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736A - 차량용 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736A
KR20190007736A KR1020170089102A KR20170089102A KR20190007736A KR 20190007736 A KR20190007736 A KR 20190007736A KR 1020170089102 A KR1020170089102 A KR 1020170089102A KR 20170089102 A KR20170089102 A KR 20170089102A KR 20190007736 A KR20190007736 A KR 20190007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upper arm
arm
inner spac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223B1 (ko
Inventor
송기영
허재성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223B1/ko
Priority to CN201711247071.1A priority patent/CN109249803B/zh
Priority to US15/836,136 priority patent/US10303198B2/en
Publication of KR2019000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736A/ko
Priority to US17/501,352 priority patent/USRE49642E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50Manufacturing of pedals; Ped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G05G1/506Controlling members for foot-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페달암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가 절감, 중량 감소, 성형성 확보의 장점이 유지되고, 페달암의 취약 부분 강성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페달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페달 장치 {PEDA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페달암의 형상을 통해 강성을 확보한 차량용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는 플라이휠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기관의 동력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최초 차량를 기동시킬 때 또는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기관의 동력과 연결을 끊고, 기관의 동력에 의해 차량를 움직이고자 할 때에는 기관의 동력과 서서히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수동변속기일 경우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기어변속시 기관의 동력이 변속기 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야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다.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기관 동력과 변속기 사이의 동력 전달을 끊고,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시킨 후, 발을 떼면 클러치 페달은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유압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리턴하게 된다.
이러한 클러치 페달은 보통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스틸 재질의 경우 중량 및 원가가 증가하고 성형성도 낮아 형상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클러치 페달이 개발되고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의 클러치 페달은 원가 절감, 중량 감소 및 복잡한 성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플리스틱 재질의 페달은 운전자의 발이 답입되는 패드 부분과 마스터 실린더의 연결 부위의 거리가 길어지게 형성될 경우 페달의 강도가 낮아져 강성을 확보하는데 불리한 단점이 있다. 즉, 페달암이 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형상의 경우 페달 조작시 굴곡된 부분에 집중 하중을 받아 페달암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3-0083378 A (2003.10.3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페달암의 패드 부분과 마스터 실린더의 연결 부위의 수평방향 옵셋이 커져도 페달암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강성이 확보된 차량용 페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는 대시보드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 멤버; 페달 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하측 부분이 차체의 전후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며, 하측 부분의 굴곡진 방향과 대응되는 상측 부분의 측단이 굴곡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페달암;을 포함한다.
페달암은 멤버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일측단이 타측을 향해 굴곡지게 함몰되어 함몰부가 형성된 상측암부;와 상측암부에서 일체로 하방을 향해 연장되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 패드가 구비된 하측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측암부에는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휘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측암부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메인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리브는 내부공간에서 일측단의 함몰된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공간에는 일측면에서 개방된 타측면을 향해 연장된 다수의 중심부와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중심부와 연결되는 보조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측암부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보강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달 멤버에는 마스터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측암부의 타측단에는 마스터 실린더의 푸시로드가 접촉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측암부의 지지부는 푸시로드의 끝단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지 리브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 리브는 지지부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1리브와, 제1리브를 중심으로 경사 각도를 가지고 상측과 하측을 향해 각기 연장된 제2리브 및 제3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달 멤버에는 페달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측암부의 타측단에는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페달 스위치가 연결되는 조작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작핀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출 리브가 형성되어 조작핀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달 멤버에는 상측암부의 전단에 연결되어 회전된 페달암이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측암부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되며, 스프링기구는 일단이 페달 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피스톤 동작되는 피스톤기구와, 피스톤기구를 감싸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달암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페달 장치는 페달암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가 절감, 중량 감소, 성형성 확보의 장점이 유지되고, 페달암의 취약 부분 강성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페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페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 멤버(100); 및 페달 멤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하측 부분이 차체의 전후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며, 하측 부분의 굴곡진 방향과 대응되는 상측 부분의 측단이 굴곡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페달암(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페달 멤버(100)는 대시보드에 고정 설치되고, 페달암(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페달암(200)의 회전시 연동되는 마스터 실린더(120), 페달 스위치(140), 