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980A -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980A
KR20200072980A KR1020180161167A KR20180161167A KR20200072980A KR 20200072980 A KR20200072980 A KR 20200072980A KR 1020180161167 A KR1020180161167 A KR 1020180161167A KR 20180161167 A KR20180161167 A KR 20180161167A KR 20200072980 A KR20200072980 A KR 20200072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eating
water
wormwoo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134B1 (ko
Inventor
박서영
Original Assignee
박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영 filed Critical 박서영
Priority to KR102018016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134B1/ko
Priority to PCT/KR2019/013506 priority patent/WO2020122397A1/ko
Publication of KR2020007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개똥쑥을 추출기에 물과 1대1의 비율로 넣고 100-110℃로 5분간 가열하여 물에 부상되는 개똥쑥 기름과 추출기 내벽에 달라붙은 기름을 제거하는 제거단계;와
개똥쑥이 침전된 물을 10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발된 증기가 냉각기로 응축된 상태로 추출기내로 유입되여 순환되도록 90분간 가열하는 1차 가열단계
1차 가열단계의 물을 60-90℃의 온도로 낮추어 가열하면서 증발된 추출물을 냉각기에 의해 냉각하면서 물 중량의 5-10% 추출하는 제1추출물 제조단계;
제 1추출이 끝난 내용물을 10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발된 증기가 냉각기로 응축된 상태로 추출기내로 유입되여 순환되도록 60분간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
2차 가열단계의 끝난 내용물을 60-90℃의 온도로 내용물을 증발시킨 추출물을 냉각기에 의해 냉각하면서 물 중량의 30-40%를 추출하는 제2 추출물 제출단계;
제 1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추출물혼합단계;
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효성분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방법;과
인삼분말, 백봉령뿌리가루, 생지황즙, 구기자열매가루를 1: 3: 10.5: 2 의 비율로 교반하여 혼합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혼합물 제조단계에의해 제조된 혼합물과 꿀을 30-35: 1-2의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하는 교반단계;
교반된 혼합물을 항아리에 넣고 항아리 입구를 기름종이와 천으로 밀봉한 후 가열기에 넣고 항아리의 주위에 물이 채워지도록 하여 온도를 100-110℃로 물을 3일간 가열하면서 내용물이 타지 않도록 증발된 물만큼 물을 보충하면서 1차 가열하는 가열단계;
1차가열된 혼합물을 60-90℃의 온도로 2-3일간 재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
개똥쑥 추출물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과 2차 가열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2:1의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단계에 의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추출물에서 기름이 떠다니는 현상과 기름냄새를 제거하고 약효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효과와; 숙성된 혼합물과 꿀을 혼합하고 그 꿀이 혼합된 2차혼합물을 개똥쑥 추출물과 2: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서 꿀의 달콤함에 의해 개똥쑥의 향과 맛을 중화시켜 먹기좋고 건강에 좋은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약효성분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방법과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A method of extracting dogworms with excellent medicinal ingredi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health supplements that maximize taste and efficacy using dogworm extract}
본 발명은 소화계 질환을 다스리며, 간경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진 개똥쑥의 영양성분을 최대한 추출되도록 한 약효성분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과 피로회복과 강장, 강심, 진정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인삼분말과, 심신안정과 열을내리고 노폐물을 배출한다고 알려진 백봉령뿌리가루, 혈액을 서늘하게 하고 열을 내리며 피를맑게하고 어혈을 풀어주며 몸속의 진액이 부족하여 허화가 뜨는 병증인 소갈, 허화로 인한 출혈과 구강의 병증을 다스리는 데 효염이 있는 생지황즙, 이뇨작용을 돕고 몸속노폐물을 배출하고 피부미용 노화방지, 산후풍에 효혐이 있는 구기자열매가루를 가열숙성시킨 숙성물을 서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여 먹기 편하고 복용자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약효성분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은 영양공급원으로서 가치를 가질 뿐 아니라 기호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도 있고, 특정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치료제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식품은 건강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단으로서도 유용하여, 만성적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물론, 건강에 높은 일반적인 사람들까지도 기능성 식품을 건강보조제로서 흔히 섭취하고 있다.
