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835A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835A
KR20190018835A KR1020170103444A KR20170103444A KR20190018835A KR 20190018835 A KR20190018835 A KR 20190018835A KR 1020170103444 A KR1020170103444 A KR 1020170103444A KR 20170103444 A KR20170103444 A KR 20170103444A KR 20190018835 A KR20190018835 A KR 20190018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space
plate
vacuum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786B1 (ko
Inventor
김대웅
남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10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786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8846385.5A priority patent/EP3669112A4/en
Priority to RU2021127250A priority patent/RU2021127250A/ru
Priority to CN202110908473.1A priority patent/CN113606850B/zh
Priority to AU2018318604A priority patent/AU2018318604B2/en
Priority to RU2020110370A priority patent/RU2755863C2/ru
Priority to CN202110909689.XA priority patent/CN113606851B/zh
Priority to CN201880053044.7A priority patent/CN111033110B/zh
Priority to PCT/KR2018/008700 priority patent/WO2019035577A1/en
Priority to US16/637,861 priority patent/US11466925B2/en
Publication of KR2019001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835A/ko
Priority to AU2022202271A priority patent/AU2022202271A1/en
Priority to US17/940,298 priority patent/US11781802B2/en
Priority to KR1020220137261A priority patent/KR102663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786B1/ko
Priority to US18/242,119 priority patent/US20230408181A1/en
Priority to KR1020240057866A priority patent/KR20240065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6/00Devices using a combination of a cooling mode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with a cooling mode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체에는,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플레이트가 체결되어 제공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하나를 지지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진공단열체는 몸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열전달을 억제하는 물품이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대류 및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온장장치 및 냉장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 냉장고에 적용되는 단열방식은 냉장과 냉동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대략 30센티미터가 넘는 두께의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로써 냉장고의 내부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냉장고의 내부 용적을 늘리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에 진공단열체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먼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0343719(인용문헌 1)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따르면 진공단열패널(Vacuum adiabatic panel)을 제작하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을 냉장고의 벽에 내장하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의 외부를 스티로폼인 별도 성형물로 마감하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에 따르면 발포가 필요 없고,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은 비용이 상승하고 제작방식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서 공개특허 10-2015-0012712(인용문헌 2)에는 진공단열재로 벽을 제공하고 그에 더하여 발포 충전재로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기술에 제시되어 있다. 이 방식도 비용이 증가하고 제작방식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냉장고의 벽을 전체로 단일물품인 진공단열체로 제작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40226956A1(인용문헌 3)에는 진공상태로 냉장고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냉장고의 벽을 충분한 진공상태로 제공하여 실용적인 수준의 단열효과를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온도가 서로 다른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와의 접촉부분의 열전달 현상을 막기가 어렵고, 안정된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진공상태의 음압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들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용문헌 3의 기술도 극저온의 냉장장치에 국한하고, 일반 가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은 제공하지 못한다.
상기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10-2015-0109727호를 출원한 바가 있다. 상기 문헌에는 진공단열체에 이루어지는 냉장고를 제안하고, 특히, 진공단열체의 서포팅 유닛을 이루는 재질로서 적합한 수지의 재질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의하더라도, 서포팅 유닛의 형상이 설계와는 달라지는 문제가 있고, 서포팅 유닛의 제작 및 취급이 어렵고, 제품의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343719 공개특허 10-2015-0012712의 도 7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40226956A1 출원특허 10-2015-0109727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안되는 것으로서, 서포팅 유닛의 형상이 설계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서포팅 유닛의 제작과 취급을 쉽게 하는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서포팅 유닛의 제작 시에 발생하는 불량요인을 줄여서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를 제안한다.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제공되는 서포팅 유닛의 형상이 설계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서포팅유닛에는, 각 플레이트 부재를 지지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타측 서포트 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일측 서포트 플레이트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플레이트가 체결되어 제공됨으로써, 부재의 크기를 작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유닛의 제작과 취급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부분 플레이트는, 사각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부분 플레이트의 모서리에는 암놈체결구조 및 숫놈체결구조가 마련된다.
상기 서포팅 유닛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분리되는 동일한 형상의 적어도 두 개의 부재가 체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큰 플레이트 부재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포팅 유닛의 형상의 설계형상을 올바르게 제작하여, 제품의 마감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공용으로 인하여 재고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은 부품을 제작 및 이송하여, 큰 부품으로 조립 제작할 수 있어서, 서포팅 유닛의 제작과 취급이 간단하고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성, 즉 용융 이동성이 떨어지는 수지를 이용하더라도 부분품의 적용에 의해서 서포팅 유닛의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성형불량의 경우에도 부분품만을 폐기하면 되기 때문에, 서포팅 유닛의 생산수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각 수지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표.
도 5는 수지의 진공유지능력을 실험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PPS와 low outgassing PC에서 방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그래프.
도 7은 고온 배기시에 대기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최대변형온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8은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유닛의 어느 일측부를 보이는 도면.
도 10은 부분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B부분의 확대도.
도 13은 도 10의 C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의 결합의 설명도.
도 15는 도 14의 D부분의 확대도.
도 16은 도 15의 A-A'의 단면도.
도 17은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8는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
도 19는 진공압과 가스전도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 제시되는 도면은 실제 물품과는 다르거나 과장되거나 간단하거나 세밀한 부품은 삭제하여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 기술사상 이해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제시되는 크기와 구조와 형상과 수로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진공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그 어떤 압력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A가 B보다 진공도가 높다는 표현은 A의 진공압이 B의 진공압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캐비티(9)가 제공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3)는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되거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캐비티(9)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캐티비(9)는 냉장실 및 냉동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부품이 마련된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6)와,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열을 빼앗는 증발기(7)가 포함된다. 전형적인 구조로서, 상기 증발기(7)가 인접하는 위치에 팬을 설치하고, 팬으로부터 송풍된 유체가 상기 증발기(7)를 통과한 다음에 캐비티(9)로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팬에 의한 송풍량 및 송풍방향을 조정하거나 순환 냉매의 양을 조절하거나 압축기의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냉동부하를 조절하여, 냉장공간 또는 냉동공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다른 부품으로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부재를 적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체 측 진공단열체는 상면과 측면의 벽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고, 도어 측 진공단열체는 전면의 벽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전도저항쉬트(60)(63)가 제공되는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어 이해가 편리하도록 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진공단열체에는, 저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고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사이 간격부로 정의되는 진공공간부(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전도를 막는 전도저항쉬트(60)(63)가 포함된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밀폐상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를 밀봉하는 밀봉부(61)가 제공된다.
