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770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770A
KR20210126770A KR1020217030593A KR20217030593A KR20210126770A KR 20210126770 A KR20210126770 A KR 20210126770A KR 1020217030593 A KR1020217030593 A KR 1020217030593A KR 20217030593 A KR20217030593 A KR 20217030593A KR 20210126770 A KR20210126770 A KR 20210126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laundry
drum
wash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쓰히토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유겐 가이샤 히카리 드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 가이샤 히카리 드라이 filed Critical 유겐 가이샤 히카리 드라이
Publication of KR2021012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8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드럼을 회전시켰을 때 세탁물이 복잡하게 엉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두드림 세탁도 충분히 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된 칸막이 판에 의해 구분된 2개의 세탁실에 세탁물을 넣고, 드럼의 회전 방향을 번갈아 반전시키면서 회전시킨다. 이 때 칸막이 판을 즉 드럼의 회전 각으로서, 좌우 각각의 범위 중 하나를 선택하여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한쪽의 세탁물은 높은 위치에서 미끄러져 떨어져 두드림 세탁을 하고, 다른 쪽 세탁물은 세정액에 침지시켜 오염을 분해하는 것을 반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수 후 세탁물을 드럼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트, 타월 및 나이트가운 등의 린넨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린넨 서플라이'라 불리는 서비스가 보급되어 있다. 린넨 공급 업자는 린넨 제품을 구입하여 호텔 및 병원 등과 같은 고객에게 대여하고 고객이 사용한 린넨 제품을 회수하여 세탁한 후, 다시 이를 고객에게 대여한다.
린넨 제품을 세탁하는 세탁기 중 하나로서, 드럼 내에 린넨 제품을 넣고, 드럼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세탁기에서 시트와 같은 길이가 긴 린넨 제품을 세탁하고 그 후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한 후에 드럼으로부터 꺼낸다. 이때 특히 시트와 같이 길이가 긴 린넨 제품을 세탁하면, 드럼 내에 린넨 제품이 세탁실 내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복잡하게 엉키게 되고, 엉킨 상태에서 탈수된다. 따라서, 탈수 후에 린넨 제품을 드럼으로부터 꺼낼 때, 용이하게 꺼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세탁시에 린넨 제품의 엉킴을 억제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는 원통형의 드럼 내에 드럼의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판상의 칸막이 판을 설치하고 드럼과 칸막이 판이 일체로 회전하는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세탁기는, 드럼 내 공간을 칸막이 판에 의해 2개로 분할하고, 칸막이 판으로 구분된 2개의 세탁실에 각각 세탁물을 넣어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세탁 드럼 및 헹굼 드럼이 연결된 연속 세탁기의 각 세탁 드럼에서, 세탁물이 들어가면 드럼을 0°에서 300°까지 정 회전시키고, 이어서 300°에서 0°까지 역 회전시키는 것을 3 회 반복하는 요동 세탁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드럼을 0°에서 360°까지 반전시킬 때에, 세탁물은 스쿠프에 의해 높은 곳으로 떠올려지고 낙하함으로써 두드림 세탁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개 2015-36081호 공보 일본특개 평5-18476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세탁하면, 칸막이 판에 의해 분할되어 있지 않은 드럼에서 세탁하는 경우에 비해 세탁물의 엉킴이 감소된다. 따라서, 탈수 후 드럼으로부터 세탁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그러나, 세탁물의 엉킴이 아직 남아 있으므로 세탁물을 드럼으로부터 꺼낼 때에 시간을 요한다는 문제가 충분히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세탁기는, 요동 세탁을 행한 후에 두드림 세탁을 행한다. 따라서, 두드림 세탁의 횟수가 감소되어, 오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럼을 회전시킬 때에 세탁물이 복잡하게 엉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아니라 두드림 세탁도 충분히 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원통형 외통(outer barrel),
상기 외통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원통형 드럼,
상기 외통 및 상기 드럼 내로 주입된 세정액,
상기 드럼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드럼 내의 공간을 2개의 세탁실로 분할하는 칸막이 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칸막이 판을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상기 세정액에 침지된 세탁물을 두드려 세탁하는 세탁기에서,
