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829A - 복합바늘 - Google Patents

복합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829A
KR20050083829A KR1020057007189A KR20057007189A KR20050083829A KR 20050083829 A KR20050083829 A KR 20050083829A KR 1020057007189 A KR1020057007189 A KR 1020057007189A KR 20057007189 A KR20057007189 A KR 20057007189A KR 20050083829 A KR20050083829 A KR 20050083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blade
needle
hook
th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665B1 (ko
Inventor
도시아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83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Kniv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복합바늘의 슬라이더에 설치한 2개의 블레이드(14, 14)를 후퇴시켜 바늘 본체(4)의 블레이드 홈(8, 8) 내의 분리벽(9)의 좌우에 수용한다. 블레이드(14, 14)의 선단부에 개구(18)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후방에 굴곡부(19, 19)를 형성한다. 또한 분리벽(9)의 선단부에 두꺼운 부분, 그 후부에 얇은 부분을 형성한다.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홈에서부터 전진할 때에 분리벽의 두꺼운 부분으로 센터링하고,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스티치로부터의 가로 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굴곡부에서 2개의 블레이드를 접촉시켜 변형을 방지한다. 블레이드 홈 내에서는, 분리벽의 얇은 부분에 굴곡부가 접하도록 하여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홈과의 사이의 힘이 커지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복합바늘{COMPOUND NEEDL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나 원형 편성기(circular knitting machine) 등의 편성기에 사용하는 복합바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바늘 본체에 형성한 블레이드 홈(blade groove)에 슬라이더(slider)의 2개의 블레이드(blade)를 전·후진하도록 수용한 복합바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일본특허 제2946323호)은, 바늘 본체에 블레이드 홈을 형성하여 슬라이더의 2개의 블레이드를 전·후진하도록 수용한 복합바늘을 개시하고 있다. 슬라이더의 2개의 블레이드의 선단(先端)에는 텅(tongue)을 설치하고, 슬라이더의 전진에 의해 텅은 바늘 본체의 선단의 훅(hook)을 닫고, 슬라이더가 더 전진하면 텅은 훅을 넘어 이동하여 코이동 등의 동작을 한다. 또한 2개의 블레이드를 포개어 슬라이더 잭(slider jack)에 형성한 길이 방향의 홈에 수용하고, 슬라이더 잭의 버트(butt)를 조작하여 블레이드를 전·후진시킨다. 바늘 본체의 기단부(基端部)를 니들 잭(needle jack)에 부착하고, 이 잭의 버트로 바늘 본체를 조작한다. 또한 슬라이더가 바늘 본체의 동작에 영향을 받아 오작동하지 않도록 2개의 블레이드의 일방(一方)에 슬라이더 잭의 길이 방향의 홈 내의 위치에 불룩한 것을 설치하여 니들베드(needle bed)의 니들 홈(needle groove)의 측면(側面)에 이 불룩한 것을 접촉시킨다. 이 마찰 저항으로 슬라이더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특허문헌2(WO 01/31102A1)는, 복합바늘의 텅이 바늘 본체의 훅을 넘어 전진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이나 블레이드가 훅에 의해 좌우로 넓혀지는 것에 의한 블레이드 사이의 팽창을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2는, 바늘 본체의 블레이드 홈에 분리벽을 설치하여 2개의 블레이드를 분리벽의 좌우에 수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결과, 텅이 훅을 넘어 전진할 때에 2개의 블레이드를 큰 각도로 넓히는 것이 아니라 분리벽만큼 작은 각도로 넓혀 좌우의 팽창을 작게 하고 있다. 또한 블레이드 사이에 분리벽만큼의 간격이 있기 때문에 훅과 블레이드와의 슬라이딩 저항이 작아진다. 또한 분리벽은, 2개의 블레이드를 안내하고 또한 블레이드의 사이에 낀 섬유 찌꺼기 등을 문질러 떨어뜨리는 역할도 하고 있다.
