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58144A1 - 공기청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청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58144A1
WO2023158144A1 PCT/KR2023/001701 KR2023001701W WO2023158144A1 WO 2023158144 A1 WO2023158144 A1 WO 2023158144A1 KR 2023001701 W KR2023001701 W KR 2023001701W WO 2023158144 A1 WO2023158144 A1 WO 202315814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ers
unit
indoor sp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17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수호
Original Assignee
손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0607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23413A/ko
Application filed by 손수호 filed Critical 손수호
Publication of WO202315814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581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ing system.
  • air pollutants include air pollutants such as formaldehyde, toluene, benzene, phosphine, and var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acetone, carbon dioxide (CO 2 ) generated in the course of ignition or human breathing, dust, and tobacco.
  •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 Examples include smoke, foot odor, microbial substances (E. coli,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and other odors from various household items.
  • air purifiers have been widely spread to improve air quality in indoor spaces, and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are arranged in indoor spac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ir quality improvem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o provide an air clean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structure such as a pillar, and a group control of a plurality of installed air purifiers is possible. there is.
  •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arranged to surround pillars of an indoor space, measuring air quality and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indoor space,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air introduced from the indoor spac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arts connecting and fixing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to each other.
  • connection unit may connect the pair of air purifiers to each other in a ball joint manner.
  • a closing portion for closing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not exposed.
  • the air purifier includes a housing part, an inlet part for introducing air in the indoor space into the inside, a purification part for purifying the inflow air, an outlet par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and a A sensor unit for measuring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emperature, humidity, and differential pressur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measured air quality and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indoor space and providing an operation interfac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 control unit may group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and group control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grouped air purifiers.
  • FIG. 1 is a general view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part 2 shows that the air purifier of the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and fixed through a connection part
  • FIG. 3 shows an air purifier of an air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 FIG.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purifier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purifier of an air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llustrates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of an air purifier of an air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unit of an air cleaning system illustrates an operation of a connection unit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llustrates an operation of a fixing unit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art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 each “unit”, “module” or “step”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cessor and a memory.
  • Processor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to include general purpose processor,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processor,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controller, microcontroller, state machine, and the like.
  • processor may refer to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the like.
  •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 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 a processor may refer to a combination of processing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DSP and a microprocess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icroprocessor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in conjunction with a DSP core, or any other such configuration. .
  • memory should be construed broadly to include any electronic component capable of storing electronic information.
  • Memory include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only memory (RO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erasable-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electrically It may also refer to various types of processor-readable media, such as removable PROM (EEPROM), flash memory, magnetic or optical data storage, registers, and the like.
  • RAM random access memory
  • ROM read-only memory
  • 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EPROM erasable-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a memory is said to be in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or if the processor can read information from or write information to the memory, and each "part", “module” or “step” is said to be in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or and the memory.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based program or application.
  • FIG. 1 shows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 FIG. 2 shows that the air purifier of the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and fixed through a connection part
  • 3 is an overall view of an air purifier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purifier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n air purifier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llustrates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of the air purifier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shows that a fixing part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It shows the operation of the fixing part of the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part of the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leaning system 100 includes an air purifier 110, a connection part 120, and a closing part 130.
  • the air purifier 110 measures air quality and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indoor space, purifies and discharge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door space, and is provided in a plurality and arranged to surround a structure such as a pillar P in the indoor space.
  • the air purifier 110 includes a housing part 111, an inlet part 112, a purification part 113, an outlet part 114, a sensor part 115, and a display part 116. and a control unit 117.
  • the housing part 111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air purifier 110, and includes an inlet part 112, a purification part 113, an outlet part 114, a sensor part 115, and a display par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116 and a space in which the controller 117 can be installed.
  • An air inlet (I) through which indoor air can flow in is formed on the bottom or bottom of the housing part 111, and an air outlet (E) through which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 a display unit 116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 the inflow part 112 generates air flow and introduces air from the indoor space into the housing part 111 through the air inlet I, and is installed in a plurality in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part 111.
  • the inlet 112 may be provided as a blowing fan having a plurality of blade parts 125c for sucking in air in an axial direction and discharging air in an axial direc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a dust filt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ir inlet I and the inlet 112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large-sized dust from entering.
  • the purification unit 113 purifies the introduced air, and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111, and is installed in plurality between the inlet unit 112 and the outlet unit 114.
  • the purification unit 113 may include an activated carbon filter, an antibacterial filter, a HEPA filter, a catalyst filter, and a zeolite filt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discharge unit 114 discharges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unit 111 through the air outlet E, and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unit 111.
