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679A - 적층체 - Google Patents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679A
KR20190098679A KR1020180125885A KR20180125885A KR20190098679A KR 20190098679 A KR20190098679 A KR 20190098679A KR 1020180125885 A KR1020180125885 A KR 1020180125885A KR 20180125885 A KR20180125885 A KR 20180125885A KR 20190098679 A KR20190098679 A KR 20190098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transparent resin
film
solvent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316B1 (ko
Inventor
마사요시 가라사와
가즈키 다이마츠
히토시 후쿠이
아키코 기시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필름 표면의 백화가 생기기 어려우며, 양호한 외관 및 시인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에 근거하는 투명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1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캐스트법에 의해 상기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투명 수지 필름과, 상기 투명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첩합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용매 중에서 가장 비점이 높은 용매의 비점이 120∼300℃이며,
열중량-시차열 측정에 의한 120℃로부터 250℃에 있어서의 질량 감소율로서 산출되는, 상기 투명 수지 필름의 잔류 용매량(S)(질량%)과, 상기 보호 필름의, 측정 온도 140℃에 있어서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차트의 전면적에 대한 Log M이 2.82로부터 3.32까지의 면적의 비율로서 정의되는 저분자 성분량(W)(%)이, 관계식 (1):
S×W≤4.7 (1)
을 만족시키고,
W가 0.33 이하인, 적층체.

Description

적층체{LAMINATE}
본 발명은,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화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박형화, 경량화 및 플렉시블화 등에 수반하여, 종래 이용되고 있었던 글라스를 대신하는 재료로서, 폴리이미드나 폴리아미드 등의 고분자에 근거하는 투명 수지 필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투명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의 하나로서 캐스트법(용액 유연(流涎)법)이 알려져 있다. 캐스트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용매에 용해시킨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바니시(varnish)를 지지 기재 상에 도포하여 제막(製膜)하고, 지지 기재로부터 박리한 후, 건조에 의해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제막된 투명 수지 필름의 표면에는, 적절히, 박리가능한 보호 필름이 적층되며, 필름 표면의 보호가 도모되고 있다(특허문헌 1∼3).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20831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1412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6-87799호 공보
수지 필름 중에 용매가 존재하고 있을 경우, 보호 필름에 포함되는 첨가제 등의 성분이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용매로 용출되는 경우가 있으며, 용출된 성분에 의해, 보호 필름이 첩합(貼合)된 수지 필름의 표면이 백화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캐스트법 등에 의해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투명 수지 필름에서는, 연속적인 생산에 있어서, 바니시 중의 용매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은 어려우며, 어느 정도의 양의 용매가 잔존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보호 필름과 첩합하였을 때에 백화가 생기기 쉽다. 이러한 투명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백화는,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투명 수지 필름에 있어서 외관적인 결함이 될 뿐만 아니라, 각종 화상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에 이용할 경우에는 시인성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필름 표면의 백화가 생기기 어려우며, 양호한 외관 및 시인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에 근거하는 투명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바람직한 양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1]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1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캐스트법에 의해 상기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투명 수지 필름과, 상기 투명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첩합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용매 중에서 가장 비점이 높은 용매의 비점이 120∼300℃이며,
열중량-시차열(TD-DTA) 측정에 의한 120℃로부터 250℃에 있어서의 질량 감소율로서 산출되는, 상기 투명 수지 필름의 잔류 용매량(S)(질량%)과, 상기 보호 필름의, 측정 온도 140℃에 있어서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차트의 전면적에 대한 Log M이 2.82로부터 3.32까지의 면적의 비율로서 정의되는 저분자 성분량(W)(%)이, 관계식 (1):
S×W≤4.7 (1)
을 만족시키고,
W가 0.33 이하인, 적층체.
[2] S와 W가 관계식 (1'):
0.005≤S×W (1')
을 만족시키는, 상기 [1]에 기재된 적층체.
[3] 투명 수지 필름의 헤이즈가 1.0%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적층체.
[4] 투명 수지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인, 상기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5] 투명 수지 필름이,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γ-부티로락톤, N-메틸피롤리돈, 시클로펜타논, 아세트산 부틸 및 아세트산 아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적어도 1개 포함하는, 상기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6] 보호 필름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상기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 표면의 백화가 생기기 어려우며, 양호한 외관 및 시인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에 근거하는 투명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투명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TG-DTA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투명 수지 필름과, 상기 투명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첩합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이미드는, 이미드기를 포함하는 반복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나타내고, 폴리아미드이미드는, 이미드기를 포함하는 반복 구조 단위와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반복 구조 단위의 양방을 함유하는 중합체를 나타내고, 폴리아미드는,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반복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나타낸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미드이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식 (10)으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를 가진다. 여기에서, G는 4가의 유기기를 나타내며, A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G 및/또는 A는, 다른 2종류 이상의 식 (10)으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얻어지는 투명 수지 필름의 각종 물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식 (11), 식 (12), 및 식 (13)의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주요 구조 단위가 식 (10)으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이면, 투명 수지 필름의 강도 및 투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폴리이미드 고분자에 있어서, 식 (10)으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전(全)반복 구조 단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0몰%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이며,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이다. 식 (10)으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는, 100몰%여도 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G 및 G1은, 각각 독립적으로, 4가의 유기기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40의 4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기는, 탄화수소기 또는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탄화수소기 및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8이다. G 및 G1로서는, 식 (20), 식 (21), 식 (22), 식 (23), 식 (24), 식 (25), 식 (26), 식 (27), 식 (28) 또는 식 (29)로 나타내는 기 및 4가의 탄소수 6 이하의 쇄식 탄화수소기가 예시된다. 식 중의 *은 결합손을 나타내며, Z는, 단결합, -O-, -CH2-, -CH2-CH2-, -CH(CH3)-, -C(CH3)2-, -C(CF3)2-, -Ar-, -SO2-, -CO-, -O-Ar-O-, -Ar-O-Ar-, -Ar-CH2-Ar-, -Ar-C(CH3)2-Ar- 또는 -Ar-SO2-Ar-을 나타낸다. Ar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며, 구체예로서는 페닐렌기를 들 수 있다. 얻어지는 투명 수지 필름의 황색도를 억제하기 쉬운 점으로부터, G 및 G1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식 (20), 식 (21), 식 (22), 식 (23), 식 (24), 식 (25), 식 (26) 또는 식 (27)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G2는 3가의 유기기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40의 3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기는, 탄화수소기 또는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탄화수소기 및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8이다. G2로서는, 식 (20), 식 (21), 식 (22), 식 (23), 식 (24), 식 (25), 식 (26), 식 (27), 식 (28) 또는 식 (29)로 나타내는 기의 결합손의 어느 1개가 수소 원자로 치환된 기 및 3가의 탄소수 6 이하의 쇄식 탄화수소기가 예시된다. 식 중의 Z의 예는, G에 관한 기술(記述)에 있어서의 Z의 예와 같다.
