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244A -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244A
KR20200024244A KR1020207002079A KR20207002079A KR20200024244A KR 20200024244 A KR20200024244 A KR 20200024244A KR 1020207002079 A KR1020207002079 A KR 1020207002079A KR 20207002079 A KR20207002079 A KR 20207002079A KR 20200024244 A KR20200024244 A KR 20200024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package
uneven
packaging shee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야 미야마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9270A external-priority patent/JP68147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9256A external-priority patent/JP6861110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포장 시트에 실시한 장식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면서,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를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1)는, 흡수성 물품(20)과, 복수의 흡수성 물품(20)을 포장하는 주머니형의 포장 시트(10)를 갖는다. 포장 시트(10)의 이면(10B)은, 포장 시트의 표면(10T)보다 평활하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본 발명은 복수의 흡수성 물품을 포장한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포장 시트에 의해 복수의 흡수성 물품을 포장한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가 알려져 있다(하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포장 시트에 무광택층을 형성하고 있다. 무광택층은, 포장 시트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후에, 포장 시트에 인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536069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포장 시트에 무광택층을 형성함으로써, 고급감의 향상 등의 장식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포장 시트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면, 포장 시트의 표면 및 이면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포장 시트에 인쇄되기 쉬운 부분과 인쇄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인쇄의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 인쇄의 불균일이 발생함으로써, 포장 시트에 실시한 장식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포장 시트에 실시한 장식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가 요망된다.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흡수성 물품과, 복수의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주머니형의 포장 시트를 갖고,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 시트의 이면은,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보다 평활하다.
다른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흡수성 물품과, 복수의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주머니형의 포장 시트를 갖고,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와, 도트의 집합체를 포함하는 착색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로서, 상기 착색층의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10% 이하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 부분의 포장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포장 시트의 표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 부분의 포장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D-D선을 따른 포장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E 부분의 포장 시트의 평면도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흡수성 물품과, 복수의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주머니형의 포장 시트를 갖고,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 시트의 이면은,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보다 평활하다.
포장 시트의 표면에 요철부가 있기 때문에, 포장 시트의 표면에 빛이 닿았을 때에 상기 빛이 난반사되어,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포장 시트의 이면이 포장 시트의 표면보다 평활하여, 흡수성 물품을 취출할 때에 포장 시트의 이면에 흡수성 물품이 걸리기 어렵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하기 쉽다. 포장 시트의 표면에 요철부가 있고, 포장 시트의 이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포장 시트의 표면의 요철부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면서, 사용 시에 흡수성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의 광택도는, 상기 포장 시트의 이면의 광택도보다 낮다.
포장 시트의 표면의 광택도가 낮아, 포장 시트의 표면에 의해 빛을 난반사시키기 쉽다. 따라서, 빛의 난반사에 의한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의 높이는, 0.8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요철부의 높이가 0.8 ㎛ 이상임으로써, 포장 시트의 표면에 닿은 빛을 난반사시키는 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요철부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임으로써, 더욱 빛의 난반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의 폭 및 상기 요철부의 간격은, 2.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1.0 ㎜ 이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 시트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배치하여, 포장 시트의 표면에 있어서 빛이 보다 난반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빛의 난반사에 의한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의 폭 및 요철부의 간격이 0.5 ㎜ 이상 1.0 ㎜ 이하임으로써, 더욱 빛의 난반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포장 시트의 굽힘 강성은, 0.07×10-4 N 이상이고, 상기 포장 시트의 강연도(剛軟度)는, 53.0 ㎜ 이상이다.
포장 시트의 굽힘 강성이 0.07×10-4 N 이상이고, 포장 시트의 강연도가 53.0 ㎜ 이상이며, 포장 시트는, 탄력이 있기 때문에, 요철부의 형성 등의 장식 가공의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의도한 양태로 요철부를 가공할 수 있고, 요철부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요철부를 구성하는 수지층과, 상기 포장 시트의 이면에 배치된 본체층을 갖는다.
수지층은, 소정의 가공(온도 조정,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원하는 요철부의 형상을 실현하기 쉽다. 따라서, 포장 시트의 요철부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또한, 본체층과 수지층이 다른 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수지층의 가공이나 디자인의 제약을 적게 할 수 있고,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수지층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 시트에 포장된 흡수성 물품에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층의 이면의 KES의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는, 0.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3 이하이다.
본체층의 이면은, KES의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가 0.8 이하이고, 실질적으로 평활하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취출할 때에 포장 시트의 이면에 흡수성 물품이 걸리기 어렵고,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하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KES의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가 0.2 이상 0.3 이하임으로써,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보다 원활하게 취출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층의 두께의 표준 편차는, 상기 본체층의 평균 두께의 10% 이하이다.
본체층의 두께의 표준 편차는, 본체층의 평균 두께의 10% 이하이고, 본체층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본체층에 의도한 양태로 요철부를 가공할 수 있고, 요철부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층의 이면의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는, 0.0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4 이상 0.006 이하이다.