상기 칸막이 판의 회전 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2개의 세탁실 중 한쪽의 상기 세정액에 침지된 제1 세탁물을 상기 칸막이 판의 제1 단부에 의해 떠올리고 상기 칸막이 판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뜨린 후에,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세탁물을 다시 상기 칸막이 판의 제2 단부에 의해 떠올리고 상기 칸막이 판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데 필요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상기 칸막이 판의 상기 회전 각은, 추가로, 상기 칸막이 판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2개의 세탁실 중 다른 한쪽의 상기 세정액에 침지된 제2 세탁물을 상기 칸막이 판의 상기 제2 단부에 의해 떠올리고 상기 칸막이 판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뜨린 후에,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세탁물을 다시 상기 칸막이 판의 상기 제2 단부에 의해 떠올리고 상기 칸막이 판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데 필요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판은, 상기 세탁물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복수 개의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양태에 따르면, 칸막이 판의 회전 각을, 칸막이 판에 의해 떠올려진 세탁물이 칸막이 판에 의해 미끄러져 떨어지는 각도까지 확대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이 회전하지 않고 칸막이 판 위를 미끄러져 떨어지기 때문에 세탁물이 엉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탈수 후에 세탁물을 드럼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꺼낸 세탁물을 용이하게 풀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세탁물이 미끄러져 떨어질 때까지 칸막이 판을 회전시키므로, 세탁물은 보다 높은 위치에서 미끄러져 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두드림 세탁에 의한 세정 효과가 보다 커진다.
상기 제2 양태에 따르면, 드럼 내의 2개의 세탁실에 각각 수용된 세탁물이 교대로 칸막이 판 위를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에 의해, 각 세탁실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은, 서로 엉키는 일 없이 교대로 두드림 세탁이 된다.
상기 제3 양태에 따르면, 세탁물과 칸막이 판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므로, 세탁물이 칸막이 판 위를 미끄러지기 쉬워, 세탁 효과가 보다 높은 두드림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이 칸막이 판 위를 회전하기 어려워지므로 세탁물이 엉키기 어려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세탁기의 중앙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포함된 외통 및 드럼의 정면도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a)는 외통 및 드럼에 세정액이 주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 외통 및 드럼의 두껑을 열었을 때의 도면이다.
도 3은 리브를 구비한 칸막이 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럼의 회전 각을 칸막이 판의 위치에 따라 나타낸 그림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a)는 회전 각이 +30°일 때의 칸막이 판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회전 각이 -60°일 때의 칸막이 판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드럼의 회전에 의해 칸막이 판의 한쪽 단부의 위치와 세탁물의 위치와의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도 5에 이어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칸막이 판의 한쪽 단부의 위치와 세탁물의 위치의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도 6에 이어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칸막이 판의 한쪽 단부의 위치와 세탁물의 위치의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 내지 (c)는 도 7에 이어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칸막이 판의 한쪽 단부의 위치와 세탁물의 위치의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도 8에 이어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칸막이 판의 한쪽 단부의 위치와 세탁물의 위치의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칸막이 판의 회전 각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양태에서 설명된 세탁기를 포함하는, 린넨 공급 업자가 필요로 하는 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회전축의 회전 각을 측정하기 위한 링 자석과 자석 검출 소자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측정된 회전 각에 기초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실시양태>
<1.1 세탁기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세탁기(100)의 중앙 종단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100)에 포함된 외통(20) 및 드럼(30)의 정면도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는 외통(20) 및 드럼(30)에 세정액(75)이 주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외통(20) 및 드럼(30)의 두껑(25, 35)을 열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하우징(10),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통형 외통(20), 외통(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드럼(30)('내통'이라고 함)을 포함한다. 원통형의 외통(20)과 드럼(3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고, 외통(20)은 그 상면에 장착되는 서스펜션(15) 및 그 하면에 장착되는 댐퍼(16)에 의해 하우징(10)에 방진 지지되고 있다. 세탁기(100)의 후면 측에서 드럼(30)의 후면의 중심으로 향하여 회전축(50)이 연장되고, 회전축(50)의 일단은 외통(20)에 구비되는 베어링(5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드럼(30)의 후면의 중심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축(50)을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드럼(30)도 회전한다.