특허문헌2의 복합바늘에서는, 블레이드 홈에서부터 진출한 2개의 블레이드의 사이에 간격이 있다. 여기에서 블레이드가 스티치(stitch)를 지지하고 있는 경우, 스티치에서부터 블레이드로 좌우 가로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편성폭(編成幅)의 양단(兩端)의 스티치나 래킹(racking)을 받은 스티치의 경우에 스티치가 가로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고 있기 때문에 이 힘이 블레이드로 가해진다. 그러면 이 힘으로 블레이드가 휘어지고,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와의 사이에서 훅을 잡을 수 없어 2개의 블레이드가 훅의 편측(片側)으로 접근해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것은 편성상 에러(error)의 원인이 된다.
도1은 실시예의 복합바늘의 요부를, 부분 노치부(notch部)를 형성한 평면과 측면의 2개의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복합바늘의 (a)∼(d)의 4장소에서의 단면(斷面)을 나타내는 단면도(端面圖)이다.
도3은 도1의 복합바늘의 블레이드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복합바늘의 요부를, 블레이드가 훅을 향하여 블레이드 홈에서부터 전진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1의 복합바늘의 요부를, 블레이드가 훅을 넘어 더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용어법
이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前後)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니들 홈(needle groove)에 평행한 방향을 말하고,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향한 이동이 전진, 니들베드 갭에서 후퇴하는 것을 간단하게 후퇴 또는 후진이라고 한다. 또한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 즉 복합바늘의 길이 방향(전·후진 방향)에서 직각 또한 니들베드의 표면에서 평행한 방향이 좌우 방향이다. 또한 선단(先端)은 각 부재의 니들베드 갭측의 단부(端部), 기단(基端)은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먼 측의 단부이다. 전방/후방은,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가까운 측을 전(前)/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먼 측을 후(後)라고 한다.
발명이 해결해야 할 과제
본 발명의 과제는, 좌우의 블레이드를 분리벽에 의해 훅에 대하여 센터링(centering)함과 아울러 스티치(stitch)로부터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블레이드가 확실하게 훅을 잡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블레이드 홈 내에서의 블레이드의 마찰을 비교적 작게 하는 것에 있다(청구의 범위 제1항∼제3항).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선단(先端)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에 분리벽을 부착한 블레이드 홈(blade groove)을 형성하여 슬라이더(slider)의 2개의 블레이드(blade)를 블레이드 홈에서 전·후진하도록 수용한 복합바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블레이드를, 선단부가 좌우로 열려 그 후방(後方), 예를 들면 약간 후방이 내측(內側)으로 굴곡한 형상으로 하고, 상기 분리벽의 두꺼운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불균일하게 하여 블레이드 홈의 선단측(先端側)에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고, 그 후부(後部)에서 상대적으로 얇게 또는 분리벽을 노치(notch)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의 범위 제1항).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부에서 분리벽을 상대적으로 얇게 한다(청구의 범위 제2항).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홈 내로 후퇴하였을 때에 굴곡부가 분리벽의 얇은 부분이나 노치에 접하도록 한다(청구의 범위 제3항). 다시 말하면,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홈 내로 후퇴시켰을 때에 분리벽의 얇은 부분이나 노치와 접하는 위치에 굴곡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에 블레이드의 선단은, 분리벽의 두꺼운 부분의 위치에 있더라도 또는 얇은 부분이나 노치의 위치에 있더라도 좋고, 실시예에서는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과의 경계에 위치시킨다. 또한 2개의 블레이드는 대략 같은 운동을 하기 때문에 일방의 블레이드에 착안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블레이드」를 2개의 블레이드의 의미로 사용한다.
발명의 작용과 효과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홈에서부터 전진할 때에 분리벽으로 센터링한다. 다음에 블레이드에 스티치로부터 가로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블레이드 선단부의 후방, 예를 들면 블레이드 선단부의 약간 후방의 굴곡부가 서로 접하여 블레이드 2개만큼의 강성(剛性)으로 견딘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 선단의 개구(開口)로 확실하게 훅을 잡을 수 있다.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홈 내로 후퇴하였을 때에 분리벽의 두꺼운 부분이 일정하면 굴곡부가 분리벽에 의해 넓어지고, 블레이드의 선단도 또한 넓어지기 때문에 블레이드 홈이나 분리벽과의 마찰이 증가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분리벽의 얇은 부분이나 노치에서 블레이드의 굴곡부가 접하기 때문에 블레이드에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분리벽이나 블레이드 홈과 블레이드와의 마찰의 증가를 작게 할 수 있다(청구의 범위 제1항∼제3항).
