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227A - 녹용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용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227A
KR20160013227A KR1020160004802A KR20160004802A KR20160013227A KR 20160013227 A KR20160013227 A KR 20160013227A KR 1020160004802 A KR1020160004802 A KR 1020160004802A KR 20160004802 A KR20160004802 A KR 20160004802A KR 20160013227 A KR20160013227 A KR 20160013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ture
antler
tea
medic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수
Original Assignee
김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득수 filed Critical 김득수
Priority to KR102016000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3227A/ko
Publication of KR2016001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영양이 풍부하여 갱년기 증상에 효과를 볼 수 있는 녹용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녹용, 복분자, 숙지황, 백작약, 당귀, 계피, 생강, 대추,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황정, 천궁, 황기, 감초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한 후에 잘게 분쇄하여 약재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약재혼합물에 꿀을 첨가하는 약재혼합단계; 상기 약재혼합단계를 통하여 혼합이 이루어진 약재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탕기에 넣고 85~100℃의 온도로 4~5시간 가열하는 과정을 거치고, 가열과정 중에 8~10분씩 3~4회 김을 빼는 과정을 거쳐 차액기스를 추출하는 약재혼합물추출단계; 및 상기 약재혼합물추출단계를 통하여 추출된 차액기스에 물을 혼합하여 100c 이상의 온도로 10~15분간 끓여 녹용차를 형성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녹용차 제조방법{PRODUCTION METHOD OF YOUNG ANTLER TEA}
본 발명은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용을 포함한 녹용, 복분자, 숙지황, 백작약, 당귀, 계피, 생강, 대추,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황정, 천궁, 황기, 감초 및 벌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마실 수 있는 차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각종 영양분이 풍부할 뿐 아니라 갱년기 증상에 효과를 볼 수 있는 녹용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명의 발달과 과학의 진보로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은 그 수명이 점차 연장되고, 동시에 다양한 환경에서의 스트레스, 공해 및 노화현상 등으로 인하여 면역력이 저하되고 자연치유력이 점차 떨어져 노화가 진행되게 된다.
특히, 여성의 경우 40대 이후 서서히 시작되는 갱년기 증상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갱년기의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빈맥, 발한 또는 두통과 같은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고, 근육통, 관절통 및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다.
또한, 빈뇨 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뇨생식기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고, 기억력 감퇴, 우울증, 집중력 감퇴 및 현기증과 같은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으며, 이 외에도 시력감퇴 및 피부와 모발이 변화되는 증상들이 발생되며, 호르몬 변화로 인한 골다공증이나 심혈관계 질환 등 여성의 건강에 치명적인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중년 특히 여성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갱년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갱년기 증상의 개선을 위해 호르몬 대체요법 및 비스테로이드계 제제 등의 약물들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의 경우 대부분이 두통 및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들 때문에 식품이나 첨가물의 형태로 섭취하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에스트로겐 요법을 대체하고자 하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갱년기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갱년기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갱년기 질환의 치료와 관련된 선행 연구로서, 국내특허공개 제10-2011-0017419호 및 국내특허공개 제 10-2010-0114333호는 백합, 벌사상자, 원지 및 상백피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1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고, 국내특허공개 제10-2010-0115840호는 글리세올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성물은 추출물을 약성분으로 이용함으로 강한 약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약이라는 강한 거부감을 가질 뿐 아니라 손쉽게 음용하거나 음료 대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바, 섭취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면서도 마실 수 있는 차 형태로 음료 대용으로 이용될 수 있어 쉽게 섭취가 가능하고 약이라는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의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7419호 (2011.02.21. 