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955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955B1
KR100641955B1 KR1020050044809A KR20050044809A KR100641955B1 KR 100641955 B1 KR100641955 B1 KR 100641955B1 KR 1020050044809 A KR1020050044809 A KR 1020050044809A KR 20050044809 A KR20050044809 A KR 20050044809A KR 100641955 B1 KR100641955 B1 KR 10064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washing machine
rotating drum
motor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131A (ko
Inventor
도요츠구 마츠쿠라
다카시 고마츠
시게루 마츠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의류의 언밸런스에 의한 진동이나 이상음을 미연에 방지하는 세탁기로서, 의류를 수납하고 대략 수평 또는 경사 방향으로 회전중심축을 갖는 회전드럼(1)을 회전 가능하게 내포하는 받이 통(3)과, 상기 받이 통(3)을 지지하는 지지 금구(16)와, 세탁기본체(10)를 지탱하는 세탁기 바닥판(17)과, 상기 회전드럼(1)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5)와, 상기 모터(5) 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1)과, 상기 지지 금구(16)와 상기 세탁기 바닥판(17)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받이 통(3)의 진동을 검지하는 진동 검지부(18)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지부(18)를 복수의 코일(19)과 자성체(20)로 이루어지는 차동변압기로 형성한 것으로, 탈수행정시의 회전드럼(1)의 진동에 의해, 회전드럼(1)이 상하로 변위하면, 코일(19)에 전압이 발생하고, 회전드럼(1)의 진동이 검지되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모터 등을 제어함으로써, 회전드럼(1)의 이상 진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세탁기의 진동 검지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진동 검지부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진동 검지부의 특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진동 검지부의 배선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드럼
3 : 받이 통
5 : 모터
9 : 입력 설정 수단
10 : 세탁기본체
11 : 제어 수단
16 : 지지 금구
17 : 세탁기 바닥판(세탁기 바닥부)
18 : 진동 검지부
19 : 코일
20 : 자성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화 제61-98286호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6-170080호
본 발명은 대략 수평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회전중심축을 갖는 회전드럼내에 의류를 수납하고, 세탁, 헹굼, 탈수를 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의류를 수납하고 대략 수평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회전중심축을 갖는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을 내포하고 세탁기본체에 적당한 지지 수단을 거쳐서 지지되는 받이 통과, 받이 통을 지지하는 지지 금구와, 세탁기본체를 지탱하는 세탁기 바닥부와, 회전드럼을 구동하는 모터와, 세탁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입력 설정 수단과, 그 입력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세탁 동작의 제어와 모터의 제어를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의 제어에 의해 세탁, 헹굼, 탈수 라는 행정을 매우 미세하게 제어하고 있었다.
그러나 세탁행정으로부터 탈수행정에 이를 때, 회전드럼내에는 세탁행정을 끝내고 물을 포함한 의류가 들어 있고, 이들을 탈수하기 위해서 회전드럼을 회전하는데, 의류의 종류나 옷감 혹은 형상에 따라, 의류가 탈수행정의 회전운동에 대하여 언밸런스하게 되어, 회전드럼 등이 크게 진동하여, 소음을 발생시키고 있었다.
그 때문에, 세탁기의 탈수행정에 있어서의 이상 진동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의류와 세탁액을 넣어 회전하는 회전드럼을 안쪽 프레임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그 안쪽 프레임을 세탁기의 바깥쪽 프레임에 스프링 등의 완충기구에 의해서 지지하고, 안쪽 프레임의 기계적 진동을 바깥쪽 프레임에 마련한 진동 검출기에 의해서 검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것에 의하면, 탈수행정에서는 우선 모터의 저속회전으로 회전드럼을 회전하는 것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의류를 회전드럼의 내측벽에 균일하게 붙이는 밸런스를 취하는 행정을 하고, 그 후 회전드럼을 고속 회전시켜 탈수행정을 한다. 그 도중에 이상 진동이 발생하면 회전드럼을 정지시킨다라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회전드럼을 고속 회전하기 전에 언밸런스에 의한 이상 진동을 검출하여, 안전하고 운전효율이 높은 탈수행정을 하도록 하는 세탁기의 이상 진동 검출 방법도 있다. 