본체층의 이면의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는, 0.01 이하이고, 본체층의 이면은, 실질적으로 평활하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취출할 때에 포장 시트의 이면에 흡수성 물품이 걸리기 어렵고,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하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층의 이면의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가 0.004 이상 0.006 이하임으로써,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보다 원활하게 취출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포장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물품 표면을 갖고, 상기 물품 표면에는, 착색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색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요철부에 의한 빛의 난반사 등의 장식 효과에 의해, 포장 시트 내부의 흡수성 물품이 비쳐 보이는 것이 억제된다. 흡수성 물품의 착색 영역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고,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눈에 띄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를 걸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요철부가 흡수성 물품의 경계를 걸친 영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경계에 의한 명도의 변동을 요철부의 장식 효과에 의해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는, 상기 경계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요철부에 의한 빛의 반사 효과에 의해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에 있어서의 음영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수지층과 상기 본체층 사이에 배치된 착색층을 갖는다.
포장 시트가 착색층을 갖기 때문에, 포장 시트는 착색층에 의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요철부와 착색층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장식을 실시할 수 있고,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포장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물품 표면을 갖고, 상기 물품 표면에는, 착색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색층은, 상기 착색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의 착색 영역을 포장 시트의 착색층에 의해 눈에 띄기 어렵게 하고,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눈에 띄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착색층은, 상기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를 걸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의 경계에 의한 명도의 변동을 착색층의 장식 효과에 의해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착색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를 나타내는 착용자 화상을 갖고 있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눈을 구성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눈을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높이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눈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높이보다 높다.
눈을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높이를 높게 하여, 눈에 있어서의 빛의 반사 효과를 높임으로써, 눈을 눈에 띄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에는, 상기 착색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를 나타내는 착용자 화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폭은, 상기 착용자 화상의 피부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폭보다 짧다.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폭이 짧아, 사용자가 피부의 화상을 만졌을 때에 매끄러운 질감이 된다. 피부의 화상의 부드러운 질감에 의해, 피부에 대해 순한 인상이나 피부에 닿는 흡수성 물품이 부드러운 인상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는, 복수의 요철 패턴을 갖고, 상기 복수의 요철 패턴은, 상기 요철부의 평면 형상, 상기 요철부의 높이, 및 상기 요철부의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하다.
복수의 요철 패턴을 갖기 때문에, 복수의 반사 패턴에 의해 상이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는, 흡수성 물품과, 복수의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주머니형의 포장 시트를 갖고,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와, 도트의 집합체를 포함하는 착색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로서, 상기 착색층의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10% 이하이다.
포장 시트의 표면에 요철부가 있기 때문에, 포장 시트의 표면에 빛이 닿았을 때에 상기 빛이 난반사되어,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착색층의 도트의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10% 이하이고, 도트 직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함으로써, 착색층 전체에 걸쳐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이다.
착색층의 도트의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이고, 도트 직경이 보다 균일하기 때문에, 착색층 전체에 걸쳐 의도한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도트 중, 같은 색을 구성하는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이다.
같은 색을 구성하는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이고, 같은 색의 착색 효과를 균일화할 수 있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의 오목부와 겹치는 영역의 상기 도트 직경과, 상기 요철부의 볼록부와 겹치는 영역의 상기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이다.
오목부와 겹치는 영역의 도트 직경과 볼록부와 겹치는 영역의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이고, 오목부와 겹치는 영역과 볼록부와 겹치는 영역의 착색 효과를 균일화할 수 있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색층의 표면측에 배치된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지층은, 소정의 가공(온도 조정,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원하는 요철부의 형상을 실현하기 쉽다. 따라서, 포장 시트의 요철부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수지층과 상기 착색층이 겹치는 영역의 요철부의 높이와, 상기 수지층과 상기 착색층이 겹치지 않는 영역의 요철부의 높이의 차는, 0.1 ㎛ 이하이다.
수지층과 착색층이 겹치는 영역의 요철부의 높이와, 수지층과 착색층이 겹치지 않는 영역의 요철부의 높이의 실질적인 차가 없기 때문에, 수지층과 착색층이 겹치는 영역과 수지층과 착색층이 겹치지 않는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빛의 반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시트의 요철부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수지층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갖는다.
요철부를 구성하는 수지층이 자외선 경화 수지를 갖기 때문에, 포장 시트에 의해 자외선을 흡수하기 쉽다. 따라서, 포장 시트에 포장된 흡수성 물품에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포장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물품 표면을 갖고, 상기 물품 표면에는, 착색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 및 상기 착색층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착색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요철부 또는 착색층에 의한 장식 효과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착색 영역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고,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눈에 띄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 및 상기 착색층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를 걸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의 경계에 의한 명도의 변동을 요철부 또는 착색층의 장식 효과에 의해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는, 상기 경계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요철부 또는 착색층에 의한 장식 효과에 의해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에 있어서의 음영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요철부는, 복수의 요철 패턴을 갖고, 상기 복수의 요철 패턴은, 상기 요철부의 평면 형상, 상기 요철부의 높이, 및 상기 요철부의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하다.
