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465A - 어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어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465A
KR20190136465A KR1020180062215A KR20180062215A KR20190136465A KR 20190136465 A KR20190136465 A KR 20190136465A KR 1020180062215 A KR1020180062215 A KR 1020180062215A KR 20180062215 A KR20180062215 A KR 20180062215A KR 20190136465 A KR20190136465 A KR 20190136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hot water
minutes
boi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778B1 (ko
Inventor
신수문
Original Assignee
신수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문 filed Critical 신수문
Priority to KR102018006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77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소스를 개발하여 사용하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는 어탕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어탕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탕 제조방법은 40리터의 물에 된장을 풀어 끓이는 단계와, 끓는 물에 생선 6~8kg을 넣고 푹 삶는 단계와, 삶아진 물고기를 으깨고 육수와 함께 거름망으로 걸러 뼈와 가시를 제거하는 단계와, 소스와 고추기름을 첨가하여 다시 가열하는 단계와, 끓기 시작하면 온수물을 보충하여 20~40분 동안 1차로 조리는 단계와, 다시 온수물을 보충하여 20~40분 동안 2차로 조리는 단계와, 추가로 온수물과 참기름과 염분을 첨가하고 추가로 온수물을 보충하고 15~30분간 3차로 조리는 단계와, 데친 야채를 넣고 작은 용기에 나눠 담은 다음 1~5분 동안 끓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탕 제조방법 {Process for Fish Soup}
본 발명은 어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태를 물에 불리서 들깨, 조미료, 후추와 정수물을 혼합하여 갈아서 만든 소스와 고추기름을 첨가하여 사용하므로, 고소한 맛을 내는 것이 가능하고, 소화 및 영양분의 흡수가 잘되며, 피부미용 및 노화예방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어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탕은 각종 민물고기에 여러 가지 야채를 넣고 끓인 탕으로, 예로부터 강을 끼고 있는 고장에서 많이 먹은 음식이다.
어탕은 깨끗이 씻은 민물고기(예를 들면, 가물치, 미꾸라지, 메기, 붕어 등)를 센불에서 푹 끓인 뒤에 통째로 갈아 체에 거른 뒤, 냄비에 담아 고추장과 된장으로 간을 맞춘 다음, 손질해 둔 야채, 매운 고추, 다진 마늘, 파를 넣고 센불에서 푹 끓인 뒤에 마지막으로 방아잎과 제피를 넣고 중간불에서 다시 살짝 끓여 먹는 음식이다.
상기에서 손질해 둔 야채로는 우거지, 토란대, 숙주, 부추 등을 뜨거운 물에 데쳐 준비하고, 미나리, 양파, 깻잎, 방아잎, 매운 고추 등을 썰어서 준비하여 사용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5060호, 제10-1227890호, 제10-1445097호, 제10-1526073호, 제10-1681809호, 제10-1736490호 등에는 어탕 및 어죽을 만드는 다양한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백태를 물에 불리서 들깨, 조미료, 후추와 정수물을 혼합하여 갈아서 만든 소스와 고추기름을 첨가하여 사용하므로, 고소한 맛을 내는 것이 가능하고, 소화 및 영양분의 흡수가 잘되며, 피부미용 및 노화예방에 탁월하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는 어탕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어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탕 제조방법은 40리터의 물에 된장을 풀어 끓이는 단계와, 끓는 물에 생선 6~8kg을 넣고 푹 삶는 단계와, 삶아진 물고기를 으깨고 육수와 함께 거름망으로 걸러 뼈와 가시를 제거하는 단계와, 소스와 고추기름을 첨가하여 다시 가열하는 단계와, 끓기 시작하면 온수물을 보충하여 20~40분 동안 1차로 조리는 단계와, 다시 온수물을 보충하여 20~40분 동안 2차로 조리는 단계와, 추가로 온수물과 참기름과 염분을 첨가하고 추가로 온수물을 보충하고 15~30분간 3차로 조리는 단계와, 데친 야채를 넣고 작은 용기에 나눠 담은 다음 1~5분 동안 끓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된장은 40리터의 물에 300~500g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푼다.
상기 생선을 넣고 푹 삶는 시간은 30~50분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 소스는 백태 1.6kg을 물에 5~7시간 정도 불린 다음, 들깨 400~600g과 조미료 800~1,000g, 후추 80~120g을 추가하고, 물과 함께 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 고추기름은 식용유 1.6kg에 고춧가루 400~600g을 혼합하여 프라이팬에 담아 5~15분 정도 저으면서 끓여서 제조한다.
