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659A -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 및 Fe-Ni계 합금 박판 - Google Patents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 및 Fe-Ni계 합금 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659A
KR20190042659A KR1020197008509A KR20197008509A KR20190042659A KR 20190042659 A KR20190042659 A KR 20190042659A KR 1020197008509 A KR1020197008509 A KR 1020197008509A KR 20197008509 A KR20197008509 A KR 20197008509A KR 20190042659 A KR20190042659 A KR 20190042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cold rolling
alloy thin
rolling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229B1 (ko
KR102244229B9 (ko
Inventor
아키히로 오모리
노부타카 야스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7594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4265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29B1/ko
Publication of KR10224422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29B9/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1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6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between cold roll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 C22C38/1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containing Co and N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 H01J9/14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of shadow-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33Aperture pla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광폭화가 되어도 등방적인 기계 특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한 Fe-Ni계 합금 박판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질량%로 Ni+Co: 35.0 내지 43.0%(단, Co는 0 내지 6.0%), Si: 0.5% 이하, Mn: 1.0% 이하,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2mm 이상인 열간 압연재를 사용하여 냉간 압연용 소재로 하고, 상기 냉간 압연용 소재에 대하여, 압하율 85% 이상의 제1 냉간 압연을 행하고, 상기 제1 냉간 압연 후, 온도 800℃ 이상, 유지 시간 0.1 내지 1.2분의 조건에서 재결정 어닐링을 행하고, 상기 재결정 어닐링 후, 압하율 40% 이하의 최종 냉간 압연을 행하여, 두께가 0.25mm 이하인 Fe-Ni계 합금 박판으로 하고, 최종 냉간 압연 후에는 열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 및 Fe-Ni계 합금 박판.

Description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 및 Fe-Ni계 합금 박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리드 프레임이나 메탈 마스크 등에 사용되는 Fe-Ni계 합금 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드 프레임이나 메탈 마스크 등에 사용되는 Fe-Ni계 합금 박판은, 성능 향상을 위해서 종래보다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에칭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열연판에 냉간 압연 및 어닐링을 각각 1회 이상 행하고, 최종 재결정 어닐링 전의 냉간 압연의 냉압율을 90% 이상, 최종 재결정 어닐링의 어닐링 온도를 850℃ 이상, 최종 냉압율을 30% 이하로 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e-Ni계 박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양호한 에칭성과 높은 강도를 얻기 위해서, 85% 이상의 냉간 압연율과 700℃ 이상의 어닐링을 적어도 1회 행하고, 그 후 상기 냉간 압연율을 초과하지 않는 압연율의 냉간 압연과 85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의 어닐링을 이 순서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 재료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5339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6-279946호 공보
