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485A -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485A
KR20190118485A KR1020180103931A KR20180103931A KR20190118485A KR 20190118485 A KR20190118485 A KR 20190118485A KR 1020180103931 A KR1020180103931 A KR 1020180103931A KR 20180103931 A KR20180103931 A KR 20180103931A KR 20190118485 A KR20190118485 A KR 20190118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corative member
degrees
base layer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783B1 (ko
Inventor
조필성
송진숙
장성호
김기환
김용찬
허난슬아
손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9/0042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99037A1/ko
Priority to JP2020544773A priority patent/JP7088459B2/ja
Priority to US16/980,299 priority patent/US11844409B2/en
Priority to CN201980017986.4A priority patent/CN111836715B/zh
Priority to EP19785287.4A priority patent/EP3778214B1/en
Publication of KR2019011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4Iridescent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8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 C01B21/0821Oxynitrides of metals, boron or silicon
    • C01B21/0825Aluminium oxynitr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9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applying surface layers onto injection-moulded substrates inside the mould cavity, e.g. in-mould coating [IM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 material
    • B29K29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8Matt, du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21Reactive sputtering or evaporation
    • C23C14/0036Reactive sput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Finishing Wal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Adornment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DECORATION ELEMEN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출원은 2017년 12월 15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7-0173250 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 다양한 모바일기기, 가전제품들은 제품의 기능 외 제품의 디자인, 예컨대 색상, 형태, 패턴 등이 고객에게 제품의 가치 부여에 큰 역할을 한다. 디자인에 따라 제품의 선호도 및 가격 또한 좌우되고 있다.
일 예로서, 화장품 컴팩트 용기의 경우, 다양한 색상과 색감을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하여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케이스 소재 자체에 색을 부여하는 방식과 색과 모양을 구현한 데코 필름을 케이스 소재에 부착하여 디자인을 부여하는 방식이 있다.
기존 데코 필름에 있어서 색상의 발현은 인쇄,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종의 색상을 단일면에 표현하는 경우는 2회 이상 인쇄를 하여야 하며, 입체 패턴에 색을 다양하게 입히고자 할 때는 구현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또한, 기존 데코 필름은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고정되어 있고, 다소 변화가 있다고 할지라도 색감의 차이 정도에 한정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5837호
본 출원은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또는” 이란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나열된 것들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포함하는 경우, 즉 “및/또는”의 의미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층”이란 해당 층이 존재하는 면적을 70% 이상 덮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덮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면"이란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상기 오목형 구조체를 어느 한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면을 의미한다. 예컨대, 단면이란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 상에 놓았을 때,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 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절단했을 때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볼록형 구조체"란, 주변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볼록한 형태를 갖는 구조체를 의미하고,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오목형 구조체"란, 주변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오목한 형태를 갖는 구조체를 의미하고,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볼록부"는 볼록형 구조체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단면을 의미하고, "오목부"는 "오목형 구조체"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단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대칭 구조의 단면"이란, 단면의 테두리로 구성된 도형이 선대칭성 또는 점대칭성을 갖지 않는 구조임을 의미한다. 선대칭성이란 어떤 도형을 한 직선을 중심으로 대칭시켰을 때 겹쳐지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 점대칭성은 어떤 도형을 한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했을 때, 본래의 도형에 완전히 겹치는 대칭 성질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의 테두리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재층에 포함되는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에 의하여, 상기 장식 부재는 이색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색성이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색상이 관측되는 것을 의미한다. 색의 표현은 CIE L*a*b* 로 표현이 가능하며, 색차는 L*a*b* 공간에서의 거리(ΔE*ab)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차는
Figure pat00001
이며, 0<ΔE*ab<1의 범위 내에서는 관찰자가 색 차이를 인식할 수 없다[참고문헌: Machine Graphics and Vision 20(4):383-411].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색성을 ΔE*ab>1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층의 “두께”란 해당 층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최단거리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부재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는 기재층(100), 및 무기물층(300)이 구비된 장식 부재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부재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무기물층(300)이 광흡수층(301) 및 광반사층(302)를 포함하는 경우의 장식 부재의 적층 구조를 예시하였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도면 부호(400)은 보호층을 의미할 수 있고, 도면 부호(200)은 칼라 필름을 의미할 수 있으나,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구비된 무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구조체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시계 방향(clockwise)으로 1도 이상 17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인 장식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장식 부재는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구비함으로써, 장식 부재의 이색성이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각 구조체가 배열되는 방향을 특정 각도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이색성이 나타나는 방향을 원하는 범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포함한다. 구조체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었다는 것은, 구조체가 나열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한 2가지 방향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임의의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C0)과 상기 임의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와 인접한 다른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C1)을 이은 선분을 제1 축이라고 하고, 상기 임의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와 인접하고, 상기 제1 축 상에 존재하지 않는 다른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C2)를 이은 선분을 제2 축이라고 할 때, 상기 제1 축 방향 및 제2 축 방향의 2가지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구조체 상에 구비된 무기물층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물층은 단층, 또는 2 이상의 재료가 상이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물층은 기재층의 볼록형 구조체 상에 구비되므로, 볼록부 구조체의 다양한 형태에 의하여 무기물층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구조체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시계 방향(clockwise)으로 1도 이상 17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방향"은 상기 제1 축이 이루는 직선의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제2 축 방향"은 상기 제2 축이 이루는 직선의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제 1축 방향" 및 "제 2축 방향"은 상기 구조체의 단면 중 2 이상의 동일한 단면이 나타나는 어느 일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최고점(C1)을 이은 선분인 제1 축과 평행한 방향을 제 1축 방향이라고 하고,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을 제2 축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통해서 설명하면, 도 5의 장식 부재의 기재층의 볼록형 구조체 중, 임의의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C0)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C1)을 이은 직선을 제1 축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임의의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C0)의 또 다른 인접한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C2)을 이은 선분을 제2 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이란, 볼록형 구조체의 가장 볼록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기물층과 가장 가까운 볼록형 구조체의 어느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볼록형 구조체의 가장 볼록한 부분이 뾰족한 경우, 이 지점을 최고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 지점이 2개 이상인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가장 높은 부분이 평면인 경우, 평면의 중심점을 최고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형 구조체가 원뿔의 잘린 형태일 때,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은 평면 형태의 원을 이루는데, 상기 원의 중심점을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 축과 제2 축이 이루는 가상의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제2 축이 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구조체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과 시계 방향으로 30도 이상 15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개수는 기재층 표면의 면적 대비 1개/mm2 내지 1,000,000개/mm2, 바람직하게는 1개/㎛2 내지 500,000개/㎛2,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2 내지 250,000개/㎛2 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기재층에 포함된 볼록형 및 오목형 구조체의 개수가 조절되어, 이색성이 더욱 크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분모의 mm2은 상기 기재층 표면의 단위 면적인 1mm2를 의미한다.
상기 기재층 표면의 면적은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전체 면적일 수 있으며, 상기 구조체의 개수는 해당 면적 내의 구조체의 개수를 의미한다. 구조체의 개수는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의 개수를 세어서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S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S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비대칭 구조인 장식 부재로서,
상기 제1 평면은 상기 제1 축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제2 축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의 법선 중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상기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을 지나는 직선을 포함한다.
이 경우, 구조체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나타나는 단면이 비대칭 구조의 단면이므로, 장식 부재가 특정한 방향에서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S1)이 비대칭 구조의 단면인 경우, 제1 축 방향에서 장식부재가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S2)이 비대칭 구조의 단면인 경우 제2 축 방향에서 장식 부재가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장식 부재가 나타내는 이색성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S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S2)은 비대칭 구조의 단면이다. 이 경우, 제1 축 방향 및 제2 축 방향의 양 방향에서 장식 부재가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은 각각에 대한 상술한 설명을 만족하는 가상의 평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S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S2)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갖는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S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S2)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부등변삼각형일 수 있다. 부등변 삼각형이란, 세 변의 길이가 각각 다른 삼각형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S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S2)이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S1)이 양 경사각이 각각 20도 및 70도인 삼각형이고,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S2)은 양 경사각이 10도 및 80도인 삼각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 사이에 평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는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오목형 구조체는 상술한 볼록형 구조체가 반전된 형상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볼록형 구조체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갖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단면이 경사각이 상이하거나, 굴곡도가 상이하거나, 변의 형태가 상이한 2 이상의 변을 포함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2개의 변이 서로 경사각이 상이하거나, 굴곡도가 상이하거나, 변의 형태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비대칭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변"은 직선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부 또는 일부가 곡선일 수 있다. 예컨대, 변은 원이나 타원의 호의 일부, 물결 구조, 지그재그 등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변이 원이나 타원의 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 그 원이나 타원은 곡률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률반지름은 곡선의 극히 짧은 구간을 원호로 환산할 때, 원호의 반지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경사변"은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두었을 때, 지면에 대하여 변이 이루는 각도가 0도 초과 90도 이하인 변을 의미한다. 이 때, 변이 직선인 경우에는 직선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변에 곡선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두었을 때, 상기 변 중 지면과 가장 가까운 지점과 상기 면 중 지면과 가장 먼 지점을 최단 거리로 연결한 직선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경사면"은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두었을 때, 지면에 대하여 면이 이루는 각도가 0도 초과 90도 이하인 면을 의미한다. 이 때, 면이 평면인 경우에는 평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면에 곡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두었을 때, 상기 면 중 지면과 가장 가까운 지점과 상기 면 중 지면과 가장 먼 지점을 최단 거리로 연결한 직선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경사각이란,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두었을 때,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면 또는 변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로서, 0도 초과 90도 이하이다. 또는, 기재층을 구성하는 면 또는 변이 지면에 접하는 지점(a')과 기재층을 구성하는 면 또는 변이 지면과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b')을 서로 연결하였을 때 생기는 선분(a'-b')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굴곡도란 변 또는 면의 연속된 지점들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의 변화 정도를 의미한다. 변 또는 면의 연속된 지점들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의 변화가 클수록, 굴곡도는 크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은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제1 경사변 및 제2 경사변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의 테두리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변 및 상기 제2 경사변은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도 6은 제1 경사변 및 제2 경사변의 형태가 직선 형태인 것을 나타낸다. 각 볼록부 형상은 제1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1 영역(D1) 및 제2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2 영역(D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사변 및 제2 경사변은 직선 형태이다.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이 이루는 각도(c3)는 75도 내지 105도일 수 있다. 제1 경사변과 지면(기재)이 이루는 각도(c1)와 제2 경사변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c2)는 상이하다. 예를 들면, c1 및 c2의 조합은 20도/80도, 10도/70도 또는 30도/70도일 수 있다.
