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62B1 - Ptp 시트 및 ptp 포장기 - Google Patents

Ptp 시트 및 ptp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62B1
KR102620062B1 KR1020210156528A KR20210156528A KR102620062B1 KR 102620062 B1 KR102620062 B1 KR 102620062B1 KR 1020210156528 A KR1020210156528 A KR 1020210156528A KR 20210156528 A KR20210156528 A KR 20210156528A KR 102620062 B1 KR102620062 B1 KR 10262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pocket portion
curvature
bottom wall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175A (ko
Inventor
신지 하토리
타츠야 사나가와
츠요시 오야마
노리히코 사카이다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5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single articles, e.g.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61J1/035Blister-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7/00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7/00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 B65B47/04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PTP 시트 및 PTP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PTP 시트의 용기 필름(3)은, 정제(5)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2)를 갖는다. 정제(5)는, 적어도 표면(5b)이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고, 소정 단면에 있어서의 정제(5)의 표면(5b)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t)을 갖는 원호 형상이 된다. 포켓부(2)의 저벽부(2b) 중 정제(5)측에 위치하는 내면은, 정제(5)를 지지 가능한 지지 영역(p1)과, 지지 영역(p1)에 둘러싸인 중앙 영역(p2)을 구비한다. 소정 단면에 있어서, 지지 영역(p1)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1)을 갖는 원호 형상이 되고, 중앙 영역(p2)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2)을 갖는 원호 형상이 된다. 그리고, CRt≥CRp2>CRp1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저벽부의 광범위에 걸쳐서 백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 가능하게 하면서, 포켓부의 높이 증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PTP 시트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TP 시트 및 PTP 포장기{PTP sheet and PTP packaging machine}
본 발명은 포켓부에 정제를 수용하여 이루어진 PTP 시트, 및 PTP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PTP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이나 식료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 사용되는 블리스터 시트로서 PTP(press through pack) 시트가 알려져 있다. PTP 시트는 정제가 수용되는 포켓부를 갖는 용기 필름과,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장착되는 커버 필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정제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각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면 형상을 이루는 표면 및 이면과, 이들 면에 의해 끼워진 측면에 의해 외표면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제로서는, 타액이나 소량의 물로 빨리 녹도록 구성된 구강 내 붕괴정이 알려져 있다.
PTP 시트는 PTP 포장기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PTP 포장기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에 포켓부를 형성하는 수단, 포켓부에 정제를 충진하는 수단,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용기 필름에 커버 필름을 장착하는 수단, 양 필름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띠형상의 PTP 필름을 시트 단위로 펀칭하는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제품의 수송시나 사용자가 운반할 때 등에 있어서, PTP 시트에 대해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포켓부의 저벽부에 대해 정제의 표면(정제에 있어서의 저벽부측에 배치되는 면)이 스칠 우려가 있다. 저벽부에 정제의 표면이 스치면, 정제의 성분이 저벽부에 부착되고, 용기 필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벽부의 광범위에 걸쳐서 백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백탁이 발생하면, 포켓부 내의 정제 자체나, 인쇄 등에 의해 정제에 부착된 각종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특히 정제가 구강 내 붕괴정인 경우에는, 정제의 성분이 저벽부에 부착되기 쉽고, 저벽부의 백탁이 보다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최근에는 정제의 표면의 곡률반경과 저벽부의 곡률반경을 소정의 관계로 하는 것에 의해, PTP 시트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진 경우에도, 저벽부의 백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기술에서는 저벽부(상면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르는 곡률반경을 정제의 표면(정보 표시부)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르는 곡률반경 이하로 함으로써, 저벽부의 백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7-178352 호
 그러나, 상기 기술에 있어서, 저벽부의 곡률반경을 정제의 표면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저벽부의 내면에 대해 정제의 표면 전역이 면접촉하게 되어, 저벽부의 광범위에 걸쳐서 백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켓부(2)의 저벽부(2b)의 곡률반경을 정제(5)의 표면(5b)의 곡률반경 보다 작게 하면, 정제(5)의 표면(5b)에 있어서의 외주부(둘레 테두리부) 만이 저벽부(2b)의 내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저벽부(2b)의 광범위에 걸쳐서 백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도 생각된다. 그러나, 양 곡률반경의 차가 작으면, 도 16(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가상원(VC) 내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5)의 표면(5b)이 저벽부(2b)와 스쳐 변형된 경우(예를 들면, 도 16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5)가 변형된 경우)에 그 변형량이 그다지 크지 않아도, 저벽부(2b)의 광범위에 대해 정제(5)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양 곡률반경의 차가 작으면, 제품의 수송 등에 따라 저벽부(2b)의 중심측을 향해서 서서히 백탁이 확대되고, 결과적으로, 저벽부(2b)의 광범위에 걸쳐서 백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벽부(2b)의 곡률반경을 정제(5)의 표면(5b)의 곡률반경 보다 충분히 작게 함으로써, 정제(5)의 표면(5b)이 저벽부(2b)와 스쳐 변형된 경우에도, 저벽부(2b)의 중심측을 향해 백탁이 확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포켓부(2)의 높이(Hp)를 비교적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PTP 시트는, 통상 복수장 겹쳐진 상태로 박스 포장되어 곤포되어 이루어진 시트 곤포체로서 수송·보관된다. 그 때문에, 높이(Hp)를 수 mm 증대시킴에 따라서 PTP 시트의 높이를 수 mm 증대시켰을뿐이어도, 시트 곤포체의 사이즈가 현저하게 커져버린다. 그 때문에, 수송이나 보관에 따른 효율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저벽부의 광범위에 걸쳐서 백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 가능하게 하면서, 포켓부의 높이 증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PTP 시트 등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에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을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과,
상기 포켓부의 개구를 막도록 하여 상기 용기 필름에 장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PTP 시트로서,