냉장고 또는 온장고에 상기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고 내 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이너케이스라고 할 수 있고, 고 외 공간에 접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아웃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하측 후방에는 냉동사이클을 제공하는 부품이 수납되는 기계실(8)이 놓이고, 상기 진공단열체의 어느 일측에는 진공공간부(50)의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상태를 조성하기 위한 배기포트(40)가 제공된다. 또한, 제상수 및 전기선로의 설치를 위하여 진공공간부(50)를 관통하는 관로(6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온도가 서로 다른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공간의 위한 벽은, 공간에 직접 접하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공간에 접하지 않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공간에 접하는 별도의 벽을 더 가지는 물품의 경우에도 실시예의 진공단열체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공단열체가 단열효과의 손실을 일으키는 요인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도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복사, 및 진공공간부(50)의 가스전도(gas conduction)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열전달의 요인과 관련하여 단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제공되는 열저항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는 진공단열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또 다른 단열수단을 더 가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쪽 일면에 발포 등을 이용하는 단열수단을 더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과는 다른 압력, 바람직하게는 진공 상태의 제 3 공간으로 제공되어 단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 및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에 해당하는 온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진공 상태의 공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각 공간의 압력차만큼의 힘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진공공간부의 수축에 따른 복사전달량의 증가,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접촉에 따른 전도전달량의 증가에 따른 단열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에는 바(31)가 포함된다. 상기 바(31)는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31)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지지 플레이트(35)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31)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격자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와 접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열전달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3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고정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사이에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31)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5)의 총단면적은 상기 바(31)의 총단면적보다 크게 제공하여, 상기 바(31)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를 통하여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의 재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진공압에 견디기 위하여 압축강도가 높아야 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웃게싱(outgassing) 및 물흡수율이 작아야 하고,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줄이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작아야 하고, 고온 배기공정에 견딜 수 있도록 고온에서 압축강도가 확보되어야 하고, 성형을 할 수 있도록 가공성이 좋아야 하고, 비용이 저렴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공정의 수행시간은 수 일(several days) 정도에 이르기 때문에 그 시간을 줄이는 것은 제조비용 및 생산성에 큰 장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고온에서 압축강도가 확보되어야 하는 것은 배기공정의 수행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배기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상기되는 조건 하에서 발명자는 다양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먼저, 세라믹 및 유리재질은 아웃게싱율(outgassing rate)과 물흡수율이 작지만 가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수지를 재질로 검토할 수 있다.
도 4는 각 수지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자는 다양한 수지재료를 검토한 바가 있으나, 대부분의 수지가 아웃게싱율 및 물흡수율이 현저히 높아서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대략적으로 아웃게싱율과 물흡수율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PE재질은 아웃게싱율이 높고 압축강도가 낮아서 사용하기가 부적절하고, PCTFE재질은 가격이 현저하게 높아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고, PEEK재질은 아웃게싱율이 높아서 사용하기가 부적절하였다. 이에, 상기 서포팅유닛은 PC(polycarbonate), glass fiber PC, low outgassing PC, PPS(poly phenylene sulfide), 및 LCP(liquid-crystal polymer) 중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그 재질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PC의 경우에도 아웃게싱율은 0.19로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열을 가하면서 배기하는 베이킹 시간을 일정수준 길게 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지의 재질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여 최적의 재질을 알아내었다. 이하에서는 수행된 각 연구활동의 결과물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수지의 진공유지능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팅유닛을 각각의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한 다음에 진공을 유지할 수 있는 성능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선택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서포팅유닛을 에탄올로 세척하고, 저압에서 48시간을 방치하고, 2.5시간 동안 외기에 노출한 다음에 진공단열체에 넣고 90도씨에서 대략 50시간 동안 배기과정을 진행한 다음에 진공유지성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LCP의 경우에는 초기 배기성능은 가장 좋지만 진공유지성능이 나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온도에 민감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특성을 보건데 5×10-3torr를 최종허용압력이라고 할 때 0.5년 정도의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서포팅유닛의 재질로는 다른 재질에 비하여 불리하다.
상기 glass fiber PC(G/F PC)는 배기속도가 빠르지만 진공유지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첨가물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그래프의 특성을 보건데 동일조건에서 8.2년 정도의 시간동안 진공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서포팅유닛의 재질로는 다른 재질에 비하여 불리하다.
상기 low outgassing PC(O/G PC)는 상기 두 재질에 비해서는 진공유지성능이 뛰어나고, 동일조건에서 34년 정도의 시간동안 진공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초기 배기성능이 떨어져서 제작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볼 수 있다.
상기 PPS의 경우에는 진공유지성능이 월등히 뛰어나고 배기성능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공유지성능을 기준으로 할 때에는 PPS의 재질을 서포팅유닛의 재질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게 고려된다.
도 6은 PPS와 low outgassing PC에서 방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로서, 수평축은 가스의 분자량이고, 수직축은 농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low outgassing PC의 방출가스를 분석한 것으로서, H2계열(Ⅰ), H2O계열(Ⅱ), N2/CO/CO2/O2계열(Ⅲ), 및 탄화수소계열(Ⅳ)이 골고루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b는 PPS의 방출가스를 분석한 것으로서, H2계열(Ⅰ), H2O계열(Ⅱ), 및 N2/CO/CO2/O2계열(Ⅲ)이 약한 정도로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c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방출가스를 분석한 것으로서, PPS와 유사한 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PPS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비슷한 가스의 방출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분석결과, PPS가 상기 서포팅유닛의 재질로서 우수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고온 배기시에 대기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최대변형온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때 상기 바(31)는 2㎜직경으로 30㎜간격으로 제공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PE의 경우에는 60도씨에서 파단이 발생하고 low outgassing PC의 경우에는 90도씨에서 파단이 발생하고 PPS의 경우에는 125도씨에서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되는 각 분석의 결과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질로는 PPS가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조비용의 면에 있어서는 low outgassing PC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통한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복사를 줄이는 복사저항쉬트(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는 부식방지와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은 방사율이 0.16으로서 비교적 높기 때문에 많은 복사열 전달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수지를 재질로 하는 상기 서포팅유닛의 방사율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비하여 낮고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복사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복사열 전달의 저감에 중점적으로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면적의 대부분을 가로질러서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재질로는, 방사율(emissivity)이 낮은 물품이 바람직하고, 실시예에서는 방사율 0.02의 알루미늄 박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로는 충분한 복사열 차단작용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적어도 두 장의 복사저항쉬트(3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어느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는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33)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재질인 스테인레스보다는 방사율이 높을 수 있지만, 진공공간부를 충전하고 있으므로 복사열전달의 저항효율이 높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사저항쉬트(32)가 없이도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에는 각 전도저항쉬트가 구조가 간단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도면을 통하여 더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8a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밀봉되어야 한다. 이때 두 플레이트 부재는 각각이 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양자 간에 열전달이 발생할 수 있다. 종류가 다른 두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저항쉬트(60)가 마련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양단이 밀봉되는 밀봉부(61)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서 흐르는 열전도량을 줄이기 위하여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얇은 박판으로 제공된다. 상기 밀봉부(610)는 용접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가 서로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간의 융착 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는 서로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스테인레스를 그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610)는 용접부로 제한되지 않고 코킹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곡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열전도의 거리는 각 플레이트 부재의 직선거리보다 길게 제공되어, 열전도량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온도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그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어 단열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의 경우에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고온이고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저온이다. 그리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전도가 일어나고 열흐름을 따라서 쉬트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곳을 통한 열전달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저온공간 또는 고온공간의 어느 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노출되는 양만큼 전도저항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상기 차폐부(62)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면에 접하는 다공성물질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 놓이는 별도의 가스켓으로 예시가능한 단열구조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본체 측 진공단열체가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대하여 닫힐 때 대응하는 전도저항쉬트(6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의 일 부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차폐부(62)는 다공성물질 또는 별도의 단열구조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b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고, 도 8a에 대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바깥쪽으로는 사이드 프레임(70)이 더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도어와 본체와의 실링을 위한 부품과 배기공정에 필요한 배기포트와 진공유지를 위한 게터포트 등이 놓일 수 있다. 이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부품의 장착이 편리할 수 있지만, 도어측은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도어 측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진공공간부의 선단부, 즉 모서리 측면부에 놓이기 어렵다. 이는 도어(3)의 모서리 에지부는 본체와 달리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진공공간부의 선단부에 놓이면, 상기 도어(3)의 모서리 에지부는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단열을 위하여 별도의 단열부를 구성해야 하는 불리함이 있기 때문이다.
