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346A -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 Google Patents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346A
KR20210013346A KR1020217002773A KR20217002773A KR20210013346A KR 20210013346 A KR20210013346 A KR 20210013346A KR 1020217002773 A KR1020217002773 A KR 1020217002773A KR 20217002773 A KR20217002773 A KR 20217002773A KR 20210013346 A KR20210013346 A KR 2021001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composite
container
container body
p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921B1 (ko
Inventor
다쿠마 미야와키
유스케 스가
마리코 이치노세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71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00949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7119A external-priority patent/JP66253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71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0094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7101A external-priority patent/JP66253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10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288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10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28858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3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8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49/2408In-mould 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29C49/2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64Applied in mould
    • B29C2049/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17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out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21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 B29C2049/2047Tubular insert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2Lining or labelling out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31Means for preparing or treating the label or lining, e.g. cutting, deforming, heating 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92Mould halves consisting of an independent main and bottom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29C2949/0724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9Auxiliary parts or inserts
    • B29C2949/08Preforms made of several individual parts, e.g. by welding or gluing parts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6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at least one components being applied us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B29C2949/3032 - B29C2949/30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29C49/04108Extrusion blow-moulding extruding several parisons parallel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604Thermal conditioning of the blown article
    • B29C49/6605Heating the article, e.g. for hot f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8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6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6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31/00Use of polyvinyl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31/04Polymers of vinyl acetate, e.g. PVAc, i.e. polyvinyl 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33/04Polymers of esters
    • B29K2633/08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e.g. PMA, i.e. polymethyl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623/00 - B29K2649/00, e.g. having a vinyl group,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67/006PBT, i.e. polybut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5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9Heat 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5Resistive to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5Permeability to gases
    • B29K2995/0067Permeability to gases 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2Roughness, e.g.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Abstract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10a)을 준비하고, 프리폼(10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함으로써,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갖는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한다. 이어서, 복합 프리폼(70)을 가열함과 함께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에 삽입하고,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에서 복합 프리폼(70)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서 팽창시켜, 복합 용기(10A)를 얻는다.

Description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BLOW MOLDING METHOD, COMPOSITE PREFORM, COMPOSITE CONTAINER, INSIDE LABEL MEMBER, AND PLASTIC-MADE MEMBER}
본 발명은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식음료 등의 내용액을 수용하는 보틀로서, 플라스틱제의 것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플라스틱 보틀에는 내용액이 수용된다.
이러한 내용액을 수용하는 플라스틱 보틀은, 금형 내에 프리폼을 삽입하고,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런데, 종래의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서는, 예를 들어 PET나 PP 등의 단층 재료, 다층 재료 또는 블렌드 재료 등을 포함하는 프리폼을 사용해서 용기 형상으로 성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있어서는, 단순히 프리폼을 용기 형상으로 성형하기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용기에 대하여 여러가지 기능이나 특성(배리어성이나 보온성 등)을 갖게 할 경우, 예를 들어 프리폼을 구성하는 재료를 변경하는 등, 그 수단은 한정되어 버린다. 특히, 용기 부위(예를 들어 동체부나 저부)에 따라, 다른 기능이나 특성을 갖게 하는 것은 어렵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1526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에 대하여 여러 가지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합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플라스틱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프리폼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밀착된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를 갖는 복합 프리폼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복합 프리폼을 가열함과 함께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서 상기 복합 프리폼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복합 프리폼의 상기 프리폼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를 일체로서 팽창시키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리폼은 입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의 상기 동체부와 상기 저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리폼은 입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의 상기 동체부 및 상기 저부 중 그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가스 배리어성 또는 광선 배리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에는 디자인 또는 프린트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을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을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미끄러지기 어려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외측 수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외측 수축 부재는 열이 가해졌을 때,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외측 수축 부재이며, 상기 복합 프리폼을 제작하는 공정은,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상기 외측 수축 부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폼 및 상기 외측 수축 부재를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복합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외측 수축 부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폼 및 외측 수축 부재를 가열함과 함께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서 상기 프리폼 및 상기 외측 수축 부재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프리폼 및 상기 외측 수축 부재를 일체로서 팽창시키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복합 프리폼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을 취해 둘러싸도록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리폼은 입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의 상기 동체부와 상기 저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리폼은 입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의 상기 동체부 및 상기 저부 중 그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가스 배리어성 또는 광선 배리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에는 디자인 또는 프린트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을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을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미끄러지기 어려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외측 수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외측 수축 부재는 열이 가해졌을 때,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복합 용기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제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에 밀착되어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팽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본체는 입구부와 헤드부와 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헤드부와 상기 견부와 상기 동체부와 상기 저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본체는 입구부와 헤드부와 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헤드부, 상기 견부, 상기 동체부 및 상기 저부 중 그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가스 배리어성 또는 광선 배리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에는 디자인 또는 프린트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미끄러지기 어려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외측 수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외측 수축 부재는 열이 가해졌을 때,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프리폼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프리폼과 함께 일체로서 가열됨으로써, 상기 프리폼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갖는 복합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 플라스틱제 부재이며, 적어도 상기 프리폼의 동체부를 덮는 통 형상의 동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부재이다.
본 발명은, 복합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내측 라벨 부재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내측 라벨 부재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프리폼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밀착된 상기 내측 라벨 부재와, 상기 내측 라벨 부재의 외측에 밀착되어 설치된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를 갖는 복합 프리폼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복합 프리폼을 가열함과 함께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서 상기 복합 프리폼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복합 프리폼의 상기 프리폼,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를 일체로서 팽창시키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리폼은 입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의 상기 동체부와 상기 저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리폼은 입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의 상기 동체부 및 상기 저부 중 그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 및 상기 내측 라벨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가스 배리어성 또는 광선 배리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 및 상기 내측 라벨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디자인 또는 프린트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 및 상기 내측 라벨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프리폼을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을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미끄러지기 어려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외측 수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외측 수축 부재는 열이 가해졌을 때,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외측 수축 부재이며, 상기 복합 프리폼을 제작하는 공정은,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상기 내측 라벨 부재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내측 라벨 부재의 외측에, 상기 외측 수축 부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폼,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외측 수축 부재를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복합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블로우 성형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내측 라벨 부재의 외측에, 외측 수축 부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폼,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외측 수축 부재를 가열함과 함께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서 상기 프리폼,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외측 수축 부재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프리폼,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외측 수축 부재를 일체로서 팽창시키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본 발명은, 복합 프리폼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밀착해서 설치된 내측 라벨 부재와, 상기 내측 라벨 부재의 외측에 밀착되어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리폼은 입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의 상기 동체부와 상기 저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리폼은 입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의 상기 동체부 및 상기 저부 중 그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 및 상기 내측 라벨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가스 배리어성 또는 광선 배리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 및 상기 내측 라벨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디자인 또는 프린트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 및 상기 내측 라벨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프리폼을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을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미끄러지기 어려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외측 수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상기 외측 수축 부재는 열이 가해졌을 때,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리폼이다.
