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822A -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822A
KR20220004822A KR1020217037488A KR20217037488A KR20220004822A KR 20220004822 A KR20220004822 A KR 20220004822A KR 1020217037488 A KR1020217037488 A KR 1020217037488A KR 20217037488 A KR20217037488 A KR 20217037488A KR 20220004822 A KR20220004822 A KR 2022000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based resin
film
lay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카즈 오기
다다시 니시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 실링성, 내블로킹성 및 미끄럼성이 우수하고, 필름 소각 시 잔사가 매우 적고, 또한 외관과 내스크래치성도 우수한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A층을 적어도 갖고, 상기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이 아래 1) 내지 3)을 만족시키며, 또한 상기 A층 표면이 아래 4) 및 5)를 만족시킨다.
1) 밀도가 900 ㎏/㎥ 이상 935 ㎏/㎥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2)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포함한다.
3) 유기계 윤활제의 함유량이 0.16 중량% 이상이다.
4) 3차원 표면 거칠기 SRa가 0.05∼0.2 ㎛이다.
5) 최대 돌기 높이 SRmax가 2∼15 ㎛이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편리성, 자원 절약, 환경에 대한 부하 저감 등에 의해 필름을 사용한 포장 또는 용기가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어 오고 있다. 필름은 종래의 성형용기, 성형물에 비해, 경량, 폐기 처리가 용이, 저비용이 이점이다.
실란트 필름은 통상 실란트 필름보다 저온 열접착성이 열등한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 이축연신 에스테르 필름,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기재 필름과 라미네이트하여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기재 필름과 라미네이트 가공 후에 롤형상으로 보관하면, 실란트 필름과 기재 필름 사이에서 블로킹이 발생하여, 봉지 제조 가공 전에, 라미네이트 필름을 언와인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거나, 봉지 제조 가공 중 봉지의 내면이 되는 실란트 필름끼리 블로킹이 발생하여, 식품을 충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전분 등의 가루를 실란트 필름의 표면에 뿌림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실란트 필름과 기재의 블로킹이나 실란트 필름끼리의 블로킹을 회피하는 방책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책의 경우는 필름 가공장치 주변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포장 식품의 외관을 현저히 악화시키거나, 또는 실란트 필름에 부착된 분말이 식품과 함께 직접 포장체 내에 혼입되거나, 히트 실링 강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이에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실리카 등의 무기 미분말 또는 무기 미립자를 사용한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책의 경우,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에 첨가되는 실리카 등의 무기 미분말 또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필름면끼리를 맞대고 문질렀을 때 흠집이 발생하기 쉽고, 라미네이트기나 봉지 제조 가공기 등에 실란트 필름 또는 기재 필름과의 적층체가 통과할 때, 무기 미분말 또는 무기 입자가 탈락하여 흠집과 이물질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아크릴계 단량체와 스티렌계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유기 가교 입자를 사용한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책의 경우, 흠집 발생 용이함은 무기 입자정도로 나쁘지는 않지만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입자의 탈락 문제도 아직 남아 있었다.
또한 더욱이,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내블로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첨가한 것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그러나 이들 방책의 경우, 인장강도 등의 기계강도 특성이나 투명성이 악화되는 등 문제가 있었을 뿐 아니라, 내블로킹성도 열등한 것이었다.
또한 더욱이, 분자량이 높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첨가한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책의 경우, 인열강도 등의 기계강도 특성, 저온에서의 히트 실링성 및 투명성이 열등할 뿐 아니라,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오히려 내블로킹성과 미끄럼성이 불안정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10-12084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10-87909호 공보
본 발명은 외관, 히트 실링성, 안정된 내블로킹성 및 안정된 미끄럼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스크래치성도 우수한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적층체, 및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밀도가 특정 범위인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의 표면의 돌기 높이 및 유기계 윤활제 함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A층을 적어도 한층 갖고, 상기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이 아래 1) 내지 3)을 만족시키며, 또한 상기 A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이 아래 4) 및 5)를 모두 만족시키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이다.
1) 밀도가 900 ㎏/㎥ 이상 935 ㎏/㎥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2)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포함한다.
3) 유기계 윤활제의 함유량이 0.16 중량% 이상이다.
4) 3차원 표면 거칠기 SRa가 0.05∼0.2 ㎛이다.
5) 최대 피크 높이 SRmax가 2∼15 ㎛이다.
또한, 다른 태양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A층을 적어도 한층 갖고, 상기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이 아래 1) 내지 3)을 만족시키며, 또한 상기 A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이 아래 4) 및 5)를 모두 만족시키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이다.
1) 밀도가 900 ㎏/㎥ 이상 935 ㎏/㎥ 이하이다.
2)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포함한다.
3) 유기계 윤활제의 함유량이 0.16 중량% 이상이다.
4) 3차원 표면 거칠기 SRa가 0.05∼0.2 ㎛이다.
5) 최대 피크 높이 SRmax가 2∼15 ㎛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수지 경도가 D70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150만 이상이고, 또한 DSC에 의한 융점 피크 온도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이 5∼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 중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함유량은 0.2∼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A층 표면끼리의 블로킹값이 200 mN/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A층 표면끼리를 야스다 세이키 제조의 가쿠신 타입 마모 시험기에 세팅하고 하중 200 g에서 100회 마모 후의 헤이즈의 변화량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과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포장봉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관, 히트 실링성, 안정된 내블로킹성 및 안정된 미끄럼성이 우수하고, 특히 내스크래치성도 우수한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적층체 및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A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A층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데,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주로 함유하고,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도 함유한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에틸렌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에틸렌 단량체와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이고,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4-메틸펜텐-1, 옥텐-1, 데센-1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밀도 범위는 900∼935 ㎏/㎥가 보다 바람직하고, 910∼933 ㎏/㎥가 더욱 바람직하며, 910∼930 ㎏/㎥가 특히 바람직하다. 밀도가 935 ㎏/㎥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히트 실링 개시온도가 높지 않고, 봉지 제조 가공이 용이하며, 투명성도 우수하다.
더욱이 중요한 것은, 밀도가 935 ㎏/㎥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에 의해, A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의 3차원 표면 거칠기 SRa가 0.05 ㎛ 이상, 최대 피크 높이 SRmax를 2 ㎛ 이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은 미끄럼성, 내블로킹성과 내스크래치성을 얻기 쉬워지기 때문에, 코팅 가공, 인쇄 가공, 봉지 제조 가공에 있어서 주름과 돌기가 발생하기 어렵고, 투명성도 유지하기 쉬운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특히 내블로킹성은 4회 측정의 각각의 측정값에서 변동되기 어려워, 안정된 것이 된다.
