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044A - 메뉴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뉴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044A
KR20220153044A KR1020227034918A KR20227034918A KR20220153044A KR 20220153044 A KR20220153044 A KR 20220153044A KR 1020227034918 A KR1020227034918 A KR 1020227034918A KR 20227034918 A KR20227034918 A KR 20227034918A KR 20220153044 A KR20220153044 A KR 2022015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tem
menu
language
categ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이찌로 구보
마끼또 지바
히로또 스미다
고이찌로 나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Publication of KR2022015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3Languag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다언어로 된 음식점의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생성 시스템으로서, 각 음식점 별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와, 메뉴 아이템에 이용된 복수의 식재료, 메뉴 아이템에 이용된 복수의 조미료, 또는 메뉴 아이템에 이용된 복수의 조리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는 메뉴 아이템 속성을 저장하는 메뉴 아이템 속성 마스터 저장부와,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의 편집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마스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의 선택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선택지를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선택지 중에서 선택된 선택지의 입력을 수신하는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와, 상기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와, 상기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에 저장된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으로 변환하는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메뉴 아이템 정보로서 상기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와,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메뉴 아이템 표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고, 상기 변환된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포함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기에 표시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 표시부를 구비하는 메뉴 생성 시스템.

Description

메뉴 생성 시스템{MENU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음식점에서 외국인 이용객에게 제공할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본을 찾는 외국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음식점에 외국인이 방문하는 경우도 많다. 일본어를 이해하는 외국인이라면 음식점에서 아무 문제 없이 주문할 수 있지만, 일본어를 이해할 수 없거나, 혹은 일본어를 조금밖에 이해할 수 없는 외국인의 경우, 주문을 하는 것도 쉽지 않다. 몇몇 음식점은 외국인을 위해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메뉴를 준비하기도 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491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7733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75062호에서는 각 음식점에서 메뉴 등을 외국어로 생성하는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49185호에서는 메뉴에 기재된 아이템의 상세한 설명 정보를 외국어 음성으로 재생하는 메뉴 아이템 설명 시스템의 발명을 기술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외국어 음성이 주위에도 울려 주위에 앉아 있는 이용객에게 피해를 끼치게 된다. 또, 각 음식점이 상세한 설명 정보를 작성해 두어야 하는데, 외국어에 능통한 종업원이 음식점에 없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메뉴 아이템의 설명을 작성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7733호에서는 이하의 발명을 기술하고 있다. 각 메뉴 아이템마다 일본어와 영어로 구성된 메뉴 아이템 설명을 작성하여, 접객 담당자가 이용하는 핸디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 둔다. 접객 담당자가 외국인 이용객을 응대하는 경우, 그 접객 담당자는 소정의 조작을 통하여 영어 메뉴 아이템 설명을 핸디 단말기에 표시하고, 그 영어 메뉴 아이템 설명을 외국인 이용객에게 보여 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49185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음식점이 사전에 메뉴 아이템 설명을 핸디 단말기에 등록해 둘 필요가 있지만 음식점에 영어에 능통한 종업원이 없는 경우도 많다. 이로 인하여, 메뉴 아이템 설명 자체를 작성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75062호에서는 이하의 발명을 기술하고있다. 라이센스 키트를 음식점용 매표기에 접속함으로써, 해당 매표기에 외국어 메뉴가 표시된다. 상기 라이센스 키트는 다언어 대응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이 경우, 라이센스 키트는 매표기 제조 회사 등에서 작성하고 있으므로 음식점에 외국어에 능통한 종업원이 없어도 어느 종업원이든 외국인 이용객을 응대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언어 대응 소프트웨어를 저장한 라이센스 키트를 구입해야 하거나, 해당 라이센스 키트가 음식점에 특화된 메뉴 아이템 등에는 대응할 수 없다.
최근, 외국인이 음식점을 찾을 때, 가이드 북 등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인터넷으로 음식점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음식점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검색된 음식점의 웹 페이지에는 매장명, 위치, 연락처 정보 등 외에 메뉴 아이템 등의 정보도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음식점의 웹 페이지에 외국어로 된 메뉴를 제공하면, 외국인에게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다. 또, 실제로 음식점을 방문한 외국인에게 그러한 메뉴를 보여 주면 외국인이 주문하기가 쉬워 진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동 번역 사이트 등을 이용하여 외국어로 된 음식점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일본어 메뉴를 자동 번역한 경우, 자동 번역의 정확도 등에 문제가 있다. 특히, 음식점의 메뉴는, 예를 들어, 종교, 신념, 건강(알러지 등) 등의 이유에 따라, 식재료나 조리 방법, 조미료 등이 한정되어 있는 사람이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채식주의자는 동물성 식품을 피한다.
일본어에 능통한 외국인이라면 스스로 종업원에게 물어 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종업원에게 묻기가 어렵다. 자동 번역 사이트 등을 이용하여 메뉴 아이템명 등을 번역했다고 해도, 식재료나 조리 방법 등이 정확하게 번역되지 않으면, 번역된 명칭 등이 외국인에게 오해를 불러 일으켜 음식점과의 사이에서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식재료나 조리 방법 등이 제한되는 경우, 외국인이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표현에 의하여 번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단순히 자동 번역 사이트 등을 이용해서 메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전체를 번역하여 번역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외국인의 오해가 발생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사실상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외국어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주문을 하는 외국인에게 종교, 신념, 건강 등의 이유로 금기나 제한의 대상이 되는 식재료나 조리 방법 등의 메뉴 아이템의 설명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해야 한다. 단순히 메뉴 아이템 설명을 외국어 단어로 번역하기만 한다면, 주문을 받는 종업원이 주문 내용을 잘못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종업원이 외국인의 주문 내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각 음식점의 메뉴는 그 음식점의 특징 등을 나타내기 때문에, 각 음식점의 독자적인 어필을 허용하여 이용객에게 어필하는 관점도 필요하다. 즉,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한편, 그 정보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의 융통성은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서로 모순된 목적을 달성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을 달성하려면, 상기와 같이 외국어에 능통한 종업원에 의한 번역이 필요하지만 모든 음식점이 그러한 번역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외국어에 능통한 종업원이 없는 경우에도 간단한 방법으로 외국인에게 정확하게 메뉴 아이템을 이해하도록 할 수 있는 외국인 대상 메뉴를 생성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외국어에 능통한 종업원이 없는 경우에도 간단한 방법으로 외국인이 메뉴 아이템을 이해하도록 할 수 있는 메뉴 생성 시스템을 발명했다.
