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552A -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552A
KR20220156552A KR1020227032639A KR20227032639A KR20220156552A KR 20220156552 A KR20220156552 A KR 20220156552A KR 1020227032639 A KR1020227032639 A KR 1020227032639A KR 20227032639 A KR20227032639 A KR 20227032639A KR 20220156552 A KR20220156552 A KR 20220156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container
housing member
diap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코 시미즈
다쿠야 미야마
다츠야 소우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65055A external-priority patent/JP74971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65056A external-priority patent/JP74939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650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60795A/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56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features before use, e.g. how are the diapers folded or arranged in a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lamin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4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level indicators, detachable tabs or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4Windows or other apertures, e.g. for view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063Wrappers formed by one or more films or the like, e.g.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3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tacks of articles; for special arrangements of groups of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종이(10a)로 구성된 수용 부재(10)와, 상기 수용 부재(10)에 의해 수용되고,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21)로 구성된 흡수성 물품(20)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1)로서, 상기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가, 상기 종이(10a)로 구성된 상기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MIU)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종이로 구성된 수용 부재와, 수용 부재에 의해 수용되고,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로 구성되며, 흡수성 코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19-59552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의 제 1 과제∼제 3 과제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 1 과제는, 종이로 구성된 수용 부재는, 수지 시트 등으로 구성된 수용 부재에 비해 마찰 계수가 높으므로, 수용 부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낼 때에, 흡수성 물품이 걸리기 쉬워 보풀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외관이 종이의 수용체로서, 꺼낼 때의 흡수성 물품의 보풀 일어남이 억제된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2 과제는, 비(非)투명한 재료(예를 들면, 종이)로 구성된 수용 부재에 흡수성 물품이 수용되어 있으면, 소비자가 흡수성 물품을 구입할 때에, 진열 등 되어 있는 수용체의 외부에서 흡수성 물품을 시인(視認)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외부에서 흡수성 물품을 시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예를 들면, 투명한 창을 설치하면), 진열 시 등에 흡수성 물품을 시인할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들어오는 태양광의 자외선에 흡수성 물품이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흡수성 물품에 배설물을 검지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있으면,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 인디케이터 등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외부에서 내부의 흡수성 물품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진열 시 등에 인디케이터와 자외선의 반응을 억제하여,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다.
제 3 과제는, 수용 부재에 제품 정보 등의 도안을 인쇄하면, 예를 들면, 복수의 수용체를 하나의 골판지 등으로 곤포(梱包)했을 때에, 수용체끼리가 서로 밀접하고, 특히 흡수성 물품에서 가장 두꺼운 흡수성 코어의 부분이 강하게 압박받을 우려가 있어,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도안의 잉크가 흡수성 물품에 전사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수용체가 복수 나열되는 곤포 시 등에 있어서, 이웃하는 수용체끼리의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흡수성 물품에의 도안의 이염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종이로 구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에 의해 수용되고,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로 구성된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動摩擦)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종이로 구성된 상기 수용 부재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이다.
상기 제 2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에 의해 수용되며, 배설물을 검지하는 인디케이터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에는, 외부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시인할 수 있는 창 영역과, 시인할 수 없는 비창(非窓) 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인디케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창 영역과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이다.
상기 제 3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에 수용되고, 흡수성 코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에는, 도안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도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백하게 한다.
제 1 과제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는, 외관이 종이인 수용체로서, 꺼낼 때의 흡수성 물품의 보풀 일어남이 억제된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과제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는, 외부에서 내부의 흡수성 물품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진열 시 등에 인디케이터와 자외선의 반응을 억제하여,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과제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는, 수용체가 복수 나열되는 곤포 시 등에 있어서, 이웃하는 수용체끼리의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흡수성 물품에의 도안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수용체(1)의 정면 개략도 및 단면 개략도이다.
도 2는 수용 부재(10)의 정면 개략도 및 배면 개략도이다.
도 3은 수용 부재(1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기저귀(20)의 정면 개략도 및 배면 개략도이다.
도 5는 기저귀(20)의 평면 개략도 및 단면 개략도이다.
도 6은 수용체(1)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마찰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마찰 계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표면 거칠기(SM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표면 거칠기(SMD)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수용 부재(10)로부터 기저귀(20)가 꺼내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수용 부재(10)의 틈새에 손을 넣어 기저귀(20)를 꺼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최외층으로서 사용하는 종이 소재의 시트 부재(시료 A∼C)에 대해, 베크(Bekk) 평활도를 측정한 값에 대해서 나타내는 표이다.
도 14A는, 수용 부재(10)에 설치되는 도안(15)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의 X-X 단면에 대해서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거싯 접이부(gusseted portion)(G1, G2)를 구비한 수용 부재(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종이로 구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에 의해 수용되고,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로 구성된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종이로 구성된 상기 수용 부재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체의 외관을 종이로서 유지하면서, 최내면의 동마찰 계수가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흡수성 물품을 꺼낼 때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부재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최내면의 동마찰 계수가 흡수성 물품의 대향면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흡수성 물품을 꺼낼 때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종이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대치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흡수성 물품의 대향면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흡수성 물품을 꺼낸 후의 수용 부재와 흡수성 물품의 접촉에 의한 부직포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부재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장 피부측의 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가장 피부측의 동마찰 계수가 대향면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착용 시에 흡수성 물품이 문질러졌을 때에, 착용자가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다. 또, 최내면과 대향면이 문질러졌을 때에, 가장 피부측의 면끼리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대향면이 최내면에 이끌려 움직이기 쉬워,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부재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장 피부측의 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대향면의 동마찰 계수가 가장 피부측의 면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흡수성 물품을 수용 부재로부터 꺼내기 쉽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의 최소치가, 상기 종이로 구성된 상기 수용 부재의 최외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가 작으므로 문질러짐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손상이 억제되고, 최외면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가 크므로 손가락에 걸리기 쉬워 수용체를 쥐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부재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의 최소치가, 상기 대향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의 최소치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가 작으므로 문질러짐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손상이 억제되고, 흡수성 물품의 대향면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가 크므로 손가락에 걸리기 쉬워 흡수성 물품을 수용 부재로부터 꺼내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꺼낼 때에 개봉하는 개봉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개봉부 사이에 틈새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틈새에 손을 넣을 수 있으므로, 손가락에 의해 수용 부재를 넓히기 쉬워져, 꺼낼 때에 흡수성 물품이 문질러지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개봉부는,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 부재의 상단에 개봉부가 있는 경우에 비해, 추가로 틈새가 형성되므로(틈새+개봉부부터 상단까지 부분), 손가락에 의해 수용 부재를 한층 더 넓히기 쉬워져, 꺼낼 때에 흡수성 물품이 한층 더 문질러지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체에는, 복수의 상기 흡수성 물품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늘어서 있는 한편, 상기 상하 방향과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늘어서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열의 수가 2 열 이상인 경우에 비해, 열과 열이 접촉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열의 형상이 무너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종이와 수지 시트에 의한 2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최내면은, 상기 수지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최내면이 매끄러운 면이 되므로, 흡수성 물품을 흡수성 물품의 수용 부재로부터 꺼낼 때의 부직포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종이와 상기 수지 시트가 중복되는 비창 영역과, 상기 수지 시트만의 창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창 영역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강성이 작은 창 영역이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창 영역과 비창 영역의 경계에 강성의 변화가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생기고, 이러한 장소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기 쉬워지므로, 절곡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수용 부재 내에서 움직이기 어려워져,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창 영역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흡수성 물품과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창 영역과 비창 영역의 경계는, 강성이 변화하여 절곡되기 쉬우므로, 상단과 하단이 흡수성 물품과 중복됨으로써, 이러한 부분에서 절곡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창 영역의 상단이,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창 영역과 비창 영역의 경계는, 강성이 변화하여 절곡되기 쉬우므로, 예를 들면, 사용이 끝난 물품의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2번 접이로 하여 수용체에 넣고 폐기할 때에, 수용체를 컴팩트하게 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는, 전측부와, 후측부와, 저면부를 가지며, 상기 전측부의 하단부와 상기 후측부의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저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바대(gusset)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 상단부에는, 상기 바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하단부는 넓힐 수 없으므로, 미리 바대를 설치하여 수용 부재의 하측을 넓게 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꺼낼 때에 수용 부재와 흡수성 물품이 스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복측(腹側)에 맞닿는 복부와, 착용자의 등측(背側)에 맞닿는 등부를 갖고, 상기 복부와 상기 등부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랑이 아래측이 상기 수용체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에 넣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 부재의 하측은 저면 시트가 있어 넓으므로, 흡수성 물품(기저귀)에서 두께가 있는 가랑이 아래측을 하측으로 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넣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를 갖고, 상기 복부와 상기 등부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랑이 아래측이 상기 수용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에 넣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기저귀)의 가랑이 아래측은 강성이 높으므로, 수용 시에 있어서 하측을 상측으로 함으로써, 꺼낼 시에 흡수성 물품을 잡아 당기기 쉬워진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에 의해 수용되며, 배설물을 검지하는 인디케이터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에는, 외부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시인할 수 있는 창 영역과, 시인할 수 없는 비창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인디케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창 영역과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외부에서 내부의 흡수성 물품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진열 시 등에 비창 영역과 중복되는 인디케이터는, 자외선과의 반응이 억제되므로,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제품 도안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창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품 도안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진열 시 등에 소비자가 개봉하는 일 없이 흡수성 물품의 제품 도안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제품 도안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제조된 국명, 상기 흡수성 물품을 제조 또는 판매하는 회사명의 로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품명의 로고, 및 상기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진열 시 등에 소비자가 개봉하는 일 없이 흡수성 물품의 제조국, 제조회사명의 로고, 상품명의 로고, 및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를 갖고,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부 또는 상기 등부가 상기 창 영역과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진열 시 등에 소비자가 개봉하는 일 없이 흡수성 물품(기저귀)의 측면에 비해 면적이 큰 정면 또는 배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를 갖고, 상기 복부와 상기 등부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랑이 아래측이 상기 수용체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용되고,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을 상기 상하 방향으로 4 등분했을 때의 가장 하측의 영역인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창 영역과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인디케이터는 가랑이 아래 영역에 특히 필요하므로, 가랑이 아래 영역과 비창 영역이 중복됨으로써, 진열 시 등에 인디케이터와 자외선 간의 반응이 억제되므로,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복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등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복부 및 상기 등부의 한쪽이 상기 창 영역과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 중 상기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보다도, 상기 인디케이터 중 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 쪽이, 상기 상하 방향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길이가 긴 인디케이터의 부분을 창 영역과 대향시킨 경우에 비해, 진열 시 등에 인디케이터와 자외선 간의 반응이 억제되므로(창 영역과 중복되는 인디케이터가 적어지므로),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복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등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복부 및 상기 등부의 한쪽이 상기 창 영역과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 중 상기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인디케이터 중 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보다도, 상기 상하 방향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길이가 짧은 인디케이터의 부분을 창 영역과 대향시킨 경우에 비해, 비창 영역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진열 시 등에 소비자가 외부에서 인디케이터를 시인하기 쉽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비창 영역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창 영역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길이가 긴 한쪽의 인디케이터에 있어서, 창 영역에서 인디케이터를 시인 가능하게 하면서, 비창 영역 쪽이 중복 영역의 길이가 길므로, 짧은 경우에 비해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비창 영역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창 영역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창 영역의 쪽이 긴 경우에 비해, 진열 시에 인디케이터와 자외선 간의 반응이 억제되므로,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는, 종이와 수지 시트에 의해 구성된 2층 구조의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종이가 자외선에 의한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수지 시트가 습기 등에 의한 흡수성 코어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창 영역은, 상기 종이의 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상기 수지 시트만의 영역이고, 상기 창 영역의 상단은,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창 영역의 하단은, 상기 수용 부재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창 영역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창 영역을 폭 방향 단부까지 설치하고 있으므로, 소비자가 내부의 흡수성 물품을 시인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창 영역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흡수성 물품과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창 영역과 비창 영역의 경계는, 강성이 변화하여 절곡되기 쉬우므로, 상단과 하단이 흡수성 물품과 중복됨으로써, 절곡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창 영역의 상단이,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창 영역과 비창 영역의 경계는, 강성이 변화하여 절곡되기 쉬우므로, 예를 들면, 사용이 끝난 물품의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2번 접이로 하여 수용체에 넣고 폐기할 때에, 수용체를 컴팩트하게 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창 영역의 상단이, 상기 흡수성 물품과 중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진열 시 등에 소비자가 개봉하는 일 없이 흡수성 물품의 일단까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가 직립한 상기 상태와는 상하 관계가 반대로 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인디케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창 영역과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체를 반대로 한 상태에 있어서(종이의 수용 부재이므로 내부에 틈새가 있다. 