정제는 적어도 표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이루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구강 내 붕괴정이고,
정제의 상기 표면의 직경은, 상기 포켓부의 깊이 이상의 크기이고,
정제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정제의 상기 표면의 외형선(단, 할선, 각인 등의 오목부는 무시한다.)은, 일정한 곡률반경(CRt(mm))을 갖는 원호 형상이고,
정제의 상기 표면은, 직경(φt(mm))을 갖고,
상기 포켓부는, 수용된 정제의 상기 표면과 서로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저벽부를 갖고,
상기 저벽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저벽부 중,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측에 위치하는 내면은,
정제의 상기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를 지지 가능한 평면에서 보아 원고리 형상의 지지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에 끼워진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중앙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최외주부는, 직경(φp2(mm))을 갖고,
상기 포켓부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영역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1(mm))을 갖는 원호 형상임과 동시에,
상기 포켓부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중앙 영역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2(mm))을 갖는 원호 형상이고,
CRt≥CRp2>CRp1, 및 φt>φp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시트.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φt>φp2를 만족하기 때문에, 지지 영역에 의해 정제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정제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정제의 표면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t(mm))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정제의 표면은, 일정한 곡률반경(CRt(mm))을 갖는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포켓부의 저벽부의 내면은, 정제를 지지 가능한 원고리형상의 지지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에 둘러싸인 중앙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포켓부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지지 영역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1(mm))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지지 영역은, 일정한 곡률반경(CRp1(mm))을 갖는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CRt≥CRp2>CRp1을 만족하기 때문에, 지지 영역에 따른 곡률반경(CRp1)을, 정제의 표면에 따른 곡률반경(CRt) 보다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제가 저벽부와 스쳐 변형된 경우에도, 저벽부에 대한 정제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기 어려워지고, 저벽부의 중심측을 향해 백탁이 확대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저벽부의 광범위에 걸쳐서 백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포켓부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2(mm))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중앙 영역은 일정한 곡률반경(CRp2(mm))을 가진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영역에 따른 곡률반경(CRp2)은, 지지 영역에 따른 곡률반경(CRp1)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저벽부의 내면 전체를 일정한 곡률반경(CRp1)의 구면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포켓부의 높이를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포켓부의 높이 증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제의 표면의 직경은, 포켓부의 깊이 이상의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포켓부 내에서 정제가 표리 반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 영역에 의해 정제의 표면을 더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영역에 따른 곡률반경(CRp1)을 정제에 따른 곡률반경(CRt) 보다 더 작게 하고, 저벽부의 중심측을 향한 백탁의 확산를 더 확실히 억제한다는 점에서는, 곡률반경(CRp1)이, 곡률반경(CRt)을 계수(k)(k는 2 이상의 정수)로 나눈 값 이하가 되도록(즉, CRp1≤CRt/k를 만족한다.)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수(k)가 클수록 백탁의 확산 억제 효과가 높아지므로, k≥3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k≥4를 만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 포켓부의 높이 증대를 보다 확실히 억제한다는 점에서는, 곡률반경(CRp1)을 매우 작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를 들면, k≤8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k≤6을 만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만일 정제가 스쳐 크게 변형된 경우에도, 중앙 영역에 정제의 표면이 면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는, CRt>CRp2를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단 2. 상기 포켓부는, 상기 저벽부의 최외주부에 연속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측벽부를 갖고,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저벽부의 내면의 최외주부까지 확대되는 영역이고,
상기 지지 영역의 최외주부는, 직경(φp1(mm))을 갖고,
φt-(φp1-φt)≥φp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PTP 시트.
포켓부의 중심축과 정제의 중심축이 겹치도록 포켓부 내에 정제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이들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중앙 영역의 최외주부에서 정제 표면의 최외주부까지의 거리는(φt-φp2)/2가 된다. 또한, 포켓부의 중심축과 정제의 중심축이 겹치도록 포켓부 내에 정제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이들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정제 표면의 최외주부에서 지지 영역의 최외주부까지의 거리는, (φp1-φt)/2가 된다. 여기서, 상기 거리는, 상기 상태에 있어서의 포켓부의 측벽부 내면과 정제 표면의 최외주부의 사이의 틈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각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틈만큼 정제가 측벽부측으로 이동하고, 정제 표면의 최외주부가 측벽부에 접근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여전히 지지 영역에 의해 정제(정제의 최외주부)를 보다 확실히 지지 가능하게 하는, 즉, 상기 각 중심축 방향을 따라서 지지 영역과 정제의 최외주부가 겹치는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φt-φp2)/2]-[(φp1-φt)/2]≥0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이 점,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φt-(φp1-φt)≥φp2, 즉, [(φt-φp2)/2]-[(φp1-φt)/2]≥0을 만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정제 표면의 최외주부가 측벽부에 접근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지지 영역에 의해 정제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수단 1에 의한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히 발휘시킬 수 있다.
수단 3. 상기 수단 1에 기재된 PTP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PTP 포장기에 있어서,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수단을 갖고,
상기 포켓부 형성 수단은, 수용되는 정제에 대해, CRt≥CRp2>CRp1 및 φt> φp2의 관계를 만족 상기 포켓부를 형성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제조된 PTP 시트에 있어서, 상기 수단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게 된다.
