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828B1 - 횡편기의실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실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828B1
KR100469828B1 KR10-1998-0700147A KR19980700147A KR100469828B1 KR 100469828 B1 KR100469828 B1 KR 100469828B1 KR 19980700147 A KR19980700147 A KR 19980700147A KR 100469828 B1 KR100469828 B1 KR 100469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pressing member
needle
thread press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846A (ko
Inventor
마사히로 시마
미노루 소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1999002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횡편기에 있어서 바늘에 공급되는 실을 바늘의 후크 또는 배면의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실을 안내할 때에, 실안내장치의 실안내부재의 수평방향의 진퇴이동을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실안내부재 선단의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가 실과 접하여 실을 눌러내릴 때에, 실을 슬라이딩해서 큰 저항이 실에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 실을 안내할 수 있는 실안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치구부를 중심으로 헤드를 대향해서 설치한 적어도 한쌍의 니들베드에 설치된 니들과 싱커에 병렬하여, 선단에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갖는 실누름부재를 치구부에 향해서 슬라이딩자유자재로 지지하여, 실누름부재의 슬라이딩진출도중 혹은 진출후, 상기한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하향이동하는 수단을 설치하였다.

Description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본 발명은, 횡편기에서 바늘에 공급되는 실을 바늘의 전면 또는 배면의 소정위치로 안내하는 실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복수 개 줄지어 설치된 바늘과 싱커의 사이에, 선단부에 실을 눌러내리는 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갖는 실누름부재를 진퇴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실누름부재의 진출 시에 급사구로부터 바늘에 끼워진 실 또는 이미 편성되어 바늘에 끼워져 있는 실에 접하여 상기 실을 바늘 진출 시에 후크 안으로 또는 그 배면에 위치시킬 수 있는 실안내장치를 개발하였다(일본국 특개평8-l3293호).
그러나, 상기 명세서에 개시된 실누름부재와 같이, 그 자체를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고, 선단을 경사지게 설치한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편사에 접촉시켜 편사를 소정 위치까지 눌러내리도록 한 경우, 양자 간에 슬라이딩저항이 발생하여 실에 불필요한 장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편사를 소정 위치까지 눌러내리기 위해서는 실누름부재의 스트로크를 크게 하거나, 또는 경사각을 크게 해서 편사의눌러내림 양을 크게 해야 한다. 편기를 소형화하기 위해 후자의 구성을 채용하면,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의 경사각도를 크게 해야 하므로 편사를 눌러 내릴 때 편사에 큰 저항이 걸리게 되어 좌우의 실누름부재의 작용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접한 편사가 긴장하면서 지그재그모양으로 꺽여 눌러내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목표로 하는 눌러내림 위치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목표로 하는 위치까지 눌러내려지지 않는 사태가 생긴다. 이것은 특히, 잘 미끄러지는 실이나 고속 편성 시에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실안내부재의 수평방향 진퇴이동을 크게 하지 않고, 실안내부재가 편사를 눌러내릴 때 편사에 큰 슬라이딩저항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해서 편사를 바늘의 후크 혹은 바늘의 배면으로 안내하는 실안내부재의 수평방향의 진퇴이동을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실안내부재선단의 작용가장자리가 편사와 접하여 편사를 눌러내릴 때 편사가 슬라이딩이동하여 큰 저항이 편사에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 실을 안내할 수 있는 실안내장치클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후부베드의 종단측면도, 도 2의 A는 상부니들플레이트의 측면도, B는 하부니들플레이트의 측면도, C, D는 스페이서의 측면도, E는 싱커의 측면도, F는 실누름부재의 측면도, 도 3은 후부베드의 녹오버 가장자리부분을 확대한 종단측면도, 도 4는 후부베드의 녹오버 가장자리부분을 바늘본체측면에서 절단한 상태의 종단측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 도 6은 니들이 휴지 위치에 있고, 실누름부재가 후퇴하고 있는 상태의 녹오버 가장자리부 종단측면도, 도 7은 니들이 레이징캠(raising cam)의 어깨높이에 있고, 실누름부재가 안내돌출자(guide projector)의 위치까지 진출한 상태의 녹오버 가장자리부 종단측면도, 도 8은 니들이 레이징캠의 어깨높이에 있고, 실누름부재가 안내돌출자와 접하고, 작용가장자리가 하향요동을 개시한 상태의 녹오버 가장자리부 종단측면도, 도 9는 실누름부재가 가장 많이 진출하고, 작용가장자리를 가장 많이 하강시켜, 니들의 후크로 실을 잡은 상태의 녹오버 가장자리부 종단측면도, 도 10은 실누름부재가 가장 많이 진출하고, 작용가장자리를 가장 많이 하강시키고, 니들은 다시 하강한 상태의 녹오버 가장자리부 종단측면도, 도 11은 니들제어캠, 실누름부재제어캠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배치도, 도 12는 치구중심선 X-X로부터 우측의 상하프론트베드(UF,DF)를 생략한 상하 백베드(UB,DB)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헤드의 확대도, 도 14는 동일한 헤드의 다른 부위의 확대단면도, 도 15의 A는 하부니들플레이트의 측면도, B는 상부니들플레이트의 측면도, C는 실누름부재의 측면도, D는 싱커의 측면도, E는 상부스페이서의 측면도, 도 16은 니들제어캠, 실누름부재제어캠의 위치관계 및 니들, 실누름부재의 후크에 실을 안내하는 동작상황을 나타내는 배치도, 도 17A 내지 E는 니들후크에 실을 안내하는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녹오버가장자리부(knock over edge portion)를 중심으로 헤드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 이상의 니들베드에 설치된 니들과 싱커에 병렬하여, 선단에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갖는 실누름부재가 녹오버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베드에 지지되고, 실누름부재의 슬라이딩진출 시에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하향이동시키는 실누름부재 편향수단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실누름부재의 작용가장자리의 실눌러내림 진퇴이동이 수평방향 이동과 상하방향 이동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실 위를 통과하여 이동하면서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하향이동시키거나 또는 수평이동 후 가장 많이 진출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하강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실 누름부재의 진퇴이동 스트로크를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편사에 접촉시켜 눌러내릴 때,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가 접한 실에 대해서 위에서 아래쪽으로 실을 눌러내리도록 작용하므로 편사에 미치는 부하를 종래의 실가이드에 비해 경감시키고, 또한 실을 놓치지 않고 확실하게 포착해서 눌러 내릴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산 형태(mountain shape)로 헤드가 대향하도록 설치한 전후의 하부베드 위에, 동일하게 산 형태로 헤드가 대향하도록 설치한 전후의 상부베드를 겹쳐서 설치한 4장의 베드횡편기의 상부베드(UF,UB)에 가동 싱커(100)와 실누름부재(110)를 설치한 예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녹오버 가장자리 중심선 X-X로부터 우측의 상하프론트베드(UF,DF)를 삭제한 상하의 백베드(UB,DB)의 단면을 나타낸다.