상기 다시 가열하는 단계에서는 양파 3~5kg을 슬라이스하여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1차로 조리는 단계에서 보충하는 온수물의 양은 10~20리터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 2차로 조리는 단계에서 보충하는 온수물의 양은 8~12리터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 3차로 조리는 단계에서 보충하는 온수물의 양은 4~6리터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에서 사용하는 온수물은 70~100℃ 범위의 온도로 사용한다.
상기 3차로 조리는 단계에서 첨가하는 참기름의 양은 60~90ml이고, 염분으로는 소금 20~30ml를 사용한다.
상기 데친 야채로는 우거지, 무우청, 얼갈이 배추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친 야채는 8~12kg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넣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탕 제조방법에 의하면, 콩을 물에 불리고 갈아서 만든 소스를 사용하므로, 고소한 맛을 내는 것이 가능하고, 소화 및 영양분의 흡수가 잘되는 어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탕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추기름을 사용하여 매운 맛을 내므로, 생선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상한 향과 고소하며 감칠맛이 있는 매운 맛으로 인해 기초대사율을 높여 다이어트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효능이 함께 어우러져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 및 철분 등의 필수적인 영양소 공급에 매우 중요한 역할하며, 항암 효과, 성인병 예방, 골다공증 예방, 피부 미용 및 노화 방지, 피로 회복, 치매 예방과 두뇌 발달, 변비 예방 등 웰빙 건강식품으로 애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탕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탕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탕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끓이기단계(S10)와, 생선삶기단계(S20)와, 가시제거단계(S30)와, 재가열단계(S40)와, 1차조림단계(S50)와, 2차조림단계(S60)와, 3차조림단계(S70)와, 최종가열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끓이기단계(S10)에서는 40리터의 물에 된장을 풀어 끓인다.
상기에서 된장은 40리터의 물에 300~500g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푼다.
상기에서 된장은 재래식 된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선삶기단계(S20)에서는 끓는 물에 생선 6~8kg을 넣고 푹 삶는다.
상기에서 생선을 넣고 푹 삶는 시간은 30~50분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 생선으로는 가물치, 미꾸라지, 메기, 장어, 붕어 등의 민물고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시제거단계(S30)에서는 삶아진 물고기를 으깨고 육수와 함께 거름망으로 걸러 뼈와 가시를 제거한다.
상기에서 생선이 푹 삶아지면, 삶아진 생선을 먼저 건져서 방망이 등으로 두드리거나 찧어서 으깬다.
상기와 같이 으깬 생선을 거름망에 넣고 육수를 부어 살과 육수를 아래쪽으로 모으고, 거름망에 가시와 뼈가 걸리도록 하여 제거한다.
상기에서 거르는 과정은 두번에 걸쳐 행하여 최대한 가시와 뼈를 걸러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거름망은 1차로 구멍이 큰 거름망을 사용한 다음, 2차로 구멍이 작은 거름망을 사용하여 물고기 살과 뼈를 분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가열단계(S40)에서는 뼈와 가시를 제거한 육수와 생선 살에 소스와 고추기름을 첨가하여 다시 가열한다.
상기 소스는 백태 1.6kg을 물에 5~7시간 정도 불린 다음, 들깨 400~600g과 조미료 800~1,000g, 후추 80~120g을 추가하고, 정수물과 함께 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물은 분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양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백태는 따뜻한 물(예를 들면, 35~60℃의 물)에 완전히 침지시킨 상태에서 불리는 것이 암을 억제하는 BBI(Bowman-Birk Protease Inhibitor) 성분이 많이 생성되므로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콩(백태)은 영양가가 많고 식물성 단백질도 많지만, 소화흡수율이 낮은 편이다.
상기에서 백태를 따뜻한 물에 불리고 갈은 다음, 끓여 먹으면, 소화도 잘 되고 영양분의 흡수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들깨는 항암효과, 성인병 예방, 피부미용 및 노화예방, 변비예방, 치매예방 및 두뇌발달에 효능이 있는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들깨에는 불용성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몸속에서 식이섬유가 발암물질과 결합하여 몸밖으로 배출시키므로, 발암물질을 최소화하는 항암효과가 있다.
상기 들깨에 함유된 리놀산은 불포화지방산으로 혈관 속에 콜레스테롤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므로,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혈관의 노화를 예방하고, 각종 성인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
상기 들깨에 풍부하게 함유된 감마토코페롤은 항산화 작용을 하므로, 피부의 노화를 예방하고,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푸석푸석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를 깨끗하고 맑게 해주고 항산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노화예방에 효능이 있다.
