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298B1 -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298B1
KR102418298B1 KR1020220002240A KR20220002240A KR102418298B1 KR 102418298 B1 KR102418298 B1 KR 102418298B1 KR 1020220002240 A KR1020220002240 A KR 1020220002240A KR 20220002240 A KR20220002240 A KR 20220002240A KR 102418298 B1 KR102418298 B1 KR 10241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out
plan
structured document
record
layo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영
Original Assignee
(주) 바우디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우디움 filed Critical (주) 바우디움
Priority to KR102022000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298B1/ko
Priority to PCT/KR2022/009929 priority patent/WO20231324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서에는 구조화 문서(structured document)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그 방법은, 구조화 문서 생성 요청에 응하여, 컴퓨팅 장치가,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 및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에 대하여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1의 레이아웃인 레벨 레이아웃(level layout)들 중 하나인 비망록을 포함하는 상기 구조화 문서를 신규 생성하여 보유함, 레벨 레이아웃 추가 요청에 응하여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깊이 1의 레이아웃에 해당하는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 구조화 문서 열람 요청에 응하여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레이아웃들을 열람에 제공함, 및 문서 수정 요청에 응하여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개별 레이아웃을 수정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METHOD FOR MANAGING A PLAN OF USER BASED ON STRUCTURED DOCUMEN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개시서에는 구조화 문서(structured document)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그 방법은, 구조화 문서 생성 요청에 응하여, 컴퓨팅 장치가,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 및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에 대하여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1의 레이아웃인 레벨 레이아웃(level layout)들 중 하나인 비망록을 포함하는 상기 구조화 문서를 신규 생성하여 보유함, 레벨 레이아웃 추가 요청에 응하여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깊이 1의 레이아웃에 해당하는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 구조화 문서 열람 요청에 응하여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레이아웃들을 열람에 제공함, 및 문서 수정 요청에 응하여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개별 레이아웃을 수정함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의 발달에 힘입어,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방법들 중 다수는 프랭클린 플래너의 디지털 대체물에 지나지 않는 한계가 있는바, 예컨대, 어느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계획 문서 중 일부를 타인이 열람, 복제 및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공유 기능, 즉, 재활용성이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그러한 디지털 대체물에서 다뤄지는 문서들이, 예컨대, 상용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경우, 한 쌍의 시작점과 끝점을 가진 단일 문서(예컨대, BLOB 등)로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문서가 커지면 커질수록 그 전체를 읽어들이는 데 많은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사용자 계획 관리 기술은 사용자에게 일정한 구조를 가진 구조화 문서(structured document)의 이점을 제공하면서도 그 계획 문서의 작성에 관한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하기 어려운데, 사람마다 가변적인 설계를 '구조'에 관한 데이터로서 타인에게 전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JP 2010-176319 A
따라서 본 개시서의 발명은 다음과 같이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일 문서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그 전체를 읽어들이는 데 많은 부하가 발생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단일 문서를 여러 부분으로 분리하여 구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조의 설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별도의 기록으로 유지하여 문서 구조를 사람마다 가변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문서의 각 부분마다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컨대, 본 발명은, 저장소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도 사용자의 계획을 담은 구조화 문서를 쉽게 생성, 추가, 삭제, 열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개시서의 일 태양에 따르면, 구조화 문서(structured document)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상기 구조화 문서는 0의 깊이(depth)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레이아웃(top layout)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화 문서는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레이아웃을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하되, 상기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이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구조화 문서는,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서 1 이상의 깊이 n을 가지는 모든 레이아웃 각각이 n-1의 깊이를 가지는 하나의 레이아웃에 포함됨을 표시하는 각각의 포함 관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구조화 문서 생성 요청에 응하여, 컴퓨팅 장치가,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 및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에 대하여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1의 레이아웃인 레벨 레이아웃(level layout)들 중 하나인 비망록을 포함하는 상기 구조화 문서를 신규 생성하여 보유함; 레벨 레이아웃 추가 요청에 응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깊이 1의 레이아웃에 해당하는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 구조화 문서 열람 요청에 응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레이아웃들을 열람에 제공함; 및 문서 수정 요청에 응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개별 레이아웃을 수정함을 포함하되, 상기 비망록은, 상기 계획의 주체인 진행자 및 상기 계획의 종체(follower)인 참여자 중 적어도 진행자를 포함하는 주체 요소, 상기 계획의 목표를 포함하는 목표 요소, 및 상기 계획의 시변적 요소에 속한 진행 상황을 상기 비망록에 대하여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2의 레이아웃인 구성 레이아웃(component layout)들로서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망록은 상기 계획의 식별을 위한 아이콘(icon)을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기록장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기록장은, 상기 계획의 상기 시변적 요소에 속한 요소들로서 공유 가능한 기록인 공유 기록, 공유되지 아니하는 기록인 비공유 기록 및 상기 계획의 진행 과정에 관한 기록인 진행 과정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일정기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일정기록은, 상기 계획이 진행되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요소 및 상기 계획이 진행되는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한다.
유리하게,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과정기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과정기록은, 상기 계획의 상기 시변적 요소에 속한 요소들로서 상기 계획의 진행 시작 시점의 환경에 관한 기록인 시작 환경, 상기 계획의 진행 완료 시점의 환경에 관한 기록인 목표 환경, 및 상기 계획의 진행에 관한 절차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준비기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준비기록은, 상기 계획에 이용되는 객체 요소로서 상기 계획에 따라 소비 또는 변형될 대상인 재료, 상기 계획에 이용될 대상인 도구, 상기 계획에 실행에 요구되는 자격, 상기 계획에 동원되는 인력 및 상기 계획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요소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한다.