본 발명의 양태는, 다언어로 된 음식점의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생성 시스템으로서, 각 음식점 별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와, 메뉴 아이템에 이용된 복수의 식재료, 메뉴 아이템에 이용된 복수의 조미료 또는 메뉴 아이템의 복수의 조리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는 메뉴 아이템 속성을 저장하는 메뉴 아이템 속성 마스터 저장부와,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의 편집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마스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의 선택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선택지를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선택지 중에서 선택된 선택지의 입력을 수신하는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와, 제1 언어로 된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언어로 된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와, 상기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에 저장된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으로 변환하는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메뉴 아이템 정보로서 상기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와,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메뉴 아이템 표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고, 상기 변환된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포함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기에 표시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 표시부를 구비하는, 메뉴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정보 단말기는 음식점에서 이용하는 음식점 단말기 또는 이용객이 이용하는 컴퓨터를 말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메뉴 생성 시스템은 선택된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의 입력을 수신하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마스터 저장부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와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서로 연관 지어 저장해도 좋다.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 속성을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마스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상기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으로서 수신해도 좋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메뉴 생성 시스템은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와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는 메뉴 아이템 소개 마스터 저장부와, 상기 수신된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 소개를 상기 메뉴 아이템 소개 마스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뉴 아이템 소개를 상기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로서 수신하는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상기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에 더하여, 상기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와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해도 좋다. 상기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는 상기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에 저장된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수정이 수신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상기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으로 변환해도 좋다. 상기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에 더하여, 상기 변환된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를 포함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를 메뉴 아이템 정보로서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에 저장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메뉴 생성 시스템은, 제1 언어를 제2 언어로 번역하는 자동 번역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상기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는 음식점에서 이용하는 음식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언어로 된 상기 메뉴 아이템 소개에 대한 수정을 수신 가능해도 좋다. 상기 자동 번역부는, 상기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에 대한 수정이 수신되면, 상기 수정이 수신된 메뉴 아이템 소개를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로 자동으로 번역해도 좋다. 상기 메뉴 아이템 정보 표시부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소개에 대한 수정이 수신되면, 상기 메뉴 아이템 정보에 포함되는 메뉴 아이템 소개로서, 상기 제2 언어로 자동 번역된 메뉴 아이템 소개를 표시해도 좋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는 음식점에서 이용하는 음식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의 수정 요청을 수신 가능해도 좋다.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가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의 수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마스터 저장부를 참조하여, 수정될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의 선택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선택지에 대한 수정을 상기 음식점 단말기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상기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는, 상기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에 저장된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수정이 수신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으로 변환해도 좋다. 상기 메뉴 아이템 정보 표시부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에 대한 수정이 수신되면, 상기 메뉴 아이템 정보에 포함되는 메뉴 아이템 속성으로서 상기 변환된 제2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표시해도 좋다.
상기 양태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국어에 능통한 종업원이 없는 경우에도, 외국어 메뉴를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양태에 있어서는, 메뉴 아이템명을 로마자 등 제1 언어로 발음 가능한 표기로 하고, 메뉴 아이템 소개를 수정한 경우에는, 그 수정된 내용을 외국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로 자동 번역하여, 메뉴 아이템 속성을 선택에 의하여 수신하고, 대응하는 외국어로 표시한다.
외국어 메뉴로 주문할 때 문제가 되는 것은 종업원이 잘못된 주문을 받게 되는 것이다. 특히, 메뉴 아이템명을 외국어로 된 메뉴 아이템명으로 문자 그대로 번역해 버리면, 주문을 받는 종업원이 어떤 메뉴 아이템이 주문된 메뉴 아이템인지 이해하기가 곤란하여, 오주문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메뉴 아이템명은 외국인이라도 메뉴 아이템명을 제1 언어로 발음 가능하도록 표기함으로써, 외국인이라도 제1 언어의 발음에 의해 바로 주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오주문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식재료나 조리 방법, 조미료 등의 메뉴 아이템 속성은, 종교, 신념, 건강상 등의 이유에서 금기나 제한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정확성이 중요하고, 애매하거나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표기 등은 피해야 한다. 메뉴 아이템 속성이 음식점에서 자유롭게 입력되어 자동으로 번역되면, 애매하거나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표기가 될 가능성이 발생하게 된다. 또, 메뉴 아이템 속성의 정보는 일반적인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양태에서는, 메뉴 아이템 속성에 대해 음식점이 가지는 융통성을 의도적으로 제한하여, 해당 메뉴 아이템 속성이 대체 양식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애매하거나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표기를 배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외국인이 종교상, 신념상, 건강상 등의 이유에서 금기나 제한의 대상이 되는 식재료 등을 주문하게 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메뉴 아이템 소개는 해당 메뉴 아이템의 먹는 방법, 해당 메뉴 아이템의 특징 등을 기술하는 것이므로, 메뉴 아이템 소개는 일반적인 정보는 아니다. 따라서, 메뉴 아이템 소개를 대체 양식으로 입력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 메뉴 아이템 속성에 있어서, 금기나 제한의 정보가 메뉴 아이템 설명에 기술되어 있다는 점에서, 메뉴 아이템 소개의 자유로운 입력을 수신하고, 그 메뉴 아이템 소개에 자동 번역을 이용한 경우라도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제1 언어로 메뉴 아이템 소개의 자유로운 입력이 수신되어, 그 메뉴 아이템 소개가 자동으로 번역된다. 이렇게 하여, 외국인에게 일반적이지 않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양태에서는, 메뉴에 있어서의 메뉴 아이템명, 메뉴 아이템 소개, 메뉴 아이템 속성에 대하여 각각이 갖는 특성을 감안한 다음, 그 메뉴 아이템명, 메뉴 아이템 소개, 메뉴 아이템 속성에 적합한 처리를 실행 함으로써, 최적의 방법으로 외국어 메뉴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양태에서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를 선택함으로써, 메뉴 아이템 소개나 메뉴 아이템 속성 등을 기본 설정으로 하여 자동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음식점에서의 입력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음식점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내용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입력 등의 방지로도 이어진다.
본 발명의 양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외국어에 능통한 종업원이 없는 경우에도 간단한 방법으로 외국인에게 메뉴 아이템을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식재료나 조리 방법 등을 정확하게 메뉴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이용객과의 사이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낮아진다. 또한, 메뉴 아이템명은 외국인이라도 그 메뉴 아이템명을 제1 언어로 발음 가능하도록 하는 표기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오주문의 가능성도 낮아진다.