상기와 같은 Fe-Ni계 합금 박판은 사용 용도에 따라, 원하는 사이즈로 재단되어서 사용된다. 그러나 제품의 한층 더한 고정밀도화 요구에 의해, 메탈 마스크 등에 있어서도 치수 공차는 점점 엄격해져서, 재단 후의 치수 공차를 벗어나는 제품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의 발명은 에칭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발명이지만, 절단 후의 박판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아, 검토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0.25mm 이하인 얇은 Fe-Ni계 합금 박판에 있어서, 압연 표면의 기계 특성의 이방성이 적고 양호한 형상 가공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한 Fe-Ni계 합금 박판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질량%로 Ni+Co: 35.0 내지 43.0%(단, Co는 0 내지 6.0%), Si: 0.5% 이하, Mn: 1.0% 이하,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2mm 이상인 열간 압연재를 사용하여 냉간 압연용 소재로 하고, 상기 냉간 압연용 소재에 대하여,
압하율 85% 이상의 제1 냉간 압연을 행하고,
상기 제1 냉간 압연 후, 온도 800℃ 이상, 유지 시간 0.1 내지 1.2분의 조건에서 재결정 어닐링을 행하고,
상기 재결정 어닐링 후, 압하율 40% 이하의 최종 냉간 압연을 행하여, 두께가 0.25mm 이하인 Fe-Ni계 합금 박판으로 하고, 최종 냉간 압연 후에는 열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질량%로 Ni+Co: 35.0 내지 43.0%(단, Co는 0 내지 6.0%), Si: 0.5% 이하, Mn: 1.0% 이하,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0.25mm 이하인 Fe-Ni계 합금 박판에 있어서, 상기 Fe-Ni계 합금 박판의 폭 방향, 길이 방향 및 45° 방향의 3방향에 있어서의 각 0.2% 내력끼리의 차가, 상기 3방향의 0.2% 내력의 평균값의 5% 이내이고, 상기 3방향에 있어서의 각 신율값이, 상기 3방향의 평균 신율값의 0.90 내지 1.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e-Ni계 합금 박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가 0.25mm 이하인 얇은 Fe-Ni계 합금 박판에 있어서, 절단 방향에 따른 기계 특성의 변동이 적기 때문에, 양호한 가공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간 압연재 조성>
본 발명에서는, 질량%로 Ni+Co: 35.0 내지 43.0%(단, Co는 0 내지 6.0%), Si: 0.5% 이하, Mn: 1.0% 이하,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는 열간 압연재를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성을 갖는 Fe-Ni계 합금은, 원하는 열팽창 계수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조성을 갖는 것이다.
[Ni+Co: 35.0 내지 43.0%(단, Co는 0 내지 6.0%)]
Ni 및 Co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열팽창 계수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원소이다. Ni+Co 함유량이 35.0% 미만에서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불안정해지기 쉽고, 한편 43.0%를 초과하면 열팽창 계수가 상승하여, 저열팽창 특성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Ni+Co의 함유량은 35.0 내지 43.0%로 한다. 또한, Co는 반드시 첨가할 필요는 없지만, Co에는 Fe-Ni계 합금을 고강도로 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특히 엄격한 핸들링성이 요구되거나 하는, 얇은 판 두께에서는 6.0%까지의 범위에서, Ni의 일부를 Co로 치환할 수 있다.
[Si: 0.5% 이하, Mn: 1.0% 이하]
Si, Mn은 통상 Fe-Ni계 합금에서는, 탈산을 목적으로 미량 함유되어 있지만, 과잉으로 함유하면 편석을 일으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Si는 0.5% 이하로 하고, Mn은 1.0% 이하로 한다. 또한, Si와 Mn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탈산 원소로서 첨가된다는 점에서, Si는 0.05%, Mn은 0.05%는 적지 않게 잔류한다.
[잔부는 Fe 및 불순물]
상기의 원소 이외는 실질적으로 Fe이면 되지만, 제조상 불가피적으로 함유하는 불순물은 포함된다. 특별히 제한이 필요한 불순물 원소에는 C가 있고, 예를 들어 에칭을 행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그 상한을 0.05%로 하면 된다.
또한, 프레스 펀칭성을 향상시키는 경우는 S 등의 쾌삭성 원소를 0.020% 이하로 함유시켜도 된다. 열간 가공성을 향상시키거나 하는 B 등의 원소를 0.0050% 이하로 함유시켜도 된다.
<열간 압연재 두께: 2mm 이상>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간 압연재는, 그 두께를 2mm 이상으로 한다. 열간 압연재의 두께가 2mm 미만이 되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압하율 85% 이상의 냉간 압연을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열간 압연재의 두께를 2mm 미만으로 하고자 하면, 특수한 압연 설비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열간 압연재의 두께를 2mm 이상으로 한다.
또한, 열간 압연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압하율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한편, 냉간 압연 공정 중의 패스 횟수가 증가되거나, 압연 중의 Fe-Ni계 합금의 형상 조정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두께를 상한을 5mm으로 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이 열간 압연재는, 표면에 산화층이 형성되어 있고, 열간 압연재의 두께란, 그 산화층을 포함한 두께이다.
