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882A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882A
KR20170138882A KR1020160071301A KR20160071301A KR20170138882A KR 20170138882 A KR20170138882 A KR 20170138882A KR 1020160071301 A KR1020160071301 A KR 1020160071301A KR 20160071301 A KR20160071301 A KR 20160071301A KR 20170138882 A KR20170138882 A KR 20170138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um
water
bubbles
curr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환
이준호
장성민
최기훈
원웅희
정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8882A/ko
Priority to AU2017203834A priority patent/AU2017203834B2/en
Priority to EP17175073.0A priority patent/EP3255198B1/en
Priority to EP19176906.6A priority patent/EP3553221B1/en
Priority to CN201710428121.XA priority patent/CN107475990A/zh
Priority to US15/617,808 priority patent/US10544532B2/en
Publication of KR20170138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882A/ko
Priority to AU2020200011A priority patent/AU2020200011B2/en
Priority to US16/746,182 priority patent/US1106677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0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1/00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Un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고,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상부면에 구비한 터브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탈수의 타킷 rpm으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모터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편심여부와 상기 터브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드럼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탈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과, 장치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탑 로딩 방식으로 구분되었다.
탑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는 상부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매우 적은 양의 의류만을 세탁하기 위해 부피를 최소화한 의류처리장치가 있는데, 부피를 최소화한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와 드럼 상단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의류의 세탁을 위해 드럼이 회전할 때 터브 내부에 발생된 이물질이 도어에 잔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터브의 높이가 터프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드럼의 회전으로 터브 내부에서 거품이 많이 발생하여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다음의 내용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탁 시 터브 내부에 발생된 이물질이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 시 터브에 저장된 물에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세척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브 및 드럼 내부에 발생하는 거품발생을 감지하고 거품발생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브의 상부면에 생성된 거품을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고,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상부면에 구비한 터브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탈수의 타킷 rpm으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모터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편심여부와 상기 터브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드럼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탈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터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편심여부와 상기 터브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는, 측정된 전류값의 진동폭이 기설정된 전류값의 진동폭 보다 작으면, 상기 터브 내부에서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물을 배수하고 물을 분사하는 것은 동시에 수행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는, 배수 또는 급수를 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브 내부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포함하며, 상기 본 탈수 전에 드럼을 소정 rpm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에서, 소정 rpm은 상기 터브 내부의 포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터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편심여부와 상기 터브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된 전류값이 기설정된 전류값이면 상기 드럼이 편심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정지하는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정지한 후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정지한 후 포풀림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 시 터브 내부에 발생된 이물질이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 시 터브에 저장된 물에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세척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브 및 드럼 내부에 발생하는 거품발생을 감지하고 거품발생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브의 상부면에 생성된 거품을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드로워, 터브 및 드럼의 결합관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세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세척 가이더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분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세탁행정에서 드럼의 회전속도 및 터브 내부의 수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세탁행정 중 거품발생을 감지하고, 거품발생을 방지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거품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탈수행정 중 거품발생을 감지하고, 거품발생을 방지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드럼의 회전속도와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나타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도어에 묻은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의 불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4),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5)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단순히 상기 드로워(3)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캐비닛(2)의 전방면에는 드로워(3)가 삽입되는 개방면(2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3)는 상기 개방면(21)을 통해 캐비닛(2)의 내부로 삽입되는 드로워 바디(31),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면(21)을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33),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하는 핸들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 및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상기 개방면(21)을 통해 캐비닛(2)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터브(4)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 형상의 드로워 바디(3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관통홀(351)과 제2관통홀(353)이 구비된다. 상기 제1관통홀(351)은 의류의 출입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홀(353)은 의류의 세탁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4)는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41),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43)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바디(4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411)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 바디(41)는 그 높이에 비해서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터브 바디(41)의 수직길이는 수평길이에 비해 더 크게 구비된다.
상기 터브 커버(43)는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를 상기 터브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431),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공급구(433)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 커버(43)는 상기 터브 바디(41)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어서, 투입구(431)를 통해서만 터브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한다.
상기 투입구(431)는 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제1관통홀(351)의 하부에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공급구(433)는 드로워 커버의 제2관통홀(353)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구(431)는 터브 바디(41) 내부로 의류를 공급하거나 터브 바디(41) 내부의 의류를 터브 바디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투입구(431)는 도어(45)에 의해 개폐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5)는 힌지(453)를 통해 상기 터브 커버(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45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윈도우(455), 상기 프레임(451)을 상기 터브 커버(4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어 핸들(4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된 경우, 사용자가 터브 바디(4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윈도우(455)는 투명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어(45)는 터브 커버(43)의 상부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투입구(431)를 개폐한다.
도어(45)의 타단에 구비된 후크(450)는 터브 커버(43)에 구비된 후크걸이(430)에 체결되어 도어(45)를 고정한다. 도어(45)가 닫힘으로써 터브(4)는 밀폐된다.
일반적인 탑로딩 세탁기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다른점은 일반적인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 터브의 상면이 개방되며, 터브의 내부가 캐비닛 내부와 연통하는데 반해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상부면이 폐쇄되며, 터브(4)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431)는 터브 커버(43)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45)에 의해 밀폐되어 터브(4)의 내부가 캐비닛의 내부공간과 연통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터브(4)의 내부공간은 밀폐된 공간으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터브(4)의 상부면이 밀폐된 이유는 터브(4)의 직경에 비하여 터브의 높이가 작게 구비되어 터브(4) 내부에서 드럼의 회전으로 거품이 많이 발생하고, 발생된 거품은 터브의 상부면을 통해서 외부로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터브의 상부면을 폐쇄하고 있다.
