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215A - 탄성 크롤러 - Google Patents

탄성 크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215A
KR20190128215A KR1020197030542A KR20197030542A KR20190128215A KR 20190128215 A KR20190128215 A KR 20190128215A KR 1020197030542 A KR1020197030542 A KR 1020197030542A KR 20197030542 A KR20197030542 A KR 20197030542A KR 20190128215 A KR20190128215 A KR 20190128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wler
core metal
core
width direction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무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19012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44Moulded in one piece, with either smooth surfaces or surfaces having projections, e.g. incorporating reinfor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53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having elements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cables or 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탄성 크롤러를 제공한다. 탄성 크롤러(1A)는, 무단형의 크롤러 본체(2)와, 크롤러 본체(2)의 내부에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크롤러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코어 금속(3)과, 크롤러 본체의 외주면(2a)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돌기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코어 금속(3)의 상호간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4)과, 크롤러 본체의 외주면(2a)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돌기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 각각과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탄성 크롤러
본 발명은 탄성 크롤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탄성 크롤러에는, 무단형의 크롤러 본체의 내부에,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크롤러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코어 금속을 매설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탄성 크롤러에서는, 상기 코어 금속은, 크롤러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시킨 고무 돌기를 피하도록, 당해 고무 돌기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상호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기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손실없이 전달하고, 진동의 억제도 기대된다.
국제 공개 제2012/039431호
그러나, 본원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이러한 종래의 탄성 크롤러라도, 탄성 크롤러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강성이 불균일하다는 점에서, 진동의 억제에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탄성 크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 크롤러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무단형의 크롤러 본체와, 상기 크롤러 본체의 내부에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크롤러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코어 금속과, 상기 크롤러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돌기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어 금속의 상호간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과, 상기 크롤러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돌기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어 금속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각각과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 크롤러에 따르면,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 크롤러에서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의 일부는, 적어도 상기 크롤러 본체의 크롤러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 크롤러에서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은, 크롤러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 크롤러에서는, 상기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 중 한쪽은, 상기 코어 금속의 한쪽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중, 적어도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이고, 상기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 중 다른 쪽은, 상기 코어 금속의 다른 쪽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중, 적어도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크롤러 둘레 방향의 타방측의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코어 금속의 2개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는 각각,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의 각각에 의해,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과 타방측의 영역에서,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비스듬히 교차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 크롤러에서는, 상기 코어 금속간 답면은,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에 연속되는 답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코어 금속간 답면 및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은, 크롤러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1개의 돌기의 정상면으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양호한 트랙션 성능 및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 크롤러에서는,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 각각과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불연속의 답면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랙션 성능 및 배토 성능(흙, 진흙 및 눈 등의 이물을 박리시킬 수 있는 성능이라고도 함)을 확보하면서,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 크롤러에서는,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 각각과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답면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크롤러 둘레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탄성 크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이며, 당해 탄성 크롤러의 일부를, 그 내주면의 방향으로부터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이며, 당해 탄성 크롤러의 일부를, 그 외주면의 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탄성 크롤러를, 그 내주면의 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부호 X, 부호 Y 및 부호 Z는 각각, 크롤러 폭 방향, 크롤러 둘레 방향 및 크롤러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크롤러를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보는 것(투시)을 의미한다.
도 1 중, 부호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이다. 도 1에서는, 탄성 크롤러(1A)는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호 2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무단형의 크롤러 본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롤러 본체(2)는,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무단 벨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본체(2)는, 주로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은, 지면 이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고, 크롤러 본체(2)의 내주면(2b)은, 지면 표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 3은, 크롤러 본체(2)의 내부에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크롤러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코어 금속(3)이다. 도 1 중, 코어 금속(3)의 외형 형상은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코어 금속(3)은, 예를 들어 스틸 등의 금속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 금속(3)은, 1개의 기부(3a)와, 2개의 날개부(3b)를 갖고 있다. 2개의 날개부(3b)는 각각, 기부(3a)로부터 크롤러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3)은, 기부(3a)와 날개부(3b)의 사이(혹은, 기부(3a) 또는 날개부(3b))에 각각, 크롤러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개의 돌기(3c)를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돌기(3c)는 각각, 크롤러 본체(2)의 내주면(2b)으로부터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코어 금속(3)의 2개의 돌기(3c)는 각각, 크롤러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부호 4는,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돌기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코어 금속(3)의 상호간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3)의 상호간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은, 코어 금속(3)과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보아 중첩되지 않는다. 즉, 코어 금속간 답면(4)은, 코어 금속(3)이 존재하지 않는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은,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블록(돌기)(B)의 정상면이다. 블록(B)은, 크롤러 본체(2)와 마찬가지로, 주로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4)은, 크롤러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답면이다. 본 명세서 중, 「답면」이란, 탄성 크롤러(1A)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전동할 때, 예를 들어 포장, 눈길, 도로 등의 노면에 최초로 접지하는 부분을 말한다. 즉, 코어 금속간 답면(4)은 각각, 탄성 크롤러(1A)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전동할 때, 노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노면에 대하여 최초로 접지한다.
