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733A -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 - Google Patents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733A
KR20040036733A KR10-2004-7002700A KR20047002700A KR20040036733A KR 20040036733 A KR20040036733 A KR 20040036733A KR 20047002700 A KR20047002700 A KR 20047002700A KR 20040036733 A KR20040036733 A KR 20040036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loop
needle
yarn
loop pres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505B1 (ko
Inventor
미야이다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3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에서, 급사 조건을 개선하여 루프 프레스 기능과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능을 각각 향상시키는 것이다. 투스 마우스10에 진출하는 루프 프레서11의 선단부12에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과 루프 프레서 부분14가 형성된다.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은, 상방측의 벽부분15에서 급사구20으로부터 복합 바늘23의 훅24a에 공급되는 편사22가 텅25a로 올라 타서 얀 인탱글먼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텅25a가 편사22에 대하여 가려진다 . 하방측의 가압 부분16에서는 편사22를 가압한다.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은, 엔드 스티치의 바깥쪽에서 편사22를 감아 포착할 수 있다. 루프 프레서 부분14는 편성 중에 편사22를 가압한다. 벽부분15에서 엔드 스티치의 편침23의 텅25a가 가려지면서 다른 루프 프레서11의 루프 프레서 부분14를 작용시킴으로써 확실하게 편사22를 훅24a 내로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LOOP PRESSER, FLATBED KNITTING MACHINE HAVING LOOP PRESSER, AND FABRIC KNITTING METHOD USING LOOP PRESSER}
종래부터 횡편기에서는,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래치 니들(latch needle)1이 기본적인 편침(編針)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래치 니들1은, 선단부에 훅1a를 구비하고, 래치(latch)1b가 리벳(rivet)1c를 중심으로 회전변위(回傳變位)하여 훅1a를 개폐하면서 스티치 루프(stitch loop)를 형성하는 편성동작을 하고 있다.
도15의 (1)은 편사(編絲)로 이미 만들어 놓은 스티치 루프2A를 형성한 후, 래치 니들1을 상승시켜서, 래치1b가 스티치 루프2A에 의하여 훅la의 내측으로부터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15의 (2)는, 래치 니들1이 최상방의위치까지 상승하고, 기존의 스티치 루프2A가 래치1b보다 하방으로 이동한 후에, 래치 니들1이 하강을 시작하여 훅 1a에는 새로운 스티치 루프2B를 형성하기 위한 편사가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15의 (3)은, 래치 니들1이 하강하고, 래치1b가 기존의 스티치 루프2B의 부분을 통과할 때에, 스티치 루프2B에 의하여 래치1b가 닫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15의 (4)는, 래치 니들1이 최하방에 도달하고, 기존의 스티치 루프2B가 닫혀 있는 래치1b로부터 훅1a의 외측을 통과하여 녹 오버(knock over)가 발생하여 새로운 스티치 루프2B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래치 니들1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편성에서는 (1)∼(4)의 동작이 반복된다. 따라서 (2)에 나타나 있는 상태보다 훅1a가 높아지게 되는 최상방의 위치와 (4)에 나타나 있는 최하방 위치와의 사이의 스트로크(stroke) S1만큼 래치 니들을 상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래치1b의 선단은, 도15의 (2)에 나타나 있는 궤적1d를 그리기 때문에 이 궤적1d 내에 편사가 공급되면, 도15의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래치 1b가 닫힐 때에 훅 1a와 래치 1b와의 사이에서 스티치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횡편기에서는,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복합 바늘(compound needle)3도 사용된다. 복합 바늘3은, 바늘 본체4와 슬라이더(slider)5에 의하여 편침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바늘 본체 4의 선단에는 훅4a가 형성되고, 슬라이더의 선단에는 텅(Tongue)5a가 형성된다. 바늘 본체4 및 슬라이더5는 독자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바늘 본체4에 대한 슬라이더 5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하여 훅 4a를 텅 5a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바늘3을 이용하는 횡편기의 구성은, 본건 출원인에 의하여 일본국 특허등록 제308565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16의 (1)은 편사에 의하여 이미 만들어 놓은 스티치 루프2A를 형성한 후에, 바늘 본체4를 상승시켜, 훅4a가 슬라이더5의 텅5a로부터 분리되어 스티치 루프2A를 지지하는 니들 훅(needle hook)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16의 (2)는, 바늘 본체 4가 최상방까지 상승하여, 기존의 스티치 루프2A가 텅5a로 이동한 후, 바늘 본체 4가 하강을 시작하여, 훅4a에는 새로운 스티치 루프2B를 형성하기 위한 편사가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16의 (3)은, 바늘 본체 4가 하강하여, 텅 5a가 기존의 스티치 루프2B 부분을 지지하면서 니들훅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16의 (4)는 바늘 본체 4 및 슬라이더 5가 최하방에 도달하여, 기존의 스티치 루프2B가 닫혀 있는 텅5a로부터 훅4a의 외측을 통과하여 녹 오버가 발생하여, 새로운 스티치 루프2B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복합 바늘3을 구비하는 횡편기의 경우에는, 훅4a와 접촉 및 분리되어 니들훅을 개폐하는 텅5a를 선단에 구비하는 슬라이더5의 움직임은, 래치 니들1의 래치1b와 같은 원호(圓弧) 운동의 궤적 1d가 아니라, 직선적인 궤적3a의 운동이 되기 때문에 바늘 본체4의 전진 및 후퇴 스트로크 S2를 작게 할 수 있어, 횡편기를 소형화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횡편기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편성 중에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루프 프레서(loop presser)가 사용된다. 본건 출원인은, 일본국 특허등록 제3044373호에 루프 프레서가 탑재(搭載)된 횡편기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공보의 도5∼도8에는, 래치 니들에 결합된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루프 프레서와 급사구(給絲口)로부터 래치 니들에 걸치는 편사를 얀 가압부(yarn pressing portion)에 의하여 하방으로 밀어 내려서, 편사를 래치 니들의 훅에 포착(捕捉) 가능한 위치로 안내하는 얀 가이드(yarn guide)를 각각 설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13 및 도14에는, 편성포 측단부(側端部)에 루프 프레서의 루프 가압부를 진출시켜, 최후에 형성된 스티치 루프로부터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가압하면서 엔드 스티치(end stitch)를 편성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은, 엔드 스티치에 대한 얀 가이드 기능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15 이후에는, 「최적 실시예」로서 상기한 얀 가이드의 기능을 루프 프레서에 겸용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최적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루프 프레서에 의하여 스티치 루프의 가압과 훅으로의 급사를 하도록 되어 있어 복합 바늘의 경우에도 안정된 급사(給絲) 조건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복합 바늘3은,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래치 니들1 보다, 필요한 스트로크가 작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복합 바늘3의 훅4a의 개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직선적인 궤적3a를 그리는 운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래치 니들1에 비하여 급사 조건이 엄격하게 된다. 일본국 특허등록 제3044373호에 개시되어 있는 「최적 실시예」를 이용하면, 복합 바늘에 대하여도 안정된 급사조건을 얻는 것이 기대된다.