공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4333호 (2010.10.2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비자가 취식시 한약재 특유의 맛과 향으로 취식 거부감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맛과 향이 개선된 녹용차를 제공할 수 있는 녹용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약재를 포함하면서도 마실 수 있는 차 형태로 음료 대용으로 이용될 수 있어 쉽게 섭취가 가능하고 약이라는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녹용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비자가 취식거부감 없이 녹용차에 함유된 각종 영양분을 섭취하도록 유도하여 녹용차의 소비를 증대시키고, 이에 따른 각종 한약 재배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녹용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녹용, 복분자, 숙지황, 백작약, 당귀, 계피, 생강, 대추,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황정, 천궁, 황기, 감초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한 후에 잘게 분쇄하여 약재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약재혼합물에 꿀을 첨가하는 약재혼합단계; 상기 약재혼합단계를 통하여 혼합이 이루어진 약재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탕기에 넣고 85~100℃의 온도로 4~5시간 가열하는 과정을 거치고, 가열과정 중에 8~10분씩 3~4회 김을 빼는 과정을 거쳐 차액기스를 추출하는 약재혼합물추출단계; 및 상기 약재혼합물추출단계를 통하여 추출된 차액기스에 물을 혼합하여 100c 이상의 온도로 10~15분간 끓여 녹용차를 형성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재혼합단계에서 상기 녹용, 복분자, 숙지황, 백작약, 당귀, 계피, 생강, 대추,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황정, 천궁, 황기, 감초의 혼합비율은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녹용4~6중량%, 복분자10~15중량%, 숙지황5~7중량%, 백작약5~7중량%, 당귀5~7중량%, 계피5~7중량%, 생강5~7중량%, 대추5~7중량%, 토사자4~6중량%, 구기자4~6중량%, 사상자4~6중량%, 황정4~6중량%, 천궁3~5중량%, 황기3~5중량%, 감초3~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꿀의 첨가비율은 약재혼합물 1중량부당 1~2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재혼합물추출단계에서 상기 차액기스에 첨가되는 물의 혼합비율은 약재혼합물 1중량부당 물 10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단계에서 상기 차액기스에 혼합되는 물의 혼합비율은 차액기스 1중량부당 물 3~6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는 제조한 녹용차를 필터를 통하여 걸러낸 후 걸러진 녹용차를 15℃이하를 이루는 냉장기계를 통하여 저온숙성시키는 숙성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녹용차를 15~20℃를 이루는 냉장기계를 통하여 저온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더 수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면서도 마실 수 있는 차 형태로 음료 대용으로 이용될 수 있어 쉽게 섭취가 가능하고 약이라는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녹용차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한약재 특유의 맛과 향을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가 녹용차의 각종 효능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각종 영양이 풍부한 녹용차의 효능을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가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셋째, 녹용차 특유의 맛과 향을 개선하여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가 편리하게 녹용차를 취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녹용과 각종 한약재의 소비를 증대시키고, 이에 따른 약재 재배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각종 한약재와 벌꿀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각각의 단일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건강 기능적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녹용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용차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용차 제조방법의 다른 공정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이하의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녹용, 복분자, 숙지황, 백작약, 당귀, 계피, 생강, 대추,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황정, 천궁, 황기, 감초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한 후에 잘게 분쇄하여 약재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약재혼합물에 꿀을 첨가하는 약재혼합단계(100); 상기 약재혼합단계(100)를 통하여 혼합이 이루어진 약재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탕기에 넣고 85~100℃의 온도로 4~5시간 가열하는 과정을 거치고, 가열과정 중에 8~10분씩 3~4회 김을 빼는 과정을 거쳐 차액기스를 추출하는 약재혼합물추출단계(200); 및 상기 약재혼합물추출단계(200)를 통하여 추출된 차액기스에 물을 혼합하여 100c 이상의 온도로 10~15분간 끓여 녹용차를 형성하는 가열단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약재혼합단계(100)
상기 단계는 녹용, 복분자, 숙지황, 백작약, 당귀, 계피, 생강, 대추,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황정, 천궁, 황기, 감초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한 후에 잘게 분쇄하여 약재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약재혼합물에 꿀을 첨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계에서 상기 약재혼합물을 이루는 상기 녹용, 복분자, 숙지황, 백작약, 당귀, 계피, 생강, 대추,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황정, 천궁, 황기, 감초의 혼합비율은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녹용4~6중량%, 복분자10~15중량%, 숙지황5~7중량%, 백작약5~7중량%, 당귀5~7중량%, 계피5~7중량%, 생강5~7중량%, 대추5~7중량%, 토사자4~6중량%, 구기자4~6중량%, 사상자4~6중량%, 황정4~6중량%, 천궁3~5중량%, 황기3~5중량%, 감초3~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꿀의 첨가비율은 약재혼합물 1중량부당 1~2중량부가 첨가된다.