본 발명은, 복합 용기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제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밀착해서 설치된 내측 라벨 부재와, 상기 내측 라벨 부재의 외측에 밀착되어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팽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본체는 입구부와 헤드부와 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헤드부와 상기 견부와 상기 동체부와 상기 저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본체는 입구부와 헤드부와 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내측 라벨 부재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헤드부, 상기 견부, 상기 동체부 및 상기 저부 중 그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 및 상기 내측 라벨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가스 배리어성 또는 광선 배리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 및 상기 내측 라벨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디자인 또는 프린트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 및 상기 내측 라벨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미끄러지기 어려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외측 수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외측 수축 부재는 열이 가해졌을 때,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이다.
본 발명은, 프리폼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장착됨과 함께 플라스틱제 부재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프리폼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와 함께 일체로서 가열됨으로써, 상기 프리폼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밀착된 내측 라벨 부재와, 상기 내측 라벨 부재의 외측에 밀착된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를 갖는 복합 프리폼을 제작하기 위한 내측 라벨 부재이며, 상기 프리폼의 동체부를 덮는 통 형상의 동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라벨 부재이다.
본 발명은, 프리폼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장착됨과 함께 내측 라벨 부재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프리폼 및 상기 내측 라벨 부재와 함께 일체로서 가열됨으로써, 상기 프리폼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밀착된 내측 라벨 부재와, 상기 내측 라벨 부재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갖는 복합 프리폼을 제작하기 위한 플라스틱제 부재이며, 상기 프리폼의 동체부를 덮는 통 형상의 동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서 복합 프리폼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복합 프리폼의 프리폼 및 플라스틱제 부재를 일체로서 팽창시킨다. 이로 인해 프리폼(용기 본체)과 플라스틱제 부재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어, 플라스틱제 부재의 종류나 형상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복합 용기에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프리폼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4의 (a) 내지 (d)는, 각종 플라스틱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의 (a) 내지 (g)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프리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10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도 11의 XⅡ-XⅡ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프리폼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14의 (a) 내지 (d)는, 각종 내측 라벨 부재 및 각종 플라스틱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6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7의 (a) 내지 (g)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프리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20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복합 용기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상」 및 「하」란, 각각 복합 용기(10A)를 바로 세운 상태(도 1)에 있어서의 상방 및 하방을 말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복합 용기(1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해서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포함하는 복합 프리폼(70)(도 3 참조)에 대하여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서 팽창시켜서 얻어진 것이다.
이러한 복합 용기(10A)는, 내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재료제의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측에 밀착되어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용기 본체(10)는, 입구부(11)와, 입구부(11) 하방에 설치된 헤드부(13)와, 헤드부(13) 하방에 설치된 견부(12)와, 견부(12) 하방에 설치된 동체부(20)와, 동체부(20) 하방에 설치된 저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얇게 연신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고,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용기 본체(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 본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구부(11)와, 헤드부(13)와, 견부(12)와, 동체부(20)와, 저부(30)를 갖고 있다.
이 중 입구부(11)는, 도시하지 않은 캡에 나사 장착되는 나사부(14)와, 나사부(14) 하방에 설치된 플랜지부(17)를 갖고 있다. 또한, 입구부(11)의 형상은, 종래 공지된 형상이라도 된다.
헤드부(13)는 플랜지부(17)와 견부(12)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략 균일한 직경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견부(12)는 헤드부(13)와 동체부(20)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헤드부(13)측으로부터 동체부(20)측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동체부(20)는 전체적으로 대략 균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체부(20)가 사각형 통 형상이나 팔각형 통 형상 등의 다각형 통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는, 동체부(20)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균일하지 않은 수평 단면을 갖는 통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체부(20)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대략 평탄한 표면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체부(20)에 패널 또는 홈 등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저부(30)는 중앙에 위치하는 오목부(31)와, 이 오목부(31) 주위에 설치된 접지부(32)를 갖고 있다. 또한, 저부(30)의 형상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공지된 저부 형상(예를 들어 페타로이드 바닥 형상이나 둥근 바닥 형상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동체부(20)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10)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50㎛ 내지 250㎛ 정도로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의 중량에 대해서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g 내지 20g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용기 본체(10)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용기 본체(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 본체(10)는,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해서 제작한 프리폼(10a)(후술)을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프리폼(10a), 즉 용기 본체(10)의 재료로서는 열 가소성 수지, 특히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C(폴리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각종 수지를 블렌드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용기 본체(10)의 내면에, 용기의 배리어성을 높이기 위해서,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형상 탄소막이나 산화규소박막 등의 증착막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2층 이상의 다층 성형 보틀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예를 들어 중간층을 MXD6, MXD6+지방산염, PGA(폴리글리콜산), EVOH(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가스 배리어성 및 차광성을 갖는 수지(중간층)로서 3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프리폼(10a)을 압출 성형 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성 및 차광성을 갖는 다층 보틀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중간층으로서는, 상술한 각종 수지를 블렌드한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열 가소성 수지의 용융물에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를 섞음으로써, 0.5 내지 100㎛의 발포 셀 직경을 갖는 발포 프리폼을 성형하고, 이 발포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용기 본체(10)를 제작해도 된다. 이러한 용기 본체(10)는 발포 셀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용기 본체(10) 전체의 차광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용기 본체(10)는, 예를 들어 만주 용량이 150㎖ 내지 1500㎖인 보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폼(10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 후, 프리폼(10a)과 함께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접착되는 일 없이 설치되어 있고,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있어서 얇게 연신되어 용기 본체(10)를 덮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를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 및 헤드부(13)를 제외한,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10)의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에 대하여 원하는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 이외의 전역 또는 일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를 제외한, 헤드부(13),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견부(12)의 외면 및 저부(30)의 외면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는,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라도 되고,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라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프리폼(10a)의 외측에 설치되고, 이 프리폼(10a)과 일체로서 가열되어,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이러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로서는,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면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그 자체가 수축성 내지 탄력성을 갖고, 외적인 작용을 가하는 일 없이 수축 가능한 것이라도 된다. 또는,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외적인 작용(예를 들어 열)이 가해졌을 때,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예를 들어 열 수축)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기 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50㎛ 정도로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프리폼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프리폼(70)은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설치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프리폼(10a)은, 입구부(11a)와, 입구부(11a)에 연결된 동체부(20a)와, 동체부(20a)에 연결된 저부(30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입구부(11a)는, 상술한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1)에 대응하는 것이며, 입구부(11)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동체부(20a)는, 상술한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 견부(12) 및 동체부(20)에 대응하는 것이며,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저부(30a)는, 상술한 용기 본체(10)의 저부(30)에 대응하는 것이며, 대략 반구 형상을 갖고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프리폼(10a)의 외면에 접착되는 일 없이 설치되어 있고, 프리폼(10a)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프리폼(10a)을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13a)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입구부(11a) 이외의 전역 또는 일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입구부(11a)를 제외한, 동체부(20a) 및 저부(30a)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동체부(20a)의 외측 2군데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는,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라도 되고,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라도 된다.
