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904A -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전지 - Google Patents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904A
KR20190104904A KR1020190023368A KR20190023368A KR20190104904A KR 20190104904 A KR20190104904 A KR 20190104904A KR 1020190023368 A KR1020190023368 A KR 1020190023368A KR 20190023368 A KR20190023368 A KR 20190023368A KR 20190104904 A KR20190104904 A KR 20190104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xternal terminal
pedestal
hole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759B1 (ko
Inventor
도모타카 하기노
요이치 나루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104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H01M2/3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23K26/24Seam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B23K20/233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without ferrous layer
    • B23K20/2333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without ferrous layer one layer being aluminium, magnesium or beryll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4Prelimina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32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23K26/323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involving parts made of dissimilar metallic material
    • H01M2/06
    • H01M2/08
    • H01M2/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0Aluminium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2Copper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8Dissimilar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과제] 설비 비용이 낮게 억제될 수 있는 전지의 제조 방법의 신규 제안
[해결 수단] 용접 공정에서는, 적어도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눌려진 상태로,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를 진동시켜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가 고상 용접된다.

Description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전지{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본 발명은,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11073호 공보에는, 내부 단자의 축부가, 전지 케이스와 외부 단자에 삽입 통과되어, 외부 단자에 고정된 후, 고정된 부위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외부 단자에 레이저 용접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7-84585호 공보에는, 고정된 부위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레이저 용접에 의해 비드부를 마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1107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7-84585호 공보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와의 용접 부위는,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와의 다른 접촉 부위보다 전기 저항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와의 주된 도통 경로가 될 수 있다. 고정된 부위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용접 부위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이러한 용접 부위에 이물 등이 접촉할 수 있다.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와의 도통 경로의 품질은 높게 유지하고 싶기 때문에,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와의 용접 부위에 이물이 접촉하는 현상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고 싶다. 또한,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를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용접기와 같은 비교적 고가인 설비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여기서는, 완전히 새로운 구조의 전지와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제안되는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전지 케이스 부품을 준비하는 공정과, 개스킷을 준비하는 공정과, 내부 단자를 준비하는 공정과, 인슐레이터를 준비하는 공정과, 외부 단자를 준비하는 공정과, 조립 공정과, 용접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준비되는 전지 케이스 부품은, 장착 구멍을 가지고 있다. 개스킷은, 장착 구멍에 장착 가능한 통부(筒部)를 가지고 있다. 내부 단자는, 통부에 장착 가능한 받침대부를 가지고 있다. 인슐레이터는, 받침대부에 장착되는 제 1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다. 외부 단자는, 인슐레이터의 위에 배치되어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를 가지고 있다. 조립 공정에서는, 내부 단자와, 개스킷과, 전지 케이스 부품과, 인슐레이터와, 외부 단자가 조립된다. 여기서, 조립 공정에서는, 전지 케이스 부품의 장착 구멍에 개스킷의 통부가 장착되고, 개스킷의 통부에 내부 단자의 받침대부가 장착되며, 받침대부에 제 1 관통 구멍을 장착하면서 전지 케이스 부품의 외측면에 인슐레이터가 배치되고, 또한, 인슐레이터의 위에서 받침대부에 겹쳐지도록 외부 단자가 배치된다. 용접 공정에서는, 적어도 받침대부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가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내부 단자의 받침대부에 외부 단자가 눌려진 상태로, 외부 단자 또는 내부 단자를 진동시켜 받침대부와 외부 단자가 고상 용접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내부 단자의 받침대부와 외부 단자와의 고상 용접의 품질이 안정된다.
예를 들면, 외부 단자는,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제 2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용접 공정에서는, 제 2 관통 구멍을 통하여 인슐레이터가 밀어 내려져, 인슐레이터가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지면 된다.
또한, 외부 단자는,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제 2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고, 또한, 인슐레이터는, 제 2 관통 구멍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조립 공정에서는,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형성된 제 2 관통 구멍에 인슐레이터의 돌기가 삽입되면 된다. 그리고, 용접 공정에서는, 돌기가 밀어 내려짐으로써, 받침대부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가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지면 된다.
또한, 돌기는, 내부 단자의 받침대부에 외부 단자가 눌려진 상태로, 제 2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외부 단자는,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두께가 얇아진 박육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용접 공정에서는, 박육부가 밀어 내려짐으로써, 받침대부의 둘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가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지면 된다.
또한, 내부 단자를 준비하는 공정에 있어서 준비되는 내부 단자는, 받침대부로부터 세워진 축부를 가지고, 또한, 외부 단자를 준비하는 공정에 있어서 준비되는 외부 단자는, 축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조립 공정에서는, 인슐레이터의 위에 있어서 축부에 삽입 통과 구멍이 삽입 통과되도록 외부 단자가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용접 공정 후 또는 용접 공정 시에, 축부를 삽입 통과 구멍의 주위에 고정 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 공정 후에, 적어도 받침대부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가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지는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용접 공정에서는,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를 호른과 앤빌로 사이에 끼워, 내부 단자의 받침대부와 외부 단자를 누르면서, 내부 단자 또는 외부 단자에 초음파 진동이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여기서 제안되는 전지는, 장착 구멍을 가지는 전지 케이스 부품과,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와, 내부 단자 및 외부 단자와, 전지 케이스 부품과의 사이에 개재한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단자는, 절연 부재를 개재시켜 전지 케이스 부품의 내측에 겹쳐진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며, 절연 부재를 개재시켜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전지 케이스 부품에 장착된 받침대부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단자는,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된 받침대부에 겹쳐지고, 또한, 내부 단자에 용접된 용접부와,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 부재는, 관통 구멍으로 돌출된 돌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여기서 제안되는 전지는, 장착 구멍을 가지는 전지 케이스 부품과,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와, 내부 단자 및 외부 단자와, 전지 케이스 부품과의 사이에 개재된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단자는, 절연 부재를 개재시켜 전지 케이스 부품의 내측에 겹쳐진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며, 절연 부재를 개재시켜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전지 케이스 부품에 장착된 받침대부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단자는,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된 받침대부에 겹쳐지고, 또한, 내부 단자에 용접된 용접부와,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있어서, 두께가 얇아진 박육부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단자는, 받침대부로부터 세워진 축부를 더 가지고 있으며, 외부 단자는, 축부가 삽입 통과된 삽입 통과 구멍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축부는,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삽입 통과 구멍의 주위에 고정되어 있으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밀폐형 전지(1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가 전지 케이스(11)에 장착된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조립 공정에서, 조립된 내부 단자(15)와, 개스킷(12)과, 덮개(11b)와, 인슐레이터(13)과, 외부 단자(1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조립 공정에서의,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의 둘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용접 공정에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고정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형태의 전지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인슐레이터(13)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단자(15)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여기서 제안되는 전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여기서 제안되는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는, 당연히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도면은 모식적으로 그려져 있으며, 반드시 실물을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부재·부위에는, 적절히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 하, 좌, 우, 전, 후의 방향은, 도면 중, U, D, L, R, F, Rr의 화살표로 각각 나타나 있다.