부호 5는, 코어 금속간 답면(4)과 마찬가지로,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돌기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와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이 각각, 동일한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각각(크롤러 폭 방향 양단부)과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 단부 답면(5)도, 코어 금속간 답면(4)과 마찬가지로,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블록(B)의 정상면이다. 블록(B)은, 크롤러 본체(2)와 마찬가지로, 주로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탄성 크롤러(1A)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전동할 때, 코어 금속간 답면(4)에 이어서, 혹은 코어 금속간 답면(4)에 앞서서, 노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노면에 대하여 최초로 접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으로부터 코어 금속간 답면(4)과 동일한 높이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는, 코어 금속(3)의 상호간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4)과, 코어 금속(3)의 2개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 각각과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크롤러(1A)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전동할 때, 코어 금속(3)의 상호간에 배치된 코어 금속간 답면(4)이 노면에 접지한다. 그러면, 코어 금속간 답면(4)은, 도시하지 않은 기체(회전륜)로부터의 하중의 반력(그립력)을 노면으로부터 받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이 노면에 접지하면, 상기 기체로부터의 하중과 그 반력의 관계로부터, 코어 금속(3)의 상호간의 크롤러 본체(2)에 있어서, 특히 코어 금속간 답면(4)에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에 의해, 탄성 크롤러(1A)의 전동 시에, 코어 금속(3)의 상호간의 크롤러 본체(2)에서 생기는 크롤러 두께 방향의 파고듦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크롤러(1A)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전동할 때,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에 배치된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이 노면에 접지한다. 그러면,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코어 금속간 답면(4)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체로부터의 하중의 반력을 노면으로부터 받는다. 이 때문에,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이 노면에 접지하면, 상기 기체로부터의 하중과 그 반력의 관계로부터, 코어 금속(3)이 배치된 크롤러 본체(2)에 있어서, 특히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3)은, 크롤러 본체(2)의 내부에서,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의 사이에 걸쳐진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강성이 높아지면, 코어 금속(3)은,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서, 마치 견고하게 지지된 듯한 상태로 된다. 즉,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강성이 높아지면,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의 사이의 코어 금속(3)의 부분에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강성도 높아진다. 이에 의해, 탄성 크롤러(1A)의 전동 시에, 코어 금속(3) 전체에서 생기는 크롤러 두께 방향의 파고듦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에 따르면, 탄성 크롤러(1A)의 전동 시에 코어 금속(3)의 유무가 반복되어도, 이 반복에 수반하는 파고듦(진동)이 억제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에 따르면, 크롤러 본체(2)가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의해 크롤러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크롤러 둘레 방향의 강성이 균일화되어, 당해 탄성 크롤러(1A)의 전동 중, 크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변위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에 따르면, 탄성 크롤러(1A)의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의 일부는, 적어도 크롤러 본체(2)의 크롤러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중앙부는, 코어 금속(3)의 2개의 돌기(3c)의 사이의 부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의 크롤러 폭 방향 내측 부분은, 크롤러 폭 방향에 있어서, 코어 금속(3)의 돌기(3c)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에서는, 크롤러 본체(2)의 내주면(2b)에,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회전륜 통과면(7)이 배치되어 있다. 회전륜 통과면(7)은, 상기 기체의 상기 회전륜이 전동하는 것이 가능한 노면이다. 2개의 회전륜 통과면(7)은, 크롤러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륜 통과면(7)은, 코어 금속(3)의 돌기(3c)보다 크롤러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 금속간 답면(4) 중, 당해 코어 금속간 답면(4)의 크롤러 폭 방향 내측 부분을 제외한 잔부(코어 금속간 답면(4)의 크롤러 폭 방향 중앙 부분 및 크롤러 폭 방향 외측 부분)는, 크롤러 폭 방향에 있어서, 회전륜 통과면(7)과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코어 금속간 답면(4)의 크롤러 폭 방향 내측 부분 이외의 잔부는,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회전륜 통과면(7)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코어 금속간 답면(4)의 일부를, 적어도 크롤러 본체(2)의 크롤러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하면, 코어 금속간 답면(4)은, 회전륜 통과면(7)을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지지한다. 이 때문에, 코어 금속(3)의 상호간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륜의 통과에 수반하는 크롤러 두께 방향의 변위 변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코어 금속간 답면(4)을, 적어도 크롤러 본체(2)의 크롤러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하면, 탄성 크롤러(1A)의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은, 크롤러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4)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은, 크롤러 본체(2)의 크롤러 폭 방향의 중앙부에, 크롤러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열로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회전륜 통과면(7)은 통상, 크롤러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열로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크롤러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4)을 배치하면, 코어 금속(3)의 상호간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륜의 통과에 수반하는 크롤러 두께 방향의 변위 변동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크롤러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4)을 배치하면, 탄성 크롤러의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와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이란,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이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적어도 일부와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는,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와, 이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의 각각의 단부에 이어지는 2개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의 일부로 구성된 부분을 말한다.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 및 당해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에 이어지는 2개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를 포함하는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는 서로 크롤러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부분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는, 그 잔부의 단부 에지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만곡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를 설정할 때, 당해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를 구성하는 2개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의 크롤러 폭 방향 길이는, 탄성 크롤러(1A)의 사양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 설계 사항이다. 즉,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크롤러 폭 방향 길이는, 예를 들어 탄성 크롤러(1A) 및 코어 금속(3)의 크기, 형상, 탄성 크롤러(1A)의 사양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 설계 사항이다.