복수의 요철 패턴을 갖기 때문에, 복수의 반사 패턴에 의해 상이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를 나타내는 착용자 화상과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눈을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높이를 높게 하여, 반사 효과를 높이거나,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평면 형상을 미세하게 하여, 매끄러운 질감을 실현하거나, 화상에 맞춘 복잡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착색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를 나타내는 착용자 화상을 갖고 있고,
싱기 요철부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눈을 구성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눈을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높이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눈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높이보다 높다.
눈을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높이를 높게 하여, 눈의 반사율을 높임으로써, 눈을 눈에 띄게 할 수 있고, 구입자의 주의를 끌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에는, 상기 착색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를 나타내는 착용자 화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폭은, 상기 착용자 화상의 피부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폭보다 짧다.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폭이 짧아, 구입자가 피부의 화상을 만졌을 때에 매끄러운 질감이 된다. 피부의 화상의 부드러운 질감에 의해, 피부에 대해 순한 인상이나 피부에 닿는 흡수성 물품이 부드러운 인상을 부여할 수 있다.
(2)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의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의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1)(이하, 포장체(1)로 한다)는, 흡수성 물품(20)과, 복수의 흡수성 물품(20)을 포장하는 포장 시트(10)를 갖는다.
포장 시트(10)는, 주머니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포장 시트(10) 내의 공간에, 복수의 흡수성 물품(20)이 수용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20)으로서는,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흡수 패드를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20)은, 일회용 기저귀이며, 둘로 접힌 상태로 포장 시트(10) 내에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20)은, 두께 방향(T)과, 흡수성 물품(20)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길이 방향과,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T)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가져도 좋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포장 시트(10)의 표면(10T)은, 포장체(1)의 외면을 구성하고, 포장 시트(10)의 이면(10B)은, 포장체(1)의 내면을 구성하며, 흡수성 물품(20)에 접촉해도 좋다.
포장 시트(10)는, 포장 시트(10)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15)를 가져도 좋다. 요철부(15)는, 포장 시트(10)의 표면(10T)에 형성되어 있고, 포장 시트(10)의 표면(10T)에 닿은 빛을 난반사시킨다. 빛의 난반사에 의해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포장 시트(10)의 표면(10T)의 광택도는, 포장 시트(10)의 이면(10B)의 광택도보다 낮아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장 시트(10)의 표면(10T)의 광택도는, 포장 시트(10)의 이면(10B)의 광택도의 1/2배 이하여도 좋다. 포장 시트(10)의 표면(10T)에 의해 빛을 난반사시키는 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포장 시트의 표면에 의해 빛을 반사하면 할수록, 포장 시트 내부의 흡수성 물품이 보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포장 시트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광택도는, 닛폰 덴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의 광택계 VG7000을 이용하여, 경면 광택도-측정 방법(JIS Z 8741)에 준거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60°의 각도의 광택이다.
포장 시트(10)의 이면(10B)은, 포장 시트(10)의 표면(10T)보다 평활해도 좋다. 시트의 평활을 비교하는 지표로서는, 면의 요철의 높이, KES의 표면 거칠기의 표준 편차(SMD), 평균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현미경에 의해 시트의 단면의 요철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포장 시트의 이면의 요철의 높이가 포장 시트의 표면의 요철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포장 시트(10)의 이면(10B)은, 포장 시트(10)의 표면(10T)보다 평활하다. 또한, KES의 표면 거칠기의 표준 편차(SMD)를 측정할 때에는, 측정면과 반대측의 면의 요철의 형상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측정 대상의 면을 구성하는 층만을 취출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 시트의 이면이 포장 시트의 표면보다 평활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취출 시에 있어서의 마찰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을 취출할 때에 포장 시트의 이면에 흡수성 물품이 걸리기 어렵고,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하기 쉽다. 포장 시트의 표면에 요철부가 있고, 포장 시트의 이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포장 시트의 표면의 요철부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면서, 사용 시에 흡수성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다.
