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581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581A
KR20230115581A KR1020220012212A KR20220012212A KR20230115581A KR 20230115581 A KR20230115581 A KR 20230115581A KR 1020220012212 A KR1020220012212 A KR 1020220012212A KR 20220012212 A KR20220012212 A KR 20220012212A KR 20230115581 A KR20230115581 A KR 20230115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ter level
capacitance
dru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581A/ko
Priority to PCT/KR2022/018290 priority patent/WO2023146086A1/ko
Publication of KR2023011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Abstract

본 출원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바디,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및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높이 및 상기 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 가능한 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등의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세탁을 위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급수부 및 세제공급부를 통해 상기 터브로 물과 세제를 공급한 뒤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대상물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분리과정,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과정,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대상물에 잔류하는 물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세탁하였다.
상기 이물질 분리과정의 진행 시 상기 터브 내부에는 거품이 발생하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양을 측정하거나 예측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이물질 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은 터브의 외부로 거품이 배출되는 문제,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에 큰 부하를 유발하는 문제, 탈수과정에 요구되는 높은 회전수로 드럼을 회전시키기 어운 문제 등을 유발하므로, 거품의 양을 비교적 정확히 측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면, 상술한 문제의 해결이 가능하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들 중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 변화, 또는 상기 구동부의 토크 변화량(모터의 토크 변화량)을 통해 거품을 감지하는 방식이 있었다(공개번호 제10-2000-0025493호, 공개번호 제10-2006-0115264호). 상술한 종래 방식들은 거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대상의 데이터(간접적 데이터)로 거품의 발생 및 거품의 양(거품의 높이 등)을 추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거품의 발생을 판단하는 시점이 느려지고(거품이 발생한 뒤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뒤라야 거품 발생을 인식 가능), 거품의 양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터브 내부의 수위,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양(거품의 높이 등)을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터브 내부의 수위 및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 가능한 정전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터브 내부의 수위 및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양을 실시간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한 정전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바디,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및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높이 및 상기 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 가능한 센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터브 바디는 중심축이 지면에 평행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는 상기 원통의 전방면과 후방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는 내부가 비어있고 중심축이 지면에 직교하는 원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는 상기 원통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원주면 중 상기 터브 바디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는 내부가 비어있고 중심축이 지면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원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는 상기 원통의 전방면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전방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거품이 기 설정된 기준높이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높이는 기 설정된 기준전력량의 전력을 상기 구동부에 공급할 때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설정속도보다 10% 이상 낮아지는 거품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높이는 상기 드럼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된 다수의 기준수위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높이로 설정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기준높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 최하점이 잠기는 수위로 설정된 최소수위, 상기 최소수위보다 높고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최고수위, 및 상기 최소수위와 상기 최고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수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높이는 상기 최소수위와 상기 중간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1기준높이, 상기 중간수위와 상기 최고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2기준높이, 및 상기 최고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3기준높이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1센서, 상기 제2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3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 최하점이 잠기는 수위로 설정된 최소수위, 및 상기 최소수위보다 높은 수위로 설정된 중간수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높이는 상기 최소수위와 상기 중간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1기준높이, 및 상기 중간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2기준높이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2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수위가 기준수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 최하점이 잠기는 수위로 설정된 최소수위, 상기 최소수위보다 높고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최고수위, 및 상기 최소수위와 상기 최고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수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최소수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제1센서, 상기 중간수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제2센서, 및 상기 최고수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제3센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이 잠기는 수위로 설정된 최소수위, 상기 최소수위보다 높은 수위로 설정된 중간수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최소수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제1센서, 상기 중간수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제2센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및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높이 및 상기 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 가능한 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포량감지단계; 포량에 따라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세제공급부가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단계; 상기 세탁단계의 진행 중 상기 센서가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의 증가 여부, 및 정전용량의 증가가 지속된 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이 기준용량 