그러나 기능성 식품이 취식이 불편한 형태를 취할 경우에는 꾸준한 섭취를 위하여 많은 인내심을 요하므로, 차나 음료, 환과 같은 취식이 간단한 형태가 바람직한 반면, 이 경우 재료 자체의 맛이 그대로 전달되므로 어떤 재료를 선택 하느냐에 따라 기호성이 크게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개똥쑥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개똥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다양한 특허가 출원되고 있고 개똥쑥이 가지는 효능이 점차 밝혀지고 있다.
개똥쑥에 대하여 살펴보면,
개똥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서, 국화과에 속하며 한국·일본·타이완·몽골·시베리아등지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잔잎쑥·개땅쑥이라고도 한다.
길가나 빈터, 강가에서 자라는 것으로 높이가 약 1m이며, 6-8월에 녹황색의 꽃이 피며 우리나라의 경기, 제주, 평북, 함남 지방이나 아시아 및 유럽 등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말리리아 치료를 위한 약초로 사용되어 왔는데 세스키테르펜(sesquiterpene)의 주성분인 아테미시닌(Artemisinin)은 강력한 항말라리아 효능을 지니므로 현재 의약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개똥쑥의 정유성분으로는 linalool, 1,8-cineol, ρ-cymene, thujone, camphor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똥쑥(artemisia annua)에 포함되어 있는성분으로는아테미시닌(Artemisinin), 아테아뉴인 B(arteannuin B), 아테미신닌 산(artemisininic acid), 디하이드로아테미신닌 산(Dihydroartmisinic acid), 알파-에폭시디하이드로아테미신닌산 (a-Epoxydihydroartemisinic acid), 아테아뉴인 L(Arteannuin L), 아테아뉴인 N (ArteannuinN), 디하이드로아테아뉴인B (Dihydroarteannuin B), 3,3',7-트리메틸케르세틴(3,3',7-Trimethylquercetin),3,4',7-트리메틸케르세틴 (3,4',7-Trimethylquercetin)이 있으며, 이는 개똥쑥에는 말라리아 병원균의 저항성에 대항하여 높은 효능을 보이는 아테미시닌 (artemisinin)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효능이 알려졌음에도 소비자들이 쉽게 찾지 못하는 원인으로 개똥쑥을 고온에서 추출할 경우 영양이 파괴되고 저온으로 추출할 경우 영양은 파괴되지 않으나 어떻게 추출하느냐에 따라 그 영양에 차이가 많이 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똥쑥만을 추출할 경우 맛이 없고 누린네가 많이 나게 되어 소비자들ㄹ로 부터 배척받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383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806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58975호
본 발명은 개똥쑥에 함유되어 있는 기름성분을 추출기에서 제거하고 개똥쑥을 추출하도록 함으로서 기름냄새가 제거되고 제품에 기름이 떠다니지 않도록 하고 ,개똥쑥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을 1차로 추출하기 위하여100-110℃로 가열하고 냉각되는 순환에 의해 추출물이 타지 않으면서 약효가 다량 함유된 추출물을 얻은 후 2차 100-110℃로 가열하고 냉각하는 순환작업으로 개똥쑥에 잔류로 남아있는 성분을 추출한 다음 다시 저온 60-90℃ 에서 증류시켜 2차추출물을 추출한 다음 추출하고 남은 물은 사용하지 않고 드레인 하고 1차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혼합한 개똥쑥 추출물을 사용하여 약효를 극대화하고 인삼분말, 백봉령뿌리가루, 생지황즙, 구기자열매가루를 1: 3: 10.5: 2 의 비율로 교반하여 혼합하는 혼합물을 5-6일간 저온 숙성시켜 숙성된 혼합물과 개똥쑥 추출물을 혼합하여 맛이 월등하고 약효가 뛰어난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똥쑥을 추출기에 물과 1대1의 비율로 넣고 100-110℃로 5분간 가열하여 물에 부상되는 개똥쑥 기름과 추출기 내벽에 달라붙은 기름을 제거하는 제거단계;와
개똥쑥이 침전된 물을 10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발된 증기가 냉각기로 응축된 상태로 추출기내로 유입되여 순환되도록 90분간 가열하는 1차 가열단계
1차 가열단계의 물을 60-90℃의 온도로 낮추어 가열하면서 증발된 추출물을 냉각기에 의해 냉각하면서 물 중량의 5-10% 추출하는 제1추출물 제조단계;
제 1추출이 끝난 내용물을 10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발된 증기가 냉각기로 응축된 상태로 추출기내로 유입되여 순환되도록 60분간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
