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903A -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4903A KR20190054903A KR1020180101153A KR20180101153A KR20190054903A KR 20190054903 A KR20190054903 A KR 20190054903A KR 1020180101153 A KR1020180101153 A KR 1020180101153A KR 20180101153 A KR20180101153 A KR 20180101153A KR 20190054903 A KR20190054903 A KR 201900549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ob
- handle
- bearing
- axis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POIUWJQBRNEFGX-XAMSXPGMSA-N cathelicidin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NC(N)=N)C(=O)N[C@@H](CCCCN)C(=O)N[C@@H](CO)C(=O)N[C@@H](CCCCN)C(=O)N[C@@H](CCC(O)=O)C(=O)N[C@@H](CCCCN)C(=O)N[C@@H]([C@@H](C)CC)C(=O)NCC(=O)N[C@@H](CCCCN)C(=O)N[C@@H](CCC(O)=O)C(=O)N[C@@H](CC=1C=CC=CC=1)C(=O)N[C@@H](CCCCN)C(=O)N[C@@H](CCCNC(N)=N)C(=O)N[C@@H]([C@@H](C)CC)C(=O)N[C@@H](C(C)C)C(=O)N[C@@H](CCC(N)=O)C(=O)N[C@@H](CCCNC(N)=N)C(=O)N[C@@H]([C@@H](C)CC)C(=O)N[C@@H](CCCCN)C(=O)N[C@@H](CC(O)=O)C(=O)N[C@@H](CC=1C=CC=CC=1)C(=O)N[C@@H](CC(C)C)C(=O)N[C@@H](CCCNC(N)=N)C(=O)N[C@@H](CC(N)=O)C(=O)N[C@@H](CC(C)C)C(=O)N[C@@H](C(C)C)C(=O)N1[C@@H](CCC1)C(=O)N[C@@H](CCCNC(N)=N)C(=O)N[C@@H]([C@@H](C)O)C(=O)N[C@@H](CCC(O)=O)C(=O)N[C@@H](CO)C(O)=O)NC(=O)[C@H](CC=1C=CC=CC=1)NC(=O)[C@H](CC(O)=O)NC(=O)CNC(=O)[C@H](CC(C)C)NC(=O)[C@@H](N)CC(C)C)C1=CC=CC=C1 POIUWJQBRNEFGX-XAMSXPGM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34 light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61 M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3 cold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9 co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3 protective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3 reinforcing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피트성이나 그립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노브(knob) 축에 덜걱거림 적게 장착할 수 있고, 안정된 핸들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는 핸들 노브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 조작체(31)에 고정된 노브 축(32)에, 당해 노브 축의 축선(O3)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노브에 있어서, 내측 노브(100)와, 내측 노브에 대하여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외측 노브(110)와, 노브 축의 외면(外面)(90)에 감합(嵌合)되는 내륜(123) 및 내측 노브의 내면(內面)에 감합되는 외륜(124)을 가지고, 노브 축에 대하여 내측 노브를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20)을 구비하고, 내측 노브에는, 외륜이 접촉하는 베어링면(103, 104)이 형성되고, 베어링면에는, 내측 노브를 경(徑)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당해 베어링면에 개구(開口)하는 것과 함께, 외측 노브의 일부(115, 116)를 삽입시키는 관통 구멍(108, 109)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33)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 조작체(31)에 고정된 노브 축(32)에, 당해 노브 축의 축선(O3)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노브에 있어서, 내측 노브(100)와, 내측 노브에 대하여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외측 노브(110)와, 노브 축의 외면(外面)(90)에 감합(嵌合)되는 내륜(123) 및 내측 노브의 내면(內面)에 감합되는 외륜(124)을 가지고, 노브 축에 대하여 내측 노브를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20)을 구비하고, 내측 노브에는, 외륜이 접촉하는 베어링면(103, 104)이 형성되고, 베어링면에는, 내측 노브를 경(徑)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당해 베어링면에 개구(開口)하는 것과 함께, 외측 노브의 일부(115, 116)를 삽입시키는 관통 구멍(108, 109)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33)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knob) 및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 및 양 베어링 릴 등의 낚시용 릴은, 낚시줄을 감기 위한 핸들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핸들 조립체는, 핸들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암과, 핸들 암의 선단(先端)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노브 축과, 노브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통상(筒狀)의 핸들 노브(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노브는, 볼 베어링 등의 베어링을 통하여 노브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은, 예를 들어 노브 축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그 내륜은 노브 축의 외면(外面)에 감합(嵌合)되고, 또한 그 외륜은 핸들 노브의 내면(內面)에 감합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 중, 노브 축의 선단부 측에 배치된 베어링은, 노브 축의 선단면에 축 방향으로부터 취부(取付)된 고정 나사에 의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 노브의 전체는, 노브 축에 대하여 빠짐 방지된 상태로,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종류의 핸들 노브는, 여러가지 타입의 것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코르크재에 의하여 통상으로 성형된 본체 부재와, 본체 부재의 외표면을 합성 수지나 고무 등으로 피복한 외장부(보호용 피복)로 구성된 핸들 노브가 알려져 있다.
나아가, 다른 핸들 노브로서, 예를 들어 미리 성형된 인서트 부품이 세트된 성형용 금형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고, 당해 용융 수지를 경화시켜 외장부로 하는 것으로, 인서트 부품과 외장부를 일체화시키는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핸들 노브에는, 젖어도 미끄러지기 어려운 피트성이나, 안정되게 잡을 수 있는 그립성 등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그 재질이나 형상 등, 날마다 개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예를 들어 핸들 노브의 새로운 경량화나, 잡기 용이함을 보다 중시한 의장, 디자인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이들 의장, 디자인 등을 우선하는 것의 영향 등에 의하여 핸들 노브의 형상이 복잡화되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형상의 복잡화에 수반하여 핸들 노브의 성형 정도(精度)도 저하하기 쉬워져 버린다.
그렇지만 종래의 핸들 노브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 및 상기 인서트 부품의 형상이 복잡화, 혹은 성형 정도가 저하하였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외장부와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생기는 등 하여, 본체 부재 및 인서트 부품에 대한 외장부의 위치 어긋남 혹은 덜걱거림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피트성 및 그립성의 저하나, 핸들 노브 자체의 덜걱거림 등을 초래하기 쉬워, 핸들 조작성의 저하에 이어져 버린다. 따라서, 종래의 핸들 노브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피트성이나 그립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노브 축에 덜걱거림 적게 장착할 수 있고, 안정된 핸들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 조작체에 고정된 노브 축에, 당해 노브 축의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노브에 있어서, 상기 노브 축을 경(徑)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통상으로 성형된 내측 노브와, 상기 내측 노브의 적어도 일부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한층 더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내측 노브에 대하여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외측 노브와, 상기 노브 축의 외면에 대하여 감합되는 내륜, 및 상기 내측 노브의 내면에 대하여 감합되는 외륜을 가지고, 상기 노브 축에 대하여 상기 내측 노브를 상기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노브에는, 상기 외륜이 접촉하는 베어링면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면에는, 상기 내측 노브를 경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당해 베어링면에 개구(開口)하고, 상기 외측 노브의 일부를 삽입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핸들 노브에 의하면, 예를 들어 내측 노브를 인서트 부품으로 한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내측 노브에 대하여 외측 노브를 일체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외측 노브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경량화나 잡기 용이함의 향상화 등, 여러 가지의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내측 노브에 베어링면에 개구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관통 구멍 내에 외측 노브의 일부를 삽입시키고 있기 때문에, 핸들 노브의 형상이나 성형 정도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핸들 노브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나 덜걱거림 등을 억제한 상태로 베어링을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노브에 대하여 외측 노브가 일체적으로 조합된 핸들 노브로 할 수 있어, 피트성 및 그립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베어링에 대해서도 덜걱거림 등이 생기기 어렵다.
그 결과, 베어링을 통하여 노브 축에 덜걱거림 적게 핸들 노브를 장착할 수 있고, 낚시용 릴의 핸들 조작을 매끄럽게 행하여, 핸들 조작성의 향상화에 공헌할 수 있다. 덧붙여,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외측 노브의 일부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 시, 후에 외측 노브로 되는 용융 수지가 관통 구멍 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으로 형성된다.
(2) 상기 외측 노브의 상기 일부는, 상기 베어링면보다도 상기 축선 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외륜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압(押壓)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외측 노브의 일부가 외륜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압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내측 노브의 형상이나 성형 정도 등에 기인하여, 내측 노브의 베어링면과 외륜과의 사이에 약간의 덜걱거림이 생기는 것과 같은 경우여도, 외륜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누르도록 압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내측 노브의 내면 측에 외륜을 압입(壓入)하도록, 내측 노브와 노브 축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취부할 수 있고, 내측 노브에 대하여 외륜을 강고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노브의 형상이나 성형 정도 등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내측 노브의 내측에 베어링을 확실하게 보지(保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내측 노브와 베어링과의 사이에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베어링을 통하여 노브 축에 덜걱거림 적게 핸들 노브를 장착할 수 있다. 그 결과, 낚시용 릴의 핸들 조작을 한층 더 매끄럽게 행할 수 있고, 핸들 조작성의 향상화에 공헌할 수 있다.