여기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밀폐형 전지(10)를 예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밀폐형 전지(1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대략 직방체의 전지 케이스(11)의 편측의 폭이 넓은 면을 따라, 내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그려져 있다. 도 2는,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가 전지 케이스(11)에 장착된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밀폐형 전지(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지 케이스(11)와, 개스킷(12)과, 인슐레이터(13)와,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와, 접속 단자(16)와, 전극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체(20)는, 절연 필름(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 등으로 덮여진 상태로, 전지 케이스(11)에 수용되어 있다. 전극체(20)는, 정극 요소로서의 정극 시트(21)와, 부극 요소로서의 부극 시트(22)와, 세퍼레이터로서의 세퍼레이터 시트(31, 32)를 구비하고 있다. 정극 시트(21)와, 제1 세퍼레이터 시트(31)와, 부극 시트(22)와, 제2 세퍼레이터 시트(32)는, 각각 장척의 띠 형상의 부재이다.
정극 시트(21)는, 미리 정해진 폭 및 두께의 정극 집전박(21a)(예를 들면, 알루미늄박)에, 폭 방향의 편측의 단부에 일정한 폭으로 설정된 미형성부(21a1)를 제외하고, 정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정극 활물질층(21b)이 양면에 형성되어 있다. 정극 활물질은,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리튬 천이 금속 복합 재료와 같이, 충전 시에 리튬 이온을 방출하고, 방전 시에 리튬 이온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이다. 정극 활물질은, 일반적으로 리튬 천이 금속 복합 재료 이외에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부극 시트(22)는, 미리 정해진 폭 및 두께의 부극 집전박(22a)(여기서는, 구리박)에, 폭 방향의 편측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폭으로 설정된 미형성부(22a1)를 제외하고, 부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부극 활물질층(22b)이 양면에 형성되어 있다. 부극 활물질은,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천연 흑연과 같이, 충전 시에 리튬 이온을 흡장하고, 충전 시에 흡장한 리튬 이온을 방전 시에 방출할 수 있는 재료이다. 부극 활물질은, 일반적으로 천연 흑연 이외에도 다향하게 제안되고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세퍼레이터 시트(31, 32)에는, 예를 들면, 소요의 내열성을 가지는 전해질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질의 수지 시트가 이용된다. 세퍼레이터 시트(31, 32)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부극 활물질층(22b)의 폭은, 예를 들면, 정극 활물질층(21b)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 시트(31, 32)의 폭은, 부극 활물질층(22b)보다 넓다. 정극 집전박(21a)의 미형성부(21a1)와, 부극 집전박(22a)의 미형성부(22a1)는,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으로 향해진다. 또한, 정극 시트(21)와, 제 1 세퍼레이터 시트(31)와, 부극 시트(22)와, 제 2 세퍼레이터 시트(32)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방향을 맞춰, 차례로 겹쳐져 권회되어 있다. 부극 활물질층(22b)은, 세퍼레이터 시트(31, 32)를 개재시킨 상태로 정극 활물질층(21b)을 덮고 있다. 부극 활물질층(22b)은, 세퍼레이터 시트(31, 32)에 덮여 있다. 정극 집전박(21a)의 미형성부(21a1)는, 세퍼레이터 시트(31, 32)의 폭 방향의 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다. 부극 집전박(22a)의 미형성부(22a1)는, 폭 방향의 반대측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시트(31, 32)로부터 비어져 나와 있다.
상기 서술한 전극체(2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지 케이스(11)의 케이스 본체(11a)에 수용될 수 있도록, 권회축을 포함하는 일 평면을 따른 편평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극체(20)의 권회축을 따라, 편측에 정극 집전박(21a)의 미형성부(21a1)가 배치되고, 반대측에 부극 집전박(22a)의 미형성부(22a1)가 배치되어 있다. 정극 집전박(21a)의 미형성부(21a1)와, 부극 집전박(22a)의 미형성부(22a1)는, 덮개(11b)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된 내부 단자(15)에 장착되어 있다. 전극체(20)는, 이와 같이 덮개(11b)에 장착된 내부 단자(15)에 장착된 상태로, 전지 케이스(11)에 수용된다.
전지 케이스(11)는, 편평한 각형(角型)의 수용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 본체(11a)와, 덮개(11b)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 케이스에는, 알루미늄 1000번계, 3000번계 등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 본체(11a)는, 편평한 대략 직방체의 용기 형상을 가지고, 긴 변과 짧은 변으로 이루어지는 일면이 개구되어 있다. 덮개(11b)는, 당해 케이스 본체(11a)의 개구에 따른 형상으로, 당해 개구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이다. 덮개(11b)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11c)(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구멍(11c)의 가장자리에는, 덮개(11b)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11c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안되는 전지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지 케이스 부품(이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11b))과,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와, 절연 부재(12, 1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절연 부재는, 내부 단자(15) 및 외부 단자(14)와, 전지 케이스 부품으로서의 덮개(11b)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부재는, 개스킷(12)과, 인슐레이터(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내부 단자(1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드부(15a)와, 베이스부(15b)와, 받침대부(15c)와, 축부(15d)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5b)는, 덮개(11b)의 내측에 있어서 개스킷(12)에 겹쳐진 부위이며, 개스킷(12)을 개재시켜 덮개(11b)에 장착되어 있다. 리드부(15a)는, 베이스부(15b)로부터 전지 케이스(11) 내부로 연장되는 부위이다. 도 1에서는, 좌측의 내부 단자(15)의 리드부(15a)에는, 전극체(20)의 정극 집전박(21a)의 미형성부(21a1)가 용접되어 있다. 우측의 내부 단자(15)의 리드부(15a)에는, 전극체(20)의 부극 집전박(22a)의 미형성부(22a1)가 용접되어 있다. 받침대부(15c)는, 베이스부(15b)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개스킷(12)을 개재시켜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에 삽입 통과되어 덮개(11b)에 장착되어 있다. 축부(15d)는, 받침대부(15c)의 중앙부에 있어서 세워져 있다. 여기서, 축부(15d)가 세워진 부위(즉, 받침대부(15c)의 중앙부)는, 받침대부(15c)의 완전한 중앙이 아니어도 된다. 축부(15d)는, 받침대부(15c)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나 있어도 된다.
개스킷(12)은,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과 내부 단자(15)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의 시일성을 확보함과 함께, 덮개(11b)와 내부 단자(15)를 절연하고 있다. 개스킷(12)은, 소요의 탄성을 가지는 수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스킷(12)에는,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가 이용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개스킷(12)은, 통부(12a)와, 플랜지부(12b)와, 포위부(12c)와, 수용부(12d)를 가지고 있다. 통부(12a)는, 플랜지부(12b)로부터 돌출된 부위이며,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 및 축부(15d)가 삽입 통과됨과 함께,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부위이다. 통부(12a)는,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또한, 장착 구멍(11c)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2b)는, 통부(12a)의 일단으로부터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덮개(11b)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판 형상의 부위이다. 포위부(12c)는, 플랜지부(12b)의 주연으로부터 통부(12a)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있다. 수용부(12d)는, 개스킷(12)의 하면에 마련되어 있다. 수용부(12d)는, 후술하는 내부 단자(15)의 베이스부(15b)의 형상을 따른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베이스부(15b)가 위치 결정되는 부위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스킷(12)은,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조립되어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받침대부(15c)는,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덮개(11b)의 외측에서 인슐레이터(13)가 조립된다.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는, 개스킷(12)의 통부(12a)가 장착되고, 또한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에 장착된 상태로, 인슐레이터(13)의 두께 만큼, 덮개(11b)로부터 돌출되도록 받침대부(15c)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받침대부(15c)는, 개스킷(12)의 통부(12a)가 장착된 상태로,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에 장착되어 있다. 내부 단자(15)의 축부(15d)는, 받침대부(15c)의 중심부에서 세워져있다.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선단(15d1)은, 으깨어져 눌려, 외부 단자(14)의 외측에 있어서 삽입 통과 구멍(14c)의 주위에 고정된다. 또한, 도 2에서는, 내부 단자(15)의 축부(15d)는, 으깨어져 눌려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되기 전의 내부 단자(15)의 축부(15d)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다(도 3 참조).
