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686B1 -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0686B1 KR101620686B1 KR1020140047931A KR20140047931A KR101620686B1 KR 101620686 B1 KR101620686 B1 KR 101620686B1 KR 1020140047931 A KR1020140047931 A KR 1020140047931A KR 20140047931 A KR20140047931 A KR 20140047931A KR 101620686 B1 KR101620686 B1 KR 101620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powder
- dried
- brown
- clam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20639 clam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16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13717 Houttuynia Nutrition 0.000 title 1
- 240000000691 Houttuynia cordata Species 0.000 title 1
- 235000013719 Houttuynia cordata Nutrition 0.000 title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41000534017 Saururus chinens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0599 Lentinula edod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722281 Sauru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5147 Syzygium aromat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6639 Syzygium aromat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40102051 Clean and Clear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4658 Medicago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7585 alfalf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7587 alfalf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2243 Daucus carota subsp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1715 Lentinula edod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51730 Chondrichthyes Species 0.000 claims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2
- 240000004229 Croc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5655 Crocus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0716 Vigna mungo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3974 saffron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4248 saffr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050 nutritiv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8935 nutritiou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588 toxic Effects 0.000 abstract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237519 Bivalv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278 Egg Sh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116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4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94 poultry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EBVLXFERQHONN-UHFFFAOYSA-N Bupivacaine Chemical compound CCCCN1CCCCC1C(=O)NC1=C(C)C=CC=C1C LEBVLXFERQH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149724 Cololabis adoce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436 Echinochloa crus-gal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542 OTHER NUTRIENTS in ATC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670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453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50 Tilia cord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909 Tilia x europa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96 anti-anti-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50 bupivac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4 essential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52 protein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670 sulf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Abstract
본 발명은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지락의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는 상태로 손질한 바지락을 통해 죽을 제조하는데, 상기 죽에 바지락 이외에 오색현미, 삼백초, 수삼, 녹두 및 건조야채 등이 첨가됨으로써, 삼백초, 오색현미, 건조야채에 함유된 풍부한 여러 영양성분들을 섭취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건강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바지락의 특유한 비릿한 냄새를 수삼과 녹두 등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맛과 향이 높아지고, 바지락과 쌀을 혼합한 바지락 죽은 담백하고 영양이 풍부하여 알콜 해독에 효과가 크고 간장 보호에 유익한 영양식이고, 종래의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죽염 또는 청초염을 사용함으로써, 천연식품으로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비릿한 냄새가 없으므로 어린이, 노약자, 환자들의 영양식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지락의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는 상태로 손질한 바지락을 통해 죽을 제조하는데, 상기 죽에 바지락 이외에 오색현미, 삼백초(뿌리를 제외한 잎과 줄기), 수삼, 녹두 및 건조야채 등이 첨가됨으로써, 삼백초, 오색현미, 건조야채에 함유된 풍부한 여러 영양성분들을 섭취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건강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바지락의 특유한 비릿한 냄새를 수삼과 녹두 등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맛과 향이 높아지고, 바지락과 쌀을 혼합한 바지락 죽은 담백하고 영양이 풍부하여 알콜 해독에 효과가 크고 간장 보호에 유익한 영양식이고, 종래의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죽염 또는 청초염을 사용함으로써, 천연식품으로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비릿한 냄새가 없으므로 어린이, 노약자, 환자들의 영양식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백미)에는 열량원이 되는 당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지만, 식물섬유, 무기질, 비타민 등의 필수 영양소 함유량이 부족하여 영양학적으로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는 국민건강에 많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바지락죽은 해독을 풀어주고 갈증을 멎게 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며 또한 바지락에는 다양한 비타민이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간 보호기능, 숙취해소기능, 해독작용, 기 보강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바지락 영양성분은 인체 내에서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종전에 바지락은 주로 국수의 부재료, 미역국의 부재료, 무침, 젓갈 등의 형태로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바지락의 특유한 비린 냄새 및 대량 식용화가 곤란하여 상시 사용가능한 영양식으로 제품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죽은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밥의 대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으로서 내장 기능 조절 및 갈증해소 효과, 체질개선 및 체력 증강효과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이뇨작용 및 체중 완화에도 효과가 있어 다른 식품의 소화, 흡수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죽은 임산부, 환자, 어린이, 노약자들에게 많이 섭취되고 있는 식품이다.