그 방법은 회전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유도모터와, 상기 유도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드럼을 정회전·역회전시키는 세탁 행정과 저속 회전시키는 밸런스행정과 고속 회전시키는 탈수행정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실행하는 세탁기의 이상 진동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행정 의 개시와 동시에 상기 인버터 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전류 실효치를 검출하고, 상기 전류 실효치의 전류 최대값과 전류 최소값으로부터 검출차 전류치를 연산하여, 미리 설정한 과진동 전류 설정값과 비교하여, 그것을 초과하는 경우에 과진동 검출 전류치로서 과진동 경고로서 출력하는 세탁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었던 것 같은 구성에서는, 저속회전으로 밸런스를 취하는 행정을 하는 경우에는 의류가 붙여진 방향에 따라서 회전드럼에 언밸런스가 있더라도, 기계적진동의 진폭이 작기 때문에, 이상 진동을 검출할 수 없다. 그리고 회전드럼을 고속 회전했을 때에 비로소 큰 진동이 되어, 이상 진동을 검출하게 되고, 고속 회전하기 전에 이상 진동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따라서, 이상 진동이 발생하고 나서 정지하기 때문에 의류나 세탁기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음과 동시에, 회전드럼을 정지할 때까지 많은 쓸데없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었던 것 같은 구성에서는, 이상 진동을 유도모터의 전류 실효치로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의류의 언밸런스가 유도모터의 전류 실효치에 나타나고, 그 언밸런스 상태가 이상 진동으로 이어진다고 하는 추정으로 성립되어 있다. 그러나 유도모터의 전류 실효치의 변화는, 의류의 언밸런스에 의한 것 이외에 유도모터의 베어링이나 그 외의 기계적인 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그 편차에 입각하여 과진동 전류 설정값과 비교하여 과전동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과진동 경고를 내어, 회전드럼을 정지하는 일이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탈수행정에서 이상 진동이 일어나는 것 같은 의류의 언밸런스에 의한 진동이나 이상음을 미연에 방지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의류를 수납하고 대략 수평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회전중심축을 갖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내포하고 또한 세탁기본체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받이 통과, 상기 받이 통을 지지하는 지지 금구와, 상기 세탁기본체를 지탱하는 세탁기 바닥부와,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 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지지 금구와 상기 세탁기 바닥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받이 통의 진동을 검지하는 진동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지부를 복수의 코일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차동변압기로 형성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지지 금구와 상기 세탁기 바닥부 중 어느 한쪽에 진동 검지부의 코일을, 다른쪽에 자성체를 연결해 놓으면, 탈수행정시의 회전드럼의 진동에 의해, 회전드럼이 상하로 변위하고, 자성체가 코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코일에 전압이 발생하여 회전드럼의 진동의 검지가 가능하게 되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모터 등을 제어하도록 하면, 회전드럼의 이상 진동이나, 그것에 따른 이상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매우 사용 편리성이 좋은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발명은 의류를 수납하고 대략 수평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회전중심축을 갖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내포하고 또한 세탁기본체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받이 통과, 상기 받이 통을 지지하는 지지 금구와, 상기 세탁기본체를 지탱하는 세탁기 바닥부와,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 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지지 금구와 상기 세탁기 바닥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받이 통의 진동을 검지하는 진동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지부를 복수의 코일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차동변압기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지지 금구와 상기 세탁기 바닥부 중 어느 한쪽에 진동 검지부의 코일을, 다른쪽에 자성체를 연결해 놓으면, 탈수행정시의 회전드럼의 진동에 의해, 회전드럼이 상하로 변위하고, 자성체가 코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코일에 전압이 발생하여 회전드럼의 진동의 검지가 가능하게 되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모터 등을 제어하도록하면, 회전드럼의 이상 진동이나, 그에 따른 이상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한, 매우 사용 편리성이 좋은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의 진동 검지부를, 하나의 입력의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과 동축형상으로 배치된 2개의 출력의 2차 코일과, 상기 3개의 코일을 관통하도록 또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축형상의 자성체로 구성한 것으로, 2개의 2차 코일의 권수를 바꾸는 것에 의해, 회전드럼의 변위량과 2차 코일의 출력 전 압과의 관계를 바꿀 수 있고, 하나의 2차 코일을 포량(布量)의 검지에, 또 하나의 2차 코일을 진동의 검지에 나누어 사용할 수도 있다.
