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751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751A
KR20210058751A KR1020207037610A KR20207037610A KR20210058751A KR 20210058751 A KR20210058751 A KR 20210058751A KR 1020207037610 A KR1020207037610 A KR 1020207037610A KR 20207037610 A KR20207037610 A KR 20207037610A KR 20210058751 A KR20210058751 A KR 2021005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ice straw
blade
disk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오토쿠라
보 장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0Arrangements of straw crush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2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having rotating knives with their cutting edge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ir rotatio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콤바인 (100) 은, 탈곡 장치 (3) 의 후방 하부에서 배출볏짚을 처리하는 세단 장치 (7) 를 구비하고, 세단 장치 (7) 는,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초퍼축 (711) 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나선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절단날 (712) 과, 초퍼축 (711) 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자유 회전하는 자유 회전축 (721) 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된 복수의 원판날 (722) 을 갖고, 교대로 배열된 절단날 (712) 과 원판날 (722) 사이에서 배출볏짚을 절단한다.

Description

콤바인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탈곡 장치의 후방 하부에 배출짚 절단 장치를 형성한 콤바인에 있어서, 원판날을 좌우로 나열하여 가로로 가설되어 축 지지된 1 쌍의 회전날을 서로의 속도차에 의해 배출짚을 전단하는 상태에서 대향 배비한 콤바인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원판날에 있어서 배출볏짚 (배출짚) 에 작용하는 것은, 주로 그 최외주 가장자리이고, 이송 작용이 작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15841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배출볏짚의 이송 작용을 향상시켜 절단 처리 능력을 높인 배출볏짚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콤바인은, 탈곡 장치의 후방 하부에서 배출볏짚을 처리하는 배출볏짚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볏짚 처리 장치는,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나선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절단날과,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자유 회전하는 자유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된 복수의 원판날을 갖고, 교대로 배열된 상기 절단날과 상기 원판날 사이에서 배출볏짚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절단날이 나선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원판날에 비하여, 배출볏짚의 이송 작용을 향상시켜 절단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보다 하방이고 상기 자유 회전축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판상의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원판날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슬릿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유 회전축에 대한 배출볏짚의 감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원판날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원판날의 좌우 방향의 기울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볏짚이 프레임에 의해 안내되어, 절단날과 원판날의 절단 처리 위치에 적절히 반송되기 때문에, 절단 처리 능력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의 회전 궤적의 전단이, 상기 원판날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탈곡 장치로부터 반출된 배출볏짚이 원판날보다 먼저 절단날에 접촉되기 때문에, 배출볏짚이 배출볏짚 처리 장치 중에서 체류하지 않고 반송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축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원판날은 상기 자유 회전축에 삽입 통과되는 다각형의 삽입 통과공을 갖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판날이 자유 회전축에 대해 자유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배출볏짚의 접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원판날의 회전력이 적절히 자유 회전축에 전달된다. 그 결과, 모든 원판날이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일부의 원판날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볏짚의 이송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탈곡 장치와 선별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세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자유 회전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세단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콤바인의 전동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는, 2 번 풍구 및 2 번 컨베이어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콤바인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조]
우선, 콤바인의 전체 구조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 ∼ 3 은, 각각,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 (100) 의 좌측면, 우측면, 및 평면을 나타낸다. 도면 중에는, 콤바인 (100) 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콤바인 (100) 은, 주행 장치 (1) 와, 예취 장치 (2) 와, 반송 장치 (2a) 와, 탈곡 장치 (3) 와, 선별 장치 (4) 와, 저류 장치 (5) 와, 동력 장치 (6) 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 (100) 은, 외부로 배출하는 탈곡 처리물인 배출볏짚을 세단하기 위한 세단 장치 (7) (배출볏짚 처리 장치에 상당한다) 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장치 (1) 는, 기체 프레임 (10) 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주행 장치 (1) 는, 트랜스미션 (11) 과, 좌우 1 쌍에 형성된 크롤러 장치 (12) 를 갖는다. 트랜스미션 (11) 은, 기체 프레임 (10) 에 탑재된 엔진 (61) 의 동력을 크롤러 장치 (12) 에 전달한다. 크롤러 장치 (12) 는, 콤바인 (100) 을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거나, 콤바인 (100) 을 좌우 방향으로 선회시키거나 한다.