즉, 흡수성 물품이 내부에서 수용체의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인디케이터와 자외선 간의 반응이 억제되므로,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종이가 미표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표백된 종이보다도, 미표백인 종이 쪽이, 리그닌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표백된 종이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인디케이터와 자외선 간의 반응이 억제되어,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는, 전측부와, 후측부와, 저면부를 갖고, 상기 전측부의 하단부와 상기 후측부의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저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바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수용 부재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는, 상기 전측부 및 상기 후측부의 적어도 한쪽과,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 부재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부재끼리의 접합층의 수가 수용 부재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부재끼리의 접합층의 수보다도 많으므로, 수용 부재의 하단부가 보강되어, 하단부의 손상에 의한 인디케이터의 노출을 억제하여, 인디케이터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를 갖고, 상기 복부와 상기 등부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랑이 아래측이 상기 수용체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에 넣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기저귀(20)는 가랑이 아래측이 두꺼우므로, 가랑이 아래측이 위치하는 수용 부재(10)의 부분은 찢어지기 쉬워지지만, 가랑이 아래측을 수용 부재(10)의 상측으로 한 경우에 비해, 수용 부재(10)의 하단부의 접합층의 수가 상단부의 접합층의 수보다도 많으므로(하단부 쪽이 확실히 접합되어 있으므로), 수용 부재(10)의 손상에 의한 인디케이터(23)의 노출을 억제하여,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에 수용되고, 흡수성 코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에는, 도안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도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체가 복수 나열되는 곤포 시 등에 있어서 이웃하는 수용체끼리의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흡수성 물품에의 도안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도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중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체가 복수 나열되는 곤포 시 등에 있어서 이웃하는 수용체끼리의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흡수성 물품에의 도안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도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이 중복되지 않는 영역이, 상기 도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이 중복되는 영역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중복되지 않는 영역이 작은 경우에 비해,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흡수성 물품에의 도안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종이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 부재는, 내부에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흡수성 물품이 존재하는 공간과, 상기 흡수성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틈새 공간을 갖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도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틈새 공간과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틈새 공간에는 흡수성 물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부분과 중복되는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흡수성 물품에의 도안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종이와 수지 시트에 의한 2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종이의 층의 내측에, 상기 수지 시트의 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지 시트에 의해 내부 공간으로 잉크의 스며듦이 억제되므로, 흡수성 물품에의 도안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정지 마찰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종이로 구성된 상기 수용 부재의 최외면의 정지 마찰 계수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최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의 최소치가 큰 경우에 비해, 반송 시 등 수용체의 흔들림에 의해 내부 공간의 흡수성 물품이 내부에서 이동하기 쉬우므로, 흡수성 물품의 이동에 이끌려 수용 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수용 부재의 도안의 문질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는, 전측부와, 후측부와, 저면부를 가지며, 상기 전측부의 하단부와 상기 후측부의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저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바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도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좌우 방향의 중심에 있어서의 전측부와 후측부 사이의 거리는, 상부가 하부보다 짧으므로, 상부에 도안을 인쇄함으로써, 이웃하는 수용체의 도안끼리의 간격을 넓힐 수 있고, 수용 부재의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흡수성 물품에의 도안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도안은, 상기 전측부 및 상기 후측부 중 어느 한쪽에만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양면에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수용 부재의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흡수성 물품에의 도안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꺼낼 때에 개봉하는 개봉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봉부에는, 상기 도안이 인쇄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개봉 시에 만지는 개봉부에 도안이 인쇄되어 있지 않으므로, 손에의 잉크 이동 및 도안의 문질러짐(faint)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개봉부는, 개봉 후에 재밀봉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몇 번이나 재밀봉하여 흡수성 물품을 넣었다 뺄 수 있으므로, 넣었다 뺄 때에 몇 번이나 만지는 개봉부에 도안이 인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손에의 잉크 이동 및 도안의 문질러짐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개봉부는,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개봉부의 상측에는, 상기 도안이 인쇄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몇 번이나 재밀봉하여 흡수성 물품을 넣었다 뺄 수 있으므로, 넣었다 뺄 때에 몇 번이나 만지는 개봉부의 상측에 도안이 인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손에의 잉크 이동 및 도안의 문질러짐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도안은, 수용부 도안이고,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제품 도안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 도안의 최대 잉크 농도가, 상기 제품 도안의 최대 잉크 농도보다도, 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도안의 잉크 농도가 옅은 경우에 비해, 도안을 확실히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시인하기 쉽다(잉크 농도가 진하면 이염 등이 되기 쉽지만, 도안과 흡수성 코어를 중복시키지 않는 등의 처치에 의해, 수용 부재의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흡수성 물품에의 도안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품 도안의 농도가 진한 경우에 비해, 소비자가 피부 친화적인 이미지를 흡수성 물품에 갖기 쉬워진다.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의 일례로서, 신생아용 기저귀(20)(이하, 단지 기저귀(20)라고도 부른다)를 수용하는 기저귀(20)의 수용체(1)(이하, 단지 수용체(1)라고도 부른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에는, 예를 들면, 어른용 기저귀, 생리용 패드도 포함되어 있으며, 기저귀(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체(1) 및 수용 부재(10)에 대하여>
도 1은, 수용체(1)의 정면 개략도 및 A-A 단면 개략도이다. 도 2는, 수용 부재(10)의 정면 개략도 및 배면 개략도이며, 도 2A가 정면 개략도, 도 2B가 배면 개략도이다. 도 3은, 수용 부재(10)의 단면 개략도이며, 도 3A가 도 2A의 B-B 단면 개략도, 도 3B가 도 2A의 C-C 단면 개략도이다. 또, 도 3에 있어서의 파선 부분은, 각각의 부재가 접합하고 있는 접합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수용체(1)는,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을 갖는다. 그리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의 도안(15) 등의 문자 등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고, 캐릭터 등이 자연스럽게 보이는 상태의 수용체(1)의 상측을 「위」로 하고, 그 반대측을 「아래」로 한다. 또, 도 1은,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수용체(1)는, 최외면(도 3A 참조)의 적어도 일부가 종이(10a)로 구성된 수용 부재(10)와, 수용 부재(10)에 의해 수용되고,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후술하는 외장체(21))로 구성된 기저귀(20)를 구비하고 있다. 기저귀(20)는, 배설물을 검지하는 인디케이터(23)와, 흡수성 코어(22a)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 부재(10)는, 최외면이 종이(10a)로 구성됨으로써, 종이(10a)의 신축성이 작은 점에서, 수용 부재(10)의 내부(내부 공간)에 틈새 공간(도 1의 단면 개략도에 있어서의 우상향 사선의 영역)을 갖는다. 즉,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종이(10a)로 구성되고, 수용 부재(10)는, 내부에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은, 기저귀(20)가 존재하는 공간과, 기저귀(20)가 존재하지 않는 틈새 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수용 부재(10)의 내부 공간은, 수용 부재(10)를 삼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수용 부재(10)는, 전측부(11)와, 후측부(12)와, 저면부(13)를 갖고, 전측부(11)의 하단부와 후측부(12)의 하단부 사이에는, 저면부(13)를 형성하기 위한 바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 부재(10)의 상단부에는, 바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수용 부재(10)는, 전측부(11) 및 후측부(12)가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접합(용착)되어 있고, 하단부에 있어서는, 전측부(11), 후측부(12) 및 저면부(13)가 좌우 방향을 따라 접합(용착)되어 있다. 즉, 수용 부재(10)의 하단부에 있어서, 저면부(13)는, 전측부(11) 및 후측부(12)의 적어도 한쪽과 접합되어 있다.
또, 수용 부재(10)의 상단부에는, 기저귀(20)를 꺼낼 때에 개봉하는 개폐 시일부(14)(개봉부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개폐 시일부(14)는, 개봉 후에 재밀봉이 가능하며, 복수회의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개폐 시일부(14)는 수용 부재(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개폐 시일부(14)는, 수용 부재(10)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개폐 시일부(14)와 기저귀(20) 사이에 틈새(틈새 공간)가 생겨 있다.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와 개폐 시일부(14) 사이에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10)의 내부 공간에는, 기저귀(20)가 4개 수용되고, 기저귀(20)는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서 있다. 즉, 수용체(1)에는, 복수의 기저귀(20)가 수용되어 있으며, 기저귀(20)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늘어서 있는 한편,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늘어서 있지 않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10)는,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에 의한 2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종이(10a)와 수지 시트(10b)에 의해 구성된 2층 구조 부분을 갖고 있으며), 종이(10a)의 층의 내측에, 수지 시트(10b)의 층이 설치되어 있다. 즉,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은, 수지 시트(10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파선은 접합부를 나타내고 있으며,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의 접합은, 예를 들면, 라미네이트 가공으로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전측부(11), 후측부(12), 및 저면부(13)의 부재끼리(수지 시트(10b)와 수지 시트(10b))의 접합은, 예를 들면, 열 융착에 의해 접합부를 형성(용착)할 수 있다.
수용 부재(10)를 구성하는 종이(10a)로는, 「JIS P 0001: 1998 종이·판지 및 펄프 용어, 번호 4004, 용어 종이」에 정의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종이(10a)는, 미표백인(표백 등의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갈색의 종이) 것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수용 부재(10)는, 종이(10a) 이외의 재료도 이용한 복합 소재이지만, 수용 부재(10)의 질량 중, 최외층을 구성하는 종이(10a)의 질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50%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수용 부재(10)가 복합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종이(10a)의 질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50%를 초과함으로써 종이(10a)가 주된 소재가 되고, 종이 쓰레기로서 폐기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마크(도시하지 않음, 소위 「종이」 마크)의 취급을 할 수 있다.
수용 부재(10)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10b)의 수지로는, 천연 수지 및 합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천연 수지로는, 식물, 동물, 광물 유래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송진, 옻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합성 수지로는, 화석 자원을 원료로 한 저분자량의 화합물로부터 중축합 등에 의해 얻어지는 고분자량의 수지상(狀) 물질을 이용할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시드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열경화성 수지로는,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수지에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biomass plastic)」은,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을 원료로 합성한 플라스틱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폐기할 때에 소각 처분한 경우라도 대기 중의 CO2 농도를 상승시키지 않는, 소위 카본 뉴트럴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따라서, 최내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을 포함함으로써, 그만큼, 최내층에 있어서의 석유 유래의 물질의 비율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내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포함되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중량 비율을 되도록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중량 비율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량 비율이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수용 부재(10)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10b)는, 시트보다도 두께가 얇은 필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일반적으로는, 200㎛ 이하의 두께를 필름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지 시트(10b)는, 이러한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수지 시트(10b)는,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10)의 전측부(11)(정면측)에는, 도안(15)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도안(15)은, 수용체(1)(기저귀(20))에 관한 정보 등을 소비자에게 시인시키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 부재(10)의 상부와 하부에 인쇄되어 있다. 즉,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부재(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수용 부재(10)의 도안(15)은, 하부(하반분)보다도 상부(상반분) 쪽에 많이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의 명칭(상품명: Natural moomy)을 표시한 제 1 도안(15a)과, 기저귀(20)의 특징부(사용되고 있는 재료: 오가닉 코튼)를 표시한 제 2 도안(15b)과, 기저귀(20)의 착용에 적합한 착용자(신생아, 탄생∼5000g)에 대해서 표시한 제 4 도안(15d)과, 꽃무늬를 묘화한 제 3 도안(15c)이 도안(15)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도안(15)은, 소정의 수성 잉크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인쇄(gravure printing)나 플렉소 인쇄(flexographic printing)에 의해 최외층의 표면측에 인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수성 잉크는 용제로서 물이 이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유기용제 등을 이용한 유성 잉크와 비교하여 안전하고, 또한 냄새도 적은 점에서, 친환경적인 잉크이다. 한편, 수성 잉크는, 유성 잉크와 비교하여 피인쇄 매체에의 고착성이 약하기 때문에, 시장에 유통시키는 상품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인쇄 매체인 최외층이 종이(10a)이기 때문에, 수성 잉크가 고착하기 쉬워, 도안(15)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환경 배려의 관점에서도, 본 실시형태의 수용 부재(10)에 도안(15)을 인쇄하는 잉크로서, 수성 잉크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10)에는, 외부에서 기저귀(20)를 시인할 수 있는 창 영역(16)과, 시인할 수 없는 비창 영역(1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창 영역(16)은, 종이(10a)의 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수지 시트(10b)만의 영역이며, 비창 영역(17)은,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가 적층된 영역이다. 즉, 수용 부재(10)는,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가 중복되는 비창 영역(17)과, 수지 시트(10b)만의 창 영역(16)을 갖고 있다.
