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818A -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818A
KR20210058818A KR1020217005236A KR20217005236A KR20210058818A KR 20210058818 A KR20210058818 A KR 20210058818A KR 1020217005236 A KR1020217005236 A KR 1020217005236A KR 20217005236 A KR20217005236 A KR 20217005236A KR 20210058818 A KR20210058818 A KR 20210058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rail
combined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장
린즈 리
씨우강 리
멍원 장
Original Assignee
선전 웨일하우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웨일하우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웨일하우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8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64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23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26Gantry-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fixed commissioning areas remote from the storage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0Modula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및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200)는 하나로 조합되어 조합 저장 영역을 형성하고, 조합 저장 영역 내에는 레일 어셈블리(206), 인출 로봇(208) 및 다수의 재료 상자(210)가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의 내부 공간은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200)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내에는 레일 스위칭 장치가 설치되며, 레일 스위칭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200) 내의 인출 로봇(208)이 인출 로봇이 위치한 현재 운행 레일로부터 목표 운행 레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컨테이너(204)의 내부 공간은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입출고 컨테이너(204) 내에는 입출고 장치가 설치되어 화물의 입출고 조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본 발명은 물류 창고 보관 기술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재료 상자 캐치 수단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물류 저장 창고 또는 창고는 진열대를 대량으로 사용하게 된다. 기존의 진열대는 대부분 롤러를 구비하는 이동식 진열대이고, 이동식 진열대는 레일에 설치되며, 진열대는 구동 장치를 통해 레일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화물을 수송한다.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진열대는 다층으로 형성되고 각층 상면에는 화물이 놓여진다. 진열대에는 화물이 적재되기에 진열대의 이동은 많은 전력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고, 어느 하나의 진열대에 대해 분류, 로딩, 언로딩 등 동작을 진행하면 전반 진열대 시스템 전체가 가동 및 운동하여 에너지원 소모가 높으며, 특히 효과가 없는 전력 에너지 소모가 크고 전력 에너지 이용률이 낮다. 각각의 이동 진열대는 종종 무게가 수백키로에 달하고, 이동 진열대는 전반 이동 과정에서 서로 충돌 등 에너지 소모가 크며, 레일 및 제동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다. 기존의 진열대 순환 운동 체계에서, 흔히 보는 진열대의 방향 변환 설계는 레일 회로 설계이고, 즉 진열대 레일은 상대적으로 큰 코너링 반경을 구비하고 진열대는 상기 코너링 레일에서 방향 변환 순환을 진행한다. 현재의 진열대 레일 스위칭 설계에서, 가로 이동 장치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즉 레일 양단에 가로 이동 레일을 설계하고, 가로 이동 레일에 진열대 전달 장치가 설치되며, 진열대는 전달 장치를 통해 다른 하나의 레일에 옮겨진다. 진열대는 다층 구조이고 아주 큰 중량을 구비하기에, 전달 장치에 들어간 후 전달 장치는 큰 공률로 끌어가야 한다. 이런 구조는 전달 장치의 하중 견딤 강도, 항충격 강도 및 공률에 대해 모두 높은 요구가 있다. 이런 류의 특허는 중국 특허 출원번호 201610955227.0, 발명의 명칭이 자동 밀집 창고 보관 장치, 공개일자는 2017년 2월 8일인 특허 문헌이 있고, 이는 레일에 진열대를 놓는 창고 보관 시스템을 공개하였다. 이런 류의 진열대 창고 보관 시스템은 화물 적치 높이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적용될 수 있으나, 높이가 높을 경우 적치된 화물이 너무 높아 운동 과정에서 안전하지 못하고 무효 운반 에너지 소모가 너무 크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된 진열대 시스템은 이동 가능 판매 시스템에도 응용될 수 없고, 예를 들면 전시회에 임시로 설치된 소형 판매용 카트에 응용될 수 없다. 기존의 소형 판매용 카트는 일반적으로 모두 사람이 조작하고 자동 창고 보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를 보기 아주 드물다.
이밖에, 현재의 자동 창고 보관 현장은 설치가 복잡하고 기술 요구가 높다. 또한 일단 설치가 끝난 후 확장 또는 축소가 어렵고 현재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새로운 자동 창고 보관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동식 판매 시스템도 자동 창고 보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현장 설치가 쉽고 필요한 창고 용량에 부합되게 구축이 편리한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는 원가가 낮고 고정이 편리하며 기초 시설 건립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자동화 창고의 빠른 배치 및 이동 안배를 실현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문이 제공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는 창고 보관 영역을 구비하고 출고단을 정의하는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상기 창고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재료 상자;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의 출고단에 위치하는 출고 스테이지;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장착되고 상기 재료 상자 상방에 위치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재료 상자 상방에 위치하며, 주문 상품이 위치한 재료 상자를 상기 창고 보관 영역으로부터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운반하는 인출 로봇을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문이 제공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은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 적어도 하나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및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하나로 조합되어 조합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내에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인출 로봇 및 상기 인출 로봇 하방에 위치하는 다수의 재료 상자가 설치되고, 상기 재료 상자는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출 로봇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서 왕복 운행을 하여 상기 재료 상자에 대해 인입 및 인출 조작을 진행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에는 레일 스위칭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레일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 내의 인출 로봇이 상기 인출 로봇이 위치한 현재 운행 레일로부터 목표 운행 레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 내에는 입출고 장치가 설치되어 화물의 입출고 조작을 수행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문이 제공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은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조합하여 조합 저장 영역을 형성하고,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정의하며, 조합 후의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는 한층 또는 다층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각각의 층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평행 배열되고 조합되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내에는 인출 로봇이 운행되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은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를 조합하기 전에 이미 다수의 상기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는 단계;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각각의 층의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가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일단에 설치하여,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공간이 같은 층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 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과도 레일이 같은 층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 내의 레일과 수직되도록 하며, 상기 과도 레일은 레일 스위칭 로봇이 왕복 운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과도 레일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의 상기 단에 설치하기 전에 이미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문이 제공하는 재료 상자 캐치 수단은 재료 상자를 캐치하고, 승강 가능한 손잡이 플랫폼 및 상기 손잡이 플랫폼에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재료 상자의 프레임을 캐치하기 위한 것이고, 정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수단은 상기 손잡이 플랫폼의 구석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정렬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정렬 부재는 수직되게 아래를 향해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밖으로 연장되는 정렬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재료 상자 캐치 수단이 이미 상기 재료 상자를 캐치했을 경우, 모든 정렬 부재의 수직 연장부는 모두 상기 재료 상자의 프레임 외면에 바짝 붙고, 상기 정렬 경사면은 모두 상기 재료 상자의 저부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정렬 경사면은 캐치된 상기 재료 상자와 하나의 하방의 제2 재료 상자가 수직 방향에서 편차가 있을 경우, 상기 정렬 경사면과 상기 제2 재료 상자의 프레임의 윗쪽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문이 제공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은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 및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하나로 조합되어 조합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내에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인출 로봇 및 상기 인출 로봇 하방에 위치하는 다수의 재료 상자가 설치되고, 상기 재료 상자는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출 로봇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서 왕복 운행을 하여 상기 재료 상자에 대해 인입 및 인출 조작을 진행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의 판체에 고정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 내에는 입출고 장치가 설치되어 화물의 입출고 조작을 수행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상기 조합 저장 영역과 연통되어 상기 인출 로봇이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및 상기 입출고 장치 사이에서 재료 상자를 운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공개된 여러가지 과제의 해결 수단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는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다수의 재료 상자, 출고 스테이지, 레일 어셈블리, 인출 로봇 및 분류 선택 로봇을 포함한다.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는 창고 보관 영역을 구비하고 출고단을 정의한다. 다수의 재료 상자는 상기 창고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각각의 재료 상자는 상품을 수용한다. 출고 스테이지는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의 출고단에 위치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장착되고 상기 재료 상자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인출 로봇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재료 상자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인출 로봇은 주문 상품이 위치한 재료 상자를 상기 창고 보관 영역으로부터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운반한다. 상기 분류 선택 로봇은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위치하고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가까이 설치되며, 상기 분류 선택 로봇은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위치한 재료 상자로부터 상기 주문 상품을 분류 선택한다. 상기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는 자동 판매용 카트 또는 전시용 카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대다수 소자가 모두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어 전반 창고 보관 시스템의 이동 가능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를 제외하고, 인출 로봇의 캐치 수단의 정렬 수단의 설치는 수직 방향에서의 정확한 정렬을 실현하고, 인출 로봇에 비용이 높은 위치 검출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에 원가를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가능한 분류 선택 로봇의 설계는 머니퓰레이터의 길이를 증가하지 않고 분류 선택 조작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은 저장 컨테이너,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및 입출고 컨테이너 중 하나 또는 다수를 포함한다. 창고 용량에 부합되게 구축이 편리한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은 원가가 낮고 고정이 편리하며 기초 시설 건립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자동화 창고의 빠른 배치 및 이동 안배를 실현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은 형식 표준화, 모듈화 컨테이너를 통해 표준화 컨테이너를 설정된 방식으로 적치 및 조합하고, 표준화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본체를 각각 탈착 가능하거나 뒤집기 가능한 측판으로 형성하여, 컨테이너의 적치 조합 과정에서 서로 인접한 측판의 탈착 또는 뒤집기 후 연결하여 내부 공간이 연통된 일체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을 형성함으로써, 자동화 창고의 빠른 배치 및 이동 안배를 실현한다.
도 1은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의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에서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재료 상자 배치의 간략 모식도이다.
도 6은 재료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재료 상자의 다른 하나의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출고 스테이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레일 어셈블리의 하나의 레일 유닛의 부분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의 인출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캐치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캐치 수단의 정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캐치 수단의 정렬 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3의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의 분류 선택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분류 선택 로봇에서 고정 베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분류 선택 로봇의 고정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부분 확대도이고, 이는 레일 스위칭 로봇, 버트 조인트 레일 및 과도 레일을 도시한다.