예취 장치 (2) 는, 주행 장치 (1) 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예취 장치 (2) 는, 릴 (21) 과, 커터 (예취날) (22) 와, 오거 (횡이송 스크루) (23) 를 갖는다. 또, 예취 장치 (2) 의 후방에 형성되는 반송 장치 (2a) 는, 반송 컨베이어 (24) 와 프론트 로터 (25) (도 4 참조) 를 갖는다. 릴 (21) 은, 회전함으로써 포장 (圃場) 의 곡간 (穀稈) 을 커터 (22) 로 안내한다. 커터 (22) 는, 릴 (21) 에 의해 안내된 곡간을 절단한다. 오거 (23) 는, 커터 (22) 에 의해 절단된 곡간을 소정의 위치에 집합시킨다. 반송 컨베이어 (24) 는, 오거 (23) 에 의해 집합시킨 곡간을 프론트 로터 (25) 까지 반송한다. 프론트 로터 (25) 는, 반송 컨베이어 (24) 가 반송해 온 곡간을 탈곡 장치 (3) 로 이송한다.
탈곡 장치 (3) 는, 예취 장치 (2) 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 (3) 는, 급동 (扱胴) (31) 을 수용하는 급실 (30) 과, 급실 (30) 의 전후벽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급동축 (311) 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급동 (31) 과, 급동 (31) 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수망 (受網) (32) (도 4 참조) 을 갖는다. 탈곡 장치 (3) 의 좌측에는, 급동 (31) 의 좌측방을 커버하는 사이드 커버 (33) 가 장착되어 있다. 급동 (31) 은, 회전함으로써 곡간을 탈곡하면서 후방으로 반송한다. 수망 (32) 은, 급동 (31) 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을 지지함과 함께, 탈곡물을 선별 장치 (4) 로 낙하시킨다. 급동 (31) 의 하방에는, 곡립 반송용의 스크루 컨베이어인 1 번 컨베이어 (143) 와 2 번 컨베이어 (144) (도 4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모두 탈곡 처리된 곡립을 수평 방향 (좌우 방향) 으로 반송한다.
선별 장치 (4) 는, 탈곡 장치 (3) 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선별 장치 (4) 는, 급동 (31) 으로부터 낙하한 탈곡물을 선별하는 요동 선별체 (41) 와, 송풍 장치인 풍구 (42) 를 갖는다. 요동 선별체 (41) 는, 탈곡물을 체질하여 곡립을 선별한다. 요동 선별체 (41) 에서 선별된 곡립은, 1 번 컨베이어 (143) 와 양곡 컨베이어 (151) 에 의해 반송되고, 투입구 (153) 를 통하여 그레인 탱크 (51) 에 투입된다. 풍구 (42) 는, 탈곡물에 포함되는 짚 부스러기 등의 협잡물을 날려 버린다. 짚 부스러기 등의 협잡물은, 선별 장치 (4) 의 후방에 형성된 세단 장치 (7) 에 의해 세단되어, 배출볏짚구 (721) 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저류 장치 (5) 는, 탈곡 장치 (3) 및 선별 장치 (4) 의 우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탈곡 장치 (3) 및 선별 장치 (4) 와 저류 장치 (5) 는, 주행 장치 (1) 의 상방에서 좌우에 병렬 배치된다. 저류 장치 (5) 는, 곡립을 저류시키기 위한 그레인 탱크 (51) 를 구비한다. 그레인 탱크 (51) 는, 선별 장치 (4) 로부터 1 번 컨베이어 (143) 및 양곡 컨베이어 (151) 를 통하여 반송되어 온 곡립을 저류시킨다. 그레인 탱크 (51) 내의 곡립을 배출할 때에는, 배출 오거 (52) 가 사용된다. 배출 오거 (52) 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 (回動)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곡립을 임의의 장소로 배출할 수 있다.
동력 장치 (6) 는, 운전부 (13) 의 하방이고 또한 저류 장치 (5) 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동력 장치 (6) 는, 엔진 (61)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엔진 (61) 은, 디젤 엔진으로서,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엔진 (61) 은,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에너지를, 주행 장치 (1) 등 각 부를 구동시키는 동력으로 변환한다. 동력 장치 (6) 는, 전기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여도 상관없다. 또, 동력 장치 (6) 는 엔진 (61) 과 전동 모터의 쌍방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운전부 (13) 는, 그레인 탱크 (51) 의 전방에서 기체 프레임 (10) 의 우측 전부 (前部) 에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 (13) 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 (14) 이나, 그 운전 좌석 (14) 의 전방에 배치된 조향 핸들 (15) 이 설치되고, 그것들의 주위에 변속 레버나 클러치 레버, 스위치류 등 여러 가지의 조작구가 배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 (3) 는, 급실 (30) 과, 급동 (31) 과, 수망 (32) 을 갖는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 (30) 은, 수망 (32), 기계 케이싱 (300), 상부 커버 (301), 및, 곡간 안내 부재 (302) 등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기계 케이싱 (300) 은, 급동 (31) 의 전방에 배치된 전벽 부재 (303) 와, 급동 (31) 의 후방에 배치된 후벽 부재 (304) 와, 급동 (31) 의 우측방에 배치된 우측벽 부재 (305) 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 (301) 는, 급동 (31) 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고, 기계 케이싱 (300) 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곡간 안내 부재 (302) 는,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는 자세로 형성되고, 프론트 로터 (25) 에 의해 이송된 곡간을 수망 (32) 으로 안내한다.
