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838A -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838A
KR20210029838A KR1020217006934A KR20217006934A KR20210029838A KR 20210029838 A KR20210029838 A KR 20210029838A KR 1020217006934 A KR1020217006934 A KR 1020217006934A KR 20217006934 A KR20217006934 A KR 20217006934A KR 20210029838 A KR20210029838 A KR 20210029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housing
pillar
ai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769B1 (ko
Inventor
다카노리 히노
다케시 오자키
아츠시 다나베
아키라 데라사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9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공기 조화 장치는,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실내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은, 공조해야 할 공간에 면하는 기초 구조체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내 유닛은, 냉매와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하는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내장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AIR-CONDITIONING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스팟 공조에 바람직한 실내 유닛 및 해당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대규모 생산 공장에서는, 공장의 건물 내에 분산된 작업 영역을 국소적으로 냉·난방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 장치는, 온도나 습도가 조정된 공기를 작업 영역을 향하여 취출하는 복수의 실내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실내 유닛은, 예를 들면 골격이 되는 기둥을 둘러싸도록, 기둥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7-62558 호 공보
각종 공작 기계나 크레인이 설치된 공장에서는, 공작 기계나 크레인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 건물의 기둥에 전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진이 발생한 경우는, 지면의 진동이 기둥에 전달되어, 기둥이 강하게 흔들리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기둥에 실내 유닛을 설치할 때에는, 실내 유닛이 진동에 견딜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 구조체에 실내 유닛을 제대로 고정할 수 있어서, 실내 유닛의 내진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기 조화 장치는,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실내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은, 공조해야 할 공간에 면하는 기초 구조체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내 유닛은, 냉매와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하는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내장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 계통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실내 유닛을 정면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실내 유닛을 배면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실내 유닛의 내부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실내 유닛의 정면도,
도 6은 실내 유닛으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나타내는 실내 유닛의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측면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건물의 기둥에 프레임을 거쳐서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건물의 기둥에 프레임을 조립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건물의 기둥에 프레임의 하부 구조체를 조립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하부 구조체와 상부 구조체의 연결 개소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4대의 실내 유닛을 서브 프레임에서 일체적으로 연결된 제 1 실내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4는 서브 프레임과 실내 유닛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프레임, 외장 패널 및 필터의 상호의 위치 관계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필터 요소와 외측 프레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측면도,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측면도,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사시도,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에 장착된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와 기둥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사시도,
도 21은 건물의 기둥에 프레임을 거쳐서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프레임의 제 1 유닛 지지부에 4대의 실내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제 1 실내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3은 실내 유닛, 외장 패널, 제 1 화장(化粧) 패널 및 제 2 화장 패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실내 유닛으로부터 벗어난 기둥의 주위에 소화기, 에어 컴프레서 및 리모트 컨트롤러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5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정면도.
(제 1 실시형태)
이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예를 들면, 생산 공장, 차량 공장 등과 같은 대규모 공간의 국소적인 냉·난방에 이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배관 계통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는, 실외기(2) 및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주요한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실외기(2)는 예를 들면, 공장의 건물(4)의 외부에 고정되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열교환기 및 어큐뮬레이터와 같은 각종 냉동 사이클 기기를 수용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는, 건물(4)의 내부의 공조해야 할 작업 영역(A)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는, 각각 4대의 실내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기(2)에 접속된 액측 주배관(7A)은, 분기 헤더(8A)를 거쳐서 제 1 내지 제 4 액측 접속 배관(9a, 9b, 9c, 9d)으로 분기되어 있다. 실외기(2)에 접속된 가스측 주배관(7B)은, 분기 헤더(8B)를 거쳐서 제 1 내지 제 4 가스측 접속 배관(9e, 9f, 9g, 9h)으로 분기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액측 접속 배관(9a, 9b, 9c, 9d) 및 제 1 내지 제 4 가스측 접속 배관(9e, 9f, 9g, 9h)은,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로 안내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액측 접속 배관(9a, 9b, 9c, 9d)은, 각각 액관(10)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가스측 접속 배관(9e, 9f, 9g, 9h)은, 각각 가스관(11)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액측 접속 배관(9a, 9b, 9c, 9d)의 액관(10)은, 3개의 Y형 분기 조인트(12a, 12b, 12c)로 분기된 4개의 분기 액관(10a, 10b, 10c, 10d)을 갖고 있다. 분기 액관(10a, 10b, 10c, 10d)은, 각각 실내 유닛(5)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내지 제 4 가스측 접속 배관(9e, 9f, 9g, 9h)의 가스관(11)은, 3개의 T형 분기 조인트(13a, 13b, 13c)로 분기된 4개의 분기 가스관(11a, 11b, 11c, 11d)을 갖고 있다. 분기 가스관(11a, 11b, 11c, 11d)은, 각각 실내 유닛(5)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외기(2)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의 실내 유닛(5)에 분배되는 동시에, 실내 유닛(5)으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다시 실외기(2)로 되돌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는 각각 리모트 컨트롤러(15a, 15b, 15c, 15d)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에서는, 어셈블리마다 리모트 컨트롤러(15a, 15b, 15c, 15d)에서 실내 유닛(5)의 운전/정지, 온도 설정, 운전 전환 등의 각종의 조작이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의 실내 유닛(5)은, 서로 공통의 구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내기 어셈블리(3a)의 하나의 실내 유닛(5)을 대표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유닛(5)은, 하우징(20), 공기 열교환기(21), 송풍기(22), 제어부(23) 및 덕트부(24)를 주요한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은, 안길이 치수(D), 폭 치수(W) 및 높이 치수(H)를 갖는 사각 상자형의 요소이며, 예를 들면 얇은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의 폭 치수(W) 및 높이 치수(H)는 서로 동등한 동시에, 안길이 치수(D)가 폭 치수(W) 및 높이 치수(H)보다 현격히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20)은, 편평한 형상을 갖고 있다.
하우징(20)은 베이스(26), 프론트 커버(27), 톱 커버(28) 및 칸막이판(29)을 갖고 있다. 베이스(26)는, 기립된 백 패널(30)과, 백 패널(30)의 하단부에 고정된 접시형상의 저판(31)으로 구성되어 있다. 백 패널(30)의 대략 중앙부에는, 사각 흡입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저판(31)은, 백 패널(30)의 하단부로부터 하우징(20)의 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해당 저판(31)의 후단부에 드레인구(33)가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구(33)는, 하우징(20)의 배후에 돌출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27)는 프론트 패널(34)과, 한 쌍의 사이드 패널(35a, 35b)을 갖고 있다. 프론트 패널(34)은 하우징(20)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프론트 패널(34)은 백 패널(30)과 서로 마주보는 동시에, 프론트 패널(34)의 대략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패널(34)의 하단부는, 저판(31)의 전단부(前端部)에 복수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35a, 35b)은, 프론트 패널(34)의 측연부로부터 백 패널(30)을 향하여 직각으로 되접혀져 있다. 사이드 패널(35a, 35b)의 후단부는, 백 패널(30)의 양 측부에 복수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톱 커버(28)는, 프론트 패널(34)의 상단부 및 사이드 패널(35a, 35b)의 상단부에 복수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톱 커버(28)는, 프론트 커버(27)의 상단부와 백 패널(30)의 상부 사이의 간극을 덮고 있다.
칸막이판(29)은, 백 패널(30)의 상부와 프론트 커버(27)의 상단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칸막이판(29)은, 하우징(20)의 내부를 제 1 수용실(38)과 제 2 수용실(39)의 2실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수용실(38)은, 제 2 수용실(39)보다 용적이 큰 동시에, 해당 제 1 수용실(38)에 하우징(20)의 흡입구(32) 및 관통 구멍(36)이 개구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저판(31)은, 제 1 수용실(38)의 바닥을 구성하고 있으며, 해당 저판(31)이 드레인 팬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제 2 수용실(39)은, 제 1 수용실(38)의 상방에 위치하며, 톱 커버(28)로 덮여 있다. 환언하면, 나사를 느슨하게 하여 톱 커버(28)만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제 2 수용실(39)을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백 패널(30)의 양 측부에 각각 브래킷(40a, 40b)이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40a, 40b)은, 하우징(2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하우징(20)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공기 열교환기(21)는, 제 1 수용실(38)에 수용되어 있다. 공기 열교환기(21)는, 플랫한 판형상이며, 복수의 냉각 핀(43) 및 냉매가 흐르는 복수의 전열관(44)을 구비하고 있다. 냉각 핀(43)은, 하우징(2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가늘고 긴 사각판이며, 하우징(20)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전열관(44)은, 하우징(20)의 높이방향 및 안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는 동시에, 서로 직렬로 접속되며 복수의 유로(패스)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열관(44)은 냉각 핀(43)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기 열교환기(21)는, 제 1 수용실(38)의 내부에서 백 패널(30)을 따르도록 기립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열교환기(21)가 흡입구(32)를 통하여 하우징(20)의 배후에 노출되어 있다.