유리하게,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안내서를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안내서는, 상기 계획에 필요한 전제 조건, 및 상기 계획에 관한 지침인 계획 지침을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함으로써 상기 열람에 제공되는 문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회고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회고록은, 상기 계획의 실제 결과를 나타낸 결과 요소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구조화 문서(structured document)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컴퓨팅 장치가 제공되는바, 상기 구조화 문서는 0의 깊이(depth)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레이아웃(top layout)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화 문서는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레이아웃을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하되, 상기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이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구조화 문서는,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서 1 이상의 깊이 n을 가지는 모든 레이아웃 각각이 n-1의 깊이를 가지는 하나의 레이아웃에 포함됨을 표시하는 각각의 포함 관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구조화 문서 생성 요청, 레벨 레이아웃 추가 요청, 구조화 문서 열람 요청, 및 문서 수정 요청을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구조화 문서 생성 요청에 응하여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 및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에 대하여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1의 레이아웃인 레벨 레이아웃(level layout)들 중 하나인 비망록을 포함하는 상기 구조화 문서를 신규 생성하여 보유하는 프로세스, 상기 레벨 레이아웃 추가 요청에 응하여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깊이 1의 레이아웃에 해당하는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하는 프로세스, 상기 구조화 문서 열람 요청에 응하여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레이아웃들을 열람에 제공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문서 수정 요청에 응하여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개별 레이아웃을 수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비망록은, 상기 계획의 주체인 진행자 및 상기 계획의 종체(follower)인 참여자 중 적어도 진행자를 포함하는 주체 요소, 상기 계획의 목표를 포함하는 목표 요소, 및 상기 계획의 시변적 요소에 속한 진행 상황을 상기 비망록에 대하여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2의 레이아웃인 구성 레이아웃(component layout)들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있어서 계획의 수립, 공유, 재활용 등이 용이해지며, 특히, 계획을 담은 구조화 문서의 취급이 효율적이면서도 그 구조에 충분한 가변성 혹은 유연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은 별개의 발명에 이를 정도의 노력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라 구조화 문서(structured document)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이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이라 함)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개시서에서 다뤄지는 구조화 문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서에서 다뤄지는 구조화 문서에 포함되는 최상위 레이아웃, 레벨 레이아웃들, 구성 레이아웃들 및 값 레이아웃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서에 따른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서에 따른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계획을 담고 있는 구조화 문서의 레벨 레이아웃들의 일반적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예시적 계획들을 담고 있는 구조화 문서들을 나타낸 블록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하는바, 어떠한 순서도 시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서에서 "구조화 문서"는 서로 포함 관계로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개별 문서들인 레이아웃(layout)들을 포함하는 문서 묶음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포함 관계는 개념적으로 상하위 관계와 동치의 것이다. 편의 상, 본 개시서에서 어느 레이아웃 A가 다른 레이아웃 B를 포함할 때, 그 다른 레이아웃 B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A를 레이아웃 B의 "부모 레이아웃"이라고 지칭할 수 있고, 레이아웃 A에 포함되는 레이아웃 B를 문서 A의 "자식 레이아웃"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를 확장하여, 부모 레이아웃, 부모 레이아웃의 부모 레이아웃, 부모 레이아웃의 부모 레이아웃의 부모 레이아웃 등을 "조상 레이아웃"이라고 지칭하고, 자식 레이아웃, 자식 레이아웃의 자식 레이아웃, 자식 레이아웃의 자식 레이아웃의 자식 레이아웃 등을 "자손 레이아웃"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서에서 "환경"은 "어느 행위 또는 작용의 주체 및 객체를 비롯하여 그 행위 또는 작용에 의한 변화의 대상이 되는 모든 것"을 망라하는 개념이다. 이에 따르면, 본 개시서에서 "시작 환경"은 행위 또는 작용을 시작하는 시점에 갖춰진 환경을 지칭하는 개념인바, 예컨대, 요리를 하는 행위의 시작 환경은, (i) 조리 도구가 갖춰져 있는 공간, (ii) 요리에 이용되는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요리를 하는 행위의 목표 환경은, (i) 요리에 이용된 후 정리된 공간, (ii) 요리의 결과물로서 만들어진 음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환경은 행위 또는 작용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는 것들, 즉, 가변성을 가진 것들의 총칭으로 이용된 용어임을 본 개시서를 읽은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어느 주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 즉, 주체의 이동 행위, 어느 주체가 기술을 익히는 것, 즉, 그 주체의 학습 행위 등도 그러한 "변화"에 속한 것인바, "환경"의 변화로서 기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개시서에 표시된 실시 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른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미도시)와 직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팅 장치(100)는,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storage),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는 하드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와 같은 기억 장치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 기반의 저장 장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11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 예컨대 전용의 저장소,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과의 사이에서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세션(session)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바, 예컨대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데이터 버스(data bus)와 같은 여러 버스,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와 같이 적합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 컴퓨팅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덧붙여, 넓은 의미에서 상기 통신부(110)는 명령어 또는 지시 등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 장치, 인쇄 장치, 디스플레이, 기타 외부 출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연동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 예컨대, 휴대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이나 서버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내장하거나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그러한 디스플레이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120)는 캐시 메모리(cache memory)와 같은 내부 메모리 및/또는 외부 메모리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MPU(micro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TPU(tensor processing unit)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컴퓨터,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개시서에 따른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을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개시서에서 다뤄지는 구조화 문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서에서 다뤄지는 구조화 문서에 포함되는 최상위 레이아웃 및 레벨 레이아웃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에서 구조화 문서가 생성, 수정, 삭제 등 변경되는 과정이 도 3에 예시되어 있는바, 이들 과정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구조화 문서(200)는 0의 깊이(depth)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레이아웃(top layout; 210)을 포함한다. 최상위 레이아웃은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그 최상위 레이아웃이 다른 레이아웃에 포함되면, 그 다른 레이아웃이 새로운 최상위 레이아웃이 됨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문서의 깊이는 0 이상인 음이 아닌 정수(non-negative integer) 값을 가진다.
구조화 문서가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어떠한 레이아웃도 포함하지 않을 때 그 구조화 문서를 자명한(trivial) 구조화 문서라고 지칭할 수 있고,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예컨대, 222 내지 228)를 포함할 때 비자명한(non-trivial) 구조화 문서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2a의 예시를 참조하면, 깊이 1의 레이아웃들(220 내지 250)이 깊이 0의 레이아웃(210)에 포함되어 있다.