도 21은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4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에서 몸체의 측판이 최상판에 대해 전개될 수 있는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도 25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에서 몸체의 2개의 대응되는 측의 측판이 최상판에 대해 전개될 수 있는 다른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아래 내용 또는 도면에 도시된 상세한 구조 또는 소자의 배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일 수 있다. 또한, 본문에 사용된 수식어 또는 용어는 설명의 용도를 위한 것일 뿐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문에 사용된 “포함”, “포괄”, “구비” 등 유사한 수식어는 그 뒤에 열거된 사항, 등가물 및 다른 부가 사항을 포함한다. 특히 “어느 하나의 소자”를 설명할 때 본 발명은 해당 소자의 개수를 하나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는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다수의 재료 상자, 출고 스테이지, 레일 어셈블리, 인출 로봇 및 분류 선택 로봇을 포함한다.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는 창고 보관 영역을 구비하고 출고단을 정의한다. 다수의 재료 상자는 상기 창고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각각의 재료 상자는 상품을 수용한다. 출고 스테이지는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의 출고단에 위치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장착되고 상기 재료 상자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인출 로봇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재료 상자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인출 로봇은 주문 상품이 위치한 재료 상자를 상기 창고 보관 영역으로부터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운반한다. 상기 분류 선택 로봇은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위치하고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가까이 설치되며, 상기 분류 선택 로봇은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위치한 재료 상자로부터 상기 주문 상품을 분류 선택한다. 상기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는 자동 판매용 카트 또는 전시용 카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대다수 소자가 모두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어 전반 창고 보관 시스템의 이동 가능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아래 도면을 결부하여 상기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의 부재의 실시예를 소개한다.
도 1은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의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에서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내부 구조를 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로서,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내부 소자의 대략적인 배치를 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는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 및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 내에 수용된 다수의 재료 상자(12), 출고 스테이지(14), 레일 어셈블리(16), 인출 로봇(18), 분류 선택 로봇(20) 등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는 컨테이너식 설계를 사용하고, 최상벽(22), 밑벽(24) 및 2개의 측벽(2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 내에 창고 보관 영역(28)을 형성하고, 전후 양단은 개구단이며, 그 중 일단(후단)은 입고단(30)으로 정의하고, 타단(선단)은 출고단(32)으로 정의한다. 입고단(30)은 화물의 입고 조작을 담당하고,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화물이 담긴재료 상자를 입고단(30)으로부터 창고 보관 영역(28)에 추가하며, 예를 들어 처음 창고 건립 시 화물이 담긴재료 상자를 창고 보관 영역(28)에 운반하거나, 창고 보관 영역(28)에 위치한 일부 재료 상자가 빈 상자일 경우 입고단(30)으로부터 화물이 담긴재료 상자를 보충하여 창고 보관 영역(28)의 빈 상자를 대체한다. 출고단(32)은 화물의 출고 조작을 담당하고,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창고 보관 영역(28)의 상품(아래 “주문 상품”)을 주문한 후, 주문 상품이 담긴 재료 상자(12)를 출고단(32)에 운반한 다음, 상기 재료 상자(12)에서 주문 상품을 분류 선택하여 사용자가 캐치할 수 있도록 한다. 분류 선택 조작이 완료된 후, 상기 재료 상자(12)는 창고 보관 영역(28)에 다시 돌아간다.
창고 보관 영역(28)의 작업 상황의 관찰이 편리하도록, 측벽(26)에 측면 창(34)을 설치한다.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에는 사용자 인터랙션 인터페이스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하나의 디스플레이(36)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36)와 상기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의 주문 시스템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구매 인터페이스를 보여주어 사용자가 직접 상품을 구매하도록 하거나 큐알코드를 보여주어 사용자가 스캔하여 자기의 단말 기기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수의 재료 상자(12)는 3차원 방향에서 밀집되게 배열되어 입체형 창고를 형성하고, 진열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재료 상자(12)는 직접 서로 적치되고 나아가 재료 상자의 밀도를 높인다. 구체적으로, 창고 보관 영역(28)은 수평면에서 2차원 좌표로 정의되는 다수의 재료 상자 위치(40)(도 5)를 구비하고, 각각의 재료 상자 위치(40)에는 다수의 재료 상자(12)가 수직 방향에서 적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재료 상자는 3차원 좌표(횡방향 좌표, 길이 방향 좌표, 높이 좌표)에 따라 식별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다수의 재료 상자(12)는 횡방향에서 3개의 열로 나뉘고, 길이 방향에서 4개의 행으로 나뉘며, 동시에 높이 방향에서 4층이 있다. 따라서 재료 상자(12)가 위치한 열, 행 및 층의 개수에 따라 식별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재료 상자는 수평면에서 N 열로 배열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N 열 재료 상자 상방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N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는 상기 N개 레일에 수직되는 과도 레일 및 과도 레일에서 운행하는 레일 스위칭 로봇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 중 레일의 말단과 매칭되는 버트 조인트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과도 레일은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이 이를 따라 운동하도록 하여 상기 인출 로봇이 N개의 상이한 레일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한다. 여기서 버트 조인트 레일은 대응되는 레일 어셈블리 중 레일의 말단과 정렬되어, 레일의 연장으로 될 수 있으며, 인출 로봇은 레일 어셈블리 중의 레일로부터 버트 조인트 레일에 이동하고, 다시 레일 스위칭 로봇에 의해 과도 레일을 따라 하나의 스위칭된 레일의 말단까지 운동하여, 상기 인출 로봇이 N개의 상이한 레일 사이에서의 변환을 완료한다.
도 6 및 도 7은 하나의 재료 상자(12)의 사시도이다. 재료 상자(12)는 4개의 측벽(42) 및 하나의 밑벽(44)을 포함하고, 측벽(42)과 밑벽(44)은 둘러싸여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수용 공간(46)을 형성하며, 재료 상자(12) 상단은 밑벽(44)을 마주한 개구(48)를 형성한다. 밑벽(44)의 저면은 보스(50)를 형성하고, 상기 보스(50)의 형상은 개구(48)의 형상과 일치하며, 다수의 재료 상자(12)가 수직 방향으로 적치될 경우 하나의 재료 상자(12)의 보스(50)는 하나의 재료 상자(12)에 밀착된 개구(48)에 수용된다. 보스(50)와 개구(48)의 형상이 일치하기에, 일단 보스(50)가 개구(48)에 수용되면 적치된 재료 상자(12)가 수평면에서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아, 수직 방향에서의 적치가 아주 정연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도시된 재료 상자(12)는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고, 위에서 아래로 관찰하면 4개의 각을 구비하며, 개구(48)와 보스(50)는 모두 구형이다. 그러나 도시된 형상은 예시일 뿐 다른 적절한 현상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재료 상자(12)의 2개의 대응되는 측벽(42)에는 파지홀(52)이 설치되어, 인출 로봇(18)의 손잡이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아래 도면을 참조한 설명과 같음).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고 스테이지(14)는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의 출고단(32)에 설치되고,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의 밑벽(24)에 안착된다. 출고 스테이지(14)는 창고 보관 영역(28)으로부터 운반되어 온 재료 상자(12)를 제공받는다. 출고 스테이지(14)에는 제공받은 재료 상자(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53)이 구비된다. 다수의 재료 상자(12)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출고 스테이지(14)에는 다수의 출고 위치(54)가 설치되고, 각각의 출고 위치(54)는 지지면(53)의 일부를 차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고 스테이지(14)에는 3개의 출고 위치(54)가 설치된다. 각각의 출고 위치(54)는 1개 열의 재료 상자(12)에 대응된다.
인출 로봇(18)이 재료 상자(12)를 정확하게 취하거나 재료 상자(12)를 정확한 위치에 놓도록 하기 위해, 출고 위치(54)에는 재료 상자 위치 결정 수단이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재료 상자 위치 결정 수단은 횡방향 위치결정편(56) 및 종방향 위치결정편(58)을 포함하고, 횡방향 위치결정편(56) 및 종방향 위치결정편(58)은 출고 스테이지(14)의 지지면(53)으로부터 수직되게 위를 향해 연장되어, 각각 횡방향 및 종방향에서 재료 상자(12)가 출고 위치(54)에서의 위치를 결정한다.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의 입고단(30)에는 입고 스테이지(60)가 설치되고, 입고 스테이지(60)의 구조 및 기능은 출고 스테이지(14)와 유사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 상부에는 3개의 입고 위치가 설치되고어 동시에 3개의 재료 상자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각각의 입고 위치는 위치상에서 창고 보관 영역(28) 중 1개의 열의 재료 상자(12)에 대응된다. 구조 방면에서 입고 스테이지(60)는 출고 스테이지(14)와 완전히 일치하기에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조작 시, 사람이 직접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상품이 담긴 재료 상자(12)를 입고 위치에 운반하고, 인출 로봇(16)에 의해 상기 상자를 창고 보관 영역(28)에 운반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고단 위치에 입출고 컨테이너가 설치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는 입출고 몸체, 상기 입출고 몸체 내에 위치하는 화물 수송 기기, 상기 출고 스테이지 및 상기 분류 선택 로봇을 포함하며, 상기 입출고 몸체는 최상판, 밑판 및 상기 최상판과 상기 밑판 사이에 연결된 탈착 가능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입출고 몸체는 같은 층의 수평 방향을 따라 평행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와 수직되고, 내부 공간이 연통된다.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입출고 몸체는 수평 방향을 따라 평행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와 수직되고, 입출고 컨테이너 내의 공간은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의 출고단과 연통된다.
선택 가능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고단(30) 위치에 입출고 컨테이너가 설치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는 입출고 몸체, 상기 입출고 몸체 내에 위치하는 화물 수송 기기, 상기 입고 스테이지 및 상기 분류 선택 로봇을 포함하며, 상기 입출고 몸체는 최상판, 밑판 및 상기 최상판과 상기 밑판 사이에 연결된 탈착 가능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입출고 몸체는 같은 층의 수평 방향을 따라 평행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와 수직되고, 내부 공간이 연통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여기서 입고단의 입출고 컨테이너 및 출고단의 입출고 컨테이너는 동일한 표준화의 컨테이너로 형성될 수 있고, 상이한 실시예에서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일단에 위치한 입출고 컨테이너만 포함할 수 있으며, 일단의 입출고 컨테이너를 통해 상품의 출고와 입고 기능을 동시에 실현하고, 각각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양단에 위치한 입출고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각각 상품 출고 및 입고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설명해야 할 것은, 각 입출고 컨테이너의 내부 설치에 따라, 각 입출고 컨테이너는 출고 기능만 구비할 수도 있고, 입고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또는 출고 및 입고 기능을 동시에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출고단 위치 및 입고단 위치의 어셈블리를 독립적인 입출고 컨테이너로 형성하는 방안에서, 분류 선택 로봇 및 출고 스테이지/입고 스테이지를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창고 보관 시스템 건립 시, 필요한 개수의 모듈화 저장 컨테이너 및 모듈화 입출고 컨테이너를 선택하고 설정된 방식에 따라 조합하여 세우기만 하면 된다. 본문의 아래 설명에서 이런 모듈화 건립 방안에 대해 더 상세히 토론한다.
