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786A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786A
KR20190038786A KR1020190038070A KR20190038070A KR20190038786A KR 20190038786 A KR20190038786 A KR 20190038786A KR 1020190038070 A KR1020190038070 A KR 1020190038070A KR 20190038070 A KR20190038070 A KR 20190038070A KR 20190038786 A KR20190038786 A KR 20190038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ishing rod
joint
joint portion
hollow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622B1 (ko
Inventor
마사요시 나카오
다쿠지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초릿대가 금속제 중실의 막대 형상의 초리부의 이음부를 중공 구조의 수지 부재로 형성된 대직경 낚싯대체에 삽입하는 결합 구조의 낚싯대가 있고, 접합 개소가 기타와 강성이 상이하다.
낚싯대는 초리로부터 직축으로 신장되어, 후단측에 이음부를 설치한 중실 구조의 초리부와, 상기 금속 재료와 동일 금속 또는 특성이 상이한 금속에 의한 금속관에 의해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이음부가 감입하는 접합 개소를 갖는 초리 지지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본 발명은 금속에 의해 형성된 중실(中實) 구조의 초리부와 중공 구조의 초리 지지부를 포함하는 초릿대를 구비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낚싯대는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굽힘 강성이나 비틀림 강성 등이 향상되어, 낚싯대의 세경화 및 경량화가 진행하여, 취급이 용이해졌다. 낚싯대 전체의 세경화에 수반하여 낚싯대 끝도 가늘어지는데, 어종에 따라서는 낚싯대 끝에 부하가 크게 걸려서, 낚싯대의 강도의 밸런스 설계가 어려워지게 되었다. 또한, 낚싯대 끝은, 낚싯줄이 얽힌 상태에도 불구하고 릴로 낚싯줄을 감아 올렸을 경우, 또는 장치를 투입하여 국소적인 부하를 걸었을 경우에는, 초리부가 꺽여버리는 사고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초릿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금속제의 중실의 봉재를 초리부(소직경 낚싯대체)로서 사용한 초릿대가 제안되어 있다. 소직경 낚싯대체는, 초리 지지부(대직경 낚싯대체)측에 삽입되는 이음부(소직경 낚싯대체의 원측단부(元側端部))의 바로 앞으로부터 낚싯대 끝을 향하여 끝이 가는 경사(테이퍼)을 생성시키도록 프리프레그 시트를 감아서 고화된 경사 이음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음부가 삽입되는 대직경 낚싯대체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테이퍼 형상으로 감은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 이음부의 테이퍼가 대직경 낚싯대체의 테이퍼에 단차 없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89067호 공보
전술한 인용 문헌 1은, 초릿대가 금속제 중실의 막대 형상의 초리부(소직경 낚싯대체)의 이음부를 중공 구조의 수지 부재로 형성된 대직경 낚싯대체에 삽입하는 결합 구조이다. 이로 인해, 이음부가 되는 막대 부재와 수지 부재에 의한 낚싯대체의 중첩 부분의 강성이 전후에 비하여 커져 있다. 인용 문헌 1에서는, 이음부에 닿는 초리측에는 경사 이음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소직경 낚싯대체로부터 대직경 낚싯대체의 삽입 개구 단부까지는 매끄러운 휨새가 된다.