드럼(30)의 내부에는 드럼(30)의 회전축(50)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으로 직사각형의 칸막이 판(40)이 끼워져 있다. 도 1에서는, 칸막이 판(40)은, 드럼(30)의 단면과 중첩되기 때문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은 드럼(30)의 중심선을 지나고, 드럼(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변은 각각 드럼(3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드럼(30)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칸막이 판(40)은 드럼(30)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은 드럼(30)의 회전 각과 통상 동일한 각도가 된다. 또한, 드럼(30)의 내부 공간은 칸막이 판(40)에 의해 동일한 크기의 2개의 세탁실로 분할된다.
하우징(10)의 외부에 모터(60)와 펌프(70)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50)은 그 일단에 장착되는 벨트(61)를 통해 모터(60)에 연결되고, 모터(60)가 회전함으로써 회전축(50)도 회전한다. 모터(6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칸막이 판(40)과 드럼(30)을 오른쪽 방향(시계 방향) 또는 왼쪽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60)의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의 회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드럼(30) 및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6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시간은 모터(60)에 연결된 제어 회로(65)에 의해 제어된다.
펌프(70)에는, 세정액(75)이 저장된 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배관, 및 외통(20)의 내부에 세정액(75)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71)이 연결되어 있다. 펌프(70)를 작동시킴으로써 세정액(75)은 탱크로부터 펌프(70) 및 배관(71)을 통해 외통(20)의 내부에 공급된다.
드럼(30)의 측면 및 칸막이 판(40)에는 각각 다수의 작은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외통(20)에 공급된 세정액(75)은, 드럼(30)의 측면에 천공된 작은 구멍을 통해 드럼(30) 안으로도 공급된다. 또한, 칸막이 판(40)에 천공된 작은 구멍을 통해 한쪽의 세탁실에서부터 다른 쪽의 세탁실로 이동한다. 따라서, 외통(20) 내에 공급된 세정액(75)의 수위는 드럼(30)이 정지하고 있을 때뿐만 아니라 회전할 때에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30) 내에 세탁물을 넣고, 드럼(30)으로부터 꺼내기 위해 개폐가능한 뚜껑(25, 35)이 외통(20) 및 드럼(30)의 앞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물을 넣을 때 드럼(30)의 회전이 정지하고 칸막이 판(40)이 수직으로 되어 있을 때, 먼저 외통(20)의 뚜껑(25)을 열고 다음으로 드럼(30)의 뚜껑(35)을 연다. 다음으로, 칸막이 판(40)에 의해 분할된 좌우의 세탁실에 각각 거의 동일한 양의 세탁물을 넣고 드럼(30)의 뚜껑(35) 및 외통(20)의 뚜껑(25)을 차례로 닫는다. 세탁물을 드럼(30)으로부터 꺼낼 때도 동일하게 하여 뚜껑(25) 및 뚜껑(35)의 개폐를 실시한다.
칸막이 판(40)의 표면은 세정액(75)을 포함한 세탁물이 미끄러지기 쉽게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세탁기(100)에는, 드럼(30)을 회전할 때 세탁물이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져 떨어져 드럼(30)의 내주면과 수면에 부딪치게 됨으로써 두드림 세탁이 이루어진다. 이때, 칸막이 판(40)의 표면이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으면, 세탁물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속도가 빨라진다. 그 결과, 세탁물은 강하게 내주면과 수면에 부딪치게 됨으로써 세정 효과가 더 커진다.