도 8c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진공공간부를 관통하는 관로에 바람직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도 8a 및 도 8b에 대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관로(64)가 제공되는 주변부에는 도 8a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주름형 전도저항쉬트(63)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열전달경로를 길게 할 수 있고, 압력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저항쉬트의 단열을 위한 별도의 차폐부도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8a를 참조하여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달경로를 설명한다. 진공단열체를 통과하는 열에는, 상기 진공단열체의 표면,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전달되는 표면전도열(①)과,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제공되는 서포팅유닛(30)을 따라서 전도되는 서포터전도열(②)과, 진공공간부의 내부 가스를 통한 가스전도열(③)과, 진공공간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복사전달열(④)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전달열은 다양한 설계 수치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가 변형되지 않고 진공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서포팅유닛을 변경할 수도 있고, 진공압을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의 간격길이를 달리할 수 있고, 전도저항유닛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가 제공하는 각 공간(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온도차를 어느 정도를 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총열전달량이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공되는 단열구조물에 비하여 열전달량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구성을 알아내었다. 여기서,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는 냉장고에서의 실질열전달계수는 19.6mW/mK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을 상대적으로 분석하면, 가스전도열(③)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열전달의 4%이하로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①) 및 상기 서포터전도열(②)의 합으로 정의되는 고체전도열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많다. 예를 들어 75%에 달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상기 고체전도열에 비해서는 작지만 가스전도열에 의한 열전달보다는 크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전체 열전달량의 대략 20%를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분포에 따르면, 실질열전달계수(eK: effective K)(W/mK)는 상기 전달열(①②③④)을 비교할 때 수학식 1의 순서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대상 물품의 형상과 온도차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전체 열전달량과 열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여 얻어낼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 내에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가열원을 두고서 발열량을 알고(W), 냉장고의 도어 본체와 도어의 테두리를 통하여 각각 전달되는 열을 도어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고(K), 열이 전달되는 경로를 환산값으로 확인함으로써(m), 실질열전달계수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전체 진공단열체의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k=QL/A△T로 주어지는 값으로서, Q는 열전달량(W)으로서 히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고, A는 진공단열체의 단면적(m2)이고, L은 진공단열체의 두께(m)이고, △T는 온도차로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은, 전도저항쉬트(60)(63)의 입출구의 온도차(△T), 전도저항쉬트의 단면적(A), 전도저항쉬트의 길이(L), 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k)(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를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서포터전도열은, 서포팅유닛(30)의 입출구의 온도차(△T), 서포팅유닛의 단면적(A), 서포팅유닛의 길이(L),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k)을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전도열(③)과 상기 복사전달열(④)의 합은 상기 전체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에서 상기 표면전도열과 상기 서포터전도열을 빼는 것에 의해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 전도열과 상기 복사전달열의 비율은 진공공간부의 진공도를 현저히 낮추어 가스 전도열이 없도록 하였을 때의 복사전달열을 구하는 것으로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 다공성물질전도열은 상기 서포터전도열(②)과 복사열(④)을 합한 양으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전도열은 다공성물질의 종류와 양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바(31)가 이루는 기하학적 중심과 바가 위치하는 곳과의 온도차(△T1)는 0.5도씨 미만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바가 이루는 기하학적 중심과 진공단열체의 에지부와의 온도차(△T2)는 5도씨 미만으로 제공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지점에서,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평균온도와의 온도차이가 가장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뜨거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저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차가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고가 된다.
이는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표면전도열을 제외하는 다른 곳을 통한 열전달량은 충분히 제어되어야 하고, 표면전도열이 가장 큰 열전달량을 차지하는 경우에 비로소 전체적으로 진공단열체가 만족하는 전체 열전달량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온도변화량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온도변화량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를 제공하는 각 부품의 물리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진공압에 의한 힘이 모든 부품에 가하여진다. 따라서, 일정한 수준이 강도(strength)(N/m2)를 가지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진공압에도 불구하고 파손되지 않는 충분한 강도(strength)가 있는 재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서포터전도열을 제한하기 위하여 바(31)의 개수를 작게 하는 경우에는 진공압에 의한 플레이트 부재의 변형이 발생하여 외관이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방사율이 낮으면서 용이하게 박막가공이 가능한 물품이 바람직하고, 외부충격에 변형되지 않은 정도의 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진공압에 의한 힘을 지지하고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제공되고 가공성이 있어야 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얇은 판상이면서도 진공압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사이드 프레임, 및 전도저항쉬트는 동일한 강도인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스테인레스보다는 약한 강도인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은 알루미늄보다 약한 강도인 수지를 그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재질의 측면에서 바라본 강도와 달리, 강성 측면에서의 분석이 요청된다. 상기 강성(stiffness)(N/m)은 쉽게 변형되지 않는 성질로서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그 형상에 따라서 강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는 강도가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열저항을 높이고 진공압이 가하여질 때 거친면이 없이 고르게 펼쳐져 방사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강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변형으로 다른 부품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의 강성이 요청된다. 특히, 상기 복사저항쉬트의 테두리 부분은 자중에 따른 처짐이 발생하여 전도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일정 수준의 강성이 요청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플레이트 부재로부터의 압축응력 및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이 요청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및 사이드 프레임은 진공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가장 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팅유닛, 특히 바는 두번째로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서포팅유닛보다는 약하지만 전도저항쉬트보다는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진공압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여 가장 강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를 다공성물질(33)로 채우는 경우에도 전도저항쉬트가 가장 강성이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레이트 부재 및 사이드 프레임이 가장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공간부는,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만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서포팅유닛과 함께 다공성물질(33)이 충전되어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고, 서포팅유닛은 적용하지 않고 다공성물질로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서포팅유닛에 적합한 재질로는 PPS의 수지를 제시한 바가 있다. 상기 바(31)는 지지 플레이트(35) 상에서 2~3센티미터 간격으로 촘촘히 마련되고, 그 높이는 1~2센티미터로 제공된다. 이 수지는 성형 시에 수지의 유동성이 좋지 못하여, 성형된 물품이 설계된 값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액상의 수지 주입구에 멀리 떨어진 부분에는 수지의 불균일 주입으로 인하여, 바의 길이가 짧아지는 등의 성형품의 형상이 제대로 제공되지 못하는 일이 잦다.