후자의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외적인 작용(예를 들어 열)이 가해졌을 때,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예를 들어 열 수축)하는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4-메틸펜텐-1, 폴리스티렌, AS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프탈산디알릴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부타디엔, 폴리부텐-1,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틸 고무, 니트릴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나일론 6, 나일론 6, 6, 나일론 MXD6,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테레프탈산 에틸렌, 폴리테레프탈산부틸렌, 폴리나프탈렌산에틸렌, U 중합체, 액정 중합체,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알키드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술폰,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페놀 수지, 요소 수지,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프로필렌옥시드, 폴리아세탈,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열 가소성 비탄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들 블렌드 재료나 다층 구조, 부분적 다층 구조의 것이라도 된다. 또한, 열 가소성 수지의 용융물에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를 섞는 것으로, 0.5 내지 100㎛의 발포 셀 직경을 갖는 발포 부재를 사용하고, 이 발포 프리폼을 성형함으로써, 차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용기 본체(10)[프리폼(10a)]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복합 용기(10A) 중, 예를 들어 강도를 높이고 싶은 부분에 중점적으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배치하고, 당해 개소의 강도를 선택적으로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의 견부(12) 주변 및 저부(30) 주변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고, 이 부분의 강도를 높여도 된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열 가소성 수지, 특히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C(폴리카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산소 배리어성 또는 수증기 배리어성 등의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리폼(10a)으로서 다층 프리폼이나 블렌드 재료를 포함하는 프리폼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의 가스 배리어성을 높여, 산소나 수증기에 의해 내용액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 중, 견부(12), 헤드부(13), 동체부(20) 및 저부(30)의 전역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고, 이 부분의 가스 배리어성을 높여도 된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MXD-6(나일론), EVOH(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이들 재료에 지방산염 등의 산소 흡수재를 섞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자외선 등의 광선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리폼(10a)으로서 다층 프리폼이나 블렌드 재료를 포함하는 프리폼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의 광선 배리어성을 높여, 자외선 등에 의해 내용액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 중, 견부(12), 헤드부(13), 동체부(20) 및 저부(30)의 전역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하고, 이 부분의 자외선 배리어성을 높여도 된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블렌드 재료 또는 PET나 PE, PP에 차광성 수지를 첨가한 재료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열 가소성 수지의 용융물에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를 섞음으로써 제작된, 0.5 내지 100㎛의 발포 셀 직경을 갖는 발포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용기 본체(10)[프리폼(10a)]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은 재료(열 전도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10) 그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내용액의 온도가 복합 용기(10A)의 표면까지 전달되기 어렵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복합 용기(10A)의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 중 동체부(2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고, 동체부(20)의 보온성 또는 보냉성을 높여도 된다. 또한, 사용자가 복합 용기(10A)를 파지했을 때, 너무 뜨겁거나 차거나 함으로써 복합 용기(10A)를 쥐기 어려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발포화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페놀 수지, 폴리염화비닐, 우레아 수지, 실리콘, 폴리이미드, 멜라민 수지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열 가소성 수지의 용융물에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를 섞음으로써 제작된, 0.5 내지 100㎛의 발포 셀 직경을 갖는 발포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용기 본체(10)[프리폼(10a)]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미끄러지기 어려운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10)의 재료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자가 복합 용기(10A)를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 중 동체부(2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고, 동체부(20)를 쥐기 쉽게 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에는, 디자인 또는 프린트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블로우 성형 후에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별도의 라벨 등을 부여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에 화상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 중 동체부(2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고, 동체부(20)에 화상이나 문자를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재료로서는, 용기 본체(1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용기 본체(10)와 상이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와, 동체부(41)에 연결된 저부(42)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저부(42)가 프리폼(10a)의 저부(30a)를 덮으므로, 복합 용기(10A)의 동체부(20)에 추가하여, 저부(30)에 대해서도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9(후술) 및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전체적으로 원관 형상(바닥이 없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는, 예를 들어 압출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 및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필름을 통 형상으로 형성해서 그 단부를 접합함으로써 제작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동체부(41)를 갖는 관 형상(바닥이 없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42)를 접합함으로써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도 5의 (a) 내지 (f)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5의 (a) 참조]. 이 경우,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법에 의해 프리폼(10a)을 제작해도 된다.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함으로써,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갖는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한다[도 5의 (b) 참조].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와, 동체부(41)에 연결된 저부(42)를 갖고 있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 경우, 프리폼(10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조금 작은 내경을 갖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프리폼(10a)에 대하여 압입함으로써, 프리폼(10a)의 외면에 밀착시켜도 된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 수축성을 갖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프리폼(10a)의 외면에 설치하고, 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50℃ 내지 100℃로 가열함으로써 열 수축시켜서 프리폼(10a)의 외면에 밀착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미리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밀착시켜,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해 둠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5의 (a) 내지 (b)]과, 복합 용기(10A)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5의 (c) 내지 (f)]을 각각의 장소(공장 등)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복합 프리폼(70)은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5의 (c) 참조]. 이때, 복합 프리폼(70)은 입구부(11a)를 하부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열된다. 이 가열 공정에서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90℃ 내지 130℃로 해도 된다.
계속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복합 프리폼(70)은, 블로우 성형 금형(50)으로 보내진다[도 5의 (d) 참조].
복합 용기(10A)는,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해서 성형된다. 이 경우, 블로우 성형 금형(50)은 서로 분할된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과 저부 금형(50c)으로 이루어진다[도 5의 (d) 참조]. 도 5의 (d)에 있어서,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 사이는 서로 개방되어 있고, 저부 금형(50c)은 상방으로 상승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 사이에, 복합 프리폼(70)이 삽입된다.
이어서 도 5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 금형(50c)이 하강한 뒤에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이 폐쇄되고,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 및 저부 금형(50c)에 의해 밀폐된 블로우 성형 금형(50)이 구성된다. 이어서 프리폼(10a) 내에 공기가 압입되고, 복합 프리폼(70)에 대하여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이 실시된다.
