의 일반적 형상이다. 그 플레이트에는 기계가공으로 양측벽을 굽으려 플레이트전단상을 막아서 마련한 단면장방형의 스페이스가 있다.
이 종래기술에서는 훅부분에 슬라이더 부분을 삽입한 다음 성형가공으로 홈의 양측벽이 굽어지기 때문데 곤란한 가공공정이 증가하게 된다. 그위에 폭방향 내벽의 치수규제는 극히 곤란한 것으로 홈의 평행도를 얻기 어렵고, 슬라이더부분이 누어지기 쉽다. 훅에 대하여 홈의 기저부만으로 슬라이더부분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부분이 누어지면 훅선단홈과 슬라이더 선단부와의 맞물림에 불안정이 생긴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이 슬라이더침은 제작비가 비싸게 먹힘과 동시에 불량률의 발생이 매우 높다. 나아가서 슬라이더부분이 한방향으로만 위치가 정하여져 버리기 때문에 편직기의 기계적 성능이 한정이 된다. 즉, 슬라이더침의 형식에 대하여 발전성이 부족하고 범용성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고, 염가이며 실용적인 환편기용의 슬라이더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침은 훅부분이 스템(Stem)와 2개의 경부(經部)에 의하여 형성되는 요소(凹所)를 지니고 있으며, 이 요소에는 슬라이더 자유단부를 수용하고 또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요소의 수직연부와 경부에 통하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슬릿기지의 지지면에서 슬라이더 자유단부의 후연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더 자유단부의 바깥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전기한 요소의 수직연부로 규제하거나 저지하므로써 슬라이더 자유단부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한 슬릿은 요소의 상축부에 1개 설치한 것만으로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요소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기 1개씩 설치하여도 좋다. 슬릿을 2개소 설치하였을때 슬라이더 자유단부에 연장부를 마련하고 이 연장부를 요소의 하측부의 슬릿내에 왕복할 수 있도록 할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슬라이더침에 의하면 슬라이더부분이 폐쇄위치에 가까워졌을때에 슬라이더 자유단부의 후연부가 슬릿지지면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더 자유단부의 후연부가 훅부분의 요소의 수직연에 따라서 슬라이더 자유단부의 바깥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규제 또는 저지하므로 슬라이더부분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천(編地) 인장력은 슬라이더 자유단부와 접하는 지지면을 개재하여 작용하므로 슬라이더 자유단부에 대하는 부하(負荷)가 경감한다.
다음에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슬라이더침을 나타낸 것이다. 슬라이더침은 훅부분(10)과 슬라이더부분(20)으로 구성되어 있다. 훅부분(10)과 슬라이더부분 (20)에는 각기 1개의 버트(butt)(101) 및 (201)가 있다. 훅부분(10)은 바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스템의 제1부분(103), 제2부분(105), 제3부분(107)이 서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되어 있다. 즉 훅부분(10)은 버트(101)가 만곡하는 제 1경부(102)에서 스템의 제1부분(10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스템의 제1부분은 (103)은 제2경부(104)를 개제하여 스템의 제 2부분(105)에 접속하고, 이 스템의 제2부분 (105)은 제3경부(106)를 개제하여 스템의 제3부분((107)에 접속되어 있다. 스템의 제3부분(107)은 또다시 제4경부(108) 및 훅연장부(109)를 개재하여 훅(110)에 이른다.
이에 따라 훅부분(10)의 전체가 강력히 감쇠하도록 진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버트(101)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가 구부리는 작업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훅(110)은 실린더(11)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훅부분(10)의 선단에는 제 4경부(108)를 중심으로 스템의 제3부분(107)에서 훅연장부(109)에 걸쳐서 훅(110) 선단측으로 개방된 슬릿(111)이 있다. 이 슬릿(111)의 저연(底緣)은 평탄한 지지면(112)으로 되어 있다. 이 지지면(112)의 일단은 역(逆) L자형의 노치부(114)를 개재하여 원호요면(圓弧凹面)을 이루는 모서리(113)에로 이어진다. 이 노치부(114)는 제3경부(106), 스템의 제3부분(107) 및 제4경부(108)에 의하여 둘러쌓인 요소(115)의 일부이다. 또, 이 노치부 (114)는 전기한 슬릿지지면(112)과 요소(115)의 수직연부(116) 사이에서 치수(W)를 규제한다.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치수(W)의 규제범위 내에서 슬라이더 자유단부(202)가 진입 또는 수용된다. 슬릿지지면(112)의 다른 끝은 흑연장부(109)에 있는 내리막 경사부(117)에서 해방단으로 된다. 이 내리막 경사부( 117)는 수직전연부(118)에 이행하고 있다. 이 수직전연부(118)와 전기한 슬릿지지면 (112)과의 사이의 치수는 전기한 W보다 약간 크다.