포장 시트(10)는, 요철부(15)의 이면측에 배치된 본체층(11)을 가져도 좋다. 본체층(11)은, 포장 시트의 이면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체층(11)은, 0.04 ㎜∼0.20 ㎜의 두께의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본체층(11)의 이면은, 실질적으로 평활하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층(11)의 이면의 KES의 표면 거칠기의 표준 편차(SMD)는, 0.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3 이하여도 좋다. 본체층의 이면의 KES의 평균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는, 0.0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4 이상 0.006 이하여도 좋다. 본체층(11)의 두께의 표준 편차는, 본체층(11)의 평균 두께의 10% 이하여도 좋다. 또한, 본체층(11)의 표면도, 본체층(11)의 이면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평활해도 좋다. 본체층(11)의 표면이 실질적으로 평활함으로써, 본체층(11)의 표면측에 착색층(12) 및 수지층(13)을 형성할 때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착색층(12) 및 수지층(13)을 의도한 양태로 형성하기 쉽고, 빛의 난반사나 착색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체층(11)의 이면은, 실질적으로 평활하기 때문에, 요철부(15)의 형성 등의 장식 가공을 본체층(11)에 실시할 때에, 가공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본체층(11)에 의도한 양태로 요철부(15)를 가공할 수 있고, 요철부(15)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또한, 본체층(11)의 이면이 포장 시트(10)의 이면(10B)을 구성하고, 포장 시트(10)의 이면(10B)이 실질적으로 평활해도 좋다.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 및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의 측정은, 시트의 표면의 감촉을 나타내는 특성값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가토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KES에서의 특성값(참고 문헌: 감촉 평가의 표준화와 해석(제2판), 저자 가와바타 스에오 발행 1980년 7월 10일)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특성의 측정은, 가토텍(주) 제조 KES-FB4를 이용하고, 각 샘플에 있어서 1.0×1.0 ㎝의 범위를 시료로 하며, 평활한 금속 평면의 시험대에 배치하여 행하였다. 표면 거칠기의 측정은, 그 표면(또는 이면) 상에, 10 gf의 하중을 가하고, 또한, 0.5 ㎜ 직경의 피아노선으로 감겨진 폭 0.5 ㎝의 접촉 단자를 시료에 압착시켜 행하며, 또한, 표면 마찰의 측정은, 표면 거칠기의 측정에 이용한 접촉 단자와 동일한 피아노선을 10개 배열하여 중추에 의해 50 fg의 힘으로 접촉면을 시료에 압착시켜 행한다. 표면 마찰 및 표면 거칠기의 측정에서는, 시료를 0.1 ㎝/sec의 일정 속도로 수평으로 2 ㎝ 이동시키고, 시료에는 20 gf/㎝의 일축 장력이 부여된다. 측정 결과에 의해,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 및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를 구하였다.
본체층(11)의 두께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체층(11)을 23℃×50% RH에서 2시간 습도 조절한 후, 본체층(11)의 임의의 점(A)을 중심으로 하여, 기준 방향(0도 방향)을 특정한 후, 중심점(A)으로부터 기준 방향(a), 기준 방향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45도 방향(b), 90도 방향(c), 135도 방향(d), 180도 방향(e), 225도 방향(f), 270도 방향(g) 및 315도 방향(h)의 8 방향으로 각각 100 ㎜의 직선(L1∼L8)의 합계 8개를 긋는다. 각각의 직선 상에 있어서, 중심점으로부터 10 ㎜ 간격으로 두께를 길이 게이지 「HEIDENHAIN-METRO MT1287」(하이덴하인사 제조)에 의해 측정한다(10점 측정한다). 그리고, 전부의 직선에 있어서 측정하여 얻어진 데이터 합계 80점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것을 평균 두께로 하며, 평균 두께에 대한 표준 편차값을 산출한다.
또한, 포장 시트(10)의 굽힘 강성은, 0.07×10-4 Nm/m 이상이어도 좋고, 포장 시트(10)의 강연도는, 53.0 ㎜ 이상이어도 좋다. 포장 시트(10)의 굽힘 강성이 0.07×10-4 N 이상이고, 포장 시트(10)의 강연도가 53.0 ㎜ 이상이며, 포장 시트는, 탄력이 있기 때문에, 요철부(15)의 형성 등의 장식 가공의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본체층(11)에 의도한 양태로 요철부(15)를 가공할 수 있고, 요철부(15)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포장 시트(10)의 강연도는, JIS L 1913 6.7.3에 따라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8 ㎜×25 ㎜의 시험편을 5장 채취하고, 걸리 시험기(가부시키가이샤 야스다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 강연도 측정기 No.311)로 시험편의 표면, 이면을 연속 측정 후의 표리의 평균값으로부터, 강연도를 산출한다.
포장 시트(10)의 굽힘 강성은, 가토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ES FB-2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치수 50 ㎜×100 ㎜가 되는 시험편을 준비하고, 한 쌍의 척의 한쪽에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끼우고, 다른쪽의 척에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타단을 끼운다. 한쪽의 척이 다른쪽의 척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절곡된 시험편의 굽힘 강성을 토크 검출기로 측정한다. 시험편은, 5세트 준비하고, 측정값의 평균값을 굽힘 강성으로 한다.