  • the discharge unit 114 may be provided as a blowing fan having a plurality of blade units 125c such as a sirocco fan that sucks in air in an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it in a radial direc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sensor unit 115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111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emperature, humidity and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introduced air.
  • the sensor unit 115 includes a VOC sensor 115a, a fine dust sensor 115b, a carbon dioxide sensor 115c, a temperature sensor 115d, a humidity sensor 115e, and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 115f).
  • the VOC sensor 115a measures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the inflowed air, that is,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maldehyde, toluene, benzene, phosphine, and acetone, etc.), which are air pollutants. electrically connected
  • the VOC sensor 115a may measure 0 to 60,000 parts per billion (ppb)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fine dust sensor 115b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introduced ai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17.
  • the degree of dust is measured through light sensing, and the fine dust sensor 115b ma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of PM 1.0, PM 2.5, and PM 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carbon dioxide sensor 115c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in the introduced ai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7 .
  • the carbon dioxide sensor 115c may be provided in a semiconductor type, solid electrolyte type, open conductivity type, etc., and may measure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0 to 5,000 ppm (parts per mill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temperature sensor 115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introduced ai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17 .
  • the temperature sensor 115d may be provided as an RTD type, a thermocouple type, an infrared type, or the lik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temperature sensor 115d since the temperature sensor 115d may cause a malfunction in sensing when a factor of temperature rise is adjacent to the surroundings, it is provided in a lead type and installed away from the substrate to reduce the heat effect generated from the substrate. It is desirable to minimize
  • the humidity sensor 115e measures the humidity of the introduced ai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7 .
  • the humidity sensor 115e may be provided in an electrical resistance type or a capacitance ty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15f measures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coming air and the outgoing ai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17 .
  •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15f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7, and when the transmitted differential press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117 determines that the replacement time of the purifying unit 113 has arrived, and determines that the replacement time has arrived. It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16.
  • the display unit 116 outputs the measured air quality and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indoor space and provides an operation interfa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7, and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unit 111.
  • the display unit 116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monitor that operates in a pressure-sensitive touch input method, and can visualize and output air quality alarms together with audio.
  • the control unit 117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10.
  • the control unit 117 groups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11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20, and groups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110 that are grouped. ) can be group controlled.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17 groups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110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110 through a network using communication ports such as RS485 and 3PORT.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17 derives an average value from the air quality measured in each of the grouped air purifiers 110, and accordingly, the inlet 112 and outlet 114 of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110 grouped together. You can collectively control the operation.
  • the plurality of installed air purifiers 110 can be operated through group control,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improving air purifying efficiency.
  • connection part 120 connects and fixes the air purifiers 110 to each other, and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air purifiers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air purifiers 110 connected to each
  • connection part 120 can connect a pair of air purifiers 110 to each other in a ball joint manner.
  • a socket portion 111a that can be installed is formed.
  • the connecting portion 120 includes a body portion 121 , a rod portion 122 , a first ball portion 123 , and a second ball portion 124 .
  • the body portion 121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liding space in which a rod portion 122 described later can slide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nd a first ball portion 123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the end thereof. do.
  • the rod part 122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body part 121, and a second ball part 124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an end thereof.
  • the first ball part 123 is formed in a ball shape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121, and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socket part 111a of the air purifier 110.
  • the second ball part 124 is formed in a ball shape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rod part 122, and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to the socket part 111a of the other air purifier 110.
  • connection part 12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125 for fixing the rod part 122 sliding inside the body part 121 .
  • fixing grooves H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rod part 122 can be fixed by the fixing part 125,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at predetermined intervals.
  • the fixing part 125 includes a gripping part 125a, a first annular part 125b, a blade part 125c, a second annular part 125d, and a fastening part 125e. .
  • the gripping portion 125a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fter being gripped by a user,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acilitate gripping by the user.
  • the first annular portion 125b is formed as an annular flat plate and has a first guide groove G1 formed on its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gripping portion 125a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holding portion 125a.
  • the first guide grooves G1 are formed in an oblique shape incline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o the inner circumference, and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same number as the blade parts 125c, but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 the plurality of blade parts 125c are provided so that the inner space forms a circle when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ach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annular part 125b to contact each other. At this time, when the plurality of blade parts 125c are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fixing groove H of the rod part 122, the rod part 122 does not slide inside the body part 121 and is fixed.
  • the blade portion 125c has coupling protrusions formed on one side and coupling groove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when the plurality of blade portions 125c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y can be coupled and slid by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Then, when the gripping portion 125a coupled with the first annular portion 125b is rotated forward or backward,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blade portions 125c may increase or decrease.