다음에 제1도-제3도 및 제5도에 따라 슬라이더부분(20)을 설명한다. 슬라이더부분(20)의 버트(201)는 스템(204)을 접속되었으며, 이 스템(204)은 경부(203)를 개재하여 슬라이더 자유단부(202)에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더 자유단부(202)의 선단부분은 제3도 또는 제5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경사부(205)를 지닌다. 슬라이더 자유단부(20 2)의 후연부(206)에서 출발한 경사부(205)는 제1도, 제3도에서 보여주는 폐쇄위치에서 훅부분(10)의 내리막 경사부 (117)의 대략 중앙에서 끝날 수 있는 길이를 지니고 있다. 훅(110)은 경사부(205)의 선단부(207) 때문에 작은 슬릿(119)을 지니고 있으며, 이 슬릿(119)에 이 선단부(207)가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자유단부(202)는 선(208)의 상하에서 두께가 다르고, 위쪽부분의 두께는 훅(110)의 두께보다도 약간 작으나. 하측부분은 제6도 (제3도의 Ⅵ-Ⅵ 단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분(10)과 같은 두께이다. 이에 대하여 훅부분(10)의 두께는 제7도(제3도의 Ⅶ-Ⅶ 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111)에 양측벽(120),(120)의 두께를 더한 두께, 즉 훅(110)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두께이다.
제8도에 나타낸 슬라이더침은 제 1실시예(제1도-제7도)의 슬라이더침과 같은 것이다. 이에 대하여 제 8b도- 제8d도에 나타나 있는 슬라이더침의 실시예(각기,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에서는 훅부분(10A),(10B),(10C)과 슬라이더부분( 20A ),(20B),(20C)에 설치하게 되는 각각의 버트(101A),(101B),(101C) 및 (201A),(202B ),(203C)의 위치가 다를 뿐이다.
이들 4종류의 버트위치가 다른 슬라이더침을 사용함으로서 자카아드(Jacquard )의 편성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슬라이더침이다. 슬라이더부분(20D)에는 1개의 버트가 마련되었으며, 훅부분(10D)에는 버트위치가 다른 4개의 버트(101D ),(101D1,101D2,101D3,101D4)가 마련되어 있다. 이 4개의 버트(101D)는 적당히 1개의 버트를 남기고, 그 밖의 버트는 삭제(削除)함에 따라 자카아드의 편성등에 적용할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슬라이더침이다.
제11도는 제10도에 있어서의 슬라이더침의 상부측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제11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훅부분(10E)의 상측부에 마련된 슬릿(111)와는 별도로 제3경부(106E)에서 스템의 제3부분(107E)에 걸쳐서 또 1개의 슬릿(111E)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2의 슬릿(111E)은 제2의 슬릿지지면(112E)까지의 깊이를 지니고 훅(110)선단측에서 개구함과 동시에. 요소(115E)의 수직연부(116E)와 하연부(121E)에서도 개구한다. 이 제2도의 슬릿(111E) 기저의 지지면(112E)은 슬라이더 자유단부(202)의 연장부(202E)의 후연부(206E)를 접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슬라이더부분(20E)은 선(208E)의 좌우에서 두께가 다르다. 우측 즉, 슬라이더 자유단부(202)와 그 연장부(20 2E)와는 같은 두께이며, 좌측 즉, 스템(204E)은 우측보다 큰 두께를 지니고 있다.