그런데, 도 1의 탄성 크롤러(1A)는, 코어 금속간 답면(4)은, 코어 금속 단부 답면(5)과 불연속의 답면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 금속간 답면(4)은,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연속되는 답면으로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를 도시한다. 이하, 도 1의 탄성 크롤러(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설정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마찬가지로, 2개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는 서로 크롤러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부분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는, 그 잔부의 단부 에지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도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만곡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의 일부를, 그 외주면의 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탄성 크롤러(1B)를, 그 내주면의 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의 일부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크롤러 본체(2)의 크롤러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은,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연속되는 답면이다. 즉,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1개의 돌기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1개의 답면(6)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각각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으로부터 외향으로 일체로 돌출된, 1개의 러그(돌기)(L)의 정상면이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코어 금속간 답면(4)을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연속되는 답면으로 하면,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노면에 대한 접촉 면적이 넓은 1개의 정상면으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탄성 크롤러(1B)의 전동 시에 있어서 큰 트랙션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같이, 개개의 블록(B)의 정상면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1개의 큰 강체의 정상면으로서 구성된다. 이 때문에, 러그를 가진 종래의 탄성 크롤러와 마찬가지로, 양호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 따르면, 양호한 트랙션 성능 및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탄성 크롤러의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러그(L)는,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적어도 일부와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서는, 크롤러 폭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러그(L)는, 각각 1개의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 각각과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롤러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러그(L) 중 한쪽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1개의 코어 금속(3)의 한쪽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와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보아 중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쪽의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1개의 코어 금속(3)의 한쪽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 중, 적어도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R1)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둘레 방향 중 한쪽」이란, 크롤러 둘레 방향 중, 도면 상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코어 금속(3)의 한쪽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영역(R1)은, 도 2 및 도 3의 사선 영역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의 일부와, 당해 1개의 코어 금속(3)의 2개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 중, 한쪽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의 일부로 구성된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3)의 한쪽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는,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의 한쪽의 단부에 이어진다. 여기서, 「한쪽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란, 1개의 코어 금속(3)의 2개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 중, 도면 상측의 방향에 위치하는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를 말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역(R1)은,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 중, 도면 상측의 방향에 배치된 영역을 말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서는, 크롤러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러그(L) 중 다른 쪽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1개의 코어 금속(3)의 다른 쪽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와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보아 중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쪽의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1개의 코어 금속(3)의 다른 쪽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 중, 적어도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크롤러 둘레 방향의 타방측의 영역(R2)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둘레 방향 중 다른 쪽」이란, 크롤러 둘레 방향 중, 도면 하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코어 금속(3)의 다른 쪽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영역(R2)은, 도 2 및 도 3의 사선 영역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의 일부와, 당해 1개의 코어 금속(3)의 2개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 중, 다른 쪽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의 일부로 구성된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3)의 다른 쪽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는,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의 다른 쪽의 단부에 이어진다. 여기서, 「다른 쪽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란, 1개의 코어 금속(3)의 2개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 중, 도면 하측의 방향에 위치하는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를 말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역(R2)은,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 중, 도면 하측의 방향에 배치된 영역을 말한다.