즉, 구조화 문서(200)는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레이아웃을 선택적(optionally)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조화 문서(200) 내에서 1 이상의 깊이 n을 가지는 모든 레이아웃 각각은 n-1의 깊이를 가지는 하나의 문서에 포함되어야 한다. 구조화 문서 내 개별 레이아웃들 간의 포함 관계는 '포함 관계'라는 데이터로 구조화 문서(200)에 포함된다.
도 2b의 예시를 참조하면, 후술하는 구조화 문서(300)의 일 부분(200a)으로서, 깊이 1의 비망록에 포함된 깊이 2의 아이콘에 해당하는 아이콘 레이아웃(210a)이 예시되어 있는바, 아이콘 레이아웃(210a)은 그 아이콘의 이미지를 내용으로서 포함하는 이미지 레이아웃(220a), 그 아이콘의 명칭 혹은 이름을 내용으로서 포함하는 이름 레이아웃(230b) 및 그 아이콘을 설명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설명 레이아웃(240a) 중 적어도 이미지 레이아웃(220a)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든 레이아웃은, 그 요소로서 기본틀, 레코드(record) 및 지침을 포함할 수 있는바, 도 2c의 예시를 참조하면, 아이콘 레이아웃(210a)은 그 요소로서 기본틀(212a), 록(214a), 및 지침(216a)을 포함한다. 레코드(214a)는 그 내용으로서 해당 레이아웃(210a)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자식 레이아웃들(220a, 230a, 240a) 각각을 사용할 것인지 그렇지 않을 것인지, 그 사용 또는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값, 예컨대, 불 값(Boolean value)들 및 해당 레이아웃(210a)을 표시하는 때 이에 속한 자식 레이아웃들(220a, 230a, 240a)을 표시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값인 표시 순서값, 예컨대, 정수 값(integer value)들을 포함하며, 그 초기값들은 기본틀(212a)에 의해 정해진 바와 같다. 즉, 기본틀(212a)은 불변(invariable)이며, 레코드(214a)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변적(variable)이다. 지침(216a)에는 그 내용으로서 아이콘 레이아웃(210a)의 설정, 그 요소들, 즉, 기본틀(212a) 및 레코드(214a)의 설정, 그리고/또는 아이콘 레이아웃(210a)의 자식 레이아웃의 설정에 관한 설명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d의 예시를 참조하면, 이미지 레이아웃(240a)이 그 요소로서 기본틀(242a), 레코드(244a), 및 지침(246a)을 포함한다. 기본틀(242a)에는 그 내용으로서 예시 이미지 또는 기본 이미지가 포함되며, 레코드(244a)에는 그 내용으로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이미지가 포함된다. 지침(246a)에는 레코드(244a)의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식에 관한 설명 내용이 포함된다.
도 3은 본 개시서에서 다뤄지는 구조화 문서에 포함되는 최상위 레이아웃(310), 레벨 레이아웃들(320), 구성 레이아웃들(330) 및 값 레이아웃들(34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최상위 레이아웃(310)은 깊이 0의 레이아웃이며, 이에 포함되는 레벨 레이아웃들(320)은 깊이 1의 레이아웃들이다. 구성 레이아웃들(330)은 깊이 2의 레이아웃들로서 레벨 레이아웃들(320)에 포함되는, 레벨 레이아웃들(320)의 자식 레이아웃들이다. 또한, 값 레이아웃들(340)은, 깊이 3의 레이아웃들로서 구성 레이아웃들(330)에 포함되는, 구성 레이아웃들(330)의 자식 레이아웃들이다. 앞서 예시로 든 아이콘 레이아웃(210a)은 구성 레이아웃에 해당하고, 이에 포함된 이미지 레이아웃(220a), 이름 레이아웃(230b) 및 설명 레이아웃(240a)은 값 레이아웃에 해당하며, 아이콘 레이아웃(210a)의 부모 레이아웃인 비망록은 레벨 레이아웃에 해당하는바, 이에 관하여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개시서에 따른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서에 따른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계획을 담고 있는 구조화 문서의 레벨 레이아웃들의 일반적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은, 컴퓨팅 장치(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생성 모듈(410)이, 구조화 문서 생성 요청에 응하여, 하나의 최상위 레이아웃 및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에 대하여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1의 첫 레이아웃(레벨 레이아웃; level layout)인 비망록을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를 신규 생성하여 컴퓨팅 장치(100)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컴퓨팅 장치(100)에 연동되는 소정의 저장소(420)에 보유함(S100)을 포함한다. 즉, 도 4에 예시된 구성요소들 중 저장소(420)는 문서 생성 모듈(410), 문서 열람 모듈(430), 문서 수정 모듈(440)과 동일한 컴퓨팅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으나, 별도의 컴퓨팅 장치(100'; 미도시), 예컨대, 서버에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비망록(620)은, 비망록(620)의 자식 레이아웃들인 깊이 2의 구성 레이아웃들(621 내지 625)로서, (i) 계획의 주체인 진행자(623) 및 상기 계획의 종체(follower)인 참여자(624) 중 적어도 진행자를 포함하는 주체 요소, (ii) 상기 계획의 목표를 포함하는 목표 요소(621), 및 (iii) 상기 계획의 시변적 요소에 속하는 진행 상황(622)을 포함할 수 있다.
진행 상황(622)은, 예컨대, 등록(registered) 및 완료(completed)를 포함하고, 예약(reserved), 진행 중(in progress), 취소(cancelled) 및 연기(postponed)를 포함하는 집합의 부분 집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망록은 상기 계획의 식별을 위한 아이콘(625)을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앞서 도 2b 내지 도 2d로 예시된 바와 같다.
또한,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은, 컴퓨팅 장치(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생성 모듈(410)이, 레벨 레이아웃(깊이 1) 추가 요청에 응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깊이 1의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S200)을 더 포함한다.