급동 (31) 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급동축 (311) 과, 레이킹 스크루 (312) 와, 투스 바 (급치 (扱齒) 지지 부재) (313) 를 갖는다. 급동 (31) 의 구동축인 급동축 (311) 에는, 후술하는 전동 구조에 의해 엔진 (61) 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된다. 레이킹 스크루 (312) 는, 급동 (31) 의 전부에 배치되고, 그 레이킹 스크루 (312) 의 후방에, 급동축 (311) 을 중심으로 복수의 투스 바 (313) 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급동축 (311) 은, 직선상으로 형성된 구조체로서, 레이킹 스크루 (312) 와 복수의 투스 바 (313) 를 지지한다. 급동축 (311) 은, 급실 (30) 을 형성하는 전벽 부재 (303) 및 후벽 부재 (304)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급동축 (311) 의 전단부는, 전벽 부재 (303) 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레이킹 스크루 (312) 는, 나선상의 임펠러 (레이킹 날개) (312b) 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구조체이다. 레이킹 스크루 (312) 는, 프론트 로터 (25) 에 의해 이송되어 온 곡간을 레이킹한다. 요컨대, 레이킹 스크루 (312) 는, 회전함으로써, 프론트 로터 (25) 에 의해 이송되어 온 곡간을 거둬들여 후방으로 송출한다. 레이킹 스크루 (312) 는, 나선상의 임펠러 (312b) 가 형성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구조여도 상관없다.
투스 바 (313) 는, 복수의 급치 (313t) 가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구조체이다. 투스 바 (313) 는, 레이킹 스크루 (312) 가 송출한 곡간을 탈곡한다. 요컨대, 투스 바 (313) 는, 회전함으로써, 레이킹 스크루 (312) 가 송출한 곡간을 비비고, 또 타격하여 탈곡물을 떨어뜨린다. 급동 (31) 에서 탈곡 처리된 곡간의 일부나 먼지 등은, 급동 (31) 의 후방으로 유하되고, 탈곡 장치 (3) 의 후방으로부터 배출된다. 투스 바 (313) 는, 복수의 급치 (313t) 를 갖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나선상의 블레이드를 갖는 구조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투스 바 (313) 와, 각 투스 바 (313) 끼리에 걸쳐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재 (314) 에 의해 급동 (31) 의 내부 공간과 급동 (31) 의 외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전체적으로 원통상을 이루는 회전체를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원통 형상의 회전체에 복수의 급치 (313t) 를 구비한 구조로 해도 된다.
수망 (32) 은, 주로 망체 (32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투스 바 (313) 에 의해 구성되는 회전체의 하방을 덮도록, 망체 (321) 가 형성되어 있다. 망체 (321) 는,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와이어를 둘러친 구조체이다. 망체 (321) 는, 투스 바 (313) 에 의해 비벼지는 곡간을 지지한다. 또, 망체 (321) 는, 그 간극으로부터 탈곡물을 선별 장치 (4) 로 낙하시킨다. 망체 (321) 의 좌단부와 우단부는, 기계 케이싱 (300) 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선별 장치]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선별 장치 (4) 는, 요동 선별체 (41) 와, 풍구 (42) 를 구비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체 (41) 는, 피드 팬 (411) 과, 채프 시브 (412) 와, 스트로 랙 (413) 을 갖고, 이것들이 서로 연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드 팬 (411) 의 후방에 채프 시브 (412) 가 배치되어 있고, 그 채프 시브 (412) 의 후방에 스트로 랙 (413) 이 배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체 (41) 의 하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요동축 (41a) 의 회전에 연동하여 요동 선별체 (41) 를 전후로 요동하는 편심 캠식의 요동 구동 기구 (410) 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 선별체 (41) 의 구동축인 요동축 (41a) 에는, 후술하는 전동 구조에 의해 회전 동력이 전달된다.
