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732B1 -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732B1
KR102260732B1 KR1020190099628A KR20190099628A KR102260732B1 KR 102260732 B1 KR102260732 B1 KR 102260732B1 KR 1020190099628 A KR1020190099628 A KR 1020190099628A KR 20190099628 A KR20190099628 A KR 20190099628A KR 102260732 B1 KR102260732 B1 KR 10226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mide
base film
functional layer
film
based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393A (ko
Inventor
김선환
이진우
기정희
정다우
편승용
서윤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45675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607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732B1/ko
Priority to TW109125622A priority patent/TWI759806B/zh
Priority to US16/941,709 priority patent/US11805616B2/en
Priority to JP2020130386A priority patent/JP7016924B2/ja
Priority to CN202010806713.2A priority patent/CN112390974B/zh
Publication of KR2021002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732B1/ko
Priority to JP2022009593A priority patent/JP7437427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1/28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by depositing flowable material on an endless bel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3Polyimide, polyamide-im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1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9/00Use of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061/00 - B29K2077/00, as moulding material
    • B29K2079/08PI, i.e. polyimides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51/08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구현예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에 위치한 상기 기능층의 일면을 제1면이라 하고, 상기 기능층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을 제2면이라 할 때, 수식 1로 표시되는 레벨링 지수가 0.75 미만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POLYIMIDE-BASED COMPOSITE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구현예는 무색 투명하면서도 기계적 물성과 광학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마이드-이미드(polyamide-imide, PAI)와 같은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마찰, 열 및 화학적인 저항력이 뛰어나, 1차 전기 절연제, 코팅제, 접착제, 압출용 수지, 내열도료, 내열판, 내열접착제, 내열섬유, 및 내열필름 등에 응용된다.
이러한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분말 형태로 만들어져 금속 또는 자석 와이어 등의 코팅제로 사용되며 용도에 따라 다른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된다. 또한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불소중합체와 함께 장식과 부식 방지를 도료로 사용되며, 불소중합체를 금속 기판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주방 조리기구에 코팅을 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내열성과 내화학성의 특징이 있어 가스 분리에 사용하는 멤브레인으로도 사용되며, 천연가스 유정에서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및 불순물과 같은 오염물을 여과 장치에도 사용된다.
최근에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필름화함으로써, 보다 저렴하면서도 광학적,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이 개발되고 있다.
구현예는 무색 투명하면서도 기계적 물성 및 광학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은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에 위치한 상기 기능층의 일면을 제1면이라 하고, 상기 기능층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을 제2면이라 할 때, 하기의 수식 1로 표시되는 레벨링 지수가 0.75 미만이다.
<수식 1>
Figure 112019083601811-pat00001
여기서, 상기 Sz1은 상기 제1면의 Sz 조도(㎛)이고, 상기 Sz2는 상기 제2면의 Sz 조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에 위치한 상기 기능층의 일면을 제1면이라 하고, 상기 기능층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을 제2면이라 할 때, 상기 수식 1로 표시되는 레벨링 지수가 0.75 미만이다.
구현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은 제1면의 Sz 조도(Sz1)와 제2면의 Sz 조도(Sz2)가 적절한 범위를 가지고 상기 수식 1이 0.75 미만이라는 특징을 만족함으로써, 상기 기능층이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구현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은 향상된 기계적 물성 및 광학적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또한 향상된 기계적 물성 및 광학적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구현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의 공정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구현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현예는 이하에서 개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필름, 윈도우, 패널, 또는 층 등이 각 필름, 윈도우, 패널, 또는 층 등의 "상(on)"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성분의 양,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 및 표현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써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환된"이라는 것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중수소, -F, -Cl, -Br, -I,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진기, 히드라존기, 에스테르기, 케톤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환족 유기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상기 열거된 치환기들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도 1을 참조하면, 구현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은 베이스 필름(110) 및 상기 베이스 필름(110) 상에 배치된 기능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10)은 상기 기능층(120)을 지지하는 지지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110)은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필름(110)은 폴리이미드계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120)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 상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120)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 상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120)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120)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 상에 코팅된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120)은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층(120)은 경화성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120)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의 기계적 물성 및/또는 광학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반사 방지층, 방현층, 하드코팅층 또는 내스크래치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층(120)은 제1면(101)을 포함한다. 상기 제1면(101)은 상기 기능층(120)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110)이 배치된 면에 대향되는 면으로, 상기 제1면(101)은 상기 기능층(120)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110)이 접하는 면의 반대에 위치한 면이다. 상기 제1면(101)은 상기 기능층(120)의 상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면(101)은 상기 기능층(120)의 최상면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110)은 제2면(102)을 포함한다. 상기 제2면(102)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에서 상기 기능층(120)이 배치된 면으로, 상기 제2면(102)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에서 상기 기능층(120)이 접하는 면이다. 상기 제2면(102)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면(102)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의 최상면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120)은 상기 제2면(102)을 덮는다. 이에 따라, 상기 기능층(120)의 하면에 상기 제2면(102)의 형상이 전사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10)
일 구현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110)은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10)은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필름(110)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디아민 화합물 및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응물들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반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디아민 화합물 및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이 중합하여 형성된 폴리이미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디아민 화합물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의 중합으로부터 유래하는 이미드(imide) 반복단위와 상기 디아민 화합물과 디카르보닐 화합물의 중합으로부터 유래하는 아마이드(amide)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중합체는 이미드(imide) 반복단위를 포함하므로, 넓은 의미로 폴리이미드계 수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디아민 화합물은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과 이미드 결합하고,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과 아마이드 결합하여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디아민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방향족 구조를 포함하는 방향족 디아민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아민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83601811-pat00002
상기 화학식 1 에 있어서,