그러나, 대직경 낚싯대체가 수지 부재, 예를 들어 프리프레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를 만족시키고자 하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소직경 낚싯대체에 대하여 만곡하기 어려워져, 접합 개소를 경계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매끄러운 휨새로는 되지 않고, 감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중실의 계합부에 이어지는, 대직경 낚싯대체의 중공부와의 경계에는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구조가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실 구조를 갖는 초리부를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 구조의 초리 지지부에 연결하는 구조에 의해, 어신을 받아서 감도 좋게 매끄러운 휨새를 형성하고, 또한 높은 강성을 갖는 초릿대를 갖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가 초리로부터 직축 형상으로 신장하고, 후단측에 이음부를 설치한 중실 구조의 초리부와, 상기 금속 재료와 동일 금속 또는 특성이 상이한 금속에 의한 금속관에 의해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이음부가 감입하는 접합 개소를 갖는 초리 지지부로 구성되는 초릿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실 구조를 갖는 초리부를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 구조의 초리 지지부에 연결하는 구조에 의해, 어신을 받아서 감도 좋게 매끄러운 휨새를 형성하고, 또한 높은 강성을 갖는 초릿대를 갖는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싯대의 초릿대를 갖는 낚싯대의 개념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싯대의 초릿대의 접합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싯대의 초릿대의 접합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싯대의 초릿대의 개념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각 실시 형태의 초릿대는 복수로 분할되어서 병계식 등에 의해 계합하여 1개의 낚싯대가 되는 이음 낚싯대, 또는 이음매 없는 낚싯대, 소위 원피스 낚싯대 또는 진출 낚싯대 중의 어느 것에도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에서, 낚싯대가 있는 위치에서, 직경이 가는 낚싯대 끝측을 초리측 또는 선단측이라고 칭하고, 직경이 굵은 손잡이측을 대원측 또는 후단측이라고 칭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1)는 초릿대(1번 마디)(4)와, 2번대(2번 마디)(5) 이후에 낚싯대원까지 복수의 이음 낚싯대(도시하지 않음)가 이어진 구성예이다. 초릿대(4)는 낚싯대 끝이 되는 중실 구조로 형성되는 초리부(2)와,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중공 구조의 초리 지지부(3)가 접합되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초리부(2)는 막대 형상의 금속 재료에 스웨이징 가공을 사용하여 끝이 가는 테이퍼 가공에 의해 신장시켜서, 선단측부터 후단측으로 매끄럽게 대직경화하는 테이퍼 형상의 중실 구조로 형성되고, 후단측에 원뿔대 형상의 이음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초리 지지부(3)는 금속관에 스웨이징 가공을 사용하여 끝이 가는 테이퍼 가공에 의해 신장시켜서, 선단측부터 후단측으로 매끄럽게 대직경화하는 테이퍼 형상의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초리부(2)와 접합하는 초리 지지부(3)의 선단에는, 이음부(2a)와 밀하게 감합하는 이음용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개소(3a)가 설치되어 있다. 접합 개소(3a)에는, 이음부(2a)가 감입되어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음부 또는 이음 부재는 모두 접착 등을 사용하여 접합 고정되는 부위를 시사하고, 계합부 또는 계합 부재는 모두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는 부위를 시사한다.
또한, 후속하는 2번대(5)에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기 위해서, 초리 지지부(3)의 대원측에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원기둥 형상(중실) 또는 통 형상(중공)으로 형성된 계합부(3b)가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계합부(3b)는 후속하는 2번대(5)의 접합 개구단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감입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는, 금속 재료에 의한 중실 구조로 형성된 초리부(2)를 예로 했지만, 중실 구조를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초리부(2)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초리부(2)는 카본 등의 강화 섬유에 수지를 함침한 섬유 강화 수지 시트, 소위 프리프레그를 권회하여 열처리를 행하고, 중실 구조로 후단측을 향해 낚싯대 직경이 대직경화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초릿대에 있어서의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실 구조의 초리부와, 금속관에 의한 중공 구조의 초리 지지부를 접합하는 구조를 갖고, 수지 재료의 초리 지지부에 대하여 보다 높은 강성을 갖고, 또한 높은 감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금속 재료의 초리부와, 금속 재료의 초리 지지부를 조합한 경우에는, 섬유 강화 수지 시트와 같이 강성에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탄성이 상이한 금속 재료를 조합함으로써, 원하는 초릿대의 휨새와 감도가 되도록 설계하는 자유도가 크다. 예를 들어, 초리 지지부의 낚싯대 직경과 두께와 탄성 특성(재료) 등의 파라미터를, 대상 어종(물고기의 크기(무게) 및 인입의 강도 등)이나 장치의 구성(작은 물고기를 미끼로 쓰는 낚시나 밑밥 낚시, 또는 덴야 낚시의 장치 등)의 차이에 맞춰서 조합함으로써 원하는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의 대상 물고기이면, 낚싯대의 휨보다는 초리의 감도를 중요시한 낚싯대의 설정을 할 수 있고, 반대로, 등푸른 생선 등의 대형의 대상 물고기이면, 초리 감도보다, 낚싯대의 휨새 즉, 휨에 의해 인입의 강도를 피하면서 낚아 올리는 등, 각각의 대상 물고기에게 적합한 낚싯대 특성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계 낚싯대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그 밖에도, 진출 낚싯대 또는 중통 낚싯대여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낚싯줄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타입의 낚싯대를 예로 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낚싯줄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타입의 낚싯대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리부(2)의 원뿔대의 이음부(2a)를 접합 개소(3a)에 감합하여 접착한 구조이기 때문에, 이음매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접합부의 강성의 변화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급한 곡률 변화가 없는 휨새(물고기가 걸린 때의 휨새)가 실현되어, 낚시꾼이 부하의 크기(낚인 물고기의 크기)를 시인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초릿대(4)의 초리부(2)가 금속 재료에 의한 중실 구조로 형성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초리부(2)는 단일의 금속 재료만에 의한 중실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금속관에 스웨이징 가공을 사용한 끝이 가는 테이퍼의 중공 구조로 형성하고, 그 중공 구조 내에 다른 금속 부재, 또는 수지 재료를 충전한 중실 구조로 하여 형성해도 된다.