G3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40의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기는, 탄화수소기 또는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탄화수소기 및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8이다. G3으로서는, 식 (20), 식 (21), 식 (22), 식 (23), 식 (24), 식 (25), 식 (26), 식 (27), 식 (28) 또는 식 (29)로 나타내는 기의 결합손 중, 인접하지 않는 2개가 수소 원자로 치환된 기 및 탄소수 6 이하의 2가의 쇄식 탄화수소기가 예시된다. 식 중의 Z의 예는, G에 관한 기술에 있어서의 Z의 예와 같다.
A, A1, A2 및 A3은 모두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40의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기는, 탄화수소기 또는 불소 치환된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탄화수소기 및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8이다. A, A1, A2 및 A3으로서는, 각각 식 (30), 식 (31), 식 (32), 식 (33), 식 (34), 식 (35), 식 (36), 식 (37) 또는 식 (38)로 나타내는 기; 이들이 메틸기, 플루오로기, 클로로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의 1종류 이상으로 치환된 기; 및 탄소수 6 이하의 쇄식 탄화수소기가 예시된다.
식 중의 *은 결합손을 나타내며, Z1, Z2 및 Z3은, 각각 독립하여, 단결합, -O-, -CH2-, -CH2-CH2-, -CH(CH3)-, -C(CH3)2-, -C(CF3)2-, -S-, -SO2-, -CO- 또는 -NR2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R2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12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Z1과 Z2, 및, Z2와 Z3은, 각각, 각 환에 대하여 메타 위치 또는 파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조성물은,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폴리아미드는, 식 (13)으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를 주로 하는 중합체이다. 폴리아미드에 있어서의 G3 및 A3의 바람직한 예 및 구체예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에 있어서의 G3 및 A3의 바람직한 예 및 구체예와 같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G3 및/또는 A3가 다른 2종류 이상의 식 (13)으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예를 들면, 디아민과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등)의 중축합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199945호 공보 또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16310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합성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의 시판품으로서는, 미쓰비시가스화학(주)제 네오푸림(Neopulim)(등록 상표), 카와무라산업(주)제 KPI-MX300F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합성에 이용되는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로서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및 그 무수물, 바람직하게는 그 2무수물 등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 및 지방족 테트라카르본산 및 그 무수물, 바람직하게는 그 2무수물 등의 지방족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은, 무수물 외, 테트라카르본산 클로라이드 화합물 등의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 유도체여도 되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의 구체예로서는, 비축합 다환식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단환식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및 축합 다환식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을 들 수 있다. 비축합 다환식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로서는, 4,4'-옥시디프탈산 2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2',3,3'-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2',3,3'-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2무수물, 2,2-비스(2,3-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2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프로판 2무수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2무수물(6FDA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1,2-비스(2,3-디카르복시페닐)에탄 2무수물, 1,1-비스(2,3-디카르복시페닐)에탄 2무수물, 1,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에탄 2무수물, 1,1-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에탄 2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메탄 2무수물, 비스(2,3-디카르복시페닐)메탄 2무수물, 4,4'-(p-페닐렌디옥시)디프탈산 2무수물, 4,4'-(m-페닐렌디옥시)디프탈산 2무수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단환식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로서는, 1,2,4,5-벤젠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이, 축합 다환식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로서는,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4,4'-옥시디프탈산 2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2',3,3'-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2',3,3'-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2무수물, 2,2-비스(2,3-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2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프로판 2무수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2무수물(6FDA), 1,2-비스(2,3-디카르복시페닐)에탄 2무수물, 1,1-비스(2,3-디카르복시페닐)에탄 2무수물, 1,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에탄 2무수물, 1,1-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에탄 2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메탄 2무수물, 비스(2,3-디카르복시페닐)메탄 2무수물, 4,4'-(p-페닐렌디옥시)디프탈산 2무수물 및 4,4'-(m-페닐렌디옥시)디프탈산 2무수물을 들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4'-옥시디프탈산 2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2',3,3'-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2무수물(6FDA),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메탄 2무수물 및 4,4'-(p-페닐렌디옥시)디프탈산 2무수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지방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로서는, 환식 또는 비환식의 지방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을 들 수 있다. 환식 지방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이란, 지환식 탄화수소 구조를 가지는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로서, 그 구체예로서는,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1,2,3,4-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1,2,3,4-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등의 시클로알칸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비시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디시클로헥실3,3',4,4'-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및 이들의 위치 이성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비환식 지방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의 구체예로서는, 1,2,3,4-부탄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1,2,3,4-펜탄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환식 지방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및 비환식 지방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된다.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 중에서도, 투명 수지 필름의 탄성률, 내굴곡성, 및 광학 특성을 향상하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환식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또는 비축합 다환식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2',3,3'-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2무수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2무수물(6FDA)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얻어지는 투명 수지 필름의 각종 물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의 폴리이미드 합성에 이용되는 테트라카르본산의 무수물에 추가하여, 테트라카르본산, 트리카르본산 화합물, 디카르본산 화합물, 그들의 무수물 및 그들의 유도체를 추가로 반응시킨 것이어도 된다.