(3)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축선 둘레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 내에 외측 노브의 일부를 삽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측 노브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나 덜걱거림 등을 한층 더 억제한 상태로, 외측 노브를 정도 좋게 조합할 수 있다.
덧붙여, 외측 노브의 일부가 외륜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경우에는, 외륜의 복수 개소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압할 수 있기 때문에, 베어링과의 사이에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한 상태로 베어링을 보다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다.
(4)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축선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외측 노브의 일부가 경방향으로 대향 배치되기 때문에, 핸들 노브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되기 어렵다. 따라서, 핸들 조작을 안정되게 또한 매끄럽게 행할 수 있다.
덧붙여, 외측 노브의 일부가 외륜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경우에는, 외륜을 경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압압할 수 있기 때문에, 베어링을 한층 더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다. 나아가, 외륜이 경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베어링의 중심을 축선 상에 정도 좋게 배치시킬 수 있고, 핸들 조작을 한층 더 매끄럽게 행할 수 있다.
(5) 상기 내측 노브의 외면에는,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내측 노브의 외면 측으로부터 내면 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상기 관통 구멍 측을 향하여 연장된 유도면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외측 노브를 성형할 때, 유도면을 이용하여 관통 구멍 내에 용융 수지가 적극적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용융 수지의 점성 등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외측 노브의 일부를 관통 구멍 내에 확실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외측 노브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의 선택성을 넓힐 수 있고, 설계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6) 상기 외측 노브는,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외측 노브 전체에 탄력성을 발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트성, 그립성이 향상한 핸들 노브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노브의 일부가 외륜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경우에는, 그 일부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외륜을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베어링면으로부터 축선 측을 향한 돌출량을 길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 만큼 베어링의 압입대(壓入代)를 확보할 수 있고, 베어링을 한층 더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다.
(7)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 축과, 상기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는, 상기 핸들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과 함께, 그 선단부에 상기 노브 축이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핸들 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 노브는, 상기 노브 축을 통하여 상기 핸들 암의 상기 선단부에 취부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에 의하면, 상술한 핸들 노브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덜걱거림 적고 매끄럽게 핸들 조작을 행할 수 있고, 낚시줄의 부드러운 감기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이 향상한 고품질, 고성능인 릴로 할 수 있다. 특히, 핸들 노브를 통하여 핸들 암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피닝 릴 혹은 양 베어링 릴로서 호적(好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트성이나 그립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노브 축에 덜걱거림 적게 장착할 수 있고, 안정된 핸들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스피닝 릴(낚시용 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의 부분 단면도를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을 화살표 A 방향(전방(前方) 측)으로부터 본, 스피닝 릴의 부분 단면도를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핸들 노브의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핸들 노브를 핸들 캡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내측 노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내측 노브를 제2 방향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B-B선을 따른 내측 노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내측 노브에 대하여 외측 노브가 일체로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의 내측 노브 및 외측 노브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C-C선을 따른 내측 노브 및 외측 노브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하는 D-D선을 따른 내측 노브 및 외측 노브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제2 삽입부의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낚시용 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을 하방(下方)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의 부분 단면도를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을 화살표 A 방향(전방(前方) 측)으로부터 본, 스피닝 릴의 부분 단면도를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핸들 노브의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핸들 노브를 핸들 캡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내측 노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내측 노브를 제2 방향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B-B선을 따른 내측 노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내측 노브에 대하여 외측 노브가 일체로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의 내측 노브 및 외측 노브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C-C선을 따른 내측 노브 및 외측 노브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하는 D-D선을 따른 내측 노브 및 외측 노브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제2 삽입부의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낚시용 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을 하방(下方)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스피닝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시인(視認)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각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의(適宜) 변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은,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대하여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핸들 조립체(3)와, 릴 본체(2)에 대하여 제2 축선(O2)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 로터(4)와, 릴 본체(2)에 대하여 제2 축선(O2)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고, 도시하지 않는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5)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제1 축선(O1)과 제2 축선(O2)은, 서로 대략 직교하도록 교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축선(O1)을 따르는 방향을 좌우 방향(L1)으로서 정의하는 것과 함께, 제2 축선(O2)을 따르는 방향을 전후 방향(L2)으로서 정의한다. 또한,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스풀(5)로부터 낚시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後方)이라고 정의하는 것과 함께, 스피닝 릴(1)을 전방 측으로부터 본, 정면으로부터 보는 모습(도 3에 도시하는 상태)으로 좌우를 정의한다.
나아가, 제1 축선(O1)을 그 축선 방향(좌우 방향(L1))으로부터 본,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1 축선(O1)에 교차하는 방향을 경방향이라고 하고, 제1 축선(O1) 둘레에 주회(周回)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축선(O2)을 그 축선 방향(전후 방향(L2))으로부터 본,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2 축선(O2)에 교차하는 방향을 경방향이라고 하고, 제2 축선(O2) 둘레에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제1 축선(O1)의 경방향 중, 제1 축선(O1)으로부터 낚싯대(R)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上方)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하방이라고 한다.
(릴 본체)
릴 본체(2)는, 본체부(10)(보디부), 덮개부(11) 및 가드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성형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각종의 릴 구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상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다리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14)의 상단부(上端部)에는, 낚싯대(R)에 장착되는 장착편(15)이 낚싯대(R)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낚싯대(R)는,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낚싯대(R)에 설치되는 릴 취부 대좌(臺座)(릴 시트) 등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덮개부(11)는, 본체부(10)와 마찬가지로 경합금제의 성형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0)에 대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수용 공간(13)은, 덮개부(11)에 의하여 예를 들어 빈틈(액밀(液密), 기밀(氣密) 등)없이 막혀 있다. 본체부(10)에 대한 덮개부(11)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본체부(10) 중 로터(4)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고정 볼트(16)를 포함하는, 그 외의 복수의 고정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가드 부재(12)는, 본체부(10)의 후부 및 덮개부(11)의 후부를 후방 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 가드 부재(12)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고, 구비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덧붙여, 가드 부재(12)는, 수용 공간(13) 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본체부(10)에 삽통(揷通)된 고정 볼트(17)에 의하여, 본체부(10)의 후부에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좌측면에는, 핸들 조립체(3) 혹은 캡(18)을 장착하기 위한 평탄한 제1 장착벽(20)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덮개부(11)의 우측면에는, 핸들 조립체(3) 혹은 캡(18)을 장착하기 위한 평탄한 제2 장착벽(21)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제1 장착벽(20) 측에 캡(18)이 장착되고, 제2 장착벽(21) 측에 핸들 조립체(3)가 장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은, 오른쪽 핸들의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장착벽(20) 측에 핸들 조립체(3)를 장착하는 것으로 왼쪽 핸들의 형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장착벽(21) 측에 캡(18)이 장착된다.