요철부(15)는, 본체층(11)의 표면측에 배치된 수지층(13)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수지층(13)은, 소정의 가공(온도 조정,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된다. 따라서, 원하는 요철부(15)의 형상을 실현하기 쉽다. 따라서, 요철부(15)의 높이를 높게 하여 반사 효과를 높이거나, 요철부(15)의 높이를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하여 반사 양태를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하거나, 포장 시트(10)의 요철부(15)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요철부(15)의 높이(H15)는, 볼록부의 정점과 오목부의 바닥면과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다(도 6 참조). 요철부(15)의 높이는, 0.8 ㎛ 이상이어도 좋다. 요철부(15)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어도 좋다. 요철부의 높이가 0.8 ㎛ 이상임으로써, 포장 시트의 표면에 닿은 빛을 난반사시키는 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요철부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임으로써, 더욱 빛의 난반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요철부(15)는, 본체층(11)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수지층(13) 및 후술하는 착색층(12) 등, 본체층과 별체(別體)의 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수지층(13)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가져도 좋다. 요철부(15)를 구성하는 수지층(13)이 자외선 경화 수지를 갖기 때문에, 포장 시트(10)에 의해 자외선을 흡수하기 쉽다. 포장 시트(10) 내의 흡수성 물품(20)에 자외선이 과도하게 조사되면, 흡수성 물품의 열화나 인디케이터가 의도하지 않게 반응할 우려가 있다. 수지층(13)이 자외선 경화 수지를 가짐으로써, 포장 시트(10)에 포장된 흡수성 물품(20)에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포장 시트(10)는, 본체층(11)과 수지층(13) 사이에 배치된 착색층(12)을 가져도 좋다. 포장 시트(10)가 착색층(12)을 갖기 때문에, 포장 시트(10)는 착색층(12)에 의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체층(11)이 실질적으로 평활한 면이기 때문에, 착색층(12)의 도트 직경을 일정하게 하는 등, 착색층(12)을 의도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포장 시트(10)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착색층(12)은, 도트의 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착색층을 구성하는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여도 좋다. 도 4는 포장 시트의 표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시트의 표면은, 요철부(15)와, 요철부(15)보다 이면측에 위치하는 착색층(12)의 도트가 시인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착색층(12)은,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착색층(12)이 배치된 영역과 착색층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도 좋다. 도트 직경은, 평면에서 본 도트의 직경이며, 도 4에 있어서, 도트를 부호 121, 122로 나타내고, 그 도트 직경을 D121, D122로 나타낸다.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가 평균 직경의 10% 이하이기 때문에, 도트 직경은,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그 때문에, 착색층(12)의 색 얼룩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착색층(12)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도트 직경의 변동을 지표하는 것이다. 도트의 평균 입경(평면에서 본 직경)을 x, 표준 편차를 σ로 했을 때에, σ/x로 표시되는 입경의 변동이,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도트 중, 같은 색을 구성하는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여도 좋다. 같은 색을 구성하는 도트는, 색상, 명도 및 채도가 동일한 색을 구성하는 도트를 가리키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도트(121)는, 같은 색을 구성하는 도트이고, 도트(122)는, 같은 색을 구성하는 도트이다. 도트(121)와 도트(122)는, 상이한 색을 구성하는 도트이고, 그 직경이 상이하다. 같은 색을 구성하는 도트 직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같은 색의 착색 효과를 균일화할 수 있고, 의도한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쉽다.
착색층(12)의 도트는, 요철부(15)의 오목부와 겹치는 영역과, 볼록부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오목부와 볼록부의 경계는, 볼록부의 정점과 오목부의 바닥면의 두께 방향의 중간점으로 해도 좋다. 오목부와 겹치는 영역은, 도 4에 있어서의 15A로 나타내는 영역이고, 볼록부와 겹치는 영역은, 도 4에 있어서의 15B로 나타내는 영역이다. 오목부와 겹치는 영역(15A)의 도트 직경과, 요철부의 볼록부와 겹치는 영역(15B)의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여도 좋다. 보다 적합하게는, 오목부와 겹치는 영역(15A)의 도트 중, 같은 색을 구성하는 도트의 도트 직경(예컨대, D121)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볼록부와 겹치는 영역(15B)의 도트 중, 같은 색을 구성하는 도트의 도트 직경(예컨대, D121)이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오목부와 겹치는 영역의 도트 직경과 볼록부와 겹치는 영역의 도트 직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착색 효과를 균일화할 수 있고, 의도한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쉽다.
착색층(12)은, 부분적으로 수지층(13)과 겹쳐 있어도 좋고, 수지층(13)과 착색층(12)이 겹치는 영역(12A)과, 수지층(13)과 착색층(12)이 겹치지 않는 영역(12B)이 형성되어도 좋다. 수지층(13)과 착색층(12)이 겹치지 않는 영역(12B)은, 착색층(12)이 배치되지 않고, 본체층(11)과 수지층(13)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수지층(13)과 착색층(12)이 겹치는 영역(12A)의 요철부의 높이와, 수지층(13)과 착색층(12)이 겹치지 않는 영역(12B)의 요철부의 높이의 차는, 0.1 ㎛ 이하여도 좋다. 수지층(13)과 착색층(12)이 겹치는 영역(12A)의 요철부(15)의 높이와, 수지층(13)과 착색층(12)이 겹치지 않는 영역의 요철부의 높이의 실질적인 차가 없기 때문에, 수지층과 착색층이 겹치는 영역과 수지층과 착색층이 겹치지 않는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빛의 반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시트의 요철부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포장 시트(10)는, 착용자의 화상을 나타내는 착용자 화상(17)과, 상품명 등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식별 화상(16)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착용자 화상(17)과, 식별 화상(16)은, 착색층(12)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착용자 화상(17)은, 착용 대상자를 지표하기 위한 화상이고, 착용 대상자의 얼굴 및 신체의 일부를 포함해도 좋다.