도 7은 제1 경사변 또는 제2 경사변의 형태가 곡선 형태인 것을 나타낸다. 각 볼록부 형상은 제1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1 영역(E1) 및 제2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2 영역(E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 모두 곡선 형태일 수 있고, 제1 경사변은 직선 형태이고, 제2 경사변은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제1 경사변은 직선 형태이고, 제2 경사변은 곡선 형태인 경우, 각도 c1은 각도 c2보다 클 수 있다. 도 7은 제1 경사변이 직선 형태이고, 제2 경사변이 곡선 형태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곡선 형태를 갖는 경사변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경사변과 지면이 맞닿는 지점으로부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이 접하는 지점까지 임의의 직선을 그었을 때, 그 직선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곡선 형태의 제2 경사변은 기재층의 높이에 따라 굴곡도가 상이할 수 있고, 곡선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률반경은 볼록부 형상의 피치(E1+E2)의 10배 이하일 수 있다. 도 7의 (a)는 곡선의 곡률 반경이 볼록부 형상의 피치의 2배인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b)는 곡선의 곡률 반경이 볼록부 형상의 피치의 1배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볼록부의 피치(E1+E2)에 대한 곡률이 있는 부분(E2)의 비율은 90% 이하일 수 있다. 도 7의 (a) 및 (b)는 상기 볼록부의 피치(E1+E2)에 대한 곡률이 있는 부분(E2)의 비율이 60%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형상(P1)은 삼각형이거나 또는 삼각형의 첨단부(뾰족한 부분 또는 꼭지점 부분)에 작은 오목부(P3)를 더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상기 오목부(P3)를 포함하는 볼록부 형상(P1)이 배열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볼록부 형상의 첨단부(뾰족한 부분)에 상기 볼록부에 비해 높이가 작은 오목부(P3)를 더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장식 부재는 이미지 색이 보는 각도에 따라 은은하게 달라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은 상기 볼록부 형상이 사각형 형태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사각형 형태는 일반적인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각 경사변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하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각형 형태는 삼각형을 일부 자르고 남은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한 사각형인 사다리꼴, 또는 서로 평행한 대변의 쌍이 존재하지 않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볼록부 형상은 제1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1 영역(F1), 제2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2 영역(F2) 및 제3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3 영역(F3)를 포함한다. 제3 경사변은 지면에 평행할 수도 있고,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형태가 사다리꼴인 경우 제3 경사변은 지면에 평행하다. 제1 경사변 내지 제3 경사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곡선 형태일 수 있으며, 곡선 형태에 대한 내용은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F1+F2+F3를 모두 합한 길이는 볼록부 형상의 피치로 정의될 수 있으며, 피치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0은 볼록부 형상을 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볼록부 형상은 ABO1삼각형 형상의 특정 영역을 제거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거되는 특정 영역을 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경사각 c1 및 c2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1) AO1 선분을 L1:L2 비율로 나누는 AO1 선분 상의 임의의 점 P1을 설정한다.
2) BO1 선분을 m1:m2 비율로 나누는 BO1 선분 상의 임의의 점 P2를 설정한다.
3) AB 선분을 n1: n2 비율로 나누는 AB 선분 상의 임의의 점 O2를 설정한다.
4) O2O1 선분을 o1:o2 비율로 나누는 O1O2 선분 상의 임의의 점 P3를 설정한다.
이때, L1:L2, m1:m2, n1:n2 및 o1:o2 비율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1:1000 내지 1000:1일 수 있다.
5) P1O1P2P3 다각형이 이루는 영역을 제거한다.
6) ABP2P3P1 다각형이 이루는 형상을 볼록부의 단면으로 한다.
상기 볼록부 형상은 L1:L2, m1:m2, n1:n2 및 o1:o2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1 및 m1이 커지는 경우 패턴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고, 상기 o1이 커지는 경우 볼록부 상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높이가 작아질 수 있으며, n1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볼록부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가장 낮은 지점의 위치를 볼록부의 경사변 중 어느 한쪽에 가깝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L1:L2, m1:m2, 및 o1:o2 비율이 모두 동일한 경우,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인 형태일 수 있다(도 11). 사다리꼴의 높이(ha, hb)는 상기 L1:L2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는 상기 L1:L2의 비율이 1:1이고, 도 11(b)는 상기 L1:L2의 비율이 2:1이고, m1:m2의 비율이 1:1이고, o1:o2의 비율이 1:8인 경우에 제조되는 볼록부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이 이루는 각도는 80도 내지 100도 범위 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80도 이상, 83도 이상, 86도 이상 또는 89도 이상일 수 있고, 100도 이하, 97도 이하, 94도 이하 또는 91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각도는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으로 이루어지는 꼭지점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이 서로 꼭지점을 이루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을 가상으로 연장하여 꼭지점을 이루도록 한 상태의 꼭지점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의 경사각의 차이는 30도 내지 70도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변의 경사각(a2)과 제2 경사변의 경사각(a3)의 차이는 예를 들어, 30도 이상, 35 도 이상, 40 도 이상 또는 45 도 이상일 수 있고, 70 도 이하, 65 도 이하, 60 도 이하 또는 55도 이하일 수 있다.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의 경사각의 차이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방향에 따른 색 표현의 구현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이 이루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S3)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축과 제2 축이 이루는 각도가 90도이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사이의 간격(d1) 및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사이의 간격(d2)이 동일한 경우,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상기 제1 축 및 제2 축이 이루는 평면으로의 단면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높이가 서로 상이한 2 이상의 볼록형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S1); 또는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S2)을 각각 나열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S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S2)에는, 볼록부 형상(P1) 사이에 상기 볼록부 형상에 비해 높이가 작은 제2 볼록부 형상이 배열된 것이 나타난다. 이는, 상기 볼록부 구조체(P1)의 사이에 상기 볼록형 구조체에 비해 높이가 작은 제2 볼록형 구조체(P2)가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제2 볼록형 구조체 이전에 성명된 볼록형 구조체를 제1 볼록형 구조체로 호칭하고, 제2 볼록부 형상 이전에 성명된 볼록부를 제1 볼록부 형상으로 호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볼록부 형상(P2)의 높이(H2)는 상기 제1 볼록부 형상(P1)의 높이(H1)의 1/5 내지 1/4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볼록부 형상과 제2 볼록부 형상의 높이의 차이(H1-H2)는 10㎛ 내지 30㎛ 일 수 있다. 제2 볼록부 형상의 폭(W2)은 1㎛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부 형상의 폭(W2)는 구체적으로 1 ㎛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또는 4.5㎛ 이상일 수 있고,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또는 5.5㎛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볼록부 형상은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2개의 경사면(S3, S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부 형상의 상기 2개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a4)는 20도 내지 100도일 수 있다. 상기 각도(a4)는 구체적으로 20도 이상, 30도 이상, 40도 이상, 50도 이상, 60도 이상, 70도 이상, 80도 이상 또는 85도 이상일 수 있고, 100도 이하 또는 9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부의 양 경사면의 경사각의 차이(a6-a5)는 0도 내지 60 일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의 차이(a6-a5)는 0도 이상, 10도 이상, 20도 이상, 30도 이상, 40도 이상 또는 45도 이상일 수 있고, 60도 이하 또는 5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부 형상의 치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경사면 각도가 큰 측면에서 빛의 유입을 증가시켜 밝은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볼록부 형상(P1)의 경사각(a2, a3)은 볼록부 형상(P1)의 경사면(S1, S2)과 기재층의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 상에서 제1 경사면은 볼록부 형상의 왼쪽 경사면으로 정의할 수 있고, 제2 경사면은 볼록부 형상의 오른쪽 경사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형상(P1)은 단면이 다각형이고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P3)의 높이(H3)는 3㎛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P3)의 높이(H3)는 구체적으로 3㎛ 이상일 수 있고, 15㎛ 이하, 10㎛ 이하,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는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2개의 경사면(S5, S6)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상기 2개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a7)는 20도 내지 100도일 수 있다. 상기 각도(a7)는 구체적으로 20도 이상, 30도 이상, 40도 이상, 50도 이상, 60도 이상, 70도 이상, 80도 이상 또는 85도 이상일 수 있고, 100도 이하 또는 9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양 경사면의 경사각의 차이(a9-a8)는 0도 내지 60 일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의 차이(a9-a8)는 0도 이상, 10도 이상, 20도 이상, 30도 이상, 40도 이상 또는 45도 이상일 수 있고, 60도 이하 또는 5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치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경면에서 색감 추가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가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역상의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3은 이와 같은 배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볼록형 구조체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180도의 역상의 구조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상의 구조로 배열된 것은 제1 경사면에 비해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이 큰 제1 영역(C1) 및 제1 경사면에 비해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이 큰 제2 영역(C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되는 볼록부는 제1볼록부(P1)로 호칭할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되는 볼록부는 제4 볼록부(P4)로 호칭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록부(P1) 및 제4 볼록부(P4)의 높이, 폭, 경사각 및 제1 및 제2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볼록부(P1)의 항목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은 이미지 또는 로고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은 바탕 부분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 부재는 이미지 또는 로고 색이 보는 각도에 따라 은은하게 달라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또는 로고 부분과 바탕 부분이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색이 서로 바뀌어 보이는 장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형상(P1)의 높이(H1)는 5㎛ 내지 30㎛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높이는 5㎛ 내지 30㎛ 일 수 있다. 볼록형 구조체의 높이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생산 공정적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볼록형 구조체의 높이는 상기 기재층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볼록부의 가장 높은 부분과 가장 낮은 부분의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볼록부의 높이와 관련된 설명은 전술한 오목부의 깊이에도 동일한 수치 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형상(P1)의 폭(W1)은 10㎛ 내지 90㎛ 일 수 있다. 볼록부 형상의 폭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패턴을 가공 및 형성하는데 공정적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 형상(P1)의 폭(W1)은 예를 들어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또는 25㎛ 이상일 수 있고, 90㎛ 이하, 80㎛이하, 70㎛이하, 60㎛이하, 50㎛이하, 40㎛이하 또는 35㎛이하일 수 있다. 