트리카르본산 화합물로서는, 방향족 트리카르본산, 지방족 트리카르본산 및 그들의 유연(類緣)의 산클로라이드 화합물,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그 구체예로서는, 1,2,4-벤젠트리카르본산의 무수물; 2,3,6-나프탈렌트리카르본산-2,3-무수물; 프탈산 무수물과 벤조산이 단결합, -CH2-, -C(CH3)2-, -C(CF3)2-, -SO2- 또는 페닐렌기로 연결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본산 화합물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본산, 지방족 디카르본산 및 그들의 유연의 산클로라이드 화합물,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그 구체예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4,4'-비페닐디카르본산; 3,3'-비페닐디카르본산; 탄소수 8 이하인 쇄식 탄화수소의 디카르본산 화합물 및 2개의 벤조산 골격이 -CH2-, -S-, -C(CH3)2-, -C(CF3)2-, -O-, -NR9-, -C(=O)-, -SO2- 또는 페닐렌기로 연결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R9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12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디카르본산 화합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4,4'-비페닐디카르본산; 3,3'-비페닐디카르본산; 및 2개의 벤조산 골격이 -CH2-, -C(=O)-, -O-, -NR9-, -SO2- 또는 페닐렌기로 연결된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4,4'-비페닐디카르본산; 및 2개의 벤조산 골격이 -O-, -NR9-, -C(=O)- 또는 -SO2-로 연결된 화합물이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 트리카르본산 화합물, 및 디카르본산 화합물의 합계에 대한,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40몰%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이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합성에 이용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지방족 디아민, 방향족 디아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민」이란, 아미노기가 방향환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디아민을 나타내고, 그 구조의 일부에 지방족기 또는 그 외의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방향환은 단환이어도 축합환이어도 되며, 벤젠환, 나프탈렌환, 안트라센환 및 플루오렌환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벤젠환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족 디아민」이란, 아미노기가 지방족기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디아민을 나타내고, 그 구조의 일부에 방향환이나 그 외의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지방족 디아민의 구체예로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비환식 지방족 디아민 및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노르보르난디아민,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등의 환식 지방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디아민의 구체예로서는,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2,4-톨루엔디아민, m-크실릴렌디아민, p-크실릴렌디아민, 1,5-디아미노나프탈렌, 2,6-디아미노나프탈렌 등의, 방향환을 1개 가지는 방향족 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3'-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3,4'-디아미노디페닐술폰,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1,3-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2,2'-디메틸벤지딘,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디페닐(TFMB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4,4'-비스(4-아미노페녹시)비페닐, 9,9-비스(4-아미노페닐)플루오렌, 9,9-비스(4-아미노-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아미노-3-클로로페닐)플루오렌, 9,9-비스(4-아미노-3-플루오로페닐)플루오렌 등의, 방향환을 2개 이상 가지는 방향족 디아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디아민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3'-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2,2'-디메틸벤지딘,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디페닐(TFMB), 4,4'-비스(4-아미노페녹시)비페닐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2,2'-디메틸벤지딘,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디페닐(TFMB), 4,4'-비스(4-아미노페녹시)비페닐이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아민은, 불소계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다. 불소계 치환기로서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의 탄소수 1∼5의 퍼플루오로알킬기, 및, 플루오로기를 들 수 있다.
상기 디아민 중에서도, 고투명성 및 저착색성의 관점에서는, 비페닐 구조를 가지는 방향족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예로서는 2,2'-디메틸벤지딘,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디페닐(TFMB) 및 4,4'-비스(4-아미노페녹시)비페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페닐 구조 및 불소계 치환기를 가지는 디아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구체예로서는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디페닐(TFMB)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디아민과,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산클로라이드 화합물,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등의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한다)의 중축합으로 형성되는, 식 (10)으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축합형 고분자이다. 출발 원료로서는, 이들에 추가하여, 트리카르본산 화합물(산클로라이드 화합물, 트리카르본산 무수물 등의 트리카르본산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한다) 및 디카르본산 화합물(산클로라이드 화합물 등의 유도체를 포함한다)을 추가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는, 디아민과, 디카르본산 화합물(산클로라이드 화합물 등의 유도체를 포함한다)의 중축합으로 형성되는, 식 (13)으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축합형 고분자이다.
식 (10) 및 식 (11)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는, 통상, 디아민류 및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로부터 유도된다. 식 (12)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는, 통상, 디아민 및 트리카르본산 화합물로부터 유도된다. 식 (13)으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 단위는, 통상, 디아민 및 디카르본산 화합물로부터 유도된다. 디아민,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 트리카르본산 화합물 및 디카르본산 화합물의 구체예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디아민과,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 등의 카르본산 화합물과의 몰비는, 디아민 1.00㏖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카르본산 0.9㏖ 이상 1.1㏖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높은 내절성(耐折性)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얻어지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가 고분자량인 것이 바람직한 점으로부터, 디아민 1.00㏖에 대하여 테트라카르본산 0.98㏖ 이상 1.0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99㏖ 이상 1.01㏖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지는 투명 수지 필름의 황색도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얻어지는 고분자 말단에 차지하는 아미노기의 비율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디아민 1.00㏖에 대하여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 등의 카르본산 화합물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아민 및 카르본산 화합물(예를 들면,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의 분자 중의 불소수를 조정하여, 얻어지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중의 불소량을,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질량% 이상, 5질량% 이상, 10질량% 이상, 20질량%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불소의 비율이 높을수록 원료 비용이 비싸게 되는 경향이 있는 점으로부터, 불소량의 상한은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계 치환기는, 디아민 또는 카르본산 화합물의 어디에 존재하여도 되고, 양방에 존재하여도 된다. 불소계 치환기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특히 YI값이 저감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다른 종류의 복수의 상기의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통상 100,000∼800,000이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크면, 제막하였을 때의 굴곡성이 향상하는 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200,0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0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50,000 이상이다. 또한, 적당한 농도 및 점도의 바니시가 얻어져, 제막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는 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750,0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00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이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및 폴리아미드는, 함불소 치환기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필름화하였을 때의 탄성률이 향상하는 것과 함께, YI값이 저감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필름의 탄성률이 높으면, 흠집 및 주름 등의 발생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필름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및 폴리아미드는, 함불소 치환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불소 치환기의 구체예로서는, 플루오로기 및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들 수 있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및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와 폴리아미드의 혼합물에 있어서의 불소 원자의 함유량은, 각각,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질량 또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질량과 폴리아미드의 질량의 합계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이다. 불소 원자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이면, 필름화하였을 때의 YI값을 보다 저감하여, 투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불소 원자의 함유량은, 40질량% 이내이면, 폴리이미드의 고분자량화가 용이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수지 필름 형성하는 수지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및/또는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은, 수지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며, 100질량%여도 된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및/또는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투명 수지 필름의 굴곡성이 양호하다. 또한, 고형분이란, 수지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외한 성분의 합계량을 뜻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조성물은, 상기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및/또는 폴리아미드에 추가하여, 무기 입자 등의 무기 재료를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무기 재료로서, 실리카 입자, 티탄 입자, 수산화알루미늄, 지르코니아 입자, 티탄산바륨 입자 등의 무기 입자, 또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등의 4급 알콕시실란 등의 규소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니시의 안정성, 무기 재료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입자, 수산화알루미늄, 지르코니아 입자를 들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입자를 들 수 있다.
무기 재료의 평균 1차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1∼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0㎚, 더 바람직하게는 5∼5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30㎚이다. 상기 평균 1차 입자경이 100㎚ 이하이면 투명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평균 1차 입자경이 10㎚ 이상이면, 무기 재료의 응집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취급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카 입자는, 유기 용제 등에 실리카 입자를 분산시킨 실리카 졸이어도, 기상법으로 제조한 실리카 미립자 분말을 이용해도 되지만, 핸들링이 용이한 점으로부터 액상법으로 제조한 실리카 졸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필름 중의 실리카 입자의 평균 1차 입자경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에 의한 관찰로 구할 수 있다. 투명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전의 실리카 입자의 입도 분포는, 시판의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조성물 중의 무기 재료의 함유량은, 수지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이다. 수지조성물에 있어서의 무기 재료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 내이면, 투명 수지 필름의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를 양립시키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고형분이란, 수지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외한 성분의 합계량을 뜻한다.