인슐레이터(13)는, 덮개(11b)의 외측에 배치되어, 덮개(11b)와, 외부 단자(14) 및 접속 단자(16)를 절연하는 부재이다. 인슐레이터(13)는, 수지 부재에의 해 구성되어 있다. 인슐레이터(13)에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이나, 폴리에틸렌(PE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PPS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가 이용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인슐레이터(13)의 하면에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볼록부(13a)가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13a)는, 덮개(11b)의 오목부(11b1)에 장착된다. 인슐레이터(13)의 상면에는, 접속 단자(16)가 배치되는 오목부(13b)와, 외부 단자(14)가 장착되는 오목부(13c)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 단자(14)가 장착되는 오목부(13c)에는, 덮개(11b)에 형성된 장착 구멍(11c)에 따른 위치에 관통 구멍(13d)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3d)은,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가 삽입 통과될 수 있도록 받침대부(15c)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관통 구멍(13d)은,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으로부터 돌출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장착되어 있으며, 인슐레이터(13)는, 덮개(11b)에 씌여지도록 조립되어 있다. 인슐레이터(13)의 상면에는, 관통 구멍(13d)의 둘레에 돌기(13e)를 가진다. 돌기(13e)는, 후술하지만 외부 단자(14)의 관통 구멍(14e)에 장착되는 부위이다. 여기서, 인슐레이터(13)의 관통 구멍(13d)은, 외부 단자(14)의 관통 구멍(14e)과 구별하기 위해, 적절히, 「제 1 관통 구멍」이라고 칭해진다. 외부 단자(14)의 관통 구멍(14e)은, 인슐레이터(13)의 관통 구멍(13d)과 구별하기 위해, 적절히 「제 2 관통 구멍」이라고 칭해진다.
덮개(11b)의 외측에서는, 인슐레이터(13)를 개재하여 외부 단자(14)와 접속 단자(16)가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11b)의 외측면에는, 접속 단자(16)가 장착되는 부위를 따라 움푹 들어간 오목부(11b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외부 단자(14), 내부 단자(15) 및 접속 단자(16)에는, 정극측, 부극측에서, 각각 소요의 전위를 견디어낼 수 있는 재료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정극측에서는, 알루미늄 1000번계, 3000번계, 6000번계 등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이용된다. 부극측에서는, 구리 1000번계 등의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이용된다.
외부 단자(14)는, 용접부(14d)와 관통 구멍(14e)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용접부(14d)는,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에 삽입 통과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겹쳐진 부위에 있어서, 내부 단자(15)에 용접된 부위이다. 또한, 관통 구멍(14e)은, 받침대부(15c)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4e)에는, 절연 부재로서의 인슐레이터(13)의 상면에 돌출된 돌기(13e)가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13e)는,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눌려진 상태로, 관통 구멍(14e)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도록, 소요의 높이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단자(14)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3)를 개재시켜, 덮개(11b)의 외측에 겹쳐져 있다. 외부 단자(14)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단자(15)의 축부(15d)가 삽입 통과된 삽입 통과 구멍(14c)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삽입 통과 구멍(14c)의 주위가 받침대부(15c)에 겹쳐져 있다. 외부 단자(14)가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겹쳐진 부위에서는,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가 용접되어 있다. 또한, 외부 단자(14)가 받침대부(15c)에 겹쳐진 부위는, 전체 둘레에 걸쳐 용접되어 있어도 되지만, 둘레 방향 중 적어도 일부가 용접되어 있으면 된다. 여기서는, 삽입 통과 구멍(14c)의 주위에 있어서 받침대부(15c)에 겹쳐진 부위 중,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가 용접된 부위를, 용접부(14d)라고 한다. 당해 용접부(14d)에 의해, 내부 단자(15)의 선단(15d1)과 외부 단자(14)는, 용접됨으로써 도통이 확실하게 확보되고 있다.
관통 구멍(14e)은, 외부 단자(14)가 받침대부(15c)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있어서, 외부 단자(14)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 단자(14)가 받침대부(15c)에 겹쳐지는 부위로부터 삽입 통과 구멍(14c)의 외경측으로 조금 떨어진 위치에 관통 구멍(14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14e)은, 덮개(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 단자(14)가 받침대부(15c)에 겹쳐지는 부위를 사이에 끼우는 2개소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4e)의 사이에는, 내부 단자(15)의 축부(15d)가 삽입 통과되기 위한 삽입 통과 구멍(14c)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14)는, 덮개(11b)의 외측에 배치된 인슐레이터(13)의 위에 배치됨과 함께, 접속 단자(16)를 보지(保持)하고 있다. 외부 단자(14)는, 덮개(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이다. 외부 단자(14)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단차(14a)가 마련되어 있다. 단차(14a)의 편측에는 접속 단자(16)의 축부(16b)에 장착되는 장착 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반대측에는, 내부 단자(15)의 축부(15d)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14c)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 단자(16)는, 플랜지부(16a)와, 축부(16b)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6a)는, 덮개(11b)의 외측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13)에 마련된 오목부(13b)에 위치 결정되어 장착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플랜지부(16a)나 오목부(13b)는 대응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축부(16b)는, 외부 출력 단자가 되는 부위이며, 예를 들면, 조전지를 구성할 때에는, 버스 바가 장착되는 부위이다. 외부 단자(14)를 조립하는 공정에서는, 외부 단자(14)는, 인슐레이터(13)의 위에 조립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인슐레이터(13)의 위에 배치된 접속 단자(16)의 축부(16b)에 외부 단자(14)의 장착 구멍(14b)이 통과된다. 그리고, 인슐레이터(13)의 위에 노출된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에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이 통과된다. 또한, 인슐레이터(13)의 위에 외부 단자(14)가 조립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후에,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가 겹쳐진 부위가 용접되어 있다.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선단(15d1)은, 또한 외부 단자(14)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안되는 전지는, 개스킷(12)과 인슐레이터(13)를 개재시켜, 전지 케이스 부품으로서의 덮개(11b)에 조립된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를 사이에 끼우도록 프레스함과 함께, 내부 단자(15)의 축부(15d)를 변형시킨다. 