하부백베드(DB)는, 하부니들베드기판(1)에 병렬해서 설치한 복수의 니들플레이트홈(2) 내에 하부니들플레이트(3)를 삽입해서 세우고, 인접하는 니들플레이트(3,3) 사이를 바늘홈(4)으로 하여 하부니들(5)을 삽입하고 있다. 하부니들플레이트(3)는, 하부니들 안내플레이트부(6)와, 상기 하부니들 안내 플레이트부(6)의 헤드부분에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확대부분으로 이루어진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로 이루어진다. 하부니들베드기판(1), 하부니들플레이트(3)는, 각각에 형성한 노치(8,9)내에 와이어(10)를 통과시키고, 니들베드기판(1)과 하부니들플레이트(3)의 꼬리부분을 코킹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에는, 상부니들베드기판(1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2)을 설치하고, 지지면(12) 단부의 쐐기형상오목부(13)에 상부니들베드기판(11)의 단부계합부(14)를 결합시켜 지지면(12) 상에 상부니들베드기판(11)을 놓는다. 그리고, 상부니들베드기판(11) 하면의 홈부(15), 하부니들플레이트(3)의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 사이에 걸친 편기의 기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띠형상의 걸림부재(16)와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에 설치한 삽입통과구멍(17) 안으로 삽입통과시킨 고정빔(18)을 나사(19)로 나사식 결합하는 것에 의해, 하부니들플레이트(3) 상에 상부니들베드기판(11)을 얹어서 고정한다.
상부니들베드기판(11)도 하부니들베드기판(1)과 같이 복수의 니들플레이트홈(20)을 갖고, 상기 홈(20)에 상부니들플레이트(21)를 끼워 맞춰 인접하는 상부니들플레이트(21,21) 사이에 바늘홈(22)을 형성하고, 상기 바늘홈(22)에 상부니들(25)을 삽입하고 있다. 상부니들베드기판(11)과 상부니들플레이트(21)는, 각각 형성된 노치(26,27) 내에 와이어(28)를 통과시키고, 니들베드기판(11)과 상부니들플레이트(21)의 꼬리부분을 코킹함으로써 양자를 일체로 하고 있다.
하부니들플레이트(3)의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의 꼭대기부에는, 바늘홈(22)에 슬라이딩해서 끼워맞춘 상부니들(25)의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가 있는 싱커수용단차부(30) 및 그것보다 단차가 적은 실누름부재 수용단차부(31)를 설치한다. 싱커수용단차부(30)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U자형의 싱커(100)를 지지하기 위한 단차부(32)를 설치한다. 또한 상부니들(25)과 하부니들(5)의 이송용 날개(33,34)를 수납하기 위한 홈부(35,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싱커수용단차부(30)의 선두단부의 상하에는 후술하는 실누름부재(110)와 접하고, 그 슬라이딩방향을 규제하는 안내돌출자(37,38)를, 또한 단부(30)의 중앙 하부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싱커스프링(108)의 지지점이 되는 돌출자(39)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안내돌출자(37)는, 싱커(100)의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37L) 부분과, 싱커(100)에 실누름부재(110)를 적층한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37H)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돌출자(37L)가 싱커(100)를, 안내돌출자(37H)가 실누름부재(110)를 각각 안내한다.
상기 실누름부재 수용단차부(31)는 안내돌출자(37L)와 같은 높이로 하고, 싱커수용단부(30)에 수용된 싱커(100)의 측면과 실누름부재 수용단차부(31)는 동일한 가상면상에 있으며, 싱커(100)와 실누름부재 수용단부(31)에 적층하는 상태로 실누름부재(110)를 둔다. (40)은 와이어삽입통과구멍, (41)은 금속대 끼워맞춤홈이다.