이상이고(터브 바디 내부의 거품이 기준높이에 도달하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가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세탁단계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세탁단계는 상기 드럼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이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가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세탁단계는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 변경 주기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이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가 상기 제1기준시간보다 긴 제2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중간배수단계; 및 상기 중간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재급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세탁단계의 진행 중 실행되며,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만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관측모션 실행단계;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미만이거나,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의 유지시간이 기 설정된 제3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드럼을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및 상기 탈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한 뒤 상기 드럼을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세제 및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헹굼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의 유지시간이 상기 제3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및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한 뒤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세제 및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헹굼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의 유지시간이 상기 제3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급수부가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과 배수부가 상기 터브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과정을 동시에 실행하는 거품제거단계; 및 상기 거품제거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드럼을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터브 내부의 수위,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양(거품의 높이 등)을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터브 내부의 수위 및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 가능한 정전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터브 내부의 수위 및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양을 실시간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한 정전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정전용량센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캐비닛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12)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12)는 상기 전방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4)이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14)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코스 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스위치,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과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의 전방면(22, 터브 전방면)과 후방면(26, 터브 후방면) 중 어느 하나에는 터브 투입구(23)가 구비된다. 도면은 상기 터브 전방면(22)에 상기 터브 투입구(23)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브 투입구(23)는 절연부(24)를 통해 상기 투입구(12)에 연결되는데, 상기 절연부(24)는 탄성체(고무 등)로 제작되어 상기 투입구(12)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상의 절연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4)는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이 터브 투입구(23)를 통해 캐비닛(1)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수단이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25)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지지부(25)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캐비닛(1)에 고정하는 스프링,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상기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댐퍼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터브 바디(2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 바디(31)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 및 후방면 등에는 상기 드럼 바디 내부를 터브 바디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투입구(11)를 향하는 면(드럼의 전방면)에는 드럼 투입구(32)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구동부(33)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33)는 터브 바디(21)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33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위치된 로터(332),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터(332)와 드럼 바디(31)의 후방면을 연결하는 회전축(33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급수부(4)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급수부(4)는 상기 터브 바디(21)와 급수원(미도시)을 연결하는 급수관(41) 및 상기 급수관(41)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6)는 배수펌프(63), 상기 터브 바디(21)의 물을 상기 배수펌프(63)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61), 상기 배수펌프(6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6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 바디(21)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세제공급부(5)는 상기 급수관(41)을 통해 물이 터브로 공급될 때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21)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급수관(41)의 개방여부와 독립적으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전자의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세제공급부(5)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51),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5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5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51) 내부에는 배출유로(511)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바디(51)의 상부면에는 상기 급수관(41)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저장바디(51)에 공급하는 노즐(53)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52)은 공급관(54)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53)을 통해 상기 저장바디(51)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바디(51) 내부의 물과 세제는 상기 배출유로(511)를 통해 상기 하우징(52)으로 배출되고, 상기 하우징(52) 내부의 물과 세제는 상기 공급관(54)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로 이동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양(거품의 높이 등) 및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 가능한 센서(7, 정전용량센서, 또는 정전센서)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센서(7)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전방면(22), 및 후방면(26) 등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공간(물이 저장되지 않는 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센서(7)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두 전극 사이에 위치된 물질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두 