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119A - Ptp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Ptp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7119A KR20220117119A KR1020210180356A KR20210180356A KR20220117119A KR 20220117119 A KR20220117119 A KR 20220117119A KR 1020210180356 A KR1020210180356 A KR 1020210180356A KR 20210180356 A KR20210180356 A KR 20210180356A KR 20220117119 A KR20220117119 A KR 202201171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let
- information
- region
- view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9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13039 cover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429 fi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6191 orally-disintegrating tabl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08 contact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2 deficienc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8—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61J1/035—Blister-typ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2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having a profiled section, e.g. tubes, r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6—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tablets, pills, or like small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65B11/52—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one sheet being rendered plastic, e.g. by heating, and forced by fluid pressure, e.g. vacuum, into engagement with the other sheet and contents, e.g. skin-, blister-, or bubble- packa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7/00—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29C2043/3615—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P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벽부의 백탁에 의해 정보부의 내용 파악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보다 확실히 방지 할 수 있는 PTP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PTP 시트의 제조 공정은, 용기 필름에 대해 정제(5)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2)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정제(5)의 표면(5b)에 있어서의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는 정보부(5j)가 설치된다. 포켓부(2)의 형성 공정에서는, 포켓부(2)의 저벽부(2b)가 둘레 테두리 영역(b1) 및 중앙 영역(b2)을 갖는 동시에, 정제(5)가 포켓부(2)의 측벽부측을 향해 최대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정제(5)의 표면(5b)의 중심으로부터 포켓부(2)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Δc(mm)가 되도록 포켓부(2)가 형성된다. 거리(Δc)에 대해서는, 정보 부여 영역(5k)의 직경을 φRp(mm)로 하고, 중앙 영역의 반경을 rc(mm)로 했을 때, Δc≤rc-(φRp/2)를 만족하게 된다
PTP 시트의 제조 공정은, 용기 필름에 대해 정제(5)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2)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정제(5)의 표면(5b)에 있어서의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는 정보부(5j)가 설치된다. 포켓부(2)의 형성 공정에서는, 포켓부(2)의 저벽부(2b)가 둘레 테두리 영역(b1) 및 중앙 영역(b2)을 갖는 동시에, 정제(5)가 포켓부(2)의 측벽부측을 향해 최대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정제(5)의 표면(5b)의 중심으로부터 포켓부(2)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Δc(mm)가 되도록 포켓부(2)가 형성된다. 거리(Δc)에 대해서는, 정보 부여 영역(5k)의 직경을 φRp(mm)로 하고, 중앙 영역의 반경을 rc(mm)로 했을 때, Δc≤rc-(φRp/2)를 만족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켓부에 정제를 수용하여 이루어진 PTP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이나 식료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 사용되는 블리스터 시트로서 PTP(press through pack) 시트가 알려져 있다. PTP 시트는 정제가 수용되는 포켓부를 갖는 용기 필름과,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부착되는 커버 필름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인 정제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을 이루고 있고, 만곡면 형상이나 평탄면 형상을 이루는 표면 및 이면과, 이들 면에 의해 끼워진 측면에 의해 외표면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나 각인 등에 의해, 표면(포켓부의 저벽부측에 배치되는 면)에 제품명이나 제품 번호 등 문자나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정보부를 설치한 정제가 알려져 있다. 또한, 정제로서는, 타액이나 소량의 물로 빨리 녹도록 구성된 구강 내 붕괴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TP 시트는 예를 들면, 포켓부 형성 공정, 충진 공정, 부착 공정 및 타발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포켓부 형성 공정에서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에 포켓부가 형성된다. 충진 공정에서는, 포켓부에 정제가 충진된다. 부착 공정에서는,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용기 필름에 커버 필름이 부착된다. 타발 공정에서는, 양 필름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띠형상의 PTP 필름이 시트 단위로 펀칭된다. PTP 필름을 펀칭함으로써, PTP 시트가 얻어진다.
그러나, 제품의 수송시나 사용자가 운반할 때 등에 있어서, PTP 시트에 대해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포켓부의 저벽부에 대해 정제의 표면이 스칠 우려가 있다. 저벽부에 정제의 표면이 스치면, 정제의 성분이 저벽부에 부착되고, 용기 필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벽부에 백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백탁이 발생하면, 정제에 설치된 정보부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특히 정제가 구강 내 붕괴정인 경우에는, 정제의 성분이 저벽부에 부착되기 쉽고, 저벽부의 백탁이 보다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최근에는, 정제의 표면의 곡률반경과 저벽부의 곡률반경을 소정의 관계로 하는 것에 의해, PTP 시트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진 경우에도, 저벽부의 백탁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기술에서는, 저벽부(특허문헌 1의 천면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르는 곡률반경을 정제의 표면(특허문헌 1의 정보 표시부)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르는 곡률반경 이하로 함으로써, 저벽부의 백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있어서, 저벽부의 곡률반경을 정제의 표면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저벽부의 내면에 대해 정제의 표면 전역이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저벽부의 전역에 걸쳐서 백탁이 발생하고, 정보부의 내용 파악에 지장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도 17(도 17에 있어서, 상측은 포켓부(2) 등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하측은 저벽부(2)의 내면 등의 저면도를 나타낸다.)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켓부(2)의 저벽부(2b)의 곡률반경이 정제(5)의 표면(5b)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이 되도록 구성하면, 정제(5)의 표면(5b)에 있어서의 외주부(둘레 테두리부)만이 저벽부(2b)의 내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저벽부의 전역에 걸쳐서 백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포켓부(2) 내를 정제(5)가 이동함으로써(예를 들면,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저벽부(2b)의 내면에 있어서의 둘레 테두리 영역(b1)(도 17에 있어서, 단면도에서는 굵은 선으로 나타낸 영역이고, 평면도에서는 산점 모양으로 나타낸 영역)에 대해 정제(5)가 스치게 된다. 따라서, 이 둘레 테두리 영역(b1)에서는 백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 둘레 테두리 영역(b1)과 정제(5)에 설치된 정보부(5j)가 겹치면, 역시 정보부(5j)의 내용 파악에 지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저벽부의 백탁에 의해 정보부의 내용 파악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 가능한 PTP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에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을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과,
상기 포켓부의 개구를 막도록 하여 상기 용기 필름에 부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정제는, 적어도 표면에 소정의 정보부가 형성된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구강 내 붕괴정임과 동시에,
상기 포켓부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을 이루고, 수용된 정제의 상기 표면과 서로 대향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는 저벽부와,
상기 저벽부의 최외주부에 연속되어 있는 통형상의 측벽부를 갖고 이루어진 PTP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는 정제의 상기 표면 중, 상기 정제를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표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으로 구획되는 정보 부여 영역 내에 설치되고,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공정과,
상기 정보부가 설치된 정제를 상기 포켓부에 충진하는 충진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 형성 공정에서는, 이하의 요건 (1) 및 (2)를 만족함과 동시에,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정제가 상기 측벽부측을 향해 최대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정제의 표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포켓부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Δc(mm)가 되도록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고,
상기 충진 공정에서는, 상기 정보부가 설치된 정제를 상기 포켓부에 충진하고,
거리(Δc)는 이하의 요건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시트의 제조 방법.
(1) 상기 포켓부의 깊이는, 정제의 상기 표면의 직경 이하의 크기인 것.
(2) 상기 저벽부 중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측에 위치하는 내면은,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의 상기 표면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둘레 테두리 영역과, 정제의 표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영역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둘레 테두리 영역과, 정제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둘레 테두리 영역에 둘러싸인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중앙 영역을 갖는 것.
