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846A -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846A
KR19990028846A KR1019980700147A KR19980700147A KR19990028846A KR 19990028846 A KR19990028846 A KR 19990028846A KR 1019980700147 A KR1019980700147 A KR 1019980700147A KR 19980700147 A KR19980700147 A KR 19980700147A KR 19990028846 A KR19990028846 A KR 1999002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pressing member
needle
thread press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828B1 (ko
Inventor
마사히로 시마
미노루 소노무라
Original Assignee
마사히로 시마
가부시끼가이샤 시마 세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히로 시마, 가부시끼가이샤 시마 세이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마사히로 시마
Publication of KR1999002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횡편기에 있어서 바늘에 공급되는 실을 바늘의 후크 또는 배면의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실을 안내할 때에, 실안내장치의 실안내부재의 수평방향의 진퇴이동을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실안내부재 선단의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가 실과 접하여 실을 눌러내릴 때에, 실을 접동해서 큰 저항이 실에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 실을 안내할 수 있는 실안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치구부를 중심으로 머리부를 대향해서 설치한 적어도 한쌍의 니들베드에 설치된 니들과 싱커에 병렬하여, 선단에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갖는 실누름부재를 치구부에 향해서 접동자유자재로 지지하여, 실누름부재의 접동진출도중 혹은 진출후, 상기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하향이동하는 수단을 설치하였다.

Description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선단부에 실을 눌러내리는 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갖는 실누름부재를, 복수개 줄지어 설치한 바늘 및 싱커의 사이에 진퇴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실누름부재의 진출시, 급사구에서 바늘에 걸리는 실 또는 이미 편성(編成)되어 바늘 사이에 걸려 있는 실에 접하고, 상기한 실을 바늘의 진출시 후크안 혹은 그 배면에 위치시킬 수 있는 실안내장치를 본 출원인은 개발(일본국 특개평8-13293호)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명세서에 개시한 실누름부재와 같이, 그 자체를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고, 선단을 경사해서 설치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편사에 접촉시켜서 편사를 소정의 위치까지 눌러내리도록 한 경우, 양자간에 접동저항을 발생해서 실에 불필요한 장력을 발생시키고, 편사를 소정의 위치까지 눌러내리기 위해서는 실누름부재의 스트로오크를 크게 하거나, 혹은 경사각을 크게 해서 편사의 눌러내리는 양을 크게할 필요가 있지만, 편사를 소형화하는 목적으로 후자를 채용하면,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편사를 눌러 내릴 때에 편사에 큰 저항이 걸리고, 좌우의 실누름부재의 작용테두리에 위치하여 접한 편사는 긴장하면서 지그재그모양으로 꺽여진 상태로 눌러내려지게 되고, 목적의 눌러내린 위치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여 목적의 위치까지 눌러내려지지 않는 사태가 생긴다. 이것은 특히 미끄러짐이 나쁜 실이나 고속편성시에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실안내부재의 수평방향의 진퇴이동을 크게 하지 않고, 실안내부재가 편사를 눌러내릴 때 큰 접동(摺動)저항이 편사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원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감안해서, 편사를 바늘의 후크 혹은 바늘의 배면에 안내하는 실안내부재의 수평방향의 진퇴이동을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실안내부재선단의 작용테두리가 편사와 접하여 편사를 눌러내릴 때에 편사를 접동하여 큰 저항이 편사에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 실을 안내할 수 있는 실안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횡편기에 있어서 바늘에 공급되는 실을 바늘의 전면 또는 배면의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실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후부베드의 종단측면도, 도 2의 A는 상부니들플레이트의, B는 하부니들플레이트의 C, D는 스페이서의, E는 싱커의, F는 실누름부재의 각각의 측면도, 도 3은 후부베드의 치구부분을 확대한 종단측면도, 도 4는 후부베드의 치구부분을 바늘본체측면에서 절단한 상태의 종단측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 도 6은 니들이 체지(體止)위치에 있고, 실누름부재가 후퇴하고 있는 상태의 치구부 종단측면도, 도 7은 니들이 레이징캠의 어깨높이에 있고, 실누름부재가 안내돌출자(案內突出子)의 위치까지 진출한 상태의 치구부 종단측면도, 도 8은 니들이 레이징캠의 어깨높이에 있고, 실누름부재가 안내돌출자와 접하고, 선단작용테두리를 하향요동을 개시한 상태의 치구부 종단측면도, 도 9는 실누름부재가 최고로 진출하고, 작용테두리를 최고로 하강시켜, 니들의 후크로 실을 잡은 상태의 치구부 종단측면도, 도 10은 실누름부재가 최고로 진출하고, 작용테두리를 최고로 하강시키고, 니들은 다시 하강한 상태의 치구부 종단측면도, 도 11은 니들제어캠, 실누름부재제어캠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배치도, 도 12는 치구중심선 X-X로부터 우측의 상하프론트베드(UF,DF)를 삭제한 상하의 백베드(UB,DB)의 단면, 도 13은 도 12의 머리부의 확대도, 도 14는 동일한 머리부의 타부위의 확대단면, 도 15의 A는 하부니들플레이트의, B는 상부니들플레이트의, C는 실누름부재의, D는 싱커의, E는 상부스페이서의, 각각의 측면도, 도 16은 니들제어캠, 실누름부재제어캠의 위치관계 및 니들, 실누름부재의 후크에 실을 안내하는 동작상황을 나타내는 배치도, 도 17A 내지 E는, 니들후크에 실을 안내하는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치구(齒口)부를 중심으로 머리부를 대향해서 설치한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에 설치된 니들과 싱커에 병렬하여, 선단에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갖는 실누름부재를 치구부에 향하여 접동자유자재로 상기한 베드에 지지하고, 실누름부재의 접동진출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하향이동하는, 실누름부재 편향이동수단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실누름부재의 작용테두리의 실눌러내림 진퇴이동을, 실에 대해서 그 위를 통과하도록 이동하면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하향이동시키고, 혹은, 수평이동 뒤, 최진출위치를 유지하고 나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하강이동시키도록, 수평방향의 움직임과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조합하고 있기 때문에, 실누름부재의 진퇴이동 스트로오크를 크게 하는 일없이, 또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편사에 접촉시켜 눌러내릴 때,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가, 접한 실에 대해서 위에서 하향으로 실을 눌러내리도록 작용하므로 편사에 미치는 부하를 종래의 야안가이드에 비해 경감시키고, 또한, 실을 놓치는 일없이 확실하게 포착해서 눌러 내릴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산의 형태로 머리부를 대향해서 설치한 전후의 하부베드의 위에, 동일하게, 산의 형태로 머리부를 대향해서 설치한 전후의 상부베드를 겹쳐서 설치한 4장의 베드횡편기의 상부베드(UF,UB)에 가동의 싱커(100)와 실누름부재(110)를 설치한 예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치구중심선 X-X로부터 우측의 상하프론트베드(UF,DF)를 삭제한 상하의 백베드(UB,DB)의 단면을 나타낸다.