일본국 특허등록3044373호에 개시되어 있는 엔드 스티치용 얀 가이드 기능은, 루프 프레스 기능과 함께 루프 프레서의 선단부의 동일한 장소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엔드 스티치용 얀 가이드 기능 전용의 장소는, 특별하게 고려되어 있지 않다. 편침의 편성운동을 제어하는 캐리지(carriage)에는, 캠 록(cam lock)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이, 복수 조 설치되어 캐리지가 니팅 베드(knitting bed)의 길이 방향으로 1회 주행하면 복수의 코스를 편성할 수 있다. 편성용의 각 시스템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1곳의 니들 실렉션부(needle selecting portion)에서 루프 프레서의 작용 또는 비작용을 선택하고, 그 루프 프레서가 통과하는 캠 루트(cam route)를 솔레노이드(solenoid)로 제어함으로써 루프 프레스 기능만을 작용시키거나 루프 프레스 기능과 얀 가이드 기능을 작용시키는 변환을 한다. 이 때문에 1코스의 편성 중에 사용되는 루프 프레서는, 모두 같은 캠 루트를 통과하게 된다.
복합 바늘에 의하여 편성포 편성을 하는 경우에, 편성포의 반환 장소가 되는 편성포의 측단부에 있어서, 다음 코스의 편성을 할 때의 편성이 시작된 편침에 대한 급사 시점에, 편사가 이 편침의 슬라이더 위로 올라 타버려서 니들 훅으로 이 편사를 포착할 수 없다는 문제(이하, 얀인탱글먼트(yarn entanglement) 문제라 한다)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엔드 스티치의 얀 인탱글먼트 문제의 발생에는 이하의 요인을 생각할 수 있다.
얀 캐리어의 선단에 형성되는 급사구의 위치조정이 나쁘거나 장기간의 사용에 의하여 얀 캐리어(yarn carrier)에 거터(gutter)가 발생하여 급사할 때에 편사의 위치가 정확하게 정해지지 않는다. 편사를 묶은 소위 다중 편사(multiple yarn knitting)로 편성하는 경우에는, 편사가 편침에 접촉한 시점에서 평평하게 연장되기 때문에, 특히 슬라이더 상에 올라 타기 쉽다. 또 편사에 걸리는 텐션(tention)이 약한 경우에 편사의 위치가 쉽게 틀어wu서 슬라이더 상에 쉽게 올라 타게 된다. 특히 문제가 되는 편성은, 플레인 스티치(plain stitch) 편성이나 리브 스티치(rib stitch)와 같이 코스(course)의 편성 마지막의 편침과 다음 코스의 편성 시작의 편침이 같은 경우이다.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로 편성 중에 스티치 루프(stitch loop)를 가압(加壓)하는 루프 프레서(loop presser),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 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예인 루프 프레서11에 의하여 엔드스티치(end stitch)용 편사 포착 기능과 루프 프레서 기능에서, 기능을 변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2는 본 실시 예의 루프 프레서11을 사용하는 횡편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3은 본 실시 예의 루프 프레서11의 외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는 본 실시 예의 루프 프레서11 및 복합 바늘23을 작동시키는 캠 기구36 및 편성용 캠 기구50의 구성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5는 본 실시 예의 루프 프레서11및 복합 바늘23의 버트(butt)의 통과 궤적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6은 본 실시 예의 캠 기구 36으로 캠 면의 높이를 나타내는 간략화한 평면도이다.
도7은, 도4∼도6의 D 위치에서의 루프 프레서11의 진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도4∼도6의 E 위치에서의 루프 프레서11의 진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도4∼도6의 F 위치에서의 루프 프레서11의 진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도4∼도6의 G 위치에서의 루프 프레서11의 진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도4∼도6의 H 위치에서의 루프 프레서11의 진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도4∼도6의 I 위치에서의 루프 프레서11의 진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도4∼도6의 J 위치에서의 루프 프레서11의 진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루프 프레서71에 의하여 엔드 스티치 편사 포착 기능과 루프 프레서 기능에서, 기능을 변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15는 래치 니들에 의한 편성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은 복합 바늘에 의한 편성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침으로서,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복합 바늘(compound needle)을 구비한 횡편기에서, 편침으로의 급사 조건을 개선하고, 루프 프레스 기능과 end stitch의 얀 가이드 기능을 각각 향상 시킬 수 있는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및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니들 실렉션 패턴 등에 따른 변환에 의해, 복합 바늘(compound needle)을 사용 하는 경우에, 엔드 스티치(end stitch) 편침에서 편사가 슬라이더 위로 올라 타버리는 얀 인탱글먼트(yarn entanglement)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고, 편사를 바늘 훅 안 쪽으로 안내할 수 있는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및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하나의 예인 횡편기(橫編機)의 투스 마우스(tooth mouse)10으로 진출하고 있는 루프 프레서(loop presser)11의 선단부(先端部)12의 형상을 나타낸다. 루프 프레서11은, 금속판(金屬板)으로 형성되고, 선단부12에는 엔드 스티치(end stitch)용 편사 포착 부분(knitting yarn holding portion)13과 루프 프레서 부분(loop pressure portion)14가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루프 프레서11은, 선단부12를 투스 마우스10으로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다. 전진 및 후퇴 방향에 대하여,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 이 루프 프레서 부분14 보다 선단측에 설치된다.
도1의 (a)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이 투스 마우스10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1의 (b)는 루프 프레서 부분14가 투스 마우스10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은, 상방측에 벽 부분(wall portion)15, 하방측에 가압 부분(pressure portion)16을 각각 가지는 형상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루프 프레서 부분14는, 하방측에 2개의 루프 가압 부분17, 18과 그 중간의 얀 가이드 부분(yarn guide portion)19를 구비하는 형상을 가진다.
도1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투스 마우스10의 상방으로부터는, 급사구(yarn feeding port)20이 얀 캐리어(yarn carrier)2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투스 마우스10에 편사(knitting yarn)22를 공급한다. 투스 마우스10에는, 횡편기에 설치되는 전후의 니들 베드의 선단이 대향(對向)한다. 각 니들 베드는, 투스 마우스10측이 상승하도록 경사져 있어, 측면의 형상은 산(山) 모양이 된다. 각 니들 베드에는, 다수의 편침(編針)으로서 복합 바늘(compound needle)23이 배치된다. 전후 한 쪽의 니들 베드의 복합 바늘23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다른 쪽의 니들 베드의 복합 바늘23을 점선으로 나타낸다. 각 니들 베드에서, 복합 바늘23은 각각 일정한 피치(pitch)로 형성된 니들 홈(needle groove) 내에서 왕복 변위(往復 變位)하여 투스 마우스10으로 선단측을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다. 복합 바늘23은, 도16에 나타나 있는 복합 바늘23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바늘 본체(needle main body)24와 슬라이더(slider)25로 구성된다. 바늘 본체24의 선단에는 훅24a가 형성되고, 슬라이더25의 선단에는 텅(tongue)25a가 형성된다.