투명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조성물은, 이상 설명한 성분에 추가하여, 다른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블루잉제, 난연제, 활제(滑劑) 및 레벨링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조성물이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등의 수지 성분 및 무기 재료 이외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경우, 그 외의 성분의 함유량은, 투명 수지 필름의 총 질량에 대하여 0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상기 테트라카르본산 화합물, 상기 디아민 및 상기 그 외의 원료로부터 선택하여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및/또는 폴리아미드의 반응액, 필요에 따라 무기 재료 및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에, 용매를 첨가하고 혼합 및 교반함으로써, 조제되는 수지 바니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지조성물 또는 수지 바니시에 있어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등의 반응액에 대신에, 구입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등의 용액이나, 구입한 고체의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등의 용액을 이용해도 된다.
수지 바니시를 조제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등의 수지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되게 할 수 있는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용매로서,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2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할 경우에는, 이용하는 용매 중에서 가장 비점이 높은 용매의 비점이 상기 범위에 들어가도록 용매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성분의 용해성, 도포성 및 건조성 등의 관점에서는, 120∼300℃의 비점을 가지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270℃, 더 바람직하게는 120∼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230℃의 비점을 가지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유기 용매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계 용매;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등의 락톤계 용매;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아밀 등의 아세트산 에스테르계 용매; 디메틸술폰, 디메틸술폭시드, 술포란 등의 함유황계 용매,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및 폴리아미드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비점:165℃), γ-부티로락톤(비점:204℃), N-메틸피롤리돈(비점:202℃), 시클로펜타논(비점:131℃), 아세트산 부틸(비점:126℃) 및 아세트산 아밀(비점:149℃)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가 바람직하다.
용매의 양은, 수지 바니시의 취급이 가능한 점도가 되도록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수지 바니시 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9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5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80∼95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 중의 용매의 함유량은, 열중량-시차열 측정에 의한 120℃로부터 250℃에 있어서의 질량 감소율로서 산출되는 잔류 용매량(S)(질량%)이, 후술하는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저분자 성분량(W)(%)과의 관계에 있어서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범위가 아니면 안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수지 필름 중의 잔류 용매량(S)은, 첩합되는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저분자 성분량(W)과의 관계에 있어서 적절히 조정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질량%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이다. 잔류 용매량(S)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얻어지는 투명 수지 필름을 자립막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잔류 용매량(S)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나 폴리아미드를 수지 성분으로 하는 투명 수지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100℃를 넘는 비점을 가지는 고비점 용매가 이용되기 때문에, 그 제조과정에서 용매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은 어려우며, 통상, 0.001질량% 이상이다. 또한, 굴곡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0.0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잔류 용매량(S)이란, 열중량-시차열(TG-DTA)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행해지며, 측정 대상으로 하는 투명 수지 필름(시료)을, 실온으로부터 120℃까지 10℃/분의 승온 속도로 승온하고, 120℃로 5분간 보지(保持)함으로써, 흡착수를 제거한 후, 400℃까지 10℃/분의 승온 속도로 승온(가열)하면서 측정한 질량 변화의 결과에 있어서, 120℃로부터 250℃에 걸쳐서의 질량 감소율(S)(질량%)을 관계식 (2)에 따라 산출되는 값이다.
S(질량%)=100-(W1/W0)×100 (2)
〔식 (2) 중, W0은 120℃로 5분간 보지한 후의 시료의 질량이며, W1은 상기 열중량-시차열 측정장치에 의한 측정에서의 250℃에 있어서의 시료의 질량이다〕.
잔류 용매량(S)은, 투명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바니시에 포함되는 용매량, 용매종(種), 수지 바니시로 제막한 도막의 건조 조건(건조 온도 및 시간, 풍속 등)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투명 수지 필름의 두께는, 투명 수지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되지만, 통상, 10∼500㎛이며, 바람직하게는 15∼2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이다. 투명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투명 수지 필름의 굴곡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투명 수지 필름에 첩합된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보호 필름은, 투명 수지 필름의 일방의 면만에 첩합되어 있어도 되고, 양면에 첩합되어 있어도 된다. 투명 수지 필름에 첩합되는 보호 필름은, 통상, 투명 수지 필름의 표면을 일시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투명 수지 필름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박리가능한 필름인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필름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첩합되어 있을 경우, 각 면의 보호 필름은 서로 동일하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 보호 필름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투명 수지 필름 표면에 대한 오염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자기 점착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인 투명 수지 필름의 백화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및 폴리아미드를 수지 성분으로 하는 투명 수지 필름을 제조할 때에 이용되는 용매 중에, 보호 필름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이 용출되는 것에 의해 생긴다고 생각된다. 적층체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보호 필름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저분자 성분이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투명 수지 필름의 백화를 억제한다고 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적층체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게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이용되는 보호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있어서, 입수하기 쉬우며 저렴한 점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이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형 단쇄 분기 폴리에틸렌(LLDPE), 중저압법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등을 들 수 있지만, 투명 수지 필름과 이웃하는 면의 수지로서는, 투명 수지 필름과의 접착성, 및 가공성의 관점에서, LLDP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 필름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첩합되어 있을 경우, 각 면의 보호 필름은 서로 동일하여도 되고, 달라도 되지만, 적어도 일방의 면에 첩합되는 보호 필름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 필름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이란, 하기 조건을 따르며, 측정 온도 140℃에 있어서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차트의 Log M이 2.82로부터 3.32까지의 범위에 검출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
칼럼 : PLgel Individual(5㎛, 50Å, 7.5㎜ ID×30㎝, 애질런트테크놀로지제) 1개와, TSKgel GMHHR-H(S)HT(7.5㎜ ID×30㎝, 토소(주)제) 2개를 연결
이동상 : 오르토디클로로벤젠(와코순약(주)제, 특급)에 BHT(디-tert-부틸히드록시톨루엔)를 0.1w/V% 첨가하여 사용
유속 : 1㎖/분
칼럼 오븐 온도 : 140℃
오토 샘플러 온도 : 140℃
시스템 오븐 온도 : 40℃
검출 : 시차 굴절률 검출기(RID)
RID 셀 온도 : 140℃
시료 용액 주입량 : 300㎕
GPC 칼럼 교정용 표준 물질 용액 : 토소(주)제 표준 폴리스티렌
또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의 보다 상세한 측정 조건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다.