하부백베드(DB)는, 하부니들베드기판(1)에 병렬해서 설치한 복수의 니들플레이트홈(2) 내에 하부니들플레이트(3)를 세우고, 인접하는 니들플레이트(3,3) 사이를 바늘홈(4)으로 하여 하부니들(5)을 삽입하고 있다. 하부니들플레이트(3)는, 하부니들 안내플레이트부(6)와, 그 앞머리부에 있어서 윗쪽으로 연장하는 확대부분으로 이루어진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로 이루어진다. 하부니들베드기판(1), 하부니들플레이트(3)는, 각각에 설치한 절입(8,9)내에 와이어(10)를 통과하고, 니들베드기판(1)과 하부니들플레이트(3)와의 꼬리부분을 코킹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하고 있다.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에는, 상부니들베드기판(1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2)을 설치하고, 지지면(12)의 단부의 쐐기형상오목부(13)에 상부니들베드기판(11)의 단부계합부(14)를 계합시켜 지지면(12)상에 상부니들베드기판(11)을 놓고, 상부니들베드기판(11)의 하면의 절결부(15), 하부니들플레이트(3)의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와의 사이에 걸은 편기기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테형상의 계지부재(16)와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에 설치한 삽통구멍(17)안에 삽통한 고정빔(18)을 나사(19)로 나합하는 것에 의해, 하부니들플레이트(3)상에 상부니들베드기판(11)을 얹어서 고정한다.
상부니들베드기판(11)도 하부니들베드기판(1)과 같이 복수의 니들플레이트홈(20)을 갖고, 상기한 홈(20)에 상부니들플레이트(21)를 끼워 맞춰 인접하는 상부니들플레이트(21,21) 사이에 바늘홈(22)을 형성하고, 상기한 바늘홈(22)에 상부니들(25)을 삽입하고 있다. 상부니들베드기판(11)과 상부니들플레이트(21)는, 각각 설치한 절입(26,27)내에 와이어(28)를 통과시키고, 니들베드기판(11)과 상부니들플레이트(21)의 꼬리부분을 코킹하는 것에 의해 양자를 일체로 하고 있다.
하부니들플레이트(3)의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의 꼭대기부에는, 바늘홈(22)에 접동감합한 상부니들(25)의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가 있는 싱커수용단부(30) 및 그것보다 단차가 적은 실누름부재 수용단부(31)를 설치하고, 싱커수용단부(30)에 계속해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U자형의 싱커(100) 지승용의 단부(32)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하의 니들(25,5)의 눈이용날개(33,34)를 수납하기 위한 절결(35,36)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싱커수용단부(30)의 선두단부의 상하에는 후술하는 실누름부재(110)와 접하고, 그 접동방향을 규제하는 안내돌출자(37,38)를, 또한, 단부(30)의 중앙밑테두리에는, 후술하는 싱커스프링(108)의 지승점이 되는 돌출자(39)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안내돌출자(37)는, 싱커(100)의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의 (37L)의 부분과, 싱커(100)에 실누름부재(110)를 적층한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의 (37H)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돌출자(37L)가 싱커(100)를, 안내돌출자(37H)가 실누름부재(110)를 각각 안내한다.
상기한 실누름부재 수용단부(31)는 안내돌출자(37L)와 같은 높이로 하고, 싱커수용단부(30)에 수용된 싱커(100)의 측면과 실누름부재 수용단부(31)는 동일한 가상면상에 있고, 싱커(100)와 실누름부재 수용단부(31)에 적층하는 상태로 실누름부재(110)를 둔다. (40)은 와이어삽통구멍, (41)은 금테 감합홈이다.