이에 의해,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에서 프리폼(10a)으로부터 용기 본체(10)가 얻어진다. 이 사이에, 동체부 금형(50a, 50b)은 30℃ 내지 80℃까지 가열되고, 저부 금형(50c)은 5℃ 내지 25℃까지 냉각된다. 이때,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에서는,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일체로서 팽창된다. 이에 의해,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일체가 되어 블로우 성형 금형(50)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부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
이어서 도 5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 및 저부 금형(50c)이 서로 떨어져,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로부터 복합 용기(10A)가 취출된다.
블로우 성형 방법의 변형예
이어서, 도 6의 (a) 내지 (f)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의 (a) 내지 (f)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 5의 (a) 내지 (f)에 나타내는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6의 (a) 내지 (f)에 있어서, 도 5의 (a) 내지 (f)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6의 (a) 참조].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설치한다[도 6의 (b) 참조].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와, 동체부(41)에 연결된 저부(42)를 갖고 있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어서, 프리폼(10a) 및 플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6의 (c) 참조]. 이때,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입구부(11a)를 하부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열된다. 이 가열 공정에서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90℃ 내지 130℃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가열됨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열 수축되고,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다[도 6의 (c) 참조].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 자체가 수축성을 갖는 경우,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설치한 시점[도 6의 (b) 참조]에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계속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블로우 성형 금형(50)으로 보내진다[도 6의 (d) 참조].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해서 성형되고, 상술한 도 5의 (a) 내지 (f)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로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도 6의 (d) 내지 (f) 참조].
이어서 도 7의 (a) 내지 (g)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의 (a) 내지 (g)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가지고,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2단계로 가열하는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 5의 (a) 내지 (f)에 나타내는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7의 (a) 내지 (g)에 있어서, 도 5의 (a) 내지 (f)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7의 (a) 참조].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설치한다[도 7의 (b) 참조].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와, 동체부(41)에 연결된 저부(42)를 갖고 있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어서,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제1 가열 장치(55)에 의해 가열된다[도 7의 (c) 참조]. 이때,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50℃ 내지 100℃로 해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가열됨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열 수축되어,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갖는 복합 프리폼(70)이 얻어진다[도 7의 (c) 참조].
이와 같이, 제1 가열 장치(55)를 사용해서 미리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가열 밀착시켜,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해 둠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7의 (a) 내지 (c)]과, 복합 용기(10A)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7의 (d) 내지 (g)]을 각각의 장소(공장 등)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복합 프리폼(70)은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7의 (d) 참조]. 이때, 복합 프리폼(70)은 입구부(11a)를 하부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열된다. 이 가열 공정에서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90℃ 내지 130℃로 해도 된다.
계속해서,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복합 프리폼(70)은, 블로우 성형 금형(50)으로 보내진다[도 7의 (e) 참조].
복합 프리폼(70)은,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해서 성형되고, 상술한 도 5의 (a) 내지 (f)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로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외측 수축 부재(외측 수축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도 7의 (e) 내지 (g)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에서 복합 프리폼(70)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서 팽창시켜, 용기 본체(10)와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를 제작한다. 이에 의해, 프리폼(10a)[용기 본체(10)]과 플라스틱제 부재(40a)[플라스틱제 부재(40)]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종류나 형상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복합 용기(10A)에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자유롭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합 용기(10A)를 제작할 때, 일반적인 블로우 성형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복합 용기(10A)를 제작하기 위한 새로운 성형 설비를 준비할 필요가 발생하지 않는다.
변형예
이어서 도 8, 도 9 및 도 10의 (a) 내지 (f)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도 9 및 도 10의 (a) 내지 (f)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 동체부와 저부를 갖는 것이 아닌, 원통 형상의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사용한 것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복합 용기(10A)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견부(12)로부터 동체부(20)의 하방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저부(30)까지 달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복합 프리폼(70)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프리폼(10a)의 동체부(20a)만을 덮도록 밀착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13a)과 동체부(20a)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덮고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의 (a) 내지 (f)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8, 도 9 및 도 10의 (a) 내지 (f)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외에, 복합 용기(10A)의 구성 및 제조 방법, 및 복합 프리폼(70)의 구성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 도 9 및 도 10의 (a) 내지 (f)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0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1 및 도 12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복합 용기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복합 용기(1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해서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포함하는 복합 프리폼(70)(도 13 참조)에 대하여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서 팽창시켜서 얻어진 것이다.
이러한 복합 용기(10A)는, 내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재료제의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측에 밀착되어 설치된 내측 라벨 부재(60)와,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밀착되어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용기 본체(10)는, 입구부(11)와, 입구부(11) 하방에 설치된 헤드부(13)와, 헤드부(13) 하방에 설치된 견부(12)와, 견부(12) 하방에 설치된 동체부(20)와, 동체부(20) 하방에 설치된 저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얇게 연신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고,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면에 얇게 연신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고,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쉽게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는, 그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 또는 투명한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이 경우, 이 반투명 또는 투명한 부분을 통하여, 내측 라벨 부재(60)를 외측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그 전체가 반투명 또는 투명해도 되고, 또는 불투명한 부분과 반투명 또는 투명한 부분(예를 들어 창부)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전체가 투명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이어서 내측 라벨 부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측 라벨 부재(60)(6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폼(10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이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와 일체가 되어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접착되는 일 없이 설치되어 있고,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이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있어서 얇게 연신되어 용기 본체(10)를 덮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를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이 경우,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 및 헤드부(13)를 제외한,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10)의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에 원하는 문자, 화상 등을 부여하고, 복합 용기(10A)에 대하여 장식성을 갖게 하거나, 정보를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 이외의 전역 또는 일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를 제외한, 헤드부(13),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치해도 된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는 플라스틱제 부재(40)와 동일한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플라스틱제 부재(40)보다도 좁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내측 라벨 부재(60)는 플라스틱제 부재(40)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기 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50㎛ 정도로 할 수 있다.
