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697A - 리튬이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9697A KR20190049697A KR1020197004095A KR20197004095A KR20190049697A KR 20190049697 A KR20190049697 A KR 20190049697A KR 1020197004095 A KR1020197004095 A KR 1020197004095A KR 20197004095 A KR20197004095 A KR 20197004095A KR 20190049697 A KR20190049697 A KR 201900496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ofluoric acid
- lithium ion
- ion battery
- battery
- acid absorb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리튬이온 전지(E)는, 양극 단자(1) 및 음극 단자(2)와, 기밀 용기통 전지 케이스(3)를 구비하며, 전지 케이스(3)의 내부에 전극체(10)를 수납한다. 전극체(10)는, 양극 집전체(11) 및 양극용 전극판(12)과, 음극 집전체(13) 및 음극용 전극판(14)를 가지며, 양극용 전극판(12)과 음극용 전극판(14)은, 세퍼레이터(15)를 통해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전지 케이스(3) 내의 공극부에 불산 흡수재를 배치한다. 이 불산 흡수재는, 제올라이트 등의 수분 제거 성능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불산 흡수재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는, 불산의 흡수성이 뛰어나고, 특히 불산의 발생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기기나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해액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불산을 제거 가능한 리튬이온 전지용에 관한 것이다.
근년, 대용량, 고출력 타입의 리튬이온 전지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 리튬이온 전지는, 대용량, 고출력이기 때문에 종래의 이차 전지보다도 높은 안전성,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 리튬이온 전지의 대표적인 구성은, 음극에 탄소, 양극에 코발트산 리튬 등의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이용하고, 전해액으로서 탄산 에틸렌이나 탄산 디에틸 등의 유기 용매에 헥사플루오르인산 리튬(LiPF6) 등의 리튬염을 배합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이들 음극, 양극 및 전해질의 각각의 재료는, 리튬 이온이 이동하고, 또한 전하의 수수에 의해 충방전 가능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많은 양태를 취할 수 있다.
리튬염으로서는, LiPF6외에, LiBF4 등의 불소계 착염, LiN(SO2Rf)2·LiC(SO2Rf)3(Rf=CF3 또는 C2F5) 등의 염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해액에 높은 전도율과 안전성을 주기위해, 유기 용매로서, 탄산 에틸렌·탄산 프로필렌 등의 환상 탄산 에스터계 고유전율·고비점 용매나, 탄산 디메틸, 탄산 에틸메틸, 탄산 디에틸 등의 저급 쇄상 탄산 에스터 등의 저점성율 용매를 혼합시킨 것을 이용하거나, 또는 일부에 저급 지방산 에스터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LiPF6 등의 리튬염은 전지 내에서는 안정되어 있다. 그러나, 검사 공정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미소한 핀 홀 등에서 전지 밖으로 리튬염이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리튬염이 누출되면, 리튬염과 공기 중의 수분이 반응하여 강산인 불산이 생성되고, 이 생성된 불산이, 전지 케이스나 방폭 밸브를 부식시키게 된다. 또한, 전해액의 전지 내로의 주액 과정에 있어서도 전해액이 비산하여 불산이 생성되고, 전지 케이스나 방폭 밸브를 부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결과, 부식된 방폭 밸브에서, 다량의 전해액이 누출되고, 외부의 회로를 부식시킬 우려가 있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전지 본체의 방폭 밸브의 외측으로 가스 흡수재를 마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 후의 연구 결과, LiPF6 등의 리튬염은, 충방전의 반복에 따라 전지 내의 미량의 수분과 반응하여, 전지 내에서도 미량의 불산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그리고, 이 불산이 전지 내부의 부분적 파괴를 초래하고, 방전 용량 등의 전지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재는, 방폭 밸브의 외측에 분출된 불화 수소 가스, 즉 발생한 불산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며, 발생 직후의 불산을 흡수하는 것은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생 직후의 불산을 적합하게 흡수할 수 있는 불산 흡수재이며, 특히 불산의 발생 자체를 억제할 수 있는 불산 흡수재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가 요망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불산의 흡수성이 뛰어나고, 특히 불산의 발생 자체를 억제할 수 있는 불산 흡수재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수계 전해액이 함침된 양극과 음극과 세퍼레이터의 적층체가 전지 케이스 내에 봉입되고, 상기 비수계 전해액 중의 리튬 이온이 전기 전도를 담당하는 리튬 이온 전지이며,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불산을 흡수 가능한 불산 흡수재를 마련한 리튬이온 전지를 제공한다(발명 1).