싱커(100)는, 판상체로 이루어지고, 선단에 싱커루프유지용의 후크부(101), 표면에 제어용 버트(102)를 갖는 측면형상이 고리형상을 한 싱커본체(103)에서 아래쪽으로 J자형상의 요동지점이 되는 승하팔(105)을 연장하고, 그 기부부근에 싱커 스프링(108)을 삽입고정하는 슬릿(107)을 설치하고 있다. 싱커스프링(108)은, U자형상으로 굴곡한 선형상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싱커(100)와 같은 두께를 가지고, 일단을 상기한 슬릿(107)으로 협지하고, 타단부(109)를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의 싱커수용단부(30)에 설치한 돌출자(39)에 위치하여 접하고 있다.
실누름부재(110)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조각으로 본체간부(111)의 선단에, 하향의 느슨한 오목곡선을 그리는 작용테두리(112)를 구성하는 얇은 선두부(113)를, 상부에는 본체간부(11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는 위방향의 탄성을 가지고 일체화하고 있는 접동저항 부여부(114)를, 접동저항 부여부(114)와 얇은 선두부(113)와의 사이의 본체간부의 상하 양테두리에는, 하향캠테두리(115,115)를, 중앙하부에는 절결부(116)를, 꼬리부단부에는 실누름부재(110)의 치구부(90)방향에의 진퇴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을 각각 설치한다.
이하 서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진퇴이동제어수단(117)으로 벨트를 이용한 태양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실누름부재(110)의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실누름부재(110)를 실누름부재수용단부(31)내에서 치구부(90)방향으로의 진출 또는 후퇴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본체간부(111)의 상부에 돌출시킨 버트로서 나타내어지고 있지만, 니들베드꼬리부, 그 밖의 부위에 설치되어 본체간부(110)를 진퇴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없다.
싱커(100)는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의 싱커수용단부(30)에 본체(103)를 위치시키고, 승하팔(105)을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의 싱커지승용 단부(31)에 끼워 맞춰 후크부(101)를 단부(30)의 안내돌출자(37L,38) 사이에서 치구부(90)에 향해서 돌출시킨다. 싱커스프링(108)의 단부(109)를 단부(30)의 돌출자(39)에 계지하는 것에 의해 싱커(100)는, 후크부(101)를 항상 치구부(90)에 향하여 돌출하도록 부세된다.
실누름부재(110)는, 싱커(100)와 밀접하고, 또한 꼬리부를 실누름부재 수용단부(31)에 접하고, 본체간부(111)의 상하를 2개의 안내돌출자(37H,38)에 의해 협지되고, 측면을 상부스페이서(43)로 덮여진 상태로, 금테 감합홈(41)에 끼워 맞춘 금테(42)에 접동저항 부여부재(114)를 접촉하여, 탈락을 저지함과 아울러 접동저항을 부여해서 혼들림을 저지하고, 실누름부재(110)의 진출접동시에 상기한 안내돌출자(37H,38)와 하향캠테두리(115,115)가 접하고, 실누름부재(110)의 선단부(113)를 하향이동시킨다. 상기한 실누름부재(110)의 하향캠테두리(115)와 안내돌출자(37H,38)에 의해 실누름부재 편향이동수단(140)을 구성하는 상기한 실시예외에, 실누름부재(110)의 본체간부(111)의 상 또는 하부에 접동저항 부여부재(114)와 같이,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탄성부여부재를 설치하고, 선두부(113)가 아래쪽 또는 윗쪽에 선회하도록 부세해 두고, 한편, 본체간부(111)의 진출접동궤적내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지만, 본체간부(111)의 위테두리 또는 밑테두리와 위치하여 접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해 두고, 실누름부재(110)가 진출접동했을 때 본체간부(111)의 선두부(113)를 하향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부스페이서(43)의 밑테두리(44)는 상부니들(25)의 안내테두리로 되어 있고, 상부니들(25)은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스페이서(43)와 삼각형상의 하부스페이서(45)의 경사테두리(46)로 협지되어 있다. 하부스페이서(45)는 와이어삽통구멍(49)에 삽통한 와이어(47)로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스페이서(45)의 밑테두리(48)는 하부니들(5)의 안내테두리로 되어 있다. 싱커(100)의 제어버트(102), 실누름부재(110)의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각각 상부백니들베드(UB) 위를 주행하는 캐리지(50UB)에 설치되어 있는 싱커제어캠(51), 실누름부재제어캠(52)에 의해 접동된다. 캐리지(50UB)에 설치되어 있는 싱커제어캠(51)과 계합하고, 제어용 버트(102)를 스프링(108)의 부세에 저항하여 이동시킬 때 선단의 후크부(101)는 위로 들려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작용·효과는 상술하지 않는다. (53,58)은 각각 캐리지(50UB)에 설치한 니들제어로크, 슬라이더제어캠이다.