수단 4. 상기 수단 2에 기재된 PTP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PTP 포장에 있어서,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수단을 갖고,
상기 포켓부 형성 수단은, 수용되는 정제에 대해, CRt≥CRp2>CRp1 및 φt>φp2의 관계, 및 φt-(φp1-φt)≥φp2의 관계를 만족하는 상기 포켓부를 형성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제조된 PTP 시트에 있어서, 상기 수단 2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PTP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PTP 필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정제의 표면 직경 등을 나타내기 위한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정제의 표면에 따른 곡률반경 등을 나타내기 위한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PTP 포장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포켓부 형성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7은 포켓부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하부 틀 및 상부 틀에 의해 용기 필름을 끼우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포켓부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에어에 의해 용기 필름을 변형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포켓부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플러그에 의해 용기 필름을 변형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CRp1=CRt/2로 했을 때에 있어서, 정제가 일정량 변형된 경우에 있어서의 정제 및 지지 영역의 접촉 범위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CRp1=CRt/3으로 했을 때에 있어서, 정제가 일정량 변형된 경우에 있어서의 정제 및 지지 영역의 접촉 범위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CRp1=CRt/4로 했을 때에 있어서, 정제가 일정량 변형된 경우에 있어서의 정제 및 지지 영역의 접촉 범위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영역의 최외주부에 곡면 형상 부분을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지지 영역에 따른 곡률반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앙 영역의 최외주부에 곡면 형상 부분을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에 따른 곡률반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포켓부나 정제 등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포켓부나 정제 등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저벽부의 곡률반경을 정제의 표면의 곡률반경보다도 충분히 작게 한 경우에 있어서의 포켓부의 높이 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PTP 시트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TP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하여 용기 필름(3)에 장착된 커버 필름(4)을 갖고 있다.
용기 필름(3)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투광성을 갖고 있다. 즉, 용기 필름(3)은, 외부에서 포켓부(2)의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용기 필름(3)은, 포켓부(2)의 개구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커버 필름(4)의 장착 대상이 되는 평탄 형상의 플랜지부(3a)를 갖고 있다.
커버 필름(4)은, 예를 들면 PP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실런트가 표면에 설치된 불투명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필름(3, 4)의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각 필름(3, 4)의 재료를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PTP 시트(1)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3) 및 띠형상의 커버 필름(4)으로 형성된 띠형상의 PTP 필름(6)(도 2 참조)이 시트상으로 펀칭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PTP 시트(1)에는, 그 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5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진 포켓 열이, 그 짧은 길이 방향으로 2열 형성되어 있다. 즉, 총 10개의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에는, 정제(5)가 한개씩 수용되어 있다. 또한, PTP 시트(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PTP 시트(1)를 제조하기 위한 PTP 포장기(10)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PTP 포장기(10)의 최상류측에서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3)의 원단이 롤형상으로 감겨 있다. 롤형상으로 감긴 용기 필름(3)의 인출단측은, 가이드롤(12, 13)에 안내되어 있다. 용기 필름(3)은, 가이드롤(12, 13)의 하류측에 있어서 간헐 이송롤(14)에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14)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롤(13)과 간헐 이송 롤(14)의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가열 장치(15) 및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포켓부 형성 수단」을 구성한다.
가열 장치(15)는, 포켓부 형성 장치(16)의 직상류에서 용기 필름(3)을 예열한다.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가열 장치(15)에 의해 가열되어 비교적 유연한 상태가 된 용기 필름(3)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를 형성한다. 포켓부(2)의 형성은, 간헐 이송롤(14)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간의 인터벌시에 실시된다. 포켓부 형성 장치(16)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간헐 이송 롤(14)로부터 보내진 용기 필름(3)은 가이드롤(17), 텐션롤(18) 및 필름 받이롤(20)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필름 받이롤(20)은, 일정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용기 필름(3)을 연속적으로 또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텐션롤(18)은, 용기 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간헐 이송 롤(14)과 필름 받이롤(20)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느슨함을 방지하여 용기 필름(3)을 항상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가이드롤(19)과 필름 받이롤(20)의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충진 장치(21) 및 검사 장치(22)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충진 장치(21)는, 포켓부(2)에 정제(5)를 충진한다. 충진 장치(21)는 예를 들면, 정제(5)를 일렬로 나열한 상태로 수용하는 통형상의 슈트, 및 상기 슈트의 출구를 개폐 가능한 셔터(각각 미도시)를 구비하고 있고, 소정의 타이밍에 상기 셔터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포켓부(2)에 정제(5)를 충진한다. 또한, 충진 장치(21)는 정제(5)를 흡착 가능한 흡착 드럼(미도시)을 구비하고, 흡착 해제에 의해 포켓부(2)에 정제(5)를 충진하는 것이어도 된다.
검사 장치(22)는, 예를 들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확실히 충진되어 있는지 여부, 정제(5)의 이상의 유무, 포켓부(2)로의 이물 혼입의 유무 등, 주로 정제 불량에 관한 검사를 실시한다.
한편, 띠형상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최상류측에 있어서 롤형상으로 감겨 있다. 롤형상으로 감긴 커버 필름(4)의 인출 단은, 가이드롤(24)에 의해 가열 롤(25) 쪽으로 안내되어 있다.
가열 롤(25)은, 상기 필름 받이롤(20)에 압접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 롤(20, 25) 사이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양 필름(3, 4)이 양 롤(20, 25) 사이를 가열 압접 상태로 통과하는 것에 의해,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이 장착되고, 포켓부(2)가 커버 필름(4)으로 막혀 있다. 이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수용된 띠형상의 PTP 필름(6)이 제조된다.