전극 사이에 위치된 물질의 유전율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정전용량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7)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기 전방면(22), 및 상기 후방면(26) 중 어느 곳에나 고정될 수 있지만, 상기 드럼(3)의 고속회전 시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이 상기 터브 바디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터브의 전방면(22)과 후방면(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센서(7)는 거품이나 물이 상기 센서가 위치된 지점까지 상승할때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거품의 양이나 수위를 감지 가능한데, 물이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황에서는 상술한 기능의 구현이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바디(21)의 중심축(S1)이 지면에 평행한 원통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센서(7)는 상기 터브의 전방면(22)과 상기 터브의 후방면(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센서(7)가 상기 터브의 전방면(22)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터브 바디(21)의 중심축(S1)이 지면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원통으로 구비될 경우(상기 터브 투입구는 원통의 전방면에 구비), 상기 센서(7)는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영향을 적게 받는 상기 터브의 전방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터브 바디(21)의 중심축(S1)이 지면에 직교하는 원통으로 구비될 경우(터브 투입구는 터브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 상기 센서(7)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상기 터브 바디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7)가 거품의 높이를 감지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센서(7)는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거품이 기 설정된 기준높이(H)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높이(H)는 기 설정된 기준전력량의 전력을 상기 구동부(33)에 공급할 때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설정속도보다 10% 이상 낮아지는 거품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높이는 하나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센서(7)는 상기 기준높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정전용량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기준높이(H)는 상기 드럼(3)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된 다수의 기준수위(L)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높이(H1, H2, H3)로 설정되고, 상기 센서(7)는 상기 기준높이(H)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수위(L)는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 중 최하점이 잠기는 최소수위(L1), 상기 최소수위보다 높게 설정된 최고수위(L3), 및 상기 최소수위와 상기 최고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수위(L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최고수위(L3)는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S2)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높이(H)는 상기 최소수위(L1)와 상기 중간수위(L2) 사이에 위치하는 제1기준높이(H1), 상기 중간수위(L2)와 상기 최고수위(L3) 사이에 위치하는 제2기준높이(H2), 및 상기 최고수위(L3)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3기준높이(H3)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센서(7)는 상기 터브의 전방면(22)에 고정되어 상기 제1기준높이(H1)에 위치하는 제1센서(71), 상기 제2기준높이(H2)에 위치하는 제2센서(72), 및 상기 제3기준높이(H3)에 위치하는 제3센서(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기준수위(L)는 상기 최소수위(L1) 및 상기 중간수위(L2)로 설정되고, 상기 기준높이(H)는 상기 제1기준높이(H1) 및 상기 제2기준높이(H2)로 설정되며, 상기 센서(7)는 상기 제1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1센서(71) 및 상기 제2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2센서(72)만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수위(L)는 상기 최소수위(L1) 및 상기 최고수위(L3)로 설정되고, 상기 기준높이(H)는 상기 제1기준높이(H1) 및 상기 제3기준높이(H3)로 설정되며, 상기 센서(7)는 상기 제1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1센서(71) 및 상기 제3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3센서(73)만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센서(7)는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수위가 기준수위(L)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수위(L)는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최하점이 잠기는 수위로 설정된 최소수위(L1), 상기 최소수위보다 높고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S2)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최고수위(L3), 및 상기 최소수위와 상기 최고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수위(L2)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센서(71)는 상기 최소수위(L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터브의 전방면(22)에 고정되고, 상기 제2센서(72)는 상기 중간수위(L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3센서(73)는 상기 최고수위(L3)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기준수위(L)는 상기 최소수위(L1) 및 상기 중간수위(L2)로 설정되고, 상기 센서(7)는 상기 최소수위(L1)를 감지하는 제1센서(71) 및 상기 중간수위(L2)를 감지하는 제2센서(72)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준수위(L)는 상기 최소수위(L1) 및 상기 최고수위(L3)로 설정되고, 상기 센서(7)는 상기 최소수위(L1)를 감지하는 제1센서(71) 및 상기 최고수위(L3)를 감지하는 제3센서(73)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센서(7)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수위, 거품이 발생했는지 여부, 또는 거품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센서(7)가 하나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3)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포량감지단계(S10), 포량에 따라 상기 급수부(4)를 통해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S21), 상기 세제공급부(5)가 상기 터브(2)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S22), 상기 드럼(3)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단계(S30), 및 상기 세탁단계(S30)의 진행 중 상기 센서(7)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정전용량의 증가 여부, 및 정전용량의 증가가 지속된 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S40, 제1측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단계(S21)와 상기 세제공급단계(S22)는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고, 상기 급수단계(S21)에 의해 상기 세제공급단계(S22)가 실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세탁단계(S30)는 상기 드럼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정단계(S40)는 상기 세탁단계(S30)가 진행되는 계속 진행될 수도 있고, 상기 세탁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실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정전용량이 기준용량 이상이고(터브 바디 내부의 거품의 높이(h)가 기준높이(H)에 도달하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가 제1기준시간(T1) 이상 지속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세탁단계(S30)에 설정된 드럼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변경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변경단계(S42)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정전용량이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는,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거품의 높이(h)가 상기 기준높이(H)에 도달한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변경단계(S42)는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거품의 높이(h)가 상기 기준높이(H) 이상인 상태가 상기 제1기준시간(T1) 이상 지속된 경우에 개시된다.