싱커(100)는 판상체로 이루어지고, 선단에 싱커루프유지용 후크부(101), 상면에 제어용 버트(102)를 갖는 측면이 고리형상의 싱커본체(103)로부터 아래쪽으로 J자 형상의 요동지지점이 되는 수직암(105)이 연장되고, 그 기부부근에 싱커 스프링(108)을 삽입고정하는 슬릿(107)을 설치하고 있다. 싱커스프링(108)은, U자형상으로 굴곡한 선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싱커(100)와 같은 두께를 가지며, 그 일단이 상기 슬릿(107)으로 지지되고, 타단부(109)를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의 싱커수용단부(30)에 설치한 돌출자(39)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실누름부재(110)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조각으로 본체생크부(111)의 선단에 하향의 완만한 오목곡선을 그리는 작용가장자리(112)를 구성하는 얇은 선두부(113)를, 상부에는 본체생크부(11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고 위쪽으로 탄성을 가지며 일체화된 슬라이딩저항 부여부(114)를, 슬라이딩저항 부여부(114)와 얇은 선두부(113) 사이의 본체생크부의 상하 양가장자리에는 하향캠가장자리(115,115)를, 중앙하부에는 절결부(116)를, 꼬리부 단부에는 실누름부재(110)의 녹오버 가장자리부(90)방향으로의 진퇴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을 각각 설치한다.
이하 서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진퇴이동제어수단(117)으로 버트를 이용한 양태로 설명한다. 상기 실누름부재(110)의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실누름부재(110)를 실누름부재수용단차부(31) 내에서 녹오버 가장자리부(90) 방향으로 진출 또는 후퇴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본체생크부(111)의 상부에 돌출시킨 버트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니들베드꼬리부 등의 부위에 설치되어 본체생크부(110)를 진퇴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싱커(100)는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의 싱커수용단차부(30)에 본체(103)를 위치시키고, 수직암(105)을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의 싱커지지용 단차부(31)에 끼워 맞춰 후크부(101)를 단부(30)의 안내돌출자(37L,38) 사이에서 녹오버 가장자리부(90)를 향해서 돌출시킨다. 싱커스프링(108)의 단부(109)를 단부(30)의 돌출자(39)에 걸리게 함으로써 싱커(100)는 후크부(101)를 항상 녹오버 가장자리부(90)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가압된다.
실누름부재(110)는 싱커(100)와 밀접하고 또한 그 꼬리부가 실누름부재 수용단차부(31)에 접한다. 본체생크부(111)의 상하는 2개의 안내돌출자(37H,38)에 의해 끼워지고, 측면이 상부스페이서(43)로 덮여진 상태로 금소대 끼워맞춤홈(41)에 끼워 맞춘 금속대(42)에 슬라이딩저항 부여부재(114)를 접촉시켜 탈락을 저지함과 아울러 슬라이딩저항을 부여해서 혼들림을 저지한다. 또한, 실누름부재(110)의 슬라이딩 진출 시에 상기 안내돌출자(37H,38)와 하향캠가장자리부(115,115)가 접하여 실누름부재(110)의 선단부(113)를 하향이동시킨다. 상기 실누름부재(110)의 하향캠가장자리부(115)와 안내돌출자(37H,38)에 의해 실누름부재 편향수단(deflection means)(140)을 구성하는 상기 실시예 외에, 실누름부재(110)의 본체생크부(1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슬라이딩저항 부여부재(114)와 같이,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탄성부여부재를 설치하고, 선두부(113)가 아래쪽 또는 윗쪽으로 선회하도록 가압하고, 한편, 본체생크부(111)의 진출슬라이딩 궤적 내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지만, 본체생크부(111)의 상부사장자리 또는 하부가장자리에 접촉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하여 실누름부재(110)가 슬라이딩 진출했을 때 본체생크부(111)의 선두부(113)를 하향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부스페이서(43)의 하부가장자리부(44)는 상부니들(25)의 가이드가장자리부로 되어 있고, 상부니들(25)은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페이서(43)와 삼각형의 하부스페이서(45)의 경사가장자리(46)에 끼워져 있다. 하부스페이서(45)는 와이어삽입통과구멍(49)에 삽입통과된 와이어(47)에 의해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스페이서(45)의 하부가장자리(48)는 하부니들(5)의 안내가장자리로 되어 있다. 싱커(100)의 제어버트(102), 실누름부재(110)의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각각 상부백니들베드(UB) 위를 주행하는 캐리지(50UB)에 설치되어 있는 싱커제어캠(51), 실누름부재 제어캠(52)에 의해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어용 버트(102)가 캐리지(50UB)에 설치되어 있는 싱커제어캠(51)과 결합하여 스프링(108)의 가압에 저항하여 이동될 때, 선단의 후크부(101)는 위로 들려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그 작용과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53,58)은 각각 캐리지(50UB)에 설치된 니들제어로크와 슬라이더제어캠이다.