제 3 발명은, 특히 제 2 발명의 자성체의 움직임에 따른 변위량과, 일정한 1차 코일의 입력에 따른 2개의 2차 코일의 출력과의 관계는, 상기 2개의 코일에서 단위 변위량당의 전압 구배가 다른 구성으로 한 것으로, 한쪽의 2차 코일을 검지범위가 좁더라도 단위 변위량당의 전압 구배를 크게 구하는 포량의 검지에 사용하고, 다른쪽의 2차 코일을 단위 변위량당의 전압 구배가 적더라도 검출범위를 크게 구하는 진동의 검지에 사용함으로써, 포량과 진동의 검지를 각각의 목적에 대하여 보다 최적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특히 제 2 또는 제 3 발명의 세탁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입력 설정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입력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세탁 동작의 제어와 모터의 제어를 하는 제어 수단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공급되는 전압으로 삼각파를 작성하고, 그 삼각파를 1차 코일에 입력하고, 2개의 2차 코일의 출력을 정류 평활한 뒤, 그 전압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 이하로 하고 나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A/D 변환 포트에 입력하도록 한 것으로, 진동 검지부의 1차 코일의 인덕턴스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바른 2차 코일의 전압을 마이크로 컴퓨터의 A/D 변환 포트에 입력하여, 포량이나 진동의 크기를 높은 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2는 상기 세탁기의 진동 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회전드럼(1)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부에 다수의 물 통과 구멍(2)이 전면에 마련되어, 받이 통(3)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드럼(1)에 회전축(회전중심축)(4)이 마련되고, 회전드럼(1)의 축심 방향은 정면측에서 배면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시키고 있다. 이 회전축(4)에, 받이 통(3)의 배면에 장착한 모터(5)가 연결되고, 모터(5)에 의해 회전드럼(1)이 정회전,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회전드럼(1)의 내벽면에는, 복수개의 돌기판(6)이 설치되어 있다. 받이 통(3)의 정면측의 상향 경사면에 마련한 개구부(3a)를 덮개(7)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덮고, 이 덮개(7)를 여는 것에 의해, 의류 출입구(8)를 통해서 회전드럼(1)내로 세탁물을 출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덮개(7)를 상향 경사면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세탁물을 출납할 때에, 허리를 굽히는 상태를 적게 하여 실행할 수 있다.
덮개(7)의 상측에는, 세탁기본체(10)의 운전코스 등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설정 수단(9)이 마련되고, 세탁기본체(10)내의 전면의 하부에는, 입력 설정 수단(9)으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여, 그 정보를 기초로 모터(5)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1)이 있어,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일련의 행정을 차차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받이 통(3)은 세탁기본체(10)로부터 용수철체(12)와 댐퍼(13)에 의해서 요동 가능하게 매달아 지지되어 있고, 받이 통(3)의 하부에 배수 경로(14)의 한쪽 단부를 접속하고, 배수 경로(14)의 다른쪽 단부를 배수밸브(15)에 접속하여, 받이 통(3)내의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받이 통(3)의 하부에는, 받이 통(3)을 지지하는 지지 금구(16)가 설치되어 있다. 그 지지 금구(16)와 세탁기 바닥부의 하나인 세탁기 바닥판(17)의 사이에, 받이 통(3)의 진동을 검지하는 진동 검지부(18)가 장착되어 있다. 진동 검지부(1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코일(19)과 자성체(20)로 이루어지는 차동변압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세탁기에 대하여,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세탁행정으로부터 탈수행정에 이를 때, 회전드럼(1)내에는 세탁행정을 끝내고 물을 포함한 의류가 들어 있고, 이들을 탈수하기 위해서 회전드럼(1)을 회전하는데, 의류의 종류나 옷감 혹은 형상에 의해, 의류가 탈수행정의 회전운동에 대하여 언밸런스가 된 경우, 회전드럼(1)이 진동하여, 그것을 내포하고 있는 받이 통(3)도 진동한다.