상기 녹용은 사슴의 뿔을 채취하여 가공한 약재를 말하는 것으로 아이들의 성장촉진에 좋고, 성인의 노화방지에 좋은 효능이 있으며, 뇌세포 활성화, 면역력 향상, 조혈작용, 골다공증 예방과 같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서 녹용의 혼합비율이 4~6중량%를 이루도록 첨가한다.
또한, 상기 복분자는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10~1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이러한 복분자는 스테미너 강화, 피로회복, 피부노화 방지, 시력보호, 항암효과, 기억력 향상과 같이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숙지황은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약용식물을 말하는 것으로 그 뿌리를 주로 약재로 쓰는 것으로, 혈을 보강하고, 정(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하여 허리와 무릅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하는 효능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숙지황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5~7중량%를 이루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백작약은 작약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상기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7~10중량%를 이루도록 첨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백작약은 신체의 혈을 보충하고 간을 사하며, 땀을 막고 수렴 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으며, 만성위염에도 효능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당귀는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5~7중량%를 이루도록 혼합하는 것으로 이러한 당귀는 주로 피와 관련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피를 만드는 보혈작용, 혈액을 순환하는 활혈 작용에 효능이 있는 것이다.
또한, 당귀는 장의 움직임을 개선하여 변비치료는 물론이고, 머리를 검게 하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능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계피는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5~7중량%를 이루도록 첨가되는 것이며 그 효능으로는 생리통의 완화와, 두통, 감기, 스트레스 해소에 효능이 있으며, 위를 편안하게 해주고, 소족냉증의 완화를 이루는 효능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생강은 상기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5~7중량%를 이루도록 첨가하는 것이며, 몸을 따뜻하게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 시켜주는 효능이 있으며, 두통, 생리통에 좋으며 혈액을 맑게 해주는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는 효능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대추는 내장기능을 강화하고, 식욕부진이나 소화불량을 개선하여 식욕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상기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5~7중량%를 이루도록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사자는 매꽃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인 새삼의 씨앗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4~6중량%가 첨가하며, 상기 토사자는 자양강장, 요통, 당뇨 등에 효능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기자는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4~6중량% 첨가되는 것으로 그 효능은 피부미용 및 노화예방, 동맥경화 예방, 간 건강개선, 피로회복, 면역력 강화, 탈모예방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상자는 신장기능의 강화와 여성불임 등에 좋은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4~6중량%를 첨가한다.
한편, 상기 황정은 상기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4~6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그 효능은 기침 예방과, 이명현상 개선, 식욕증진과 몸의 갈증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천궁은 활혈(피를 순환하는 기능)거어약류에서 대표적인 약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와 혈의 원활한 순환을 도우며 몸 안으로 침입한 풍의 기운을 없애는 동시에 지통의 효과가 있고, 기와 혈의 순환 장애로 인한 월경통이나 일정하지 않은 생리, 복통, 옆구리에 통증, 타박상, 두통 등의 증상에 응용되는 것으로 모든 풍병, 기병, 혈병들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궁은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3~5중량%를 이루도록 첨가한다.
더하여, 상기 황기는 강장작용, 면역기능조절작용, 강심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소염작용 등에 좋은 것이며 에이즈, 암, 종양과 같은 면역 결핍 질병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황기를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3~5중량%를 이루도록 첨가한다.