제1 장착벽(20)에는, 본체부(10)를 좌우 방향(L1)으로 관통하도록 제1 취부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장착벽(21)에는, 덮개부(11)를 좌우 방향(L1)으로 관통하도록 제2 취부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제1 취부 구멍(22) 및 제2 취부 구멍(23)은, 제1 축선(O1)과 같은 축 상에 형성되고, 수용 공간(13)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1)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장착벽(20)에는, 수용 공간(1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과 함께, 그 내측이 제1 취부 구멍(22) 내에 연통하는 원통상(圓筒狀)의 제1 지지 통(24)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장착벽(21)에는, 수용 공간(1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과 함께, 그 내측이 제2 취부 구멍(23) 내에 연통하는 원통상의 제2 지지 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제1 지지 통(24) 및 제2 지지 통(25)은, 제1 축선(O1)과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3)는, 릴 본체(2)에 대하여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 축(30)과, 핸들 축(30)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핸들 축(30)을 통하여 릴 본체(2)에 대하여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핸들 암(조작체)(31)과, 핸들 암(31)의 선단부(31a)에 고정된 노브 축(32)과, 노브 축(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노브(3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암(31)은, 제1 축선(O1)의 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기단부(基端部)(31b)는 제2 장착벽(21)보다도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 축(30)은, 핸들 암(31)의 기단부(31b)에 예를 들어 연결 나사(34)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제1 축선(O1)과 같은 축에 배치된 상태로 제2 취부 구멍(23)을 통하여 릴 본체(2)의 내측에 우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핸들 축(30)은, 후술하는 원통상의 드라이브 축(6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드라이브 축(60)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 축(30)은 드라이브 축(60)에 대하여 제1 축선(O1) 둘레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 조립체(3)는,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릴 본체(2)에 대하여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또한, 핸들 조립체(3)를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핸들 축(30)을 통하여 드라이브 축(60)을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 암(31)의 기단부(31b)와 제2 장착벽(21)과의 사이에는, 핸들 테두리(35)가 배치되어 있다. 핸들 테두리(35)는, 핸들 축(30) 중 핸들 암(31)의 기단부(31b)와 제2 장착벽(21)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 테두리(35)는, 핸들 암(31)의 기단부(31b)와 함께 제1 축선(O1)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브 축(32)은, 핸들 암(31)의 선단부(31a)에, 그 축선이 제1 축선(O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브 축(32)의 축선을 제3 축선(O3)이라고 칭한다. 또한, 제3 축선(O3)을 그 축선 방향(좌우 방향(L1))으로부터 본,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3 축선(O3)에 교차하는 방향을 경방향이라고 하고, 제3 축선(O3) 둘레에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핸들 노브(33)는, 노브 축(32)에 제3 축선(O3)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노브 축(32)을 통하여 핸들 암(31)의 선단부(31a)에 취부되어 있다. 이것들 노브 축(32) 및 핸들 노브(33)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핸들 조립체(3)는, 핸들 축(30)을 드라이브 축(60)으로부터 뽑아 내도록 제2 장착벽(21)으로부터 떼어내고, 당해 핸들 조립체(3)를 제1 장착벽(20) 측에 바꿔 붙여, 왼쪽 핸들의 형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취부 구멍(22)을 통하여 핸들 축(30)을 릴 본체(2)의 내측에 좌측으로부터 삽입하는 것과 함께, 드라이브 축(60)의 내측에 꽂아 넣어, 드라이브 축(60)에 대하여 제1 축선(O1) 둘레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시키면 된다.
덧붙여, 제1 장착벽(20)에는, 제1 취부 구멍(22)을 막는 캡(18)이 떼어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캡(18)은, 핸들 조립체(3)를 제1 장착벽(20) 측에 바꿔 붙였을 경우에는, 제2 취부 구멍(23)을 막도록 제2 장착벽(21) 측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4)는, 릴 본체(2)의 전부(前部) 측에 제2 축선(O2)과 같은 축에 배치되고, 전벽부(40a) 및 둘레 벽부(40b)를 가지는 정상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된 원통체(40)와, 둘레 벽부(40b)에 연결된 제1 암부(41) 및 제2 암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체(40)는, 후방으로 개구하고 있고, 릴 본체(2)의 전부 측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릴 본체(2)에 대하여 전방 측으로부터 조합되어 있다. 전벽부(40a)의 중앙 부분에는, 전벽부(40a)를 전후 방향(L2)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43)이 형성된 원통상의 보스부(44)가 후방을 향하여 돌설(突設)되어 있다. 관통 구멍(43)은, 제2 축선(O2)과 같은 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44)의 내측에는, 관통 구멍(43)을 통하여 원통상의 피니언 축(45) 및 스풀 축(46)이 삽통되어 있다.
덧붙여, 피니언 축(45)은 제2 축선(O2)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되고, 그 전단부(前端部)는 전벽부(40a)보다도 전방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벽부(40a)는, 피니언 축(45)의 전단부에 취부된 너트(47)를 통하여 피니언 축(45)에 대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4)는 릴 본체(2)에 대하여, 제2 축선(O2)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제1 암부(41) 및 제2 암부(42)는, 둘레 벽부(40b)의 후단부(後端部)에 연결되는 것과 함께, 제2 축선(O2)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암부(41) 및 제2 암부(42)는, 둘레 벽부(40b)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그 전단부는 전벽부(40a)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1 암부(41)의 전단부에는, 라인 롤러(48)가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것과 함께, 베일 암(49)의 일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제2 암부(42)의 전단부에는, 라인 롤러(48)가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것과 함께, 베일 암(49)의 타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라인 롤러(48)는, 낚시줄을 스풀(5)에 안내한다. 베일 암(49)은, 제1 암부(41)와 제2 암부(42)와의 사이를 잇도록 배치되고, 낚시줄을 라인 롤러(48)에 안내하는 줄 안내 자세(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와, 줄 안내 자세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일 암(49)이 줄 안내 자세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로터(4)가 제2 축선(O2) 둘레에 회전하는 것으로, 라인 롤러(48)를 통하여 낚시줄을 스풀(5)에 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풀)
스풀(5)은, 낚시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50)와, 줄 감기 몸통부(50)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로터(4)에 있어서의 원통체(40)의 둘레 벽부(40b)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원통상의 스커트부(51)를 구비하고, 로터(4)보다도 전방 측에 제2 축선(O2)과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5)은, 줄 감기 몸통부(50)가 제1 암부(41)와 제2 암부(42)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제2 축선(O2)과 같은 축에 배치된 스풀 축(46)의 전단부에 대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풀 축(46)은, 후술하는 오실레이팅 기구(66)에 의하여 제2 축선(O2)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5)은 릴 본체(2)에 대하여 제2 축선(O2)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스풀(5)에는 줄 감기 몸통부(50)의 내측에 설치되고, 스풀(5)의 회전을 제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제동 기구와, 줄 감기 몸통부(50)의 전단부에 제2 축선(O2)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고, 제동 기구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드래그 조정 손잡이(52)를 구비하는 드래그 조정 기구(53)가 취부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수용 공간(13) 내에는,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지지되는 것과 함께, 핸들 축(30)을 통하여 핸들 조립체(3)에 연결된 원통상의 드라이브 축(60)과, 드라이브 축(60)에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61)와, 드라이브 기어(61)에 맞물리는 것과 함께 드라이브 축(60)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축선(O2) 둘레에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62)와, 드라이브 기어(61)와 릴 본체(2)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드라이브 축(60)을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63)이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릴 본체(2)의 수용 공간(13) 내에는,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로터(4)를 제2 축선(O2) 둘레에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65)와,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스풀(5)을 제2 축선(O2) 방향으로 왕복 이동(전후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66)와, 로터(4)의 역전 방지 기구(67)가 더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
로터 구동 기구(65)는, 드라이브 축(60), 드라이브 기어(61) 및 피니언 기어(62)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축(60)은, 예를 들어 냉간 단조 등에 의하여 성형된 금속제의 원통 부품이며, 제1 축선(O1)과 같은 축에 배치되고, 그 양 단부는 좌우 방향(L1)으로 개구하고 있다. 드라이브 축(60)의 우측 단부는, 릴 본체(2)의 덮개부(11)에 형성된 제2 취부 구멍(23)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술한 베어링(63)에 의하여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베어링(63)을 통하여 덮개부(11)에 보지되어 있다. 드라이브 축(60)의 좌측 단부는, 릴 본체(2)의 본체부(10)에 형성된 제1 취부 구멍(22)의 내측에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에 의하여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베어링을 통하여 본체부(10)에 보지된다.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축(60)의 내측에는 핸들 축(30)이 우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드라이브 축(60)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라이브 축(60)은,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제1 축선(O1) 둘레에 회전한다.
드라이브 기어(61)는, 예를 들어 드라이브 축(6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드라이브 기어(61)를 드라이브 축(60)과 별체로 형성하고, 드라이브 축(60)에 대하여 일체로 조합하여도 상관없다. 드라이브 기어(61)는, 드라이브 축(60) 중, 릴 본체(2)의 덮개부(11)에 형성된 제2 지지 통(25)과 피니언 기어(6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브 기어(61)의 외주(外周) 가장자리부 측에는, 후방 측을 향한 복수의 톱니부(61a)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62)는, 제2 축선(O2)과 같은 축에 배치된 원통상의 피니언 축(4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피니언 축(45)은 드라이브 축(60)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드라이브 축(60)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축(45)은, 복수의 베어링에 의하여 제2 축선(O2)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이것들 복수의 베어링을 통하여 릴 본체(2)에 보지되어 있다.
피니언 축(45)은, 로터(4)의 보스부(44)에 형성된 관통 구멍(43) 내에 후방으로부터 꽂아 넣어지고, 그 전단부는 로터(4)의 전벽부(40a)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피니언 축(45)에 있어서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 홈(45a)이 형성되고, 이 나사 홈(45a)을 통하여 너트(47)가 취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피니언 축(45)과 로터(4)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축(45)의 내측에는, 스풀 축(46)이 제2 축선(O2)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스풀 축(46)의 후단부는, 피니언 축(45) 및 드라이브 축(6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62)는, 드라이브 기어(61)의 톱니부(61a)에 맞물리는 나선상(螺旋狀)의 톱니부(62a)를 가지고, 드라이브 축(60) 및 드라이브 기어(6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축선(O2) 둘레를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62) 및 피니언 축(45)을 통하여 로터(4)를 제2 축선(O2) 둘레에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로터 구동 기구(65)는,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으로 발생한 회전력을 로터(4)에 전달하고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실레이팅 기구(66)는, 피니언 기어(6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70)와, 스풀 축(46)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螺軸)(71)과, 나축(71)의 회전에 수반하여 나축(71)을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72)를 구비하고 있다.