이 폭과 관련된 설명은 볼록부 뿐만 아니라, 전술한 오목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 사이에 평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 사이에 평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평탄부의 너비는 0㎛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평탄부는 어느 하나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와 인접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가 끝나는 지점과 다른 하나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가 시작하는 지점의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의 너비가 적절히 유지되는 경우, 장식 부재를 볼록부의 경사각이 더 큰 경사면 쪽에서 바라볼 때 상대적으로 밝은 색을 나타내야 하는데 반사 영역이 쉐이딩으로 어두워 보이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는 상기 기재층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된 콘(cone) 형태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상기 기재층의 표면 내측으로 함몰된 콘(cone) 형태의 오목형 구조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콘 형태는 원뿔, 타원뿔, 또는 다각뿔의 형태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각뿔의 바닥면의 형태는 삼각형, 사각형, 돌출점이 5개 이상인 별모양 등이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장식 부재를 지면에 놓았을 때, 상기 기재층의 표면이 콘 형태의 볼록부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볼록부 형상의 상기 지면에 대한 수직 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장식 부재를 지면에 놓았을 때, 상기 기재층의 표면이 콘 형태의 오목부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오목부 형상의 상기 지면에 대한 수직 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역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콘 형태의 볼록부 또는 콘 형태의 오목형 구조체가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적어도 하나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콘 형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 형상의 표면 측에서 관찰하였을 때, 콘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 동일한 형태가 2개 이하 존재하는 경우, 이색성이 발현되는 대 유리하다. 도 14는 콘 형태의 볼록부 형상을, 상기 볼록부 형상의 표면 측에서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a)는 모두 대칭 구조의 콘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비대칭 구조의 콘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놓았을 때, 대칭 구조의 콘 형태는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의 단면(이하, 수평 단면이라 함)이 원이거나 각변의 길이가 같은 정다각형이고, 콘의 꼭지점이,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의 무게중심점의 상기 단면에 대하여 수직인 선상에 존재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갖는 콘 형태는, 콘 형태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형상의 표면 측에서 관찰하였을 때, 콘의 꼭지점의 위치가 콘의 수평 단면의 무게중심점이 아닌 점의 수직선상에 존재하는 구조이거나, 콘의 수평 단면이 비대칭 구조의 다각형 또는 타원인 구조이다. 콘의 수평 단면이 비대칭 구조의 다각형인 경우는, 다각형의 변들 또는 각들 중 적어도 하나를 나머지와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와 같이, 콘의 꼭지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첫번째 그림과 같이, 콘 형태의 볼록형 구조체의 표면 측에서 관찰시 콘의 꼭지점을 콘의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의 무게중심점(01)의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경우, 콘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 4개의 동일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4 fold symmetry). 그러나, 콘의 꼭지점을,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의 무게중심점(01)이 아닌 위치(02)에 설계함으로써 대칭 구조가 깨진다.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의 한변의 길이를 x, 콘의 꼭지점의 이동 거리를 a 및 b, 콘의 꼭지점(01 또는 02)로부터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까지 수직으로 연결한 선의 길이인 콘 형태의 높이를 h, 수평 단면과 콘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를 θn 이라고 하면, 도 15의 면 1, 면2, 면3 및 면 4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코싸인 값이 얻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이 때, θ1과 θ2는 같으므로 이색성이 없다. 그러나, θ3과 θ4는 상이하고, │θ3 - θ4│는 두 색간의 색차(E*ab)를 의미하므로,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θ3 - θ4│ > 0이다. 이와 같이, 콘의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과 측면이 이루는 각도를 이용하여, 대칭 구조가 얼마나 깨졌는지, 즉 비대칭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와 같은 비대칭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는 이색성의 색차와 비례한다.
상기에서 예시한 구조 외에도 도 16과 같은 다양한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면"은 평면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부 또는 일부가 곡면일 수 있다. 예컨대,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태가 원이나 타원의 호의 일부, 물결 구조, 지그재그 등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대칭 구조의 패턴을 추가로 포함한다. 대칭 구조로는 프리즘 구조, 렌티클라 렌즈 구조 등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평탄부를 갖는다. 상기 기재층으로 플라스틱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으로는, TAC(triacetyl cellulose); 노르보르넨 유도체 등의 COP(cyclo olefin copolymer);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A(polyvinyl alcohol); DAC(diacetyl cellulose); Pac(Polyacrylate); PES(poly ether sulfone); PEEK(polyetheretherketon); PPS(polyphenylsulfone), PEI(polyetherimide); PEN(polyethylenemaphthatla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I(polyimide); PSF(polysulfone); PAR(polyarylate) 또는 비정질 불소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내부 또는 적어도 일면에 유색 염료(color dy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색 염료로는 안트라퀴논(anthraquinone)계 염료,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계 염료, 티오인디고(thioindigo)계 염료, 페리논(perinone)계 염료, 이속신디고(isoxindigo)계 염료, 메탄(methane)계 염료, 모노아조(monoazo)계 염료 및 1:2 금속착물(1:2 metal complex)계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내부에 유색 염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경화성 수지에 염료를 첨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유색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경우, 염료가 포함된 층을 기재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색 염료의 함량은 예를 들어 0 내지 50 wt% 일 수 있다. 상기 유색 염료의 함량은 기재층 내지 장식 부재의 투과도 및 헤이즈 범위를 정할 수 있으며, 투과도는 예를 들어 20% 내지 90% 일 수 있고, 헤이즈는 예를 들어 1% 내지 4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전술한 기재층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표면과 동일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전술한 기재층의 표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전술한 기재층의 표면과 동일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은 전술한 기재층의 표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인듐(In), 티탄(Ti), 주석(Sn),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b), 철(Fe), 크롬(Cr), 코발트(Co), 금(Au)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 이의 산화물; 이의 질화물; 이의 산질화물; 탄소 및 탄소 복합체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400nm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0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를 벗어 나는 경우 반사되는 빛이 줄어 어두워지므로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의 굴절률은 구체적으로 0 이상, 1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또는 4.5 이상일 수 있고, 8 이하, 7 이하, 6 이하 또는 6.5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nm 내지 1㎛일 수 있다. 무기물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이색성을 가지며 상기 이색성의 시인성이 개선된 장식 부재를 제공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nm 이상, 50nm 이상 또는 100nm 이상일 수 있고, 1㎛ 이하, 800nm이하, 600nm 이하, 400nm이하 또는 30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는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는 기재층의 표면 형상을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색성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장식 부재를 바라볼 때 색의 금속 질감과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은 상기 장식 부재의 이미지가 보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기재층을 통과하여 무기물층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입사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상기 기재층 상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광흡수층 및 광반사층을 포함하거나, 상기 기재층 상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광반사층 또는 광흡수층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은 그 기능에 따라 명명된 것이다. 특정한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광을 상대적으로 많이 반사하는 층을 광반사층으로 표현할 수 있고, 광을 상대적으로 적게 반사하는 층을 광흡수층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7을 통해,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의 장식 부재에는 각 층(layer)이 빛이 들어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Li-1층, Li층 및 Li+1층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Li-1층과 Li층 사이에 계면(interface) Ii이 위치하고, Li층과 Li+1층 사이에 계면 Ii+1이 위치한다.
박막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 층에 수직한 방향으로 특정한 파장을 갖는 빛을 조사하였을 때, 계면 Ii에서의 반사율을 하기 수학식 1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ni(λ)는 i번째 층의 파장(λ)에 따른 굴절율을 의미하고, ki(λ)는 i번째 층의 파장(λ)에 따른 소멸 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의미한다. 소멸 계수는 특정 파장에서 대상 물질이 빛을 얼마나 강하게 흡수하는 지를 정의할 수 있는 척도로서,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수학식 1을 적용하여, 각 파장에서 계산된 계면 Ii에서의 파장별 반사율의 합을 Ri라고 할 때, Ri는 아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4
이때, 적층체의 계면 중 Ii의 Ri가 가장 크다고 할 때, 계면 Ii와 접하고, 계면 Ii와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대향하여 위치한 층을 광반사층, 나머지 층을 광흡수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적층체에서, 계면 Ii+1의 파장별 반사율의 합이 가장 큰 경우, Ii+1과 접하고, 계면 Ii+1과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대향하여 위치한 층 Li+1층을 광반사층, 나머지 층 Li-1층 및 Li층을 광흡수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에서는 광의 입사경로 및 반사경로에서 광흡수가 이루어지고, 또한 광은 광흡수층의 표면과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의 계면에서 각각 반사하여 2개의 반사광이 보강 또는 상쇄 간섭을 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흡수층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표면 반사광,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계면 반사광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8에 이와 같은 작용원리의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도 18에는 기재층(101), 광반사층(201) 및 광흡수층(301)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광반사층의 하부에 기재가 위치하고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광흡수층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표면 반사광,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계면 반사광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400 nm의 파장에서 굴절율(n)이 0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며, 0 내지 7일 수 있고, 0.01 내지 3일 수 있고, 2 내지 2.5일 수 있다. 굴절율(n)은 sin θ1/sin θ2 (θ1은 광흡수층의 표면에서 입사되는 빛의 각이고, θ2는 광흡수층의 내부에서 빛의 굴절각이다)으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400 nm의 파장에서 소멸계수(k)가 0 초과 4 이하이고, 0.01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3.5일 수 있고, 0.01 내지 3일 수 있으며, 0.1 내지 1일 수 있다. 소멸계수(k)는 -λ/4πI(dI/dx) (여기서, 광흡수층 내에서 경로 단위길이(dx), 예컨대 1m 당 빛의 강도의 감소분율 dI/I에 λ/4π를 곱한 값이고, 여기서 λ는 빛의 파장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380 내지 780 nm의 파장에서 소멸계수(k)가 0 초과 4 이하이고, 0.01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3.5일 수 있고, 0.01 내지 3일 수 있으며, 0.1 내지 1일 수 있다. 400 nm, 바람직하게는 380 내지 780 nm의 가시광선 전체 파장 영역에서 소멸계수(k)가 상기 범위이므로, 가시광선 범위 내에서 광흡수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동일한 굴절율(n) 값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380 내지 780 nm에서 소멸계수(k) 값이 0인 경우와 소멸계수(k) 값이 0.01인 경우는
Figure pat00005
>1 인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유리/알루미늄/알루미늄산화물/공기층의 적층구조에, 광원으로서 D65(태양광 스펙트럼)을 조사한 경우를 시뮬레이션하였을 때, 상기 알루미늄산화물의 k값이 0일 때와 0.01일 때의 △E*ab은 하기 표 1과 같이 얻어졌다. 이 때, 알루미늄층의 두께(h1)은 120 nm이었고, 알루미늄산화물층의 두께(h2)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k값은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임의로 0과 0.01로 설정하였으며, n값은 알루미늄의 값을 이용하였다.