<냉간 압연용 소재>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열간 압연재를 사용하여 냉간 압연용 소재로 한다. 열간 압연재에는 산화층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산화층을, 예를 들어 기계적, 혹은 화학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냉간 압연 중의 냉간 압연재의 에지로부터 균열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에지를 마련해 두어도 된다. 이러한 가공을 행하여 냉간 압연용 소재로 한다.
이어서, 냉간 압연 공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냉간 압연>
본 발명에서는, 재결정 어닐링 전의 냉간 압연인 제1 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압하율을 85% 이상으로 한다. 이렇게 재결정 어닐링 전의 압하율을 높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최종 압연 후에 얻어지는 합금 박판의 결정면 방위를 1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쉽고, 기계 특성의 이방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간 압연이나 어닐링 공정의 횟수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저비용에서의 제조도 가능해진다. 압하율이 85% 미만이면, 기계 특성이 열화된다. 또한 압하율이 지나치게 낮은 냉간 압연이나 어닐링 공정의 횟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증대한다. 바람직한 압하율은 87%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또한, 압하율의 상한은 특별히 정하지 않지만, 압하율이 99%를 초과하면, 과대한 압연 시간에 따른 비용의 증대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한은 99%로 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재결정 어닐링>
본 발명은 전술한 제1 냉간 압연 후에, 800℃ 이상의 온도에서 재결정 어닐링을 행한다. 이 공정에 의해, 강압 하에 의해 가공 경화된 박판의 응력을 제거하여 연화시켜, 후의 최종 냉간 압연에 의해 원하는 판 두께와 기계 특성을 얻기 쉬워진다. 어닐링 온도가 800℃ 미만이면 재료가 충분히 연화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어닐링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너무 높으면 원하는 특성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1100℃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판의 어닐링의 가열 유지 시간을 0.1 내지 1.2분으로 조정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렇게 상술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 유지 시간을 비교적 단시간에 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고, 원하는 내력 및 신장의 등방적인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어닐링 시간이 0.1분 미만이면 응력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1.2분을 초과하면, 합금 박판의 기계 특성의 변동이나, 어닐링 시간의 증대에 따른 비용이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 어닐링 시간의 하한은 0.2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닐링 시간의 상한은, 한층 더한 저비용화를 목표로 하여, 0.9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0.6분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 재결정 어닐링은, 원하는 온도로 설정된 가열로에 제1 냉간 압연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냉간 압연재가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인출되고, 가열로를 통과하여, 롤상으로 권취하는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최종 냉간 압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전술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재료에 압하율 40% 이하의 최종 냉간 압연을 실시함으로써, 기계 특성의 이방성을 억제한 Fe-Ni계 합금 박판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40%를 초과하는 압연을 실시했을 때, 과도한 응력이 가해짐으로써 기계 특성의 이방성이 커지는 경향에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압하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압하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원하는 판 두께로의 조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15%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또한 상술한 기계 특성을 얻기 쉽게 하기 위해서, 최종 냉간 압연에서의 압연 전방 장력을 200 내지 500MPa, 압연 후방 장력을 100 내지 200MPa, 압연 속도를 250m/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압연 전방 장력의 하한은 250MPa이고, 보다 바람직한 압연 전방 장력의 상한은 400MPa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압연 후방 장력의 하한은 120MPa이고, 보다 바람직한 압연 후방 장력의 상한은 180MPa이다. 또한 압연 속도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작업성을 고려하면 100m/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최종 냉간 압연에 있어서는, 박판 표면의 흠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특성을 얻기 위해서, 1패스로 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냉간 압연 후의 강대에 있어서의 두께는 0.25mm 이하로 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Fe-Ni계 합금 박판을 예를 들어, 리드 프레임에 사용한 경우에서는 다핀화에 대응하기 쉽고, 예를 들어 메탈 마스크에 사용한 경우는, 에칭 가공에 의한 고정밀화에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두께의 상한은 0.15mm이다.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1mm,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08mm이다. 또한 하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재료가 지나치게 얇으면 형상 변화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0.02mm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Fe-Ni계 합금 박판은, 광폭(예를 들어, 판 폭이 500 내지 1200m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응력 제거 어닐링 생략>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최종 냉간 압연 후에는, 열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이 열처리란, 예를 들어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행하는 응력 제거 어닐링이다. 열처리를 생략함으로써, 잔류 응력의 개방에 따른 박판 형상의 변화나 기계 특성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제법에 의해 응력을 제거하지 않아도 기계 특성에서는 이방성이 없는 제품이 되기 때문에, 생략 가능하다. 또한, 열처리의 생략은,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여, 경제적이다.