도 3,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레일 어셈블리(16)는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창고 보관 영역(28)의 재료 상자(12) 상방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레일 어셈블리(16)는 3 열의 재료 상자(12) 상방에 대응되게 위치한 3개의 레일 유닛(62)을 포함하고, 각각의 레일 유닛에는 하나의 인출 로봇(1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출 로봇(18)에는 총 3개가 설치되고, 각각의 인출 로봇(18)은 1개 열의 재료 상자(12)에 대응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3 열의 재료 상자(12), 3개의 출고 위치(54), 3개의 입고 위치, 3개의 레일 유닛(62), 3개의 인출 로봇(18)이 설치되고 서로 대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N 열 재료 상자(12), N개 출고 위치(54), N개 입고 위치, N개 레일 유닛(62), N개 인출 로봇(18)이 설치되고 서로 대응되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재료 상자(12)의 열의 개수, 출고 위치(54)의 개수, 입고 위치의 개수, 레일 유닛(62)의 개수, 인출 로봇(18)의 개수는 대응되지 않을 수 있고 실제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는 하나의 레일 유닛(62)의 부분 구조의 모식도이다. 레일 유닛(62)은 횡방향에서 이격 설치된 2개의 가이드 레일(64)을 포함하고, 각각의 가이드 레일(64)에는 가이드 레일 홈(66)이 설치되며, 동일한 레일 유닛(62)의 2개의 가이드 레일(64)의 가이드 레일 홈(66)이 대응되고, 인출 로봇(18)과 배합된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은 측벽(67) 및 측벽(67)의 상하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하나의 가이드 레일(64)을 향해 연장되는 최상변(68) 및 밑변(69)을 포함하고, 여기서 측벽(67), 최상변(68) 및 밑변(69)은 공통으로 C형 횡단면을 구성한다.
도 3,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로봇(18)은 워킹 수단(70) 및 상기 워킹 수단(70) 하방에 현가되어 상기 워킹 수단(70)의 승강에 대응되게 작동하는 캐치 수단(72)을 포함한다. 워킹 수단(70)은 레일 어셈블리(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 어셈블리(16)를 따라 수평이동 하여 캐치 수단(72)을 수평 이동 시킨다. 워킹 수단(70) 양측에는 워킹 롤러(74) 및 가이드 휠(76)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워킹 롤러(74)의 롤링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가 설치된다. 4개의 워킹 롤러(74)는 각각 워킹 수단(70)의 양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2개씩이다. 여기서 일측의 2개의 워킹 롤러(74)는 레일 유닛(62)의 하나의 가이드 레일(64)의 밑변(69)에서 워킹하고, 타측의 2개의 워킹 롤러(74)은 레일 유닛(62)의 다른 하나의 가이드 레일(64)의 밑변(69)에서 워킹한다. 양측의 가이드 휠(76)은 2개의 가이드 레일의 측벽(67)에서 워킹한다. 내부의 구동 장치를 통해 워킹 롤러(74)를 구동시킬 수 있고, 워킹 수단(70)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종방향에서 위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장치의 구동에 의해, 4개의 워킹 롤러(74)는 동기화되게 동력을 획득하여 레일 내에서 운동하고, 인출 로봇(18)의 하중은 4개의 워킹 롤러(74)에 비교적 균일하게 분산된다. 워킹 롤러(74)가 레일 내에서 운동하기에 롤러와 가이드 롤러 측벽(67)의 접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가이드 휠(76)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가이드 휠(76)의 작용에 의해, 워킹 롤러(74)와 가이드 레일의 측벽(67)은 안정적인 간격을 유지하고, 차체의 흔들림을 감소 및 제어하여 차체의 평온성을 증가하여 재료 상자(12)가 인출 로봇(18) 아래에서 불리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 수단(72)은 손잡이 플랫폼(78), 손잡이(80) 및 정렬 수단을 포함한다.
손잡이 플랫폼(78)과 워킹 수단(70) 사이에는 손잡이 플랫폼(78)의 승강을 위한 승강 수단이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승강 수단은 상승바(82) 및 상승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상승바(82)의 상단은 상승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상승바(82)의 하단은 손잡이 플랫폼(78)에 고정된다. 상승 구동 장치는 상승바(82)를 위를 향해 올리거나 또는 아래를 향해 내려놓으면 손잡이 플랫폼(78)에 대한 승강을 실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승 구동 장치는 워킹 수단(70) 내에 설치되고,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와 연결된 와인더(winder)를 포함하며, 상승바(82)의 상단은 와인더에 감기고, 와인더는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감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승바(82)에 대한 올림 및 내림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상승바(82)는 연성 철근 또는 스틸 로프 등일 수 있다.
손잡이(80)는 손잡이 플랫폼(78) 측변에 설치되어 재료 상자(12)의 측벽(42)를 파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잡이(80)는 2개 설치되어 각각 손잡이 플랫폼(78)의 대응되는 2개의 측변에 위치하여, 각각 재료 상자(12)의 2개의 파지홀(52)을 파지한다. 손잡이 플랫폼(78)에는 손잡이 구동 장치가 더 설치되어 손잡이(80)가 캐치 위치 및 릴리스(release)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86)을 에워싸고 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캐치 위치에서 손잡이(80)가 회전하여 파지홀(52)에 들어가고, 릴리스 위치에서 손잡이(80)가 밖으로 회전하여 파지홀(52)에서 나온다. 손잡이 구동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형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잡이 구동 장치는 모터(84) 및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연결봉 수단을 포함하고, 연결봉 수단 중 하나의 연결봉(85)은 손잡이(80)의 상단에 연결된다. 모터(84)가 연결봉 수단이 운동하도록 구동시킬 경우, 연결봉(85)은 손잡이가 캐치 위치 및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86)을 에워싸고 회전하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을 동시에 참조하면, 정렬 수단은 손잡이 플랫폼(78) 의 구석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정렬 부재(9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렬 부재(90)의 개수는 4개이고 각각 재료 상자(12)의 4개의 각에 대응된다. 각각의 정렬 부재(90)는 수직되게 아래를 향해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92) 및 상기 수직 연장부(92)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밖으로 연장되는 정렬 경사면(94)을 포함한다. 캐치 수단(72)이 하나의 재료 상자(12)를 캐치했을 경우, 모든 정렬 부재(90)의 수직 연장부(92)는 모두 재료 상자(12)의 측벽 외면에 바짝 붙고, 수직 연장부(90)가 아래를 향해 연장되는 길이는 정렬 경사면(94)이 모두 캐치된 재료 상자(12)의 저부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캐치된 재료 상자(12)를 하나의 하방 재료 상자(12)에 적치하는 과정에서, 캐치된 재료 상자(12) 및 하방 재료 상자(12)가 정확히 맞춰지지 않으면, 캐치된 재료 상자(12)의 보스(50)가 하방 재료 상자(12)의 개구(48)와 엇갈려 정상적인 적치를 실현할 수 없다. 이때, 정렬 경사면(94)은 하방 재료 상자(12)의 측벽의 윗쪽 가장자리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수평면에 상면의 재료 상자(12)의 위치를 약간 조절함으로써 캐치된 재료 상자(12)와 하방 재료 상자(12)를 잘 맞춘다. 본 발명은 캐치 수단(72)에 정렬 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수직 방향에서의 정확한 정렬을 실현하고, 인출 로봇(18)에 원가가 높은 위치 검출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에 원가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정렬 부재(90)의 수직 연장부(92)는 제1 정렬 플레이트(92A) 및 제2 정렬 플레이트(92B)를 포함한다. 제1 정렬 플레이트(92A) 및 제2 정렬 플레이트(92B)는 서로 수직되어 정렬 부재(90)가 수평면에 평행되는 횡단면이 L형을 나타내도록 한다. 제1 정렬 플레이트(92A) 및 제2 정렬 플레이트(92B)는 캐치된 재료 상자(12)의 두개의 인접 측벽의 외면에 바짝 붙고, 즉 하나의 각의 두개의 인접 측벽의 외면을 형성한다. 상응하게, 정렬 경사면(94)은 제1 정렬 플레이트(92A)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밖으로 연장되는 제1 정렬 경사면(94A) 및 상기 제2 정렬 플레이트(92B)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밖으로 연장되는 제2 정렬 경사면(94B)을 포함한다.
각각의 정렬 부재(90)의 제1 정렬 경사면(94A)은 제2 정렬 경사면(94B)과 교차하거나 사이에 작은 틈(교차하는 것을 볼 수 있음)이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정렬 부재(90)에 있어서, 그 제1 정렬 플레이트(92A) 및 제2 정렬 플레이트(92B)는 제1 교차선(92C)을 구비하고, 그 제1 정렬 경사면(94A) 및 제2 정렬 경사면(94B)은 제2 교차선(94C)을 구비하며, 제1 교차선(92C) 및 제2 교차선(94C)은 동일한 수직 평면 내에 위치한다. 이로써, 제1 정렬 경사면(94A)과 제2 정렬 경사면(94B)을 이용하여 상하 2개의 재료 상자(12)의 상대 위치를 원활하게 교정할 수 있다.
정렬 수단은 각각의 정렬 부재(90)에 대응되게 손잡이 플랫폼(78)과 고정되는 장착 부재(96)를 설치한다. 정렬 부재(90)는 장착 부재(96)를 이용하여 손잡이 플랫폼(78)에 설치된다.