도 11에, 상부백캐리지(50UB)에 설치한 실누름부재 제어캠(52), 하부백캐리지(50DB)에 설치된 니들제어로크(53)의 배치를 나타낸다. 니들제어로크(53)는 레이징캠(54), 그 양측에 설치한 니팅캠(knitting cam)(55,56), 레이징캠(54)의 꼭대기부에 설치한 가이드캠(57)으로 이루어진다. 레이징캠(54)은 어깨부에 단차부를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실을 바늘에 안정되게 공급하기 위한 정류위치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이 어깨부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이 부분이 없는 삼각형의 레이징캠(54)으로 구성함으로써 캐리지를 더욱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누름부재제어캠(52)과 니들제어로크(53)는 각각의 중심선과 동일하게 위상(位相)을 유지하면서 왕복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안내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하부백베드(DB)의 하부니들(5)이 상하이동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상부백베드(UB)의 실누름부재(110)를 작동하는 예를 통해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로 안내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로 안내하는 경우는, 도 1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캐리지(50UB,DB)의 진행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는 실누름부재 제어캠(52)의 캠부(52a)를 사용한다. 캐리지(50)의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누름부재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실누름부재제어캠(52)에 의해 잡히지만 상기 제어수단(117)은 가장 많이 후퇴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니들버트(23)는 니들제어캠(53)에 접촉하지 않고, 편지(編地) 형성을 위한 상승을 개시하지 않는다(도 6, 도 11의 ①). 캐리지(50UB,DB)가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니들버트(23)가 레이징캠(54)의 꼭대기부를 통과하고, 가이드캠(57)에 의해 후퇴하고, 하부니들(5)의 후크(29)도 최상위치에서 내려갔을 때 실누름부재(110)의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실누름부재제어캠(52)의 캠부(52a)에 의해 상승을 개시한다(도 7, 도 11의 ②). 이것에 의해 실누름부재(110)는, 녹오버 가장자리부(90)의 실에 대하여 작용가장자리(112)를 양측에서 진출시킨다. 이 때 실누름부재(110)는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 꼭대기부의 안내돌출자(37H, 38)에, 선두부(113)에 가까운 상하의 수평가장자리부(118,118)가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니들(5)의 후크(29)를 향해서 접근한다.
캐리지(50)가 오른쪽으로 계속 이동함으로써 실누름부재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캠부(52a)를 꼭대기부까지 상승시켜 실누름부재(110)를 진출시킨다. 그러나 그 최고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실누름부재(110)의 수평가장자리부(118,118)와 안내돌출자(37H,38)와의 접촉은 종료하고, 상기 돌출자(37H,38)는 실누름부재(110)의 하향캠가장자리(115,115)와 접하게 된다(도 8, 도 11의 ③). 이 때 니들후크(29)는 상기 ②위치와 같은 높이의 위치에 있고, 실누름부재(110)의 작용가장자리(112)만이 후크에 약간 접근해서 급사부재(60)로부터의 실(Y)에 접한다.
또 캐리지(50UB,DB)의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실누름부재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캠부(52a)의 최고위치에 도달하여 실누름부재(110)를 가장 많이 진출시키지만, 이 때 실누름부재(110)의 상하의 하향캠가장자리(115,115)가 안내돌출자(37H,38)와 접하게 되고, 선두부(113)의 움직임을 아래쪽으로 전향한다.
동시에 니들제어버트(23)는 니팅캠(56)으로 끌어내려져 후크(29)도 하향을 개시하지만, 상기 실누름부재 선두부(113)의 하향 움직임에 의해서 작용가장자리(112)는 실(Y)을 포착해서 스크래치한다. 작용가장자리(112)는 중앙이 함몰된 오목형 커브로 되어 있으므로 작용가장자리(112)에 양호하게 실(Y)을 포착해서 실(Y)을 후크(29)에 안내하고 있다(도 9, 도 11의 ④).
캐리지(50UB,DB)가 계속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실누름부재 진퇴이동제어수단(117)은, 캠부(52a)의 꼭대기부에 위치하여 가장 많이 진출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니들버트(23)는 니팅캠(56)으로 끌어내려지고 하부니들(5)의 후크(29)도 실(Y)을 잡아서 끌어내린다(도 10, 도 11의 ⑤).
또 캐리지(50UB,DB)가 더 진출하면, 니들버트(23)가 가장 많이 후퇴하고 수평이동을 개시하여, 그 타이밍에 맞춰서 실누름부재 진퇴이동제어수단(117)도 캠 부(52a)를 따라 하향이동하여 가장 많이 후퇴하고, 하나의 급사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예에서는, 하부백 니들베드(DB)의 바늘에 대한 급사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부 니들베드(UB)의 바늘에 대한 급사동작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에서 캐리지(50UB,DB)가 반전했을 때는, 후행측이 되는 캠부(52b)를 이용해서 상기 조작을 행하게 된다. 또, 캐리지가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모두, 실을 니들후크에 급사할 때는 후행측의 캠부를 사용하게 된다. 양 캠부가 고정된 경우에는 선행측의 캠부는 단지 실누름부재를 진출, 후퇴시키는 불필요한 동작을 행하게 할 뿐이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 캠부는 비작동 위치로 후퇴시킬 수 있는 이동가능한 캠으로 구성해도 좋다.
실을 바늘의 배면측으로 안내하는 경우는, 캐리지의 진행방향의 선행측에 위치하는 실누름부재제어캠의 캠부를 사용하여, 상기 캠부에 의해 후크에 급사되는 실에 실누름부재의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작용시키고, 상기 실을 니들배면위치까지 밀어 움직이게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는 실을 니들의 후크에 안내하는 경우보다도 진출량을 크게 해야만 니들의 배면에까지 실을 밀어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누름부재 제어캠의 캠부에서 산의 높이를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캠부의 높이를 너무 높게 하면, 니들 후크에 실을 안내했을 때 인접하는 니들 사이에 필요 이상으로 실을 밀어넣게 되어, 안내된 실이 직선상으로 되지 않고 지그재그모양으로 후크와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에서 굴절된다. 그 결과 실에 불필요한 장력을 가하게 된다. 그래서 고정캠부에서는 양자의 중간 위치로 해서 어느 경우에도 문제가 생기지 않게 하고 있지만, 캠부의 꼭대기부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녹오버 가장자리부 중심선 X-X를 대칭의 중심선으로해서 산형태로 헤드가 대향하도록 설치한 전후의 하부베드(DF)(도면에 나타내지 않음),(DB)와 하부베드(DF, DB) 위에 동일하게 산형태로 헤드가 대향하도록 설치한 전후의 상부베드(UF)(도면에 나타내지 않음),(UB)를 겹쳐서 형성한 4장의 베드횡편기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녹 오버 엣지 중심선 X-X에서 오른쪽의 상하프론트베드(UF,DF)를 생략한 상하의 백베드(UB,DB)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의 헤드의 확대도이고, 도 14는 같은 헤드의 다른 부위의 확대단면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후의 상하베드(FU,FD,BU,BD)의 구성은, 실누름부재(121), 싱커(150)의 지지수단이 제1실시형태와 다를 뿐이므로 제1실시예와 동일구성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관하여만 이하에 설명한다.