도 6에 가장 자세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열교환기(21)는, 상단부면(21a) 및 하단부면(21b)을 갖고 있다. 상단부면(21a)은, 제 1 수용실(38)의 내부에서 칸막이판(29)에 면하고 있다. 하단부면(21b)은, 드레인 팬으로서의 저판(31)에서 하방으로부터 덮여있다. 공기 열교환기(21)의 상단부면(21a) 및 하단부면(21b)은, 각각 백 패널(30)로부터 프론트 패널(34)의 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 결과, 공기 열교환기(21)의 상단부면(21a)에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생긴 경우, 물방울은 상단부면(21a)의 경사에 따라서 백 패널(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흐르기 쉬워진다. 마찬가지로, 공기 열교환기(21)의 표면에 생긴 물방울이 드레인수가 되어 공기 열교환기(21)의 하단부에 도달한 경우, 드레인수는, 공기 열교환기(21)의 하단부면(21b)의 경사를 따라서 백 패널(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흐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드레인수가 백 패널(30)의 흡입구(32)로부터 하우징(20)의 외부로 유출되는, 소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공기 열교환기(21)에 접속된 냉매관(45)이 제 1 수용실(38)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수용실(38)의 내부에 냉매관(45)을 수납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공기 열교환기(21)가 프론트 커버(27)의 사이드 패널(35a, 35b)의 사이에서 한쪽 사이드 패널(35a)측에 편향되어 있다. 그 결과, 공기 열교환기(21)와 다른쪽 사이드 패널(35b) 사이에 공간이 생기고, 해당 공간에 냉매관(45)이 집중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유닛(5)은, 냉매관(45)에 접속된 한 쌍의 접속구(46a, 46b)를 갖고 있다. 접속구(46a, 46b)는, 백 패널(30)을 관통하여 하우징(20)의 배후로 돌출되어 있으며, 해당 접속구(46a, 46b)에 분기 액관(10a) 및 분기 가스관(11a)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열교환기(21)가 한쪽 사이드 패널(35a)측에 편향되어 있음에 따라, 공기 열교환기(21)의 중심(C1)은, 프론트 커버(27)의 프론트 패널(34)의 중심(C2)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프론트 패널(34)에 개구된 관통 구멍(36)의 중심은, 공기 열교환기(21)의 중심(C1)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기(22)는, 하우징(20)의 프론트 패널(34)의 중앙부에 지지되어 있다. 송풍기(22)는 원통형의 케이싱(50)과, 케이싱(50)의 내부에 수용된 임펠러(51)를 주요한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50)은, 제 1 플랜지부(52) 및 제 2 플랜지부(53)를 갖고 있다. 제 1 플랜지부(52)는, 케이싱(50)의 일단에 있어서 케이싱(50)의 직경방향을 따르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플랜지부(53)는, 케이싱(50)의 타단에 있어서 케이싱(50)의 직경방향을 따르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플랜지부(52)는, 관통 구멍(36)에 대응한 위치에서 프론트 패널(34)에 복수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임펠러(51)는, 공기 열교환기(21)의 중심(C1)의 연장선 상에 동축형상으로 위치하도록 케이싱(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임펠러(51)의 보스부(55)는, 임펠러(51)를 회전시키는 모터(56)를 내장하고 있다.
제어부(23)는, 공기 열교환기(21) 및 송풍기(22)를 제어하기 위한 요소이며, 하우징(20)의 제 2 수용실(39)에 수용되어 있다. 제어부(23)는 예를 들면, 제어 기판, 리액터 및 복수의 단자대와 같은 각종 전장품(58)을 포함하고 있다. 전장품(58)은, 백 패널(30)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어태치먼트(60)가 송풍기(22)에 장착되어 있다. 어태치먼트(60)는, 일단에 플랜지부(61)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61)는, 송풍기(22)의 제 2 플랜지부(53)에 복수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어태치먼트(60)는, 송풍기(22)의 케이싱(50)으로부터 하우징(20)의 전방을 향하여 동축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원통형상의 통기 레지스터(62)가 어태치먼트(60)에 끼워져있다. 통기 레지스터(62)는, 송풍기(22)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량을 조정하거나 송풍방향을 임의로 변경하기 위한 요소이며, 어태치먼트(60)로부터 하우징(20)의 전방을 향하여 동축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부(24)는, 원통형상의 외통(65)을 갖고 있다. 외통(65)은 송풍기(22), 어태치먼트(60) 및 통기 레지스터(62)를 연속하여 덮는 요소이며, 그 축방향을 따르는 일단에 플랜지부(6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66)는, 외통(65)의 둘레방향으로 연속하는 동시에, 외통(65)의 직경방향을 따르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부(66)는, 복수의 나사로 프론트 패널(34)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통(65)은 송풍기(22), 어태치먼트(60) 및 통기 레지스터(62)를 둘러싼 상태에서 프론트 패널(34)로부터 하우징(20)의 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65)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O1)은, 공기 열교환기(21)의 중심(C1)과 교차되어 있다.
외통(65)의 돌출단은, 통기 레지스터(62)보다 하우징(20)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외통(65)의 돌출단에 가이드벽(67)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벽(67)은 외통(65)의 둘레방향으로 연속하는 동시에, 외통(65)의 직경방향을 따르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벽(67)은, 외통(65)의 돌출단에 원형의 취출구(68)를 규정하고 있다. 취출구(68)는, 통기 레지스터(62)를 거쳐서 송풍기(22)와 마주보고 있다.
도 6에 가장 자세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부(24)의 외통(65)은, 송풍기(22), 어태치먼트(60) 및 통기 레지스터(62)와의 사이에 통풍로(70)를 규정하고 있다. 통풍로(70)의 일단은, 하우징(20)의 프론트 패널(34)에 도달하고 있다. 통풍로(70)의 타단은, 외통(65)의 가이드벽(6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통풍로(70)의 일단이 면하는 하우징(20)의 프론트 패널(34)에 복수의 공기 되돌림 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되돌림 구멍(71)은, 송풍기(22)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하우징(20)의 제 1 수용실(38)에 개구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풍로(70)의 일단은, 송풍기(22)의 상류측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풍로(70)에 면하는 외통(65)의 내면 및 가이드벽(67)의 내면이 단열재(72)로 덮여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유닛(5)을 갖는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는, 건물(4)의 골격이 되는 기존의 기둥(80)의 외주부에 전용 프레임(81)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기둥(80)은 기초 구조체의 일례로서, 건물(4)의 마루면(F)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둥(80)은 플랫한 제 1 내지 제 4 외주면(80a, 80b, 80c, 80d)을 갖는 사각기둥이다. 제 1 내지 제 4 외주면(80a, 80b, 80c, 80d)은, 건물(4) 내의 작업 영역(A)에 면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4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외주면(80a, 80b, 80c, 80d)은, 기둥(80)의 외주부를 규정하고 있다.
기둥(80)에 대한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의 장착 구조는 서로 공통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내기 어셈블리(3a)의 장착 구조를 대표하여 설명하며, 제 2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b, 3c, 3d)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내기 어셈블리(3a)를 구성하는 4대의 실내 유닛(5)은, 사다리형상의 서브 프레임(82)을 이용하여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82)은, 한 쌍의 프레임 요소(83a, 83b)와, 복수의 비임(beam)(84)(도 14에 하나만을 도시함)을 구비하고 있다.