(3) 상기 정보 부여 영역의 직경을 φRp(mm)로 하고,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중앙 영역의 반경을 rc(mm)로 했을 때, Δc≤rc-(φRp/2)인 것.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포켓부 형성 공정에서는, Δc≤rc-(φRp/2)를 만족하는 포켓부가 형성된다. 즉, 형성되는 포켓부에 있어서는, 포켓부의 중심축과 정제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상태에서의 정제의 최대 이동 거리(거리(Δc))가, 양 중심축이 일치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정보 부여 영역의 외부 테두리로부터 중앙 영역의 외부 테두리까지의 거리 [rc-(φRp/2)] 이하가 된다. 따라서, 양 중심축이 일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제(정보 부여 영역)가 최대한(거리(Δc)) 이동한 경우에도, 평면에서 볼 때, 정보 부여 영역이 중앙 영역으로부터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제가 포켓부 내를 최대한 이동했다고 해도, 정보 부여 영역이 백탁의 가능성이 있는 둘레 테두리 영역과는 겹치지 않고, 정보 부여 영역의 전체가 백탁이 발생하기 어려운 중앙 영역과 겹치게 된다. 따라서, 둘레 테두리 영역에 백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클리어한 중앙 영역을 통해 정보부를 시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백탁에 의해 정보부의 내용 파악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PTP 시트에 있어서, 저벽부에 대한 정보 부여 영역의 접촉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벽부와의 접촉에 수반되는 정보부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수단 2. Δc=rc-(φRp/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PTP 시트의 제조 방법.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정보 부여 영역이 둘레 테두리 영역과 겹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있어서, 거리(Δc)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포켓부의 중심축과 정제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포켓부의 측벽부로부터 정제까지의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진 공정에 있어서, 포켓부에 대한 정제의 충진을 보다 용이하게 또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수단 3. 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과,
상기 포켓부의 개구를 막도록 하여 상기 용기 필름에 부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정제는, 적어도 표면에 소정의 정보부가 형성된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구강 내 붕괴정임과 동시에,
상기 포켓부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을 이루고, 수용된 정제의 상기 표면과 서로 대향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는 저벽부와,
상기 저벽부의 최외주부에 연속되어 있는 통형상의 측벽부를 갖고 이루어진 PTP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에 대해서는, 하기 요건 (1) 및 (2)를 만족하게 되고,
정제의 적어도 상기 표면에 대해, 상기 정보부를 설치하는 정보부 작성 공정과,
상기 정보부가 설치된 정제를 상기 포켓부에 충진하는 충진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부 작성 공정에서는, 정제의 상기 표면 중, 상기 정제를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표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φRp(mm))의 원으로 구획되는 정보 부여 영역 내에 상기 정보부를 설치하고,
상기 충진 공정에서는, 상기 정보부 형성 공정에서 상기 정보부가 설치된 정제를 상기 포켓부에 충진하고,
직경(φRp)은, 이하의 요건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시트의 제조 방법.
(1) 상기 포켓부의 깊이는, 정제의 상기 표면의 직경 이하의 크기인 것.
(2) 상기 저벽부 중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측에 위치하는 내면은,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의 상기 표면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둘레 테두리 영역과, 정제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둘레 테두리 영역에 둘러싸인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중앙 영역을 갖는 것,
(3) 상기 포켓부 내에서 정제가 상기 측벽부측을 향해 최대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정제의 표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포켓부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Δc(mm)로 하고 , 평면에서 볼 때의 중앙 영역의 반경을 rc(mm)로 했을 때, φRp≤(rc-Δc)×2인 것.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정보부 작성 공정에서는, φRp≤(rc-Δc)×2를 만족하도록 정보부가 설치된다. 여기서, (rc-Δc)×2는 중앙 영역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 영역의 중심측을 향해 거리(Δc)만큼 떨어진 위치를 통과하는 가상 원의 직경에 상당한다. 그리고, 이 가상 원은 평면에서 볼 때, 거리(Δc)를 이동했을 때에도 중앙 영역 외로 나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φRp≤(rc-Δc)×2를 만족함으로써, 정보 부여 영역을 상기 가상 원과 일치하는 영역, 또는 상기 가상 원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제가 포켓부 내를 최대한(거리(Δc)) 이동했다고 해도, 정보 부여 영역이 백탁할 가능성이 있는 둘레 테두리 영역과는 겹치지 않고, 정보 부여 영역의 전체가 백탁이 발생하기 어려운 중앙 영역과 겹치게 된다. 따라서, 둘레 테두리 영역에 백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클리어한 중앙 영역을 통해 정보부를 시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백탁에 의해 정보부의 내용 파악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PTP 시트에 있어서, 저벽부에 대한 정보 부여 영역의 접촉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벽부와의 접촉에 수반되는 정보부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수단 4. φRp=(rc-Δc)×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3에 기재된 PTP 시트의 제조 방법.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정보 부여 영역이 둘레 테두리 영역과 겹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있어서, 직경(φRp)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부에 따른 시인성을 충분히 담보하면서, 정보부가 보다 많은 정보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수단 5. 상기 정보부 작성 공정 후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가 상기 정보 부여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정보 위치 판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PTP 시트의 제조 방법.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정보 위치 판정 공정에 있어서, 정보 부여 영역 내에 정보부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양부 판정이 실시된다. 따라서, 정보부가 백탁과 겹칠 수 있는 정제나 상기 정제를 포함하는 PTP 시트를 불량품으로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조되는 PTP 시트에 있어서, 상기 수단 1 등의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히 발휘시킬 수 있다.
도 1은 PTP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PTP 필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정제의 표면의 직경 등을 나타내기 위한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정제의 표면에 따른 곡률반경 등을 나타내기 위한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표면측에서 봤을 때의 정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둘레 테두리 영역 및 중앙 영역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PTP 포장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포켓부 형성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9는 포켓부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하부 틀 및 상부 틀에 의해 용기 필름을 끼우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포켓부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에어에 의해 용기 필름을 변형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포켓부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플러그에 의해 용기 필름을 변형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인쇄 충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Δc=rc-(φRp/2)를 만족하는 포켓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Δc<rc-(φRp/2)를 만족하는 포켓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φRp≤(rc-Δc)×2를 만족하는 정보 부여 영역 내에 정보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켓부 등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PTP 필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정제의 표면의 직경 등을 나타내기 위한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정제의 표면에 따른 곡률반경 등을 나타내기 위한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표면측에서 봤을 때의 정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둘레 테두리 영역 및 중앙 영역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PTP 포장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포켓부 형성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9는 포켓부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하부 틀 및 상부 틀에 의해 용기 필름을 끼우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포켓부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에어에 의해 용기 필름을 변형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포켓부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플러그에 의해 용기 필름을 변형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인쇄 충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Δc=rc-(φRp/2)를 만족하는 포켓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Δc<rc-(φRp/2)를 만족하는 포켓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φRp≤(rc-Δc)×2를 만족하는 정보 부여 영역 내에 정보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켓부 등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PTP 시트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TP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하여 용기 필름(3)에 부착된 커버 필름(4)을 갖고 있다.
용기 필름(3)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투광성을 갖고 있다. 즉, 용기 필름(3)은 외부로부터 포켓부(2)의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용기 필름(3)은, 포켓부(2)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커버 필름(4)의 부착 대상이 되는 평탄 형상의 플랜지부(3a)를 갖고 있다.