이는 추후에 서포팅유닛의 파손이나, 진공단열체의 불량의 원인이 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대략 2차원 구조물이지만 그 면적이 상당히 크다. 따라서, 어느 한 부분에서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전체 구조물을 폐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냉장고 및 온장고는 소비자의 니즈에 맞추어서 대형화를 거듭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더욱 크게 대두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서포팅유닛을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유닛의 어느 일측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플레이트가 서로 체결되어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작은 사각형의 부분 플레이트가 서로 체결되어 큰 사각형 형상의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을 기준으로, 제 1 부분 플레이트(351)의 하측 및 우측에, 제 2 부분 플레이트(352) 및 제 4 부분 플레이트(354)가 체결된다. 상기 제 3 부분 플레이트(353)의 좌측 및 상측에, 제 2 부분 플레이트(352) 및 제 4 부분 플레이트(354)가 체결된다.
실시예에서, 각 부분 플레이트는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의 크기는 부분 플레이트의 네 배에 이를 수 있다. 같은 형상 및 구조의 부분 플레이트(351)(352)(353)(354)가 체결되는 개수를 달리함으로써,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의 크기는, 진공단열체의 크기에 따라서 달리 제공되는 것은 용이하게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부분 플레이트를 PPS와 같은 액상일 때의 유동성이 나쁜 수지를 이용하여 부분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상기 부분 플레이트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부분 플레이트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성형 시에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성형불량이 발생하더라도 해당하는 부분 플레이트만을 폐기하기 때문에 서포터 플레이트의 전체를 폐기할 필요가 없다.
작은 부분 플레이트를 생산한 다음에, 진공단열체의 조립 현장에서 이를 조립한 다음에 진공단열체에 넣으면 된다. 따라서 취급 및 이송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큰 부품의 취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작은 부분 플레이트를 다수 개 생산하여, 원하는 면적의 다양한 종류의 서포팅 유닛을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부분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부분 플레이트(351)는 격자구조물의 일측 베이스(355)를 가지고, 일측 베이스(355)에서 격자의 교차지점에는 기둥(356)이 제공된다. 상기 일측 베이스(355)는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접하여 플레이트 부재(10)(20) 내부의 진공공간부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둥(356)은 상기 바(31)의 일부를 제공하여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일측 베이스(351)를 이루는 격자구조물의 메쉬 끝단부는, 서로 다른 부분 플레이트(351)의 체결을 위하여 암수의 체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및 좌측모서리는 숫놈체결구조를 가지고, 우측 및 하측모서리는 암놈체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 화살표의 연장선은 동일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모서리를 표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숫놈체결구조(도 11)에는 상기 일측 베이스(355)의 격자를 제공하는 가지의 끝단에 삽입부(357)를 가진다. 상기 삽입부(357)는 가지의 끝단이 확장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암놈체결구조(도 12)에는 상기 일측 베이스(355)의 끝단에 잡는부(358)가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잡는부(358)는 가지의 끝에 리세스(359)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359)의 형상은 상기 삽입부(35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359)의 안에는 상기 삽입부(357)가 삽입될 수 있다.
인접하는 부분 플레이트의 숫놈체결구조를 다른 부분 플레이트의 암놈체결구조와 상하로 정렬하는데, 이때 상기 삽입부(357)와 상기 리세스(359)를 상하 정렬의 기준으로 한다. 이후에, 상기 삽입부(357)를 상기 리세스(359)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끼우면 부분 플레이트 간의 체결은 완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부분 플레이트(351)의 우측 및 하측의 암놈체결구조는, 상기 제 4 부분 플레이트(354)의 숫놈체결구조 및 상기 제 2 부분 플레이트(352)의 숫놈체결구조의 숫놈체결구조에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조는 다른 부분 플레이트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상기 부분 플레이트의 암놈체결구조 및 숫놈체결구조는, 가능한 한 적은 양의 수지를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급적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일측방향, 즉 상하방향의 이동은 허용하여 체결이 된다. 그러나, 2차원방향, 즉 면적방향으로의 이동은 불허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암놈체결구조 및 상기 숫놈체결구조는 서로 완벽한 끼워맞춤, 즉, 억지끼워맞춤으로 서로 체결될 필요는 없다. 이는 상기 2차원방향으로의 이동만을 방지하여 각 부분 플레이트가 체결되도록 하고, 상하방향의 이동은 허용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부재로 추후에 상하방향의 이동은 고정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액상 유동성이 나쁜 수지의 특징으로 인하여, 약간의 헐거운 체결을 체결을 통하여 상하방향의 이동을 통한 체결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억지끼워맞춤을 위한 체결구조물의 수치는 체결 시에 부분 플레이트의 파손으로 이어질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이 구조물은 수지를 가급적 줄여서 아웃게싱의 양을 줄여서 진공공간부의 진공유지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성형성이 좋지 않은 수지를 이용하더라도 숫놈체결구조 및 암놈체결구조의 성형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도 10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에는 각 부분 플레이트가 모두 접하는 부분이 생기고, 각 부분 플레이트는 서로 동일한 형상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잡는부(358)에는 상기 삽입부(357)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각 부분 플레이트(351)(352)(353)(354)에 제공되는 잡는부(358) 및 삽입부(357)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각 부분 플레이트의 2차원방향, 즉, 면적방향으로의 이동은 고정되고, 일측 서포트 플레이트(350)는 큰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의 면적은 필요한 수의 부분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부분 플레이트의 크기와 개수를 달리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일측 서포트 플레이트(350)의 크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일측 베이스(355)를 이루는 각 격자의 교차지점에 제공되는 기둥(356)에는 두 가지 종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둥(356)에는, 플레이트 부재(10)(20)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간격기둥(3561)과, 상기 복사저항쉬트(32)가 지지되는 지지기둥(356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간격기둥(3561)은,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도 14의 370참조)의 그루브(도 16의 373참조)에 체결되어,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간격기둥(3561)은 상기 그루브(373)과의 체결이 편리하고, 액상 수지를 이용하는 성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간격기둥의 하단부의 직경(H1)은 상단부의 직경(H2)보다 크게 제공할 수 있다. 간격기둥(3561)의 단면형상은 원형이 아닐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상단의 단면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간격기둥(3561)의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간격기둥(3561)과 그루브(373)와의 체결 및 간격기둥(3561)의 성형 형상의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기둥(3562)은, 간격기둥(3561)과 마찬가지로 상단으로 갈수록 지지기둥(3562)의 단면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체결 및 성형성의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지지를 위하여, 상기 지지기둥(3562)에는 단턱(356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상기 지지기둥(3562)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3562)의 작용은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는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면적방향으로의 이동은 구속된다. 따라서, 각 부분 플레이트의 상하방향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각 플레이트 부재(10)(20)의 간격을 지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부재의 내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서포팅유닛이 접하는 경우에는 점접촉이 선접촉에 비하여 안정적인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둥(356)이 바로 플레이트 부재의 내면에 접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에 대응되는 타 측 서포터 플레이트(3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과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부분 플레이트가 체결되어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가 제공되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는 상기 면적방향으로의 분리는 구속되지만,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은 구속이 되지 않는다.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의 상하방향분리를 구속하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의 면적방향분리를 더 강하게 결속하고, 플레이트 부재(10)(20)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70)가 마련된다.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70)는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70)는,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가 지지하는 플레이트 부재의 반대쪽의 플레이트 부재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7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규격화된 타측 플레이트 부재가 그대로 사용되거나, 규격화된 타측 플레이트 부재가 절단 등의 방법으로 분리되어 적정의 위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타측 플레이트 부재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적용되는 면적만 달라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단일체로서의 타측 플레이트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지만, 부분품으로서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 더욱 바람직하게 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부분 플레이트(351)(352)(353)(354)가 서로 체결되는 부분, 즉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의 중앙부에는, 절단되지 않은 원래 크기의 타측 플레이트 부재가, 중첩 타측 플레이트(371)로서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타측 플레이트 부재는 서로 다른 부분 플레이트의 경계부에 중첩하여 체결되어, 각 부분 플레이트의 간의 결속력을 증강시키고 면적방향이동의 구속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부분 플레이트의 상하방향이동의 구속기능, 및 플레이트 부재(10)(20)의 간격유지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물론이다.