상기 저분자 성분은, 구체적으로는, 보호 필름 중, 또는 보호 필름이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점착제층 중에 함유되는 잔존 모노머, 올리고머 및 첨가제나 필름 원료 등에 유래하는 성분이라고 생각된다. 보호 필름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핵제, 산화방지제, 염산 흡수제, 내열 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활제, 안티 블로킹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안료, 염료, 분산제, 동해(銅害)방지제, 중화제, 발포제, 가소제, 기포방지제, 가교제, 과산화물 등의 흐름성 개량제, 웰드 강도 개량제 등에 유래하는 성분이, 보호 필름 상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점착 부여 수지 및 연화제 등에 유래하는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 필름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을 따르며, 측정 온도 140℃에 있어서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차트의 전면적에 대한 Log M이 2.82로부터 3.32까지의 면적의 비율로서 정의되는 저분자 성분량(W)(%)이, 후술하는 투명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잔류 용매량(S)(질량%)과의 관계에 있어서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범위가 아니면 안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 필름 중의 저분자 성분량(W)은, 첩합되는 투명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잔류 용매량(S)과의 관계에 있어서 적절히 조정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33질량% 이하이다. 저분자 성분량(W)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보호 필름에 포함되는 저분자 성분의 투명 수지 필름에의 전사가 생기기 어려워져, 광학용의 투명 수지 필름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저분자 성분량(W)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학적층체의 분야에서 이용되는 보호 필름은, 일반적으로,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은 첨가제나 원료에 유래하는 저분자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 0.0000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2질량% 이상이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명 수지 필름의 보호의 관점에서, 통상, 1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한편, 필름 핸들링의 관점에서,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필름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첩합되어 있을 경우, 각 면의 보호 필름의 두께는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의 잔류 용매량(S)(질량%)과, 상기 투명 수지 필름에 첩합되는 보호 필름의 저분자 성분량(W)(%)이, 관계식 (1):
S×W≤4.7 (1)
을 만족시키도록, 투명 수지 필름과 보호 필름이 조합된다. 백화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기 S×W의 값(이하, 「식 (1)의 값」이라고도 말한다)은,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4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3 이하이며,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며,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며, 보다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다.
또한, S와 W가 관계식 (1'):
0.005≤S×W (1')
을 만족시키도록, 투명 필름과 보호 필름이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기 S×W의 값(이하, 「식 (1')의 값」이라고도 말한다)은 바람직하게는 0.007 이상이다.
또한, 투명 수지 필름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첩합되어 있을 경우, 각 보호 필름의 저분자 성분량(W)이 각각 투명 수지 필름의 잔류 용매량(S)과의 관계에 있어서, 상기 식 (1) 및 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의 값은, 잔류 용매량이 많은 투명 수지 필름을 이용할 경우에는, 저분자 성분량이 낮은 보호 필름을 선택하고, 한편, 저분자 성분량이 많은 보호 필름을 이용할 경우에는, 잔류 용매량의 적은 투명 수지 필름을 선택하는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투명 수지 필름의 잔류 용매량과 보호 필름의 저분자 성분량을 제어함으로써, 보호 필름을 첩합한 투명 수지 필름 표면의 백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그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7%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의 황색도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이다. 적층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의 헤이즈나 전광선 투과율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높은 투명성을 요구하는 광학 용도에 바람직한 적층체가 된다. 또한, 투명 수지 필름의 황색도가 낮으며, 착색이 억제되어 있는 점으로부터도 본 발명의 적층체는 광학 용도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수지 필름의 백화」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광속 3000루멘의 고휘도 라이트를 조사함으로써,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백화」의 발생은, 투명 수지 필름의 헤이즈나 전광선 투과율에 반드시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적층체로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해서 이용되는 투명 수지 필름은, 필름 표면의 백화가 생기기 어려우며,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당해 투명 수지 필름을 이용하면, 예를 들면, 투과율이 낮은 수지 필름을 이용하였을 경우와 비교하여, 일정한 밝기를 확보하기 쉬워져, 표시 소자 등의 발광 강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공지된 방법 및 장치/설비를 이용하여, 투명 수지 필름과 보호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투명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조성물을 용매와 혼합 및 교반해서 얻어지는 수지 바니시를 지지 기재 상에 도포하는 것;
도포된 수지 바니시를 건조시킴으로써 용매를 제거하고, 지지 기재 상에 투명 수지 필름의 층을 형성하는 것;
지지 기재 상에 형성된 투명 수지 필름의 지지 기재와는 반대측의 면에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 것; 및
지지 기재 상에 형성된 투명 수지 필름의 층으로부터 지지 기재를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스트법으로 대표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바니시를 도포하여 제막한 후, 건조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투명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건조에 의해 용매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은 어려우며, 투명 수지 필름 중에 용매가 잔존한 채 다음 공정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 보호 필름을 첩합하였을 때에 백화가 생기기 쉬워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투명 수지 필름 중의 잔류 용매량에 따라, 상기 식 (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보호 필름을 선택함으로써, 또한, 이용하는 보호 필름의 저분자 성분량에 따라, 상기 식 (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투명 수지 필름의 건조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보호 필름을 첩합한 투명 수지 필름 표면에 생기는 백화를 용이하면서,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경우, 수지 바니시를 도포하는 지지 기재는 필름 형상의 기재로서, 예를 들면, 수지 필름 기재, 스틸 기재(예를 들면, SUS 벨트)여도 된다. 수지 필름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있다. 지지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500㎛이며, 바람직하게는 50∼300㎛이다.
도막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는, 수지 바니시 중의 용매가 소망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는, 자연 건조, 통풍 건조, 가열 건조 또는 감압 건조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행해도 된다. 생산 효율 등의 관점에서는, 가열 건조가 바람직하다. 건조 조건은 이용하는 용매의 종류나 필름 중의 용매 함유량 등에 따라, 투명 수지 필름의 광학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50∼300℃, 바람직하게는 70∼250℃의 온도로, 예를 들면, 5∼100분 정도 가열하여도 된다.
이어서, 상기 식 (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저분자 성분량의 보호 필름을 투명 수지 필름의 지지 기재와는 반대측의 면에 첩합하여, 지지 기재 상에 투명 수지 필름의 층이 형성되고, 당해 투명 수지 필름의 층 상에 보호 필름이 더 적층된 적층 필름이 얻어진다. 그 후, 투명 수지 필름의 층으로부터 지지 기재를 박리함으로써, 투명 수지 필름에 보호 필름을 첩합한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지지 기재를 박리한 투명 수지 필름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첩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보호 필름을 첩합한 투명 수지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백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높은 투명성 및 양호한 외관을 가지기 때문에, 각종 화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등의 광학 용도,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전면판(윈도우 필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텔레비전, 스마트폰, 휴대 전화, 카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휴대 게임기, 전자 페이퍼, 인디케이터, 게시판, 시계, 및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들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서는, 플렉시블 특성을 가지는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면 텔레비전, 스마트폰, 휴대 전화, 카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휴대 게임기, 전자 페이퍼, 인디케이터, 게시판, 시계,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 중의 「%」 및 「부」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투명 수지 필름의 잔류 용매량 및 보호 필름의 저분자 성분량은, 각각, 하기 방법을 따라 측정, 산출하였다.