또한, 밀도가 900 ㎏/㎥ 이상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하면,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에 의해, A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의 3차원 표면 거칠기 SRa를 0.2 ㎛ 이하, 최대 피크 높이 SRmax를 15 ㎛ 이하로 제어하기 쉽고, 투명성, 강성을 향상시키기 쉽다.
내블로킹성은 필름의 A층 표면끼리를 포갠 샘플을, 히트 프레스(테스터 산교사 제조, 모델:SA-303)에 있어서, 크기 7 ㎝×7 ㎝, 온도 50℃, 압력 18 ㎫, 시간 15분의 가압 처리를 행한다. 이 가압 처리로 블로킹한 샘플과 바(지름 6 ㎜, 재질:알루미늄)를 바와 박리면은 수평이되도록, 오토그래프(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모델:UA-3122)에 장착하고, 바가 속도(200 m/분)로 블로킹부를 박리할 때의 힘을 4회 측정하여, 그의 평균을 취한 값을 지표로 하는 것인데, 밀도가 935 ㎏/㎥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는, 4회 측정의 각각의 측정값에서 변동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히트 실링 개시온도가 높아지기 어려운 경향이 확인되었다. 4회 측정의 각각의 측정값의 변동은 무기 입자를 사용한 경우와 동등한 레벨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샘플마다 측정값이 변동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밀도가 935 ㎏/㎥ 이하인 폴리에틸렌과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용융 혼합했을 때,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 저하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 이외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와의 분자쇄의 얽힘 등에 의한 입경 변화가 발생하기 어려워, 그 결과 형성되는 표면의 돌기가 균일한 것이 되는 것으로 추찰하고 있다.
내스크래치성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A층 표면끼리를 야스다 세이키 제조의 가쿠신 타입 마모 시험기에 세팅하고 하중 200 g에서 100회 마모 후의 헤이즈의 변화량으로 판정하였다. 헤이즈 측정은 마찰대에 세팅하기 전의 필름(폭×길이=50 ㎜×180 ㎜)의 중앙부(끝에 위치를 점으로 마찰면의 반대면으로부터 헤이즈 측정에 영향 없는 양단에 점을 기입)의 헤이즈를 측정하고, 마찰 후에 동일한 위치의 헤이즈를 측정하여 차를 구하였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제막성 등의 점에서, 용융흐름속도(이하, MFR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는 2.5∼4.5 g/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MFR은 ASTM D1893-67에 준거해서 측정하였다. 또한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자체 기지의 방법으로 합성된다.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MFR이 2.5 g/10분 이하와 같은 낮은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밀도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 저하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 이외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와의 분자쇄의 얽힘 등에 의한 입경 변화가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압출 조건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대형 제막기로 고속 제막하는 경우는 MFR은 3∼4 g/10분 정도가 제막성을 위해서는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내열성 등의 점에서, 융점은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110℃ 이상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단일계여도 되지만, 상기 밀도 범위의 밀도가 상이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2종 이상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밀도가 상이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2종 이상 배합한 경우, GPC 측정이나 밀도 측정에 의해 그의 평균 밀도, 배합비를 추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밀도가 900∼935 ㎏/㎥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투명하고, 유연성이 풍부하며, 인열강도, 인장강도가 평균적으로 우수한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부텐-1·헥센-1 옥텐-1을 소량 공중합시켜, 분자쇄에 단분자쇄를 많이 가져, 실링 성능, 물리적 강도가 우수한 직쇄상 단쇄 분지 폴리에틸렌(LLDPE), 매우 샤프한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고, 코모노머의 분포도 균일하며, 인열·인장·돌자 강도·내핀홀 특성이 우수한 메탈로센 촉매 직쇄상 단쇄 분지 폴리에틸렌(LLDPE)을 그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실링층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사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2040FC, 0540F, 3540FC,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 E FV405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는 그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15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70만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250만 이하가 바람직하고, 240만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30만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이 범위면,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자경의 제어가 가능해져, 특정 밀도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병용함으로써 A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의 3차원 표면 거칠기 SRa를 0.05∼0.2 ㎛, 최대 피크 높이 SRmax를 2∼15 ㎛로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 이외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분자량의 차가 매우 큰 것으로부터 분자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아, 용융 혼합하고, 압출하여 얻은 필름 중에 있어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가 구형상에 가까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입자끼리의 융착이나 접착 등에 의한 응집도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필름 표면에 형상이 제어된 돌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150만 이상이면,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 이외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용융 혼합 시의 온도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융점 피크보다 높은 경우, 대형의 압출기에 의한 전단이나 드래프트비가 높은 제막 조건에 있더라도, 열이나 전단에 의한 분해 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끼리의 융착 응집이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 이외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와의 부분적인 상용에 의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입경이나 형상의 변화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무기 입자나 유기 가교 수지 입자와 같은 형상이 제어된 돌기 형성이 생기기 쉬워져, 안티블로킹제로서의 기능이 충분하지 않을 뿐 아니라, 투명성 등의 외관, 필름의 기계적 강도, 또는 히트 실링성에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또한, 이것도 놀랄만한 일인데, 점도 평균 분자량이 150만 이상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중에서는 응집되기 어렵다고 하는 성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름 표면 부근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고 하는, 무기 입자나 유기 가교 수지 입자에는 없는 특징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점도 평균 분자량이 150만∼250만이면, 평균 입경을 5∼20 ㎛로 하는 것이 용이해져, 실링층 원료를 용융 혼합하고, 압출하여 필름을 형성할 때, 적합한 필름 표면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150만 이상이면 입자 자신이 윤활성을 가져, 내블로킹과 미끄럼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는 부드럽기 때문에, 내스크래치성도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수지 경도는 D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도가 70 이하면, 필름이 적층된 층, 예를 들면 증착층에 결손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배리어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경도는 D6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경도가 D60 이상이면 미끄럼성도 향상되어, 필름 가공 시에 열을 받아도 미끄럼성이 악화되기 어렵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는, 에틸렌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 단량체와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4-메틸펜텐-1, 옥텐-1, 데센-1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밀도 범위는 930∼950 ㎏/㎥가 바람직하고, 935∼945 ㎏/㎥가 보다 바람직하며, 937∼942 ㎏/㎥가 더욱 바람직하다. 밀도가 930 ㎏/㎥보다 작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는, 입자가 부드럽고, 또한 용융 압출 시에 입자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워 내블로킹성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밀도가 950 ㎏/㎥보다 큰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는, 입자가 단단하여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기 쉬워질 뿐 아니라 베이스가 되는 폴리에틸렌 수지와의 친화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내탈락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5 ㎛ 이상이 바람직하고, 6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7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입경이 2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7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입경이 30 ㎛ 이상인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20 ㎛ 이하더라도, 입경이 30 ㎛ 이상인 입자를 소정량 10% 이상 포함하면 필름 표면의 최대 피크 높이가 15 ㎛를 초과하기 쉬워진다. 그러면 필름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면, 후술하는 깜빡임(flicker)이 발생한다.