E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C6-C30 지방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C4-C30 헤테로 지방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C6-C30 방향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C4-C30 헤테로 방향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키닐렌기, -O-, -S-, -C(=O)-, -CH(OH)-, -S(=O)2-, -Si(CH3)2-, -C(CH3)2- 및 -C(CF3)2-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e는 1 내지 5의 정수 중에서 선택되고, e가 2 이상일 경우 E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E)e는 하기 화학식 1-1a 내지 1-14a로 표시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83601811-pat00003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E)e는 하기 화학식 1-1b 내지 1-13b로 표시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83601811-pat00004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E)e는 상기 화학식 1-6b로 표시되는 그룹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디아민 화합물은 불소함유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아민 화합물은 불소함유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불소함유 치환기는 불소화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디아민 화합물은 1 종의 디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아민 화합물은 단일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아민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바이페닐(2,2'-Bis(trifluoromethyl)-4,4'-diaminodiphenyl, TFDB)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83601811-pat00005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복굴절값이 낮기 때문에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의 투과도와 같은 광학 물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방향족 구조를 포함하는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83601811-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G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4가의 C6-C30 지방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4가의 C4-C30 헤테로 지방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4가의 C6-C30 방향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4가의 C4-C30 헤테로 방향족 고리기이고, 상기 지방족 고리기, 상기 헤테로 지방족 고리기, 상기 방향족 고리기 또는 상기 헤테로 방향족 고리기가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서로 접합되어 축합고리를 형성하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키닐렌기, -O-, -S-, -C(=O)-, -CH(OH)-, -S(=O)2-, -Si(CH3)2-, -C(CH3)2- 및 -C(CF3)2- 중에서 선택된 연결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G는 하기 화학식 2-1a 내지 2-9a로 표시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83601811-pat00007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2의 G는 상기 화학식 2-8a로 표시되는 그룹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불소함유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불소함유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불소함유 치환기는 불소화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1종의 단일 성분 또는 2종의 혼합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2,2'-비스(3,4-디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2,2'-Bis-(3,4-Dicarboxyphenyl)hexafluoropropane dianhydride, 6-FDA)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83601811-pat00008
상기 디아민 화합물 및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이 중합하여 폴리아믹산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폴리아믹산은 탈수 반응을 통하여 폴리이미드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폴리이미드는 이미드(imide)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이미드는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A>
Figure 112019083601811-pat00009
상기 화학식 A에 있어서, E, G 및 e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이미드는 하기 화학식 A-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A-1>
Figure 112019083601811-pat00010
상기 화학식 A-1의 n은 1 내지 400의 정수이다.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83601811-pat00011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J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C6-C30 지방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C4-C30 헤테로 지방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C6-C30 방향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C4-C30 헤테로 방향족 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키닐렌기, -O-, -S-, -C(=O)-, -CH(OH)-, -S(=O)2-, -Si(CH3)2-, -C(CH3)2- 및 -C(CF3)2-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j는 1 내지 5의 정수 중에서 선택되고, j가 2 이상일 경우 J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X는 할로겐 원자이다. 구체적으로, X는 F, Cl, Br, I 등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X는 C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3의 (J)j는 하기 화학식 3-1a 내지 3-14a로 표시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83601811-pat00012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의 (J)j는 하기 화학식 3-1b 내지 3-8b로 표시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83601811-pat00013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의 (J)j는 상기 화학식 3-1b로 표시되는 그룹, 상기 화학식 3-2b로 표시되는 그룹 또는 3-3b로 표시되는 그룹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서로 상이한 적어도 2 종의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이 2 종 이상 사용되는 경우,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3에서 (J)j가 상기 화학식 3-1b 내지 3-8b로 표시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방향족 구조를 포함하는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또는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각각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aromatic dicarbonyl compound)일 수 있다.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서로 상이한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이 서로 상이한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이 각각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인 경우, 벤젠 고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조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의 표면 경도 및 인장 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terephthaloyl chloride, TPC), 이소프탈로일클로라이드(isophthaloyl chloride, IPC), 1,1'-비페닐-4,4'-디카르보닐디클로라이드(1,1'-biphenyl-4,4'-dicarbonyl dichloride, BPDC)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83601811-pat00014
Figure 112019083601811-pat00015
Figure 112019083601811-pat00016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BPDC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TPC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로서 BPDC,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로서 TPC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조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은 높은 내산화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IPC(Isophthaloyl Chlori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TPC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로서 IPC,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로서 TPC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조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은 높은 내산화성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을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상기 디아민 화합물 및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이 중합하여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B>
Figure 112019083601811-pat00017
상기 화학식 B에 있어서, E, J, e 및 j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상기 디아민 화합물 및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이 중합하여 화학식 B-1 및 B-2로 표시되는 아마이드(amide)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B-1>
Figure 112019083601811-pat00018
상기 화학식 B-1의 x는 1 내지 400의 정수이다.
<화학식 B-2>
Figure 112019083601811-pat00019
상기 화학식 B-2의 y는 1 내지 400의 정수이다.
상기 필러는 황산바륨, 실리카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필러를 포함함으로써, 표면조도 및 권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름 제작 시 주행시 발생되는 스크래치 개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러의 입경은 0.01㎛ 이상 내지 1.0㎛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러의 입경은 0.05㎛ 내지 0.9㎛ 또는 0.1㎛ 내지 0.8㎛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필러를 0.0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필러를 0.05 내지 2.5 중량%, 0.1 내지 2 중량% 또는 0.2 내지 1.7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Sz1은 0.01㎛ 내지 4㎛이고, 상기 Sz2는 0.01㎛ 내지 5㎛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Sz1은 0.01㎛ 내지 3㎛, 0.05㎛ 내지 3㎛ 또는 0.1㎛ 내지 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Sz2는 0.01㎛ 내지 4㎛, 0.05㎛ 내지 4㎛ 또는 0.1㎛ 내지 4㎛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Sz1이 0.05㎛ 내지 3㎛이고, 상기 Sz2가 0.05㎛ 내지 4㎛일 수 있다. 또는 상기 Sz1이 0.1㎛ 내지 3㎛이고, 상기 Sz2가 0.1㎛ 내지 4㎛일 수 있다.