도 11에, 상부백캐리지(50UB)에 설치한 실누름부재제어캠(52), 하부백캐리지(50DB)에 설치된 니들제어로크(53)의 배치를 나타낸다. 니들제어로크(53)는 레이징캠(54), 그 양측에 설치한 니팅캠(55,56), 레이징캠(54)의 꼭대기부에 설치한 가이드캠(57)으로 된 것으로 한다. 레이징캠(54)은 어깨부에 단부를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실을 바늘에 안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정류포지션으로 해서 작용하지만, 이 어깨부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이 부분이 없는 삼각형상으로 한 레이징캠(54)으로 하는 것으로 캐리지를 더욱 소형화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누름부재제어캠(52)과 니들제어로크(53)는 각각의 중심선을 동일하게 위상(位相)을 유지하여 왕복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안내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하부백베드(DB)의 하부니들(5)을 상하이동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상부백베드(UB)의 실누름부재(110)를 작동하는 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안내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안내하는 경우는, 도 1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캐리지(50UB,DB)의 진행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는 실누름부재제어캠(52)의 캠산(52a)을 사용한다. 캐리지(50)의 우행에 따라 실누름부재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실누름부재제어캠(52)에 잡히지만 상기한 제어수단(117)은 최고로 후퇴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니들버트(23)는 니들제어캠(53)에 접촉하고 있지 않고 편지(編地)구성을 위한 상승을 개시하지 않는다(도 6, 도 11의 ①). 캐리지(50UB,DB)의 우행에 따라, 니들버트(23)가 레이징캠(54)의 꼭대기부를 통과하고, 가이드캠(57)으로 끌어내려져 하부니들(5)의 후크(29)도 최상위치에서 내려갔을 때에 실누름부재(110)의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실누름부재제어캠(52)의 후행측의 캠산(52a)에 의해 상승을 개시한다(도 7, 도 11의 ②). 이것에 의해 실누름부재(110)는, 작용테두리(112)를 치구부(90)의 실에 대하여 양측에서 진출시킨다. 이 때 실누름부재(110)는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 꼭대기부의 안내돌출자(37H)와 같은 (38)에, 선두부(113)에 가까운 상하의 수평테두리부(118,118)를 협지된 상태에서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향해서 접근한다.
잇따르는 캐리지(50)의 우행에 의해, 실누름부재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캠산(52a)을 꼭대기부까지 상승하여 실누름부재(110)를 진출시키지만, 그 최고위치에 달하기 직전에 실누름부재(110)의 수평테두리부(118,118)와 안내돌출자(37H,38)와의 접촉은 종료하고, 상기한 돌출자(37H,38)는 실누름부재(110)의 하향캠테두리(115,115)와 접하게 된다(도 8, 도 11의 ③). 이 때 니들후크(29)는 상기한 ②위치와 같은 높이의 위치에 있지만, 실누름부재(110)의 작용테두리(112)만 약간 후크에 가까이 가고 급사부재(60)로부터의 실(Y)에 접한다.
또 캐리지(50UB,DB)의 우행에 의해 실누름부재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캠산(52a)의 최고위치에 달하여 최고로 실누름부재(110)를 진출시키지만, 이 때 실누름부재(110)의 상하의 하향캠테두리(115,115)가 안내돌출자(37H,38)와 접하게 되고, 선두부(113)의 움직임을 아래쪽으로 전향한다.
동시에 니들제어버트(23)는 니팅캠(56)으로 끌어내려져 후크(29)도 하향을 개시하지만, 상기한 실누름부재 선두부(113)의 하향의 움직임에 의해서 작용테두리(112)는 실(Y)을 거는 듯한 상태에서 긁어내리게 된다. 작용테두리(112)는 움푹패인 곳의 오목한 형상의 굴곡이 되어 있으므로, 이 때 작용테두리(112)에 양호하게 실(Y)을 포착해서 실(Y)을 후크(29)에 안내하고 있다(도 9, 도 11의 ④).
잇따르는 캐리지(50UB,DB)의 우행과 함께, 실누름부재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캠산(52a)의 꼭대기부에 위치하여 최고로 진출한 채로 되어 있지만, 니들버트(23)는 니팅캠(56)으로 끌어내려져 하부니들(5)의 후크(29)도 실(Y)을 잡아서 끌어내린다(도 10, 도 11의 ⑤).
또 캐리지(50UB,DB)가 진행하면, 니들버트(23)가 최고로 끌어내려지고 수평이동을 개시하여, 그 타이밍에 합쳐서 실누름부재 진퇴이동제어수단(117)도 캠산(52a)을 내려가 최고로 후퇴하고, 하나의 급사동작을 종료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하부백 니들베드(DB)의 바늘에 대한 급사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완전히 동일하게 해서 상부 니들베드(UB)의 바늘에 대한 급사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성에 계속해서 캐리지(50UB,DB)가 반전했을 때는, 후행측이 되는 캠산(52b)을 이용해서 상기한 조작을 행하게 된다. 또, 캐리지가 우행하는 경우라도 좌행하는 경우라도 실을 니들후크에 급사할 때는 후행측의 캠산을 사용하게 되므로, 양 캠산이 고정된 것에서는 선행측의 캠산에서는 단지 실누름부재를 진출퇴거시키는 불필요한 동작을 행하게 할 뿐인 것이 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 캠산을 작용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시킬 수 있는 가동캠으로서도 좋다.