피드 팬 (411) 은, 넓고 평평하게 형성된 구조체이다. 피드 팬 (411) 은, 수망 (32) 으로부터 낙하해 온 탈곡물을 받아 들인다. 또, 피드 팬 (411) 은, 전후로 요동함으로써, 피드 팬 (411) 상의 탈곡물을 평균화하면서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탈곡물은, 비스듬하게 장착된 핀 (411f) 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도 고르게 펼칠 수 있다.
채프 시브 (412) 는, 복수의 시브 플레이트 (412p) 가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평행하게 장착된 구조체이다. 시브 플레이트 (412p) 의 각도는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채프 시브 (412) 는, 전후로 요동함으로써, 피드 팬 (411) 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탈곡물을 체질한다. 이로써, 탈곡물에 혼입되어 있는 협잡물을 떠오르게 하여, 곡립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채프 시브 (412) 는, 탈곡물로부터 곡립의 선별 (「정밀 선별」) 을 실시한다. 정밀 선별 후의 탈곡물 (곡립만을 포함하는「1 번 처리물」) 은, 체망 (415) 를 통과한 후에, 제 1 유곡판 (431) 에서 안내되어 1 번 홈통 (43) 으로 낙하하고, 1 번 컨베이어 (143) 에서 우측방으로 반송된다. 1 번 컨베이어 (143)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1 번 스크루축 (143a) 의 회전에 수반하여 곡립을 반송한다. 1 번 컨베이어 (143) 의 구동축인 1 번 스크루축 (143a) 에는, 후술하는 전동 구조에 의해 회전 동력이 전달된다. 채프 시브 (412) 위에 남은 탈곡물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스트로 랙 (413) 으로 이송된다.
스트로 랙 (413) 은, 복수의 랙 플레이트 (413p) 가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평행하게 장착된 구조체이다. 스트로 랙 (413) 은, 전후로 요동함으로써, 채프 시브 (412) 로부터 이송되어 온 탈곡물을 체질한다. 이로써, 탈곡물에 혼입되어 있는 비교적 큰 협잡물을 지지하여, 곡립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스트로 랙 (413) 은, 탈곡물로부터 곡립의 선별 (「정밀 선별」) 을 실시한다. 정밀 선별 후의 탈곡물 (곡립과 소수의 작은 협잡물을 포함하는「2 번 처리물」) 은, 제 2 유곡판 (441) 에서 안내되어 2 번 홈통 (44) 으로 낙하한다. 2 번 홈통 (44) 으로 낙하한 탈곡물은, 2 번 컨베이어 (144) 에서 우측방으로 반송되고, 선별 장치 (4) 의 전단측으로 환원 반송되여, 다시 선별 처리에 제공된다. 2 번 컨베이어 (144)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2 번 스크루축 (144a) 의 회전에 수반하여 곡립을 반송한다. 2 번 컨베이어 (144) 의 구동축인 2 번 스크루축 (144a) 에는, 후술하는 전동 구조에 의해 회전 동력이 전달된다. 스트로 랙 (413) 위에 남은 탈곡물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풍구 (42) 는, 요동 선별체 (41) 의 전부 하방에 배치되고, 요동 선별체 (41) 를 향하여 선별풍을 공급한다. 풍구 (42) 는, 팬부 (421) 와, 케이스부 (422) 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드 팬 (411) 의 하방에 팬부 (421) 가 배치되고, 그 팬부 (421) 를 덮도록 케이스부 (422) 가 배치되어 있다. 팬부 (421)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풍구축 (42a) 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있다. 팬부 (421) 는, 풍구축 (42a)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풍구 (42) 의 구동축인 풍구축 (42a) 에는, 후술하는 전동 구조에 의해 엔진 (61) 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된다.
팬부 (421) 는, 복수의 팬 플레이트 (421p) 가 소정의 각도로 장착된 구조체이다. 팬부 (421) 는, 채프 시브 (412) 나 스트로 랙 (413) 을 향하여 바람을 보내어, 협잡물을 날려 버린다. 요컨대, 팬부 (421) 는, 회전하여 바람을 송출함으로써, 채프 시브 (412) 나 스트로 랙 (413) 에 실린 짚 부스러기, 및 그것들로부터 낙하한 짚 부스러기 등을 날려 버린다. 이로써, 탈곡물에 혼입되어 있는 비교적 작은 협잡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팬부 (421) 는, 탈곡물로부터 곡립의 선별을 실시한다. 선별 후의 탈곡물 (곡립만을 포함한다) 은, 제 1 유곡판 (431) 에서 안내되어 1 번 홈통 (43) 으로 낙하한다. 혹은, 선별 후의 탈곡물 (곡립과 소수의 작은 협잡물을 포함한다) 은, 제 2 유곡판 (441) 에서 안내되어 2 번 홈통 (44) 으로 낙하한다.