발명의 실시형태의 특징, 효과, 및 기술적, 상업적 중요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여기서 참조 부호는 해당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의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의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을 기능시키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의 처리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관리 창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관리 창에 메뉴 아이템명을 입력한 상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관리 창에 메뉴 아이템 이미지를 입력한 상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관리 창에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를 입력한 상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관리 창에 메뉴 아이템 소개와 메뉴 아이템 속성이 반영된 상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메뉴 아이템 목록을 표시한 경우의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메뉴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 경우의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1)의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메뉴 생성 시스템(1)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메뉴 생성 시스템(1)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메뉴 생성 시스템(1)은 서버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도 4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컴퓨터는, 연산부(70)와, 저장 장치(71)와, 표시 장치(72)와, 입력 장치(73)와, 통신 장치(74)를 가진다. CPU 등의 연산부(70)는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RAM이나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장치(71)는 정보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72)는 표시 이미지 등을 제공한다. 키보드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73)는 입력을 위한 것이다. 통신 장치(74)는 연산부(70)의 처리 결과나 저장 장치(71)에 저장된 정보를 다른 컴퓨터와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는, 그 기능이 논리적으로 서로 구분되어 있을 뿐, 물리적 혹은 실용적으로 동일한 영역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1)의 기능들은 하나의 서버에서 실행되어도 되고, 2대 이상의 서버로 분산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음식점을 검색하는 유저가 이용하는 컴퓨터(휴대 전화 등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포함)로 실행해도 좋다. 특히, 후술하는 자동 번역부(205),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206), 메뉴 아이템 정보 표시부(22) 등의 처리를 유저의 컴퓨터로 실행해도 좋다. 이로써 관리 서버(2)의 처리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메뉴 생성 시스템(1)의 각 기능을 구비하는 관리 서버(2)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음식점 단말기(3)와의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음식점 단말기(3)은 각각의 음식점에서 이용하는 컴퓨터이다. 각각의 음식점 단말기(3)는 컴퓨터이면 되고, 퍼스널 컴퓨터 외에, 휴대용 통신 단말기 등도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PHS, 태블릿형 컴퓨터 등이다. 메뉴 생성 시스템(1)은 음식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 등이 그 가맹점인 음식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메뉴 생성 시스템(1)의 제공자가 위 기업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뉴 생성 시스템(1)에 있어서의 관리 서버(2)는,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21), 메뉴 아이템 정보 표시부(22), 그리고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를 가진다.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는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 아이템에 관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한다.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에서는 각 처리부에서 수신된 입력 정보를 메뉴 아이템 정보로서, 후술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21)에 저장한다.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에서는, 외국인이라도 메뉴 아이템명을 제1 언어(메뉴 생성 시스템(1)을 운용하는 나라에 있어서의 언어(공용어를 포함))로 발음 가능하도록 표기된, 예를 들어, 일본어라면 로마자로 된 메뉴 아이템명의 입력을 수신한다.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은 필요에 따라서 메뉴 아이템 소개의 자유로운 입력을 제1 언어(예를 들면 일본어)로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서 각 메뉴 아이템 속성의 입력을 대체 양식으로 수신한다. 이미 정해 진 메뉴 아이템 소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은 그 변경의 입력을 수신하고 변경된 메뉴 아이템 소개를 외국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로 자동 번역하여, 메뉴 아이템 속성을 대응하는 외국어 단어로 자동 변환한다. 메뉴 아이템에 관한 정보로서는, 메뉴 아이템명, 메뉴 아이템 소개, 메뉴 아이템 속성 등의 정보가 있다. 이하, 메뉴 생성 시스템(1)을 이용한 서비스를 전개하는 나라의 언어인 제1 언어가 일본어인 경우를 설명한다.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 서비스를 전개하는 경우에는, 그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를 제1 언어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 제2 언어란 제1 언어인 언어 이외의 하나 또는 복수의 언어(그 나라에 있어서의 외국어)를 의미한다.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는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 메뉴 아이템 이미지 입력 수신부(201),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 그리고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205)를 가진다.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는, 메뉴 아이템명으로서, 일본어와 가타카나 입력을 수신한다.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는 수신한 가타카나로 된 메뉴 아이템명을, 외국인이라도 그 메뉴 아이템명을 일본어로 발음 가능하게 하는, 로마자로 된 메뉴 아이템명으로 변환한다. 이 때,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는 또한 그 메뉴 아이템을 서술하는 영단어, 예를 들면, tempura, sushi, beef steak, curry, pizza 등의 메뉴 아이템 서술 정보의 입력을 수신해도 좋다.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는 가타카나 입력을 수신하여 그 가타카나를 로마자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가 로마자로 된 일본어 메뉴 아이템명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어도 좋다. 로마자 이외에도 일본어(제1 언어)로 발음이 가능한 표기이면 어떠한 표기여도 좋다.
메뉴 아이템 이미지 입력 수신부(201)는 메뉴 아이템 이미지 정보의 입력을 수신한다.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는 그 메뉴 아이템이 속하는 선택된 카테고리의 입력을 수신한다. 선택될 카테고리는 후술하는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의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마스터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다.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마스터 저장부(230)를 참조하여 선택지를 표시하고 선택된 선택지의 입력을 수신한다.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에서 수신한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의 메뉴 아이템 소개 마스터 저장부(231)로부터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 소개의 템플릿 정보를 추출하고, 그 템플릿 정보를 표시한다.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이 그 메뉴 아이템 소개의 변경의 선택을 수신한 경우,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는 메뉴 아이템을 소개하는 문장의 입력을 일본어로 수신한다. 메뉴 아이템을 소개하는 문장으로서는 그 메뉴 아이템의 먹는 방법, 그 메뉴 아이템의 특성, 그 메뉴 아이템의 어필 포인트 등이 있다.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는 템플릿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처음부터 메뉴 아이템 소개의 입력을 수신해도 좋다.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에서 수신한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의 식재료 마스터 저장부(232), 조미료 마스터 저장부(233), 조리 방법 마스터 저장부(234)로부터 대응하는 대표적 식재료, 조리 방법, 조미료의 템플릿 정보를 추출하고, 그 템플릿 정보를 표시한다.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가 메뉴 아이템 속성을 변경하는 선택을 수신한 경우, 해당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 (204)는 식재료 마스터 저장부(232), 조미료 마스터 저장부(233), 조리 방법 마스터 저장부(234)를 참조함으로써, 메뉴 아이템의 선택된 대표적 식재료, 조리 방법, 조미료 등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 선택될 각 메뉴 아이템 속성은 후술하는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의 식재료 마스터 저장부(232), 조미료 마스터 저장부(233), 조리 방법 마스터 저장부(234) 등에 각각 저장되어 있다.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는 이들 각 마스터 저장부를 참조하여, 선택된 메뉴 아이템 속성의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지를 표시한다. 메뉴 아이템 속성으로서는 대표적인 식재료, 조리 방법, 조미료 등이 있지만, 메뉴 아이템 속성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뉴 아이템 속성은 필요에 따라 설정 가능하다.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는 템플릿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처음부터 각 마스터 저장부를 참조하여 선택된 메뉴 아이템 속성의 입력을 수신해도 좋다.