<잔류 용매량(S)의 측정 방법>
열중량-시차열(TG-DTA) 측정
TG-DTA의 측정 장치로서,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사제 TG/DTA6300을 이용하였다. 제조한 투명 폴리이미드계 필름으로부터 약 20㎎의 시료를 취득하였다. 이 시료를, 실온으로부터 120℃까지 10℃/분의 승온 속도로 승온하고, 120℃로 5분간 보지한 후, 400℃까지 10℃/분의 승온 속도로 승온(가열)하면서, 시료의 질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1은, 후술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투명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TG-DTA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TG-DTA 측정 결과로부터, 120℃로부터 250℃에 걸쳐서의 질량 감소율(S)(질량%)을 관계식 (2)에 따라 산출하였다.
S(질량%)=100-(W1/W0)×100 (2)
〔식 (2) 중, W0은 120℃로 5분간 보지한 후의 시료의 질량이며, W1은 250℃에 있어서의 시료의 질량이다〕.
산출된 질량 감소율(S)을, 투명 수지 필름 중의 잔류 용매량(S)(질량%)이라고 하였다.
<저분자 성분량의 측정 방법>
저분자 성분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구해진다. GPC 측정은 하기의 조건으로 행한다. 저분자 성분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구해진다.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대해서, 시험 대상 용액과 참조 용액의 굴절률 차에 유래하는 전기 신호값(강도(Y))을,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 Log M에 대하여 플롯한 차트를 얻었다. 이 차트에 대해서, Log M이 2.82, 및 7.61의 점을 연결한 선을 베이스라인으로서 규정하였다. 또한 베이스라인에 의해 보정된 강도(Y)값이 마이너스가 된 부분에 대해서는, 0이라고 하였다.
(1) 시료 용액 조제 조건
용매 : 오르토디클로로벤젠(와코순약(주)제, 특급)에 BHT(디-tert-부틸히드록시톨루엔)를 0.1w/V% 첨가하여 사용
시료 용액 농도 : 1㎎/㎖
용해용 자동 진탕기 : DF-8020(토소(주)제)
용해 조건 : 5㎎의 시료를 1000메시의 SUS제의 철망 파우치에 봉입하고, 시료를 봉입한 철망 파우치를 시험관에 넣은 후, 시험관에 5㎖의 용매를 가하였다. 이어서, 알루미늄 호일로 뚜껑을 덮은 시험관을 DF-8020에 세트하고, 60왕복/분의 교반 속도로 140℃, 120분간 교반하였다.
(2) 측정 조건
(GPC 장치 및 소프트웨어)
측정 장치 : 토소사제 HLC-8121 GPC/HT(토소(주)제)
측정 소프트 : GPC-8020 modelⅡ 데이터수집 Version 4.32(토소(주)제)
해석 소프트 : GPC-8020 modelⅡ 데이터해석 Version 4.32(토소(주)제)
(측정 조건)
GPC 칼럼 : PLgel Individual(5㎛, 50Å, 7.5㎜ ID×30㎝, 애질런트테크놀로지제) 1개와, TSKgel GMHHR-H(S)HT(7.5㎜ ID×30㎝, 토소(주)제) 2개를 연결
이동상 : 오르토디클로로벤젠(와코순약(주)제, 특급)에 BHT를 0.1w/V% 첨가하여 사용
유속 : 1㎖/분
칼럼 오븐 온도 : 140℃
오토 샘플러 온도 : 140℃
시스템 오븐 온도 : 40℃
검출 : 시차 굴절률 검출기(RID)
RID 셀 온도 : 140℃
시료 용액 주입량 : 300㎕
GPC 칼럼 교정용 표준 물질 용액 : 토소(주)제 표준 폴리스티렌을 각각 하기 표와 같은 질량으로 저울에 달아, 5㎖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이동상과 같은 조성)을 가하여, 실온에서 완전하게 용해시켜서 조제
Figure pat00004
GPC 측정 결과로부터, 저분자 성분량(W)(%)을 관계식 (3)에 의해 산출하였다.
W(%)=V0/V1 (3)
〔식 (3) 중, V0은, GPC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차트에 있어서의 Log M이 2.82로부터 3.32까지의 면적이며, V1은 차트 전체의 면적이다〕.
<탄성률의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을 200℃로 20분간 건조하고, 덤벨 커터를 이용하여 10㎜×100㎜의 단책상(短冊狀)으로 컷하여, 샘플을 얻었다. 이 샘플의 탄성률을 (주)시마즈제작소제 오토그래프 AG-IS를 이용하여, 척(chuck)간 거리 500㎜, 인장 속도 20㎜/분의 조건으로 S-S곡선을 측정하고, 그 기울기로부터 광학 필름의 탄성률을 산출하였다.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을 30㎜×30㎜의 크기로 컷하고, 헤이즈 컴퓨터(스가시험기(주)제, 「HGM-2DP」)를 이용하여, 광학 필름의 두께 50㎛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헤이즈값의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을 30㎜×30㎜의 크기로 컷하고, 헤이즈 컴퓨터(스가시험기(주)제, 「HGM-2DP」)를 이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황색도의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을 30㎜×30㎜의 크기로 컷하고, 자외가시근적외 분광광도계(일본분광(주)제 V-670)를 이용하여, 3자극값(X, Y, Z)을 구하고, 계산식 (4)에 대입함으로써, YI값을 산출하였다.
YI=100×(1.2769X-1.0592Z)/Y (4)
제조예 1 : 투명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조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실리카 겔 관, 교반 장치 및 온도계를 부착한 반응기와, 오일 배스를 준비하였다. 이 플라스크 내에,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무수물(6FDA) 75.52g과,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디페닐(TFMB) 54.44g을 투입하였다. 이를 400rpm으로 교반하면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519.84g을 가하고, 플라스크의 내용물이 균일한 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을 계속하였다. 계속해서, 오일 배스를 이용해서 용기 내부 온도가 20∼30℃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추가로 20시간 교반을 계속하고, 반응시켜서 폴리아믹산을 생성시켰다. 30분 후, 교반 속도를 100rpm으로 변경하였다. 20시간 교반 후, 반응계 온도를 실온으로 되돌리고, DMAc 649.8g을 가하여 폴리머 농도가 10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또한, 피리딘 32.27g, 무수아세트산 41.65g을 가하고,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여 이미드화를 행했다. 반응 용기로부터 폴리이미드 바니시를 취출하였다. 얻어진 폴리이미드 바니시를 메탄올 중에 적하(滴下)해서 재침전을 행하고, 얻어진 분체(粉體)를 가열 건조해서 용매를 제거하여, 고형분으로서 투명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GPC 측정을 행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360,000이었다.
