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333A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3333A KR20190013333A KR1020170097793A KR20170097793A KR20190013333A KR 20190013333 A KR20190013333 A KR 20190013333A KR 1020170097793 A KR1020170097793 A KR 1020170097793A KR 20170097793 A KR20170097793 A KR 20170097793A KR 20190013333 A KR20190013333 A KR 201900133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space
- plate member
- vacuum
- hea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943 off-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06 Liquid cryst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7 Liquid-crystal polymers (LC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UPQTSLXMOCDHR-UHFFFAOYSA-N benzene-1,4-diol;bis(4-fluoro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OC1=CC=C(O)C=C1.C1=CC(F)=CC=C1C(=O)C1=CC=C(F)C=C1 JUPQTSLXMOCDH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93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3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creating a vacuum in a storage compart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Telescop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체에는, 진공단열체의 복사열전달량을 줄이는 열저항유닛의 일 부품으로서, 진공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쉬트베이스; 및 상기 쉬트베이스에서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쉬트베이스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쉬트돌기부를 가지는 자주형 복사저항쉬트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진공단열체는 몸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열전달을 억제하는 물품이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대류 및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온장장치 및 냉장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 냉장고에 적용되는 단열방식은 냉장과 냉동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대략 30센티미터가 넘는 두께의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로써 냉장고의 내부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냉장고의 내부 용적을 늘리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에 진공단열체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먼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0343719(인용문헌 1)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따르면 진공단열패널(Vacuum adiabatic panel)을 제작하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을 냉장고의 벽에 내장하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의 외부를 스티로폼인 별도 성형물로 마감하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에 따르면 발포가 필요 없고,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은 비용이 상승하고 제작방식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서 공개특허 10-2015-0012712(인용문헌 2)에는 진공단열재로 벽을 제공하고 그에 더하여 발포 충전재로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기술에 제시되어 있다. 이 방식도 비용이 증가하고 제작방식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냉장고의 벽을 전체로 단일물품인 진공단열체로 제작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40226956A1(인용문헌 3)에는 진공상태로 냉장고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냉장고의 벽을 충분한 진공상태로 제공하여 실용적인 수준의 단열효과를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온도가 서로 다른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와의 접촉부분의 열전달 현상을 막기가 어렵고, 안정된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진공상태의 음압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들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용문헌 3의 기술도 극저온의 냉장장치에 국한하고, 일반 가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은 제공하지 못한다.
상기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10-2011-0113414호(인용문헌 4)를 출원한 바가 있다. 상기 문헌에는 진공단열체에 이루어지는 냉장고를 제안하고, 특히, 복사저항쉬트의 설치를 위한 간격유지부재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의하더라도, 서포팅 유닛에 복사저항쉬트를 설치하는 작업이 어렵고, 특히, 복사저항쉬트의 삽입 시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간격유지부재를 별도로 삽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수지재의 부재를 사용하므로 무게, 비용, 및 아웃개싱이 증자한다. 뿐만 아니라 소정 두께의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진공단열체의 단열두께의 확보에 제한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복사저항쉬트의 설치불편을 해소하는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수지재질의 추가 사용에 따른 무게, 비용, 및 아웃개싱의 증가문제를 해소하는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의 단열두께의 설정에 대한 제한이 없는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를 제안한다.
복사저항쉬트의 설치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주형 복사저항쉬트가 개시된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에는,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쉬트베이스와, 상기 쉬트베이스에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쉬트베이스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쉬트돌기부를 가진다.
수지재질의 추가 사용에 다른 무게, 비용, 및 아웃개싱의 증가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수지재질을 적용함이 없이,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는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바를 통과하는 통과홀과 쉬트돌기부에 의해서, 복사저항쉬트의 위치 및 간격이 고정될 수 있다.
설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바가 통과하는 통과홀은, 상기 쉬트베이스의 테두리 부분이 작고, 상기 쉬트베이스의 안쪽 부분이 크게 제공된다.
설치가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통과홀은 상기 쉬트돌기부의 끝단에 형성된다.
수지재의 재질을 더욱 줄이기 위하여, 상기 쉬트돌기부는 상기 쉬트베이스의 양면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
복사열전달에 더 저항하기 위하여,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는 복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적층되는 상기 두 개의 자주형 복사저항쉬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쉬트베이스의 양면에 상기 쉬트돌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막기 위하여 전도방지구가 개입될 수 있다.
진공단열체의 단열두께의 설정에 대한 제한이 없도록, 2차원 평면구조의 쉬트베이스와, 상기 쉬트베이스의 적어도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쉬트베이스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을 고정하는 쉬트돌기부가 포함되어 다수의 복사저항쉬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복사저항쉬트를 장착하는 작업만으로 복사저항쉬트의 간격 및 위치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사저항쉬트의 간격을 위하여 수지가 사용되지 않거나 적은 양이 사용되므로, 제조비가 줄고, 아웃개싱이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단열체 별로 설정된 복사열전달을 줄이기 위한 복사저항쉬트의 제한없이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각 수지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표.
도 5는 수지의 진공유지능력을 실험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PPS와 low outgassing PC에서 방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그래프.
도 7은 고온 배기시에 대기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최대변형온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8은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9는 서포팅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서포팅유닛의 부분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에 의한 복사열전달 차폐의 다양한 실시형태.
도 15는 제 1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16은 제 2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17은 제 3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18은 제 4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19는 제 5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20은 제 6 변형례에 적용되는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의 평면도
도 21은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2는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
도 23은 진공압과 가스전도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각 수지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표.
도 5는 수지의 진공유지능력을 실험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PPS와 low outgassing PC에서 방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그래프.
도 7은 고온 배기시에 대기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최대변형온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8은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9는 서포팅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서포팅유닛의 부분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에 의한 복사열전달 차폐의 다양한 실시형태.
도 15는 제 1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16은 제 2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17은 제 3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18은 제 4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19는 제 5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20은 제 6 변형례에 적용되는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의 평면도
도 21은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2는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
도 23은 진공압과 가스전도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 제시되는 도면은 실제 물품과는 다르거나 과장되거나 간단하거나 세밀한 부품은 삭제하여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 기술사상 이해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제시되는 크기와 구조와 형상으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진공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그 어떤 압력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A가 B보다 진공도가 높다는 표현은 A의 진공압이 B의 진공압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캐비티(9)가 제공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3)는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되거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캐비티(9)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캐티비(9)는 냉장실 및 냉동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부품이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6)와,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열을 빼앗는 증발기(7)가 포함된다. 전형적인 구조로서, 상기 증발기(7)가 인접하는 위치에 팬을 설치하고, 팬으로부터 송풍된 유체가 상기 증발기(7)를 통과한 다음에 캐비티(9)로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팬에 의한 송풍량 및 송풍방향을 조정하거나 순환 냉매의 양을 조절하거나 압축기의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냉동부하를 조절하여, 냉장공간 또는 냉동공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체 측 진공단열체는 상면과 측면의 벽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고, 도어 측 진공단열체는 전면의 벽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전도저항쉬트(60)(63)가 제공되는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어 이해가 편리하게 되도록 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진공단열체에는, 저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고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사이 간격부로 정의되는 진공공간부(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전도를 막는 전도저항쉬트(60)(63)가 포함된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밀폐상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를 밀봉하는 밀봉부(61)가 제공된다. 냉장고 또는 온장고에 상기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이너케이스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아웃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하측 후방에는 냉동사이클을 제공하는 부품이 수납되는 기계실(8)이 놓이고, 상기 진공단열체의 어느 일측에는 진공공간부(50)의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상태를 조성하기 위한 배기포트(40)가 제공된다. 또한, 제상수 및 전기선로의 설치를 위하여 진공공간부(50)를 관통하는 관로(6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온도가 서로 다른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공간의 위한 벽은, 공간에 직접 접하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공간에 접하지 않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공간에 접하는 별도의 벽을 더 가지는 물품의 경우에도 실시예의 진공단열체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공단열체가 단열효과의 손실을 일으키는 요인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도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복사, 및 진공공간부(50)의 가스전도(gas conduction)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열전달의 요인과 관련하여 단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제공되는 열저항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는 진공단열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또 다른 단열수단을 더 가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쪽 일면에 발포 등을 이용하는 단열수단을 더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과는 다른 압력, 바람직하게는 진공 상태의 제 3 공간으로 제공되어 단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 및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에 해당하는 온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진공 상태의 공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각 공간의 압력차만큼의 힘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진공공간부의 수축에 따른 복사전달량의 증가,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접촉에 따른 전도전달량의 증가에 따른 단열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에는 바(31)가 포함된다. 상기 바(31)는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31)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지지 플레이트(35)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31)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격자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와 접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열전달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3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고정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사이에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31)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5)의 총단면적은 상기 바(31)의 총단면적보다 크게 제공하여, 상기 바(31)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를 통하여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의 재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진공압에 견디기 위하여 압축강도가 높아야 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웃게싱(outgassing) 및 물흡수율이 작아야 하고,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줄이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작아야 하고, 고온 배기공정에 견딜 수 있도록 고온에서 압축강도가 확보되어야 하고, 성형을 할 수 있도록 가공성이 좋아야 하고, 비용이 저렴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공정의 수행시간은 수 일(several days) 정도에 이르기 때문에 그 시간을 줄이는 것은 제조비용 및 생산성에 큰 장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고온에서 압축강도가 확보되어야 하는 것은 배기공정의 수행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배기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상기되는 조건 하에서 발명자는 다양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먼저, 세라믹 및 유리재질은 아웃게싱율(outgassing rate)과 물흡수율이 작지만 가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수지를 재질로 검토할 수 있다.