도1 (a)에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복합 바늘23이 엔드 스티치가 되고, 도면의 안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얀 캐리어21이 이동하여 1코스(course)의 스티치 루프26이 편성된 후, 다음 코스의 편성이 시작되어, 복합 바늘23보다 앞쪽에 루프 프레서11의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이 진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아직 급사구20이 편사 포착 부분13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스티치 루프26으로부터 급사구20에 걸쳐 있는 편사22는, 가압 부분16으로의 접촉점(接觸點)16a에서 가압되어 있다.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의 진출 상태를 유지하여, 얀 캐리어21을 앞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주행시키면, 편사22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에서 되돌려져서, 접촉점15a에서 벽 부분15와 접촉하여 포착(捕捉)된다. 편사22는, 급사구20의 이동과 함께 안쪽으로 끌려서 훅24a에 공급되어 다음 코스의 편성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일본국 특허등록 제3044373호의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성 끝부분(knitting end)에서의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합 바늘23의 텅25a의 선단dl 엔드 스티치용 얀 가이드 부분13의 벽 부분1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편사22가 슬라이더25의 텅25a에 올라 타는 것과 같은, 얀 인탱글먼트(yarn entanglement)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엔드 스티치용의 편침23보다 안쪽에서는, 루프 프레서 부분14의 얀 가이드 부분16을 급사구20으로부터 엔드 스티치용의 편침23에 공급되는 편사22에 작용시켜서, 훅 24a 내로 안내한다.
도1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루프 프레서11의 루프 프레서 부분14는, 코스의 편성 도중에서, 전후의 니들 베드의 복합 바늘23에 의하여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26을 가압하는 루프 가압 부분 17, 18을 하방에 구비하는 형상을 가진다. 루프 가압 부분17, 18은 전후의 니들 베드로부터 진출한 복합 바늘23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에 가까운 경사면(傾斜面)으로서, 중간의 오목부에 얀 가이드 부분19가 형성되어 있다. 얀 가이드 부분19는 급사구20으로부터 공급되는 편사22를 훅24a에 확실하게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루프 프레서 기능과 얀 가이드 기능을 겸용하는 루프 프레서의 동작이나 작용은, 기본적으로 일본국 특허등록 제3044373호에서 「최적 실시예」로서 제[0066]단락부터 제[0089]단락 및 도15∼도21에서 래치 니들을 사용하는 횡편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 루프 프레서와 동일한 것이다.
도2는, 도1의 루프 프레서11을 사용하는 횡편기의 종단면(縱斷面)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었다. 투스 마우스10에는, 가상 중심선10a에 대하여 선대칭(線對稱)이 되도록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 베드27이 머리 부분을 산 모양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니들 베드27은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각 니들 베드27에는 복합 바늘23이 투스 마우스10으로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도록 안내용의 니들 홈이 형성되어 있고, 각 니들 홈의 머리 부분에는 니들 홈을 따라 복합 바늘23이 편사를 끌어 들일 때에 편사를 지지하는 싱커28이 설치되어 있다. 전후의 니들 베드의 적어도 한쪽, 예를 들면 뒤쪽 니들 베드의 상방에는 보조 베드(auxiliary bed)29가 설치되고, 루프 프레서11이 투스 마우스10으로 선단부12를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이동을 안내하는 홈(groove)30이 형성되어 있다. 루프 프레서11의 배열 피치는, 니들 베드27에서의 복합 바늘23의 배열 피치에 대응시킨다. 다만 반드시 1 대 1로 대응시키지 않아도 좋으며, 복수의 복합 바늘23에 한 개의루프 프레서11이 대응하는 피치이더라도 좋다. 복합 바늘23이나 루프 프레서11은, 니들 베드27의 길이 방향, 즉 지면(地面)에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 기구(cam mechanism)에 의하여, 투스 마우스10에 대하여 전진 및 후퇴하는 변위를 수행한다.
도3은 루프 프레서11의 형상을 나타낸다. 루프 프레서11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단부12에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과 루프 프레서 부분14를 가지는 것 외에 투스 마우스10으로 향하는 앞부분으로부터, 투스 마우스10에서 분리되는 뒷부분에 걸쳐서 간격을 두고 제 1버트(first butt)31, 제 2버트32 및 제 3버트33 등 복수의 버트가 상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가진다. 루프 프레서11의 중간부분의 하부측에는, 앞부분으로부터 분기(分岐)되는 탄성 암(elastic arm)34가 뒷부분으로 연장되어 있다. 루프 프레서11의 가장 뒷부분에는 기단부(base end portion)35를 가진다. 기단부35의 바닥면은 평탄하다.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루프 프레서11을 외력(外力)을 가하지 않은 자유로운 상태로 하면, 탄성 암34는 하방으로 열린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루프 프레서11을 보조 베드29의 홈30 내에 수납시키면, 루프 프레서11의 상부측은 캠 기구36이나 밴드(band)37, 38에 접촉되고, 하부측은 홈 30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탄성 암34는, 도3 (b)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되어 휘어진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조 베드29는 홈30의 뒷부분이 개방(開放)되어 있고, 루프 프레서11의 기단부35는 루프 프레서11의 선단부12가투스 마우스10으로부터 후퇴하고 있는 상태로, 개방 부분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보조 베드29의 개방 부분의 하방에는,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루프 프레서11의 기능을 변환하기 위한 선택 기구(選擇 機構)39가 설치되어 있다. 기단부35는, 탄성 암34의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 기구39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압되어 있다. 캠 기구36이 제3버트33을 가압하면, 기단부35는 탄성 암3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하강하고, 표면이 선택 기구39의 자력에 의하여 흡인(吸引)된다. 선택 기구39는 영구자석(永久磁石)과 전자석(電磁石)을 가진다. 전자석에 전기를 통하면 영구자석의 흡인력이 소멸되어, 영구자석에 의하여 흡인되어 있는 기단부35가 해제된다. 전자석에 전기를 통하지 않으면 기단부35의 흡인 상태는, 기단부35가 선택 기구39에 접촉하고 있는 범위에서 계속된다.
도4는, (a)에서 도2에 나타내는 캠 기구36의 투시(透視) 상태를 아래쪽이 투스 마우스10측이 되도록 나타내고, (b)에서 복합 바늘23의 전진 및 후퇴용의 편성용 캠 기구의 투시 상태를 위쪽이 투스 마우스10측이 되도록 나타낸다. 도5는, (a)에서 루프 프레서11의 제1버트31, 제2버트32 및 제3버트33의 통과 궤적(軌跡)을 나타내고, (b)에서 복합 바늘에 관한 통과 궤적을 나타낸다. 도6은 캠 기구36 각 부의 기판(基板)으로부터의 높이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도4(a), 도5(a) 및 도6에서, 평행한 횡선(橫線)으로 해칭(hatching)을 하여 나타내는 부분은 경사면을 나타낸다. A, B, C, D, E, F, G, H, I, J, K, L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참조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특히F는 중앙위치, G는 급사구(yarn feeding port)20에 의한 급사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투스 마우스측은 도면의 아래쪽이 되지만, 루프 프레서11을 투스 마우스측으로 진출시키는 동작을 「올린다(lifting)」라고 표현하고, 투스 마우스측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동작을 「내린다(lowering)」라고 표현한다.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 기구36에는, 대략적으로 제1가이드 캠41, 제2가이드 캠42, 제3가이드 캠43 및 제4가이드 캠44가 설치된다. 제1가이드 캠41과 제2가이드 캠42와의 사이, 제2가이드 캠42과 제3가이드 캠43과의 사이 및 제3가이드 캠43과 제4가이드 캠44와의 사이에는, 루프 프레서11의 제1버트31, 제2버트32 및 제3버트33에 작용하는 제1캠 트랙31a, 제2캠 트랙32a 및 제3캠 트랙33a가 각각 형성된다. 각 가이드 캠은 도면의 좌우방향에 관하여 대략적으로 선대칭(線對稱)이며, 캐리지(carriage)가 왕복주행할 때에 동등한 작용을 할 수 있다.