필름 받이롤(20)에서 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롤(27) 및 간헐 이송 롤(28)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28)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롤(27)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필름 받이롤(20)과 간헐 이송 롤(28)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PTP 필름(6)의 느슨함을 방지하여 PTP 필름(6)을 항상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간헐 이송 롤(28)로부터 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롤(31) 및 간헐 이송 롤(32)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2)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롤(31)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28, 32) 사이에서의 PTP 필름(6)의 느슨함을 방지한다.
간헐 이송 롤(28)과 텐션롤(31)의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슬릿 형성 장치(33) 및 각인 장치(34)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슬릿 형성 장치(33)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에 분리용 슬릿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인 장치(34)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태그부)에 각인을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슬릿이나 각인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간헐 이송 롤(32)로부터 보내진 PTP 필름(6)은, 그 하류측에 있어서 텐션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의 순으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2)과 텐션롤(35)의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시트 펀칭 장치(37)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펀칭 장치(37)는, PTP 필름(6)을 PTP 시트(1) 단위로 그 외부 테두리를 분리한다(펀칭한다). 이에 의해, PTP 시트(1)가 얻어진다.
얻어진 PTP 시트(1)는 컨베이어(39)에 의해 반송되고, 완성품용 호퍼(40)에 일단 저류된다. 단, 상기 검사 장치(22)에 의해 불량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판정에 따른 PTP 시트(1)는 완성품용 호퍼(40)에 보내지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불량 시트 배출기구에 의해 별도로 배출된다.
상기 연속 이송 롤(36)의 하류측에는, 재단 장치(41)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펀칭 장치(37)에 의한 펀칭 후에 띠형상으로 남은 불요 필름부(42)는, 텐션롤(35) 및 연속 이송 롤(36)로 안내된 후, 재단 장치(41)로 인도된다. 재단 장치(41)는, 불요 필름부(42)를 소정 치수로 재단한다. 재단된 불요 필름부(42)(스크랩)는 스크랩용 호퍼(43)에 저류된 후, 별도 폐기 처리된다.
계속해서, 도 3, 4를 참조하여, PTP 시트(1)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등에서는, 포켓부(2)의 중심축(Lp)에 대해 정제(5)의 중심축(Lt)이 일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포켓부(2)에 수용되는 정제(5)에 대해 설명한다.
정제(5)는 타액이나 소량의 물로 빨리 녹도록 구성된 구강 내 붕괴정이다. 정제(5)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 즉 중심축(Lt) 방향을 따라서 봤을 때, 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정제(5)는 측면(5a)과, 상기 측면(5a)을 끼우는 표면(5b) 및 이면(5c)에 의해 외표면이 구성되어 있다. 측면(5a)은, 중심축(Lt)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외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표면(5b) 및 이면(5c)은, 각각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측면(5a)의 단부에 연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5b) 및 이면(5c)의 각 형상은 동일하지만, 표면(5b)이란, 포켓부(2)의 후술하는 저벽부(2b)측에 배치된 면을 말한다.
또한, 정제(5)의 표면(5b)의 직경(φt(mm))은, 포켓부(2)의 깊이(Dp(mm))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경(φt)은 깊이(Dp)의 2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Dp≤φt/2를 만족하도록 되어 있고, 깊이(Dp)는, 직경(φt)에 비해 충분히 작도록 되어 있다. 단, 당연한지만, 깊이(Dp)는, 정제(5)의 최대 두께(중심축(Lt) 상에 있어서의 표면(5b) 및 이면(5c)간의 거리) 보다 크게 된다. 또한, 직경(φt)은, 통상, 5~15mm가 된다.
또한, 정제(5)의 중심축(Lt)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정제(5)의 표면(5b)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t(mm))을 갖고 있다. 즉, 정제(5)의 표면(5b)은, 일정한 곡률반경(CRt(mm))을 갖는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단, 할선이나 각인 등의 오목부는 무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곡률반경(CRt)은 직경(φt) 이상으로 되어 있고, 표면(5b)의 중심은, 중심축(Lt) 방향을 따라서 표면(5b)의 최외주부 보다도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곡률반경(CRt)은, 예를 들면, 직경 φt×5 이하로 되어 있고, 표면(5b)에서 측면(5a)에 걸친 각 부분은, 충분히 큰 각도를 갖는 둔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정제(5)가 비교적 무른 구강 내 붕괴정이어도, 상기 각 부분에 있어서의 결여의 발생을 억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계속해서, 정제(5)가 수용되는 포켓부(2)에 대해 설명한다. 