그 받이 통(3)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 금구(16)와, 세탁기 바닥판(17)의 사이에 진동을 검지하는 진동 검지부(18)를 장착하고, 더구나 그 진동 검지부(18)는 복수의 코일(19)와 자성체(20)로 구성한 차동변압기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코일(19)을 세탁기 바닥판(17)에 고정하고, 자성체(20)를 받이 통(3)에 장착한 지지 금구(16)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드럼(1)의 진동에 대응하여 자성체(20)가 상하운동하고, 그 변위에 따라 코일(19)에 전압을 발생하기 때문에 진동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 개시전, 의류를 투입했을 때의 진동 검지부(18)로부터 얻어지는 변위에 의해 회전드럼(1)내의 포량의 검지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진동 검지부(18)에서 검출한 진동 레벨에 따라서, 입력 설정 수단(9)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일련의 세탁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중에, 제어 수단(11)을 이용하여, 진동 레벨이 경미하면 (진동 레벨이 제 1 소정치 미만, 제 2 소정치 이상) 모터(5)의 회전수를 떨어뜨리는 동작을 하고, 또한, 이상이라고 판정하면 (진동 레벨이 제 1 소정치 이상) 모터(5)의 회전을 정지하거나, 혹은 일단 모터(5)의 회전을 정지후, 다시 회전을 저회전으로부터 다시 하는 것에 의해 의류의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회전드럼(1) 등의 이상 진동이나 이상 소음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또한, 진동 검지부(18)의 검출 레벨에 의해 회전드럼(1)내의 포량의 검지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그 검지 레벨에 따라 세탁이나 헹굼행정시의 물의 급수량을 가감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진동 검지부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진동 검지부의 특성도이다. 또,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동 검지부(18)를 동축형상의 3개의 코일과 자성체로 구성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3개의 코일 중 하나의 코일을 입력의 1차 코일(21)로 하고, 나머지의 2개의 코일을 출력의 2차 코일(22)과 2차 코일(23)로 하고, 동축형상의 3개의 코일을 관통하도록 축형상의 자성체(20)를 내 장한 합성 수지등 비자성체의 샤프트(24)로 구성하고, 자성체(20)를 내장한 샤프트(24)가 축 방향으로 상하로 가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3개의 코일과 자성체(20)의 위치관계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차 코일(22)을, 상하로 이동하는 샤프트(24)의 삽입측에 배치하고, 그것에 인접하여 1차 코일(21)을 배치하고, 그 외측에 2차 코일(23)을, 2차 코일(22)에 인접시켜 배치한다. 샤프트(24)내의 자성체(20)의 하단이 1차 코일(21)의 코일의 범위내에 있을 때의 위치를, 샤프트(24)의 상하진동의 기준위치로 한다. 2차 코일(22)의 권선수는 1차 코일 권선수의 약 10배, 2차 코일(23)의 권선수는 1차 코일 권선수의 약 7배로 하고, 자성체(20)의 길이를 2차 코일(23)의 권폭보다 길게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4는 상기 구성에 의한 진동 검지부(18)의 특성도로, 일정한 1차 코일의 입력으로 하고, 자성체(20)를 내장한 샤프트(24)를 상(신장측) 혹은 하(압축측)로 이동시켜, 샤프트(24)의 상하진동의 기준위치부터의 변위량과 각 2차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진동 검지부(18)의 동작, 작용은 이하와 같다.
도 4의 특성표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1차 코일(21)의 입력에 따른, 자성체(20)를 내장한 샤프트(24)의 움직임에 의한 변위량과 2차 코일(22)의 출력 전압의 관계는, 신장측 약 10mm에서 압축측 10mm의 범위에서 거의 직선을 나타내고, 약 15mm 압축측에서 최대값으로 되어 있다. 신장측 약 10mm에서 압축측 10mm의 범위는, 회전드럼(1)에 의류가 들어 갔을 때에 침강하는 변위량 범위인 것에 의 해서, 2차 코일(22)은 포량의 검지에 적합하다. 즉 검지범위가 좁더라도 단위 변위량당 전압 구배가 크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포량의 검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1차 코일의 입력에 따른, 자성체(20)를 내장한 샤프트(24)의 움직임에 의한 변위량과 2차 코일(23)의 출력 전압의 관계는, 신장측 약 10mm에서 압축측 40mm의 범위에서 거의 직선을 나타내고 있다. 신장측 약 10mm에서 압축측 40mm의 범위는, 회전드럼(1)에 의류가 들어가고, 또한 세탁행정에서 물이 들어간 최대 하중까지의 침강하는 변위량 범위인 것에 의해서, 2차 코일(23)은 진동의 검지에 적합하다. 즉, 검지범위가 넓고 단위 변위량당 전압 구배가 작아도 무방하기 때문에, 일련의 세탁의 행정에서 보다 우수한 탈수진동의 검지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2개의 2차 코일(22, 23)의 권수를 각각 바꾸는 것에 의해, 자성체(20)를 내장한 샤프트(24)의 변위량과 2차 코일(22, 23)의 출력 전압의 관계를 바꿀 수 있고, 하나의 2차 코일(22)을 포량의 검지에, 또 하나의 2차 코일(23)을 진동의 검지에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3)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진동 검지부의 배선 회로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세탁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입력 설정 수단(9)에 의해서 설정된 세탁 동작의 제어와 모터(5)의 제어를 하는 제어 수단(11)의 마이크로 컴퓨터(25)에 공급되는 전압으로, 삼각파를 1차 입력 파형 회로(26)에서 작성하고, 그 삼 각파를 1차 코일(21)에 입력하고, 자성체(20)의 위치에 따른 2개의 2차 코일(22, 23)의 출력을 출력 검출 회로(27)에서 정류 평활한 뒤, 그 전압을 마이크로 컴퓨터(25)에 공급되는 전압 이하로 하고 나서 마이크로 컴퓨터(25)의 A/D 변환 포트(28)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진동 검지부(18)의 1차 코일(21)의 입력 파형은 정현파가 바람직하지만, 마이크로 컴퓨터(25)에 공급되는 전압으로 정현파를 작성하는 것은 부품점수를 많이 필요로 하고, 기판의 배치상의 공간이나 경제적으로 불리했다. 가장 용이한 것은 마이크로 컴퓨터(25)가 갖고 있는 구형파를 분주(分周)하여 1차 코일(21)에 공급하는 방법도 있지만, 1차 코일(21)의 인덕턴스에 의한 영향을 받아, 2차 코일(22)이나 2차 코일(23)에는, 공진 파형을 발생하여 정확한 파형을 작성할 수 없다.