커버 필름(4)은, 예를 들면 PP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실란트가 표면에 설치된 불투명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필름(3, 4)의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각 필름(3, 4)의 재료를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PTP 시트(1)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3) 및 띠형상의 커버 필름(4)으로 형성된 띠형상의 PTP 필름(6)(도 2 참조)이 시트 형상으로 펀칭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고,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PTP 시트(1)에는 그 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5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진 포켓 열이, 그 짧은 길이 방향으로 2열 형성되어 있다. 즉, 총 10개의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에는 정제(5)가 1개씩 수용되어 있다. 또한, PTP 시트(1)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계속해서, 상기 PTP 시트(1)를 제조하기 위한 PTP 포장기(10)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PTP 포장기(10)의 최상류측에서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3)의 원단이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롤 형상으로 감겨진 용기 필름(3)의 인출단측은 가이드 롤(12, 13)에 안내되어 있다. 용기 필름(3)은 가이드 롤(12, 13)의 하류측에 있어서 간헐 이송 롤(14)에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14)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 롤(13)과 간헐 이송 롤(14)의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가열 장치(15) 및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가열 장치(15)는 포켓부 형성 장치(16)의 직상류에서 용기 필름(3)을 예열한다.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가열 장치(15)에 의해 가열되어 비교적 유연한 상태가 된 용기 필름(3)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를 형성한다. 포켓부(2)의 형성은, 간헐 이송 롤(14)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간의 인터벌 시에 실시된다. 또한, 포켓부 형성 장치(16)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간헐 이송 롤(14)로부터 보내진 용기 필름(3)은 가이드 롤(17), 텐션 롤(18) 및 필름 받이롤(20)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필름 받이롤(20)은 일정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용기 필름(3)을 연속적으로 또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텐션 롤(18)은 용기 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간헐 이송 롤(14)과 필름 받이롤(20)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느슨함을 방지하여 용기 필름(3)은 항상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가이드 롤(19)과 필름 받이롤(20)의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인쇄 충진 장치(21) 및 검사 장치(22)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인쇄 충진 장치(21)는 정제(5)에 후술하는 정보부(5j)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정보부(5j)가 설치된 정제(5)를 포켓부(2)에 충진한다. 인쇄 충진 장치(2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검사 장치(22)는, 예를 들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확실히 충진되어 있는지 여부, 정제(5)의 이상의 유무, 포켓부(2)로의 이물 혼입의 유무 등, 주로 정제 불량에 관한 검사를 실시한다.
한편, 띠형상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최상류측에 있어서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롤 형상으로 감겨진 커버 필름(4)의 인출단은, 가이드 롤(24)에 의해 가열 롤(25)쪽으로 안내되어 있다.
가열 롤(25)은, 상기 필름 받이롤(20)에 압접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 롤(20, 25) 사이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양 필름(3, 4)이 양 롤(20, 25) 사이를 가열 압접 상태로 통과함으로써,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이 부착되고, 포켓부(2)가 커버 필름(4)으로 막힌다. 이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수용된 띠형상의 PTP 필름(6)이 얻어진다.
필름 받이롤(20)로부터 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 롤(27) 및 간헐 이송 롤(28)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28)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27)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필름 받이롤(20)과 간헐 이송 롤(28)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PTP 필름(6)의 느슨함을 방지하여 PTP 필름(6)은 항상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간헐 이송 롤(28)로부터 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 롤(31) 및 간헐 이송 롤(32)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2)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31)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28, 32) 사이에서의 PTP 필름(6)의 느슨함을 방지한다.
간헐 이송 롤(28)과 텐션 롤(31)의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슬릿 형성 장치(33) 및 각인 장치(34)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슬릿 형성 장치(33)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에 분리용 슬릿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인 장치(34)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태그부)에 각인을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슬릿이나 각인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간헐 이송 롤(32)로부터 보내진 PTP 필름(6)은, 그 하류측에 있어서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2)과 텐션 롤(35)의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시트 펀칭 장치(37)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펀칭 장치(37)는, PTP 필름(6)을 PTP 시트(1) 단위로 그 외부 테두리를 분리한다(펀칭한다). 이에 의해, PTP 시트(1)가 얻어진다.
얻어진 PTP 시트(1)는 컨베이어(39)에 의해 반송되고, 완성품용 호퍼(40)에 일단 저류된다. 단, 상기 검사 장치(22)에 의해 불량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판정에 따른 PTP 시트(1)는, 완성품용 호퍼(40)에 보내지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불량 시트 배출기구에 의해 별도로 배출된다.
상기 연속 이송 롤(36)의 하류측에는, 재단 장치(41)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펀칭 장치(37)에 의한 펀칭 후에 띠형상으로 남은 불요 필름부(42)는,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에 안내된 후, 재단 장치(41)로 전달된다. 재단 장치(41)는 불요 필름부(42)를 소정 치수로 재단한다. 재단된 불요 필름부(42)(스크랩)는 스크랩용 호퍼(43)에 저류된 후, 별도 폐기 처리된다.
계속해서, 도 3~6을 참조하여, PTP 시트(1)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포켓부(2)의 중심축(Lp)에 대해 정제의 중심축(Lt)이 일치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포켓부(2) 등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정제(5)의 평면도(저면도)이다. 도 5는 곡률반경(CRp) 등을 나타내기 위한 포켓부(2) 등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둘레 테두리 영역(b1) 및 중앙 영역(b2)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포켓부(2) 등의 단면도와, 중심축(Lp)을 따라서 저벽부(2b)의 내면을 볼 때의 상기 내면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우선, 포켓부(2)에 수용되는 정제(5)에 대해 설명한다.
정제(5)는 타액이나 소량의 물로 빨리 녹도록 구성된 구강 내 붕괴정이다. 정제(5)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 즉 중심축(Lt) 방향을 따라서 볼 때 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정제(5)는 측면(5a)과, 상기 측면(5a)을 끼우는 표면(5b) 및 이면(5c)에 의해 외표면이 구성되어 있다. 측면(5a)은 중심축(Lt)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외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표면(5b) 및 이면(5c)은, 각각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측면(5a)의 단부에 연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5b) 및 이면(5c)의 각 형상은 동일하지만, 표면(5b)이란, 포켓부(2)의 후술하는 저벽부(2b)측에 배치되는 면을 말한다.
또한, 정제(5)의 표면(5b)의 직경(φt(mm))은, 포켓부(2)의 깊이(Dp(mm))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경(φt)은 깊이(Dp)의 2 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Dp≤φt/2를 만족하도록 되어 있고, 깊이(Dp)는, 직경(φt)에 비해 충분히 작게 되어 있다. 단, 당연하지만, 깊이(Dp)는 정제(5)의 최대 두께(중심축(Lt) 상에 있어서의 표면(5b) 및 이면(5c) 간의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직경(φt)은 통상 5~15mm가 된다.
또한, 정제(5)의 중심축(Lt)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정제(5)의 표면(5b)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t(mm))을 갖고 있다. 즉, 정제(5)의 표면(5b)은, 일정한 곡률반경(CRt(mm))을 갖는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단, 할선이나 각인 등의 오목부는 무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곡률반경(CRt)은 직경(φt) 이상으로 되어 있고, 표면(5b)의 중심은, 중심축(Lt) 방향을 따라서 표면(5b)의 최외주부보다도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곡률반경(CRt)은, 예를 들면 직경(φt)×5 이하로 되어 있고, 표면(5b)으로부터 측면(5a)에 걸친 각 부분은, 충분히 큰 각도를 갖는 둔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정제(5)가 비교적 무른 구강 내 붕괴정이어도, 상기 각 부분에 있어서의 결여의 발생을 억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제(5)의 표면(5b) 및 이면(5c)에는, 정제(5)에 관한 제품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 숫자, 도형 등이 잉크젯 인쇄되어 이루어진 정보부(5j)가 형성되어 있다. 정제(5)에 관한 제품 정보로서는, "제품명", "함량", "제형", "제조원" 및 "로트 번호" 등을 들 수 있다. 정보부(5j)는 정제(5)에 있어서의 문자나 숫자 등이 인쇄된 부위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인쇄 충진 장치(21)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표면(5b) 및 이면(5c)에 있어서의 각 정보부(5j)는 각각 동일 내용이어도 되고, 다른 내용이어도 된다.