나축(71)은, 스풀 축(46)의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이른바 트래버스캠 홈으로 이루어진 나선상의 홈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나축(71)은, 제2 축선(O2)과 평행한 제4 축선(O4)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지지되어 있다. 중간 기어(70)는, 나축(71)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중간 기어(70) 및 나축(71)은, 피니언 기어(62)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슬라이더(72)는, 스풀 축(46)의 후단부에, 스풀 축(46)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더(72)는, 나축(71)의 홈부(71a) 내에 당해 홈부(71a)를 따라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합(係合)된 계합편(72a)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72)는, 나축(71)에 평행하게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가이드 축으로 가이드되고 있고, 제4 축선(O4) 방향으로 가이드 축으로 가이드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72)는, 가이드 축에 의하여 나축(7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4 축선(O4) 둘레에 함께 도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나축(71)의 회전력이 홈부(71a) 및 계합편(72a)에 의하여 직선의 운동력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나축(71)의 회전에 수반하여 슬라이더(72)를 나축(71)을 따르는 제4 축선(O4)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슬라이더(72)에 고정된 스풀 축(46)을 제2 축선(O2)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실레이팅 기구(66)는,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으로 발생한 회전력을 직선의 운동력으로 변환하여 스풀(5)에 전달하고 있다.
(역전 방지 기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전 방지 기구(67)는, 낚시줄의 줄 감기 방향으로의 로터(4)의 회전을 허용하고, 또한 그 반대의 줄 방출 방향으로의 로터(4)의 회전(즉 역전)을 방지하는 기구이며, 예를 들어 로터(4)에 있어서의 원통체(40)의 내측에 배설(配設)된 원웨이 클러치(75)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역전 방지 기구(67)로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릴 본체(2)의 하부 측에는, 원웨이 클러치(75)를, 상술한 작동 상태(역전 방지 상태)와 비작동 상태(역전 허용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레버(76)가 설치되어 있다.
(노브 축, 핸들 노브)
다음으로, 핸들 조립체(3)에 있어서의 노브 축(32) 및 핸들 노브(33)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브 축(32)은, 외주면에 나사부(80a)(예를 들어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 축부(80)와, 나사 축부(80)보다도 우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나사 축부(80)보다도 외경(外徑)이 크게 형성된 대경부(大徑部)(81)와, 대경부(81)보다도 우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나사 축부(80)보다도 외경이 크게 형성되고, 또한 대경부(81)보다도 외경이 작게 형성된 중경부(中徑部)(82)와, 중경부(82)보다도 우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중경부(82)보다도 외경이 작게 형성된 소경부(小徑部)(83)를 구비한 다단(多段)의 축상(軸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노브 축(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로 이루어지고, 그 금속 특성이나 표면 처리 등에 의하여 내식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 축부(80)는, 핸들 암(31)의 선단부(31a)에 형성된 나사 구멍(85)에 나사 결합(나착(螺着))되어 있다. 덧붙여, 나사 구멍(85)은, 핸들 암(31)의 선단부(31a) 중 우측을 향한 노브 장착 벽면(86)에 개구한 상태로 제3 축선(O3)과 같은 축에 형성되고, 그 내주면(內周面)에는 나사 축부(80)의 나사부(80a)가 나합(螺合)하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부(예를 들어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81)는, 노브 장착 벽면(86)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고, 나사 구멍(85)에 대한 나사 축부(80)의 과도한 조임을 방지하고 있다. 대경부(81)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스패너 등의 공구를 계지(係止) 가능한 평탄한 모따기부(87)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 축부(80)를 나사 구멍(85)에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소경부(83)는, 제3 축선(O3)을 따라서 연장된 장척(長尺)의 원기둥상(狀)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은 후술하는 베어링(120)의 내륜(123)이 접촉하는 내륜 베어링면(90)으로 되어 있다. 소경부(83)에 있어서의 우단부(右端部)의 단면에는, 우측을 향하여 개구한 나사 구멍(91)이 제3 축선(O3)과 같은 축에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91)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고정 나사(126)의 나사부(126a)(예를 들어 수나사부)가 나합하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부(예를 들어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 노브(3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브 축(32)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통상으로 형성된 내측 노브(100)와, 내측 노브(100)의 적어도 일부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한층 더 둘러싸는 통상으로 형성된 외측 노브(110)와, 내측 노브(100)와 노브 축(32)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노브 축(32)에 대하여 내측 노브(100)를 제3 축선(O3)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20)과, 정상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된 핸들 캡(130)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 노브(100)는, 예를 들어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성형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합성 수지제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노브(100)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 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단,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열 경화성 수지로 내측 노브(100)를 형성하여도 상관없고, 합성 수지에 유리 섬유, 탄소 섬유나 보론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혼합시킨 이른바 강화 섬유 수지로 내측 노브(100)를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나아가서는, 내측 노브(100)는,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삭출(削出) 등의 기계 가공으로 형성된 금속제여도 상관없다.
외측 노브(110)는, 내측 노브(100)에 대하여 일체 성형된 수지제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노브(110)는 엘라스토머 수지,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노브(100)에 대하여 외측 노브(110)를 일체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노브(100)를 인서트 부품으로 한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외측 노브(110)를 일체 성형하고 있다. 인서트 성형에 관해서는, 후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내측 노브(100)는, 좌우 방향(L1)으로 개구하고, 또한 노브 축(32) 중 대경부(81)의 일부, 중경부(82) 및 소경부(83)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소경부(83)의 우단부보다도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내측 노브(100)의 좌단부(左端部)(101) 측은 노브 축(32)에 있어서의 대경부(81)의 일부 및 중경부(82)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고, 내측 노브(100)의 우단부(102) 측은 노브 축(32)에 있어서의 우단부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싼 상태로 노브 축(32)의 우단부보다도 한층 더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 도 6 ~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노브(100)의 외형은, 제3 축선(O3)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을 따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타원상(楕圓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노브(100)의 경방향 중 서로 직교하는 2방향을 제1 방향(M1) 및 제2 방향(M2)으로 하였을 때에, 내측 노브(100)의 외형은 상기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2 방향(M2)보다도 제1 방향(M1)으로 긴 타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내측 노브(100)의 외형 형상은,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원형상, 다각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나아가 내측 노브(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경(長徑)(제1 방향(M1)을 따른 길이)이 좌단부(101) 측보다도 우단부(102) 측의 쪽이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장경 및 단경(短徑)(제2 방향(M2)을 따른 길이)이 좌단부(101) 측과 우단부(102) 측과의 사이에 있어서 적의 변화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내측 노브(100)는 좌우 방향(L1)의 중앙부가 가장 오므라진, 이른바 잘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노브(100)의 내면 형상은, 상술한 외형 형상과는 달리, 상기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노브(100)의 두께는, 제2 방향(M2)보다도 제1 방향(M1)으로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내측 노브(100)의 내경(內徑)은, 좌단부(101) 측과 우단부(102) 측과의 사이에 있어서 적의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노브(100)에 있어서의 좌단부(101) 측의 내경은, 노브 축(32)에 있어서의 대경부(81)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내측 노브(100) 중, 좌단부(101)보다도 우측에 위치하고, 또한 베어링(120)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부분의 내경은, 좌단부(101)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베어링(120)의 외륜(124)의 직경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의 내면은, 베어링(120)의 외륜(124)이 접촉하는 제1 외륜 베어링면(베어링면)(103)으로 되어 있다.
내측 노브(100)에 있어서의 우단부(102) 측의 내경은, 좌단부(101) 측의 내경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노브(100) 중, 우단부(102)보다도 좌측에 위치하고, 또한 베어링(120)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부분의 내경은, 우단부(102)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베어링(120)의 외륜(124)의 직경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의 내면은, 베어링(120)의 외륜(124)이 접촉하는 제2 외륜 베어링면(베어링면)(104)으로 되어 있다.