  • the fastening part 125e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G1, the second guide groove G2 and the blade part 125c, and the first annular part 125b, the second annular part 125d and the blade part ( 125c) is mutually fastened, and as the gripping part 125a and the first annular part 125b rotate, the blade part 125c can be moved in the first guide groove G1 and the second guide groove G2. make it possible
  •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blade parts 125c may be reduced.
  • the rod part 122 does not slide inside the body part 121 and is fixed.
  •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blade parts 125c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lade parts 125c rotates the rod part. It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H) of (122), and the rod part (122) is slidable inside the body part (121).
  • the finishing part 130 has the same or similar color and material as the housing part 111 of the air purifier 110 to prevent the connection part 120 from being exposed and at the same time not to damage the aesthetics of the indoor space, and to provide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It is desirable to close the space between (110).
  • the air purifiers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a row at the corners of the indoor space, connected in a row by the connecting part 120, and then the space between the air purifiers 110 is closed by the closing part 130. It will be self-evident that it may be possible.
  • the plurality of installed air purifiers 110 can be operated through group control, there is an effect that air purifying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내공간의 기둥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질과 차압을 측정하며, 상기 실내공간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시키는 복수의 공기청정기; 및 복수의 상기 공기청정기를 서로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 시스템
본 발명은 공기청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 주택 등의 실내공간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공기오염물질에는 미세한 크기의 물질들을 포함하여 약 250여종이 있다.
이러한 공기오염물질에는 대기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벤젠, 포스핀,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발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의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살모넬라), 기타 악취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해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이나 두통 유발 등의 인체에 각종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공기청정기가 널리 보급되어 실내공간의 공기질을 개선시키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실내공간에 배치시켜 공기질 개선의 효율 상승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공기질 개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실내공간에 공기청정기를 복수로 배치하는 경우, 실내공간의 미관을 해치게 되고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해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구석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공기질 개선의 효율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공기청정기가 기둥과 같은 구조물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복수의 공기청정기의 그룹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실내공간의 기둥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질과 차압을 측정하며, 상기 실내공간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시키는 복수의 공기청정기; 및 복수의 상기 공기청정기를 서로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볼조인트 방식으로 한 쌍의 상기 공기청정기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상기 공기청정기의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는, 하우징부와, 실내공간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부와,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부와,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유입된 공기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습도 및 차압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측정된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질과 차압을 출력하고 조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상기 공기청정기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복수의 상기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그룹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공기청정기가 실내공간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기둥과 같은 구조물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된 복수의 공기청정기가 그룹 제어를 통해 동작될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 효율이 대폭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공기청정기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공기청정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공기청정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공기청정기의 구성 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연결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연결부에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고정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및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리며,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전자 통신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기반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공기청정기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공기청정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공기청정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공기청정기의 구성 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연결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연결부에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고정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의 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100)은 공기청정기(110)와, 연결부(120)와, 마감부(130)를 포함한다.
공기청정기(110)는 실내공간의 공기질과 차압을 측정하며, 실내공간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시키는 것으로, 복수개로 마련되어 실내공간의 기둥(P) 등과 같은 구조물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공기청정기(110)는 보다 상세하게, 하우징부(111)와, 유입부(112)와, 정화부(113)와, 배출부(114)와, 센서부(115)와, 디스플레이부(116)와, 제어부(117)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1)는 공기청정기(11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유입부(112)와, 정화부(113)와, 배출부(114)와, 센서부(115)와, 디스플레이부(116)와, 제어부(117)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우징부(111)의 저면 또는 하부에는 실내공간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구(I)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구(E)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16)가 설치된다.
유입부(112)는 공기유동을 발생시켜 공기유입구(I)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를 하우징부(11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으로, 하우징부(111) 내부의 하부에 복수개 설치된다. 이러한 유입부(112)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으로 배출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부(125c)를 구비한 송풍팬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공기유입구(I)와 유입부(112) 사이에는 크기가 큰 먼지 등의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먼지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정화부(113)는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하우징부(111)에 설치되되, 유입부(112)와 배출부(114)의 사이에 복수개 설치된다. 이러한 정화부(113)는 활성탄필터, 항균필터, 헤파필터, 촉매필터 및 제오라이트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부(114)는 공기배출구(E)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하우징부(11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하우징부(111) 내부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된다. 이러한 배출부(114)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시로코팬 등의 복수개의 블레이드부(125c)를 구비한 송풍팬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115)는 유입된 공기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습도 및 차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하우징부(111)에 설치된다.