도 4는 각 수지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자는 다양한 수지재료를 검토한 바가 있으나, 대부분의 수지가 아웃게싱율 및 물흡수율이 현저히 높아서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대략적으로 아웃게싱율과 물흡수율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PE재질은 아웃게싱율이 높고 압축강도가 낮아서 사용하기가 부적절하고, PCTFE재질은 가격이 현저하게 높아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고, PEEK재질은 아웃게싱율이 높아서 사용하기가 부적절하였다. 이에, 상기 서포팅유닛은 PC(polycarbonate), glass fiber PC, low outgassing PC, PPS(poly phenylene sulfide), 및 LCP(liquid-crystal polymer) 중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그 재질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PC의 경우에도 아웃게싱율은 0.19로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열을 가하면서 배기하는 베이킹 시간을 일정수준 길게 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지의 재질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여 최적의 재질을 알아내었다. 이하에서는 수행된 각 연구활동의 결과물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수지의 진공유지능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팅유닛을 각각의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한 다음에 진공을 유지할 수 있는 성능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선택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서포팅유닛을 에탄올로 세척하고, 저압에서 48시간을 방치하고, 2.5시간 동안 외기에 노출한 다음에 진공단열체에 넣고 90도씨에서 대략 50시간 동안 배기과정을 진행한 다음에 진공유지성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LCP의 경우에는 초기 배기성능은 가장 좋지만 진공유지성능이 나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온도에 민감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특성을 보건데 5×10-3torr를 최종허용압력이라고 할 때 0.5년 정도의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서포팅유닛의 재질로는 다른 재질에 비하여 불리하다.
상기 glass fiber PC(G/F PC)는 배기속도가 빠르지만 진공유지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첨가물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그래프의 특성을 보건데 동일조건에서 8.2년 정도의 시간동안 진공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서포팅유닛의 재질로는 다른 재질에 비하여 불리하다.
상기 low outgassing PC(O/G PC)는 상기 두 재질에 비해서는 진공유지성능이 뛰어나고, 동일조건에서 34년 정도의 시간동안 진공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초기 배기성능이 떨어져서 제작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볼 수 있다.
상기 PPS의 경우에는 진공유지성능이 월등히 뛰어나고 배기성능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공유지성능을 기준으로 할 때에는 PPS의 재질을 서포팅유닛의 재질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게 고려된다.
도 6은 PPS와 low outgassing PC에서 방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로서, 수평축은 가스의 분자량이고, 수직축은 농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low outgassing PC의 방출가스를 분석한 것으로서, H2계열(Ⅰ), H2O계열(Ⅱ), N2/CO/CO2/O2계열(Ⅲ), 및 탄화수소계열(Ⅳ)이 골고루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b는 PPS의 방출가스를 분석한 것으로서, H2계열(Ⅰ), H2O계열(Ⅱ), 및 N2/CO/CO2/O2계열(Ⅲ)이 약한 정도로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c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방출가스를 분석한 것으로서, PPS와 유사한 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PPS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비슷한 가스의 방출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분석결과, PPS가 상기 서포팅유닛의 재질로서 우수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고온 배기시에 대기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최대변형온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때 상기 바(31)는 2㎜직경으로 30㎜간격으로 제공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PE의 경우에는 60도씨에서 파단이 발생하고 low outgassing PC의 경우에는 90도씨에서 파단이 발생하고 PPS의 경우에는 125도씨에서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되는 각 분석의 결과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질로는 PPS가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조비용의 면에 있어서는 low outgassing PC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통한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복사를 줄이는 복사저항쉬트(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는 부식방지와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은 방사율이 0.16으로서 비교적 높기 때문에 많은 복사열 전달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수지를 재질로 하는 상기 서포팅유닛의 방사율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비하여 낮고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복사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복사열 전달의 저감에 중점적으로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면적의 대부분을 가로질러서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재질로는, 방사율(emissivity)이 낮은 물품이 바람직하고, 실시예에서는 방사율 0.02의 알루미늄 박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로는 충분한 복사열 차단작용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적어도 두 장의 복사저항쉬트(3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어느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는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33)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재질인 스테인레스보다는 방사율이 높을 수 있지만, 진공공간부를 충전하고 있으므로 복사열전달의 저항효율이 높다.
도 8은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에는 각 전도저항쉬트가 구조가 간단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도면을 통하여 더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8a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밀봉되어야 한다. 이때 두 플레이트 부재는 각각이 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양자 간에 열전달이 발생할 수 있다. 종류가 다른 두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저항쉬트(60)가 마련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양단이 밀봉되는 밀봉부(61)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서 흐르는 열전도량을 줄이기 위하여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얇은 박판으로 제공된다. 상기 밀봉부(610)는 용접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가 서로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간의 융착 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는 서로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스테인레스를 그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610)는 용접부로 제한되지 않고 코킹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곡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열전도의 거리는 각 플레이트 부재의 직선거리보다 길게 제공되어, 열전도량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온도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그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어 단열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의 경우에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고온이고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저온이다. 그리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전도가 일어나고 열흐름을 따라서 쉬트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곳을 통한 열전달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저온공간 또는 고온공간의 어느 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노출되는 양만큼 전도저항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상기 차폐부(62)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면에 접하는 다공성물질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 놓이는 별도의 가스켓으로 예시가능한 단열구조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본체 측 진공단열체가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대하여 닫힐 때 대응하는 전도저항쉬트(6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의 일 부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차폐부(62)는 다공성물질 또는 별도의 단열구조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b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고, 도 8a에 대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바깥쪽으로는 사이드 프레임(70)이 더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도어와 본체와의 실링을 위한 부품과 배기공정에 필요한 배기포트와 진공유지를 위한 게터포트 등이 놓일 수 있다. 이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부품의 장착이 편리할 수 있지만, 도어측은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도어 측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진공공간부의 선단부, 즉 모서리 측면부에 놓이기 어렵다. 이는 도어(3)의 모서리 에지부는 본체와 달리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진공공간부의 선단부에 놓이면, 상기 도어(3)의 모서리 에지부는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단열을 위하여 별도의 단열부를 구성해야 하는 불리함이 있기 때문이다.