캐치 수단(72)이 하나의 재료 상자를 캐치하여 어느 하나의 재료 상자 위치에 이동 시, 상기 재료 상자는 다른 하나의 재료 상자의 위(즉 재료 상자가 높이 방향에서 제1 층 위에 위치함)에 위치할 수 있고, 어느 플랫폼 또는 지면(즉 재료 상자가 높이 방향에서 제1층에 위치함)에 위치할 수도 있다. 만약 후자라면 위치 결정 부재(90)가 플랫폼 및 지면과 먼저 접촉하는데, 위치 결정 부재(90)가 플랫폼 및 지면과 먼저 접촉하는 경우 캐치된 재료 상자가 플랫폼 또는 지면과 접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때 섣불리 손잡이(80)를 놓으면 재료 상자(12)는 플랫폼 또는 지면에 떨어져 재료 상자(12) 내의 상품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착 부재(96)와 정렬 부재(90) 사이에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위치 결정 부재(90)가 플랫폼 또는 지면에 대한 반작용력의 작용에 의해 위를 향해 슬라이딩 함으로써 재료 상자(12)가 천천히 지면에 떨어지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치된 재료 상자(12)를 하방 재료 상자(12)에 적치하는 과정에서, 캐치된 재료 상자(12) 및 하방 재료 상자(12)가 정확히 맞춰지지 않으면, 위치 결정 부재(90)의 정렬 경사면(94)이 하방 재료 상자(12)의 측벽의 윗쪽 가장자리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이때 하방 재료 상자(12)의 측벽의 윗쪽 가장자리는 정렬 경사면(94)에 대해 하나의 경사 방향에서의 추력을 인가한다. 상기 추력이 위치 결정 부재(90)를 밀어 위를 향해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의 감쇠력을 상기 하방 재료 상자가 정렬 경사면(94)에 인가하는 추력이 수직 방향에서의 분력보다 크게 설계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면은 위치 결정 부재(90)를 제거하여 장착 부재(96) 및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를 더 명확하게 보여준다. 장착 부재(96)는 손잡이 플랫폼(78)으로부터 수직되게 위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장착 부재에 고정되는 제1 가이드 레일(98A) 및 정렬 부재(90)에 고정되는 제2 가이드 레일(98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98A) 및 제2 가이드 레일(98B)은 슬라이딩 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레일(98A)는 2개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볼록면은 제2 가이드 레일(98B)의 표면에 대해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제2 가이드 레일(98B)이 2개의 볼록부의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손잡이 플랫폼(78)은 각각의 정렬 부재(90)에 대응되게 장착홀(99)을 설치하고, 정렬 부재(90)는 상기 장착홀(9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착홀(99)은 L형이다.
도 14-16을 참조하면, 분류 선택 로봇(20)은 이동 베이스(100) 및 머니퓰레이터(102)를 포함한다. 이동 베이스(100)는 재료 상자(1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머니퓰레이터(102)는 이동 베이스(100)에 의해 지지되고 이동 베이스(100)와 함께 이동한다. 머니퓰레이터(102)는 재료 상자 중의 주문 상품을 적어도 하나의 출하 포트(104)(도 1 및 도 3)에 분류 선택한다.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한 후, 상기 주문 상품이 담긴 재료 상자(12)는 인출 로봇(18)에 의해 출고 스테이지(14)의 출고 위치(54)에 운반된 다음, 머니퓰레이터(102)가 상기 재료 상자(12)에서 상기 주문 상품을 분류 선택하여 출하 포트(104)에 보내 사용자가 가져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고 스테이지(14)는 다수의 출고 위치(54)를 구비하고, 각각의 출고 위치(54)는 재료 상자(12)를 제공받는다. 이동 베이스(100)는 이런 출고 위치(54)의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기에, 주문 상품이 위치한 재료 상자(12)가 머니퓰레이터(102)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을 경우, 이동 베이스(100)가 상기 재료 상자(12)를 향해 슬라이딩 하여, 머니퓰레이터(102)의 길이를 증가하지 않고 분류 선택 조작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분류 선택 로봇(18)은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 내에 위치하고, 그 이동 베이스(100)는 고정 베이스(106)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여기서 고정 베이스(106)는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 내의 출고 스테이지(14)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 안착된다. 고정 베이스(106)에는 지지 테이블(108)이 설치되고, 지지 테이블(108) 및 이동 베이스(100) 중 하나에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지지 테이블(108) 및 이동 베이스(100) 중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 홈이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됨으로써, 이동 베이스(100)가 고정 베이스(106)에서의 이동을 실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베이스(100)의 밑면의 2개의 측변 가장자리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110)가 설치되고, 각각의 볼록부(110)에는 슬롯(112)이 설치되며, 상기 슬롯(112)은 상기 가이드 홈을 형성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베이스(100)의 밑면에는 4개의 볼록부(110)가 설치되고, 여기서 2개의 볼록부(110)의 슬롯(112)은 하나의 가이드 홈을 형성함, 다른 2개의 볼록부(110)의 슬롯(112)은 다른 하나의 가이드 홈을 형성한다. 고정 베이스(106)의 지지 테이블(108)에는 2개의 가이드 레일이 대응되게 고정된다. 지지 테이블(108)의 4개의 구석 위치에는 각각 하나의 스토퍼(116)가 더 설치되어, 이동 베이스(100)의 이동에 대해 한정 작용을 한다.
지지 테이블(106)에는 래크(118)가 설치되고, 래크(118)는 분류 선택 로봇(20)의 이동 방향과 평행된다. 이동 베이스(100)에는 모터(120)가 설치되고, 모터(120)의 출력축에는 기어(122)가 고정 설치되어, 기어(122)가 출력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한다. 기어(122)는 래크(118)와 치합되어 기어(122)가 모터(12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 시 기어(122)도 래크(118)를 따라 워킹하게 되므로, 이동 베이스(100)가 이동하게 한다. 물론 기어와 래크를 배합하는 방안은 하나의 구현예일 뿐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베이스(100)는 다른 적절한 구동 방안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하 포트(104)의 개수는 4개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출하 포트(104)의 개수는 다른 수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밖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류 선택 로봇(18)은 출고 스테이지(14)와 출하 포트(104) 사이에 위치하고, 출하 포트(104)는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 외부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출하 포트(104)는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1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분류 선택 로봇(18)에 대한 소개를 통해, 본 발명은 자동 창고 보관 시스템의 상품 분류 선택 어셈블리를 더 공개하고, 이는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료 상자(12);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료 상자(12)의 상품을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하 포트(104)(예를 들면 도시된 4개의 출하 포트);
분류 선택 로봇(18)을 포함하고, 상기 분류 선택 로봇(18)은
상기 이동 베이스(100)는 상기 재료 상자(12)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 베이스(100); 및
상기 이동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이동 베이스(1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재료 상자(12) 중의 주문 상품을 상기 출하 포트(104)에 분류 선택하기 위한 머니퓰레이터(102)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 창고 보관 시스템의 상품 분류 선택 어셈블리는 도시된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의 외부에 응용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자동 창고 보관 시스템에 응용될 수도 있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는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다수의 재료 상자, 출고 스테이지, 레일 어셈블리, 인출 로봇 및 분류 선택 로봇을 포함한다.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는 창고 보관 영역을 구비하고 출고단을 정의한다. 다수의 재료 상자는 상기 창고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각각의 재료 상자는 상품을 수용한다. 출고 스테이지는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의 출고단에 위치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장착되고 상기 재료 상자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인출 로봇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재료 상자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인출 로봇은 주문 상품이 위치한 재료 상자를 상기 창고 보관 영역으로부터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운반한다. 상기 분류 선택 로봇은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위치하고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가까이 설치되며, 상기 분류 선택 로봇은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위치한 재료 상자로부터 상기 주문 상품을 분류한다. 상기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는 자동 판매용 카트 또는 전시용 카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대다수 소자가 모두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어 전반 창고 보관 시스템의 이동 가능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를 제외하고, 인출 로봇의 캐치 수단의 정렬 수단의 설치는 수직 방향에서의 정확한 정렬을 실현하고, 인출 로봇에 비용이 높은 위치 검출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에 원가를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가능한 분류 선택 로봇의 설계는 머니퓰레이터의 길이를 증가하지 않고 분류 선택 조작을 개선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중 재료 상자의 저장 및 분류 선택은 표준화되고 서로 독립적인 컨테이너 조성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재료 상자, 레일 어셈블리, 인출 로봇을 함께 표준화되고 독립적인 저장 컨테이너로 형성하고, 입출고 스테이지, 분류 선택 로봇을 함께 표준화되고 독립적인 입출고 컨테이너로 형성하며; 레일 스위칭 로봇, 레일 스위칭레일 등 레일 스위칭 어셈블리를 함께 표준화되고 독립적인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로 형성하여, 필요한 창고 보관 시스템의 용량 요구에 따라 상응한 수량의 컨테이너 조성 부분을 선택하여 이어 붙힐 수 있다. 실제 상황에 따라, 입출고 컨테이너 내의 어셈블리 및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어셈블리를 동일한 컨테이너 내에 통합할 수도 있다. 레일 스위칭 어셈블리를 설치하지 않거나, 또는 레일 스위칭 어셈블리를 입출고 컨테이너 내에 통합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은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200), 적어도 하나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및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컨테이너(204)를 포함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에서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200)는 저장 컨테이너(20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조합되고, 하나 또는 다수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200)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설치되며, 하나 또는 다수의 입출고 컨테이너(204)는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의 외측에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장 컨테이너(200),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입출고 컨테이너(204)는 표준화 컨테이너이고 수량은 필요에 따라 지정된 이어 붙히기 기술에 의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폭 방향에 조합된 저장 컨테이너(200)의 개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의 조합 개수도 상응하게 변화하고, 마찬가지로 입출고 컨테이너(204)의 조합 개수도 상응하게 변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은 컨테이너의 높이 방향에 한층 또는 다층 설치될 수 있고, 각 층의 배치는 도 17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하나의 간략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조합 구조 및 원리를 설명한다. 도 19의 예는 2층 구조이고 같은 층의 저장 컨테이너(200)는 5개 있으며, 저장 컨테이너(200)의 폭 방향을 따라 조합되고, 저장 컨테이너 양단에는 각각 1개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가 있으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와 저장 컨테이너(200)는 수직되게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및 입출고 컨테이너는 하나로 병합되고, 즉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어셈블리 및 입출고 컨테이너 내의 어셈블리는 동일한 컨테이너에 통합된다. 따라서 이 컨테이너는 입출고 기능을 구비(입출고 장치를 구비)하는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라 불릴 수 있고, 레일 스위칭 기능을 구비(레일 스위칭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입출고 컨테이너라 불릴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이런 컨테이너를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라고 한다.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200)는 하나로 조합되어 조합 저장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내에는 레일 어셈블리(206), 레일 어셈블리(206)에 위치한 인출 로봇(208) 및 인출 로봇(208) 하방에 위치한 다수의 재료 상자(210)가 구비되며, 상기 재료 상자(210)는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인출 로봇(208)은 레일 어셈블리(206)에서 왕복 운행하여 상기 재료 상자(210)에 대해 인입 및 인출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206), 인출 로봇(208) 및 재료 상자(210)의 구조 및 원리는 도 1-16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관련 소자와 일치할 수 있기에, 그 세부사항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조합 저장 영역은 각 컨테이너가 형성한 저장 영역의 총합으로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합 저장 영역은 5개의 서브 저장 영역(212)을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 저장 영역은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200)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서브 저장 영역(212)에는 모두 상기 레일 어셈블리(206), 인출 로봇(208) 및 재료 상자(210)가 설치된다.