제조예 2 : 투명 폴리아미드이미드계 고분자의 조제
질소 가스 분위기 하, 교반 날개를 구비한 1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TFMB 50g(156.13m㏖) 및 DMAc 642.07g을 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TFMB를 DMAc에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플라스크에 6FDA 20.84g(46.91m㏖)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4,4'-옥시비스(벤조일클로라이드)(OBBC) 9.23g(31.27m㏖), 이어서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TPC) 15.87g(78.18m㏖)을 플라스크에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플라스크에 4-메틸피리딘 9.89g(106.17m㏖)과 무수아세트산 14.37g(140.73m㏖)을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 후, 오일 배스를 이용해서 70℃로 승온하고, 3시간 더 교반하여, 반응액을 얻었다.
얻어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대량의 메탄올 중에 실(絲)형상으로 투입하고, 석출된 침전물을 취출하여, 메탄올에 6시간 침지 후, 메탄올으로 세정하였다. 다음으로, 100℃에서 침전물의 감압 건조를 행하고, 투명 폴리아미드이미드계 고분자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아미드이미드계 고분자의 GPC 측정을 행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은 420,000이었다.
제조예 3 : 실리카 졸의 조제
졸-겔법에 의해 제조된 BET직경(BET법으로 측정된 평균 1차 입자경) 27㎚의 어모퍼스 실리카 졸을 원료로 하고, 용매 치환에 의해, γ-부티로락톤(이하, GBL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치환 실리카 졸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졸을 체눈 10㎛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GBL 치환 실리카 졸을 얻었다. 얻어진 GBL 치환 실리카 졸은, 모두 실리카 입자가 30∼32질량%였다.
실시예 1 : 적층체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투명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를, γ-부티로락톤(GBL)과 DMAc를 1:9로 혼합한 혼합 용매 중에, 16.5%의 농도로 용해하여 수지 바니시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바니시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기재(두께 188㎛, 도요보(주)제(제품명:코스모샤인(등록 상표) A4100)) 상에 유연 성형에 의해 도포하여 제막하였다. 그 후, 50℃로 30분, 140℃로 10분 가열함으로써 도막을 건조하고, 도막으로부터 PET기재를 박리하였다. 그 후, 200℃로 12분 가열함으로써, 두께 약 80㎛의 투명 수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투명 수지계 필름의 잔류 용매량은 1질량%였다. 또한,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92.5%, 헤이즈는 0.3%, 황색도는 2.1, 탄성률은 4㎬이었다.
이어서, 보호 필름으로서, 도레이필름가공(주)제 트레테크(등록 상표) N-711을 준비하였다. 상기 보호 필름의 저분자 성분량은, 0.33%였다. 제조한 투명 수지 필름에, 롤러를 이용해서 첩합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백화의 평가>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의 백화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적층체를, 온도 23℃, 습도 50%의 환경에서 24시간 정치(靜置)하였다. 그 후, 첩합한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보호 필름이 첩합되어 있는 투명 수지 필름의 표면을, 클린 웨이스트로 문질렀다. 그 후, 광속 3000루멘의 고휘도 라이트를 이용하여, 하기 평가 기준을 따라 필름의 외관(백화)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백화의 평가 기준>
○ : 백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 : 투명 수지 필름의 표면에서 백화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투명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를, γ-부티로락톤(GBL)과 DMAc를 1:9로 혼합한 혼합 용매 중에, 16.5%의 농도로 용해하여 수지 바니시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바니시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기재(두께 188㎛, 도요보(주)제(제품명:코스모샤인(등록 상표) A4100)) 상에 유연 성형에 의해 도포하여 제막하였다. 그 후, 50℃로 30분, 140℃로 10분 가열함으로써 도막을 건조하고, 도막으로부터 PET기재를 박리하고, 두께 80㎛의 투명 수지계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의 잔류 용매량은 10질량%였다. 이를 투명 수지 필름으로서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의 외관(백화)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보호 필름으로서, 트레테크(등록 상표) 7832C(도레이필름가공(주)제, 저분자 성분량:0.48%)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의 외관(백화)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보호 필름으로서, 트레팬(등록 상표) BO 25-MK01(도레이(주)제, 저분자 성분량:0.04%)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의 외관(백화)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상기 제조예 2에 의해 얻어진 투명 폴리아미드이미드계 고분자를, DMAc 용매 중에, 10%의 농도로 용해하여 수지 바니시를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의 외관(백화)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제조예 2에서 얻어진 투명 폴리아미드이미드계 고분자를 GBL에 용해하고, 제조예 3에서 얻어진 GBL 치환 실리카 졸을 가하여 충분하게 혼합함으로써, 표 2에 기재된 조성인 투명 폴리아미드이미드계 고분자/실리카 입자 혼합 바니시(이하, 혼합 바니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얻었다. 그 때, 폴리아미드이미드계 고분자/실리카 입자 농도(수지와 실리카 입자의 총 질량에 대한 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혼합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그 후, 얻어진 혼합 바니시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기재(두께 188㎛, 도요보(주)제(제품명:코스모샤인(등록 상표) A4100)) 상에 유연 성형에 의해 도포하여 제막하였다. 그 후, 50℃로 30분, 140℃로 10분 가열함으로써 도막을 건조하고, 도막으로부터 PET기재를 박리하고, 두께 50㎛의 투명 수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의 잔류 용매량은 14질량%였다. 이를 투명 수지 필름으로서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의 외관(백화)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제조예 2에 의해 얻어진 투명 폴리아미드이미드계 고분자를, DMAc 중에, 12%의 농도로 용해하여 수지 바니시를 얻었다. 도막의 건조 조건을, 70℃로 30분, 140℃로 15분 가열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의 외관(백화)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도막으로부터 PET기재를 박리한 후, 200℃로 14시간 가열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투명 수지계 필름의 두께는 79㎛, 잔류 용매량은 0.024질량%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의 외관(백화)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보호 필름으로서, 트레테크(등록 상표) 7832C(도레이필름가공(주)제, 저분자 성분량:0.48%)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의 외관(백화)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보호 필름으로서, 트레테크(등록 상표) 7832C(도레이필름가공(주)제, 저분자 성분량:0.48%)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의 외관(백화)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Claims (6)

  1.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1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캐스트법에 의해 상기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투명 수지 필름과, 상기 투명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첩합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용매 중에서 가장 비점이 높은 용매의 비점이 120∼300℃이며,
    열중량-시차열(TG-DTA) 측정에 의한 120℃로부터 250℃에 있어서의 질량 감소율로서 산출되는, 상기 투명 수지 필름의 잔류 용매량(S)(질량%)과, 상기 보호 필름의, 측정 온도 140℃에 있어서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차트의 전면적에 대한 Log M이 2.82로부터 3.32까지의 면적의 비율로서 정의되는 저분자 성분량(W)(%)이, 관계식 (1):
    S×W≤4.7 (1)
    을 만족시키고,
    W가 0.33 이하인,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S와 W가 관계식 (1'):
    0.005≤S×W (1')
    을 만족시키는,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 필름의 헤이즈가 1.0% 이하인, 적층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인, 적층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 필름이,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γ-부티로락톤, N-메틸피롤리돈, 시클로펜타논, 아세트산 부틸 및 아세트산 아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적어도 1개 포함하는,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 필름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적층체.