이하, 캠 기구36을 탑재하는 캐리지가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선택 기구39는 제3캠 트랙33a를 따라 3곳에 설치된다. 선행측(先行側)의 선택 기구39a와 후행측(後行側)의 선택 기구39b와는, 중심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설치되고, 캐리지의 이동방향이 역전(逆轉)되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선택 기구39b가 선행측이 된다. 중앙에는 선택 기구39c가 설치되고, 캐리지의 왕복에 대하여 공통의 기능을 가진다. 제2캠 트랙32a를 따라서는, 캠 기구36의 기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스프링 가압되는 하강 캠(lowering cam)42a, 42b가 중앙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투스 마우스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는 가압 캠(pressing cam)42c, 42d도 중앙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설치된다. 제3캠 트랙33a에 관해서는, 루프 프레서11의 제3버트33을 가압하여 기단부35를 각 선택 기구39a, 39b, 39c에 흡인시키는 가압 돌기부(突起部)43a, 43b, 43c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제3가이드 캠43의 중앙부에는, 표면이 기판으로부터 출몰(出沒) 가능한 출몰(projecting/retreating cam) 캠43d도 설치되어 있다. 제4가이드 캠44에는, 제3버트33과 결합하여 루프 프레서11을 진출시키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능으로서의 상승 캠(lifting cam)44a, 44b와 루프 프레서 기능으로서의 상승 캠44c, 44d가 각각 설치된다.
도4(b)는 편성용 캠 기구(knitting cam mechanism)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편성용 캠 기구50은, 바늘본체 조작 캠 록(cam lock)51과 슬라이더 조작 캠 록52로 이루어진다. 바늘본체 조작 캠 록51은, 2개의 혹(double hump) 형상을 가지는 레이징 캠(rasing cam)53과, 도1이나 도2에 나타내는 바늘본체24에 형성되는 버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버트 경로(butt path)54를 사이에 두고 레이징 캠53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티치 캠(stitch cam)55, 56과, 레이징 캠53의 투스 마우스10측에 배치되는 브리지 캠(bridge cam)57과, 레이징 캠53의 2개의 혹 형상의 사이에 형성되는 트랜스퍼 제어 캠(transfer control cam)58을 포함한다. 레이징 캠53 및 브리지 캠57은 고정 캠(fixed cam)으로서 형성된다. 스티치 캠55, 56은, 브리지 캠57과의 접촉 경사면을 따라 변위 가능하여,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26의 사이즈 조정을 할 수 있다. 트랜스퍼 제어 캠58은, 출몰 변환이 가능하고, 돌출시키면 바늘본체24의 훅24a를 편성할 때의 기준이 되는 니트 상태의 최선단 위치보다 투스 마우스10으로부터 후퇴하는 위치까지 변위시켜서 대향하는 니들 베드와의 사이에서 스티치 루프26의 이동을 하는 트랜스퍼 동작(transfer operation)을 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 조작 캠 록52에는, 전진 및 후퇴용의 버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버트 통로(butt path)60을 따라 출몰 변환 가능한 트랜스퍼 제어 캠61과 고정의 슬라이더 가이드 캠(slide guide cam)62, 63, 64가 포함된다. 트랜스퍼 제어캠61을 돌출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후퇴하고 있는 훅24a의 위치를 넘어서 슬라이더25의 텅25a를 대향하는 니들 베드27측으로 진출시켜서, 트랜스퍼 동작을 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 바늘23에 관한 설명은, 일본국 특허등록 공보 제3085657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것과, 기본적으로 동등하다.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가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스티치 형성을 할 때에 있어서 루프 프레서11의 각 버트의 통과 궤적은, 선택 기구39a를 동작시켜서 얻어지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에서 기능하는 경로와, 선택 기구39c를 동작시켜서 얻어지고 실선으로 나타내는 루프 프레서 부분14에서 기능하는 경로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3가이드 캠43의 출몰 캠43d는 표면이 돌출하지 않은 가라 앉은 상태(retreated state)로 세트하여 둔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능으로서의 경로에서는, 제3캠트랙33a에서 C로부터 D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승 캠44a에 의하여 제3버트33이 안내되고, 루프 프레서11은 투스 마우스10측으로 상승한다. 출몰 캠43d는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제3버트33은 출몰 캠43d 위를 그냥 통과할 수 있다. 제2캠트랙32a에서, D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강 캠42a를 제2버트32가 타고 넘어갈 때에 하강 캠42a는 가라앉아, 가압 캠42c, 42d 등과 같은 높이가 되며, I에 대응하는 위치 부근까지 제2버트32의 부상(浮上)을 억제한다. 또한 가압 캠42d는,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가압에 의하여, 가압 캠42c와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를 유지한다. 도5(a)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루프 프레서 기능에 의하여 제2버트32가 가압 캠42d의 위치를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3캠트랙 33a에서는 I에 대응하는 위치 이후에서, 하강 캠42b가 제3버트33에 작용하여 루프 프레서11을 투스 마우스10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실선으로 나타내는 루프 프레서 기능으로서의 경로에서는, G부터 H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4가이드 캠44의 상승 캠44d가 제3버트33을 안내하고, I에 대응하는 위치 이후에서, 하강 캠42b의 정상부가 제2버트32를 안내하여서,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능을 하는 경로보다 투스 마우스측으로 루프 프레서11을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버트32가 가압 캠42d의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하여 도면의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가압 캠42d를 제2버트32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도면의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도5(b)에는, 편성용 캠 기구50로, 복합 바늘23에 대하여 니트 동작을 하게 할 때의 통과 궤적이 나타나 있다. 또, 선택 기구39a 및 선택 기구39b로 함께 해제 동작을 시키지 않을 때에는, 루프 프레서11은 투스 마우스10으로 진출하지 않고 정지위치(rest position)를 유지한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 기구36의 캠 면(cam surface)에는 기판으로부터의 높이의 차이가 형성되어 있다. 사선의 해칭이나 망점(網點)을 하여 나타내는 진하게 칠한 밀도가 높은 면은 블랭크(blank)로 나타내는 기판면부터의 높이가 높아진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평행한 횡선에 의한 해칭을 하여 나타내는 부분은 경사면을 나타낸다. 우측으로 하향하는 실선으로 이루어진 사선을 하고 있는 제3가이드 캠43이 가장 높고, 우측으로 하향하는 파선으로 이루어진 사선으로 나타내는 제4가이드 캠44의 높이는 제3가이드 캠43보다 낮고, 망점으로 나타내는 제1가이드 캠41의 높이는 제4가이드 캠44보다 낮다. 우측으로 상향하는 사선을 하고 있는 제2가이드 캠42의 하강 캠42a, 42b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높이는 제3가이드 캠43의 높이 다음으로 높고, 또한 제2가이드 캠42의 가압 캠42c, 42d를 포함하는 다른 캠의 높이보다 높다. 제2가이드 캠42의 가압 캠42c, 42d 등 다른 캠의 높이는 제4가이드 캠44의 높이와 동등하다. 또 제3가이드 캠43의 출몰 캠43d에 대해서는, 기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제3가이드 캠43의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기판면으로부터의 높이는 가장 높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출몰 캠43d를 돌출시키면, 일단 상승시킨 루프 프레서11을 중앙에서 되돌릴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능의 궤적에서는, D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2버트32가 경사면으로부터 하강 캠42a의 면 위에 올라 타면, 하강 캠42a는 높이가 가압 캠42c, 42d나 제4가이드 캠44 등과 동등하게 될 때까지 가라 앉는다. 제2버트32는, I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 캠42c, 42d 등 같은 높이의 면에서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I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버트32가 도달하면, 하강 캠42a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하강 캠42b의 캠 면에 맞닿는다. 하강 캠42b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높이는, 가압 캠42c 등보다 높기 때문에, 캠 면에 맞닿은 제2버트32는 캠 면을 따라 안내되어, 투스 마우스측으로부터 후퇴한다.