바지락은 된장이나 순두부 찌게 등에 첨가식품으로 넣어 다른 음식에 부수적으로 맛을 내는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고온 가열 조리과정에서 영양소가 많이 파괴되면서 바지락 특유의 맛과 향이 없어진다. 바지락을 이용한 죽은 예를 들면 알바지락에, 시금치 데친 것, 당근, 다시마물, 불린 쌀, 달걀, 참기름, 깨소금 등의 양념첨가물을 배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법으로 제조한 바지락 죽은 바지락을 접할 기회가 적은 일반인들에는 바지락의 독특한 향(비린내 등)에 적응하지 못하여 거부감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시사용 가능한 식품으로 제품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바지락을 이용한 죽의 제조방법은 고온 고압 처리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졌다. 그러나 바지락을 고온고압처리 하면 바지락의 전처리 단계에서 바지락의 단백질성분이나 기타 영양성분이 변성을 가져오고, 바지락의 조직이 연화되고 특수성의 맛이 파괴되고 바지락과 기타 양념재료 등과 죽의 액체 부분이 분리되어 혼합 (이액분리)의 현상이 나타나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어서 제품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 외에, 쌀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상온의 맑은 물에 완전히 침지시킨 상태로 24시간 동안 유지시켜 불린 쌀을, 바지락 조개를 100℃이하의 끓는 물에 넣고 삶은 후 건져내어 껍질을 분리시켜 얻은 패육과 혼합한 다음 끓는 상태로 잘 저어주면서 가열 조리하여 바지락 죽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여기에서는 쌀을 상온에서 24시간 정도의 장시간 동안 불리면 쌀 속에 함유된 영양성분들이 상당히 파괴되어 버리며, 또한 바지락을 고온 처리하는 과정에서 바지락 영양성분이 파괴되어 버려 바지락 죽의 섭취에 따른 풍부한 영양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바지락의 비릿한 냄새 때문에 거부감을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바지락의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는 상태로 손질한 바지락을 통해 죽을 제조하는데, 상기 죽에 바지락 이외에 오색현미, 삼백초, 수삼, 녹두 및 건조야채 등이 첨가됨으로써, 삼백초, 오색현미, 건조야채에 함유된 풍부한 여러 영양성분들을 섭취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건강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바지락의 특유한 비릿한 냄새를 수삼과 녹두 등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맛과 향이 높아지는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바지락과 쌀을 혼합한 바지락 죽은 담백하고 영양이 풍부하여 알콜 해독에 효과가 크고 간장 보호에 유익한 영양식이고, 종래의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죽염 또는 청초염을 사용함으로써, 천연식품으로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비릿한 냄새가 없으므로 어린이, 노약자, 환자들의 영양식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백미와 오색현미를 여러번 세수하여 따로 찬물에 30분 ~ 1시간 불린 백미 및 불린 오색현미와;
상기 불린 오색현미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분쇄 오색현미와;
건조한 삼백초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삼백초분말과;
청결하게 정선하여 해감한 알바지락과;
상기 알바지락 이외의 바지락 껍질과 물을 30분 ~ 1시간 가열하여 물을 증류시킨 바지락 육수와;
수삼을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수삼분말과;
녹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00℃ 이상 끓는 물에 찬물에 30분 ~ 1시간 불린 백미와, 불린 오색현미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분쇄 오색현미와, 녹두와, 건조한 당근과, 건조한 표고버섯 및 참기름을 넣고 12 ~ 15분 저어주면서 끓인 다음,