하부니들플레이트(3)의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의 꼭대기부에는, 바늘홈(22)에 슬라이딩해서 끼워맞춘 상부니들(25)의 진퇴방향으로 연장하는 단차부(120)를 형성하고, 후술하는 실누름부재(121)를 수용하는 실누름부재 수용부(122)를 설치하고 있다.
실누름부재 수용부(122)의 단차부(120)는, 후술하는 실누름부재(121)의 상부니들(25)의 진출(상승)방향과 같은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의 최대 이동량을 규제하는 정지용 돌출부(123,124) 및 상기 정지용 돌출부(123,124)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사면(125,126)으로 이루어진 실누름부재 제어용 오목끼워맞춤부(127)를 형성하고 있다.
(128)은 금속대(42)를 삽입통과시키는 금속대끼워맞춤홈이다.
실누름부재(121)는 도 1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조각으로 본체생크부(130)의 선단에, 약간 아래쪽으로 개구한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를 갖고, 본체생크부 상부가장자리의 꼬리부분에는 실누름부재(121)의 녹오버 가장자리부(90) 방향으로의 진퇴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을 갖는다. 또, 상기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와 진퇴이동제어수단(132)사이에는 경사면(133)을 갖는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누름부재(121)의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은, 실누름부재(121)를 실누름부재 수용부(122) 내에서 녹오버 가장자리부(90) 방향으로 진출 또는 후퇴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본체생크부(130)의 상부에 돌출시킨 버트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니들베드꼬리부 등의 위치에 설치되어 본체생크부(130)를 진퇴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실누름부재(121)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실누름부재 수용부(122)내에서 진출한 실누름부재(121) 헤드의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를 아랫쪽으로 눌러내리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본체생크부(130)의 상부에 돌출시킨 버트로서 나타내고 있다. 본체생크부(130)의 하부에는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를 위로 올리는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본체생크부(130)의 꼬리부에 탄성부재(135)와 실누름부재의 요동지지점이 되는 돌출부(136)를 설치하고 있다. 탄성부재(135)는 본 실시예와 같이 본체생크부(130)와 일체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별도의 부재로서 실누름부재 수용부와 실누름부재와의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실누름부재가 진출한 상태에서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가 상승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탄성가압하는 것이면, 판스프링을 본체생크부(130)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진퇴이동제어수단(132)과 하향이동제어수단(134) 모두 버트를 이용한 양태로 설명한다.
탄성부재(135)는,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본체생크부(130)의 꼬리부에 설치한 다리부를 탄성부재로 하고, 상기 다리부는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의 아래쪽 위치까지 아래를 향하는 호형상을 이루어 연장하고, 선단이 상기 실누름부재 수용부(122)의 단차부(120)와 접촉하여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를 윗쪽으로 선회하도록 가압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실누름부재(121)가 가장 많이 후퇴하였을 때에 탄성부재(135)의 선단은 단차부(120)의 경사면(126)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실누름부재(121)의 움직임은 처음에는 슬라이딩저항을 적게 받지만, 진출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슬라이딩저항이 크게 되어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 실누름 부재(21)가 최대량으로 진출했을 때 탄성부재(135)가 단차부(124)와 접하여 이동은 정지된다. 상부스페이서(43)는 금속대(42)에 의해 고정되어 실누름부재 수용부(122)에 놓여진 실누름부재(121)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어 상부니들(25)의 상부가장자리에 접한다. 금속대(42)는 실안내부재(121)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상부스페이서(43)(도 14에 나타냄)의 하부가장자리(44)는 상부니들(25)의 가이드가장자리로 되어 있다. 또, 상부니들(25)은,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페이서(43)와 헤드 니들플레이트부(7)의 측면에 설치한 삼각형 하부스페이서(45)의 경사가장자리(46)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와 같이, 하부백니들베드(DB)의 하부니들(5)을 승강시킬 때 상부백니들베드(UB)의 실누름부재(121)를 작용시키는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누름부재(121)는 상부백니들베드(UB) 위를 주행하는 캐리지(50UB)에 설치되어 있는 실누름부재 제어캠(61)에 의해 조작되고, 하부니들(5)은 하부백니들버트(DB)의 캐리지(50DB)의 캠로크(53)에 의해 조작된다. 도 16에 상부백 캐리지(50UB)의 실누름부재 제어캠(61)의 캠면의 기본적인 배치와, 실누름부재제어캠(61)에 대한 실누름부재(121)(2점 쇄선으로 나타냄)의 진퇴이동제어버트(132), 하향이동제어버트(134)의 결합상태 및 하부백캐리지(50DB)의 니들제어로크(53)에 대한 하부니들(5)(1점쇄선으로 나타냄)의 니들버트(23)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실누름부재 제어캠(61)은 실누름부재 진출캠(62)과 실누름부재 후퇴캠(63)과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4,65)으로 이루어지고, 실누름부재 진출캠(62)과 실누름부재 후퇴캠(63)에 의해 실누름부재(121)의 진퇴이동제어수단(버트)(132)의 통과로(66)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4,65)은 캐리지진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각각 양단에 경사면(67,68)을 가짐과 함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출하는 실누름부재(121)의 하향이동제어수단(버트)(134)과 접촉하는 다리부를 깍아 경사면(69)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실누름부재(121)의 하향이동제어수단(134)과 실누름부재 제어캠(61)의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4,65)에 의해 실누름부재 편향수단(140)을 구성한다. 