각 프레임 요소(83a, 83b)는, 예를 들면 L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산(山)형상 강으로 구성되며, 서로 직교하는 한 쌍의 평판부(85a, 85b)를 갖고 있다. 프레임 요소(83a, 83b)는,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비임(84)은 예를 들면 홈(構)형 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임(84)은 프레임 요소(83a, 83b)의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는 동시에,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 요소(83a, 83b)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프레임 요소(83a, 83b)의 한쪽 평판부(85a)가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 요소(83a, 83b)의 사이의 간격은, 실내 유닛(5)의 폭 치수(W)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의 양 측부로부터 돌출되는 브래킷(40a, 40b)이 프레임 요소(83a, 83b)의 한쪽 평판부(85a)의 전면에 복수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4대의 실내 유닛(5)이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상태에서 서브 프레임(82)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브 프레임(82)의 비임(84)은, 인접하는 실내 유닛(5)의 경계의 배후에 위치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81)은 하부 구조체(90)와 상부 구조체(91)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구조체(90)는 4개의 세로살(92a, 92b, 92c, 92d)과, 한 쌍의 연결구(93)를 구비하고 있다.
각 세로살(92a, 92b, 92c, 92d)은 예를 들면, L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산형상 강으로 구성되며, 각각 서로 직교하는 평판부(94a, 94b)를 갖고 있다. 세로살(92a, 92b, 92c, 92d)은, 기둥(80)의 4개의 각부(角部)에 대응한 위치에서 기둥(80)을 따라서 기립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구(93)는 기둥(80)과 세로살(92a, 92b, 92c, 92d) 사이를 연결하는 요소이며,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연결구(93)는, 한 쌍의 제 1 가로살(95a, 95b)과, 한 쌍의 제 2 가로살(96a, 96b)과, 제 1 내지 제 4 외측 비임(97a, 97b, 97c, 97d)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가로살(95a, 95b)은, 예를 들면 L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산형상 강으로 구성되며, 기둥(80)을 끼우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쪽 제 1 가로살(95a)의 중간부는, 기둥(80)의 제 1 외주면(80a)에 접하고 있다. 다른쪽 제 1 가로살(95b)의 중간부는, 기둥(80)의 제 3 외주면(80c)에 접하고 있다. 제 1 가로살(95a, 95b)의 양단부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기둥(80)의 주위에 돌출되어 있다.
제 2 가로살(96a, 96b)은, 예를 들면 L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산형상 강으로 구성되며, 제 1 가로살(95a, 95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기둥(80)을 끼우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쪽 제 2 가로살(96a)의 중간부는, 기둥(80)의 제 2 외주면(80b)에 접하고 있다. 다른쪽 제 2 가로살(96b)의 중간부는, 기둥(80)의 제 4 외주면(80d)에 접하고 있다. 제 2 가로살(96a, 96b)의 양단부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기둥(80)의 주위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로살(95a, 95b)의 중간부와 제 2 가로살(96a, 96b)의 중간부는, 기둥(80)의 주위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다. 제 1 가로살(95a, 95b)과 제 2 가로살(96a, 96b)이 교차하는 개소는, 각각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가로살(95a, 95b) 및 제 2 가로살(96a, 96b)은, 기둥(80)을 둘러싼 상태로 격자형상으로 조합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 1 가로살(95a, 95b) 및 제 2 가로살(96a, 96b)은, 기둥(80)을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 끼워져있다.
제 1 내지 제 4 외측 비임(97a, 97b, 97c, 97d)은, 예를 들면 홈형 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비임(97a)은, 세로살(92a)의 평판부(94a)와 세로살(92b)의 평판부(94a)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다. 제 1 외측 비임(97a)의 중간부는, 제 2 가로살(96a, 96b)의 일단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제 2 외측 비임(97b)은, 세로살(92b)의 평판부(94b)와 세로살(92c)의 평판부(94b)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다. 제 2 외측 비임(97b)의 중간부는, 제 1 가로살(95a, 95b)의 일단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제 3 외측 비임(97c)은, 세로살(92c)의 평판부(94a)와 세로살(92d)의 평판부(94a)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다. 제 3 외측 비임(97c)의 중간부는, 제 2 가로살(96a, 96b)의 타단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제 4 외측 비임(97d)은, 세로살(92d)의 평판부(94b)와 세로살(92a)의 평판부(94b)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다. 제 4 외측 비임(97d)의 중간부는, 제 1 가로살(95a, 95b)의 타단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외측 비임(97a, 97b, 97c, 97d)은, 기둥(80)의 제 1 내지 제 4 외주면(80a, 80b, 80c, 80d)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기둥(80)을 둘러싸고 있는 동시에, 4개의 세로살(92a, 92b, 92c, 92d)의 사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 결과, 4개의 세로살(92a, 92b, 92c, 92d)은, 기둥(80)의 각부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건물(4)의 마루면(F)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한 자세로 보지되어 있다. 인접하는 세로살(92a, 92b, 92c, 92d)의 간격은, 상기 서브 프레임(82)의 프레임 요소(83a, 83b)의 간격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81)의 상부 구조체(91)는 기본적으로 하부 구조체(9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상부 구조체(91)는 4개의 세로살(100a, 100b, 100c, 100d)과, 한 쌍의 연결구(101)를 구비하고 있다. 각 세로살(100a, 100b, 100c, 100d)은, 예를 들면 L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산형상 강으로 구성되며, 각각 서로 직교하는 평판부(102a, 102b)를 갖고 있다. 세로살(100a, 100b, 100c, 100d)은, 기둥(80)의 4개의 각부에 대응한 위치에서 기둥(80)을 따라서 기립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구(101)는, 기둥(80)과 세로살(100a, 100b, 100c, 100d)의 사이를 연결하는 요소이며,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연결구(101)는, 한 쌍의 제 1 가로살(104a, 104b)과, 한 쌍의 제 2 가로살(105a, 105b)과, 제 1 내지 제 4 외측 비임(106a, 106b, 106c, 106d)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가로살(104a, 104b)은, 예를 들면 L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산형상 강으로 구성되며, 기둥(80)을 끼우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가로살(104a)의 중간부는, 기둥(80)의 제 1 외주면(80a)에 접하고 있다. 제 1 가로살(104b)의 중간부는, 기둥(80)의 제 3 외주면(80c)에 접하고 있다. 제 1 가로살(104a, 104b)의 양단부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기둥(80)의 주위에 돌출되어 있다.
제 2 가로살(105a, 105b)은, 예를 들면 L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산형상 강으로 구성되며, 제 1 가로살(104a, 104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둥(80)을 끼우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가로살(105a)의 중간부는, 기둥(80)의 제 2 외주면(80b)에 접하고 있다. 제 2 가로살(105b)의 중간부는, 기둥(80)의 제 4 외주면(80d)에 접하고 있다. 제 2 가로살(105a, 105b)의 양단부는,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기둥(80)의 주위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로살(104a, 104b)의 중간부와 제 2 가로살(105a, 105b)의 중간부는, 기둥(80)의 주위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다. 제 1 가로살(104a, 104b)과 제 2 가로살(105a, 105b)이 교차하는 개소는, 각각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가로살(104a, 104b) 및 제 2 가로살(105a, 105b)은, 기둥(80)을 둘러싼 상태에서 격자형상으로 조합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 1 가로살(104a, 104b) 및 제 2 가로살(105a, 105b)은, 기둥(80)을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 끼워져있다.