상기 들깨에 풍부하게 함유된 리놀렌산은 뇌에 있는 신경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켜 치매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어린이들의 두뇌발달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조미료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복합조미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양한 성분을 조합하여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후추는 항염효과와 소화촉진효과가 있으며, 심혈관질환과 당뇨합병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후추에 함유된 피페린은 염증발생 물질의 억제 효과가 있으며, 염증 때문에 발생하는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후추에 함유된 피페린은 항산화 작용을 하므로, 암세포의 증식과 생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후추에 함유된 피페린은 비만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약화시키는 효과와, 비만을 유발하는 유전자 활동을 방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비만 해소에 도움이 된다.
상기 후추는 혀의 미뢰를 자극시켜 위산의 분비를 촉진시키므로, 소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후추에 함유된 피페린은 혈액 속에 코큐텐이 증가하도록 기능하는데, 코큐텐은 혈관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기능을 하므로, 후추를 섭취하면 코큐텐이 증가하여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후추는 단백질의 당화결합 때문에 생성된 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당뇨합병증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
상기 후추에는 모노텔펜 성분의 향이 있어, 뇌의 활동을 활성화시키므로, 집중력의 향상을 비롯한 뇌의 기능 강화에 도움이 된다.
상기 고추기름은 식용유 1.6kg에 고춧가루 400~600g을 혼합하여 프라이팬에 담아 5~15분 정도 저으면서 끓여서 제조한다.
상기 고추기름을 고상한 향과 고소하며 감칠맛이 있는 매운 맛을 내므로, 생선의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고춧가루에 함유된 캡사이신은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단백질의 소화를 도우며, 기초대사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캡사이신은 유기물질로 물에 잘녹지 않고 기름에 녹는다.
따라서 고춧가루를 식용유와 함께 혼합하여 볶으면, 캡사이신이 유기물질로 기름에 녹으므로, 캡사이신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재가열단계(S40)에서는 양파 3~5kg을 슬라이스하여 더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재가열단계(S40)에는 양파 이외에도 마늘이나 고추 등의 다양한 양념을 추가로 더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재가열단계(S40)부터는 육수가 끓을 때까지는 생선 살이나 재료들이 바닥에 눌어 붙지 않도록 주걱으로 계속 저으면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조림단계(S50)에서는 육수가 끓기 시작하면 온수물을 보충하여 20~40분 동안 1차로 조린다.
상기에서 사용하는 온수물은 70~100℃ 범위의 온도로 사용한다.
상기 1차조림단계(S50)에서 보충하는 온수물의 양은 10~20리터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 2차조림단계(S60)에서는 1차로 조린 상태에서 다시 온수물을 보충하여 20~40분 동안 2차로 조린다.
상기에서 사용하는 온수물은 70~100℃ 범위의 온도로 사용한다.
상기 2차조림단계(S60)에서 보충하는 온수물의 양은 8~12리터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 3차조림단계(S70)에서는 2차로 조린 상태에서 추가로 온수물과 참기름과 염분을 첨가하고, 추가로 온수물을 보충하고 15~30분간 3차로 조린다.
상기에서 사용하는 온수물은 70~100℃ 범위의 온도로 사용한다.
상기 3차조림단계(S70)에서 보충하는 온수물의 양은 4~6리터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 3차조림단계(S70)에서 첨가하는 참기름의 양은 60~90ml이고, 염분으로는 소금 20~30ml를 사용한다.
상기 최종가열단계(S80)에서는 3차로 조린 상태에서 데친 야채를 넣고, 이를 작은 용기에 나눠 담은 다음 1~5분 동안 끓여 고객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데친 야채를 넣은 다음, 육수와 생선 살과 함께 데친 야채를 고르게 혼합하여 600g씩 뚝배기에 담아 1~5분 동안 끓여서 고객에게 제공한다.
상기 데친 야채로는 우거지, 무우청, 얼갈이 배추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친 야채는 8~12kg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넣는다.
상기와 같이 야채를 데쳐서 사용하면, 영양소의 흡수율이 증가하고, 섭취시 부드럽게 목 및 식도를 넘어가며, 속이 편해진다.