2차 가열단계의 끝난 내용물을 60-90℃의 온도로 내용물을 증발시킨 추출물을 냉각기에 의해 냉각하면서 물 중량의 30-40%를 추출하는 제2 추출물 제출단계;
제 1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추출물혼합단계;
에 의해 제조되는 개똥쑥 추출물 준비단계;와
인삼분말, 백봉령뿌리가루, 생지황즙, 구기자열매가루를 1: 3: 10.5: 2 의 비율로 교반하여 혼합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혼합물 제조단계에의해 제조된 혼합물과 꿀을 30-35: 1-2의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하는 교반단계;
교반된 혼합물을 항아리에 넣고 항아리 입구를 기름종이와 천으로 밀봉한 후 가열기에 넣고 항아리의 주위에 물이 채워지도록 하여 온도를 100-110℃로 물을 3일간 가열하면서 내용물이 타지 않도록 증발된 물만큼 물을 보충하면서 1차 가열하는 가열단계;
1차가열된 혼합물을 60-90℃의 온도로 2-3일간 재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
개똥쑥 추출물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과 2차 가열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숙성물을 2:1의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고온에서 가열하여 개똥쑥이 가지고 있는 부유되는 기름을 제거하는 데 있다.
즉, 개똥쑥은 가열하게 되면 노란 기름이 먼저 추출이 이루어진다.
이 기름은 맛을 냄에 있어서 역겨운 맛을 내게 되고 기름향이 나게 되어 맛의 품질이 저하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기술적 특징은 1차 고온가열할 때 추출기내의 물이 순환되도록 하여 타지 않도록 하면서 개똥쑥에 함유된 성분이 추출되도록 한 후 추출기에서 저온으로 추출하도록 함으로서 개똥쑥에 함유된 성분의 70-80%를 추출해 내도록 하고 2차로 고온으로 재 가열하면서 추출기내의 물을 순환하도록 하여 개똥쑥에 남아있는 성분이 물에 함유되도록 한 다음 다시 저온에서 추출하여 개똥쑥의 성분을 최대한 추출한 다음 추출기내에 남아있는 물에는 성분없는 물만 외부로 드레인 하도록 함으로서 종래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기내의 추출물을 모두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월등한 약효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추출기내의 추출물이 개똥쑥에서 이탈되어지는 부산물등이 함유되게 되어 추출물에서 혼탁한 이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성분이 다량 함유한 개똥쑥 추출물을 제공한다는 데 있다.
즉 고온에서 추출기의 물을 순환시킬 때에는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고 가열된 물은 통 내부에서 고온으로 추출된 추출물이 냉각기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는 상태로 통 내부로 유입되고 재차 가열되고 냉각되는 특징에 의해 추출되는 추출물의 성분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이때 사용되는 추출기는 현재 시중에 유통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출기로 냉각관을 가지고 있고 드레인기능이 있으면서 순환기능을 가지는 추출기를 사용한다.
그 한예로 실용신안등록 제198572호로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기술적 특징은, 인삼분말, 백봉령뿌리가루, 생지황즙, 구기자열매가루를 1: 3: 10.5: 2 의 비율로 교반하여 혼합하는 혼합물을 5-6일간 저온 숙성시켜 숙성된 혼합물을 개똥쑥 추출물과 함께 혼합구성하여 개똥쑥이 가지는 맛을 숙성물이 중화시켜 약효성분은 더 부가시키고 맛은 월등히 우수하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강보조식품은 개똥쑥의 기름성분을 제거하여 추출물에서 기름이 떠다니는 현상과 기름냄새를 제거하고 추출기내의 추출물을 35-50%만 사용하여 약효성분이 있지 않은 65-50%의 물은 외부로 드레인시킴으로서 약효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인삼분말, 백봉령뿌리가루, 생지황즙, 구기자열매가루를 1: 3: 10.5: 2 의 비율로 교반하여 혼합하는 혼합물을 5-6일간 저온 숙성시켜 숙성된 혼합물과 꿀을 혼합하고 그 꿀이 혼합된 2차혼합물을 개똥쑥 추출물과 2: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서 꿀의 달콤함에 의해 개똥쑥의 향과 맛을 중화시켜 먹기좋고 건강에 좋은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 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면하다.