또한 30 ㎛ 이상의 입자는 겔상의 결점과 동일한 외관이 되어 품질이 저하된다고 하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을 5 ㎛ 이상으로 함으로써, 미끄럼성, 내블로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평균 입경이 20 ㎛ 이하면, A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의 3차원 표면 거칠기 SRa와 최대 돌기 높이 SRmax가 지나치게 커지지 않고, 또한 동일한 중량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첨가한 경우에서 비교하면, 돌기 수가 늘어나는 것으로부터, 필름 가공에 충분한 미끄럼성, 내블로킹성, 내스크래치성을 얻기 쉽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은 탈크, 탄산칼슘 등의 비교적 부드러운 무기 입자보다도 압출 시의 혼련에 의한 파쇄나 응집으로 입경이 변하기 어려워, 평균 입경(압출 전후)의 제어가 용이하고,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을 5∼20 ㎛의 범위로 함으로써 조대 입자에 의한 돌기가 거의 없어지며, 또한 돌기 자체의 경도가 무기 입자와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A층의 다른 쪽 면, 또는 A층과 상이한 층에 설치한 코트에 대한 악영향이 억제된다.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함유량으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대해 0.2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4 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2.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첨가량이 0.2 중량% 이상이면 A층 표면 적어도 한쪽의 최대 피크 높이를 지정면적(0.2 ㎟)당 2 ㎛ 이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져, 내블로킹성과 미끄럼성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첨가량을 2.0 중량% 이하로 하면 A층 표면의 돌기가 지나치게 많아지지 않아, 투명성과 저온 실링성도 향상되기 쉽다.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유기계 윤활제를 함유한다. 필름의 미끄럼성과 내블로킹 효과가 향상되어 필름의 취급성이 좋아진다. 그 이유로서, 유기계 윤활제가 블리드 아웃되어 필름 표면에 존재함으로써, 윤활제 효과와 이형 효과가 발현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유기계 윤활제는 상온 이상의 융점을 갖는 것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계 윤활제는 지방산 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베헨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상관없으나, 2종류 이상을 병용함으로써 가혹한 환경하에 있어서도 미끄럼성과 블로킹 방지효과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기계 윤활제의 함유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6 중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8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9 중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1 중량%이다. 0.16 중량% 이상이면 제막 직후부터 미끄럼성이 안정되기 쉽다.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3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이다. 0.3 중량% 이하면 지나치게 미끄러지지 않고, 경시에서 백화되기 어렵다.
A층에 있어서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 평균 입경이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보다도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의 50% 이하이고, 또한 평균 입경의 2배 이상의 조대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무기 입자의 함유량을 0.2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의 함유량을 0.20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소각 시 잔사가 저감될 뿐 아니라, 내스크래치성과 입자가 탈락하지 않는다고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만 첨가하는 경우와 가까운 효과가 얻어지기 쉬워진다.
무기 입자를 첨가하는 경우라도 상기 입경을 첨가하는 것과 필름 소각 시 잔사가 500 ppm 이하가 되면 필름을 소각한 경우에 종래의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과 비교하여 소각 잔사를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무기 입자란 실리카, 탈크, 탄산칼슘, 규조토, 제올라이트 등의 일반적으로 안티블로킹제로서 사용되는 무기물이다.
A층에 있어서 가교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 평균 입경이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보다도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가교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의 50% 이하이고 평균 입경의 2배 이상의 조대 입자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교 유기 입자의 함유량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와 동량 이하인 것이 다이의 드룰 억제와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다.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무기 입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스크래치성이나 입자가 탈락되지 않는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첨가 효과를 최대한 얻기 위해서는, 가교 유기 입자도 함유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가교 유기 입자란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으로 대표되는 유기 가교 입자이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의 밀도 범위는 900∼935 ㎏/㎥가 바람직하고, 910∼933 ㎏/㎥가 보다 바람직하며, 910∼930 ㎏/㎥가 더욱 바람직하고, 915∼928 ㎏/㎥가 특히 바람직하며, 915∼925 ㎏/㎥가 특히 바람직하다. 밀도가 900 ㎏/㎥보다 작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내블로킹이 저하되기 쉽다.
밀도가 935 ㎏/㎥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은, 히트 실링 개시온도가 높지 않고, 봉지 제조 가공이 용이하며, 투명성도 우수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밀도가 940 ㎏/㎥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은 안정된 내블로킹성 또는 안정된 미끄럼성을 얻기 쉽고,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기계 윤활제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입자로 이루어지는 표면 돌기의 상승효과에 의해, 매우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로서는, 제막성 등의 점에서, 용융흐름속도(이하, MFR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는 2.5∼4.5 g/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MFR은 ASTM D1893-67에 준거해서 측정하였다.
(다층 구성)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은 다층 구성이어도 된다. 다층의 경우는 A층에 더하여, 다른 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층화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다층화 장치(다층 피드 블록, 스태틱 믹서, 다층 멀티매니폴드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대 이상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상이한 유로로부터 송출된 열가소성 수지를 피드 블록, 스태틱 믹서, 멀티매니폴드 다이 등을 사용하여 다층으로 적층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잇다. 또한, 1대의 압출기만을 사용하여, 압출기로부터 T형 다이까지의 멜트 라인에 전술한 다층화 장치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3층 구성의 경우는 다른 층을 각각 중간층(B층), 라미네이트층(C층)으로 하여, 이 순서로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의 최외층은 각각 A층, C층이다.
중간층(B층), 라미네이트층(C층)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압법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탄소수 4∼1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고, α-올레핀으로서는 부텐-1, 헥센-1, 4-메틸펜텐-1, 옥텐-1, 데센-1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부터 얻어지는 필름은, 우수한 히트 실링 강도, 핫 택성, 협잡물 실링성, 내충격성을 갖고,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이들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 예를 들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때, 중간층(B층), 라미네이트층(C층)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첨가해도 되고, 첨가하지 않아도 되지만 라미네이트층에는 조대 입자 등의 입자경이 큰 입자가 존재하면 라미네이트 박리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첨가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각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평균 밀도가 A층≤중간층(B층)≤라미네이트층(C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되어 있는 유기계 윤활제는 밀도가 높은 층으로는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후의 A층의 미끄럼성을 유지하거나, 경시에서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때, 중간층(B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밀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9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2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30 ㎏/㎥이다. 상기 미만이면 강성이 약하여, 가공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중간층(B층)의 밀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96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4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35 ㎏/㎥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중간층(B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 전술한 유기계 윤활제를 함유해도 되고, 유기계 윤활제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0 ppm이다. 상기 미만이면 미끄럼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기계 윤활제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0 pp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ppm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지나치게 미끄러져 감음 어긋남이나 경시에서의 백화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중간층(B층)에 회수 수지의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 기술한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라미네이트층(C층)면에 코로나 처리 등의 활성선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대응에 의해 라미네이트 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이 2층인 경우는 A층을 실링층으로 하고, 다른 층을 라미네이트층(C층)으로 하는 것이 좋다.