상기 타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의 가운데 부분에 체결되는 중첩 타측 플레이트(371)와 같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부분 플레이트에 중첩하여 체결되지 않고, 단일의 상기 부분 플레이트의 안에 타측 플레이트 부재가 모두 체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타측 플레이트 부재의 일부분은 단일 타측 플레이트(372)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부분 플레이트의 상하방향이동의 구속기능 및 플레이트 부재(10)(20)의 간격유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각 부분 플레이트의 면적방향이동의 구속 및 부분 플레이트 간의 결속력을 증진하는 작용은 수행할 수 없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부분 플레이트(351)(352)(353)(354)와 같은 면적을 가지는 타측 플레이트 부재(370)가 네 개가 사용될 수 있다.
네 개 중의 하나는 타측 서포트 플레이트(350)의 가운데에 대응하여 중첩 타측 플레이트(371)로서 체결되고, 네 개 중의 두 개는 가로 및 세로로 각각 절단되어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의 네 모서리의 가운데에 대응하여 중첩 타측 플레이트(371)로서 체결된다. 이 중에서 가로 및 세로로 분리되는 플레이트는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생략하였다.
네 개 중의 하나는 사등분되어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의 꼭지점 부분에 대응하여 단일 타측 플레이트(372)로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타측 플레이트 부재에는, 가장 큰 규격화된 타측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규격화된 가장 큰 타측 플레이트에서 분리 및 전달 등의 방법으로 파생되는 작은 타측 플레이트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진공단열체의 형상 및 모양에 따른 별도의 타측 플레이트 부재를 제공함이 없이도, 다양한 형상 및 구조의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분 플레이트 및 상기 타측 플레이트 부재의 상호간의 배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될 수 있고, 본 발명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5는 도 14의 D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70)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350)와 마찬가지로 격자형상의 타측 베이스(378)를 가지고, 상기 타측 베이스(378)의 격자의 교차지점에는 기둥(356)에 체결되는 그루브(37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턱(3563)과 상기 그루브(373)의 사이에는 복사저항쉬트(32)가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그루브(373)과 단턱(3563)의 끝단 사이에 상하위치가 구속될 수 있고, 지지기둥(3562)에 의해서 면적방향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단턱(3563)과 그루브(373)의 사이에서 복사저항쉬트(32)의 상하방향의 지지위치가 구속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사저항쉬트(32)에 제공되는 홀의 크기는 단턱(3563)의 단부크기 및 그루브(373)의 단부크기에 비하여 작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진공단열체가 가지는 바람직한 진공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진공압이 낮아질수록 즉, 진공도가 높아질수록 본체만의 경우(그래프 1) 또는 본체와 도어를 합한 경우(그래프 2)의 열부하는, 종래의 폴리우레탄을 발포한 물품과 비교하여 열부하(heat load)가 줄어들어서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정도는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진공압이 낮아질수록 가스전도도(그래프 3)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단열성능 및 가스전도도가 개선되는 비율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진공압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과도한 진공압을 얻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들고, 과도한 게터(getter)사용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점에서 최적의 진공압을 제안한다.
도 18은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를 진공상태로 조성하기 위하여, 가열하면서(baking) 진공공간부의 부품에 남아있는 잠재적인 기체를 기화시키면서 진공펌프로 진공공간부의 기체를 배기한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진공압에 이르면 더 이상 진공압의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 지점에 이르게 된다(△t1). 이후에는 진공펌프의 진공공간부의 연결을 끊고 열을 가하여 게터를 활성화시킨다(△t2). 게터가 활성화되면 일정 시간 동안은 진공공간부의 압력이 떨어지지만 정상화되어 일정 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한다. 게터 활성화 이후에 일정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할 때의 진공압은 대략 1.8×10-6Torr이다.
실시예에서는 진공펌프를 동작시켜 기체를 배기하더라도 더이상 실질적으로 진공압이 낮아지지 않는 지점을 상기 진공단열체에서 사용하는 진공압의 하한으로 설정하여 진공공간부의 최저 내부 압력을 1.8×10-6Torr로 설정한다.
도 19는 진공압과 가스전도도(gas conductivity)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의 사이 갭의 크기에 따라서 진공압에 따른 가스전도열(gas conductivity)을 실질열전달계수(eK)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2.76mm, 6.5mm, 및 12.5mm의 세 가지 경우로 측정하였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복사저항쉬트(32)가 있는 경우는 상기 복사저항쉬트와 인접한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복사저항쉬트가 없는 경우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거리이다.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단열재를 제공하는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과 대응되는 지점은 갭의 크기가 작아서 2.76mm인 경우에도 2.65×10-1Torr인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가스전도열에 의한 단열효과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은 대략 4.5×10-3Torr인 지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4.5×10-3Torr의 압력은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실질열전달계수가 0.1 W/mk일때에는 1.2×10-2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이 제공되지 않고 상기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갭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이다. 이 경우에는, 다공성물질로 인하여 비교적 진공압이 높은 경우에도, 즉 진공도가 낮은 경우에도 복사열전달은 작다. 따라서 그 진공압에 맞는 적절한 진공펌프를 사용한다. 해당하는 진공펌프에 적정한 진공압은 대략 2.0×10-4Torr이다. 또한, 가스 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의 진공압은 대략 4.7×10-2Torr이다. 또한,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에 이르는 압력은 730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과 상기 다공성물질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상기 다공성물질만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간 정도의 진공압을 조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진공단열체의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품은, 다른 실시예에 적절한 형상의 변경이나 차원의 변경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더 나은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도어 측에 적합한 진공단열체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형상 및 구성의 적절한 변형을 가함으로써, 본체 측에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제시되는 진공단열체는 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진공단열체의 적용은 냉장고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초저온냉장장치, 온장장치, 및 송풍장치와 같은 다양한 개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가 다양한 단열설비에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단열효과를 높여서 에너지 사용효율을 높이고, 설비의 유효용적을 높일 수 있어서, 시급한 산업상의 적용이 적극적으로 기대된다.