스프링기구(160)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페달암(2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기 설명할 마스터 실린더(120)에 구성되는 푸시로드(122)의 연결 위치와 운전자의 발이 답입되는 패드(242) 포인트의 위치가 상이함에 따라 페달암(200)이 차체의 전후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에 있어서, 굴곡진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강성 저하 문제가 해소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페달암(200)은 페달 멤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체의 전후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며, 굴곡진 방향에 해당하는 측단이 반대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종래의 페달암(200)의 경우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하측 부분이 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측 부분이 두껍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페달 회전시 굴곡지게 형성되는 하측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페달암(200)의 하측 부분이 차체의 전후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되 상측 부분의 측단이 굴곡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으로써 페달암(200)의 상측 부분의 강성이 하측 부분이 비해 크게 높아지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페달 회전시 굴곡지게 형성되는 하측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상측 부분으로도 응력이 분산되어 응력이 집중됨에 따른 파손이 방지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암(200)은 페달 멤버(10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일측단이 타측을 향해 굴곡지게 함몰되어 함몰부(222)가 형성된 상측암부(220);와 상측암부(220)에서 일체로 하방을 향해 연장되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 패드(242)가 구비된 하측암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페달암(200)은 페달 멤버(100)에 힌지핀(P)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측암부(220)와 상측암부(220)에서 일체로 연결되며 패드(242)가 구비된 하측암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암부(220)의 일측단에는 타측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222)가 형성되고, 하측암부(240)는 상측암부(220)의 함몰부(222)가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상측암부(220)와 하측암부(240)의 두께 차이가 작아짐에 따라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응력 집중에 따른 파손이 방지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암부(220)에는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휘어지게 형성됨으로써 페달암(20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작용하는 탑승자의 조작력에 대응하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상측암부(220)가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 굴곡되어 전방을 향해 경사지는 각도는 90°에 근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실내 공간 및 필요 강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암부(220)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메인 리브(2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암부(220)의 개방되는 방향은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어느 한쪽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타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페달암(200)의 상측암부(220)는 일측단이 함몰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측암부(220)의 일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경우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되는바, 상측암부(220)의 타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측암부(220)의 내부공간에는 메인 리브(224)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됨으로써 상측암부(220)의 강도가 확보된다. 여기서, 메인 리브(224)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암부(220)의 내부공간 전면적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 내에서 하나 또는 균일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메인 리브(224)는 내부공간에서 일측단의 함몰된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리브(224)는 상측암부(220)의 측방향 중심에서 일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함몰부(222)에 의해 낮아진 강성이 보강됨과 더불어 하측암부(240)에 구비된 패드(242)와 메인 리브(224) 간의 거리로 축소됨에 따라 내구성이 확보된다.
상세하게, 페달의 경우 마스터 실린더(120)에 구성되는 푸시로드(122)의 위치와 운전자의 발이 답입되는 패드(242) 포인트의 위치의 거리가 길게 형성될 경우 페달암(200)의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측암부(220)의 메인 리브(224)가 하기 설명할 마스터 실린더(120)에 구성되는 푸시로드(122)보다 일측에 위치되고, 상측암부(22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바, 메인 리브(224)와 패드(242) 포인트의 거리로 축소된다. 이로 인해, 페달암(200)의 강도가 확보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내부공간에는 일측면에서 개방된 타측면을 향해 연장된 다수의 중심부(226)와 중심부(226)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중심부(226)와 연결되는 보조 리브(2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측암부(220)의 내부공간 일측면에는 다수의 중심부(226)가 분산되고, 이 중심부(226)에서는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중심부(226)와 연결되는 보조 리브(228)가 형성됨으로써 상측암부(220)의 전체적인 강성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보조 리브(228)는 상측암부(220)의 내부공간 전체면에 분산되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중심부(226)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암부(240)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보강 리브(2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측암부(240)는 내부공간을 갖되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운전석에서 페달암(200)을 바라볼 때, 개방된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측암부(240)의 내부공간 전체면에 대해 보강 리브(244)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하측암부(240)의 강성이 확보된다.
한편, 페달 멤버(100)에는 마스터 실린더(120)가 구비되며, 마스터 실린더(120)는 페달 조작시 유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클러치 페달에 적용된다. 이러한 마스터 실린더(120)에는 페달암(200)에 연결되는 푸시로드(122)가 구비되며, 이 푸시로드(122)는 페달암(200)의 타측단에 형성된 지지부(223)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23)는 후방으로 개방된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푸시로드(1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힌지핀이 관통될 수 있는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푸시로드(122)가 지지부(223)에 삽입된 상태에서, 페달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마스터 실린더(120)를 향해 직선 운동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223)는 상측암부(220)의 타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측암부(220)의 지지부(223)는 푸시로드(122)의 끝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지 리브(2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부(223)는 상측암부(220)의 타측단으로 돌출됨으로써 페달에 작용되는 조작력에 의한 응력이 페달암(200)에서 분산되도록 하고, 지지부(223)가 지지 리브(225)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자체 강성이 확보된다.