삼백초분말과, 숙성처리한 알바지락과, 비린내를 제거할 수삼분말과, 파와, 마늘과, 죽염 또는 청초염 및 기호용 기타야채를 넣고 4 ~ 5분간 더 끓여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은 바지락의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는 상태로 손질한 바지락을 통해 죽을 제조하는데, 상기 죽에 바지락 이외에 오색현미, 삼백초, 수삼, 녹두 및 건조야채 등이 첨가됨으로써, 삼백초, 오색현미, 건조야채에 함유된 풍부한 여러 영양성분들을 섭취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건강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바지락의 특유한 비릿한 냄새를 수삼과 녹두 등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맛과 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지락과 쌀을 혼합한 바지락 죽은 담백하고 영양이 풍부하여 알콜 해독에 효과가 크고 간장 보호에 유익한 영양식이고, 종래의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죽염 또는 청초염을 사용함으로써, 천연식품으로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비릿한 냄새가 없으므로 어린이, 노약자, 환자들의 영양식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백미와 오색현미를 여러번 세수하여 따로 찬물에 30분 ~ 1시간 불린 백미 및 불린 오색현미와;
상기 불린 오색현미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분쇄 오색현미와;
건조한 삼백초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삼백초분말과;
청결하게 정선하여 해감한 알바지락과;
상기 알바지락 이외의 바지락 껍질과 물을 30분 ~ 1시간 가열하여 물을 증류시킨 바지락 육수와;
수삼을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수삼분말과;
녹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00℃ 이상 끓는 물에 찬물에 30분 ~ 1시간 불린 백미와, 불린 오색현미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분쇄 오색현미와, 녹두와, 건조한 당근과, 건조한 표고버섯 및 참기름을 넣고 12 ~ 15분 저어주면서 끓인 다음,
삼백초분말과, 숙성처리한 알바지락과, 비린내를 제거할 수삼분말과, 파와, 마늘과, 죽염 또는 청초염 및 기호용 기타야채를 넣고 4 ~ 5분간 더 끓여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은 상기 불린 백미 45 ~ 55 중량%, 분쇄한 오색현미 5 ~ 10 중량%, 삼백초분말 0.5 ~ 1 중량%, 알바지락 10 ~ 15 중량%, 바지락육수 5 ~ 7 중량%, 수삼분말 10 ~ 12 중량%, 녹두 5 ~ 10 중량%, 건조야채 6 ~ 10 중량%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삼백초는 뿌리를 제외한 잎과 줄기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오색현미는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5 ~ 10 중량% 사용하는데, 상기 오색현미를 5 중량% 이하로 사용하면 발아현미의 작용효과가 미약하고, 10 중량% 이상으로 사용하면 죽의 색변화가 강하고 죽의 부드러움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오색현미는 단백질, 지방, 무기질, 인, 칼슘, 철, 비타민 B1,B2,E가 풍부하여 황산화작용, 노화방지, 질병예방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오색현미는 현미에 5색이 형성된 각각의 현미의 종류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현미와, 적토미, 녹미, 향찰미, 흑미로 일컬어지는 5색의 현미가 혼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오색현미는 현미에 5색이 형성된 각각의 현미의 종류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현미와, 적토미, 녹미, 향찰미, 흑미로 일컬어지는 5색의 현미가 혼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삼백초분말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5 ~ 1 중량% 사용하는데, 상기 삼백초분말을 0.5 중량% 이하로 사용하면 삼백초의 작용효과가 미약하고, 1 중량% 이상으로 사용하면 삼백초의 맛이 강하여 죽의 맛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삼백초는 해독작용, 부패, 변패를 막아주어 죽의 유통기한이 연장되고, 항암효과, 콜레스테롤 감소, 당뇨,혈압조절 등의 효능이 탁월하다.