제 1 내지 제 4 외측 비임(106a, 106b, 106c, 106d)은, 예를 들면 홈형 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비임(106a)은, 세로살(100a)의 평판부(102a)와 세로살(100b)의 평판부(102a)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다. 제 1 외측 비임(106a)의 중간부는, 제 2 가로살(105a, 105b)의 일단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제 2 외측 비임(106b)은, 세로살(100b)의 평판부(102b)와 세로살(100c)의 평판부(102b)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다. 제 2 외측 비임(106b)의 중간부는, 제 1 가로살(104a, 104b)의 일단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제 3 외측 비임(106c)은, 세로살(100c)의 평판부(102a)와 세로살(100d)의 평판부(102a)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다. 제 3 외측 비임(106c)의 중간부는, 제 2 가로살(105a, 105b)의 타단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제 4 외측 비임(106d)은, 세로살(100d)의 평판부(102b)와 세로살(100a)의 평판부(102b)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다. 제 4 외측 비임(106d)의 중간부는, 제 1 가로살(104a, 104b)의 타단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내지 제 4 외측 비임(106a, 106b, 106c, 106d)은, 기둥(80)의 제 1 내지 제 4 외주면(80a, 80b, 80c, 80d)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기둥(80)을 둘러싸고 있는 동시에, 4개의 세로살(100a, 100b, 100c, 100d)의 사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4개의 세로살(100a, 100b, 100c, 100d)은, 기둥(80)의 각부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으로 기립된 자세로 보지되어 있다. 인접하는 세로살(100a, 100b, 100c, 100d)의 간격은, 상기 서브 프레임(82)의 프레임 요소(83a, 83b)의 간격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구조체(91)의 세로살(100a, 100b, 100c, 100d)의 하단부는, 하부 구조체(90)의 세로살(92a, 92b, 92c, 92d)의 상단부에 중첩되는 동시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구조체(90)와 상부 구조체(91)가 일체 구조물로서 조립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4대의 실내 유닛(5)을 갖는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는, 프레임(81)의 상부 구조체(91)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건물(4)의 마루면(F)으로부터 기립한 하부 구조체(90)의 높이는 예를 들면, 2m이며, 작업 영역(A)에서 활동하는 작업자(M)의 평균적인 신장보다 크다. 이 때문에,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는, 작업 영역(A)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실내기 어셈블리(3a)에 있어서는, 서브 프레임(82)을 구성하는 프레임 요소(83a, 83b)의 평판부(85a)가 세로살(100a, 100b)의 평판부(102a)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제 1 실내기 어셈블리(3a)를 상부 구조체(91)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4대의 실내 유닛(5)이 기둥(80)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동시에, 각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이 기둥(80)의 제 1 외주면(80a)과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 2 실내기 어셈블리(3b)에 있어서는, 서브 프레임(82)을 구성하는 프레임 요소(83a, 83b)의 평판부(85a)가 세로살(100b, 100c)의 평판부(102b)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제 2 실내기 어셈블리(3b)를 상부 구조체(91)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4대의 실내 유닛(5)이 기둥(80)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동시에, 각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이 기둥(80)의 제 2 외주면(80b)과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 3 실내기 어셈블리(3c)에 있어서는, 서브 프레임(82)을 구성하는 프레임 요소(83a, 83b)의 평판부(85a)가 세로살(100c, 100d)의 평판부(102a)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제 3 실내기 어셈블리(3c)를 상부 구조체(91)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4대의 실내 유닛(5)이 기둥(80)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동시에, 각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이 기둥(80)의 제 3 외주면(80c)과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d)에 있어서는, 서브 프레임(82)을 구성하는 프레임 요소(83a, 83b)의 평판부(85a)가 세로살(100d, 100a)의 평판부(102b)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d)를 상부 구조체(91)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4대의 실내 유닛(5)이 기둥(80)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동시에, 각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이 기둥(80)의 제 4 외주면(80d)과 서로 마주보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가 상부 구조체(9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실내 유닛(5)의 덕트부(24)가 기둥(80)을 중심으로 하는 4방향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전체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과 상부 구조체(91)의 세로살(100a, 100b, 100c, 100d)은, 서로 협동하여 기둥(80)을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둘러싸고 있다. 이 때문에, 기둥(80)의 외주부와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의 사이에는, 상부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도 8,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로부터 벗어난 프레임(81)의 하부 구조체(90)에는, 복수의 외장 패널(110) 및 복수의 필터(111)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장 패널(110) 및 필터(111)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사각 판형상의 요소이며, 호환성을 갖고 있다.
외장 패널(110)은, 인접하는 세로살(92a, 92b, 92c, 92d)의 사이에 걸치도록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하부 구조체(90)에 장착되어 있다. 필터(111)는, 사각 외측 프레임(112)과,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요소(113)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프레임(112)은, 4개의 변을 갖는 동시에, 인접하는 세로살(92a, 92b, 92c, 92d)의 사이에 걸치도록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하부 구조체(90)에 장착되어 있다. 필터 요소(113)는, 사각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프레임(112)의 한 변에 형성된 슬릿(114)을 통하여 외측 프레임(112)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 패널(110)은 하부 구조체(90), 기둥(80)의 제 2 외주면(80b), 제 3 외주면(80c) 및 제 4 외주면(80d)을 덮어 가리고 있다. 필터(111)는, 제 1 실내기 어셈블리(3a)의 하방에서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기둥(80)의 제 1 외주면(80a)를 덮어 가리고 있다.
그 결과, 외장 패널(110) 및 필터(111)는, 서로 협동하여 프레임(81)의 하부 구조체(90)를 포위하고 있다. 건물(4)의 마루면(F)과 외장 패널(110)의 사이의 간극 및 건물(4)의 마루면(F)과 필터(111) 사이의 간극은, 복수의 수평 부재(115)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외장 패널(110) 및 필터(111)를 하부 구조체(9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기둥(80)의 외주부와 외장 패널(110) 및 필터(111) 사이에 하부 공간(S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공간(S2)은, 상부 공간(S1)에 연통하는 동시에, 해당 상부 공간(S1)과 협동하여 흡입 통로(117)를 규정하고 있다. 흡입 통로(117)는, 기둥(80)을 둘러싸고 있다. 전체 실내 유닛(5)의 흡입구(32)는, 흡입 통로(117)에 개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입 통로(117)의 상단은, 도 8에 도시하는 복수의 폐색판(118)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폐색판(118)은, 상부 구조체(91)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입 통로(117)는, 건물(4)의 내부의 작업 영역(A)으로부터 구획되어 있는 동시에, 필터(111)를 거쳐서 작업 영역(A)으로 통하여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 통로(117)는, 전체 실내 유닛(5)에 접속된 제 1 내지 제 4 액측 접속 배관(9a, 9b, 9c, 9d) 및 제 1 내지 제 4 가스측 접속 배관(9e, 9f, 9g, 9h)을 통과하는 배관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각 접속 배관(9a 내지 9h)은, 폐색판(118)을 관통하며 기둥(80)의 상부로 인도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전체 실내 유닛(5)의 드레인구(33)에 접속된 드레인 파이프(119)는, 흡입 통로(117)를 지나 기둥(80)의 상부로 인도되어 있다.
또한 전체 실내 유닛(5)의 제어부(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121)으로 하여도, 흡입 통로(117)를 통하여 기둥(80)의 상부로 인도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의 실내 유닛(5)이 작동을 개시하면, 실내 유닛(5)의 송풍기(22)가 관통 구멍(36)을 통하여 하우징(20)의 제 1 수용실(38) 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20)의 흡입구(32)에 부압이 작용한다. 흡입구(32)는, 기둥(80)의 주위의 흡입 통로(117)에 개구되어 있으므로, 건물(4)의 내부의 공기가 필터(111)를 지나 흡입 통로(117)에 흡입된다. 필터(111)는, 프레임(81)의 하부 구조체(9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작업 영역(A)의 마루면(F)의 부근의 공기가 흡입 통로(117)에 흡입된다.
흡입 통로(117)로부터 송풍기(22)에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 열교환기(21)를 통과한다. 공기 열교환기(21)는, 송풍기(22)를 향하는 공기와 전열관(44)을 흐르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송풍기(22)를 향하는 공기를 냉기 혹은 난기(暖氣)로 전환한다. 열교환된 공기는, 통기 레지스터(62)를 통과한 후, 덕트부(24)의 취출구(68)로부터 작업자(M)가 활동하는 작업 영역(A)의 상방의 영역을 향하여 수평으로 취출된다.
이 때문에, 기둥(80)의 사방을 향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송출할 수 있어서, 기둥(80)의 주위에 위치하는 작업 영역(A)의 국소적인 공조 혹은 기둥(80)을 이용한 성층 공조(成層空調)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구성하는 4대의 실내 유닛(5)은, 기둥(80)의 외주부를 둘러싼 상태로 프레임(81)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81)은, 복수의 형강(形鋼)을 조립하는 것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프레임(81)을 이용하여 전체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을 기둥(80)의 외주부에 제대로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건물(4)의 마루면(F)에 고정된 각종 공작 기계의 진동, 혹은 지진에 따른 진동이 기둥(80)에 전달된 경우에도, 실내 유닛(5)에 작용하는 진동을 적게 억제할 수 있어서, 실내 유닛(5)의 내진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마다, 4대의 실내 유닛(5)이 서브 프레임(82)을 이용하여 일체 구조물로서 조립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프레임(81)에 조립 장착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하여,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기존의 기둥(80)의 외주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서브 프레임(82)이 일종의 강도 멤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 점에서도 실내 유닛(5)의 내진 강도를 높이는데 있어서 유효하게 기여한다.