여기서, 지지 리브(225)는 지지부(223)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1리브(225a)와, 제1리브(225a)를 중심으로 경사 각도를 가지고 상측과 하측을 향해 각기 연장된 제2리브(225b) 및 제3리브(225c)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223)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된 제1리브(225a)를 중심으로 제2리브(225b)가 상측으로 45°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3리브(225c)가 하측으로 45°로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지지부(223)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지지력이 확보되어 강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지지 리브(225)는 지지부(223)에서 상측암부(220)의 내부공간으로 연장 형성되어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페달 멤버(100)에는 페달 스위치(1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페달 스위치(140)는 클러치 페달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의 작동 상태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클러치 페달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페달 스위치(140)는 페달암(200)의 상측암부(220)에 형성된 조작핀(227)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페달암(200)의 상측암부(220) 타측단에는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페달 스위치(140)가 연결되는 조작핀(227)이 형성되며, 페달 스위치(140)는 조작핀(227)과 연결되는 연결부(142)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부(142)에는 조작핀(227)이 삽입되는 슬릿홀이 형성되고, 페달 스위치(14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페달암(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페달암(2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핀(227)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출 리브(227a)가 형성되어 조작핀(227)이 지지됨으로써 조작핀(227)의 강성이 증가되어 조작핀(227)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돌출 리브(227a)의 경우 조작핀(227)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을 이격되어 조작핀(227)을 감쌈으로써 조작핀(227)의 강성이 확보된다. 이러한 조작핀(227)은 상측암부(220)에서 상술한 지지부(223)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멤버(100)에는 상측암부(220)의 전단에 연결되어 회전된 페달암(200)이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기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기구(160)는 페달암(200)에 탄성력을 제공함에 따라 답입력과 복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단이 페달 멤버(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부(22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피스톤 동작되는 피스톤기구(162)와, 피스톤기구(162)를 감싸는 스프링(1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기구(162)는 원통형의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로 삽입되는 피스톤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피스톤 동작되는 기구는 통상의 기술인바,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하였다. 한편, 상측암부(220)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부(229)가 형성됨으로써 스프링기구(160)의 피스톤기구(162) 및 스프링(164)이 지지된다.
여기서, 고정부(229)는 상측암부(220)와 하측암부(240)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고정부(229)에 안착된 스프링기구(160)가 수직한 방향으로 탄발 동작되게 할 수 있으며, 피스톤기구(162)가 고정부(229)와 페달멤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페달암(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원활히 작동 관계를 갖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페달암(200)은 상측암부(220)에서 하측암부(240)가 일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에 있어서, 상측암부(220)에는 하측암부(240)가 굴곡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222)가 형성됨으로써 패드(242)에 조작력 작용시 발생되는 응력이 상측암부(220)와 하측암부(240)에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응력이 집중됨에 따른 손상이 방지된다.
특히, 이러한 페달암(200)의 구조에 있어서, 상측암부(220)의 타측단에 마스터 실린더(120)의 푸시로드(122)가 연결되는 지지부(223)와 페달 스위치(140)가 연결되는 조작핀(227)이 형성됨으로써 성형시 지지부(223)와 조작핀(227)에 사출 유동량이 커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측암부(220)에는 지지부(223)와 조작핀(227) 사이에 함몰부(222)가 형성되며, 사출 유동량이 지지부(223)와 조작핀(227)으로 확보됨에 따라 사출 성형시 해당 부분의 기공 발생이 저감되고 밀도가 높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페달 장치는 페달암(200)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가 절감, 중량 감소, 성형성 확보의 장점이 유지되고, 페달 조작시 페달암(200)의 취약 부분의 강성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페달암(200)의 상측암부(220)에 형성된 함몰부(222)에 의해 페달암(200)의 사출 성형시 마스터 실린더(120)의 푸시로드(122)가 연결되는 지지부(223)와 페달 스위치(140)가 연결되는 조작핀(227) 부분의 사출 유동량이 증가됨으로써 성형성이 개선되어 지지부(223)와 조작핀(227) 부분의 기공 발생이 저감되고 밀도가 높아져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페달 멤버 120:마스터 실린더
122:푸시로드 140:페달 스위치
142:연결부 160:스프링기구
162:피스톤기구 164:스프링
200:페달암 220:상측암부
222:함몰부 223:지지부
224:메인 리브 225:지지 리브
226:중심부 227:조작핀
228:보조 리브 229:고정부
240:하측암부 242:패드
244:보강 리브

Claims (15)

  1. 대시보드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 멤버; 및