요철부(15)는, 복수의 요철 패턴을 가져도 좋다. 복수의 요철 패턴은, 요철부의 평면 형상, 요철부의 높이, 및 요철부의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해도 좋다. 요철부의 평면 형상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평면에서 본 형상이며, 직사각형, 원형, 삼각형을 포함한다. 복수의 요철 패턴을 갖기 때문에, 복수의 반사 패턴에 의해 상이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포장 시트(10)의 표면(10T)에 닿은 빛이 복잡한 반사 양태가 되어,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요철부의 폭 및 요철부의 간격은, 2.0 ㎜ 이하여도 좋다. 요철부의 폭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폭 방향의 길이이고, 요철부의 간격은, 오목부끼리의 간격 또는 볼록부끼리의 간격이다. 포장 시트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배치하여, 포장 시트의 표면에 있어서 빛이 보다 난반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빛의 난반사에 의한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철부의 폭 및 요철부의 간격은, 0.5 ㎜ 이상 1.0 ㎜ 이하여도 좋고, 더욱 빛의 난반사 효과를 높여,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도 5는 착용자 화상과 겹치는 영역의 C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D-D선을 따른 포장 시트의 단면도이다. 착용자 화상의 눈을 구성하는 영역(R1)에 있어서의 착색층의 도트 직경은, 착용자 화상의 눈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R2)에 있어서의 착색층의 도트 직경보다 커도 좋다. 따라서, 착용자 화상에 있어서의 눈이 짙어져, 눈을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눈을 구성하는 영역(R1)의 요철부(15)의 높이는, 눈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R2)에 있어서의 요철부(15)의 높이보다 높아도 좋다. 눈을 구성하는 영역(R1)의 반사 효과를 높여, 눈을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눈을 구성하는 영역(R1)의 요철부(15)를 규칙적으로 배치하고, 눈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R2)에 있어서의 요철부(15)를 불규칙하게 배치해도 좋다. 눈 주위의 영역(R2)은,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이고, 불규칙한 형상에 의해 피부와 같은 질감을 부여할 수 있다.
요철부(15)와 착색층(12)의 조합에 의해, 화상에 맞춘 복잡한 장식 효과를 발휘해도 좋다. 착용자 화상과 겹치는 요철부의 요철 패턴과, 식별 화상의 요철 패턴을 상이하게 해도 좋다. 착용자 화상의 요철 패턴은, 불규칙하고 또한 미세한 요철 패턴을 채용하여, 피부와 같은 질감을 생기게 하기 쉽게 해도 좋다. 식별 화상(16)과 겹치는 요철부의 요철 패턴은, 규칙적인 요철 패턴을 채용하여, 식별 정보를 보기 쉽게 구성해도 좋다. 한편, 미세한 요철 패턴은, 요철부의 폭 및 요철부의 길이가 짧은 패턴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폭은, 착용자 화상의 다른 부분(피부 주위)을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폭보다 작게 해도 좋다.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폭이 짧아, 사용자가 피부의 화상을 만졌을 때에 매끄러운 질감이 된다. 피부의 화상의 부드러운 질감에 의해, 피부에 대해 순한 인상이나 피부에 닿는 흡수성 물품이 부드러운 인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평면 형상은, 정원형(正圓形)이 아닌 타원형이나 직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부가 정원형이면, 요철부가 부스럼과 같은 시각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가 있고, 타원형이나 직사각형 형상임으로써 매끄러운 질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23)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르고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20)은, 부직포 등, 유연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흡수성 물품의 외형의 모서리부는, 직선형이 아니라, 곡선형이 되기 쉽다. 그 때문에, 포장 시트(1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의 물품 표면(22)과, 포장 시트(10)의 이면과의 거리(D1)는, 흡수성 물품(20)의 경계(23) 부근에 있어서 변화하기 쉽다. 포장 시트(10)로부터 물품 표면(22)까지의 깊이가 변화하면, 포장 시트(10)의 내측에 음영이 생겨, 포장 시트(10)의 표면(10T)측으로부터 시인했을 때의 시각 효과가 변화하기 쉽다. 구체적으로는, 포장 시트(10)로부터 물품 표면(22)까지의 깊이가 깊은 개소는, 그림자가 짙어지기 때문에, 포장 시트(10)의 명도가 낮아진다. 포장 시트(10)로부터 물품 표면까지의 깊이가 얕은 개소는, 그림자가 희미해지기 때문에, 포장 시트(10)의 명도가 높아진다. 요철부(15) 및 착색층(12) 중 적어도 한쪽은, 흡수성 물품(20)끼리의 경계(23)를 걸친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요철부(15)가 흡수성 물품(20)의 경계(23)를 걸친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성 물품(20)의 경계(23)에 의한 명도의 변동을 요철부(15)의 장식 효과에 의해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착색층(12)이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23)를 걸친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경계(23)에 의한 명도의 변동을 착색층(12)의 장식 효과에 의해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20)은, 포장 시트(1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물품 표면(22)을 갖는다. 물품 표면(22)에는, 착색 영역(21)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E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포장 시트(10)를 통해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21)을 도시한다. 착색 영역(21)은, 흡수성 물품(20)의 외면을 구성하는 외장 시트 자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외장 시트를 통해 시인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포장 시트(10)의 요철부(15) 및 착색층(12) 중 적어도 한쪽은, 착색 영역(21)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포장 시트(10)의 외측으로부터 시인했을 때에, 흡수성 물품(20)의 착색 영역(21)이 지나치게 눈에 띄면, 사용자가 포장 시트(10)의 장식 효과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흡수성 물품(20)의 착색 영역(21)을 요철부(15) 또는 착색층(12)에 의한 장식 효과에 의해 눈에 띄기 어렵게 하고, 포장 시트(10)의 장식 효과를 눈에 띄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10)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착색 영역(21)은, 복수의 패턴을 갖고, 인접하는 흡수성 물품의 착색 영역(21)의 패턴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착색 영역(21)이 복수의 패턴을 가지면, 각 패턴에 의한 장식 효과가 발휘되어, 흡수성 물품(20)의 착색 영역이 보다 눈에 띄기 쉬워진다. 포장 시트(10)의 장식 효과에 의해, 흡수성 물품(20)의 착색 영역(21)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고, 포장 시트(10)의 장식 효과를 눈에 띄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시트(10)의 요철부(15) 및 착색층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경계(23)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23)는, 그림자가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포장 시트의 명도가 낮아지기 쉽다. 요철부(15) 또는 착색층(12)에 의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부분이,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23)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23)에 있어서의 음영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한 포장 시트의 장식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의 포장 시트는, 본체층(11)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포장 시트의 착색층(12)이 본체층(11)을 겸해도 좋다. 또한, 포장 시트는, 착색층(12)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아무런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한편, 2017년 6월 3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7-129270호의 모든 내용 및 2017년 6월 3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7-129256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포장 시트에 실시한 장식에 의해 의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0: 포장 시트