또한, 도 3은 리브(45)를 구비한 칸막이 판(4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은 드럼(30)을 회전시킬 때 세탁물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리브(45)가 일단에서 타단까지 서로 평행이 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리브(45)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볼록 사다리꼴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세탁물과 칸막이 판(40)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므로 세탁물은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져 떨어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세탁물은 빠른 속도로 드럼(30)에 부딪치게 되므로, 세정 효과가 더 높아진다. 또한, 세탁물은 리브(45)를 따라 미끄러져 떨어질 때에 회전하기 어려워지므로, 미끄러져 떨어질 때에 세탁물이 엉키기 어려워진다. 또한, 리브(45)를 구비함으로써, 칸막이 판(40)의 강도를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45)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일 수 있다. 또한 리브(45)는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1.2 세탁 방법>
본 실시양태의 세탁기(100)에는, 드럼(30)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30)에 고정된 칸막이 판(40)도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을 칸막이 판(40)이 수직 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나타낸다. 도 4는 드럼(30)의 회전 각을 칸막이 판(40)의 위치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는 회전 각이 +30°일 때의 칸막이 판(40)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회전 각이 -60°일 때의 칸막이 판(40)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30)의 최하부의 위치를 0°로 하고 최상부의 위치를 ±180°로 했을 때, 최하부에서 왼쪽 방향을 정 회전 방향으로 하여 플러스 방향의 각도로 나타내고, 오른쪽 방향을 역 회전 방향으로 하여 마이너스 방향의 각도로 나타낸다. 따라서, 도 4(a)에는,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 30°마다 각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붙이고 또한 0°의 위치에서 오른쪽 방향의 각도에 플러스 (+)의 부호를 붙이고, 왼쪽 방향의 각도에 마이너스 (-)의 부호를 붙인다. 따라서, 도 4(a)에서는 칸막이 판(40)의 양단(40a, 40b) 중 미리 정한 한쪽 단부(40a)의 위치가 +30°를 나타내기 때문에,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은 +30°로 한다. 마찬가지로 도 4(b)에서는 단부(40a)의 위치가 -60°를 나타내기 때문에,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은 -60°로 한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의 한쪽 단부(40a)가 +30°의 위치에 있을 때, 칸막이 판(40) 및 드럼(30)의 회전 각은 +30°라고 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단부(40a)가 -60°의 위치에 있을 때, 칸막이 판(40) 및 드럼(30)의 회전 각은 -60°라고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칸막이 판(40)의 단부(40a)의 위치와 세탁물(80a, 80b)의 위치와의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처음에 세탁물을 2 등분하고 외통(20) 및 드럼(30)에 설치된 뚜껑(25, 35)을 연다. 칸막이 판(40)으로 분할된 2개의 세탁실에 세탁물(80a, 80b)을 각각 넣고 세탁 시간 등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펌프(70)를 작동시켜 외통(20)의 내부에 세정액(75)을 주입한다. 주입된 세정액(75)은 작은 구멍을 통해 드럼(30)의 내부에도 유입된다. 외통(20) 및 드럼(30)의 세정액(75)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가 되면 세정액(75)의 주입이 자동으로 정지된다.
또한, 세탁이 종료되어 드럼(30)의 회전이 정지할 때마다 칸막이 판(40)의 각도가 0°의 상태이다. 따라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세탁실에 투입된 세탁물(80a, 80b)은 각각 세정액(75)에 침지된다.
다음으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각이 0°에서 +150°가 될 때까지 칸막이 판(40)을 좌회전시킨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전 각은 도 4(a) 및 도 4(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의 단부(40a)의 위치에 따라 나타낸다. 칸막이 판(40)은 좌회전을 시작함으로써, 칸막이 판(40)의 단부(40a)는 상승하기 시작하고, 다른 쪽 단부(40b)는 하강하기 시작한다. 세정액(75)에 침지되어 있는 세탁물(80a)은 칸막이 판(40)의 단부(40a)에 의해 떠올려진다.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각이 150°에 가까워지면, 세탁물(80a)은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지면서 단부(40a)에서 단부(40b)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지고, 드럼(30)의 내주면 및 세정액(75)의 액면에 부딪치게 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80a)은 두드림 세탁이 이루어진다.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이 +150°가 되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30)은 좌회전에서 우회전으로 바뀐다. 드럼(30)은 우회전을 시작함으로써, 단부(40b)는 상승하기 시작하고, 단부(40a)는 하강하기 시작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드림 세탁된 세탁물(80a)은 단부(40b)에 의해 다시 떠올려진다. 