이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프리폼(10a) 및 내측 라벨 부재(60a)와 일체가 되어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플라스틱제 부재(40)는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면에 접착되는 일 없이 설치되어 있고,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면에 있어서 얇게 연신되어 내측 라벨 부재(60)를 덮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를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이 외에, 용기 본체(10) 및 플라스틱제 부재(40)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도 13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프리폼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프리폼(70)은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되어 설치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내측 라벨 부재(60a)와,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밀착되어 설치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라벨 부재(60a)는, 프리폼(10a)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고, 프리폼(10a)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밀착되어 있다. 내측 라벨 부재(60a)는 프리폼(10a)을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내측 라벨 부재(60a)에는, 미리 디자인 또는 프린트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안이나 상품명 등 외에, 내용액의 명칭, 제조자, 원재료명 등의 문자 정보가 기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블로우 성형 후에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별도의 라벨 등을 부여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에 화상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프리폼(10a) 중 동체부(20a)의 전부 또는 일부에 내측 라벨 부재(60a)를 설치하고, 성형 후에 용기 본체(10)의 동체부(20)에 화상이나 문자가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용기를 마개로 막은 후, 라벨러를 사용해서 라벨을 부여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수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라벨 부재(60a)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라미드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내측 라벨 부재(60a)는, 용기 본체(10)[프리폼(10a)] 및/또는 플라스틱제 부재(40a)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a)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각종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라벨 부재(60a)는, 산소 배리어성 또는 수증기 배리어성 등의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리폼(10a)으로서 다층 프리폼이나 블렌드 재료를 포함하는 프리폼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의 가스 배리어성을 높여, 산소나 수증기에 의해 내용액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MXD-6(나일론), EVOH(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이들 재료에 지방산염 등의 산소 흡수재를 섞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a)는, 자외선 등의 광선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리폼(10a)으로서 다층 프리폼이나 블렌드 재료를 포함하는 프리폼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의 광선 배리어성을 높여, 자외선 등에 의해 내용액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블렌드 재료 또는 PET나 PE, PP에 차광성 수지를 첨가한 재료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a)는, 용기 본체(10)[프리폼(10a)]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은 재료(열 전도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10) 그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내용액의 온도가 복합 용기(10A)의 표면까지 전달되기 어렵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복합 용기(10A)의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발포화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페놀 수지, 폴리염화비닐, 우레아 수지, 실리콘, 폴리이미드, 멜라민 수지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면에 접착되는 일 없이 설치되어 있고, 프리폼(10a)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프리폼(10a)을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이 경우,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13a)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입구부(11a) 이외의 전역 또는 일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입구부(11a)를 제외한, 동체부(20a) 및 저부(30a)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각각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동체부(20a)의 외측 2군데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는,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라도 되고,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라도 된다.
후자의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로서는,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면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외적인 작용(예를 들어 열)이 가해졌을 때,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예를 들어 열 수축)하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a) 및/또는 내측 라벨 부재(60a)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내측 라벨 부재(60a)]는,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동체부(61)]와, 동체부(41)[동체부(61)]에 연결된 저부(42)[저부(62)]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내측 라벨 부재(60a)]의 저부(42)[저부(62)]가 프리폼(10a)의 저부(30a)를 덮으므로, 복합 용기(10A)의 동체부(20)에 추가하여, 저부(30)에 대해서도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9(후술) 및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내측 라벨 부재(60a)]는, 전체적으로 원관 형상(바닥이 없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동체부(61)]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내측 라벨 부재(60a)]로서는, 예를 들어 압출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c) 및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내측 라벨 부재(60a)]는 필름을 통 형상으로 형성해서 그 단부를 접합함으로써 제작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동체부(41)[동체부(61)]를 갖는 관 형상(바닥이 없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42)[저부(62)]를 접합함으로써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도 15의 (a) 내지 (f)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15의 (a) 참조].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a)를 설치함과 함께,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 내측 라벨 부재(60a)와,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갖는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한다[도 15의 (b) 참조]. 이 경우, 내측 라벨 부재(60a)는,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61)와, 동체부(61)에 연결된 저부(62)를 갖고 있다.
이때, 프리폼(10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조금 작은 내경을 갖는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각각 프리폼(10a)에 대하여 압입함으로써, 프리폼(10a)의 외면에 밀착시켜도 된다. 또는, 열 수축성을 갖는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프리폼(10a)의 외면에 설치하고, 이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50℃ 내지 100℃로 가열함으로써 열 수축시켜서 프리폼(10a)의 외면에 밀착시켜도 된다.
또한, 미리 내측 라벨 부재(60a) 주위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해 두고, 이들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 하여 프리폼(10a)의 외측에 장착해도 된다. 또는,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a)를 설치하고, 그 후,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미리 프리폼(10a) 및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밀착시켜,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해 둠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15의 (a) 내지 (b)]과, 복합 용기(10A)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15의 (d) 내지 (f)]을 각각의 장소(공장 등)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복합 프리폼(70)은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15의 (c) 참조].
계속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복합 프리폼(70)은, 블로우 성형 금형(50)으로 보내진다. 복합 용기(10A)는,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해서 성형되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로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내측 라벨 부재(60)와,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도 15의 (d)-(f) 참조].
이 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블로우 성형 방법의 변형예
이어서 도 16의 (a) 내지 (f)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의 (a) 내지 (f)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되는 작용을 갖는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 15의 (a) 내지 (f)에 나타내는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16의 (a) 내지 (f)에 있어서, 도 15의 (a) 내지 (f)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16의 (a) 참조].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를 설치함과 함께,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설치한다[도 16의 (b) 참조].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그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 또는 투명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미리 내측 라벨 부재(60)의 주위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설치해 두고, 이들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일체로 하여 프리폼(10a)의 외측에 장착해도 된다. 또는,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를 설치하고, 그 후,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설치해도 된다.
이어서,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16의 (c) 참조]. 이때,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입구부(11a)를 하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열된다. 이 가열 공정에서의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90℃ 내지 130℃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가열됨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열 수축되어,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다[도 16의 (c) 참조].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 자체가 수축성을 갖는 경우,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설치한 시점[도 16의 (b) 참조]에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계속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블로우 성형 금형(50)으로 보내진다[도 16의 (d) 참조].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해서 성형되고, 상술한 도 15의 (a) 내지 (f)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로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내측 라벨 부재(60)와,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를 얻을 수 있다[도 16의 (d) 내지 (f) 참조].
이어서 도 17의 (a) 내지 (g)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의 (a) 내지 (g)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고,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2단계로 가열하는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 15의 (a) 내지 (f)에 나타내는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17의 (a) 내지 (g)에 있어서, 도 15의 (a) 내지 (f)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의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17의 (a) 참조].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를 설치함과 함께,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설치한다[도 17의 (b) 참조].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그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 또는 투명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미리 내측 라벨 부재(60)의 주위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설치해 두고, 이들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일체로 하여 프리폼(10a)의 외측에 장착해도 된다. 또는,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를 설치하고, 그 후,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설치해도 된다.
이어서,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는, 제1 가열 장치(55)에 의해 가열된다[도 17의 (c) 참조]. 이때,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50℃ 내지 100℃로 해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가열됨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가 열 수축되어,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 내측 라벨 부재(60)와,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갖는 복합 프리폼(70)이 얻어진다[도 17의 (c) 참조].