또, 창 영역(16)은, 좌우 방향의 좌단에서 우단까지 거의 수평으로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 부재(10)의 상단보다 하측에서, 또한, 하단보다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창 영역(16)의 상단은, 수용 부재(10)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창 영역(16)의 하단은, 수용 부재(1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창 영역(16)은, 좌우 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기저귀(20)에 대하여>
도 4는, 기저귀(20)의 정면 개략도 및 배면 개략도이고, 도 4A가 정면 개략도, 도 4B가 배면 개략도이다. 도 5는, 기저귀(20)의 평면 개략도 및 단면 개략도이다. 기저귀(20)는, 도 4의 상태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의 상측 및 하측인 것을, 각각 「몸통 둘레측」 및 「가랑이 아래측」이라고도 한다.
또, 도 5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는, 서로 직교하는 세 방향으로서 길이 방향과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이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한쪽측 및 다른쪽측인 것을, 각각 「복측」 및 「등측」이라고 한다. 또한,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폭 방향은, 수용체(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따른 방향이며, 길이 방향은, 상하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에 있어서는, 착용 대상자의 피부와 맞닿는 측을 「피부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비피부측」으로 한다.
기저귀(20)는, 외장체(21)와, 평면시(平面視) 장방 형상으로서 외장체(21)의 피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본체(22)와, 인디케이터(23)와, 테이프(24)를 갖고 있다.
또, 기저귀(2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부(26)와 등부(27)를 구비하고 있다. 복부(26)는, 기저귀(20)의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복측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도 5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보다도 복측에 위치하고 있다. 등부(27)는, 기저귀(20)의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도 5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보다도 등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기저귀(20)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의 복부(26)와 등부(27)가 대향하도록 개켜져, 가랑이 아래측을 수용체(1)의 하측으로 하여 기저귀(20)가 넣어져 있다. 즉, 기저귀(20)는,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26)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27)를 갖고, 복부(26)와 등부(27)가 대향하고 있으며, 기저귀(20)의 가랑이 아래측이 수용체(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에 넣어져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는, 기저귀(20)의 등부(27)가 창 영역(16)과 대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20)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부(26)와 등부(27)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복부(26)와 등부(27)가 별체의 부재여도 된다. 예를 들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부와 등부의 사이의 중앙 위치(CL) 부근에, 착용자의 고간부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복부와 등부와 가랑이 아래부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기저귀(20)의 착용은, 예를 들면, 등부(27)를 착용자의 등측(둔부 등)에 맞닿게 하고, 복부(26)를 양 다리 사이를 통과하여(가랑이 아래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복측(하복부 등)에 맞닿게 한 후, 등부(27)에 설치된 테이프(24)의 접착면을 복부(26)의 외장체(21)와 접합시켜 행할 수 있다.
외장체(21)는, 기저귀(20)의 외장을 구성하는 부위이며, 복수의 유연한 시트상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겹쳐져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연한 시트상 부재로서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스펀본드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22)는, 소변(尿)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고, 평면시 대략 장방형이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2)는, 길이 방향을 기저귀(20)의 상하 방향을 따르게 하면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22)는,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22a)와, 동(同) 코어(22a)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도시하지 않음)와, 톱 시트(22b)와, 백 시트(22c)를 갖고 있다.
흡수성 코어(22a)는,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며, 그 내부에는 흡수성 폴리머(소위 SAP) 등이 혼입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성 코어(22a)는, 도 5의 단면 개략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20) 중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이 된다.
코어 랩 시트는, 흡수성 코어(22a)의 외면을 피복하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며, 티슈 페이퍼나 부직포 등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코어 랩 시트는 설치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톱 시트(22b)는, 흡수성 코어(22a)의 두께 방향의 피부측면에 배치되고, 기저귀(20)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와 맞닿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톱 시트(22b)는, 예를 들면, 에어스루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된다.
백 시트(22c)는, 흡수성 코어(22a)의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면에 배치되는 액체 불투과성이고, 또한 투습성의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수지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백 시트(22c)가 설치됨으로써, 흡수성 본체(22)에 의해 흡수된 소변 등의 수분이 착용자의 의복측으로 이동(침투)하는 것이 억제된다.
기저귀(20)의 정면 및 배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피부측에서 시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23)가 설치되어 있다.
인디케이터(23)는, 배설물의 유무를 기저귀(20)가 착용된 상태에 있어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배뇨를 검지하는 소변 인디케이터, 배변을 검지하는 대변 인디케이터 등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인디케이터(23)는, 일반적으로 pH 지시약이나 수분에 의해 정색(呈色) 반응(색감이 변화)함으로써, 사용자 등에게 소변이나 대변의 배출을 검지시킨다. 즉, 인디케이터(23)에는 안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료가 발색하여 색감이 변화함으로써, 사용자 등은 소변이나 대변의 배출을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료는, 일반적으로, 태양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화합물의 내부 결합이 파괴되어 퇴색한다. 즉, 인디케이터(23)를 태양광(자외선)에 장시간 노출하면, 인디케이터(23)의 정색 반응이 퇴색되어 색이 바래져 버려서, 색감의 변화가 작아져 사용자 등은 소변이나 대변의 배출을 검지하기 어려워진다.
또, 인디케이터(2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20)의 복부(26)와 등부(27)의 양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부(26)와 등부(27)에서 인디케이터(2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같아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부(26)측에 위치하는 복측 인디케이터(23a)(도 4A)가, 등부(27)측에 위치하는 등측 인디케이터(23b)(도 4B)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다.
또, 기저귀(20)의 정면 및 배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피부측에서 시인할 수 있는 제품 도안(25)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제품 도안(25)은, 기저귀(20)에 관한 정보 등을 소비자에게 시인시키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의 명칭(상품명: Natural moomy)을 표시한 제 1 제품 도안(25a)과, 정면에 있어서 꽃무늬를 묘화한 제 2 제품 도안(25b)과, 기저귀(20)의 특징부(사용되고 있는 재료: with Organic sheet)를 표시한 제 3 제품 도안(25c)과, 배면에 있어서 꽃무늬를 묘화한 제 4 제품 도안(25d)이 제품 도안(25)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10)의 외부에서 창 영역(16)을 통하여 제품 도안(25)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수용 부재(10)의 외부에서 제품 도안(25)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3 제품 도안(25c)과 제 4 제품 도안(25d)을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다.
또, 제품 도안(25)에는, 기저귀(20)의 제조국, 회사명이나 상품명의 로고, 및 사용 재료 등의 표기가 포함되고, 외부에서 표기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품 도안(25)에는, 기저귀(20)가 제조된 국명, 기저귀(20)를 제조 또는 판매하는 회사명의 로고, 기저귀(20)의 상품명의 로고, 및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수용 부재(10)의 외부에서 표기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기로서 사용되고 있는 재료(제 3 제품 도안(25c))를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다.
또, 기저귀(20)는, 수용 상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 1/4의 가랑이 아래 영역(28)(도 4에 나타내는 우하향 사선의 영역)을 갖는다. 즉, 기저귀(20)는, 기저귀(20)의 가랑이 아래측이 수용체(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용되고,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20)를 상하 방향으로 4 등분했을 때의 가장 하측의 영역인 가랑이 아래 영역(28)을 갖는다. 가랑이 아래 영역(28)의 피부측면은, 착용 시에 있어서, 적어도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맞닿는 부분이다.
<창 영역(16)과 비창 영역(17)의 배치에 대하여>
다음으로, 창 영역(16)과 비창 영역(17)의 위치와, 그 외 부재 등의 위치 관계(배치)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창 영역(16)의 상하단과 기저귀(20)(기저귀(20)의 중심 위치(QL)), 비창 영역(17)과 인디케이터(23), 비창 영역(17)과 가랑이 아래 영역(28)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로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중복, 비중복에 대하여 설명한다.
창 영역(16)의 상하단과 기저귀(2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 영역(16)의 상단이 기저귀(20)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창 영역(16)의 하단이 기저귀(2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창 영역(16)의 상단 및 하단이, 기저귀(20)와 중복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중심 위치(QL)는, 기저귀(20)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중심 위치(QL)와 창 영역(16)의 상단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위치(QL)는 제 4 제품 도안(25d)과 겹치는 위치이고, 제 4 제품 도안(25d)은 창 영역(16)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창 영역(16)의 상단이,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2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QL)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비창 영역(17)과 인디케이터(2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23)의 일부가 하측의 비창 영역(17)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1의 인디케이터(23)의 파선 부분).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인디케이터(23)의 적어도 일부가 비창 영역(17)과 중복된다.
또, 비창 영역(17)과 인디케이터(23)가 중복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도 1에 나타내는 파선의 인디케이터(2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창 영역(16)과 인디케이터(23)가 중복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도 1에 나타내는 실선의 인디케이터(2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길다.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인디케이터(23)와 비창 영역(17)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인디케이터(23)와 창 영역(16)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길다.
도 6은, 수용체(1)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의 평면 개략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용 부재(10)에는, 내부 공간에 틈새 공간을 갖고 있으며, 기저귀(20)는,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6의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는, 저면부(13)에서 떨어져, 개폐 시일부(14)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므로(수용체(1)에 있어서의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창 영역(16)에서 시인할 수 있는 기저귀(20)의 영역이 다르다.
그리고, 상하 반대 상태에 있어서의 비창 영역(17)과 인디케이터(2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23)의 일부가 하측(도 6의 접지측)의 비창 영역(17)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측(도 6의 접지측의 반대측)의 비창 영역(17)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6의 우상향 사선의 영역).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기 상태와는 상하 관계가 반대가 되는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인디케이터(23)의 적어도 일부가 비창 영역(17)과 중복된다.
비창 영역(17)과 가랑이 아래 영역(28)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 영역(16)의 하단이 제 4 제품 도안(25d)의 하단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비해, 가랑이 아래 영역(28)의 상단은, 제 4 제품 도안(25d)의 하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가랑이 아래 영역(28)의 적어도 일부가 비창 영역(17)과 중복된다.
<도안(15)의 배치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안(15)의 위치와, 그 외 부재 등의 위치 관계(배치)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을 따른 방향. 도 1 왼쪽 도면인 평면 개략도에 있어서는 지면(紙面)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흡수성 코어(22a), 기저귀(20), 및 틈새 공간과 도안(15)의 중복, 비중복의 관계를 설명한다. 또, 개폐 시일부(14)와 도안(15)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저귀(20)는, 수용 부재(1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기저귀(20)의 내부 공간의 위치에 따라서는, 이하에 기재하는 기저귀(20)(흡수성 코어(22a))와 도안(15)의 위치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이하에 있어서는, 기저귀(20)가 내부 공간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 중 어느 위치(내부 공간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기재한 위치 관계가 성립하고 있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한 기저귀(20)와 도안(15)의 위치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없는(항상 성립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기저귀(20)의 위치는 어느 곳이어도 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기저귀(20)가 내부 공간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 중 어느 위치의 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내는 위치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기저귀(2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위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는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의 저면부(13)에 맞닿고 있으며,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도안(15)과 흡수성 코어(22a)의 중복, 비중복의 관계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도안(15d)의 일부가 흡수성 코어(22a)와 중복되고, 제 1 도안(15a)∼제 3 도안(15c)은 흡수성 코어(22a)와 중복되지 않는다. 즉,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성 코어(22a)와 중복되지 않는다.
도안(15)과 기저귀(20)의 중복, 비중복의 관계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도안(15d)과 제 3 도안(15c)의 일부가 기저귀(20)와 중복되고, 제 1 도안(15a) 및 제 2 도안(15b)은 기저귀(20)와 중복되지 않는다. 즉,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기저귀(20)와 중복되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도안(15d)과 제 3 도안(15c)의 일부가 기저귀(20)와 중복되고, 제 1 도안(15a), 제 2 도안(15b), 및 제 3 도안(15c)의 대부분은 기저귀(20)와 중복되지 않는다. 즉,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과 기저귀(20)가 중복되지 않는 영역이, 도안(15)과 기저귀(20)가 중복되는 영역보다도 크다.
도안(15)과 틈새 공간의 중복, 비중복의 관계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도안(15a)과 제 2 도안(15b)이 틈새 공간과 중복되고 있다. 즉,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틈새 공간과 중복된다.