여기서, 상기 알바지락은 청결하게 정선하여 해감한 알바지락으로써,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10 ~ 15 중량% 사용하는데, 상기 알바지락을 10 중량% 이하로 사용하면 바지락 맛이 떨어지는 등 바지락 첨가에 따른 작용효과가 미약하고, 또한 15 중량% 이상으로 사용하면 바지락의 비린 냄새가 증가하고 죽제품으로서 기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바지락 육수는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5 ~ 7 중량% 사용하는데, 상기 바지락 육수를 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육수의 맛과 작용효과가 미약하고, 7 중량% 이상 사용하면 바지락의 비린 냄새가 증가하고 죽제품으로서 기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삼은 보양강장, 원기회복, 소화기능 촉진 및 콜레스테롤 저하 등 성인병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수삼을 첨가한 바지락 죽을 섭취하게 되면 수삼 섭취에 따른 영양 및 보양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수삼은 바지락의 비린 냄새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어 바지락 죽의 맛과 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삼분말은 쌀죽을 12 ~ 15분 끓여준 다음에 첨가하는데, 수삼분말을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지락의 비릿한 취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으며, 또한 12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죽의 색이 변하거나 수삼의 향이 너무 강하여 쓴 맛이 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녹두는 몸에 쌓인 노폐물을 해독하며 열을 내리고 식욕을 증진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필수아미노산과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소화를 돕고 배뇨작용 및 소취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죽 조성물은 녹두를 5 내지 10 중량% 사용한다. 녹두를 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녹두 첨가에 따른 소취 및 영양효과가 미약하고 또한 10 중량% 이상 사용하면 첨가량 증가에 따른 더 이상의 효과증가를 기대할 수 없다.
한편, 상기 바지락 죽 조성물에는 건조한 당근, 건조한 표고버섯, 참기름, 파, 마늘, 죽염, 청초염 중 선택적으로 1종 또는 그 이상이 추가 첨가물로 구성되는데, 상기 건조한 당근 3 ~ 5 중량%, 건조한 표고버섯 3 ~ 5 중량%, 참기름 2.7 ~ 5 중량%, 파 0.3 ~ 0.5 중량%, 마늘 0.3 ~ 0.5 중량%, 죽염 또는 청초염 0.2 ~ 0.5 중량%가 첨가된다. 이때, 상기 첨가물들의 중량%는 개개인의 기호에 맞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지락 죽 조성물을 가지고 죽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제조방법은 우선, 백미와 오색현미를 여러번 세수하여 따로 찬물에 30분 ~ 1시간 불린 백미와; 상기 불린 오색현미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분쇄 오색현미와; 녹두와; 건조 처리한 당근과, 건조 처리한 표고버섯 및 참기름을 넣고 12 ~ 15분 정도 가열하는데, 이때, 죽이 타거나 늘어붙지 않도록 죽을 저어주면서 끓여준다.(제 1 단계)
그런 다음, 건조한 삼백초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삼백초분말과; 청결하게 정선하여 해감한 알바지락과; 상기 알바지락 이외의 바지락 껍질과 물을 30분 ~ 1시간 가열하여 물을 증류시킨 바지락 육수와; 수삼을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수삼분말과; 파와, 마늘과, 죽염 또는 청초염 및 기호용 기타 야채를 넣고 4 ~ 5분간 더 끓여서 죽이 완성된다.(제 2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바지락 죽은 내열성 포장재에 일정량씩 담아 밀봉하고 레토르트 살균기로 115 ~ 120℃에서 20 내지 40분간 가압 살균하여 즉석 바지락 죽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지락 죽은 바지락의 고유하고 담백한 맛, 영양과 미각을 즐길 수 있으며, 상온에서 6개월 이상 저장이 가능하며, 더운 물 또는 전자렌지에서 짧은 시간(1분 내지 5분) 가열하여도 곧바로 시식할 수 있고, 또한 일반 대중 음식점을 찾지 않고 일반 가정이나 여행 중에도 먹을 수 있는 간편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죽은 일체의 조미료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바지락의 비릿한 냄새를 전혀 느낄 수 없어, 특히 임산부, 환자, 어린이, 노약자들의 영양식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인들의 영양식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약간의 식염이나 향신료를 적절히 첨가하여 취식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쌀(백미)을 깨끗이 수세하여 5℃의 찬물에 30분간 담가 불려 체를 이용하여 탈수하여 불린 쌀을 얻는다. 똑같은 방법으로 불린 오색현미를 믹서에 넣고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하여 분쇄된 오색현미를 얻는다. 청결하게 정선하여 해감한 바지락을 생산한 후, 물과 바지락 껍질을 70℃ 정도로 40분간 가열하여 물을 증류시켜 남은 바지락 육수를 제조한다. 싱싱한 수삼을 믹서에 넣고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하여 수삼분말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제조된 불린 쌀 50 중량%와 분쇄한 오색현미 10 중량%와 녹두 5 중량%와 자연건조야채(표고버섯 5 중량%, 당근 5 중량%)를 솥에 넣고 80 ~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반숙의 죽을 제조한다. 이때, 참기름 5 중량%도 넣고 끓여준다.