케이스부 (422) 는,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구조체이다. 케이스부 (422) 는, 팬부 (421) 를 덮음과 함께, 그 팬부 (421) 가 송출한 바람을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부 (422) 는, 팬부 (421) 가 송출한 바람을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선별 장치 (4) 는, 2 번 풍구 (423) 를 추가로 구비한다. 2 번 풍구 (423) 는, 2 번 팬부 (424) 와 2 번 케이스부 (425) 를 구비한다. 2 번 팬부 (424) 는, 2 번 풍구축 (423a)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세단 장치]
선별 장치 (4) 의 후방에는, 탈곡 장치 (3) 나 선별 장치 (4) 로부터 반출된 짚 부스러기 등의 배출볏짚을 세단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세단 장치 (7) 가 형성되어 있다. 세단 장치 (7) 는, 급실 (30) 의 후방 하부에서 배출볏짚을 세단하는 초퍼 (71) 와, 초퍼 (71) 의 하방에 형성된 자유 회전날 (72) 과, 초퍼 (71) 및 자유 회전날 (72) 을 덮는 초퍼 후드 (73) 와, 초퍼 후드 (73) 의 후방에 형성된 배출볏짚구 커버 (74) 를 갖는다.
초퍼 (71)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초퍼축 (711) (구동축에 상당한다) 과, 초퍼축 (711) 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절단날 (712) 을 구비한다. 복수의 절단날 (712) 은, 초퍼축 (711) 의 축선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나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절단날 (712) 은, 초퍼축 (711) 의 길이 방향이 되는 좌우 방향과, 초퍼 (71) 의 회전 방향을 따른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되어 있다. 초퍼 (71) 는, 초퍼축 (711)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초퍼 (71) 의 구동축인 초퍼축 (711) 에는, 후술하는 전동 구조에 의해 회전 동력이 전달된다. 초퍼 (71) 의 회전 방향은, 좌측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이다.
자유 회전날 (72) 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자유 회전축 (721) 과, 복수의 원판날 (722) 을 구비한다. 자유 회전축 (721) 은, 초퍼축 (711) 과 평행해지도록 배치된다. 또, 자유 회전축 (721)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퍼축 (711)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자유 회전축 (721) 은, 좌우 1 쌍의 베어링 (723) 에 의해 초퍼 후드 (73) 의 좌우의 측벽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자유 회전축 (721) 은, 제 1 회전축 (7211) 과 제 2 회전축 (7212) 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회전축 (7211) 은,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 제 1 회전축 (7211) 은, 내부에 단면 육각형의 중공부 (7211a)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회전축 (7211) 은, 육각형의 통상을 하고 있다. 제 2 회전축 (7212) 은, 제 1 회전축 (7211) 의 중공부 (7211a) 에 끼워 맞추는 단면 육각형의 축부 (7212a) 를 갖고 있다. 제 2 회전축 (7212) 이 베어링 (723) 을 통하여 초퍼 후드 (73)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 (723) 은, 브래킷 (723a) 에 의해 초퍼 후드 (73) 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회전축 (7211) 의 단면 형상은, 육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면 된다.
복수의 원판날 (722) 은, 자유 회전축 (721) 의 축선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웃하는 원판날 (722) 사이에는, 제 1 회전축 (7211) 에 삽입 통과되는 원통상의 컬러 (724) 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724) 는, 원판날 (722) 을 위치 결정하고, 원판날 (722) 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컬러 (724) 는, 육각형의 통상이어도 된다.
원판날 (722) 에는, 제 1 회전축 (7211) 에 삽입 통과되는 육각형의 삽입 통과공 (722a) 이 형성되어 있다. 원판날 (722) 의 삽입 통과공 (722a) 과 제 1 회전축 (7211) 의 단면은, 서로 끼워 맞추는 육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로써, 원판날 (722) 이 자유 회전축 (721) 에 대해 자유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배출볏짚의 접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원판날 (722) 의 회전력이 적절히 자유 회전축 (721) 에 전달된다. 그 결과, 모든 원판날 (722) 이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일부의 원판날 (722) 이 회전하지 않는 (이송 작용을 발휘하지 않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볏짚의 이송 작용이 높아진다.