또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이 +30°에 가까워지면, 세탁물(80a)은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지면서 단부(40b)에서 단부(40a)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지고, 드럼(30)의 내주면 및 세정액(75)의 액면에 부딪치게 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80a)은 다시 두드림 세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세탁물(80a)이 떠올려져 두드림 세탁이 되는 동안, 세탁물(80b)은 세정액(75)에 침지되고, 세정액(75)에 포함된 효소의 작용에 의해 오염이 분해된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은 또한 우회전을 계속한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40a)는 0°의 위치를 통과하여 상승하고 단부(40b)는 하강하기 시작하여 세탁물(80b)이 단부(40a)에 의해 떠올려진다.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이 -150°에 가까워지면 세탁물(80b)은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지면서 단부(40a)에서 단부(40b)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지고, 드럼(30)의 내주면 및 세정액(75)의 액면에 부딪치게 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80b)은 두드림 세탁이 이루어진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은 우회전에서 좌회전으로 바뀐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40a)는 하강하기 시작하고 단부(40b)는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두드림 세탁된 세탁물(80b)은 단부(40b)에 의해 다시 떠올려진다.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이 -30°에 가까워지면 세탁물(80b)은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지면서 단부(40b)에서 단부(40a)를 향해 미끄러지고, 드럼(30)의 내주면 및 세정액(75)의 액면에 부딪치게 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80b)은 다시 두드림 세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세탁물(80b)이 떠올려져 두드림 세탁이 되는 동안, 세탁물(80a)은 세정액(75)에 침지되고, 세정액(75)에 포함된 효소의 작용에 의해 오염이 분해된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은 또한 좌회전을 계속한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이 0°보다 커지면 단부(40a)는 상승하기 시작하고 단부(40b)는 하강하기 시작함으로써, 세탁물(80a)이 단부(40a)에 의해 떠올려질 수 있다.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이 +150°에 가까워지면 세탁물(80a)은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지면서 단부(40a)에서 단부(40b)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지고, 드럼(30)의 내주면 및 세정액(75)의 액면에 부딪치게 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80b)은 두드림 세탁이 이루어진다. 그 후, 칸막이 판(40)은 좌회전에서 우회전으로 바뀐다. 이 상태는 이미 설명한 도 5(c)의 상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후는 도 5(c) 내지 도 8(c)에 나타낸 동작과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그 결과, 도 5(c)에 나타낸 상태에서 도 8(c)에 나타낸 상태까지 칸막이 판(40)은 오른쪽 방향과 왼쪽 방향의 회전을 각각 1 회씩 실시하여 세탁물(80a)과 세탁물(80b)을 각각 2 회씩 두드림 세탁한다.
도 10은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판(40)을 정지 상태에서 회전시킨다. 우선, 회전 각이 0°에서 왼쪽 방향으로 +150°까지 회전시킨 후, 오른쪽 방향으로 0°까지 회전시켜 세탁물(80a)을 2 회 두드림 세탁한다. 또한, 칸막이 판(40)을 회전 각이 0°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150°까지 회전시킨 후, 왼쪽 방향으로 +0°까지 회전시켜 세탁물(80b)을 2 회 두드림 세탁한다. 이후 동일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세탁물(80a)을 2 회 두드림 세탁하는 것과 세탁물(80b)을 2 회 두드림 세탁하는 것을 미리 설정한 시간까지 교대로 반복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회전 각이 0°가 된 상태에서 칸막이 판(40) 즉 드럼(30)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칸막이 판(40)의 회전 방향을 오른쪽 방향에서 왼쪽 방향으로 전환할 때와 왼쪽 방향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바꿀 때, 즉 도 6(a), 도 6(a), 도 7(a)에 나타낸 상태일 때, 칸막이 판(40)의 회전을 예를 들면 몇 초 동안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칸막이 판(40)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진 세탁물을 세정액(75)에 충분히 침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정액(75)에 포함된 효소의 작용에 의해 오염을 한층 더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칸막이 판(40)을 먼저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음에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먼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음에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좋다.
<1.3 효과>
드럼(30)을 왼쪽 방향 및 오른쪽 방향으로 각각 150°씩 교대로 회전시킴으로써, 칸막이 판(40)에 의해 세탁물을 떠올리고, 떠올려진 세탁물을 칸막이 판(40)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것을 2 회씩 반복한다. 이 경우, 드럼(30)의 회전 방향을 반전시키면, 세탁물이 칸막이 판(40)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지므로, 세탁시 세탁물이 엉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탈수 후 세탁물을 드럼(30)에서 꺼내기 쉬워진다. 또한, 드럼(30)에서 꺼낸 세탁물은 엉킴이 적기 때문에 쉽게 풀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이 칸막이 판(40)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지기까지 드럼(30)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세탁물은 보다 높은 위치에서 미끄러져 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두드림 세탁에 의한 세정 효과가 더 커진다.