또한, 개똥쑥을 추출함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하는 추출기의 조건은 추출기내에 개똥쑥과 물을 1:1의 중량비로 넣고 추출할 때 가열후 증발되는 증기가 냉각기에 의해 냉각되면서 재차 가열기 내부로 순환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순환되는 기능이 없을 경우 오래동안 가열하면 개똥쑥이 가지고 있는 성분이 파괴되기 때문이다.
또한 드레인 기능과 냉각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냉각기의 추출물은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하는 기능도 아울러 지니고 있는 제품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기를 사용할 때 본 제품을 제조할 때 필요한 모든 기능을 가진 실용신안등록 제0198572호의 제품을 사용한다.
[실시예]
개똥쑥을 추출기에 물과 1대1의 비율로 넣고 100-110℃로 5분간 가열하여 물에 부상되는 개똥쑥 기름과 추출기 내벽에 달라붙은 기름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기름성분을 제거하는 이유는 기름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최종제품에 기름성분에 의해 맛에서 기름냄새가 나고 기름향이 입안에서 맴돌게 되어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110℃의 온도로 물을 순환시키면서 80-100분간 가열한다.
여기서 가열시간은 개똥쑥이 가지고 있는 성분이 추출되어 물에 함유되도록 하기 위한 시간이다.
또한 가열시 물은 증발하게 되는데 그 증발된 물에는 개똥쑥의 약효를 가지게 되나 많은 양의 약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가열하여 증발된 물을 냉각시켜 재순환시키도록 함으로서 약효성분이 고온에서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후 추출기의 온도를 저온인 60내지 90℃의 온도로 낮추어지게 되면 물이 증발되면서 추출기를 거쳐 외부로 추출되어 진다.
이때 추출되는 추출물은 물 중량의 5-10%만 추출하게 된다.
이와같이 5-10%만 추출하는 이유는 개똥쑥의 약효를 5-10%의 추출물에서 약 70-80%의 약효 성분이 함께 추출물에 의해 추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추출이 끝난 내용물은 110℃의 온도로 60분간 가열하면서 냉각되는 순환작용을 하 게 되는 데 이 이유는 개똥쑥이 함유하고 추출되지 않은 약효성분을 최대한 추출하기 위함이다.
이후 재차 60-90℃의 저온으로 30-40%의 물이 추출되도록 하여 2차 추출물을 추출한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추출기내에 잔류되어 있는 65-50%의 물에는 약효성분이 없고 개똥쑥에서 이탈된 이물질과 온도 가열로 인하여 발생된 누린네만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은 제품생산에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제품가치를 올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인삼분말, 백봉령뿌리가루, 생지황즙, 구기자열매가루를 1: 3: 10.5: 2 의 비율로 교반하여 혼합한 후 꿀과 30-35: 1-2의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가진다.
꿀을 인삼분말, 백봉령뿌리가루, 생지황즙, 구기자열매가루와 함께 혼합하지 않는 이유는 꿀의 점성에 의해 잘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끼 때문에 먼저 혼합한 후 꿀을 혼합하는 것이 골고른 혼합을 할 수 있다.