도안(15)과 개폐 시일부(14)의 위치 관계는, 개폐 시일부(14)에는 도안(15)이 없다. 즉, 개폐 시일부(14)에는, 도안(15)이 인쇄되어 있지 않다.
또, 개폐 시일부(14)는, 수용 부재(10)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폐 시일부(14)의 상측에는 도안(15)이 없다. 즉, 개폐 시일부(14)의 상측에는, 도안(15)이 인쇄되어 있지 않다.
<<<수용체(1)의 평가에 대하여>>>
수용체(1)의 평가로서, 마찰 계수, 표면 거칠기, 및 잉크 농도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마찰 계수 평가>
마찰 계수 평가로는,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을 구성하는 종이(10a),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을 구성하는 수지 시트(10b), 기저귀(20)의 최외면 및 대향면을 구성하는 외장체(21)(기저귀(20)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수용 부재(10)의 최내면과 대향하고 있는 면이 대향면. 즉, 기저귀(20)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부재(10)와 대향하는 대향면이 된다), 및 기저귀(20)의 가장 피부측면을 구성하는 톱 시트(22b)에 대하여 동마찰 계수(MIU)를 측정하여 평가했다. 또,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을 구성하는 종이(10a)와,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을 구성하는 수지 시트(10b)에 대해서는, 정지 마찰 계수(μs)도 측정했다. 정지 마찰 계수(μs)의 측정은, JIS K7125에 의거하여 행하고, 상대재에 카네킨(canequim)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도 7은, 마찰 계수(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곡선이 마찰 계수(μ)이며, 측정 길이(L1)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마찰자(摩擦子)(샘플과 접촉하는 부분)에의 하중(W), 샘플과의 마찰력(F)으로 하면, 마찰 계수(μ)는 다음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찰 계수(μ)=마찰력(F)/하중(W)
그리고, 동마찰 계수(MIU)는, 마찰 계수(μ)의 측정 길이(L1)에 있어서의 평균치(평균 표면 마찰 계수)로 했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으로서, 샘플을 5개 준비하여, 이들 평균치를 동마찰 계수(MIU)로 했다. 측정기는, 자동화 표면 시험기(가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ESFB4-AUTO-A)의 마찰력 검출 기능을 이용했다. 측정 조건은, 마찰자의 접촉 면적을 5㎜×5㎜(0.25㎠)로 하고, 하중(W)이 마찰자의 무게를 포함하여 수직 방향으로 50gf(약 0.5N)로 했다. 그리고, 20㎝의 샘플 폭에 대해 400g의 장력을 가하여 샘플을 자동화 표면 시험기에 세트하고 상기 마찰자를 하중(W)으로 샘플에 접촉시키고, 마찰자의 이동 속도를 1㎜/sec로 하여 마찰력(F)의 측정을 행하고, 상기한 식 등에 의해 동마찰 계수(MIU)와 정지 마찰 계수(μs)를 산출했다.
도 8은, 마찰 계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것을 보면, 수지 시트(10b)는, 종이(10a)보다도 동마찰 계수(MIU)가 작다. 즉,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수지 시트(10b)의 값)가, 종이(10a)로 구성된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MIU)보다도 작다.
또한,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란, 최내면이 재질이나 표면 성상 등이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 영역의 동마찰 계수(MIU) 중 최소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수용 부재의 최내면이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로 구성되어 있었던 경우, 동마찰 계수(MIU)의 값이 작은 수지 시트(10b)의 값을 이용한다.
또, 수지 시트(10b)는, 외장체(21)보다도 동마찰 계수(MIU)가 작다. 즉,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수지 시트(10b))가,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외장체(21))보다도 작다.
또한,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란, 대향면이 재질이나 표면 성상 등이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 영역의 동마찰 계수(MIU) 중 최소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기저귀의 대향면에 기저귀를 폐기할 때에 기저귀를 둥글게 말아 고정하기 위한 수지를 기재(基材)로 한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었던 경우, 동마찰 계수(MIU)의 값이 작은 테이프의 값을 이용한다.
또, 종이(10a)는, 외장체(21)보다도 동마찰 계수(MIU)가 작다. 즉, 종이(10a)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MIU)가, 기저귀(20)의 최외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대치(외장체(21))보다도 작다.
또한, 「흡수성 물품(기저귀(20))의 최외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대치」란, 최외면이 재질이나 표면 성상 등이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 영역의 동마찰 계수(MIU) 중 최대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기저귀의 최외면에 기저귀를 폐기할 때에 기저귀를 둥글게 말아 고정하기 위한 수지를 기재로 한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었던 경우, 동마찰 계수(MIU)의 값이 큰 외장체(21)의 값을 이용한다.
또, 톱 시트(22b)는, 외장체(21)보다도 동마찰 계수(MIU)가 작은, 즉, 기저귀(20)의 가장 피부측의 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톱 시트(22b))가,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외장체(21))보다도 작다.
또한, 「흡수성 물품(기저귀(20))의 가장 피부측의 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란, 가장 피부측의 면이 재질이나 표면 성상 등이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 영역의 동마찰 계수(MIU) 중 최소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톱 시트(22b)와는 다른 부재가 톱 시트(22b)와 함께 가장 피부측의 면을 구성하고 있었던 경우, 동마찰 계수(MIU)가 가장 작은 부재의 값을 이용한다.
또, 수지 시트(10b)는, 종이(10a)보다도 정지 마찰 계수(μs)가 작다. 즉,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정지 마찰 계수(μs)의 최소치(수지 시트(10b))가, 종이(10a)로 구성된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의 정지 마찰 계수(μs)보다도 작다.
또한,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정지 마찰 계수(μs)의 최소치」란, 최내면이 재질이나 표면 성상 등이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 영역의 정지 마찰 계수(μs) 중 최소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수용 부재의 최내면이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로 구성되어 있었던 경우, 정지 마찰 계수(μs)의 값이 작은 수지 시트(10b)의 값을 이용한다.
<표면 거칠기 평가>
표면 거칠기 평가로는,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을 구성하는 종이(10a),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을 구성하는 수지 시트(10b), 기저귀(20)의 대향면을 구성하는 외장체(21)에 대하여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이하, 단지 표면 거칠기(SMD)라고도 부른다)를 측정하여 평가했다.
도 9는, 표면 거칠기(SM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곡선이 표면 거칠기이며, 측정 길이(L2)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9에 나타내는 비스듬한 우하향 사선 영역(표면 거칠기의 평균치와의 차를 적분한 값)과, 측정 길이(L2)를 이용하여, 표면 거칠기(SMD)를 다음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면 거칠기(SMD)=비스듬한 우하향 사선 영역/측정 길이(L2)
구체적인 평가 방법으로서, 샘플을 5개 준비하고, 이들 평균치를 표면 거칠기(SMD)로 했다. 측정기는, 자동화 표면 시험기(가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ESFB4-AUTO-A)의 상하 두께 변동 검출 기능을 이용했다. 측정 조건은, 마찰자로서 0.5㎜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접촉면 폭을 5㎜로 하고, 하중(W)은 수직 방향으로 10gf(약 0.1N)로 했다. 그리고, 20㎝의 샘플 폭에 대해 400g의 장력을 가하여 샘플을 자동화 표면 시험기에 세트하고 상기 마찰자를 하중(W)으로 샘플에 접촉시키고, 마찰자의 이동 속도를 1㎜/sec로 하여 상하 두께 변동의 측정을 행하고, 상기한 식 등에 의해 표면 거칠기(SMD)를 산출했다.
도 10은, 표면 거칠기(SMD)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것을 보면, 수지 시트(10b)는, 종이(10a)보다도 표면 거칠기(SMD)가 작다. 즉,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SMD)의 최소치(수지 시트(10b)의 값)가, 종이(10a)로 구성된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의 표면 거칠기(SMD)보다도 작다.
또한,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SMD)의 최소치」란, 최내면이 재질이나 표면 성상 등이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 영역의 표면 거칠기(SMD) 중 최소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수용 부재의 최내면이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로 구성되어 있었던 경우, 표면 거칠기(SMD)의 값이 작은 수지 시트(10b)의 값을 이용한다.
또, 수지 시트(10b)는, 외장체(21)보다도 표면 거칠기(SMD)가 작다. 즉,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SMD)의 최소치(수지 시트(10b))가, 대향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SMD)의 최소치(외장체(21))보다도 작다.
또한, 「대향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SMD)의 최소치」란, 대향면이 재질이나 표면 성상 등이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 영역의 표면 거칠기(SMD) 중 최소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기저귀의 대향면에 기저귀를 폐기할 때에 기저귀를 둥글게 말아 고정하기 위한 수지를 기재로 한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었던 경우, 표면 거칠기(SMD)의 값이 작은 테이프의 값을 이용한다.
<잉크 농도 평가>
잉크 농도 평가로는, 수용 부재(10)의 도안(15)(이하, 수용부 도안(15)이라고도 부른다)과 기저귀(20)의 제품 도안(25)의 잉크 농도를 비교하여 평가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잉크 농도란, 수용부 도안(15)이나 제품 도안(25)을 보았을 때의 외관 상의 인쇄물의 진한 정도라는 의미이고, 예를 들면, 기저귀(20)의 외장체(21)의 외측에 제품 도안(25)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와, 외장체(21)의 내측에 제품 도안(25)이 외측과 동일하게(동일한 진함으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측쪽이, 외장체(21)를 비쳐서 제품 도안(25)을 보기 때문에 잉크 농도는 엷어진다.
따라서, 수용부 도안(15)과 제품 도안(25)의 잉크 농도의 비교는, 외관 상의 겉보기의 진함으로 판단할 수 있으면 시인에 의한 방법으로 상관없다. 보다 엄밀하게 비교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샘플로서, 수용부 도안(15)과 제품 도안(25)을 각각 같은 조건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것을 컴퓨터의 화상 처리 소프트에 의해 256 계조의 그레이 스케일로 흑백 변환하여, 각각의 가장 진한 값을 최대 잉크 농도로 하여 비교하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관 상의 겉보기에 있어서, 수용부 도안(15)이 제품 도안(25)보다도 확실히 진하게 인쇄물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수용부 도안(15)의 최대 잉크 농도가, 제품 도안(25)의 최대 잉크 농도보다도 진하다.
<<<수용체(1)의 제 1 유효성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저귀(20)의 수용체(1)는,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종이(10a)로 구성된 수용 부재(10)와, 수용 부재(10)에 의해 수용되고,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외장체(21))로 구성된 기저귀(20)를 구비하는 기저귀(20)의 수용체(1)로서,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가, 종이(10a)로 구성된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MIU)보다도, 작은 것으로 했다. 그 때문에, 기저귀(20)를 꺼낼 때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수용 부재(10)로부터 기저귀(20)가 꺼내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20)를 수용 부재(10)로부터 꺼낼 때에는, 개폐 시일부(14)를 열어 개구부를 넓힌 상태에서, 기저귀(20)를 잡아 당겨 수용 부재(10)로부터 꺼낸다. 즉, 기저귀(20)는, 수용 부재(10)에서 끌어내지도록 하여 꺼내어지고 있으며, 기저귀(20)의 대향면이 수용 부재(10)의 최내면과 문질러지면서 꺼내어진다.