대표적 식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메뉴 아이템에 사용되는 생선의 특성이나 종류, 메뉴 아이템에 사용되는 고기의 특성이나 종류, 메뉴 아이템에 사용되는 야채의 특성이나 종류 등이 있다. 조리 방법으로서는 굽고, 삶고, 찌고, 튀기는 등, 그 식재료가 어떻게 조리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있다. 또 조미료는 그 메뉴 아이템에 사용되는 조미료이다.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에서 메뉴 아이템을 소개하는 문장이 변경되어 그 변경된 문장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자동 번역부(205)는 공지의 번역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된 문장을 외국어 문장으로 번역한다. 번역 처리 기능으로서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웹 사이트에서 문장을 번역하는 기능 외에, 요리와 관련한 번역에 특화된 기능이 이용될 수도 있다.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206)는 제1 언어인 일본어로 된 단어와, 제2 언어인 적어도 1개 의 외국어로 된 단어 간의 대응 테이블에 근거하여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에서 수신한 정보를 대응하는 외국어 단어로 자동 변환한다. 대응 테이블은 후술하는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의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236)에 저장한다.
또,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는 메뉴 아이템의 가격 정보의 입력을 수신해도 좋다.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21)는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에 있어서의 각 정보를 음식점 별 메뉴 아이템 정보로서 저장한다.
메뉴 아이템 정보 표시부(22)가 음식점 단말기(3) 또는 이용객이 이용하는 컴퓨터로부터 메뉴 아이템 정보의 표시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메뉴 아이템 정보 표시부(22)는 해당 음식점의 메뉴 아이템 정보를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21)로부터 추출하여 그 메뉴 아이템 정보를 표시한다.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는,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에 있어서 외국어 메뉴를 생성할 때 필요한 정보를 각 마스터 테이블에 저장한다.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마스터 저장부(230), 메뉴 아이템 소개 마스터 저장부(231), 식재료 마스터 저장부(232), 조미료 마스터 저장부(233), 조리 방법 마스터 저장부(234), 그리고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235)를 가진다.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마스터 저장부(230)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에 의해 선택된 요리 메뉴 아이템의 카테고리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선택지가 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한다. 카테고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층 구조로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는 대분류, 대분류를 세분화한 중분류, 중분류를 더욱 세분화한 소분류로 분류되도록 저장된다. 대분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요리, 이탈리아 요리, 프랑스 요리, 스페인 요리, 중화 요리 등이 있다. 중분류로서는, 예를 들면, 대분류가 일본 요리인 경우 스시, 생선 요리, 철판구이, 이자카야 요리 등이 있다. 또, 소분류로서는, 예를 들면, 중분류가 해산물 요리인 경우 사시미, 해산물 덮밥, 조림, 생선구이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마스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카테고리에 근거하여 선택지를 표시함으로써,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는 그 선택된 카테고리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메뉴 아이템 소개 마스터 저장부(231)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에서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 소개의 템플릿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각 카테고리와 그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 소개의 템플릿이 서로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시미"라는 카테고리와 연관된 메뉴 아이템 소개의 템플릿으로서 "사시미는 어패류 등의 익히지 않은 식재료를 작게 잘라, 고추냉이, 생강 등의 고명을 곁들여 간장, 초된장 등의 조미료에 찍어 먹는 일본 요리입니다"라는 문장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시미"라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는, 메뉴 아이템 소개 마스터 저장부(231)에 저장된 "사시미"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 소개의 템플릿 정보를 추출하여 그 템플릿 정보를 표시한다.
식재료 마스터 저장부(232)는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에 의해 선택된 요리 메뉴 아이템의 식재료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선택지가 되는 식재료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각 식재료 정보는 카테고리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어도 되고,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에서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식재료를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가 식재료 마스터 저장부(232)를 참조함으로써 추출하여, 그 추출된 식재료를 템플릿의 식재료 정보로서 표시해도 좋다.
조미료 마스터 저장부(233)는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에서 요리 메뉴 아이템에 사용되는 선택된 조미료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선택지가 되는 조미료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조미료 정보는 카테고리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어도 되고,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에서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조미료를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가 조미료 마스터 저장부(233)를 참조함으로써 추출하여, 그 추출된 조미료를 템플릿의 조미료 정보로서 표시해도 좋다.
조리 방법 마스터 저장부(234)는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에서 요리 메뉴 아이템의 선택된 조리 방법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선택지가 되는 조리 방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조리 방법 정보는 카테고리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어도 좋고,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에서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조리 방법을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가 조리 방법 마스터 저장부(234)를 참조함으로써 추출하여, 그 추출된 조리 방법을 템플릿의 조리 방법 정보로서 표시해도 좋다.
식재료 마스터 저장부(232), 조미료 마스터 저장부(233), 조리 방법 마스터 저장부(234)를 총칭하여 메뉴 아이템 속성 마스터 저장부라고 한다.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235)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에서 수신하는 소개의 템플릿 정보,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에서 수신하는 대표적 식재료, 조리 방법, 조미료 등의 메뉴 아이템 속성의 템플릿 정보 등에 대한, 일본어(제1 언어)와 적어도 1개의 외국어(제2 언어)간의 대응 테이블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1)의 처리 공정의 일례를 도 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외국어 메뉴의 표시를 원하는 음식점은 소정의 조작을 통하여 음식점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의 메뉴 생성 시스템(1)에 액세스하여, 외국어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행한다.