또한, 적어도 표면(5b)에 있어서의 정보부(5j)는,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정보 부여 영역(5k)은 정제(5)의 표면(5b) 중, 상기 정제(5)를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정제(5)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φRp(mm))의 원(도 4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원)으로 구획되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제(5)의 표면(5b)에 있어서의 일정한 범위가 정보 부여 영역(5k)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정보 부여 영역(5k)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φRp≥φt/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φRp≥φt/3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정제(5)가 수용되는 포켓부(2)에 대해 설명한다. 포켓부(2)는 상기 플랜지부(3a)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의 측벽부(2a)와, 상기 측벽부(2a)의 단부에 연속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상의 저벽부(2b)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부(2a)는 포켓부(2)의 중심축(Lp) 방향을 따라서 대략 일정한 내부직경을 갖고 있고, 측벽부(2a)의 내부직경은, 정제(5)의 표면(5b)의 직경(φt)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양 중심축(Lp, Lt)이 겹치도록 포켓부(2) 내에 정제(5)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측벽부(2a)의 내면 영역은 정제(5)의 측면(5a) 전역에서 이간된 상태가 되고, 측벽부(2a)의 내면 및 측면(5a) 사이에는 평면에서 볼 때 원고리 형상의 틈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벽부(2a)로 부하가 가해졌을 때, 상기 부하에서 회피하도록 하여 정제(5)가 이동 가능해지고, 정제(5)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2a)는 저벽부(2b)측을 향해서 서서히 내부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여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양 중심축(Lp, Lt)이 겹치도록 포켓부(2) 내에 정제(5)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측벽부(2a)의 내면 전역이 정제(5)의 측면(5a) 전역에서 이간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벽부(2b)는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중심축(Lp)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저벽부(2b)의 내면(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측에 위치하는 면)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mm))을 갖고 있다. 즉, 저벽부(2b)의 내면은 일정한 곡률반경(CRP(mm))을 갖는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곡률반경(CRp)은 정제(5)의 표면(5b)에 따른 곡률반경(CRt)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곡률반경(CRp)을 설정하면서, 정제(5)의 형상에 대한 포켓부(2)의 상대적인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저벽부(2b)의 내면은 둘레 테두리 영역(b1) 및 중앙 영역(b2)(도 6) 참조)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단면도에서는, 포켓부(2) 내에서 자세를 변경시키면서 이동시킨 정제(5)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둘레 테두리 영역(b1)은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의 표면(5b)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 원고리 형상을 이루는(즉, 중심축(Lp) 방향을 따라서 봤을 때 원고리 형상을 이루는) 영역이다. 따라서, 둘레 테두리 영역(b1)에는 정제(5)의 성분이 부착되는 것에 의한 백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의 저면도에서는, 둘레 테두리 영역(b1)에 산점 모양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둘레 테두리 영역(b1)은 저벽부(2b)의 외부 테두리까지 넓어지는 영역으로 되어 있다. 단, 정제(5)의 형상에 대한 포켓부(2)의 상대적인 형상에 따라서는, 둘레 테두리 영역(b1)이 저벽부(2b)의 외부 테두리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중앙 영역(b2)은 정제(5)의 표면(5b)으로부터 이간되는 영역으로서, 둘레 테두리 영역(b1)으로 둘러싸인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영역이다. 중앙 영역(b2)은 기본적으로는 정제(5)와 접촉할 가능성이 없는 영역이므로, 중앙 영역(b2)에서 백탁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중앙 영역(b2)은 포켓부(2) 내의 정제(5)를 확인할 때, 이른바 창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b2)의 반경은, rc(mm)으로 되어 있다. 반경(rc)은 정제(5)의 형상에 대해 포켓부(2)의 상대적인 형상에 따라서 변동한다. 예를 들면, 저벽부(2b)에 따른 곡률반경(CRp)과 표면(5b)에 따른 곡률반경(CRt)의 차가 커질수록 반경(rc)은 큰 것이 되기 쉽다. 한편, 양 중심축(Lp, Lt)이 겹치는 상태에 있어서의 측벽부(2a) 및 측면(5a) 사이의 거리가 커질수록, 반경(rc)은 작은 것이 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충분히 넓은 중앙 영역(b2)을 확보하기 위해, 저벽부(2b)의 내면에 있어서의 최외테두리의 직경을 φp(mm)으로 했을 때, rc≥φp×0.2를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직경(φp)은 정제(5)에 따른 직경(φt)에 맞춰 변동하지만, 예를 들면, 6~20mm가 된다.
또한, 중앙 영역(b2)를 통한 정제(5)의 확인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는, 반경(rc)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rc≥φp×0.25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c≥φp×0.3을 만족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포켓부(2)는 수용된 정제(5)가 측벽부(2a)측을 향해 최대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의 표면(5b)의 중심으로부터 포켓부(2)의 중심(중심축(Lp))까지의 거리가 Δc(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거리(Δc)에 대해서는 0<Δc≤rc-(φRp/2)를 만족하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Δc=rc-(φRp/2)를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거리(Δc)는 측벽부(2a)와 측면부(5a)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크기 등, 정제(5)의 형상에 대한 포켓부(2)의 상대적인 형상에 의해 변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켓부(2)에 대한 정제(5)의 충진 용이성을 고려하여, Δc≥0.2를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거리(Δc)가 클수록 포켓부(2)에 대한 정제(5)의 충진 용이성이 높아지고, 포켓부(2)에 대한 정제(5)의 고속 충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Δc≥0.5를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중앙 영역(b2)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Δc<rc를 만족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Δc가 작을수록 중앙 영역(b2)에 따른 반경(rc)를 보다 큰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Δc≤φp×0.1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Δc≤φp×0.10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5b)의 일정 범위가 정보 부여 영역(5k)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바,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그 정보 부여 영역(5k)에 맞춘 형상의 포켓부(2)를 형성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고정 상태로 설치된 하부 틀(161)과, 상하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하부 틀(161)과의 사이에서 용기 필름(3)을 협지 가능한 상부 틀(162)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틀(161)에는 복수의 구멍(16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멍(161a)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켓부(2)의 성형틀로서 기능하는 플러그(163)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163)는 상하 이동 가능하고, 구멍(161a)에 삽입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러그(163)는 용기 필름(3)을 밀어올림으로써 포켓부(2)를 형성한다. 플러그(163)의 형상은 수용되는 정제(5)와의 관계에서, 저벽부(2b)의 내면이 둘레 테두리 영역(b1) 및 중앙 영역(b2)을 갖고, 또한 Δc≤rc-(φRp/2)[본 실시형태에서는, Δc=rc-(φRp/2)]를 만족하는 포켓부(2)를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163)는 포켓부(2)에 수용되는 정제(5)의 변경 등에 따라서 교환 가능하다.
한편, 상부 틀(162)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161a)의 연직 상방에 닿는 부분에는 구멍(16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에어 공급 장치로부터 구멍(162a)에 대해, 소정의 에어가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다음과 같이 하여 포켓부(2)를 형성한다. 즉,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부 틀(162)이 하부 이동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틀(161, 162)에 의해, 일시 정지 중인 용기 필름(3)에 있어서의 포켓부(2)의 형성 예정 부위의 주위를 끼운다. 또한,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플러그(163)가 상부 이동되어 구멍(162a)에 삽입 통과됨과 동시에, 소정 위치에서 일시 정지된다.
그 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162a)에 대해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포켓부(2)에 있어서의 돌출측(상측)과는 반대측(하측)으로 용기 필름(3)을 일단 변형시킨다. 이 때, 플러그(163)의 상면에 용기 필름(3)이 접촉함으로써, 용기 필름(3)의 변형량이 제한된다.