그래서, 1차 입력 파형 회로(26)에서 삼각파를 작성하고, 그것을 1차 코일(21)에 공급함으로써, 1차 코일(21)의 인덕턴스에 의한 영향을 받지않고, 2차 코일(22)이나 2차 코일(23)에는 자성체(20)의 변위에 따른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것을 출력 검출 회로(27)에서 평활 정류한 뒤, 그 전압을 마이크로 컴퓨터(25)에 공급되는 전압 이하로 하고 나서 마이크로 컴퓨터(25)의 A/D 변환 포트(28)에 입력하고, 그 변환 결과를 기초로 마이크로 컴퓨터(25)에서 미리 결정된 진동의 임계값으로 판단하여, 제어 수단(11)에서 모터(5)의 제어를 할 수 있다. 혹은 그 변환 결과로 회전드럼(1)내의 포량의 검지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받이 통의 진동을 진동 검지부에서 직접적으로 검지하여, 탈수행정에서의 이상 진동이 일어나는 것 같은 의류의 언밸런스에서의 진동이나 이상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회전드럼내의 의류의 포량의 검지도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의류의 세탁, 탈수기능을 가진 가정용, 업무용 세탁기 등에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진동 검지부의 검지 레벨에 따라서, 제어 수단이 이상이라고 판정하면 모터의 회전을 정지하거나, 경미하다면 모터의 회전수를 떨어뜨리거나, 혹은 일단 모터의 회전을 정지후 다시 회전을 저회전으로부터 다시 하는 것에 의해 의류의 언밸런스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회전드럼 등의 이상 진동이나 이상 소음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Claims (4)

  1. 의류를 수납하고 대략 수평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회전중심축을 갖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내포하고 또한 세탁기본체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받이 통과,
    상기 받이 통을 지지하는 지지 금구와,
    상기 세탁기본체를 지탱하는 세탁기 바닥부와,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 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지지 금구와 상기 세탁기 바닥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받이 통의 진동을 검지하는 진동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지부를 복수의 코일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차동변압기로 형성한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진동 검지부를, 하나의 입력의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과 동축형상으로 배치된 2개의 출력의 2차 코일과, 상기 3개의 코일을 관통하도록 또한 이동 가능하 게 배치된 축형상의 자성체로 구성한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자성체의 움직임에 따른 변위량과, 일정한 1차 코일의 입력에 따른 2개의 2차 코일의 출력의 관계는, 상기 2개의 코일에서 단위 변위량당의 전압 구배가 다른 구성으로 한
    세탁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세탁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입력 설정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입력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상기 세탁 동작의 제어와 모터의 제어를 하는 제어 수단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공급되는 전압으로 삼각파를 작성하고, 그 삼각파를 1차 코일에 입력하고, 2개의 2차 코일의 출력을 정류 평활한 뒤, 그 전압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 이하로 하고 나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A/D 변환 포트에 입력하도록 한
    세탁기.