도7, 도8, 도9, 도10, 도11, 도12 및 도13은, 도4∼도6에 나타내는 위치, D, E, F, G, H, I, J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루프 프레서11이 투스 마우스10으로 진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파선은 엔드 스티치용 면사 포착 기능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실선은 루프 프레서로서 기능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투스 마우스10 부근의 구성은, 도2의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또한 편사나 스티치 루프도 생략하여 루프 프레서11의 선단부분이 투스 마우스10에 진출하고 있는 위치 관계를 중심으로 나타낸다. 또 도1(a)는 G의 위치에서 도10에대응하고, 도1(b)는 I의 위치에서 도12에 대응한다. 이하, 도2∼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능을 하는 경로가 선택되는 루프 프레서11을 편의상 엔드LP(end LP)라고 부르고, 루프 프레서로서 기능하는 경로가 선택되는 루프 프레서11을 편의상 니트LP(knit LP)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엔드LP 및 니트LP의 정지위치는, 도5(a)에서 각 버트가 도면의 가장 높은 쪽이 되는 위치다.
·A위치(편성 캠 내로 도달 전)
엔드LP…정지위치
니트LP…정지위치
바늘 …정지위치
이 위치에서는, 루프 프레서11의 기단부35의 피흡착면(被吸着面)은 보조 베드29의 뒷부분의 개방 부분에 위치한다. 제2버트32의 후방측의 본체부 상면부가 보조 베드29에 장착된 밴드38에 압접(壓接)하여 탄성 암34를 압축 변형시켜 탄성 암34가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그 탄성력에 의해 루프 프레서11의 기단부35가 상방으로 돌출 가압된다.
·B위치(선택 기구39a가 흡착)
엔드LP…정지위치
니트LP…정지위치
바늘 …정지위치
루프 프레서11의 제S버트33이, 제4가이드 캠44에 일체(一體)로 형성한 제3버트용 프레서인 가압 돌기부43a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 때 제1버트31은, 제1가이드 캠41 표면과 맞닿은 상태에 있고, 제1버트와 제1가이드 캠41이 접척부를 회전지점으로 하여 루프 프레서1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기단부35의 피흡착면을 선행측에 설치한 선택 기구39a의 흡착면에 맞닿게 해서 흡착된다.
·C위치(선행 선택 기구39a 통과 후)
엔드LP…조금 전진 (a little advanced)
니트LP…정지위치
바늘 …정지위치
B위치 이후에, 기단부35의 피흡착면이 선택 기구39a에 흡착된 상태에서 자극부(磁極部)까지 도달하고, 여기에서 흡착을 끊은 엔드LP의 기단부35는 탄성 암3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제3버트33이 보조 베드29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4가이드 캠44의 상승 캠44a의 상승 캠 면과 결합하여 투스 마우스10을 향하여 진출하기 시작한다. 엔드LP로서 선택된 루프 프레서11 이외의 루프 프레서11은, 기단부35가 선택 기구39a의 흡착면에 흡착 유지된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곧바로 진행한다. 엔드LP가 진출할 때에 밴드38과 엔드LP 상부 테두리와의 맞닿음이 끊어지고 또한 제1버트31은 제1가이드 캠41의 오목부로 진입하여, 캠 표면으로부터의 가압이 헤지도기 때문에, 엔드LP의 본체부는 탄성 암34의 탄성력에의하여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지만, 엔드LP는 홈30 내에서 기단부35의 윗면이 제4가이드 캠44의 표면과 맞닿아, 제1버트31과 제2버트32 사이의 본체부 윗면이 밴드37에 압력에 의하여 접촉한 상태가 되어 그 자세를 유지한다.
·D위치(레이징 캠53의 최초 경사면)
엔드LP…진출위치 (advanced position)
니트LP…정지위치
바늘 …조금 전진
엔드LP의 제S버트 33이 제4가이드 캠44의 상승 캠44a의 상승 캠 면 정상부까지 안내되어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의 선단은,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니들 베드27의 싱커28과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교차되어, 투스 마우스10의 틈을 막는다. 제2버트32는 제2가이드 캠42의 후위(後位)에 설치한 제2버트용 출몰 캠(레이징 캠)인 하강 캠42a의 위치에 있dju, 그 가압 작용을 받는다.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의 하측의 가압 부분16은, 복합 바늘23에 지지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부터 급사구20에 걸쳐 있는 편사를 가압한다. 엔드LP는 D위치의 자세를 유지한 채 H위치까지 진행한다.
·E위치(편침 최진출(最進出) 위치)
엔드LP…진출위치
니트LP…정지위치
바늘 …최진출위치(the most advanced, 레이징 캠53 정상부)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훅24a 및 텅25a가 최진출위치까지 상승한다. 스티치 루프는 텅25a의 어깨 부분에 지지되어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의 가압부분16에 의하여 걸쳐진 편사가 확실하게 가압된다.
·F위치(브리지 캠57에서 내려진 위치)
엔드LP…진출 위치
니트LP…정지위치
바늘 …급사(給絲)의 높이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훅24a와 텅25a가 하강하여, 훅24a는 급사의 높이가 된다. 텅5a의 선단은 벽부분15보다 상방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다.
·G 위치(중행(middle row)의 선택 기구39c 통과 후)
엔드LP…진출위치
니트LP…조금 전진
바늘 …급사의 높이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급사구20이 통과한다. 텅25a의 선단은 엔드LP의 벽부분15에 가려져 있다. 엔드LP 이외의 루프 프레서11은 기단부35의 피흡착면이 중행에 설치된 선택 기구39c에 흡착된 상태에서 자극부까지 도달하고, 여기에서 흡착을 끊은 니트LP의 제3버트33이 보조 베드29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제4가이드 캠44의 상승 캠44d의 캠 면과 결합하여 투스 마우스10을 향하여 진출하기 시작한다.