계속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163)의 상부 이동이 재개됨으로써, 용기 필름(3)의 이측에서 표측을 향해 플러그(163)의 상면을 돌출시킨다. 이에 의해, 플러그(163)에 의해 용기 필름(3)이 압압 변형된다. 그리고, 플러그(163)가 소정 위치에서 정지됨으로써, 포켓부(2)가 형성된다. 형성되는 포켓부(2)는 수용되는 정제(5)와의 관계에서, 깊이(Dp)가 표면(5b)의 직경(φt) 이하의 크기이고, 저벽부(2b)의 내면이 둘레 테두리 영역(b1) 및 중앙 영역(b2)을 갖게 된다. 또한, 형성되는 포켓부(2)는 수용되는 정제(5)와의 관계에서, Δc≤rc-(φRp/2)[본 실시형태에서는, Δc=rc-(φRp/2)]를 만족하게 된다.
또한, 구멍(162a)에 대한 에어의 공급은, 플러그(163)가 용기 필름(3)을 압압 변형시켜 정지한 후까지 계속된다. 이에 의해, 용기 필름(3)이 플러그(163)에 의해 확실히 밀착되게 되고, 수용되는 정제(5)와의 관계에서, Δc≤rc-(φRp/2) 등을 만족하는 포켓부(2)를 보다 확실히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포켓부(2)의 형성 후에는 플러그(163)를 하부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부 틀(162)을 상부 이동시킴으로써, 이들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 포켓부(2)를 형성하는 공정이 「포켓부 형성 공정」에 상당한다.
계속해서, 인쇄 충진 장치(2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충진 장치(21)는 정제(5)의 공급 경로를 따라서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저류부(211), 공급 슈트(212), 제1 로터리 드럼(213a), 제2 로터리 드럼(213b) 및 제3 로터리 드럼(213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쇄 충진 장치(21)는 제1 로터리 드럼(213a)에 대응하여 제1 카메라(214) 및 제1 인쇄 장치(215)를 구비하고, 제2 로터리 드럼(213b)에 대응하여 제2 카메라(216) 및 제2 인쇄 장치(217)를 구비하며, 제3 로터리 드럼(213c)에 대응하여 검사용 카메라(2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쇄 충진 장치(21)의 각 기구부(공급 슈트(212), 로터리 드럼(213a, 213b, 213c), 카메라(214, 216, 218), 인쇄 장치(215, 217))는 제어 장치(219)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저류부(211)는 다수의 정제(5)를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저류된 정제(5)를 공급 슈트(212)에 차례로 공급한다. 저류부(211)에 저류되는 정제(5)에 정보부(5j)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공급 슈트(212)는 통형상을 이루고, 정제(5)를 연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한 상태로 수용한다. 공급 슈트(212)는, 용기 필름(3)의 긴 방향으로 나열된 포켓부(2)의 열의 수와 동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 설치되어 있다. 공급 슈트(212)의 하측 개구부에는, 개폐 동작 가능한 셔터(212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셔터(212a)의 개폐에 의해, 정제(5)가 제1 로터리 드럼(213a)으로 공급된다.
각 로터리 드럼(213a, 213b, 213c)은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정제(5)를 흡착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정제(5)를 하류로 반송한다. 각 로터리 드럼(213a, 213b, 213c)의 외부 둘레에는 복수의 흡착부(213d)가 설치되어 있다. 흡착부(213d)는 로터리 드럼(213a, 213b, 213c)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이 둘레 방향으로 나열된 흡착부(213d)의 열이 상기 포켓부(2)의 열의 수와 동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착부(213d)에 대해 부압이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고, 부압이 공급된 흡착부(213d)에 의해 정제(5)를 흡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흡착부(213d)에 대한 부압의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흡착부(213d)에 의한 정제(5)의 흡착을 해제 가능하다.
제1 로터리 드럼(213a), 제2 로터리 드럼(213b) 및 제3 로터리 드럼(213c)은, 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정제(5)는 제1 로터리 드럼(213a)으로부터 제2 로터리 드럼(213b)으로 전달되고, 그 후, 제2 로터리 드럼(213b)으로부터 제3 로터리 드럼(213c)으로 전달된다. 정제(5)의 전달은 상류측의 로터리 드럼(213a, 213b)에서 정제(5)의 흡착이 해제되는 한편, 하류측의 로터리 드럼(213b, 213c)에서 상기 정제(5)가 흡착됨으로써 실시된다.
또한, 로터리 드럼(213a, 213b, 213c)은 정제(5)를 흡착할 때, 표면(5b) 또는 이면(5c)을 흡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로터리 드럼(213a) 및 제3 로터리 드럼(213c)은 이면(5c)을 흡착하고, 제2 로터리 드럼(213b)은 표면(5b)을 흡착한다. 단, 저류부(211)로부터 공급되는 정제(5)의 표리에 차이가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제1 로터리 드럼(213a)및 제3 로터리 드럼(213c)에 의해 흡착된 면이 이면(5c)이 되고, 제2 로터리 드럼(213b)에 의해 흡착된 면이 표면(5b)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표면(5b) 및 이면(5c) 중 흡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은, 로터리 드럼(213a, 213b, 213c)의 외부 둘레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제3 로터리 드럼(213c)은, 그 회전축의 연직 하방에서 정제(5)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진된다. 제3 로터리 드럼(213c)에 의해 정제(5)를 충진하는 공정이 "충진 공정"에 상당한다.
카메라(214, 216, 218)는, 예를 들면 CCD 카메라나 CMOS 카메라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반송되는 정제(5)를 촬상한다. 각 카메라(214, 216, 218)의 촬상 범위는, 각 로터리 드럼(213a, 213b, 213c)의 축 방향으로 나열된 5개의 정제(5)(흡착부(213d))를 1회로 촬상 가능한 범위로 되어 있다.
제1 카메라(214)는 제1 인쇄 장치(215)보다도 상류에서 정제(5)의 표면(5b)을 촬상하고, 표면(5b)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이 화상 데이터는 제1 인쇄 장치(215)에 의한 정제(5)의 인쇄 범위를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카메라(216)는 제2 인쇄 장치(217)보다도 상류에서 정제(5)의 이면(5c)을 촬상하고, 이면(5c)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이 화상 데이터는 제2 인쇄 장치(217)에 의한 정제(5)의 인쇄 범위를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검사용 카메라(218)는 제1 인쇄 장치(215)보다도 하류에서 정제(5)의 표면(5b)을 촬상하고, 표면(5b)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이 화상 데이터는 표면(5b)에 인쇄된 정보부(5j)의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카메라(214, 216, 218)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제어 장치(219)에 입력된다.
각 인쇄 장치(215, 217)는, 각각 소정의 잉크젯 방식(예를 들면, 피에조 방식이나 서멀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정제(5)에 대해 비접촉으로 인쇄를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정제 인쇄 장치이다. 각 인쇄 장치(215, 217)는 로터리 드럼(213a, 213b)의 축 방향으로 나열된 5개의 흡착부(213d)(정제(5))에 대응하는 5개의 인쇄 헤드(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각 인쇄 헤드는 복수의 토출 노즐(미도시)을 갖고 있다. 그리고, 토즐 노즐로부터 가식성 잉크의 액적을 토출함으로써, 정제(5)에 대해 문자나 기호 등의 정보를 인쇄한다. 잉크를 토출하는 토출 노즐은 제어 장치(219)에 의해 선택된다.
제1 인쇄 장치(215)는 제1 로터리 드럼(213a)의 측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인쇄 장치(215)는, 제1 로터리 드럼(213a)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5)의 표면(5b)을 향하여 잉크를 토출하고, 표면(5b)에 대해 비접촉으로 인쇄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정제(5)의 표면(5b)에 정보부(5j)가 형성된다.
한편, 제2 인쇄 유닛(217)은 제2 로터리 드럼(213b)의 측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인쇄장치(217)는 제2 로터리 드럼(213b)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5)의 이면(5c)을 향해 잉크를 토출하고, 이면(5c)에 대해 비접촉으로 인쇄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정제(5)의 이면(5c)에 정보부(5j)가 형성된다.