니들제어로크(53)는, 레이징캠(54)의 양측에 니팅캠(55,56)을, 꼭대기부에 가이드캠(57)을 각각 설치하고 있고, 실누름부재 제어캠(61)과 중심선을 동일하게 위상을 유지해서 왕복이동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하듯이 레이징캠(54)의 좌우 어깨의 단차부의 상부위상에 있는 실누름부재 진출캠(62)에 2개의 캠부(75,76)을 형성하여 캠부(75,76)의 양측의 경사면(77,78,79,80)을, 실누름부재(121)를 녹오버 가장자리부에 진출시키기 위한 진퇴이동제어수단(132)에 대한 상승경사면으로 한다. 상기 캠부(75,76)에 대면하는 실누름부재 후퇴캠(63)에는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의 통과로(66)를 사이에 두고 오목끼워맞춤부(81,82)를 형성하고, 오목끼워맞춤부(81,82)의 양측의 경사면(83,84,85,86)을, 실누름부재(121)를 녹오버 가장자리부(90)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한 진퇴이동제어수단(132)에 대한 하강경사면으로 한다. 상기 캠부(75), 오목끼워 맞춤부(81) 위에 상기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4)을 설치하고, 또한, 캠부(76), 오목끼워맞춤부(82) 위에 상기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5)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실시형태와 같이 가동싱커를 이용하지 않는다. 종래 공지의 고정싱커(150)가 하부니들베드가 기판(1)의 헤드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 실안내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도 16에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안내할 때의, 실누름부재(121)의 진퇴이동제어수단(132), 하향이동제어수단(134)과 실누름부재 제어캠(61)과의 관계 및 하부니들(5)의 니들버트(23)와 니들제어로크(53)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도 17에 급사부재(60)로부터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급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안내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Y)을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안내하는 경우는, 도 16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캐리지(50UB)의 진행방향의 후행측에 위치하는 실누름부재 제어캠(61)의 실누름부재 진출캠(62)의 캠부(76)을 사용한다. 캐리지(50UB)가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실누름부재(121)의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은, 실누름부재 진출캠(62)의 버트통로(66) 안에서 후퇴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니들버트(23)는 레이징캠(54)에 의해 후크(29)를 가장 많이 진출시키고 있다(도16의 ①, 도 17의 A). 캐리지(50UB,DB)가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니들버트(23)가 레이징캠(54)의 꼭대기부를 통과하여, 가이드캠(57)으로 끌어내려져 하부니들(5)의 후크(29)가 레이징캠(54)의 위치로 내려갈 때에 실누름부재(121)의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은, 실누름부재 진출캠(62)의 후행측의 캠부(76)에 의해 진출을 개시한다(도 16의 ②, 도 17의 B). 진출을 시작한 실누름부재(121)는,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를 녹오버 가장자리부의 실(Y)에 대하여 진출시킨다. 이 때 실누름부재(121)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실눌러내림 프레서캠(65)에는 접하지 않고, 실누름부재(121)는 직진한 상태에서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5)을 향해서 접근한다(도 16의 ③, 도 17의 C).
캐리지(50UB,50DB)가 계속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부니들(5)은 후크(29)를 레이징캠(54)의 어깨 위치에 유지시키는 동안, 실누름부재(121)는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이 캠부(76)의 경사면(86)을 최고위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실누름부재(121)의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가 가장 많이 진출하고, 동시에 하향이동 제어수단(134)의 경사면(133)을 녹오버 가장자리부방향으로 진출시킨다. 그리고 캐리지(50UB,50DB)가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5)의 경사면(68)에 접하고(도 16의 ④, 도 17의 D), 캐리지(50UB,DB)의 이동과 함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탄성부재(135)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밀어넣어지고, 실누름부재(121) 선단의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를 아래쪽으로 선회이동시킨다(도 16의 ⑤, 도 17의 E).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이 밀어넣어짐으로써, 탄성부재(135)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실누름부재(121)는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를 아래쪽으로 선회시킨다. 이 때 탄성부재(135)는 선단이 실누름부재 제어용 오목끼워맞춤부(127)의 상승경사면(126)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평상 시에는 움직이지 않고 정지하고 있지만, 슬라이딩이 개시되면 상승경사면(126)에 계속되는 수평면과 접해서 이동하므로 슬라이딩은 순조롭다. 반대로 실누름부재(121)가 후퇴할 때는, 탄성부재(135)의 선단은 수평부에서 내려가 경사면(126)에 들어가게 되고, 후퇴 시에는 점차 탄발력에 의한 저항이 적어지므로 순조로운 후퇴이동이 얻어진다.
상기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의 아래쪽으로의 선회에 의해,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는 급사부재(60)로부터 급사되고 있는 실(Y)을 포착하여 하부니들(5)의 후크(29)에 실(Y)을 안내한다. 후크(29) 안으로 실(Y)을 안내한 하부니들(5)은, 니팅캠(55)에 버트(23)가 접촉함으로써 진출되고, 후크(29)에 실(Y)을 포착해서 녹오버 가장자리부(90)로부터 후퇴한다.