그리고, 종래부터 수용 부재가 종이로 구성된 기저귀의 수용체는 알려져 있었지만, 수용 부재가 종이로 구성된 것은, 수지 시트 등으로 구성된 것에 비해 마찰 계수가 높으므로, 수용 부재로부터 기저귀를 꺼낼 때에, 기저귀가 걸리기 쉬워서 보풀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수지 시트(10b))가, 종이(10a)로 구성된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작은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수용체(1)의 외관을 종이로 하여 유지하면서, 최내면의 동마찰 계수(MIU)가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MIU)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기저귀(20)를 꺼낼 때의 외장체(21)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부재(10)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수지 시트(10b))가,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외장체(21))보다도, 작은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최내면의 동마찰 계수(MIU)가 기저귀(20)의 대향면의 동마찰 계수(MIU)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기저귀(20)를 꺼낼 때에 있어서의 외장체(21)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이(10a)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MIU)가, 기저귀(20)의 최외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대치(외장체(21))보다도, 작은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MIU)가 기저귀(20)의 대향면의 동마찰 계수(MIU)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기저귀(20)를 꺼낸 후의 수용 부재(10)와 기저귀(20)의 접촉에 의한 외장체(21)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SMD)의 최소치(수지 시트(10b))가, 종이(10a)로 구성된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에서의 표면 거칠기(SMD)보다도, 작은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SMD)가 작으므로 문질러짐에 의한 기저귀(20)의 손상이 억제되고, 최외면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SMD)가 크므로 손가락에 걸리기 쉬워 수용체(1)를 들기 쉬워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부재(10)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SMD)의 최소치(수지 시트(10b))가, 대향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SMD)의 최소치(외장체(21))보다도, 작은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SMD)가 작으므로 문질러짐에 의한 기저귀(20)의 손상이 억제되고, 기저귀(20)의 대향면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SMD)가 크므로 손가락에 걸리기 쉬워 기저귀(20)를 수용 부재(10)로부터 꺼내기 쉬워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의 상단부에는, 기저귀(20)를 꺼낼 때에 개봉하는 개폐 시일부(14)가 설치되어 있고,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와 개폐 시일부(14) 사이에 틈새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도 12는, 수용 부재(10)의 틈새에 손을 넣어 기저귀(20)를 꺼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20)를 꺼낼 때에, 이러한 틈새에 손을 넣을 수 있고, 수용 부재(10)와 기저귀(20)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꺼낼 수도 있으므로, 손가락에 의해 수용 부재(10)를 넓히기 쉬워져, 꺼낼 때에 기저귀(20)가 문질러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20)는, 기저귀(20)의 자중(自重)에 의해 수용 부재(10)의 저면부(13)에 맞닿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수용 부재(10)의 상단부를 잡고 들어 올려, 가볍게 상하로 흔든 후에, 천천히 수용체(1)를 직립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와 개폐 시일부(14) 사이에 틈새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저귀(20)는 내부 공간에 있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기저귀(20)를 수용 부재(10)의 저면부(13)와 맞닿게 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내부 공간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기저귀(20))과 개봉부(개폐 시일부(14)) 사이에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란,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그 어느 위치에서도 「흡수성 물품(기저귀(20))과 개봉부(개폐 시일부(14)) 사이에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어딘가 하나의 위치에서 만족시키고 있으면 충분한 것을 의미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시일부(14)는, 수용 부재(10)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수용 부재(10)의 상단에 개폐 시일부(14)가 있는 경우에 비해, 추가로 틈새가 형성되므로(틈새+개폐 시일부(14)부터 상단까지 부분), 손가락에 의해 수용 부재(10)가 보다 한층 넓히기 쉬워져, 꺼낼 때에 기저귀(20)가 보다 한층 문질러지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체(1)에는, 복수의 기저귀(20)가 수용되어 있고, 기저귀(20)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늘어서 있는 한편,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늘어서 있지 않은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기저귀(20)의 열의 수가 2 열 이상인 경우에 비해, 열과 열이 접촉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기저귀(20)의 열의 형상이 무너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는,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에 의한 2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은, 수지 시트(10b)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최내면이 매끄러운 면이 되므로, 기저귀(20)를 수용 부재(10)로부터 꺼낼 때의 외장체(21)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는,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가 중복되는 비창 영역(17)과, 수지 시트(10b)만의 창 영역(16)을 갖고 있으며, 창 영역(16)은, 좌우 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강성이 작은 창 영역(16)이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창 영역(16)과 비창 영역(17)의 경계에 강성의 변화가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발생하고, 이러한 장소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기 쉬워지므로, 절곡에 의해,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 내에서 움직이기 어려워져,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창 영역(16)의 상단 및 하단이, 기저귀(20)와 중복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창 영역(16)과 비창 영역(17)의 경계는, 강성이 변화하여 절곡되기 쉬우므로, 상단과 하단이 기저귀(20)와 중복됨으로써, 이러한 부분에서 절곡하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창 영역(16)의 상단이,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2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창 영역(16)과 비창 영역(17)의 경계는, 강성이 변화하여 절곡되기 쉬우므로, 예를 들면, 사용이 끝난 물품인 기저귀(20)를 상하 방향으로 2번 접이로 하여 수용 부재(10)에 넣어 폐기할 때에, 수용 부재(10)를 컴팩트하게 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는, 전측부(11)와, 후측부(12)와, 저면부(13)를 갖고, 전측부(11)의 하단부와 후측부(12)의 하단부 사이에는, 저면부(13)를 형성하기 위한 바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 부재(10)의 상단부에는, 바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했다.
즉, 하단부는 넓힐 수 없으므로(개구부가 없으므로), 미리 바대를 설치하여 수용 부재(10)의 하측을 넓게 함으로써, 기저귀(20)를 꺼낼 때에 수용 부재(10)와 기저귀(20)가 문질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수용체(1)의 제 2 유효성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저귀(20)의 수용체(1)는,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수용 부재(10)와, 수용 부재(10)에 의해 수용되며, 배설물을 검지하는 인디케이터(23)를 갖는 기저귀(20)를 구비한 기저귀(20)의 수용체(1)로서, 수용 부재(10)에는, 외부에서 기저귀(20)를 시인할 수 있는 창 영역(16)과, 시인할 수 없는 비창 영역(17)이 설치되어 있고,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인디케이터(23)의 적어도 일부가 비창 영역(17)과 중복되는 것으로 했다. 그 때문에, 외부에서 내부의 기저귀(20)를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진열 시 등에 인디케이터(23)와 자외선의 반응을 억제하여,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종이와 같은 비투명한 재료로 구성된 수용 부재에 기저귀가 수용되어 있으면, 소비자가 기저귀를 구입할 때에, 외부에서 기저귀를 시인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외부에서 기저귀를 시인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투명한 창을 설치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진열 시 등에 기저귀를 시인할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들어오는 태양광의 자외선에 기저귀가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기저귀에 배설물을 검지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있으면,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 인디케이터 등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창 영역(16)과 비창 영역(17)을 설치하고,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인디케이터(23)의 적어도 일부가 비창 영역(17)과 중복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외부에서 내부의 기저귀(20)를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진열 시 등에 비창 영역(17)과 중복되는 인디케이터(23)는, 자외선과의 반응이 억제되므로,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20)는, 기저귀(20)의 자중에 의해 수용 부재(10)의 저면부(13)에 맞닿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수용 부재(10)의 상단부를 잡고 들어 올려, 가볍게 상하로 흔든 후에, 천천히 수용체(1)를 직립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인디케이터(23)의 적어도 일부가 비창 영역(17)과 중복되는 것으로 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저귀(20)는 내부 공간에 있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기저귀(20)를 수용 부재(10)의 저면부(13)와 맞닿게 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내부 공간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인디케이터(23)의 적어도 일부가 비창 영역(17)과 중복된다」란,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그 어느 위치에서도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인디케이터(23)의 적어도 일부가 비창 영역(17)과 중복된다」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어딘가 하나의 위치에서 만족시키고 있으면 충분한 것을 의미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에는, 제품 도안(25)이 인쇄되어 있고,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수용 부재(10)의 외부에서 창 영역(16)을 통하여 제품 도안(25)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 할 수 있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진열 시 등에 소비자가 개봉하는 일 없이 기저귀(20)의 제품 도안(25)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품 도안(25)에는, 기저귀(20)가 제조된 국명, 기저귀(20)를 제조 또는 판매하는 회사명의 로고, 기저귀(20)의 상품명의 로고, 및 기저귀(20)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기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진열 시 등에 소비자가 개봉하는 일 없이 기저귀(20)의 제조국, 제조회사명의 로고, 상품명의 로고, 및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는,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26)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27)를 갖고, 복부(26)와 등부(27)가 대향하고 있으며, 기저귀(20)는, 기저귀(20)의 가랑이 아래측이 수용체(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용되고,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20)를 상하 방향으로 4 등분했을 때의 가장 하측의 영역인 가랑이 아래 영역(28)을 가지며,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가랑이 아래 영역(28)의 적어도 일부가 비창 영역(17)과 중복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인디케이터(23)는 가랑이 아래 영역(28)에 특히 필요하므로, 가랑이 아래 영역(28)과 비창 영역(17)이 중복됨으로써, 진열 시 등에 인디케이터(23)와 자외선 간의 반응이 억제되므로,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인디케이터(23)와 비창 영역(17)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인디케이터(23)와 창 영역(16)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긴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창 영역(16) 쪽이 긴 경우에 비해, 진열 시 등에 인디케이터(23)와 자외선 간의 반응이 억제되므로,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는,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에 의해 구성된 2층 구조의 부분을 갖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종이(10a)가 자외선에 의한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수지 시트(10b)가 습기 등에 의한 흡수성 코어(22a)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창 영역(16)은, 종이(10a)의 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수지 시트(10b)만의 영역이며, 창 영역(16)은, 좌우 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창 영역(16)이 폭 방향의 단부까지 설치되어 있으므로, 소비자가 내부의 기저귀(20)를 시인하기 쉬워진다. 또, 시인성이 좋음으로써, 개봉 빈도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내부에 습기가 들어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창 영역(16)의 상단 및 하단이, 기저귀(20)와 중복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창 영역(16)과 비창 영역(17)의 경계는, 강성이 변화하여 절곡되기 쉬우므로, 상단과 하단이 기저귀(20)와 중복됨으로써, 절곡하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창 영역(16)의 상단이,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2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창 영역(16)과 비창 영역(17)의 경계는, 강성이 변화하여 굴곡되기 쉬우므로, 예를 들면, 사용이 끝난 물품인 기저귀(20)를 상하 방향으로 2번 접이로 하여 수용 부재(10)에 넣어 폐기할 때에, 수용 부재(10)를 컴팩트하게 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기 상태와는 상하 관계가 반대가 되는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인디케이터(23)의 적어도 일부가 비창 영역(17)과 중복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수용체(1)를 반대로 한 상태에 있어서(종이(10a)의 수용 부재(10)이므로 내부에 틈새가 있다. 즉, 기저귀(20)가 내부에서 수용 부재(10)의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인디케이터(23)와 자외선 간의 반응이 억제되므로,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이(10a)가 미표백인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표백된 종이 보다도, 미표백인 종이(10a) 쪽이, 리그닌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표백된 종이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인디케이터(23)와 자외선 간의 반응이 억제되어,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는, 전측부(11)와, 후측부(12)와, 저면부(13)를 갖고, 전측부(11)의 하단부와 후측부(12)의 하단부 사이에는, 저면부(13)를 형성하기 위한 바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 부재(10)의 상단부에는, 바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수용 부재(10)의 하단부에 있어서, 저면부(13)는, 전측부(11) 및 후측부(12)의 적어도 한쪽과,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수용 부재(10)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부재끼리의 접합층의 수가 수용 부재(10)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부재끼리의 접합층의 수보다도 많으므로, 수용 부재(10)의 하단부가 보강되어, 하단부의 손상에 의한 인디케이터(23)의 노출을 억제하여,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는,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26)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27)를 갖고, 복부(26)와 등부(27)가 대향하고 있으며, 기저귀(20)의 가랑이 아래측이 수용체(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에 넣어져 있는 것으로 했다.