즉,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선단(15d1)이 변형되어 외부 단자(14)에 고정된다. 이에 다라, 내부 단자(15), 개스킷(12), 인슐레이터(13) 및 외부 단자(14)가, 전지 케이스(11)의 덮개(11b)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지(10)의 내부 단자(15)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5b)와, 받침대부(15c)와, 축부(15d)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15b)는, 절연 부재(개스킷(12))를 개재시켜 전지 케이스 부품으로서의 덮개(11b)의 내측에 겹쳐져 있다. 받침대부(15c)는, 베이스부(15b)로부터 돌출되어, 절연 부재(12, 13)를 개재시켜 장착 구멍(11c)에 삽입 통과되어 덮개(11b)에 장착되어 있다. 축부(15d)는, 받침대부(15c)의 중앙부에 세워져 있다. 외부 단자(14)는, 삽입 통과 구멍(14c)과 용접부(14d)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 통과 구멍(14c)은, 내부 단자(15)의 축부(15d)가 삽입 통과되는 구멍이다. 용접부(14d)는, 삽입 통과 구멍(14c)의 주위에 있어서 받침대부(15c)에 겹쳐져 있고, 또한, 내부 단자(15)에 용접된 부위이다. 또한 내부 단자(15)의 축부(15d)는, 외부 단자(14)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전지(10)에서는, 외부 단자(14)는, 삽입 통과 구멍(14c)의 주위에 있어서 받침대부(15c)에 겹쳐진 부위에, 내부 단자(15)에 용접된 용접부(14d)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용접부(14d)가, 외부 단자(14)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용접부(14d)에 접촉하기 어려워, 도통 경로의 품질이 높게 유지되기 쉽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단자(15)의 축부(15d)는, 외부 단자(14)에 고정되어 있다. 즉, 내부 단자(15)는, 리벳과 같이 외부 단자(1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부 단자(15)는, 덮개(11b)와 개스킷(12)과 인슐레이터(13)와 외부 단자(14)에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기 쉽다. 이 때문에, 용접부(14d)를 떼어 놓는 것 같은 외력이 전지(10)에 작용한 경우에도, 용접부(14d)에서의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의 접합이 유지되기 쉽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외부 단자(14)에 고정된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외주연은, 레이저 용접 등으로 또한 외부 단자(14)에 용접되어도 된다. 이러한 용접에 의해,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의 접합이 보다 강고해진다. 또한, 도통 경로가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므로, 제조 비용은 높아지지만,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와의 도통 경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단자(14)의 이면에 마련된 용접부(14d)에 있어서, 내부 단자(15)와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용접부(14d)는, 내부 단자(15)나 외부 단자(14)의 표면 피막이 용융되어 있으며, 저항이 낮아, 도통 경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선단을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의 둘레에 고정하여, 고정된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주연부를 용접하는 경우에 비해,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와의 도통 경로가 짧아질 수 있다. 이 결과, 외부 단자(14)의 이면에 마련된 용접부(14d)에 있어서, 내부 단자(15)와 접합된 구조는, 전지(10)의 전지 저항을 작게 하는 것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서술한 전지(10)의 제조 방법 및 용접부(14d)의 용접 방법을 설명한다.
전지(10)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지 케이스 부품(여기서는, 덮개(11b))을 준비하는 공정과, 개스킷(12)을 준비하는 공정과, 내부 단자(15)를 준비하는 공정과, 인슐레이터(13)를 준비하는 공정과, 외부 단자(14)를 준비하는 공정과, 조립 공정과, 용접 공정과, 고정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조립 공정에서, 조립된 내부 단자(15)와, 개스킷(12)과, 덮개(11b)와, 인슐레이터(13)와, 외부 단자(1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조립 공정에서의,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의 둘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용접 공정에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용접 공정에서의,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의 둘레가 나타나 있다. 도 3 및 도 5에서는, 덮개(11b)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준비되는 전지 케이스 부품으로서의 덮개(11b)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장착 구멍(11c)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준비되는 개스킷(12)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장착 구멍(11c)에 장착 가능한 통부(12a)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준비되는 내부 단자(15)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통부(12a)에 장착 가능한 받침대부(15c)와, 받침대부(15c)의 중앙부에 있어서 세워진 축부(15d)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준비되는 인슐레이터(13)는, 받침대부(15c)에 장착되는 관통 구멍(13d)과, 돌출된 돌기(13e)를 가지고 있다. 준비되는 외부 단자(14)는, 축부(15d)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14c)과, 관통 구멍(14e)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인슐레이터(13)의 돌기(13e)는, 받침대부(15c)에 장착되는 관통 구멍(13d)의 주변에 마련되어 있다. 외부 단자(14)의 관통 구멍(14e)은, 이러한 돌기(13e)가 마련된 위치에 맞춰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11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받침대부(15c)에 장착되는 관통 구멍(13d)을 사이에 끼우도록 인슐레이터(13)의 2개소에 돌기(13e)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 단자(14)에는, 이러한 돌기(13e)가 돌출되도록 위치가 맞춰져 관통 구멍(14e)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 공정은,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단자(15)와, 개스킷(12)과, 덮개(11b)와, 인슐레이터(13)와, 외부 단자(14)를 조립하는 공정이다. 조립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전지 케이스 부품으로서의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에 개스킷(12)의 통부(12a)가 장착된다. 개스킷(12)의 통부(12a)에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가 장착된다. 받침대부(15c)에 관통 구멍(13d)을 장착하면서 덮개(11b)의 외측면에 인슐레이터(13)가 배치된다. 또한, 인슐레이터(13)의 위에 외부 단자(14)가 배치될 때에,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에 삽입 통과 구멍(14c)이 삽입 통과되고, 또한, 인슐레이터(13)의 돌기(13e)가 외부 단자(14)의 관통 구멍(14e)에 삽입된다. 또한, 조립 공정에서의, 내부 단자(15)와, 개스킷(12)과, 덮개(11b)와, 인슐레이터(13)와, 외부 단자(14)를 조립하는 순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립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내부 단자(15)에, 개스킷(12), 덮개(11b), 인슐레이터(13), 외부 단자(14)를 차례로 조립해도 된다.