한편, 상기 투입구(431)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의 물이 터브 바디(4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451)과 상기 터브 커버(43)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도어(45)가 투입구(431)를 폐쇄한 때 프레임(451)과 투입구(431)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45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터브(4)는 터브지지부(6)를 통해 드로워 바디(31)에 결합하는데, 상기 터브지지부(6)는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61), 터브 바디(41)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63),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6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5)는 제1지지부(61)에 안착되는 제1연결부(651), 제2지지부(63)를 지지하는 제2연결부(653),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연결하는 바(bar, 6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651)는 상기 제1지지부(61) 내부에 안착하되 제1지지부(61)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653)는 상기 제2지지부(63)를 지지하되 제2지지부(63)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제1연결부(651) 및 제2연결부(653)가 구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각 지지부(61, 63)에 접촉되는 면이 반구 형상으로 구비된 연결부(651, 653)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655)는 상기 캐비닛(2)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캐비닛의 높이방향 Z에 나란하게 구비, 드로워의 바닥면에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터브지지부(6)가 터브 바디(41)를 드로워 바디(31)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655)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바(655)가 Z축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터브 커버(43)와 상기 드로워 커버(35)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터브지지부(6)는 상기 터브 바디(41)가 드로워 바디(31) 내부에서 진동하더라도 상기 터브 커버(43)가 드로워 커버(35)에 충돌할 가능성을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바(655)가 드로워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지지부(61)와 제2지지부(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드로워 바디(3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지지부(6)가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고, 제1지지부(61)와 제2지지부(63) 모두 드로워 바디(31)에서 분리될 수 없도록 구비되면, 상기 터브 바디(41)를 드로워 바디(31)에 고정하는 작업자는 제2지지부(63)가 제1지지부(61)에 간섭되지 않도록 드로워 바디(31)에 터브 바디(41)를 삽입한 뒤 제2지지부(63)가 제1지지부(61)를 통과하는 수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터브 바디(41)를 회전시켜야만 제1연결부(651)를 제1지지부(61)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런데, 터브지지부의 바(655)가 드로워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특징은 터브 바디(41)의 외주면과 드로워 바디(31)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S)을 최소화시켜 의류처리장치(1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면 상술한 과정을 통해 진행되는 제1연결부(651)와 제1지지부(61)의 조립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은 상기 제1지지부(61)가 드로워 바디(3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4)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5)은 상부에 개방면(53)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방면(53)은 상기 투입구(431)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투입구(431)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는 개방면(53)을 통해 드럼 바디(51)로 공급될 것이다.
한편, 상기 드럼 바디(51)의 바닥면(57)과 원주면(55)에는 드럼 바디(51) 내부를 터브 바디(41)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 관통홀(5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51)는 구동부(M, 모터)에 의해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M, 모터)는 터브 바디(41)의 외부에 위치하되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M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M2), 상기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57)과 로터(M3)를 연결하는 회전축(M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M3)은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부(7)를 통해 터브(4)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부(8)를 통해 터브(4)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7)는 터브 커버에 구비된 공급구(433)에 연결된 제1급수관(71),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급수원에 연결된 제2급수관(73), 상기 터브 커버(43)에 고정되어 상기 제1급수관과 제2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71)은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제2관통홀(353)을 통해 공급구(433)와 연결관(75)을 연결하며, 터브(4)의 진동 시 제1급수관(71)이 연결관(75)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고).
또한,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제2급수관(73)이 연결관(75)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2급수관(73) 역시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관(73)은 제어부(101)의 제어를 받는 급수밸브(77)에 의해 개폐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급수부(7)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급수원(미도시)과 상기 터브 커버에 구비된 공급구(433)를 연결하는 하나의 급수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관은 주름관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부(8)는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는 배수펌프(81),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의 물을 배수펌프(81)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83), 상기 배수펌프(81)에서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8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배수관(85)은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1)는 배수펌프(81)를 구동 제어하여 터브(4) 내부의 물을 제1배수관(83), 배수펌프(81), 제2배수관(85)를 통해서 외부로 배수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5)에 의류를 투입하고, 터브(4)에 물과 세제를 공급한 뒤 구동부를 통해 드럼(5)을 회전시킴으로써 의류를 세탁하게 된다.
상기 드럼(5)의 회전 시 터브(4) 내부에는 수류가 형성되기 때문에 의류의 세탁 중 세제가 용해되면서 발생된 거품이나 의류에서 배출된 오물은 세탁이 완료된 뒤 도어(45)나 드럼(5) 등에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
세탁이 완료되었음에도 도어(45)의 내측 표면이나 드럼 원주면 등에 거품이나 오물이 잔류하게 되면, 사용자는 의류의 세탁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착각하거나 의류처리장치(100)의 고장을 의심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도어(45)에 잔류하는 이물질(거품이나 오물 등)을 제거하는 세척부(91),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뿐아니라 드럼을 세척하는 분사부(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세척부(91)는 드럼(5)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45)를 세척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드럼(5)은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M3)이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므로 드럼(5)의 회전 시 터브(4) 내부의 물은 원심력에 의해 터브 바디(41)의 원주면을 따라 상승한 뒤 터브 커버(43)를 따라 투입구(431)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91)는 원심력에 의해 터브 커버(43) 방향으로 이동한 물을 도어(45)가 위치된 방향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도어(45)를 세척하는 수단이다.
도 4의 세척부(91)는 상기 터브 커버(43)에서 상기 드럼(5)의 상부면을 향해 돌출되는 차단벽(911), 상기 터브 커버(43)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차단벽(911)를 향해 연장되는 가이더(915), 상기 차단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더(915)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상기 도어(45)가 위치된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9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911)은 상기 투입구(431)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투입구(431)를 단속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차단벽이 투입구를 단속적으로 감싼다는 의미는 상기 투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차단벽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을 의미한다.