기저귀(20)는 가랑이 아래측이 두꺼우므로, 가랑이 아래측이 위치하는 수용 부재(10)의 부분은 찢어지기 쉬워지지만, 가랑이 아래측을 수용 부재(10)의 상측으로 한 경우에 비해, 수용 부재(10)의 하단부의 접합층의 수가 상단부의 접합층의 수보다 많으므로(하단부 쪽이 확실히 접합되어 있으므로), 수용 부재(10)의 손상에 의한 인디케이터(23)의 노출을 억제하여,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수용체(1)의 제 3 유효성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저귀(20)의 수용체(1)는, 수용 부재(10)와, 수용 부재(10)에 수용되고, 흡수성 코어(22a)를 구비하는 기저귀(20)를 구비한 기저귀(20)의 수용체(1)로서, 수용 부재(10)에는, 도안(15)이 인쇄되어 있으며,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성 코어(22a)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했다. 그 때문에, 수용체(1)가 복수 나열되는 곤포 시 등에 있어서 이웃하는 수용체(1)끼리의 도안(15)의 문질러짐이나 기저귀(20)에의 도안(15)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수용 부재에 제품 정보 등의 도안을 인쇄하면, 예를 들면, 복수의 수용체를 하나의 골판지 등으로 곤포했을 때에, 수용체끼리가 서로 밀접하고, 특히 기저귀에서 가장 두꺼운 흡수성 코어의 부분이 강하게 압박받을 우려가 있어, 도안의 문질러짐이나 도안의 잉크가 기저귀에 전사될 우려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성 코어(22a)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했다. 즉, 기저귀(20)에 있어서 가장 두꺼운 흡수성 코어(22a)와, 도안(15)의 적어도 일부를 중복시키지 않음으로써, 수용체(1)가 복수 나열되는 곤포 시 등에 있어서 이웃하는 수용체(1)끼리의 도안(15)의 문질러짐이나 기저귀(20)에의 도안(15)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기저귀(20))이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성 코어(22a)와 중복되지 않는다」란,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의 내부에서 움직였을 때에, 그 어느 위치에서도 「흡수성 물품(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성 코어(22a)와 중복되지 않는다」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어딘가 하나의 위치에서 만족시키고 있으면 충분한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기저귀(20))이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의미로 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기저귀(20)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도안(15)과 기저귀(20)가 중복되지 않으므로, 수용체(1)가 복수 나열되는 곤포 시 등에 있어서 이웃하는 수용체(1)끼리의 도안(15)의 문질러짐이나 기저귀(20)에의 도안(15)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과 기저귀(20)가 중복되지 않는 영역이, 도안(15)과 기저귀(20)가 중복되는 영역보다도, 큰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중복되지 않는 영역이 작은 경우에 비해, 도안(15)의 문질러짐이나 기저귀(20)에의 도안(15)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종이(10a)로 구성되고, 수용 부재(10)는, 내부에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은, 기저귀(20)가 존재하는 공간과, 기저귀(20)가 존재하지 않는 틈새 공간을 갖고,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20)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틈새 공간과 중복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틈새 공간에는 기저귀(20)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부분과 중복되는 도안(15)의 문질러짐이나 기저귀(20)에의 도안(15)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는,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에 의한 2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종이(10a)의 층의 내측에, 수지 시트(10b)의 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수지 시트(10b)에 의해 내부 공간으로 도안(15)의 잉크의 스며듦이 억제되므로, 기저귀(20)에의 도안(15)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정지 마찰 계수(μs)의 최소치가, 종이(10a)로 구성된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의 정지 마찰 계수(μs)보다도, 작은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최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μs)의 최소치가 큰 경우에 비해, 반송 시 등의 수용체(1)의 흔들림에 의해 내부 공간의 기저귀(20)가 내부에서 이동하기 쉬우므로, 기저귀(20)의 이동에 이끌려 수용 부재(10)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수용 부재(10)의 도안(15)의 문질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수용 부재(10)는, 전측부(11)와, 후측부(12)와, 저면부(13)를 가지며, 전측부(11)의 하단부와 후측부(12)의 하단부 사이에는, 저면부(13)를 형성하기 위한 바대가 설치되어 있고, 수용 부재(10)의 상단부에는, 바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도안(15)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부재(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좌우 방향의 중심에 있어서의 전측부(11)와 후측부(12) 사이의 거리는, 상부가 하부보다 짧으므로, 상부에 도안(15)을 인쇄함으로써, 이웃하는 수용체(1)의 도안(15)끼리의 간격을 넓힐 수 있고, 수용 부재(10)의 도안(15)의 문질러짐이나 기저귀(20)에의 도안(15)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수용 부재(10)의 상단부에는, 기저귀(20)를 꺼낼 때에 개봉하는 개폐 시일부(14)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 시일부(14)에는, 도안(15)이 인쇄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수용체(1)의 개봉 시에 만지는 개폐 시일부(14)에 도안(15)이 인쇄되어 있지 않으므로, 손에의 잉크 이동 및 도안(15)의 문질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시일부(14)는, 개봉 후에 재밀봉이 가능한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몇 번이나 재밀봉하여 기저귀(20)를 넣었다 뺄 수 있으므로, 넣었다 뺄 때에 몇 번이나 만지는 개폐 시일부(14)에 도안이 인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손에의 잉크 이동 및 도안의 문질러짐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 한 번 개봉해도, 사용할 때마다 개폐 시일부(14)에 의해 수용 부재(10)를 재밀봉할 수 있어, 습기가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재밀봉을 할 수 있으므로, 개구부에서 기저귀(20)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시일부(14)는, 수용 부재(10)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폐 시일부(14)의 상측에는, 도안(15)이 인쇄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몇 번이나 재밀봉하여 기저귀(20)를 넣었다 뺄 수 있으므로, 넣었다 뺄 때에 몇 번이나 만지는 개폐 시일부(14)의 상측에 도안(15)이 인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손에의 잉크 이동 및 도안의 문질러짐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안(15)은, 수용부 도안(15)이며, 기저귀(20)에는, 제품 도안(25)이 인쇄되어 있고, 수용부 도안(15)의 최대 잉크 농도가, 제품 도안(25)의 최대 잉크 농도보다도, 진한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수용부 도안(15)의 잉크 농도가 옅은 경우에 비해, 수용부 도안(15)을 확실히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시인하기 쉽다(잉크 농도가 진하면 이염 등이 되기 쉽지만, 수용부 도안(15)과 흡수성 코어(22a)를 중복시키지 않는 등의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 수용 부재(10)의 수용부 도안(15)의 문질러짐이나 기저귀(20)에의 수용부 도안(15)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품 도안(25)의 잉크 농도가 진한 경우에 비해 옅은 쪽이, 소비자는 피부 친화적인 이미지를 기저귀(20)에 갖기 쉬워진다.
===그 외의 실시형태===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부(11), 후측부(12), 및 저면부(13)를 개개의 시트로 하고, 각각을 접합함으로써 3면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측부(11)와 저면부(13)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전측부(11)와 저면부(13)의 길이를 갖는 1장의 부재로 하고, 이러한 시트의 저면측을 접어 저면부(13)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는 3면 형상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6면 형상의 수용 부재여도 된다.
6면 형상의 수용 부재인 경우, 3면 형상의 수용 부재(10)와 달리, 어느 면을 저부로 해도 자립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저부라는 개념이 희박한 경우가 있다. 즉, 기저귀를 포함한 수용체에,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개념이 희박한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6면 형상의 수용 부재에 있어서는, 진열 시 등에 어느 면이 저부로서 놓여져도 도안 등의 제품 정보를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즉, 이러한 6면 형상의 수용 부재에 있어서는, 어느 면이 저부가 되어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는, 종이(10a)와 수지 시트(10b)의 2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종이(10a)의 내면을 수지로 코팅하여 수지 시트(10b)의 대체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10)의 최내면은, 모두 수지 시트(10b)의 면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개폐 시일부(14)의 상측이 종이(10a)의 면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부재(10)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기저귀(20)의 가장 피부측의 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톱 시트(22b))가,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외장체(21))보다도, 작은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가, 기저귀의 가장 피부측의 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MIU)의 최소치보다도, 작아도 된다.
전자의 경우(톱 시트의 값이 외장체의 값보다 작은 경우), 기저귀(20)의 가장 피부측의 동마찰 계수(MIU)가 대향면의 동마찰 계수(MIU)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착용 시에 기저귀가 문질러졌을 때에, 착용자가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다. 또, 최내면과 대향면이 문질러졌을 때에, 가장 피부측의 면끼리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대향면이 최내면에 이끌려 움직이기 쉽고, 보풀 일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외장체의 값이 톱 시트의 값보다 작은 경우), 기저귀(20)의 대향면의 동마찰 계수(MIU)가 가장 피부측의 면의 동마찰 계수(MIU)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기저귀(20)를 수용 부재(10)로부터 꺼내기 쉽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의 등부(27)와 창 영역(16)이 대향하도록 수용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10)의 외부에서 기저귀(20)의 등부(27)를 시인할 수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저귀(20)의 복부(26)와 창 영역(16)이 대향하도록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복부(26) 또는 등부(27)가 창 영역(16)과 대향한다. 그렇게 하면, 진열 시 등에 소비자가 개봉하는 일 없이 기저귀(20)의 측면에 비해 면적이 큰 정면 또는 배면을 확인할 수 있다(보다 기저귀(20)의 전체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20)는, 기저귀(20)의 자중에 의해 수용 부재(10)의 저면부(13)에 맞닿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수용 부재(10)의 상단부를 잡고 들어 올려, 가볍게 상하로 흔든 후에, 천천히 수용체(1)를 직립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복부(26) 또는 등부(27)가 창 영역(16)과 대향하는 것으로 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저귀(20)는 내부 공간에 있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기저귀(20)를 수용 부재(10)의 저면부(13)와 맞닿게 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내부 공간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복부(26) 또는 등부(27)가 창 영역(16)과 대향한다」란,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그 어느 위치에서도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복부(26) 또는 등부(27)가 창 영역(16)과 대향한다」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어딘가 하나의 위치에서 만족시키고 있으면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의 등부(27)와 창 영역(16)이 대향하도록 수용되어 있고, 또한, 복측 인디케이터(23a)는, 등측 인디케이터(23b)보다도, 상하 방향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등측 인디케이터(23b)가 복측 인디케이터(23a)보다도 길고, 기저귀(20)의 복부(26)와 창 영역(16)이 대향하고 있어도 되며, 기저귀(20)의 등부(27)와 창 영역(16)이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즉, 인디케이터(23)가 긴 쪽이 창 영역(16)과 대향해도 되고, 창 영역(16)과 대향하지 않고(짧은 쪽이 대향하여) 반대측에 있어도 된다.
긴 쪽의 인디케이터(23)가 창 영역(16)과 대향하지 않는 경우를 환언하면, 복부(26) 및 등부(27)의 한쪽이 창 영역(16)과 대향하고 있고, 인디케이터(23) 중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보다도, 인디케이터(23) 중 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 쪽이, 상하 방향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그렇게 하면, 길이가 긴 인디케이터(23)의 부분을 창 영역(16)과 대향시킨 경우에 비해, 진열 시 등에 인디케이터(23)와 자외선과의 반응이 억제되므로(창 영역(16)과 중복하는 인디케이터(23)가 적어지므로),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긴 쪽의 인디케이터(23)가 창 영역(16)과 대향하는 경우를 환언하면, 복부(26) 및 등부(27)의 한쪽이 창 영역(16)과 대향하고 있고, 인디케이터(23) 중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인디케이터(23) 중 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보다도, 상하 방향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그렇게 하면, 길이가 짧은 인디케이터(23)의 부분을 창 영역(16)과 대향시킨 경우에 비해, 비창 영역(17)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28)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진열 시 등에 소비자가 외부에서 인디케이터(23)를 시인하기 쉽다.
또, 긴 쪽의 인디케이터(23)가 창 영역(16)과 대향하는 경우에 있어서 수용체(1)가 직립했을 때에, 인디케이터(23)와 비창 영역(17)의 중복되는 부분의 길이가, 인디케이터(23)와 창 영역(16)의 중복되는 부분의 길이보다도 길다.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비창 영역(17)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창 영역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길다. 그렇게 하면, 길이가 긴 한쪽의 인디케이터(23)에 있어서, 창 영역(16)으로부터 인디케이터(23)를 시인 가능하게 하면서, 비창 영역(17) 쪽이 중복 영역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짧은 경우에 비해 인디케이터(23)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20)의 가랑이 아래측이 수용체(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에 들어가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저귀(20)의 가랑이 아래측을 상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즉, 기저귀(20)의 가랑이 아래측이 수용체(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저귀(20)가 수용 부재(10)에 들어가 있어도 된다.
전자의 경우(가랑이 아래측이 하측인 경우), 수용 부재(10)의 하측은 바대가 있어 넓어지므로, 기저귀(20)에서 두께가 있는 가랑이 아래측을 하측으로 함으로써, 기저귀(20)를 넣기 쉬워진다.
후자의 경우(가랑이 아래측이 상측인 경우), 기저귀(20)의 가랑이 아래측은 강성이 높으므로, 수용 시에 가랑이 아래측을 개폐 시일부(14)측으로 함으로써, 꺼낼 시에 기저귀(20)를 잡아 당기기 쉬워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창 영역(16)의 상단이 기저귀(20)의 상단보다도 하측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창 영역(16)의 상단이 기저귀(20)의 상단보다도 상측이어도 된다. 즉, 수용체(1)의 하단이 접지하여 해당 수용체(1)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창 영역(16)의 상단이, 기저귀(20)와 중복되지 않아도 된다.
그렇게 하면, 수용체(1)의 진열 시 등에 소비자가 개봉하는 일 없이 기저귀(20)의 일단까지 시인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10)의 전측부(11)에 도안(15)이 인쇄되고, 후측부(12)에 도안(15)이 인쇄되어 있지 않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전측부(11)에 도안(15)을 인쇄하지 않고, 후측부(12)에만 도안(15)을 인쇄해도 된다. 즉, 도안(15)은, 전측부(11) 및 후측부(12) 중 어느 한쪽에만 인쇄되어 있으면 된다. 그렇게 하면, 도안이 양쪽에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수용 부재(10)의 도안(15)의 문질러짐이나 기저귀(20)에의 도안(15)의 이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시일부(14)가 재밀봉 가능하고, 복수회의 개폐가 가능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미싱눈을 넣은 개봉부이고, 한 번 개봉하면 재밀봉할 수 없는 구조의 개봉부여도 된다.