도 6a에 구조화 문서(600) 내 최상위 레이아웃(610) 및 그 자식 레이아웃들인 레벨 레이아웃들(620 내지 680)이 예시되어 있다. 구조화 문서(600)의 신규 생성(S100) 시, 구조화 문서(600)의 최상위 레이아웃(610)에 첫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비망록(620)이 포함되며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비망록의 자손 레이아웃들(621 내지 625)이 함께 생성되는 바와 같이, 신규 레벨 레이아웃이 추가(S200)되는 때에, 그 신규 레벨 레이아웃의 자손 레이아웃들도 함께 추가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예시적 계획들을 담고 있는 구조화 문서들을 나타낸 블록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e에 예시된 개별 구조화 문서들은 여러 레벨 레이아웃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각 도면에서 각각의 최상위 레이아웃에 포함되어 사용되거나 활성화된 레벨 레이아웃들은 실선으로 표현되었으며, 최상위 레이아웃에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더라도 활성화되지 않은 레벨 레이아웃들은 점선으로 표현되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S200)은, 도 6c에 도시된 타 레벨 레이아웃인 기록장(630)을 추가함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장(630)은 상기 계획의 상기 시변적 요소에 속한 요소들로서 공유 가능한 기록인 공유 기록(631), 공유되지 아니하는 기록인 비공유 기록(632) 및 상기 계획의 진행 과정에 관한 기록인 진행 과정 기록(633)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631 내지 633)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공유 기록(631)은 참여자(624) 간에 공유되도록 다뤄지는 기록이며, 비공유 기록(632)은 그것의 작성자인 사용자만 볼 수 있도록 다뤄지는 기록이다. 진행 과정 기록(633)은 계획의 일지(journal)로서 계획의 진행 과정 중 추가로 필요한 정보, 예컨대, 순서, 시간 등을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작성하는 기록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참여자 간의 공유가 가능하다. 문서의 일부분인 레이아웃의 공유, 비공유 및 선택적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들의 구성에 관하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은바, 그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는 데 불필요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에 예시된 구조화 문서(700a)를 참고하면, 그 최상위 레이아웃(710a)은, '저녁 준비'를 목표 요소(621)로서 포함하는 비망록(720a)을 포함하며, '돼지 두루치기 먹을까?'를 비공유 기록(632)으로서 포함하는 기록장(730a)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S200)은, 도 6d에 도시된 타 레벨 레이아웃인 일정기록(640)을 추가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기록(640)은, 상기 계획이 진행되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요소(641) 및 상기 계획이 진행되는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요소(642)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641 및 642)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요소(641)는 더 세부적으로 시작 시간, 종료 시간, 기한, 수행 필요 시간(work hour), 진행 시간(dur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에 예시된 구조화 문서(700b)를 참조하면, 그 최상위 레이아웃(710b)은, '친구를 만난다'를 목표 요소(621)로서 포함하는 비망록(720b)을 포함하며, '오늘 저녁 7시'를 시간 요소(641)로서, '동네 PC 방에서'를 위치 요소(642)로서 포함하는 일정기록(740b)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S200)은, 도 6e에 도시된 타 레벨 레이아웃인 과정기록(650)을 추가함을 포함할 수 있다. 과정기록(650)은, 상기 계획의 상기 시변적 요소에 속한 요소들로서 상기 계획의 진행 시작 시점의 환경에 관한 기록인 시작 환경(651), 상기 계획의 진행 완료 시점의 환경에 관한 기록인 목표 환경(652), 및 상기 계획의 진행에 관한 절차(653)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651 내지 653)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환경(651)의 예시에는 '계획 실행 대상으로서의 환자', '계획 실행 대상으로서의 학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목표 환경(652)의 예시에는 '완치된 환자', '성적이 향상된 학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c에 예시된 구조화 문서(700c)를 참조하면, 그 최상위 레이아웃(710b)은, '12월 임대료 납부'를 목표 요소(621)로서 포함하는 비망록(720c)을 포함하며, '공동인증서를 갱신해야 할 수도 있는데…?'를 비공유 기록(632)으로서 포함하는 기록장(730c)을 더 포함하고, '12월 말일'을 시간 요소(641)로서 포함하는 일정기록(740c)을 더 포함하며, '은행 기업용 앱을 연다. (…중략…) 완료된 내역을 확인한다.'를 절차(653)로서 포함하는 과정기록(750c)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S200)은, 도 6f에 도시된 타 레벨 레이아웃인 준비기록(660)을 추가함을 포함할 수 있다. 준비기록(660)은, 상기 계획에 이용되는 객체 요소로서 상기 계획에 따라 소비 또는 변형될 대상인 재료(661), 상기 계획에 이용될 대상인 도구(662), 상기 계획에 실행에 요구되는 자격(663), 상기 계획에 동원되는 인력(664) 및 상기 계획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소(66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요소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661 내지 665)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661)의 예시에는 요리 재료뿐만 아니라 비행기표, 주민등록등본, 등기부등본과 같은 서류가 포함될 수 있고, 도구(662)의 예시에는 드라이버, 드릴, 장갑 등의 장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자격(663)의 예시에는 변리사, 회계사, 세무사, 법무사, 변호사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인력(664)의 예시에는 건장한 성인 남성 3명이 포함될 수 있으며, 장소(665)의 예시에는 회의실, 콘서트홀, 촬영 장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도 7a에 예시된 구조화 문서(700a)를 참조하면, 그 최상위 레이아웃(710a)은, '돼지 고기, 고추장'을 재료(661)로서 포함하는 준비기록(760a)을 더 포함한다.