h2 [nm] k = 0 k = 0.01
Figure pat00006
L* a* b* L* a* b*
40 6.63 1.75 -1.25 85.18 2.09 0.03 1.96
60 9.83 -4.02 -8.30 87.86 -4.06 -9.01 2.10
80 5.60 -1.87 -2.58 94.44 -2.05 -2.86 1.20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단일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다층일 수도 있다. 상기 광흡수층은 380 내지 780 nm에서 소멸계수(k)를 갖는 재료, 즉 소멸계수가 0 초과 4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흡수층은 금속, 준금속, 및 금속이나 준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산질화물 및 탄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또는 준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산질화물 또는 탄화물은 당업자가 설정한 증착 조건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광흡수층은 광반사층과 동일한 금속, 준금속, 2종이상의 합금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인듐(In), 티탄(Ti), 주석(Sn),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b), 철(Fe), 크롬(Cr), 코발트(Co), 금(Au)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 이의 산화물; 이의 질화물; 이의 산질화물; 탄소 및 탄소 복합체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실리콘(Si) 또는 게르마늄(Ge)을 포함한다. 실리콘(Si) 또는 게르마늄(Ge)으로 이루어진 광흡수층은 400 nm에서 굴절율(n)이 0 내지 8이며, 0 내지 7일 수 있고, 소멸계수(k)가 0 초과 4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이며, 0.01 내지 3 또는 0.01 내지 1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400 nm, 바람직하게는 380 내지 780nm에서 소멸계수(k)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광흡수층/광반사층은 CuO/Cu,CuON/Cu, CuON/Al, AlON/Al, AlN/Al/ AlON/Cu, AlN/Cu 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반사율은 재료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50% 이상에서 색상구현이 용이하다. 광반사율은 ellips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은 금속층, 금속산질화물층 또는 무기물층일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2층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광반사층은 인듐(In), 티탄(Ti), 주석(Sn),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b), 철(Fe), 크롬(Cr), 코발트(Co), 금(Au)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재료, 이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 탄소 및 탄소 복합체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재료 중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합금, 이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반사층은 몰리브덴,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층은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잉크를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고저항의 반사층을 구현할 수 있다.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로는 카본블랙, CNT 등이 있다. 상기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잉크는 전술한 재료 또는 이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인듐(In), 티탄(Ti), 주석(Sn),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b), 철(Fe), 크롬(Cr), 코발트(Co), 금(Au)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산화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잉크를 인쇄한 후 경화 공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2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2종 이상의 재료를 하나의 공정, 예컨대 증착 또는 인쇄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1종 이상의 재료로 먼저 층을 형성한 후, 추가로 1종 이상의 재료로 그 위에 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인듐이나 주석을 증착하여 층을 형성한 후, 탄소를 포함하는 잉크를 인쇄한 후 경화시켜 광반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티타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는 5 내지 500㎚, 예컨대 30 내지 500 nm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의 두께는 최종 구조에서 원하는 색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1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예컨대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광흡수층 형성시 증착 조건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두께가 상이한 2 이상의 지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두께가 상이한 2 이상의 영역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상태에 따른 광흡수층의 구조의 예시를 도 41 및 도 42에 나타내었다. 도 41 및 도 42는 광반사층(201) 및 광흡수층(301)이 적층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기재층 생략). 도 41 및 도 42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층(301)은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2 이상의 지점을 갖는다. 도 40에 따르면, A 지점과 B 지점에서의 광흡수층(301)의 두께가 상이하다. 도 42에 따르면, C 영역과 D 영역에서의 광흡수층(301)의 두께가 상이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면이 경사각도가 0도 초과 90도 이하인 경사면을 갖는 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층은 어느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영역에서의 두께와 상이한 두께를 갖는 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이란, 광흡수층의 상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직선과 광반사층과 평행한 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상기 경사면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1의 광흡수층의 상면의 경사각도는 약 20도일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의 상면의 경사도와 같은 표면 특성은 상기 광흡수층의 상면과 같을 수 있다. 예컨대, 광흡수층의 형성시 증착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광흡수층의 상면은 광반사층의 상면과 같은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42의 광흡수층의 상면의 경사도는 광반사층의 상면의 경사도와는 차이가 있다.
도 43에 상면이 경사면을 갖는 광흡수층을 갖는 장식 부재의 구조를 예시하였다. 기재층(101), 광반사층(201) 및 광흡수층(301)이 적층된 구조로서, 광흡수층(301)의 E 영역에서의 두께 t1과 F 영역에서의 두께 t2는 상이하다.
도 43은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 즉 단면이 삼각형인 구조를 갖는 광흡수층에 관한 것이다. 도 4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을 갖는 패턴의 구조에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증착을 진행하더라도 삼각형 구조의 2개의 면에서 광흡수층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번의 공정만으로서 두께가 상이한 2 이상의 영역을 갖는 광흡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광흡수층의 두께에 따라 발현 색상이 상이하게 된다. 이 때 광반사층의 두께는 일정 이상이면 색상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43은 기재층(101)가 광반사층(201)측에 구비된 구조가 예시되었으나,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기재층(101)의 위치는 전술한 설명과 같이 이들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4의 기재층(101)는 광반사층(201)과 접하는 면이 평탄면이나, 기재층(101)의 광반사층(201)과 접하는 면은 광반사층(201)의 상면과 같은 기울기를 갖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도 44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기재층의 패턴의 기울기 차이 때문에 광흡수층의 두께도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증착방법을 이용하여 기재와 광흡수층이 다른 기울기를 가지게 만든다 하더라도, 패턴 양쪽으로 광흡수층의 두께가 다르게 하여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두께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도 45에 광흡수층(301)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면이 경사각도가 0도 초과 90도 이하인 경사면을 갖는 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을 갖는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광흡수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5에 상면이 경사면을 갖는 영역을 포함하는 광흡수층의 구조를 예시하였다. 도 44의 G 영역과 H 영역 모두 광흡수층의 상면이 경사면을 갖고, 광흡수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가 변하는 구조란,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 방향으로의 단면이,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작은 지점 및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큰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작은 지점의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큰 지점에 대한 방향에 따라 광흡수층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작은 지점 및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큰 지점은 광흡수층의 광반사층과의 계면 상의 어느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경사각도가 1도 내지 90도 범위 내인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면이 상기 제1 경사면과 경사방향이 상이하거나, 경사 각도가 상이한 경사면을 갖거나, 상면이 수평인 2개 이상의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2개 이상의 영역들에서의 광흡수층의 두께는 모두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부재는, 상기 기재층과 상기 무기물층 사이; 상기 기재층의 상기 무기물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 또는 상기 무기물층의 상기 기재층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칼라필름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부재는 상기 기재층과 상기 무기물층 사이; 상기 광흡수층과 상기 광반사층 사이; 상기 기재층의 상기 무기물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 또는 상기 무기물층의 상기 기재층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칼라필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칼라필름은 상기 칼라필름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기 칼라필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색발현층의 색좌표 CIE L*a*b* 상에서의 L*a*b*의 공간에서의 거리인 색차 △E*ab가 1을 초과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색의 표현은 CIE L*a*b* 로 표현이 가능하며, 색차는 L*a*b* 공간에서의 거리(ΔE*ab)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이며, 0<ΔE*ab<1의 범위 내에서는 관찰자가 색 차이를 인지할 수 없다[참고문헌: Machine Graphics and Vision 20(4):383-411].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칼라필름의 추가에 따른 색차를 ΔE*ab>1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칼라필름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광반사층과 광흡수층과 같은 무기물층의 재료 및 두께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구현할 수 있는 색상의 폭을 더욱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칼라필름의 추가에 따른 색상변화 폭은 칼라필름의 적용 전후의 L*a*b* 의 차이인 색차 (ΔE*ab) 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9에 칼라필름의 배치 위치를 예시하였다. (단, 기재층(101)의 표면상의 볼록형 구조체 및 오목형 구조체, 보호층 미도시)
도 19의 (a)에는 칼라필름(401)이 광흡수층(301)의 광반사층(201)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 도 19의 (b)에는 칼라필름(401)이 광흡수층(301)과 광반사층(201) 사이에 구비된 구조, 도 19의 (c)에는 칼라필름(401)이 광반사층(201)과 기재층(101) 사이에 구비된 구조, 도 19의 (d)에는 칼라필름(401)이 기재층(101)의 광반사층(201) 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의 (e)에는 칼라필름(401a, 401b, 401c, 401d)이 각각 광흡수층(301)의 광반사층(201)측의 반대면, 광흡수층(301)과 광반사층(201) 사이, 광반사층(201)과 기재층(101) 사이, 및 기재층(101)의 광반사층(201) 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칼라필름(401a, 401b, 401c, 401d)들 중 1 내지 3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기재층(101) 상에 광반사층(301) 및 광흡수층(201)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구조에서 칼라필름의 배치 위치를 도 20에 예시하였다(기재층(101)의 표면상의 볼록형 구조체 생략).