(3차원 표면 거칠기 SRa)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의 실링층의 3차원 표면 거칠기 SRa는 0.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SRa가 0.05 ㎛ 이상인 경우는 미끄럼성과 내블로킹성이 우수하다. SRa는 0.07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의 실링층의 3차원 표면 거칠기 SRa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Ra가 0.2 ㎛ 이하인 경우, 투명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SRa는 0.18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6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측정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한다.
(최대 돌기 높이 SRmax)
본 발명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A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의 최대 돌기 높이가 2 ㎛ 이상, 15 ㎛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최대 돌기 높이 SRmax가 15 ㎛를 초과하는 경우는 외관 불량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측정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한다.
(히트 실링 개시온도)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15 ㎛)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적층체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히트 실링 개시온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4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실링 가공이 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도달 히트 실링 강도)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15 ㎛)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적층체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150℃에 있어서의 도달 히트 실링 강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30 N/1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N/15 ㎜이다. 상기 미만이면 봉지 제조 후에 봉지가 찢어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15 ㎛)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적층체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150℃에 있어서의 히트 실링 강도의 상한은 라미네이트한 나일론 파단강도와 거의 동일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일론의 파단강도와 동등한 경우, 라미네이트 강도가 충분히 높고, 또한 실링 계면의 박리강도가 충분히 높은 것을 의미한다. 측정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한다.
(블로킹 강도)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15 ㎛)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적층체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블로킹 강도는 작을수록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mN/7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mN/70 ㎜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논파우더성, 봉지 제조품의 개봉성 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된다. 측정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한다.
(마찰계수)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15 ㎛)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적층체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정마찰계수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0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이다. 상기 미만이면 권취 시에 필름이 지나치게 미끄러져 감음 어긋남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라미네이트 후의 정마찰계수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봉지 제조 후의 개봉성과 내용물의 충전성이 나빠, 가공 시 손실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측정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한다.
(헤이즈)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헤이즈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이다. 상기 미만이면 안티블로킹제가 충분히 표면에 존재하고 있지 않을 우려가 있어, 블로킹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헤이즈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내용물의 시인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측정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한다.
(깜빡임(flicker))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은 거의 깜빡임을 느끼지 않거나, 미세한 깜빡임은 있지만 균일하여 특별히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한다.
종래의 전분 등의 가루를 필름 표면에 뿌리지 않더라도 내블로킹성을 갖는, 소위 논파우더 타입의 경우는, 종래는 평균 입경이 10 ㎛ 정도인 무기 입자를 첨가한 것이 있는데, 조대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 깜빡임과 투명성이 열등하기 쉽다.
(내스크래치성)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15 ㎛)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적층체는, 그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면끼리가 포개지도록 문지른 후에도, 헤이즈의 변화가 3%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측정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한다.
종래의 전분 등의 가루를 필름 표면에 뿌리지 않더라도 내블로킹성을 갖는, 소위 논파우더 타입의 경우는, 종래는 평균 입경이 10 ㎛ 정도인 무기 입자를 첨가한 것이 있는데, 무기 입자가 폴리에틸렌 수지보다도 훨씬 단단하기 때문에, 충분한 유기계 윤활제가 필름 표면에 존재하더라도 내스크래치성이 열등하기 쉽다.
(영률)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영률(MD)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6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다. 상기 미만이면 강성이 지나치게 약하여 가공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영률(MD)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6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영률(MD)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6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다. 상기 미만이면 강성이 지나치게 약하여 가공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영률(MD)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6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다.
(적층체)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에 추가로 1종 이상의 다른 기재 필름을 적층한 적층체의 구성으로, 포장 필름 또는 포장 시트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스티렌계 수지의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의 필름, 나일론 6나 나일론 6, 6와 같은 폴리아미드의 필름, 또는 이들의 연신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과 폴리아미드 필름이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과 같은 가스 배리어성이 있는 수지 필름과의 적층 필름, 또한 필요에 따라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또는 알루미늄이나 실리카 등을 증착시킨 증착 필름이나 종이 등이, 적층체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해서 사용된다. 이 기재 필름은 1종류뿐 아니라,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의 라미네이트층 측에 기재 필름을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필름에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재 필름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접착층/다른 기재 필름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접착층으로서는, 우레탄계나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와 같은 앵커 코트제를 사용하거나, 불포화 카르복실산 그래프트 폴리올레핀과 같은 변성 폴리올레핀을 접착성 수지로서 사용하면, 인접층을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적층체의 두께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적층체를 뚜껑재 등의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10∼200 ㎛, 컵이나 트레이용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200∼1000 ㎛이다.
(포장체)
상기한 적층체의 실란트용 필름의 실링층면끼리를 마주보게 하거나, 또는 적층체의 실란트용 필름층의 실링층면과 다른 기재 필름을 마주보게 한 후, 라미네이트층 측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용기 형상이 되도록 그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히트 실링함으로써,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위를 전부 히트 실링함으로써, 밀봉된 봉지 형상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봉지 형상 용기의 성형 가공을 내용물의 충전 공정과 조합하면, 즉, 봉지 형상 용기의 저부 및 측부를 히트 실링한 후 내용물을 충전하고, 이어서 상부를 히트 실링함으로써 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적층체는 스낵과자 등의 고형물, 분체, 또는 액체 재료의 자동 포장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성형이나 압공 성형에 의해 컵형상으로 성형한 용기, 사출 성형이나 블로우 성형으로 얻어진 용기, 또는 종이 기재로부터 형성된 용기 등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그 후 본 발명의 적층체를 뚜껑재로서 피복하여, 히트 실링함으로써도, 내용물을 포장한 용기가 얻어진다.
실시예
아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 특별히 한정을 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 중 각 항목의 측정값은,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아래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측정방법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는 가공 전 원료 수지의 각 물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필름 성형한 후에도, 데칸 중에서 입자까지 완전히 용해시킨 후, GPC 등으로 분자량이 높은 부분을 분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분리하여,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2)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
ASTM-D4020에 준거해서 측정하였다.