상기 변경단계(S42)는 거품이 더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상기 변경단계(S42)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낮추거나,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 변경주기를 길게 변경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정전용량이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가 상기 제1기준시간(T1)보다 긴 제2기준시간(T2) 이상 지속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2)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중간배수단계(S43) 및 상기 중간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터브(2)로 물을 공급하는 재급수단계(S44)를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배수단계(S43)는 상기 배수부(6)를 통해 실행되고, 상기 재급수단계(S44)는 상기 급수부(4)를 통해 실행된다. 상기 중간배수단계(S43) 및 재급수단계(S44)는 상기 세탁단계(S30)를 일시적으로 중단한 후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거품이 일정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기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세탁단계(S30) 및 측정단계(S40)를 실행한다.
즉, 상기 측정단계(S40)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이 기준용량 미만이거나(터브 바디 내부의 거품이 기준높이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경우라도 그와 같은 상태의 지속시간(T)이 상기 제1기준시간(T1) 미만이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세탁단계(S30)를 진행한 시간이 상기 설정시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S45)한다.
상기 세탁단계(S30)가 상기 설정시간동안 실행된 것으로 판단되면(S45), 상기 제어방법은 관측모션 실행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S50)는 상기 드럼(3)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만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관측모션(텀블링 모션)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S50)의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센서(7)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정전용량의 증가 여부, 및 정전용량의 증가가 지속된 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S60, 제2측정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S50)의 진행 중 측정된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미만이거나,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경우라도 그와 같은 상태의 지속시간(T)이 기 설정된 제3기준시간(T3) 미만이면(S61), 상기 제어방법은 배수단계(S70), 탈수단계(S80), 및 헹굼단계(S90)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배수단계(S70)는 상기 배수부(6)가 상기 터브(2)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로 구비되고, 상기 탈수단계(S80)는 상기 드럼(3)을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헹굼단계(S90)는 상기 탈수단계(S80)의 완료 후,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드럼(3)을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의류에서 세제 및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S50)의 진행 중 측정된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가 지속된 시간(T)이 상기 제3기준시간(T3) 이상이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배수단계(S62) 및 헹굼단계(S90)만을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S50)에서 많은 거품이 감지되면, 상기 탈수단계(S80)의 진행 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탈수속도까지 높이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터브(2) 내부의 거품은 상기 구동부(33)의 부하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S50)에서 많은 양의 거품이 감지되면 상기 탈수단계(S80)의 실행 시 에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탈수단계(S80)를 생략한 채 상기 배수단계(S62) 및 상기 헹굼단계(S90)만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S50) 및 상기 제2측정단계(S60)까지의 과정, 및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S50)의 진행 중 측정된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미만이거나,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의 지속시간(T)이 상기 제3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실행되는 단계들(S70, S80, S90)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S50)의 진행 중 상기 센서(7)가 측정한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의 지속시간(T)이 상기 제3기준시간(T3) 이상이면, 상기 제어방법은 배수단계(S62), 거품제거단계(S63), 탈수단계(S80), 및 헹굼단계(S90)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배수단계(S62), 탈수단계(S80), 및 헹굼단계(S90)는 도 3의 제어방법에 구비된 배수단계, 탈수단계, 및 헹굼단계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품제거단계(S63)는 상기 급수부(4)가 상기 터브(2)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배수부(6)가 상기 터브(2)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과정을 동시에 실행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품제거단계(S63)를 통해 급수와 배수가 동시에 진행되면 상기 터브 내부의 거품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거품 때문에 상기 탈수단계(S80)의 실행 시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제어방법은 본 출원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구조 및 제어방법으로 한정될 수 없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2: 투입구 13: 도어 14: 컨트롤패널
2: 터브 21: 터브 바디 22: 터브 전방면
23: 터브 투입구 24: 절연부 25: 터브 지지부
26: 터브 후방면 3: 드럼 31: 드럼 바디
311: 드럼 관통홀 32: 드럼 투입구 33: 구동부
4: 급수부 41: 급수관 42: 급수밸브
5: 세제공급부 51: 저장바디 511: 배출유로
52: 하우징 53: 노즐 54: 공급관
6: 배수부 7: 센서

Claims (17)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바디,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및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높이 및 상기 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 가능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바디는 중심축이 지면에 평행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는 상기 원통의 전방면과 후방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바디는 내부가 비어있고 중심축이 지면에 직교하는 원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는 상기 원통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원주면 중 상기 터브 바디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바디는 내부가 비어있고 중심축이 지면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원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는 상기 원통의 전방면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전방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거품이 기 설정된 기준높이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높이는 기 설정된 기준전력량의 전력을 상기 구동부에 공급할 때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설정속도보다 10% 이상 낮아지는 거품의 높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높이는 상기 드럼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된 다수의 기준수위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높이로 설정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기준높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 최하점이 잠기는 수위로 설정된 최소수위, 상기 최소수위보다 높고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최고수위, 및 상기 최소수위와 상기 최고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수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높이는 