그렇게 반숙된 죽에 삼백초분말 1 중량%와 바지락 육수 5 중량%와, 분쇄한 수삼분말 10 중량%를 넣고 100 ~ 150℃까지 가열하여 바지락 죽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바지락 죽에 죽염 0.5 중량%, 파 0.3 중량%, 마늘 0.3 중량%를 넣고 4 ~ 5분 이상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바지락 죽을 제조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바지락 죽에 청초염(삼백초 천일염) 0.5 중량%, 파 0.5 중량%, 마늘 0.5 중량%를 넣고 4 ~ 5분 이상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바지락 죽을 제조한다.
(비교예 1)
쌀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맑은 물에 완전히 침지시킨 상태로 24시간 동안 유지시켜 불린 쌀을 얻는다. 한편 바지락 조개를 100℃ 정도의 끓는 물에 넣고 삶은 후 건져내어 껍질을 분리시켜 패육을 얻었다, 상기 불린 쌀 800g과 패육 200g을 혼합한 다음 끓는 상태로 잘 저어주면서 15분간 가열 조리하여 바지락 흰죽을 제조한다.
(시험예 1)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바지락 죽을 맛에 민감한 남녀 30명씩에게 섭취시켜 5점 척도법에 따라 관능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 표와 같이 나타났다.
(5점 척도법)
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
비린 냄새제거 | 담백한 맛,향 | 저장성 | 영양성 | 전체적인 관능 | |
실시예 1 | 4.3 | 4.6 | 4.7 | 4.4 | 4.5 |
실시예 2 | 4.5 | 4.5 | 4.6 | 4.7 | 4.575 |
실시예 3 | 4.7 | 4.5 | 4.6 | 4.6 | 4.6 |
비교예 1 | 1.8 | 2.8 | 4.0 | 2.5 | 2.775 |
상기 표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3의 바지락 죽은 비교예 1의 바지락 죽에 비하여 냄새 제거, 담백한 맛과 향, 영양성이 훨씬 우수하고 또한 전체적인 관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1의 바지락 죽은 쌀을 24시간의 장시간 불리기 때문에 쌀 속에 함유된 영양성분이 변질 또는 파괴되어 버릴 수 있고 또한 바지락을 100℃의 고온에서 전처리하는 과정에서 영양성분이 파괴되어 버려 영양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
Claims (5)
- 백미와 오색현미를 여러번 세수하여 따로 찬물에 30분 ~ 1시간 불린 백미 및 불린 오색현미와;
상기 불린 오색현미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분쇄 오색현미와;
건조한 삼백초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삼백초분말과;
청결하게 정선하여 해감한 알바지락과;
상기 알바지락 이외의 바지락 껍질과 물을 30분 ~ 1시간 가열하여 물을 증류시킨 바지락 육수와;
수삼을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수삼분말과;
녹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린 백미 45 ~ 55 중량%, 분쇄한 오색현미 5 ~ 10 중량%, 삼백초분말 0.5 ~ 1 중량%, 알바지락 10 ~ 15 중량%, 바지락육수 5 ~ 7 중량%, 수삼분말 10 ~ 15 중량%, 녹두 5 ~ 1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락 죽 조성물에는 건조한 당근, 건조한 표고버섯, 참기름, 파, 마늘, 죽염, 청초염 중 선택적으로 1종 또는 그 이상이 추가 첨가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 100℃ 이상 끓는 물에 찬물에 30분 ~ 1시간 불린 백미와, 불린 오색현미를 가식 가능한 크기로 분쇄한 분쇄 오색현미와, 녹두와, 건조한 당근과, 건조한 표고버섯 및 참기름을 넣고 12 ~ 15분 저어주면서 끓인 다음,