실을 바늘의 배면측에 안내하는 경우는, 캐리지의 진행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는 실누름부재제어캠의 캠산을 사용하여, 상기한 캠산에 의해 후크에 급사되는 앞의 실에 실누름부재의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작용시키고, 상기한 실을 니들배면위치까지 눌러붙이지만, 그 경우,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는 실을 니들의 후크에 안내하는 경우보다도 진출량을 많이 하지 않으면 니들의 배면에까지 실을 눌러붙일 수 없다. 그것을 위해서는, 실누름부재제어캠의 캠산의 산의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캠산의 높이를 너무 높게 하면 니들후크에 실을 안내했을 때에 인접하는 니들 사이에 필요이상으로 실을 밀어넣게 되고, 안내된 실이 거의 직선상으로는 되지 않고 지그재그모양으로 후크와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에서 굴절되어 실에 불필요한 장력을 가해버리는 결과가 된다. 그래서 고정캠산에서는 양자의 중용을 취해 어느 경우라도 지장이 없도록 하고는 있지만, 캠산의 꼭대기부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치구부 중심선 X-X를 대칭의 중심선으로서 산형태로 머리부를 대향해서 설치한 전후의 하부베드(DF)(도면에 나타내지 않음),(DB)의 위에, 동일하게, 산형태로 머리부를 대향해서 설치한 전후의 상부베드(UF)(도면에 나타내지 않음),(UB)를 겹쳐서 설치한 4장의 베드횡편기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치구중심선 X-X에서 오른쪽의 상하프론트베드(UF,DF)를 삭제한 상하의 백베드(UB,DB)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의 머리부의 확대도이고, 도 14는 같은 머리부의 타부위의 확대단면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후의 상하베드(FU,FD,BU,BD)의 구성은, 실누름부재(121), 싱커(150)의 지지수단이 제1의 실시형태와 다를 뿐이고, 제1의 실시예와 동일구성의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위점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하부니들플레이트(3)의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의 꼭대기부에는, 바늘홈(22)에 접동감합한 상부니들(25)의 진퇴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부(120)를 형성하고, 후술하는 실누름부재(121)를 수용하는 실누름부재 수용부(122)를 설치하고 있다.
실누름부재 수용부(122)의 단부(120)는, 나중에 상술하는 실누름부재(121)의, 상부니들(25)의 진출(상승)방향과 같은 방향 접동의 최대 이동량을 규제하는 정지용 돌출부(123,124) 및 상기한 정지용 돌출부(123,124)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사면(125,126)으로 이루어진 실누름부재 제어용 오목감합부(127)를 형성하고 있다.
(128)은 금테(42)를 삽통하는 금테 감합홈이다.
실누름부재(121)는 도 1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조각으로 본체간부(130)의 선단에, 약간 하향으로 개구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를, 본체간부 위테두리의 꼬리부분위치에는, 실누름부재(121)의 치구부(90)방향에의 진퇴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을, 상기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와 진퇴이동제어수단(132)과의 사이에는, 경사면(133)을 갖는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실누름부재(121)의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은, 실누름부재(121)를 실누름부재 수용부(122)내에서 치구부(90)방향으로의 진출 또는 후퇴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본체간부(130)의 상부에 돌출시킨 버트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니들베드꼬리부, 그 밖의 부위에 설치되어 본체간부(130)를 진퇴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없다.
또한, 실누름부재(121)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실누름부재 수용부(122)내에서 진출한 실누름부재(121)의 머리부의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를 아랫방향으로 눌러내리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본체간부(130)의 상부에 돌출시킨 버트로서 나타내고 있다. 본체간부(130)의 하부에는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를 위로 올리는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본체간부(130)의 꼬리부에 탄성부재(135), 실누름부재의 요동지점으로 하는 돌출부(136)를 설치하고 있다. 탄성부재(135)는 본 실시예와 같이 본체간부(130)와 일체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별도의 부재로서 실누름부재 수용부와 실누름부재와의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고, 요는 실누름부재가 진출한 상태에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가 상승위치에 유지되도록 탄성부세하는 것이면, 판스프링의 것을 본체간부(130)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진퇴이동제어수단(132)과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의 어느것이나 버트를 이용한 태양으로 설명한다.
탄성부재(135)는,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본체간부(130)의 꼬리부에 설치한 다리부를 탄성부재로 하고, 상기한 다리부는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의 하위까지 하향의 고리형상을 이루어 연장하고, 선단이 상기한 실누름부재 수용부(122)의 단부(120)와 접촉하여,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를 윗쪽에 선회하도록 부세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실누름부재(121)의 가장 후퇴시에 탄성부재(135)의 선단은 단부(120)의 경사면(126)에 위치하여 접하고 있으므로, 실누름부재(121)의 움직임은 처음은 접동저항이 적지만 진출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접동저항이 크게 되고, 망동하기 어렵게 된다. 최대량 진출했을 때 탄성부재(135)가 단부(124)와 접하여 이동은 정지된다. 실누름부재 수용부(122)에 놓여진 실누름부재(121)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부니들(25)의 위테두리에 접하고, 상부스페이서(43)를 금테(42)에 의해 고정한다. 금테(42)는 실안내부재(121)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상부스페이서(43)(도 14에 나타냄)의 밑테두리(44)는 상부니들(25)의 안내테두리로 되어 있고, 상부니들(25)은,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스페이서(43)와 머리부 니들플레이트부(7)의 측면에 설치한 삼각형상의 하부스페이서(45)의 경사테두리(46)로 협지되어 있다.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이, 하부백니들베드(DB)의 하부니들(5)을 승강시킬 때, 상부백니들베드(UB)의 실누름부재(121)를 작용시키는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누름부재(121)는 상부백니들베드(UB) 위를 주행하는 캐리지(50UB)에 설치되어 있는 실누름부재제어캠(61)에 의해 조작되고 하부니들(5)은 하부백니들버트(DB)의 캐리지(50DB)의 캠로크(53)에 의해 조작된다. 도 16에 상부백에 캐리지(50UB)의 실누름부재 제어캠(61)의 캠면의 기본적인 배치와, 실누름부재제어캠(61)에 대한 실누름부재(121)(2점 쇄선으로 나타냄)의 진퇴이동제어버트(132), 하향이동제어버트(134)의 계합상태, 및, 하부백캐리지(50DB)의 니들제어로크(53)에 대한 하부니들(5)(1점쇄선으로 나타냄)의 니들버트(23)의 계합상태를 나타낸다.