(3)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
사용 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아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고속 교반기를 사용하여 소정의 회전속도(약 5000 rpm)에서 교반한 이온 교환수 중에 입자를 분산시켜, 그 분산액을 이소톤(생리식염수)에 첨가하여 초음파 분산기로 추가로 분산한 후에, 쿨터 카운터법에 의해 입도 분포를 구하여 평균 입자경으로서 산출하였다.
(4)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입도 분포
사용 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 중 30 ㎛ 이상의 입자경인 것의 비율은 쿨터 카운터법으로 구한 입도 분포로부터 산출하였다.
(5)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융점
사용 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융점은 SII 제조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샘플량 10 ㎎, 승온속도 10℃/분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검지된 융해 흡열 피크 온도를 융점으로 하였다.
(6)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 이외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밀도, MFR, 융점
필름 성형 전의 원료를 각각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단층이면 전층, 적층이면 층구성을 전자현미경 등으로 확인한 후, 표면을 표면층 미만의 두께로 깎아 상기 (1)에서 얻어진 여과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 것으로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적층으로부터 깎아내는 경우는 PET 필름 등에 라미네이트한 후에 면도칼 등으로 표층을 깎아냄으로써 행할 수 있다.
(밀도)
JIS-K7112에 따라 밀도 구배관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용융흐름속도:MFR)(g/10분)
JIS-K7210에 준거하여 온도 190℃에서 측정하였다.
(융점)
SII 제조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샘플량 10 ㎎, 승온속도 10℃/분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검지된 융해 흡열 피크 온도를 융점으로 하였다.
(7) 무기 입자의 수지 조성물 중 함유량(중량%)
무기 입자의 수지 조성물 중 함유량은 가공 전 원료 수지 조성물 중 첨가량으로부터 계산하였다.
또한, 필름을 성형한 후에도, 데칸을 용매로 하여, 완전히 용해되는 온도에서 필름을 용해시켜, 필터의 여과 정밀도 1∼2 ㎛의 필터로 잔류물을 여과하는 등의 방법으로 무기 입자를 분리하고,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8) 필름 소각 후의 잔사량(ppm)
필름 약 30 g을 정밀 저울로 소수 첫째자리까지 측정하였다(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사전에 도가니를 빈 상태로 700℃에서 1시간 굽고, 100℃ 이하가 된 후에 글래스 데시케이터로 실온이 될 때까지 시즈닝하여 도가니의 중량을 측정한다. 그 후 도가니에 필름을 넣고 700℃×2시간 전기로에서 소각하여, 히터를 끄고 100℃ 정도까지 낮춘 후에 글래스 데시케이터로 옮겨 실온이 될 때까지 30분 시즈닝한 후, 소각 전후의 도가니 중량차를 상기 필름 중량으로 나눠 잔사량을 계산하였다.
(9) 필터 승압(제막 가공성)
비교예 1의 실링층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을 여과 정밀도 120 ㎛의 나슬론 소결 필터에 230℃의 수지 온도에서 트라우톤 시험기를 사용하여, 여과 면적 81π 제곱 밀리미터에 1 ㎏/시간의 토출량으로 5시간 방류한 경우의 승압량(Δ㎫)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아래 ◎, ○, △, ×로 분류하였다.
◎:승압량이 압출 개시 시의 5% 이하이다.
○:승압량이 압출 개시 시의 10% 이하이다.
△:승압량이 압출 개시 시의 15% 이하이다.
×:승압량이 압출 개시 시의 20% 이하이다.
(10) 립 오염(제막 가공성)
실링층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을 20 ㎏/시간의 토출량으로 5시간 압출기로 스트랜드 다이(5 ㎜φ로 2홀)를 이용하여 230℃에서 압출한 경우의 립의 오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 ◎, ○, △, ×로 분류하였다.
◎:거의 립 오염이 확인되지 않는다.
○:립 오염이 약간 보인다.
△:립 오염이 명확하게 확인 가능하다.
×:립 오염이 성장하여 스트랜드에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임이 발생하였다.
(11) 3차원 표면 거칠기 SRa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접촉식 표면 거칠기(고사카 연구소 제조·모델 ET4000A)를 사용해서, 가로 세로 3 ㎝×3 ㎝의 필름 조각으로부터 임의로 측정면 1 ㎜×0.2 ㎜의 개소를, 저역 컷오프 λs=0.08 ㎜, 1000 ㎛ 길이, 2 ㎛ 피치로 100개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단면 곡선으로부터 3차원 표면 거칠기 해석 프로그램 TDA-22를 사용하고,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의 실링층 표면의 3차원 표면 거칠기 SRa를 계산하였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n=3으로 측정을 행하여, 3차원 표면 거칠기 SRa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12) 최대 돌기 높이 SRmax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접촉식 표면 거칠기(고사카 연구소 제조·모델 ET4000A)를 사용해서, 가로 세로 3 ㎝×3 ㎝의 필름 조각으로부터 임의로 측정면 1 ㎜×0.2 ㎜의 개소를, 저역 컷오프 λs=0.08 ㎜, 1000 ㎛ 길이, 2 ㎛ 피치로 100개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단면 곡선으로부터 3차원 표면 거칠기 해석 프로그램 TDA-22를 사용하고,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최대 돌기 높이 SRmax를 계산하였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n=3으로 측정을 행하여, 최대 돌기 높이 SRmax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13) 히트 실링 개시온도(℃)
나일론 필름(도요보 제조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N1100, 15 ㎛)의 코로나면에, 도요 모톤 제조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TM569, CAT-10L)를 고형분이 3 g/㎡가 되도록 도포하고, 80℃의 오븐으로 용제를 휘발 제거한 후,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코로나면과 접착제의 도포면을 60℃의 온도 조절 롤 상에서 닙핑하여 라미네이트하였다. 라미네이트한 적층 필름은 40℃에서 2일간 에이징하였다. 제작한 적층 샘플에 실링압력 0.1 ㎫, 실링시간 0.5초, 실링온도를 90∼160℃에서 10℃ 피치로 10 ㎜ 폭의 히트 실링을 행하였다. 히트 실링한 샘플을 히트 실링 폭이 15 ㎜가 되도록 직사각형상으로 커트하여 오토그래프(시마즈 제작소 제조 모델:UA-3122)에 세팅하고 200 ㎜/분의 속도로 실링면을 박리한 강도의 최대값을 n수 3으로 측정하고, 각 온도에서의 히트 실링 강도와 히트 실링 온도를 플로팅하였다. 각 플롯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한 그래프로부터 4.9 N/15 ㎜가 되는 히트 실링 온도를 읽어 히트 실링 개시온도로 하였다.