내측 노브(100) 중, 제1 외륜 베어링면(103)과 제2 외륜 베어링면(104)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105)의 내경은, 베어링(120)의 외륜(124)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중간 부분(105)의 내경은, 당해 중간 부분(105)에 있어서의 중앙부에서 가장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중앙부로부터 우측 및 좌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확경(擴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중간 부분(105)에 있어서의 우측 및 좌측의 내경은, 중간 부분(105)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내경에 비하면 크게 형성되어 있지만, 베어링(120)의 외륜(124)의 외경에 비하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단,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3 축선(O3) 방향을 따라서 내경이 일정한 직경으로 되도록 중간 부분(105)을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내측 노브(100)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105)의 내경이 베어링(120)의 외륜(124)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외륜 베어링면(103)과 중간 부분(105)과의 접속 부분에는, 좌측을 향한 환상(環狀)의 제1 둘레벽(106)을 가지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2 외륜 베어링면(104)과 중간 부분(105)과의 접속 부분에는, 우측을 향한 환상의 제2 둘레벽(107)을 가지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외륜 베어링면(103)에는, 내측 노브(100)를 경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제1 외륜 베어링면(103)에 개구하고, 외측 노브(110)의 일부를 삽입시키는 제1 관통 구멍(관통 구멍)(108)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외륜 베어링면(104)에는, 내측 노브(100)를 경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제2 외륜 베어링면(104)에 개구하고, 외측 노브(110)의 일부를 삽입시키는 제2 관통 구멍(관통 구멍)(10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 구멍(108) 및 제2 관통 구멍(109)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제3 축선(O3) 둘레에 간격을 두고)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관통 구멍(108)은 한 쌍 형성되고, 제3 축선(O3)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관통 구멍(109)은 한 쌍 형성되고, 제3 축선(O3)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한 쌍의 제1 관통 구멍(108) 및 한 쌍의 제2 관통 구멍(109)은, 각각 제2 방향(M2)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관통 구멍(108) 및 제2 관통 구멍(109)은, 제3 축선(O3) 방향보다도 둘레 방향으로 약간 긴,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제1 관통 구멍(108) 및 제2 관통 구멍(109)의 형상은,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원형상, 정방형상, 타원상이나 다각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내측 노브(100)의 외면에는, 제1 관통 구멍(108) 및 제2 관통 구멍(109)의 개구를 각각 둘러싸도록 제1 유도면(유도면)(108a) 및 제2 유도면(유도면)(109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유도면(108a)은, 제1 관통 구멍(108)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과 함께, 내측 노브(100)의 외면 측으로부터 내면 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제1 관통 구멍(108) 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유도면(109a)은, 제2 관통 구멍(109)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과 함께, 내측 노브(100)의 외면 측으로부터 내면 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제2 관통 구멍(109) 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제1 유도면(108a) 및 제2 유도면(109a)은, 매끄럽게 만곡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단,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1 유도면(108a) 및 제2 유도면(109a)을 비스듬하게 경사한 경사면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120)은, 노브 축(32)에 있어서의 소경부(83)와 내측 노브(100)와의 사이에 있어서, 제3 축선(O3)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경부(82) 측에 위치하는 베어링(120)을 제1 베어링(121)이라고 하고, 소경부(83)의 우단부(102) 측에 위치하는 베어링(120)을 제2 베어링(122)이라고 한다.
이것들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노브 축(32)의 소경부(83)의 외면에 감합된 내륜(123)과, 내측 노브(100)의 내면에 감합된 외륜(124)과, 내륜(123)과 외륜(124)과의 사이에 전동 가능하게 보지된 복수의 전동체(12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베어링(121)은, 노브 축(32)에 있어서의 소경부(83) 중 중경부(82)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베어링(121)의 내륜(123)은, 중경부(82)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접촉(당접(當接))한 상태로 소경부(83)의 내륜 베어링면(90)에 강고하게 감합되어 있다.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은, 내측 노브(100)의 제1 둘레벽(106)에 대하여 좌측으로부터 접촉(당접)한 상태로 내측 노브(100)의 제1 외륜 베어링면(103)에 강고하게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베어링(121)은, 중경부(82) 및 제1 둘레벽(106)에 의하여 제3 축선(O3)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노브 축(32)과 내측 노브(100)와의 사이에 취부되어 있다.
제2 베어링(122)은, 노브 축(32)에 있어서의 소경부(83)의 우단부(102)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베어링(122)의 내륜(123)은, 소경부(83)의 내륜 베어링면(90)에 강고하게 감합되어 있다.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은, 내측 노브(100)의 제2 둘레벽(107)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접촉(당접)한 상태로 내측 노브(100)의 제2 외륜 베어링면(104)에 강고하게 감합되어 있다.
노브 축(32)의 우단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91)에는, 우측으로부터 고정 나사(126)가 나사 결합(나착)되어 있다. 고정 나사(126)의 머리부는, 와셔(127)를 통하여 제2 베어링(122)의 내륜(123)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접촉(당접)하고 있다. 즉, 제2 베어링(122)의 내륜(123)은, 와셔(127)를 통하여 고정 나사(126)의 머리부에 상대적으로 좌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고, 고정 나사(126)에 의하여 노브 축(32)에 대한 빠짐 방지가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베어링(122)은, 고정 나사(126) 및 제2 둘레벽(107)에 의하여 제3 축선(O3)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노브 축(32)과 내측 노브(100)와의 사이에 취부되어 있다. 덧붙여, 고정 나사(126)는, 노브 축(32)에 대한 내측 노브(100) 및 외측 노브(110)의 빠짐 방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제1 베어링(121)과 제2 베어링(122)과의 사이에는, 소경부(83)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원통상의 칼라(128)가 배치되어 있다. 칼라(128)는, 소경부(83)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씌우도록 취부되고, 제1 베어링(121)의 내륜(123)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는 것과 함께, 제2 베어링(122)의 내륜(123)에 대하여 좌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은, 칼라(128)에 의하여 제3 축선(O3) 방향으로, 한층 더 정도 좋게 위치 결정되어 있다. 단, 칼라(128)는 필수는 아니고, 구비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도 4, 도 5, 도 9 ~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노브(110)는, 좌측으로 개구한 정상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노브(100) 중 좌단부(101)를 제외하는 부분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통상의 외곽 통부(111)와, 외곽 통부(111)의 우측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폐색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외곽 통부(111)는, 그 외형이 내측 노브(10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곽 통부(111)의 외형은, 제3 축선(O3)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을 따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2 방향(M2)보다도 제1 방향(M1)으로 긴 타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폐색부(112)는, 내측 노브(100)의 우단부(102)보다도 우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폐색부(112)에는, 당해 폐색부(112)를 좌우 방향(L1)으로 관통하도록 캡 장착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캡 장착 구멍(113)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제3 축선(O3)과 같은 축에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캡 장착 구멍(113)의 직경은, 내측 노브(100)의 우단부(102)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9 ~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노브(110)에 있어서의 외곽 통부(111)에는, 제1 관통 구멍(108) 내 및 제2 관통 구멍(109) 내에 각각 삽입한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11 및 도 12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여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를 강조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1 삽입부(115)는, 제1 관통 구멍(108) 내에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비집고 들어가도록 삽입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외륜 베어링면(103)보다도 제3 축선(O3) 측으로 돌출하여,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을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압압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삽입부(116)는, 제2 관통 구멍(109) 내에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비집고 들어가도록 삽입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2 외륜 베어링면(104)보다도 제3 축선(O3) 측으로 돌출하여,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을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압압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캡(130)은, 외측 노브(110)의 캡 장착 구멍(113)의 내측에 빈틈(액밀, 기밀 등)없이 감합하는 캡 통부(131)와, 캡 통부(131)의 우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캡 덮개부(132)를 구비한 정상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되고, 캡 장착 구멍(113)을 이탈 가능하게 막고 있다.
덧붙여, 핸들 캡(13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로 이루어지고, 그 금속 특성이나 표면 처리 등에 의하여 내식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 통부(131)는, 내측 노브(100)의 우단부(102)의 내측에 대해서도 빈틈없이 감합하고 있다.
단,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캡 통부(131)는 적어도 외측 노브(110)의 캡 장착 구멍(113)의 내측에 감합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캡 통부(131) 및 캡 장착 구멍(113) 중 일방(一方) 측에 계합 오목부를 형성하고, 타방(他方) 측에 계합 오목부 내에 이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 돌기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핸들 캡(130)을 캡 장착 구멍(113)의 내측에 보다 강고하게 감합시킬 수 있어, 핸들 캡(130)의 빠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감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캡 장착 구멍(113)의 내측에 캡 통부(131)가 나사 결합되도록 핸들 캡(130)을 구성하여도 상관없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핸들 노브(33)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노브(100)와 노브 축(32)의 대경부(81)와의 사이에는 환상의 탄성체(135)(예를 들어, 고무제 패킹 등)가 취부되어 있다. 탄성체(135)는, 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고, 경방향으로 탄성 변형한 상태로 내측 노브(100)와 노브 축(32)의 대경부(81)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취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탄성체(135)는, 내측 노브(100)와 노브 축(32)의 대경부(81)와의 사이를 빈틈(액밀, 기밀 등)없이 실(seal)하고 있다.