또한, 도 7c에 예시된 구조화 문서(700c)를 참조하면, 그 최상위 레이아웃(710c)은, '보내야 할 비용'을 재료(661)로서 포함하고, '보낼 계좌 번호/수취인, (…중략…) OTP'를 도구(662)로서 포함하는 준비기록(760c)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S200)은, 도 6g에 도시된 타 레벨 레이아웃인 안내서(670)를 추가함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670)는, 상기 계획에 필요한 전제 조건(671), 및 상기 계획에 관한 지침인 계획 지침(672)을 상기 구성 레이아웃(671 및 672)으로서 포함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조화 문서 열람 요청에 응하여 열람에 제공되는 문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7d에 예시된 구조화 문서(700d)를 참조하면, 그 최상위 레이아웃(710d)은, '산재 심사청구 (이의제기)'를 목표 요소(621)로서 포함하는 비망록(720d)을 포함하며, '아…너무 복잡하다. (…후략…)'을 비공유 기록(632)으로서 포함하는 기록장(730d)을 더 포함하고, '근로 복지 공단 성남 지사'를 위치 요소(642)로서, '금요일 오전 9시'을 시간 요소(641)로서 포함하는 일정기록(740d)을 더 포함하며, '공간 소속기관인 원처분 기관에 접수된 심사 청구서 (…중략…) 결정 및 심사 결정서 송부'를 절차(653)로서 포함하는 과정기록(750d)을 더 포함하고, '심사청구인의 이름 및 주소, (…중략…) 심사 청구에 관한 고지의 유무 및 고지의 내용'을 자격(663)으로서 포함하는 준비기록(760d)을 더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1. 근로 복지 공단 각 지역 본사(지사)에서 행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보험급여에 관한 결정에 불복이 있는 자는 권리구제를 위해 심사청구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를 전제 조건(671)으로서, '2. 심사 청구 대상 (…후략…)'을 계획 지침(672)으로서 포함하는 안내서(770d)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전제 조건(671)은 상기 계획을 실행하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에 관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타 레벨 레이아웃들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계획 지침(672)은 상기 계획의 실행에 관한 개요를 설명한 것인바, 타 레벨 레이아웃들의 구체적인 내용을 열람하지 않고도 사용자로 하여금 계획의 품질 및 기대사항(expectation)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S200)은, 도 6h에 도시된 타 레벨 레이아웃인 회고록(680)를 추가함을 포함할 수 있다. 회고록(680)은, 상기 계획을 실행한 후의 실제 결과를 나타낸 결과 요소(681)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도 7e에 예시된 구조화 문서(700e)를 참조하면, 그 최상위 레이아웃(710e)은, '치킨 토마토 스튜'를 목표 요소(621)로서 포함하는 비망록(720e)을 포함하며, '닭다리 살은 먹기 좋은 크기로 (…중략…) 간을 해준 후 마무리해준다.'를 절차(653)로서 포함하는 과정기록(750e)을 더 포함하고, '닭다리살 200g (…중략…) 로즈마리'를 재료(661)로서 포함하는 준비기록(760d)을 더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이번에 만든 결과물 (결과물의 사진) 꽤 맛있었다.'를 결과 요소(681)로서 포함하는 회고록(680)을 더 포함한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은, 구조화 문서 열람 요청에 응하여, 컴퓨팅 장치(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열람 모듈(430)이,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를, 더 구체적으로, 그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레이아웃들을 상기 저장소(420)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열람을 위해 제공함(S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도 7e에 예시된 구조화 문서(700e)에 대한 구조화 열람 요청에 응하여 문서 열람 모듈(430)이 그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레이아웃들을 표시한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800)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800)에는 비망록(820) 및 그 자식 레이아웃들인 목표 요소(821), 진행 상황(822), 진행자(823), 참여자(824), 아이콘(825)의 내용들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800)에는 기록장(830; 미도시)의 자식 레이아웃들인 공유 기록(831), 비공유 기록(832), 진행 과정 기록(833)도 표시되어 있으며, 일정기록(840) 및 그 자식 레이아웃들인 시간 요소(841), 위치 요소(842)도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의 열람 상 편의를 위하여 도 8a의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800)에서와 같이 과정기록(850), 준비기록(860), 안내서(870) 및 회고록(880)이 접혀있을(collapsed) 수 있다. 그 각각(850 내지 88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각 해당 표시 부분(850 내지 880)에 대한 소정의 조작(예컨대, 소정의 키보드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특정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 손 또는 마우스의 조작 등)에 의하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질(expanded) 수 있으며, 반대로 펼쳐진 표시 부분들이 다시 접힐 수도 있다. 접힌 상태가 초기 상태인지 펼쳐진 상태가 초기 상태인지는 정해져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별도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그 초기 상태가 각각의 레벨 레이아웃들(850 내지 880)에 대해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b는, 과정기록(850)의 표시 부분 및 회고록(880)의 표시 부분이 각각 펼쳐진 상태의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8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과정기록(850)의 표시 부분이 펼쳐져, 시작 환경(851), 목표 환경(852) 및 절차(853) 각각이 표시되고, 회고록(880)의 표시 부분도 펼쳐져, 결과 요소(881)가 표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800)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그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계획을 담은 신규 구조화 문서를 생성(S100)하거나 하나 이상의 구조화 문서들의 레이아웃들을 열람(S300)하거나 레이아웃을 추가(S200)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내용을 수정(S400)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은, 문서 수정 요청에 응하여, 컴퓨팅 장치(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수정 모듈(440)이,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개별 레이아웃을 수정함(S400)을 더 포함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구조화 문서의 수정 작업을 하는 매 순간마다 저장소(420)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읽기/쓰기의 부하가 커지지 않도록,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구조화 문서를 수정하고 나서 그 수정된 내용을 저장, 보유 또는 보관하고자 하는 소정의 조작(예컨대, 소정의 키보드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특정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 손 또는 마우스의 조작 등)이 있을 때 그 조작에 의하여 비로소 촉발(trigger)되는 요청(이른바, 커밋(commit) 요청)이나 본 개시서의 방법이 실제로 구현된 프로그램의 자동 저장 기능에 의하여 촉발되는 요청을 상기 문서 수정 요청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은, 도 5에 미도시된 작동(operation)으로서, 소정의 표시 순서값 변경 요청에 응하여, 컴퓨팅 장치(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수정 모듈(440) 또는 표시 순서값 변경 모듈(450; 미도시)이, 동일한 부모 레이아웃에 포함되는 2 이상의 자식 레이아웃들 사이의 표시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그 부모 레이아웃의 레코드에 기록되는 표시 순서값을 변경함(S500;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에 미도시된 작동으로서, 소정의 레이아웃 삭제 요청에 응하여, 컴퓨팅 장치(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소정의 모듈이, 상기 구조화 문서에서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이 아닌 레이아웃을 삭제함(S600;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최상위 레이아웃이 아닌 레이아웃을 삭제함은, 그 삭제의 대상이 된 개별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부모 레이아웃이 상기 삭제의 대상인 레이아웃을 포함함을 의미하는 포함 관계, 및 상기 삭제의 대상인 개별 레이아웃을 삭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최상위 레이아웃이 아니면서 자식 레이아웃을 가지지 않는 모든 개별 레이아웃들이 최상위 레이아웃들로부터 포함 관계를 통하여 이어짐을 보장하기 위하여, 즉, 어느 개별 레이아웃의 삭제로 인하여 구조화 문서 내 다른 어느 개별 레이아웃이 파편화(fragmented)되지 않도록, 그 삭제의 대상인 개별 레이아웃이 포함한 자식 레이아웃들과 그 자식 레이아웃들에 대한 포함 관계도 재귀적(recursive)으로 삭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과 관련하여 어느 구조화 문서 자체 또는 레벨 레이아웃, 구성 레이아웃 또는 값 레이아웃을 삭제하는 작동의 상세 구성은은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인바, 이에 관하여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서의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의 각 단계들(S100 내지 S600) 간에 