상기 제2면은 상기 베이스 필름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캐스팅하기 위한 캐스팅체(30)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면은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가 캐스팅될 때, 공기와 접하는 에어면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면은 상기 베이스 필름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캐스팅체(30)와 직접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면은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가 캐스팅될 때, 상기 캐스팅체, 예를 들어, 벨트 등에 접하는 벨트면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은 무색 투명하면서도 헤이즈, 황색도 및 모듈러스와 같은 기계적 물성 및 광학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필름의 헤이즈는 3%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이즈는 2% 이하, 1.5% 이하 또는 1%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필름의 황색도(yellow index, YI)는 5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황색도가 4 이하, 3.8 이하, 2.8 이하, 2.5 이하, 2.3 이하 또는 2.1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필름의 모듈러스는 5 GPa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러스는 5.2 GPa 이상, 5.5 GPa 이상, 6.0 GPa 이상, 10 GPa 이하, 5 GPa 내지 10 GPa 또는 7 GPa 내지 10 GP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필름의 투과도는 8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과도는 85% 이상, 88% 이상, 89% 이상, 80% 내지 99% 또는 85% 내지 99%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필름을 UTM 압축 모드로 2.5 mm 구형상의 팁을 사용하여 10 mm/min의 속도로 천공시, 크랙을 포함한 천공 최대 직경(mm)이 60 mm 이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공 최대 직경이 5 내지 60 mm, 10 내지 60 mm, 15 내지 60 mm, 20 내지 60 mm, 25 내지 60 mm, 또는 25 내지 58 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의 압축 강도는 0.4 kgf/㎛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 강도는 0.45 kgf/㎛ 이상 또는 0.46 kgf/㎛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표면 경도는 HB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 경도가 H 이상 또는 2H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인장 강도가 15 kgf/mm2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장 강도가 18 kgf/mm2 이상, 20 kgf/mm2 이상, 21 kgf/mm2 이상 또는 22 kgf/mm2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신도가 15%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도가 16% 이상, 17% 이상 또는 17.5%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은, 높은 내산화성을 가지며, 높은 광투과율, 낮은 헤이즈 및 낮은 황색도(YI) 등의 우수한 광학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모듈러스, 신율, 인장특성 및 탄성 복원력 측면에서 유연성이 요구되는 기재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10)의 제조방법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조방법은 중합 설비 내에서 유기 용매 중에 디아민 화합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혼합 및 반응시켜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0); 상기 중합체 용액을 탱크로 이동시키는 단계(S200); 비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퍼징하는 단계(S300); 상기 탱크 내의 중합체 용액을 벨트 상에 캐스팅한 후 건조시켜 겔-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400); 상기 겔-시트를 이동시키면서 열처리하여 경화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S500); 상기 경화 필름을 이동시키면서 냉각시키는 단계(S600); 및 상기 냉각된 경화 필름을 와인더(winder)를 이용하여 권취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1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용액은 중합 설비 내에서 유기 용매 중에 디아민 화합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혼합 및 반응시켜 제조된다(S100).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체 용액은 유기 용매 중에 상기 디아민 화합물,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동시 투입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용매 중에 상기 디아민 화합물과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1차 혼합 및 반응시켜 폴리아믹산(Polyaminc acid, PAA)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아믹산(PAA) 용액에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2차 혼합 및 반응시켜 아마이드 결합 및 이미드 결합을 동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 용액은 폴리아믹산을 포함하는 용액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용매 중에 상기 디아민 화합물과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1차 혼합 및 반응시켜 폴리아믹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아믹산 용액을 탈수시켜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이미드(PI) 용액에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2차 혼합 및 반응시켜 아마이드 결합을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은 이미드 반복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액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용매 중에 상기 디아민 화합물과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1차 혼합 및 반응시켜 폴리아마이드(Polyamide, PA)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아마이드(PA) 용액에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2차 혼합 및 반응시켜 이미드 결합을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 용액은 아마이드 반복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액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중합체 용액은 폴리아믹산(PAA) 반복 단위, 폴리아마이드(PA) 반복 단위 및 폴리이미드(PI)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중합체가 함유된 용액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중합체 용액에 포함된 중합체는 상기 디아민 화합물과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의 중합으로부터 유래하는 이미드(imide) 반복단위와, 상기 디아민 화합물과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의 중합으로부터 유래하는 아마이드(amide)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촉매를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예를 들어 베타피콜린 및/또는 아세트산무수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촉매를 투입하는 경우,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반복 단위 구조 간 또는 반복 단위 구조 내의 화학적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중합체 용액의 점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a) 유기 용매 중에 디아민 화합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혼합 및 반응시켜 제1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1 중합체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여 목표 점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중합체 용액의 점도가 목표 점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추가 투입하여 목표 점도를 갖는 제2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점도는 상온에서 10만 cps 내지 50만 cp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점도는 상온에서 10만 cps 내지 40만 cps, 10만 cps 내지 35만 cps, 10만 cps 내지 30만 cps, 15만 cps 내지 30만 cps 또는 15만 cps 내지 25만 cp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중합체 용액에 포함된 고형분의 함량은 10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중합체 용액에 포함된 고형분의 함량은 12 중량% 내지 18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체 용액에 포함된 고형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 압출 및 캐스팅 공정에서 효과적으로 베이스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베이스 필름은 향상된 모듈러스 등의 기계적 물성 및 낮은 황색도 등의 광학적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중합체 용액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상기 중합체 용액의 pH는 4 내지 7 또는 4.5 내지 7로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체 용액의 pH는 pH 조절제를 첨가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알콕시아민, 알킬아민, 알칸올아민 등의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용액의 pH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후속하는 공정에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중합체 용액으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결함 발생을 저지하고, 황색도 및 모듈러스 측면에서 목적하는 광학적 물성 및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상기 중합체 용액 내의 단량체의 총 몰 수를 기준으로 0.1 몰% 내지 10 몰%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비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퍼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 가스 퍼징 단계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고, 불순물을 감소시킴으로써, 반응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최종 필름의 표면 외관과 기계적 물성 등을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활성 가스는 질소,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크립톤(Kr), 제논(Xe) 및 라돈(R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활성 가스는 질소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이미드 반복 단위:아마이드 반복 단위의 몰비가 20:80 내지 80:2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0:80 내지 50:50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미드 반복 단위는 상술한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일 수 있고, 상기 아마이드 반복 단위는 상술한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의 몰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술한 모노머들을 이용하여 상기 중합체 용액의 점도를 조절하기 용이하며, 이로써 상기 겔-시트와 경화 필름이 표면에 결함이 없는 균일한 필름을 제조하기 용이하다.