(내측 노브 및 외측 노브의 형성 공정)
다음으로, 상술과 같이 구성된 핸들 노브(33)의 내측 노브(100) 및 외측 노브(110)의 형성 공정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6 ~ 도 8에 도시하는 내측 노브(10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내측 노브(100)용의 성형용 금형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고, 그 후, 사출한 용융 수지를 경화시키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외측 노브(11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얻어진 내측 노브(100)를 인서트 부품으로서 이용하여, 외측 노브(110)용의 성형용 금형 내에 세트한다. 그 다음으로, 내측 노브(100)와 성형용 금형과의 사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한 후, 당해 용융 수지를 경화시키는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외측 노브(1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도 9 ~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노브(100)에 대하여 외측 노브(110)를 일체화시킬 수 있고, 양자를 강고하게 조합할 수 있다.
덧붙여, 인서트 성형 시, 외측 노브(110)로 되는 용융 수지는, 내측 노브(100)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108) 내 및 제2 관통 구멍(109) 내에 비집고 들어간다. 이 제1 관통 구멍(108) 내 및 제2 관통 구멍(109) 내에 비집고 들어간 용융 수지가,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로서 기능한다.
이 때, 내측 노브(100)의 외면에는, 제1 관통 구멍(108)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제1 유도면(108a)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2 관통 구멍(109)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제2 유도면(109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들 제1 유도면(108a) 및 제2 유도면(109a)을 이용하여 제1 관통 구멍(108) 내 및 제2 관통 구멍(109) 내에 용융 수지가 적극적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용융 수지의 점성 등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용융 수지를 제1 관통 구멍(108) 내 및 제2 관통 구멍(109) 내에 적절히 비집고 들어가게 할 수 있고,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외측 노브(110)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의 선택성을 넓힐 수 있고, 설계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핸들 노브의 취부)
다음으로, 상술과 같이 구성된 핸들 노브(33)를, 도 4에 도시하는 핸들 암(31)의 선단부(31a)에 취부된 노브 축(32)에 취부하는 경우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처음에 핸들 암(31)의 선단부(31a)에 취부된 노브 축(32)의 대경부(81)에 탄성체(135)를 감합시키는 것과 함께, 대경부(81)에 제1 베어링(121)의 내륜(123)을 접촉시킨 상태로 소경부(83)의 내륜 베어링면(90)에 내륜(123)을 감합시켜, 제1 베어링(121)을 세트한다. 그 다음으로, 외측 노브(110)가 일체로 조합된 내측 노브(100)를 노브 축(32)의 우측으로부터 씌워 넣고,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과 제1 둘레벽(106)을 접촉시킨 상태로, 외륜(124)을 제1 외륜 베어링면(103)의 내측에 감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노브 축(32)과 내측 노브(100)와의 사이에 제1 베어링(121)을 세트할 수 있다. 덧붙여, 이것과 동시에, 내측 노브(100)와 대경부(81)와의 사이에, 탄성체(135)를 끼워 넣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베어링(121)을 노브 축(32)에 먼저 세트하는 것이 아니라, 내측 노브(100)의 제1 외륜 베어링면(103)의 내측에 제1 베어링(121)을 먼저 세트하고, 그 후, 노브 축(32)에 대한 내측 노브(100)의 세트에 수반하여 제1 베어링(121)의 내륜(123)을 소경부(83)의 내륜 베어링면(90)에 감합시켜도 상관없다.
노브 축(32)과 내측 노브(100)와의 사이에 제1 베어링(121)을 세트한 후, 칼라(128)를 우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노브 축(32)의 소경부(83)에 씌운다. 이 때, 제1 베어링(121)의 내륜(123)에 접촉할 때까지 칼라(128)를 밀어넣도록 세트한다. 계속하여, 노브 축(32)의 소경부(83)와 내측 노브(100)와의 사이에 제2 베어링(122)을 우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내륜(123)을 소경부(83)의 내륜 베어링면(90)에 감합시키는 것과 함께, 외륜(124)을 내측 노브(100)의 제2 외륜 베어링면(104)의 내측에 감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노브 축(32)과 내측 노브(100)와의 사이에 제2 베어링(122)을 세트할 수 있다.
노브 축(32)과 내측 노브(100)와의 사이에 제2 베어링(122)을 세트한 후, 소경부(83)에 와셔(127)를 우측으로부터 세트한 후, 고정 나사(126)를 소경부(83)의 나사 구멍(91)에 비틀어 박아 취부한다. 이것에 의하여, 노브 축(32)에 대하여 제1 베어링(121), 제2 베어링(122), 내측 노브(100) 및 외측 노브(110)를 조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외측 노브(110)의 캡 장착 구멍(113) 내에 핸들 캡(130)을 끼워 넣어 취부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브 축(32)에 대하여 제3 축선(O3)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핸들 노브(33)를 취부할 수 있다.
(스피닝 릴의 작용)
다음으로, 상술과 같이 구성된 스피닝 릴(1)을 이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캐스팅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베일 암(49)을 줄 개방 자세로 넘어뜨려, 낚싯대(R)를 전방을 향하게 하여 흔들어 뽑는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5)의 줄 감기 몸통부(50)에 감긴 낚시줄을 전방을 향하게 하여 방출할 수 있다.
그 후, 낚시줄을 감아올리는 경우에는, 베일 암(49)을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안내 자세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줄이 베일 암(49)에 의하여 라인 롤러(48)에 안내된다. 이 상태로, 핸들 노브(33)를 잡으면서, 핸들 조립체(3)를 제1 축선(O1) 둘레에 적의 회전시켜, 핸들 조작을 행한다. 이 때, 핸들 노브(33)를 제3 축선(O3) 둘레에 적의 회전시키면서, 핸들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핸들 조립체(3)의 회전력은, 로터 구동 기구(65)에 의하여 로터(4)에 전달되기 때문에, 당해 로터(4)를 제2 축선(O2) 둘레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과 동시에, 핸들 조립체(3)의 회전력은, 오실레이팅 기구(66)에 의하여 스풀(5)에 전달되기 때문에, 당해 스풀(5)을 제2 축선(O2)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스풀(5)을 전후 방향(L2)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로터(4)를 회전시킬 수 있고, 라인 롤러(48)를 통하여 낚시줄을 스풀(5)의 줄 감기 몸통부(50)에 치우침 없이 감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핸들 노브(33)에 의하면,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내측 노브(100)에 대하여 외측 노브(110)를 일체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외측 노브(110)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경량화나 잡기 용이함의 향상화 등, 여러 가지의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내측 노브(100)에, 제1 외륜 베어링면(103) 및 제2 외륜 베어링면(104)에 개구한 제1 관통 구멍(108) 및 제2 관통 구멍(109)이 형성되고, 이것들 제1 관통 구멍(108) 내 및 제2 관통 구멍(109) 내에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를 삽입시키고 있기 때문에, 내측 노브(100)에 대하여 외측 노브(110)를 위치 결정한 상태로 일체 성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측 노브(100)의 형상이나 성형 정도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내측 노브(100)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나 덜걱거림 등을 억제한 상태로 외측 노브(110)를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노브(100)에 대하여 외측 노브(110)가 정도 좋게 조합된 핸들 노브(33)로 할 수 있고, 피트성 및 그립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핸들 노브(33) 자체에 덜걱거림 등이 생기기 어렵다. 그 결과,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을 통하여 노브 축(32)에 덜걱거림 적게 핸들 노브(33)를 장착할 수 있고, 스피닝 릴(1)의 핸들 조작을 매끄럽게 행하여, 핸들 조작성의 향상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에 의하면, 핸들 노브(33)를 이용하여, 덜걱거림 적고 매끄럽게 핸들 조작을 행할 수 있고, 낚시줄의 부드러운 감기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이 향상한 고품질, 고성능의 스피닝 릴(1)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의 핸들 노브(3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관통 구멍(108) 내 및 제2 관통 구멍(109) 내에 삽입된 외측 노브(110)의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가,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 및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내측 노브(100)의 형상이나 성형 정도 등에 기인하여, 내측 노브(100)의 제1 외륜 베어링면(103)과 외륜(124)과의 사이, 및 제2 외륜 베어링면(104)과 외륜(124)과의 사이에 약간의 덜걱거림이 생기는 것과 같은 경우여도,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 및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누르도록 압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내측 노브(100)의 내면 측에 외륜(124)을 압입하도록, 내측 노브(100)와 노브 축(32)과의 사이에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을 취부할 수 있고, 내측 노브(100)에 대하여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 및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을 강고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노브(100)의 형상이나 성형 정도 등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내측 노브(100)의 내측에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을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즉, 내측 노브(100)와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과의 사이에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을 통하여 노브 축(32)에 덜걱거림 적게 핸들 노브(33)를 장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피닝 릴(1)의 핸들 조작을 한층 더 매끄럽게 행할 수 있고, 핸들 조작성의 향상화에 공헌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관통 구멍(108) 및 제2 관통 구멍(109)은, 각각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형성되어 있는 데다, 각각 제3 축선(O3)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관통 구멍(108) 내에 제1 삽입부(115)를 각각 삽입하고, 한 쌍의 제2 관통 구멍(109) 내에 제2 삽입부(116)를 각각 삽입하고 있다.