상기 최소수위와 상기 중간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1기준높이, 상기 중간수위와 상기 최고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2기준높이, 및 상기 최고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3기준높이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1센서, 상기 제2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3기준높이에 위치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수위가 기준수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 최하점이 잠기는 수위로 설정된 최소수위, 상기 최소수위보다 높고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최고수위, 및 상기 최소수위와 상기 최고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수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최소수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제1센서, 상기 중간수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제2센서, 및 상기 최고수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제3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및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높이 및 상기 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 가능한 센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포량감지단계;
    포량에 따라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세제공급부가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단계;
    상기 세탁단계의 진행 중 상기 센서가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의 증가 여부, 및 정전용량의 증가가 지속된 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이 기준용량 이상이고(터브 바디 내부의 거품이 기준높이에 도달하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가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세탁단계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단계는 상기 드럼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이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가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세탁단계는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 변경 주기를 길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정전용량이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가 상기 제1기준시간보다 긴 제2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중간배수단계; 및
    상기 중간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재급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단계의 진행 중 실행되며,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만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관측모션 실행단계;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미만이거나,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의 유지시간이 기 설정된 제3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드럼을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및
    상기 탈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한 뒤 상기 드럼을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세제 및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헹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의 유지시간이 상기 제3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및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한 뒤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세제 및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헹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모션 실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이고, 상기 정전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상인 상태의 유지시간이 상기 제3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급수부가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과 배수부가 상기 터브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과정을 동시에 실행하는 거품제거단계; 및
    상기 거품제거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드럼을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20012212A 2022-01-27 2022-01-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15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212A KR20230115581A (ko) 2022-01-27 2022-01-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2/018290 WO2023146086A1 (ko) 2022-01-27 2022-11-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212A KR20230115581A (ko) 2022-01-27 2022-01-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581A true KR20230115581A (ko) 2023-08-03

Family

ID=8747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212A KR20230115581A (ko) 2022-01-27 2022-01-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5581A (ko)
WO (1) WO20231460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8283B2 (ja) * 2010-11-24 2014-10-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06968080A (zh) * 2016-01-14 2017-07-2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利用蒸汽进行衣物洗涤的方法
KR20170138882A (ko) * 2016-06-08 2017-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5920A (ko) *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센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210050779A (ko) * 2019-10-29 2021-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086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496B1 (ko) 세탁기 및 포량산출방법
EP2090686B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JP3030228B2 (ja) 遠心脱水装置
KR101287536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4580813B2 (ja) ドラム式洗濯機におけるアンバランス位置検知方法及びアンバランス位置検知可能なドラム式脱水機
KR101156713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15432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61962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641955B1 (ko) 세탁기
CN107949671B (zh) 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CN109863266A (zh) 洗衣机中的排水前不平衡检测
KR20100040172A (ko) 세탁기 및 그 탈수 제어방법
KR102491974B1 (ko)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368292B1 (ko) 드럼세탁기
KR2023011558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3650596B1 (en) Washing machine
KR2018008996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7361248B2 (ja) 洗濯機
JP4510789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751795B1 (ko) 드럼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
KR100802468B1 (ko) 세탁기의 볼 밸런서 파손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0347942B1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 방법
KR20080057709A (ko) 드럼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
KR100807248B1 (ko) 드럼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JP2005334565A (ja) ドラム式洗濯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