<1.4 바람직한 회전 각의 범위>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 즉 드럼(30)을 +150°에서 -150°까지 회전시킨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탁물은 칸막이 판(40)에 의해 떠올려지면,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져 떨어지고 드럼(30)의 내주면 및 세정액(75)의 액면에 부딪치게 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은 두드림 세탁된다. 이와 같은 두드림 세탁을 하기 위해서는, 떠올려진 세탁물을, 칸막이 칸(40) 위를 미끄러질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칸막이 판(40)을 수평보다 더 기울도록 그 회전 각은 적어도 90°보다 크고, 또는 -90°보다 작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회전 각이 +180°보다 크거나 -180°보다 작은 경우,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져 떨어진 세탁물이 드럼(30) 내에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세탁물이 엉키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양태에서는, 칸막이 판(40)을 따라 세탁물을 미끄러져 떨어뜨리기 위해, 칸막이 판(40)을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적어도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범위 중 하나의 각도까지 회전시키고,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적어도 -90°보다 작고 -180°보다 큰 범위 중 하나의 범위까지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범위 중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이 +90° 및 -90° 부근에서는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져 떨어지는 세탁물의 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세탁물의 두드림 세탁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칸막이 판(40)을 +180° 및 -180° 부근까지 회전시켜도, 세탁물은 그 이전에 칸막이 판(40) 위를 미끄러져 떨어져 있다. 따라서, 칸막이 판(40)을 +180° 또는 -180° 부근까지 회전시키는 것은 사실상 의미가 없고, 세탁 시간과 전기 요금이 낭비된다.
그래서, 떠올려진 세탁물을 칸막이 판(40)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뜨리기 위하여, 칸막이 판(40)을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적어도 +130° 이상 +165° 이하의 범위 또는 -50° 이상 -15° 이하의 범위(칸막이 판(40)의 단부(40b)의 위치로 나타냈을 때 +130° 이상 +165° 이하의 범위) 중 하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적어도 +15° 이상 +50° 이하의 범위(칸막이 판(40)의 단부(40b)의 위치로 나타냈을 때 -165° 이상 -130° 이하의 범위) 또는 -165° 이상 -130° 이하의 범위 중 하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칸막이 판(40)을 먼저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음에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먼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음에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좋다.
<2. 기타>
도 11은 본 실시양태에서 설명한 세탁기를 포함하는, 린넨 공급 업자가 필요로 하는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기(100) 외에 건조기(200) 및 결속기(300)가 배치되어 있다. 종래, 린넨 공급 업자는 대량의 세탁물을 단시간에 세탁하기 위해 연속 세탁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속 세탁기는 복수의 세탁조를 갖는 대형 장치이기 때문에 넓은 설치 면적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세탁 후 세탁물을 단시간에 탈수하는 유압 프레스가 사용된다. 따라서 건조기에 투입하기 전에 탈수에 의해 굳어진 빨래를 풀어줄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장치도 필요하다. 이와 같이, 연속 세탁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주변 장치도 포함하여 넓은 설치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큰 공장을 건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양태에 따른 세탁기(100)는 1개의 드럼(30)으로 이루어지고, 드럼(30)을 고속 회전시켜 탈수한다. 또한, 상기 실시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세탁물이 엉키기 어려운 세탁 방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탈수 후 세탁물을 풀기 위한 장치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양태에 따른 세탁기(100)는 소형화가 가능해 진다. 또한, 롤 다리미 등의 건조기(200), 세탁물을 접어 소정 매수씩 결속하는 결속기(300)를 도입해도, 좁은 면적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용 공장을 건설할 필요는 없고, 그들을 기존 건물의 일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세탁에서 결속까지의 일련의 공정에 필요한 장비 및 설치 장소를 종래보다 적은 투자 금액으로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를 중심으로 세탁기(100), 건조기(200), 결속기(300)를 'ㄷ'자형으로 배치함으로써 적은 작업자로 세탁에서 결속까지의 일련 작업을 효율적으로 해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세탁기(100)의 드럼(30)에 고정된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의 제어는 모터(60)의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의 회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이미 설명했다. 추가로, 그 밖의 칸막이 판(40)의 회전 각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회전축(50)의 회전 각을 측정하는 링 자석(51)과 자기 검출 소자(52)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자기 검출 소자(52)에 의해 측정된 회전 각에 기초하여 모터(60)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65)를 포함하는 도면이다. 예컨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30)의 회전축(50)의 주위에 설치된 링 자석(51)이, 회전축(5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 링 자석(51)의 근방에 배치된 자기 저항 소자(Magneto Resistive Sensor)를 포함한 자기 검출 소자(52)는 주지의 방법으로 검출한 자기장의 강도를 전압 값 θv로 변환하고, 도 13에 나타낸 제어 회로(65)로 출력한다.