게다가, 실내 유닛(5)을 지지하는 프레임(81)의 상부 구조체(91)는, 제 1 가로살(104a, 104b) 및 제 2 가로살(105a, 105b)을 이용하여 기둥(80)을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 끼우는 것에 의해 기둥(80)에 조립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외장 패널(110) 및 필터(111)를 지지하는 프레임(81)의 하부 구조체(90)는, 제 1 가로살(95a, 95b) 및 제 2 가로살(96a, 96b)에서 기둥(80)을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 끼우는 것에 의해 기둥(80)에 조립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건물(4)의 기존의 기둥(80)에 고정용 구멍을 뚫거나, 고정용의 앵커 볼트 등을 부설할 필요가 없어서, 기존의 구축물에 대한 각별한 공사가 불필요해진다. 그 결과, 프레임(81)을 기존의 기둥(80)의 외주부에 용이하게 조립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만큼, 공사 기간을 단축하여 공기 조화 장치(1)의 시공에 필요로 하는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내 유닛(5)의 외곽이 되는 상자형상의 하우징(20)은, 플랫한 공기 열교환기(21) 및 몇 가지 전장품(58)을 수용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송풍기(22)는, 하우징(20)의 전면에 지지되며 전용의 덕트부(24)로 덮여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20)을 가능한 한 얇고 컴팩트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서 하우징(20)의 존재감을 극히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기둥(80)의 외주부에 실내 유닛(5)을 무리 없이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기둥(80)의 주위에 실내 유닛(5)이 존재하는 것에 관계없이, 위화감이 생기는 일도 없다.
또한, 취출구(68)를 갖는 덕트부(24)가 하우징(2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공조된 공기의 취출방향을 한눈에 알 수 있는 독창적인 외관을 갖는 실내 유닛(5)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1)의 디자인성을 높이는데도 안성맞춤이다.
게다가, 덕트부(24)를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송풍기(22) 및 통기 레지스터(62)를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을 프레임(81)으로부터 분리하거나 혹은 하우징(20)을 분해하는 일 없이 송풍기(22) 및 통기 레지스터(62)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내 유닛(5)의 덕트부(24)는, 송풍기(22), 어태치먼트(60) 및 통기 레지스터(62)를 둘러싸는 외통(65)을 갖고 있다. 외통(65)은, 송풍기(22), 어태치먼트(60) 및 통기 레지스터(62)와의 사이에 외기로부터 구획된 통풍로(70)를 규정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기 레지스터(62)를 통과하여 취출구(68)를 향하는 공기의 일부는, 도 6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68)를 규정하는 가이드벽(67)에 의해 통풍로(70)로 안내된다. 통풍로(70)는, 하우징(20)의 전면의 공기 되돌림 구멍(71)을 거쳐서 송풍기(22)의 상류측에 통하여 있으므로, 통풍로(70)에 안내된 공기는, 공기 되돌림 구멍(71)으로부터 제 1 수용실(38)을 경유하여 송풍기(22)로 흡입된다.
이에 의해, 통기 레지스터(62)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가 통풍로(70)를 통하여 하우징(20)의 방향으로 되돌아온다. 환언하면, 통기 레지스터(62)의 외주면이 공기 열교환기(21)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흐름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게 되어, 통기 레지스터(62)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의 온도차가 적어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고온·고습의 조건하에 있어서, 냉방 운전에 따른 냉기가 통기 레지스터(62)를 통과하여도, 통기 레지스터(62)의 외주면에 결로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통풍로(70)에 면하는 외통(65)의 내면 및 가이드벽(67)의 내면이 단열재(72)로 덮여 있으므로, 외통(65)의 외주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 운전시에 취출구(68)로부터 물방울이 취출되는, 소위 물 튀김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외통(65)으로부터 물방울이 적하(滴下)하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실내 유닛(5)에 의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부의 공기 열교환기(21)의 중심(C1)이 하우징(20)의 프론트 패널(34)의 중심(C2)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송풍기(22)의 임펠러(51) 및 덕트부(24)의 외통(65)은, 공기 열교환기(21)의 중심(C1)의 연장선 상에 동축형상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열교환기(21)를 통과하고 송풍기(22)를 향하는 공기의 주류는, 공기 열교환기(21)의 중앙부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 열교환기(21)와 송풍기(22)의 위치 관계가 최적화되어, 공기 열교환기(21)의 전열관(44)을 흐르는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도 17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개시하고 있다.
변형예는,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프레임(81)의 하부 구조체(90)에 장착한 점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1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3 및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c, 3d)는, 제 1 및 제 2 실내기 어셈블리(3a, 3b)의 배후에 숨어 있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레임(81)을 거쳐서 기둥(80)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가 갖는 4대의 실내 유닛(5)은, 건물(4)의 마루면(F)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는, 작업 영역(A) 내의 작업자(M)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으며, 실내 유닛(5)에서 공조된 공기가 취출구(68)로부터 마루면(F)과 평행하게 취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외장 패널(110) 및 필터(111)는, 프레임(81)의 상부 구조체(91)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필터(111)는 제 2 실내기 어셈블리(3b)의 바로 위에서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가 프레임(81)의 하부 구조체(9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내 유닛(5)에서 공조된 공기를 작업 영역(A)의 낮은 위치에서 마루면(F)과 평행하게 취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마루면(F)의 부근의 고온의 공기를 건물(4)의 상방을 향하여 밀어올리는 성층 공조가 가능해져, 작업 영역(A)의 전체의 온도차를 적게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기둥(80)을 둘러싸도록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배치하고, 기둥(80)을 중심으로 4방향으로 공기를 취출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둥(80)의 제 4 외주면(80d)이 작업 영역(A)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 실내 유닛(5)을 기둥(80)의 제 1 내지 제 3 외주면(80a, 80b, 80c)에 대응하는 개소에 설치하고, 기둥(80)의 제 4 외주면(80d)을 외장 패널(110) 또는 필터(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덮도록 하여도 좋다. 즉, 기둥(80)을 중심으로 3방향으로 공기를 취출하여도 좋으며, 공기의 취출방향에 특별히 제약은 없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프레임(81)의 하부 구조체(90)와 상부 구조체(91)의 사이에 걸치도록 프레임(81)의 높이방향을 따르는 중간부에 장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외장 패널(110) 및 필터(111)는,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임의인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환언하면, 외장 패널(110) 및 필터(111)의 수 및 위치에 특별히 제약은 없으며, 외장 패널(110) 및 필터(111)의 수나 위치는,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르는 실내 유닛(5)의 위치 혹은 공조해야 할 작업 영역(A)의 환경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가 각각에 4대의 실내 유닛(5)을 구비하고 있지만, 실내 유닛(5)의 대수는 1대, 2대, 3대 혹은 5대 이상이어도 좋으며, 실내 유닛(5)의 대수에 특별히 제약은 없다.
이와 함께, 복수의 실내 유닛(5)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서브 프레임(82)은 필수 요소는 아니며, 복수의 실내 유닛(5)을 1대씩 개별적으로 프레임(81)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18 내지 도 24는 제 2 실시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는, 주로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기둥(80)에 지지하는 프레임(200)의 구성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그 이외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4개의 제 1 세로살(201a, 201b, 201c, 201d),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가로살(202a, 202b, 202c, 202d) 및 제 1 내지 제 4 유닛 지지부(203a, 203b, 203c, 203d)를 주요한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제 1 세로살(201a, 201b, 201c, 201d)은, 예를 들면 L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산형상 강으로 구성되며, 서로 직교하는 평판부(205a, 205b)를 갖고 있다. 제 1 세로살(201a, 201b, 201c, 201d)은, 각각 평판부(205a, 205b)의 교차부를 기둥(80)의 4개의 각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기둥(80)을 따라서 기립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가로살(202a, 202b, 202c, 202d)은 예를 들면, 홈형 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가로살(202a)은, 제 1 세로살(201a)의 평판부(205a)와 제 2 세로살(201b)의 평판부(205a)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는 동시에,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제 1 가로살(202a)은, 기둥(80)의 제 1 외주면(80a)에 접하고 있다.