11: 본체층 12: 착색층
13: 수지층 15: 요철부
20: 흡수성 물품 21: 착색 영역
22: 물품 표면 23: 경계

Claims (32)

  1. 흡수성 물품과, 복수의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주머니형의 포장 시트를 갖고,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 시트의 이면은,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보다 평활한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의 광택도는, 상기 포장 시트의 이면의 광택도보다 낮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높이는, 0.8 ㎛ 이상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폭 및 상기 요철부의 간격은, 2.0 ㎜ 이하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의 굽힘 강성은, 0.07×10-4 Nm/m 이상이고,
    상기 포장 시트의 강연도(剛軟度)는, 53.0 ㎜ 이상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요철부를 구성하는 수지층과, 상기 포장 시트의 이면에 배치된 본체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층의 이면의 KES의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는, 0.8 이하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층의 두께의 표준 편차는, 상기 본체층의 평균 두께의 10% 이하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층의 이면의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는, 0.01 이하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포장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물품 표면을 갖고,
    상기 물품 표면에는, 착색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색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를 걸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경계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수지층과 상기 본체층 사이에 배치된 착색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포장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물품 표면을 갖고,
    상기 물품 표면에는, 착색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색층은, 상기 착색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은, 상기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를 걸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착색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를 나타내는 착용자 화상을 갖고 있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눈을 구성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눈을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높이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눈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높이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착색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를 나타내는 착용자 화상을 갖고 있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폭은, 상기 착용자 화상의 눈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폭보다 작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복수의 요철 패턴을 갖고,
    상기 복수의 요철 패턴은, 상기 요철부의 평면 형상, 상기 요철부의 높이, 및 상기 요철부의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한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0. 흡수성 물품과, 복수의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주머니형의 포장 시트를 갖고,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포장 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와, 도트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착색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로서,
    상기 착색층의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10% 이하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복수의 도트 중, 같은 색을 구성하는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오목부와 겹치는 영역의 상기 도트 직경과, 상기 요철부의 볼록부와 겹치는 영역의 상기 도트 직경의 표준 편차는, 평균 직경의 5% 이하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4.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색층의 표면측에 배치된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과 상기 착색층이 겹치는 영역의 요철부의 높이와, 상기 수지층과 상기 착색층이 겹치지 않는 영역의 요철부의 높이의 차는, 0.1 ㎛ 이하인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7.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포장 시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물품 표면을 갖고,
    상기 물품 표면에는, 착색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 및 상기 착색층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착색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8.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 및 상기 착색층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흡수성 물품끼리의 경계를 걸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 및 상기 착색층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경계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30.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복수의 요철 패턴을 갖고,