상기 이미드 반복 단위 및 아마이드 반복 단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복잡한 과정 없이도 광학적 특성, 기계적 물성 및 유연성이 균형 있게 개선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침전, 여과 및 건조, 재용해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광학적 특성, 기계적 특성 및 유연성이 균형 있게 개선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이미드 반복단위 및 아마이드 반복단위 각각의 함량은 상기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디카르보닐 화합물의 투입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일 구현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의 공정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상기 중합체 용액은 중합 설비(10)에서 제조되며,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중합체 용액은 탱크(20)로 이동 및 보관된다(S200). 이 때, 상기 중합체 용액 제조 후 별도의 공정 없이 상기 중합체 용액을 탱크로 이동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중합 설비에서 제조된 중합체 용액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침전 및 재용해 과정 없이 그대로 상기 탱크로 이동하여 보관된다. 종래에는 상기 중합체 용액의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염산(HCl)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조된 중합체 용액을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정제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이를 용매에 재용해시키는 공정을 수행하였다. 다만, 이 경우,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효 성분의 손실이 커지고, 그 결과, 수득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중합체 용액의 제조 과정에서 원천적으로 불순물의 함량을 최소화하거나, 소정의 불순물이 존재하더라도 후속적인 공정에서 이들을 적절히 제어하여 최종 필름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침전 또는 재용해 과정 없이 필름을 제조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중합체 용액을 별도로 침전, 여과, 건조 및 재용해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중합 과정에서 생성된 용액을 그대로 캐스팅 공정에 적용하므로, 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탱크(20)는 상기 중합체 용액을 필름화 하기 전에 이를 보관하는 장소로서, 그 내부 온도가 -20℃ 내지 2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온도는 -20℃ 내지 15℃, -20℃ 내지 10℃, -20℃ 내지 5℃ 또는 -20℃ 내지 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탱크(20)의 온도를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중합체 용액이 보관 중에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함습률을 저하시켜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결함(defect)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탱크(20)로 이동된 상기 중합체 용액에 진공 탈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탈포는 상기 탱크의 내부 압력을 0.1 bar 내지 0.7 bar로 감압한 후 30분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진공 탈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중합체 용액 내부의 기포를 저감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표면 결함을 방지하고, 헤이즈 등의 광학 물성을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탱크(20)로 이동된 상기 중합체 용액에 비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퍼징(purg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상기 퍼징은 비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의 내부 압력을 1 내지 2 기압으로 퍼징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질소 퍼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중합체 용액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고, 불순물을 감소시킴으로써, 반응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헤이즈 등의 광학 물성과 기계적 물성 등을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탈포하는 단계 및 상기 탱크를 질소 가스로 퍼징하는 단계는 별도의 공정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진공 탈포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그 이후에 상기 탱크를 질소 가스로 퍼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공 탈포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탱크를 질소 가스로 퍼징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합체 용액을 탱크(20) 내에서 12 시간 내지 360 시간 동안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탱크의 내부 온도는 -20℃ 내지 20℃로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탱크(20) 내의 중합체 용액을 캐스팅한 후 건조시켜 겔-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S400).
상기 중합체 용액은 캐스팅 롤(roll) 또는 캐스팅 벨트(belt)와 같은 캐스팅체에 캐스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일 구현예에서, 상기 중합체 용액은 캐스팅체(30)로서 캐스팅 벨트 상에 도포되어 이동하면서 건조되고, 겔 형태의 시트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용액이 상기 벨트(30) 상에 주입될 때, 그 주입량은 300 g/min 내지 700 g/min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용액의 주입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겔-시트가 적절한 두께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 용액의 캐스팅 두께는 200 내지 700 ㎛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용액이 이러한 두께 범위로 캐스팅 됨으로써 건조 및 열처리를 거쳐 최종 필름으로 제조되었을 때, 적절한 두께와 두께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용액을 캐스팅한 후 60℃ 내지 150℃의 온도로, 5분 내지 60분의 시간 동안 건조시켜 겔-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중에 상기 중합체 용액의 용매가 일부 또는 전부 휘발되어 상기 겔-시트가 제조된다.
상기 중합체 용액의 점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온에서 10만 cps 내지 50만 cps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만 cps 내지 40만 cps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만 cps 내지 35만 cps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5만 cps 내지 35만 cps일 수 있다. 이러한 점도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중합체 용액이 벨트 상에 캐스팅될 때 결함 없이 균일한 두께로 캐스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겔-시트를 이동시키면서 열처리하여 경화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00).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겔-시트의 열처리는 열 경화기(40)를 통과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겔-시트의 열처리는 80℃ 내지 500℃의 범위에서 2℃/min 내지 80℃/min 속도로 승온시키면서 5분 내지 4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겔-시트의 열처리는 80℃ 내지 470℃의 온도 범위 내에서 10℃/min 내지 80℃/min의 속도로 승온시키면서 5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겔-시트의 열처리 시작 온도는 80℃ 이상일 수 있고, 열처리 중의 최대 온도는 300℃ 내지 5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처리 중의 최대 온도는 350℃ 내지 500℃, 380℃ 내지 500℃, 400℃ 내지 500℃, 410℃ 내지 480℃, 410℃ 내지 470℃ 또는 410℃ 내지 450℃일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열 경화기(40)의 입구 온도가 열처리 시작 온도일 수 있고, 상기 열 경화기(40) 내부의 소정의 영역의 온도가 열처리 중의 최대 온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겔-시트가 적절한 표면 경도와 모듈러스를 갖도록 경화될 수 있고, 상기 경화 필름이 높은 광투과율 및 낮은 헤이즈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경화 필름을 이동시키면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S600).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경화 필름은 상기 열 경화기(40)를 통과한 이후에 수행되며, 별도의 냉각 챔버(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의 냉각 챔버 없이 적절한 온도 분위기를 조성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경화 필름을 이동시키면서 냉각시키는 단계는, 100℃/min 내지 1000℃/min 속도로 감온시키는 제1 감온 단계; 및 40℃/min 내지 400℃/min 속도로 감온시키는 제2 감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감온 단계 이후 상기 제2 감온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제1 감온 단계의 감온 속도는 상기 제2 감온 단계의 감온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감온 단계 중 최대 속도가 상기 제2 감온 단계 중 최대 속도보다 빠르다. 또는 상기 제1 감온 단계 중 최저 속도가 상기 제2 감온 단계 중 최저 속도보다 빠르다.
상기 경화 필름의 냉각 단계가 이와 같이 다단계로 수행됨으로써 상기 경화 필름의 물성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고, 상기 경화 과정에서 확립된 필름의 광학적 물성 및 기계적 물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장기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겔-시트 및 상기 경화 필름의 이동 속도는 동일하다.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냉각된 경화 필름을 와인더(winder)를 이용하여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700).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냉각된 경화 필름의 권취는 롤 형태의 와인더(5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시 벨트 상에서 겔-시트의 이동 속도:권취시 경화 필름의 이동 속도의 비는 1:0.95 내지 1:1.40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속도의 비는 1:0.99 내지 1:1.20, 1:0.99 내지 1:1.10, 1:1.01 내지 1:1.10 또는 1:1.05 내지 1:1.1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동 속도의 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경화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유연성 및 탄성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시 벨트 상에서 겔-시트의 이동 속도는 0.1 m/분 내지 15 m/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5 m/분 내지 10 m/분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1에 의한 두께 편차(%)는 3% 내지 3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5% 내지 2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1]
두께 편차(%) = (M1-M2)/M2 X 100
상기 일반식 1 중, M1은 상기 겔-시트의 두께(㎛)이고, M2는 권취시 냉각된 경화 필름의 두께(㎛)이다.