상기 발명(발명 1)에 의하면, 리튬이온 전지 케이스 내에 불화 수소를 흡수 가능한 불산 흡수재를 배치함으로써, 충방전의 반복 등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불산을 발생 직후에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고, 전지 내부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며, 안정된 상태로 리튬이온 전지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는, 상기 불산 흡수재가 수분 제거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2).
상기 발명(발명 2)에 의하면, 이 불산 흡수재가 전지 내부에 존재하는 미량의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리튬염과 수분과의 반응을 방지하고 불산의 발생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1,2)에 있어서는, 상기 불산 흡수재가 무기 다공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3). 또한, 상기 불산 흡수재가 제올라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4). 특히 상기 불산 흡수재가 Ca로 이온 교환된 A형의 제올라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5).
상기 발명(발명 3 내지 5)에 의하면, 이들 불산 흡수재는, 불화 수소를 재빠르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수분 흡수성을 가지기 때문에 한번에 양쪽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는, 상기 불산 흡수재가 탄소계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6).
상기 발명(발명 6)에 의하면, 탄소계 재료는, 불화 수소를 재빠르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지의 저항값의 상승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발명(발명 2 내지 6)에 있어서는, 상기 불산 흡수재가 수분 함유율을 1중량% 이하로 조정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7).
상기 발명(발명 7)에 의하면, 수분 함유율이 1중량% 이하인 수분 건조 상태의 불산 흡수재를 리튬이온 전지 내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전지 내부에 존재하는 미량의 수분의 흡수 성능이 높기 때문에, 리튬염과 수분과의 반응을 적절하게 방지하고 불산의 발생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튬이온 전지 케이스 내에 불화 수소를 흡수 가능한 불산 흡수재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충방전의 반복 등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불산(기체여도 액체(F-)여도 된다.)을 발생 직후에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고, 전지 내부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며, 안정된 상태로 리튬이온 전지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불산 흡수재로서, 제올라이트 등의 수분 제거 성능을 가진 재료를 수분 함유율 1중량% 이하로 이용함으로써, 리튬염과 수분과의 반응을 방지하고 불산의 발생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이온 전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 시험에 있어서의 방전 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4 및 비교예 3의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 시험에 있어서의 방전 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 시험에 있어서의 방전 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4 및 비교예 3의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 시험에 있어서의 방전 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리튬이온 전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리튬이온 전지(E)는, 양극 단자(1) 및 음극 단자(2)와, 기밀 용기통 전지 케이스(하우징)(3)와, 이 전지 케이스(3)의 외주면에 필요에 따라 형성된 방폭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전지 케이스(3)의 내부에 전극체(10)를 수납한다. 전극체(10)는, 양극 집전체(11) 및 양극용 전극판(12)과, 음극 집전체(13) 및 음극용 전극판(14)을 가지며, 양극용 전극판(12)과 음극용 전극판(14)은, 각각 세퍼레이터(15)를 통해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양극 단자(1)는 양극용 전극판(12)에, 음극 단자(2)는 음극용 전극판(14)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으로서의 전지 케이스(3)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또는 스테인레스제의 각형 전지 조관이며, 기밀성을 가지고 있다.