제어 회로(65)에 포함되는 비교 회로(66)는 주지의 콤퍼레이터에 의해 구성되고, 자기 검출 소자(52)로부터 출력된 전압 값 θv를 회전 각의 최대 값을 나타내는 최대 전압 값 θmax 및 회전 각의 최소값을 나타내는 최소 전압 값 θmin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전압 값 θv가 최대 전압 값 θmax 도달하거나 최소 전압 값 θmin에 도달하면 모터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키기 위해 이진 신호를 전환하여 모터 구동 회로(67)로 출력한다. 모터 구동 회로(67)는 전환된 이진 신호에 따라 모터(6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회전 각이 최대일 때 최대 전압 값 θmax는 최대 값 전압 생성 회로(68)에 의해 생성되고, 회전 각이 최소일 때의 최소 전압 값 θmin는 최소 값 전압 생성 회로(69)에 의해 생성되어, 각각 비교 회로(66)에 주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최대 전압 값 θmax 및 최소 전압 값 θmin을 설정할 수 있도록 최대 값 전압 생성 회로(68) 및 최소 값 전압 생성 회로(69)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각을 측정하는 방법 및 측정한 회전 각이 최대 값 또는 최소 값에 도달했음을 검출하여 회전 방향을 역전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공지의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20 … 외통
30 … 드럼 (내통)
40 … 칸막이 판
50 … 회전축
60 … 모터
70 … 펌프
75 … 세정액
80a, 80b … 세탁물
100 … 세탁기

Claims (3)

  1. 수평으로 설치된 원통형 외통(outer barrel),
    상기 외통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원통형 드럼,
    상기 외통 및 상기 드럼 내로 주입된 세정액,
    상기 드럼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드럼 내의 공간을 2개의 세탁실로 분할하는 칸막이 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칸막이 판을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상기 세정액에 침지된 세탁물을 두드려 세탁하는 세탁기에서,
    상기 칸막이 판의 회전 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2개의 세탁실 중 한쪽의 상기 세정액에 침지된 제1 세탁물을 상기 칸막이 판의 제1 단부에 의해 떠올리고 상기 칸막이 판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뜨린 후에,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세탁물을 다시 상기 칸막이 판의 제2 단부에 의해 떠올리고 상기 칸막이 판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데 필요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판의 상기 회전 각은, 추가로, 상기 칸막이 판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2개의 세탁실 중 다른 한쪽의 상기 세정액에 침지된 제2 세탁물을 상기 칸막이 판의 상기 제2 단부에 의해 떠올리고 상기 칸막이 판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뜨린 후에,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세탁물을 다시 상기 칸막이 판의 상기 제2 단부에 의해 떠올리고 상기 칸막이 판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데 필요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판은, 상기 세탁물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복수 개의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217030593A 2019-02-26 2020-02-25 세탁기 KR20210126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2387A JP6747676B2 (ja) 2019-02-26 2019-02-26 洗濯機および洗濯方法
JPJP-P-2019-032387 2019-02-26
PCT/JP2020/007503 WO2020175480A1 (ja) 2019-02-26 2020-02-25 洗濯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770A true KR20210126770A (ko) 2021-10-20

Family

ID=7214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593A KR20210126770A (ko) 2019-02-26 2020-02-25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12644A1 (ko)
EP (1) EP3933089A4 (ko)
JP (1) JP6747676B2 (ko)
KR (1) KR20210126770A (ko)
CN (1) CN113544323A (ko)
WO (1) WO202017548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767A (ja) 1992-01-13 1993-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連続式水洗機の洗浄方法
JP2015036081A (ja) 2013-08-14 2015-02-23 株式会社ザブザブ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229A (en) * 1877-11-20 Improvement in washing-machines
US64276A (en) * 1867-04-30 Joseph w
US350500A (en) * 1886-10-12 Steam washing-machine
US101778A (en) * 1870-04-12 Improved washing-machine
US859564A (en) * 1906-05-04 1907-07-09 Henry Lawrence Washing-machine.