계속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의 Fe-Ni계 합금 박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0.2% 내력, 신율값>
본 발명의 Fe-Ni계 합금 박판은, 폭 방향(박판의 표면 제 1방향이며, 압연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 길이 방향(박판의 표면 제2 방향이며,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압연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 45° 방향(박판의 표면 제3 방향이며,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의 관계를 갖는 방향)의 3방향에 있어서의 각 0.2% 내력끼리의 차가, 상기 3방향의 0.2% 내력의 평균값의 5% 이하이고, 또한 상기 3방향에 있어서의 각 신율값이, 상기 3방향의 평균 신율값의 0.90 내지 1.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2% 내력은 소성 변형 등의 가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이고, 신율값은 가공 후의 제품 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이다. 상기의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박판은, 절단 방향에 따른 강도나 형상의 변동이 적은 양호한 특성을 갖고, 예를 들어 여러 방향으로부터 합금 박판을 재단할 때의, 재단 조건의 변동을 억제하여, 양호한 작업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3방향에 있어서의 각 0.2% 내력끼리의 차가, 3방향의 평균값의 5%를 초과하는 경우, 이방성이 강해지기 때문에 절단 방향에 따른 형상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절단 방향에 따라서는 원하는 특성을 충족하지 않는 박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방향에 있어서의 각 0.2% 내력끼리의 차를, 3방향의 0.2% 내력의 평균값의 3% 이하로 설정한다. 이 각 0.2% 내력끼리의 차 및 각 신장 차끼리의 차는 0%(각 방향에서 특성이 동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들의 차를 0%로 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각 0.2% 내력끼리의 차의 하한은 0.1%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박판의 3방향에 있어서의 0.2% 내력의 평균값을 580MPa 이하로 함으로써, 합금 박판의 이방성을 더욱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평균 신율값을 2% 이하로 하는 것이, 재단 후의 제품 형상을 억제하는 데 바람직하다.
<결정 방위>
본 발명의 Fe-Ni계 합금 박판은, (200)면 집적도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의 Fe-Ni계 합금 박판은, 또한 기계 특성의 이방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리드 프레임 등을 가공하는 경우, 방향을 막론하고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면 집적도가 95% 이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200)면 집적도는, 예를 들어 X선 회절(XRD)법을 사용하여 Fe-Ni계 합금 박판의 압연면에 있어서의 (111), (200), (220), (311)의 X선 회절 적분 강도 I(111), I(200), I(220), I(311)을 측정하고, I(200)/ {I(111)+I(200)+I(220)+I(311)} 식을 사용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실시예]
진공 용해, 온도 균일화 열처리, 열간 프레스 및 열간 압연을 행하여 두께 3.0mm의 열간 압연재를 준비하였다. 열간 압연재의 화학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전술한 열간 압연재를 화학 연마, 기계 연마로 열간 압연재 표면의 산화층을 제거하고, 트림 가공으로 소재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있는 열간 압연 시의 균열을 제거하여 두께 1.55mm의 냉간 압연용 소재를 준비하였다. 또한, 냉간 압연용 소재의 폭은 860mm이다.
이어서, 전술한 냉간 압연용 소재를, 본 발명예, 비교예로 나누고, 표 2에 나타내는 공정을 실시하여 Fe-Ni계 합금 박판으로 하였다. 본 발명예에서는, 제1 냉간 압연, 재결정 어닐링, 최종 냉간 압연으로 하고, 비교예 1에서는, 중간 압연 (1), 재결정 어닐링, 중간 압연 (2), 재결정 어닐링, 최종 냉간 압연으로 하였다. 비교예 2에서는 본 발명예와 공정은 동일하지만, 최종 냉간 압연 시의 압하율을 본 발명보다도 크게 설정하였다.