초퍼 (71) 의 절단날 (712) 과 자유 회전날 (72) 의 원판날 (722) (바꿔 말하면, 각 절단날 (712) 의 회전 궤적 (712f) (도 4 참조) 의 하단부와 각 회원판날 (722) 의 상단부) 은,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각 절단날 (712) 이 이웃하는 원판날 (722) 사이를 회전하면서 통과한다. 이로써, 교대로 배열된 절단날 (712) 과 원판날 (722) 사이에서 배출볏짚이 절단된다. 이 때, 원판날 (722) 은, 좌측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복수의 절단날 (712) 을 나선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원판날에 비하여 배출볏짚의 이송 작용을 높일 수 있고, 절단 처리 능력이 높아진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 (712) 의 회전 궤적 (712f) 의 전단이, 원판날 (722) 의 전단 (722f)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급실 (30) 로부터 반출된 배출볏짚이 원판날 (722) 보다 먼저 절단날 (712) 에 접촉되기 때문에, 배출볏짚이 초퍼 후드 (73) 중에서 체류하지 않고 반송된다. 또, 회전하는 절단날 (712) 의 직경은, 원판날 (722) 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어, 배출볏짚의 이송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초퍼 후드 (73) 에는, 후방을 향하여 개구된 배출볏짚구 (731) 가 형성되어 있고, 세단된 배출볏짚은, 이 배출볏짚구 (731) 를 통하여 배출된다.
초퍼 후드 (73) 는, 초퍼축 (711) 및 자유 회전축 (721) 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초퍼 후드 (73) 는, 자유 회전축 (721) 의 상방에 배치된 판상의 프레임 (732) 을 지지하고 있다. 자유 회전축 (721) 의 상방에 프레임 (732) 을 형성함으로써, 자유 회전축 (721) 에 대한 배출볏짚의 감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732) 은, 회전하는 절단날 (712) 의 회전 궤적 (712f) 의 최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프레임 (732) 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부재이고, 프레임 (732) 의 전부는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프레임 (732) 에는, 전후 방향으로 장척의 복수의 슬릿 (732a) 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 (732a) 은, 좌우 방향의 폭이 원판날 (722) 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고, 원판날 (722) 의 일부가 슬릿 (732a)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원판날 (722) 이 프레임 (732) 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원판날 (722) 의 좌우 방향의 기울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프레임 (732) 을 형성함으로써, 배출볏짚이 프레임 (732) 에 의해 안내되어, 절단날 (712) 과 원판날 (722) 의 절단 처리 위치에 적절히 반송되고, 절단 후의 배출볏짚도 후방으로 적절히 반송된다.
배출볏짚구 커버 (74) 는,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천판 (741) 과, 좌우 1 쌍으로 형성된 측판 (742) 과, 그 1 쌍의 측판 (742) 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안내판 (743) 을 구비한다. 천판 (741) 과 1 쌍의 측판 (742) 은, 배출볏짚구 (731) 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배출볏짚구 커버 (74) 의 하부 및 후부는 개방되어 있다. 안내판 (743) 은, 후방을 향하여 우측으로 경사진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배출볏짚구 (731) 로부터 배출된 배출볏짚은, 하방을 향하여 또한 우측 비스듬히 뒤를 향하여 안내된다.
[동력 전동 기구]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 (100) 은, 급동 (31) 의 전방에서 급동축 (311) 에 연동 연결된 급동 입력축 (315) 을 구비한다. 벨트 전동 기구 (81) 는, 탈곡 장치 (3) 및 선별 장치 (4) 의 우측에서 급동 입력축 (315) 과 제 1 카운터축 (45) 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급동 입력축 (315) 과 제 1 카운터축 (45) 에 걸쳐 전동 벨트 (81b) 가 걸쳐져 있다. 엔진 (61) 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은, 엔진 (61) 의 출력축 (61a) 으로부터 벨트 전동 기구 (83) 를 통하여 제 1 카운터축 (45) 의 우단부에 전달되고, 벨트 전동 기구 (81) 에 의해 급동 입력축 (315) 의 우단부에 전달된다. 벨트 전동 기구 (83) 에는, 전동 벨트 (83b) 를 긴장 또는 이완시켜 동력을 접속 또는 절단하는 탈곡 클러치 (83c) 가 구비되어 있다.
급동 입력축 (315) 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좌단부가 급동축 (311) 의 전단부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급동 입력축 (315) 은, 기어 케이스 (317c) (도 4 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로 덮인 베벨 기어 기구 (317) 를 통하여 급동축 (311) 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급동축 (311) 의 전단부와, 급동 입력축 (315) 의 좌단부는, 각각 기어 케이스 (317c) 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급동 입력축 (315) 에 전달된 회전 동력이 베벨 기어 기구 (317) 를 통하여 급동축 (311) 에 전달됨으로써, 급동 (31) 이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동 입력축 (315) 의 좌단부를 급동축 (311) 의 전단부에 연동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급동 입력축 (315) 의 우단부를 급동축 (311) 의 전단부에 연동 연결시켜도 된다. 어느 경우여도, 엔진 (61) 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은 제 1 카운터축 (45) 에 전달되고, 그 제 1 카운터축 (45) 으로부터 취출된 회전 동력이 급동 입력축 (315) 에 전달된다.