이 입력 조작을 관리 서버(2)에서 수신하면,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는 대응하는 음식점 단말기(3)에 도 6에 나타난 관리 창을 표시하여, 음식점 단말기(3)에서 메뉴 아이템 정보의 입력을 행하게 한다. 먼저,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의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는 관리 창에서 메뉴 아이템명의 입력을 수신한다(S100).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는 메뉴 아이템명의 입력을 일본어와 가타카나로 수신한다.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는 수신한 가타카나로 된 메뉴 아이템명에 근거하여, 일본어로 된 메뉴 아이템명을 로마자로 된 메뉴 아이템명으로 변환한다.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은 가타카나로 된 메뉴 아이템명 대신, 로마자로 된 메뉴 아이템명의 입력을 수신해도 좋다. 이 경우, 가타카나로 된 메뉴 아이템명에서 로마자로 된 메뉴 아이템명으로의 변환은 불필요하다.
예를 들면, 메뉴 아이템이 "마구로노아카후지모리"인 경우,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는 메뉴 아이템명으로서 "まぐろの赤富士盛り(마구로노아카후지모리의 일본어 표기)"와 "マグロノアカフジモリ(마구로노아카후지모리의 가타카나 표기)"의 입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메뉴 아이템명 입력 수신부(200)는 "マグロノアカフジモリ(마구로노아카후지모리의 가타카나 표기)"에 근거하여, 일본어 메뉴 아이템명을 "MAGURONOAKAFUJIMORI"로 변환한다. 도 7은 메뉴 아이템명이 입력된 경우의 관리 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계속해서, 관리 창에 있어서 이미지의 업로드를 위한"업로드"버튼이 선택되면, 메뉴 아이템의 이미지 정보를 업로드 하는 창이 표시된다. 업로드할 이미지 정보가 선택됨으로써, 음식점 단말기(3)로부터 관리 서버(2)로 메뉴 아이템의 이미지 정보가 전송된다.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의 메뉴 아이템 이미지 입력 수신부(201)는 메뉴 아이템의 이미지 정보의 입력을 수신한다(S110). 도 8은 메뉴 아이템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의 관리 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음식점 단말기(3)에서, 관리 창에 있어서 "카테고리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의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는 "카테고리 선택"버튼이 선택되었다는 사실을 수신한다.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는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의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마스터 저장부(230)를 참조하여,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의 선택지를 관리 창에 표시한다. 선택지의 표시 방법은 풀다운 메뉴를 사용하는 방법, 체크 박스를 사용하는 방법, 팝업 창을 사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어떠한 방법이 사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일본 요리"(대분류)의 "해산물 요리"(중분류) 중 "사시미"가 선택되었다면,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는 그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120). 도 9는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가 입력된 경우의 관리 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 입력 수신부(202)가 선택된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를 수신하면,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와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는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에 있어서의 메뉴 아이템 소개 마스터 저장부(231), 식재료 마스터 저장부(232), 조미료 마스터 저장부(233), 조리 방법 마스터 저장부(234)를 참조함으로써, 선택된 메뉴 아이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 소개와 메뉴 아이템 속성으로서의 식재료, 조미료, 조리 방법 등에 각각 대응하는 템플릿 정보를 취득한다(S130).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와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는 이들 템플릿 정보를 관리 창에 표시한다. 도 10은 메뉴 아이템 소개, 메뉴 아이템 속성의 템플릿 정보가 표시된 경우의 관리 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만약 메뉴 아이템 소개, 메뉴 아이템 속성에 대한 템플릿 정보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S140), 메뉴 아이템 소개에 있어서 "편집", "식재료 편집", "조미료 편집", "조리 방법 편집"을 선택함으로써 편집이 가능해 지고, 그 입력이 수신된다(S150). 이 때,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는 일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의 자유로운 입력을 수신한다. 한편, 메뉴 아이템 속성, 즉, 식재료, 조미료, 조리 방법에 대해서는, "식재료 편집", "조미료 편집", "조리 방법 편집"의 선택이 수신되면,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가 메뉴 아이템 마스터 저장부(23)에 있어서의 식재료 마스터 저장부(232), 조미료 마스터 저장부(233), 조리 방법 마스터 저장부(234)를 참조하여, 해당 선택지를 관리 창에 표시함으로써, 그 선택된 선택지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상과 같이, 메뉴 아이템명, 메뉴 아이템 소개, 메뉴 아이템 속성 등의 입력이 메뉴 아이템 정보로서 수신된다.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에서 그 내용이 수정되는 경우에는, 자동 번역부(205)가 메뉴 아이템 소개 처리부(203)에서 수신한 일본어 메뉴 아이템 소개를 미리 정해진 외국어, 예를 들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중국어, 아라비아어 등으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로 자동 번역 처리를 실행한다(S170). 한편, 수정이 없는 경우에는,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206)가 메뉴 아이템 소개에 대응하는 외국어 용어를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235)에서 검색하고 선택된 메뉴 아이템 소개의 외국어 용어를 특정함으로써, 자동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S160).
또한,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206)는 메뉴 아이템 속성 처리부(204)에 의해 수신된 선택에 근거하여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235)를 참조하고, 선택된 메뉴 아이템 속성의 외국어 단어를 특정함으로써 자동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S170).
이상과 같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메뉴 아이템 정보 처리부(20)는 외국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소개와 메뉴 아이템 속성을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21)에 메뉴 아이템 정보로서 저장한다(S180).
실제로 음식점에 외국인이 방문한 경우, 음식점의 종업원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 등으로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관리 서버(2)에 액세스하여, 그 외국인에게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건넨다. 외국인이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스스로 이해 가능한 언어 등을 선택함으로써, 메뉴 아이템 정보 표시부(22)는 메뉴 아이템 목록을 도 11과 같이 표시한다. 이 경우, 일본어와 로마자로 표기된 메뉴 아이템명의 정보와 메뉴 아이템의 사진 정보가 목록 형식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이 목록으로부터 메뉴 아이템명 등을 선택하면,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관리 서버(2)에 대하여 메뉴 아이템 정보의 취득 요청이 행해진다. 메뉴 아이템 정보 표시부(22)는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21)로부터 외국인이 선택한 언어에 대응하여, 선택된 메뉴의 메뉴 아이템 정보를 표시한다. 메뉴 아이템 정보는, 예를 들면, 일본어와 로마자로된 메뉴 아이템명의 정보, 메뉴 아이템 소개가 선택된 언어로 자동 변환 또는 자동 번역된 메뉴 소개의 정보, 식재료, 조미료, 조리 방법 등의 메뉴 아이템 속성이 선택된 언어로 자동 변환된 메뉴 설명의 정보 등이다. 도 12는 표시된 메뉴 아이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뉴 아이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외국어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외국인은 종업원에게 원하는 메뉴 아이템을 직접 주문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 아이템명은 외국인이 일본어로 발음 가능한 로마자로 표시되며, 번역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국인은 일본어 발음으로 주문할 수 있고, 또 종업원도 일본어 발음을 통하여 주문을 알아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종업원이 주문 내용을 잘못 이해할 우려가 적어진다.