본 발명예, 비교예 2의 제1 냉간 압연 및 비교예 1의 중간 압연 (1) (2)는, 전술한 냉간 압연용 소재를 사용하여, 표 2에 나타내는 압하율에서, 각각 패스수를 10패스로 하였다. 그 후, 본 발명예 및 비교예 모두, 온도 900℃, 유지 시간 0.36분에서 재결정 어닐링을 행하였다. 그리고, 압연 전방 장력 320MPa, 압연 후방 장력 140MPa, 압연 속도 200m/분의 조건에서 최종 냉간 압연을 행하였다. 또한, 비교예 1에서는, 2회의 재결정 어닐링을 행하였다. 또한, 비교예 3은 최종 냉간 압연까지는 본 발명예와 공정은 동일하지만, 최종 냉간 압연 후에 온도 600℃에서 응력 제거 어닐링을 행하였다. 본 발명예, 비교예 1, 비교예 2에는, 최종 냉간 압연 후의 응력 제거 어닐링은 행하지 않았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전술한 최종 냉간 압연을 종료한 Fe-Ni계 합금 박판으로부터, 각종 시험편을 채취하고, 각각의 시험에 제공하였다. 시험의 결과를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0.2% 내력 및 신장은, JIS-Z2241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서 행하였다. 시험편은 JIS13호 B 시험편이다. 또한, 본 발명예와 비교예 1에 관해서는, 박판 표면의 (200)면 집적도를 X선 회절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200면) 집적도는, X선 회절 적분 강도 I(111), I(200), I(220), I(311)을 측정하고, I(200)/ {I(111)+I(200)+I(220)+I(311)} 식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예의 (200)면 집적도는 98%이고, 비교예 1의 (200)면 집적도는 68%였다. 이에 의해 본 발명예의 Fe-NI계 합금 박판은, 매우 높은 (200)면 집적도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3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Fe-Ni계 합금 박판에서는, 폭 방향, 길이 방향, 45° 방향의 각 0.2% 내력끼리의 차가 최대로 7MPa이고, 평균값의 약 1.3%의 값이었다. 3방향의 신율값도 평균값의 약 0.92 내지 1배이고, 본 발명의 합금 박판이 매우 이방성이 적은 양호한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의 Fe-Ni계 합금 박판은, 폭 방향, 길이 방향, 45° 방향의 각 0.2% 내력끼리의 차가 최대로 52MPa이고, 평균값의 약 8.8%의 값이었다. 3방향의 신율값도, 평균값의 약 0.89 내지 1.13배이고, 본 발명예의 합금 박판보다도 기계 특성의 이방성이 큰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의 Fe-Ni계 합금 박판은, 폭 방향·길이 방향·45° 방향의 각 0.2% 내력끼리의 차가 최대로 22MPa이고, 평균값의 약3.8%의 값으로 규정 범위 내였다. 그러나 3방향의 신율값이, 평균값의 약 0.67 내지 1.33배의 값이고, 본 발명예의 합금 박판보다도 신율 특성의 이방성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3의 Fe-Ni계 합금 박판도, 0.2% 내력의 값은 규정 범위 내였지만, 3방향의 신율값이 크게 불규칙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2)

  1. 질량%로 Ni+Co: 35.0 내지 43.0%(단, Co는 0 내지 6.0%), Si: 0.5% 이하, Mn: 1.0% 이하,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2mm 이상인 열간 압연재를 사용하여 냉간 압연용 소재로 하고, 상기 냉간 압연용 소재에 대하여,
    압하율 85% 이상의 제1 냉간 압연을 행하고,
    상기 제1 냉간 압연 후, 온도 800℃ 이상, 유지 시간 0.1 내지 1.2분의 조건에서 재결정 어닐링을 행하고,
    상기 재결정 어닐링 후, 압하율 40% 이하의 최종 냉간 압연을 행하여, 두께가 0.25mm 이하인 Fe-Ni계 합금 박판으로 하고, 최종 냉간 압연 후에는 열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
  2. 질량%로 Ni+Co: 35.0 내지 43.0%(단, Co는 0 내지 6.0%), Si: 0.5% 이하, Mn: 1.0% 이하,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0.25mm 이하인 Fe-Ni계 합금 박판에 있어서, 상기 Fe-Ni계 합금 박판의 폭 방향, 길이 방향 및 45° 방향의 3방향에 있어서의 각 0.2% 내력끼리의 차가, 상기 3방향의 0.2% 내력의 평균값의 5% 이내이고, 상기 3방향에 있어서의 각 신율값이, 상기 3방향의 평균 신율값의 0.90 내지 1.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e-Ni계 합금 박판.