후퇴개시 시에는, 실누름부재(121)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이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5)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는 아래쪽으로 선회한 상태이다. 캐리지(50UB,DB)의 진행과 함께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은 상기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5)으로부터 떨어지고, 누르는 압력을 제거하기 위해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가 윗쪽으로 선회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캐리지(5OUB,DB)의 오른쪽으로의 이동에 이어서, 캐리지(5OUB,DB)가 반전하여 왼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실누름부재(121)에 의해 니들후크(29)에 실(Y)을 안내할 때는, 오른쪽 이동시와 반대로 캠부(75)을 사용하여 캠부(75)의 경사면(78)과 진퇴이동제어수단(132)을 접촉시켜 실누름부재(121)를 녹오버 가장자리부에 향해서 진출시킨다. 또 하향이동제어수단(134)과 실누름부재 눌러내림 프레서캠(64)을 접촉시켜 실누름부재(121)의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를 아래쪽으로 선회이등시킨다.
실(Y)을 하부니들(5)의 배면에 안내하는 경우는, 제1실시예와 같이 행하여진다. 양 캠부가 고정된 경우에는 한쪽의 캠부는 단지 실누름부재를 진출, 후퇴시키는 불필요한 동작을 행할 뿐이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 캠부를 비작동 위치로 후퇴시킬 수 있는 이동가능한 캠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향이동제어수단(134)의 앞가장자리에 경사면(l33)이 구성되어 있지만, 실누름부재(l21)의 진출을 상기 실시예보다 지연시키거나 또는 실눌러내림 프레서캠(64)과의 접촉타이밍을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게 하고, 상기 경사면(133)이 실눌러내림 프레서캠(64)의 경사면(69)과 접하도록 하면, 제1실시예에서의 실누름부재(110)의 실눌러내림 작용가능자리(112)와 같이,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131)가 전진한 종료위치부근에서는 전진하면서 하향이동하는 궤적을 그리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의 제1, 제2실시의 형태는 4베드의 예로, 상하 백베드(UB,DB)에 대해서 상부 백베드(UB)에 실누름부재(110,121)를 설치하고 있지만, 실누름부재(110,121)는 전후의 상부베드에 대향해서 설치하거나, 또는 앞뒤 한쪽에만 설치해도 좋다. 2베드의 경우는, 앞뒤의 양 베드 또는 어느 한쪽의 베드에 설치하면 좋다. 또한, 실누름부재(110,121)는 각 니들마다 설치할 필요는 없고, 소정 개수의 바늘마다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4베드의 경우, 하부베드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실누름부재 제어캠(52,61)은 앞뒤의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의 상부베드에 대한 캐리지에 설치하면 좋다. 하부 백베드(DB)의 니들(5)을 조작해서 동시에 실누름부재(110,121)를 작동시킬 때는, 하부백 베드용 캐리지(5ODB)의 니들조작로크(53)와 상부백 또는 프론트 베드용 캐리지(5OUB,5OUF)의 실누름부재 조작캠(52,61)을 사용하면 좋다.
본 발명의 실안내장치는, 편지 편성 시에 실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킨 상태에서, 니들의 후크 혹은 배면의 소정위치에 실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니들과 급사구 사이에 길게 연장하는 플로팅사가 발생하는 인레이뜨개(inlay knit), 혹은 무늬의 단부루프를 편성하는 니들에 실을 감는 인터셔뜨개(intarsia knit) 등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녹오버 가장자리부를 중심으로 헤드가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쌍 이상의 니들베드에, 복수의 니들을 녹오버 가장자리부에 향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줄지어 설치하고, 니들 간에는 싱커를 배치하고, 상기 니들과 병렬하여 선단에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가지는 실누름부재를 녹오버 가장자리부에 향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해서 이루어진 횡편기에 있어서, 상기 실누름부재의 슬라이딩진출시에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하향이동시키는 실누름부재 편향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누름부재 편향수단을 실누름부재와 니들베드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누름부재 편향수단을 실누름부재와 캐리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실누름부재를 녹오버 가장자리부를 향해서 진퇴 이동시키는 수단과, 실누름부재가 가장 많이 진출하기 전에 실누름부재에 대해 작용하여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하향이동시키는 부재로 이루어진 실누름부재 편향수단을 설치하고, 실누름부재의 슬라이딩 진출 시에 실누름부재 선단의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가 진출이동함과 아울러 하향이동해서 하향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실누름부재를 녹오버 가장자리부에 향해서 진퇴 이동시키는 수단과, 가장 많이 진출한 실누름부재에 대해서 작용하여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하향이동시키는 부재로 이루어진 실누름부재 편향수단을 설치하고,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가 가장 많이 진출한 후에 하향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실안내장치.