제어 장치(219)는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정보를 장기간 기억하기 위한 기억 매체(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등) 등을 구비하고 있다. 기억 매체에는, 정보부(5j)를 형성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인쇄 내용에 따른 데이터)나 정보 부여 영역(5k)에 관한 데이터(예를 들면, 정보 부여 영역(5k)을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정보부(5j)의 검사 에 사용되는 검사용 데이터 등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제어 장치(219)는 상술한 정보 부여 영역(5k)에 관한 데이터나 제1 카메라(214)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표면(5b)에 있어서의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정보부(5j)를 인쇄하도록 제1 인쇄 장치(215)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219)는 제1 카메라(214)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 정보 부여 영역(5k)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대상의 정제(5)에 있어서의 정보 부여 영역(5k)을 특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219)는 특정한 정보 부여 영역(5k) 및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토출 노즐을 선택한다. 그 후, 제어 장치(219)는 소정의 인쇄 타이밍에, 선택한 토출 노즐로부터 인쇄 대상의 정제(5)로 잉크를 토출시킨다. 이에 의해, 표면(5b)에 있어서의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정보부(5j)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인쇄 장치(215)에 의해, 표면(5b)에 있어서의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정보부(5j)를 설치하는 공정이 "정보부 작성 공정"에 상당한다.
또한, 제어 장치(219)는 제2 카메라(216)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이면(5c)에 있어서의 소정의 인쇄 대상 영역 내에 정보부(5j)를 인쇄하도록 제2 인쇄 장치(217)를 제어한다. 또한, 이면(5c)에 형성되는 정보부(5j)에 대해서는,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형성된다는 제약은 없다. 따라서, 이면(5c)에 따른 정보부(5j)의 인쇄 대상 영역을 정보 부여 영역(5k)보다도 넓게 해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219)는 상술한 검사용 데이터 및 검사용 카메라(218)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면(5b)에 있어서의 정보부(5j)가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양부 판정을 실시한다.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219)는 검사용 카메라(218)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로부터 정제(5)의 표면(5b)의 중심을 특정함과 동시에, 상기 중심으로부터 일정 이하의 거리에 있는 영역을 정보 부여 영역(5k)으로서 특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219)는, 특정된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정보부(5j)의 전체가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정보부(5j)가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219)에 의해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정보부(5j)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공정이 "정보 위치 판정 공정"에 상당한다.
또한, 제어 장치(219)에 의해 불량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불량 판정에 따른 정제(5)가 수용된 PTP 시트(1)는, 상기 불량 시트 배출 기구에 의해 배출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포켓부(2)의 형성 공정에서는, Δc≤rc-(φRp/2)를 만족하는 포켓부(2)가 형성된다. 즉, 도 13,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는 포켓부(2)에 있어서는, 양 중심축(Lp, Lt)이 일치하는 상태에서의 정제(5)의 최대 이동 거리(거리(Δc))가, 양 중심축(Lp, Lt)이 일치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정보 부여 영역(5k)의 외부 테두리로부터 중앙 영역(b2)의 외부 테두리까지의 거리[rc-(φRp/2)] 이하가 된다. 또한, 도 13, 14에서는, 상측에 양 중심축(Lp, Lt)을 일치시켰을 때의 저벽부(2b) 등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하측에 정제(5)를 거리(Δc)만큼 이동시켰을 때의 저벽부(2b) 등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3에서는 Δc=rc-(φRp/2)로 하고, 도 14에서는 Δc<rc-(φRp/2)로 하고 있다.
따라서, 양 중심축(Lp, Lt)이 일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제(5)(정보 부여 영역(5k))가 최대한(거리(Δc)) 이동한 경우에도, 평면에서 볼 때, 정보 부여 영역(5k)이 중앙 영역(b2)에서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제(5)가 포켓부(2) 내를 최대한 이동했다고 해도, 정보 부여 영역(5k)이 백탁의 가능성이 있는 둘레 테두리 영역(b1)과는 겹치지 않고, 정보 부여 영역(5k) 전체가 백탁이 발생하기 어려운 중앙 영역(b2)과 겹쳐지게 된다. 따라서, 둘레 테두리 영역(b1)에 백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클리어한 중앙 영역(b2)을 통해 정보부(5j)를 시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백탁에 의해 정보부(5j)의 내용 파악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Δc=rc-(φRp/2)를 만족함으로써, 정보 부여 영역(5k)이 둘레 테두리 영역(b1)과 겹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있어서, 거리(Δc)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양 중심축(Lp, Lt)이 일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포켓부(2)의 측벽부(2a)로부터 정제(5)까지의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켓부(2)에 정제(5)를 충진하는 공정에 있어서, 포켓부(2)에 대한 정제(5)의 충진을 보다 용이하게, 또한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PTP 시트(1)에 있어서, 저벽부(2b)에 대한 정보부(5j)의 접촉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벽부(2b)와의 접촉에 수반되는 정보부(5j)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정보부(5j)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양부 판정이 실시된다. 따라서, 정보부(5j)가 백탁과 겹칠 수 있는 정제(5)나 상기 정제(5)를 포함하는 PTP 시트(1)를 불량품으로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조되는 PTP 시트(1)에 있어서, 백탁에 의해 정보부(5j)의 내용 파악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된다. 물론, 이하에 있어서 예시하지 않은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부여 영역(5k)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포켓부(2)의 형성 공정에서는, 그 정보 부여 영역(5k)에 대응하는 포켓부(2)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포켓부(2)의 형상을 미리 결정해두고, 정보부(5j)의 작성 공정에 있어서는, 그 포켓부(2)나 수용되는 정제(5)의 형상에 대응하는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정보부(5j)를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깊이(Dp)가 표면(5b)의 직경(φt) 이하의 크기이고, 저벽부(2b)의 내면이 정제(5)와 접촉할 수 있는 둘레 테두리 영역(b1)과 정제(5)와 접촉하지 않는 중앙 영역(b2)을 갖는 포켓부(2)를 미리 결정한다. 이에 의해, 중앙 영역(b2)의 반경(rc)과 거리(Δc)가 결정된다. 또한, 정보부(5j)의 작성 공정에서는, 정제(5)의 표면(5b) 중 상기 표면(5b)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φRp(mm))의 원으로 구획되고, φRp≤(rc-Δc)/2를 만족하는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정보부(5j)가 형성되도록 제1 인쇄 장치(215)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정보부(5j)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rc-Δc)×2는 중앙 영역(b2)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 영역(b2)의 중심측을 향해 거리(Δc)만큼 떨어진 위치를 통과하는 가상 원(VC)의 직경에 상당한다. 이 가상 원(VC)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거리(Δc)를 이동했을 때에도 중앙 영역(b2) 외로 나가지 않는다. 또한, 도 15에서는, 상측에 중심축(Lt, Lp)을 일치시켰을 때의 저벽부(2b) 등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하측에 정제(5) 및 가상 원(VC)을 거리(Δc) 만큼 이동시켰을 때의 저벽부(2b) 등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φRp≤(rc-Δc)×2를 만족함으로써, 정보 부여 영역(5k)은 가상 원(VC)과 일치하는 영역, 또는 가상 원(VC) 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이 된다. 또한, 도 15에서는 정보 부여 영역(5k)을 가상 원(VC) 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하고, 이 정보 부여 영역(5k)에 사선을 긋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정보 부여 영역(5k)이 설정됨으로써, 정제(5)가 포켓부(2) 내를 최대한(거리(Δc)) 이동했다고 해도, 정보 부여 영역(5k)이 백탁할 가능성이 있는 둘레 테두리 영역(b1)과는 겹치지 않고, 정보 부여 영역(5k)의 전체가 백탁이 발생하기 어려운 중앙 영역(b2)과 겹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백탁에 의해 정보부(5j)의 내용 파악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얻어진 PTP 시트(1)에 있어서, 저벽부(2b)와의 접촉에 수반되는 정보부(5j)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직경(φRp)에 대해서는 φRp=(rc-Δc)/2를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정보 부여 영역(5k)이 둘레 테두리 영역(b1)과 겹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있어서, 직경(φRp)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부(5j)에 따른 시인성을 충분히 담보하면서, 정보부(5j)가 보다 많은 정보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부여 영역(5k)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φRp≥φt/4(보다 바람직하게는, φRp≥φt/3)를 만족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포켓부(2) 및 정제(5)의 형상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부(5j)가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양부 판정은, 포켓부(2)에 충진되기 전의 정제(5)에 따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시되고 있다. 이에 대해, 포켓부(2)에 충진된 후의 정제(5)에 따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양부 판정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포켓부(2)의 저벽부(2b)를 통해 촬상하고, 이 촬상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양부 판정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c)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제(5)의 표면(5b) 및 이면(5c)은 각각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표면(5b) 및 이면(5c)을 평탄면 형상으로 해도 된다. 즉, 정제(5)는 표면(5b) 및 이면(5c)이 평행한 평정이어도 된다.