    페달 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하측 부분이 차체의 전후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며, 하측 부분의 굴곡진 방향과 대응되는 상측 부분의 측단이 굴곡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페달암;을 포함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페달암은 멤버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일측단이 타측을 향해 굴곡지게 함몰되어 함몰부가 형성된 상측암부;와
    상측암부에서 일체로 하방을 향해 연장되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 패드가 구비된 하측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측암부에는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휘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측암부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메인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메인 리브는 내부공간에서 일측단의 함몰된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내부공간에는 일측면에서 개방된 타측면을 향해 연장된 다수의 중심부와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중심부와 연결되는 보조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하측암부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보강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페달 멤버에는 마스터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측암부의 타측단에는 마스터 실린더의 푸시로드가 접촉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측암부의 지지부는 푸시로드의 끝단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지 리브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지지 리브는 지지부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1리브와, 제1리브를 중심으로 경사 각도를 가지고 상측과 하측을 향해 각기 연장된 제2리브 및 제3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페달 멤버에는 페달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측암부의 타측단에는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페달 스위치가 연결되는 조작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조작핀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출 리브가 형성되어 조작핀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페달 멤버에는 상측암부의 전단에 연결되어 회전된 페달암이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측암부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되며,
    스프링기구는 일단이 페달 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피스톤 동작되는 피스톤기구와, 피스톤기구를 감싸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페달암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KR1020170089102A 2017-07-13 2017-07-13 차량용 페달 장치 KR10233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102A KR102337223B1 (ko) 2017-07-13 2017-07-13 차량용 페달 장치
CN201711247071.1A CN109249803B (zh) 2017-07-13 2017-12-01 车辆踏板装置
US15/836,136 US10303198B2 (en) 2017-07-13 2017-12-08 Vehicle pedal apparatus
US17/501,352 USRE49642E1 (en) 2017-07-13 2021-10-14 Vehicle ped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102A KR102337223B1 (ko) 2017-07-13 2017-07-13 차량용 페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736A true KR20190007736A (ko) 2019-01-23
KR102337223B1 KR102337223B1 (ko) 2021-12-08

Family

ID=6500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102A KR102337223B1 (ko) 2017-07-13 2017-07-13 차량용 페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303198B2 (ko)
KR (1) KR102337223B1 (ko)
CN (1) CN1092498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1634A1 (en) * 2021-11-19 2023-05-25 Ksr Ip Holding, Llc Passive force emulator pedal assembl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962A (en) * 1987-05-28 1990-03-27 Brake And Clutch Industries Australia Pty. Ltd. Compact master cylinder with integral reservoir connected to hollow piston stem
US5074163A (en) * 1989-03-25 1991-12-24 Dr. Ing. H.C.F. Porsche Ag Pedal for a motor vehicle
EP1331150A1 (de) * 2002-01-18 2003-07-30 Basf Aktiengesellschaft Verbundbauteil mit ebenem und gekröpftem Grundkörper
KR20030083378A (ko) 2002-04-22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장치
JP2005231548A (ja) * 2004-02-20 2005-09-02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操作ペダル装置
JP2011227738A (ja) * 2010-04-20 2011-11-10 F Tech Inc ペダルアーム、ペダルアームの製造装置及びペダルアームの製造方法
US20130326856A1 (en) * 2010-12-16 2013-12-12 Kongsberg Automotive As Method for assembling a peda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265Y2 (ja) * 1979-03-08 1984-04-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チルト式ペダル装置
GB8810553D0 (en) * 1988-05-05 1988-06-08 Smith D W Integrated hydraulic pedal
US5435205A (en) * 1993-06-24 1995-07-25 Aluminum Company Of America Pedal mechanism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DE4442122A1 (de) * 1994-11-26 1996-05-30 Porsche Ag Einteiliges Pedal