삼백초분말과, 해감한 알바지락과, 비린내를 제거할 수삼분말과, 파와, 마늘과, 죽염 또는 청초염를 넣고 4 ~ 5분간 더 끓여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제조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락 죽은 백미 45 ~ 55 중량%, 분쇄한 오색현미 5 ~ 10 중량%, 녹두 5 ~ 10 중량%, 건조한 당근 3 ~ 5 중량%, 건조한 표고버섯 3 ~ 5 중량%, 참기름 2.7 ~ 5 중량% 삼백초분말 0.5 ~ 1 중량%, 알바지락 10 ~ 15 중량%, 바지락육수 5 ~ 7 중량%, 수삼분말 10 ~ 15 중량%, 파 0.3 ~ 0.5 중량%, 마늘 0.3 ~ 0.5 중량%, 죽염 또는 청초염 0.2 ~ 0.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7931A KR101620686B1 (ko) | 2014-04-22 | 2014-04-22 |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7931A KR101620686B1 (ko) | 2014-04-22 | 2014-04-22 |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1850A KR20150121850A (ko) | 2015-10-30 |
KR101620686B1 true KR101620686B1 (ko) | 2016-05-12 |
Family
ID=5443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7931A KR101620686B1 (ko) | 2014-04-22 | 2014-04-22 |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06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0637B1 (ko) * | 2016-02-26 | 2017-02-13 | 주식회사 선마린바이오테크 | 해삼죽 통조림의 제조방법 |
-
2014
- 2014-04-22 KR KR1020140047931A patent/KR101620686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http://blog.daum.net/yes12345/6214738(2008.08.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1850A (ko) | 2015-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613537A (zh) | 一种麻辣香菇猪肉酱及其制备方法 | |
KR101561869B1 (ko) | 갈비탕 제조방법 | |
KR100883639B1 (ko) | 닭두루치기 또는 닭도리탕용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이용한 닭두루치기의 조리방법 | |
KR100959559B1 (ko) | 추어 분말이 함유된 추어 카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121738B1 (ko) | 김치의 제조 방법 | |
KR102062523B1 (ko) | 고추다대기 제조방법 | |
KR101644935B1 (ko) | 오리 닭발 곰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리 닭발 곰탕 | |
JP2003274908A (ja) | ポタージュス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620686B1 (ko) | 삼백초와 오색현미가 첨가된 바지락 죽 조성물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 |
KR101603750B1 (ko) | 냉면 육수 제조방법 | |
KR101974210B1 (ko) | 카레 불 닭발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695654B1 (ko) | 고추장 굴비의 제조 방법 및 고추장 굴비 | |
KR20130057857A (ko) | 찹쌀 순대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찹쌀 순대 | |
KR100630477B1 (ko) | 부대찌개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56005B1 (ko) | 추어튀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추어튀김 | |
KR100667922B1 (ko) | 산채가 함유된 된장의 제조방법 | |
KR101695303B1 (ko) | 숙성된 굴 및 새우를 이용한 매콤한 크림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04431932B (zh) | 一种调料罐头及其制作方法以及采用该调料罐头的火锅面 | |
KR20040034639A (ko) | 추어요리방법 | |
KR102410710B1 (ko) | 간장 찜닭 제조방법 | |
KR100769886B1 (ko) | 황태조미무침 | |
KR101158733B1 (ko) |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 | |
KR102372301B1 (ko) | 전복밥의 제조방법 | |
KR100665224B1 (ko) | 바지락죽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972396B1 (ko) | 해초 죽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