(d)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에어에 의해 용기 필름(3)을 일단 변형시킨 후, 플러그(163)를 상기 용기 필름(3)에 가압함으로써, 포켓부(2)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이른바 에어 어시스트 플러그 성형법을 이용하여 포켓부(2)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포켓부 형성 장치는, 저벽부(2b)에 대응하는 형상의 성형 오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틀을 갖고, 기체의 제어 등에 의해 용기 필름(3)을 상기 틀에 접촉시킴으로써 포켓부(2)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포켓부 형성 장치는, 에어에 의해 용기 필름(3)을 변형시키는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단지 플러그를 용기 필름에 가압함으로써 포켓부(2)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5)에 정보부(5j)를 형성함에 있어서, 잉크젯 방식의 인쇄 장치(215, 217)를 사용하고 있지만, 잉크젯 방식 이외의 방식을 이용한 인쇄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인쇄 장치로서, 정제(5)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인쇄를 실시하는 것이나, 정제(5)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인쇄를 실시하는 것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정보부(5j)는 인쇄 이외의 수법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타정 공정(정제(5)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각인을 실시함으로써 정보부를 형성해도 된다.
(f)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PTP 포장기(10)는 인쇄 충진 장치(21)를 구비하고, 정제(5)에 정보부(5j)를 형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PTP 포장기(10)는 정제(5)에 정보부(5j)를 형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인쇄 충진 장치(21) 대신에, 정제(5)를 포켓부(2)에 충진하는 기능을 갖는 충진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충진 장치에 대해, 정보 부여 영역(5k) 내에 정보부(5j)가 미리 형성된 정제(5)를 공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g)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켓부(2)에 대한 정제(5)의 충진은, 정제(5)를 흡착 가능한 드럼에 의해 실시되어 있지만, 그 외의 다른 충진 장치에 의해 실시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정제(5)를 일렬로 나열한 상태로 수용하는 통형상의 슈트, 및 상기 슈트의 출구를 개폐 가능한 셔터(각각 미도시)를 구비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상기 셔터를 개방함으로써 포켓부(2)에 정제(5)를 충진하는 충진 장치 등을 사용해도 된다.
(h)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저벽부(2b)에 따른 곡률반경(CRp) 및 표면(5b)에 따른 곡률반경(CRt)의 대소 관계를 조절하는 것 등에 의해, 저벽부(2b)의 내면에 정제(5)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둘레 테두리 영역(b1)과, 정제(5)로부터 이간되는 중앙 영역(b2)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이외의 수법에 의해, 저벽부(2b)의 내면에 둘레 테두리 영역(b1)과 중앙 영역(b2)이 설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벽부(2b)의 중심부에 외측을 향해 팽창되고, 정제(5)의 표면(5b)으로부터 이간되는 팽출부(2c)를 설치함으로써, 저벽부(2b)의 내면에 둘레 테두리 영역(b1)과 중앙 영역(b2)이 설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i) 제조되는 PTP 시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PTP 시트(1) 단위의 포켓부(2)의 배열이나 개수는 상기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PTP 필름(6)은 그 폭 방향을 따라서 1 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그 폭 방향을 따라서 복수 시트 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부(5j)는 표면(5b) 및 이면(5c)에 설치되어 있지만, 표면(5b)에만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1: PTP 시트
2: 포켓부
2a: 측벽부
2b: 저벽부
3: 용기 필름
4: 커버 필름
5: 정제
5b: (정제의) 표면
5j: 정보부
5k: 정보 부여 영역
b1: 둘레 테두리 영역
b2: 중앙 영역
2: 포켓부
2a: 측벽부
2b: 저벽부
3: 용기 필름
4: 커버 필름
5: 정제
5b: (정제의) 표면
5j: 정보부
5k: 정보 부여 영역
b1: 둘레 테두리 영역
b2: 중앙 영역
Claims (5)
- 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 및
상기 포켓부의 개구를 막도록 하여 상기 용기 필름에 부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정제는, 적어도 표면에 소정의 정보부가 형성된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구강 내 붕괴정임과 동시에,
상기 포켓부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을 이루고, 수용된 정제의 상기 표면과 서로 대향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는 저벽부, 및
상기 저벽부의 최외주부에 연속되어 있는 통형상의 측벽부를 갖고 이루어진 PTP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는 정제의 상기 표면 중, 상기 정제를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표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으로 구획되는 정보 부여 영역 내에 설치되고,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공정, 및
상기 정보부가 설치된 정제를 상기 포켓부에 충진하는 충진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 형성 공정에서는, 이하의 요건 (1) 및 (2)를 만족함과 동시에,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정제가 상기 측벽부측을 향해 최대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정제의 표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포켓부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Δc(mm)가 되도록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고,
상기 충진 공정에서는, 상기 정보부가 설치된 정제를 상기 포켓부에 충진하고,
거리(Δc)는, 이하의 요건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시트의 제조 방법.
(1) 상기 포켓부의 깊이는 정제의 상기 표면의 직경 이하의 크기인 것.
(2) 상기 저벽부 중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측에 위치하는 내면은,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의 상기 표면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둘레 테두리 영역과, 정제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둘레 테두리 영역에 둘러싸인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중앙 영역을 갖는 것,
(3) 상기 정보 부여 영역의 직경을 φRp(mm)로 하고,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중앙 영역의 반경을 rc(mm)로 했을 때, Δc≤rc-(φRp/2)인 것. - 제 1 항에 있어서,
Δc=rc-(φRp/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시트의 제조 방법. - 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 및
상기 포켓부의 개구를 막도록 하여 상기 용기 필름에 부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는 정제는, 적어도 표면에 소정의 정보부가 형성된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구강 내 붕괴정임과 동시에,
상기 포켓부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을 이루고, 수용된 정제의 상기 표면과 서로 대향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는 저벽부와,
상기 저벽부의 최외주부에 연속되어 있는 통형상의 측벽부를 갖고 이루어진 PTP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포켓부에 대해서는, 하기 요건 (1) 및 (2)를 만족하게 되고,
정제의 적어도 상기 표면에 대해, 상기 정보부를 설치하는 정보부 작성 공정, 및
상기 정보부가 설치된 정제를 상기 포켓부에 충진하는 충진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부 작성 공정에서는, 정제의 상기 표면 중, 상기 정제를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표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φRp(mm))의 원으로 구획되는 정보 부여 영역 내에 상기 정보부를 설치하고,
상기 충진 공정에서는, 상기 정보부 형성 공정에서 상기 정보부가 설치된 정제를 상기 포켓부에 충진하고,
직경(φRp)은, 이하의 요건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시트의 제조 방법.
(1) 상기 포켓부의 깊이는 정제의 상기 표면의 직경 이하의 크기인 것.
(2) 상기 저벽부 중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측에 위치하는 내면은,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의 상기 표면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 원고리형상을 이루는 둘레 테두리 영역과, 정제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둘레 테두리 영역에 둘러싸인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중앙 영역을 갖는 것.