(14) 도달 히트 실링 강도(N/15 ㎜)
나일론 필름(도요보 제조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N1100, 15 ㎛)의 코로나면에 도요 모톤 제조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TM569, CAT-10L)를 고형분이 3 g/㎡가 되도록 도포하여 80℃의 오븐에서 용제를 휘발 제거한 후,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코로나면과 접착제의 도포면을 60℃의 온도 조절 롤 상에서 닙핑하여 라미네이트하였다. 라미네이트한 적층 필름은 40℃에서 2일간 에이징하였다. 제작한 적층 샘플에 실링압력 0.1 ㎫, 실링시간 0.5초, 실링온도를 120∼190℃에서 10℃ 피치로 10 ㎜ 폭의 히트 실링을 행하였다. 히트 실링한 샘플을 히트 실링 폭이 15 ㎜가 되도록 직사각형상으로 커트하여 오토그래프(시마즈 제작소 제조 모델:UA-3122)에 세팅하고 200 ㎜/분의 속도로 실링면을 박리한 강도의 최대값을 n수 3으로 측정하여, 가장 평균값이 높은 히트 실링 강도를 도달 강도로 하였다.
(15) 블로킹 강도(mN/70 ㎜)
나일론 필름(도요보 제조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N1100, 15 ㎛)과의 적층 필름을 아래와 같이 하여 제작하였다.
나일론 필름의 코로나면에 도요 모톤 제조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TM569, CAT-10L)를 고형분이 3 g/㎡가 되도록 도포하고 80℃의 오븐에서 용제를 휘발 제거한 후,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코로나면과 접착제의 도포면을 60℃의 온도 조절 롤 상에서 닙핑하여 라미네이트하였다. 라미네이트한 적층 필름은 40℃에서 2일간 에이징하였다.
A층 표면끼리를 포갠 샘플(10 ㎝×15 ㎝)을, 히트 프레스(테스터 산교사 제조, 모델:SA-303)에 있어서, 샘플 폭(10 ㎝)의 중앙에서 길이방향(15 ㎝)의 내측 1 ㎝의 위치에 크기 7 ㎝×7 ㎝의 알루미늄판(2 ㎜ 두께)의 끝을 맞추듯이 올리고, 온도 50℃, 게이지압력 18 ㎫, 시간 15분의 가압 처리를 행한다.
이 가압 처리로 블로킹한 샘플과 바(직경 6 ㎜, 재질:알루미늄)를 오토그래프(시마즈 제작소 제조 모델:UA-3122)에 장착하고, 바가 속도(200 m/분)으로 블로킹부를 박리할 때의 힘을 측정하였다.
이 경우, 바와 박리면은 수평인 것이 전제이다. 동일 샘플에 대해 4회의 측정을 행하여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16) 정지 마찰계수
나일론 필름(도요보 제조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N1100, 15 ㎛)과의 적층 필름을 아래와 같이 하여 제작하였다.
나일론 필름의 코로나면에 도요 모톤 제조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TM569, CAT-10L)를 고형분이 3 g/㎡가 되도록 도포하고 80℃의 오븐에서 용제를 휘발 제거한 후,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코로나면과 접착제의 도포면을 60℃의 온도 조절 롤 상에서 닙핑하여 라미네이트하였다. 라미네이트한 적층 필름은 40℃에서 2일간 에이징하였다. 제작한 적층 필름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면끼리의 정지 마찰계수를 JIS-K-7125에 준거해서, 23℃ 65%RH 환경하에서 측정하였다.
(17) 헤이즈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만을 (주)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사 제조의 직독 헤이즈미터를 사용하여, JIS-K-7105에 준거해서 측정하였다.
헤이즈(%)=〔Td(확산 투과율%)/Tt(전광선 투과율)〕×100
(18) 깜빡임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만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깜빡임을 아래 ◎, ○, △, ×로 분류하였다.
◎:거의 휘점을 느끼지 않는다.
○:작은 휘점은 있지만 균일하고 특별히 신경이 쓰이지 않는다.
△:부분적으로 휘점이 있어 이물감을 느낀다.
×:전면에 휘점이 있어 투명성이 손상된다.
(19) 내스크래치성(기계 평가)
내스크래치성은 필름의 실링면끼리를 야스다 세이키 제조의 가쿠신 타입 마찰시험기(마찰시험기:II형, 평면 마찰자:20×20 ㎜, 시험편대:평면형, 슬라이딩 아크 길이:100 ㎜)에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를 첨가한 면끼리를 맞춰서 세팅하고, 하중 200 g에서 40회 마찰 후의 헤이즈의 변화량으로 판정하였다. 헤이즈 측정은 마찰대에 세팅하기 전의 필름(폭×길이=30 ㎜×180 ㎜, 평면 마찰자용은 50×50 ㎜)의 마찰대용 중앙부의 헤이즈를 측정하여, 마찰 전후에서 동일한 위치의 헤이즈를 측정하여 차를 구하였다.
(20) 내스크래치성(육안 평가)
나일론 필름(도요보 제조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N1100, 15 ㎛)과의 적층 필름을 아래와 같이 하여 제작하였다.
나일론 필름의 코로나면에 도요 모톤 제조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TM569, CAT-10L)를 고형분이 3 g/㎡가 되도록 도포하고 80℃의 오븐에서 용제를 휘발 제거한 후,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코로나면과 접착제의 도포면을 60℃의 온도 조절 롤 상에서 닙핑하여 라미네이트하였다. 라미네이트한 적층 필름은 40℃에서 2일간 에이징하였다. 제작한 적층 필름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면끼리가 포개지도록 손으로 집어 10회 문지르고, 육안으로 관찰하여, 흠집의 발생 용이함을 아래 ◎, ○, △, ×로 분류하였다.
◎:흠집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작은 줄무늬 형상의 흠집이 발생하지만 백화는 되지 않는다.
△:작은 줄무늬 형상의 밀집과 부분적으로 백화가 보인다.