제5실시예(제9도)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부분(20E)에는 1개의 버트를 훅부분( 10E)에는 버트위치가 다른 4개의 버트(101D) 중에서 적당히 1개의 버트를 남기고 그밖의 버트를 삭제함에 따라 자카아드의 편물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기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를 나타낸 슬라이더침이다. 제14도는 제12도의 XIV부의 확대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훅부분(10F)과 슬라이더부분(20F)의 배치는 제1실시예-제6실시예의 것과는 반대로 되어 있다. 경부분( 10F)의 상측부에 마련된 슬릿(111)와는 별도로, 제3경부(106F)를 관통하는 또 1개의 제2슬릿(111F)이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부분(20F)은 선(208F)의 상하에서 두께가 달라서 상축부는 하축부보다 약간 얇다.
제12도에서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는 훅부분(10F)과 슬라이더부분 (20F)은 각각 1개의 버트(101F)및 (201F)를 평편(平編)조직으로 편물함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13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8실시예와 같이 훅부분(10G)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8실시예와 같이 훅부분(10G)에는 버트위치가 다른 4개의 버트 (101G),(101 G1, 101G2, 101G3, 101G4 )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들 4개의 버트 (101G)는 적당히 1개의 버트를 남기고 그밖의 버트(101G)를 삭제함에 따라 자카아드의 편물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더침이 가져다주는 효과는 이미 설명하였으나 나아가서 제6실시예)(제10도, 제11도)에 의하면, 제2의 슬릿지지면(112E)으로 슬라이더 자유단부( 202)의 연장부(202E)가 지지됨과 동시에, 전기한 요소(115E)의 상측부에 마련한 슬릿지지면(112) 및 수직연부(116E)를 슬라이더 자유단부가 쓰러지는 것을 저지하므로 훅부분(10E)과 슬라이더부분(20E)이 일체화하여, 안정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또, 제1실시예-제6실시예(제1도-제11도)의 슬라이더침에서는 훅부분의 버트위치가 슬라이더부분이 버트위치보다도 위쪽에 있으므로 바늘의 전체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훅부분(10)과 슬라이더부분(20)과를 지니고, 훅부분(10) 및 이 훅부분(10)의 슬릿(111) 내에 수용된 슬라이더부분(20)이 슬라이더 자유단부(202)로 훅을 덮는 폐쇄위치에서, 훅(110)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또 반대로 전기한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에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환편기의 슬라이더침에 있어서, 전기한 훅부분(10)이 스템 (204)과 2개의 경부(203)에 위하여 형성되는 요소(115)가 있으며, 이 요소(115 )에는 슬라이더 자유단부(202)를 수용하고 또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요소(115)의 수직연부와 경우(203)를 통하는 슬릿(1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슬릿(111)의 내저면에 슬라이더 자유단부(202)의 후연부(206)가 지지됨과 동시에 슬라이더 자유단부(202)가 바깥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요소(115)의 수직연부(116)로 저지하여서 슬라이더부분(20)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용 슬라이더침.
  2. 제1항에 있어서. 슬릿(111)은 요소(115)의 상측부에 1개소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용의 슬라이더침.
  3. 제 1항에 있어서 슬릿(111)은 요소(115)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 각기 1개소씩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용의 슬라이더침.
  4. 제3항에 있어서 슬라이더 자유단부(202)는 연장부를 지니고 있고, 이 연장부가 요소(115)의 하측부에 설치한 슬릿(111) 내를 왕복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용의 슬라이더침.
KR1019840000343A 1983-10-06 1984-01-26 환편기(丸編機)용의 슬라이더침 KR870001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187529 1983-10-06
JP58187529A JPS6059338B2 (ja) 1983-10-06 1983-10-06 丸編機用のスライダ−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441A KR850003441A (ko) 1985-06-17
KR870001110B1 true KR870001110B1 (ko) 1987-06-08

Family

ID=1620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343A KR870001110B1 (ko) 1983-10-06 1984-01-26 환편기(丸編機)용의 슬라이더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534187A (ko)
JP (1) JPS6059338B2 (ko)
KR (1) KR870001110B1 (ko)
DE (1) DE3436146A1 (ko)
GB (1) GB2147917B (ko)
IT (1) IT11785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124A (en) * 1982-07-14 1991-07-30 Tibbals Jr E C Circular weft knitting machine
DE4100931A1 (de) * 1991-01-15 1992-07-16 Groz & Soehne Theodor Schiebernadel, insbesondere fuer strickmaschinen
DE4115198C2 (de) * 1991-05-11 2002-11-21 Sipra Patent Beteiligung Einrichtung an mit Schiebernadeln ausgerüsteten Rundstrickmaschinen und Schiebernadel für Rundstrickmaschinen
EP3702504B1 (de) * 2020-06-30 2022-09-07 KARL MAYER STOLL R&D GmbH Kettenwirkmaschine, schiebernadel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astischen wirkwar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5556A (ko) *
US1221807A (en) * 1916-03-09 1917-04-03 Scott & Williams Inc Needle mechanism for knitting-machines.