이와 같이, 제1 가열 장치(55)를 사용해서 미리 프리폼(10a) 및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가열 밀착시켜,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해 둠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17의 (a) 내지 (c)]과, 복합 용기(10A)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17의 (d) 내지 (g)]을 각각의 장소(공장 등)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복합 프리폼(70)은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17의 (d) 참조]. 이때, 복합 프리폼(70)은 입구부(11a)를 하부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열된다. 이 가열 공정에서의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90℃ 내지 130℃로 해도 된다.
계속해서,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복합 프리폼(70)은, 블로우 성형 금형(50)으로 보내진다[도 17의 (e) 참조].
복합 프리폼(70)은,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해서 성형되고, 상술한 도 15의 (a) 내지 (f)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로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내측 라벨 부재(60)와,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외측 수축 부재)(40a)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도 17의 (e) 내지 (g)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에서 복합 프리폼(70)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서 팽창시켜, 용기 본체(10)와 내측 라벨 부재(60)와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를 제작한다. 이로 인해 프리폼(10a)을 사용해서 복합 용기(10A)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미리 복합 용기(10A)에 내측 라벨 부재(60)를 설치해 둘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용기(10A)에 내용액을 충전해서 마개를 막은 후, 라벨러에 의해 라벨을 부여하는 공정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최종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라벨러의 문제점 등에 의해 최종 제품을 제조할 때에 수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리폼(10a)[용기 본체(10)]과 플라스틱제 부재(40a)[플라스틱제 부재(40)]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종류나 형상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복합 용기(10A)에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자유롭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합 용기(10A)를 제작할 때, 일반적인 블로우 성형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복합 용기(10A)를 제작하기 위한 새로운 성형 설비를 준비할 필요가 발생하지 않는다.
변형예
이어서 도 18, 도 19 및 도 20의 (a) 내지 (f)에 의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 도 19 및 도 20의 (a) 내지 (f)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 동체부와 저부를 갖는 것이 아닌, 원통 형상의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사용한 것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복합 용기(10A)에 있어서,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견부(12)로부터 동체부(20)의 하방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저부(30)까지 달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복합 프리폼(70)에 있어서,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프리폼(10a)의 동체부(20a)만을 덮도록 밀착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13a)과 동체부(20a)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덮고 있다.
도 18, 도 19 및 도 20의 (a) 내지 (f)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18, 도 19 및 도 20의 (a) 내지 (f)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외에, 복합 용기(10A)의 구성 및 제조 방법, 및 복합 프리폼(70)의 구성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8, 도 19 및 도 20의 (a) 내지 (f)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되는 작용을 갖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Claims (10)

  1.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합 용기이며,
    상기 용기 본체는, 플라스틱 재료제의 용기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수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별도의 부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팽창되어 있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에, 블로우 성형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별도의 부재가 일체로서 팽창한 상태에서, 밀착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오목부에 밀착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는, 열에 의해 수축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입구부와 헤드부와 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상기 입구부를 제외하는, 상기 헤드부, 상기 견부, 상기 동체부 및 상기 저부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입구부와 헤드부와 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상기 입구부와 상기 헤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견부, 상기 동체부 및 상기 저부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부재의 두께는, 5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
  6. 프리폼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설치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합 프리폼이며, 상기 프리폼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수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상기 프리폼의 외면에, 상기 별도의 부재를 수축시킴으로써, 밀착되어 설치되어 있는, 복합 프리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합 프리폼을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합 용기를 제작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오목부에 밀착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재는, 열에 의해 수축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8. 프리폼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설치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합 프리폼이며, 상기 프리폼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열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열 수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프리폼 및 상기 별도의 부재를 가열하고, 상기 별도의 부재를 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별도의 부재가, 상기 프리폼의 외면에, 밀착되어 설치되어 있는, 복합 프리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합 프리폼을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합 용기를 제작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오목부에 밀착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은, 입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상기 입구부를 제외하는, 상기 동체부 및 상기 저부의 전체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은, 입구부와 동체부와 저부를 갖고, 상기 별도의 부재는, 상기 입구부와 상기 동체부 중 헤드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동체부 및 상기 저부의 전체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217002773A 2013-06-28 2014-06-27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KR10231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4747A KR102522879B1 (ko) 2013-06-28 2014-06-27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7101 2013-06-28
JPJP-P-2013-137139 2013-06-28
JPJP-P-2013-137119 2013-06-28
JP2013137126A JP2015009493A (ja) 2013-06-28 2013-06-28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複合プリフォーム
JP2013137119A JP6625314B2 (ja) 2013-06-28 2013-06-28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複合容器
JP2013137139A JP2015009494A (ja) 2013-06-28 2013-06-28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複合容器
JPJP-P-2013-137126 2013-06-28
JP2013137101A JP6625313B2 (ja) 2013-06-28 2013-06-28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複合プリフォーム
JPJP-P-2014-001054 2014-01-07
JP2014001054A JP2015128857A (ja) 2014-01-07 2014-01-07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JP-P-2014-001059 2014-01-07
JP2014001059A JP2015128858A (ja) 2014-01-07 2014-01-07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PCT/JP2014/067230 WO2014208746A1 (ja) 2013-06-28 2014-06-27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KR1020157027639A KR20160024840A (ko) 2013-06-28 2014-06-27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639A Division KR20160024840A (ko) 2013-06-28 2014-06-27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747A Division KR102522879B1 (ko) 2013-06-28 2014-06-27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346A true KR20210013346A (ko) 2021-02-03
KR102319921B1 KR102319921B1 (ko) 2021-11-01

Family