도 8c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진공공간부를 관통하는 관로에 바람직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도 8a 및 도 8b에 대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관로(64)가 제공되는 주변부에는 도 8a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주름형 전도저항쉬트(63)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열전달경로를 길게 할 수 있고, 압력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저항쉬트의 단열을 위한 별도의 차폐부도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8a를 참조하여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달경로를 설명한다. 진공단열체를 통과하는 열에는, 상기 진공단열체의 표면,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전달되는 표면전도열(①)과,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제공되는 서포팅유닛(30)을 따라서 전도되는 서포터전도열(②)과, 진공공간부의 내부 가스를 통한 가스전도열(③)과, 진공공간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복사전달열(④)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전달열은 다양한 설계 수치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가 변형되지 않고 진공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서포팅유닛을 변경할 수도 있고, 진공압을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의 간격길이를 달리할 수 있고, 전도저항유닛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가 제공하는 각 공간(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온도차를 어느 정도를 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총열전달량이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공되는 단열구조물에 비하여 열전달량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구성을 알아내었다. 여기서,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는 냉장고에서의 실질열전달계수는 19.6mW/mK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을 상대적으로 분석하면, 가스전도열(③)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열전달의 4%이하로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①) 및 상기 서포터전도열(②)의 합으로 정의되는 고체전도열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많다. 예를 들어 75%에 달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상기 고체전도열에 비해서는 작지만 가스전도열에 의한 열전달보다는 크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전체 열전달량의 대략 20%를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분포에 따르면, 실질열전달계수(eK: effective K)(W/mK)는 상기 전달열(①②③④)을 비교할 때 수학식 1의 순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대상 물품의 형상과 온도차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전체 열전달량과 열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여 얻어낼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 내에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가열원을 두고서 발열량을 알고(W), 냉장고의 도어 본체와 도어의 테두리를 통하여 각각 전달되는 열을 도어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고(K), 열이 전달되는 경로를 환산값으로 확인함으로써(m), 실질열전달계수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전체 진공단열체의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k=QL/A△T로 주어지는 값으로서, Q는 열전달량(W)으로서 히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고, A는 진공단열체의 단면적(m2)이고, L은 진공단열체의 두께(m)이고, △T는 온도차로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은, 전도저항쉬트(60)(63)의 입출구의 온도차(△T), 전도저항쉬트의 단면적(A), 전도저항쉬트의 길이(L), 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k)(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를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서포터전도열은, 서포팅유닛(30)의 입출구의 온도차(△T), 서포팅유닛의 단면적(A), 서포팅유닛의 길이(L),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k)을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전도열(③)과 상기 복사전달열(④)의 합은 상기 전체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에서 상기 표면전도열과 상기 서포터전도열을 빼는 것에 의해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 전도열과 상기 복사전달열의 비율은 진공공간부의 진공도를 현저히 낮추어 가스 전도열이 없도록 하였을 때의 복사전달열을 구하는 것으로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 다공성물질전도열은 상기 서포터전도열(②)과 복사열(④)을 합한 양으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전도열은 다공성물질의 종류와 양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바(31)가 이루는 기하학적 중심과 바가 위치하는 곳과의 온도차(△T1)는 0.5도씨 미만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바가 이루는 기하학적 중심과 진공단열체의 에지부와의 온도차(△T2)는 5도씨 미만으로 제공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지점에서,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평균온도와의 온도차이가 가장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뜨거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저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차가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고가 된다.
이는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표면전도열을 제외하는 다른 곳을 통한 열전달량은 충분히 제어되어야 하고, 표면전도열이 가장 큰 열전달량을 차지하는 경우에 비로소 전체적으로 진공단열체가 만족하는 전체 열전달량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온도변화량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온도변화량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를 제공하는 각 부품의 물리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진공압에 의한 힘이 모든 부품에 가하여진다. 따라서, 일정한 수준이 강도(strength)(N/m2)를 가지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진공압에도 불구하고 파손되지 않는 충분한 강도(strength)가 있는 재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서포터전도열을 제한하기 위하여 바(31)의 개수를 작게 하는 경우에는 진공압에 의한 플레이트 부재의 변형이 발생하여 외관이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방사율이 낮으면서 용이하게 박막가공이 가능한 물품이 바람직하고, 외부충격에 변형되지 않은 정도의 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진공압에 의한 힘을 지지하고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제공되고 가공성이 있어야 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얇은 판상이면서도 진공압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사이드 프레임, 및 전도저항쉬트는 동일한 강도인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스테인레스보다는 약한 강도인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은 알루미늄보다 약한 강도인 수지를 그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재질의 측면에서 바라본 강도와 달리, 강성 측면에서의 분석이 요청된다. 상기 강성(stiffness)(N/m)은 쉽게 변형되지 않는 성질로서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그 형상에 따라서 강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는 강도가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열저항을 높이고 진공압이 가하여질 때 거친면이 없이 고르게 펼쳐져 방사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강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변형으로 다른 부품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의 강성이 요청된다. 특히, 상기 복사저항쉬트의 테두리 부분은 자중에 따른 처짐이 발생하여 전도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일정 수준의 강성이 요청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플레이트 부재로부터의 압축응력 및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이 요청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및 사이드 프레임은 진공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가장 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팅유닛, 특히 바는 두번째로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서포팅유닛보다는 약하지만 전도저항쉬트보다는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진공압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여 가장 강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를 다공성물질(33)로 채우는 경우에도 전도저항쉬트가 가장 강성이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레이트 부재 및 사이드 프레임이 가장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서포팅유닛(3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사저항쉬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복사저항쉬트는 스스로 설치간격을 유지하여 복사열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할 수 있다. 또한, 복사저항쉬트가 설치된 다음에,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서 요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서포팅유닛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0은 서포팅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부재(20)의 내측으로 지지 플레이트(35)가 놓인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에는 바(31)가 제공되어 상기 진공공간부의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진공공간부를 가로질러 복사저항쉬트가 설치된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방사율이 낮은 알루미늄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복사열전달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복사열이 전달되는 간격의 크기가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의 간격을 정할 때에는, 복사저항쉬트 간의 간격, 및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복사열전달의 매개체가 되는 모든 부재 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설정하고 유지한다.
상기 복사저항쉬트의 위치고정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사저항쉬트에는 바(31)가 통과하는 통과홀(343)이 제공된다. 상기 통과홀(343)은 복사저항쉬트가 요동하지 않을 수 있다. 정확하게는, 도 10에서 좌우방향 또는 지면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통과홀(343)로는, 복사저항쉬트의 테두리 부분에서 적어도 수 개는 바(31)의 외경과 거의 일치되거나 조금 큰 제 1 크기의 홀, 및 복사저항쉬트의안쪽 부분에서의 다수는 바(31)의 외경보다 큰 제 2 크기의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상기 제 1 크기의 홀이 복사저항쉬트의 위치가 바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고, 제 2 크기의 홀은 바에 접하지 않도록 하여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작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복사저항쉬트의 간격고정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2차원 평판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쉬트베이스(341)와, 상기 쉬트베이스(341)에서 돌출되는 쉬트돌기부(342)가 포함된다.