(3) 상기 포켓부 내에서 정제가 상기 측벽부측을 향해 최대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정제의 표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포켓부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Δc(mm)로 하고 ,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중앙 영역의 반경을 rc(mm)로 했을 때, φRp≤(rc-Δc)×2인 것. - 제 3 항에 있어서,
φRp=(rc-Δc)×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 작성 공정 후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가 상기 정보 부여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양부 판정을 실시하는 정보 위치 판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시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021571 | 2021-02-15 | ||
JP2021021571A JP7433260B2 (ja) | 2021-02-15 | 2021-02-15 | Ptpシート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7119A true KR20220117119A (ko) | 2022-08-23 |
KR102686226B1 KR102686226B1 (ko) | 2024-07-17 |
Family
ID=8290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0356A KR102686226B1 (ko) | 2021-02-15 | 2021-12-16 | Ptp 시트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433260B2 (ko) |
KR (1) | KR102686226B1 (ko) |
CN (1) | CN114940285B (ko) |
TW (1) | TWI807636B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2602B2 (ja) * | 1979-02-24 | 1984-05-28 | 日本鋼管株式会社 | 熱間粗圧延中におけるスラブの板幅の自動制御方法 |
JP2008116304A (ja) * | 2006-11-02 | 2008-05-22 | Toray Ind Inc | Ptpシート外観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
JP2014223946A (ja) * | 2013-04-25 | 2014-12-04 | シミックCmo株式会社 | Ptpシート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
JP2017158947A (ja) * | 2016-03-11 | 2017-09-14 |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並びに薬剤管理システム |
JP2017178352A (ja) | 2016-03-29 | 2017-10-05 | ニプロ株式会社 | Ptp包装体 |
US20180344567A1 (en) * | 2014-06-05 | 2018-12-06 | Nipro Corporation | Method of Manufacturing a PTP Sheet for Packaging a Pharmaceutical Drug |
JP2020015524A (ja) * | 2018-07-25 | 2020-01-30 | Ckd株式会社 | Ptpシートの製造方法 |
JP2020036672A (ja) * | 2018-09-03 | 2020-03-12 | Ckd株式会社 | Ptp包装機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58411A (en) * | 1976-05-10 | 1979-06-19 | Hall Douglas C | Dispensing package |
JPS551655U (ko) * | 1978-06-19 | 1980-01-08 | ||
US6155423A (en) * | 1997-04-01 | 2000-12-05 | Cima Labs Inc. | Blister package and packaged tablet |
JP2007217014A (ja) * | 2006-02-16 | 2007-08-30 | Fumiko Kuwabara | 固形物包装体 |
US20110266189A1 (en) * | 2010-05-03 | 2011-11-03 | Tom Nicole L | Blister packaging |
ES2677093T3 (es) * | 2010-11-12 | 2018-07-30 |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 Envasado de envase en blíster |
JP2012144288A (ja) * | 2011-01-14 | 2012-08-02 | Biofuerumin Seiyaku Kk | 耐衝撃性ptp包装体 |
TW201414468A (zh) * | 2012-10-10 | 2014-04-16 | Astellas Pharma Inc | Ptp包裝體 |
JPWO2014129623A1 (ja) * | 2013-02-25 | 2017-02-02 |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 Ptp包装体及びptp包装体の製造方法 |
JP5922602B2 (ja) * | 2013-03-01 | 2016-05-24 | Ckd株式会社 |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
WO2015137429A1 (ja) * | 2014-03-13 | 2015-09-17 |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 多層フィルム、成形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
WO2016031010A1 (ja) * | 2014-08-28 | 2016-03-03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ブランクの供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ブランクの供給方法 |
JP6693732B2 (ja) * | 2015-12-04 | 2020-05-13 | 株式会社エヌテック | 容器向き検出装置、容器処理装置及び容器向き検出方法 |
JP2018110678A (ja) * | 2017-01-11 | 2018-07-19 | Meiji Seikaファルマ株式会社 | Ptp包装体 |
JP2019123517A (ja) * | 2018-01-15 | 2019-07-25 | 藤森工業株式会社 | ストリップ包装体 |
UY38287A (es) * | 2018-07-30 | 2019-08-30 | Grifols Worldwide Operations Ltd |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detectar defectos en el cierre de viales encapsulados |
JP6914604B2 (ja) * | 2018-09-10 | 2021-08-04 | Ckd株式会社 | Ptpシート及びptp包装機 |
JP7280704B2 (ja) * | 2019-02-06 | 2023-05-24 |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
JP6777784B2 (ja) * | 2019-03-04 | 2020-10-28 | Ckd株式会社 | 検査装置、ブリスター包装機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
-
2021
- 2021-02-15 JP JP2021021571A patent/JP7433260B2/ja active Active
- 2021-12-16 KR KR1020210180356A patent/KR1026862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1-29 CN CN202210112720.1A patent/CN114940285B/zh active Active
- 2022-02-14 TW TW111105206A patent/TWI807636B/zh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2602B2 (ja) * | 1979-02-24 | 1984-05-28 | 日本鋼管株式会社 | 熱間粗圧延中におけるスラブの板幅の自動制御方法 |
JP2008116304A (ja) * | 2006-11-02 | 2008-05-22 | Toray Ind Inc | Ptpシート外観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
JP2014223946A (ja) * | 2013-04-25 | 2014-12-04 | シミックCmo株式会社 | Ptpシート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
US20180344567A1 (en) * | 2014-06-05 | 2018-12-06 | Nipro Corporation | Method of Manufacturing a PTP Sheet for Packaging a Pharmaceutical Drug |
JP2017158947A (ja) * | 2016-03-11 | 2017-09-14 |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並びに薬剤管理システム |
JP2017178352A (ja) | 2016-03-29 | 2017-10-05 | ニプロ株式会社 | Ptp包装体 |
JP2020015524A (ja) * | 2018-07-25 | 2020-01-30 | Ckd株式会社 | Ptpシートの製造方法 |
JP2020036672A (ja) * | 2018-09-03 | 2020-03-12 | Ckd株式会社 | Ptp包装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807636B (zh) | 2023-07-01 |
CN114940285B (zh) | 2024-06-07 |
JP2022124040A (ja) | 2022-08-25 |
TW202243970A (zh) | 2022-11-16 |
KR102686226B1 (ko) | 2024-07-17 |
CN114940285A (zh) | 2022-08-26 |
JP7433260B2 (ja) | 2024-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884736B (zh) | Ptp片和ptp包装机 | |
WO2014200064A1 (ja) | 薬剤包装用ptpシート | |
CN110871917B (zh) | Ptp包装机 | |
CN110775322B (zh) | Ptp片的制造方法 | |
KR20220117119A (ko) | Ptp 시트의 제조 방법 | |
CN110680741A (zh) | Ptp片的制造方法和ptp片 | |
JP2022188140A (ja) | 錠剤充填装置、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の製造方法 | |
JP7322252B2 (ja) | Ptp包装機 | |
JP7254038B2 (ja) | ブリスタ包装機及びブリスタシートの製造方法 | |
JP2023104231A (ja) | ブリスタ包装機及びブリスタシートの製造方法 | |
JP7065820B2 (ja) | 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製造方法 | |
JP7083719B2 (ja) | Ptpシートの製造方法 | |
JP7219241B2 (ja) | ブリスタ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ブリスタ包装機 | |
JP2022114730A (ja) | ブリスタ包装機 | |
KR102620062B1 (ko) | Ptp 시트 및 ptp 포장기 | |
JP7405689B2 (ja) | ブリスタ包装機及びブリスタシートの製造方法 | |
JP6171633B2 (ja) | 薬剤包装用ptp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 |
JP2002037201A (ja) | 錠剤投入装置及びptpシート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