제 2 가로살(202b)은, 제 2 세로살(201b)의 평판부(205b)와 제 3 세로살(201c)의 평판부(205b)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는 동시에,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제 2 가로살(202b)은, 기둥(80)의 제 2 외주면(80b)에 접하고 있다.
제 3 가로살(202c)은, 제 3 세로살(201c)의 평판부(205a)와 제 4 세로살(201d)의 평판부(205a)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는 동시에,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제 3 가로살(202c)은, 기둥(80)의 제 3 외주면(80c)에 접하고 있다.
제 4 가로살(202d)은, 제 4 세로살(201d)의 평판부(205b)와 제 1 세로살(201a)의 평판부(205b)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는 동시에,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제 4 가로살(202d)은, 기둥(80)의 제 4 외주면(80d)에 접하고 있다.
그 결과, 제 1 내지 제 4 가로살(202a, 202b, 202c, 202d)은,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르는 복수 개소에서 기둥(80)의 외주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프레임형상으로 조립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 1 내지 제 4 가로살(202a, 202b, 202c, 202d)은, 서로 협동하여 기둥(80)을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 끼워져있다.
제 1 내지 제 4 유닛 지지부(203a, 203b, 203c, 203d)는,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에 대응하는 요소이며, 서로 공통의 구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내기 어셈블리(3a)에 대응하는 제 1 유닛 지지부(203a)를 대표하여 설명하며, 제 2 내지 제 4 유닛 지지부(203b, 203c, 203d)에 관해서는, 제 1 유닛 지지부(203a)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유닛 지지부(203a)는, 한 쌍의 외측살(207a, 207b), 복수의 가로 비임(208) 및 복수의 지지 스테이(stay)(209)를 주요한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외측살(207a, 207b)은, 예를 들면 L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산형상 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로 비임(208)은, 예를 들면 홈형 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로 비임(208)은, 외측살(207a, 207b)의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는 동시에,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로 비임(208)에서 연결된 외측살(207a, 207b)은,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외측살(207a, 207b)의 사이의 간격은, 실내 유닛(5)의 폭 치수(W)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209)는, 예를 들면 홈형 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209)는, 제 1 가로살(202a)의 양단과 제 1 유닛 지지부(203a)의 가로살(208)의 양단 사이에 걸쳐 놓여있다. 지지 스테이(209)는, 기둥(80)의 제 1 외주면(8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209)의 존재에 의해, 제 1 유닛 지지부(203a)가 제 1 세로살(201a), 제 2 세로살(201b) 및 제 1 가로살(202a)을 거쳐서 기둥(80)에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유닛 지지부(203a)의 외측살(207a, 207b)은, 기둥(80)의 제 1 외주면(80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 1 세로살(201a) 및 제 2 세로살(201b)과 서로 마주보도록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기립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유닛 지지부(203b)의 외측살(207a, 207b)은, 기둥(80)의 제 2 외주면(80b)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세로살(201b) 및 제 3 세로살(201c)과 서로 마주보도록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기립되어 있다.
제 3 유닛 지지부(203c)의 외측살(207a, 207b)은, 기둥(80)의 제 3 외주면(80c)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 3 세로살(201c) 및 제 4 세로살(201d)과 서로 마주보도록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기립되어 있다.
또한, 제 4 유닛 지지부(203d)의 외측살(207a, 207b)은, 기둥(80)의 제 4 외주면(80d)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 4 세로살(201d) 및 제 1 세로살(201a)과 서로 마주보도록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기립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대의 실내 유닛(5)을 갖는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는, 작업자(M)의 신장보다 높은 위치에서 프레임(200)의 제 1 내지 제 4 유닛 지지부(203a, 203b, 203c, 203d)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실내기 어셈블리(3a)에 있어서는, 각 실내 유닛(5)의 브래킷(40a, 40b)이 제 1 유닛 지지부(203a)의 외측살(207a, 207b)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제 1 실내기 어셈블리(3a)를 제 1 유닛 지지부(203a)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4대의 실내 유닛(5)이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동시에, 각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이 기둥(80)의 제 1 외주면(80a)과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 2 실내기 어셈블리(3b)에 있어서는, 각 실내 유닛(5)의 브래킷(40a, 40b)이 제 2 유닛 지지부(203b)의 외측살(207a, 207b)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제 2 실내기 어셈블리(3b)를 제 2 유닛 지지부(203b)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4대의 실내 유닛(5)이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동시에, 각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이 기둥(80)의 제 2 외주면(80b)과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 3 실내기 어셈블리(3c)에 있어서는, 각 실내 유닛(5)의 브래킷(40a, 40b)이 제 3 유닛 지지부(203c)의 외측살(207a, 207b)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제 3 실내기 어셈블리(3c)를 제 3 유닛 지지부(203c)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4대의 실내 유닛(5)이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동시에, 각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이 기둥(80)의 제 3 외주면(80c)과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d)에 있어서는, 각 실내 유닛(5)의 브래킷(40a, 40b)이 제 4 유닛 지지부(203d)의 외측살(207a, 207b)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d)를 제 4 유닛 지지부(203d)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4대의 실내 유닛(5)이 기둥(8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동시에, 각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이 기둥(80)의 제 4 외주면(80d)과 서로 마주보고 있다.
도 18,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가 기둥(8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기둥(80)의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실내 유닛(5)의 사이에 각각 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G)은, 기둥(80)의 4개의 각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간극(G)은, 실내 유닛(5)과 기둥(80) 사이에 작업자가 손이나 공구를 넣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다.
간극(G)은, 복수의 제 1 화장 패널(212)에 의해 덮여 있다. 제 1 화장 패널(212)은,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다. 제 1 화장 패널(212)은, 인접하는 제 1 내지 제 4 유닛 지지부(203a, 203b, 203c, 203d)의 외측살(207a, 207b)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화장 패널(212)은, 체결구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화장 패널(212)은,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와 협동하여 기둥(80)을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둘러싸고 있다. 이 때문에, 기둥(80)의 외주부와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 사이에는, 상부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00) 중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복수의 외장 패널(110) 및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필터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장 패널(110) 및 필터는,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외장 패널(110)은, 인접하는 제 1 내지 제 4 유닛 지지부(203a, 203b, 203c, 203d)의 외측살(207a, 207b)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장착되어 있다. 필터는, 제 1 실시형태의 필터(111)와 마찬가지로, 필터 요소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사각 외측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프레임은, 인접하는 제 1 내지 제 4 유닛 지지부(203a, 203b, 203c, 203d)의 외측살(207a, 207b)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둥(80)의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외장 패널(110)의 사이의 간극, 및 기둥(80)의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외장 패널(110)과 필터 사이의 간극은, 제 2 화장 패널(213)로 덮여 있다. 제 2 화장 패널(213)은, 상기 제 1 화장 패널(212)과 마찬가지로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다. 제 2 화장 패널(213)은, 인접하는 제 1 내지 제 4 유닛 지지부(203a, 203b, 203c, 203d)의 외측살(207a, 207b)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장 패널(110), 필터 및 제 2 화장 패널(213)은, 서로 협동하여 프레임(200) 및 기둥(80)을 포위하고 있다.
외장 패널(110), 필터 및 제 2 화장 패널(213)을 제 1 내지 제 4 유닛 지지부(203a, 203b, 203c, 203d)의 외측살(207a, 207b)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기둥(80)의 외주부와 외장 패널(110), 필터 및 제 2 화장 패널(213) 사이에 하부 공간(S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공간(S2)은, 상부 공간(S1)에 연통하는 동시에, 해당 상부 공간(S1)과 협동하여 기둥(80)의 주위에 흡입 통로(215)를 규정하고 있다. 흡입 통로(215)는, 프레임(20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입 통로(215)의 상단은, 도 20에 도시하는 복수의 폐색판(216)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폐색판(216)은, 프레임(20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입 통로(215)는, 건물(4)의 내부의 작업 영역(A)으로부터 구획되어 있는 동시에, 필터를 거쳐서 작업 영역(A)으로 통하여 있다. 프레임(200)에 장착된 전체 실내 유닛(5)은, 흡입 통로(215)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 통로(215)는, 전체 실내 유닛(5)에 접속된 제 1 내지 제 4 액측 접속 배관(9a, 9b, 9c, 9d) 및 제 1 내지 제 4 가스측 접속 배관(9e, 9f, 9g, 9h)을 통하는 배관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각 접속 배관(9a 내지 9h)은, 폐색판(216)을 관통하며 기둥(80)의 상부로 인도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전체 실내 유닛(5)의 드레인구(33)에 접속된 드레인 파이프(119)는, 흡입 통로(215)를 통하여 기둥(80)의 상부로 인도되어 있다. 또한, 전체 실내 유닛(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121)은, 흡입 통로(215)를 통하여 기둥(80)의 상부로 인도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벗어난 기둥(80)의 주위에, 예를 들면 소화기(220) 및 에어 컴프레서(221)와 같은 부대 기기와,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222)가 배치되어 있다.