<그 외의 양태에 대하여>
그 외에도, 이하와 같은 양태가 가능하다.
(양태 1)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종이로 구성된 최외층과,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종이보다도 투습성이 낮은 재료(수지 시트(10b))로 구성된 최내층을 가지며, 상기 수용 부재의 질량 중, 상기 최외층을 구성하는 상기 종이의 질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50%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종이뿐만 아니라, 내측에 종이보다도 투습성이 낮은 재료로 구성된 층을 가짐으로써 수용 부재의 내부에 습기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방습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종이의 질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50%를 초과함으로써 「종이제 용기 포장」 식별 마크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환경을 배려한 수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양태 2)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접합된 한 쌍의 사이드 실부와, 상기 상하 방향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접합된 보텀 실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실부 및 상기 보텀 실부에서는, 상기 수용 부재를 구성하는 하나의 면의 상기 최내층에 설치된 상기 투습성이 낮은 재료와, 상기 하나의 면과는 다른 면의 상기 최내층에 설치된 상기 투습성이 낮은 재료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여,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 부재의 모든 실부에 있어서, 최내층에 설치된 투습성이 낮은 재료끼리가 용착되어 있음으로써, 수용체에 습기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양태 3)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최외층, 및 상기 최내층에 설치된 상기 투습성이 낮은 재료가,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보다도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개봉부의 상측은, 수용 부재를 열 때 잡는 부분이고, 당해 상측에는 최외층뿐만 아니라 투습성이 낮은 재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잡는 부분이 찢어지기 어려워진다.
(양태 4)
상기 수용 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수지 시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창 영역과, 상기 종이와 상기 수지 시트가 중복되는 비창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창 영역의 표면적이, 상기 비창 영역의 표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창 영역에 의해 수용체 내의 흡수성 물품을 확인할 수 있고, 또, 창 영역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수용 부재의 내부로 습기가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창 영역을 필요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자외선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저감시킨다.
(양태 5)
상기 최외층에는, 도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안은, 수성 잉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성 잉크를 이용함으로써, 유성 잉크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석유 유래의 유기용제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친환경적인 수용체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피인쇄 매체인 최외층이 종이제이기 때문에, 수성 잉크가 고착되기 쉬워, 문질러진 것과 같은(faint) 도안이어도 안정적으로 인쇄할 수 있다.
(양태 6)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종이로 구성된 종이층을 가지며, 상기 종이층의 적어도 일부분에, 미표백 펄프로 이루어지는 미표백 펄프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미표백 펄프 영역은 광을 통과시키기 어렵고, 그와 같은 미표백 펄프 영역을 갖는 수용 부재에 수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은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부재, 액체 불투과성의 필름, 잉크(필름, 타겟 테이프, 인디케이터 등의 인쇄에 이용되는 잉크) 등의 황변하기 쉬운 부재에의 자외선의 영향을 저감하여, 흡수성 물품의 황변을 억제할 수 있다.
(양태 7)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미표백 펄프 영역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도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표백된 표백 펄프로 이루어지는 종이층의 외표면에 도안을 설치한 경우, 수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 비쳐서 도안이 보이기 어렵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지만, 미표백 펄프 영역은 두께가 두껍고, 또, 다갈색 또는 암갈색 등이기 때문에, 내용물이 비치지 않아, 도안을 시인하기 쉽다.
(양태 8)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도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미표백 펄프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도안을 수용 부재 도안으로 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도안을 제품 도안으로 했을 때,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 도안과 상기 제품 도안이,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중복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미표백 펄프 영역은 두께가 두껍고, 또한, 다갈색 또는 암갈색 등이기 때문에, 당해 미표백 펄프 영역의 도안과 흡수성 물품의 도안이 중복되어도, 흡수성 물품의 도안이 비쳐서 보이는 경우는 없어, 미표백 펄프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도안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양태 9)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종이로 구성된 최외층을 가지며, 상기 최외층에 있어서, 베크 평활도가 20초 미만인 영역에, 도안의 적어도 일부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최외층으로서 베크 평활도가 20초 미만이 되는 영역을 갖는 비도공지(非塗工紙)를 이용하여, 적어도 도안(15)의 일부가 당해 영역과 중복되도록, 인쇄를 행한다. 또한, 베크 평활도는, 특정의 조건에서 접촉시킨 시험편과 링상의 평면 사이를, 특정의 초기 차압하에서, 일정량의 대기압 공기가 흐르는데에 필요한 시간(초)에 의해 표시되는 값이고, 베크 평활도가 작을(초수가 작을)수록, 평활도가 낮아진다. 베크 평활도는, JIS P 8119-1998에 규정되어 있는 「종이 및 판지-베크 평활도 시험기에 의한 평활도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사단법인 비즈니스 기계·정보 시스템 산업 협회가 규정하는 JBMS-32-2002 「전자 사진식 복사기·프린터용 커트지(Cut Sheet Papers)」의 규격에 따르면,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커트지를 선택할 때의 기준이 되는 베크 평활도의 추장값(推奬値)은 20∼150초이다. 이 값은 화상 성능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문질러져 흐릿함이 적은 통상의 인쇄를 행할 때의 기준이 되는 범위이다. 따라서, 당해 추장값의 하한치인 20초보다도 베크 평활도가 작은 매체에 인쇄를 행한 경우, 화상에 문질러져 흐릿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도 13은, 최외층으로서 사용하는 종이 소재의 시트 부재(시료 A∼C)에 대하여, 베크 평활도를 측정한 값에 대해서 나타내는 표이다. 베크 평활도의 측정은, 상술의 JIS P 8119-1998에 준거한 방법으로 행하였다.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 A∼C 모두, 베크 평활도가 5.3초 이하이며, JBMS-32-2002에 규정되는 베크 평활도의 하한치인 20초보다도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즉, JBMS-32-2002에서 추장되고 있는 인쇄 용지보다도 평활도가 낮아져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이들 시트 부재(시료 A∼C)에 수성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면, 형성된 도안(15)의 일부에 농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도안(15)이 문질러진 것과 같이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용 부재(10)의 최외층으로서, 베크 평활도가 20초 미만, 바람직하게는 5.3초 이하인 영역을 갖는 시트 부재(종이)를 이용하고, 당해 영역에 도안(15)을 인쇄함으로써, 형성된 도안(15)이 문질러진 것과 같이 보이게 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 부재(10)나,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기저귀(20) 등의 흡수성 물품이 종이제인 것의 소재감이나 부드러운 이미지를, 유저에게 상기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양태 10)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도안은,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는 다른 제 2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의 위치가 달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또, 수용 부재(10)에 인쇄되는 도안(15)의 배치를 조절함으로써, 유저에 대하여 수용체(1)의 부드러운 이미지를 보다 상기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4A는, 수용체(1)의 사시도이며, 수용 부재(10)에 설치되는 도안(15)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의 X-X 단면에 대해서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이나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10)의 최외면에는 복수의 도안(15, 15…)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도안(15) 중, 도 14A의 우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안을 도안(151)으로 한다. 그리고, 도안(151) 중 좌우 방향의 좌측단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 1 부분(151A), 좌우 방향의 우측단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 2 부분(151B)으로 했을 때,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부분(151A)의 위치와 제 2 부분(151B)의 위치가 다르도록, 도안(151)이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을 수용한 수용 부재(10)는, 당해 흡수성 물품이 수용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부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4B에서는, 좌우 방향 양단부의 사이드 실부(ss)에 있어서 전측부(11)와 후측부(12)가 서로 접합되어, 수용 부재(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가장 얇아져 있다. 그리고, 좌우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내측(중앙측)으로 감에 따라, 전측부(11) 및 후측부(12)가 각각 만곡하면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자의 간격이 넓어져 있다. 즉, 수용 부재(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두꺼워져 간다. 이 전측부(11) 및 후측부(12)가 만곡한 영역을 만곡 영역(10cr)으로 한다(도 14B 참조). 그리고,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수용 부재(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되어 있다.
도 14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도안(151)의 제 1 부분(151A)은 만곡 영역(10cr)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부분(151B)은 사이드 실부(ss)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안(151)의 제 1 부분(151A)과 제 2 부분(151B)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다름으로써, 도안(151)은 전후 방향으로 입체감이 있어 보이게 된다. 그 때문에, 도안(151)이 평면적으로 보이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용 부재(10)가 3차원적으로 부푼 형상이 강조되어, 수용체(1)가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이미지를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특히, 도안(151)은, 수용 부재(10)의 만곡 영역(10cr)과 넓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안이 둥그스름한 곡면으로 보이기 때문에, 유저에게 보다 부드러운 인상을 줄 수 있다.
(양태 11)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를 구성하는 하나의 면과, 상기 하나의 면과는 다른 면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여, 용착된 사이드 실부를 갖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사이드 실부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사이드 실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사이드 실부와 중복되는 평면적인 영역과, 사이드 실부와 중복되지 않는 곡면적인 영역에 걸쳐 도안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도안이 보다 복잡하고 3차원적인 형상으로 보여, 유저에 대해 수용체의 부드러운 이미지를 보다 상기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양태 12)
상기 최외층의 적어도 일부가 컷아웃됨으로써, 상기 최내층이 표면측에 노출된 부분인 창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유저는, 수용체의 외측에서 창부를 투과하여, 종이 기저귀 등의 부드러운 흡수성 물품을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체의 부드러운 이미지를, 유저에게 보다 상기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양태 13)
상기 최외층의 이면측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수지로 구성된 최내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최내층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평균치가,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최외층의 동마찰 계수의 평균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 부재의 최외층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평균치가 큼으로써, 최외층의 표면 형상이 요철이 되기 쉬워, 흐릿한(faint) 도안이 형성(인쇄)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수용 부재의 최내층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평균치가 작음으로써, 최내층과 흡수성 물품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저감되어, 흡수성 물품의 꺼냄 동작을 스무드하게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양태 14)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종이로 구성된 최외층과, 적어도 일부분이, 수지로 구성된 최내층을 가지며,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상기 수지에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 부재의 표면(최외층)을 종이제로 함으로써, 수용체가 환경을 배려한 제품인 것을 유저에게 상기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수용 부재의 이면(최내층)을 수지제로 함으로써 방습성을 높여, 내부에 수용된 흡수성 물품이 눅눅해져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최내층을 구성하는 수지가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종래품과 비교하여 석유 유래의 물질의 함유 비율을 낮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방습성이 우수하고, 또한 친환경적인 흡수성 물품 수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양태 15)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상기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중량은, 상기 수용 부재의 중량의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일본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가 정하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식별 표시 제도」에 규정되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함유 비율의 기준(바이오매스 플라스틱도가 10% 이상)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당해 제도의 인증 마크(바이오매스 마크 10%)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수용체가 환경을 배려한 제품인 것을, 유저에게 보다 인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양태 16)
상기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에도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 포함됨으로써, 환경을 배려한 제품인 것을 유저에게 보다 인식시키기 쉽게 하는 동시에, 유저가 안심하고 흡수성 물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양태 17)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량에 대한, 상기 흡수성 물품에 포함되는 상기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중량의 비율보다도, 상기 수용 부재의 중량에 대한, 상기 수용 부재에 포함되는 상기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중량의 비율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 부재에 있어서의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함유율을,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함유율보다도 높임으로써, 그만큼, 수용 부재에 있어서의 석유 유래 원료의 함유율을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석유 유래 원료의 사용량을 삭감하고, 보다 친환경적인 흡수성 물품 수용체를 실현할 수 있다.
(양태 18)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 및 상기 상하 방향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를 구성하는 하나의 면의 상기 수지와, 상기 하나의 면과는 다른 면의 상기 최내층에 설치된 상기 수지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여,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대향하는 수지재끼리를 용착 수 단을 이용하여 접합함으로써, 수용 부재의 좌우 방향의 양측부 및 상하 방향의 하단부가 확실히 시일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체의 내부(수용 공간)에 수분이 들어가기 어려워져, 방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양태 19)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110)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 부재(110)는, 적어도 일부분이, 종이로 구성된 최외층과, 적어도 일부분이, 수지로 구성된 최내층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110)는, 상기 최외층끼리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상하 방향의 양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거싯 접이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수용 부재(110)의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끼리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부분이 접합된 접합부를 갖고, 상기 최외층끼리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부분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도 15는, 거싯 접이부(G1, G2)를 구비한 수용 부재(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용 부재(110)에 있어서는, 도 15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일단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중첩된 시트 부재끼리를 접합하여 걸림 고정부(SW1)가 형성된다. 걸림 고정부(SW1)에서는, 거싯 접이부(G1, G2)를 포함하여,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최내층(수지 시트(10b))끼리가, 열 용착 등의 공지의 용착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용착 접합된다. 대향하는 최내층은, 모두 수지제의 시트 부재이고 열가소성을 갖고 있는 점에서, 열 용착 등의 용착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대향하는 시트 부재끼리를 충분한 강도로 접합할 수 있다.