KR1020197008509A 2016-09-29 2017-08-22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 및 Fe-Ni계 합금 박판 KR102244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0743 2016-09-29
JPJP-P-2016-190743 2016-09-29
PCT/JP2017/029964 WO2018061530A1 (ja) 2016-09-29 2017-08-22 Fe-Ni系合金薄板の製造方法及びFe-Ni系合金薄板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659A true KR20190042659A (ko) 2019-04-24
KR102244229B1 KR102244229B1 (ko) 2021-04-26
KR102244229B9 KR102244229B9 (ko) 2023-03-03

Family

ID=6175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509A KR102244229B1 (ko) 2016-09-29 2017-08-22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 및 Fe-Ni계 합금 박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3521459B1 (ko)
JP (1) JP6781960B2 (ko)
KR (1) KR102244229B1 (ko)
CN (1) CN109804093A (ko)
WO (1) WO2018061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5564A (ja) * 2018-09-13 2020-03-26 日立金属株式会社 Fe−Ni系合金薄板
CN112322993A (zh) * 2020-11-19 2021-02-05 苏州钿汇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超薄铁镍合金材料及其制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4850A (ja) * 1990-07-17 1992-03-10 Nkk Corp シャドウマスク用Fe―Ni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79946A (ja) 1992-04-27 1994-10-04 Hitachi Metals Ltd エッチング性に優れるシャドウマスク材料、その中間材料、その製造方法、シャドウマスクの製造方法および陰極線管
JPH09268348A (ja) * 1996-04-03 1997-10-14 Hitachi Metals Ltd 電子部品用Fe−Ni系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62231A (ja) * 2000-03-17 2001-09-26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エッチング穿孔性に優れたFe−Ni系合金シャドウマスク用素材の製造方法
JP2003247048A (ja) * 2002-02-25 2003-09-05 Jfe Steel Kk エッチング速度とエッチング精度に優れた低熱膨張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3398A (ja) 2002-02-28 2003-09-10 Jfe Steel Kk エッチング速度とエッチング精度に優れた低熱膨張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331A (ja) * 1983-07-14 1985-02-02 Nippon Steel Corp Fe−Ni系低熱膨張合金板の製造方法
JPS62224636A (ja) * 1986-03-26 1987-10-02 Nippon Steel Corp 打抜き性およびメツキ性に優れたFe−Ni系合金板の製造方法
JPH07116558B2 (ja) * 1990-02-15 1995-12-13 日本鋼管株式会社 シャドウマスク用Fe―Ni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46781B2 (ja) * 1991-09-09 2002-11-18 株式会社東芝 シャドウマスク用原板およびシャドウマスク
JP2853069B2 (ja) * 1991-12-26 1999-02-03 日本鋼管株式会社 Fe−Ni系シャドウマスク用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620535A (en) * 1992-01-24 1997-04-15 Nkk Corporation Alloy sheet for shadow mask
JP2842022B2 (ja) * 1992-02-13 1998-12-24 日本鋼管株式会社 Fe−Ni系シャドウマスク用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57799A (ja) * 1995-10-05 1997-06-17 Hitachi Metals Ltd エッチング性に優れたFe−Ni系シャドウマスク素材ならびに成形性に優れたFe−Ni系シャドウマスク材、およびシャドウマスクの製造方法
JP2004285370A (ja) * 2003-03-19 2004-10-14 Hitachi Metals Ltd 電界放出型ディスプレイ用部材