  6. 복수의 니들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줄지어 설치하고, 녹오버 가장 자리부 중심부에서 헤드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한 한쌍 이상의 니들베드를 가지고,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는 급사부재에 연결되는 편사에 작용해서 편사를 바늘의 후크로 포착가능한 위치까지 눌러내리는 실눌러내림작용 가장자리를 선단에 가지는 실누름부재를 니들과 병렬하여 진퇴가능하도록 니들베드 위에 지지한 실안내장치를 구비한 횡편기에 있어서,
    실누름부재측에는,
    실누름부재에는 실누름부재를 녹오버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진퇴이동시키기 위한 진퇴이동제어수단과, 진퇴이동제어수단과 실눌러내림작용 가장자리 사이에 설치되어 실눌러내림작용 가장자리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향이동제어수단;및
    실눈름부재의 하부가장자리에, 그 선단이 지지면과 접촉하여, 실누름부재가진출한 상태에서 실눌러내림작용 가장자리가 상승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위쪽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고,
    니들베드위를 왕복이동하는 캐리지측에는,
    상기 실누름부재의 진퇴이동제어수단의 반대 위치에 진퇴이동제어수단과 결합해서 실누름부재를 진출시켜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급사부재에 연결되는 편사의 위쪽으로 진출시키는 실누름부재 진출캠;
    진출위치에 있는 실누름부재의 하향이동제어수단을 눌러서 실눌러내림작용 가장자리를 하강시켜 편사를 바늘 후크의 통과경로 안까지 눌러내리는 실눌러내림프레서캠 : 및
    진퇴이동제어수단에 결합해서 실누름부재를 후퇴시키는 실누름부재 후퇴캠을설치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실누름부재 하부가장자리에 탄성부재를 일체로 설치하고,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선두부에 설치한 실눌러내림 작용가장자리를 위쪽으로 선회이동하도록 가압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
  8. 제6항에 있어서, 실누름부재는, 니들플레이트 꼭대기부에 설치한 단차부에 의해 형성된 실누름부재 수용부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단차부에 설치한 실누름부재 제동용 오목끼워맞춤부에 탄성부재가 접촉되는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실안내장치.
KR10-1998-0700147A 1996-05-15 1997-05-15 횡편기의실안내장치 KR100469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44984 1996-05-15
JP14498496 1996-05-15
JP13942997A JP3498280B2 (ja) 1996-05-15 1997-05-13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装置
JP97-139429 1997-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846A KR19990028846A (ko) 1999-04-15
KR100469828B1 true KR100469828B1 (ko) 2005-06-20

Family

ID=2647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147A KR100469828B1 (ko) 1996-05-15 1997-05-15 횡편기의실안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14874A (ko)
EP (1) EP0870858B1 (ko)
JP (1) JP3498280B2 (ko)
KR (1) KR100469828B1 (ko)
DE (1) DE69714211T2 (ko)
ES (1) ES2180050T3 (ko)
WO (1) WO1997043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1261B1 (en) 2000-05-01 2005-09-06 General Electric Company Cause and effect logic application implementation
JP4015972B2 (ja) * 2003-07-3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JP4176038B2 (ja) * 2004-03-31 2008-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可動シンカー装置
EP2130960B1 (de) * 2008-06-04 2010-12-01 Groz-Beckert KG Stricksystem mit einer nadelgetriebenen Abschlagplatine
US8468855B2 (en) * 2011-09-16 2013-06-2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Downward pressing mesh mechanism and sinker thereof for flat knitting machines
EP3124663B1 (en) * 2015-07-30 2019-10-16 Groz-Beckert KG Loop-forming method and device
US11639566B2 (en) * 2019-02-27 2023-05-02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Method for knitting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variable thickness through a flat knitting machine
US11313058B2 (en) * 2019-02-27 2022-04-26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lat knitting machine structure with adjustable gap between two knock-over bits
CN110205742B (zh) * 2019-05-14 2020-11-24 浙江凯悦纺织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机纺织线的拉钩装置
CN111235740B (zh) * 2020-03-27 2021-03-30 常熟创富针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电脑横机的高效摆动沉降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6959B2 (ja) * 1991-08-29 1998-03-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地の編成方法及び多段ベッド横編機
JP2618312B2 (ja) * 1992-07-09 1997-06-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3333304B2 (ja) * 1994-03-18 2002-10-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JP3498270B2 (ja) * 1994-04-28 2004-02-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4211T2 (de) 2003-03-20
KR19990028846A (ko) 1999-04-15
JP3498280B2 (ja) 2004-02-16
ES2180050T3 (es) 2003-02-01
DE69714211D1 (de) 2002-08-29
EP0870858A4 (ko) 1998-10-14
EP0870858B1 (en) 2002-07-24
EP0870858A1 (en) 1998-10-14
WO1997043477A1 (fr) 1997-11-20
JPH1053946A (ja) 1998-02-24
US6014874A (en) 200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8222B1 (en)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KR100469828B1 (ko) 횡편기의실안내장치
US5333473A (en) Sinker mechanism for flat knitting machines
US5557948A (en) Yarn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 knitting machine
KR100478557B1 (ko) 루프 프레스기를 구비한 횡편기 및 이 횡편기를 사용한 편성방법
US5134864A (en) Movable sinker in flat knitting machine
KR100547505B1 (ko)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
KR940011010B1 (ko) 횡편기
KR100627534B1 (ko) 편직기를 위한 장치
KR20050106007A (ko) 횡편기의 급사장치
KR102291231B1 (ko)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WO2005095698A1 (ja) 横編機の可動シンカー装置およびシンカー
US7213422B2 (en) Needle selection device for weft knitting machine
KR100768347B1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KR100974512B1 (ko) 트란스퍼잭 및 이를 구비한 횡편기 및 트란스퍼잭에 의한눈옮김 방법
EP0421242A2 (en)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retention sinkers
JP3000461B2 (ja) 目移し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3201904B2 (ja) 横編機
TW402648B (en) Yarn guide apparatus for weft knitting machine
JPH0913251A (ja) 横編機の糸案内装置
JP2726958B2 (ja) 二段ベッド横編機
JP2000314059A (ja) 丸編機におけるジャカード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ダブルシン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