도 20의 (a)에는 칼라필름(401)이 기재층(101)의 광흡수층(301) 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 도 20의 (b)에는 칼라필름(401)이 기재층(101)과 광흡수층(301) 사이에 구비된 구조, 도 20의 (c)에는 칼라필름(401)이 광흡수층(301)과 광반사층(201) 사이에 구비된 구조, 도 20의 (d)에는 칼라필름(401)이 광반사층(201)의 광흡수층(301)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의 (e)에는 칼라필름(401a, 401b, 401c, 401d)이 각각 기재층(101)의 광흡수층(301) 측의 반대면, 기재층(101)와 광흡수층(301)과 사이, 광흡수층(301)과 광반사층(201) 사이, 및 광반사층(201)의 광흡수층(301)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칼라필름(401a, 401b, 401c, 401d)들 중 1 내지 3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9 (b)와 도 20 (c)와 같은 구조는 칼라필름의 가시광 투과율이 0% 초과라면 광반사층에서 칼라필름을 통과하여 입사한 광을 반사할 수 있으므로,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의 적층에 따른 색상 구현이 가능하다.
도 19 (c), 도 19 (d) 및 도 20 (d)와 같은 구조에서는, 칼라필름의 추가에 따른 색차 변화를 인식할 수 있도록, 광반사층(201)의 칼라필름으로부터 발현되는 색상의 광투과율이 1%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시광선투과율 범위에서 투과된 빛이 칼라필름에 의한 색상과 혼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칼라필름은 1장 또는 동종 또는 이종이 2장 이상이 적층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칼라필름은 전술한 광반사층 및 광흡수층의 적층 구조로부터 발현되는 색상과 함께 조합되어 원하는 색상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안료 및 염료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매트릭스 수지 내에 분산되어 색상을 나타내는 칼라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칼라필름은 칼라필름이 구비될 수 있는 위치에 직접 칼라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기재에 칼라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거나, 캐스팅, 압출 등의 공지의 성형방법을 이용하여 칼라필름을 제조한 후, 칼라필름이 구비될 수 있는 위치에 칼라필름을 배치 또는 부착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코팅 방법은 습식 코팅 또는 건식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칼라필름에 포함될 수 있는 안료 및 염료로는 최종 장식 부재로부터 원하는 색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적색 계열, 황색 계열, 보라색 계열, 청색 계열, 핑크색 계열 등의 안료 및 염료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리논(perinone)계 적색 염료, 안트라퀴논계 적색 염료, 메틴계 황색 염료, 안트라퀴논계 황색 염료, 안트라퀴논계 보라색 염료, 프탈로시아닌계 청색 염료, 티오인디고(thioindigo)계 핑크색 염료, 이소크인디고(isoxindigo)계 핑크색 염료 등의 염료가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카본 블랙, 구리 프탈로시아닌(C.I. Pigment Blue 15:3), C.I. Pigment Red 112, Pigment blue, Isoindoline yellow 등의 안료가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염료 또는 안료는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Ciba ORACET사, 조광페인트㈜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 또는 안료들의 종류 및 이들의 색상은 예시들일 뿐이며, 공지된 염료 또는 안료들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더욱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칼라필름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수지는 투명 필름, 프라이머층, 접착층, 코팅층 등의 재료로 공지된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그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선형 올레핀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계 수지 등 다양한 재료가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된 재료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칼라필름이 상기 광반사층 또는 상기 광흡수층 보다 장식 부재를 관찰하는 위치에 더 가깝게 배치된 경우, 예컨대 도 19의 (a), (b), 도 20의 (a), (b), (c)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칼라필름이 광반사층, 광흡수층 또는 광반사층과 광흡수층의 적층구조로부터 발현되는 색상의 광투과율이 1%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칼라필름으로부터 발현되는 색상과 광반사층, 광흡수층 또는 이들의 적층구조로부터 발현되는 색상이 함께 조합되어 원하는 색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칼라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원하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면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두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칼라필름의 두께는 500 nm 내지 1 mm 일 수 있다.
예시적인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은 장식 부재의 적용이 필요한 공지의 대상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 전자제품, 화장품 용기, 가구, 건축재 등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를 휴대용 전자기기, 전자제품, 화장품 용기, 가구, 건축재 등에 적용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데코 필름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알려진 공지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는 필요에 따라 점착층이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장식 부재는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전자제품에 직접 코팅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식 부재를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전자제품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점착층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장식 부재는 점착층을 매개로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전자제품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 테이프(OCA tape; optically clear adhesive tape) 또는 접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OCA tape 또는 접착 수지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OCA tape 또는 접착 수지를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점착층의 보호를 위한 박리 층(release liner)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화장품 용기용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글래스 기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V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컴팩트 명판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제1 방향 색차(
Figure pat00009
및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제2 방향 색차(
Figure pat00010
가 각각 1을 초과한다.
[식 1]
Figure pat00011
[식 2]
Figure pat00012
상기 식 1 및 식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색차는 상기 장식 부재의 제1 축 방향과 평행한 직선 상의 두 지점에서 측정한 (
Figure pat00013
) 및 (
Figure pat00014
) 좌표의 관계식이고,
상기 제2 방향 색차는 상기 장식 부재의 제1 축 방향과 수직인 직선 상의 두 지점에서 측정한 (
Figure pat00015
) 및 (
Figure pat00016
) 좌표의 관계식이다.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제1 방향 색차(
Figure pat00017
및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제2 방향 색차(
Figure pat00018
가 각각 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모두에서 이색성이 나타날 수 있다. 즉, 2 이상의 보는 방향에서 이색성이 나타남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다양한 색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상에 무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구조체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시계 방향(clockwise)으로 1도 이상 17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인 상술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은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기재층에 목적하는 패턴을 갖는 몰드로 압착한 후 경화시키는 것에 의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예를 들어 평판 형태 또는 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몰드로는 예를 들어 소프트 몰드 또는 하드 몰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상에 구비된 무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표면 상에 무기물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스퍼터링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스퍼터링이란, 에너지를 가진 이온(예를 들어 Ar+)이 타겟 물질에 충격을 가하고, 이 때 떨어져 나온 타겟 물질이 기재층의 볼록형 구조체의 표면 상에 증착되는 방식이다. 이때, 베이스 압력(Base Pressure)은 1.0 X 10-5 Torr이하, 6.0 X 10-6 Torr이하, 바람직하게는 3.0 X 10-6 Torr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퍼터링 방법은 플라즈마 가스 및/또는 반응성 가스를 포함하는 챔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가스는 아르곤(Ar) 가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가스는 산소(O2) 및 질소(N2)이며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제공하기 위한 가스로, 플라즈마 가스와는 구분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플라즈마 가스의 유량은 10 sccm 이상 300 scc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sccm 이상 200 sccm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sccm는 Standard Cubic Centimeer Per minute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의 공정압력(p1)은 1.0 mTorr 내지 10.0mTorr, 바람직하게는 1.5mTorr 내지 6mTorr 일 수 있다. 스퍼터링 시 공정압력이 상기 범위보다 높아지면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Ar 입자가 많아지고 타겟으로부터 방출된 산화아연의 입자들이 Ar 입자들과 부딪혀 에너지를 잃게 되므로 박막의 성장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너무 낮은 공정압력이 유지될 경우 고에너지를 갖는 입자에 의해 기판이 손상되거나 무기물층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가스에 대한 반응성 가스의 분율이 30% 이상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7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반응성 가스의 분율은 (Q반응성가스/(Q플라즈마공정가스+Q반응성가스)*100%)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Q반응성가스 는 챔버 내 반응성 가스의 유량을 의미하고, Q플라즈마공정가스는 챔버 내 플라즈마 공정 가스의 유량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퍼터링 방법의 구동 전력은 100W 이상 500W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W 이상 300W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퍼터링 방법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범위는 350V 이상 500V일 수 있다. 상기 전압의 범위는 타겟의 상태, 공정압력, 구동전력(공정 파워) 또는 반응성 가스의 분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퍼터링 방법의 증착 온도는 20℃ 이상 3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낮은 온도에서 증착할 경우에는 타겟에서 떨어져 나와 기재에 도착한 입자들의 결정성장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하여 박막 성장의 결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타겟으로부터 나오는 입자들이 증발되거나 또는 휘발(re-evaporation)되어 박막 성장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부재는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포함함에 따라, 2 이상의 방향에서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이색성을 가지며 상기 이색성이 발현되는 방향의 수 및 발현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부재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제 1축 방향 및 제2 축 방향을 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16, 도 19 및 도 2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을 구분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에 의해 색이 발현되는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도 21은 비교예 1의 1차원 비대칭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 및 도 23은 실시예 1의 2차원 비대칭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4 내지 도 33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의 장식 부재의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밝기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도 35 및 도 36은 실시예 12의 2차원 비대칭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7은 실시예 12의 장식 부재의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밝기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도 38은 실시예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9 및 도 40은 실시예 2에 따른 장식 부재가 화장품 명판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1 내지 도 45는 광흡수층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1차원 비대칭 패턴)
PET 기재층 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고 1차원으로 배열된 패턴이 있는 하드 몰드를 압착한 후 자외선으로 경화시킴으로써, 1차원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패턴을 형성하였다. 패턴의 형태는 도 21의 프리즘 구조가 반복된 구조로 형성하였으며, 패턴의 한쪽 면 경사 각도는 20°이고, 반대쪽 경사 각도를 70°로 하였다. 이 때, 패턴들의 피치는 47.1 마이크로미터였고, 패턴의 높이는 15.1 마이크로미터였다.
이후, 알루미늄(Al) 타겟이 장착된 챔버 내에 아르곤 (Ar)에 질소(N2)를 첨가하여 진행한 반응성 스퍼터링법(reactive sputtering)을 이용하여, 상기 볼록형 구조체 상에 AlON 광흡수층을(Al: 57.9 at%, N: 36.8 at%, O: 5.3% at% at%) 약 2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이후, 아르곤 (Ar)만을 이용한 스퍼터링 방법(sputtering)을 이용하여, 상기 광흡수층 상에 Al 광반사층을 약 10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at%는 atomic percent를 의미한다.)