따라서, 내측 노브(100)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나 덜걱거림 등을 한층 더 억제한 상태로 외측 노브(110)를 정도 좋게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의 각각이 경방향에 대향 배치되기 때문에 핸들 노브(33)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되기 어렵다. 따라서, 스피닝 릴(1)의 핸들 조작을 안정되게 또한 매끄럽게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를 이용하여,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의 복수 개소(2개소), 및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의 복수 개소(2개소)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압할 수 있기 때문에,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한 상태로,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을 보다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 및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을 경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각각 압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을 한층 더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 및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이 경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의 중심을 제3 축선(O3) 상에 정도 좋게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피닝 릴(1)의 핸들 조작을 한층 더 매끄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노브(110)를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측 노브(110) 전체에 탄력성을 발휘시킬 수 있고, 피트성, 그립성이 향상한 핸들 노브(33)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외측 노브(110)의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를 각각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 및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을 취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외륜 베어링면(103) 및 제2 외륜 베어링면(104)으로부터 제3 축선(O3) 측을 향한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의 돌출량을 길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 만큼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의 압입대를 확보할 수 있고, 제1 베어링(121) 및 제2 베어링(122)을 한층 더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노브(33)를 스피닝 릴(1)에 적용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노브(33)를 양 베어링 릴에 적용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양 베어링 릴(낚시용 릴)(140)은, 릴 본체(141)와, 릴 본체(141)에 대하여 제5 축선(O5)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핸들 조립체(142)와, 릴 본체(141)의 내부에 제6 축선(O6)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시하지 않는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143)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른바 로우 프로파일 타입의 양 베어링 릴(140)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른바 환형 타입이어도 상관없다.
제5 축선(O5) 및 제6 축선(O6)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들 제5 축선(O5) 및 제6 축선(O6)을 따르는 방향을 좌우 방향(L1)으로서 정의하는 것과 함께, 도 14에 도시하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5 축선(O5) 및 제6 축선(O6)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교차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L2)으로서 정의한다. 또한,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스풀(143)로부터 낚시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는 것과 함께, 양 베어링 릴(140)을 후방 측으로부터 본 시점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나아가, 좌우 방향(L1) 및 전후 방향(L2)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상하 방향 중, 후술하는 클러치 레버(154)의 조작면(154a)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상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하방이라고 한다.
릴 본체(141)는, 본체부(150)(보디부), 본체부(150)의 전방을 덮는 전(前) 커버부(151), 및 본체부(150)의 상부 측을 덮는 섬 레스트(thumb rest)부(152)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50)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는 장착편이 취부되어 있다. 본체부(150)의 내부에는, 상기 스풀(143), 스풀(143)에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레벨 와인드 기구, 및 핸들 조립체(142)의 회전력을 스풀(143)에 전달하는 도시하지 않는 회전 전달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전달 기구는, 스풀(143)에 대하여 핸들 조립체(14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당해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를 전환하는(즉 ON-OFF를 전환하는)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기구, 및 도시하지 않는 드래그 기구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릴 본체(141)의 우측에는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153)가 설치되고, 릴 본체(141)의 후부 측에는, 클러치 기구를 ON-OFF 조작하는 클러치 레버(154)가 조작면(154a)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하방을 향하게 하여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142)는, 릴 본체(141)의 본체부(150) 내에 배치되고, 제5 축선(O5)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 축(30)과, 핸들 축(30)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핸들 축(30)을 통하여 릴 본체(141)에 대하여 제5 축선(O5)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핸들 암(조작체)(160)과, 핸들 암(160)의 양측의 선단부(160a)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노브 축(32)과, 한 쌍의 노브 축(32)의 각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핸들 노브(3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축(30)은, 회전 전달 기구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 암(160)은, 핸들 축(30)의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160b)가 핸들 축(30)의 선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 암(160)의 양측의 선단부(160a)에 노브 축(32) 및 핸들 노브(3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핸들 조립체(142)는, 이른바 더블 핸들 타입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노브 축(32) 및 핸들 노브(33)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브 축(32) 및 핸들 노브(33)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실시 형태의 양 베어링 릴(140)이어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주효(奏效)할 수 있다. 즉, 피트성이나 그립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노브 축(32)에 덜걱거림 적게 장착할 수 있고, 안정된 핸들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는 핸들 노브(33) 및 양 베어링 릴(140)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한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관통 구멍(108) 및 제2 관통 구멍(109)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형성하였지만, 1개여도 상관없고, 3개 이상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제1 관통 구멍(108) 및 제2 관통 구멍(109)을 3개 이상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3 축선(O3)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짝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관통 구멍(108) 및 제2 관통 구멍(109)을,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4개 형성(즉 제3 축선(O3)을 중심으로 하여 90도의 간격을 두고 4개 형성)하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4개의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를 형성할 수 있고, 내측 노브(100)에 대하여 외측 노브(110)를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한 상태로 조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 및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4개소에서 압압할 수 있고, 덜걱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를, 제1 외륜 베어링면(103) 및 제2 외륜 베어링면(104)보다도 제3 축선(O3) 측으로 돌출시켜, 제1 베어링(121)의 외륜(124) 및 제2 베어링(122)의 외륜(124)을 압압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외륜(124)을 압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제1 삽입부(115) 및 제2 삽입부(116)는, 제1 관통 구멍(108) 내 및 제2 관통 구멍(109) 내에 적어도 삽입되어 있으면 상관없다.
O3:
제3 축선(노브 축의 축선)
1: 스피닝 릴(낚시용 릴)
2, 141: 릴 본체
31, 160: 핸들 암(조작체)
31a, 160a: 핸들 암의 선단부
32: 노브 축
33: 핸들 노브
100: 내측 노브
103: 제1 외륜 베어링면(베어링면)
104: 제2 외륜 베어링면(베어링면)
108: 제1 관통 구멍(관통 구멍)
108a: 제1 유도면(유도면)
109: 제2 관통 구멍(관통 구멍)
109a: 제2 유도면(유도면)
110: 외측 노브
120: 베어링
123: 베어링의 내륜
124: 베어링의 외륜
140: 양 베어링 릴(낚시용 릴)
1: 스피닝 릴(낚시용 릴)
2, 141: 릴 본체
31, 160: 핸들 암(조작체)
31a, 160a: 핸들 암의 선단부
32: 노브 축
33: 핸들 노브
100: 내측 노브
103: 제1 외륜 베어링면(베어링면)
104: 제2 외륜 베어링면(베어링면)
108: 제1 관통 구멍(관통 구멍)
108a: 제1 유도면(유도면)
109: 제2 관통 구멍(관통 구멍)
109a: 제2 유도면(유도면)
110: 외측 노브
120: 베어링
123: 베어링의 내륜
124: 베어링의 외륜
140: 양 베어링 릴(낚시용 릴)
Claims (7)
-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 조작체에 고정된 노브(knob) 축에, 당해 노브 축의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노브에 있어서,
상기 노브 축을 경(徑)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통상(筒狀)으로 성형된 내측 노브와,
상기 내측 노브의 적어도 일부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한층 더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내측 노브에 대하여 일체 성형된 수지제의 외측 노브와,
상기 노브 축의 외면(外面)에 대하여 감합(嵌合)되는 내륜, 및 상기 내측 노브의 내면(內面)에 대하여 감합되는 외륜을 가지고, 상기 노브 축에 대하여 상기 내측 노브를 상기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노브에는, 상기 외륜이 접촉하는 베어링면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면에는, 상기 내측 노브를 경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당해 베어링면에 개구(開口)하고, 상기 외측 노브의 일부를 삽입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노브의 상기 일부는, 상기 베어링면보다도 상기 축선 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외륜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압(押壓)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축선 둘레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축선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노브의 외면에는,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내측 노브의 외면 측으로부터 내면 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상기 관통 구멍 측을 향하여 연장된 유도면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노브는,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 축과,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는, 상기 핸들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과 함께, 그 선단부(先端部)에 상기 노브 축이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핸들 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 노브는, 상기 노브 축을 통하여 상기 핸들 암의 상기 선단부에 취부(取付)되어 있는, 낚시용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218155A JP6956602B2 (ja) | 2017-11-13 | 2017-11-13 |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ノブ及び魚釣用リール |