×:문지른 개소가 거의 백화된다.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아래의 원료를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1)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0540F(메탈로센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904 ㎏/㎥, MFR 4.0 g/10 min, 융점 111℃)
(2)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메탈로센 촉매계 LLDPE, 밀도:913 ㎏/㎥, MFR:3.8 g/10 min, 융점:115℃)
(3)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메탈로센 촉매계 LLDPE, 밀도:923 ㎏/㎥, MFR:3.8 g/10 min, 융점:118℃)
(4)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7(메탈로센 촉매계 LLDPE, 밀도:930 ㎏/㎥, MFR:3.2 g/10 min, 융점:124℃)
(5)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3540FC(메탈로센 촉매계 LLDPE, 밀도:931 ㎏/㎥, MFR:3.6 g/10 min, 융점:123℃)
(6)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4540F(메탈로센 촉매계 LLDPE, 밀도:944 ㎏/㎥, MFR:4.0 g/10 min, 융점:128℃)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
(1) 미츠이 화학(주) 제조, 미펠론 PM200(평균 입경 10 ㎛, 융점 136℃, 밀도 940 ㎏/㎥, 점도 평균 분자량 180만, 30 ㎛를 초과하는 입경의 입자의 비율이 0%, 수지 경도 D65,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
(2) 미츠이 화학(주) 제조, 미펠론 XM221U(평균 입경 25 ㎛, 융점 136, 밀도940 ㎏/㎥,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30 ㎛를 초과하는 입경의 입자의 비율이 25%, 수지 경도 D65,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
(무기 입자)
(1) Grefco. Inc., 제조, 다이칼라이트 WF(규조토, 핀밀 분쇄기로 평균 입경 5 ㎛로 가공하여 사용)
(2) 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KMP-130-10(구상 실리카 입자, 평균 입경 10 ㎛) 스미토모 화학 제조 FV402를 베이스로 하여 15% 마스터배치를 제작해서 사용하였다.
(마스터배치)
(1)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에 미펠론 PM200을 혼합하여, 미펠론 PM200이 15 중량% 함유된 마스터배치(1)을 제작하였다.
(2)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에, 미펠론 XM221U를 혼합하여, 미펠론 XM221U가 15 중량% 함유된 마스터배치(2)를 제작하였다.
(3)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에, Grefco. Inc., 제조, 다이칼라이트 WF를 혼합하여, Grefco. Inc., 제조, 다이칼라이트 WF가 20 중량% 함유된 마스터배치(3)을 제작하였다.
(4)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에, 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KMP-130-10을 혼합하여, 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KMP-130-10이 15 중량% 함유된 마스터배치(4)를 제작하였다.
(5)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에, 에루크산아미드를 혼합하여, 에루크산아미드가 4 중량% 함유된 마스터배치(5)를 제작하였다.
(6)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에,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를 혼합하여,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가 2 중량% 함유된 마스터배치(6)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실링층용 조성물]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0540F를 86.25 중량%, 마스터배치(1)을 4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8.5 중량%가 되도록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링층용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라미네이트층용 조성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FV402만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트층용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중간층용 조성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FV402를 99.4 중량%, 마스터배치(5)를 0.5 중량%, 마스터배치(6)을 0.1 중량%가 되도록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중간층용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라미네이트층용 조성물, 중간층용 조성물 및 실링층용 조성물을 T 다이를 갖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층용 조성물, 중간층용 조성물 및 실링층용 조성물의 순서가 되도록, 또한, 라미네이트층, 중간층, 실링층의 두께 비율이 8:34:8이 되도록 240℃에서 용융 압출하였다. 그 후, 라미네이트층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속도 150 m/분으로 롤으로 권취하여, 두께 50 ㎛, 처리면의 습윤장력이 45 mN/m인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실링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86 중량%, 마스터배치(1)을 4 중량%, 마스터배치(5)를 1.50 중량%, 마스터배치(6)을 8.5 중량% 혼합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실링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를 87.75 중량%, 마스터배치(1)을 4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7 중량% 혼합하고, 중간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로 변경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7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실링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를 84.75 중량%, 마스터배치(1)을 8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6 중량% 혼합하고, 중간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로 변경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7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실링층에 있어서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3540F를 86.75 중량%, 마스터배치(1)을 4 중량%, 마스터배치(5)를 1.75 중량%, 마스터배치(6)을 7.5 중량% 혼합하고, 중간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3540F로 변경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3540F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실링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를 86.75 중량%, 마스터배치(1)을 4 중량%, 마스터배치(3)을 0.5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7.5 중량% 혼합하고, 중간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로 변경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7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실링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를 87.25 중량%, 마스터배치(1)을 4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7.5 중량% 혼합하고, 중간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로 변경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7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7에서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입경보다 큰 무기 입자를 거의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내스크래치성도 우수하고 저온 히트 실링성, 내블로킹성, 미끄럼성, 외관도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필름 소각 시 잔사가 매우 적고, 다이 드룰이나 필터 승압이 거의 없는 등 제막 가공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 1)
실링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를 82.25 중량%, 마스터배치(3)을 2.5 중량%, 마스터배치(4)를 8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6 중량% 혼합하고, 중간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로 변경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필름은 내블로킹성과 미끄럼성은 우수하였지만, 약간 깜빡임이 있고, 소각 후 무기의 잔사가 많으며, 내스크래치성이 특히 열등하고 제막 가공성도 약간 열등한 것이었다.
(비교예 2)
실링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를 90.25 중량%, 마스터배치(3)을 2.5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6 중량% 혼합하고, 중간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로 변경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에서 얻어진 필름은 잔사는 비교적 적고 깜빡임은 우수하였지만, 내블로킹성, 내스크래치성, 미끄럼성이 열등한 것이었다.
(비교예 3)
실링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를 87.75 중량%, 마스터배치(1)을 1 중량%, 마스터배치(3)을 2.5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7.5 중량% 혼합하고, 중간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로 변경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에서 얻어진 필름은 잔사는 비교적 적고 내스크래치성도 약간 우수하지만 돌기가 적고 내블로킹성이 열등한 것이었다.
(비교예 4)
실링층에 있어서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4540F를 87.25 중량%, 마스터배치(1)을 4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7.5 중량% 혼합하고, 중간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4540F로 변경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4540F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에서 얻어진 필름은 잔사는 비교적 적고 내스크래치성도 우수하지만 수지밀도가 높은 것에 의해 폴리에틸렌계의 입자에 의한 표면 돌기가 안정하지 않고, 내블로킹성, 미끄럼성이 충분하지 않으며 편차도 큰 것이었다.
(비교예 5)
실링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를 87.25 중량%, 마스터배치(2)를 4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7.5 중량% 혼합하고, 중간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5로 변경하고, 라미네이트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7만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에서 얻어진 필름은 잔사는 적고 내스크래치성도 우수하지만 첨가량은 많아도 입자경이 크기 때문에, 돌기 밀도가 낮고, 내블로킹성, 깜빡임이 열등한 것이었다.