용접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립 공정에서 조립된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가, 호른(41)과 앤빌(42)(수용 지그)로 끼워져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단자(14)의 상면에 호른(41)이 맞닿아지고, 내부 단자(15)의 베이스부(15b)의 하면에 앤빌(42)이 맞닿아져 있다. 그리고,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눌려져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축부(15d)가 삽입 통과된 삽입 통과 구멍(14c)의 둘레에서, 둘레 방향의 4개소에 호른(41)이 눌려져 있다. 호른(41)의 선단은,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호른(41)의 단면은, 장방형이지만, 축부(15d)가 삽입 통과된 삽입 통과 구멍(14c)의 둘레에서 둘레 방향을 따른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호른(41)은, 진동 발생기를 구비한 프레스기(41a)에 장착되어 있다. 진동 발생기는, 초음파 용접에 필요로 하는 소요의 진동을 호른(41)에 부여하는 장치이다. 진동 발생기는, 예를 들면, 트랜스듀서나 부스터 등을 내장하고 있으면 된다. 앤빌(42)은, 호른(41)에 대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앤빌(42)은, 호른(41)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내부 단자(15)의 베이스부(15b)에 맞닿아져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단자(14)의 관통 구멍(14e)에 삽입 통과된 돌기(13e)가 눌려짐으로써, 인슐레이터(13)가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에 따라,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진다. 돌기(13e)는, 예를 들면, 프레스기(44a)의 누름 부재(44)에 의해 눌려져 밀어 내려지면 된다.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져 있는지는, 프레스기(44a)의 누름 부재(44)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눌려졌을 때, 내부 단자(15)와 개스킷(12)과 덮개(11b)와 인슐레이터(13)와 외부 단자(14)가 밀착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돌기(11c1)가, 개스킷(12)에 맞물린다.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충분히 눌려져 있는지 아닌지는, 호른(41)과 앤빌(42)로 클램핑력에 의해 판정된다. 예를 들면, 필요한 압축 하중이 대강 2000N 정도인 경우에는, 프레스기(44a)의 누름 부재(44)와 호른(41)과 앤빌(42)로 클램핑력을 2000N으로 설정해 두면 된다. 누름 부재(44)와 호른(41)과 앤빌(42)에 의해 클램핑력은, 예를 들면, 앤빌을 지지하는 부재에 작용하는 반력을 측정함으로써 2000N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가 받침대부(15c)에 의해 밀착되도록 눌려지고, 또한,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돌기(11c1)가, 개스킷(12)에 맞물린 상태가 보증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스기(44a)의 누름 부재(44)에 의해,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눌려진 상태로, 호른(41)에 의해 초음파 진동이 부여된다. 그 결과, 호른(41)과 앤빌(42)(수용 지그)에 의해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눌려진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가 용접된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호른(41)으로부터 외부 단자(14)로 전달되는 진동이,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의 접촉 개소에 다이렉트로 전달되기 쉽다. 이 때문에,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 중, 호른(41)과 앤빌(42)(수용 지그)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누르는 힘이 직접 작용할 수 있는 위치가 용접된다. 이와 같이, 용접 공정에서는, 적어도 받침대부(15c)의 둘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를 누르면서, 내부 단자(15) 또는 외부 단자(14)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면 된다.
여기서는, 호른(41)이 외부 단자(14)에 작용시키는 가압력을 센서에 의해 확인하면서, 미리 정해진 가압력이 작용된 상태로, 호른(41)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한다. 이 때, 내부 단자(15)와 개스킷(12)과 덮개(11b)와 인슐레이터(13)와 외부 단자(14)가 밀착되고, 또한,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돌기(11c1)가, 개스킷(12)에 맞물려진 상태에서, 외부 단자(14)가 진동한다. 이 때, 앤빌(42)에 의해 눌려진 내부 단자(15)는 고정되어 있으며, 호른(41)에 의해 눌려진 외부 단자(14)는 호른(41)과 동조하여 진동한다. 호른(41)을 통하여 외부 단자(14)에 부여되는 진동은,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가 고상 용접될 정도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 호른(41)을 통하여 외부 단자(14)에 부여되는 진동은, 예를 들면, 20kHz 이상 100kHz 이하 정도여도 된다.
또한, 호른(41)의 진동은, 예를 들면,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중심축 둘레에, 둘레 방향으로 진동시키면 된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에 의해,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와의 접합 계면은, 고상 용접된다. 즉,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는,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용접된다.
이 결과,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는, 예를 들면,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둘레에, 둘레 방향을 따라 용접되어 있으면 된다. 즉, 용접부(14d)는, 원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용접부(14d)는, 소요의 강도를 얻기 위해 소요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용접부(14d)는, 예를 들면 20mm2 이상(예를 들면 30mm2)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호른(41)을 통하여 외부 단자(14)에 진동이 부여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외부 단자(14)가 앤빌에 의해 눌려지고, 내부 단자(15)에 호른이 장착되어, 호른을 통하여 내부 단자(15)에 진동이 부여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용접 공정에서는, 적어도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눌려진 상태로,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를 진동시켜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가 고상 용접된다. 이러한 고상 용접에 의해,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와의 원자 레벨에서의 결합이 발생하여,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와의 도전성이 저저항으로 확보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용접 공정에서는, 적어도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져 있어,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확실하게 눌려진 상태로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를 진동시킬 수 있다.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인슐레이터(13)에 의해 진동이 저해되기 어려워,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가 품질 좋게 고상 용접된다.
도 7은, 고정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고정 공정에서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접 공정 후에, 축부(15d)가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의 주위에 고정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접 공정에서 이용되고 있던 호른(41)이 제거되고, 고정 부재(43)가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선단(15d1)이 눌려진다. 고정 부재(43)는, 예를 들면, 회전하면서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선단(15d1)에 눌려지도록 서보 모터 등의 소요의 액추에이터(43a)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공정에 있어서도, 적어도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져 있으면 된다. 그리고, 고정 공정 후에, 적어도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해제되면 된다. 즉, 고정 공정에 있어서도, 프레스기(44a)의 누름 부재(44)에 의해,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져 있으면 된다. 그리고, 고정 공정 후에, 프레스기(44a)의 누름 부재(44)가 인슐레이터(13)의 돌기(13e)로부터 떨어져 있으면 된다. 그리고, 프레스기(44a)의 누름 부재(44)에 의해 인슐레이터(13)의 돌기(13e)가 눌려진 상태로부터 개방되면 된다.
이와 같이, 고정 공정에 있어서,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져 있음으로써, 용접 공정에서 용접된 용접부(14d)에 인슐레이터(13)로부터의 반력이 작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선단(15d1)이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용접 공정에서 용접된 용접부(14d)가 적절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 7에서는, 모식적으로 그려져 있지만, 고정 공정에서는, 회전하는 고정 부재(43)에 의해,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선단(15d1)을 압축 변형시키면 된다. 이러한 고정 공정 후에, 프레스기(44a)의 누름 부재(44)가 돌기(13e)로부터 떨어지면 된다. 프레스기(44a)의 누름 부재(44)가 돌기(13e)로부터 떨어지면,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부(15c)의 둘레에 있어서, 돌기(13e)가 밀어 내려져 있던 인슐레이터(13)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한다. 이 때문에, 인슐레이터(13)가 덮개(11b)와 외부 단자(14)에 끼여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고상 용접에 더해, 고정된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외주연이, 외부 단자(14)에 용접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용접에 의해,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와의 접합이 보다 강고해질 수 있다.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외주연이, 또한 외부 단자(14)에 용접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의 원자 레벨로 결합된 부위가 증가하여,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와의 도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된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외주연의 용접에는, 레이저 용접이 이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전지(10), 전지(10)의 제조 방법 및 용접부(14d)의 용접 방법을 설명했지만, 전지(10), 전지(10)의 제조 방법 및 용접부(14d)의 용접 방법은, 상기 서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도 8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가 전지 케이스(11)에 장착된 부분이 나타나 있다. 도 8에 나타난 형태에서는, 외부 단자(14)는, 받침대부(15c)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관통 구멍(14e)을 가지고 있다. 인슐레이터(13)에는 관통 구멍(14e)에 돌출된 돌기(13e)가 마련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돌기(13e)는, 관통 구멍(14e)에 돌출되고 있지만, 관통 구멍(14e)으로부터는 돌출되고 있지 않다. 인슐레이터(13)의 돌기(13e)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4e)의 중간 부위까지 돌출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관통 구멍(14e)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용접 공정에 있어서, 관통 구멍(14e)에 막대 등이 삽입되어, 돌기(13e)가 밀어 내려지면 된다. 이에 따라,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의 둘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진다. 이 때문에,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를 진동시켜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를 고상 용접시키는 용접 공정에 있어서,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에 발생하는 진동이 인슐레이터(13)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다. 그리고, 도 2에서 나타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가 보다 확실하게 고상 용접된다.