좌우 방향의 한쪽측의 단부가 걸림 고정부(SW1)에 의해 로크된 후, 거싯 접이부(G1, G2)를 넓혀, 단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좌우 방향의 다른쪽측에서, 당해 수용 공간 내에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여, 걸림 고정부(SW2)에 의해 밀봉한다. 거싯 접이 구조를 갖는 수용 부재(110)에서는, 외장을 구성하는 시트 부재 중 거싯 접이된 부분이, 소위 「바대」로서 넓어지기 때문에, 내부에 넓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수용 공간의 용적이 커지기 때문에, 많은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종이를 포함한 수용 부재(110)의 좌우 방향 양단부에 설치된 걸림 고정부에 있어서, 최외층끼리가 비접합부를 갖고 있음으로써, 종래의 필름제 수용 부재에 있어서 걸림 고정부의 전체가 용착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합 강도가 너무 강해지지 않아, 걸림 고정부를 개봉하기 쉽다. 또, 패키지 표면이 종이제임으로써, 환경을 배려한 제품인 것을 유저에게 쉽게 상기시킬 수 있다.
(양태 20)
상기 수용 부재(110)의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끼리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부분의 전체가 비접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 부재(110)를 개봉할 때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2개의 대향면(최외층)이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당해 2개의 대향면을 전후 방향으로 이간시키기 쉬워진다. 따라서, 유저가, 걸림 고정부를 떼어서 수용체를 개봉하는 동작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양태 21)
상기 수용 부재(110)는,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상기 수지끼리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상태에서 용착된 사이드 실부와, 상기 전후 방향의 후측부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상기 수지끼리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상태에서 용착된 백 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열가소성을 갖는 수지제의 시트 부재끼리를 대향시켜, 용착 수단을 이용하여 접합함으로써, 좌우 방향의 양측부 및 전후 방향의 후측이 확실히 시일된다. 즉, 수용 부재(110)의 수용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최내층의 전체가 시일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체의 내부에 습기가 들어가기 어려워져, 방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양태 22)
상기 수용 부재(110)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의 단으로부터 소정 폭의 영역에서, 상기 최내층끼리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부분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에 의하면, 좌우 방향의 외측 단부에 있어서, 시트 부재(최내층)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소위 드라이 에지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좌우 방향 양단부의 걸림 고정부를 떼어서 수용체를 개봉하는 동작에 있어서, 당해 드라이 에지가 걸림 고정부(시일부)를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 기점이 되기 때문에, 개봉 동작을 보다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1: 수용체(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0: 수용 부재
11: 전측부 12: 후측부
13: 저면부(바대) 14: 개폐 시일부(개봉부)
15: 도안(수용부 도안) 15a: 제 1 도안
15b: 제 2 도안 15c: 제 3 도안
15d: 제 4 도안 16: 창부
17: 비창부 20: 기저귀(흡수성 물품)
21: 외장체 22: 흡수성 본체
22a: 흡수성 코어 22b: 톱 시트
22c: 백 시트 23: 인디케이터
23a: 복측 인디케이터 23b: 등측 인디케이터
24: 테이프 25: 제품 도안
25a: 제 1 제품 도안 25b: 제 2 제품 도안
25c: 제 3 제품 도안 25d: 제 4 제품 도안
26: 복부 27: 등부
28: 가랑이 아래 영역 CL: 중앙 위치
QL: 중심 위치 SS: 사이드 시일부
G1: 거싯 접이부 G2: 거싯 접이부
110: 수용 부재

Claims (47)

  1.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종이로 구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에 의해 수용되고,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로 구성된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動摩擦)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종이로 구성된 상기 수용 부재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부재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의 최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대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부재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장 피부측의 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부재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대향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장 피부측의 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의 최소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의 최소치가, 상기 종이로 구성된 상기 수용 부재의 최외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부재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의 최소치가, 상기 대향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의 최소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꺼낼 때에 개봉하는 개봉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과 상기 개봉부 사이에 틈새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는,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에는, 복수의 상기 흡수성 물품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늘어서 있는 한편, 상기 상하 방향과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늘어서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종이와 수지 시트에 의한 2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최내면은, 상기 수지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종이와 상기 수지 시트가 중복되는 비창(非窓) 영역과, 상기 수지 시트만의 창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창 영역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창 영역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흡수성 물품과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창 영역의 상단이,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는, 전측부와, 후측부와, 저면부를 가지며,
    상기 전측부의 하단부와 상기 후측부의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저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바대(gusset)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복측(腹側)에 맞닿는 복부와, 착용자의 등측(背側)에 맞닿는 등부를 갖고, 상기 복부와 상기 등부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랑이 아래측이 상기 수용체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에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를 갖고, 상기 복부와 상기 등부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랑이 아래측이 상기 수용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에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8.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에 의해 수용되고, 배설물을 검지하는 인디케이터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에는, 외부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시인할 수 있는 창 영역과, 시인할 수 없는 비창 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인디케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창 영역과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제품 도안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창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품 도안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도안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제조된 국명, 상기 흡수성 물품을 제조 또는 판매하는 회사명의 로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품명의 로고, 및 상기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를 갖고,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부 또는 상기 등부가 상기 창 영역과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를 갖고, 상기 복부와 상기 등부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랑이 아래측이 상기 수용체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용되고,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을 상기 상하 방향으로 4 등분했을 때의 가장 하측의 영역인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창 영역과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복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등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복부 및 상기 등부의 한쪽이 상기 창 영역과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 중 상기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보다도, 상기 인디케이터 중 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 쪽이, 상기 상하 방향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복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등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복부 및 상기 등부의 한쪽이 상기 창 영역과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 중 상기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인디케이터 중 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보다도, 상기 상하 방향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비창 영역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한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창 영역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6.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비창 영역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창 영역이 중복되는 중복 부분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7. 제 18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종이와 수지 시트에 의해 구성된 2층 구조의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창 영역은, 상기 종이의 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상기 수지 시트만의 영역이고,
    상기 창 영역의 상단은,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창 영역의 하단은, 상기 수용 부재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창 영역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좌우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창 영역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흡수성 물품과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창 영역의 상단이,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창 영역의 상단이, 상기 흡수성 물품과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2. 제 27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하단이 접지하여 상기 수용체가 직립한 상기 상태와는 상하 관계가 반대가 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인디케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창 영역과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3. 제 27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가 미표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4. 제 18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전측부와, 후측부와, 저면부를 갖고,
    상기 전측부의 하단부와 상기 후측부의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저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바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수용 부재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는, 상기 전측부 및 상기 후측부의 적어도 한쪽과,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복측에 맞닿는 복부와, 착용자의 등측에 맞닿는 등부를 갖고, 상기 복부와 상기 등부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랑이 아래측이 상기 수용체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에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6.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에 수용되고, 흡수성 코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로서,
    상기 수용 부재에는, 도안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도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도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수성 물품과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도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이 중복되지 않는 영역이, 상기 도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이 중복되는 영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39. 제 36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최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종이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 부재는, 내부에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흡수성 물품이 존재하는 공간과, 상기 흡수성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틈새 공간을 갖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수용 부재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도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틈새 공간과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종이와 수지 시트에 의한 2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종이의 층의 내측에, 상기 수지 시트의 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최내면에 있어서의 정지 마찰 계수의 최소치가, 상기 종이로 구성된 상기 수용 부재의 최외면의 정지 마찰 계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42. 제 36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는, 전측부와, 후측부와, 저면부를 가지며,
    상기 전측부의 하단부와 상기 후측부의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저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바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도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은, 상기 전측부 및 상기 후측부 중 어느 한쪽에만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44. 제 36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꺼낼 때에 개봉하는 개봉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봉부에는, 상기 도안이 인쇄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는, 개봉 후에 재밀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는,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개봉부의 상측에는, 상기 도안이 인쇄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47. 제 36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은, 수용부 도안이고,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제품 도안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 도안의 최대 잉크 농도가, 상기 제품 도안의 최대 잉크 농도보다도, 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KR1020227032639A 2020-03-31 2021-02-12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KR20220156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65057 2020-03-31
JP2020065055A JP7497195B2 (ja) 2020-03-31 2020-03-31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JP-P-2020-065055 2020-03-31
JP2020065056A JP7493980B2 (ja) 2020-03-31 2020-03-31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2020065057A JP2021160795A (ja) 2020-03-31 2020-03-31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JP-P-2020-065056 2020-03-31
PCT/JP2021/005215 WO2021199712A1 (ja) 2020-03-31 2021-02-12 吸収性物品の収容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552A true KR20220156552A (ko) 2022-11-25

Family

ID=7793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639A KR20220156552A (ko) 2020-03-31 2021-02-12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62073A1 (ko)
EP (1) EP4089033A4 (ko)
KR (1) KR20220156552A (ko)
CN (2) CN115103807A (ko)
AU (1) AU2021249752A1 (ko)
WO (1) WO2021199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5635B2 (en) * 2019-05-31 2024-04-0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container with handles
FR3113039A1 (fr) 2020-07-30 2022-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tériau de conditionnement d’article absorbant recycla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9552A (ja) 2017-09-25 2019-04-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積層材料で形成されたパッケー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495B2 (ja) * 1998-12-24 2000-10-30 恵和株式会社 積層袋
JP2004115118A (ja) * 2002-09-30 2004-04-15 Toppan Printing Co Ltd 紙パウチ包装体
JP4067457B2 (ja) * 2003-06-17 2008-03-26 大王製紙株式会社 携帯用紙おむつ包装体
JP2005096779A (ja) * 2003-09-22 2005-04-14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袋
US20060264858A1 (en) * 2005-05-20 2006-11-23 Roe Donald C Multi-functional training garment
JP2011006142A (ja) * 2009-05-29 2011-01-13 Kao Corp パンツ型着用物品の包装体
US9315296B2 (en) * 2013-12-19 2016-04-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ing for bulky articles with false side gusset
WO2017027683A1 (en) * 2015-08-13 2017-0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lted structure with graphics
AU2015101209A4 (en) * 2015-08-31 2015-10-08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Splittable outer packaging for absorbent personal care products.
JP6305385B2 (ja) * 2015-10-13 2018-04-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携帯用包装体
JP6859094B2 (ja) * 2016-12-22 2021-04-14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18163867A1 (ja) * 2017-03-10 2018-09-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包装体
AU2018294083A1 (en) * 2017-06-30 2019-12-19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article packaging body
JP2019112103A (ja) * 2017-12-22 2019-07-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7088700B2 (ja) * 2018-03-15 2022-06-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包装体のパッケージ
CN214679188U (zh) * 2018-03-15 2021-11-1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包装体及吸收性物品的包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9552A (ja) 2017-09-25 2019-04-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積層材料で形成されたパッケ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164073A (zh) 2024-06-11
WO2021199712A1 (ja) 2021-10-07
US20220362073A1 (en) 2022-11-17
EP4089033A1 (en) 2022-11-16
EP4089033A4 (en) 2023-08-16
CN115103807A (zh) 2022-09-23
AU2021249752A1 (en)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2073A1 (en) Accommodation body for absorbent article
US20110120897A1 (en) Diaper packaging
AU2011350913B2 (en) Absorbent article with integrated machine readable code
AU2004270048B2 (en)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aper
JP7029899B2 (ja) 吸収性物品
JP7309654B2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WO2021200656A1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7309653B2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7493980B2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7497195B2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WO2021199600A1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KR20210064202A (ko) 포장 시트 및 포장 흡수성 물품
JP2021160795A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5329893B2 (ja) 紙おむつ
JP2021160798A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2021160797A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CN114945348A (zh) 吸收性物品的独立包装体
JP2021153917A (ja) 包装材、包装面状物品、包装吸収性物品、及び個装方法
WO2017038638A1 (ja) 吸収性物品
WO2022255456A1 (ja) 吸収性物品の収容体
CN213993936U (zh) 吸收性物品包装体和吸收性物品包装体的包装
JP2023178125A (ja) 衛生物品の収容体、及び、衛生物品の収容体群
JP2023172761A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