양극용 전극판(12)은, 양면에 양극 합제를 유지시킨 집전체이다. 예를 들면, 그 집전체는 두께 약 20㎛의 알루미늄박이며, 페이스트상의 양극 합제는, 전이금속의 리튬 함유 산화물인 리튬코발트 산화물(LiCoO2)에 결착재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과 도전재로서 아세틸렌 블랙을 첨가 후 혼련한 것이다. 그리고, 양극용 전극판(12)은, 이 페이스트상의 양극 합제를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도포 후, 건조, 압연, 띠 모양으로 절단하는 순서로 얻어진다.
음극용 전극판(14)은, 양면에 음극 합제를 유지시킨 집전체이다. 예를 들면, 그 집전체는 두께 10㎛의 동박이고, 페이스트상의 음극 합제는, 그래파이트 분말에 결착재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을 첨가 후 혼련한 것이다. 그리고, 음극용 전극판(14)은 이 페이스트상의 음극 합제를 동박의 양면에 도포 후, 건조, 압연, 띠 모양으로 절단하는 순서로 얻어진다.
세퍼레이터(15)로서는, 다공막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세퍼레이터(15)는, 폴리에틸렌제 미세다공막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에 함침시키는 비수계 전해액으로서는, 리튬 이온의 전도성을 가진 비수계 유기 전해액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에틸렌카보네이트(EC) 등의 환상 카보네이트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등의 쇄상 카보네이트와의 혼합 용액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전해질로서 6불화 인산 리튬 등의 리튬염이 용해된 것이다. 예를 들면,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및 디메틸카보네이트(DMC)를 1 : 1 : 1의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액,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에틸렌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를 1 : 1 : 1의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액에 1mol/L 의 6불화 인산 리튬을 첨가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튬이온 전지(E)의 전지 케이스(3) 내의 공극부에, 불산 흡수재를 배치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불산 흡수재는 전해액 중의 LiPF6 등의 리튬염과 공기 중의 수분과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불화 수소(HF)를 흡착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이 흡착되는 불화 수소는, 기체상(가스), 액체(F-)의 양방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불산 흡수재로서는, 무기 다공질 재료나 탄소계 재료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무기 다공질 재료로서는, 다공질 실리카, 금속 포러스 구조체, 규산 칼슘, 규산 마그네슘,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제올라이트, 활성 알루미나, 산화 타이탄, 아파타이트, 다공질 유리, 산화 마그네슘, 규산 알루미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탄소계 재료로서는, 분말상 활성탄, 입상 활성탄, 섬유상 활성탄, 시트상 활성탄 등의 활성탄, 그래파이트, 카본 블랙, 카본 나노 튜브, 카본 모레큐라시브, 풀러렌, 나노 카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탄소계 재료는, 수분의 흡수를 억제시키는 각종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탄소계 재료는, 불화 수소를 재빠르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전지의 저항값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이들 무기 다공질 재료 및 탄소계 재료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소재를 병용해도 되지만, 제올라이트나 활성탄이 특히 유효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불산 흡수재는, 100 내지 30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100m2/g 미만에서는, 불화 수소 등과의 접촉 면적이 작고, 충분한 흡착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한편, 비표면적이 3000m2/g을 초과해도 불화 수소나 수분 등의 흡착 성능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뿐 아니라, 흡수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불산 흡수재는 3Å 이상 10Å 이하의 세공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공 용적이 3Å 미만의 경우, 세공 내로의 불화 수소나 수분 등의 가스 성분의 침입이 곤란해 진다. 한편, 세공 용적이 10Å을 초과하면, 불화 수소 등의 흡착력이 약해져 버려서, 세공 내에서 조밀하게 흡착시킬 수 없고, 결과로서 흡착량이 저하되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불산 흡수재가 제올라이트의 경우, Si/Al 비가 1 내지 5의 범위의 원소 구성비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Al 비가 1 미만의 제올라이트는 구조상 불안정한 반면, Si/Al 비가 5를 초과하는 제올라이트는 양이온 함유율이 낮고 불화 수소나 수분 등의 가스 성분의 흡착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제올라이트로서는, A형, X형 또는 LSX형의 제올라이트를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A형의 제올라이트나 제올라이트의 양이온 부분이 Ca로 이온 교환된 A형의 제올라이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a로 이온 교환된 A형의 제올라이트이다.