실시예 1(2차원 비대칭 패턴: 각도 90도)
비교예 1의 1차원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패턴 대신에, 2차원으로 배열된 패턴을 가진 하드 몰드를 압착하여 2차원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를 형성한 것 외에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2차원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의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는 90도이었다. 또한, 볼록형 구조체가 배열된 형태의 모식도를 도 22에 나타내었으며, 볼록형 구조체의 입체적인 모습을 도 23에 나타내었다. 또한,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밝기 변화를 관찰하여 도 2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11 (2차원 비대칭 패턴: 각도 90도)
패턴의 한쪽 면 및 반대쪽 경사 각도를 아래 표 2와 같이 변경하여,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색좌표값 L*a*b* 를 측정하였다.
각 도면에는 시야각 좌표 시스템에서 장식 부재를 바라볼 때의 색상을 나타내었다. 좌표는 (θ, φ)로 표시될 수 있다. 장식부재의 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z축, 장식부재의 면 방향의 어느 한 방향을 x축이라고 할 때, z축과 시야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θv, x축과 시야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φ라고 한다. φ가 0도일 때(θ, 0), θ의 변화에 따른 L*, a* 및 b*값을 측정하였다. 시야각 좌표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문헌 IES type B Reference[IES-LM-75-01 Goniophotometer Types and Photometric Coordinates(title), IES(author),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of North America, 2001)]을 참고할 수 있다.
한쪽 면 경사 각도 반대쪽 경사 각도 도면
실시예 2 10° 80° 도 25
실시예 3 12° 78° 도 26
실시예 4 14° 76° 도 27
실시예 5 16° 74° 도 28
실시예 6 18° 72° 도 29
실시예 7 22° 68° 도 30
실시예 8 24° 66° 도 31
실시예 9 26° 64° 도 32
실시예 10 28° 62° 도 33
실시예 11 30° 60° 도 34
실시예 12(2차원 비대칭 패턴: 각도 135도)
2차원으로 배열된 패턴을 가진 하드 몰드를 압착하여 2차원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를 형성한 것 외에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2차원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의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는 135도이었다. 또한, 볼록형 구조체가 배열된 형태의 모식도를 도 35에 나타내었으며, 볼록형 구조체의 입체적인 모습을 도 35에 나타내었다. 또한,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밝기 변화를 관찰하여 도 36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비교예 1, 실시예 1 및 2의 CIE L*a*b* 색좌표를 측정하였다. 이때, Konica Minolta 사의 CM2600d 측색기를 이용하였다. 또한, 광원은 표준광 D65를 사용하였다.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제1 방향 색차(
Figure pat00019
및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제2 방향 색차(
Figure pat00020
를 각각 측정하였다.
[식 1]
Figure pat00021
[식 2]
Figure pat00022
상기 제1 방향 색차는 상기 장식 부재의 제1 축 방향과 평행한 직선 상의 두 지점에서 측정한 (
Figure pat00023
) 및 (
Figure pat00024
) 좌표의 관계식이고,
상기 제2 방향 색차는 상기 장식 부재의 제1 축 방향과 수직인 직선 상의 두 지점에서 측정한 (
Figure pat00025
) 및 (
Figure pat00026
) 좌표의 관계식이다.
이때, 도 38의 1-2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에 해당하며, 3-4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에 해당한다.
1) 비교예 1 장식부재의 관찰
비교예 1의 장식 부재 중에서 광흡수층의 두께가 약 20nm일 때 각 위치에 따른 CIE L*a*b* 색좌표를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 방향 L* a* b* △E*ab
(측정방향-측정방향)
1
Figure pat00027
=87.98
Figure pat00028
=-0.49
Figure pat00029
=0.48
Figure pat00030
=24.70
2
Figure pat00031
=63.73
Figure pat00032
=-1.25
Figure pat00033
=1.47
3
Figure pat00034
=86.45
Figure pat00035
=-0.47
Figure pat00036
=1.47
Figure pat00037
=0.89
4
Figure pat00038
=85.57
Figure pat00039
=-0.5
Figure pat00040
=1.32
비교예 1에서 광흡수층이 20nm인 경우, 측정 방향의 1-2 방향이 장식부재 기재층의 제1 축 방향과 일치하므로, △E*ab이 24.70으로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제1 축 방향과 수직인 3-4 방향에서는 △E*ab이 0.89로, 1 미만의 값을 나타내므로, 사람의 눈으로 이색성을 확인하기 어렵다. 즉, 측정방향 1과 2로만 이색성이 나타나게 된다.
2) 실시예 1 장식부재의 관찰
실시예 1의 장식 부재 중에서 광흡수층의 두께가 약 20nm일 때, 각 위치에서 CIE L*a*b* 색좌표를 측정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장식 부재 중 광흡수층의 두께가 약 20nm인 경우, 장식부재 기재층의 제1 축 방향 및 제2 축 방향과 동일한 1-2 방향 및 3-4 방향에서 △E*ab가 13.53과 12.18 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색성이 나타나는 방향이 하나의 방향으로 한정된 비교예 1과 달리, 실시예 1의 경우 이색성이 두 방향에서 비슷한 정도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 방향 L* a* b* △E*ab
(측정방향-측정방향)
1
Figure pat00041
=73.09
Figure pat00042
=-0.43
Figure pat00043
=-0.29
Figure pat00044
=13.53
2
Figure pat00045
=86.59
Figure pat00046
=-0.44
Figure pat00047
=0.62
3
Figure pat00048
=85.88
Figure pat00049
=-0.41
Figure pat00050
=0.71
Figure pat00051
=12.18
4
Figure pat00052
=73.75
Figure pat00053
=-0.42
Figure pat00054
=-0.44
3) 실시예 2 장식부재의 관찰
실시예 2의 장식 부재 중에서 광흡수층의 두께가 약 20nm일 때, 각 위치에서 CIE L*a*b* 색좌표를 측정하여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의 장식 부재중에서 광흡수층의 두께가 약 20nm일 경우, 장식부재 기재층의 제1 축 방향 및 제2 축 방향과 동일한 1-2 방향 및 3-4 방향 에서 △E*ab가 7.94와 17.40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색성이 나타나는 방향이 한정된 비교예 1과 달리 실시예 2의 경우 이색성이 두 방향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두 방향에서 비슷한 정도의 이색성이 발현된 것과는 달리,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두 방향에서 나타나는 이색성의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 방향 L* a* b* △E*ab
(측정방향-측정방향)
1
Figure pat00055
=80.6
Figure pat00056
=-0.63
Figure pat00057
=0.99
Figure pat00058
=7.94
2
Figure pat00059
=88.53
Figure pat00060
=-0.54
Figure pat00061
=1.46
3
Figure pat00062
=88.61
Figure pat00063
=-0.59
Figure pat00064
=0.67
Figure pat00065
=17.40
4
Figure pat00066
=71.29
Figure pat00067
=-0.88
Figure pat00068
=-0.98
<실험예 2>
1) 화장품 용기에 부착한 장식 부재의 관찰
비교예 1, 실시예 1에 따른 장식부재를 화장품 명판(SAN 재질, 신우 사 제조)에 부착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CIE L*a*b* 색좌표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39(비교예 1) 및 도 40(실시예 1)에 나타내었다.
측정 방향 L* a* b* △E*ab
(측정방향-측정방향)
비교예 1 1
Figure pat00069
=60
Figure pat00070
=-0.91
Figure pat00071
=-2.82
Figure pat00072
=27.62
2
Figure pat00073
=87.48
Figure pat00074
=-0.43
Figure pat00075
=-0.04
3
Figure pat00076
=81.32
Figure pat00077
=-0.29
Figure pat00078
=-0.16
Figure pat00079
=0.81
4
Figure pat00080
=80.83
Figure pat00081
=-0.24
Figure pat00082
=0.48
실시예 1 1
Figure pat00083
=65.54
Figure pat00084
=-0.14
Figure pat00085
=-0.51
Figure pat00086
=17.50
2
Figure pat00087
=83.02
Figure pat00088
=-0.31
Figure pat00089
=0.34
3
Figure pat00090
=82.19
Figure pat00091
=-0.25
Figure pat00092
=0.23
Figure pat00093
=14.94
4
Figure pat00094
=67.26
Figure pat00095
=-0.15
Figure pat00096
=-0.35
비교예 1에 따른 장식 부재의 경우, 3-4 방향에서 △E*ab가 1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실시예 1에 따른 장식 부재의 경우 화장품 명판에 부착하더라도 1-2 방향 및 3-4 방향에서 △E*ab가 1보다 크므로 이색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 따른 장식 부재는 화장품 명판에 적용하더라도 이색성이 크게 나타나나, 비교예 1에 따른 장식 부재는 화장품 명판에 적용 시 이색성이 작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1)

  1.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구비된 무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구조체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시계 방향(clockwise)으로 1도 이상 17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인 장식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구조체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과 시계 방향으로 30도 이상 15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인 장식 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개수는 기재층 표면의 면적 대비 1개/mm2 내지 1,000,000개/mm2 인 장식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S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S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비대칭 구조인 장식 부재로서,
    상기 제1 평면은 상기 제1 축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제2 축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의 법선 중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상기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을 지나는 직선을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단면이 경사각이 상이하거나, 굴곡도가 상이하거나, 변의 형태가 상이한 2 이상의 변을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은 서로 상이한 제1 경사변 및 제2 경사변을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의 테두리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장식 부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이 이루는 각도는 80도 내지 100도 범위 내인 장식 부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의 경사각의 차이는 30도 내지 70도 범위 내인 장식 부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 사이에 평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이 이루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S3)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인 것인 장식 부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평탄부를 갖는 것인 장식 부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내부 또는 적어도 일면에 유색 염료를 더 포함하는 장식 부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인듐(In), 티탄(Ti), 주석(Sn),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b), 철(Fe), 크롬(Cr), 코발트(Co), 금(Au)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 이의 산화물; 이의 질화물; 이의 산질화물; 탄소 및 탄소 복합체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인 장식 부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상기 기재층 상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광흡수층 및 광반사층을 포함하거나, 상기 기재층 상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광반사층 또는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무기물층 사이; 상기 기재층의 상기 무기물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 또는 상기 무기물층의 상기 기재층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칼라필름을 더 포함하는 장식 부재.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무기물층 사이; 상기 광흡수층과 상기 광반사층 사이; 상기 기재층의 상기 무기물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 또는 상기 무기물층의 상기 기재층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칼라필름을 더 포함하는 장식 부재.