    상기 복수의 요철 패턴은, 상기 요철부의 평면 형상, 상기 요철부의 높이, 및 상기 요철부의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한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착색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를 나타내는 착용자 화상을 갖고 있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눈을 구성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눈을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높이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눈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높이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착색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를 나타내는 착용자 화상을 갖고 있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착용자 화상의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를 구성하는 영역의 상기 요철부의 폭은, 상기 착용자 화상의 눈 주위를 구성하는 영역의 요철부의 폭보다 작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KR1020207002079A 2017-06-30 2018-06-18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KR202000242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9270A JP6814701B2 (ja) 2017-06-30 2017-06-30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2017129256A JP6861110B2 (ja) 2017-06-30 2017-06-30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JP-P-2017-129270 2017-06-30
JPJP-P-2017-129256 2017-06-30
PCT/JP2018/023134 WO2019003983A1 (ja) 2017-06-30 2018-06-18 吸収性物品の包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244A true KR20200024244A (ko) 2020-03-06

Family

ID=6474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079A KR20200024244A (ko) 2017-06-30 2018-06-18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00024244A (ko)
CN (1) CN110891876B (ko)
AU (1) AU2018294083A1 (ko)
TW (1) TWI773781B (ko)
WO (1) WO2019003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95186A (ja) * 2019-12-18 2021-06-2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包装袋
JP2021160795A (ja) * 2020-03-31 2021-10-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2021160793A (ja) * 2020-03-31 2021-10-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7309653B2 (ja) * 2020-03-31 2023-07-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収容体
CN115210147A (zh) * 2020-03-31 2022-10-1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收容体
KR20220156552A (ko) * 2020-03-31 2022-11-25 유니 참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JP2021160798A (ja) * 2020-03-31 2021-10-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収容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6069A (ja) 2006-05-16 2009-10-0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半透明領域を有するパッケージ化吸収性製品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651Y2 (ko) * 1980-04-02 1986-02-04
JPH07119084B2 (ja) * 1989-12-12 1995-12-20 凸版印刷株式会社 表面光沢差を有する包装用容器
JP4226086B2 (ja) * 1996-02-08 2009-02-18 充加 貫名 多層生理用品
JP2005330608A (ja) * 2004-05-18 2005-12-02 Kao Corp ウェットシート用シート基材
JP4515830B2 (ja) * 2004-06-11 2010-08-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用陰唇間パッド及び装着用キット
JP4863042B2 (ja) * 2005-04-13 2012-0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製品
US20070267322A1 (en) * 2006-05-16 2007-11-22 Kazushige Kishida Packaged absorbent product having window on package
US20080031553A1 (en) * 2006-08-03 2008-02-07 Uni-Charm Corporation Package for food
JP3139720U (ja) * 2007-12-11 2008-02-28 ライオン株式会社 包装容器
JP5711944B2 (ja) * 2010-11-29 2015-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5755938B2 (ja) * 2011-05-19 2015-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5882094B2 (ja) * 2011-05-19 2016-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2012250520A (ja) * 2011-06-07 2012-12-20 Toppan Printing Co Ltd 積層包装材料
JP6017791B2 (ja) * 2011-12-09 2016-11-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パッケージ
JP5947597B2 (ja) * 2012-03-30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5922970B2 (ja) * 2012-03-30 2016-05-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5712192B2 (ja) * 2012-11-21 2015-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6227253B2 (ja) * 2013-01-28 2017-11-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4151933A (ja) * 2013-02-07 2014-08-25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6069A (ja) 2006-05-16 2009-10-0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半透明領域を有するパッケージ化吸収性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91876A (zh) 2020-03-17
CN110891876B (zh) 2021-09-03
WO2019003983A1 (ja) 2019-01-03
TW201919955A (zh) 2019-06-01
TWI773781B (zh) 2022-08-11
AU2018294083A1 (en)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4244A (ko)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JP6814701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体
US10473831B2 (en) Display having light-scattering property
JP6534754B2 (ja) 外科器具をマークする方法
JP5157121B2 (ja) 表示体および印刷物
WO2017135149A1 (ja) タイヤ
WO2017130986A1 (ja) タイヤ
JP6861110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体
CN109414357B (zh) 吸收性物品
JP6584334B2 (ja) タイヤ
KR20220098267A (ko)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JP6754577B2 (ja) タイヤ
JP7362390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包装体
JP2629952B2 (ja) 薄肉貴金属複合板
JP4628850B2 (ja) スクリーン印刷物
WO2023188497A1 (ja) トイレットロール
JP7292974B2 (ja) 樹脂製物品、電子機器、および樹脂製物品の製造方法
JP4104971B2 (ja) 合成樹脂製装飾体
JPH0447201A (ja) 指輪のリングサイズ用測定片
EP3613393A1 (en) Packag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