이 불산 흡수재는, 수분 제거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불산 흡수재가 전지 내부에 존재하는 미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리튬염과 수분과의 반응을 방지하고 불산의 발생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불산 흡수능을 가진 흡착재와 수분 제거 성능을 가진 흡착재의 모두를 배합해 이용해도 되지만, 제올라이트는 불산 흡수능과 수분 제거능을 겸비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재는, 불산뿐만 아니라 수분의 흡수 성능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위기 중의 습도를 흡수하기 쉽다. 그리고, 이 흡수재는 수분을 흡수하면 불산의 흡수 성능이 대폭적으로 저감될 뿐만 아니라, 수분의 흡수성도 저하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불산 흡수재에 대해서 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불산 흡수재로부터 수분을 방출시켜 수분의 흡수 성능을 재생시킨 상태에서 전지 케이스(3) 내에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불산 흡수재의 수분 함유율이 1중량% 이하가 되도록 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튬이온 전지(E)에 사용되는 비수계 유기 전해액(리튬염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충분히 탈수시키고, 이 비수계 유기 전해액에 불산 흡수재를 침지시키는 것으로도 불산 흡수재에서 수분을 배제시켜 불산 흡수재의 수분 함유율을 1중량% 이하로 할 수 있다. 불산 흡수재의 수분 함유율이 1중량%를 초과하면, 분위기 중의 수분의 흡수성이 충분해지지 않아, 리튬염과 수분과의 반응을 방지하는 효과가 저하되고, 전지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불산 흡수재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분말상, 과립상 또는 펠릿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지와 혼합함으로써 시트 형상 또는 필름 형상 등에 성형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리튬이온 전지(E)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고, 원통 형상이어도 되고, 또는 리튬이온 전지를 별도로 이것을 수용 가능한 전지 케이스에 수용하고, 이 전지 케이스 내에 불산 흡수재를 마련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의 구체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F제거 효과 확인 시험]
[실시예 1]
100mL의 바이얼 병에, 불산 흡착재로서, 미리 수분 함유율을 1중량% 이하로 조정한, Ca 치환된 A형 제올라이트 1g을 따로 나눠 두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시판의 전해액(LiPF6을 1mol/L 용해시킨 전해액(에틸렌카보네이트(EC) : 디메틸카보네이트(DMC) :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 2 : 4 : 4의 체적비로 혼합시킨 것))을 50mL주입하고, 추가로 순수 5μL를 적하했다.
소정의 시간 경과 후의 이 전해액의 불소 이온(F-)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참고예로서 전해액만의 경우의 불소 이온(F-) 농도의 측정 결과를 표1에 함께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불산 흡착재를 이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해서 전해액의 불소 이온(F-) 농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 : 검출하한값 (10mg/L) 미만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전해액에 순수를 첨가한 비교예 1에서는, 전해액만의 경우인 참고예와 비교하여 불소 이온 농도가 대폭적으로 증가했다. 이것은 LiPF6와 수분의 반응에 의해 불산이 생겼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의 불산 흡착재를 첨가한 실시예 1에서는, 불소 이온 농도가 검출 하한치 미만이고, 참고예보다 감소해 있었다. 이것은 불산의 제거뿐만 아니라, 수분의 제거 성능도 갖고 있기 때문에, 불산의 생성 자체가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충방전 사이클 시험]
[실시예 2]
시험용 리튬이온 전지의 재료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플랫 셀:호우센(주)제, 전극 면적 약 2㎠(Φ16mm)
양극;삼원계(LiNiCoMnO2), N : M : C = 1 : 1 : 1
음극;구상 흑연
세퍼레이터;PP세퍼레이터, 두께 20㎛
전해액;에틸렌카보네이트(EC) :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 3 : 7의 혼합액에 LiPF6를 1mol/L 용해시킨 것
불산 흡착재:Ca 치환 A형 제올라이트(수분 함유율 1중량% 이하로 조정)
전해액에 대해 0.02g/mL의 비율로 불산 흡착재를 첨가하는 한편,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유리 튜브 오븐에 의해 90℃에서 1시간 이상 감압 건조했다. 그리고, 이들 재료를 글러브 박스 내에서 아르곤 가스 분위기하에서, 노점 -30℃ 이하에서 쌓아 올려 시험용의 리튬이온 전지재료를 제작했다.