선택된 정보는 자동적으로 변환되고, 도 12에 나타난 메뉴 아이템 속성이 선택된 언어로 표시된다. 음식점 별로 자유로운 표현은 불가능하지만, 메뉴 아이템 속성이 통일된 용어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식재료, 조미료, 조리 방법 등에 대하여, 정확성을 유지한 채로 외국인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애매하거나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표기가 없어지므로, 종교나 신념, 건강 등에 따라 금기나 제한의 대상이 되는 식재료를 섭취하게 되는 문제도 없앨 수 있다.
한편, 메뉴 아이템 소개는 음식점에 의한 자유로운 입력이 허용되고, 그 메뉴 아이템 소개는 자동 번역도 허용된다. 이로 인하여, 메뉴 아이템에 대한 음식점의 자유로운 생각을 전달할 여지는 확보되고 있다. 따라서, 음식점 별 독자성을 확보하는 것도 유지할 수 있다.
자동 번역부(205)의 자동 번역 처리 또는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206)의 자동 변환 처리는 사전에 실행되는 것 이외에, 어느 때에나 실행되어도 좋고, 예를 들면, 외국인이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의 표시를 요청한 경우에 처리가 실행되어도 좋다.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206)는 선택된 메뉴 아이템 속성에 대하여 대응하는 외국어 용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어도 좋다. 입력 정보 외국어 단어 변환부(206)는 선택 가능한 메뉴 아이템 속성에 대응하는 외국어 단어를 표시하고 메뉴 아이템 속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메뉴 아이템 속성을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른 제2 실시형태로서, 음식점 정보 제공 사이트가 이용하는 웹 서버와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21)를 연동시켜, 음식점 정보 제공 사이트에서 음식점 또는 메뉴 아이템을 찾기 위한 검색 조건으로서, 메뉴 아이템명, 메뉴 아이템 소개, 메뉴 아이템 속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해도 좋다. 이 경우, 도 13에 모식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는 검색부(24)를 가진다. 또한, 음식점 정보 제공 사이트가 이용하는 웹 서버에 대한 검색 조건의 입력은 음식점 단말기(3) 또는 이용객이 이용하는 컴퓨터로부터 행해 질 수 있다.
검색부(24)는 검색 조건 중 메뉴 아이템명, 메뉴 아이템 소개, 메뉴 아이템 속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그 검색 조건(제1 검색 조건)에 대응하는 외국어 단어를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235)로부터 파악한다. 검색 조건은 음식점 정보 제공 사이트에 입력된다. 또한, 파악된 용어를 검색 조건에 추가하여(제2 검색 조건), 그들 용어를 포함하는 음식점을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21)로부터 검색하여 음식점 정보 제공 사이트에 결과로서 돌려준다.
예를 들어, 검색 조건으로서 "pork"의 입력을 음식점 정보 제공 사이트가 수신하면, 검색부(24)는 음식점 정보 제공 사이트에 입력된 검색 조건 "pork"에 대응하는 외국어 단어, "豚肉"(일본어), "猪肉"(중국어), "schwein"(독일어), "porc"(프랑스어) 등을 대응 외국어 용어 저장부(235)로부터 파악한다. 그리고, 검색부(24)는 "pork", "豚肉", "猪肉", "schwein", "porc"를 새로운 검색 조건으로 하여 그들 용어를 메뉴 아이템 정보에 포함하는 음식점을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21)로부터 검색하여, 해당하는 음식점을 음식점 정보 제공 사이트에 검색 결과로서 돌려준다.
이 경우, 검색 결과로서 표시될 음식점의 메뉴 아이템 정보는 음식점 정보 제공 사이트에 입력된 검색 조건의 언어(제1 검색 조건)와 동일한 언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표시하면 된다. 즉, 검색된 음식점의 메뉴 아이템 정보에 검색 조건 "pork"가 아닌 검색 조건"豚肉"(제2 검색 조건)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일본어 메뉴 아이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영어 메뉴 아이템 정보가 메뉴 아이템 정보 저장부(21)로부터 추출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색부(24)를 마련함으로써, 외국인에게 적절한 메뉴 아이템을 제공하는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음식점 정보 제공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종교상, 신념상의 이유에 의하여 식재료 등의 금기나 제한의 대상이 있는 경우, 그 원칙 등을 충족시키는 음식점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메뉴 생성 시스템(1)을 이용함으로써, 외국어에 능통한 종업원이 없는 경우에도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외국인에게 메뉴 아이템을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식재료나 조리 방법 등을 정확하게 메뉴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이용객과의 사이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낮아진다. 또한, 메뉴 아이템명은, 외국인이라도 그 메뉴 아이템명을 제1 언어로 발음 가능하도록 하는 표기로 표시되므로, 오주문의 가능성도 낮아진다.