또한, 도 9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난 형태에서는, 외부 단자(14)는, 받침대부(15c)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관통 구멍(14e)을 가지고 있다. 이 형태에서는, 인슐레이터(13)에는 관통 구멍(14e)에 돌출된 돌기(13e)(도 2 및 도 8 참조)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용접 공정에서는, 관통 구멍(14e)에 막대 등이 삽입되어, 인슐레이터(13)가 밀려 내려지면 된다. 이에 따라,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의 둘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진다. 이 때문에,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를 진동시켜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를 고상 용접시키는 용접 공정에 있어서,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에 발생하는 진동이 인슐레이터(13)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가 보다 확실하게 고상 용접된다.
또한, 도 10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나는 형태에서는, 외부 단자(14)는, 받침대부(15c)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박육부(14f)를 가지고 있다. 도 10에서는, 외부 단자(14)에는, 받침대부(15c)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구멍(14g)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14g)의 바닥부에 박육부(14f)가 마련되어 있다. 박육부(14f)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용접부(14d)와 공기를 격리할 수 있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박육부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외부 단자(14)와 인슐레이터(13)와의 사이에 물이나 이물이 침입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고상 용접의 품질이 높게 유지되기 쉽다. 박육부(14f)는, 막대로 밀어 내려졌을 때에도 구멍이 뚫리지 않는 강도로 설계하면 된다. 박육부(14f)의 중앙부에 두께가 얇은 부분을 마련하고, 중앙부의 둘레에 중앙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바꿔 말하면, 중앙부를 향해 서서히 얇아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면 된다.
이 형태에서는, 용접 공정에 있어서, 박육부(14f)가 마련된 구멍(14g)에 막대 등이 삽입되어, 인슐레이터(13)가 밀어 내려지면 된다. 이에 따라,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의 둘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진다. 이 때문에,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를 진동시켜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를 고상 용접시키는 용접 공정에 있어서,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에 발생하는 진동이 인슐레이터(13)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다. 그리고, 도 2에서 나타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가 보다 확실하게 고상 용접된다.
도 11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전지의 용접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난 형태의 전지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인슐레이터(13)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단자(15)의 평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단자(15)에 외부 단자(14)가 용접된 용접부(14d)는, 축부(15d)가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의 주위에 고정된 부위보다 외경측(즉, 축부(15d)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있어도 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는 형태에서는,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는, 덮개(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축이 설정된 타원 형상이다. 또한, 외부 단자(14)가 접합되는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는 홈(15c1)이 있다. 용접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의 장축을 따라 떨어진 2점에, 호른(41)이 배치되어 있다.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의 장축을 따라 호른(41)이 배치되는 위치보다 내측에, 홈(15c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의 장축을 따라 호른(41)이 배치되는 위치보다 외측에, 외부 단자(14)에 관통 구멍(14e)이 형성되어 있다. 인슐레이터(13)에는, 당해 관통 구멍(14e)에 돌출되는 돌기(13e)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용접 공정에 있어서, 돌기(13e)를 밀어 내려,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지면 된다. 특히, 호른(41)이 배치되는 위치의 바로 아래의 근방에 있어서, 인슐레이터(13)가 밀어 내려져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지면 된다. 그리고,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호른(41)에 의해, 외부 단자(14)가 내부 단자(15)에 눌려짐과 함께, 외부 단자(14)에 초음파 진동이 부여되면 된다. 이에 따라, 호른(41)에 의해 외부 단자(14)가 내부 단자(15)에 눌려진 부위에 있어서,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가 고상 용접된다. 그 후,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돌기(13e)를 밀어 내릴 수 있어,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진다. 그리고, 받침대부(15c)의 둘레에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내부 단자(15)의 축부(15d)가,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의 주위에 고정되면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단자(14)가 접합되는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는 홈(15c1)이 있다. 당해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조립되었을 때에,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의 사이에 이물이 끼이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대부(15c)에 홈(15c1)이 있음로써, 이물이, 홈(15c1)에 떨어진다. 이 때문에,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와의 용접이 보다 확실해진다. 홈(15c1)은,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부 단자(14)가 호른(41)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보다 내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즉, 축부(15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부 단자(14)가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용접된 용접부(14d)보다 축부(15d)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받침대부(15c)에 홈(15c1)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바꿔 말하면, 축부(15d)가 삽입 통과된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받침대부(15c)에 홈(15c1)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홈(15c1)은,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조립되었을 때에, 받침대부(15c)의 위에서, 50㎛ 이상 200㎛ 정도의 이물이 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 홈(15c1)은 200㎛ 이상 500㎛ 정도의 깊이를 가지고 있으며 된다. 또한, 홈(15c1)은 200㎛ 이상 2mm 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도 12의 예에서는, 홈(15c1)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홈(15c1)의 형상 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용접 공정 후에, 고정 공정이 실시되고 있지만, 고정 공정은, 용접 공정 시에 실시되어도 된다. 즉, 호른(41)에 의해, 외부 단자(14)가 내부 단자(15)에 눌려져 외부 단자(14)에 초음파 진동이 부여되고 있을 때에, 내부 단자(15)의 축부(15d)에 고정 부재를 닿게 하여, 내부 단자(15)의 축부(15d)를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의 주위에 고정해도 된다.
도 13은, 여기서 제안되는 전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난 형태에서는,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외부 단자(14)가 겹쳐져 용접되어 있다. 여기서는, 절연 부재로서의 개스킷(12)과 인슐레이터(13)를 개재시켜, 장착 구멍(11c)에 삽입 통과되어 덮개(11b)(전지 케이스 부품)에 장착된 받침대부(15c)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단자(14)는, 장착 구멍(11c)에 삽입 통과된 받침대부(15c)에 겹쳐지고, 또한, 당해 겹쳐진 부위에 있어서 내부 단자(15)에 용접된 용접부(14d)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난 형태에서는, 내부 단자(15)와, 개스킷(12)과, 덮개(11b)와, 인슐레이터(13)와, 외부 단자(14)가 조립되는 조립 공정에 있어서, 덮개(11b)의 장착 구멍(11c)에 개스킷(12)의 통부(12a)가 장착된다. 개스킷(12)의 통부(12a)에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가 장착된다. 받침대부(15c)에 관통 구멍(13d)을 장착하면서 덮개(11b)의 외측면에 인슐레이터(13)가 배치된다. 인슐레이터(13)의 위에서 받침대부(15c)에 겹쳐지도록 외부 단자(14)가 배치된다.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단자(14)는, 받침대부(15c)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관통 구멍(14e)을 가지고 있다. 인슐레이터(13)에는 관통 구멍(14e)에 돌출된 돌기(13e)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되지만, 용접 공정에 있어서, 돌기(13e)를 프레스기(44a)의 누름 부재(44)에 의해 밀어 내려지면 된다. 이에 따라,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의 둘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13)가 외부 단자(14)로부터 떨어진다. 그리고,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를 진동시켜 받침대부(15c)와 외부 단자(14)를 고상 용접시키는 용접 공정에 있어서, 외부 단자(14) 또는 내부 단자(15)에 발생하는 진동이 인슐레이터(13)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다.