충전 부재로서는, 초리부(2)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중실 구조의 금속관의 금속 재료와는 상이한 특성(탄성)의 금속 재료를 감입하여 일체화되고, 2층의 금속에 의한 중실 구조로 함으로써, 설계의 폭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내심(충전 부재)의 금속에 외주면이 되는 금속관을 끼워넣어 용착하여 일체화된 후, 스웨이징 가공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그 밖에도, 금속관에 의한 중공 구조 내에, 예를 들어 금속 재료를 충전하여 용해하고, 또는 용해된 금속 재료를 충전하여 중실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2종의 금속을 용해 또는 용착에 의해 일체화된 후, 스웨이징 가공을 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단지 감입된 상태에서 스웨이징 가공에 의한 일체화여도 된다. 또한, 이 변형예는, 금속관으로 이루어지는 중공 구조의 초리부가 금속 재료를 충전하는 구조이나, 그 밖에도, 금속관으로 이루어지는 중공 구조의 초리부에 수지 재료를 충전한 중실 구조여도 된다. 또, 절삭에 의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제1 변형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초리부(11)를 강성 등이 상이한 금속관의 선택 및 두께(낚싯대의 두께)를 설정하고, 충전할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를 적절히 선택한 중실 구조로 함으로써, 단일의 금속 재료에 의한 중실 구조에 대하여 강성이나 휨새의 설계의 폭이 넓어져서, 원하는 특성의 초릿대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부재에 수지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경량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싯대의 초릿대의 접합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초릿대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실 구조의 초리부가, 금속관으로 이루어지는 중공 구조의 초리 지지부가 감입되어 접합하는 병계 구조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초리부(11)는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한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중실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 재료를 사용한 초리부(11)는 막대 형상의 금속 재료에 스웨이징 가공을 사용하여 끝이 가는 테이퍼 가공에 의해 신장시켜서, 선단측부터 후단측으로 매끄럽게 대직경화하는 테이퍼 형상의 중실 구조로 형성된다. 초리부(11)의 후단부는, 초리 지지부(12)의 선단 개구부에 감입하기 위한 감입부(11a)로서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강성 조정해도 된다.
초리 지지부(12)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금속관에 스웨이징 가공을 사용하여 신장시켜서, 초리부(11)의 감입부(11a)와 접합하는 감합부(12a)가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후, 후단측을 향해 대직경화하는 테이퍼 형상의 중공 구조로 형성된다.
초리부(11)의 감입부(11a)는 초리 지지부(12)의 감합부(12a)에 끼워넣어져서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서 일체화되어, 초릿대를 구성한다. 또한, 금속끼리의 접합이기 때문에, 접착제나 용착 이외에, 확산 접합, 마찰 교반 접합 등의 주지한 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두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초리부와 초리 지지부를 접합한 구조이기 때문에, 금속과 수지의 조합에 비하여 물성의 변화가 작으므로, 휨새의 곡률의 변화가 완만한 것이 되어, 보다 높은 강성을 갖고, 또한 높은 감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모두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초리부와 초리 지지부에 대하여 특성의 다른 금속 재료를 여러가지로 조합하여 적용함으로써, 특성, 예를 들어 탄성이 상이한 금속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초릿대의 휨새와 감도가 되도록 설계하는 자유도가 크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싯대의 초릿대의 접합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초릿대에 대하여 초리부와 초리 지지부의 접합 사이에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부를 개재시킨 구성이다.