JPJP-P-2017-218155 | 2017-11-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4903A true KR20190054903A (ko) | 2019-05-22 |
KR102605688B1 KR102605688B1 (ko) | 2023-11-24 |
Family
ID=6473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1153A KR102605688B1 (ko) | 2017-11-13 | 2018-08-28 |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349644B2 (ko) |
JP (1) | JP6956602B2 (ko) |
KR (1) | KR102605688B1 (ko) |
CN (1) | CN110012874B (ko) |
DE (1) | DE102018218943B4 (ko) |
GB (1) | GB2569874B (ko) |
MY (1) | MY195188A (ko) |
TW (1) | TWI76159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61833B2 (en) | 2009-04-10 | 2017-05-30 | Ben Huang | Multi-layered grip |
US10653124B2 (en) * | 2017-05-03 | 2020-05-19 | Winn Incorporated | Ree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US11350617B2 (en) | 2019-06-21 | 2022-06-07 | Trika Inc. | Left handed fishing reel |
JP2024131813A (ja) * | 2023-03-16 | 2024-09-30 | 有限会社 Office Zpi | 魚釣用リールハンドル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98991A (ja) | 1996-08-08 | 1998-04-21 | Daiwa Seiko Inc | 魚釣り用リール |
JPH1128039A (ja) * | 1997-07-10 | 1999-02-02 | Daiwa Seiko Inc |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
JPH11289931A (ja) * | 1998-04-17 | 1999-10-26 | Shimano Inc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
JP2000004732A (ja) * | 1998-06-24 | 2000-01-11 | Shimano Inc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
JP2002027879A (ja) * | 2000-07-13 | 2002-01-29 | Shimano Inc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
JP2006149316A (ja) * | 2004-11-30 | 2006-06-15 | Daiwa Seiko Inc | 魚釣用リール |
JP2015047108A (ja) * | 2013-08-30 | 2015-03-16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のツマミおよび組付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81495A (en) * | 1958-06-23 | 1961-04-25 | William S King | Actuating mechanism for fishing reels |
US4674355A (en) * | 1985-09-20 | 1987-06-23 | Lear Siegler, Inc. | Crankhandle structure |
US4830306A (en) * | 1986-08-25 | 1989-05-16 | Ryobi Ltd. | Fishing reel leg with soft cover |
US4901944A (en) * | 1987-11-24 | 1990-02-20 | Ryobi, Ltd. | Fishing reel having a spool shaft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
US4991461A (en) * | 1987-12-21 | 1991-02-12 | Tamco Limited | Gear knob |
FR2637458B1 (fr) * | 1988-10-07 | 1991-01-04 | Mitchell Sports | Manivelle pour moulinet de peche |
JP2550972Y2 (ja) * | 1991-08-23 | 1997-10-15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
US5328128A (en) * | 1991-11-14 | 1994-07-12 | Brooks Morris | Articulated fishing reel handle assembly |
US5284400A (en) * | 1992-12-07 | 1994-02-08 | Chrysler Corporation | Gearshift knob attaching arrangement |
JPH075360U (ja) * | 1993-06-25 | 1995-01-27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
US5875986A (en) * | 1994-09-08 | 1999-03-02 | Daiwa Seiko, Inc. |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fishline releasing characteristic |
JP4173244B2 (ja) * | 1999-03-30 | 2008-10-29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JP2001258440A (ja) * | 2000-03-16 | 2001-09-25 | Daiwa Seiko Inc | 魚釣用リ−ル |
JP2002218870A (ja) * | 2001-01-24 | 2002-08-06 | Shimano Inc | 釣り用リールのシール構造 |
JP2004236571A (ja) * | 2003-02-05 | 2004-08-26 | Shimano Inc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
SG121940A1 (en) * | 2004-10-06 | 2006-05-26 | Shimano Kk | Handle knob and handle assembly for a fishing reel |
JP4704801B2 (ja) | 2005-04-28 | 2011-06-22 | 株式会社シマノ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
US7494081B2 (en) * | 2005-06-15 | 2009-02-24 | Reel Grip, Ltd. | Grips for fishing reels |
US7168647B1 (en) * | 2006-03-15 | 2007-01-30 | Shakespeare Company, Llc | Fly reel drag mechanism |
JP4921188B2 (ja) * | 2007-01-25 | 2012-04-25 | 株式会社シマノ | 片軸受リール |
JP2009165462A (ja) * | 2007-12-18 | 2009-07-30 | Shimano Inc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及びハンドル組立体 |
JP5205120B2 (ja) * | 2008-04-28 | 2013-06-05 | 株式会社シマノ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
JP5474428B2 (ja) * | 2009-07-14 | 2014-04-16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変速操作機構 |
JP5479832B2 (ja) * | 2009-09-30 | 2014-04-23 | 株式会社シマノ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
JP4886066B2 (ja) * | 2010-01-19 | 2012-02-29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
MY164166A (en) * | 2010-09-02 | 2017-11-30 | Shimano Kk | Dual-bearing reel |
JP5869240B2 (ja) | 2011-06-28 | 2016-02-24 | 株式会社シマノ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
JP5739798B2 (ja) * | 2011-12-27 | 2015-06-24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およびハンドルノブ |
CN202603430U (zh) * | 2012-05-29 | 2012-12-19 | 宁波市北仑海伯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 一种防松把手 |
CN202686414U (zh) * | 2012-07-26 | 2013-01-23 | 刘承轩 | 手推车 |
JP2015047109A (ja) * | 2013-08-30 | 2015-03-16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のツマミ |
JP6505405B2 (ja) * | 2014-09-26 | 2019-04-24 |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 ハンドル組立体 |
US9743651B2 (en) * | 2014-12-03 | 2017-08-29 | Gregory A. Header | Fishing reel handle drag system |
JP6684115B2 (ja) * | 2016-03-10 | 2020-04-22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 |
-
2017
- 2017-11-13 JP JP2017218155A patent/JP6956602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8-28 KR KR1020180101153A patent/KR1026056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10 TW TW107131745A patent/TWI761590B/zh active
- 2018-10-10 US US16/156,432 patent/US10349644B2/en active Active
- 2018-11-02 MY MYPI2018704115A patent/MY195188A/en unknown
- 2018-11-07 DE DE102018218943.9A patent/DE102018218943B4/de active Active
- 2018-11-12 CN CN201811338333.XA patent/CN110012874B/zh active Active
- 2018-11-13 GB GB1818508.2A patent/GB2569874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98991A (ja) | 1996-08-08 | 1998-04-21 | Daiwa Seiko Inc | 魚釣り用リール |
JPH1128039A (ja) * | 1997-07-10 | 1999-02-02 | Daiwa Seiko Inc |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
JPH11289931A (ja) * | 1998-04-17 | 1999-10-26 | Shimano Inc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
JP2000004732A (ja) * | 1998-06-24 | 2000-01-11 | Shimano Inc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
JP2002027879A (ja) * | 2000-07-13 | 2002-01-29 | Shimano Inc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
JP2006149316A (ja) * | 2004-11-30 | 2006-06-15 | Daiwa Seiko Inc | 魚釣用リール |
JP2015047108A (ja) * | 2013-08-30 | 2015-03-16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のツマミおよび組付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Y195188A (en) | 2023-01-11 |
US20190141970A1 (en) | 2019-05-16 |
GB2569874A8 (en) | 2020-01-15 |
GB2569874A (en) | 2019-07-03 |
US10349644B2 (en) | 2019-07-16 |
TW201918168A (zh) | 2019-05-16 |
DE102018218943A1 (de) | 2019-05-16 |
JP2019088205A (ja) | 2019-06-13 |
DE102018218943B4 (de) | 2023-10-12 |
CN110012874B (zh) | 2021-11-16 |
KR102605688B1 (ko) | 2023-11-24 |
GB2569874B (en) | 2020-09-30 |
TWI761590B (zh) | 2022-04-21 |
JP6956602B2 (ja) | 2021-11-02 |
CN110012874A (zh) | 2019-07-16 |
GB201818508D0 (en) | 2018-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54903A (ko) |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 | |
US9363988B2 (en) | Spinning reel | |
EP2752113B1 (en) | Spinning reel | |
KR101488151B1 (ko) |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 |
KR101690702B1 (ko) | 낚시용 릴의 핸들 암 취부 구조 | |
US9055735B2 (en) | Spinning reel and spinning-reel reel unit | |
US6883738B2 (en) | Spinning reel handle assembly | |
KR102002854B1 (ko) |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 |
JP2009261367A5 (ko) | ||
JP2016165255A (ja) |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釣り用リール | |
JP5401411B2 (ja)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 |
CN110012875B (zh) | 钓鱼用卷线器的卷线筒及钓鱼用卷线器 | |
JP4804331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 |
JP5135245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 |
JP2010172272A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 |
JP4964709B2 (ja) | 魚釣用リール | |
KR102605686B1 (ko) | 낚시용 릴 | |
US10028494B2 (en) | Spinning reel rotor and spinning reel | |
JP5185177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 |
JP2007209217A (ja)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 |
JP2005087006A (ja) |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 |
JP2013252097A (ja) |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