ID=5214206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639A KR20160024840A (ko) 2013-06-28 2014-06-27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KR1020217002773A KR102319921B1 (ko) 2013-06-28 2014-06-27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KR1020217034747A KR102522879B1 (ko) 2013-06-28 2014-06-27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639A KR20160024840A (ko) 2013-06-28 2014-06-27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747A KR102522879B1 (ko) 2013-06-28 2014-06-27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11247381B2 (ko)
EP (1) EP3015245B1 (ko)
KR (3) KR20160024840A (ko)
CN (2) CN105263693A (ko)
ES (1) ES2949107T3 (ko)
HK (1) HK1218902A1 (ko)
WO (1) WO2014208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4519B (zh) * 2014-12-08 2022-0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复合容器和塑料制部件
JP6935449B2 (ja) * 2015-01-29 2021-09-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プリフォームの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複合容器の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複合容器
JP6507678B2 (ja) * 2015-01-29 2019-05-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プリフォームの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複合容器の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複合容器
JP6582512B2 (ja) * 2015-04-17 2019-10-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プラスチック製部材、内側ラベル部材、ならびにラベル
CN105035493B (zh) * 2015-05-29 2018-01-30 铜陵方正塑业科技有限公司 抗拉伸纸塑复合袋及其制备方法
JP6776511B2 (ja) * 2015-07-01 2020-10-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容器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複合容器
FR3043585B1 (fr) * 2015-11-18 2018-04-27 Matissart Nord Procede de production de poche souple en matiere thermoplastique souple
JP6748939B2 (ja) * 2016-02-15 2020-09-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ロー成形金型、複合容器および複合容器の製造方法
JP6653967B2 (ja) * 2016-05-27 2020-02-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調湿容器
JP6814402B2 (ja) * 2016-09-16 2021-01-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および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
CN109328130B (zh) * 2016-06-17 2022-02-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复合预成型体及其制造方法、复合容器及其制造方法、以及热收缩性塑料制部件
TWI735602B (zh) * 2016-06-17 2021-08-11 日商大日本印刷股份有限公司 複合預成形體及其製造方法、複合容器及其製造方法、以及熱收縮性塑膠製構件
JP7391491B2 (ja) * 2016-08-15 2023-1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68209B2 (ja) * 2016-09-16 2021-05-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136158B2 (en) 2017-02-23 2021-10-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Composite prefor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posite container product loaded with beer
US10744720B2 (en) 2017-09-07 2020-08-18 Sonoco Development, Inc. Container with product visualization aperture
US20190359383A1 (en) * 2018-05-25 2019-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beled container having multiple seams
CN109955423B (zh) * 2019-04-30 2024-04-02 广东奔迪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大型超高压热塑性聚合物发泡成型装置及其方法
JP6825730B2 (ja) * 2020-01-23 2021-0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装置、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容器の製造方法
KR102303256B1 (ko) 2020-04-08 2021-09-16 주식회사 티제이에스 압출 블로우 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JP7097007B2 (ja) * 2020-10-06 2022-07-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容器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複合容器
JP7068667B2 (ja) * 2020-12-11 2022-05-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および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9332A (ja) * 1993-11-24 1995-06-13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ラベルで加飾された中空容器の製造方法
JP2001001391A (ja) * 1999-06-22 2001-01-09 Kojima Press Co Ltd ガラス繊維強化樹脂製中空成形品のブロー成形方法
JP2003170941A (ja) * 2001-12-07 2003-06-17 Kodama Jushi Kogyo Kk 樹脂パ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28062A (ko) * 1999-11-30 2006-12-1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폴리에스테르수지 적층용기와 그 성형방법
JP2009241526A (ja) 2008-03-31 2009-10-22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ブロ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41979A (ja) * 2008-03-31 2009-10-2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1475A (en) * 1966-07-18 1968-09-17 Dow Chemical Co Label and labelled container
JPS4629980Y1 (ko) 1968-03-29 1971-10-16
GB1227083A (ko) * 1968-07-11 1971-03-31
US4289817A (en) 1970-09-14 1981-09-15 Valyi Emery I Decorated multilayered hollow plastic container
US3760968A (en) * 1971-07-02 1973-09-25 Owens Illinois Inc Composite container article
DE2135406A1 (de) * 1971-07-15 1973-02-01 Bosch Verpackungsmaschin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ohlkoerp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mit dekor
US3929943A (en) 1972-10-19 1975-12-30 Du Pont Process for sealing thermoplastic tube
JPS5616051B2 (ko) * 1973-02-06 1981-04-14
CH602308A5 (ko) 1975-02-20 1978-07-31 Paul Marcus
JPS5281377A (en) * 1975-12-29 1977-07-07 Yoshino Kogyosho Co Ltd Method of forming decorative pattern on synthetic resin bottle
JPS5850575B2 (ja) 1979-08-03 1983-11-11 固 青木 ベ−スカツプ付き合成樹脂中空成形品の吹込成形法
JPS57151314A (en) 1981-03-17 1982-09-18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made bottle and method for molding the same
JPS57157727A (en) 1981-03-24 1982-09-29 Yoshino Kogyosho Co Ltd Biaxially stretched laminated bottle
JPS5991038A (ja) 1982-11-18 1984-05-25 Toyo Seikan Kaisha Ltd ボトルの製造方法
JPS6071207A (ja) * 1983-09-29 1985-04-23 Toyo Seikan Kaisha Ltd 延伸ブロー成形用多層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4573596A (en) * 1983-10-08 1986-03-04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with vapor barrier
JPS625779A (ja) 1985-03-04 1987-01-12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階調フアクシミリ画像信号の符号化方式
JPS61206623A (ja) 1985-03-12 1986-09-12 Mitsui Toatsu Chem Inc 多層容器の製造方法
US4662528A (en) 1985-06-28 1987-05-05 Plastipak Packaging, Inc.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having plastic label
US4942008A (en) 1985-07-10 1990-07-17 Cahill John W Process for molding a multiple layer structure
JPH0815754B2 (ja) 1987-07-27 1996-02-21 マツダ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001208A (en) 1989-03-17 1999-12-14 Yoshino Kogyosho Co., Ltd. Method for in-mold Molding using a label
JPH0388728U (ko) 1989-12-26 1991-09-10
JPH0639906A (ja) 1991-05-27 1994-02-15 Keisuke Ito 多層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52251A (ja) 1991-08-23 1993-03-02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トランスフアの潤滑装置
JPH05228988A (ja) 1992-02-19 1993-09-07 Toppan Printing Co Ltd 多層延伸ブロー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5628957A (en) * 1992-07-07 1997-05-13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multilayer container with polyethylene naphthalalte (pen)
AU679186B2 (en) * 1992-07-07 1997-06-26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container with high-crystallinity sidewalland low-clystallinity base
GEP19981349B (en) * 1992-09-22 1998-08-25 Pepsico Inc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Heat Treated, Transparent, Biaxially Oriented Blow Molded Containers from Thermoplast
IL110837A (en) * 1993-09-10 2001-03-19 Plastipak Packaging Inc Preform of multilayer polyethylene traptalate used for plastic blowing design and method of making the preform
JPH07125056A (ja) 1993-11-05 1995-05-16 Futaba Kagaku:Kk インモールド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US5508076A (en) 1994-02-10 1996-04-16 Electra Form, Inc. Layered preform
US5716683A (en) * 1996-01-30 1998-02-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collection tube assembly