(비교예 6)
실링층에 있어서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유메릿(등록상표) 0540F를 86.25 중량%, 마스터배치(1)을 4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5.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링층용 조성물을 제작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7)
실링층에 있어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스미카센(등록상표) E FV402를 95.90 중량%, 마스터배치(1)을 4 중량%, 마스터배치(5)를 1.25 중량%, 마스터배치(6)을 5.0 중량% 혼합하고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링층용 조성물을 제작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및 증착 필름을 얻었다.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이상,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에 대해서, 복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에 기재한 구성을 적당히 조합하는 등,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기재된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은 그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식품 포장용 등, 광범위한 용도의 필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A층을 적어도 갖고, 상기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이 아래 1) 내지 3)을 만족시키며, 또한 상기 A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이 아래 4) 및 5)를 모두 만족시키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1) 밀도가 900 ㎏/㎥ 이상 935 ㎏/㎥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2)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포함한다.
    3) 유기계 윤활제의 함유량이 0.16 중량% 이상이다.
    4) 3차원 표면 거칠기 SRa가 0.05∼0.2 ㎛이다.
    5) 최대 피크 높이 SRmax가 2∼15 ㎛이다.
  2.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A층을 적어도 한층 갖고, 상기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이 아래 1) 내지 3)을 만족시키며, 또한 상기 A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이 아래 4) 및 5)를 모두 만족시키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1) 밀도가 900 ㎏/㎥ 이상 935 ㎏/㎥ 이하이다.
    2)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포함한다.
    3) 유기계 윤활제의 함유량이 0.16 중량% 이상이다.
    4) 3차원 표면 거칠기 SRa가 0.05∼0.2 ㎛이다.
    5) 최대 피크 높이 SRmax가 2∼15 ㎛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수지 경도가 D70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 다층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150만 이상인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이 5∼15 ㎛인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 중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의 함유량은 0.2∼2.0 질량%인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층 표면층끼리의 블로킹값이 200 mN/70 ㎜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층 표면층끼리를 야스다 세이키 제조의 가쿠신 타입 마모 시험기에 세팅하고 하중 200 g에서 100회 마모 후의 헤이즈의 변화량이 3% 이하인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10. 제9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포장봉지.
KR1020217037488A 2019-04-26 2020-04-03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KR202200048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85394 2019-04-26
JP2019085394 2019-04-26
PCT/JP2020/015355 WO2020217931A1 (ja) 2019-04-26 2020-04-03 ポリエチレン系樹脂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822A true KR20220004822A (ko) 2022-01-11

Family

ID=7294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488A KR20220004822A (ko) 2019-04-26 2020-04-03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0217931A1 (ko)
KR (1) KR20220004822A (ko)
CN (1) CN113767137B (ko)
WO (1) WO202021793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849A (ja) 1996-09-02 1998-05-12 Basf Ag 白色破壊性向をほとんど示さない強靭化プロピレン重合体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588A (ja) * 1996-03-11 1997-09-16 Sekisui Chem Co Ltd マイクロ波融着用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管の接合方法
JP3738489B2 (ja) * 1996-07-31 2006-01-25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JP3170220B2 (ja) * 1997-03-10 2001-05-28 株式会社興人 含気加熱殺菌包装用ポリエチレン系多層フィルム
JPH11240964A (ja) * 1998-02-26 1999-09-07 Sumitomo Chem Co Ltd レトルト包装用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29052A (ja) * 1998-10-21 2000-05-09 Sekisui Che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熱収縮フィルム
JP2003062958A (ja) * 2001-08-24 2003-03-05 Unitika Ltd 多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131546A (ja) * 2002-10-09 2004-04-30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包装材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752219B2 (ja) * 2004-09-03 2011-08-17 東洋紡績株式会社 低臭気性ポリエチレ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低臭気性ポリエチレ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よりなる容器
JP4898631B2 (ja) * 2007-11-06 2012-03-21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ラミネート用フィルム並びにプリントラミネート製品
JP2009175387A (ja) * 2008-01-24 2009-08-06 Nippon Shokubai Co Ltd 防眩性積層体
JP5847541B2 (ja) * 2011-11-01 2016-01-27 有限会社テクノワールド 線状ポリエチレンからなるフィルム
JP6467825B2 (ja) * 2014-09-01 2019-02-13 東洋紡株式会社 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6520257B2 (ja) * 2015-03-18 2019-05-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805516B2 (ja) * 2015-03-23 2020-12-2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
CN107428967B (zh) * 2015-03-26 2020-10-16 东洋纺株式会社 聚乙烯系薄膜
JP6915378B2 (ja) * 2016-05-30 2021-08-04 東レ株式会社 成型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JP6923519B2 (ja) * 2016-06-30 2021-08-18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包装シート及び包装体
JP7003550B2 (ja) * 2016-10-11 2022-01-20 凸版印刷株式会社 滑性および耐ブロッキング性の良好な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包装体
JP6996339B2 (ja) * 2017-03-07 2022-01-17 東洋紡株式会社 蒸着基材用ポリエチレン系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蒸着フィルム
WO2019049630A1 (ja) * 2017-09-06 2019-03-14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成形用包装材、蓄電デバイス用外装ケース及び蓄電デバイス
TW202106515A (zh) * 2019-04-26 2021-02-16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聚乙烯系樹脂多層膜、以及使用該聚乙烯系樹脂多層膜之蒸鍍膜、積層體、包裝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849A (ja) 1996-09-02 1998-05-12 Basf Ag 白色破壊性向をほとんど示さない強靭化プロピレン重合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43359A (zh) 2020-12-01
WO2020217931A1 (ja) 2020-10-29
JPWO2020217931A1 (ko) 2020-10-29
CN113767137A (zh) 2021-12-07
CN113767137B (zh)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0105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JP5139422B2 (ja) シール及び剥離可能なフィルム
US20040146730A1 (en) Film having an improved sealability and adherence
JP6160798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KR102131124B1 (ko)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이를 사용한 복합 필름 및 포장재
JP7140104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JP6819820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EP4185464A1 (en) High clarity, recyclable, polyethylene-based packaging films
WO2019230417A1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KR102413979B1 (ko) 폴리에틸렌계 필름
JPWO2016152835A1 (ja) ポリエチレン系フィルム
JP2024050552A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多層フィルム、及びそれらを用いた蒸着フィルム、積層体、包装体
JP2011201032A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WO2021241274A1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4692140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
KR20220004822A (ko)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JP4692818B2 (ja) 共押出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2005022299A (ja) 二軸延伸多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7200943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フィルム
JP2995869B2 (ja) 横方向易引裂性積層フィルム
TWI840544B (zh) 聚乙烯系樹脂膜、及使用該聚乙烯系樹脂膜之積層體、包裝袋
JP2003231224A (ja)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27112B1 (ko)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JP7398992B2 (ja) 易開封性フィルム、共押出易開封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包装体
WO2023032580A1 (ja) 多層フィルム、包装材及び包装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