포켓부(2)는, 상기 플랜지부(3a)에서 돌출된 원통형상의 측벽부(2a)와, 상기 측벽부(2a)의 단부에 연속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상의 저벽부(2b)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부(2a)는, 포켓부(2)의 중심축(Lp) 방향을 따라서 대략 일정한 내부 직경을 갖고 있고, 측벽부(2a)의 내부 직경은, 정제(5)의 표면(5b)의 직경(φt)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양 중심축(Lp, Lt)이 겹치도록 포켓부(2) 내에 정제(5)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측벽부(2a)의 내면 전역은, 정제(5)의 측면(5a) 전역에서 이간된 상태가 되고, 측벽부(2a)의 내면 및 측면(5a) 사이에는 평면에서 보아 원고리형상의 틈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벽부(2a)로 부하가 가해졌을 때, 상기 부하에서 회피하도록 하여 정제(5)가 이동 가능해지고, 정제(5)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2a)는, 저벽부(2b)측을 향해 서서히 내부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여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양 중심축(Lp, Lt)이 겹치도록 포켓부(2) 내에 정제(5)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측벽부(2a)의 내면 전역이 정제(5)의 측면(5a) 전역에서 이간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벽부(2b)는,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저벽부(2b) 중,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측에 위치하는 내면은, 지지 영역(p1) 및 중앙 영역(p2)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영역(p1)은, 양 중심축(Lp, Lt)이 겹치도록 포켓부(2) 내에 정제(5)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정제(5)의 표면(5b)의 최외주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정제(5)를 지지 가능한 평면에서 보아 원고리 형상을 이루는(즉, 중심축(Lp) 방향을 따라서 봤을 때, 원고리 형상을 이루는) 영역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영역(p1)은, 양 중심축(Lp, Lt)이 겹침과 동시에 양 중심축(Lp, Lt)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저벽부(2b)의 내면에 정제(5)가 얹어 설치되는 상태에 있어서, 정제(5)의 표면(5b)의 최외주부와 접촉함으로써, 정제(5)를 지지 가능한 영역이다. 또한, 포켓부(2)의 중심축(Lp)을 포함하는 임의이 단면에 있어서의 지지 영역(p1)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1(mm))을 갖고 있다. 즉, 지지 영역(p1)은, 일정한 곡률반경(CRp1(mm))을 갖는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영역(p1)은, 저벽부(2b)의 내면의 최외주부까지 확대되는 영역이고, 지지 영역(p1)의 최외주부는, 측벽부(2a)의 내면 단부에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영역(p1)의 최외주부는 직경(φp1(mm))을 갖고 있다. 따라서, 직경(φp1)은, 측벽부(2a)에 있어서의 저벽부(2b)측의 단부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중앙 영역(p2)은, 저벽부(2b)의 중심에 위치하고, 지지 영역(p1)에 둘러싸인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즉, 중심축(Lp) 방향을 따라서 봤을 때 원형상)을 이루는 영역이다. 중앙 영역(p2)은, 양 중심축(Lp, Lt)이 겹침과 동시에 양 중심축(Lp, Lt)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지지 영역(p1)에 의해 정제(5)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정제(5)의 표면(5b)과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심축(Lp)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p2)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2(mm))을 갖고 있다. 즉, 중앙 영역(p2)은, 일정한 곡률반경(CRp2(mm))을 갖는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앙 영역(p2)의 최외주부는, 직경(φp2(mm))을 갖고 있다. 직경(φp2)은, 지지 영역(p1)의 최내주부의 직경과 동일하다.
또한, 정제(5)의 표면(5b)에 따른 곡률반경(CRt), 지지 영역(p1)에 따른 곡률반경(CRp1), 및 중앙 영역(p2)에 따른 곡률반경(CRp2)에 대해, CRt≥CRp2>CRp1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만일 정제(5)가 지지 영역(p1)에 스쳐 크게 변형된 경우에도, 중앙 영역(p2)에 정제(5)의 표면(5b)이 면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Rt>CRp2를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률반경(CRp1)이 곡률반경(CRt)을 계수(k)(k는 2 이상의 정수)로 나눈 값 이하가 되도록(즉, CRp1CRt/k를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k≥3을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k≥4를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10~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수(k)가 클수록, 지지 영역(p1)에 정제(5)가 스쳐 변형된 경우에 있어서의 정제(5) 및 지지 영역(p1)의 접촉 범위(Ar)가 작아지고, 포켓부(2)의 백탁 억제 효과가 높기 때문이다.
또한, 도 10~12는, 곡률반경(CRt) 및 곡률반경(CRp2)을 각각 일정하게 하고 나서, 계수(k)를 2, 3 또는 4로 하고, 곡률반경(CRp1)(=CRt/k))을 변동시켰을 때의 포켓부(2)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12에서는, 지지 영역(p1)에 정제(5)의 표면(5b)이 스침으로써 정제(5)가 일정량 변형된 경우에 있어서, 포켓부(2)를 평면에서 봤을 때의 정제(5) 및 지지 영역(p1)의 접촉 범위(Ar)를 산점 모양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면(5b)의 최외주부에 있어서, 정제(5)의 변형 부분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 포켓부(2)의 높이(Hp)를 보다 낮게 억제한다는 점에서는, 곡률반경(CRp1)을 매우 작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k≤8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k≤6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 4로 복귀하여, 정제(5)의 표면(5b)의 직경(φt), 지지 영역(p1)의 최외주부의 직경(φp1) 및 중앙 영역(p2)의 최외주부의 직경(φp2)에 대해서는, φt-(φp1-φt)≥φp2를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양 중심축(Lp, Lt)이 겹치도록 포켓부(2) 내에 정제(5)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이들 중심축(Lp, Lt)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중앙 영역(p2)의 최외주부에서 정제(5)의 표면(5b)의 최외주부까지의 거리는, (φt-φp2)/2가 된다. 