이 리튬이온 전지를 충방전 시험 유닛(기쿠스이전자(주)제 충방전 밧데리 테스트 시스템 PFX2011)에 접속하고, 충방전 전류량 0.5C, 정전압 충전 4.2V×60분 및 방전 종지 전압 3.2V의 방전에서 충방전 싸이클을 200회 반복하고, 방전 용량의 변화를 측정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전해액에 불산 흡착재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시험용의 리튬이온 전지 재료를 제작했다.
이 리튬이온 전지를 충방전 시험 유닛에 접속하고, 실시예 2와 같은 조건에서 충방전 시험, 방전 용량의 변화를 측정했다. 결과를 도 2에 함께 나타낸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불산 흡착재를 이용한 실시예 2에서는 충방전을 200회 반복해도 방전 용량은 40%정도의 저하에 그친 것에 비해서, 불산 흡착재를 이용하지 않았던 비교예 2에서는 60% 이하로까지 저하되었다. 이것은 전지 내에서 발생한 불산에 의해 전지 내부에서 부분적 파괴가 일어나 전지 성능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3]
LCO계 전극재(양극활물질 : 카본 블랙(KB) :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 92 : 4 : 4(중량비)) 100중량%에 대해, 다공질 탄소재(EPSIGUARD KC - 601P 구리타공업(주)제,평균 입자 2.5㎛)를 5중량% 첨가한 것에 의해 양극을 제작했다. 또한, 천연 흑연계 재료에 의해 음극을 제작했다. 이 양극 및 음극을 사용하여 약 900mAh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셀을 제작했다. 한편, 전해액으로서는, 에틸렌카보네이트(EC) :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 3 : 7의 혼합액에 LiPF6을 1mol/L 용해시킨 것을 사용했다.
이 리튬이온 전지를 충방전 시험 유닛(기쿠스이전자(주)제 충방전 밧데리 테스트 시스템 PFX2011)에 접속하고, 60℃에서 충방전 사이클 시험을 100 싸이클 실시하고, 이 동안의 방전 용량을 기록했다. 한편, 이 싸이클 시험에 있어서, 충전은 정전류 정전압에서 충전 전류량 1C로 충전하고, 4.2V에 도달 후 0.05C까지 실시했다. 또한, 방전은 정전류에서 1.0C로 전압이 2.5V에 도달될 때까지 실시했다. 결과를 도3에 나타낸다. 또한, 100 싸이클의 충방전 사이클 시험 후의 리튬이온 전지의 직류 저항값을 측정하고, 초기 충전에 의한 활성화 직후의 직류 저항값과 비교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100 싸이클 종료 후의 셀 내부에서 전해액을 빼내고, 이 전해액의 불소 이온(F-) 농도(불산(HF)에 상당)를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있어서, LCO계 전극재 100중량%에 대해, 다공질 탄소재(EPSIGUARD KC - 601P 구리타공업(주)제,평균 입자 2.5㎛)를 2중량% 첨가한 것에 의해 양극을 제작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약 900mAh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셀을 제작했다.