전술한 상기 베이스 필름의 물성들은 40 ㎛ 내지 60 ㎛ 두께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필름의 물성들은 50 ㎛ 두께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됨으로써 광학적, 기계적으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유연성 및 투명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용도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필름은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반도체 소자, 센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기능층 (120)
상기 기능층(120)은 유기 수지, 무기 필러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수지는 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수지는 바인더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크릴레이트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1 내지 10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2 내지 15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1 내지 10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예로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TMPEOTA), 글리세린 프로폭실화 트리아크릴레이트(GPTA),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A),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예로서는 중량평균분자량 1400~25000의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량평균분자량 1700~16000의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량평균분자량 1000의 4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량평균분자량 818~2600의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량평균분자량 3500~5500의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량평균분자량 3200~3900의 10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중량평균분자량 2300~20000의 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예로서는 중량평균분자량 100~300의 1관능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량평균분자량 250~2000의 2관능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3000의 4관능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약 200 내지 약 2,000 g/mol, 약 200 내지 약 1,000 g/mol, 또는 약 200 내지 약 500 g/mol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아크릴레이트 당량(equivalent weight)은 약 50 내지 약 300 g/eq, 약 50 내지 약 200 g/eq, 또는 약 50 내지 약 150 g/eq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에폭시 당량(equivalent weight)은 약 50 내지 약 300 g/eq, 약 50 내지 약 200 g/eq, 또는 약 50 내지 약 150 g/eq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수지의 함량은 상기 기능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wt% 내지 100 wt%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수지의 함량은 상기 기능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wt% 내지 90 wt% 또는 50 wt% 내지 80 wt%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의 예로서는 실리카, 황산 바륨, 징크 옥사이드 또는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의 입자 직경은 1 nm 내지 100 n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필러의 입자 직경은 5 nm 내지 50 nm 또는 10 nm 내지 30 nm 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서로 다른 입경 분포를 가지는 무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필러는 d50이 20 내지 35nm인 제 1 무기 필러 및 d50이 40 내지 130nm인 제 2 무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은 상기 기능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wt% 이상, 약 30 wt% 이상, 또는 약 35 wt%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은 상기 기능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wt% 이하, 약 45 wt% 이하, 또는 약 40 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실란 커플링제 등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예로서는 (메트)아크릴실란((meth)acrylsilane), 메타크록시실란(methacroxysilane), 비닐실란(vinylsilane), 에폭시실란(epoxysilane) 또는 머캅토실란(mercaptosila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예로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 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 α,α-디메톡시-α-페닐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모포린일)페닐]-1-부타논, 2-메틸-1-[4-(메틸씨오)페닐]-2-(4-몰포린일)-1-프로판온,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품으로는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651, Irgacure 369, Irgacure 907, Darocur 1173, Darocur MBF, Irgacure 819, Darocur TPO, Irgacure 907, Esacure KIP 100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다른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계면활성제, UV 흡수제, UV 안정제, 황변 방지제, 레벨링제, 방오제 또는 색상값 개선을 위한 염료 등을 기타 첨가제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기능층의 물성을 저하 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기능층을 기준으로, 약 0.01 wt% 내지 약 10 wt%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1 내지 2 관능성의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불소계 계면 활성제 또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기능층 내에 분산 또는 가교되어 있는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UV 흡수제로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또는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UV 안정제로는 테트라메틸 피페리딘(tetramethyl piperidi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코팅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유기 수지, 상기 무기 필러, 상기 첨가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과 같은 알콕시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 프로필케톤,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계 용매;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2-에틸헥실에테르와 같은 에테르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용매;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의 함량은 코팅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상기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 중 고형분에 대하여, 고형분:유기 용매의 중량비가 약 30:70 내지 약 99:1가 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가 상기 범위에 있을 때 적절한 유동성 및 도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기 용매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층에는 상기 유기 용매가 미량 남아 있을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면 또는 후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바코팅 방식, 나이프 코팅방식, 롤 코팅방식, 블레이드 코팅방식, 다이 코팅방식,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방식, 콤마코팅 방식, 슬롯다이 코팅방식, 립 코팅방식 또는 솔루션 캐스팅(solution casting)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코팅 조성물에 포함된 유기 용매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증발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코팅 조성물층은 광 및/또는 열에 의해서 경화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완전히 경화된 후 두께가 약 2㎛ 이상, 또는 약 3㎛ 이상,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20㎛, 약 2 내지 약 15㎛, 약 2 내지 약 10㎛, 약 3 내지 약 1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기능층 사이에 추가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추가층은 대전방지층이고, 대전방지 기능을 수행하거나, 저굴절율층이고, 저반사(low reflection)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기능층 자체가 대전방지 기능 및/또는 저반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의 물성
구현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은 하기의 수식 1로 표시되는 레벨링 지수가 0.75 미만이다:
<수식 1>
Figure 112019083601811-pat00020
여기서, 상기 Sz1은 상기 제1면의 Sz 조도(㎛)이고, 상기 Sz2는 상기 제2면의 Sz 조도(㎛)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Sz2가 0.01㎛ 내지 5㎛이고, 상기 Sz1이 0.01㎛ 내지 4㎛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Sz2가 0.05㎛ 내지 4㎛이고, 상기 Sz1이 0.05㎛ 내지 3㎛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Sz2가 0.1㎛ 내지 4㎛이고, 상기 Sz1이 0.1㎛ 내지 3㎛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레벨링 지수가 0.11 내지 0.7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지수는 0.7 미만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지수는 0.65 미만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지수는 0.53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이 상기와 같은 레벨링 지수를 가지는 경우, 상기 기능층은 연신되는 과정에서 크랙이 발생될 수 있는 디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두께는 2㎛ 내지 10㎛이고, 하기의 수식 2로 표시되는 FT가 0.7 미만이다:
<수식 2>
Figure 112019083601811-pat00021
여기서, 상기 Th는 상기 기능층의 두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식 2로 표시되는 FT가 0.6 미만, 0.55 미만, 또는 0.13 내지 0.6 또는 0.14 내지 0.6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이 상기와 같은 FT를 가지는 경우, 상기 기능층이 연신되는 과정에서 크랙이 발생될 수 있는 디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신도는 2%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층의 신도는 2.5% 이상, 3% 이상, 2% 내지 20% 또는 2.5% 내지 1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하기의 수식 3으로 표시되는 표면 극성 지수(SP)가 1/40 이상일 수 있다.