소화기(220)는 예를 들면, 제 3 실내기 어셈블리(3c)의 하방에서 하부 공간(S2)에 수용되어 있다. 소화기(2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프레임(200)으로부터 외장 패널(110)이 분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소화기(220)는, 외장 패널(110)로 덮이는 일 없이 작업 영역(A)에 노출되어 있다.
에어 컴프레서(221) 및 리모트 컨트롤러(222)는 예를 들면, 제 1 실내기 어셈블리(3a)의 하방에서 하부 공간(S2)에 수용되어 있다. 에어 컴프레서(221) 및 리모트 컨트롤러(222)는, 기둥(80)의 높이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동시에, 프레임(200)에 장착한 외장 패널(110)로 덮여 가려져 있다.
이에 의해, 에어 컴프레서(221) 및 리모트 컨트롤러(222)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공기 조화 장치(1)의 관리자 혹은 공기 조화 장치(1)의 유지 보수를 실행하는 작업원의 허가 없이, 제 3 자가 함부로 리모트 컨트롤러(222)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공간(S2)에 소화기(220), 에어 컴프레서(221) 및 리모트 컨트롤러(222)를 수납하는 경우, 하부 공간(S2) 중 에어 컴프레서(221) 및 리모트 컨트롤러(222)가 면하는 영역을 도 24에 도시하는 복수의 이너 커버(223)로 흡입 통로(215)로부터 구획하면 좋다. 이에 의해, 작업 영역(A)의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흡입 통로(215)에 흡입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서, 실내 유닛(5)의 공기 열교환기(21)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실내기 어셈블리(3a, 3b, 3c, 3d)를 기둥(80)의 외주부에 지지하는 프레임(200)은, 복수의 형강을 조립하는 것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프레임(200)을 이용하여 전체 실내 유닛(5)의 하우징(20)을 기둥(80)의 외주부에 제대로 고정할 수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25는 제 3 실시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제 3 실시형태는, 실내 유닛(5)의 배열방향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그 이외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2개가 사각 기둥(130a, 130b)이 건물(4)의 마루면(F)으로부터 기립되어 있다. 기둥(130a, 130b)은 예를 들면, 작업 영역(A) 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다.
기둥(130a, 130b)의 외주부에 각각 프레임(131a, 131b)이 조립 장착되어 있다. 각 프레임(131a, 131b)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81)의 하부 구조체(9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프레임(131a, 131b)의 각 부에 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하부 구조체(90)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쪽 프레임(131a)은, 한쪽 기둥(130a)의 각부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건물(4)의 마루면(F)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 프레임(131b)은, 다른쪽 기둥(130a)의 각부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건물(4)의 마루면(F)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어 있다.
하나의 실내기 어셈블리(132)가 프레임(131a, 131b)의 상단부의 사이에 걸쳐서 수평으로 걸쳐 놓여있다. 실내기 어셈블리(132)는, 예를 들면 4대의 실내 유닛(5)을 구비하고, 해당 실내 유닛(5)은, 사다리형상의 서브 프레임(133)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133)은, 한 쌍의 프레임 요소(134a, 134b)와, 복수의 세로 비임(135)을 구비하고 있다. 각 프레임 요소(134a, 134b)는 예를 들면, 형강으로 구성되며, 기둥(130a, 130b)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따라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세로 비임(135)은 예를 들면, 형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로 비임(135)은, 프레임 요소(134a, 134b)의 사이에 수직으로 걸쳐 놓여있는 동시에, 프레임 요소(134a, 134b)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다.
4대의 실내 유닛(5)은, 각각 프레임 요소(134a, 134b)의 사이에 걸치도록 서브 프레임(133)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 요소(134a, 134b)의 일단부는, 한쪽 프레임(131a)의 상단부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 요소(134a, 134b)의 타단부는, 다른쪽 프레임(131b)의 상단부에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4대의 실내 유닛(5)은, 작업자(M)의 신장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업 영역(A)을 가로지르도록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실내 유닛(5)에서 공조된 공기가 취출구(68)로부터 작업 영역(A)의 상방의 영역을 향하여 수평으로 취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실내 유닛(5)의 서브 프레임(133)을 프레임(131a, 131b)의 상단부의 사이에 걸치도록 고정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접하는 지주의 사이에 걸쳐서 비임이 고정되어 있는 건물에서는, 비임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프레임을 설치하고, 해당 프레임에 실내기 어셈블리의 서브 프레임을 고정하거나, 실내 유닛을 각각에 고정하여도 좋다.
따라서, 기초 구조체는, 건물의 기둥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인접하는 기둥의 사이에 걸치는 비임 혹은 지주라도 좋다. 또한, 기초 구조체는, 건물의 골격이 되는 기둥이나 비임에 특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내기 어셈블리를 지지하기 위해서 건물의 마루면으로부터 기립된 전용의 지주라도 좋다.
이와 동시에, 기둥으로 하여도 사각기둥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H형강, I형강으로 구성하여도 좋고, 복수의 형강을 조립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한 실시형태는, 그 이외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 공기 조화 장치 5 : 실내 유닛
20 : 하우징 21 : 공기 열교환기
22 : 송풍기 24 : 덕트부
68 : 취출구
80, 130a, 130b : 기초 구조체(기둥) 81, 200 : 프레임

Claims (7)

  1. 관통 구멍이 형성된 프론트 패널 및 흡입구가 형성된 백 패널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부와 상기 백 패널의 상부 사이의 간극을 덮는 톱 커버와,
    상기 백 패널의 상부와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부 사이에 개재되는 칸막이판과,
    상기 칸막이판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가 구획됨으로써 형성되는 제 1 수용실과,
    상기 제 1 수용실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톱 커버로 덮이는 제 2 수용실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프론트 패널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 지지되며, 그 돌출된 선단에 취출구를 갖는 동시에,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하는 덕트부와,
    상기 제 1 수용실에 수용되며,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와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제 2 수용실에 수용되고, 상기 백 패널에 지지되는 동시에, 제어부를 구성하는 전장품과,
    상기 덕트부로 덮인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프론트 패널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프론트 패널보다 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취출구를 향하여 송풍하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공조용 실내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프론트 패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일 측방으로 편향된 위치에 있어서 수직 설치 자세로 배치되며, 상기 덕트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이 상기 열교환기의 중심에 위치되는
    공조용 실내 유닛.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교환기를 따르도록 기립된 상기 백 패널과, 상기 백 패널의 하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열교환기를 하방으로부터 덮은 드레인 팬과, 상기 백 패널과 서로 마주보는 동시에 상기 송풍기가 지지된 상기 프론트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백 패널로부터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하향으로 경사진
    공조용 실내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통형상의 어태치먼트와, 상기 어태치먼트에 동축형상으로 지지되며, 상기 어태치먼트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통형상의 통기 레지스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송풍기, 상기 어태치먼트 및 상기 통기 레지스터를 연속하여 덮는 동시에, 상기 송풍기, 상기 어태치먼트 및 상기 통기 레지스터 사이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프론트 패널에 도달하는 통풍로를 규정한 외통과, 상기 외통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외통의 직경방향을 따르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통기 레지스터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상기 통풍로로 안내하는 가이드벽을 갖고,
    상기 통풍로가 면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프론트 패널에, 상기 송풍기의 상류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하는 공기 되돌림 구멍이 개구된
    공조용 실내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에 면한 상기 외통의 내면 및 상기 가이드벽의 내면이 단열재로 덮인
    공조용 실내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백 패널의 양 측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브래킷을 구비하는
    공조용 실내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기초 구조체의 외주부에 마련된 프레임에 상기 브래킷을 통해 고정된
    공조용 실내 유닛.