·H위치(엔드LP와 니트LP와의 루트 교차부)
엔드LP…진출위치
니트LP…중간정도까지 전진
바늘 …급사의 높이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트LP가 투스 마우스10으로 진출하여, 얀 가이드로서 작용하기 시작한다.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버트32는, 가압 캠42c를 측면으로부터 가압하여 이동시켜, 엔드LP보다 투스 마우스10 내에 진출하는 궤적을 잡을 수 있다.
·I위치
엔드LP…진출위치
니트LP…진출위치
바늘 …하강 중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늘본체24는 브리지 캠57의 하강 캠 면에서 하강하기 시작한다. 니트LP의 제2버트32는, 가압 캠42d를 후퇴시키고, 배턴터치한 하강 캠42b의 정상면(頂上面)과 결합하여 캠 정상부까지 안내된다. 편사는, 루프 프레서 부분14의 얀 가이드 부분19에서 훅24a의 전진 및 후퇴 궤적 내까지 안내된다. 엔드LP와 니트LP를 연동(連動)시킴으로써, 즉 엔드LP의 벽부분15에 의하여 급사구20으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직접 슬라이더25 위에 올라 타지 않도록 텅25a의 선단이 가려진 상태로 하고, 이 엔드LP의 벽부분15에 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더25의 상공에 있는 편사를 니트LP의 얀 가이드 부분19에 의하여 투스 마우스10 중앙 근방 훅24a의 전진 및 후퇴 궤적 내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편사를 바늘 훅으로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다. 편성된 스티치 루프은, 니트LP의 루프 가압 부분17, 18에서 가압되어 종래와 마찬가지로 루프 프레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J위치(스티치 캠56의 경사면의 위치)
엔드LP…하강하기 시작한다 (제2버트32가 상승 캠42b의 하강 캠 면에
결합)
니트LP…진출위치
바늘 …스티치 캠에 의하여 후퇴 중 (슬라이더25도 하강)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엔드LP는 후퇴하고,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에서 포착하고 있었던 편사를 푼다.
·K위치(스티치 캠의 평면 부분의 위치)
엔드LP…정지위치
니트LP…하강하기 시작한다.
바늘 …스티치 결정의 높이(제3버트33이 제3가이드 캠43의 하강 캠 면과 결합)
·L위치(스티치 캠 통과 후의 위치)
엔드LP…정지위치
니트LP…정지위치
바늘 …정지위치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예인 루프 프레서71의 선단부72의 형상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도1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73의 가압 부분76에 오목부77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편사82로서, 복수의 가는 실이 묶여져 있는 다중 편사(multiple yarn)를 사용하더라도 오목부77에서 집속(集束)시킬 수 있어, 얀 인탱글먼트(yarn entanglement) 문제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1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루프 프레서 부분14에서의 기능은, 도1(b)에 나타내는 루프 프레서11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루프 프레서11, 71의 선단부12, 72의 선단측에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 73이 형성되고, 기단측에 루프 프레서 부분14가 형성되어 있지만,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을 기단측에 할 수도 있다. 다만 루프 프레서 부분에 본 실시예의 루프 프레서 부분14와 같은 루프 가압 부분17, 18과 얀 가이드 부분19를 형성할 때에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13, 73을 선단측으로 하는 쪽이, 도7∼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엔드LP으로서의 기능을 한 후에 포착하고 있었던 스티치 루프으로부터 루프 프레서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루프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에서는, 루프 프레서의 선택 기구39a, 39c, 39b가 캐리지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선행, 중행 및 후행의 3곳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엔드 스티치의 얀 인탱글먼트 문제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없는 편성포 편성의 경우에는, 선행의 선택 기구에서 편성에 사용되는 편침에 대응하는 루프 프레서를 선택하여 편침이 투스 마우스10에 진출할 때에 바늘 훅에 결합된 구 루프(舊 loop)가 바늘본체24의 진출에 따라 딸려 올라가지 않도록 구 루프를 가압하여, 구 루프가 말끔히 처리되는 것을 보증한다. 이 경우에 출몰 캠43d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출시키는 상태로 세트하여 둔다. 예를 들면 이루어지는 편성동작이 코 이동(stitch transfer)의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의 엔드LP와 같은 루트를 코 이동을 하는 편침에 대응하는 루프 프레서가 동일한 루트를 따르도록 하면 좋다. 또한 이루어지는 편성동작이 스티치 형성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편성에 사용된 편침에 대응하는 루프 프레서 중에서, 홀수번째의 루프 프레서를 선행의 선택 기구를 사용하여 작용시켜 구 루프가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계속되는 중행의 선택 기구를 사용하여 남는 짝수번째의 루프 프레서를 선택하여 이 짝수번째의 루프 프레서에 의하여 편사를 훅으로 안내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루프 프레서의 선단부는, 횡편기의 투스 마우스에 진출하여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기능을 하는 루프 프레서 부분과, 편성포의 편성단보다 폭 방향의 외부에서 투스 마우스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편사를 포착하는 기능을 하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을, 전진 및 후퇴 방향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 있기 때문에 기능별로 투스 마우스에 작용하는 장소를 변경하여, 전용(專用) 형상으로 할 수 있어, 각각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을 루프 프레서 부분보다, 전진 및 후퇴 방향의 선단측에 형성하기 때문에 루프 프레서 부분을 엔드 스티치용의 얀 가이드 부분보다 크게 할 수 있어, 강성(剛性)을 높여 충분히 스티치 루프를 가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의 상방측을, 급사구로부터 공급되는 편사가 복합 바늘의 바늘 훅을 열려 있는 상태의 텅 선단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벽(壁)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성포의 폭 방향의 편성단의 스티치를 편성할 때에, 편사가 슬라이더의 텅에 올라 타서 훅 바깥으로 나가버리는 엔드 스티치의 얀 인탱글먼트(yarn entanglement) 문제를 방지하도록 편사를 훅 내로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 스티치용 포착 부분은, 복수의 가는 실을 묶어서 형성되어 있는 다중 편사를 집속시키는 오목부를 하방측에 가지기 때문에 다중 편사가 퍼져서 그 일부가 복합 바늘의 바늘 훅을 열려 있는 상태의 텅 선단에 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횡편기는, 투스 마우스에 진출하여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기능을 하는 루프 프레서 부분과, 편성포의 편성단보다 폭 방향의 외부에서 투스 마우스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편사를 포착하는 기능을 하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을, 전진 및 후퇴 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있는 루프 프레서를 구비한다. 편성포의 편성 중에, 급사구로부터 복합 바늘의 훅에 편사가 공급된 후에 루프 프레서 부분이 상기 투스 마우스에 위치하도록 루프 프레서 기구에서 루프 프레서의 선단부를 투스 마우스로 진출시킬 수 있다. 편성단을 편성하여 급사구의 주행 방향을 반전(反轉)시켜 다음 코스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는, 최초로 편성에 사용되는 복합 바늘의 전방측에 루프 프레서의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부분이 그 투스 마우스에 위치하도록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구로 루프 프레서의 선단부를 투스 마우스에 진출시킬 수 있다. 루프 프레서는, 기능별로 투스 마우스에 작용하는 장소를 변경하여, 전용 형상으로 할 수 있어, 각각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루프 프레서가 전진 및 후퇴하는 보조 베드는, 전진 및 후퇴 방향의 기단측의 아래쪽으로 개방되고, 개방 부분의 아래쪽으로 선택 기구가 배치된다. 선택 기구는 루프 프레서의 기단측을 흡인하고, 선택적으로 흡인을 해제한다. 루프 프레서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버트를 가진다. 보조 베드의 상방에는, 캠 기구가 배치되고, 캠 기구는 버트에 결합하여, 버트에 대하여 전진 및 후퇴 방향으로의 변위를 위한 구동을 하는 캠 홈이 형성된다. 