DE448842C (de) * 1926-03-20 1927-08-29 Behrens & E Hinrichs R Verschiebbare Trennungswand fuer die Trommel von Waschmaschinen
US1701224A (en) * 1927-08-19 1929-02-05 Arthur W Brannen Washing machine
US2281031A (en) * 1940-03-15 1942-04-28 Us Hoffman Machinery Corp Drain platform for washing machines
FR1235206A (fr) * 1959-07-16 1960-07-01 Machine à laver
JPH0663285A (ja) * 1992-08-12 1994-03-08 Asahi Seisakusho:Kk 洗濯機
JP3233200B2 (ja) * 1997-06-12 2001-11-26 富士車輌株式会社 ドライマーク衣料の水系洗濯装置
JP2000157779A (ja) * 1998-11-26 2000-06-13 Fuji Car Mfg Co Ltd 洗濯装置
FR2787125B1 (fr) * 1998-12-11 2001-03-02 Electrolux Syst Blanchisserie Procede de lavage de linge et lave-linge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JP2001212400A (ja) * 2000-02-07 2001-08-07 Family Dry:Kk 洗濯機用仕切部材
JP2004097317A (ja) * 2002-09-06 2004-04-02 Tosei Denki Kk 回転ドラム式洗濯機
DE102006019458A1 (de) * 2006-04-26 2007-10-31 Jensen-Senking Gmbh Durchlaufwaschmaschine und Waschverfahren
JP4100576B1 (ja) * 2007-02-14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WO2009027306A1 (en) * 2007-08-24 2009-03-05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KR20100052067A (ko) * 2008-11-10 2010-05-19 용 준 권 욕실용 소형 드럼 건조 정련기
CN105637135B (zh) * 2013-04-02 2018-02-06 瓦斯菲·阿希达法特 具有复数个可旋转水槽的洗衣机
JP2017099723A (ja) * 2015-12-02 2017-06-08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ドラム式洗濯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767A (ja) 1992-01-13 1993-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連続式水洗機の洗浄方法
JP2015036081A (ja) 2013-08-14 2015-02-23 株式会社ザブザブ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5480A1 (ja) 2020-09-03
CN113544323A (zh) 2021-10-22
EP3933089A1 (en) 2022-01-05
JP6747676B2 (ja) 2020-08-26
EP3933089A4 (en) 2023-01-25
US20220112644A1 (en) 2022-04-14
JP2020130920A (ja)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62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641955B1 (ko) 세탁기
US20180057991A1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EP3056599B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GB2253215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210126770A (ko) 세탁기
KR100815663B1 (ko) 세탁기
CN110913740B (zh) 导水的家用电器和用于运行导水的家用电器的方法
KR20160034611A (ko)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JP7222607B2 (ja) 洗濯機
JP451078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7344633B2 (ja) 洗濯機
JP2009142612A (ja) 洗濯機
EP1103646A1 (en) Water system washing machine for clothes equipped with &#34;dry mark&#34;
JP7316918B2 (ja) 衣類処理装置
JP6999342B2 (ja) 洗濯機
JP2005334565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233200B2 (ja) ドライマーク衣料の水系洗濯装置
KR102487210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7121398A (ja) 衣類処理装置
JP2022134157A (ja) 洗濯機
KR102428265B1 (ko) 세탁기
KR2021012353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H04193293A (ja) 洗濯機の運転方法
KR2023011558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