저장 컨테이너(200)는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214), 최상판(216), 최상판(216) 및 밑판(214) 장변에 연결되는 2개의 측판(218), 및 최상판(216) 및 밑판(214) 단변에 연결되는 2개의 단판(220)을 포함한다. 레일 어셈블리(206), 인출 로봇(208) 및 재료 상자(210)는 모두 저장 컨테이너(200)의 컨테이너 몸체 내에 설치된다. 저장 컨테이너(200)를 운반하기 전에, 적어도 레일 어셈블리(206)은 이미 컨테이너 몸체 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연결 부재를 통해 컨테이너 몸체의 최상판(216) 또는 측판(218)에 설치된다. 레일 어셈블리(206)의 레일은 저장 컨테이너(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저장 컨테이너(200)와 마찬가지로,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에도 밑판(214), 최상판(216), 최상판(216) 및 밑판(214) 장변에 연결되는 2개의 측판(218), 및 최상판(216) 및 밑판(214) 단변에 연결되는 2개의 단판(220)이 구비된다.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가 저장 컨테이너(20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조립된 후,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의 내부 공간은 이런 저장 컨테이너(200)의 내부 공간(즉 서브 저장 영역(212))과 연통된다.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내애는 레일 스위칭 장치가 설치되고, 레일 스위칭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200) 내의 인출 로봇(208)이 상기 인출 로봇이 위치한 현재 운행 레일로부터 목표 운행 레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스위칭 장치는 과도 레일(222) 및 레일 스위칭 로봇(224)을 포함한다.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를 운반하기 전에 적어도 과도 레일(222)은 이미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연결 부재를 통해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의 컨테이너 몸체의 최상판(216) 또는 측판(218)에 설치된다. 레일 스위칭 로봇(224)은 상기 과도 레일(222)에 위치하여 상기 과도 레일(222)에서 왕복 이동한다.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224)는 상기 인출 로봇을 제공받고 상기 인출 로봇이 상기 과도 레일(222)을 따라 상기 목표 운행 레일에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레일 스위칭 로봇(224)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206)의 말단과 매칭되는 버트 조인트 레일(226)가 설치된다.
과도 레일(222)은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 열의 저장 컨테이너 내의 운행 레일(206)에 수직된다. 레일 스위칭 로봇(224)은 차체 및 차체에 설치되고 과도 레일과 어댑팅되는 워킹 수단을 포함하고, 워킹 수단은 구동 장치와 연결되고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며, 레일 스위칭 로봇이 과도 레일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레일 스위칭 로봇(224)의 차체에는 상기 버트 조인트 레일(226)이 설치되고, 레일 스위칭 로봇(224)이 과도 레일(222)을 따라 어느 열의 저장 컨테이너 중의 운행 레일(206)까지 운동하여 정확히 맞춰질 경우, 버트 조인트 레일(226)은 마침 저장 컨테이너 중의 운행 레일(206)이 위치한 높이와 나란히 위치하고, 레일 스위칭 로봇(224)의 차체 상의 버트 조인트 레일(226)은 상기 열의 저장 컨테이너 중의 운행 레일의 말단과 가지런히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다. 이때 저장 컨테이너 중 인출 로봇(208)이 운행 레일(206)을 따라 레일 스위칭 로봇(224) 상의 버트 조인트 레일(226)에 직접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레일 스위칭 로봇(224)이 과도 레일을 따라 운행하도록 구동하면 레일 스위칭 로봇(224)이 하나의 다른 열의 저장 컨테이너 중의 운행 레일과 정확히 맞춰지도록 스위칭할 수 있고, 레일 스위칭 로봇(224)의 차체 상의 버트 조인트 레일(226)은 상기 열의 저장 컨테이너 중의 운행 레일의 말단과 가지런히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다. 이때 저장 컨테이너 중 인출 로봇(208)이 레일 스위칭 로봇 상의 버트 조인트 레일(226)로부터 상기 다른 열의 저장 컨테이너 중의 운행 레일에 슬라이딩 되기 편리하도록, 인출 로봇(208)이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를 통해 상이한 열의 저장 컨테이너의 레일 어셈블리(206)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한다. 레일 스위칭 수단의 구조 및 원리는 본 출원인이 2018년 7월24일 출원한 발명의 명칭이 “입체 창고 보관 시스템”의 중국 발명 특허 출원을 참조하기 바라며, 상기 중국 발명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되어 본문에 병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출고 컨테이너의 기능은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에 통합된다.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에 입출고 장치가 설치되어 화물의 입출고 조작을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출고 장치는 진열대(228)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대(228)는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의 밑판(214)에 설치되고 과도 레일(222) 하방에 위치하여 재료 상자를 임시 보관한다. 여기서 상기 입출고 장치는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를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200)의 일단에 장착하기 전에 이미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내에 장착된다. 저장 컨테이너(200) 내의 재료 상자(210)는 인출 로봇(202)에 의해 인출되고, 레일 스위칭 로봇(224)은 인출 로봇(202)의 이동에 의해 재료 상자(210)를 진열대의 지정 위치에 놓는다. 이때 입출고 컨테이너/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에는 작업자 또는 로봇이 배치되어 화물 분류 선택 동작을 수행한다. 입출고 컨테이너/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에는 화물 수송 기기를 설치하여 재료 상자의 운반 입출고를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입출고 장치의 일 실시형태로서, 도 19는 고정형 입출고를 도시하였고 즉 재료 상자는 진열대에서 이동하지 않는다.
도 21은 다른 하나의 입출고 장치를 도시하고 이는 작업 라인 방식의 입출고 장치이다. 비록 본문에서는 2가지 입출고 방식을 예로 들었으나, 화물의 입출고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만 하면 입출고 장치는 다른 더 많은 실시형태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밖에, 모두 “입출고 장치”라고 부르기는 하나 상이한 상황에 따라 출고 기능만 수행하거나 입고 기능만 수행하거나 또는 출고 및 입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도 21과 유사하나 상이한 점은 각 층에 2개의 입출고 컨테이너가 표시된 것이다.
도 19-22의 실시예에서,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내에는 입출고 장치가 동시에 구비되고, 즉 레일 스위칭 기능 및 입출고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 컨테이너가 저장 컨테이너(200)와 조합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레일 스위칭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입출고 기능만 구비하는 컨테이너가 저장 컨테이너(200)와 조합될 수 있으며, 즉 레일 스위칭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입출고 컨테이너(202)가 저장 컨테이너(200)와 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에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 및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하나로 조합되어 조합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내에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인출 로봇 및 상기 인출 로봇 하방에 위치하는 다수의 재료 상자가 설치되고, 상기 재료 상자는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출 로봇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서 왕복 운행을 하여 상기 재료 상자에 대해 인입 및 인출 조작을 진행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의 판체에 고정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 내에는 입출고 장치가 설치되어 화물의 입출고 조작을 수행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상기 조합 저장 영역과 연통되어 상기 인출 로봇이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및 상기 입출고 장치 사이에서 재료 상자를 운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입출고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입출고 장치와 같기에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레일 스위칭 장치가 없는 경우 인출 로봇은 직접 화물을 입출고 장치에 운송하고, 예를 들면 레일 스위칭 로봇의 협조가 없이 진열대에 운송한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폭 방향을 따라 조합된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구비할 경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조합되는 상기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에 수직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기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가 형성한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적어도 두개의 입출고 컨테이너를 구비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입출고 컨테이너는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합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입출고 컨테이너가 조합 시 인접한 단판은제거되어 내부 연통을 구현한다.
도 23은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조합하여 조합 저장 영역을 형성하고,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정의하며, 조합 후의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는 한층 또는 다층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각각의 층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평행 배열되고 조합되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내에는 인출 로봇이 운행되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은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를 조합하기 전에 이미 다수의 상기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는 단계;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각각의 층의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가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일단에 설치하여,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공간이 같은 층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 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과도 레일이 같은 층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 내의 레일과 수직되도록 하며, 상기 과도 레일은 레일 스위칭 로봇이 왕복 운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과도 레일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의 상기 단에 설치하기 전에 이미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 및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한다.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및 저장 컨테이너(200)를 조립 시,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200)를 향한 측판이 제거되어, 내부 공간의 연통을 실현하고, 인출 로봇(208)은 저장 컨테이너(200)로부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에 운행된다.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개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를 조합 시(도 17 및 도 18을 참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조합 시 인접한 단판이 제거되어 인접한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 연통을 실현한다.
입출고 컨테이너(204)가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와 독립적으로 설치될 경우, 상기 조립 방법은 입출고 컨테이너(204)를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외측에 평행되게 설치하고, 입출고 컨테이너(204)의 개수는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개수와 일치한 단계를더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입출고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본체도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한다. 입출고 컨테이너(204)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조합 시 인접한 단판이 제거되어 인접한 입출고 컨테이너(204)의 내부 공간의 연통을 실현하고,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와 입출고 컨테이너가 조립 시,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202) 및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204)의 인접한 측판이 제거되어 양자 사이의 내부 공간의 연통을 실현한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20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조립 시 인접한 단판이 제거되어 인접한 저장 컨테이너(200)의 내부 공간의 연통을 실현한다.