도 4의 우측 단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마찬가지로, 탄성 크롤러(1B)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전동할 때, 러그(L)의 코어 금속간 답면(4)에 상당하는 부분이 노면에 접지한다. 그러면, 당해 러그(L)의 코어 금속간 답면(4)에 상당하는 부분은, 상기 기체로부터의 하중의 반력을 노면으로부터 받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러그(L)의 코어 금속간 답면(4)에 상당하는 부분이 노면에 접지하면, 상기 기체로부터의 하중과 그 반력의 관계로부터, 코어 금속(3)의 상호간의 크롤러 본체(2)에 있어서, 특히 러그(L)의 코어 금속간 답면(4)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마찬가지로, 탄성 크롤러(1A)의 전동 시에, 코어 금속(3)의 상호간의 크롤러 본체(2)에서 생기는 크롤러 두께 방향의 파고듦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의 좌측 단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크롤러(1B)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전동할 때,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이 노면에 접지한다. 그러면,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러그(L)의 코어 금속간 답면(4)에 상당하는 부분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체로부터의 하중의 반력을 노면으로부터 받는다. 이 때문에,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이 노면에 접지하면, 상기 기체로부터의 하중과 그 반력의 관계로부터, 코어 금속(3)이 배치된 크롤러 본체(2)에 있어서, 특히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도,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마찬가지로, 코어 금속(3)은, 크롤러 본체(2)의 내부에서, 2개의 러그(L)에 있어서의, 각각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의 사이에 걸쳐진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러그(L)에 있어서의, 각각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강성이 높아지면, 코어 금속(3)은, 2개의 러그(L)에 있어서의, 각각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에서, 마치 견고하게 지지된 듯한 상태로 된다. 즉, 2개의 러그(L)에 있어서의, 각각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강성이 높아지면, 당해 2개의 러그(L)에 있어서의, 각각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의 사이의 코어 금속(3)의 부분에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강성도 높아진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마찬가지로, 탄성 크롤러(1B)의 전동 시에, 코어 금속(3) 전체에서 생기는 크롤러 두께 방향의 파고듦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도,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마찬가지로, 크롤러 본체(2)가 각각의 러그(L)의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에 의해 크롤러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크롤러 둘레 방향의 강성이 균일화되어, 당해 탄성 크롤러(1B)의 전동 중, 크롤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크롤러 두께 방향의 변위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마찬가지로, 탄성 크롤러(1B)의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 금속(3)은, 1개의 기부(3a)와, 2개의 날개부(3b)(도면에서는 편측만을 도시함)를 갖고 있다. 2개의 날개부(3b)는 각각, 기부(3a)로부터 크롤러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금속(3)은, 기부(3a)와 날개부(3b)의 사이(혹은, 기부(3a) 또는 날개부(3b))에 각각, 크롤러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개의 돌기(3c)를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돌기(3c)는 각각, 크롤러 본체(2)의 내주면(2b)으로부터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본체(2)에 항장체(예를 들어, 스틸 코드)(9)가 매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항장체(9)는, 코어 금속(3)보다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항장체(9)는, 예를 들어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스파이럴형으로 감기거나, 항장체(9)를 유단 벨트형으로 형성한 후에 항장체(9)의 양단부를 접합함으로써,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크롤러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코어 금속(3)의 2개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는 각각, 크롤러 폭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의 각각에 의해,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R1)과 타방측의 영역(R2)에서,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비스듬히 교차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상의 이유 등으로부터,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을,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에 대하여, 당해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 중,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영역의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우선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을 각각,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에만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2개의 회전륜이 크롤러 둘레 방향을 동축 회전하면서, 코어 금속(3)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당해 코어 금속(3)의 영역으로 진입(이탈)하면, 당해 2개의 회전륜은,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크롤러 폭 방향 양측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된다. 그러나, 그 후, 상기 2개의 회전륜이 상기 코어 금속(3)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타방측으로부터 당해 코어 금속(3)의 영역을 이탈(진입)하려고 하면, 당해 2개의 회전륜은,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타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크롤러 폭 방향의 어느 측에서도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 않은 형태로 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경우, 탄성 크롤러의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의 억제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에 비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서는, 1개의 코어 금속(3)의 2개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각각을,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과 타방측의 영역에서, 비스듬히 교차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회전륜이 코어 금속(3)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당해 코어 금속(3)의 영역으로 진입(이탈)하면, 당해 2개의 회전륜은,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당해 2개의 회전륜 중, 그 한쪽의 상기 회전륜이 크롤러 폭 방향의 편측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된다. 