상기 쉬트돌기부(342)는 쉬트베이스(341)에서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은 반대되는 부재,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35)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쉬트돌기부(342)는 쉬트베이스(341)를 프레스 가공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서 쉬트돌기부(342)를 제작하고 쉬트베이스(341)에 체결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쉬트베이스(341)는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복사가 차폐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쉬트돌기부(342)는 쉬트베이스(341)와 지지 플레이트(35)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쉬트베이스(341)가 상기 진공공간부의 간격 중의 어느 일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더라도, 쉬트돌기부(342)가 버티고 있기 때문에 간격방향으로 움직일 수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설계시에 반영된 간격에 고정되어 복사저항쉬트는 움직일 수 없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사저항쉬트가 스스로 기립하여 간격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라고 이름할 수 있다.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는 저방사율을 가지는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재질은 열 전도가 높은 물성을 가진다. 따라서 열전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쉬트돌기부(342)의 첨단(P)은 금속재질의 플레이트 부재(10)(20)에 직접 닫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쉬트돌기부(342)가 플레이트 부재 측에 직접 접하지 않고, 그 사이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35)가 개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수지를 재질로 하는 물품으로서, 열전도율이 낮다. 또한, 상기 쉬트돌기부(342)의 첨단(P)는 면적이 작은 첨점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개면에서의 전도열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쉬트돌기부(342)의 첨단(P)이 접하는 위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5)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 어떠한 부재라도, 쉬트돌기부(342)와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사이에 개입되어, 접촉에 의한 높은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쉬트돌기부(342)는 반구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상기 쉬트베이스(341)에 대한 프레스 가공 등의 방식으로 쉬트돌기부(342)가 제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과, 쉬트돌기부(342)의 형상, 특히 첨단(P)부위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만약, 상기 첨단부위가 변형되면 접촉면적이 늘어나 열전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쉬트돌기부(342)는 상기 쉬트베이스(341)의 어느 일방향이 아니라, 양방향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진공공간부에 한 장의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가 삽입되더라도, 쉬트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0에는,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측 쉬트돌기(3421)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측 쉬트돌기(3422)가 개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두 개의 쉬트돌기(3421)(3422)만이 개시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지만,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간격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개수로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에 의해서 복사연전달이 차폐되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 11 내지 도 14로 설명한다.
도 11은 한 장의 자주형 복사저항쉬트가 설치되는 기본형태를 제시한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는, 쉬트베이스(341) 및 쉬트돌기부(342)를 가진다. 상기 쉬트돌기부(342)는 상하측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가 놓이는 상하방향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쉬트돌기부(342)는 지지 플레이트(35)에 접하고, 플레이트 부재(10)(20)에는 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열전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에는 다수의 통과홀(343)이 제공된다. 상기 통과홀(343)에는 바(31)가 삽입된다. 상기 바(31)과 상기 통과홀(343)의 지지작용에 의해서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는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1에서 좌우방향 및 지면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한 장의 자주형 복사저항쉬트가 설치되는 다른형태를 제시한다. 다른 부분은 도 11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통과홀(343)의 설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쉬트돌기부(342)의 끝단에 상기 통과홀(343)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와 상기 바(31) 간의 위치정렬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바(31)가 설치되는 구성품,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에는 바(31)를 지지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부재(10)(20)에 수지재질로 제공되는 플레이트 부재를 직접 설치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바(31)가 제공되는 곳과 정렬되는 위치에 쉬트돌기부(342)와 통과홀(343)을 함께 제공하는 경우에는, 열전도방지를 위한 쉬트돌기부의 첨단(P)의 위치를 별도로 고려할 필요없어지므로 편리해진다.
도 11과 도 12에 개시되는 통과홀 및 쉬트돌기는 단일의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에 함께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3은 두 장의 복사저항쉬트가 상기 진공공간부에 놓이는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층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52)와 제 2 층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51)가 상하로 겹쳐서 제공된다. 이 경우에는 세 개의 간격부가 제공되고, 상기 세 개의 간격부에는 모두 쉬트돌기부(342)가 위치한다. 이로써, 쉬트 및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3에서 도면번호, 3421, 3422, 및 3423이 각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면번호 3423은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51)에서 상기 쉬트베이스(341)의 일면에만 돌기부가 제공될 때의 일층 쉬트돌기부를 지칭한다.
상기 제 2 층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51)에는 양면에 쉬트돌기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층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52)에는 일면에만 쉬트돌기부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층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52)에도 양면에 쉬트돌기부가 제공될 수 있고, 제 1 층 및 제 2 층 자주형 복사저항쉬트 모두의 양면에 쉬트돌기부가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4는 두 장의 복사저항쉬트가 상기 진공공간부에 놓이는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다른 부분은 도 13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통과홀(343)의 설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통과홀(343)이 쉬트돌기부(342)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2의 통과홀(343)의 장점과 도 13의 쉬트돌기부(342)의 장점을 함께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는 한 개 또는 두 개가 제공되는 것을 실시형태로서 보이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자주형 복사저상휘트(340)이 적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15는 제 1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일면에만 쉬트돌기부(342)가 제공된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타면은 지지 플레이트(35)에 닿을 수도 있지만, 복사열전달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부재와의 사이에 간격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타면에는, 지지 플레이트(35)로부터 연장되는 보스(355), 더 정확하게는 지지턱(356)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스(355)는 바(31)의 일부를 이룰 수 있고, 마주보는 지지 플레이트(35)에서 연장되는 다른 돌기에 끼워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턱(356)의 입구단은 경사지게 제공되어 보스(355)가 상기 다른 돌기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경우에도, 상기 쉬트돌기부(342)의 끝단부는 플레이트 부재에 직접 닿지 않고, 열전도에 저항할 수 있는 지지 플레이트(35)와 같은 별도 부재에 놓일 수 있다.
도 16은 제 2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 1 변형례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일면에만 쉬트돌기부(342)가 제공된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타면은 상기 제 1 변형예와는 다르게, 별도의 간격유지부재(365)에 의해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365)에는, 간격유지부재(365)가 바(31)에 편리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가이드(368)과, 상기 쉬트베이스(341)와 플레이트 부재(10)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바(31)에 삽입되는 보스(367)이 포함된다. 상기 삽입가이드(368)의 입구는 단부 측에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가이드(368) 및 상기 보스(367)가 전체로서 한 몸으로 서로 연결되어 취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간격프레임(366)이 제공될 수 있다. 즉, 간격유지부재(365)의 삽입이 한 번에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변형례에 따르면, 상기 쉬트돌기부(342)는 지지 플레이트(35)에 접하여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타측은 상기 보스(367)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삽입가이드(368) 및 상기 보스(367)은 단일의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스(367)의 단부에 삽입가이드(368)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어서, 보스(367)의 입구단부가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31)는 어느 일측의 플레이트 부재(10)에는 바가 직접 접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사용자의 육안으로는 관찰되지 않는 냉장고의 내측면의 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7은 제 3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이다. 다른 변형례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일면에만 쉬트돌기부(342)가 제공된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타면은 다른 변형예와는 다르게, 보스(369)에 의해서 플레이트 부재(10)와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보스(369)는 바(31)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면에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스(369)의 입구는 단부 측에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보스(369)를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보스(369)는 모든 바(31)에 제공될 필요는 없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타면 지지에 필요한 개소 만큼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31)는 어느 일측의 플레이트 부재(10)에는 바가 직접 접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사용자의 육안으로는 관찰되지 않는 냉장고의 내측면의 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8은 제 4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가 적용되는 것은 다른 실시예 및 변형례와 동일하다. 바(31)를 제공하는 구조가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31)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부의 간격 중에서 대략 가운데 부분에 격자형 또는 비격자형으로 넓게 제공되는 지지대(380)와, 상기 지지대(380)의 양방향, 다시 말하면,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를 향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381)(382)가 포함된다.
상기 바(381)(382)는 다른 바와 다른 개념으로서, 각각 좌측바(381) 및 우측바(382)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80)과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부는 두 개가 제공될 수 있고, 두 개의 간격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가 위치 및 간격이 고정되는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간격은, 상기 쉬트베이스(341)가 상기 지지대(380)에 접촉하고, 상기 쉬트돌기부(342)가 전도방지구(383)에 접하는 것에 의해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전도방지구(383)는, 상기 쉬트돌기부(342)를 통하여 플레이트부재로 연전도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로도 전도방지구(383)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플레이트 부재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제공될 필요가 없는 차이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도 방지구(383)는 쉬트돌기부(342)의 단부가 놓이는 곳에서만 제공되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성긴 메쉬형태의 프레임에 쉬트돌기부(342)의 위치에 프레임의 수지부분이 접하는 것으로서 충분한 것이다.