다층으로 설치될 경우, 컨테이너는 정연하게 배열되어 컨테이너의 각이 가지런히 위치하도록 하며, 컨테이너 각은 높이 방향에서 연결 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컨테이너 간극은 밀봉 부재를 통해 밀봉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조립 시 각각의 컨테이너 밀집 조합은 각각의 컨테이너의 일부 판체가 제거되는 것을 제외하고 저장 컨테이너(200)의 각자의 용량은 변하지 않는다. 여기서 각각의 서브 저장 영역은 그중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200)로 형성되고, 조합 저장 영역의 총 용적은 모든 저장 컨테이너(200)의 용적의 합과 거의 같다. 그러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조합 저장 영역의 총 용적으 모든 저장 컨테이너의 용적의 합보다 클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다른 하나의 컨테이너 조립 또는 이어 붙히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를 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의 폭 방향에서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평행되게 배열하여, 인접한 저장 컨테이너 사이가 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및
수평 설치된 판체를 이용하여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 사이에 브릿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조립 방법의 실시예에서 저장 컨테이너 밀집 조합은 다르고, 본 실시예에서 인접합 저장 컨테이너 사이는 간격을 이격한 다음 수평 판체를 이용하여 상기 간격에 브릿지 연결하면, 상기 판체의 하방에 별도의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여 더 많은 화물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으로 설치된 판체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있을 수 있는데, 도 24 및 도 25는 2가지 방식을 도시하였고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도 24를 참조하면 단계 24(a)에서 우선 저장 컨테이너(200)를 제공한다. 저장 컨테이너(200)의 컨테이너 본체는 밑판(214), 최상판(216), 최상판(216) 및 밑판(214) 장변에 연결되는 2개의 측판(218)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측판(218)의 하나의 변(230)은 저장 컨테이너(200)의 최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계 24(b)에서 각 저장 컨테이너(200)의 상기 측판(218)의 다른 하나의 변은 밖으로 90도 회전하여 수평 상태를 이룬다.
단계 24(c)에서 측판(218)의 다른 하나의 자유변은 인접한 저장 컨테이너에 의해 지지 연결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순차적으로 이렇게 연결하여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가 저장 컨테이너의 폭 방향을 따라 이어 붙혀진다. 이로써 각각의 뒤집기를 통해 수평 상태를 이루는 측판(218)의 하방은 모두 별도의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여 별도의 재료 상자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24(d)에서 같은 방식으로 다른 하나의 층 구조를 이어 붙혀 다층 창고 보관 시스템을 구현한다.
도 24의 실시예에서 판체는 즉 저장 컨테이너의 뒤집기 가능한 측판이다. 종합하면,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200)는 단일측 측판을 전개하는 것을 통해 2개의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였다. 즉 동일한 저장 컨테이너 개수를 이용하여 2배의 재료 상자 저장 공간을 실현한다. 언급해야 할 것은, 상기 단계는 수행 순서에 대한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단계 24(b) 및 24(c)에서 먼저 수평 상태로 뒤집어진 측판(218)을 인접한 저장 컨테이너에 지지 연결한 다음, 상기 인접한 저장 컨테이너의 측판(218)을 뒤집을 수 있다. 저장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전에, 측판(218) 내에 이미 인출 로봇(218)이 운행되는 레일이 설치된다. 뒤집기 후, 레일은 수평으로 안착된 측판(218)의 하측 표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판 및 그중 뒤집기가 필요한 측판은 미리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단계 25(a)에서 우선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200)를 제공한다. 저장 컨테이너(200)의 컨테이너 본체는 밑판(214), 최상판(216), 최상판(216) 및 밑판(214) 장변에 연결되는 2개의 측판(218)을 구비한다. 각각의 측판(218)의 하나의 변(230)은 저장 컨테이너(200)의 최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계 25(b)에서 상기 저장 컨테이너(200)의 2개의 측판(218)의 다른 하나의 변은 밖으로 90도 회전하여 수평 상태를 이룬다.
단계 25(c)에서 인접한 저장 컨테이너(200)의 2개의 측판(218)도 같은 방식으로 수평 상태로 뒤집어진다. 2개의 인접한 저장 컨테이너(200) 사이에 하나의 지지체(232)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지지 기둥(232)이다.
단계 25(d)에서 상기 2개의 측판(218)의 다른 하나의 변은 도킹되어 지지체(232)를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상기 2개의 측판(218)이 상기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수평 상태로 뒤집어진 측판(218) 하방은 모두 별도의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고, 2개의 인접한 저장 컨테이너(200) 사이에 별도로 2개의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여 별도의 재료 상자를 저장할 수 있는 것에 해당된다. 이런 방식에 따라 더 많은 컨테이너를 이어 붙힐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기둥(232)은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200)의 중간 위치에 위치한다.
단계 25(e)에서 같은 방식으로 다른 하나의 층 구조를 이어 붙혀 다층 창고 보관 시스템을 구현한다.
도 25의 실시예에서 판체는 즉 저장 컨테이너의 뒤집기 가능한 측판이다. 종합하면,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200)는 양측 측판을 전개하는 것을 통해 3개의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였다. 즉 동일한 저장 컨테이너 개수를 이용하여 3배의 재료 상자 저장 공간을 실현한다. 언급해야 할 것은, 상기 단계는 수행 순서에 대한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단계 25(c) 및 25(d)에서 먼저 저장 컨테이너의 수평 상태로 뒤집어진 측판(218)을 지지체(232)를 이용하여 지지한 다음, 인접한 저장 컨테이너의 측판(218)을 뒤집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장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전에, 측판(218) 내에 이미 인출 로봇(208)이 운행되는 레일이 설치된다. 뒤집기 후, 레일은 수평으로 안착된 측판(218)의 하측 표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판 및 2개이 측판은 미리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형식 표준화, 모듈화 저장 컨테이너 및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통해 표준화 저장 컨테이너 및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설정된 방식으로 적치 및 조합하고, 표준화 저장 컨테이너의 몸체 및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몸체를 각각 탈착 가능한 측판으로 형성하여, 저장 컨테이너 및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적치 조합 과정에서 서로 인접한 측판의 탈착 후 연결하여 내부 공간이 연통된 일체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을 형성함으로써,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를 실현한다. 상기 발명은 모듈화 구상을 구비하고, 확장 가능하고 컨테이너 개수, 배열 방식을 통해 창고 용량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입출고 컨테이너는 모두 표준화 컨테이너이고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가 낮으며 고정이 편리하고 기초 시설 건립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자동화 창고의 빠른 배치 및 이동 안배를 실현한다.
보문에 설명된 개념은 사상 및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다른 형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공개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 한정적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고, 앞의 이런 설명에 의해 확정되지 않는다. 청구범위의 문자 상의 의의 및 등가 범위 내의 임의의 변경은 모두 이런 청구항의 범위에 속해야 한다.

Claims (65)

  1.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에 있어서,
    창고 보관 영역을 구비하고 출고단을 정의하는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상기 창고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재료 상자;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의 출고단에 위치하는 출고 스테이지;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 내에 장착되고 상기 재료 상자 상방에 위치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재료 상자 상방에 위치하며, 주문 상품이 위치한 재료 상자를 상기 창고 보관 영역으로부터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운반하는 인출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 보관 영역은 수평면에서 2차원 좌표로 정의되는 다수의 재료 상자 위치를 구비하고, 각각의 재료 상자 위치에는 다수의 재료 상자가 수직 방향에서 적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재료 상자는 수평면에서 N 열로 배열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N 열 재료 상자 상방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N개 레일을 포함하며, 각각의 레일에는 하나의 상기 인출 로봇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재료 상자는 수평면에서 N 열로 배열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N 열 재료 상자 상방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N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N개 레일에 수직되는 과도 레일 및 상기 과도 레일에 위치하고 상기 과도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레일 스위칭 로봇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 중 레일의 말단과 매칭되는 버트 조인트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과도 레일은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이 이를 따라 운동하도록 하여 상기 인출 로봇이 N개의 상이한 레일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단에 입출고 컨테이너가 설치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본체, 상기 컨테이너 본체 내에 위치하는 상기 출고 스테이지, 화물 수송 기기 및 분류 선택 로봇을 포함하며, 상기 분류 선택 로봇은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재료 상자로부터 상기 주문 상품을 분류 선택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는 최상판, 밑판 및 상기 최상판과 상기 밑판 사이에 연결된 탈착 가능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본체는 같은 층의 수평 방향을 따라 평행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와 수직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본체는 각각의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는 입고단을 더 정의하고, 상기 입고단에는 입고 스테이지가 설치되며, 상기 인출 로봇운 또한 상기 입고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재료 상자를 상기 창고 보관 영역에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재료 상자는 수평면에서 N 열로 배열되고, 상기 입고 스테이지는 상기 N 열 재료 상자와 대응되는 N개 입고 위치를 구비하며, 각각의 입고 위치에는 하나의 재료 상자가 안착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단에 입출고 컨테이너가 설치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본체, 상기 컨테이너 본체 내에 위치하는 상기 입고 스테이지, 화물 수송 기기 및 분류 선택 로봇을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 본체는 최상판, 밑판 및 상기 최상판과 상기 밑판 사이에 연결된 탈착 가능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본체는 같은 층의 수평 방향을 따라 평행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와 수직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본체는 각각의 상기 스키드 외부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로봇은 워킹(walking) 수단 및 상기 워킹 수단 하방에 현가되어 상기 워킹 수단의 승강에 대응되게 작동하는 캐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워킹 수단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따라 수평이동 하여 상기 캐치 수단을 수평 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1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수단은 손잡이 플랫폼, 손잡이 및 정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플랫폼 측벽에 설치되어 재료 상자의 측벽을 캐치하며, 상기 정렬 수단은 상기 손잡이 플랫폼의 구석 위치에 설치된 정렬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정렬 부재는 수직되게 아래를 향해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밖으로 연장되는 정렬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연장부가 아래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캐치 수단이 상기 재료 상자를 캐치한 후 상기 정렬 경사면 전체가 캐치된 상기 재료 상자의 저부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캐치된 상기 재료 상자를 하나의 하방 재료 상자에 적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정렬 경사면은 상기 하방 재료 상자의 측벽의 윗쪽 가장자리와 슬라이딩 접촉되어 캐치된 상기 재료 상자와 상기 하방 재료 상자를 맞추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정렬 부재의 수직 연장부는 제1 정렬 플레이트 및 제2 정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렬 플레이트 및 제2 정렬 플레이트는 서로 수직되어 상기 정렬 부재가 수평면에 평행되는 횡단면이 L형을 나타내도록 하며, 상기 제1 정렬 플레이트 및 제2 정렬 플레이트는 캐치된 상기 재료 상자의 두개의 인접 측벽의 외면에 바짝 붙고, 상기 정렬 경사면은 상기 제1 정렬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밖으로 연장되는 제1 정렬 경사면 및 상기 제2 정렬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밖으로 연장되는 제2 정렬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수단은 각각의 정렬 부재에 대응되게 장착 부재 및 상기 장착 부재와 상기 정렬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감쇠력은 상기 하방 재료 상자가 상기 정렬 경사면에 인가하는 추력이 수직 방향에서의 분력보다 크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선택 로봇은 이동 베이스 및 상기 이동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머니퓰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베이스는 상기 출고 스테이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1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 스테이지는 다수의 출고 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베이스는 상기 다수의 출고 위치의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16.