도1∼도5에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2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 4는 바늘 본체로서 그 선단(先端)에 훅(hook)6이 있다. 바늘 본체4의 훅6보다 후방(後方) 부분을 침간(針幹) 또는 샌크(shank)라고 부른다. 8, 8은 한 쌍의 블레이드 홈(blade groove)으로서 침간의 위치에 형성되고, 중앙의 분리벽9에 의해 좌우(左右)로 나뉘어 있다. 블레이드 홈8이나 분리벽9는, 바늘 본체4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좌우 대칭이다. 또한 도1의 평면도에서는, 후술하는 가이드(guide)25를 노치(notch)로 나타낸다.
분리벽9는, 선단의 두꺼운 부분10과 그 후부(後部)의 분리벽9의 중앙부의 얇은 부분11 및 최후부(最後部)의 두꺼운 부분10b의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최후부의 두꺼운 부분10b를 형성하지 않고 이 부분을 얇은 부분11에 포함시켜도 좋다. 두꺼운 부분10, 10b와 얇은 부분11 사이의 경계선13이나 블레이드 홈 저부(blade groove 底部)12를, 도1의 측면도에서 파선으로 나타낸다. 분리벽9의 선단측(先端側)의 두꺼운 부분10과 그 후부의 얇은 부분11과의 사이에서 경계선13은 블레이드 홈8의 아래쪽 후방에서 위쪽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1의 절단면(c)의 위치에서 분리벽의 두꺼운 부분은 블레이드 홈8의 상하에서 불균일하게 되어 저부측(底部側)에서 두껍고 상부측(上部側)에서 얇게 된다. 두꺼운 부분10과 얇은 부분11과의 경계를, 경계선13과 같이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 대신에 블레이드 홈8의 상하에서 분리벽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두꺼운 부분10에서 얇은 부분11로 분리벽의 두께가 전후 방향에서 테이퍼(taper) 모양이 되도록 변화시키는 것 등을 하여도 좋다. 또한 분리벽의 두께를 전후 방향을 따라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과의 사이에서 계단 모양이 되도록 변화시켜도 좋다.
14, 14는 한 쌍의 블레이드(blade)로서, 도1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부의 슬라이더 본체(slider 本體)26과 일체(一體)가 되어 복합바늘2의 슬라이더를 구성한다. 또한 도1은, 블레이드14, 14가 블레이드 홈8, 8 내로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바늘 본체4의 후부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본체 잭(本體 jack)이 있고, 슬라이더 본체26이나 본체 잭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버트(butt)에 의해 캐리지(carriage)의 캠(cam) 등으로 조작된다. 블레이드의 선단에는 텅(tongue)16이 있고, 블레이드 저부(blade 底部)17을 도1의 측면도에서 파선으로 나타낸다. 블레이드14, 14는 그 선단이 좌우로 약간 열려 도4, 도5에 나타내는 개구(開口)18을 형성하고, 그 후부에 블레이드14, 14가 탄성적(彈性的)으로 굴곡(屈曲)하여 상접(相接)하는 굴곡부19가 있다. 단 굴곡부19에서 블레이드14, 14가 상접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굴곡부19에서 블레이드14, 14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있고, 굴곡부19에서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이 다른 부분보다 좁으면 좋다.
블레이드14, 14는 굴곡부19에서 상접하고, 20은 굴곡부19의 후방의 블레이드14, 14 사이의 간격이고, 굴곡부19의 후방 상부에서 블레이드14, 14는 확개(擴開)되어 확개부(擴開部)22를 구성한다. 블레이드14, 14는 굴곡부19의 위치에서 상접하거나 간격이 최소가 되기 때문에 블레이드14와 분리벽9나 블레이드 홈8과의 슬라이딩(sliding) 저항은 굴곡부19의 위치에서 최대가 된다. 도1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25의 하면(下面)에 형성한 가이드면(guide面)24에 의해 확개부22가 가이드되고, 후퇴할 때에 블레이드14가 블레이드 홈8 내로 깊이 가라앉도록 가이드한다.