Claims (6)

  1. 다언어로 음식점의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생성 시스템으로서,
    메모리; 및
    처리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메뉴 아이템들이 속할 수 있는 메뉴 카테고리로서,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계층화된 메뉴 카테고리,
    메뉴 아이템들에 이용되는 복수의 식재료, 메뉴 아이템들에 이용되는 복수의 조미료, 또는 메뉴 아이템들의 복수의 조리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 속성,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 속성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언어로 된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간의 언어 대응 관계, 및
    상기 메뉴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가 속하는 메뉴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 속성
    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2 언어의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제1 언어의 메뉴 생성 관리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메뉴 생성 관리 화면은 메뉴 아이템명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메뉴 아이템 화상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영역, 메뉴 카테고리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3 영역, 및 메뉴 아이템 속성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메뉴 생성 관리 화면의 상기 메뉴 아이템명 입력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1 언어의 메뉴 아이템명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2 영역 내에 메뉴 아이템 화상 입력 조작 개소의 화상 표현을 제공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 화상 입력 조작 개소의 화상 표현의 조작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3 영역 내에 메뉴 카테고리 입력 조작 개소의 화상 표현을 제공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메뉴 카테고리 입력 조작 개소의 화상 표현의 조작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메뉴 카테고리 입력 조작 개소의 화상 표현의 조작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메뉴 카테고리 입력 영역 내에 상기 제1 언어의 제1 복수 선택지로서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의 계층화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메뉴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메뉴 생성 관리 화면의 상기 메뉴 카테고리 입력 영역 내에 상기 제1 언어의 상기 제1 복수 선택지로서 표시된 상기 복수의 메뉴 카테고리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1 언어의 메뉴 카테고리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언어의 상기 메뉴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언어의 상기 선택된 메뉴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 속성에 포함되는 제1 언어의 메뉴 아이템 속성의 선택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의 선택지 각각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제1 언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언어 간의 상기 대응 관계를 갖고,
    상기 정보 단말기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1 언어의 사용 가능한 메뉴 아이템 속성의 상기 추출된 선택지를, 상기 메뉴 생성 관리 화면의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입력 영역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언어의 제2 복수 선택지로서 제공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메뉴 생성 관리 화면의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입력 영역에 상기 제1 언어의 상기 제2 복수 선택지로서 표시된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의 선택지 중에서 상기 제1 언어의 메뉴 아이템 속성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언어의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의 선택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언어의 선택된 메뉴 아이템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언어의 메뉴 아이템 속성을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수신된 상기 제1 언어로 된 메뉴 아이템명을, 상기 제1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도 상기 제1 언어로 발음이 가능한 표기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언어의 상기 수신된 메뉴 아이템명, 메뉴 아이템 속성 및 상기 변환된 메뉴 아이템명과, 상기 제2 언어의 상기 결정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처리와,
    상기 제1 언어로 된 복수의 메뉴 아이템명과, 상기 제1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도 상기 제1 언어로 발음이 가능한 각각의 메뉴 아이템명의 표기를 제1 화면에 리스트하는 정보 단말기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템으로부터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상기 제2 언어로의 표시를 요구하는 표시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을 취득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 단말기로, 상기 제1 언어로 된 상기 수신된 메뉴 아이템명과 상기 메뉴 아이템 화상과, 상기 수신된 메뉴 아이템명에 선택된 제1 언어의 메뉴 카테고리로부터 자동으로 결정된 제2 언어의 메뉴 카테고리와, 상기 취득된 메뉴 아이템 속성으로부터 결정된 제2 언어의 메뉴 아이템 속성을 사용하여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반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2 처리
    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메뉴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각의 메뉴 카테고리와 상기 메뉴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간의 템플릿 대응 관계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복수의 메뉴 카테고리 중으로부터 선택된 메뉴 카테고리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템플릿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메뉴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도록 더 구성되는, 메뉴 생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각의 메뉴 카테고리와 상기 메뉴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메뉴 소개 간의 상기 템플릿 대응 관계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템플릿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선택된 메뉴 카테고리와 연관된 상기 메뉴 소개를 판독하도록 더 구성되는, 메뉴 생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언어로 된 상기 템플릿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메뉴 소개 또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에 대한 수정 요청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메뉴 생성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의 상기 수정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 중에서 상기 제1 언어로 된 선택된 메뉴 아이템 속성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언어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언어로 된 상기 수신된 메뉴 아이템 속성을 상기 제2 언어로 된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메뉴 소개의 상기 수정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언어로 된 수신된 메뉴 소개를 상기 제2 언어로 된 상기 메뉴 소개로 자동으로 번역하도록 더 구성되는, 메뉴 생성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각의 음식점에 대해 상기 메뉴 아이템들 및 상기 메뉴 아이템에 연관되는 상기 메뉴 아이템 속성을 포함하는 메뉴 아이템 정보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처리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음식점을 지정하는 음식점 지정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지정된 음식점에 연관되는 복수의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반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메뉴 생성 시스템.
KR1020227034918A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시스템 KR202201530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3139 2014-09-30
JPJP-P-2014-213139 2014-09-30
PCT/IB2015/001721 WO2016051252A1 (en) 2014-09-30 2015-09-29 Menu generation system
KR2020227000053U KR20220002411U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7000053U Division KR20220002411U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044A true KR20220153044A (ko) 2022-11-17

Family

ID=5436439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7000033U KR200495956Y1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시스템
KR2020227000053U KR20220002411U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장치
KR1020227034918A KR20220153044A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시스템
KR1020197015461A KR20190062624A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시스템
KR1020177008465A KR20170046749A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시스템
KR1020207009921A KR20200039022A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7000033U KR200495956Y1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시스템
KR2020227000053U KR20220002411U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461A KR20190062624A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시스템
KR1020177008465A KR20170046749A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시스템