이 리튬이온 전지를 충방전 시험 유닛에 접속하고,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60℃에서 충방전 사이클 시험을 100 싸이클 실시하고, 이 동안의 방전 용량을 기록했다. 결과를 도 3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100 싸이클의 충방전 사이클 시험 후의 리튬이온 전지의 직류 저항값을 측정하고, 초기 충전에 의한 활성화 직후의 직류 저항값과 비교했다. 결과를 표2에 함께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 LCO계 전극재 100중량%에 대해, 다공질 탄소재(EPSIGUARD KC - 601P 구리타공업(주)제,평균 입자 2.5㎛)를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약 900mAh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셀을 제작했다.
이 리튬이온 전지를 충방전 시험 유닛에 접속하고,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60℃에서 충방전 사이클 시험을 100 싸이클 실시하고, 이 동안의 방전 용량을 기록했다. 결과를 도 3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100 싸이클의 충방전 사이클 시험 후의 리튬이온 전지의 직류 저항값을 측정하고, 초기 충전에 의한 활성화 직후의 직류 저항값과 비교했다.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100 싸이클 종료 후의 셀 내부에서 전해액을 빼내고, 이 전해액의 불소 이온(F-) 농도(불산(HF)에 상당)를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불산 흡착재로서 다공질 탄소재를 양극에 5중량% 첨가한 실시예 3에서는 방전 용량이 초기보다 약 30% 저하되는 100mAh/g에 도달하기까지의 싸이클이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약 5배이고, 양극에 2중량% 첨가한 실시예 4에서도 방전 용량이 초기보다 약 30% 저하되는 100mAh/g에 도달하기까지의 싸이클이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약 2배이며, 전지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표 2 및 표 3에서, 불산 흡착재로서 다공질 탄소재를 양극에 첨가함으로써, 불산의 생성이 억제되고, 이것에 의해 전지의 저항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전지의 수명이 개선된 것을 알았다.
1 양극 단자
2 음극 단자
3 전지 케이스(하우징)
10 전극체
11 양극집전체
12 양극용 전극판
13 음극집전체
14 음극용 전극판
15 세퍼레이터
E 리튬이온 전지
2 음극 단자
3 전지 케이스(하우징)
10 전극체
11 양극집전체
12 양극용 전극판
13 음극집전체
14 음극용 전극판
15 세퍼레이터
E 리튬이온 전지
Claims (7)
- 비수계 전해액이 함침된 양극과 음극과 세퍼레이터의 적층체가 전지 케이스 내에 봉입되고, 상기 비수계 전해액 중의 리튬 이온이 전기 전도를 담당하는 리튬이온 전지로서,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불산을 흡수 가능한 불산 흡수재가 마련된 리튬이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 흡수재가 수분 제거 성능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 흡수재가 무기 다공질 재료인 리튬이온 전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 흡수재가 제올라이트인 리튬이온 전지.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 흡수재가 Ca로 이온 교환된 A형의 제올라이트인 리튬이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 흡수재가 탄소계 재료인 리튬이온 전지. -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 흡수재가 수분 함유율을 1중량% 이하로 조정한 것인 리튬이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38446 | 2016-07-13 | ||
JPJP-P-2016-138446 | 2016-07-13 | ||
JPJP-P-2016-253135 | 2016-12-27 | ||
JP2016253135 | 2016-12-27 | ||
PCT/JP2017/025228 WO2018012485A1 (ja) | 2016-07-13 | 2017-07-11 | リチウムイオン電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9697A true KR20190049697A (ko) | 2019-05-09 |
Family
ID=6095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4095A KR20190049697A (ko) | 2016-07-13 | 2017-07-11 | 리튬이온 전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90252721A1 (ko) |
JP (1) | JP7073643B2 (ko) |
KR (1) | KR20190049697A (ko) |
CN (1) | CN109478688A (ko) |
WO (1) | WO201801248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43361B2 (ja) | 2018-07-10 | 2022-03-29 | 日東電工株式会社 | 2次電池用ガス吸着シート |
WO2021087188A1 (en) * | 2019-10-31 | 2021-05-06 | Pacific Industrial Development Corporation | Inorganic materials for use in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
US12021237B2 (en) * | 2019-10-31 | 2024-06-25 | Pacific Industrial Development Corporation | Inorganic materials for use in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24256A (ja) | 2009-12-08 | 2011-06-23 | Renesas Electronics Corp | 半導体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60416A (ja) * | 1998-03-11 | 1999-09-24 | Ngk Insulators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 |