도2의 (a)∼(d)는, 도1의 절단면(a)∼(d)에 따른 바늘 본체4의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블레이드 홈8의 깊이는 분리벽 선단의 두꺼운 부분10에서 얇은 부분11을 향하여 깊어지고, (a), (b)의 위치에서는 분리벽이 두껍고, (c)의 위치에서는 분리벽의 상부가 얇고, 하부가 두껍다. 또한 (d)의 위치에서는 분리벽의 상부에서 저부까지가 얇게 되어 있다. (c)의 위치까지 블레이드14, 14가 블레이드 홈8, 8 내로 후퇴하면 블레이드14의 선단의 개구18의 부근이 두꺼운 부분10에 접하고, 그보다 후방의 굴곡부19의 부분은 얇은 부분11에 접하고 있다.
도3에 하나의 블레이드14를 단독으로 나타내고, 도4에 블레이드14, 14가 블레이드 홈 내에서 훅6의 전방까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다. 블레이드14, 14의 선단은 좌우 양쪽 외측으로 열려 개구18을 형성하고, 후부의 확개부22보다 전방인 부분은 텅16으로서, 훅6의 입구를 닫거나 코이동 또는 녹 오버(knock over) 등을 위한 루프(loop)를 맡아둔다. 텅16에는 개구18의 후부에 상기의 굴곡부19가 있고, 굴곡부19는 도3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블레이드14의 길이 방향의 내측의 선보다 내측으로 굴곡하고, 한 쌍의 블레이드14, 14는 이 부분에서 탄성적으로 접하고 있다. 단 굴곡부19, 19에서 반드시 블레이드14, 14를 접촉시킬 필요는 없다. 굴곡부19, 19에서 블레이드14, 14가 상접 또는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분리벽과의 슬라이딩 저항은 굴곡부19에 집중된다.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1과 같이 블레이드14, 14가 블레이드 홈8, 8 내로 후퇴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텅16의 부분은 블레이드 홈8, 8 내로 숨어 노출되지 않는다. 이 때에 굴곡부19는 분리벽의 얇은 부분11의 부분에 있고, 굴곡부19, 19 사이를 분리벽으로 넓히는 정도가 작아 분리벽과의 사이의 힘도 작다. 또한 굴곡부19가 얇은 부분11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18에서의 블레이드14, 14의 넓어지는 정도도 작아져 블레이드 홈8, 8의 좌우 외측의 측면과의 사이의 힘도 작아진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14, 14는, 말하자면 릴랙스(relax)한 상태에서 블레이드 홈8, 8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4와 같이 블레이드14, 14를 훅6을 향하여 전진시켜 훅6의 입구를 텅16, 16으로 닫으려고 하면 블레이드14, 14의 훅6에 대한 위치나 방향이 문제가 된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14, 14를 블레이드 홈8, 8에서 센터링(centering)하여 전진시킴과 아울러 텅16, 16에서 지지하고 있는 스티치(stitch)에서의 가로 방향의 힘으로 블레이드의 방향이 변화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블레이드14, 14를 두꺼운 부분10으로 센터링하여 블레이드 홈8, 8에서부터 전진시킨다.
다음에 구(舊) 루프의 녹 오버 등에 의해 텅16이 스티치를 지지하고 있는 경우, 이 스티치에서의 좌우 가로 방향의 힘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면 이 스티치가 편성포의 좌우 양단(兩端)의 스티치나 래킹(racking)을 받은 스티치 등인 경우, 스티치에는 좌우 방향의 장력(張力)이 가해지고 있다. 1개의 블레이드14로 이 힘을 받으면 블레이드가 휘어지고, 훅6의 좌우 편측(片側)에 2개의 블레이드가 접근하여 개구18로 훅6을 잡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굴곡부19, 19에서 블레이드14, 14가 상접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의 블레이드의 강성(剛性)은 블레이드 1개의 경우에 예를 들면 2배로 증가하고, 실 장력 등에 의한 블레이드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훅6을 잡을 수 있다. 또한 당초에 굴곡부19, 19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있는 경우에도 실 장력이 먼저 가해진 쪽의 블레이드가 이 간격만큼 변형하면, 굴곡부19, 19가 접하여 그 이상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블레이드14, 14를 더 전진시켜 텅16이 훅6을 넘은 상태를 도5에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분리벽9의 두꺼운 부분10으로 블레이드14, 14를 센터링한다. 또한 스티치로부터 블레이드14, 14에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굴곡부19, 19에서 2개의 블레이드14, 14가 상접하도록 하여 블레이드의 휘어짐 등의 변형을 작게 한다. 이 결과, 개구18은 확실하게 훅6을 잡을 수 있어 블레이드14, 14가 훅6과 충돌하거나 훅6의 편측에 접근할 우려가 없다.