KR1020207009921A KR20200039022A (ko) 2014-09-30 2015-09-29 메뉴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86275B2 (ko)
EP (1) EP3201796A1 (ko)
KR (6) KR200495956Y1 (ko)
CN (1) CN107851094A (ko)
DE (1) DE202015009333U1 (ko)
HK (1) HK1251309A1 (ko)
SG (1) SG11201703359SA (ko)
TW (1) TWI718997B (ko)
WO (1) WO2016051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68503A1 (en) * 2017-03-15 2018-09-20 Manav C. PARIKH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choice
JP6328306B1 (ja) * 2017-09-04 2018-05-23 株式会社マコエンタープライズ 献立表示方法、献立表示装置、及び献立表示プログラム
KR102294922B1 (ko) * 2019-11-08 2021-08-30 정형철 음식점 위치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18298B1 (ko) * 2022-01-06 2022-07-07 (주) 바우디움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1253A (ja) 1991-11-29 1993-06-18 Canon Inc 文書検索装置
JP3281639B2 (ja) 1992-05-26 2002-05-13 三洋電機株式会社 文書検索システム
US5832446A (en) * 1993-03-31 1998-11-03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Interactive database method and system for food and beverage preparation
JPH1049185A (ja) 1996-08-05 1998-02-20 Olympus Optical Co Ltd メニュー解説装置
JP4118470B2 (ja) * 1999-08-30 2008-07-1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メール装置,電子メール送信方法及び記録媒体
US6384850B1 (en) 1999-09-21 2002-05-07 Ameranth Wireless Information management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s system with menu generation
JP2002288170A (ja) * 2001-03-23 2002-10-04 Evidence:Kk 多言語間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
JP2002297733A (ja) 2001-03-30 2002-10-11 Fujitsu Ltd 接客支援端末、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20038671A (ko) * 2002-05-07 2002-05-23 조남녀 인터넷을 이용한 다국어 메뉴판 제작 / 인쇄 시스템
US7366653B2 (en) * 2003-12-22 2008-04-29 Siebel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tring translation
US20060080605A1 (en) * 2004-10-12 2006-04-13 Delta Electronics, Inc. Language editing system for a human-machine interface
CN1838168A (zh) * 2006-04-27 2006-09-27 上海交通大学 多语种智能无线图像点菜系统
US7801721B2 (en) * 2006-10-02 2010-09-21 Google Inc. Displaying original text in a user interface with translated text
US8799307B2 (en) * 2007-05-16 2014-08-05 Google Inc. Cross-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
US20090018961A1 (en) * 2007-07-10 2009-01-15 7G Inc. Custom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personalized merchant rewards program
US8423346B2 (en) * 2007-09-05 2013-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ve machine translation
JP2009134588A (ja) 2007-11-30 2009-06-18 Value Contents:Kk データ送信システム
US20090240591A1 (en) * 2008-03-22 2009-09-24 Kevork Wartersian Restaurant menu
CN101620530A (zh) * 2008-07-04 2010-01-06 朱曼平 一种菜单编辑系统
KR101008558B1 (ko) * 2008-10-09 2011-01-14 (유)엔와이텔 메뉴판제작시스템 및 전자메뉴판을 이용한 음식주문시스템
KR101071753B1 (ko) 2009-05-21 2011-10-11 (주)셈투유 음식 메뉴 선택 및 설명 시스템
KR101122023B1 (ko) 2009-11-02 2012-03-09 (주)옥토랩 멀티링구얼 정보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R2956497B1 (fr) * 2010-02-16 2013-10-11 Serge Omar Menu electronique multilangue
US20120323707A1 (en) * 2011-06-14 2012-12-20 Urban Translations, LLC. Multi-Language Electronic Menu System and Method
JP2013101450A (ja) * 2011-11-08 2013-05-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159108A1 (en) * 2011-12-16 2013-06-20 Rejean Desrosiers Map-based menu information network
JP5938897B2 (ja) * 2011-12-27 2016-06-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情報表示方法
US8903708B2 (en) * 2012-02-10 2014-12-02 Microsoft Corporation Analyzing restaurant menus in view of consumer preferences
JP5816398B2 (ja) 2012-02-24 2015-11-18 株式会社タック 飲食店用券売機を用いた料理提供システム
US9799069B2 (en) * 2012-04-26 2017-10-24 Stacked Restaurants, LLC Graphical dining interface
US9087046B2 (en) * 2012-09-18 2015-07-21 Abbyy Development Llc Swiping action for displaying a translation of a textual image
SE1200542A1 (sv) * 2012-10-12 2014-04-13 Benny Stolperud Elektronisk portabel restaurang meny
CN103810993B (zh) * 2012-11-14 2020-07-1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文本注音方法及装置
US20140222413A1 (en) * 2013-02-01 2014-08-07 Klip, Inc.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anguage translations using touch sensitive display screens
KR20140100208A (ko) 2013-02-06 2014-08-14 나무커뮤니케이션즈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메뉴 애플리케이션
US20140280295A1 (en) * 2013-03-14 2014-09-18 Microsoft Corporation Multi-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 and advertising
US20140282265A1 (en) * 2013-03-15 2014-09-18 Ronald Shaich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on of food orders
JP5449633B1 (ja) 2013-03-22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広告翻訳装置、広告表示装置、および広告翻訳方法
JP5422775B1 (ja) 2013-09-02 2014-02-19 敏充 茂木 注文受付管理装置、注文入力端末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50154690A1 (en) * 2013-12-03 2015-06-04 Chul Park Interactive electronic menu, ordering, monitoring and pay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3793364B (zh) * 2014-01-23 2018-09-0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对文本进行自动注音处理及显示的方法和装置
JP2015194857A (ja)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Creative Fantasy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83801B1 (ko) 2016-01-20 2016-12-08 (주)프람트테크놀로지 피봇언어를 사용한 음식점 메뉴 번역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1309A1 (zh) 2019-01-25
WO2016051252A1 (en) 2016-04-07
CN107851094A (zh) 2018-03-27
TWI718997B (zh) 2021-02-21
KR20190062624A (ko) 2019-06-05
EP3201796A1 (en) 2017-08-09
KR200495956Y1 (ko) 2022-09-29
US20170315989A1 (en) 2017-11-02
DE202015009333U1 (de) 2017-03-06
KR20200039022A (ko) 2020-04-14
US11386275B2 (en) 2022-07-12
SG11201703359SA (en) 2017-05-30
KR20220002411U (ko) 2022-10-07
TW201612837A (en) 2016-04-01
KR20210001282U (ko) 2021-06-09
KR20170046749A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956Y1 (ko) 메뉴 생성 시스템
JP6790413B2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生成方法及び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CN104200409A (zh) 一种口味选择信息同应用对象的匹配方法
CN116416091A (zh) 菜单生成系统
JP6261639B2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
WO2017018410A1 (ja) 料理内容提供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料理内容提供プログラム
JP5898365B1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
TW201734934A (zh) 菜單資訊提供系統、菜單資訊提供方法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記錄媒體菜單資訊提供程式
JP6539962B2 (ja) 情報提示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3037461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545112B2 (ja) コンピュータ、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提示方法
JP2018120513A (ja) 飲食店用多言語表示システムおよび飲食店案内システム
JP6810362B2 (ja) コンピュータ、メニュー提示方法、プログラム
JP6899311B2 (ja) コンピュータ,変換システム,変換方法,プログラム
JP7248928B2 (ja) 料理情報を提供するシステム、端末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66615B2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生成方法及び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JP6798387B2 (ja) 多言語変換システム、多言語変換方法及び多言語変換プログラム
CN111133436A (zh) 菜单生成系统、菜单生成方法及存储菜单生成程序的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916909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50604A (ja) レシピ情報処理装置、レシピ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66886A (ja) 料理レシピ表示システム及び料理レシピ表示方法
KR102110766B1 (ko) 음식 적합도에 기초한 요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57764A (ko) 스마트 메뉴판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