상기 통과홀(343)이 쉬트돌기부(342)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가 바(31)에 편리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9는 제 5 변형례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 4 변형례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에서 쉬트돌기부(342)가 접하는 방향은, 상기 제 4 변형례와는 반대로 플레이트 부재 방향이 아니라 지지대(380) 측이 될 수 있다.
도 20은 제 6 변형례에 적용되는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평면도이다.
제 6 변형례는 상기 통과홀(343)의 형상이 십자형으로서, 십자형 통과홀(3431)로 제공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상기 십자형 통과홀에 상기 바(31)가 삽입되면, 십자형 통과홀(3431)의 테두리에 제공되는 첨점(3432)가 바(31)의 외면을 잡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31)가 십자형 통과홀(3431)에 삽입되는 중에, 편상부재(3433)가 바(31)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구부러져 변형된다. 미리 정하여진 깊이까지 바(31)가 삽입된 다음에는,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는 더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바(31)의 두께가 커지기 때문에 들어가기가 어렵고, 빠지는 방향으로는 첨점(3432)이 바를 누르기 때문에 빠지기 어렵다.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가 빠지는 방향으로는, 상기 편상부재(3433)의 복원력이 작용하고, 첨점(3432)이 바(31)를 잡아서 누르기 때문에 더욱 이동이 어렵다.
제 6 변형례에 따르면, 상기 쉬트베이스(341)가 지지대(380) 또는 전도방지구(383)에 닿아서 지지되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첨점(3432)이 바를 잡는 작용, 및 바의 두께 변화로 인하여,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340)의 간격은 다른 부재에 의한 지지작용이 없이도 바에 대하여 스스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31)에 상기 쉬트돌기부(342)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의 위치도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진공단열체의 내부 상태에 따라서 바람직하게 제시되는 진공압을 설명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는 열전달을 줄일 수 있도록 진공압을 유지해야 한다. 이때에는 가급적 낮은 진공압을 유지하는 것이 열전달의 저감을 위해서 바람직한 것은 용이하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서포팅유닛만이 제공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진공압이 낮아질수록 즉, 진공도가 높아질수록 본체만의 경우(그래프 1) 또는 본체와 도어를 합한 경우(그래프 2)의 열부하는, 종래의 폴리우레탄을 발포한 물품과 비교하여 열부하(heat load)가 줄어들어서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정도는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진공압이 낮아질수록 가스전도도(그래프 3)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단열성능 및 가스전도도가 개선되는 비율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진공압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과도한 진공압을 얻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들고, 과도한 게터(getter)사용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점에서 최적의 진공압을 제안한다.
도 22는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를 진공상태로 조성하기 위하여, 가열하면서(baking) 진공공간부의 부품에 남아있는 잠재적인 기체를 기화시키면서 진공펌프로 진공공간부의 기체를 배기한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진공압에 이르면 더 이상 진공압의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 지점에 이르게 된다(△t1). 이후에는 진공펌프의 진공공간부의 연결을 끊고 열을 가하여 게터를 활성화시킨다(△t2). 게터가 활성화되면 일정 시간 동안은 진공공간부의 압력이 떨어지지만 정상화되어 일정 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한다. 게터 활성화 이후에 일정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할 때의 진공압은 대략 1.8×10-6Torr이다.
실시예에서는 진공펌프를 동작시켜 기체를 배기하더라도 더이상 실질적으로 진공압이 낮아지지 않는 지점을 상기 진공단열체에서 사용하는 진공압의 하한으로 설정하여 진공공간부의 최저 내부 압력을 1.8×10-6Torr로 설정한다.
도 23은 진공압과 가스전도도(gas conductivity)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의 사이 갭의 크기에 따라서 진공압에 따른 가스전도열(gas conductivity)을 실질열전달계수(eK)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2.76mm, 6.5mm, 및 12.5mm의 세 가지 경우로 측정하였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복사저항쉬트(32)가 있는 경우는 상기 복사저항쉬트와 인접한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복사저항쉬트가 없는 경우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거리이다.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단열재를 제공하는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과 대응되는 지점은 갭의 크기가 작아서 2.76mm인 경우에도 2.65×10-1Torr인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가스전도열에 의한 단열효과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은 대략 4.5×10-3Torr인 지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4.5×10-3Torr의 압력은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실질열전달계수가 0.1 W/mk일때에는 1.2×10-2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이 제공되지 않고 상기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갭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이다. 이 경우에는, 다공성물질로 인하여 비교적 진공압이 높은 경우에도, 즉 진공도가 낮은 경우에도 복사열전달은 작다. 따라서 그 진공압에 맞는 적절한 진공펌프를 사용한다. 해당하는 진공펌프에 적정한 진공압은 대략 2.0×10-4Torr이다. 또한, 가스 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의 진공압은 대략 4.7×10-2Torr이다. 또한,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에 이르는 압력은 730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과 상기 다공성물질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상기 다공성물질만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간 정도의 진공압을 조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진공단열체의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품은, 다른 실시예에 적절한 형상의 변경이나 차원의 변경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더 나은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도어 측에 적합한 진공단열체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형상 및 구성의 적절한 변형을 가함으로써, 본체 측에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제시되는 진공단열체는 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진공단열체의 적용은 냉장고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초저온냉장장치, 온장장치, 및 송풍장치와 같은 다양한 개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가 다양한 단열설비에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단열효과를 높여서 에너지 사용효율을 높이고, 설비의 유효용적을 높일 수 있어서, 시급한 산업상의 적용이 적극적으로 기대된다.