실누름부재 제어캠(61)은 실누름부재 진출캠(62)과 실누름부재 후퇴캠(63)과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4,65)으로 이루어지고, 실누름부재 진출캠(62)과 실누름부재캠(63)에 의해 실누름부재(121)의 진퇴이동제어수단(버트)(132)의 통과로(66)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4,65)은 캐리지진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각각 양단에 경사면(67,68)을 가짐과 함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진출하는 실누름부재(121)의 하향이동제어수단(버트)(134)과 위치하여 접하는 다리부를 깍어 경사면(69)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실누름부재(121)의 하향이동제어수단(134)과 실누름부재 제어캠(61)의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4,65)에 의해 실누름부재 편향이동수단(140)을 구성한다. 니들제어로크(53)는, 레이징캠(54)의 양측에 니팅캠(55,56)을, 꼭대기부에 가이드캠(57)을 각각 설치하고 있고, 실누름부재 제어캠(61)과 중심선을 동일하게 위상을 유지해서 왕복이동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하듯이 레이징캠(54)의 좌우의 어깨의 단부의 상부위상에 있는 실누름부재 진출캠(62)에 2개소의 캠산(75,76)을 형성하여 캠산(75,76)의 양측의 경사면(77,78,79,80)을 실누름부재(121)를 치구부에 진출시키기 위한 진퇴이동제어수단(132)에 대한 상승경사면으로 한다. 상기한 캠산(75,76)에 대면하는 실누름부재 후퇴캠(63)에는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의 통과로(66)를 끼워 오목감합부(81,82)를 형성하고, 오목감합부(81,82)의 양측의 경사면(83,84,85,86)을, 실누름부재(121)를 치구부(90)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한 진퇴이동제어수단(132)에 대한 하강경사면으로 한다. 상기한 캠산(75), 요함부(凹陷部)(81)의 상위에 상기한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4)을, 또한, 캠산(76), 요함부(82)의 상위에 상기한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5)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제2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가동싱커는 이용하지 않는다. 종래 공지의 고정싱커(150)가 하부니들베드를 기판(1)의 머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 실안내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도 16에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안내할 때의, 실누름부재(121)의 진퇴이동제어수단(132), 하향이동제어수단(134)과 실누름부재 제어캠(61)과의 관계 및 하부니들(5)의 니들버트(23)와 니들제어로크(53)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도 17에 급사부재(60)로부터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급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안내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안내하는 경우는, 도 16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캐리지(50UB)의 진행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는 실누름부재 제어캠(61)의 실누름부재 진출캠(62)의 캠산(76)을 사용한다. 캐리지(50UB)의 우행에 따라서 실누름부재(121)의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은, 실누름부재 진출캠(62)의 버트통로(66)안에 있어서 후퇴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니들버트(23)는 레이징캠(54)에 의해 최고로 후크(29)를 진출시키고 있다(도16의 ①, 도 17의 A). 캐리지(50UB,DB)의 우행에 따라서, 니들버트(23)가 레이징캠(54)의 꼭대기부를 통과하여, 가이드캠(57)으로 끌어내려져 하부니들(5)의 후크(29)가 레이징캠(54)의 위치로 내려갈 때에 실누름부재(121)의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은, 실누름부재 진출캠(62)의 후행측의 캠산(76)에 의해 진출을 개시한다(도 16의 ②, 도 17의 B). 진출을 시작한 실누름부재(121)는,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를 치구부의 실(Y)에 대하여 진출시킨다. 이 때 실누름부재(121)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실눌러내림 프레서캠(65)에는 접하지 않고 실누름부재(121)는 직진한 상태에서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5)에 향해서 접근한다(도 16의 ③, 도 17의 C).
잇따르는 캐리지(50UB,DB)의 우행에 의해, 하부니들(5)은 후크(29)를 레이징캠(54)의 어깨의 위치에 모으고는 있지만, 실누름부재(121)는,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이 캠산(76)의 경사면(86)을 최고위치까지 상승하는 것에 의해 실누름부재(121)의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는 최고로 진출하고, 동시에 하향이동 제어수단(134)의 경사면(133)을 치구부방향으로 진출시킨다. 그리고 캐리지(50UB,DB)의 우행과 함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5)의 경사면(68)에 접하고(도 16의 ④, 도 17의 D), 캐리지(50UB,DB)의 이행과 함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탄성부재(135)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밀어넣어지고, 실누름부재(121) 선단의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를 아래쪽으로 선회이동시킨다(도 16의 ⑤, 도 17의 E).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이 밀어넣어짐으로써, 탄성부재(135)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실누름부재(121)는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를 아래쪽으로 선회하지만, 이 때 탄성부재(135)는 선단을 실누름부재 제어용 오목감합부(127)의 상승경사면(126)에 위치하여 접하고 있으므로, 상시는 망동하는 일없이 정지하고 있지만, 접동이 개시되면 상승경사면(126)에 계속되는 수평면과 접해서 이동하므로, 접동은 순조롭다. 반대로 실누름부재(121)가 후퇴할 때는, 탄성부재(135)의 선단은 수평부에서 내려가 경사(126)에 들어가게 되고, 후퇴시에는 점차 탄발력에 의한 저항은 적어지고 순조로운 후퇴이동이 얻어진다.
상기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의 아래쪽 선회에 의해, 급사부재(60)에서 급사되고 있는 실(Y)을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는 포착하고,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실(Y)을 안내한다. 후크(29)내에 실(Y)을 안내한 하부니들(5)은, 니팅캠(55)에 버트(23)가 위치하여 접하는 것에 의해 진출시켜지고, 후크(29)에 실(Y)을 포착해서 치구부(90)로부터 후퇴한다.