FR2877678B1 (fr) * 2004-11-05 2006-12-08 Imphy Alloys Sa Bande d'alliage fer-nickel pour la fabrication de grilles support de circuits integres
JP5721691B2 (ja) * 2012-11-20 2015-05-20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メタルマスク材料及びメタルマスク
JP2015193871A (ja) * 2014-03-31 2015-11-05 日立金属株式会社 Fe−Ni系合金薄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598007B2 (ja) * 2015-09-30 2019-10-30 日立金属株式会社 Fe−Ni系合金薄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4850A (ja) * 1990-07-17 1992-03-10 Nkk Corp シャドウマスク用Fe―Ni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79946A (ja) 1992-04-27 1994-10-04 Hitachi Metals Ltd エッチング性に優れるシャドウマスク材料、その中間材料、その製造方法、シャドウマスクの製造方法および陰極線管
JPH09268348A (ja) * 1996-04-03 1997-10-14 Hitachi Metals Ltd 電子部品用Fe−Ni系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62231A (ja) * 2000-03-17 2001-09-26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エッチング穿孔性に優れたFe−Ni系合金シャドウマスク用素材の製造方法
JP2003247048A (ja) * 2002-02-25 2003-09-05 Jfe Steel Kk エッチング速度とエッチング精度に優れた低熱膨張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3398A (ja) 2002-02-28 2003-09-10 Jfe Steel Kk エッチング速度とエッチング精度に優れた低熱膨張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1459A1 (en) 2019-08-07
EP3521459B1 (en) 2024-02-14
CN109804093A (zh) 2019-05-24
JP6781960B2 (ja) 2020-11-11
JPWO2018061530A1 (ja) 2019-06-24
EP3521459A4 (en) 2020-03-25
EP4328331A3 (en) 2024-05-22
EP4328331A2 (en) 2024-02-28
WO2018061530A1 (ja) 2018-04-05
KR102244229B1 (ko) 2021-04-26
KR102244229B9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5892B (zh) Fe-Ni系合金薄板的制造方法
KR100699424B1 (ko) 철-니켈계 합금 박판 스트립의 제조 방법
TW201413007A (zh) 打孔加工所造成之鐵損特性劣化小的無方向性電磁鋼板
WO2008013305A1 (fr) Feuille en acier inoxydable pour pièce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lle-ci
JP2021014639A (ja) Fe−Ni系合金薄板の製造方法
JP2017064764A (ja) Fe−Ni系合金薄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7156279B2 (ja) メタルマスク用薄板の製造方法及びメタルマスク用薄板
KR102244229B1 (ko)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 및 Fe-Ni계 합금 박판
JP2015193871A (ja) Fe−Ni系合金薄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7294336B2 (ja) Fe-Ni系合金薄板
KR102225061B1 (ko) Fe-Ni계 합금 박판의 제조 방법 및 Fe-Ni계 합금 박판
JP2008223146A (ja) Fe−Ni系合金薄板材の製造方法
CN103691741A (zh) Fe-Al系合金带钢的制造方法
JP3334172B2 (ja) スタンピング金型を摩耗させることの少ない銅合金条材
JPH11269609A (ja) 電子部品用Fe−Ni系合金薄板
WO2023243710A1 (ja) Fe-Ni系合金薄板の製造方法およびFe-Ni系合金薄板
JP2004331997A (ja) シャドウマスク用高強度Fe−Ni−Co系合金
JP5237867B2 (ja) リードフレーム用Fe−Ni系合金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69760A (ja) Fe−Co系合金の製造方法
JP2013096007A (ja) 圧延銅箔
JPH11189845A (ja) 電子部品用Fe−Ni系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3600A (ja) 高Ni合金鋼連続鋳造スラブの熱間圧延方法
JP2005187886A (ja) シャドウマスク用高強度Fe−Ni−Co系合金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