340: 자주형 복사저항쉬트
Claims (20)
-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제 3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 및
상기 제 3 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열저항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쉬트베이스; 및
상기 쉬트베이스에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쉬트베이스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쉬트돌기부를 가지는 자주형 복사저항쉬트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에서 상기 두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바가 포함되고,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에는 상기 바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가 통과하는 통과홀은, 상기 쉬트베이스의 테두리 부분이 작고, 상기 쉬트베이스의 안쪽 부분이 큰 진공단열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은 상기 쉬트돌기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진공단열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돌기부는 상기 쉬트베이스의 양면에 모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는 적어도 두개가 적층되는 진공단열체. - 제 6 항에 있어서,
적층되는 상기 두 개의 자주형 복사저항쉬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쉬트베이스의 양면에 상기 쉬트돌기부가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에서 상기 두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바가 포함되고,
상기 바에 삽입되고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의 어느 일면을 지지하는 보스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접촉하는 지지 플레이트에 한 몸으로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쉬트베이스에 직접 접하는 진공단열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복수개 제공되고,
상기 보스를 한몸으로 연결하는 간격유지부재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편리한 장착을 위하여, 입구측이 경사지는 삽입가이드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돌기부는 반구형상인 진공단열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는 전도방지구가 개입되는 진공단열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에 가로 질러 제공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쪽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바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베이스 및 상기 쉬트돌기부는 상기 바에 직접 고정되는 진공단열체.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의 테두리에는 상기 바를 잡는 편상부재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되는 본체; 및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캐비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 및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열을 빼앗는 증발기가 포함되고,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는 진공단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단열체에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제 3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복사열전달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2차원 평면구조의 쉬트베이스와, 상기 상기 쉬트베이스의 적어도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쉬트베이스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을 고정하는 쉬트돌기부가 포함되는 자주형 복사저항쉬트; 및
상기 제 3 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가 포함되는 냉장고.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돌기부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직접 접촉을 막는 전도방지구가 포함되는 냉장고.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형 복사저항쉬트는 상기 서포팅유닛에 의해서, 그 위치가 고정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793A KR102449175B1 (ko) | 2017-08-01 | 2017-08-01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RU2020142423A RU2776884C2 (ru) | 2017-08-01 | 2018-07-31 | Вакуумное тело |
AU2018309536A AU2018309536B2 (en) | 2017-08-01 | 2018-07-31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RU2020108484A RU2739948C1 (ru) | 2017-08-01 | 2018-07-31 | Вакуумное адиабатическое тело |
PCT/KR2018/008687 WO2019027227A1 (en) | 2017-08-01 | 2018-07-31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EP18840407.3A EP3662191B1 (en) | 2017-08-01 | 2018-07-31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6/635,699 US11774167B2 (en) | 2017-08-01 | 2018-07-31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CN201880050501.7A CN110998167B (zh) | 2017-08-01 | 2018-07-31 | 真空绝热体以及冰箱 |
AU2022201399A AU2022201399B2 (en) | 2017-08-01 | 2022-03-01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KR1020220121496A KR102653488B1 (ko) | 2017-08-01 | 2022-09-26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US18/222,002 US20230366613A1 (en) | 2017-08-01 | 2023-07-14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KR1020240042028A KR20240045194A (ko) | 2017-08-01 | 2024-03-27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793A KR102449175B1 (ko) | 2017-08-01 | 2017-08-01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1496A Division KR102653488B1 (ko) | 2017-08-01 | 2022-09-26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3333A true KR20190013333A (ko) | 2019-02-11 |
KR102449175B1 KR102449175B1 (ko) | 2022-09-29 |
Family
ID=6523342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7793A KR102449175B1 (ko) | 2017-08-01 | 2017-08-01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0220121496A KR102653488B1 (ko) | 2017-08-01 | 2022-09-26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0240042028A KR20240045194A (ko) | 2017-08-01 | 2024-03-27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1496A KR102653488B1 (ko) | 2017-08-01 | 2022-09-26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0240042028A KR20240045194A (ko) | 2017-08-01 | 2024-03-27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2) | US11774167B2 (ko) |
EP (1) | EP3662191B1 (ko) |
KR (3) | KR102449175B1 (ko) |
CN (1) | CN110998167B (ko) |
AU (2) | AU2018309536B2 (ko) |
RU (1) | RU2739948C1 (ko) |
WO (1) | WO2019027227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2955A1 (en) * | 2020-11-02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vacuum adiabatic body |
WO2022092946A1 (en) * | 2020-11-02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WO2022092941A1 (en) * | 2020-11-02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WO2022092944A1 (en) * | 2020-11-02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3719B1 (ko) | 2000-01-14 | 2002-07-20 | 엘지전자주식회사 | 진공 단열재 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도어 |
US20100251653A1 (en) * | 2007-03-16 | 2010-10-07 |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 Integrated Multilayer Insulation |
KR20110015327A (ko) * | 2009-08-07 | 2011-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단열재의 코어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
KR20110113414A (ko) | 2010-04-09 | 2011-10-17 | 이초강 | 로봇을 위한 경험적 상황인식 방법 |
JP2012207682A (ja) * | 2011-03-29 | 2012-10-25 | Matsuda Gijutsu Kenkyusho:Kk | 真空断熱パネル |
JP2014051993A (ja) * | 2010-10-18 | 2014-03-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20140226956A1 (en) | 2011-09-12 | 2014-08-14 | Thomson Licensing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recording of digital content |
KR20150012712A (ko) | 2013-07-26 | 2015-0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진공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WO2017023094A1 (en) * | 2015-08-03 | 2017-02-09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1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20711A (en) | 1921-03-17 | 1922-06-27 | William K Knutson | Refrigerator |
US1814114A (en) | 1925-11-21 | 1931-07-14 | Insulation Corp |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
US2000882A (en) | 1928-09-07 | 1935-05-07 | Stator Refrigeration Inc | Insulating housing |
US1845353A (en) | 1928-12-14 | 1932-02-16 | Virgil K Snell | Heat-insulating construction |
US2065608A (en) | 1932-11-25 | 1936-12-29 | Termisk Isolation Ab | Heat insulating cabinet |
US2464526A (en) | 1945-10-24 | 1949-03-15 | Int Harvester Co | Refrigerator construction |
US2989156A (en) | 1956-11-23 | 1961-06-20 | Whirlpool Co | Heat insulating panels |
US3161265A (en) | 1959-01-27 | 1964-12-15 | Union Carbide Corp | Vacuum panel insulation |
GB890372A (en) | 1959-01-27 | 1962-02-28 | Union Carbide Corp | Vacuum panel insulation |
US3156975A (en) | 1959-02-16 | 1964-11-17 | Evacuated Insulation Res Ltd | Method of making heat insulating panels |
US3338451A (en) | 1964-02-20 | 1967-08-29 | Gen Motors Corp | Refrigerating apparatus |
ZA728342B (en) | 1972-11-24 | 1974-07-31 | Rorand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sulating materials |
JPS5517072Y2 (ko) | 1976-07-23 | 1980-04-21 | ||
DE3328120C1 (de) | 1983-08-04 | 1984-10-18 | Ernst 7500 Karlsruhe Gaus | Kuehlbox fuer Kraftfahrzeuge oder aehnliche mobile Einrichtungen,insbesondere fuer Personenkraftwagen |
JPS60179344A (ja) | 1984-02-27 | 1985-09-13 | Nippon Denso Co Ltd | 車両用冷蔵庫 |
JPS60173879U (ja) | 1984-04-25 | 1985-11-1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自動車用冷温蔵庫 |
US4732432A (en) | 1986-12-29 | 1988-03-22 | Whirlpool Corporation | Breaker strip for a refrigerator cabinet |
US4826040A (en) | 1987-07-31 | 1989-05-02 |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 Refrigeration cabinet construction |