또한, 상기 감초는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3~5중량%를 이루도록 혼합하여 세균으로 인한 독의 중화작용과 암의 예방, 모공을 줄여주는 수혐효과를 통해 피부 부스럼, 피부트러블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효능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약재혼합물을 이루는 상기 녹용, 복분자, 숙지황, 백작약, 당귀, 계피, 생강, 대추,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황정, 천궁, 황기, 감초의 혼합비율은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녹용4~6중량%, 복분자10~15중량%, 숙지황5~7중량%, 백작약5~7중량%, 당귀5~7중량%, 계피5~7중량%, 생강5~7중량%, 대추5~7중량%, 토사자4~6중량%, 구기자4~6중량%, 사상자4~6중량%, 황정4~6중량%, 천궁3~5중량%, 황기3~5중량%, 감초3~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꿀의 첨가비율을 약재혼합물 1중량부당 1~2중량부가 첨가하는 것은 각종 약재의 효능을 소비자에게 최대한 제공하면서도 혼합되는 각종 약재의 효능 또한 최대한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한약재 특유의 맛과 향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2) 약재혼합물추출단계(200)
상기 단계는 상기 약재혼합단계(100)를 통하여 혼합이 이루어진 약재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탕기에 넣고 85~100℃의 온도로 4~5시간 가열하는 과정을 거치고, 가열과정 중에 8~10분씩 3~4회 김을 빼는 과정을 거쳐 차액기스를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약재혼합물을 물과 혼합하여 85~100℃를 이루는 탕기에 넣고 4~5시간 가열하며 추출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상기 약재혼합물에 첨가되는 물의 혼합비율은 약재혼합물 1중량부당 물 10중량부를 첨가한다.
이와 같이, 약재혼합물을 물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은 각종 영양이 풍부한 약재혼합물의 영양소를 흡수가 빠른 영양소로 뽑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추출과정에서 추출기의 온도를 85~100℃ 온도를 이루도록 하고, 4~5시간 가량 추출하는 것은 약재혼합물의 추출과정이 가장 잘되는 온도이자, 각종 약재들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온도 및 시간이기 때문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에서와 같이, 약재혼합물을 가열하여 약재추출물을 얻는 경우에는 약재혼합물의 교반과정과, 숙성과정을 더 수행하여 약재혼합물의 혼합과 수분 증발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즉, 약재혼합물과 물을 혼합하여 추출한 약재추출물이 총 100중량%에 대하여 50~60중량%가 남을 수 있도록 수분을 증발시키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예컨대, 약재혼합물과 물을 혼합하여 1000L의 혼합물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추출과정을 거쳐 추출된 약재추출물(차액기스)을 450~550L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3) 가열단계(300)
상기 단계는 상기 약재혼합물추출단계(200)를 통하여 추출된 차액기스에 물을 혼합하여 100c 이상의 온도로 10~15분간 끓여 녹용차를 형성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단계는 추출된 차액기스에 물을 혼합하여 100c 이상의 온도로 10~15분간 더 끓여내어 음용이 가능한 녹용차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는 사용자가 취식을 이룰 수 있는 녹용차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약재혼합물 추출단계(200)를 통하여 추출된 차액기스를 물로 희석하는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취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액기스에 혼합되는 물의 혼합비율은 차액기스 1중량부당 물 3~6중량가 혼합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열단계(300) 이후에는 제조한 녹용차를 필터를 통하여 걸러낸 후 걸러진 녹용차를 15℃이하를 이루는 냉장기계를 통하여 저온숙성시키는 숙성단계(400); 및 상기 숙성단계(400)를 거친 녹용차를 15~20℃를 이루는 냉장기계를 통하여 저온냉각시키는 냉각단계(500)를 더 수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단계를 거쳐 제조된 녹용차를 저온,숙성시켜 녹용차의 맛과 향을 더욱 개선하고, 각종 약재 혼합물의 혼합상태가 더욱 좋아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저온,숙성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1~3일정도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며, 숙성과정에서의 온도는 3±1도를 유지하여 숙성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약재혼합단계(100), 약재혼합물추출단계(200), 가열단계(300)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명하였지만 이는 사용자의 편의 및 제조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개별적은 물론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녹용차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참고하여 기술한다.