블레이드 홈8로의 섬유 찌꺼기 등의 쓰레기 반입에 대해서 검토한다. 텅16, 16이 실 등에 접촉하면, 섬유 찌꺼기 등이 그 사이에 끼어 블레이드 홈8, 8 내로 반입된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홈과의 슬라이딩 저항이 증가하고, 섬유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청소가 필요하게 된다. 청소는, 예를 들면 블레이드를 전진시켜 개구18에 가압 공기를 불어서 한다. 실시예에서는, 섬유 찌꺼기 등의 쓰레기는 분리벽의 두꺼운 부분10에 의해 문질러져 떨어지고, 얇은 부분11의 부분에서는 블레이드 홈8의 폭이 블레이드14의 두꺼운 부분보다 크기 때문에 그 사이에 섬유 찌꺼기가 찰 때까지 블레이드14, 14는 전·후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합바늘의 청소 간격을 길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분리벽에 얇은 부분11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얇은 부분11을 노치로 하여도 좋다. 단 얇은 부분11을 형성한 쪽이 블레이드의 안내가 보다 확실해진다.
훅6의 두께를 기부(基部)에서 두부(頭部)(훅의 선단)로 테이퍼 모양으로 줄여 끝을 가늘게 하는 경우, 텅16에서의 블레이드14, 14의 형상을 고안함으로써 훅6과 텅16과의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 블레이드의 형상을 변경하는 부분은, 예를 들면 텅16, 16의 부분, 특히 굴곡부19, 19에서부터 그 후방의 텅16, 16 내의 부분으로 한다. 이 부분에서 블레이드14, 14 사이의 간격이 블레이드의 상부에서 하부(저부)로 서서히 넓어지도록 블레이드14, 14의 하부를 좌우 양쪽 외측으로 구부리거나 외측으로 비튼다. 그러면 굴곡부19, 19에서 블레이드14, 14의 상부가 예를 들면 서로 접하고, 하부에는 간격이 생겨 훅6의 테이퍼에 피트(fit)하여 슬라이딩 저항이 감소한다. 또한 굴곡부19의 하부에서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을 넓혀 테이퍼 모양이며 끝을 가늘게 한 훅과의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는 것은, 블레이드 홈에 분리벽9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Claims (3)

  1. 선단(先端)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에 분리벽을 부착한 블레이드 홈(blade groove)을 형성하여 슬라이더(slider)의 2개의 블레이드(blade)를 블레이드 홈에서 전·후진하도록 수용한 복합바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블레이드를, 선단부가 좌우로 열려 그 후방(後方)이 내측(內側)으로 굴곡한 형상으로 하고,
    상기 분리벽의 두꺼운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불균일하게 하여 블레이드 홈의 선단측(先端側)에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고, 그 후부(後部)에서 상대적으로 얇게 또는 분리벽을 노치(notch)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벽을 상기 후부에서 상대적으로 얇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바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홈 내로 후퇴하였을 때에 상기 굴곡부가 분리벽의 얇은 부분 또는 노치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바늘.
KR1020057007189A 2002-12-20 2003-12-05 복합바늘 KR101062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69557 2002-12-20
JPJP-P-2002-00369557 2002-12-20
PCT/JP2003/015639 WO2004057081A1 (ja) 2002-12-20 2003-12-05 複合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829A true KR20050083829A (ko) 2005-08-26
KR101062665B1 KR101062665B1 (ko) 2011-09-06

Family

ID=3267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189A KR101062665B1 (ko) 2002-12-20 2003-12-05 복합바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52437B2 (ko)
EP (1) EP1574610B1 (ko)
JP (1) JP4192151B2 (ko)
KR (1) KR101062665B1 (ko)
CN (1) CN100436688C (ko)
AT (1) ATE475733T1 (ko)
AU (1) AU2003289227A1 (ko)
DE (1) DE60333588D1 (ko)
WO (1) WO2004057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7003153D1 (de) * 2007-06-16 2010-04-29 Groz Beckert Kg Schiebernadel mit gebördeltem Schieberkanal
EP2305868B1 (de) * 2009-09-30 2012-11-21 Groz-Beckert KG Schiebernadel mit eingebautem Mittelsteg
JP5525344B2 (ja) * 2010-06-18 2014-06-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JP5732316B2 (ja) * 2010-06-18 2015-06-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JP5719544B2 (ja) * 2010-08-06 2015-05-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JP5618778B2 (ja) * 2010-11-22 2014-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JP5766430B2 (ja) * 2010-11-22 2015-08-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TR201809022T4 (tr) * 2011-10-12 2018-07-23 Groz Beckert Kg Geliştirilmiş sürgüye sahip sürgülü iğne.