초리부(11)는 막대 형상 금속 재료에 대하여 스웨이징 가공을 사용한 끝이 가는 테이퍼 형상의 중실 구조로 형성되고, 후단부는, 초리 지지부(12)의 선단 개구부에 감입하기 위한 감입부(11a)로서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감입부(11a)를 포함하여, 초리부(11)의 외주면으로부터 테이퍼 형상으로 수지 부재에 의한 보강부(14)가 형성된다. 보강부(14)는 테이퍼부(14a)까지, 두께를 서서히 증가시킨 후,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보강부(14)는 섬유 강화 수지 시트, 소위 프리프레그를 권회하여 열처리를 행하여 형성된다.
또한, 초리 지지부(12)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금속관에 스웨이징 가공을 사용하여 신장시켜서, 감입부(11a)에 접합하는 감합부(12a)가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후, 후단측을 향해 대직경화하는 테이퍼 형상의 중공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보강부(14)는 감합부(12a)에 감입되는 부분이, 그 개구 내경에 맞추어, 외주 주위면이 절제되어서, 테이퍼부(14a)와는 단차를 가진 평탄한 접합부(14b)가 형성된다.
초릿대는, 보강부(14)의 접합부(14b)을 초리 지지부(12)의 감합부(12a)에 감입시켜서 고착하고, 초리부(11)와 초리 지지부(12)을 접합한다. 이 고착 방법으로서는, 접착제나 레이저 용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감입부(11a)와 감합부(12a)의 단차를 가진 접합부에 테이퍼부(14a)를 갖는 보강부(14)을 설치함으로써, 낚싯대 끝으로부터 부하가 이동할 때에 단차에 의한 강성(휨새)의 변화가 완화되어, 매끄러운 변화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보강부(14)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음부(2a)와 접합 개소(3a)의 사이에 적용하는 것도 용이해서,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낚싯대
2, 11: 초리부
2a: 이음부
3, 12: 초리 지지부
3a: 접합 개소
3b: 계합부
4: 초릿대(1번 마디)
11a: 감입부
11b: 감입부
12a: 감합부,
14: 보강부
14a: 테이퍼부
14b: 접합부

Claims (3)

  1.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초리로부터 직축 형상으로 신장하고, 후단측에 이음부를 설치한 중실 구조의 초리부와,
    선단측에 상기 이음부가 감입하는 접합 개소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금속 재료와 동일 금속 또는 특성이 상이한 금속에 의한 금속관에 의해 중공 구조로 형성되는 초리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초리부의 상기 이음부와 상기 초리 지지부의 상기 접합 개소의 접합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초리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로 형성되고, 또한 수지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갖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이음부가 감입하는 상기 접합 개소의 감합부에 감입되는 부분이 그 개구 내경에 맞추어, 외주 주위면이 절제되어, 상기 테이퍼부와는 단차를 갖는 평탄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릿대를 갖는 낚싯대.
  2.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초리로부터 직축 형상으로 신장하고, 후단측에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연신하는 감입부를 갖는 중실 구조의 초리부와,
    금속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외주면 및 내주면이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연신하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감입부가 감입되는 접합 개소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초리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초리부의 상기 감입부와 상기 초리 지지부의 상기 접합 개소의 접합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초리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로 형성되고, 또한 수지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갖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감입부가 감입하는 상기 접합 개소의 감합부에 감입되는 부분이 그 개구 내경에 맞추어, 외주 주위면이 절제되어, 상기 테이퍼부와는 단차를 갖는 평탄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릿대를 갖는 낚싯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상기 초리부는,
    외피면이 되는 금속관 재료에 의한 중공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 구조 내에 다른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가 충전되어서 중실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릿대를 갖는 낚싯대.