  18.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제1 방향 색차(
    Figure pat00097
    및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제2 방향 색차(
    Figure pat00098
    가 각각 1을 초과하는 것인 장식 부재:
    [식 1]
    Figure pat00099

    [식 2]
    Figure pat00100

    상기 식 1 및 식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색차는 상기 장식 부재의 제1 축 방향과 평행한 직선 상의 두 지점에서 측정한 (
    Figure pat00101
    ) 및 (
    Figure pat00102
    ) 좌표의 관계식이고,
    상기 제2 방향 색차는 상기 장식 부재의 제1 축 방향과 수직인 직선 상의 두 지점에서 측정한 (
    Figure pat00103
    ) 및 (
    Figure pat00104
    ) 좌표의 관계식이다.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화장품 용기용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글래스 기재를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V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21.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상에 무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구조체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시계 방향(clockwise)으로 1도 이상 17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인 청구항 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80103931A 2018-04-10 2018-08-31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9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4235 WO2019199037A1 (ko) 2018-04-10 2019-04-09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544773A JP7088459B2 (ja) 2018-04-10 2019-04-09 装飾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6/980,299 US11844409B2 (en) 2018-04-10 2019-04-09 Decorat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1980017986.4A CN111836715B (zh) 2018-04-10 2019-04-09 装饰构件及其制备方法
EP19785287.4A EP3778214B1 (en) 2018-04-10 2019-04-09 Decorat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1562 2018-04-10
KR1020180041562 2018-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485A true KR20190118485A (ko) 2019-10-18
KR102489783B1 KR102489783B1 (ko) 2023-01-18

Family

ID=68162922

Famil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887A KR102594844B1 (ko) 2018-04-10 2018-07-13 장식 부재
KR1020180088851A KR102605827B1 (ko) 2018-04-10 2018-07-30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
KR1020180099388A KR102483544B1 (ko) 2018-04-10 2018-08-24 장식 부재
KR1020180099385A KR102483551B1 (ko) 2018-04-10 2018-08-24 장식 부재
KR1020180100613A KR102594849B1 (ko) 2018-04-10 2018-08-27 장식 부재
KR1020180103931A KR102489783B1 (ko) 2018-04-10 2018-08-31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03927A KR102489784B1 (ko) 2018-04-10 2018-08-31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32095A KR102644522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32128A KR102647071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32115A KR102644521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32090A KR102648149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32104A KR102647067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32066A KR102651333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42874A KR102567283B1 (ko) 2018-04-10 2018-11-19 장식 부재
KR1020190031164A KR102142213B1 (ko) 2018-04-10 2019-03-19 화장품 용기용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887A KR102594844B1 (ko) 2018-04-10 2018-07-13 장식 부재
KR1020180088851A KR102605827B1 (ko) 2018-04-10 2018-07-30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
KR1020180099388A KR102483544B1 (ko) 2018-04-10 2018-08-24 장식 부재
KR1020180099385A KR102483551B1 (ko) 2018-04-10 2018-08-24 장식 부재
KR1020180100613A KR102594849B1 (ko) 2018-04-10 2018-08-27 장식 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927A KR102489784B1 (ko) 2018-04-10 2018-08-31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32095A KR102644522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32128A KR102647071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32115A KR102644521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32090A KR102648149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32104A KR102647067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32066A KR102651333B1 (ko) 2018-04-10 2018-10-31 장식 부재
KR1020180142874A KR102567283B1 (ko) 2018-04-10 2018-11-19 장식 부재
KR1020190031164A KR102142213B1 (ko) 2018-04-10 2019-03-19 화장품 용기용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11812837B2 (ko)
EP (5) EP3679826A4 (ko)
JP (5) JP7160381B2 (ko)
KR (15) KR102594844B1 (ko)
CN (5) CN111343885B (ko)
WO (1) WO2019198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844B1 (ko) * 2018-04-10 2023-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CN111683562B (zh) 2018-06-15 2022-11-15 株式会社Lg化学 装饰构件
US11932001B2 (en) 2018-06-15 2024-03-19 Lg Chem, Ltd. Decoration member
CN110365823B (zh) * 2019-07-08 2021-09-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FR3118054B1 (fr) * 2020-12-23 2023-11-24 Silgan Dispensing Systems Le Treport Pièce pour article de cosmétique décorée avec une résine, et procédé de couverture de cette pièce avec la résine
KR102332417B1 (ko) * 2020-12-30 2021-12-01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컬러 가변형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10562A (ko) * 2021-07-12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글래스를 이용한 그라데이션 커버 글래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663915B1 (ko) * 2021-07-26 2024-05-07 최일준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장품의 제조방법
KR102558097B1 (ko) * 2023-01-09 2023-07-24 주식회사 닛시인터내셔널 색상 가변형 광택 필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6624A (ja) * 1985-12-20 1987-06-30 凸版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を有する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0047613A (ja) * 1998-07-21 2000-02-18 Shin Jo 多重表示式の表示具
JP2001503879A (ja) * 1996-11-01 2001-03-21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高傾斜再帰反射キューブコーナー物品
US20050063067A1 (en) * 2003-09-18 2005-03-24 Phillips Roger W. Patterned reflective optical structures
KR20080078523A (ko) * 2007-02-22 2008-08-27 산코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장식 패널
KR20100135837A (ko) 2008-04-24 2010-12-2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저반사 유리 및 디스플레이용 보호판
JP2011173379A (ja) * 2010-02-25 2011-09-08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210319A (ja) * 2014-04-24 2015-11-2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窓材及び建具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730A (en) 1964-02-18 1967-08-29 Little Inc A Method of treating reflective surfaces to make them multihued and resulting product
US3684348A (en) 1970-09-29 1972-08-15 Rowland Dev Corp Retroreflective material
JPS6064716U (ja) * 1983-10-12 1985-05-08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光輝性曲面をもつプラスチツク容器
JPH0634725Y2 (ja) * 1985-09-02 1994-09-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付きコンパクト
JPS63101707A (ja) * 1986-10-20 1988-05-06 Honda Motor Co Ltd クランク角センサ
CN2056903U (zh) * 1989-06-02 1990-05-09 陈远星 彩色彩虹多种装饰片
JPH03116498A (ja) 1989-09-28 1991-05-17 Nec Ic Microcomput Syst Ltd 記憶装置
US5408321A (en) * 1993-06-07 1995-04-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dichroism of sheet materials
WO1995033392A1 (en) 1994-06-08 1995-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nged package having an adjustable cover
JPH0973001A (ja) * 1995-07-06 1997-03-18 Sony Corp 反射防止膜
US6531230B1 (en) * 1998-01-13 2003-03-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lor shifting film
EP0982605A1 (en) 1998-08-26 2000-03-01 MERCK PATENT GmbH Reflective film
TW394852B (en) * 1998-08-26 2000-06-21 Merck Patent Gmbh Reflective film
JP2000329916A (ja) * 1998-09-16 2000-11-30 Sumitomo Chem Co Ltd 半透過反射板
JP2002059700A (ja) * 2000-08-22 2002-02-26 Osaka Prefecture 虹色発色加工法
JP2002192644A (ja) * 2000-12-26 2002-07-10 Central Glass Co Ltd 銅系膜付き基板
US20050095374A1 (en) * 2001-07-24 2005-05-05 Liggett Cothran Composites containing crosslinkable thermoplastic and TPV show layer
JP2003265226A (ja) 2002-03-14 2003-09-24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化粧品容器
WO2003085709A1 (en) * 2002-04-11 2003-10-16 Hoya Corporation Reflection type mask blank and reflection type mask and production methods for them
KR100485287B1 (ko) * 2002-04-30 2005-04-27 이정우 일방향 투시되는 장식필름
US7175947B2 (en) 2002-05-17 2007-02-13 Optrex Corporation Light reflective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US7588829B2 (en) 2002-05-31 2009-09-15 Ppg Industries Ohio, Inc. Article having an aesthetic coating
JP4104971B2 (ja) 2002-12-24 2008-06-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装飾体
US8664292B2 (en) * 2004-05-27 2014-03-04 Croda International Plc Compositions and articles containing a cross-linked polymer matrix and an immobilized active liquid, as well a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60275625A1 (en) * 2005-06-03 2006-12-07 Daniel Lieberman High and low refractive index and metallic surface relief coatings
AU2006202315B2 (en) 2005-06-17 2011-01-27 Viavi Solutions Inc. Covert security coating
EP1918740A4 (en) 2005-07-29 2010-04-28 Asahi Glass Co Ltd LAMINATED BODY FOR A REFLECTION FILM
JP2008062562A (ja) * 2006-09-08 2008-03-21 Kimoto & Co Ltd 表示用フィルム
JP5055949B2 (ja) * 2006-10-23 2012-10-24 凸版印刷株式会社 ゴニオクロマティック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体
WO2009008403A1 (ja) 2007-07-11 2009-01-15 Nissha Printing Co., Ltd. 筐体用加飾板及び筐体
RU2456647C2 (ru) 2007-09-20 2012-07-20 Топпан Принтинг Ко., Лтд.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ламинат и маркир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JP2009078458A (ja) * 2007-09-26 2009-04-16 Toyoda Gosei Co Ltd 干渉色膜を有する機器用筐体及び機器用装飾体