도 4 (b)는 상기 차단벽(911)이 투입구(431)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차단벽(911)은 투입구(431)의 가장자리에서 드럼(5)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45)가 터브 커버(43)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도어(45)의 내측 표면(물에 접촉하는 도어의 일면)이 배출부(913)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배출부(913)는 상기 도어(45)를 향해 물이 배출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도어(45)에 투명재질로 구비되는 윈도우(455)가 구비될 경우, 사용자는 윈도우(455)를 통해 이물질의 잔류 여부를 확인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 배출부(913)는 상기 윈도우(455)로 물이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더(915)는 상기 드럼(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터브 커버(43)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물을 상기 배출부(913)로 안내하는 제1가이더(915a), 상기 드럼(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터브 커버(43)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물을 상기 배출부(913)로 안내하는 제2가이더(915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913)가 상기 차단벽(911)을 관통하는 하나의 홀로 구비될 경우, 각 가이더(915a, 915b)는 동일한 배출부(913)로 물을 안내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출부(913)가 상기 차단벽(9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배출부(913a) 및 제2배출부(913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가이더(915a)는 제1배출부(913a)로 물을 안내하고 상기 제2가이더(915b)는 제2배출부(913b)로 물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더(915a)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방향은 상기 제2가이더(915b)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방향과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구비된 세척부(91)는 드럼(5)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원심력에 의해 터브 바디 내부의 물이 터브 커버까지 상승하는 회전수) 이상이기만 하면 드럼의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도어(45)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출부(913a)에서 배출되는 물의 궤적과 상기 제2배출부(913b)에서 배출되는 물의 궤적이 서로 교차 되도록 각 배출부(913a, 913b)는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세척부(91)의 세척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세척부(91)는 상기 투입구(4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세척부(91)는 상기 투입구(431)을 감싸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다수의 상기 세척부(91)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세척부(91)의 세척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도어(45)에 잔류하는 이물질은 도 5에 도시된 세척 가이더(456)를 통해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세척 가이더(456)는 윈도우(455)의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드럼의 회전 시 터브 내부의 물은 원심력에 의해 터브의 바닥면에서 프레임(451)의 가장자리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451)의 가장자리 주변을 회전할 수 있는데, 상기 윈도우(455)의 가장자리에 상기 세척 가이더(456)가 구비되어 있으면 프레임(451)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하는 물 중 일부를 윈도우(455)의 중심 방향으로 안내(W1, W2)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세척 가이더(456)를 통해 윈도우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세척영역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세척 가이더(456)는 상기 도어(45)의 대칭선(Q, symmetrical line)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세척 가이더(456a) 및 제2세척 가이더(456b)로 구비될 수 있다(도 5 (b) 참고).
본 발명은 세척부(91)와 세척 가이더(456)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세척부(91)와 세척 가이더(456)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상기 공급구(433)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드럼(5)에 분사하여 드럼의 내주면을 세척하거나 상기 드럼 내부에 발생된 거품을 제거하는 분사부(93)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93)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물을 분사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도 6의 분사부(93)는 상기 터브 커버(43)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공급구(433)를 감싸는 연장부(933), 상기 연장부(933)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구(433)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바디(931), 상기 연장부(93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933)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사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분사부(93)는 상기 분사구가 제1분사구(935) 제2분사구(937) 및 제3분사구(939)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각 분사구(935, 937, 939)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드럼의 원주면을 세척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분사구(935, 937, 93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의 원주면(55)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되고, 다수의 분사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드럼 내부에 발생된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분사구(935, 937, 939)에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바디(931)에는 상기 분사구(935, 937, 939)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바디(931)의 표면에서 제1분사구(935)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경사면(931a), 상기 바디의 표면에서 제2분사구(937)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경사면(931b), 상기 바디의 표면에서 상기 제3분사구(939)를 향해 상향 경사진 제3경사면(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들(931a, 931b) 때문에 상기 바디(931) 중심에서 각 분사구(935, 937, 939)를 향할수록 물이 이동하는 유로의 단면적은 좁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분사부(93)는 각 분사구(935, 937, 939)에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물을 멀리까지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상기 분사부(93)는 상기 드럼(5)의 회전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부(93)가 드럼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위치에 있으면 드럼의 가장자리에는 물을 분사할 수 있지만 분사부(93)의 하부에 위치된 드럼의 회전중심에는 물을 분사하기 어렵다.
상기 바디(931)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드럼의 회전중심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지만, 바디(931)에 관통홀을 구비시키면 각 분사구(935, 937, 939)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분사부(93)가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비되면 상기 분사부(93)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저하 없이도 드럼의 전영역에 물을 공급 가능하다.
드럼의 회전으로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하여 터브의 내부를 채우면 내부 압력이 높아져서 도어(45)가 열리거나, 거품의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도어(45)와 터브 커버(43) 사이로 거품이 누설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누설된 거품에 의해 모터 등의 전기를 사용하는 장치의 누전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세탁이 완료된 후에도 도어(45)의 내측면에 거품이 묻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세탁성능에 신뢰감을 줄 수 없고, 재세탁을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어(45)를 세척해야 하는 문제도 생긴다.
이하에서는 터브(4) 내부에서 발생하는 거품발생을 감지하고, 거품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탁행정(S100), 세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행정(S300), 세탁물에서 물을 짜내는 탈수행정(S500)을 포함할 수 있다.
탈수행정(S500)은 마지막 헹굼행정(S300) 이후에 세탁물에서 물을 탈수하는 최종 탈수행정(S500b)과, 마지막 헹굼행정(S300) 이전에 또는 세탁행정(S100) 이후에 세탁물로부터 물을 탈수하기 위한 일반 탈수행정(S500a)으로 이뤄질 수 있다.
세탁행정(S100) 이후에, 일반 탈수행정(S500a)과 헹굼행정(S300)은 선택된 세탁코스 또는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 다수회 수행될 수 있다.
세탁행정(S100) 또는 탈수행정(S500) 중 터브(4) 내부에 발생한 거품을 감지하고, 터브 커버(43)의 하부면 또는 도어(45)의 하부면에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세탁행정에서 드럼의 회전속도 및 터브 내부의 수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탁행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탁행정(S100)은 드럼(5) 내 세탁물을 세척하는 기계력과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정역방향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정역회전모션(S10)과, 터브(4)에 저장된 물이 터브(4)의 내주면을 타고 상승하고 하강하도록 일방향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일방향회전모션(S20)을 포함할 수 있다.
정역회전모션(S10)에서 드럼(5)은 일방향 및 반대방향으로 드럼의 최고속도를 제1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rpm으로 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터브 내부의 물은 찰랑거리며, 수위가 소정 구간에서 높아졌다가 낮아졌다가는 반복하며, 터브 내부의 최대 수위는 정역회전 수위주파수로 측정된다.