KR1020190038070A 2012-10-30 2019-04-01 낚싯대 KR102067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9291A JP5887250B2 (ja) 2012-10-30 2012-10-30 釣竿
JPJP-P-2012-239291 2012-10-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863A Division KR20140056020A (ko) 2012-10-30 2013-10-25 낚싯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786A true KR20190038786A (ko) 2019-04-09
KR102067622B1 KR102067622B1 (ko) 2020-01-17

Family

ID=506593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863A KR20140056020A (ko) 2012-10-30 2013-10-25 낚싯대
KR1020190038070A KR102067622B1 (ko) 2012-10-30 2019-04-01 낚싯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863A KR20140056020A (ko) 2012-10-30 2013-10-25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87250B2 (ko)
KR (2) KR20140056020A (ko)
CN (1) CN103782978B (ko)
TW (1) TWI5422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8172B2 (ja) * 2013-12-27 2017-06-1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2015226526A (ja) * 2014-06-02 2015-12-17 勇紀 神谷 釣竿における接合冶具および接合方法
US10085433B2 (en) * 2014-12-26 2018-10-02 Globeride, Inc. Tip r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same
JP2016136926A (ja) * 2015-01-29 2016-08-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6402073B2 (ja) * 2015-06-24 2018-10-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TWI567272B (zh) 2015-08-25 2017-01-21 Globe Union Ind Corp Touch nozzle
KR101634703B1 (ko) 2015-11-03 2016-07-11 대동커튼월 주식회사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패널 시스템
JP7133994B2 (ja) * 2018-06-14 2022-09-09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及び釣竿
JP6974287B2 (ja) * 2018-09-27 2021-12-0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352Y1 (ko) * 1988-07-28 1990-09-15 주식회사 은성사 낚싯대의 끝대
JP2007289067A (ja) 2006-04-25 2007-11-08 Shimano Inc 穂先竿
JP2007319014A (ja) * 2006-05-30 2007-12-13 Daiwa Seiko Inc 釣竿
JP2009178131A (ja) * 2008-01-31 2009-08-13 Daiwa Seiko Inc 釣り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049A (ja) * 1988-11-02 1990-05-11 Daiwa Seiko Inc 釣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64914B2 (ja) * 1998-12-25 2007-08-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
JP4353385B2 (ja) * 2000-06-12 2009-10-28 株式会社シマノ 竿体の連結構造
US20020152668A1 (en) * 2001-04-19 2002-10-24 Lybarger Michael A. Superelastic fishing rod
JP4311534B2 (ja) * 2003-04-04 2009-08-12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JP2005210985A (ja) * 2004-01-30 2005-08-11 Daiwa Seiko Inc 穂先竿
JP4518554B2 (ja) * 2004-11-19 2010-08-0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の竿体
CN201064142Y (zh) * 2007-02-15 2008-05-28 西安赛特金属材料开发有限公司 钛质钓鱼竿
JP5155101B2 (ja) * 2008-10-28 2013-02-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4959666B2 (ja) * 2008-10-31 2012-06-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用穂先の製造方法
JP5701734B2 (ja) * 2011-10-31 2015-04-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352Y1 (ko) * 1988-07-28 1990-09-15 주식회사 은성사 낚싯대의 끝대
JP2007289067A (ja) 2006-04-25 2007-11-08 Shimano Inc 穂先竿
JP2007319014A (ja) * 2006-05-30 2007-12-13 Daiwa Seiko Inc 釣竿
JP2009178131A (ja) * 2008-01-31 2009-08-13 Daiwa Seiko Inc 釣り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82978A (zh) 2014-05-14
KR102067622B1 (ko) 2020-01-17
JP5887250B2 (ja) 2016-03-16
KR20140056020A (ko) 2014-05-09
TWI542280B (zh) 2016-07-21
JP2014087295A (ja) 2014-05-15
TW201417705A (zh) 2014-05-16
CN103782978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8786A (ko) 낚싯대
WO2011102398A1 (ja) 釣り竿用ラインガイド(トップラインガイドを含む)及び釣り竿
KR101917891B1 (ko) 낚싯대
KR20140029239A (ko) 낚싯대
JP5701734B2 (ja) 釣竿
JP4726112B2 (ja) 穂先竿
JP2009039011A (ja) 船竿用の穂先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20499A (ja) 穂先竿
JP2007020498A (ja) 穂先竿
US10383319B2 (en) Casting rod and method of fabricating tip rod of casting rod
JP2009159835A (ja) 釣竿
JP5770991B2 (ja) 釣糸ガイド
JP5199027B2 (ja) 釣竿
JP4022124B2 (ja) 釣竿
JP2014007968A (ja) 釣竿
JP5376594B2 (ja) インロー継合構造を有する釣竿
JP2006141284A (ja) 釣り竿用の竿体
JP2016041083A (ja) 釣竿
EP0880891B1 (en) Fishing rod
JP4222507B2 (ja) 穂先竿
JP6402073B2 (ja) 釣竿
JP2020103228A (ja) インロー継式の釣竿
JP2000295946A (ja) 竿体の連結構造
JP2002101788A (ja) 釣 竿
JP2000041536A (ja) 中実杆を使用した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