350: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370: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Claims (15)

  1.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제 3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 및
    상기 제 3 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플레이트가 체결되어 제공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하나를 지지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사각형상인 진공단열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플레이트의 인접하는 두 모서리는 숫놈체결구조가 마련되고, 다른 인접하는 두 모서리에는 암놈체결구조가 마련되는 진공단열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플레이트는 면적방향의 이동은 구속되지만, 상하방향의 이동은 구속되지 않는 진공단열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플레이트는 같은 형상인 진공단열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플레이트에는,
    격자구조물로 제공되는 일측 베이스: 및
    상기 격자구조물의 교차지점에 제공되는 다수의 기둥이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항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의 복사열전달에 저하는 복사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기둥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기둥; 및
    상기 복사저항쉬트가 지지되는 지지기둥이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에는,
    격자형상의 타측 베이스; 및
    상기 격자형상의 교차지점에 제공되어, 상기 기둥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그루브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타측 플레이트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에는,
    상기 부분 플레이트 간의 경계부에 체결되는 중첩 타측 플레이트; 및
    상기 부분 플레이트 간의 경계부가 아닌 부분에 체결되는 단일 타측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플레이트 부재에는,
    가장 큰 규격화된 타측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규격화된 타측 플레이트 부재의 일부분에 상당하는 작은 타측 플레이트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12.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제 3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 및
    상기 제 3 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플레이트가 체결되어 제공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상기 부분 플레이트 부재의 경계부 체결하는 중첩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13.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제 3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 및
    상기 제 3 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각각 지지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분리되는 적어도 두 개의 부재가 체결되어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14.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되는 본체; 및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캐비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 및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열을 빼앗는 증발기가 포함되고,
    상기 도어는 진공단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단열체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외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와 상기 외부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공간부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및
    상기 진공공간부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플레이트가 체결되어 제공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하나를 지지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다른 하나를 지지하고,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되는 타측 플레이트 부재를 가지는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부분 플레이트는 서로 동일한 형상인 냉장고.
KR1020170103444A 2017-08-16 2017-08-16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59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444A KR102459786B1 (ko) 2017-08-16 2017-08-16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N201880053044.7A CN111033110B (zh) 2017-08-16 2018-07-31 真空绝热体以及冰箱
CN202110908473.1A CN113606850B (zh) 2017-08-16 2018-07-31 真空绝热体以及冰箱
AU2018318604A AU2018318604B2 (en) 2017-08-16 2018-07-31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RU2020110370A RU2755863C2 (ru) 2017-08-16 2018-07-31 Вакуумное адиабатическое тело
CN202110909689.XA CN113606851B (zh) 2017-08-16 2018-07-31 真空绝热体以及冰箱
EP18846385.5A EP3669112A4 (en) 2017-08-16 2018-07-31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PCT/KR2018/008700 WO2019035577A1 (en) 2017-08-16 2018-07-31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6/637,861 US11466925B2 (en) 2017-08-16 2018-07-31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RU2021127250A RU2021127250A (ru) 2017-08-16 2018-07-31 Вакуумное адиабатическое тело
AU2022202271A AU2022202271A1 (en) 2017-08-16 2022-04-05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7/940,298 US11781802B2 (en) 2017-08-16 2022-09-08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1020220137261A KR102663837B1 (ko) 2017-08-16 2022-10-24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US18/242,119 US20230408181A1 (en) 2017-08-16 2023-09-05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1020240057866A KR20240065228A (ko) 2017-08-16 2024-04-30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444A KR102459786B1 (ko) 2017-08-16 2017-08-16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261A Division KR102663837B1 (ko) 2017-08-16 2022-10-24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835A true KR20190018835A (ko) 2019-02-26
KR102459786B1 KR102459786B1 (ko) 2022-10-28

Family

ID=6536225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444A KR102459786B1 (ko) 2017-08-16 2017-08-16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0220137261A KR102663837B1 (ko) 2017-08-16 2022-10-24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0240057866A KR20240065228A (ko) 2017-08-16 2024-04-30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261A KR102663837B1 (ko) 2017-08-16 2022-10-24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0240057866A KR20240065228A (ko) 2017-08-16 2024-04-30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1466925B2 (ko)
EP (1) EP3669112A4 (ko)
KR (3) KR102459786B1 (ko)
CN (3) CN113606851B (ko)
AU (2) AU2018318604B2 (ko)
RU (2) RU2755863C2 (ko)
WO (1) WO2019035577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946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1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3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2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4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8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1959693B2 (en) 2018-06-27 2024-04-16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6956A1 (en) 2000-09-01 2002-03-07 Nobuo Hanehira Photovoltaic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343719B1 (ko) 2000-01-14 2002-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 단열재 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도어
US20100251653A1 (en) * 2007-03-16 2010-10-07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Integrated Multilayer Insulation
KR20110015327A (ko) * 2009-08-07 2011-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의 코어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KR20150012712A (ko) 2013-07-26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50109727A (ko) 2014-03-20 2015-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160079278A (ko) * 2014-12-2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WO2017023094A1 (en) * 2015-08-03 2017-02-09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170071623A (ko) * 2015-12-15 2017-06-26 주식회사 경동원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교차적층 된 진공단열패널의 연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0711A (en) 1921-03-17 1922-06-27 William K Knutson Refrigerator
US1814114A (en) 1925-11-21 1931-07-14 Insulation Corp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US2000882A (en) * 1928-09-07 1935-05-07 Stator Refrigeration Inc Insulating housing
US1845353A (en) 1928-12-14 1932-02-16 Virgil K Snell Heat-insulating construction
US2065608A (en) 1932-11-25 1936-12-29 Termisk Isolation Ab Heat insulating cabinet
US2464526A (en) 1945-10-24 1949-03-15 Int Harvester Co Refrigerator construction
US2989156A (en) * 1956-11-23 1961-06-20 Whirlpool Co Heat insulating panels
GB890372A (en) 1959-01-27 1962-02-28 Union Carbide Corp Vacuum panel insulation
US3161265A (en) 1959-01-27 1964-12-15 Union Carbide Corp Vacuum panel insulation