캠 기구는, 루프 프레서 기구 또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구로서의 기능을 선택 기구에서 루프 프레서의 기단부에 대한 흡인을 해제할 것인가 아닌가에 의하여, 버트와 결합하는 캠 홈을 선택하여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의 변환을 단일 캠 기구에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캠 기구의 캠 홈을 중심선에 대하여 대략 선대칭으로 형성하고, 니들 베드의 한 쪽으로의 편성시와 다른 쪽으로의 편성시에서 루프 프레서의 선단부가 동등한 궤적을 그리고, 캠 기구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선택 기구에서, 왕복 방향에서의 캠 홈의 변환을 겸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에 적어도 한 쌍의 니들 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투스 마우스에 진출하여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과 편성포의 편성단보다 폭 방향의 외부에서 치구부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편사를 포착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을, 전진 및 후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루프 프레서를 사용하여 복합 바늘에 의한 편성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루프 프레서는, 복합 바늘의 훅에 편사가 공급된 후에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루프 프레서 기능을 하방측에서 가지는 부분을 투스 마우스에 진출시키고 또한 편성포의 편단보다 폭 방향의 외부에서 투스 마우스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편사를포착하는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능을 하는 부분을 투스 마우스에 진출시킴으로써 기능을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별로 투스 마우스에 작용하는 장소를 변경하여 전용 형상으로 할 수 있어, 각각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능을 하는 부분의 상방측에서 급사구로부터 공급되는 편사를 복합 바늘의 훅을 열려 있는 상태의 텅 선단에 접근하지 않도록 벽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성포의 폭 방향의 편성단의 스티치를 편성할 때에 편사가 텅의 선단에 걸려서 훅 바깥으로 나가버리는 엔드 스티치의 얀 인탱글먼트의 문제를 방지하여, 편사를 훅 내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 스티치용 편사 포착 기능을 하는 부분은, 하방측에 복수의 가는 실을 묶어서 형성되어 있는 다중 편사를 집속시키는 오목부를 가지기 때문에, 다중 편사를 사용하여 편성을 하는 때이더라도 편사의 일부가 복합 바늘의 훅을 열려 있는 상태의 텅 선단에 접촉하여, 훅 바깥으로 나가버리는 엔드 스티치의 얀 인탱글먼트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후에 적어도 한 쌍의 니들 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서, 전후의 니들 베드가 선단측(先端側)이 상방을 향하도록 산(山) 모양으로 대향(對向)하여 투스 마우스(tooth mouse)가 형성되고, 각 니들 베드에는 편침(編針)으로서 복합 바늘(compound needle)이 설치되고, 투스 마우스 상방을 니들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는 급사구(給絲口)로부터 공급되는 편사(編絲)가 스티치 루프(stitch loop)에 편성되어 하방으로 늘어지는 편성포가 형성되는 과정에 투스 마우스에 대하여 전후 적어도 한 쪽의 니들 베드 상에 지지되는 보조 베드(auxiliary bed)로부터 선단부를 전진 및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편성된 스티치 루프를 가압(加壓)하는 기능을 가지는 루프 프레서(loop presser)에 있어서,
    그 선단부는,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기능을 하방측에 가지는 루프 프레서 부분과,
    편성포의 폭 방향에 있어서 편성단(編成端)의 외부에서 투스 마우스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편사를 포착(捕捉)하는 기능을 하는 엔드 스티치(end stitch)용의 편사 포착 부분을,
    그 전진 및 후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프레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사 포착 부분은, 상기 루프 프레서 부분보다 상기 전진 및 후퇴 방향의 선단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프레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사 포착 부분은, 상방측에서 상기 급사구로부터 공급되는 편사가 상기 복합 바늘의 훅(hook)을 열려 있는 상태의 텅(tongue) 선단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벽(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프레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편사 포착 부분은, 하방측에 복수의 가는 실을 묶어서 형성되어 있는 다중 편사(multiple yarn)를 집속(集束)시키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프레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프 프레서와,
    편성포의 편성 중에 상기 루프 프레서 부분이 상기 투스 마우스에 위치하도록 상기 선단부를 미리 정하여진 궤적(軌跡)을 따라 전진 및 후퇴시키는 루프 프레서 기구와,
    편성단을 편성하여 급사구의 주행 방향을 반전(反轉)시켜 다음 코스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 최초로 편성에 사용되는 복합 바늘(compound needle)의 전방측에서 루프 프레서의 상기 편사 포착 부분이 투스 마우스에 위치하도록 선단부분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엔드 스티치용의 편사 포착 기구(編絲 捕捉 機構)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프레서가 전진 및 후퇴하는 상기 보조 베드는, 전진 및 후퇴 방향의 기단측(基端側)이 하방으로 개방되고,
    루프 프레서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버트(butt)를 가지고,
    보조 베드의 개방 부분의 하방에 루프 프레서의 기단부와 대향하게 배치되어 기단부를 흡인하고 선택적으로 흡인을 해제가능하게 하는 선택 기구와,
    그 보조 베드의 상방에서 버트에 결합하고, 버트에 대하여 전진 및 후퇴 방향으로의 변위를 위한 구동을 하는 캠 홈(cam 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루프 프레서 기구 또는 상기 편사 포착 기구로서의 기능을 선택 가능하게 구비하는 캠 기구를 더 포함하고,
    그 캠 기구는 루프 프레서 기구 또는 편사 포착 기구로서의 기능을, 선택 기구에서 루프 프레서의 기단부에 대한 흡인을 해제할 것인가 아닌가에 의하여, 버트와 결합하는 캠 홈을 선택하여 변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의 캠 홈은, 니들 베드의 길이 방향의 한 쪽으로의 편성시와 다른 쪽으로의 편성시에 상기 루프 프레서의 선단부가 동등한 궤적을 그리도록 루프 프레서의 전진 및 후퇴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대칭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선택 기구는, 캠 기구의 중심선에 대향하는는 위치와, 중심선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니들 베드의 한 쪽과 다른 쪽에, 각각 동일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8. 전후에 적어도 한 쌍의 니들 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 전후의 니들 베드가 선단측이 상방 방향이 되도록 산 모양으로 대향하여 투스 마우스가 형성되고, 각 니들 베드에는 편침으로서 복합 바늘이 설치되고, 투스 마우스 상방을 니들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는 급사구로부터 공급되는편사가 스티치 루프에 편성되어서 하방으로 늘어지는 편성포가 형성되는 과정에, 투스 마우스에 대하여 전후 적어도 한 쪽의 니들 베드 상에 지지되는 보조 베드로부터 선단부를 전진 및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편성된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기능을 가지는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루프 프레서의 선단부에,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루프 프레서 기능을 하방측에서 가지는 부분과,
    편성포의 폭 방향에 있어서 편성단의 외부에서 , 투스 마우스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편사를 포착하는 엔드 스티치용의 편사 포착 기능을 하는 부분을,
    전진 및 후퇴 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형성하여 두고,
    투스 마우스에 루프 프레서의 선단부를 진출시키는 위치를 변환하여, 루프 프레서 기능 또는 편사 포착 기능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사 포착 기능을 하는 부분의 상방측을, 상기 급사구로부터 공급되는 편사가 상기 복합 바늘의 훅을 열려 있는 상태의 텅 선단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벽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사 포착 기능을 하는 부분은 하방측에 오목부를 가지고,
    그 오목부에서 복수의 가는 실을 묶어서 형성되어 있는 다중 편사(multiple yarn)를 집속시키면서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방법.