이 후퇴개시시에는, 실누름부재(121)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5)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는 아래방향으로 선회한 대로이지만, 캐리지(50UB,DB)의 진행과 함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상기한 실눌러 눌러내림 프레서캠(65)으로부터 떨어지고, 그 누르는 압력을 풀기위해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는 윗쪽으로 선회하여, 원래위치로 복귀한다.
상기한 캐리지(50UB,DB)의 우행에 계속해서, 캐리지(50UB,DB)가 반전한 좌행시에 실누름부재(121)에 의해 니들후크(29)에 실(Y)을 안내할 때는, 우행시와 반대로 캠산(75)을 사용하고, 캠산(75)의 경사면(78)과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을 위치하여 접해서 실누름부재(121)를 치구부에 향해서 진출시키고, 하향이동제어수단(134)과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4)을 위치하여 접해서 실누름부재(121)의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를 아래쪽으로 선회이동시킨다.
실(Y)을 하부니들(5)의 배면에 안내하는 경우는, 제1의 실시예와 같이 행하여진다. 양 캠산이 고정된 것에서는 한쪽의 캠산에서는 단지 실누름부재를 진출퇴거시키는 불필요한 동작을 행하게 할 뿐인 것이 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 캠산을 작용하지 않는 위치로 퇴거시킬 수 있는 가동캠으로서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의 앞테두리에 경사면(133)이 구성되어 있지만, 실누름부재(121)의 진출을 상기한 실시예보다 늦추고, 혹은, 실눌러내림 프레서캠(64)에 위치하여 접한 타이밍을 상기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하고, 상기한 경사면(133)이 실눌러내림 프레서캠(64)의 경사면(69)과 접하도록 하면, 제1의 실시예에서의 실누름부재(110)의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12)와 같이,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131)가 전진한 종료위치부근에서는 전진하면서 하향이동하는 궤적을 그리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설명의 제1, 제2의 실시의 형태는 4베드의 예로, 상하 백베드(UB,DB)에 관해서 상부 백베드(UB)에 실누름부재(110,121)를 설치하고 있지만, 실누름부재(110,121)는 전후의 상부베드에 대향해서 설치해도 혹은 앞뒤 한쪽에만 설치해도 어느 것이라도 지장은 없다. 2베드의 경우에서는, 앞뒤의 양 베드 또는 어느 한쪽의 베드에 설치하면 좋다. 또한, 실누름부재(110,121)는, 각 니들마다 설치할 필요는 없고, 소정 개수의 바늘마다 설치하도록 해도 지장은 없다. 4베드의 경우, 하부베드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그 때문에 실누름부재 제어캠(52,61)은, 앞뒤의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의 상부베드에 대한 캐리지에 설치하면 좋다. 하부 백베드(DB)의 니들(5)을 조작해서 동시에 실누름부재(110,121)를 작동시킬 때는, 하부백 베드용 캐리지(50DB)의 니들조작로크(53)와 상부백 또는 프론트 베드용 캐리지(50UB,50UF)의 실누름부재 조작캠(52,61)을 사용하면 좋다.
본 발명의 실안내장치는, 편지편성시 실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한 상태에서, 니들의 후크 혹은 배면의 소정위치에 실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니들과 급사구와의 사이에 길게 연장하는 플로팅실이 발생하는 인레이뜨개, 혹은 무늬의 단부루프를 편성하는 니들에 실을 감는 인터셔뜨개 등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치구부(齒口部)를 중심으로 머리부를 대향해서 설치한 적어도 한쌍의 니들베드에, 복수의 니들을 치구부에 향해서 자유롭게 접동(摺動)할 수 있게 줄지어 설치하고, 니들간에는 적절히 싱커를 배치하고, 상기한 니들과 병렬하여, 선단에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가지는 실누름부재를 치구부에 향해서 자유롭게 접동지지해서 이루어진 횡편기에 있어서, 실누름부재의 접동진출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하향이동하는, 실누름부재 편향이동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실누름부재 편향이동수단을, 실누름부재와 니들베드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실누름부재 편향이동수단을, 실누름부재와 캐리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실누름부재를 치구부에 향해서 진퇴이동하는 수단과, 실누름부재의 최진출시전에 실누름부재에 대하여 작용하여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하향이동하는 부재로 이루어진 실누름부재 편향이동수단을 설치하고, 실누름부재의 진출접동시에 실누름부재 선단의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가 진출이동함과 아울러 하향이동해서 하향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실누름부재를 치구부에 향해서 진퇴이동하는 수단과, 최고로 진출한 실누름부재에 대해서 작용하여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하향이동하는 부재로 이루어진 실누름부재 편향이동수단을 설치하고,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가 최고로 진출한 후에 하향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6. 복수의 니들을 접동자유자재로 줄지어 설치하고, 치구부 중심부에서 머리부를 대향해서 설치한 적어도 한쌍의 침상(針床)을 가짐과 아울러,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는 급사부재에 계속되는 편사에 작용하고, 편사를 적어도 바늘의 후크로 보충가능한 위치까지 눌러내리는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선단에 가지는 실누름부재를 니들과 병렬해서 진퇴자유자재로 침상위에 지지한 실안내장치를 갖춘 횡편기에 있어서,
    실누름부재측에,
    실누름부재에는 실누름부재를 치구부에 대하여 진퇴이동시키기 위한 진퇴이동제어수단과, 진퇴이동제어수단과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하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하향이동제어수단과,
    실누름부재 밑테두리에 선단을 지지면과 접촉하여, 실누름부재가 진출한 상태에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가 상승위치에 유지하도록 윗쪽에 탄성을 부가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고,
    침상위를 왕복이동하는 캐리지측에,
    상기한 실누름부재의 진퇴이동제어수단에 대치하는 위치에 진퇴이동제어수단에 계합해서 실누름부재를 진출시켜 급사부재에 계속되는 편사의 윗쪽에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진출시키는 실누름부재 진출캠과,
    진출위치에 있는 실누름부재의 하향이동제어수단을 압압해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하강시켜 편사를 적어도 바늘의 후크의 통과경로내까지 눌러내리는 실눌러내림 프레서캠과,