US3156975A (en) 1959-02-16 1964-11-17 Evacuated Insulation Res Ltd Method of making heat insulating panels
US3338451A (en) 1964-02-20 1967-08-29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JPS5316672B2 (ko) 1971-09-16 1978-06-02
ZA728342B (en) * 1972-11-24 1974-07-31 Roran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sulating materials
JPS5517072Y2 (ko) 1976-07-23 1980-04-21
DE3328120C1 (de) 1983-08-04 1984-10-18 Ernst 7500 Karlsruhe Gaus Kuehlbox fuer Kraftfahrzeuge oder aehnliche mobile Einrichtungen,insbesondere fuer Personenkraftwagen
JPS60179344A (ja) 1984-02-27 1985-09-13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冷蔵庫
JPS60173879U (ja) 1984-04-25 1985-11-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冷温蔵庫
JPH0656275B2 (ja) 1985-12-26 1994-07-27 日本電装株式会社 車両用冷蔵庫
US4732432A (en) 1986-12-29 1988-03-22 Whirlpool Corporation Breaker strip for a refrigerator cabinet
US4826040A (en) 1987-07-31 1989-05-0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Refrigeration cabinet construction
JPH01142379A (ja) 1987-11-30 1989-06-05 Nippon Denso Co Ltd 雰囲気管理装置
US4837388A (en) 1987-12-23 1989-06-06 Nudvuck Enterprises Evacuated insula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1179882A (ja) 1988-01-07 1989-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の制御装置
US5157893A (en) 1988-04-15 1992-10-27 Midwest Research Institute Compact vacuum insulation
CN2066123U (zh) 1989-09-19 1990-11-21 万长荣 真空绝热节能冰箱
US5011729A (en) * 1989-11-15 1991-04-30 Mcallister Ian R Vacuum insulated panels with concave surfaces on the surface layers
DK0439046T3 (da) 1990-01-22 1993-12-27 Atd Corp Måtte med køleplade og termisk isolerende områder
US5500305A (en) 1990-09-24 1996-03-19 Aladdin Industries, Inc. Vacuum insulated panel and method of making a vacuum insulated panel
JPH059298A (ja) 1991-07-05 1993-01-19 Daicel Chem Ind Ltd ポリカプロラクトンをグラフト化したポリオレフイン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14877A (en) 1992-06-23 1993-06-01 Ardco, Inc. Refrigerator door assembly with venting system
RU2073285C1 (ru) 1993-08-26 1997-02-10 Виктор Сергеевич Суганеев Конструкция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его корпуса
JPH0791591A (ja) * 1993-09-21 1995-04-04 Kubota Corp 断熱壁の充填材
US5720536A (en) 1995-03-27 1998-02-24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with improved breaker strip assembly
US6634417B1 (en) 1997-04-07 2003-10-21 J. Bruce Kolowich Thermal receptacle with phase change material
JP3799768B2 (ja) 1997-09-08 2006-07-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冷凍サイクル装置
DE59813200D1 (de) 1997-10-16 2005-12-22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DE19745827A1 (de) 1997-10-16 1999-05-06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DE19745825A1 (de) 1997-10-16 1999-04-22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US5860594A (en) 1997-12-19 1999-01-19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onal modes of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US6088966A (en) 1997-12-24 2000-07-18 Emco Enterprises, Inc. Hinge-emulating gap concealing strip for a door
US6637093B2 (en) 1998-03-03 2003-10-28 Anthony, Inc. Method of assembling a display case door
DE19907182A1 (de) 1999-02-19 2000-08-2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
AU6488100A (en) 1999-07-13 2001-01-30 Arcelik A.S. Automatic quick freezing
JP4620211B2 (ja) 2000-03-31 2011-0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断熱化粧材及び断熱化粧部材
JP2002071088A (ja) 2000-08-28 2002-03-08 Matsuda Gijutsu Kenkyusho:Kk 断熱パネル
JP3750530B2 (ja) 2001-01-25 2006-03-0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断熱パネル
FR2821519B1 (fr) 2001-02-28 2003-05-02 Saint Gobain Element vitre isolant, notamment pour enceinte refrigeree
KR100363646B1 (en) 2001-03-13 2002-12-05 Daewoo Electronics Corp Method for controlling compressor of inverter refrigerator
JP2003042388A (ja) 2001-07-27 2003-02-13 Matsuda Gijutsu Kenkyusho:Kk 断熱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テナ
TW593919B (en) 2002-05-31 2004-06-21 Matsushita Refrigeration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refrigerator us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KR100461868B1 (ko) 2002-06-29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0303619Y1 (ko) 2002-11-08 2003-02-11 대우전자주식회사 자동차용 냉장고
KR100505871B1 (ko) 2002-11-15 2005-08-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고의 제어 방법
JP2004211376A (ja) 2002-12-27 2004-07-29 Haruo Uehara 真空断熱パネル
US6769265B1 (en) 2003-03-12 2004-08-03 Maytag Corporation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US20040226956A1 (en) 2003-05-14 2004-11-18 Jeff Brooks Cryogenic freezer
US20050053755A1 (en) 2003-09-09 2005-03-10 Kendro Laboratory Products, Lp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ethod
JP2005106090A (ja) 2003-09-29 2005-04-21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1564513A1 (en) 2004-02-12 2005-08-17 Whirlpool Corporation A refrigerator with a variable speed compress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cooling capacity thereof
CN2691933Y (zh) 2004-03-06 2005-04-13 江苏阪神电器股份有限公司 车载移动式冰柜
CN2720362Y (zh) 2004-08-12 2005-08-24 白尚富 冰箱用内设支柱式真空隔温板
JP2006082604A (ja) 2004-09-14 2006-03-30 Denso Corp 車両用冷蔵庫
KR20070037274A (ko) 2005-09-30 2007-04-04 정홍준 진공판넬
DE102005057150A1 (de) 2005-11-30 2007-06-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ühl- bzw. Gefrierschrank mit Verstärkungsrahmen
DE102005059145A1 (de) 2005-12-10 2007-06-28 Rehau Ag + Co Gefrierschranktürbaugruppe sowie Gefrierschrank mit einer derartigen Gefrierschranktürbaugruppe
KR100863574B1 (ko) 2007-02-27 2008-10-15 주식회사 한국프라스틱 단프라 시트를 이용한 팔레트와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US8234835B2 (en) * 2007-03-16 2012-08-07 Quest Product Development Corporation Integrated multilayer insulation
KR100845153B1 (ko) 2007-04-04 2008-07-09 주식회사 대창 차량용 냉장고
DE102008041014A1 (de) 2008-08-05 2010-02-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ühlgerät mit Temperierfunktion
US9238398B2 (en) 2008-09-25 2016-01-19 B/E Aerospace, Inc.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on with a vehicle's liquid cooling system
JP2010109653A (ja) 2008-10-30 2010-05-13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方法および画像読取プログラム
EP2538125A3 (en) 2008-12-26 2013-02-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box using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refrigerator, refrigerating/air-conditioning apparatus, water heater, equipm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KR101041086B1 (ko) 2009-03-03 2011-06-14 한국과학기술원 진공 단열체
KR101015814B1 (ko) 2009-04-01 2011-02-22 한국과학기술원 진공 단열체
WO2010119591A1 (ja) 2009-04-17 2010-10-21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凍冷蔵庫及び冷却庫
US8382219B2 (en) 2009-05-11 2013-02-26 Sub-Zero, Inc. Installation system and door positioning device for appliances
JP5362024B2 (ja) 2009-10-19 2013-12-11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及び断熱箱及び冷蔵庫及び冷凍・空調装置及び給湯装置及び機器及び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US7891203B1 (en) 2009-12-14 2011-02-22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oling items using vehicle HVAC system
KR101369810B1 (ko) 2010-04-09 2014-03-05 이초강 로봇을 위한 경험적 상황인식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E102011050472A1 (de) 2010-05-18 2011-11-24 Viktor Schatz Abstandhalteranordnung mit Stützelementen
JP2012021615A (ja) 2010-07-16 2012-02-02 Matsuda Gijutsu Kenkyusho:Kk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輸送用コンテナ
KR101068459B1 (ko) 2010-07-29 2011-09-28 주식회사엑스엘 진공단열패널
JP5618756B2 (ja) * 2010-10-18 2014-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27516B1 (ko) 2010-10-28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98487B1 (ko) 2010-10-28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02121781B (zh) 2011-02-21 2013-01-30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填充气囊组件、电冰箱和制冷设备
DE102011006260A1 (de) 2011-03-28 2012-10-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JP2012207682A (ja) 2011-03-29 2012-10-25 Matsuda Gijutsu Kenkyusho:Kk 真空断熱パネル