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 적어도 하나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및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하나로 조합되어 조합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내에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인출 로봇 및 상기 인출 로봇 하방에 위치하는 다수의 재료 상자가 설치되고, 상기 재료 상자는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출 로봇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서 왕복 운행을 하여 상기 재료 상자에 대해 인입 및 인출 조작을 진행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에는 레일 스위칭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레일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 내의 인출 로봇이 상기 인출 로봇이 위치한 현재 운행 레일로부터 목표 운행 레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 내에는 입출고 장치가 설치되어 화물의 입출고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정의하고, 상기 저장 컨테이너 내에 위치하는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조합되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조합되는 상기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에 수직되며,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기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가 형성한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 및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를 향한 하나의 측판이 제거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부와 연통되는 각각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향한 하나의 단판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는 적어도 두개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는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합되고 내부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가 조합 시 인접한 단판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는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와 평행되게 설치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개수는 동일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는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합 시 내부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입출고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가 조합 시 인접한 단판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및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인접한 측판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조합되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기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조합되고 내부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 컨테이너가 상기 길이 방향에서 조합 시 인접한 단판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저장 영역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에는 모두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및 입출고 컨테이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높이 방향에 설치된 적어두 2층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은 각 층의 저장 컨테이너에 대해 모두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및 입출고 컨테이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28. 제16항 내지 제22항 및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및 입출고 컨테이너는 동일한 컨테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저장 영역은 다수의 서브 저장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 저장 영역 내에는 그중 하나의 레일 어셈블리, 적어도 그중 하나의 인출 로봇, 및 상기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일부 재료 상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브 저장 영역은 그중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는 2개의 상기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정의하고, 상기 저장 컨테이너 내에 위치하는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조합되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폭 방향에서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판 사이는 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고, 수평 설치된 판체는 상기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판 사이에 브릿지 연결되어 상기 판체 하방에서 하나의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는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 중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의 측판이고, 상기 측판의 일변은 상기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변은 밖으로 90도 회전하고 상기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 중 다른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34. 제29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는 3개의 상기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정의하고, 상기 저장 컨테이너 내에 위치하는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조합되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폭 방향에서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판 사이는 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고, 수평 설치된 판체는 상기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판 사이에 브릿지 연결되어 상기 판체 하방에서 2개의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는 상기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의 두개의 인접 측판이고, 각각의 측판의 일변은 각자의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변은 밖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2개의 측판을 수평 상태를 이루면서 각각의 측판 하방에 상기 2개의 서브 저장 영역 중 하나의 서브 저장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판 중 상기 다른 하나의 변은 지지체를 이용하여 지지되어, 상기 2개의 측판이 상기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3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대응되는 저장 컨테이너의 판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3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스위칭 장치는 과도 레일 및 레일 스위칭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과도 레일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최상판 또는 측판에 고정되고, 상기 과도 레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 내의 레일 어셈블리의 말단과 수직되며;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은 상기 과도 레일에 위치하고 상기 과도 레일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은 상기 인출 로봇을 받아 상기 인출 로봇이 상기 과도 레일을 따라 상기 목표 운행 레일에 운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말단과 매칭되는 버트 조인트 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는 진열대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대는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밑판에 설치되고 상기 과도 레일 하방에 위치하여 재료 상자를 임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는 분류 기기 및 화물 수송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 기기는 진열대에 보관된 재료 상자에 대해 화물 분류를 진행하고, 상기 화물 수송 기기는 화물에 대해 운반 입출고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42.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조합하여 조합 저장 영역을 형성하고,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정의하며, 조합 후의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는 한층 또는 다층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각각의 층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평행 배열되고 조합되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내에는 인출 로봇이 운행되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은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를 조합하기 전에 이미 다수의 상기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는 단계;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각각의 층의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가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일단에 설치하여,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공간이 같은 층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 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과도 레일이 같은 층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 내의 레일과 수직되도록 하며, 상기 과도 레일은 레일 스위칭 로봇이 왕복 운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의 과도 레일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의 상기 단에 설치하기 전에 이미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 및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가 상기 저장 컨테이너를 향한 하나의 측판을 제거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각각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향한 하나의 단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설치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개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합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조합시 인접한 단판을 제거하여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입출고 컨테이너를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에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 방법은 서로 조립된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및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인접한 측판을 제거하여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를 연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를 조합하는 단계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적어도 두개의 저장 컨테이너를 조합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저장 컨테이너가 상기 길이 방향에서 조합 시 인접한 단판을 제거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저장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이 동일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에는 입출고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입출고 장치는 상기 과도 레일 하방에 위치하는 진열대를 포함하여 재료 상자를 임시 보관하며, 상기 입출고 장치는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를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의 상기 단에 설치하기 전에 이미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
  48. 제42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를 조합하는 단계는,
    상기 폭 방향에서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평행되게 배열하여, 인접한 저장 컨테이너 사이가 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및
    수평 설치된 판체를 이용하여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 사이에 브릿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는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 중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의 측판이고, 상기 측판의 일변은 상기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측변의 다른 하나의 변을 밖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 중 다른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측판 하방에 상기 조합 저장 영역 중 하나의 서브 저장 영역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는 상기 두개의 인접 저장 컨테이너의 두개의 인접 측판이고, 각각의 측판의 일변은 각자의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2개의 측판의 다른 하나의 변을 밖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2개의 측판을 수평 상태를 이루면서 각각의 측판 하방에 상기 2개의 서브 저장 영역 중 하나의 서브 저장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판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지지체를 이용하여 상기 2개의 측판의 상기 다른 하나의 변을 지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의 조립 방법.
  52. 재료 상자를 캐치하고, 승강 가능한 손잡이 플랫폼 및 상기 손잡이 플랫폼에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재료 상자의 프레임을 캐치하기 위한 재료 상자 캐치 수단에 있어서,
    정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수단은 상기 손잡이 플랫폼의 구석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정렬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정렬 부재는 수직되게 아래를 향해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밖으로 연장되는 정렬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재료 상자 캐치 수단이 이미 상기 재료 상자를 캐치했을 경우, 모든 정렬 부재의 수직 연장부는 모두 상기 재료 상자의 프레임 외면에 바짝 붙고, 상기 정렬 경사면은 모두 상기 재료 상자의 저부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정렬 경사면은 캐치된 상기 재료 상자와 하나의 하방의 제2 재료 상자가 수직 방향에서 편차가 있을 경우, 상기 정렬 경사면과 상기 제2 재료 상자의 프레임의 윗쪽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상자 캐치 수단.
  53. 제5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정렬 부재의 수직 연장부는 제1 정렬 플레이트 및 제2 정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렬 플레이트 및 제2 정렬 플레이트는 서로 수직되어 상기 정렬 부재가 수평면에 평행되는 횡단면이 L형을 나타내도록 하며, 상기 제1 정렬 플레이트 및 제2 정렬 플레이트는 캐치된 상기 재료 상자의 두개의 인접 측벽의 외면에 바짝 붙고, 상기 정렬 경사면은 상기 제1 정렬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밖으로 연장되는 제1 정렬 경사면 및 상기 제2 정렬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밖으로 연장되는 제2 정렬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상자 캐치 수단.
  54. 제53항에 있어서,
    각각의 정렬 부재의 상기 제1 정렬 경사면과 상기 제2 정렬 경사면은 교차되고; 각각의 정렬 부재에 대해 그 제1 정렬 플레이트 및 제2 정렬 플레이트는 제1 교차선을 구비하며, 그 제1 정렬 경사면 및 제2 정렬 경사면은 제2 교차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교차선 및 제2 교차선은 동일한 수직 평면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상자 캐치 수단.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수단은 각각의 정렬 부재에 대응되게 상기 손잡이 플랫폼와 고정되는 장착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정렬 부재는 상기 장착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 플랫폼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 부재와 상기 정렬 부재 사이에는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감쇠력은 상기 제2 재료 상자가 상기 정렬 경사면에 인가하는 추력이 수직 방향에서의 분력보다 크게 설계되며;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손잡이 플랫폼으로부터 수직되게 아래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장착 부재에 고정된 제1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정렬 부재에 고정된 제2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 및 제2 슬라이딩 레일은 슬라이딩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상자 캐치 수단.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플랫폼은 각각의 정렬 부재에 대응되게 장착홀이 설치되고, 상기 정렬 부재는 상기 장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상자 캐치 수단.