또한, 양 중심축(Lp, Lt)이 겹치도록 포켓부(2) 내에 정제(5)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이들 중심축(Lp, Lt)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정제(5)의 표면(5b)의 최외주부에서 지지 영역(p1)의 최외주부까지의 거리는, (φp1-φt)/2가 된다. 여기서, 상기 거리는, 상기 상태에 있어서의 포켓부(2)의 측벽부(2a)(특히 측벽부(2a)에 있어서의 저벽부(2b)측의 단부) 내면과 표면(5b)의 최외주부 사이에 있어서의 틈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양 중심축(Lp, Lt)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틈만큼 정제(5)가 측벽부(2a)측으로 이동하고, 정제(5)의 표면(5b)의 최외주부가 측벽부(2a)(특히 측벽부(2a)에 있어서의 저벽부(2b)측의 단부)의 내면으로 접근한 상태로 되어 있다고 한다. 이 경우에도, 여전히 지지 영역(p1)에 의해 정제(5)(정제(5)의 최외주부)를 보다 확실히 지지 가능하게 하는, 즉, 양 중심축 방향(Lp, Lt)을 따라서 지지 영역(p1)과 정제(5)(표면(5b))의 최외주부가 겹치는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φt-φp2)/2]-[(φp1-φt)/2]≥0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φt-(φp1-φt)≥φp2를 만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φt-φp2)/2]-[(φp1-φt)/2]≥0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제(5)의 표면(5b)의 최외주부가 측벽부(2a)로 접근한 상태가 되었을 때, 정제(5)에 경사가 발생할(중심축(Lt)이 중심축(Lp)과 비평행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φt-(φp1-φt)≥φp2라는 식은, 이 경사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 정제(5)의 표면(5b)의 최외주부가 측벽부(2a)로 접근한 상태가 되었을 때, 양 중심축 방향(Lp, Lt)을 따라서 지지 영역(p1)과 정제(5)(표면(5b))의 최외주부가 겹치는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엄밀하게는, 포켓부(2) 내에 있어서의 정제(5)의 경사를 고려하여, 직경(φp1) 등을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통상, 정제(5)의 경사는 작으므로, φt-(φp1-φt)≥φp2를 만족함으로써, 지지 영역(p1)에 의해 정제(5)를 지지하는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앙 영역(p2)에 따른 직경(φp2)은, 정제(5)에 따른 직경(φt) 미만으로 되어 있다. 즉, φt>φp2를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직경(φp2)은 과도하게 작은 것이 아니라, 직경(φp1)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직경(φp2)이 클수록, 저벽부(2b)에 있어서 중앙 영역(p2)이 차지하는 범위가 커지고, 결과적으로, 포켓부(2)의 높이(Hp)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직경(φp2)을 직경(φp1)의 2/3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φp2)을 직경(φp1)의 3/4 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포켓부 형성 장치(16)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고정 상태에서 설치된 하부 틀(161)과, 상하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하부 틀(161) 사이에서 용기 필름(3)을 협지 가능한 상부 틀(162)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틀(161)에는, 복수의 구멍(16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멍(161a)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켓부(2)의 성형틀로서 기능하는 플러그(163)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163)는 상하 가능하고, 구멍(161a)에 삽입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러그(163)의 상면은, 용기 필름(3)을 밀어올려 포켓부(2)를 형성하는 면이고, 지지 영역(p1)을 형성하기 위한 면과, 중앙 영역(p2)을 형성하기 위한 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러그(163)는, 포켓부(2)에 수용되는 정제(5)에 따라서 교환 가능하다.
한편, 상부 틀(162)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161a)의 연직 상방에 닿는 부분에는, 구멍(16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에어 공급 장치에서 구멍(162a)에 대해, 소정의 에어가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다음과 같이 하여 포켓부(2)를 형성한다. 즉,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부 틀(162)이 하부 이동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틀(161, 162)에 의해, 일시 정지 중인 용기 필름(3)에 있어서의 포켓부(2)의 형성 예정 부위의 주위를 끼운다. 또한,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플러그(163)가 상부 이동되어 구멍(162a)에 삽입 통과됨과 동시에, 소정 위치에서 일시 정지된다.
그 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162a)에 대해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포켓부(2)의 돌출측(상측)과는 반대측(하측)에 용기 필름(3)을 일단 변형시킨다. 이 때, 플러그(163)의 상면에 용기 필름(3)이 접촉함으로써, 용기 필름(3)의 변형량이 제한된다.
계속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163)의 상하 이동이 재개됨으로써, 용기 필름(3)의 이측에서 표측을 향해 플러그(163)의 상면을 돌출시킨다. 이에 의해, 플러그(163)에 의해 용기 필름(3)이 압압 변형된다. 그리고, 플러그(163)가 소정 위치에서 정지됨으로써, 포켓부(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플러그(163)의 상면은, 지지 영역(p1)을 형성하기 위한 면과, 중앙 영역(p2)을 형성하기 위한 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형성되는 포켓부(2)는, 지지 영역(p1) 및 중앙 영역(p2)을 갖게 된다. 또한, 형성되는 포켓부(2)는, 수용되는 정제(5)에 대해, CRt≥CRp2>CRp1 및 φt>φp2의 관계, 및 φt-(φp1-φt)≥φp2의 관계를 만족하게 된다.