<수식 3>
Figure 112019083601811-pat00022
여기서, 상기 A1은 상기 제1면의 접촉각이고, 상기 A2는 상기 제2면의 접촉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식 3으로 표시되는 표면 극성 지수(SP)가 0.08 이상, 0.09 내지 0.25 또는 0.1 내지 0.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은 상기와 같은 표면 극성 지수를 가지는 경우, 상기 기능층은 상기 디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의 헤이즈가 3% 이하이고, 황색도(yellow index, YI)가 5 이하이고, 모듈러스가 5 GPa 이상이고, 투과도가 80% 이상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면(102)이 제2 돌기(11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돌기(111)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면(101)이 제1 돌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기능층(120)은 두께가 극히 얇은 디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레벨링 지수를 갖는 경우, 상기 기능층은 수평 방향으로 인장력에 대해서,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층은 상기 제2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기능층은 수평 방향으로 단면을 보았을 때, 지그 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기능층은 수평 방향으로 향상된 수평 방향의 변형에 대해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은 상기와 같은 레벨링 지수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제1면의 조도와 상기 제2면의 조도가 적절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기능층은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층의 신도는 약 2% 이상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은 향상된 기계적 물성 및 광학적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일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기능층;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에 위치한 상기 기능층의 일면을 제1면이라 하고, 상기 기능층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을 제2면이라 할 때,, 상기 수식 1로 표시되는 레벨링 지수가 0.75 미만이다.
여기서, 베이스 필름, 기능층 등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는 디스플레이 패널(3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0) 상에 커버 윈도우(100)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 윈도우(100)가 베이스 필름(110) 및 기능층(120)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0)과 상기 커버 윈도우(100) 사이에 접착층(200)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단면도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기능층(120)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을 기준으로 시인측에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은 전면 편광판 및 유기 EL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면 편광판은 상기 유기 EL 패널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 편광판은 상기 유기 EL 패널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EL 패널은 픽셀 단위의 자체 발광에 의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유기 EL 패널은 유기 EL 기판 및 구동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EL 기판은 픽셀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유기 전계 발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 음극, 전자 수송층, 발광층, 정공 수송층 및 양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판은 상기 유기 EL 기판에 구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기판은 상기 유기 EL 기판에 구동 전류 등과 같은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유닛들에 각각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유기 EL 기판을 구동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0) 및 상기 커버 윈도우(100) 사이에 접착층(20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20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층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외곽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상기 베이스 필름(110) 및 상기 기능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120)은 하드 코팅층, 반사율 저감층, 방오층 및 방현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120)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온도조절이 가능한 이중자켓의 1,000L용 유리반응기에 20℃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유기 용매인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250 kg을 채운 후, 방향족 디아민인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바이페닐(TFDB) 32.02 kg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용해시켰다.
이어서,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인 2,2'-비스(3,4-디카복시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6-FDA) 13.3 kg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1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그리고, 필러로서 황산바륨을 700 g을 투입한 뒤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로서 1,1'-비페닐-4,4'-디카르보닐디클로라이드(BPDC) 12.56 kg을 투입한 뒤 1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로서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TPC)를 투입 몰 대비 94%인 4.77 kg을 투입한 뒤 1 시간 동안 교반시켜 제1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1 중합체 용액의 점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점도가 목표하는 점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200,000 cps의 점도가 될 때까지, DMAc 유기 용매에 10 중량%의 TPC 용액을 제조하여 1mL 첨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2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2 중합체 용액을 -10℃의 탱크로 이동시켜 보관하고, 탱크 내의 압력이 0.3 bar가 되도록 1.5시간 탈포시킨 후,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탱크의 내부 압력을 1.5 기압으로 퍼징하였다. 퍼징한 이후에, 상기 제2 중합체 용액을 탱크 내에서 30 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2 중합체 용액을 스테인레스 스틸 벨트에 캐스팅한 후, 80℃의 열풍으로 30분 건조시켜 겔-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겔-시트를 이동시키면서 80℃부터 350℃까지 범위에서 2℃/min 내지 80℃/min 속도로 승온시키며, 최고 온도에서 약 25분 동안 열처리하였고, 이후 약 800℃/min의 속도로 제1 단계 감온시킨 후, 약 100℃/min의 속도로 제2 단계 감온시켜 베이스 필름을 얻었고, 이를 와인더(winder)를 이용하여 권취하였다. 이때, 건조시 벨트 상에서 겔-시트의 이동 속도는 1 m/s이고, 상기 건조시 벨트 상에서 겔-시트의 이동 속도:권취시 필름의 이동 속도의 비가 1:1.01 내지 1:1.10의 범위가 되도록 와인더의 속도를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관능 아크릴레이트(M600, 미원 스페셜티케미칼) 12 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PU2050, 미원 스페셜티케미칼) 20 중량부, 나노 실리카졸(평균 입경 12 nm) 8 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60 중량부, 광개시제(Irgacure 184, BASF) 0.8 중량부 및 레벨링제(601ADH2, 네오스사) 0.2 중량부를 교반기로 배합하여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슬롯 다이 코팅 공정에 의해서, 상기 혼합된 코팅 조성물을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일면에 약 5㎛ 두께로 코팅하였다. 이후, 상기 코팅된 조성물은 약 90℃ 에서 약 2분간 건조되고, 600mJ/cm2의 UV에 의해 경화되었다. 이로써, 폴리이미드계 필름 및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및 비교예 2
하기 표 1과 같이, 각각의 반응물의 함량, 필러의 함량, 필러의 입경, 열처리 최대 온도 및 열처리 시간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또한, 하드코팅층 형성과 관련하여, 표 2와 같이, 각각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나노 실리카졸 및 레벨링제(KY1203 신에츠사 또는 DAC-HP 다이킨사)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구분 TFDB
(몰비)
6FDA
(몰비)
TPC
(몰비)
BPDC
(몰비)
필러 함량
(wt%)
필러 입경
(㎛)
열처리 최대 온도
(℃)
열처리 시간
(분)
실시예 1 0.20 0.06 0.05 0.09 1.1 0.1 350 25
실시예 2 0.20 0.05 0.06 0.09 1.1 0.1 300 20
실시예 3 0.20 0.03 0.10 0.07 0.6 0.1 350 25
비교예 1 0.20 0.06 0.05 0.09 0.6 1.0 250 20
비교예 2 0.20 0.05 0.06 0.09 - - 250 20
구분 우레탄아크릴레이트
PU2050
다관능아크릴레이트
M600
나노
실리카졸
레벨링제
601ADH2 KY1203 DAC-HP
실시예 1 20 12 8 0.2 - -
실시예 2 20 12 8 - 0.2 -
실시예 3 20 12 8 - - 0.2
비교예 1 20 12 8 - - -
비교예 2 25 15 - - - -
< 평가예 >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였다.