DE102011075388A1 (de) 2011-05-06 2012-11-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JP5316677B2 (ja) 2011-05-09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5890973B2 (ja) 2011-06-24 2016-03-22 株式会社松田技術研究所 真空断熱パネル
KR20130015183A (ko) 2011-08-02 201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기능성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61831B1 (ko) * 2011-11-02 201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US9528749B2 (en) * 2011-11-02 2016-12-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61832B1 (ko) * 2011-11-04 201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363423B1 (ko) 2012-01-17 2014-02-17 주식회사 경동원 팽창 퍼라이트·실리카 성형 구조체를 갖는 저밀도 무기질 파우더 진공단열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성형기
JP6083939B2 (ja) 2012-03-12 2017-02-22 株式会社松田技術研究所 真空断熱パネルおよび断熱箱体
JP6108180B2 (ja) 2012-03-23 2017-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断熱筐体
KR101565420B1 (ko) 2012-12-13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183719B1 (ko) 2013-04-08 2020-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6376B1 (ko) 2013-04-24 2014-10-31 한국과학기술원 조립식 왕복 지지체를 가지는 진공 단열체의 구조
JP6071796B2 (ja) 2013-08-06 2017-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の扉及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KR101609438B1 (ko) 2014-02-11 2016-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6511626B2 (ja) 2014-04-18 2019-05-15 株式会社安川電機 シーム溶接システム、シーム溶接方法および被溶接物の生産方法
DE102014211095A1 (de) 2014-06-11 2015-12-17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CN204141054U (zh) 2014-09-30 2015-02-04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保温支撑装置
CN104296490B (zh) 2014-10-09 2017-01-1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控制方法、系统及冰箱
KR102222572B1 (ko) * 2014-10-16 2021-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366410B1 (ko) * 2014-10-16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US20160258671A1 (en) 2015-03-02 2016-09-08 Whirlpool Corporation Gas barrier for vacuum insulation
CN104913571B (zh) 2015-06-25 2017-09-19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变频冰箱及变频冰箱的控制方法
KR102529853B1 (ko)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조방법, 다공성물질패키지, 및 냉장고
KR102529852B1 (ko)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98210B1 (ko) 2015-08-03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97139B1 (ko) 2015-08-03 202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KR102466469B1 (ko) 2015-08-03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05802B1 (ko) 2015-08-03 2022-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2973B1 (ko) 2015-08-03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7245B1 (ko) 2015-08-03 202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56642B1 (ko) 2015-08-03 202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02160B1 (ko) 2015-08-03 202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1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88A (ko)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0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66470B1 (ko) 2015-08-04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1738787B1 (ko) 2015-12-15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저장고, 차량용 저장고, 및 차량
CN205350719U (zh) 2015-12-31 2016-06-29 深圳市纳能科技有限公司 保温隔热套及隔热箱
US10753669B2 (en) 2016-05-03 2020-08-25 Whirlpool Corporation Hinge support assembly for a vacuum insulated appliance cabinet
KR102151363B1 (ko) 2016-06-13 2020-09-02 닛테츠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진공 단열 패널
CN106016957B (zh) 2016-06-29 2019-02-0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控制方法及装置
CN205784134U (zh) 2016-07-15 2016-12-07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超节能薄壁冰箱
KR20170000187U (ko) 2016-07-21 2017-01-12 주식회사 경동원 이음맞춤 구조를 갖는 진공단열재
US10913232B2 (en) * 2016-08-30 2021-02-09 Quest Thermal Group LLC Cellular load-responsive multilayer insulation
CN106500428B (zh) 2016-12-21 2019-02-1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8253709A (zh) 2016-12-29 2018-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CN106766594A (zh) 2016-12-30 2017-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门体及具有该冰箱门体的冰箱
KR102658455B1 (ko) 2017-02-17 202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온장고, 및 진공단열체
KR102459784B1 (ko) * 2017-08-01 2022-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9177B1 (ko) * 2017-08-01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N109397796B (zh) 2017-08-16 2020-09-08 张跃 一种曲面夹芯金属板
CN208281706U (zh) 2018-04-16 2018-12-25 江苏首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水箱真空保温板
CN208472996U (zh) 2018-05-31 2019-02-05 金乡蒜通天下仓储有限公司 一种冷库保温层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719B1 (ko) 2000-01-14 2002-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 단열재 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도어
US20020026956A1 (en) 2000-09-01 2002-03-07 Nobuo Hanehira Photovoltaic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20100251653A1 (en) * 2007-03-16 2010-10-07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Integrated Multilayer Insulation
KR20110015327A (ko) * 2009-08-07 2011-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의 코어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KR20150012712A (ko) 2013-07-26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50109727A (ko) 2014-03-20 2015-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160079278A (ko) * 2014-12-2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WO2017023094A1 (en) * 2015-08-03 2017-02-09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170071623A (ko) * 2015-12-15 2017-06-26 주식회사 경동원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교차적층 된 진공단열패널의 연결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9693B2 (en) 2018-06-27 2024-04-16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6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1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3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2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4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2092948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3110B (zh) 2021-08-27
CN113606850B (zh) 2023-09-15
EP3669112A4 (en) 2021-04-21
AU2022202271A1 (en) 2022-04-21
WO2019035577A1 (en) 2019-02-21
KR102459786B1 (ko) 2022-10-28
AU2018318604A1 (en) 2020-04-02
CN113606850A (zh) 2021-11-05
US20230408181A1 (en) 2023-12-21
CN113606851B (zh) 2023-07-07
EP3669112A1 (en) 2020-06-24
RU2020110370A3 (ko) 2021-09-16
RU2020110370A (ru) 2021-09-16
KR102663837B1 (ko) 2024-05-09
RU2755863C2 (ru) 2021-09-22
RU2021127250A (ru) 2021-10-04
KR20240065228A (ko) 2024-05-14
AU2018318604B2 (en) 2022-01-06
US20200248955A1 (en) 2020-08-06
KR20220146398A (ko) 2022-11-01
US20230003437A1 (en) 2023-01-05
US11781802B2 (en) 2023-10-10
CN113606851A (zh) 2021-11-05
CN111033110A (zh) 2020-04-17
US11466925B2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834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90018835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87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90013338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02160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240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242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88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91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89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90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80090055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30093208A (ko) 진공단열체
KR20190013333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30087432A (ko) 진공단열체
KR20200001347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608948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50615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RU2776884C2 (ru) Вакуумное тело
KR20170016186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89820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