풍구 (42) 는, 풍구축 (42a)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풍구축 (42a) 은, 중공의 파이프축에서 형성되어 있고, 제 1 카운터축 (45) 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측에 끼워져 있다. 제 1 카운터축 (45) 에 전달된 동력은, 제 1 카운터축 (45) 의 전방에 배치된 제 2 카운터축 (46) 의 좌단부에 벨트 전동 기구 (88) 를 통하여 전달된다. 그리고, 그 제 2 카운터축 (46) 의 좌단부에 전달된 동력이 벨트 전동 기구 (89) 를 통하여 풍구축 (42a) 에 전달됨으로써, 풍구 (42) 가 회전한다. 제 2 카운터축 (46) 은, 기계 케이싱 (300) 에 지지된 지지축 (47)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 (82) 는, 제 1 카운터축 (45) 과 초퍼 (71) 의 초퍼축 (711) 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카운터축 (45) 과 초퍼축 (711) 에 걸쳐 전동 벨트 (82b) 가 걸쳐져 있다. 제 1 카운터축 (45) 의 좌단부에 전달된 동력은, 전동 벨트 (82b) 를 통하여 초퍼축 (711) 에 전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카운터축 (45) 으로부터 취출된 회전 동력이, 요동축 (41a), 1 번 스크루축 (143a) 및 2 번 스크루축 (144a) 에 전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카운터축 (45) 에 전달된 회전 동력이, 벨트 전동 기구 (84) 를 통하여 1 번 스크루축 (143a) 및 2 번 스크루축 (144a) 에 전달되고, 그 2 번 스크루축 (144a) 에 전달된 회전 동력이, 벨트 전동 기구 (85) 를 통하여 요동축 (41a) 에 전달된다. 벨트 전동 기구 (84) 의 전동 벨트 (84b) 는, 제 1 카운터축 (45) 과, 1 번 스크루축 (143a) 과, 2 번 풍구축 (423a) 과, 2 번 스크루축 (144a) 에 걸쳐져 있다. 벨트 전동 기구 (85) 의 전동 벨트 (85b) 는, 2 번 스크루축 (144a) 과 요동축 (41a) 에 걸쳐져 있다.
그런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번 처리물은 2 번 홈통 (44) 으로 낙하하고, 2 번 컨베이어 (144) 에서 안내되어 우측방 (탈곡 장치 (3) 의 우측벽 부재 (305)) 으로 반송되고, 당해 우측벽 부재 (305) 에 형성된 개구부 (305a) (도 4 참조) 를 통과한 후, 전상방에 반송되어 선별 장치 (4) 의 전단측에 환원 반송된다. 그 때, 2 번 컨베이어 (144) 에 의해 반송되는 2 번 처리물의 양이 많으면, 탈곡 장치 (3) 의 우측벽 부재 (305) 의 개구부 (305a) 를 통과한 2 번 처리물이 상방에 완전히 반송되지 못하여, 당해 개구부 (305a) 를 통하여 역류하고, 나아가서는, 2 번 홈통 (44) 의 전방에 배치된 2 번 풍구 (423) 에 유입되어, 2 번 풍구 (423) 에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a) 를 참조하여, 좌측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 (3) 의 우측벽 부재 (305) 에 형성된 개구부 (305a) 의 상부와, 2 번 컨베이어 (144) 의 회전 궤적의 상부의 간격 (2 번 컨베이어 (144) 의 반경 방향의 거리) 은, 전부로부터 후부에 걸쳐 간격이 동등해지도록 설계됨으로써, 개구부 (305a) 를 통하여 역류하는 2 번 처리물의 양을 저감시키고 있다. 추가로, 개구부 (305a) 의 상부에는, 개구부 (305a) 를 통하여 2 번 처리물이 2 번 홈통 (44) 에 역류했을 때에, 2 번 풍구 (423) 에 2 번 처리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 방지부 (305b) 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 방지부 (305b) 는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개구부 (305a) 의 형상을 따라 구부러지는 (만곡되는)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유입 방지부 (305b) 는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305a)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2 번 컨베이어 (144)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 (305a) 로부터 역류되어, 2 번 컨베이어 (144) 에 의해 뛰어 올려진 2 번 처리물이 확산되기 전에 유입 방지부 (305b) 에 충돌시킴으로써 2 번 풍구 (423) 로의 유입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개량 변경이 가능하다.