그 후, 상기 2개의 회전륜이 코어 금속(3)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타방측으로부터 당해 코어 금속(3)의 영역을 이탈(진입)하려고 할 때에도, 당해 2개의 회전륜은,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타방측의 영역에 있어서, 당해 2개의 회전륜 중, 그 다른쪽의 회전륜이 크롤러 폭 방향의 편측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을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에 대하여,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영역의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와 같이 구성하면, 탄성 크롤러(1B)의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의 억제에 유효하다. 또한, 이것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같이,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을 각각, 독립적인 블록(B)의 정상면으로 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에서는,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코어 금속 단부 답면(5) 각각과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불연속의 답면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에서는,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블록(B)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은, 서로 독립된 답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서도,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 부분 각각과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불연속의 답면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 그리고 도 2 및 도 3의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 부분은, 크롤러 둘레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국소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B)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끼리 또는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끼리는, 서로 독립된 구성이다. 이 경우, 트랙션 성능 및 배토 성능(흙, 진흙 및 눈 등의 이물을 박리시킬 수 있는 성능이라고도 함)을 확보하면서, 탄성 크롤러의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 있어서, 도 2 중, 부호 8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용 리브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용 리브(8)는, 러그(L)의 상호간에 배치되고,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러그(L)에 연속되어 있다. 즉, 보강용 리브(8)는, 크롤러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러그(L)에 접속되어 있다. 보강용 리브(8)는,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보강용 리브(8)의 정상면(8f)은,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으로부터의 높이가 러그(L)의 정상면(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보다 낮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서로 독립된 답면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B)에서는,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 각각과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답면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강용 리브(8)의 정상면(8f)은,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a)으로부터의 높이를 러그(L)의 답면(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과 동일한 높이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1개의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보강용 리브(8)의 정상면(8f)을 통하여,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러그(L)의 답면(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 각각과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답면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크롤러 본체(2)의 크롤러 둘레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탄성 크롤러(1B)의 전동 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와 같이,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을 각각, 독립적인 블록(B)의 정상면으로 하고, 각 블록(B)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을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답면으로 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상술한바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 형태의 일례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르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코어 금속 단부 답면(5) 및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코어 금속(3)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를 제외한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하고만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코어 금속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코어 금속 단부 답면(5) 및 러그(L)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에 상당하는 부분은, 코어 금속(3)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3e1)를 제외한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3e2)하고만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코어 금속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3e)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제1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도 2의 러그(L)와 같이,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을 서로 1개의 답면으로서 연속시키는 방법은, 도 1에 도시하는 코어 금속간 답면(4) 및 코어 금속 단부 답면(5)의 레이아웃(배치)을 기본으로 하면, 도 2에 예시한 러그(L)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록(B) 및 러그(L)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 크롤러(1A 및 1B)의 각 구성은, 서로 적절하게 치환하여,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 금속간 답면(4)은, 크롤러 본체(2)의 크롤러 폭 방향의 중앙부보다 크롤러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코어 금속간 답면의 구체예로서는,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회전륜 통과면(7)하고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코어 금속간 답면은, 도 1의 코어 금속간 답면(4) 중, 당해 코어 금속간 답면(4)의 크롤러 폭 방향 내측 부분을 제외한 잔부(코어 금속간 답면(4)의 크롤러 폭 방향 중앙 부분 및 크롤러 폭 방향 외측 부분)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농업 기계, 건설 기계, 운반차 등의 차량 주행용 탄성 크롤러에 적용할 수 있다.