US5804016A (en) * 1996-03-07 1998-09-08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ultilayer container resistant to elevated temperatures and press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851471A (en) 1996-05-16 1998-12-22 The Coca-Cola Company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a multi-layer preform for use in blow molding a plastic bottle
US6123211A (en) * 1997-10-14 2000-09-26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Multilayer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352426B1 (en) * 1998-03-19 2002-03-05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Ltd. Mold for injection molding multilayer preforms
TWI250934B (en) * 1997-10-17 2006-03-11 Advancsd Plastics Technologies Barrier-coated polyester articles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6294127B1 (en) * 1998-05-15 2001-09-25 The Moore Company Fuel tank having molded reinforce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270868B1 (en) 1998-11-17 2001-08-07 Inoac Packaging Group Inc. Composite container with stabilized base
US6524672B1 (en) * 1999-02-12 2003-02-25 Plastipak Packaging, Inc. Multilayer preform and container with co-extruded liner
US6808820B2 (en) * 2000-09-05 2004-10-26 Advanced Plastics Technology Ltd. Multilayer containers and preforms having barrier properties utilizing recycled material
US6517664B1 (en) * 2000-01-10 2003-02-11 Process Resources Corporation Techniques for labeling of plastic, glass or metal containers or surfaces with polymeric labels
US20030031814A1 (en) * 2000-04-28 2003-02-13 Hutchinson Gerald A. Bottles and preforms having a crystalline neck
US6474499B2 (en) * 2000-05-03 2002-11-05 Eastman Chemical Company Container base cup having reduced heat gain
US6984354B2 (en) 2001-05-10 2006-01-10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labeled containers using a stretch blow molding process
AU2003285192A1 (en) * 2002-11-08 2004-06-03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Ltd Injection mold having a wear resistant portion and a high heat transfer portion and a method for forming a preform
US7253422B2 (en) * 2004-03-03 2007-08-07 Owens-Illinois Healthcare Packaging Inc. Container having irradiated indicia
BRPI0509843A (pt) * 2004-04-16 2007-10-09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uma garrafa, um processo de formação da garrafa, um sistema de dispensação de lìquido e um perfil extrudado
JP2005343098A (ja) 2004-06-07 2005-12-15 Toyo Seikan Kaisha Ltd 生分解性延伸成形容器
JP5019733B2 (ja) 2004-09-28 2012-09-05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二軸延伸ブローボトル
MX2007011051A (es) 2005-03-15 2007-11-13 Coca Cola Co Recipientes sobremoldeados y metodos de fabricacion y uso de los mismos.
US20080251492A1 (en) * 2005-03-15 2008-10-16 Colgate-Palmolive Company Overmolded Containers With Improved Gripping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4636373B2 (ja) 2005-03-31 2011-02-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
JP2006315203A (ja) 2005-05-10 2006-11-24 Ube Film Kk 生分解性の気泡性緩衝シート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US7794149B2 (en) 2005-05-31 2010-09-14 Smart Bottle Inc. Container of selectively expanded plastic film with fitment
JP2006341857A (ja) 2005-06-07 2006-12-21 Tokan Kogyo Co Ltd レトルト対応ボトルの口部形状
JP2008264634A (ja) 2007-04-17 2008-11-06 Alphatek Co Ltd 回転破砕刃装置および被破砕物処理装置
NL1034895C2 (nl) 2008-01-08 2009-07-13 Dispensing Technologies Bv Samengestelde houde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JP2009210781A (ja) 2008-03-04 2009-09-17 Fuji Seal International Inc 多層ラベル
JP5329120B2 (ja) * 2008-04-30 2013-10-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JP2011116444A (ja) 2009-12-07 2011-06-16 Fujifilm Corp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5533515B2 (ja) 2010-09-30 2014-06-25 東洋製罐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製延伸発泡容器
JP5932847B2 (ja) * 2011-03-01 2016-06-08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入れ子式吹込み成形ライナーおよびオーバーパックならびにその作製方法
JP2012207054A (ja) 2011-03-29 2012-10-25 Kuraray Co Ltd 熱収縮性フィルム
EP2508319A1 (en) * 2011-04-07 2012-10-10 Anheuser-Busch InBev NV Preform for blow-moulding a dispensing bag-in-container, process for producing a dispensing bag-in-container and bag-in-container
JP6060497B2 (ja) 2012-02-28 2017-0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
EP2826716A4 (en) * 2012-03-14 2016-02-17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TERILIZING PREFORM
JP2015009493A (ja) 2013-06-28 2015-0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複合プリフォー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9332A (ja) * 1993-11-24 1995-06-13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ラベルで加飾された中空容器の製造方法
JP2001001391A (ja) * 1999-06-22 2001-01-09 Kojima Press Co Ltd ガラス繊維強化樹脂製中空成形品のブロー成形方法
KR20060128062A (ko) * 1999-11-30 2006-12-1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폴리에스테르수지 적층용기와 그 성형방법
JP2003170941A (ja) * 2001-12-07 2003-06-17 Kodama Jushi Kogyo Kk 樹脂パ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41526A (ja) 2008-03-31 2009-10-22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ブロ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41979A (ja) * 2008-03-31 2009-10-2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85098B2 (en) 2023-06-27
US11613063B2 (en) 2023-03-28
US11247381B2 (en) 2022-02-15
EP3015245A1 (en) 2016-05-04
US20220118673A1 (en) 2022-04-21
KR102319921B1 (ko) 2021-11-01
KR20210131468A (ko) 2021-11-02
EP3015245A4 (en) 2017-03-08
EP3015245B1 (en) 2023-05-10
US20160136864A1 (en) 2016-05-19
HK1218902A1 (zh) 2017-03-17
CN110304331A (zh) 2019-10-08
KR102522879B1 (ko) 2023-04-18
US20210086431A1 (en) 2021-03-25
KR20160024840A (ko) 2016-03-07
ES2949107T3 (es) 2023-09-25
WO2014208746A1 (ja) 2014-12-31
US20210086432A1 (en) 2021-03-25
CN105263693A (zh)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3346A (ko)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JP2015009493A (ja)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複合プリフォーム
JP2015128858A (ja)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2015128857A (ja)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2016097530A (ja) 複合容器の製造装置、複合容器の製造方法、複合容器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582404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625314B2 (ja)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複合容器
JP6575840B2 (ja) 複合容器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複合容器
JP2016055523A (ja) ビール用複合容器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ビール用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625313B2 (ja)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複合プリフォーム
JP7116903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951690B2 (ja)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968740B2 (ja) 複合容器の製造方法
JP7081330B2 (ja) 複合プリフォーム中間体、複合プリフォーム中間体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容器
JP2017013382A (ja) 複合容器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複合容器
JP6620966B2 (ja)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561458B2 (ja)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458472B2 (ja)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668625B2 (ja) 複合容器の製造方法、ブロー成形金型、複合容器、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458482B2 (ja) 複合容器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2019217782A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2015009494A (ja)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複合容器
JP2018099901A (ja)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複合容器
JP2016107602A (ja) 複合容器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複合容器ならびに複合プリフォーム
JP2016107506A (ja)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