평가예 1: 접촉각 측정
독일 Kruss사의 Mobile Surface Analyzer를 사용하여, 독일 공업 표준(DIN 55660)에 의거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 제조 후, 하드코팅층과 접할 일면(제2면)의 접촉각을 측정하였고, 하드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에 위치한 하드코팅층의 일면(제1면)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평가예 2: 표면 극성 지수 계산
하기 수식 3에 따라 표면 극성 지수를 계산하였다.
<수식 3>
Figure 112019083601811-pat00023
여기서, 상기 A1은 상기 제1면의 접촉각이고, 상기 A2는 상기 제2면의 접촉각이다.
평가예 3: 표면조도 측정
상기 표면조도는 브루커(BRUKER)사의 3D 광학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 Contour G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임의의 3점의 위치에서, 표면의 Sz 조도가 측정되었고, 각 수치는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각 위치에서, 220㎛ X 220㎛의 영역에서 상기 3D 광학 프로파일러에 의해 이미지를 촬영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Sz 조도를 측정하였다. 조도 측정시, Sz는 ISO 25178-2:2012에 따라 정의되는 값이다. Sz는 최대 높이(maximum height)이고, 최대 피크 높이(maximum peak height, Sp) 및 최대 계곡 높이(maximum pit height, Sv)의 합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 제조 후, 하드코팅층과 접할 일면(제2면)의 표면조도를 측정하였고, 하드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에 위치한 하드코팅층의 일면(제1면)의 표면조도를 측정하였다.
평가예 4: 레벨링 지수 계산
하기 수식 1에 따라 레벨링 지수를 계산하였다.
<수식 1>
Figure 112019083601811-pat00024
여기서, 상기 Sz1은 상기 제1면의 Sz 조도(㎛)이고, 상기 Sz2는 상기 제2면의 Sz 조도(㎛)이다.
상기 평가예 1 내지 4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2면 접촉각(A2) 제1면 접촉각(A1) 표면 극성 지수(SP) 제2면 조도 제1면 조도 레벨링 지수
실시예 1 83° 117° 0.170 1.7 0.37 0.643
실시예 2 80° 105° 0.135 1.6 0.38 0.616
실시예 3 79° 100° 0.117 1.4 0.35 0.600
비교예 1 85° 90° 0.029 3.7 0.51 0.758
비교예 2 80° 84° 0.024 0.6 0.49 0.101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복합 필름은 비교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복합 필름에 비하여 적절한 레벨링 지수 및 표면 극성 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예 5: 헤이즈 측정
일본 덴쇼쿠고교사의 헤이즈미터 NDH-5000W를 사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평가예 6: 모듈러스 측정
인스트론사의 만능시험기 UTM 5566A를 이용하여, 샘플의 주 수축 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5 cm 이상 및 주 수축 방향으로 10 mm로 자르고, 5 cm 간격의 클립에 장착한 후 상온에서 5 mm/min 속도로 신장하면서 파단이 일어날 때까지 스트레스-스트레인 곡선을 얻었다. 상기 스트레스-스트레인 곡선에 있어서, 초기 변형에 대한 하중의 기울기를 모듈러스(GPa)로 하였다.
평가예 7: 황색도( YI ) 측정
황색도(Yellow Index, YI)는 분광광도계(UltraScan PRO, Hunter Associates Laboratory)에 의해 CIE 표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예 8: 투과도 측정
일본 덴쇼쿠고교사의 헤이즈미터 NDH-5000W를 사용하여 550 nm에서의 광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평가예 9: 하드코팅층 신도 측정
한국 Qmersys사의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사용하여, 100mm*10mm 크기로 재단한 하드코팅된 투명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을 세로방향으로 당겨 하드코팅층만의 신도를 측정했다.
평가예 10: 하드코팅층 두께 측정
Filmetrics사의 광학 두께 측정 장치 F20을 사용하여, 복합 필름의 하드코팅층 두께를 측정하였다.
평가예 11: FT 계산
하기 수식 2에 따라 FT를 계산하였다.
<수식 2>
Figure 112019083601811-pat00025
여기서, 상기 Th는 상기 기능층의 두께(㎛)이고, 상기 Sz2는 상기 제2면의 Sz 조도(㎛)이다.
평가예 12: 광학 디펙 테스트
부착이물 및 취급성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복합 필름을 암실 검사대에 부착하였다. 암실의 등을 소등하고 할로겐 램프를 이용하여 필름 표면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광학 디펙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X로 평가하였고, 광학 디펙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 O로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예 5 내지 12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헤이즈 모듈러스 YI 투과도 하드코팅층 신도 하드코팅층 두께 FT
(수식 2)
광학 디펙
실시예 1 0.41 5.72 2.1 91 3.2% 5㎛ 0.34
실시예 2 0.42 5.74 2.2 92 3.2% 5㎛ 0.32
실시예 3 0.43 5.73 2.3 91 3.2% 5㎛ 0.28
비교예 1 0.45 5.71 2.1 90 2.8% 5㎛ 0.74
비교예 2 0.38 5.3 2.3 91 3.5% 5㎛ 0.12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비교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필름에 비하여 하드 코팅층이 높은 신도를 가지며, 적절한 FT 값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광학 디펙 또한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예 13: 필름의 두께 측정
일본 미츠토요사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 547-401을 사용하여, 폭방향으로 5 point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두께를 측정하였다.
평가예 14: 접착력 테스트
10㎝ X 10㎝의 크기로 절단된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2장을 준비했다. 상기 2장의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의 제1면 및 제2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겹친 후, 40℃의 온도에서, 20 kg의 하중으로 24시간 동안 압축했다. 이후, 상기 압축된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하부에 배치된 필름이 자중에 의해서 분리되는 경우 O로 표시하고, 분리되지 않는 경우를 X로 표시하였다.
평가예 15: 스크래치 테스트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을 1m씩 3회 취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확인되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 스크래치가 10개 미만인 경우에 O로 표시하고, 10개 이상인 경우에 X로 표시하였다.