    진퇴이동제어수단에 계합해서 실누름부재를 후퇴시키는 실누름부재 후퇴캠을 설치해서 이루어진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실누름부재 밑테두리에 탄성부재를 일체로 설치하고,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선두부에 설치한 실눌러내림 작용테두리를 윗쪽에 선회이동하도록 힘을 더해서 이루어진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실누름부재는, 니들플레이트 꼭대기부에 설치한 단부에 의해 형성된 실누름부재 수용부내에 접동자재로 삽입되고, 상기한 단부에 설치한 실누름부재 제동용 오목감합부에 탄성부재를 위치하여 접해서 이루어진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KR10-1998-0700147A 1996-05-15 1997-05-15 횡편기의실안내장치 KR100469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498496 1996-05-15
JP96-144984 1996-05-15
JP13942997A JP3498280B2 (ja) 1996-05-15 1997-05-13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装置
JP97-139429 1997-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846A true KR19990028846A (ko) 1999-04-15
KR100469828B1 KR100469828B1 (ko) 2005-06-20

Family

ID=2647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147A KR100469828B1 (ko) 1996-05-15 1997-05-15 횡편기의실안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14874A (ko)
EP (1) EP0870858B1 (ko)
JP (1) JP3498280B2 (ko)
KR (1) KR100469828B1 (ko)
DE (1) DE69714211T2 (ko)
ES (1) ES2180050T3 (ko)
WO (1) WO1997043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1261B1 (en) 2000-05-01 2005-09-06 General Electric Company Cause and effect logic application implementation
JP4015972B2 (ja) * 2003-07-3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JP4176038B2 (ja) * 2004-03-31 2008-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可動シンカー装置
EP2130960B1 (de) * 2008-06-04 2010-12-01 Groz-Beckert KG Stricksystem mit einer nadelgetriebenen Abschlagplatine
US8468855B2 (en) * 2011-09-16 2013-06-2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Downward pressing mesh mechanism and sinker thereof for flat knitting machines
PT3124663T (pt) * 2015-07-30 2020-01-16 Groz Beckert Kg Método e dispositivo de formação de laços
US11313058B2 (en) * 2019-02-27 2022-04-26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lat knitting machine structure with adjustable gap between two knock-over bits
US11639566B2 (en) * 2019-02-27 2023-05-02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Method for knitting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variable thickness through a flat knitting machine
CN110205742B (zh) * 2019-05-14 2020-11-24 浙江凯悦纺织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机纺织线的拉钩装置
CN111235740B (zh) * 2020-03-27 2021-03-30 常熟创富针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电脑横机的高效摆动沉降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6959B2 (ja) * 1991-08-29 1998-03-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地の編成方法及び多段ベッド横編機
JP2618312B2 (ja) * 1992-07-09 1997-06-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3333304B2 (ja) * 1994-03-18 2002-10-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JP3498270B2 (ja) * 1994-04-28 2004-02-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828B1 (ko) 2005-06-20
EP0870858A1 (en) 1998-10-14
JP3498280B2 (ja) 2004-02-16
EP0870858B1 (en) 2002-07-24
JPH1053946A (ja) 1998-02-24
ES2180050T3 (es) 2003-02-01
EP0870858A4 (ko) 1998-10-14
DE69714211D1 (de) 2002-08-29
DE69714211T2 (de) 2003-03-20
WO1997043477A1 (fr) 1997-11-20
US6014874A (en) 200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8385B2 (en)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feeding yarn for weft knitting machine
US5557948A (en) Yarn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 knitting machine
KR19990028846A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KR100478557B1 (ko) 루프 프레스기를 구비한 횡편기 및 이 횡편기를 사용한 편성방법
JP2917146B2 (ja) 編目形成方法及び該編目形成のための横編機
US5134864A (en) Movable sinker in flat knitting machine
US5305620A (en) Flat knitting machine
GB2097431A (en) Stitch pressing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
KR20040036733A (ko)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
EP1731648A1 (en) Movable sinker device and sinker of weft knitting machine
EP2423363B1 (en) Wef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CN110678593B (zh) 横机中的添纱编织方法
US20040093910A1 (en) Device for machine knitting
US7152435B2 (en)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CN111793889B (zh) 横机
JP3000461B2 (ja) 目移し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4175978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EP0421242A2 (en)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retention sinkers
WO2024075449A1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可動シンカー
JPH0913251A (ja) 横編機の糸案内装置
JP2726958B2 (ja) 二段ベッド横編機
JP2530242B2 (ja) 増目機能を有する横編機用操針カム
JP2000314059A (ja) 丸編機におけるジャカード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ダブルシンカー
TW402648B (en) Yarn guide apparatus for weft knitting machine
KR19990014148U (ko)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