도 13에 나타난 형태에서는, 외부 단자(14)가 받침대부(15c)의 넓은 영역에 겹쳐져 있다. 이 때문에,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가 넓은 면적으로 고상 용접되어 있다. 고상 용접은, 예를 들면, 외부 단자(14)에 호른이 눌려지고, 또한, 호른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내부 단자(15)의 베이스부(15b)에 앤빌이 눌려지면 된다. 그리고, 호른과 앤빌에 의해, 외부 단자(14)가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눌려지고, 또한, 호른에 의해 외부 단자(14)를 진동시키면 된다. 도 13에 나타난 형태의 전지에서는,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가 넓은 면적으로 고상 용접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상 용접된 용접부(14d)에 의해,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가 소요의 강도로 접합되어 있다.
즉, 받침대부(15c)에는, 축부(15d)(도 2 참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외부 단자(14)에는, 축부(15d)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14c)(도 2 참조)이 없다. 이 경우, 축부(15d)가 외부 단자(14)의 삽입 통과 구멍(14c)의 둘레에 고정된 형태는 아니지만, 외부 단자(14)가 내부 단자(15)의 받침대부(15c)에 넓은 면적으로 용접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외부 단자(14)와 내부 단자(15)가 소요의 강도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채용되고 있지 않지만, 받침대부(15c)의 상면에는, 적당한 위치에 이물이 떨어지기 위한 홈(도 11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여기서 제안되는 전지(10)에서는,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에 도통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용접 공정에 있어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지 않고,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의 용접이 구체화화되어 있다. 또한,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의 도통 경로가, 외부에 노현되지 않는,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와의 접촉 부위에 형성된다.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와의 도통 경로의 품질이 높게 유지되기 쉽다. 또한.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와의 도통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용접 공정에 있어서, 레이저 용접기 보다 비교적 저렴한 고상 용접기가 이용되기 때문에, 설비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여기서 제안되는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에 대해, 다양하게 설명했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기서 들어진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지 케이스나 전극체의 구조 등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케이스 부품으로서의 덮개(11b)에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가 장착되어 있지만, 전지 케이스의 구조에 따라서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지 케이스 부품은, 덮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에 내부 단자(15)와 외부 단자(14)가 장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케이스 본체가 전지 케이스 부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부재로서 개스킷(12)과 인슐레이터(13)가 예로 나타나 있지만, 절연 부재는, 내부 단자(15) 및 외부 단자(14)와, 전지 케이스 부품과의 사이에 끼우고 있으면 되고, 상기 서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전지(밀폐형 전지)
11 전지 케이스
11a 케이스 본체
11b 덮개
11b1 오목부
11c 장착 구멍
11c1 돌기
12 개스킷
12a 통부
12b 플랜지부
12c 포위부
12d 수용부
13 인슐레이터
13a 볼록부
13b 오목부
13c 오목부
13d 관통 구멍(제 1 관통 구멍)
13e 돌기
14 외부 단자
14a 단차
14b 장착 구멍
14c 삽입 통과 구멍
14d 용접부
14e 관통 구멍(제 2 관통 구멍)
14f 박육부
14g 구멍
15 내부 단자
15a 리드부
15b 베이스부
15c 받침대부
15c1 홈
15d 축부
15d1 축부(15d)의 선단
16 접속 단자
16a 플랜지부
16b 축부
20 전극체
21 정극 시트
21a 정극 집전박
21a1 미형성부
21b 정극 활물질층
22 부극 시트
22a 부극 집전박
22a1 미형성부
22b 부극 활물질층
31, 32 세퍼레이터 시트
41 호른
41a 진동 발생기를 구비한 프레스기
42 앤빌
43 고정 부재
44 누름 부재
44a 프레스기

Claims (12)

  1. 장착 구멍을 가지는 전지 케이스 부품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장착 구멍에 장착 가능한 통부를 가지는 개스킷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통부에 장착 가능한 받침대부를 가지는 내부 단자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받침대부에 장착되는 제 1 관통 구멍을 가지는 인슐레이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인슐레이터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외부 단자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전지 케이스 부품의 상기 장착 구멍에 상기 개스킷의 상기 통부가 장착되고, 상기 개스킷의 상기 통부에 상기 내부 단자의 상기 받침대부가 장착되며, 상기 받침대부에 상기 제 1 관통 구멍을 장착하면서 상기 전지 케이스 부품의 외측면에 인슐레이터가 배치되고, 또한, 인슐레이터의 위에서 상기 받침대부에 겹쳐지도록 상기 외부 단자가 배치된 상태로, 상기 내부 단자와, 상기 개스킷과, 상기 전지 케이스 부품과,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외부 단자를 조립하는 조립 공정과,
    적어도 상기 받침대부의 둘레에서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상기 내부 단자의 상기 받침대부에 상기 외부 단자가 눌려진 상태로, 상기 외부 단자 또는 상기 내부 단자를 진동시켜 상기 받침대부와 상기 외부 단자가 고상 용접되는 용접 공정을 구비한, 전지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제 2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 2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인슐레이터가 밀어 내려져,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지는, 전지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제 2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 2 관통 구멍에 돌출되는 돌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조립 공정에서는, 상기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형성된 상기 제 2 관통 구멍에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기 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돌기가 밀어 내려짐으로써, 상기 받침대부의 둘레에서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지는, 전지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내부 단자의 상기 받침대부에 상기 외부 단자가 눌려진 상태로, 상기 제 2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전지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두께가 얇아진 박육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박육부가 밀어 내려짐으로써, 상기 받침대부의 둘레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지는, 전지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단자를 준비하는 공정에 있어서 준비되는 상기 내부 단자는, 상기 받침대부로부터 세워진 축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단자를 준비하는 공정에 있어서 준비되는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축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조립 공정에서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위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이 삽입 통과되도록 상기 외부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용접 공정 후 또는 상기 용접 공정 시에, 적어도 상기 받침대부의 둘레에서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상기 축부를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주위에 고정하는 고정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공정 후에, 적어도 상기 받침대부의 둘레에서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외부 단자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해제되는, 전지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내부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를 호른과 앤빌에 의해 사이에 끼우고, 상기 내부 단자의 상기 받침대부와 상기 외부 단자를 누르면서, 상기 내부 단자 또는 상기 외부 단자에 초음파 진동이 부여되는, 전지의 제조 방법.
  8. 장착 구멍을 가지는 전지 케이스 부품과,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와,
    상기 내부 단자 및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전지 케이스 부품과의 사이에 개재한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단자는,
    상기 절연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전지 케이스 부품의 내측에 겹쳐진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절연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전지 케이스 부품에 장착된 받침대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받침대부에 겹쳐지고, 또한, 상기 내부 단자에 용접된 용접부와,
    상기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구비한 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에 돌출된 돌기를 가지고 있는 전지.