KR1020217006934A 2016-02-17 2017-02-16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KR102460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7712 2016-02-17
JP2016027712 2016-02-17
KR1020187023642A KR102230506B1 (ko) 2016-02-17 2017-02-16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PCT/JP2017/005735 WO2017142026A1 (ja) 2016-02-17 2017-02-16 空調用室内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642A Division KR102230506B1 (ko) 2016-02-17 2017-02-16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838A true KR20210029838A (ko) 2021-03-16
KR102460769B1 KR102460769B1 (ko) 2022-10-28

Family

ID=596251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642A KR102230506B1 (ko) 2016-02-17 2017-02-16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KR1020217006934A KR102460769B1 (ko) 2016-02-17 2017-02-16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642A KR102230506B1 (ko) 2016-02-17 2017-02-16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5) JP6833802B2 (ko)
KR (2) KR102230506B1 (ko)
CN (2) CN113028510B (ko)
WO (1) WO2017142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100A1 (ja) * 2016-08-26 2018-03-0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789205B2 (ja) * 2017-12-25 2020-11-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ユニットおよび空調システム
CN112703351B (zh) * 2018-09-21 2022-04-26 三菱电机株式会社 中继器
JP7323274B2 (ja) * 2018-09-25 2023-08-0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009761B1 (ko) * 2018-11-28 2019-08-12 서상호 크린룸용 미세먼지 여과용 필터룸
CN111720907A (zh) 2019-03-19 2020-09-29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系统
CN111714973B (zh) 2019-03-19 2022-04-19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系统
KR20200111899A (ko) * 2019-03-19 202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시스템
KR102080733B1 (ko) * 2019-05-13 2020-02-24 김도현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기둥설치용 보호대
KR102162769B1 (ko) * 2020-02-17 2020-10-07 김도현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기둥설치용 보호대
CN115315598A (zh) * 2020-03-25 2022-11-08 东芝开利株式会社 空调机的室内单元
JP7356577B2 (ja) * 2020-03-25 2023-10-0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11706989B (zh) * 2020-06-19 2021-02-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接水盘组件及除湿机
CN116964383A (zh) * 2021-01-25 2023-10-27 东芝开利株式会社 空调机的室内单元
KR102576971B1 (ko) * 2021-10-27 2023-09-08 이상현 실외기 설치유닛
WO2023158144A1 (ko) * 2022-02-16 2023-08-24 손수호 공기청정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558A (ja) 1993-08-27 1995-03-07 Inter Metallics Kk 粉体皮膜形成装置
KR0128913Y1 (ko) * 1996-02-28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9990006002U (ko) * 1997-07-23 1999-02-18 오상수 에어컨의 실외기
KR20040017685A (ko) * 2002-08-23 200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결빙방지구조
KR20060011467A (ko) * 2004-07-30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9138Y1 (ko) * 1968-01-20 1973-11-19
JPS5426675Y2 (ko) * 1974-11-12 1979-09-03
JPS5712541U (ko) * 1980-06-27 1982-01-22
JPS5889725U (ja) * 1981-12-11 1983-06-17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調和空気の吹出口装置
JPS58115232A (ja) * 1981-12-28 1983-07-08 Kimura Koki Kk 空調システム
JPS58167819U (ja) * 1982-04-30 1983-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装置
JPS61203253U (ko) * 1985-06-10 1986-12-20
JPS6414520A (en) * 1987-07-03 1989-01-18 Hitachi Ltd Restriction of vibration of burner tail tube
JPH0522741Y2 (ko) * 1988-05-12 1993-06-11
IT218291Z2 (it) * 1989-04-11 1992-04-14 Emmepi Di Manfrenuzzi M Telaio in due parti identiche accoppiabili per trattenere un setto filtrante per filtraggio aria particolarmente per termoconvettori e condizionatori d'aria.
JPH0352524U (ko) * 1989-09-22 1991-05-22
JPH0450328U (ko) * 1990-08-31 1992-04-28
JPH0762558B2 (ja) * 1991-10-04 1995-07-05 木村工機株式会社 柱、壁面設置型産業用空気調和機
JPH0587423U (ja) * 1992-04-21 1993-11-26 松下冷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907026B2 (ja) * 1994-10-18 1999-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空調装置
JP4156082B2 (ja) 1998-07-03 2008-09-2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4667560B2 (ja) * 2000-06-13 2011-04-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防雪フード
JP4560915B2 (ja) * 2000-08-10 2010-10-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599771B2 (ja) * 2001-07-11 2010-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4270960A (ja) * 2003-03-05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調機器の取付装置
JP4393779B2 (ja) * 2003-03-27 2010-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交換器
JP2009030829A (ja) * 2007-07-25 2009-02-12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JP5145161B2 (ja) * 2008-08-08 2013-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農事用空気調和装置
JP5199041B2 (ja) 2008-11-27 2013-05-15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10061441A1 (ja) * 2008-11-27 2010-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1033248A (ja) * 2009-07-30 2011-02-17 Seiji Maeda エアコン取付装置およびエアコン取付方法
JP5812572B2 (ja) * 2010-03-24 2015-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軸流送風機およびこの軸流送風機を用いた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587060B2 (ja) * 2010-06-30 2014-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装置
US20110284185A1 (en) * 2010-11-19 2011-11-24 Fredrick Thomas Cullen Thermal fluid temperature converter
JP5181043B2 (ja) * 2011-05-19 2013-04-10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JP2013170744A (ja) * 2012-02-20 2013-09-02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2013221634A (ja) * 2012-04-13 2013-10-28 Fuji Electric Co Ltd 冷却システム、その制御装置
JP6354279B2 (ja) 2014-04-18 2018-07-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499932B1 (ko) * 2014-06-10 2015-03-10 제일정보기술 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장비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558A (ja) 1993-08-27 1995-03-07 Inter Metallics Kk 粉体皮膜形成装置
KR0128913Y1 (ko) * 1996-02-28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9990006002U (ko) * 1997-07-23 1999-02-18 오상수 에어컨의 실외기
KR20040017685A (ko) * 2002-08-23 200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결빙방지구조
KR20060011467A (ko) * 2004-07-30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47006A (ja) 2021-03-25
JP2020038056A (ja) 2020-03-12
KR20180100436A (ko) 2018-09-10
KR102230506B1 (ko) 2021-03-19
JP6833802B2 (ja) 2021-02-24
JP2019163926A (ja) 2019-09-26
JP6957585B2 (ja) 2021-11-02
CN113028510A (zh) 2021-06-25
CN113028510B (zh) 2023-03-28
CN108700310B (zh) 2021-03-12
JP2019163927A (ja) 2019-09-26
WO2017142026A1 (ja) 2017-08-24
CN108700310A (zh) 2018-10-23
JP7087049B2 (ja) 2022-06-20
KR102460769B1 (ko) 2022-10-28
JP6690044B2 (ja) 2020-04-28
JPWO2017142026A1 (ja)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506B1 (ko)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CN107091507B (zh) 空调装置
WO2013046724A1 (ja) 室外機及び冷凍装置
KR20060086732A (ko) 공기조화기
WO2013046725A1 (ja) 室外機及び冷凍装置
JP6992113B2 (ja) 空気調和装置
JP6442138B2 (ja) 発熱機器を収容した室の空調システム
JP620311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1149593A (ja) 熱交換ユニット
JP2019120449A (ja)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2019120448A (ja)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5758665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空調設置構造
JP4419522B2 (ja) エアコン設備の室外機カバー
JP2005127677A (ja) 空気調和機
JP7356043B2 (ja) 換気装置及び換気設備
JP2580312B2 (ja) 空気調和装置
JP5625826B2 (ja) 熱交換装置
JP6321501B2 (ja) エンジン収納用パッケージ
JPH11125443A (ja) 建物の小屋裏換気装置の設置構造
JPH10281543A (ja) 空調用ダンパ装置
KR20120121832A (ko) 냉동 공조 장치 및 냉동 공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