이러한 센서부(115)는 보다 상세하게, VOC 센서(115a)와, 미세먼지 센서(115b)와, 이산화탄소 센서(115c)와, 온도 센서(115d)와, 습도 센서(115e)와, 차압 센서(115f)를 포함한다.
VOC 센서(115a)는 유입된 공기의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즉, 대기오염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벤젠, 포스핀 및 아세톤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VOC 센서(115a)는 0 내지 60,000ppb(parts per billion)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세먼지 센서(115b)는 유입된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센싱을 통해 먼지의 정도를 측정하며, 이러한 미세먼지 센서(115b)는 PM 1.0, PM 2.5 및 PM 10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산화탄소 센서(115c)는 유입된 공기의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센서(115c)는 반도체식, 고체 전해질식, 연전도도 방식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0 내지 5,000ppm(parts per million)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 센서(115d)는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온도 센서(115d)는 RTD 타입, 열전대 타입, 적외선 타입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온도 센서(115d)는 주변에 온도 상승의 요인이 인접하는 경우 센싱에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는 바, 리드형(Lead Type)으로 마련되어, 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영향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도 센서(115e)는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습도 센서(115e)는 전기저항 타입, 정전용량 타입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차압 센서(115f)는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차압 센서(115f)를 통해 측정된 차압은 제어부(117)로 전송되고, 전송된 차압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17)는 정화부(113)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16)를 통해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6)는 측정된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질과 차압을 출력하고 조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어부(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우징부(111)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6)는 감압식 터치 입력 방식으로 동작하는 터치 스크린 모니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공기질에 대한 경보를 음성과 함께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7)는 공기청정기(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때, 제어부(117)는 연결부(120)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공기청정기(110)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복수의 공기청정기(110)의 동작을 그룹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17)는 RS485, 3PORT 등의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기청정기(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후, 복수의 공기청정기(110)를 그룹화한다. 이후, 제어부(117)는 그룹화된 각각의 공기청정기(110)에서 측정된 공기질에서 평균값을 도출하고, 이에 따라 그룹화된 복수의 공기청정기(110)의 유입부(112)와 배출부(114)의 동작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설치된 복수의 공기청정기(110)가 그룹 제어를 통해 동작될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 효율이 대폭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결부(120)는 공기청정기(110)를 서로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것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공기청정기(1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공기청정기(110)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120)는 볼조인트(Ball Joint) 방식으로 한 쌍의 공기청정기(11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때 공기청정기(110)의 하우징부(111)의 양 측면에는 연결부(120)가 설치될 수 있는 소켓부(111a)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몸체부(121)와, 로드부(122)와, 제1 볼부(123)와, 제2 볼부(124)를 포함한다.
몸체부(12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후술하는 로드부(122)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단부에 후술하는 제1 볼부(123)가 형성된다.
로드부(122)는 몸체부(12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단부에 후술하는 제2 볼부(124)가 형성된다.
제1 볼부(123)는 볼(Ball) 형상으로 형성되되 몸체부(121)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공기청정기(110)의 소켓부(111a)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2 볼부(124)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되 로드부(122)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른 공기청정기(110)의 소켓부(111a)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는 몸체부(12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로드부(12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로드부(122)에는 고정부(12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H)이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기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5)는 보다 상세하게, 파지부(125a)와, 제1 환형부(125b)와, 블레이드부(125c)와, 제2 환형부(125d)와, 체결부(125e)를 포함한다.
파지부(125a)는 사용자가 파지한 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요철이 형성된다.
제1 환형부(125b)는 환형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표면에 제1 가이드홈(G1)이 형성되는 것으로, 파지부(125a)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파지부(125a)에 결합된다. 이때, 제1 가이드홈(G1)은 외주에서 내주 방향으로 경사진 사선 형태로 형성되며, 블레이드부(125c)와 동일한 갯수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블레이드부(125c)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서로 접하게 되는 경우 내부 공간이 원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접하도록 제1 환형부(125b)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부(125c)가 상술한 로드부(122)의 고정홈(H)에 삽입되는 경우 로드부(122)가 몸체부(121)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블레이드부(125c)는 일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블레이드부(125c)가 서로 접할 때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후, 제1 환형부(125b)와 결합된 파지부(125a)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개의 블레이드부(125c)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직경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제2 환형부(125d)은 환형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표면에 제2 가이드홈(G2)이 형성되는 것으로, 블레이드부(125c)의 하부에 배치되되 파지부(125a) 및 제1 환형부(125b)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함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2 가이드홈(G2)은 외주에서 내주 측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블레이드부(125c)와 동일한 갯수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기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형성된다.