KR1020047002700A 2001-08-24 2002-08-22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 KR100547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5148 2001-08-24
JPJP-P-2001-00255148 2001-08-24
PCT/JP2002/008454 WO2003018892A1 (fr) 2001-08-24 2002-08-22 Presseur de maille, metier a tricoter rectiligne comportant un presseur de maille et procede de tricotage d'etoffe utilisant un presseur de ma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733A true KR20040036733A (ko) 2004-04-30
KR100547505B1 KR100547505B1 (ko) 2006-01-31

Family

ID=1908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700A KR100547505B1 (ko) 2001-08-24 2002-08-22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83352B2 (ko)
EP (1) EP1437433B1 (ko)
JP (1) JP4102430B2 (ko)
KR (1) KR100547505B1 (ko)
CN (1) CN100462493C (ko)
WO (1) WO2003018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2690A1 (en) * 1997-09-10 2005-02-10 Rojkjaer Lisa Payne Factor VII polypeptides for preventing formation of inhibitors in subjects with haemophilia
JP5757830B2 (ja) * 2011-09-13 2015-08-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横編機のスライダー制御方法
CN102534988B (zh) * 2011-09-20 2014-08-06 常熟市国光机械有限公司 电脑针织横机的机头三角系统
FR2986242B1 (fr) * 2012-01-26 2014-02-14 Steiger Participations Sa Procede de tricotage pour machine a tricoter rectiligne et machine a tricoter rectiligne
JP6223194B2 (ja) 2014-01-10 2017-11-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US9834871B2 (en) * 2015-03-11 2017-12-0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Method for knitting interchanged plating on a technical face of a fabric for flat bed knitting machines
CN106702585B (zh) * 2016-12-27 2017-11-07 冯加林 双针板引塔夏横编织机上用于嵌花编织的活动压线板机构
JP6807451B2 (ja) 2017-04-07 2021-01-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での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
CN107447354B (zh) * 2017-09-21 2022-09-30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压纱装置
CN108385262A (zh) * 2018-05-14 2018-08-10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用于横机的压纱片及横机
JP7256632B2 (ja) * 2018-11-14 2023-04-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固定シンカーおよび横編機
CN111501187B (zh) * 2019-01-30 2021-10-29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一种随嘴口大小变化位置的横编机压布装置
KR102102336B1 (ko) * 2019-03-06 2020-04-21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간극 크기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횡편기 맹글링 장치
CN110453362A (zh) * 2019-08-22 2019-11-15 桐乡市强隆机械有限公司 可自动复位的移圈针及具有该移圈针的移圈机构
WO2022191204A1 (ja) 2021-03-10 2022-09-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19956A (en) * 1972-05-12 1975-12-31 Courtaulds Ltd Knitting machines
CH573001A5 (ko) * 1974-03-27 1976-02-27 Dubied & Cie Sa E
US4027504A (en) * 1976-07-12 1977-06-07 Robert Dietschy Stitch presser for knitting machine
US4083203A (en) * 1976-05-31 1978-04-11 Fabrique Nationale Herstal S.A. Knitting process utilizing multi-level presser foot
US4501132A (en) * 1977-11-03 1985-02-26 Courtaulds Plc Presser foot mechanism in a knitting machine
DE3025497A1 (de) * 1979-07-13 1981-01-29 Courtaulds Ltd Drueckerfussvorrichtung fuer eine flachstrickmaschine
JPS58185674A (ja) * 1982-04-24 1983-10-29 Denki Kagaku Kogyo Kk 接着方法
JPH03234847A (ja) * 1990-02-09 1991-10-18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可動シンカー
JPH0547654A (ja) 1991-08-09 1993-02-26 Hitachi Ltd 半導体基板の表面処理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行う表面処理装置
JP3013272B2 (ja) * 1991-11-20 2000-02-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の揺動制御装置
JP3085657B2 (ja) * 1997-08-08 2000-09-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JP3044373B2 (ja) * 1997-09-12 2000-05-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ループプレッサーを備えた横編機およびループプレッサーを用いた編地編成方法
JP3347079B2 (ja) * 1998-12-16 2002-11-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端糸挿入装置
TW522186B (en) * 1999-11-17 2003-03-01 Shima Seiki Mfg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18892A1 (ja) 2004-12-16
CN1630750A (zh) 2005-06-22
EP1437433A1 (en) 2004-07-14
US6883352B2 (en) 2005-04-26
EP1437433A4 (en) 2006-09-06
JP4102430B2 (ja) 2008-06-18
WO2003018892A1 (fr) 2003-03-06
KR100547505B1 (ko) 2006-01-31
CN100462493C (zh) 2009-02-18
US20040221621A1 (en) 2004-11-11
EP1437433B1 (en)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505B1 (ko)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
KR101209644B1 (ko) 횡편기의 선침장치
JP3085657B2 (ja) 横編機
RU2013149064A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и тип шва
KR102226578B1 (ko) 횡편기
JPH11323704A (ja) 横編機における編目ループの預け置き装置
US6018966A (en) Stitch form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therefor
US6510712B2 (en) Sliding-tongue compound needle for a knitting machine
EP0567282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KR102291231B1 (ko)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KR100469828B1 (ko) 횡편기의실안내장치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JPH0466941B2 (ko)
CN111793889B (zh) 横机
KR100768347B1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JP5757830B2 (ja) 複合針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横編機のスライダー制御方法
KR101356443B1 (ko) 트랜스퍼 리시빙 니들용 캠 장치
JPH0874146A (ja) コンパウンドニードルを用いた横編機における経糸用カムロック
CN100372981C (zh) 移圈底脚片及具有它的平机和利用移圈底脚片的移圈方法
CN1542187A (zh) 有至少两个针床的横机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WO2024075449A1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可動シンカー
JP3000461B2 (ja) 目移し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2005048338A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CN211057361U (zh) 一种双针筒织机成圈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