1A: 탄성 크롤러(제1 실시 형태)
1B: 탄성 크롤러(제2 실시 형태)
2: 크롤러 본체
2a: 크롤러 본체의 외주면
2b: 크롤러 본체의 내주면
3: 코어 금속
3e: 코어 금속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3e1: 코어 금속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에지
3e2: 코어 금속의 크롤러 둘레 방향 단부 에지
4: 코어 금속간 답면
5: 코어 금속 단부 답면
6: 러그의 답면
7: 회전륜 통과면
B: 블록(돌기)
L: 러그(돌기)

Claims (7)

  1.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무단형의 크롤러 본체와,
    상기 크롤러 본체의 내부에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크롤러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코어 금속과,
    상기 크롤러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어 금속의 상호간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과,
    상기 크롤러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어 금속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각각과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
    을 구비하는, 탄성 크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은, 적어도 상기 크롤러 본체의 크롤러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 크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은, 크롤러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코어 금속간 답면인, 탄성 크롤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 중 한쪽은, 상기 코어 금속의 한쪽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중, 적어도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크롤러 둘레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이고, 상기 2개의 코어 금속 단부 답면 중 다른 쪽은, 상기 코어 금속의 다른 쪽의 크롤러 폭 방향 단부 중, 적어도 크롤러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크롤러 둘레 방향의 타방측의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인, 탄성 크롤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속간 답면은,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에 연속되는 답면인, 탄성 크롤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 각각과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불연속의 답면인, 탄성 크롤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코어 금속 단부 답면 각각과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답면인, 탄성 크롤러.
KR1020197030542A 2017-04-17 2018-04-10 탄성 크롤러 KR20190128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1632A JP6797743B2 (ja) 2017-04-17 2017-04-17 弾性クローラ
JPJP-P-2017-081632 2017-04-17
PCT/JP2018/015111 WO2018193918A1 (ja) 2017-04-17 2018-04-10 弾性クロー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215A true KR20190128215A (ko) 2019-11-15

Family

ID=6385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542A KR20190128215A (ko) 2017-04-17 2018-04-10 탄성 크롤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97743B2 (ko)
KR (1) KR20190128215A (ko)
CN (1) CN110573414A (ko)
WO (1) WO201819391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9431A1 (ja) 2010-09-21 2012-03-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弾性ク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7838B2 (ja) * 1990-04-12 1999-05-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クローラ
JPH08164881A (ja) * 1994-12-13 1996-06-25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弾性クローラ用芯金および弾性クローラ
JP3658536B2 (ja) * 2000-06-23 2005-06-08 大陸化學工業株式會社 弾性クローラ
US7695077B2 (en) * 2004-12-02 2010-04-13 Bridgestone Corporation Coreless rubber crawler
US7533945B2 (en) * 2007-03-01 2009-05-19 Srj, Inc. Tread pattern for endless track
JP5273937B2 (ja) * 2007-04-03 2013-08-28 ゼニス産業株式会社 弾性クローラ
JP5319249B2 (ja) * 2008-11-20 2013-10-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履帯
US8888198B2 (en) * 2009-04-22 2014-11-18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craw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9431A1 (ja) 2010-09-21 2012-03-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弾性ク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77066A (ja) 2018-11-15
CN110573414A (zh) 2019-12-13
WO2018193918A1 (ja) 2018-10-25
JP6797743B2 (ja)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976B2 (en) Coreless rubber crawler track
JP5933783B2 (ja) ゴムクローラ
US20020024256A1 (en) Rubber crawler belt
JP2006111253A (ja) チェーン駆動を用いる芯金無しゴムクローラーを備えたアンダーキャリッジ{undercarriageequippedwithanon−steeltyperubbercrawlerusingchainaction}
JP5851546B2 (ja) クローラ
WO2003097434A1 (fr) Chenille en caoutchouc
WO2011024841A1 (ja) ゴムクローラ
JP2002029461A (ja) 弾性クローラ
JP5469163B2 (ja) ゴムクローラ
KR20190128215A (ko) 탄성 크롤러
JP4722313B2 (ja) 突起駆動型ゴムクローラ
JP5213377B2 (ja) ゴムクローラ
JP2018144633A (ja) 弾性クローラ
JP4549138B2 (ja) 弾性クローラ
JP2000177658A (ja) 弾性クローラ
CN107848588B (zh) 弹性履带
JP4423110B2 (ja) 弾性クローラ
JPH05278647A (ja) 弾性クローラ
JP2005271658A (ja) 弾性クローラ
JPS5855030B2 (ja) 泥地用弾性無限軌道帯
JPH06329059A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のクローラベルト
JP6758206B2 (ja) ゴムクローラ
JPH0623514Y2 (ja) クローラ
JP3094882B2 (ja) 脱輪防止ゴムクロ−ラ
JP2004268655A (ja) 弾性ク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