체결부(125e)는 제1 가이드홈(G1), 제2 가이드홈(G2) 및 블레이드부(125c)에 삽입되어, 제1 환형부(125b), 제2 환형부(125d) 및 블레이드부(125c)를 상호 체결하는 것으로, 파지부(125a) 및 제1 환형부(125b)가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부(125c)가 제1 가이드홈(G1) 및 제2 가이드홈(G2)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부(125a)를 파지한 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복수개의 블레이드부(125c)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직경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부(125c)가 로드부(122)의 고정홈(H)에 삽입되는 경우, 로드부(122)가 몸체부(121)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파지부(125a)를 파지한 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복수개의 블레이드부(125c)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어, 이에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부(125c)가 로드부(122)의 고정홈(H)으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로드부(122)가 몸체부(121)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125)에 따르면, 몸체부(121)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로드부(122)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고정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감부(130)는 연결부(120)가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부(120)를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공기청정기(110)의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것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공기청정기(110)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마감부(130)는 연결부(12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공간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공기청정기(110)의 하우징부(1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과 재질을 가지고 복수의 공기청정기(110)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10)는 실내공간의 모서리에 일렬로 배치되어, 연결부(120)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후, 마감부(130)에 의해 공기청정기(110) 사이의 공간이 마감될 수도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청정기(110)와, 연결부(120)와, 마감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100)에 따르면, 복수의 공기청정기(110)가 기둥(P)과 같은 구조물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된 복수의 공기청정기(110)가 그룹 제어를 통해 동작될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 효율이 대폭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실내공간의 기둥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질과 차압을 측정하며, 상기 실내공간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시키는 복수의 공기청정기; 및
    복수의 상기 공기청정기를 서로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볼조인트 방식으로 한 쌍의 상기 공기청정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상기 공기청정기의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하우징부와, 실내공간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부와,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부와,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유입된 공기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습도 및 차압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측정된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질과 차압을 출력하고 조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상기 공기청정기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복수의 상기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그룹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PCT/KR2023/001701 2022-02-16 2023-02-07 공기청정 시스템 WO202315814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20148 2022-02-16
KR10-2022-0020148 2022-02-16
KR10-2022-0106076 2022-08-24
KR1020220106076A KR20230123413A (ko) 2022-02-16 2022-08-24 공기청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144A1 true WO2023158144A1 (ko) 2023-08-24

Family

ID=8757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1701 WO2023158144A1 (ko) 2022-02-16 2023-02-07 공기청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5814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328U (ko) * 1990-08-31 1992-04-28
KR20050034413A (ko) *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룹별 제어가 가능한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CN205655461U (zh) * 2016-04-07 2016-10-1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用的组装式过滤筒
KR20180100436A (ko) * 2016-02-17 2018-09-10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KR20220014977A (ko) * 2020-07-30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328U (ko) * 1990-08-31 1992-04-28
KR20050034413A (ko) *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룹별 제어가 가능한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KR20180100436A (ko) * 2016-02-17 2018-09-10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CN205655461U (zh) * 2016-04-07 2016-10-1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用的组装式过滤筒
KR20220014977A (ko) * 2020-07-30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15368A1 (ko)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WO2021095964A1 (ko) 호환 가능한 하부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장치
CN105496707B (zh) 一种烧伤综合治疗床
WO2019132546A1 (ko) 핵산 추출용 카트리지
WO2021256805A1 (ko) 도어형 열회수 공기청정 환기장치
WO2023158144A1 (ko) 공기청정 시스템
WO2017173642A1 (zh) 多功能的智能窗户
WO2016140460A1 (ko)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
WO2017179743A1 (ko) 공기청정기
WO2022124579A1 (ko) 살균정화장치
WO2015147439A1 (ko) 휴대용 물병{portable water bottle}
WO2022071724A1 (ko) 공기청정기
WO2021149935A1 (ko) 매립형 공기청정장치
WO2021020819A1 (ko) 저농도 대기 오염 물질 농축 키트
KR20200058695A (ko) 다목적 공기청정기
WO2019103225A1 (ko) 흄후드
CN212671339U (zh) 一种用于治疗传染病患者的负压隔离帐篷
CN205910038U (zh) 烟气排放监测系统
WO2017022989A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WO2022071653A1 (ko) 공기 청정기
CN112246290A (zh) 净气式集成实验柜及其工作方法
KR20230123413A (ko) 공기청정 시스템
CN207628100U (zh) 气体净化装置
WO2022131456A1 (ko) 바이러스 살균 및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결합한 공기정화장치
CN110966691A (zh) 一种杀菌照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565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