교반된 혼합물을 항아리에 넣고 항아리 입구를 기름종이와 천으로 밀봉한 후 가열기에 넣고 항아리의 주위에 물이 채워지도록 하여 온도를 100-110℃로 물을 3일간 가열하면서 내용물이 타지 않도록 증발된 물만큼 물을 보충하면서 1차 가열하는 가열단계;
1차가열된 혼합물을 60-90℃의 온도로 2-3일간 재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를 거치도록 하는 이유는 가열과 숙성단계에 의해 성분이 자체의 효과에 비해 더우수한 효과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약효성분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가열되고 숙성되는 동안 분말형태나 즙의 형태가 액체상태로 변화하게 되고 점성이 강한 액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후 개똥쑥 추출물과 혼합하여 점성이 약하게 되어 스틱포장할 경우 스틱내에 뭍지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개똥쑥을 추출기에 물과 1대1의 비율로 넣고 100-110℃로 5분간 가열하여 물에 부상되는 개똥쑥 기름과 추출기 내벽에 달라붙은 기름을 제거하는 제거단계;와
    개똥쑥이 침전된 물을 10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발된 증기가 냉각기로 응축된 상태로 추출기내로 유입되여 순환되도록 90분간 가열하는 1차 가열단계
    1차 가열단계의 물을 60-90℃의 온도로 낮추어 가열하면서 증발된 추출물을 냉각기에 의해 냉각하면서 물 중량의 5-10% 추출하는 제1추출물 제조단계;
    제 1추출이 끝난 내용물을 10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발된 증기가 냉각기로 응축된 상태로 추출기내로 유입되여 순환되도록 60분간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
    2차 가열단계의 끝난 내용물을 60-90℃의 온도로 내용물을 증발시킨 추출물을 냉각기에 의해 냉각하면서 물 중량의 30-40%를 추출하는 제2 추출물 제출단계;
    제 1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추출물혼합단계;
    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효성분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방법.
  2. 개똥쑥을 추출기에 물과 1대1의 비율로 넣고 100-110℃로 5분간 가열하여 물에 부상되는 개똥쑥 기름과 추출기 내벽에 달라붙은 기름을 제거하는 제거단계;와
    개똥쑥이 침전된 물을 10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발된 증기가 냉각기로 응축된 상태로 추출기내로 유입되여 순환되도록 90분간 가열하는 1차 가열단계
    1차 가열단계의 물을 60-90℃의 온도로 낮추어 가열하면서 증발된 추출물을 냉각기에 의해 냉각하면서 물 중량의 5-10% 추출하는 제1추출물 제조단계;
    제 1추출이 끝난 내용물을 10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발된 증기가 냉각기로 응축된 상태로 추출기내로 유입되여 순환되도록 60분간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
    2차 가열단계의 끝난 내용물을 60-90℃의 온도로 내용물을 증발시킨 추출물을 냉각기에 의해 냉각하면서 물 중량의 30-40%를 추출하는 제2 추출물 제출단계;
    제 1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추출물혼합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개똥쑥 추출물 준비단계;와
    인삼분말, 백봉령뿌리가루, 생지황즙, 구기자열매가루를 1: 3: 10.5: 2 의 비율로 교반하여 혼합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혼합물 제조단계에의해 제조된 혼합물과 꿀을 30-35: 1-2의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하는 교반단계;
    교반된 혼합물을 항아리에 넣고 항아리 입구를 기름종이와 천으로 밀봉한 후 가열기에 넣고 항아리의 주위에 물이 채워지도록 하여 온도를 100-110℃로 물을 3일간 가열하면서 내용물이 타지 않도록 증발된 물만큼 물을 보충하면서 1차 가열하는 가열단계;
    1차가열된 혼합물을 60-90℃의 온도로 2-3일간 재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
    개똥쑥 추출물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과 2차 가열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2:1의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단계에 의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KR1020180161167A 2018-12-13 2018-12-13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KR10216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167A KR102162134B1 (ko) 2018-12-13 2018-12-13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PCT/KR2019/013506 WO2020122397A1 (ko) 2018-12-13 2019-10-15 약효성분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방법과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167A KR102162134B1 (ko) 2018-12-13 2018-12-13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80A true KR20200072980A (ko) 2020-06-23
KR102162134B1 KR102162134B1 (ko) 2020-10-06

Family

ID=7107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167A KR102162134B1 (ko) 2018-12-13 2018-12-13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2134B1 (ko)
WO (1) WO2020122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573A (ko) 2021-11-24 2023-05-31 장은혜 야생쑥 추출 천연 아르테미시닌을 함유한 항말라리아용 구강붕해성 필름제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572Y1 (ko) * 2000-04-22 2000-10-02 임형모 무압력 한약재의 엑기스 추출기