필연적 선후 관계는 없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물론, 어느 구조화 문서에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S200)하거나 그 구조화 문서를 열람(S300)하거나 그 구조화 문서를 수정(S400)하거나 동일 깊이를 가지는 레이아웃들 간의 순서를 변경(S500)하기 위해서는 그 구조화 문서 자체가 먼저 생성(S100)되어 존재하여야 할 것이므로 단계들(S200 내지 S600)에 비해 단계(S100)가 논리적으로 선행된다고 볼 수 있으나 이는 어느 하나의 구조화 문서에 대한 관계에서 그렇다는 것일 뿐, 서로 다른 구조화 문서들에 관하여는 어느 하나의 구조화 문서의 수정(S400) 후에 또 다른 구조화 문서의 신규 생성(S100)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의 어느 단계도 반드시 선행하거나 후행한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그 본 개시서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발명에서 통상적으로 그러한 바와 같은 '단계(step)'라는 용어의 이용을 회피하였는바,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서만 시계열적인 논리적 선후 관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통상의 기술자는 그렇지 않아야 할 당위성이 뒤따르지 않는 이상 전술된 모든 단계들을 그 표현된 숫자의 대소에 관계없이 서로 바꿀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획의 관리에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가 빠짐없이 망라되어 체계적이면서도 사용자에게 있어서 계획의 수립, 공유, 재활용 등이 용이해지며, 특히, 계획을 담은 구조화 문서의 취급이 효율적이면서도 그 구조에 충분한 가변성 혹은 유연성이 제공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개시서에 개시된 방법은 1회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 또는 필요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관한 설명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들, 그리고 그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용례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서를 읽은 오늘날의 통상의 기술자는 컴퓨팅 장치, 예를 들어,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 휴대 단말 등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익숙한바, 본 개시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이루는 개별 단계들에서 언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의 유무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서의 방법에서 필요한, 사용자의 여러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특히 본 개시서에서 설명된 구조화 문서를 이루는 개별 레이아웃들의 내용, 예컨대, 텍스트, 사진, 날짜, 시간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사용자에 대한 제공을 위하여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쉽게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범용 컴퓨터 및/또는 전용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특별한 모습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들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RAM 등과 같은 메모리와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술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혹은 대안으로서, 상기 프로세스들은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programmable gate array),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혹은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Programmable Array Logic; PAL) 또는 기타 명령어(instruction)를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전자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장치들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외부 장치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전술된 바와 같은 통신부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인스트럭션),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에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의 대상물 또는 선행 기술들에 기여하는 부분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Blu-ray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전술한 장치들 중 어느 하나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프로세서 아키텍처 또는 상이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들의 이종 조합, 또는 다른 어떤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기계 상에서 실행되기 위하여 저장 및 컴파일 또는 인터프리트될 수 있는, C와 같은 구조적 프로그래밍 언어, C++ 같은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고급 또는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어셈블리어, 하드웨어 기술 언어들 및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술들)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바, 기계어 코드, 바이트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태양에서는, 앞서 설명된 방법 및 그 조합들이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때, 그 방법 및 방법의 조합들이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실행 가능한 코드로서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일 태양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시스템들로서 실시될 수 있고, 방법들은 장치들에 걸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산되거나 모든 기능들이 하나의 전용, 독립형 장치 또는 다른 하드웨어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태양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수단들은 앞서 설명한 임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든 순차 결합 및 조합들은 본 개시서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들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그 실시 예들의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그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또는 대체물을 비롯하여 본 개시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이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것에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논리적으로 동치(logically equivalent)인 방법이 포함될 것인 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들에 의하여 제한되어서는 아니되며, 법률에 의하여 허용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6)

  1. 구조화 문서(structured document)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 문서는 0의 깊이(depth)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레이아웃(top layout)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화 문서는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레이아웃을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하되, 상기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이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구조화 문서는,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서 1 이상의 깊이 n을 가지는 모든 레이아웃 각각이 n-1의 깊이를 가지는 하나의 레이아웃에 포함됨을 표시하는 각각의 포함 관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모든 개별 레이아웃에 대하여, 상기 개별 레이아웃은 기본틀, 레코드(record) 및 지침을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요소들로서 포함하되, 상기 기본틀은 상기 레코드의 기본값을 정의하고,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상기 레코드는 상기 개별 레이아웃에 포함되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자식 레이아웃들 각각에 대한 이용 또는 활성화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 상기 자식 레이아웃들이 표시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값인 표시 순서값을 상기 레코드의 내용으로서 포함하며 가변적이며,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상기 지침은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설정,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상기 요소들의 설정 및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자식 레이아웃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설명 내용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구조화 문서 생성 요청에 응하여, 컴퓨팅 장치가,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 및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에 포함되는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1의 레이아웃인 레벨 레이아웃(level layout)들 중 하나인 비망록을 포함하는 상기 구조화 문서를 신규 생성하여 보유함;