100 : 콤바인
3 : 탈곡 장치
6 : 동력 장치
7 : 세단 장치 (배출볏짚 처리 장치)
71 : 초퍼
711 : 초퍼축 (구동축)
712 : 절단날
72 : 자유 회전날
721 : 자유 회전축
7211 : 제 1 회전축
7212 : 제 2 회전축
722 : 원판날
722a : 삽입 통과공
73 : 초퍼 후드
732 : 프레임
732a : 슬릿

Claims (4)

  1. 탈곡 장치의 후방 하부에서 배출볏짚을 처리하는 배출볏짚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볏짚 처리 장치는,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나선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절단날과,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자유 회전하는 자유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된 복수의 원판날을 갖고, 교대로 배열된 상기 절단날과 상기 원판날 사이에서 배출볏짚을 절단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보다 하방이고 상기 자유 회전축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판상의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원판날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슬릿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콤바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의 회전 궤적의 전단이, 상기 원판날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콤바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축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원판날은 상기 자유 회전축에 삽입 통과되는 다각형의 삽입 통과공을 갖고 있는, 콤바인.
KR1020207037610A 2018-09-26 2019-07-19 콤바인 KR20210058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0569A JP7033521B2 (ja) 2018-09-26 2018-09-26 コンバイン
JPJP-P-2018-180569 2018-09-26
PCT/JP2019/028527 WO2020066238A1 (ja) 2018-09-26 2019-07-19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751A true KR20210058751A (ko) 2021-05-24

Family

ID=6994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610A KR20210058751A (ko) 2018-09-26 2019-07-19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33521B2 (ko)
KR (1) KR20210058751A (ko)
CN (1) CN112702906A (ko)
WO (1) WO20200662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276B1 (ko) 2023-01-25 2023-08-28 김상길 콤바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40724A (zh) * 2024-05-08 2024-06-07 黑龙江农业经济职业学院 一种秸秆粉碎翻埋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841A (ja) 1993-10-28 1995-05-09 Kubota Corp 軸流型コンバインの脱穀排藁切断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511Y1 (ko) * 1968-11-21 1974-01-16
JPS5344791Y2 (ko) * 1974-10-29 1978-10-26
JPS5270970U (ko) * 1975-11-25 1977-05-26
JPH09187152A (ja) * 1996-01-10 1997-07-22 Kubota Corp 排ワラ細断装置
JPH10295170A (ja) * 1997-04-22 1998-11-1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の排ワラ切断装置
JP5344791B2 (ja) 2004-02-24 2013-11-20 株式会社カネカ グラフト共重合体、該共重合体からなる難燃剤及び該難燃剤を配合した樹脂組成物
JP5270970B2 (ja) 2008-06-05 2013-08-21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ライド式スプライスユニット
US9635813B2 (en) 2014-07-08 2017-05-02 Cnh Industrial America Llc Residue handl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JP6758217B2 (ja) * 2016-06-27 2020-09-2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841A (ja) 1993-10-28 1995-05-09 Kubota Corp 軸流型コンバインの脱穀排藁切断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276B1 (ko) 2023-01-25 2023-08-28 김상길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33521B2 (ja) 2022-03-10
WO2020066238A1 (ja) 2020-04-02
JP2020048475A (ja) 2020-04-02
CN112702906A (zh)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5179B (zh) 联合收割机
KR20210058751A (ko) 콤바인
JP6639993B2 (ja) コンバイン
JP2020048474A (ja) コンバイン
JP7273465B2 (ja) コンバイン
JP6830417B2 (ja) コンバイン
JP4651027B2 (ja) 再脱穀処理装置,脱穀装置及びコンバイン
JP2010029159A (ja) 脱穀装置
JP6215145B2 (ja) コンバイン
JP2016059315A (ja) 脱穀装置
JP7155184B2 (ja) 選別装置、コンバイン
JP6297907B2 (ja) コンバイン
JP6960256B2 (ja) コンバイン
JP6884651B2 (ja) コンバイン
WO2016009967A1 (ja) コンバイン
JP2019030262A (ja) コンバイン
WO2019181215A1 (ja) コンバイン
JP2007104956A (ja) 脱穀装置
JP2021145628A (ja) コンバイン
JP2007319067A5 (ko)
JP4141392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US831421A (en) Grain-separator.
JP2019216613A (ja) コンバイン
CN110769683A (zh) 联合收割机
JP5266973B2 (ja) 脱穀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