또한, 구멍(162a)에 대한 에어의 공급은, 플러그(163)가 용기 필름(3)을 압압 변형시켜 정지한 후까지 계속된다. 이에 의해, 용기 필름(3)이 플러그(163)의 상면에 의해 확실히 밀착하게 되고, 수용되는 정제(5)에 대해, CRt≥CRp2>CRp1 및 φt>φp2의 관계, 및 φt-(φp1-φt)≥φp2의 관계를 만족하는 포켓부(2)를 보다 확실히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포켓부(2)의 형성 후에는, 플러그(163)를 하부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부 틀(162)을 상부 이동시킴으로써, 이들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φt>φp2를 만족하기 때문에, 지지 영역(p1)에 의해 정제(5)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CRt≥CRp2>CRp1을 만족하기 때문에, 지지 영역(p1)에 따른 곡률반경(CRp1)을, 정제(5)의 표면(5b)에 따른 곡률반경(CRt)보다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제(5)가 저벽부(2b)와 스쳐 변형된 경우에도, 저벽부(2b)에 대한 정제(5)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어려워지고, 저벽부(2b)의 중심측을 향해 백탁이 확대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저벽부(2b)의 광범위에 걸쳐서 백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영역(p2)에 따른 곡률반경(CRp2)은, 지지 영역(p1)에 따른 곡률반경(CRp1)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저벽부(2b)의 내면 전체를 일정한 곡률반경(CRp1)의 구면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포켓부(2)의 높이(Hp)를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포켓부(2)의 높이 증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켓부(2) 내에서 정제(5)를 취출할 때, 주로 중앙 영역(p2)이 압압 대상이 되는 바,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앙 영역(p2)에 따른 곡률반경(CRp2)이 비교적 크게 되므로, 중앙 영역(p2)을 더 평탄에 가까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켓부(2)(중앙 영역(p2))를 압압할 때, 정제(5)를 중심축(Lp)과 거의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이 보다 확실히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포켓부(2) 내에서 정제(5)를 보다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영역(p2)은, 엄밀한 평면(중심축(Lp)과 직교하는 평탄 형상)이 아니라,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이므로, 중앙 영역(p2) 및 정제(5)의 표면(5b) 간의 거리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만일 정제(5)가 저벽부(2b)에 스쳐 변형된 경우에도, 중앙 영역(p2)에 대해 정제(5)가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저벽부(2b)의 광범위에 걸친 백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제(5)의 표면(5b)의 직경(φt)은, 포켓부(2)의 깊이(Dp) 이상의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포켓부(2) 내에서 정제(5)가 표리 반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 영역(p1)에 의해 정제(5)를 더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φt-(φp1-φt)≥φp2, 즉, [(φt-φp2)/2]-[(φp1-φt)/2]≥0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정제(5)의 표면(5b)의 최외주부가 측벽부(2a)에 접근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지지 영역(p1)에 의해 정제(5)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벽부(2b)의 광범위에 걸친 백탁의 억제라는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된다. 물론, 이하에 있어서 예시하지 않은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에어에 의해 용기 필름(3)을 일단 변형시키고 나서, 저벽부(2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플러그(163)를 상기 용기 필름(3)에 누름으로써, 포켓부(2)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포켓부 형성 장치(16)는, 이른바 에어 어시스트 플러그 성형법을 이용하여 포켓부(2)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포켓부 형성 장치는, 저벽부(2b)에 대응하는 형상의 성형 오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틀을 갖고, 기체의 제어 등에 의해 용기 필름(3)을 상기 틀에 접촉시킴으로써 포켓부(2)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포켓부 형성 장치는, 에어에 의해 용기 필름(3)을 변형시키는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단지 플러그를 용기 필름 누름으로써 포켓부(2)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b) 포켓부(2)의 중심축(Lp)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지지 영역(p1)의 최외주부(즉, 측벽부(2a)의 내면에 연속되어 있는 부위)의 외형선을, 곡률반경(CRp1)과는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 또는 비원호 형상으로 해도 된다(도 13 참조). 이 경우, 곡률반경(CRp1)은, 지지 영역(p1) 중 그 최외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도 13에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영역)의 곡률반경을 말한다. 또한, 상기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히 갖는다는 점에서는, 중심축(Lp)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지지 영역(p1)에 있어서 90% 이상의 영역의 외형선이 곡률반경(CRp1)의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축(Lp)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p2)의 최외주부(즉, 지지 영역(p1)에 연속되는 부위)의 외형선을, 곡률반경(CRp2)과는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 또는 비원호 형상으로 해도 된다(도 14 참조). 이 경우, 곡률반경(CRp2)은, 중앙 영역(p2) 중 그 최외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도 14에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영역)의 곡률반경을 말한다. 또한, 상기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히 갖는다는 점에서는, 중심축(Lp)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중앙 영역(p2)에 있어서의 90% 이상의 영역의 외형선이 곡률반경(CRp2)의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인쇄나 각인에 의해, 정제(5)의 표면(5b)에 대해, 문자 정보나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정보부를 설치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저벽부(2b)의 광범위에 있어서의 백탁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저벽부(2b)를 통해 상기 정보부의 내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정보로서는, "제품명", "함량", "제형", "제조원" 및 "로트 번호"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정제(5)는 할선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각인이나 할선 등의 오목부를 정제(5)에 설치하는 경우, 곡률반경(CRt)은, 정제(5) 중 상기 오목부를 제외한 부위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d) 제조되는 PTP 시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PTP 시트(1) 단위의 포켓부(2)의 배열이나 개수는 상기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PTP 필름(6)은, 그 폭 방향을 따라서 1 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폭 방향을 따라서 복수 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이어도 된다.
1: PTP 시트
2: 포켓부
2a: 측벽부
2b: 저벽부
3: 용기 필름
4: 커버 필름
5: 정제
5b: (정제의) 표면
10: PTP 포장기
16: 포켓부 형성 장치(포켓부 형성 수단)
Lp: (포켓부의) 중심축
Lt: (정제의) 중심축
p1: 지지 영역
p2: 중앙 영역

Claims (4)

  1. 정제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
    상기 포켓부의 개구를 막도록 상기 용기 필름에 장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하고, 정제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어 이루어진 PTP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적어도 표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이루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구강 내 붕괴정이고,
    상기 정제의 상기 표면의 직경은, 상기 포켓부의 깊이 이상의 크기이고,
    상기 정제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정제의 상기 표면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t(mm))을 갖는 원호 형상이고,
    상기 정제의 상기 표면은, 직경(φt(mm))을 갖고,
    상기 포켓부는, 수용된 상기 정제의 상기 표면과 서로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저벽부를 갖고,
    상기 저벽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저벽부 중,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상기 정제측에 위치하는 내면은,
    상기 정제의 상기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포켓부에 수용된 상기 정제를 지지 가능한 평면에서 보아 원고리 형상의 지지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에 둘러싸인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중앙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최외주부는, 직경(φp2(mm))을 갖고,
    상기 포켓부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영역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1(mm))을 갖는 원호 형상임과 동시에,
    상기 포켓부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중앙 영역의 외형선은, 일정한 곡률반경(CRp2(mm))을 갖는 원호 형상이고,
    CRt≥CRp2>CRp1, 및 φt>φp2를 만족하고,
    상기 포켓부는, 상기 저벽부의 최외주부에 연속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측벽부를 갖고,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저벽부의 내면의 최외주부까지 확대되는 영역이고,
    상기 지지 영역의 최외주부는, 직경(φp1(mm))을 갖고,
    φt-(φp1-φt)≥φp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시트.