JP2000077103A (ja) | 1998-08-31 | 2000-03-14 | Hitachi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機器 |
KR100441611B1 (ko) * | 1998-12-22 | 2004-09-18 | 주식회사 파인셀 | 흡수제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및 그의 제조방법 |
JP4649848B2 (ja) * | 2004-02-26 | 2011-03-16 | 株式会社Gsユアサ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JP2006216373A (ja) | 2005-02-03 | 2006-08-17 | Sony Corp | 電池 |
US20080206636A1 (en) * | 2007-02-21 | 2008-08-28 | Riken Technos Corporation |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a laminate housing material |
JP5230217B2 (ja) * | 2007-02-21 | 2013-07-10 |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 ラミネート外装材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
JP5411558B2 (ja) | 2009-03-31 | 2014-02-12 | 古河電池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JP6221854B2 (ja) * | 2013-05-20 | 2017-11-01 | 栗田工業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US20150125721A1 (en) * | 2013-11-01 | 2015-05-07 | Lg Chem, Ltd. |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out the need of gas removal process |
JP6252119B2 (ja) * | 2013-11-11 | 2017-12-27 | 株式会社Gsユアサ | 非水電解液蓄電素子 |
-
2017
- 2017-07-11 CN CN201780043393.6A patent/CN109478688A/zh active Pending
- 2017-07-11 US US16/317,152 patent/US2019025272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7-11 JP JP2017135237A patent/JP7073643B2/ja active Active
- 2017-07-11 WO PCT/JP2017/025228 patent/WO201801248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7-11 KR KR1020197004095A patent/KR201900496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24256A (ja) | 2009-12-08 | 2011-06-23 | Renesas Electronics Corp | 半導体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478688A (zh) | 2019-03-15 |
US20190252721A1 (en) | 2019-08-15 |
JP7073643B2 (ja) | 2022-05-24 |
WO2018012485A1 (ja) | 2018-01-18 |
JP2018107105A (ja) | 2018-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97727B2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
US8848338B2 (en) |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 |
JP2007073809A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
JP2007073810A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
WO2018043431A1 (ja) | リチウムイオン電池 | |
JP6988165B2 (ja) | ガス吸収性フィルム | |
JP7073643B2 (ja) | リチウムイオン電池 | |
KR102192072B1 (ko) |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 및 전지 조립체 | |
KR20200087076A (ko) | 리튬 이온 전지용 가스 흡수재 | |
WO2019097739A1 (ja) |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ガス吸収材 | |
JP6318703B2 (ja) | Co及びco2吸着材及びこれ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並びにco及びco2吸着材の製造方法 | |
JP2005174655A (ja) | リチウム電池 | |
WO2018025422A1 (ja) |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の電解質 | |
JP7093505B2 (ja) |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用正極および当該正極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 |
KR20160130974A (ko) | 리튬 이온 전지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 |
KR101102654B1 (ko) | 고출력 및 고에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복합 전극 활물질 | |
JP2002033102A (ja) | 二次電源及び二次電源用負極の製造方法 | |
JP7071701B2 (ja) | 非水系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JP2018133423A (ja) | 蓄電デバイス用電極及び蓄電デバイス | |
JP2002203605A (ja) | 非水電解液電池 | |
JP2014216304A (ja) | 蓄電デバイス用ガス吸収材及びこれ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並びに当該蓄電デバイスを用いた電気機器及び電子機器 | |
JP2001338680A (ja) | 二次電源 | |
JP2014220134A (ja) | リチウムイオン電池、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
JP4611082B2 (ja) | 電気化学キャパシタ | |
JP2014127316A (ja) | リチウム系蓄電デバイ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