일방향회전모션(S20)에서 드럼(5)은 일방향으로 드럼의 회전속도가 제2rpm이 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드럼의 회전속도는 상승하여 제2rpm을 정점으로 다시 하강한다. 터브 내부의 물은 드럼의 회전력에 의해 터브(4)의 내주면을 타고 상승하고, 터브 커버(43) 까지 도달하되, 맞은편의 터브의 내주면을 타고 상승하는 물과 터브 커버(43)의 하측에서 서로 겹쳐지지 않는다. 이 경우, 터브 내부의 물의 최대 수위는 세탁행정에서 최고 높은 수위를 갖으며, 일방향모션 수위주파수로 측정된다.
일방향회전모션(S20)의해 회전시,터브 내부의 물은 터브 커버(43)의 하부면에서 접촉하되, 물의 자중에 의하여 드럼의 개방면(55)을 통해서 드럼 내부로 낙하한다. 다시 말해, 터브 내부의 물은 터브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하더라고 터브커버의 중심부근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하중에 의해 드럼의 내측으로 낙하하여 세탁물에 충격을 가하여 세탁효과를 향상시킨다.정역회전모션(S10)의 제1rpm은 일방향회전모션(S20)의 제2rpm 보다 크지만, 정역회전모션(S10)에서 터브 내부의 최고수위는 일방향회전모션(S20)에서 터브 내부의 최고수위보다 낮다. 왜냐하면, 일방향회전모션(S20)에서 드럼의 회전속도가 낮지만, 짧은 시간 동안 일방향으로만 드럼의 속도를 높여서 제2rpm에 도달하므로 터브 내부에서 큰 수류가 발생하여 터브 커버까지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정역회전모션(S10)은 드럼을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연속해서 교반해서 회전시키므로 큰 수류가 발생하지 못하고, 터브 내부의 물은 터브 커버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정역회전모션(S10)과 일방향회전모션(S20)은 교반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복수회의 일방향회전모션(S20) 후에 복수회의 정역회전모션(S10)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정역회전모션(S10) 사이에 일방향회전모션(S20)을 구비하는 이유는 세탁성능 향상의 이유뿐만 아니라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M)의 부하를 줄여주는 쿨링(Cooling)의 역할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세탁행정 중 거품발생을 감지하고, 거품발생을 방지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탁행정에서 거품발생의 감지 및 방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터브(4)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110),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에 기준수위(Ho)를 측정하는 단계(S120), 드럼(5)의 정역회전 후에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에 비교수위(Hn)를 측정하는 단계(S130), 터브(4)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S140, S15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행정(S100) 중 터브(4) 내부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감지하고 제거하여 거품에 의해 세탁이 이뤄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5)을 회전시키는 모터(M)의 부하를 감소시키며, 터브(4)의 투입구(431)에서 거품이 넘쳐서 터브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S110 단계에서, 터브(4)에 급수되는 물은 세제를 포함하며, 세탁을 위하여 건조된 포에 최초로 공급되는 세제와 혼합된 물을 말한다.
터브(4)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110) 이전에 드럼(5)에 저장된 세탁물의 양(이하 '건포량'이라함)을 감지하기 위한 단계(S105)를 포함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측정된 건포량에 따라서 S110 단계에서 터브(4)에 급수되는 수위가 결정된다.
한편, 터브(4)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110) 이후에 세탁물을 적시기 위한 포적심의 단계(S115)를 포함할 수 있다. S115 단계에서 드럼은 제3rpm으로 회전하여 포를 적신다. 포적심단계에서 제3rpm은 제1rpm 및 제2rpm 보다 작다. 또는 포적심 단계(S115)는 터브(4)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110)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에 기준수위(Ho)를 측정하는 단계(S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S120단계는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110)가 완료된 후에 수행된다.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이란 세탁행정(S100)에서 터브(4) 내부의 물이 찰랑거리지 않는 시점을 말한다. 예를 들면, 터브(4)로 물이 급수되고 소정시간 동안 대기한 시점이거나, 세탁행정(S100) 내에서 드럼의 모션이 바뀌는 시점을 말한다.
일 예로,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은 포적심의 단계가 수행된 후 일 수 있다. 이 경우, 포적심의 단계(S115)의 제1rpm은 터브(4) 내부의 물이 찰랑거리지 않을 정도의 저속의 rpm일 수 있다. 따라서, 포적심 단계가 완료된 직 후 터브(4)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수위(Ho)로 할 수 있다.
두 번째 예로, 본 발명은 터브(4)로 급수된 물의 수위가 안정화될 수 있도록 드럼을 회전시키기 않고 소정시간을 대기하는 단계(S117)를 포함할 수 있다. S117 단계는 기준수위(Ho)를 측정하는 단계 (S120) 이전에 구비되거나, 포적심 단계(S115) 이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급수 또는 포적심 후에 드럼의 회전하지 않는 휴지기를 두어, 터브(4) 내부의 물이 잔잔해 지도록 만들고, 휴지기의 끝시점을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으로 보아 터브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수위(Ho)로 할 수 있다.