상기에서 야채를 데쳐서 섭취하면, 생야채에 비하여 양이 4분의 1로 감소하여 더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게 되어 소화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탕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S10 - 물끓이기단계
S20 - 생선삶기단계
S30 - 가시제거단계
S40 - 재가열단계
S50 - 1차조림단계
S60 - 2차조림단계
S70 - 3차조림단계
S80 - 최종가열단계

Claims (5)

  1. 40리터의 물에 된장 300~500g을 풀어 끓이는 단계와,
    끓는 물에 생선 6~8kg을 넣고 30~50분 동안 푹 삶는 단계와,
    삶아진 물고기를 으깨고 육수와 함께 거름망으로 걸러 뼈와 가시를 제거하는 단계와,
    소스와 고추기름을 첨가하여 다시 가열하는 단계와,
    끓기 시작하면 온수물을 보충하여 20~40분 동안 1차로 조리는 단계와,
    다시 온수물을 보충하여 20~40분 동안 2차로 조리는 단계와,
    추가로 온수물과 참기름 60~90ml과 염분으로 소금 20~30ml을 첨가하고 추가로 온수물을 보충하고 15~30분간 3차로 조리는 단계와,
    데친 야채 8~12kg를 넣고 작은 용기에 나눠 담은 다음 1~5분 동안 끓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탕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스는 백태 1.6kg을 물에 5~7시간 정도 불린 다음, 들깨 400~600g과 조미료 800~1,000g, 후추 80~120g을 추가하고, 정수물과 함께 분쇄하여 사용하고,
    상기 고추기름은 식용유 1.6kg에 고춧가루 400~600g을 혼합하여 프라이팬에 담아 5~15분 정도 저으면서 끓여서 제조하는 어탕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시 가열하는 단계에서는 양파 3~5kg을 슬라이스하여 첨가하는 어탕 제조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로 조리는 단계에서 보충하는 온수물의 양은 10~20리터이고,
    상기 2차로 조리는 단계에서 보충하는 온수물의 양은 8~12리터이고,
    상기 3차로 조리는 단계에서 보충하는 온수물의 양은 4~6리터이고,
    상기 온수물의 온도는 70~100℃인 어탕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친 야채로는 우거지, 무우청, 얼갈이 배추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어탕 제조방법.
KR1020180062215A 2018-05-30 2018-05-30 어탕 제조방법 KR10209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215A KR102093778B1 (ko) 2018-05-30 2018-05-30 어탕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215A KR102093778B1 (ko) 2018-05-30 2018-05-30 어탕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465A true KR20190136465A (ko) 2019-12-10
KR102093778B1 KR102093778B1 (ko) 2020-03-26

Family

ID=6900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215A KR102093778B1 (ko) 2018-05-30 2018-05-30 어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242B1 (ko) * 2020-12-28 2021-08-20 류일숙 어탕육수 제조방법 및 어탕육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083B1 (ko) * 2020-05-29 2021-02-19 김재균 장어탕 육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장어탕 육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066B1 (ko) * 2008-12-23 2009-11-13 강태권 아귀추어탕
KR20150025678A (ko) * 2013-08-30 2015-03-11 배성국 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KR101571267B1 (ko) * 2015-04-13 2015-11-23 노연호 추어매운탕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066B1 (ko) * 2008-12-23 2009-11-13 강태권 아귀추어탕
KR20150025678A (ko) * 2013-08-30 2015-03-11 배성국 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KR101571267B1 (ko) * 2015-04-13 2015-11-23 노연호 추어매운탕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blog.naver.com/kwonaya506/221010541493(2017.05.21.)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242B1 (ko) * 2020-12-28 2021-08-20 류일숙 어탕육수 제조방법 및 어탕육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778B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807B1 (ko) 소고기 선지 해장국의 제조방법
CN108835587B (zh) 一种食品调味酱料的制备方法
KR101816822B1 (ko) 피쉬 소스를 이용한 갈비탕의 제조방법
KR102197398B1 (ko) 스팀찜기를 이용한 닭요리의 제조방법
KR102058193B1 (ko) 물닭갈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물닭갈비
KR101874891B1 (ko) 시래기 소내장탕 제조방법
KR101564177B1 (ko) 불향주꾸미 볶음 및 그 제조방법
KR102093778B1 (ko) 어탕 제조방법
CN102326761B (zh) 一种用于牛排的麻辣汁及制备方法
KR101901155B1 (ko) 장어탕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장어탕
CN109567052A (zh) 一种泡椒牛蛙的制备方法
KR101921331B1 (ko) 대마씨를 함유한 육개장 칼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2464708B1 (ko) 라멘용 육수의 제조방법
CN105166963A (zh) 一种麻辣兔肉的制作方法
JP3008109B1 (ja) 鴨肉捏ね
KR102056005B1 (ko) 추어튀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추어튀김
KR101974210B1 (ko) 카레 불 닭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9938B1 (ko) 꼬막을 이용한 식재료 제조방법
KR101196939B1 (ko) 약선 닭육수로 만든 테린을 곁들인 장군차 수제비 제조방법
KR20210006699A (ko) 김치 순댓국 제조 방법
KR102307084B1 (ko) 꼬막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꼬막 소스
KR102109507B1 (ko) 막장 닭갈비 및 그 제조방법
KR102509701B1 (ko) 샬롯 및 치킨스톡을 이용한 오리 소스 제조방법
KR101645358B1 (ko) 매실청을 이용한 간장낙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20686B1 (ko)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