GB141660A (en) * 1919-04-12 1920-10-28 John Frank Wilcomb Improvements in knitting machines
GB145396A (en) * 1919-06-20 1920-11-25 John Frank Wilcomb Improve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GB156405A (en) * 1919-12-23 1921-01-13 Patrick Philip Lamontagne Knitting machine needle
CH215641A (de) * 1938-03-18 1941-07-15 F N F Limited Nadel für Wirkmaschinen.
DE1635843C3 (de) * 1967-01-14 1979-05-10 Sulzer Morat Gmbh, 7024 Filderstadt Strickmaschine mit zweiteiligen, Haken- und Schieberteile aufweisenden Nadeln
ES445984A1 (es) * 1976-03-05 1977-07-01 Bosch Palacios Juan Perfeccionamientos en las maquinas tricotosas de hacer pun- to.
DE2705605C3 (de) * 1976-03-05 1981-10-22 Tecnología Industrial, Proyectos y Promociones, S.A., Tippsa, Mataro, Barcelona Schiebernadel für Strickmaschinen
ES489371A0 (es) * 1980-02-20 1980-12-16 Tecnologia Ind Proyectos Y Pro Perfeccionamientos en las maquinas tricotosas de hacer punto
DE2820724C2 (de) * 1978-05-12 1982-05-19 Schaffhauser Strickmaschinenfabrik, Schaffhausen Mehrsystemige Rundstrickmaschine
CH650292A5 (de) * 1981-05-14 1985-07-15 Textilma Ag Maschenbildungseinheit fuer strickmaschine.
DE3151225C2 (de) * 1981-12-23 1985-01-31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Nadel für Flachstrickmaschinen
DE3151150C2 (de) * 1981-12-23 1984-09-13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Schieberna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178534B (it) 1987-09-09
US4534187A (en) 1985-08-13
KR850003441A (ko) 1985-06-17
DE3436146A1 (de) 1985-04-18
JPS6059338B2 (ja) 1985-12-24
IT8422943A1 (it) 1986-04-02
IT8422943A0 (it) 1984-10-02
GB2147917A (en) 1985-05-22
GB2147917B (en) 1987-05-13
GB8424567D0 (en) 1984-11-07
JPS6081358A (ja) 1985-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110B1 (ko) 환편기(丸編機)용의 슬라이더침
JP3232075B2 (ja) 複合針
EP0441564B1 (en) Movable sinker in flat knitting machine
US4580419A (en) Composite dial needle for a single-cylinder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ribbed knitting
KR860000955B1 (ko) 편물기용 복합바늘
CN113166986B (zh) 用于成圈的装置、沉降片器件以及用于成圈的方法
KR20020068278A (ko) 편직기용 미끄럼 텅 복합 바늘
EP1860219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US7334436B2 (en) Component for a knitting system
JP2000234248A (ja) 編目形成機械の目移し用の掛け換えニードル
US6339942B1 (en) Compound needle with asymmetrically divided closing element
JPS6332905B2 (ko)
KR20050083829A (ko) 복합바늘
KR860001067B1 (ko) 편기용 부재
JPS6223828Y2 (ko)
KR19990028846A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US4222249A (en) Warp knitting machine with compound needles
US2300804A (en) Knitting machine and needle therefor
US5097683A (en) Tool for stitch forming machines, particularly knitting machines
JPS5887349A (ja) 経編機用スライダ−針
US2030261A (en) Yarn controlling member
JP2747280B2 (ja) 編機用針ユニット
EP1137833B1 (en) Improved latch needle
US4570459A (en) Compound needle for warp knitting machine
JP2751957B2 (ja) スプリングニー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5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