녹용 0.66g, 숙지황 0.91g, 복분자 1.33g, 백작약 0.91g, 당귀 0.91g, 계피 0.91g, 토사자 0.66g, 구기자 0.66g, 사상자 0.66g, 황정 0.66g, 천궁 0.45g, 황기 0.45g, 감초 0.45g, 생강 0.83g, 대추 0.83g을 혼합하여 약재혼합물을 형성하고, 이에 벌꿀 10g을 첨가한다.
그리고, 꿀이 첨가된 약재혼합물에 물 138.3g을 혼합하여 탕기에 넣고 85~100℃의 온도로 4~5시간 가열하는 과정을 거치며 가열과정 중에 8~10분씩 3~4회 김을 빼는 과정을 거쳐 약 80L의 차액기스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제조한 차액기스에 물을 혼합하여 100c 이상의 온도로 10~15분간 끓여 녹용차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꿀을 첨가하여 한약재 특유의 맛과 향이 개선되고, 각종 영양이 풍부한 녹용차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실험예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인 녹용차의 개선된 맛과 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녹용차의 맛과 향에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는 10세 이하의 소아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한 녹용차를 취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예 1의 표에서와 같이, 20명의 소아 중 14명에게서 녹용차의 맛과 향이 개선되어 취식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인 녹용차의 개선된 맛과 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20~30세의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한 녹용차를 취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예 2의 표에서와 같이, 20명의 성인 중 16명에게서 녹용차의 맛과 향이 매우 양호하거나 양호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Figure pat00003
실험예 1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녹용차에 거부감이 없는 40세 이상의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한 녹용차를 취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른 실험결과, 실험예 3의 표에서와 같이, 20명의 성인 중 18명에게서 녹용차의 맛과 향이 매우 양호하거나 양호한 상태로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원 발명인 녹용차가 취식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는 10세 이하의 소아와 20~30세의 성인은 물론이고, 40세 이상의 성인에게도 취식 거부감 없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녹용차의 맛과 향을 개선하여 녹용차를 즐겨 마셔보지 않은 소아와 성인이 취식거부감 없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녹용차를 취식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약재혼합단계 200: 약재혼합물추출단계
300: 가열단계 400: 숙성단계
500: 냉각단계

Claims (5)

  1. 녹용, 복분자, 숙지황, 백작약, 당귀, 계피, 생강, 대추,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황정, 천궁, 황기, 감초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한 후에 잘게 분쇄하여 약재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약재혼합물에 꿀을 첨가하는 약재혼합단계(100);
    상기 약재혼합단계(100)를 통하여 혼합이 이루어진 약재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탕기에 넣고 85~100℃의 온도로 4~5시간 가열하는 과정을 거치고, 가열과정 중에 8~10분씩 3~4회 김을 빼는 과정을 거쳐 차액기스를 추출하는 약재혼합물추출단계(200); 및
    상기 약재혼합물추출단계(200)를 통하여 추출된 차액기스에 물을 혼합하여 100c 이상의 온도로 10~15분간 끓여 녹용차를 형성하는 가열단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차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혼합단계(100)에서
    상기 녹용, 복분자, 숙지황, 백작약, 당귀, 계피, 생강, 대추,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황정, 천궁, 황기, 감초의 혼합비율은 약재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녹용4~6중량%, 복분자10~15중량%, 숙지황5~7중량%, 백작약5~7중량%, 당귀5~7중량%, 계피5~7중량%, 생강5~7중량%, 대추5~7중량%, 토사자4~6중량%, 구기자4~6중량%, 사상자4~6중량%, 황정4~6중량%, 천궁3~5중량%, 황기3~5중량%, 감초3~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꿀의 첨가비율은 약재혼합물 1중량부당 1~2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차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혼합물추출단계(200)에서
    상기 차액기스에 첨가되는 물의 혼합비율은 약재혼합물 1중량부당 물 10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차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300)에서
    상기 차액기스에 혼합되는 물의 혼합비율은 차액기스 1중량부당 물 3~6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차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300) 이후에는
    제조한 녹용차를 필터를 통하여 걸러낸 후 걸러진 녹용차를 15℃이하를 이루는 냉장기계를 통하여 저온숙성시키는 숙성단계(400); 및
    상기 숙성단계(400)를 거친 녹용차를 15~20℃를 이루는 냉장기계를 통하여 저온냉각시키는 냉각단계(50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차 제조방법.