세 번째 예로, 본 발명은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을 일방향회전모션(S20)이 수행되기 위하여 드럼을 회전시키기 바로 전의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일방향회전모션(S20) 동안 모터(M)는 소정시간 동안 최고속도 제2rpm으로 드럼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모터(M)는 스테이터(M1)와 로터(M2)의 각도를 재조정하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드럼(5)은 소정시간 동안 정지 또는 터브 내부의 물이 잔잔한 수위를 유지할 정도로 천천히 회전하게 된다. 이 시점에 터브의 기준수위(Ho)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터브(4)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거품 또는 물로 전자기파(초음파를 포함함.)를 발신하고, 거품 또는 물에서 반사된 전자기파를 송신하는 수위센서(1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로, 터브(4)의 내부의 수위를 직접 측정하는 경우, 수위센서는 터브(4)의 상측에서 구비되어, 터브(4) 내측의 수위를 측정한다.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한 경우, 수위센서에서 측정한 수위는 물의 상부에 구비된 거품의 높이를 포함한 수위를 말한다. 수위센서에서 측정한 수위주파수는 터브 내부의 수위와 반비례한다. 즉, 수위주파수가 높으면 터브 내부의 수위는 낮은 것이며, 수위주파수가 낮으면 터브 내부의 수위는 높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터브(4) 내부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경우, 수위센서(102)는 터브(4)와 나란하게 수직하게 구비된 수위파이프(102a)의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수위파이프(102a)는 터브(4)의 하측에 연결되며, 대기압하에서 터브(4)의 수위와 수위파이프(102a)의 수위는 동일하게 된다. 밀폐된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한 경우, 터브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고, 수위파이프(102a)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올라가게 된다. 즉, 수위파이프 내부의 수위가 올라가면 터브 내부의 물의 상부에 구비된 거품의 높이을 포함한 수위가 올라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수위센서에서 수위파이프(102a) 내부의 물을 측정한 수위주파수가 작게 측정되면, 수위파이프 내부의 수위는 크며, 터브 내부에서 거품의 높이를 포함한 수위는 올라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20 단계는 세탁행정(S100)의 정역회전모션(S10)이 수행되기 전에 측정된 수위로 이를 기준수위(Ho)라 한다. 기준수위(Ho)는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이 정역회전모션(S10) 이전에 여러 번 있다면, 해당 시점마다 수위를 측정하여 평균된 값을 말한다. 제어부(101)는 수위센서(102)에서 측정한 기준수위 값을 저장부(105)에 저장하고, 여러 번 기준수위 값이 측정된 경우라면,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수위 값을 평균한 값을 새로운 기준수위로 저장부(10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서는 정역회전모션(S10) 이전에 2 번의 일방향회전모션(S20)을 포함하고, 터브 내부의 수위를 2번 측정하여 이를 평균한 값을 기준수위(Ho)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드럼(5)의 정역회전 후에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에 비교수위(Hn)를 측정하는 단계(S130)를 설명한다.
다만,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은 드럼을 회전시키기 않고 소정시간을 대기한 시점 또는 일방향회전모션(S20)이 수행되기 위하여 드럼을 회전시키기 바로 전의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터브(4)에 저장된 수위가 안정화된 시점은 일방향회전모션(S20)과 정역회전모션(S10)이 교차되는 시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방향회전모션이 수행된 후 정역회전모션이 수행되기 전의 시점 또는 정역회전모션이 수행된 후 일방향회전모션이 수행되기 전의 시점을 말한다. 왜냐하면, 드럼의 모션이 교차되는 시점에서 모터는 스테이터에 대한 로터의 상대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로터를 재정렬해야 한다. 이 시점에서 터브 내부()의 물은 잔잔한 상태를 유지지 하기 때문이다.
S130 단계는 세탁행정(S100)의 정역회전모션(S10)이 수행된 후에 수위 안정화된 시점에서 측정된 수위로 이를 비교수위(Hn)라 한다.
한편, 터브(4)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S140, S150)는 터브(4)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40)과,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S15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4)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40)는 비교수위(Hn)에서 기준수위(Ho)를 비교하여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수위(Hn)에서 기준수위(Ho)의 차이를 저장부(105)에 저장된 기설정된 값과 비교한다. 앞서도 설명했지만, 비교수위(Hn)와 기준수위(Ho)에서 수위는 터브 내부에서 저장된 물의 높이에 물의 상부에 구비된 거품의 높이를 더한 수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비교수위(Hn)에서 기준수위(Ho)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크다면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설정된 값보다 작다면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하더라도 터브의 상부면까지 도달하지 않은 정도의 거품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비교수위(Hn)에서 기준수위(Ho)의 차이값은 양수가 나오는 경우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수위주파수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거품이 발생한 경우에 기준 주위주파수 보다 비교 수위주파수(Wn) 값은 작은 값이 검출되며, 기준 수위주파수(Wo)에서 비교 수위주파수(Wn)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주파수값 보다 크면 거품이 발생한 것을 판단하며, 본 발명에서 기설된 주파수값은 대략 0.3kHz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40단계를 통해서 거품이 터브 내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현시점이 세탁행정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세탁행정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비교수위(Hn)를 측정하여 거품발생의 감지(S140) 및 방지(S150)을 재수행한다. 세탁행정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란 현 시점에서부터 남은 세탁행정 내에 수위 안정화 시점이 다시 도래하는 경우로, 세탁행정 내에서 수행되지 않은 일방향회전모션과 정역회전모션이 많은 경우를 말한다.
S140단계를 통해서 거품이 터브 내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S150)를 수행한다.
S150 단계는 세탁행정(S100)에서 터브 내부의 물이 터브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여 터브의 상부면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rpm으로 드럼을 회전시킨다. 세탁행정(S100)은 정역회전모션(S10)과 일방향회전모션(S20)의 조합으로 이뤄지는데, 일방향회전모션(S20)이 수행되는 구간에서 드럼의 최고 회전속도를 제2rpm 보다 낮은 제4rpm으로 제한한다. 따라서, 일방향회전모션(S20)으로 더 발생하는 거품의 발생을 방지한다. 제4rpm은 제3rpm보다 작은 속도로 구비되며, 대략 40rpm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거품발생을 방지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거품발생 방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S150 단계는 터브 내부에서 물을 배수하는 단계(S200)와, 터브(4)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210)와,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S150 단계는 터브에서 물을 배수 또는 급수하지 않고 대기하는 단계(S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4)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210)는 분사부(93)를 통해서 드럼의 상부면에 물을 분사한다. 그러므로 물을 직접 거품에 분사하여 거품을 제거하고, 터브의 하측에 구비된 배수부를 통해서 물이 배수된다.
이 경우 배수하는 단계(S200)와 물을 급수하는 단계(S210)는 소정 시간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S200)와 분사(S210)가 동시에 수행되거나, 배수(S200), 분사(S210) 및 회전(S220)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소정시간 동안 급수(S200)와 배수(S210)가 수행된 후에, 제1소정시간 보다 짧은 제2소정시간 동안 배수(S210)가 수행된 후, 제2소정시간과 동일한 제3소정시간 동안 대기(S230)가 수행되는 샤워린스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S150 단계는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S200)와, 세탁물의 헹굼수위까지 터브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단계(S200)와,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S200)를 통해서 세탁을 위해서 터브에 저장되어 있던 물을 배수한다. 그리고 분사부(93)를 통해서 물을 터브 및 드럼으로 분사하여 거품을 일단제거하고, 세탁물이 잠길 수 잇는 헹굼수위까지 물을 급수한다. 이로써, 드럼 내부에 세탁물은 충분히 물에 잠기게 되고 거품을 대부분 제거된다.