  10. 장착 구멍을 가지는 전지 케이스 부품과,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와,
    상기 내부 단자 및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전지 케이스 부품과의 사이에 개재한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단자는,
    상기 절연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전지 케이스 부품의 내측에 겹쳐진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절연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전지 케이스 부품에 장착된 받침대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받침대부에 겹쳐지고, 또한, 상기 내부 단자에 용접된 용접부와,
    상기 받침대부에 겹쳐지는 부위의 주변에 있어서, 두께가 얇아진 박육부를 구비한 전지.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단자는,
    상기 받침대부로부터 세워진 축부를 더 가지고,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축부가 삽입 통과된 삽입 통과 구멍을 더 가지며,
    상기 축부는,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주위에 고정되어 있는, 전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단자는,
    상기 받침대부로부터 세워진 축부를 더 가지고,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축부가 삽입 통과된 삽입 통과 구멍을 더 가지며,
    상기 축부는,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주위에 고정되어 있는, 전지.
KR1020190023368A 2018-03-02 2019-02-27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전지 KR102236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7946A JP7001957B2 (ja) 2018-03-02 2018-03-02 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
JPJP-P-2018-037946 2018-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904A true KR20190104904A (ko) 2019-09-11
KR102236759B1 KR102236759B1 (ko) 2021-04-06

Family

ID=6776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368A KR102236759B1 (ko) 2018-03-02 2019-02-27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258138B2 (ko)
JP (1) JP7001957B2 (ko)
KR (1) KR102236759B1 (ko)
CN (1) CN11022410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366A (ko) * 2020-09-17 2022-03-24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이차 전지용 단자 및 해당 단자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20220142185A (ko) * 2021-04-14 2022-10-21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리벳을 이용한 충전단자 밀폐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5208B2 (ja) 2020-09-17 2023-03-23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二次電池用端子および該端子を備えた二次電池
JP7285817B2 (ja) * 2020-12-11 2023-06-02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CN113346202B (zh) * 2021-05-13 2024-02-20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极柱组件及其制造方法、顶盖组件及顶盖组件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1073A (ja) 2012-06-29 2014-01-20 Toyota Motor Corp 電池、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池製造用マスク部材
JP2014112552A (ja) * 2014-02-06 2014-06-19 Gs Yuasa Corp 電池
KR20160134517A (ko) * 2015-05-14 2016-11-2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이차 전지
JP2017084585A (ja) 2015-10-27 2017-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JP2017183058A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8809B2 (ja) 2008-10-16 2014-02-19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5369900B2 (ja) * 2009-05-27 2013-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車両及び電池使用機器
KR101117622B1 (ko) * 2010-05-19 2012-02-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135510B1 (ko) * 2010-05-20 2012-04-1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JP5558955B2 (ja) * 2010-07-29 2014-07-23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密閉二次電池
JP2012033339A (ja) * 2010-07-29 2012-02-16 Daiwa Kasei Co Ltd 自動車および住宅用、産業機器用大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101264491B1 (ko) * 2011-02-22 2013-05-1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101265213B1 (ko) * 2011-06-30 2013-05-2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실링 구조를 가지는 이차 전지
JP5673832B2 (ja) 2011-08-30 2015-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組電池及び搭載機器
JP2013161629A (ja) 2012-02-03 2013-08-19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る二次電池
JP5868265B2 (ja) 2012-05-25 2016-02-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単電池および組電池
CN104412413B (zh) * 2012-06-29 2017-05-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池
CN104685667A (zh) * 2012-08-09 2015-06-03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的制造方法、超声波焊接用的辅助板以及蓄电装置
EP2903056B1 (en) * 2012-09-28 2018-08-15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JP5368660B1 (ja) * 2012-09-28 2013-12-18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
JP5342090B1 (ja) 2013-02-01 2013-11-13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蓄電素子
CN105144424B (zh) * 2013-04-24 2017-06-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密闭型电池
JP6008200B2 (ja) * 2013-05-02 2016-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
CN203260661U (zh) * 2013-05-09 2013-10-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密封型电池
JP5737638B2 (ja) 2013-09-24 2015-06-17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270511B2 (ja) * 2014-01-30 2018-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6146617B2 (ja) * 2014-02-12 2017-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06133950B (zh) * 2014-04-09 2019-06-21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二次电池
CN105552295B (zh) * 2014-10-24 2019-01-22 日立金属株式会社 电池用端子、电池用端子的制造方法和电池
JP6241676B2 (ja) * 2015-03-27 2017-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6582489B2 (ja) * 2015-03-30 2019-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JP6569322B2 (ja) * 2015-06-22 2019-09-04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WO2017110548A1 (ja) * 2015-12-24 2017-06-29 株式会社 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JP6662652B2 (ja) * 2016-02-02 2020-03-11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絶縁体の成形方法
JP6888934B2 (ja) * 2016-09-29 2021-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
JP6460417B2 (ja) * 2016-10-05 2019-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JP6601684B2 (ja) * 2016-11-09 2019-1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7064695B2 (ja) * 2017-12-15 2022-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組電池、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7121899B2 (ja) * 2018-02-16 2022-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1073A (ja) 2012-06-29 2014-01-20 Toyota Motor Corp 電池、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池製造用マスク部材
JP2014112552A (ja) * 2014-02-06 2014-06-19 Gs Yuasa Corp 電池
KR20160134517A (ko) * 2015-05-14 2016-11-2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이차 전지
JP2017084585A (ja) 2015-10-27 2017-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JP2017183058A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366A (ko) * 2020-09-17 2022-03-24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이차 전지용 단자 및 해당 단자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20220142185A (ko) * 2021-04-14 2022-10-21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리벳을 이용한 충전단자 밀폐구조
KR20230078982A (ko) * 2021-04-14 2023-06-05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리벳을 이용한 충전단자 밀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53466A (ja) 2019-09-12
US20190273240A1 (en) 2019-09-05
US11258138B2 (en) 2022-02-22
JP7001957B2 (ja) 2022-01-20
US11552373B2 (en) 2023-01-10
CN110224102A (zh) 2019-09-10
CN110224102B (zh) 2022-05-24
US20220115750A1 (en) 2022-04-14
KR102236759B1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562B1 (ko) 전지 및 전지의 제조방법
KR102236759B1 (ko)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전지
JP4401065B2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093874B2 (ja) 角形二次電池
JP6427460B2 (ja) 角形二次電池
JP5342090B1 (ja) 蓄電素子
JP2005216825A (ja) 角形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16225014A (ja) 円筒形二次電池
US20120248076A1 (en) Laser welding method and battery made by the same
JP2019109972A (ja) 密閉型電池、組電池、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2010282822A (ja) 密閉型電池およ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7163932B2 (ja) 蓄電素子
JP6939566B2 (ja) 蓄電素子
JP2021125304A (ja) 蓄電装置
US11610743B2 (en) Energy storage device
JP2012099746A (ja) 蓄電装置
JP2015162270A (ja) 円筒形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20064803A (ja) 電池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WO2023054135A1 (ja) 蓄電装置およ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JP7285817B2 (ja) 密閉型電池およ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20230012419A (ko) 단자 부품 및 단자 부품의 제조 방법
JP2024018222A (ja) 端子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池
JP2024018223A (ja) 端子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池
BR102018069780B1 (pt) Bateria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bateria
CN117837017A (zh) 蓄电装置和蓄电装置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