  57.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 및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하나로 조합되어 조합 저장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내에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인출 로봇 및 상기 인출 로봇 하방에 위치하는 다수의 재료 상자가 설치되고, 상기 재료 상자는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출 로봇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서 왕복 운행을 하여 상기 재료 상자에 대해 인입 및 인출 조작을 진행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의 판체에 고정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 내에는 입출고 장치가 설치되어 화물의 입출고 조작을 수행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상기 조합 저장 영역과 연통되어 상기 인출 로봇이 상기 조합 저장 영역 및 상기 입출고 장치 사이에서 재료 상자를 운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정의하고, 상기 저장 컨테이너 내에 위치하는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조합되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조합되는 상기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에 수직되며,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기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가 형성한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고 컨테이너는 적어도 두개의 입출고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입출고 컨테이너는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합되고 내부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60. 제59항에 있어서,
    각각의 입출고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입출고 컨테이너가 조합 시 인접한 단판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61. 제58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조합되는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기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조합되고 내부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62. 제6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는 모두 컨테이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는 밑판, 최상판, 상기 밑판과 최상판 장변을 연결하는 2개의 측판, 및 상기 밑판과 최상판 단변을 연결하는 2개의 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 컨테이너가 길이 방향에서 조합 시 인접한 단판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63.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 내에 레일 스위칭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 스위칭 장치는 과도 레일 및 레일 스위칭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과도 레일은 상기 레일 스위칭 컨테이너의 최상판 또는 측판에 고정되고, 상기 과도 레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 내의 레일 어셈블리의 말단과 수직되며;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은 상기 과도 레일에 위치하고 상기 과도 레일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은 상기 인출 로봇을 받아 상기 인출 로봇이 상기 과도 레일을 따라 상기 목표 운행 레일에 운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 스위칭 로봇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말단과 매칭되는 버트 조인트 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6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는 진열대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대는 상기 입출고 컨테이너의 밑판에 설치되고 상기 과도 레일 하방에 위치하여 재료 상자를 임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는 분류 기기 및 화물 수송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 기기는 진열대에 보관된 재료 상자에 대해 화물 분류를 진행하고, 상기 화물 수송 기기는 화물에 대해 운반 입출고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KR1020217005236A 2018-09-18 2019-09-18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KR20210058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090472.5 2018-09-18
CN201811090472 2018-09-18
PCT/CN2019/106526 WO2020057571A1 (zh) 2018-09-18 2019-09-18 可移动式密集存拣装置、组合式仓储系统及其组装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818A true KR20210058818A (ko) 2021-05-24

Family

ID=6476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236A KR20210058818A (ko) 2018-09-18 2019-09-18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79364A1 (ko)
EP (1) EP3845474A4 (ko)
JP (1) JP7366123B2 (ko)
KR (1) KR20210058818A (ko)
CN (3) CN109051490A (ko)
SG (1) SG11202102062QA (ko)
WO (1) WO2020057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1490A (zh) * 2018-09-18 2018-12-21 深圳市鲸仓科技有限公司 可移动式密集存拣装置
NO345766B1 (en) * 2018-10-12 2021-07-19 Autostore Tech As A mobile storage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mobile storage system
CN110626692A (zh) * 2019-09-18 2019-12-31 深圳市鲸仓科技有限公司 可移动式密集存拣装置、组合式仓储系统及其组装方法
CN110980070A (zh) * 2019-11-02 2020-04-10 王燏斌 一种用于仓储系统的拣选装置
EP4164967A1 (en) * 2020-06-11 2023-04-19 Nimble Robotics, Inc. Automated delivery vehicle
CN114643205B (zh) * 2020-12-18 2023-07-04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多品种机器人物料拣选装置及方法
CN112849875B (zh) * 2020-12-31 2022-06-24 隆链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密集式智能仓储货到人快速分拣系统及其方法
CN113443356A (zh) * 2021-06-28 2021-09-28 惠州市合为兴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可自动上料装配下料一体式设备
NO20211300A1 (en) * 2021-10-29 2023-05-01 Autostore Tech As Robotic container handler, an access and distribution station, a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EP4190723A1 (de) * 2021-12-02 2023-06-07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Verfahren und eine kommissioniervorrichtung zum zusammenstellen von verbrauchsmaterialien in form von portionen und packungen
CN114178755B (zh) * 2021-12-27 2024-05-31 佛山市艾乐博机器人股份有限公司 五金容器复底对中移栽系统及方法
CN114261677B (zh) * 2022-01-29 2023-03-14 上海方仓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密度立体仓库
CN114394362B (zh) * 2022-02-09 2022-11-15 深圳市米塔机器人有限公司 一种仓储货物的出库方法、入库方法及搬运机器人
EP4245697A1 (en) * 2022-03-15 2023-09-20 VOLUME Lagersysteme GmbH Shuttle for use in a three-dimensional warehouse system
CN115108229B (zh) * 2022-06-14 2023-08-04 盈合(深圳)机器人与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分拣系统
CN115196359A (zh) * 2022-07-27 2022-10-18 郭均 一种物流货箱锁定装置及锁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3280A (en) * 1972-11-13 1974-09-03 Ibm Automatic storage apparatus
JPH08324709A (ja) * 1995-05-30 1996-12-10 Kawasaki Heavy Ind Ltd 立体自動倉庫付輸送機器
JPH0958863A (ja) * 1995-08-23 1997-03-04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積込み装置
DE20012761U1 (de) * 2000-07-24 2000-11-30 Lista Gmbh Lagereinrichtung, insbesondere Regal oder Schrank mit frontseitigem Verschlußsystem
JP4977760B2 (ja) 2006-10-31 2012-07-18 ファイザー・プロダクツ・インク 鉱質コルチコイド受容体拮抗薬としてのピラゾリン化合物
CN201169390Y (zh) * 2008-02-04 2008-12-24 姜广峻 货物分拣分装设备
US8156872B2 (en) * 2008-06-03 2012-04-17 Kaci Intermodal Systems, Llc System, network and method for transporting cargo
DE102011052497A1 (de) * 2010-10-13 2012-04-19 Detlef Henry Friedrich Schienentransportsystem für die Beladung und Entladung der Kombüse eines Flugzeuges
CN102085957B (zh) * 2011-02-09 2012-08-01 广运机电(苏州)有限公司 自动化立体仓储系统
TW201302013A (zh) * 2011-06-20 2013-01-01 Hon Hai Prec Ind Co Ltd 貨櫃資料中心
CN204280472U (zh) * 2014-12-03 2015-04-22 西安科技大学 基于射频识别的三维立体物流系统
JP2016141496A (ja) 2015-01-30 2016-08-08 株式会社ダイフク 表示用携帯端末利用の搬送用容器保管設備
EP3303188B1 (en) * 2015-06-02 2023-11-29 Alert Innovation In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P3115319B1 (de) * 2015-07-09 2019-08-28 Schmitz Cargobull AG Nutzfahrzeug zum versenden von versandgut
CN105057219B (zh) * 2015-07-22 2018-11-27 杭州亚美利嘉科技有限公司 包裹分捡系统及方法
FR3042182B1 (fr) * 2015-10-13 2020-09-18 Exotec Solutions Systeme de preparation de commandes
CN205345971U (zh) * 2016-02-04 2016-06-29 唐山创通科技有限公司 智能化密集立体库
TWI580624B (zh) * 2016-05-24 2017-05-01 yu-quan Huang 模組化倉儲
CN106005866B (zh) * 2016-07-19 2018-08-24 青岛海通机器人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机器人的智能仓储系统
CN106429161B (zh) * 2016-11-29 2018-11-20 深圳罗伯泰克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物流出入库系统
CN106395370B (zh) * 2016-11-29 2019-04-30 深圳罗伯泰克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货框夹持器
CN106826820B (zh) * 2017-01-16 2020-06-05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直角坐标机器人的控制方法及系统
CN207551082U (zh) * 2017-09-13 2018-06-29 成都九十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楼宇送货系统的自动存取快递投递箱
CN107572377B (zh) * 2017-11-10 2019-04-19 山东鲁新起重设备有限公司 起重机对准装置
CN207417685U (zh) * 2018-01-29 2018-05-29 谢昌华 一种自动仓库单元及组合式自动仓库
CN108527322B (zh) * 2018-04-09 2020-07-31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拣选装置和拣选方法
US20210253339A1 (en) * 2018-06-21 2021-08-19 Swisslog Bv Container structure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and adjustment mechanism
CN208882651U (zh) * 2018-09-18 2019-05-21 深圳市鲸仓科技有限公司 自动仓储系统的商品拣选组件
CN208882650U (zh) * 2018-09-18 2019-05-21 深圳市鲸仓科技有限公司 可移动式密集存拣装置
CN208882924U (zh) * 2018-09-18 2019-05-21 深圳市鲸仓科技有限公司 料箱抓取机构
CN109051490A (zh) * 2018-09-18 2018-12-21 深圳市鲸仓科技有限公司 可移动式密集存拣装置
CN109019005A (zh) * 2018-09-18 2018-12-18 深圳市鲸仓科技有限公司 料箱抓取机构
NO345766B1 (en) * 2018-10-12 2021-07-19 Autostore Tech As A mobile storage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mobile stor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6123B2 (ja) 2023-10-20
JP2022500327A (ja) 2022-01-04
WO2020057571A1 (zh) 2020-03-26
EP3845474A1 (en) 2021-07-07
EP3845474A4 (en) 2021-11-03
US20210179364A1 (en) 2021-06-17
CN115724099A (zh) 2023-03-03
CN112566853B (zh) 2022-10-28
CN109051490A (zh) 2018-12-21
SG11202102062QA (en) 2021-04-29
CN112566853A (zh)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8818A (ko) 이동 가능 밀집 저장 및 분류 장치, 조합형 창고 보관 시스템 및 그 조립 방법
US12006149B2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7399924B2 (ja) アイテムをピッキ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422231B1 (ko) 모듈형 보관 시스템 및 방법
JP2022518087A (ja) 配送サイトと配送方法
KR20230079504A (ko) 물품을 피킹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0626692A (zh) 可移动式密集存拣装置、组合式仓储系统及其组装方法
CN112158498B (zh) 一种库位单元、立体仓库及其货物存储方法
CN218950120U (zh) 仓储系统
CN211443714U (zh) 可移动式密集存拣装置及组合式仓储系统
US20210323769A1 (en) Transport rack cartridge (trc)
TW201632437A (zh) 儲存及取回系統
US20240067449A1 (en) Matrix-picking
KR20240018657A (ko) 창고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4359175A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kommissionieren von flatpack-artikeln
JP2024520605A (ja) グリッドフレームワーク構造
JP2024520606A (ja) 収納及び取出しシステム
EP4359324A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kommissionieren von flatpack-artikel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