상기 평가예 13 내지 15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필름의 두께(㎛)
기재층/하드코팅층
접착력 테스트 스크래치 테스트
실시예 1 50/5
실시예 2 50/5
실시예 3 50/5
비교예 1 50/5
비교예 2 50/5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비교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필름에 비하여 높은 하드코팅 접착력 및 우수한 스크래치 테스트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10: 중합 설비
20: 탱크
30: 캐스팅체
40: 열 경화기
50: 와인더
100: 커버 윈도우
101: 제1면
102: 제2면
110: 베이스 필름
111: 제2 돌기
120: 기능층
121: 제1 돌기
200: 접착층
300: 디스플레이 패널
4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5)

  1.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에 위치한 상기 기능층의 일면을 제1면이라 하고,
    상기 기능층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을 제2면이라 할 때,
    하기의 수식 1로 표시되는 레벨링 지수가 0.75 미만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수식 1>
    Figure 112019083601811-pat00026

    여기서, 상기 Sz1은 상기 제1면의 Sz 조도(㎛)이고, 상기 Sz2는 상기 제2면의 Sz 조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z2가 0.01㎛ 내지 5㎛이고,
    상기 Sz1이 0.01㎛ 내지 4㎛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z2가 0.05㎛ 내지 4㎛이고,
    상기 Sz1이 0.05㎛ 내지 3㎛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z2가 0.1㎛ 내지 4㎛이고,
    상기 Sz1이 0.1㎛ 내지 3㎛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지수가 0.11 내지 0.7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지수가 0.65 미만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이 필러를 더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가 황산바륨, 실리카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의 입경이 0.01 ㎛ 이상 내지 1.0 ㎛ 미만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두께가 2㎛ 내지 10㎛이고,
    하기의 수식 2로 표시되는 FT가 0.7 미만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수식 2>
    Figure 112019083601811-pat00027

    여기서, 상기 Th는 상기 기능층의 두께(㎛)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FT가 0.14 내지 0.6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하기의 수식 3으로 표시되는 표면 극성 지수(SP)가 1/40 이상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수식 3>
    Figure 112019083601811-pat00028

    여기서, 상기 A1은 상기 제1면의 접촉각이고, 상기 A2는 상기 제2면의 접촉각이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신도가 2% 이상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헤이즈가 3% 이하이고,
    황색도가 5 이하이고,
    모듈러스가 5 GPa 이상이고,
    투과도가 80% 이상인,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15.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에 위치한 상기 기능층의 일면을 제1면이라 하고, 상기 기능층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을 제2면이라 할 때,
    하기의 수식 1로 표시되는 레벨링 지수가 0.75 미만인, 디스플레이 장치:
    <수식 1>
    Figure 112019083601811-pat00029

    여기서, 상기 Sz1은 상기 제1면의 Sz 조도(㎛)이고, 상기 Sz2는 상기 제2면의 Sz 조도(㎛)이다.
KR1020190099628A 2019-08-14 2019-08-14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628A KR102260732B1 (ko) 2019-08-14 2019-08-14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TW109125622A TWI759806B (zh) 2019-08-14 2020-07-29 以聚醯亞胺為主之複合薄膜及包含該薄膜之顯示裝置
US16/941,709 US11805616B2 (en) 2019-08-14 2020-07-29 Polyimide-based composite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20130386A JP7016924B2 (ja) 2019-08-14 2020-07-31 ポリイミド系複合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CN202010806713.2A CN112390974B (zh) 2019-08-14 2020-08-12 聚酰亚胺基复合膜及其显示装置
JP2022009593A JP7437427B2 (ja) 2019-08-14 2022-01-25 ポリイミド系複合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628A KR102260732B1 (ko) 2019-08-14 2019-08-14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393A KR20210020393A (ko) 2021-02-24
KR102260732B1 true KR102260732B1 (ko) 2021-06-07

Family

ID=7456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628A KR102260732B1 (ko) 2019-08-14 2019-08-14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05616B2 (ko)
JP (2) JP7016924B2 (ko)
KR (1) KR102260732B1 (ko)
CN (1) CN112390974B (ko)
TW (1) TWI7598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31B1 (ko) * 2019-08-14 2021-06-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7432B1 (ko) 2021-05-28 2024-03-14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솔루션즈 주식회사 폴리아마이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45443A (ko) * 2021-09-28 2023-04-04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솔루션즈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953A (ja) 1991-05-21 1993-02-09 Nippon Oil & Fats Co Ltd 表面処理剤
JPH10244765A (ja) 1997-03-06 1998-09-14 Mitsui Chem Inc ポリイミド系感熱記録用転写体
US8025967B1 (en) 2010-04-13 2011-09-27 Xerox Corporatio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654276B2 (ja) 2010-07-08 2015-01-14 株式会社日本触媒 遮光性フィルム
EP2692526B1 (en) * 2011-03-28 2020-10-28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Multilayer resin sheet, resin sheet laminate, cured multilayer resin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multilayer resin sheet with metal foil,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5230901A (ja) 2014-06-03 2015-12-2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積層体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6681664B2 (ja) 2014-09-05 2020-04-15 株式会社日本触媒 含フッ素ポリイミドを含む酸素ガス透過性の細胞培養用基材、該基材を備えた細胞培養用容器、及び、該基材を用いた細胞培養方法
KR102277807B1 (ko) * 2014-10-17 2021-07-15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 필름 및 적층체
JPWO2016104420A1 (ja) 2014-12-25 2017-10-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樹脂基材
KR20170076171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아미드-이미드) 코폴리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EP3187528B1 (en) 2015-12-31 2020-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for preparing transparent polymer film, transparent polymer film,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JP6912789B2 (ja) 2016-03-16 2021-08-04 株式会社日本触媒 神経幹細胞の培養方法、およびニューロスフェロイドの形成方法
CN109476142A (zh) 2016-05-20 2019-03-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JP6450048B1 (ja) 2018-02-14 2019-01-09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
JP6556317B1 (ja) 2018-11-27 2019-08-0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9806B (zh) 2022-04-01
JP2021030734A (ja) 2021-03-01
CN112390974A (zh) 2021-02-23
JP7437427B2 (ja) 2024-02-22
CN112390974B (zh) 2023-01-31
JP2022080316A (ja) 2022-05-27
JP7016924B2 (ja) 2022-02-07
US11805616B2 (en) 2023-10-31
US20210051811A1 (en) 2021-02-18
TW202108668A (zh) 2021-03-01
KR20210020393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731B1 (ko)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JP7437427B2 (ja) ポリイミド系複合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301587B1 (ko)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TWI817180B (zh) 聚醯胺系複合薄膜及包含其之顯示裝置
KR102514272B1 (ko) 폴리아마이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JP7476254B2 (ja) ポリアミド系複合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US12024605B2 (en) Polyamide-based composite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634465B1 (ko) 폴리아마이드-이미드계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