KR1020180125885A 2018-02-14 2018-10-22 적층체 KR102025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24551 2018-02-14
JPJP-P-2018-024551 2018-02-14
JP2018123274 2018-06-28
JPJP-P-2018-123274 2018-06-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360A Division KR20190110970A (ko) 2018-02-14 2019-09-19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679A true KR20190098679A (ko) 2019-08-22
KR102025316B1 KR102025316B1 (ko) 2019-09-25

Family

ID=649603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885A KR102025316B1 (ko) 2018-02-14 2018-10-22 적층체
KR1020190115360A KR20190110970A (ko) 2018-02-14 2019-09-19 적층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360A KR20190110970A (ko) 2018-02-14 2019-09-19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6450048B1 (ko)
KR (2) KR102025316B1 (ko)
CN (2) CN110154471B (ko)
TW (1) TW2019363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1143B2 (en) 2019-09-30 2022-12-20 Sk Innovation Co., Ltd. Window cover film and flexible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US11845842B2 (en) 2019-09-30 2023-12-19 Sk Innovation Co., Ltd. Window cover film and flexible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US11970592B2 (en) 2019-09-30 2024-04-30 Sk Innovation Co., Ltd. Window cover film and flexible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123A (ko) 2019-08-08 2021-02-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KR102260732B1 (ko) 2019-08-14 2021-06-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24865A1 (ja) * 2019-12-17 2021-06-24 東洋紡株式会社 積層体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8312A (ja) 2009-02-13 2010-09-24 Toyobo Co Ltd 多層ポリイミドフィルム
JP2013018166A (ja) * 2011-07-08 2013-01-31 Dainippon Printing Co Ltd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209488A (ja) * 2014-04-25 2015-11-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ワニス、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5214122A (ja) 2014-05-13 2015-12-03 東洋紡株式会社 積層体形成用ポリイミドフィルム
JP2016087799A (ja) 2014-10-29 2016-05-23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高周波回路基板用の長尺状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02535A (ko) * 2015-02-09 2017-09-11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내열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투명 내열성 적층 필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전방면판, led 조명 장치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KR20170126799A (ko) * 2016-05-10 2017-11-2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투명 수지 필름을 갖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1755A (zh) * 2007-05-23 2008-11-26 富士胶片株式会社 光学薄膜、光学补偿薄膜、偏振片以及液晶显示装置
JP2010228296A (ja) * 2009-03-27 2010-10-14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用積層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901451B2 (ja) * 2012-07-03 2016-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積層体、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071261A (ja) * 2012-09-28 2014-04-21 Sumitomo Chemical Co Ltd 表面活性化処理フィルムの保管方法
KR20150128368A (ko) *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6512804B2 (ja) * 2014-12-05 2019-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用途
TWI719955B (zh) * 2014-12-18 2021-03-01 日商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三層薄膜、三層薄膜之製造方法、層合板及印刷電路基板
JP2016156961A (ja) * 2015-02-24 2016-09-01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フィルム
JP6635110B2 (ja) * 2015-03-24 2020-01-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ポリイミド系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
JP6917187B2 (ja) * 2016-05-10 2021-08-1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KR101984171B1 (ko) * 2016-06-01 2019-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강도 투명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8312A (ja) 2009-02-13 2010-09-24 Toyobo Co Ltd 多層ポリイミドフィルム
JP2013018166A (ja) * 2011-07-08 2013-01-31 Dainippon Printing Co Ltd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209488A (ja) * 2014-04-25 2015-11-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ワニス、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5214122A (ja) 2014-05-13 2015-12-03 東洋紡株式会社 積層体形成用ポリイミドフィルム
JP2016087799A (ja) 2014-10-29 2016-05-23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高周波回路基板用の長尺状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02535A (ko) * 2015-02-09 2017-09-11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내열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투명 내열성 적층 필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전방면판, led 조명 장치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KR20170126799A (ko) * 2016-05-10 2017-11-2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투명 수지 필름을 갖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1143B2 (en) 2019-09-30 2022-12-20 Sk Innovation Co., Ltd. Window cover film and flexible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US11845842B2 (en) 2019-09-30 2023-12-19 Sk Innovation Co., Ltd. Window cover film and flexible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US11970592B2 (en) 2019-09-30 2024-04-30 Sk Innovation Co., Ltd. Window cover film and flexible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6394A (zh) 2019-09-16
CN110154471B (zh) 2020-03-27
CN111300937A (zh) 2020-06-19
JP2020007520A (ja) 2020-01-16
KR102025316B1 (ko) 2019-09-25
KR20190110970A (ko) 2019-10-01
CN111300937B (zh) 2022-01-14
JP2020006673A (ja) 2020-01-16
JP6538259B1 (ja) 2019-07-03
JP2020006682A (ja) 2020-01-16
JP6450048B1 (ja) 2019-01-09
CN110154471A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316B1 (ko) 적층체
JP7118651B2 (ja) フィルム、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アミドイミド樹脂の製造方法
CN108373543B (zh) 聚酰亚胺膜
JP7249732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758399B (zh) 光學膜及光學膜之製造方法
KR102023130B1 (ko) 광학 필름
KR20190102286A (ko)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및 당해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부재
JP2019513887A (ja) 無色透明のポリアミド−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21744B1 (ko) 광학 필름 및 광학 필름을 이용한 광학 부재
KR20190109481A (ko) 폴리이미드계 필름 및 적층체
KR102127489B1 (ko) 광학 필름
KR20190098713A (ko) 필름 롤
KR102102925B1 (ko)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미소 흠집이 적은 수지 필름
JP7135857B2 (ja) 剥離層形成用組成物
KR101989112B1 (ko) 적층체
TW202116561A (zh) 光學積層體及顯示裝置
KR20200059238A (ko) 가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및 가접착층
JP2020019935A (ja) ポリアミド系樹脂粉体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アミド系樹脂組成物
JP2023001599A (ja) 積層体
JP2019085549A (ja) 光学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