터브 내부에 헹굼수위까지 물이 저장된 경우에 드럼을 헹굼을 위한 rpm으로 저속으로 회전하여 거품을 제거할 수도 있다(S220). 이후에 터브 내부에서 물을 배수하는 단계(S200)을 다시 수행한다. 이러한 거품발생의 방지방법을 딥린스하는 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S150 단계를 샤워린스하는 단계와 딥린스하는 단계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샤워린스를 2번 수행하고, 이후에 딥린스를 1회 수행하고, 이 후에 샤워린스를 1번 수행하여, 터브 내부에서 거품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탈수행정 중 거품발생을 감지하고, 거품발생을 방지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탈수행정에서 거품발생의 감지 및 방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탈수행정(500)에 관한 내용은 일반 탈수행정(S500a) 및 최종 탈수행정(S500b)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차이점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탈수를 위한 타킷 rpm으로 드럼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S530)와, 모터(M)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편심여부와 터브(4)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드럼 내부에서 발생하는 편심의 유무를 판단하였지만, 터브 및 드럼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는 경우, 종래의 제어방법으로는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드럼에서 편심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측정된 전류값으로 편심여부 뿐만 아니라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참고로, 드럼에 발생한 편심이란 세탁물이 드럼의 내부의 일측에 몰려서 드럼의 질량분포가 불균형 상태를 말하며,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드럼의 회전으로 소음과 진동을 발생한다.
탈수를 위한 타킷 rpm으로 드럼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S530) 에서, 드럼 내 세탁물에 흡수된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럼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은 원심력에 의해 드럼의 내주면에 달라붙으며, 드럼의 관통홀을 통해서는 물은 터브 측으로 빠져나간다.
S530단계에서, 드럼의 회전의 회전과 동시에 배수부(8)에서는 물을 배수한다. 따라서, 드럼의 고속회전으로 세탁물에서 빠져나온 물이 터브에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S530단계 이전에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단계(S510)가 구비될 수 있다.
탈수행정(S500)은 세탁행정(S100) 또는 헹굼행정(S300)이후에 수행된다. 어느 경우에나 터브 내부에 세탁수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탈수를 위한 타킷 rpm으로 회전시키기 전에 터브에서 물을 배수하는 단계(S510)을 수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물을 배수하는 단계(S510)와, 드럼을 타킷 rpm으로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S530) 사이에는 드럼 내부에서 적혀진 세탁물의 포량(이하 “습포량”이라 함)을 감지하기 위한 단계(S51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된 습포량에 따라서 탈수를 위한 타킷 rpm을 설정한다.
도 12는 드럼의 회전속도와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나타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모터(M)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S540), 편심여부(S550)와 터브(4)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S570)를 판단하는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럼(5)은 모터(M)에 구비된 회전축(M3)에 연결되며, 회전축(M3)은 로터(M2)에 연결되고, 로터(M2)는 터브(4)의 후방면에 고정된 스테이터(M1)에서 발생한 자계에 의해 회전한다. 스테이터(M1)에 공급된 전류값에 따라 드럼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스테이터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전류감지부(103)는 측정할 수 있다.
전류감지부(103)는 스테이터(M1)에 구비되거나, 스테이터(M1)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참조)
도 12를 참조하면, 대문자 RPM은 현재 드럼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며, I-pass는 드럼에서 편심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측정된 전류값을 나타낸다. 정지한 드럼(5)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정지마찰력을 극복하고 회전하기 위하여 모터에는 많은 양의 전류값이 공급되어야 하며, 드럼의 회전속도가 소정의 제4rpm을 통과하면 드럼은 등각속도운동을 하므로 일정한 토크만 공급해줘도 드럼의 회전속도는 상승하므로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은 급격히 감소하고, 적은 양의 전류값만 공급하여도 드럼의 회전속도는 타킷 rpm까지 증가한다.
이는 제어부(101)에서 홀센서(104)와 모터(M)의 피드백 제어를 하지 때문이다. 홀센서(104)는 터브의 하부면 또는 스테이터(M1)에 구비되며, 회전하는 로터(M2)에 구비된 자석을 감지하여 드럼의 회전속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1)는 드럼을 특정 rpm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소정 전류값을 모터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홀센서(104)를 통해서 감지된 드럼의 rpm이 특정 rpm에 도달하지 못하면,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류값보다 더 큰 전류값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스테이터(M1)에 공급된 전류가 커지면 생성된 자기장도 커지고, 로터(M2)의 회전속도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홀센서(104)를 통해서 감지된 드럼(5)의 회전속도가 빠르다고 판단되며, 제어부(101)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감소시켜서 드럼(5)의 회전속도가 늦춰지게 한다.
드럼 내부에 편심이 발생하거나, 터브 및 드럼에 거품이 발생한 경우에 모터에 공급된 순간 전류의 값은 커지게 된다.
드럼 내부에 편심이 발생한 경우에는 드럼의 질량분포가 일정하지 않다. 드럼의 무거운 측에서는 토크가 크므로 홀센서(104)는 드럼의 회전속도가 순간적으로 높게 판단하고, 제어부(101)는 모터(M)에 전류값을 낮게 공급한다. 반대로, 드럼의 가벼운 측에서는 토크가 작으므로 홀센서(104)는 드럼의 회전속도가 순간적으로 낮게 판단하고, 제어부(101)는 모터(M)에 전류값을 높게 공급한다. 그러므로, 모터(M)에 공급된 전류값이 높게 측정되는 경우 측정된 순간 전류값이 높게 나타난다. 즉,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 측정된 전류값의 진동폭이 크게 나타난다. 도 12에서 드럼에서 편심이 발생한 경우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은 I-UB(Unbalance)로 나타난다.