  2. 제 1 항에 기재된 PTP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PTP 포장기에 있어서,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수단을 갖고,
    상기 포켓부 형성 수단은, 수용되는 상기 정제에 대해, CRt≥CRp2>CRp1 및 φt>φp2의 관계, 및 φt-(φp1-φt)≥φp2의 관계를 만족하는 상기 포켓부를 형성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3. 삭제
  4. 삭제
KR1020210156528A 2021-02-01 2021-11-15 Ptp 시트 및 ptp 포장기 KR102620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14144 2021-02-01
JP2021014144A JP2022117576A (ja) 2021-02-01 2021-02-01 Ptpシート及びptp包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175A KR20220111175A (ko) 2022-08-09
KR102620062B1 true KR102620062B1 (ko) 2023-12-29

Family

ID=8256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528A KR102620062B1 (ko) 2021-02-01 2021-11-15 Ptp 시트 및 ptp 포장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17576A (ko)
KR (1) KR102620062B1 (ko)
CN (1) CN114834668A (ko)
TW (1) TWI800236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1226A (ja) * 2016-03-07 2017-09-14 Ckd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JP2020015524A (ja) * 2018-07-25 2020-01-30 Ckd株式会社 Ptp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474466T3 (da) * 1990-09-04 1995-01-30 Glaxo Group Ltd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fyldning af hulrum
SE9502370D0 (sv) * 1995-06-30 1995-06-30 Astra Ab Blister pack, especially for drugs, as well as method and device in manufacturing the same
GB9713876D0 (en) * 1997-06-30 1997-09-03 Glaxo Group Ltd Device for holding blister pack
AU2003211051A1 (en) * 2002-02-13 2003-09-04 Michael K. Weibel Drug dose-form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435333B1 (en) * 2009-05-28 2014-12-31 Manrex Pty. Ltd Blister with tilting side-walls
WO2011052422A1 (ja) * 2009-11-02 2011-05-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包装容器
TW201347988A (zh) * 2012-03-23 2013-12-01 Daiichi Sankyo Co Ltd Ptp或泡殼包裝用積層體及ptp或泡殼包裝
WO2014057967A1 (ja) * 2012-10-10 2014-04-17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Ptp包装体
TW201437112A (zh) * 2013-02-25 2014-10-01 Astellas Pharma Inc Ptp包裝體及ptp包裝體之製造方法
DE102015218214A1 (de) * 2015-09-22 2017-03-23 Henkel Ag & Co. Kgaa Blisterverpackung, Umverpackung für Blisterverpackung und Gebinde mit Umverpackung
JP6113876B1 (ja) * 2016-02-19 2017-04-12 Ckd株式会社 ブリスタ包装機
JP2017178352A (ja) 2016-03-29 2017-10-05 ニプロ株式会社 Ptp包装体
JP2018110678A (ja) * 2017-01-11 2018-07-19 Meiji Seikaファルマ株式会社 Ptp包装体
JP6914604B2 (ja) * 2018-09-10 2021-08-04 Ckd株式会社 Ptpシート及びptp包装機
JP7122292B2 (ja) * 2019-07-25 2022-08-19 Ckd株式会社 Ptpシート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1226A (ja) * 2016-03-07 2017-09-14 Ckd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JP2020015524A (ja) * 2018-07-25 2020-01-30 Ckd株式会社 Ptp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17576A (ja) 2022-08-12
TWI800236B (zh) 2023-04-21
KR20220111175A (ko) 2022-08-09
CN114834668A (zh) 2022-08-02
TW202237498A (zh) 202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9914B2 (en) Blister sheet and blister packaging machine
KR101268119B1 (ko) Ptp 시트 제조 장치
CN112278369B (zh) Ptp片制造装置
JP5727972B2 (ja) ブリスターパック、ブリスターパック製造装置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CN107848639B (zh) 密封装置、泡罩包装机和泡罩包装件的制造方法
KR102620062B1 (ko) Ptp 시트 및 ptp 포장기
JP5922602B2 (ja)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JP6152080B2 (ja) シール装置及びptp包装機
JP5635021B2 (ja) 加熱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JP5159716B2 (ja) Ptpシート製造装置
JP2007069966A (ja) Ptpシートの製造装置
TWI807636B (zh) Ptp片的製造方法
JP7058238B2 (ja) ブリスタシート集積移送装置及びブリスタシートの集積移送方法
JP3917070B2 (ja) Ptp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ptpシートの製造装置
JP2001354201A (ja)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JP4693573B2 (ja) Ptpシートの製造装置
JP3964107B2 (ja) 錠剤投入装置及びptpシートの製造方法
JP3910522B2 (ja)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JP7241947B1 (ja) ブリスタ包装機
JP2024002723A (ja) ポケット部形成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JP2001341776A (ja)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JPS6028724B2 (ja) ひきはがし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4168405A (ja) ガゼット包装によるマルチパック包装体の包装方法
JPH09110005A (ja) 製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