US5690000A (en) * 1996-03-13 1997-11-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Brake pedal with self-aligning bracket
JP3267145B2 (ja) * 1996-03-25 2002-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AU7614300A (en) * 1999-09-24 2001-04-24 Lattimore And Tessmer, Inc. Integrated lever assembly
DE10033342C1 (de) * 2000-07-08 2001-11-22 Daimler Chrysler Ag Verstellbares Fußhebelwerk
JP4045739B2 (ja) * 2000-12-22 2008-02-13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のペダル変位制御構造
US20020108463A1 (en) * 2001-02-09 2002-08-15 Delphi Technologies, Inc. Magneto-rheological brake pedal feel emulator
DE20306538U1 (de) * 2002-04-26 2003-08-07 Edscha Betaetigungssysteme Pedal
DE502005002478D1 (de) * 2004-11-20 2008-02-21 Luk Lamellen & Kupplungsbau Einrichtung zur Pedalkraftreduktion
JP4577112B2 (ja) * 2005-06-22 2010-1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ペダル装置
CN201099179Y (zh) * 2007-08-29 2008-08-13 天津卓远电工科技有限公司 可溃式汽车油门踏板
JP5144856B2 (ja) * 2009-09-17 2013-02-13 豊田鉄工株式会社 操作ペダル、および重ね合わせ溶接方法
JP5002083B2 (ja) * 2009-10-22 2012-08-15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操作ペダル
JP2012240565A (ja) * 2011-05-20 2012-12-10 Denso Corp アクセル装置
KR101371717B1 (ko) * 2011-11-24 2014-03-10 현대자동차(주)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FR2995102B1 (fr) * 2012-08-31 2014-08-29 Coutier Moulage Gen Ind Pedale a section en « pi » pourvue de nervures inclinees de renforcement a la torsion
FR2995101B1 (fr) * 2012-08-31 2014-08-29 Coutier Moulage Gen Ind Pedalier allege renforce vis-a-vis des efforts de commande decales
KR101383730B1 (ko) * 2012-12-24 2014-04-17 한국오므론전장(주) 차량용 클러치 페달의 통합 스위치
KR101461187B1 (ko) * 2013-05-03 2014-11-1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 페달의 후방 밀림 방지 장치
DE102013015741A1 (de) * 2013-09-21 2014-07-17 Daimler Ag Pedal für einen Kraftwagen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Pedals
US9632525B2 (en) * 2013-09-27 2017-04-25 Cts Corporation Shaftless vehicle pedal with contacting position sensor
JP6353734B2 (ja) * 2014-08-07 2018-07-04 株式会社エフテック 車両用ペダルアーム
US9645600B2 (en) * 2014-08-22 2017-05-09 Ksr Ip Holdings Llc. Two piece pedal arm
CN104842787A (zh) * 2014-09-25 2015-08-1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离合器踏板总成的安装结构及车辆
WO2018003039A1 (ja) * 2016-06-29 2018-01-04 大塚工機株式会社 操作ペダル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962A (en) * 1987-05-28 1990-03-27 Brake And Clutch Industries Australia Pty. Ltd. Compact master cylinder with integral reservoir connected to hollow piston stem
US5074163A (en) * 1989-03-25 1991-12-24 Dr. Ing. H.C.F. Porsche Ag Pedal for a motor vehicle
EP1331150A1 (de) * 2002-01-18 2003-07-30 Basf Aktiengesellschaft Verbundbauteil mit ebenem und gekröpftem Grundkörper
KR20030083378A (ko) 2002-04-22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장치
JP2005231548A (ja) * 2004-02-20 2005-09-02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操作ペダル装置
JP2011227738A (ja) * 2010-04-20 2011-11-10 F Tech Inc ペダルアーム、ペダルアームの製造装置及びペダルアームの製造方法
US20130326856A1 (en) * 2010-12-16 2013-12-12 Kongsberg Automotive As Method for assembling a peda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8441A1 (en) 2019-01-17
US10303198B2 (en) 2019-05-28
KR102337223B1 (ko) 2021-12-08
USRE49642E1 (en) 2023-09-05
CN109249803A (zh) 2019-01-22
CN109249803B (zh)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0739B2 (ja) 車両用ペダルの後退防止装置
JP2009083829A (ja) 係止構造
US20190092289A1 (en) Rearward movement preventing device of pedal device for vehicle
KR20190007736A (ko) 차량용 페달 장치
US10921841B2 (en) Vehicle operation pedal device
JP2012083858A (ja) 操作ペダルの支持構造
JP5131649B2 (ja) ペダル装置
JP6197748B2 (ja) 自動車用アクセルペダル構造
JP2013216248A (ja) 車両のペダル装置
JP7053519B2 (ja) 車両用ペダル装置
JP2017062604A (ja) 車両用ペダル装置
US20210078549A1 (en) Vehicle operation pedal device
JP5736856B2 (ja) ブレーキペダル
JP2018200516A (ja)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JP2007191009A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2009251674A (ja) ブレーキ装置
JP2012234376A (ja) 車両のペダル装置
JP5180115B2 (ja) フューエルフラップの開閉構造
JP5671973B2 (ja) 車両用ペダルの製造方法
JP3631418B2 (ja) フットペダルの後退防止構造
KR101393840B1 (ko) 차량의 페달조작기구
EP4116795A1 (en) Clutch operation effort reactive force generator
JP6394893B2 (ja) 油圧クラッチマスターシリンダの取付構造
KR101755731B1 (ko) 차량의 페달조작기구
JP2020047159A (ja) 樹脂製ペダルア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