한편, 터브 및 드럼에 거품이 발생한 경우에 터브 내에서 드럼이 빠르게 회전하면, 터브와 드럼 사이에 발생하는 드럼이 드럼의 회전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으로 작용한다. 거품은 드럼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골고루 생성되므로 드럼의 전면에 일정한 거품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며, 드럼의 질량분포는 일정하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속도가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거품의 양이 많아 질수록 거품의 마찰력이 커지고, 홀센서(104)에서 감지한 드럼의 회전속도는 줄어드므로, 제어부(101)는 모터에 점점 많은 전류값을 공급하여야 한다. 도 12에서 드럼에 거품이 발생한 경우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은 I-BU(Bubble)로 나타난다.
모터(M)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S540), 편심여부와 터브(4)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타킷 rpm으로 드럼을 회전시켜서 탈수를 진행하는 단계(S590)를 구비한다.
드럼에 편심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는 모터에서 측정한 전류값이 기설정된 전류값(Io)에 도달하면 드럼이 편심된 것으로 판단하며, 드럼의 회전을 정지하여 탈수를 정지한다(S560).
이후에는 탈수행정(S500)이 일반 탈수행정(S500a)인 경우에는 헹굼행정(S300)을 진행한다. 즉, 급수단계를 진행한다. 만약, 탈수행정(S500)이 최종 탈수행정(S500b)인 경우에는 드럼의 일측에 모여있는 세탁물을 풀어주기 위하여 포풀림행정을 수행하여 준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전류값(Io)에 도달한 모터에서 측정한 전류값이 편심에 의한 것인지, 거품에 의한 것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상기 모터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편심여부와 상기 터브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S570),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S5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S570),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S580)는 측정된 전류값의 진동폭과 기설정된 전류값의 진동폭(ΔIo)과 비교하여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된 전류값의 진동폭이 기설정된 전류값의 진동폭(ΔIo) 보다 크면 편심상태로 판단하고, 작으면 거품발생 상태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12와 같이, 드럼에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를 보면 측정된 전류값의 진동폭(ΔI-UB)이 기설정된 전류값의 진동폭(ΔIo )보다 크게 측정된다. 드럼의 편심시 측정된 전류값의 진동폭(ΔI-UB)은 기설정된 전류값(Io)에 측정된 전류값이 도달하기 전의 저점과의 높이차로 볼 수 있고, 하나 또는 다수개의 주기의 진동폭의 평균으로 볼 수 있다.
반대로, 드럼에 거품이 발생된 경우를 보면 측정된 전류값의 진동폭(ΔI-BU)가 기설정된 전류값의 진동폭(ΔIo )보다 작게 측정된다.
한편,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S580)는 세탁행정(S100)에서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S150)에서 설명한 내용을 그대로 적용 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도어에 묻은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도어에 묻은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수를 저장하고,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431)를 상부면에 구비된 터브(4)와, 투입구(431)를 개폐하는 도어(45)와, 터브(4)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5)을 포함함을 앞서 설명하였다.
터브(4) 및 드럼(5)은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낮게 구비되므로, 드럼(5)이 회전하는 경우 터브(4)에서 상승/하강하는 수류는 터브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횟수가 많아지고, 그로 인해 거품이 많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와 달리, 터브(4)의 상부면을 폐쇄하여 터브(4)가 밀폐되도록 구비된다.
세탁행정(S100) 또는 탈수행정(S500)에서 발생한 거품이 터브(4)의 상부면 또는 도어(45)에 묻은 상태에서 세탁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세탁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다시 세탁을 하여 시간 및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터브(4)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320)와, 터브(4) 내부의 세탁수가 터브(4)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한 후에 터브(4) 상부면의 중심에 도달할 수 있도록 드럼(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34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터브(4)의 상부면에 거품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터브(4)의 바닥면에서 상승한 수류에 의해 터브(4)의 상부면 전체를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45)에 생성된 거품을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4)의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터브(4)에 저장된 물을 터브(4)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하도록 드럼(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터브(4)의 저장된 물은 터브(4)의 내측면의 상측에 도달할 뿐, 본 발명과 같이 터브(4)의 상부면 중심까지 수류가 도달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터브(4)의 상부면을 폐쇄하므로 터브(4)에 저장된 물이 터브(4)의 상부면까지 도달할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한편, 터브(4)에 물을 급수하기 전에, 드럼(5)의 부하를 감지하는 단계(S31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5)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여 이후 터브에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드럼(5)의 부하를 감지하는 단계(S310) 이전에는 터브(4)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 및/또는 세탁물에서 물을 빼내기 위하여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탈수를 한다. 따라서, 드럼(5)의 부하를 감지하는 단계(S310)에서 감지하는 드럼(5)의 부하는 드럼 자체의 무게와 탈수된 세탁물의 무게의 합을 말한다.
터브(4)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320)에서 터브(4)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는 세탁코스 또는 감지된 드럼의 부하에 따라 결정된다.
일 예로, 터브(4)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드럼의 부하에 반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과 같이 터브의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낮게 구비됨으로서, 터브(4)에 채워질 수 있는 최대의 수위에 한계가 정해진 경우에 의미가 있다. 즉, 터브(4)에 급수가 완료된 시점에 터브(4)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급수되는 물의 양을 많게 하고,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적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한 후에 상기 드럼의 개방면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낙하도록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이 세탁행정에서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한 후에 상기 터브 상부면의 중심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340)는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한 후에 상기 드럼의 개방면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낙하도록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이 수행된 경우에 수행할 수 있다. 즉, S340 단계는 S330 단계에서 일방향회전모션이 이전에 수행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한 후에 상기 드럼의 개방면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낙하도록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은 일방향회전모션(S20)으로 정의하며, 일방향회전모션(S20)은 세탁행정(S100)에서 정역회전모션(S10)과 함께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일방향회전모션(S20)을 수행하면, 터브(4) 내부의 물이 순간적으로 터브(4)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하여 터브(4)의 상부면 둘레 도달하고, 낙하하는 물은 드럼의 상측 개방면(53)을 통과하여 세탁물에 낙하한다.
특히 세탁행정 중에 일방향회전모션(S20)이 수행되면, 상승하고 낙하하는 물에 의해 터브(4) 내부에 거품이 많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한 거품은 터브(4)의 상부면 또는 도어(45)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일방향회전모션(S20)이 수행된 경우에 S340 단계,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한 후에 상기 터브 상부면의 중심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를 수행하여 터브의 상부면 또는 도어에 묻은 거품을 제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터브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측정한 수위주파수가 기설정된 수위주파수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회전 감속 단계(S350)는 S340 단계가 시간된 후에 또는 S340단계 중에 구비될 수 있다.