KR1020050044809A 2004-09-06 2005-05-27 세탁기 KR100641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7921A JP4293093B2 (ja) 2004-09-06 2004-09-06 洗濯機
JPJP-P-2004-00257921 2004-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131A KR20060048131A (ko) 2006-05-18
KR100641955B1 true KR100641955B1 (ko) 2006-11-02

Family

ID=3599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809A KR100641955B1 (ko) 2004-09-06 2005-05-27 세탁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28830B2 (ko)
JP (1) JP4293093B2 (ko)
KR (1) KR100641955B1 (ko)
CN (2) CN2869081Y (ko)
CA (1) CA2507481C (ko)
MY (1) MY138460A (ko)
RU (1) RU2301856C2 (ko)
SG (1) SG120220A1 (ko)
TW (1) TWI3104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357A (ja) * 2004-08-26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4293093B2 (ja) * 2004-09-06 2009-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KR100788975B1 (ko) * 2005-09-05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포량 감지장치 및 방법
JP4711914B2 (ja) * 2006-08-31 2011-06-2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1139251B1 (ko) * 2006-11-24 2012-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N101813543B (zh) * 2009-02-20 2014-04-09 海尔集团公司 滚筒洗衣机用位移传感器检测不平衡的方法
CN102834560B (zh) * 2010-04-05 2015-05-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U2013204355B2 (en) * 2012-12-21 2016-10-27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Improved laundry appliance
JP2016107063A (ja) * 2014-11-28 2016-06-2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乾燥機
CN105862313A (zh) * 2016-04-29 2016-08-1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的偏心感知方法和波轮洗衣机
CN108060550B (zh) * 2017-12-25 2023-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筒机构、洗衣机及洗衣机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35629B (de) 1960-10-20 1967-03-02 Trebel Werk G M B H Schwingungsumformer fuer Auswuchtmaschinen zum Messen der durch die Unwucht hervorgerufenen Fliehkraft
US3152462A (en) * 1961-12-13 1964-10-13 Gen Motors Corp Clothes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ans therefor
JPS6198286A (ja) 1984-10-19 1986-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の運転方法
FR2581091A1 (fr) 1985-04-26 1986-10-31 Ciapem Machine a laver le linge, munie d'un dispositif antibalourd
GB2202646B (en) 1987-03-18 1991-07-17 Ti Creda Mf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JPH06170080A (ja) 1992-12-07 1994-06-21 Yaskawa Electric Corp 自動洗濯機の異常振動検出方法
JP3148451B2 (ja) * 1993-02-26 2001-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H09269264A (ja) * 1996-04-02 1997-10-14 Satoshi Mizoguchi 振動検知装置
US5767670A (en) * 1996-08-29 1998-06-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proved temperature compensated output fo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system
US6470751B1 (en) * 1999-02-20 2002-10-29 Lg Electronics Inc. Vibration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GB2357855B (en) * 1999-02-20 2002-01-16 Lg Electronics Inc Vibration detecting method
US6336348B1 (en) * 1999-02-25 2002-01-08 Lg Electronics Inc. Sensor for detecting both water level and vibration in washing machine
CN1500933A (zh) 2002-11-15 2004-06-0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滚筒式洗衣机的洗涤物提升装置
JP2004242735A (ja) * 2003-02-12 2004-09-0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4293093B2 (ja) * 2004-09-06 2009-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869081Y (zh) 2007-02-14
TWI310416B (en) 2009-06-01
CN1746388A (zh) 2006-03-15
CN100371518C (zh) 2008-02-27
JP4293093B2 (ja) 2009-07-08
SG120220A1 (en) 2006-03-28
MY138460A (en) 2009-06-30
KR20060048131A (ko) 2006-05-18
CA2507481C (en) 2008-09-02
US20060048549A1 (en) 2006-03-09
CA2507481A1 (en) 2006-03-06
RU2005116529A (ru) 2006-11-20
TW200619458A (en) 2006-06-16
US7428830B2 (en) 2008-09-30
JP2006068411A (ja) 2006-03-16
RU2301856C2 (ru)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955B1 (ko) 세탁기
RU2619011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US20080301884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61962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0207316A (ja) 洗濯機
JP2013240577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6311885A (ja) ドラム式洗濯機
JP4501980B2 (ja) 洗濯機
CN1128258C (zh) 洗衣机以及具有旋转容器的装置
KR20180029333A (ko)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100815663B1 (ko) 세탁기
KR102604224B1 (ko) 세탁기 제어방법
JP2001062189A (ja) 洗濯機及び洗濯機の振動検知装置
JP317307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326842B2 (ja) 洗濯機
JP485191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60088155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1104141A (ja) 洗濯機
JP2014079487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9189537A (ja) 洗濯機
JP493576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702361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6212118A (ja) 洗濯機
KR100617223B1 (ko) 드럼세탁기의 수위겸 진동량 감지장치와 그에 따른 구동부제어방법
JPH1176688A (ja) 遠心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