KR20050008236A (ko) * 2003-07-14 2005-01-21 고운맘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쑥정유 제조방법
KR20090081854A (ko) * 2008-01-25 2009-07-29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정유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40058975A (ko) 2012-11-07 2014-05-15 박흥순 항유방암 및 항자궁경부암 활성을 갖는 개똥쑥의 추출방법
KR20150080681A (ko) 2014-01-02 2015-07-10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산죽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산죽 음료
KR20160143838A (ko) 2014-04-30 2016-12-1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피부 노화의 징후를 감소시키는 방법
KR20170004451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파낙스코리아 개똥쑥, 명월초 및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와 그를 이용한 식품
KR20170055758A (ko) * 2015-11-12 2017-05-22 (주) 벤우코리아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80054501A (ko) * 2016-11-15 2018-05-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592A (ko) * 2002-05-01 2002-06-19 나성택 한방식물증류액을 함유한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아이스크림
WO2016063998A1 (ko) * 2014-10-21 2016-04-28 조창수 약재의 진액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KR101737276B1 (ko) * 2016-08-29 2017-05-1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12725B1 (ko) * 2016-10-06 2017-12-27 강화홍삼 주식회사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572Y1 (ko) * 2000-04-22 2000-10-02 임형모 무압력 한약재의 엑기스 추출기
KR20050008236A (ko) * 2003-07-14 2005-01-21 고운맘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쑥정유 제조방법
KR20090081854A (ko) * 2008-01-25 2009-07-29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정유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40058975A (ko) 2012-11-07 2014-05-15 박흥순 항유방암 및 항자궁경부암 활성을 갖는 개똥쑥의 추출방법
KR20150080681A (ko) 2014-01-02 2015-07-10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산죽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산죽 음료
KR20160143838A (ko) 2014-04-30 2016-12-1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피부 노화의 징후를 감소시키는 방법
KR20170004451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파낙스코리아 개똥쑥, 명월초 및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와 그를 이용한 식품
KR20170055758A (ko) * 2015-11-12 2017-05-22 (주) 벤우코리아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80054501A (ko) * 2016-11-15 2018-05-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397A1 (ko) 2020-06-18
KR102162134B1 (ko)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141B1 (ko) 계피증류액이 혼합된 꿀의 제조방법
CN103999984B (zh) 一种凉茶及其制备方法
CN106036337A (zh) 一种天然蜂蜜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495248A (zh) 一种梨膏及其制备方法
CN106107869A (zh) 一种红烧烹饪料酒及其制作方法
CN103891949A (zh) 一种保健黑茶
CN106561845A (zh) 一种生产鲜花椒茶油调味油的加工工艺
KR20200072980A (ko)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KR20160013227A (ko) 녹용차 제조방법
CN107361264A (zh) 一种黑蒜复合饮料及其制作方法
CN105192196A (zh) 金银花袋泡茶的制作方法
CN105053405A (zh) 金银花袋泡茶
KR101606913B1 (ko) 강황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CN108142743A (zh) 一种含玉米须的功能型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286352B (zh) 一种千斤拔果脯的制作方法
CN105661200A (zh) 一种雪莲藕红枣复合饮料及其加工方法
CN108013307A (zh) 一种金银花复合饮料的加工方法
KR20050008235A (ko)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음료수 첨가제
CN104473283A (zh) 一种玫瑰姜醋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60001995A (ko) 생맥산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102579191B1 (ko) 이취가 제거된 흑마늘즙 제조방법
CN109170780A (zh) 一种麻辣香锅的调味料及其制备方法
CN107467594A (zh) 一种调理脾胃的姜味蜂蜜及其制备方法
KR101904321B1 (ko) 남성 성기능 증진용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남성 성기능 증진용 환
CN108185026A (zh) 一种高营养豆油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