JPH01142379A (ja) | 1987-11-30 | 1989-06-05 | Nippon Denso Co Ltd | 雰囲気管理装置 |
US4837388A (en) | 1987-12-23 | 1989-06-06 | Nudvuck Enterprises | Evacuated insula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JPH01179882A (ja) | 1988-01-07 | 1989-07-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冷凍冷蔵庫の制御装置 |
US5157893A (en) | 1988-04-15 | 1992-10-27 | Midwest Research Institute | Compact vacuum insulation |
CN2066123U (zh) | 1989-09-19 | 1990-11-21 | 万长荣 | 真空绝热节能冰箱 |
US5011729A (en) * | 1989-11-15 | 1991-04-30 | Mcallister Ian R | Vacuum insulated panels with concave surfaces on the surface layers |
ATE94811T1 (de) | 1990-01-22 | 1993-10-15 | Atd Corp | Kissenartig geformtes gebilde mit waermeleitzonen und thermischen isolierzonen und verformbares laminat. |
US5500305A (en) | 1990-09-24 | 1996-03-19 | Aladdin Industries, Inc. | Vacuum insulated panel and method of making a vacuum insulated panel |
JPH059298A (ja) | 1991-07-05 | 1993-01-19 | Daicel Chem Ind Ltd | ポリカプロラクトンをグラフト化したポリオレフイン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5214877A (en) | 1992-06-23 | 1993-06-01 | Ardco, Inc. | Refrigerator door assembly with venting system |
RU2073285C1 (ru) | 1993-08-26 | 1997-02-10 | Виктор Сергеевич Суганеев | Конструкция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его корпуса |
JPH0791591A (ja) | 1993-09-21 | 1995-04-04 | Kubota Corp | 断熱壁の充填材 |
US5720536A (en) | 1995-03-27 | 1998-02-24 | General Electric Company | Refrigerator with improved breaker strip assembly |
US6634417B1 (en) | 1997-04-07 | 2003-10-21 | J. Bruce Kolowich | Thermal receptacle with phase change material |
DE19745825A1 (de) | 1997-10-16 | 1999-04-22 | Bosch Siemens Hausgeraete | Wärmeisolierende Wandung |
DE19745827A1 (de) | 1997-10-16 | 1999-05-06 | Bosch Siemens Hausgeraete | Wärmeisolierende Wandung |
TR200000765T2 (tr) | 1997-10-16 | 2000-07-21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 Isı yalıtkan duvar |
US5860594A (en) | 1997-12-19 | 1999-01-19 | Carrier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onal modes of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
US6088966A (en) | 1997-12-24 | 2000-07-18 | Emco Enterprises, Inc. | Hinge-emulating gap concealing strip for a door |
US6637093B2 (en) | 1998-03-03 | 2003-10-28 | Anthony, Inc. | Method of assembling a display case door |
DE19907182A1 (de) | 1999-02-19 | 2000-08-24 |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 Wärmeisolierende Wand |
AU6488100A (en) | 1999-07-13 | 2001-01-30 | Arcelik A.S. | Automatic quick freezing |
JP4620211B2 (ja) | 2000-03-31 | 2011-01-26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断熱化粧材及び断熱化粧部材 |
JP2002071088A (ja) | 2000-08-28 | 2002-03-08 | Matsuda Gijutsu Kenkyusho:Kk | 断熱パネル |
JP3750530B2 (ja) | 2001-01-25 | 2006-03-01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真空断熱材および断熱パネル |
FR2821519B1 (fr) | 2001-02-28 | 2003-05-02 | Saint Gobain | Element vitre isolant, notamment pour enceinte refrigeree |
KR100363646B1 (en) | 2001-03-13 | 2002-12-05 | Daewoo Electronics Corp | Method for controlling compressor of inverter refrigerator |
JP2003042388A (ja) | 2001-07-27 | 2003-02-13 | Matsuda Gijutsu Kenkyusho:Kk | 断熱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テナ |
TW593919B (en) | 2002-05-31 | 2004-06-21 | Matsushita Refrigeration |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refrigerator us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
KR100461868B1 (ko) | 2002-06-29 | 2004-1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김치냉장고 |
KR200303619Y1 (ko) | 2002-11-08 | 2003-02-11 | 대우전자주식회사 | 자동차용 냉장고 |
KR100505871B1 (ko) | 2002-11-15 | 2005-08-0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냉온장고의 제어 방법 |
JP2004211376A (ja) | 2002-12-27 | 2004-07-29 | Haruo Uehara | 真空断熱パネル |
US6769265B1 (en) | 2003-03-12 | 2004-08-03 | Maytag Corporation |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
US20040226956A1 (en) | 2003-05-14 | 2004-11-18 | Jeff Brooks | Cryogenic freezer |
US20050053755A1 (en) | 2003-09-09 | 2005-03-10 | Kendro Laboratory Products, Lp |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ethod |
JP2005106090A (ja) | 2003-09-29 | 2005-04-21 |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EP1564513A1 (en) | 2004-02-12 | 2005-08-17 | Whirlpool Corporation | A refrigerator with a variable speed compress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cooling capacity thereof |
CN2691933Y (zh) | 2004-03-06 | 2005-04-13 | 江苏阪神电器股份有限公司 | 车载移动式冰柜 |
CN2720362Y (zh) | 2004-08-12 | 2005-08-24 | 白尚富 | 冰箱用内设支柱式真空隔温板 |
JP2006082604A (ja) | 2004-09-14 | 2006-03-30 | Denso Corp | 車両用冷蔵庫 |
KR20070037274A (ko) | 2005-09-30 | 2007-04-04 | 정홍준 | 진공판넬 |
DE102005057150A1 (de) | 2005-11-30 | 2007-06-06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ühl- bzw. Gefrierschrank mit Verstärkungsrahmen |
DE102005059145A1 (de) | 2005-12-10 | 2007-06-28 | Rehau Ag + Co | Gefrierschranktürbaugruppe sowie Gefrierschrank mit einer derartigen Gefrierschranktürbaugruppe |
US8234835B2 (en) | 2007-03-16 | 2012-08-07 | Quest Product Development Corporation | Integrated multilayer insulation |
KR100845153B1 (ko) | 2007-04-04 | 2008-07-09 | 주식회사 대창 | 차량용 냉장고 |
DE102008041014A1 (de) | 2008-08-05 | 2010-02-11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ühlgerät mit Temperierfunktion |
US9238398B2 (en) | 2008-09-25 | 2016-01-19 | B/E Aerospace, Inc. |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on with a vehicle's liquid cooling system |
EP2538125A3 (en) | 2008-12-26 | 2013-02-20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box using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refrigerator, refrigerating/air-conditioning apparatus, water heater, equipm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
KR101015814B1 (ko) | 2009-04-01 | 2011-02-22 | 한국과학기술원 | 진공 단열체 |
RU2496063C2 (ru) | 2009-04-17 | 2013-10-20 |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 Холодильник с низкотемпературным отделением и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хранения |
US8382219B2 (en) | 2009-05-11 | 2013-02-26 | Sub-Zero, Inc. | Installation system and door positioning device for appliances |
EP2472164A4 (en) | 2009-10-19 | 2014-01-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VACUUM INSULATION MATERIAL, THERMAL INSULATION BOX, REFRIGERATOR, FREEZING / AIR CONDITIONING DEVICE, HOT WATER SUPPLY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ISOLATION MATERIAL |
US7891203B1 (en) | 2009-12-14 | 2011-02-22 | Honda Motor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cooling items using vehicle HVAC system |
DE102011050472A1 (de) | 2010-05-18 | 2011-11-24 | Viktor Schatz | Abstandhalteranordnung mit Stützelementen |
JP2012021615A (ja) | 2010-07-16 | 2012-02-02 | Matsuda Gijutsu Kenkyusho:Kk |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輸送用コンテナ |
KR101068459B1 (ko) | 2010-07-29 | 2011-09-28 | 주식회사엑스엘 | 진공단열패널 |
KR101227516B1 (ko) | 2010-10-28 | 2013-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
KR101898487B1 (ko) | 2010-10-28 | 2018-10-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
CN102121781B (zh) | 2011-02-21 | 2013-01-30 |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 填充气囊组件、电冰箱和制冷设备 |
DE102011006260A1 (de) | 2011-03-28 | 2012-10-04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ältegerät |
DE102011075388A1 (de) | 2011-05-06 | 2012-11-08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
JP5316674B2 (ja) | 2011-05-09 | 2013-10-1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冷蔵庫 |
JP5890973B2 (ja) | 2011-06-24 | 2016-03-22 | 株式会社松田技術研究所 | 真空断熱パネル |
KR20130015183A (ko) | 2011-08-02 | 2013-0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고기능성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US9528749B2 (en) | 2011-11-02 | 2016-12-2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KR101861831B1 (ko) | 2011-11-02 | 2018-05-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
KR101861832B1 (ko) | 2011-11-04 | 2018-05-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
KR101363423B1 (ko) | 2012-01-17 | 2014-02-17 | 주식회사 경동원 | 팽창 퍼라이트·실리카 성형 구조체를 갖는 저밀도 무기질 파우더 진공단열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성형기 |
JP6083939B2 (ja) | 2012-03-12 | 2017-02-22 | 株式会社松田技術研究所 | 真空断熱パネルおよび断熱箱体 |
JP6108180B2 (ja) | 2012-03-23 | 2017-04-0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真空断熱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断熱筐体 |
KR101565420B1 (ko) | 2012-12-13 | 2015-11-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
KR102183719B1 (ko) | 2013-04-08 | 2020-1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
KR101456376B1 (ko) | 2013-04-24 | 2014-10-31 | 한국과학기술원 | 조립식 왕복 지지체를 가지는 진공 단열체의 구조 |
JP6071796B2 (ja) | 2013-08-06 | 2017-02-01 | 三菱電機株式会社 | 冷蔵庫の扉及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