KR1020160004802A 2016-01-14 2016-01-14 녹용차 제조방법 KR20160013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802A KR20160013227A (ko) 2016-01-14 2016-01-14 녹용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802A KR20160013227A (ko) 2016-01-14 2016-01-14 녹용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227A true KR20160013227A (ko) 2016-02-03

Family

ID=5535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802A KR20160013227A (ko) 2016-01-14 2016-01-14 녹용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32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224A1 (en) * 2016-05-18 2017-11-23 Olmanfood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bined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abnormal regulation of female hormone and the use thereof
CN109393103A (zh) * 2017-08-16 2019-03-01 陈杰 营养保健黑糖姜母汤
KR102189949B1 (ko) 2019-10-29 2020-12-11 김득수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
KR102233135B1 (ko) * 2019-10-29 2021-03-26 김득수 발효 녹용 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 쌍화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333A (ko) 2009-04-15 2010-10-25 (주)내츄럴엔도텍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KR20110017419A (ko) 2011-02-10 2011-02-21 (주)내츄럴엔도텍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333A (ko) 2009-04-15 2010-10-25 (주)내츄럴엔도텍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KR20110017419A (ko) 2011-02-10 2011-02-21 (주)내츄럴엔도텍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224A1 (en) * 2016-05-18 2017-11-23 Olmanfood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bined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abnormal regulation of female hormone and the use thereof
CN109393103A (zh) * 2017-08-16 2019-03-01 陈杰 营养保健黑糖姜母汤
KR102189949B1 (ko) 2019-10-29 2020-12-11 김득수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
KR102233135B1 (ko) * 2019-10-29 2021-03-26 김득수 발효 녹용 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 쌍화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762B1 (ko) 기능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3227A (ko) 녹용차 제조방법
CN106619929A (zh) 一种竹鼠的肉、胆、肝、心、脑、睾丸和肾入药的方法
CN105076894A (zh) 一种奶牛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816292B (zh) 一种中药足浴粉及其制备方法
CN103749821B (zh) 一种提高免疫力的绞股蓝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6490612A (zh) 一种女性补益膏及制备方法
CN103749824A (zh) 一种绞股蓝降糖降压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20140137155A (ko) 원적외선수가 포함되는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KR20160014073A (ko) 쌍화커피 제조방법
KR101512230B1 (ko)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13577114B (zh) 用于中药组合物的芝麻粕粉、制备工艺及应用
CN103181431B (zh) 一种养肝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1715076B1 (ko) 석창포를 주재료로 하는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방법
CN103920002A (zh) 一种生发素及其制备方法
CN103385329A (zh) 一种治疗老人便秘的中草药冲泡茶及其制法
CN105943490A (zh) 一种生发营养液及其配制方法
CN102462787A (zh) 治疗高血压、改善高血脂的中药组合物及其制剂方法
CN106031396A (zh) 一种玫瑰肉苁蓉保健茶及其制作方法
CN104606571A (zh) 一种生津止渴鲜菠菜根代茶饮及制备方法
KR20180121435A (ko) 원적외선 증류수가 포함되는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CN107467594A (zh) 一种调理脾胃的姜味蜂蜜及其制备方法
CN106562194A (zh) 一种辅助睡眠药食冲剂及制备方法
KR20130047158A (ko) 시래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