    레벨 레이아웃 추가 요청에 응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깊이 1의 레이아웃에 해당하는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
    구조화 문서 열람 요청에 응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레이아웃들을 열람에 제공함; 및
    문서 수정 요청에 응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개별 레이아웃을 수정함
    을 포함하되,
    상기 비망록은, 상기 계획의 주체인 진행자 및 상기 계획의 종체(follower)인 참여자 중 적어도 진행자를 포함하는 주체 요소, 상기 계획의 목표를 포함하는 목표 요소, 및 상기 계획의 시변적 요소에 속한 진행 상황을 상기 비망록에 대하여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2의 레이아웃인 구성 레이아웃(component layout)들로서 포함하고,
    상기 진행 상황은, 등록, 완료, 예약, 진행 중, 취소 및 연기를 포함하는 집합의 부분 집합들 중 적어도 등록 및 완료를 포함하는 부분 집합에서 선택된 하나의 원소이며,
    상기 비망록은 상기 계획의 식별을 위한 아이콘(icon)에 해당하는 아이콘 레이아웃을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더 포함하되,
    상기 아이콘 레이아웃은 상기 아이콘의 이미지를 내용으로서 포함하는 이미지 레이아웃, 상기 아이콘의 명칭을 내용으로서 포함하는 이름 레이아웃, 및 상기 아이콘을 설명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설명 레이아웃 중 적어도 상기 이미지 레이아웃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레이아웃은 예시 이미지 또는 기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틀,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레코드, 및 상기 레코드의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식에 관한 설명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지침을 상기 이미지 레이아웃의 요소들로서 포함하고,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레이아웃들을 열람에 제공함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상기 레이아웃들을 표시함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된 레이아웃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접히거나(collapsed) 펼쳐진(expanded) 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법은,
    소정의 표시 순서값 변경 요청에 응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2개 이상의 자식 레이아웃들을 포함하는 부모 레이아웃의 상기 레코드에 기록되는 상기 표시 순서값을 변경함
    을 더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기록장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기록장은,
    상기 계획의 상기 시변적 요소에 속한 요소들로서 공유 가능한 기록인 공유 기록, 공유되지 아니하는 기록인 비공유 기록 및 상기 계획의 진행 과정에 관한 기록인 진행 과정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일정기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일정기록은,
    상기 계획이 진행되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요소 및 상기 계획이 진행되는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과정기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과정기록은,
    상기 계획의 상기 시변적 요소에 속한 요소들로서 상기 계획의 진행 시작 시점의 환경에 관한 기록인 시작 환경, 상기 계획의 진행 완료 시점의 환경에 관한 기록인 목표 환경, 및 상기 계획의 진행에 관한 절차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준비기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준비기록은,
    상기 계획에 이용되는 객체 요소로서 상기 계획에 따라 소비 또는 변형될 대상인 재료, 상기 계획에 이용될 대상인 도구, 상기 계획에 실행에 요구되는 자격, 상기 계획에 동원되는 인력 및 상기 계획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요소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안내서를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안내서는,
    상기 계획에 필요한 전제 조건, 및 상기 계획에 관한 지침인 계획 지침을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함으로써 상기 열람에 제공되는 문서인,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함은,
    회고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함을 포함하되,
    상기 회고록은,
    상기 계획의 실제 결과를 나타낸 결과 요소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방법.
  9.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구조화 문서(structured document)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 문서는 0의 깊이(depth)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레이아웃(top layout)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화 문서는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레이아웃을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하되, 상기 1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이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구조화 문서는,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서 1 이상의 깊이 n을 가지는 모든 레이아웃 각각이 n-1의 깊이를 가지는 하나의 레이아웃에 포함됨을 표시하는 각각의 포함 관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모든 개별 레이아웃에 대하여, 상기 개별 레이아웃은 기본틀, 레코드(record) 및 지침을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요소들로서 포함하되, 상기 기본틀은 상기 레코드의 기본값을 정의하고,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상기 레코드는 상기 개별 레이아웃에 포함되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자식 레이아웃들 각각에 대한 이용 또는 활성화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 상기 자식 레이아웃들이 표시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값인 표시 순서값을 상기 레코드의 내용으로서 포함하며 가변적이며,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상기 지침은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설정,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상기 요소들의 설정 및 상기 개별 레이아웃의 자식 레이아웃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설명 내용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구조화 문서 생성 요청, 레벨 레이아웃 추가 요청, 구조화 문서 열람 요청, 및 문서 수정 요청을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구조화 문서 생성 요청에 응하여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 및 상기 최상위 레이아웃에 포함되는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1의 레이아웃인 레벨 레이아웃(level layout)들 중 하나인 비망록을 포함하는 상기 구조화 문서를 신규 생성하여 보유하는 프로세스, 상기 레벨 레이아웃 추가 요청에 응하여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 내에 깊이 1의 레이아웃에 해당하는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하는 프로세스, 상기 구조화 문서 열람 요청에 응하여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레이아웃들을 열람에 제공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문서 수정 요청에 응하여 이미 생성된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개별 레이아웃을 수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비망록은, 상기 계획의 주체인 진행자 및 상기 계획의 종체(follower)인 참여자 중 적어도 진행자를 포함하는 주체 요소, 상기 계획의 목표를 포함하는 목표 요소, 및 상기 계획의 시변적 요소에 속한 진행 상황을 상기 비망록에 대하여 포함 관계를 가지는 깊이 2의 레이아웃인 구성 레이아웃(component layout)들로서 포함하고,
    상기 진행 상황은, 등록, 완료, 예약, 진행 중, 취소 및 연기를 포함하는 집합의 부분 집합들 중 적어도 등록 및 완료를 포함하는 부분 집합에서 선택된 하나의 원소이며,
    상기 비망록은 상기 계획의 식별을 위한 아이콘(icon)에 해당하는 아이콘 레이아웃을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더 포함하되,
    상기 아이콘 레이아웃은 상기 아이콘의 이미지를 내용으로서 포함하는 이미지 레이아웃, 상기 아이콘의 명칭을 내용으로서 포함하는 이름 레이아웃, 및 상기 아이콘을 설명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설명 레이아웃 중 적어도 상기 이미지 레이아웃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레이아웃은 예시 이미지 또는 기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틀,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레코드, 및 상기 레코드의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식에 관한 설명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지침을 상기 이미지 레이아웃의 요소들로서 포함하고,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레이아웃들을 열람에 제공하는 프로세스는,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구조화 문서에 포함된 상기 레이아웃들을 표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된 레이아웃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접히거나(collapsed) 펼쳐진(expanded) 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획득되는 소정의 표시 순서값 변경 요청에 응하여, 2개 이상의 자식 레이아웃들을 포함하는 부모 레이아웃의 상기 레코드에 기록되는 상기 표시 순서값을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하는 프로세스는,