DE102013105239A1 (de) * 2013-05-22 2014-11-27 Groz-Beckert Kg Schiebernadel
CN103334223A (zh) * 2013-07-04 2013-10-02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横编机的织针
JP6718856B2 (ja) * 2017-12-14 2020-07-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7673A (en) * 1997-05-01 1999-08-17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Compound needle of a flat knitting machine
DE19913822C2 (de) * 1999-03-26 2001-02-22 Groz Beckert Kg Schiebernadel mit geteiltem Schieber
WO2000063476A1 (fr) * 1999-04-15 2000-10-26 Shima Seiki Mfg., Ltd. Aiguille composite de machine a tricoter
JP3538730B2 (ja) * 1999-05-19 2004-06-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編成針
JP2001032154A (ja) 1999-07-15 2001-02-06 Shima Seiki Mfg Ltd 編機用複合針
DE19950259C1 (de) 1999-10-18 2001-01-25 Groz Beckert Kg Schiebernadel mit asymmetrisch geteiltem Schieber
TW528822B (en) * 1999-10-27 2003-04-21 Shima Seiki Mfg Compound needle
FR2821093B1 (fr) * 2001-02-20 2003-05-09 Steiger S A C Atel Const Aiguille a coulisse pour machine a tricoter
JP3983737B2 (ja) 2001-08-24 2007-09-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の複合針
ITMI20012095A1 (it) 2001-10-10 2003-04-10 Protti Fashiontronix S P A In Ago composito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rettilinee per maglier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92151B2 (ja) 2008-12-03
KR101062665B1 (ko) 2011-09-06
AU2003289227A1 (en) 2004-07-14
US7152437B2 (en) 2006-12-26
CN1729331A (zh) 2006-02-01
EP1574610A1 (en) 2005-09-14
EP1574610B1 (en) 2010-07-28
JPWO2004057081A1 (ja) 2006-04-20
EP1574610A4 (en) 2007-05-02
ATE475733T1 (de) 2010-08-15
CN100436688C (zh) 2008-11-26
DE60333588D1 (de) 2010-09-09
WO2004057081A1 (ja) 2004-07-08
US20060107699A1 (en)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665B1 (ko) 복합바늘
KR19990088076A (ko) 횡편기
EP1835059B1 (en) Complex cam system
JP2002266209A (ja) 両面パイル布丸編機の上針盤の挿入片構造
EP3165651B1 (en) Flat knitting machine
JP2000282353A (ja) 複合針
JP3983737B2 (ja) 編機の複合針
EP0441564B1 (en) Movable sinker in flat knitting machine
JP5525344B2 (ja) 横編機の複合針
JP2018178292A (ja) 編地の編成方法
KR100632612B1 (ko) 편기의 복합침
JP6854688B2 (ja) カムシステムおよび横編機
JP2006161230A (ja) 横編機
EP1333116B1 (en) Composite needle
KR200464247Y1 (ko) 래치 바늘
KR101569012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US5163305A (en)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retention sinkers
EP2458052A2 (en) Compound needle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JPS5887349A (ja) 経編機用スライダ−針
JPH10266049A (ja) 編目を形成する繊維機械のための舌針
WO2005001186A1 (ja) 複合針
KR20200117891A (ko) 횡편기
KR20040108735A (ko) 트란스퍼잭 및 이를 구비한 횡편기 및 트란스퍼잭에 의한눈옮김 방법
EP2458051B1 (en) Compound needle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JP5414674B2 (ja) 編針駆動用カムおよび横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