측정한 수위주파수가 저장부(105)에 저장된 기설정된 수위주파수보다 작은 경우, 터브(4) 내부의 수위가 증가하였고, 터브 내부의 압력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설정된 수위주파수란 터브(4) 내부에서 수위가 높아져서 또는 내부 압력이 높아져서, 터브(4)의 투입구(431)를 폐쇄하는 도어(45)를 개방시키거나 도어와 터브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수위주파수의 임계값 또는 임계값보다 작은 값이다.
다시 말해, 측정한 수위주파수가 기설정된 수위주파수보다 낮아지면 바로 또는 수초 이내에 도어(45)가 개방되거나 물이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S350 단계에서 측정한 수위주파수가 기설정된 수위주파수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바로 드럼의 회전속도를 줄여서 터브 내부의 수위를 낮추고 내부압력을 낮춘다(S360).
한편,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한 후에 상기 터브 상부면의 중심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340)에서 상기 드럼의 부하가 있는 경우 보다 무부하인 경우에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높게 구비한다.
왜냐하면, 드럼 내부에 세탁물이 없는 무부하 조건의 경우에는 세탁물 없이 물로만 수류를 만들어 터브의 바닥면에서 상부면까지 상승해야 하므로 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장 빠르게 해야 하는데 반해, 세탁물이 있는 부하 조건에서는 드럼 내부에 세탁물이 물을 밀어내어 드럼이 무부하 조건에 상대적으로 작은 rpm으로 회전하더라도 터브(4)의 바닥면에서 상부면까지 수류가 도달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한 후에 상기 터브 상부면의 중심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340)에서 상기 드럼의 부하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의 부하가 커질수록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커진다.
이는 드럼의 부하가 커질수록 드럼 내부에 세탁물 및 터브에 저장된 물의 양이 많으므로 많은 양의 세탁물 또는 물을 터브의 상부면까지 도달하도록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더 큰 rpm으로 드럼을 회전시켜야 한다.
드럼의 부하가 동일한 조건에서도 터브의 내부의 수위가 높을수록 또는 세탁물에 비하여 저장된 물의 양이 많을수록 드럼의 회전속도가 줄어도 터브의 상부면의 중심에 도달하는 수류를 만들 수 있다.
한편, 터브(4)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320)와, 터브(4) 내부의 세탁수가 터브(4)의 내측면을 타고 상승한 후에 터브(4) 상부면의 중심에 도달할 수 있도록 드럼(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340)는 헹굼행정(S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세탁물을 헹구기 위하여 급수단계를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므로 급수단계 이후에 S340단계를 수행하여 세탁물의 헹굼과 동시에 터브의 상부면을 세척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잇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2: 캐비닛 21: 개방면
3: 드로워 31: 드로워 바디 33: 드로워 패널
35: 드로워 커버 351: 제1관통홀 353: 제2관통홀
4: 터브 41: 터브 바디 43: 터브 커버
431: 투입구 433: 공급구 45: 도어
451: 프레임 453: 힌지 455: 윈도우
457: 도어 핸들 459: 실링부 5: 드럼
51: 드럼 바디 53: 개방면 6: 터브지지부
61: 제1지지부 63: 제2지지부 65: 연결부
7: 급수부 8: 배수부 91: 세척부
911: 차단벽 913: 배출구 913a: 제1배출부
913b: 제2배출부 915: 가이더 915a: 제1가이더
915b: 제2가이더

Claims (9)

  1. 세탁수를 저장하고,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상부면에 구비한 터브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탈수의 타킷 rpm으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모터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편심여부와 상기 터브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드럼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탈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모터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편심여부와 상기 터브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는,
    측정된 전류값의 진동폭이 기설정된 전류값의 진동폭 보다 작으면, 상기 터브 내부에서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물을 배수하고 물을 분사하는 것은 동시에 수행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는,
    배수 또는 급수를 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터브 내부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포함하며,
    상기 본 탈수 전에 드럼을 소정 rpm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에서,
    소정 rpm은 상기 터브 내부의 포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모터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편심여부와 상기 터브 내부에서 거품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된 전류값이 기설정된 전류값이면 상기 드럼이 편심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정지하는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정지한 후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정지한 후 포풀림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71301A 2016-06-08 2016-06-0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8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301A KR20170138882A (ko) 2016-06-08 2016-06-0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2017203834A AU2017203834B2 (en) 2016-06-08 2017-06-07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7175073.0A EP3255198B1 (en) 2016-06-08 2017-06-08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9176906.6A EP3553221B1 (en) 2016-06-08 2017-06-08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710428121.XA CN107475990A (zh) 2016-06-08 2017-06-08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15/617,808 US10544532B2 (en) 2016-06-08 2017-06-08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U2020200011A AU2020200011B2 (en) 2016-06-08 2020-01-0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746,182 US11066770B2 (en) 2016-06-08 2020-01-17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301A KR20170138882A (ko) 2016-06-08 2016-06-0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882A true KR20170138882A (ko) 2017-12-18

Family

ID=6092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301A KR20170138882A (ko) 2016-06-08 2016-06-0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88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9047A (zh) * 2019-10-24 2021-04-2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抽屉式衣物处理装置及复合洗衣机
WO2023146086A1 (ko) * 2022-01-27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9047A (zh) * 2019-10-24 2021-04-2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抽屉式衣物处理装置及复合洗衣机
CN112709047B (zh) * 2019-10-24 2023-12-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抽屉式衣物处理装置及复合洗衣机
WO2023146086A1 (ko) * 2022-01-27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658B1 (ko) 드럼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19618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06118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EP355322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49366A (ko) 세탁기
KR20150121581A (ko) 세탁방법
KR10252279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KR102206465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128003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365487B1 (en) Washing machine
KR20110009926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8007233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018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708265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70138882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921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133286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170138883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8881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7000450A (ja) 洗濯機
KR10253719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CN110741118B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1123080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413329B1 (ko) 의류처리장치
TWI660089B (zh)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