JP5226269B2 (ja) * 2007-10-05 2013-07-03 紀伊産業株式会社 コンパクト容器用着色模様付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コンパクト容器用着色模様付成形体。
JP5351412B2 (ja) 2007-11-29 2013-11-27 三光合成株式会社 装飾用パネル
JP4938693B2 (ja) * 2008-01-08 2012-05-23 紀伊産業株式会社 模様付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模様付成形体
JP5139829B2 (ja) 2008-02-08 2013-02-06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982782B1 (ko) 2008-03-18 2010-09-16 (주)코리아비투시 가구용 장식패널 및 그 제조방법
DE102008016436A1 (de) * 2008-03-31 2009-10-01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für lackfreie, zähe Gehäuse mit Hochglanz-Oberfläche
EP2161598B2 (en) 2008-09-05 2021-06-09 Viavi Solutions Inc. An Optical Device Exhibiting Color Shift upon Rotation
TWI391261B (zh) 2008-12-05 2013-04-01 Hon Hai Prec Ind Co Ltd 彩色塗層及採用其之電子產品
JP5401132B2 (ja) 2009-01-20 2014-01-29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電波透過性装飾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73273A (ja) * 2009-01-30 2010-08-12 Toyoda Gosei Co Ltd 機器用筐体、機器用装飾体及び変色の抑制方法
JP4413274B1 (ja) 2009-02-19 2010-02-10 美濃商事株式会社 装飾表示体
JP2010197798A (ja) * 2009-02-26 2010-09-09 Toppa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機能を有する光学素子及びそれを具備する偽造防止表示体
TW201038330A (en) * 2009-04-30 2010-11-01 Hon Hai Prec Ind Co Ltd Colour coating and electronic product with the same
JP5609029B2 (ja) * 2009-07-09 2014-10-22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ステッカーの製造方法及びパターニング方法
JP5714266B2 (ja) 2009-08-25 2015-05-07 Hoya株式会社 マスクブランク、転写用マスク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5016722B2 (ja) * 2009-12-25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装飾部材
JP2011140136A (ja) 2010-01-06 2011-07-21 Panasonic Corp 装飾部材
JP5608385B2 (ja) 2010-02-08 2014-10-1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窓材、建具、ならびに日射遮蔽装置
JP2011186414A (ja) * 2010-02-12 2011-09-22 Sony Corp 光学素子、日射遮蔽装置、建具、窓材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11170295A (ja) * 2010-02-22 2011-09-01 Sekisui Plastics Co Ltd 光反射板
KR101963525B1 (ko) 2010-03-01 2019-03-28 시피필름스 인코포레이션 낮은 방사율 및 emi 차폐 창 필름
JP2012003026A (ja) 2010-06-16 2012-01-05 Sony Corp 光学体、窓材、建具および日射遮蔽装置
AT510220B1 (de) 2010-07-19 2013-07-15 Hueck Folien Gmbh Sicherheitselement mit einer optisch variablen schicht
KR101211935B1 (ko) * 2010-12-10 2012-12-13 두선산업 주식회사 입체화상의 인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체화상 인쇄물
KR101812938B1 (ko) * 2011-01-28 2017-12-2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장식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장식 수지 성형품
JP5726551B2 (ja) 2011-01-28 2015-06-03 セーレン株式会社 加飾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930783B2 (ja) 2012-03-19 2016-06-08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色硬質装飾部材
JP5910279B2 (ja) * 2012-04-19 2016-04-27 マツダ株式会社 加飾フイルム構造体及び加飾成形部材
KR20130118082A (ko) * 2012-04-19 2013-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903989B2 (en) 2012-08-31 2018-02-27 Lg Chem, Ltd. Metal structure for decorative bez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H707940B1 (fr) 2013-04-23 2017-12-29 Les Ateliers Horlogers Dior Sa Pièce en nacre monobloc imitant la marqueteri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telle pièce.
KR101497955B1 (ko) * 2013-07-25 2015-03-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투과 후면전극과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15068849A (ja) * 2013-09-26 2015-04-13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6364754B2 (ja) 2013-11-26 2018-08-01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KR101902669B1 (ko) 2014-03-07 2018-11-07 유니버시티 오브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플라스틱 기판용 장식 코팅
JP6386268B2 (ja) 2014-06-30 2018-09-05 紀伊産業株式会社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法
JP6448947B2 (ja) 2014-08-12 2019-01-0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多層薄膜
JP5798233B1 (ja) 2014-12-22 2015-10-21 株式会社精工技研 加飾プラスチック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153202A (ja) * 2015-02-20 2016-08-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材
US10459547B2 (en) 2015-02-26 2019-10-29 Lg Chem, Ltd Conductiv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32597B1 (ko) * 2015-05-06 2019-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N107407846B (zh) 2015-05-08 2021-10-29 株式会社Lg化学 薄膜晶体管基底和包括其的显示装置
JP2017090523A (ja) * 2015-11-04 2017-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JP6611570B2 (ja) 2015-11-26 2019-11-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加飾フィルム、加飾フィルムの製造方法、加飾成形体、及び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70086294A (ko) 2016-01-18 2017-07-26 주식회사 케이씨씨 다층 코팅 및 이를 포함하는 열처리 곡 성형 및 화학 강화처리가 가능한 컬러코팅 유리
JP6730871B2 (ja) 2016-04-07 2020-07-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体、窓材及びロールカーテン
KR20170133109A (ko) *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피치 다색상 컬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7221365A (ja) 2016-06-15 2017-12-21 日本製紙パピリア株式会社 化粧品
KR20170142695A (ko) * 2016-06-20 2017-12-28 이상근 색변환 필름이 선명하게 형성된 의류용 장식체 및 상기 장식체의 제조방법
KR101926648B1 (ko) 2016-09-09 2018-12-07 미래나노텍(주)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및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KR20180102027A (ko) 2017-03-06 2018-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US11376888B2 (en) 2017-03-06 2022-07-05 Lg Chem, Ltd. Decorative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member
KR101966851B1 (ko) * 2017-03-06 2019-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4106B1 (ko) * 2017-06-27 2018-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1549B1 (ko) * 2017-06-27 2021-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4549B1 (ko) 2017-08-30 2019-05-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동형 기지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CN111417522A (zh) 2017-09-29 2020-07-1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结构着色的物品以及用于制造和使用结构着色的物品的方法
KR102594844B1 (ko) 2018-04-10 2023-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6624A (ja) * 1985-12-20 1987-06-30 凸版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を有する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1503879A (ja) * 1996-11-01 2001-03-21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高傾斜再帰反射キューブコーナー物品
JP2000047613A (ja) * 1998-07-21 2000-02-18 Shin Jo 多重表示式の表示具
US20050063067A1 (en) * 2003-09-18 2005-03-24 Phillips Roger W. Patterned reflective optical structures
KR20060067966A (ko) * 2003-09-18 2006-06-20 제이디에스 유니페이즈 코포레이션 패터닝된 반사 광 마이크로 구조
KR20080078523A (ko) * 2007-02-22 2008-08-27 산코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장식 패널
KR20100135837A (ko) 2008-04-24 2010-12-2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저반사 유리 및 디스플레이용 보호판
JP2011173379A (ja) * 2010-02-25 2011-09-08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210319A (ja) * 2014-04-24 2015-11-2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窓材及び建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36355B2 (ja) 2022-03-15
JP7183510B2 (ja) 2022-12-06
KR102489784B1 (ko) 2023-01-18
CN111770702A (zh) 2020-10-13
JP2021515711A (ja) 2021-06-24
KR102483544B1 (ko) 2023-01-02
US20210016540A1 (en) 2021-01-21
KR102651333B1 (ko) 2024-03-26
KR102142213B1 (ko) 2020-08-06
US20210033755A1 (en) 2021-02-04
US11812837B2 (en) 2023-11-14
KR20190118508A (ko) 2019-10-18
JP7160381B2 (ja) 2022-10-25
KR20190118482A (ko) 2019-10-18
KR20190118481A (ko) 2019-10-18
EP3778213B1 (en) 2024-02-14
CN111770702B (zh) 2023-05-30
EP3778214B1 (en) 2024-02-14
JP2021511980A (ja) 2021-05-13
EP3679826A1 (en) 2020-07-15
KR102594844B1 (ko) 2023-10-27
EP3777604A4 (en) 2021-05-26
EP3777604A1 (en) 2021-02-17
CN111757808A (zh) 2020-10-09
KR20190118491A (ko) 2019-10-18
KR20190118478A (ko) 2019-10-18
KR102489783B1 (ko) 2023-01-18
KR102648149B1 (ko) 2024-03-15
US20210022475A1 (en) 2021-01-28
CN111836715B (zh) 2022-04-22
KR20190118496A (ko) 2019-10-18
JP2021514866A (ja) 2021-06-17
EP3777605A4 (en) 2021-05-19
KR102605827B1 (ko) 2023-11-27
JP2021514217A (ja) 2021-06-10
KR20190118489A (ko) 2019-10-18
US11844409B2 (en) 2023-12-19
KR20190118480A (ko) 2019-10-18
KR102567283B1 (ko) 2023-08-17
KR20190118492A (ko) 2019-10-18
EP3679826A4 (en) 2021-04-07
EP3778213A1 (en) 2021-02-17
EP3778213A4 (en) 2021-05-26
KR102647071B1 (ko) 2024-03-13
KR102644522B1 (ko) 2024-03-07
KR20190118483A (ko) 2019-10-18
JP7088459B2 (ja) 2022-06-21
KR102594849B1 (ko) 2023-10-27
KR20190118493A (ko) 2019-10-18
KR102647067B1 (ko) 2024-03-13
KR20190118490A (ko) 2019-10-18
EP3778214A4 (en) 2021-05-26
CN111669989A (zh) 2020-09-15
CN111757808B (zh) 2022-12-16
JP2021502136A (ja) 2021-01-28
JP7136215B2 (ja) 2022-09-13
WO2019198939A1 (ko) 2019-10-17
EP3777605A1 (en) 2021-02-17
KR102644521B1 (ko) 2024-03-07
CN111343885B (zh) 2023-09-26
KR20190118494A (ko) 2019-10-18
CN111836715A (zh) 2020-10-27
US20210186179A1 (en) 2021-06-24
CN111669989B (zh) 2023-04-25
KR20190118484A (ko) 2019-10-18
US20210053389A1 (en) 2021-02-25
CN111343885A (zh) 2020-06-26
KR102483551B1 (ko) 2023-01-02
EP3778214A1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783B1 (ko)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1575B1 (ko) 장식 부재
CN111787826B (zh) 装饰元件
KR101930858B1 (ko)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KR20190138542A (ko)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
KR102306984B1 (ko) 장식 부재
KR20190118520A (ko) 장식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