KR101609438B1 (ko) | 2014-02-11 | 2016-04-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627662B1 (ko) | 2014-03-20 | 2016-06-0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시스템 |
JP6511626B2 (ja) | 2014-04-18 | 2019-05-15 | 株式会社安川電機 | シーム溶接システム、シーム溶接方法および被溶接物の生産方法 |
DE102014211095A1 (de) | 2014-06-11 | 2015-12-17 | BSH Hausgeräte GmbH | Kältegerät |
CN204141054U (zh) | 2014-09-30 | 2015-02-04 |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 保温支撑装置 |
CN104296490B (zh) | 2014-10-09 | 2017-01-11 |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 冰箱的控制方法、系统及冰箱 |
KR102366410B1 (ko) | 2014-10-16 | 2022-0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
KR102222572B1 (ko) | 2014-10-16 | 2021-03-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2273285B1 (ko) | 2014-12-26 | 2021-07-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
US20160258671A1 (en) | 2015-03-02 | 2016-09-08 | Whirlpool Corporation | Gas barrier for vacuum insulation |
CN104913571B (zh) | 2015-06-25 | 2017-09-19 |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 变频冰箱及变频冰箱的控制方法 |
KR102497139B1 (ko) | 2015-08-03 | 2023-02-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
KR102442973B1 (ko) | 2015-08-03 | 2022-09-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525550B1 (ko) | 2015-08-03 | 2023-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20170016188A (ko) | 2015-08-03 | 2017-0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502160B1 (ko) | 2015-08-03 | 2023-0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525551B1 (ko) | 2015-08-03 | 2023-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498210B1 (ko) | 2015-08-03 | 2023-0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529853B1 (ko) | 2015-08-03 | 2023-05-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조방법, 다공성물질패키지, 및 냉장고 |
KR102447245B1 (ko) | 2015-08-03 | 2022-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456642B1 (ko) | 2015-08-03 | 2022-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466469B1 (ko) | 2015-08-03 | 2022-1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405802B1 (ko) | 2015-08-03 | 2022-06-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529852B1 (ko) | 2015-08-03 | 2023-05-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466470B1 (ko) | 2015-08-04 | 2022-1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1738787B1 (ko) | 2015-12-15 | 2017-06-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저장고, 차량용 저장고, 및 차량 |
KR101772581B1 (ko) | 2015-12-15 | 2017-08-31 | 주식회사 경동원 |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교차적층 된 진공단열패널의 연결 구조 |
CN205350719U (zh) | 2015-12-31 | 2016-06-29 | 深圳市纳能科技有限公司 | 保温隔热套及隔热箱 |
EP3452766B1 (en) | 2016-05-03 | 2023-04-19 | Whirlpool Corporation |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vacuum insulation and a hinge support |
SG11201811142VA (en) | 2016-06-13 | 2019-01-30 | Nisshin Steel Co Ltd | Vacuum insulation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vacuum insulation panel |
CN106016957B (zh) | 2016-06-29 | 2019-02-01 |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 冰箱控制方法及装置 |
CN205784134U (zh) | 2016-07-15 | 2016-12-07 |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 一种超节能薄壁冰箱 |
KR20170000187U (ko) | 2016-07-21 | 2017-01-12 | 주식회사 경동원 | 이음맞춤 구조를 갖는 진공단열재 |
US10913232B2 (en) | 2016-08-30 | 2021-02-09 | Quest Thermal Group LLC | Cellular load-responsive multilayer insulation |
CN106500428B (zh) | 2016-12-21 | 2019-02-15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冰箱 |
CN108253709A (zh) | 2016-12-29 | 2018-07-06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冰箱 |
CN106766594A (zh) | 2016-12-30 | 2017-05-31 |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 冰箱门体及具有该冰箱门体的冰箱 |
KR102658455B1 (ko) | 2017-02-17 | 2024-04-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온장고, 및 진공단열체 |
KR102449177B1 (ko) | 2017-08-01 | 2022-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KR102459784B1 (ko) | 2017-08-01 | 2022-10-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CN109393688A (zh) | 2017-08-16 | 2019-03-01 | 张跃 | 一种箱包结构 |
CN208281706U (zh) | 2018-04-16 | 2018-12-25 | 江苏首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 水箱真空保温板 |
CN208472996U (zh) | 2018-05-31 | 2019-02-05 | 金乡蒜通天下仓储有限公司 | 一种冷库保温层 |
-
2017
- 2017-08-01 KR KR1020170097793A patent/KR10244917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7-31 US US16/635,699 patent/US11774167B2/en active Active
- 2018-07-31 EP EP18840407.3A patent/EP3662191B1/en active Active
- 2018-07-31 CN CN201880050501.7A patent/CN110998167B/zh active Active
- 2018-07-31 AU AU2018309536A patent/AU2018309536B2/en active Active
- 2018-07-31 RU RU2020108484A patent/RU2739948C1/ru active
- 2018-07-31 WO PCT/KR2018/008687 patent/WO2019027227A1/en unknown
-
2022
- 2022-03-01 AU AU2022201399A patent/AU2022201399B2/en active Active
- 2022-09-26 KR KR1020220121496A patent/KR1026534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7-14 US US18/222,002 patent/US20230366613A1/en active Pending
-
2024
- 2024-03-27 KR KR1020240042028A patent/KR2024004519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3719B1 (ko) | 2000-01-14 | 2002-07-20 | 엘지전자주식회사 | 진공 단열재 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도어 |
US20100251653A1 (en) * | 2007-03-16 | 2010-10-07 |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 Integrated Multilayer Insulation |
KR20110015327A (ko) * | 2009-08-07 | 2011-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단열재의 코어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
KR20110113414A (ko) | 2010-04-09 | 2011-10-17 | 이초강 | 로봇을 위한 경험적 상황인식 방법 |
JP2014051993A (ja) * | 2010-10-18 | 2014-03-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12207682A (ja) * | 2011-03-29 | 2012-10-25 | Matsuda Gijutsu Kenkyusho:Kk | 真空断熱パネル |
US20140226956A1 (en) | 2011-09-12 | 2014-08-14 | Thomson Licensing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recording of digital content |
KR20150012712A (ko) | 2013-07-26 | 2015-0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진공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WO2017023094A1 (en) * | 2015-08-03 | 2017-02-09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2955A1 (en) * | 2020-11-02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vacuum adiabatic body |
WO2022092946A1 (en) * | 2020-11-02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WO2022092941A1 (en) * | 2020-11-02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WO2022092944A1 (en) * | 2020-11-02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22201399B2 (en) | 2024-02-29 |
EP3662191A1 (en) | 2020-06-10 |
RU2020142423A3 (ko) | 2022-03-09 |
AU2022201399A1 (en) | 2022-03-24 |
WO2019027227A1 (en) | 2019-02-07 |
KR20220133168A (ko) | 2022-10-04 |
KR20240045194A (ko) | 2024-04-05 |
RU2020142423A (ru) | 2021-01-26 |
US20230366613A1 (en) | 2023-11-16 |
RU2739948C1 (ru) | 2020-12-30 |
KR102449175B1 (ko) | 2022-09-29 |
AU2018309536A1 (en) | 2020-03-19 |
US11774167B2 (en) | 2023-10-03 |
KR102653488B1 (ko) | 2024-04-02 |
AU2018309536B2 (en) | 2021-12-02 |
CN110998167B (zh) | 2022-09-27 |
US20210123660A1 (en) | 2021-04-29 |
EP3662191A4 (en) | 2021-04-21 |
CN110998167A (zh) | 2020-04-10 |
EP3662191B1 (en) | 2024-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6642B1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190013345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102502160B1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170016240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170016242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EP3913307B1 (en) | Vacuum adiabatic body | |
KR20190013338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170016188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EP3971501B1 (en)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
KR102498210B1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170016237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170016241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102526037B1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102653488B1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170016189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190018835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180090055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230042451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102437452B1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200001372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102187821B1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200138695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
KR20170016238A (ko)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