    기록장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기록장은,
    상기 계획의 상기 시변적 요소에 속한 요소들로서 공유 가능한 기록인 공유 기록, 공유되지 아니하는 기록인 비공유 기록 및 상기 계획의 진행 과정에 관한 기록인 진행 과정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하는 프로세스는,
    일정기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일정기록은,
    상기 계획이 진행되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요소 및 상기 계획이 진행되는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하는 프로세스는,
    과정기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과정기록은,
    상기 계획의 상기 시변적 요소에 속한 요소들로서 상기 계획의 진행 시작 시점의 환경에 관한 기록인 시작 환경, 상기 계획의 진행 완료 시점의 환경에 관한 기록인 목표 환경, 및 상기 계획의 진행에 관한 절차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하는 프로세스는,
    준비기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준비기록은,
    상기 계획에 이용되는 객체 요소로서 상기 계획에 따라 소비 또는 변형될 대상인 재료, 상기 계획에 이용될 대상인 도구, 상기 계획에 실행에 요구되는 자격, 상기 계획에 동원되는 인력 및 상기 계획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요소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하는 프로세스는,
    안내서를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서는,
    상기 계획에 필요한 전제 조건, 및 상기 계획에 관한 지침인 계획 지침을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함으로써 상기 열람에 제공되는 문서인,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을 추가하는 프로세스는,
    회고록을 상기 신규 레벨 레이아웃으로서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회고록은,
    상기 계획의 실제 결과를 나타낸 결과 요소를 상기 구성 레이아웃으로서 포함하는, 구조화 문서 기반 계획 관리 장치.
KR1020220002240A 2022-01-06 2022-01-06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418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40A KR102418298B1 (ko) 2022-01-06 2022-01-06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CT/KR2022/009929 WO2023132422A1 (ko) 2022-01-06 2022-07-08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40A KR102418298B1 (ko) 2022-01-06 2022-01-06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298B1 true KR102418298B1 (ko) 2022-07-07

Family

ID=8239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240A KR102418298B1 (ko) 2022-01-06 2022-01-06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8298B1 (ko)
WO (1) WO20231324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422A1 (ko) * 2022-01-06 2023-07-13 (주) 바우디움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63900B1 (ko) 2023-03-31 2023-08-09 (주) 바우디움 구조화 문서를 취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6319A (ja) 2009-01-28 2010-08-12 Toshiba Corp 構造化文書検索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101614642B1 (ko) * 2013-03-15 2016-04-21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반구조화 데이터의 분석 및 분류 방법
KR20190062624A (ko) * 2014-09-30 2019-06-05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메뉴 생성 시스템
KR20210023271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심플랩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서버 및 그 방법
JP2021039579A (ja) * 2019-09-04 2021-03-11 グレイ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ドキュメント作成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298B1 (ko) * 2022-01-06 2022-07-07 (주) 바우디움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6319A (ja) 2009-01-28 2010-08-12 Toshiba Corp 構造化文書検索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101614642B1 (ko) * 2013-03-15 2016-04-21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반구조화 데이터의 분석 및 분류 방법
KR20190062624A (ko) * 2014-09-30 2019-06-05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메뉴 생성 시스템
KR20210023271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심플랩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서버 및 그 방법
JP2021039579A (ja) * 2019-09-04 2021-03-11 グレイ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ドキュメント作成支援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422A1 (ko) * 2022-01-06 2023-07-13 (주) 바우디움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63900B1 (ko) 2023-03-31 2023-08-09 (주) 바우디움 구조화 문서를 취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422A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298B1 (ko) 구조화 문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계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11610164B2 (en) Workflow project desig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JPH11143752A (ja) 版管理・構成管理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版管理・構成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9564529A (zh) 基于符号链接的占位符
Zweihoff et al. Pyro: generating domain-specific collaborative online modeling environments
Engel et al. A Concerted Model-driven and Pattern-based Framework for Developing User Interfaces of Interactive Ubiquitous Applications.
US8788248B2 (en) Transparent flow model simulation implementing bi-directional links
Song et al. Preserving data flow correctness in process adaptation
Gabrysiak et al. How can metamodels be used flexibly
US20180039921A1 (en) Generating domain-specific process studios
Braun et al. Towards multi-perspective modeling with BPMN
US10902019B2 (en) Extensible file synchronization
Harper et al. Framework to Share Healthcare Simulations on the Web Using Free and Open Source Tools and Python
JP740471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244651B2 (en) Document revision control
Zahorodko et al. An approach for processing and document flow automation for Microsoft Word and LibreOffice Writer file formats
US10200496B2 (en) User interface configuration tool
JP4337284B2 (ja)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ファイル管理方法
JP2005107635A (ja) 電子フォーム入力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JP2009258981A (ja) プロジェクト管理装置、プロジェクト管理方法、プロジェクト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Guo et al. Workflow resource pattern modelling and visualization
KR102181579B1 (ko) 환자정보 스티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용 보험청구 시스템
JP4507609B2 (ja)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管理装置
JP569647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Beckmann et al. Coexisting Graphical and Structured Textual Representations of Requirements: Insights and Sugges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